The Path to a Sustainable Tomorrow

지속 가능한 사회로 가는 길,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열어가겠습니다.

CONTENTS

04 인사말 / 06 연혁 / 08 환경기술개발 / 12 환경산업육성 / 16 친환경생활 확산 / 20 환경보건·안전 / 24 사회적 가치 실현인사말

인사말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하늘을 뿌옇게 덮은 미세먼지, 제대로 처리되지 않고 버려진 폐기물과 산업폐수, 많은 생명을 앗아간 가습기살균제 속 유해화학물질과 훼손된 자연 생태계는 우리 삶의 질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주요 환경문제입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공기와 물을 맑게 하고 폐기물을 적정하게 재활용·처리하며 자연 환경을 치유하기 위한 환경기술개발을 지원하고 환경산업을 육성합니다. 오염된 환경과 유해물질로 고통 받는 분들의 어려움을 덜어드리고, 국민들이 환경 친화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과학과 기술, 산업이 오늘날 산적한 환경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는 없지만, 그 실마리가 될 수는 있습니다. 친환경생활은 여기에 힘찬 에너지를 불어넣을 것입니다. 소외된 환경 약자를 보듬고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사회적 가치 실현은 국가와 공공기관이 존재하는 이유입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임직원들은 사람을 존중하는 마음으로 고객 만족을 위해 열과 성을 다하겠습니다. 그 열매는 국민 여러분과 사회의 환경복지 서비스와 지속가능성 향상일 것입니다.

아울러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윤리경영과 청렴 실천으로 업무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여 국민에게 신뢰받는 공공기관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낌없는 격려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연혁

2009~2010

2009. 04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개원

2009~

탄소성적표지제도 시행

2009~

환경전문인력양성사업 운영

2011

2011. 06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환경협력센터 개소

2012

2012. 05

환경표지제도 20주년 기념식

2012. 11

환경분석센터 설치

2013

2013. 01

UNEP SPPI

(환경계획 공공구매협의회) 자문기관 선정

2014

2014. 01

가습기살균제피해종합지원센터 설치

2014. 03

콜롬비아, 알제리 해외사무소 개소

2015

2015. 03

토양환경센터 개소

2015. 10

'그린월드 어워즈' 최우수상 수상

2015. 12

한국환경산업기술원법 제정 및 공포

2016

2016. 01

환경책임보험제도 운영

2016. 12

한국환경산업기술원법 시행

2016. 12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신청사 개소

Mission

지속가능한 사회를 견인하는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혁신을 선도하고 환경위해로부터 국민을 보호하여 모두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에 이바지

2017

2017. 07

환경산업연구단지 개소

2017. 11

그린카드, ‘유엔 기후 솔루션 어워즈 우수제도’' 선정

2018

2018. 05

국가공인시험기관 KOLAS 인증 획득

2018. 05

석면피해구제제도 운영

2018.12

제1회 환경창업대전 개최

2019

2019. 02

생활화학제품안전센터 개소

2019. 04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개원 10주년 기념식

2020

2020. 09

국제환경협력센터(IECC) 개소

2020. 11

녹색융합기술 특성화 대학원 11개 대학 지정

2021

2021. 01

석면피해구제 10주년

2021. 05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사업 성과보고회 및 시상식

2021. 07

그린카드 10주년

Vision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환경솔루션 전문기관

환경기술개발

도전을 넘어

녹색미래를 실현하는 길

녹색미래를 실현하는 환경기술 발굴, 스마트 기술의 융합으로 더 푸른 내일을 열어가겠습니다.

01

환경기술개발

대기, 수질, 토양 오염 등 환경기술개발사업을 통해 환경보전 및 경제발전에 기여하며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환경기술개발을 위한 KEITI의 지원사업

환경기술개발 지원

• 신기후체제 대응 환경기술개발사업 / 재활용저해제품 순환이용성 개선 기술개발사업 / (혁신도전형)플라즈마 활용 폐유기물 고부가가치 기초원료화 기술 / 폐플라스틱 활용 원료 연료화 기술개발사업 / 미래 발생 폐자원의 재활용 촉진 기술개발사업 / 폐자원 활용 에너지 전환 실증 기술개발사업 / 미세플라스틱 측정 및 위해성평가 기술개발사업 / 유망녹색기업기술혁신개발 / 감염우려 의료폐기물 처리 기술개발사업 / 미세먼지 사각지대 해소 및 관리 실증화 기술개발사업 /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저감기술 실증 기술개발사업 / 대기환경관리기술 사업화 연계 기술개발사업 / 사업장 미세먼지 지능형 최적 저감관리 기술개발

• 수열 냉난방 및 재생열 하이브리드시스템 기술개발사업 / 에너지 자원회수형 고농도 하폐수처리공정 기술개발사업 / 플랜트연구 / 물관리연구 / 지중환경 오염위해관리기술개발사업 / 표토환경보전관리기술개발사업 / 수요대응형 물공급서비스 연구 / 지능형도시수자원관리 / 정지궤도 공공복합 통신위성 개발사업 / 가뭄대응 물관리 혁신기술 개발사업 / 환경시설 재난재해 대응 기술개발사업 / 상하수도 혁신 기술개발사업 / 고순도 공업용수 생산공정 국산화 기술개발사업 / 수생태계 건강성 확보 기술개발사업

• 기후위기대응 홍수방어능력 혁신기술 개발사업 /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기술개발사업 / 실내공기 생물학적 위해인자 관리기술 개발사업 / 화학사고 예측·예방 고도화 기술개발사업 / 생물다양성위협외래생물관리기술개발사업 / 야생생물유래친환경신소재및공정기술개발 / 다부처 국가생명연구 선진화 사업 / 도시 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개발사업 / 생태모방 기반 환경오염관리기술 개발 / ICT기반 환경영향평가 기술개발사업 / 습지생태계 가치평가 및 탄소흡수 가치증진기술개발 /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핵심 기술개발사업 / 환경보건 디지털 조사 기반 구축 기술개발사업

1 MBR 막오염 저감기술

2 미세먼지 포집 실증설비

3 유기성폐자원 혐기성 소화설비

4 국민공감포럼 및 환경기술 합동성과 발표회

5 고순도 공업용수 실증플랜트 착공식

1

2

3

4

5

국민 환경현안 해결을 위한 기술개발 지원

•그린뉴딜 및 탄소중립 등 국가 현안 핵심 기술개발 지원

•미세먼지, 미세플라스틱, 폐기물 등 환경현안 해결을 위한 기술개발 지원

•국민의 의견 적극 반영 및 수요자 맞춤형 기술개발

수요 맞춤형 환경기술 성과 확산

•환경기술 이전 촉진을 위한 환경기술 파트너링, 로드쇼 개최

•일반국민 의견 수렴 및 성과확산을 위한 행사 개최

환경 R&D 국내외 사업화 실적

10조3,021억 원(누적)

8조3,988억 원 2019

9조4,742억 원 2020

10조3,021억 원 2021

특허등록성과

3,854건 (누적)

3,091건 2019

3,483건 2020

3,854건 2021

SCI 논문성과

5,844건 (누적)

4,449건 2019

5,198건 2020

5,844건 2021

환경 R&D 신규 협약과제 수

환경 R&D 신규 협약과제 수

1,203건 (누적)

1,022건 2019

1,141건 2020

1,203건 2021

환경산업육성

환경산업의

세계화를 이끄는 길

유망 환경 기업 발굴부터 해외진출까지 환경산업 육성을 통해 그린뉴딜을 실현합니다.

02

환경산업육성

환경산업의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우수환경산업체 지정, 정책자금 융자, 환경산업연구단지 및 해외사무소 운영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환경기업의 성장을 밀착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기술 인·검증, 녹색인증 등 다양한 제도 운영으로 환경기술의 보급촉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환경산업육성을 위한 KEITI의 지원사업

국내 환경산업 육성

우수환경산업체 지정·지원 및 강소기업 육성

환경분야 민간일자리 창출 지원

환경분야 특성화대학원 기획·운영 관리

환경산업기술 전문인력 양성과정 기획·관리, 실무종사자 교육

환경산업연구단지 운영

에코스타트업 지원 사업 운영, 환경창업대전

해외진출 지원

개도국 환경개선 마스터플랜 수립 지원사업

해외 환경 프로젝트 타당성 조사 지원사업

다자개발은행 환경프로젝트 수주지원 및 협력사업

개도국 기후변화대응 사업개발 지원

해외 바이어 초청 상담회

환경기술 국제공동 현지사업화 지원사업

환경산업 해외진출 전문컨설팅 지원

해외사무소 운영(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콜롬비아, 알제리)

국제환경협력센터 운영 및 양·다자 환경협력 대응 지원

개도국 환경시설 진단 및 환경정책 컨설팅 사업

환경협력국 공무원 석사학위과정 운영

환경기업 해외벤더 등록 지원사업

환경분야 적정기술 보급 지원사업

녹색금융 지원

환경정책자금 융자지원

중소환경기업 사업화·상용화 지원사업

녹색경영기업 금융지원시스템 운영

친환경 경영

환경정보공개제도 / 녹색기업지정제도 / 중소기업 친환경 경영 컨설팅 지원

환경기술 보급촉진

환경신기술 인증 및 기술검증 / 녹색인증 / 환경기술 성능확인 / 환경분야 혁신 제품 지정

1 이집트 폐기물 자원화 플랜트

2 환경산업연구단지

3 국제환경협력센터 개소

4 환경창업대전

1

2

3

4

환경기업 성장 지원

•환경기술개발부터 해외진출까지 전 과정 지원체계가 구축된 환경산업연구단지 운영

•창업기업 발굴 및 체계적 프로그램을 통한 맞춤형 창업 지원

•유망 중소환경기업의 안정적 시장진입을 위한 기술사업화 지원

•정책자금 지원과 민간투자 유치를 통해 우수환경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

환경기업 기술사업화 지원

1,165건 (누적)

789건 2019

987건 2020

1,165건 2021

환경정책자금 융자지원 실적

2조8,831억 원 (누적)

1조9,663억 원 2019

2조4,240억 원 2020

2조8,831억 원 2021

환경기업 수출 지원

•민·관 협력을 통한 해외프로젝트 발굴 및 사업참여 확대

•환경산업 해외진출 전문 컨설팅 및 해외판로 개척 지원

환경산업 수출지원

15조3,192 억 원 (누적)

12조4,177억 원 2019

14조4,560억 원 2020

15조3,192억 원 2021

환경산업 일자리 창출

•환경산업분야 우수 전문인재 양성

•중소환경기업 사업화 지원에 따른 일자리 창출

•일자리 창출을 통한 사회적 가치 실현

환경산업 일자리 창출

7,635명 (누적)

3,066명 2019

4,590명 2020

7,635명 2021

환경기술의 보급촉진 활성화

•신기술 인·검증을 통해 기업의 기술개발 및 환경산업 육성에 기여

•녹색인증제도 운영으로 녹색분야에 대한 민간투자 활성화 도모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평가를 통해 중소기업의 환경R&D 성과 확산 및 공공시장 진출 확대

기술 활용실적

5조2,289 억 원 (누적)

4조3,671억 원 2018

4조7,924억 원 2019

5조2,289억 원 2020

(2020년 기준)

친환경생활 확산

저탄소 생활을

선도하는 길

친환경 생산·소비 선순환을 통한 국민 생활과 기업 경영활동의 저탄소 생활을 선도합니다.

03

친환경생활 확산

환경표지, 환경성적표지 등 제품의 환경성 인증을 통해 지속가능한 소비 생산을 유도합니다. 또한 그린카드 운영, 녹색매장 지정, 친환경대전 개최 등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여 국민의 저탄소 친환경생활 문화를 확산합니다.

친환경생활 확산을 위한 KEITI의 지원사업

환경인증

환경표지 인증, 가정용 보일러 인증

환경성적표지인증, 녹색건축인증

제품 환경성 시험분석

제품 순환이용성·순환자원 품질표지 인증

친환경 소비생활 촉진

그린카드 제도

녹색매장 지정제도

친환경 기술진흥 및 소비촉진 유공 정부포상 운영

대한민국 친환경대전

녹색제품 의무구매 제도

친환경시장 질서 확립

환경표지 인증제품 사후관리

환경표지 무단사용 조사

제품 환경성 표시·광고 감시·관리

1 공공 녹색구매 이행 우수기관 시상식

2 녹색제품

3 환경성적표지 인증제도

4 대한민국 친환경대전

5 녹색매장 지정제도

1

2

3

4

5

친환경 생산 기반 확충

•환경표지·환경성적표지 제도를 통한 기업경쟁력 확보와 국민의 친환경생활 지원

•기업의 환경경영 지원 및 환경정보공개를 통한 신뢰도 확보

•순환이용성·순환자원 품질표지 제도 활성화

환경표지 인증 제품

18,171개

4,601개사

16,376개

4,241개사

2019

17,969개

4,520개사

2020

18,171개

4,601개사

2021

환경성적표지 인증 제품

1,455개

323개사

923개

191개사

2019

1,333개

264개사

2020

1,455개

323개사

2021

친환경 소비문화 정착

•녹색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접근성 확보를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정보 제공

•친환경대전, 그린카드, 환경캠페인 등 국민의 친환경소비 실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운영

•공공분야 녹색구매 활성화

그린카드

2,108만 좌 (누적)

1,902만 좌 2019

2,021만 좌 2020

2,108만 좌 2021

녹색매장

718개 (누적)

586개 2019

643개 2020

718개 2021

녹색제품 공공구매

54.6% 구매율

3조8,080 억 원 구매액

50.3%

3조3,073억 원

54.4%

3조8,797억 원

54.6%

3조8,080억 원

2020

(2020년 기준)

친환경 선순환 체계 추진 기반 강화

•녹색제품에 대한 신뢰성 강화를 위한 제품 시장관리

•제품환경성 컨설팅 및 제품 환경성 시험 평가

•국제협력을 통한 공공분야 녹색구매제도 보급 및 환경라벨링 해외 인증 연계

환경보건·안전

국민 모두가

국민 모두가 건강한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유해물질과 환경오염으로부터 안전한 세상을 만들겠습니다.

안심하는 길

04

환경보건·안전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지원 등 환경피해 구제제도를 통해 사회안전망을 구축하며 국민안전과 건강을 지키기 위해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를 지원합니다. 특히 어린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생활밀착형 환경보건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환경보건·안전을 위한 KEITI의 지원사업

환경피해 구제제도 운영

환경오염 피해구제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

석면 피해구제

살생물제품 피해구제

환경피해 구제 지원

피해자 중심의 환경오염피해구제

신속·공정한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

석면피해자 발굴 및 지원강화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정책지원

생활화학제품 실태조사 및 위해성평가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 신고·접수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 안전성조사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이행지원

생활밀착형 환경보건 서비스 제공

어린이활동공간 환경안심 인증제도 운영

어린이활동공간 지자체·교육청 통합 지도·점검 지원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안전관리

환경보건 출생코호트 조사

취약계층 실내환경 진단·컨설팅 및 개선

1 어린이용품 환경보건 시장감시단

2 어린이 활동공간 환경안심 인증제도

3 생활화학제품 안전기준 확인 마크

4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자발적 협약

5 화학물질저감 우수제품

1

2

3

4

5

환경피해 예방 지원

(‘21.12월말 기준)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제도 정착 및 확산

• 어린이 환경안전관리 강화

• 민감·취약계층 생활환경 진단 및 개선

생활화학제품 안전기준 확인

161,376개 (누적)

15,597개 2019

66,802개 2020

161,376명 2021

취약계층 실내환경 진단·컨설팅 및 개선

23,305명 (누적)

20,015명 2019

22,668명 2020

23,305명 2021

환경피해 구제 지원

(‘21.12월말 기준)

•피해자 중심의 환경오염피해구제

•신속·공정한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

•석면피해자 발굴 및 지원강화

가습기살균제 피해지원

1,121억 원 (누적) 지원금

4,274명 (누적) 피해자

505억 원

2,856명

2019

780억 원

4,114명

2020

1,121억 원

4,274명

2021

석면피해구제

1,186억 원 (누적) 구제급여

5,726명 (누적) 피해자

821억 원

4,137명

2019

984억 원

4,824명

2020

1,186억 원

5,726명

2021

사회적 가치 실현

함께 걸어

KEITI는 조화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어갑니다. 함께 더불어 사는 행복한 세상을 위하여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습니다.

행복한 길

05

사회적 가치 실현

친환경 경영 및 사회공헌 활동

• 대국민 참여형 탄소 상쇄 조림사업 추진

•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환경교육

- 국내외 탄소상쇄 조림사업

(에코트리 캠페인, 어울림 푸르림 캠페인, 페이퍼리스 캠페인)

- 환경교육 자유학기제 운영

지역사회와 상생

• 민감 · 취약계층 실내환경개선 지원

• 지역경제 활성화 및 고용창출 기여

- 생활환경 진단 및 개선사업

- 지역 전통시장 활성화 및 지역사회 공헌 활동

- 사회적 경제 기업 제품 구매 확대

- 취약계층 후원 물품 나눔

- 고용창출 지원

1

2

3

1 환경박사 Dr.Eco

2 민관군 합동 에코트리

3 노사공동 소아암 어린이 돕기 사회공헌 활동

4 취약계층 가정용 보일러 기증

5 하절기 폭염대응 지원

6 친환경 리모델링

4

5

6

7

8

9

10

11

12

7 은평구 취약계층 후원물품 나눔

8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9 중증장애인 고용창출을 위한 기증물품 전달

10 취약계층 실내 환경개선 업무협약

11 경북·강원 산불피해 복구 성금 전달

12 은평구 관내 이용시설 친환경 개선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