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
2015한성학원 70년사Hansung Academy: The History of 70 Years학교법인 한성학원
한성대학교 역대 이사장
초대 김의형 이사장
한성대학교역대 이사장
한성대학교역대 학장
한성대학교 역대 총장
1대 원형갑 총장
2대 이용남 총장
3대 이성근 총장
4대 한완상 총장
5대 윤경로 총장
6대 정주택 총장
7대 강신일 총장
한성여자고등학교 교장
1대-8대 김의형 교장
9대-10대 임양수 교장
11대-12대 염홍천 교장
13대 김인자 교장
14대-15대 윤성열 교장
16대 구영희 교장
17대 김동화 교장
18대 구순희 교장
한성여자중학교 교장
1대-7대 김의형 교장
8대-9대 김영희 교장
10대-11대 염홍천 교장
12대 김인자 교장
13대 송대빈 교장
14대 김인자 교장
15대 윤성열 교장
16대 김신길 교장
17대 고춘식 교장
18대 이광우 교장
19대 김태정 교장
20대 이경철 교장
교사로 본 한성
1950년대 한성여중·고 전경
1960년대 한성여중·고 전경(여고교사·여중교사·과학관)
1970년대 한성대학 본관·의화정
1973년 한성여자대학 정문
1983년 지선관
1983년 진리관
1981년 12월 29일 종합관 (現 한성여중) 준공
1980년대 초 교사(前 대학본부 종합관)
1984년 9월 5일 준공 학생복지관(現 창의관)
1988년 한성대학 정문
1987년 8월 25 일 준공 우촌관
1991년 대강당(現 학송관)
1993년 과학관(증축 전)
1993년 우촌관 전시실
1994년 남문
1991년 상징탑
1995년 의화장
1997년 지선관
1997년 진리관
1999년 우촌관
1999년 강의동(現 탐구관)
2001년 한성대학교 대학로캠퍼스
2007년 증축 후 연구관
2007년 진리관
2008년 탐구관·진리관·우촌관·연구관
2008년 학술정보관(미래관)
2008년 학생회관(現 창의관)
2010년 낙산관
2012년 우촌관
2011년 우촌학사
2015년 한성여중 전경
2015년 한성여고 전경
농경생활사 전시관 (미래관)
대학사료실 (미래관)
설립자와 한성
국민훈장 동백장 수상
국민훈장 포상 축하식
유네스코 이치파협의회
한성제염사 방문
삼학송 명영식
행사로 본 한성 | 여중·고
교내 글짓기 대회
교내 미술 대회
사생대회(의화정)
밴드부 활동
체육시간
의화정 및 학생
수업시간
교내 체육대회 전경
한성여중 제8회 목화축제
한성여고 체육대회
한성여고 교수특강
한성여고 예절교육
행사로 본 한성 | 대학
1973.3.5 한성여자대학 제1회 입학식
1977.2.25 한성여자대학 제1회 졸업식
1983.10.5 한성대학 개교 10주년 기념식
1985.12.4 학군사관후보생 (ROTC) 창설 및 입단식
1987.8.25 우촌관 준공식
1989.1.8 탁구부 일본체대 교류전
1991.11.14 전국남녀추계대학축구연맹전 우승
1991.11.29 상징탑 제막식
1992.5.15 스승의날 행사 (교수와 학생 줄다리기 함께 하기)
1995.7 탁구부 우승
1994.10.4 남문 낙성식
1996.5.10 전자정보관 개관식
1997.6 제44회 전국종별탁구선수권대회 우승
1997.7.21 대학 간 상호교류 협정 조인
1999.3.6 강의동(現 탐구관) 개관식
1999.10.17 슈미츠빅사 명예 경영학박사 학위수여식
2000.5.31 성북벤처창업지원센터 협약식
2001.9.27 도서관(現 미래관), 교수회관(現 연구관) 신축 및 학생회관(現 인성관) 증축 기공식
2003.10.15 미래관 연구관 인성관 준공 기념식
2003.10.15 학술정보관 개관
2004.1.16 김윤규, 김대환 명예박사 학위 수여식
2006.3.29 신용하이사장 취임식
2007.5.25 낙산가요제
2007.10.2개교 35 주년 기념음악회
2007.12.21 동문 준공식
2011.5.27 나눔축제
2011.10.6 제7회 공학경진대회
2011.9.8 우촌학사 준공식
2011.12.5 벽화봉사직업
2011.12.30 제12기 해외봉사 발대식 바누아트
2013.7.1. 우즈벡키스탄 해외 봉사단
2013.7.2. 국제여름학교 불국사 방문
2014.8.28 종합관(現 상상관) 기공식
2015.3.2 이종훈 이사장 취임식
1996.10.20 대학원동문 체육대회
2013.8.29 대학원 입학식
발간사
학교법인 한성학원 이사장이종훈올해는 유난히도 무더운 여름이었습니다. 이 더위를 이겨내면서, 저는 우리 한성학윈도 지난 70년 동안 숱한 어려움을 겪었지만 결국 난관을 극복하고 이와 같은 발전을 이룩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우리 한성학원은 해방 직후인 1945년 9월 경성여자기예학교를 인수하여 그 해 10월 5일 한성고등여학교로 운영을 시작한 후 70 여년 동안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한성고등여학교를 한성여자중학교로 변경하였다가 한성여자중학교와 한성여자고등학교로 분리 · 운영하였습니다. 1972년 12월에는 단과대학인 한성여자대학을 설립하였고, 1978년 1월에는 한성여자대학을 남녀공학인 한성대학으로 발전시켰으며) 1993년 3월에는한성대학을 종합대학교인 한성대학교로 도약시켰습니다.
한성학원은 1953년 1월 21일 ‘재단법인 한성학원’으로 인가받은 후) 1964년 1월 24일에는 재단법인 한성학원을 학교법인 한성학원으로 개편하고 조직을 정비하였습니다. 한성제염사를 설립하여 재원을 마련한 후 학교시설의 건립과 교육기관의 운영에 투자함으로써 한성학원의 발전에 기여하였습니다. 한성학원이 이처럼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한성여자중학교 · 한성여자고등학교 · 한성대학교의 교직원과 학생과 동문 여러분의 헌신적인 노력이 있었기에 기능하였습니다.한성학원 설립 70년을 기념하여, 우리 학원의 자랑스러운 역사를 한 권의 책에 담아 소개할 수 있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이 책을 통하여, 한성학원의 설립과 관련된 숨겨진 이야기, 한성학원의 성장에 기여한 한성제염사의 운영, 전국적으로 유명하였던 카드섹션 활동, 각 교육기관의 구성원들이 노력한 하나하나의 사실 등이 한성학원 가족 여러분들에게 공유되었으면 합니다.그리고 이 책에 담긴 자랑스러운 역사가 우리 학원 구성원들로 하여금 학원과 학교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하는 데 기여히였으면 합니다. 아울러 정원 김축과 구조 개학의 파고 속에서, 이 책이 밀어닥치는 외부의 난관을 극복하는 데 소중한 정신적 유산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를 토대로 한성학원이 새롭게 도약하여 한국과 세계 속의 명문 교육기관으로 발전하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2016년 10월편집후기
한성학원 이사 이경일한성학원 70년사 편찬위원장『한성학원 70년사』는 2015년 한성학원 설립 70주년을 맞이하여 우리 학원의 자랑스러운 역시를 소개하고, 이를 새로운 발전과 도약의 기초로 삼고자 발간이 추진되었습니다. 한성학원, 한성대학교, 한성여자중학교, 한성여자고등학교 소속 12명의 집필진이 각고의 노력을 한 끝에 결실을 보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이 책은 크게 여섯 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 I 편 ‘한성학원의 설립’은 1945년 9월 25일 경성여자기예학교를 인수하여 10월 5일 한성고등여학교를 출범시킨 후 1953년 1월 21일 재단법인 한성학원을 설립하기까지의 역사를 다루고 있습니다. 제II편 ‘한성학원의 발전’은 1953년 1월 21일 한성학원을 설립한 후부터 지금까지 한성학원의 이사장 및 이사 · 감사가 우리 학원의 발전을 위해 노력한 구체적인 사항들을 담았습니다. 제III편 ‘한성학원의 창학정신과 교육이념’에서는 한성학원의 교육이념과 교육목표, 교육기관별 교육목표와 상정을 소개하였습니다. 제IV편 ‘교육기관’에서는 한성여자중학교, 한성여자고등학교, 한성대학교의 성장과 발전, 그리고 새로운 도약을 위한 혁신을 각 교육기관의 교장과학장·총장의 순으로 펼쳐보았습니다. 제V편 ‘한성학원의 졸업생들’에서는 한성여자중 · 고등학교, 한성대학교, 한성대학원 출신으로 학교와 학원을 빛낸 동문들을 소개하였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VI편 ‘부록’에서는 한성학원, 한성여자중학교, 한성여자고등학교, 한성대학교, 대학원의 연학과 정관, 이사와 교직원, 주요 시설과 재정 등을 알기 쉽게 정리하여 보여주었습니다.
이 책의 집필은 각 분야와 교육기관별로 나누어 진행되었습니다. 한성학원의 설립과 발전은 조규태교수와 전장배부처장이, 창학정신과 교육이념은 나은미교수가, 한성여자중학교는 전수진교사와 홍연호실장이, 한성여자고등학교는 황인주교사와 김미경실장이, 한성대학교는 권기중교수가, 한성학원의 졸업생들은 박희진교수가 책임지고 집필하였습니다. 그러고 장재학팀장은 화보 편집을 해주셨고, 정미영치장과 정순선과장은 책의 발간을 지원해주셨고, 미지막으로 편찬위원장인 저는 『한성학원 70년사』 전체를 통일적으로 아우르고 조정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이 책을 편찬하는 데 있어 저희 편찬팀은 다음과 같은 점에 유념하였습니다. 첫째 객관적인 자료에 입각하여 과장하거나 미화하지 않고 사실대로 기술히려고 노력히였습니다. 이전에 얄고 있던 점과 다른 내용이 있더라도 자료에 입각히펴 기술하였습니다. 둘째 기술에 있어서 양의 형평을 유지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특정 이사장 시기니 특정 교장과 학정 총장 시기의 서술을 확대히거나 축소하지 않으려 주의하았습니다. 셋째 한성학원 구성원의 잘못과 개선할 점은 있는 그대로 드러내지만, 가능하면 자랑스러운 역사를 소개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넷째 한성학원의 설립 시기, 각 교육기관의 설립과 발전에 관한 사항 이사장과 이사교장과 학장 · 총장의 임면 기록, 사진 캡션 등의 내용을 올바르게 바로잡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이는 지금끼지 발간된 책의 중요 사항이 불일치하여 혼란을 야기한 점을 바로잡으려는 의도였습니다. 다섯째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과 사진을 가능하면 많이 담고자 노력하였습니다.여러분플의 노력과 지원으로 빌간된 이 책이 자랑스러운 한성혁원 70년사를 이해하는 데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이 책에 담긴 한성학원의 소중한 문회적 유산이 한성학원 구성원의 단합을 이루고, 한성학원과 각 교육기관이 닥쳐오는 난관을 극복하여 새로운 도약을 하는 데 기여하기를 충심으로 희망합니다.2016년 10월
목차
발간사 i편집후기 iii표목차 x그림목차 xiI. 한성학원의 설립
1.1 설립자의 교육에 대한 열정 3
1.2 경성기예학교의 인수 51.3 한성고등여학교를 거쳐 한성여자중학교로 81.4 한성여자중학교 · 한성여자고등학교의 분리 운영과 한성학원의 설립 13II. 한성학원의 발전
2.1 초대 김의형 이사장 시기 (1953. 1.21.~1958. 5.8.) 21
2.1.1 이사장과 이사진 212.1.2 한성여중 · 고의 학급과 정원의 증가 222.1.3 교사의 증설과 염전의 구입 242.1.4 재정 상황 262.2 2~6대 이희순 이사장 시기 (1958. 5.13.~1977. 2.22.) 282.2.1 이사장과 이사진 282.2.2 한성여중 · 고의 학급과 정원의 증가 332.2.3 교사의 증설과 학교시설의 확장 34
2.2.4 재정의 확충 422.2.5 재단법인 한성학원에서 학교법인 한성학원으로 432.2.6 한성여자대학의 설립 432.3 7~8 대 김의형 이사장 시기 (1977. 3.30.~1981.11. 5.) 442.3.1 이사장과 이사진 442.3.2 한성여자대학교를 한성대학교로 492.4 9~11대 안호상 이사장 시기 (1981.11. 6.~1991. 3.30.) 502.4.1 이사장과 이사진 502.4.2 교사의 증설과 학교시설의 확장 562.4.3 당진농장의 마련 572.4.4 김의형 선생의 타계 582.5 12~13대 서정희 · 김옥자 이사장 시기 (1991. 4. 1.~1997.12.22.) 592.5.1 이사장과 이사진 59
2.5.2 한성대학의 종합대학 승격 642.5.3 교사의 증설과 학교시설의 확장 642.6 14~19대 임시이사체제기 (1998. 1.15.~2005.12.31.) 652.6.1 이사장과 이사진 652.6.2 교사의 증설과 학교시설의 확장 752.6.3 직선제 총장의 선출 792.6.4 정이사체제의 환원 812.6.5 대학종합평가 최우수대학 선정 842.6.6 인제대학과의 합병 모색 842.7 20~22대 정이사체제 환원기 (2006. 1.1 7.~2015.12.31.) 852.7.1 이사장과 이사진 852.7.2 교사의 증설과 학교시설의 확충 912.7.3 한성대학교의 총장 선출 및 운영과 관련된 갈등 93III. 창학정신과 교육이념
3.1 창학정신 99
3.2 교육이념과 교육목표 1013.2.1 교육이념 1013.2.2 교육목적 1023.2.3 교육목표 1023.3 교육기관별 교육목표 1043.3.1 한성여자 중 · 고등학교의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 1043.3.2 한성대학교의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 1053.4 교육기관별 상징 1073.4.1 한성여자중 · 고등학교의 상징 1073.4.2 한성대학교의 상징 110IV. 교육기관
4.1 한성여자중학교 119
4.1.1 한성여중의 성장(1951~1976) 1194.1.2 한성여중의 도약(1977~1995) 1274.1.3 한성여중의 혁신 (1996~2015) 1454.1.4 교육 환경의 개선 1804.2 한성여자고등학교 1894.2.1 여고의 성장(1951~1976) 1894.2.2 여고의 도약(1977~1995) 1934.2.3 여고의 혁신 (1995~2015) 2064.2.4 교육 환경의 개선 2484.3 한성대학교 2534.3.1 형성기 (1972~1982) 2534.3.2 성장기 (1982~1993) 2604.3.3 발전기 (1993~2002) 2684.3.4 변혁기 (2002~2015) 292V. 한성학원의 졸업생들
5.1 한성여자중학교 349
5.1.1 학술 · 교육인 3495.1.2 언론인 3505.1.3 전문직업인 3505.1.4 4·19 혁명과 진영숙 학생 3515.2 한성여자고등학교 3535.2.1 학술 · 교육인 3535.2.2 정치 · 법조인 3545.2.3 언론인 3545.2.4 문화 · 예술 · 체육인 3545.3 한성대학교 3575.3.1 총동문회 3575.3.2 학술 · 교육인 3585.3.3 공무원 3615.3.4 정치인 3645.3.5 경제 · 기업인 3655.3.6 언론 · 방송인 3675.3.7 문화 · 체육 · 예술인 3685.3.8 전문직업인 3715.4 한성대학교 대학원 372
5.4.1 총동문회 3725.4.2 학술·교육인 3725.4.3 공무원 · 군인 3735.4.4 정치인 3765.4.5 경제 · 기업인 3775.4.6 언론 · 방송 · 출판인 3795.4.7 전문직업인 379부록
한성학원 부록 383
한성여자중학교 부록 442한성여자고등학교 부록 458한성대학교 부록 465대학원 연혁 516표목차
<표 1> 1946~7년도 한성여자중학교 교육과정 ……………………………… 10<표 2> 한성여자중학교와 한성여자고등학교의 교사 상황(1951.11.) …… 14<표 3> 초대 이사회 구성 …………………………………… 22<표 4> 한성제염사 부동산 목록(1955. 9.) ……………………………… 25<표 5> 한성제염사의 957년 부동산감정가 ………………………………… 26<표 6> 제2대 이사회 구성 …………………………………… ……… 28<표 7> 제3대 이사회 구성 ………………………………………………… 30<표 8> 제4대 이사회 구성 ………………………………………… 31<표 9> 제5대 이사회 구성 …………………………………………… 32<표 10> 제6대 이사회 구성 …………………………………………… 33<표 11> 1963년 7월 학교시설 현황표 ……………………………… 38<표 12> 1960년도 한성학원 재산목록 ……………………………… 42<표 13> 1960년도 한성학원 재정상황 ……………………………… 42<표 14> 제7대 이사회 구성 …………………………………………………… 45<표 15> 제8대 이사회 구성 . ……………………………………………… 47
<표 16> 제9대 이사회 구성 …………………………………………… 51<표 17> 제10대 이사회 구성 ……………………………………… 54<표 18> 제11대 이사회 구성 ………………………………………… 55<표 19> 제12대 이사회 구성 …………………………… 59<표 20> 제13대 이사회 구성 …………………………………………… 62<표 21> 제14대 이사회 구성 …………………………………………… 65<표 22> 제15대 이사회 구성 …………………………………………… 67<표 23> 제16대 이사회 구성 …………………………………………………… 69<표 24> 제17대 이사회 구성 …………………………………………………… 71<표 25> 제18대 이사회 구성 …………………………………………………… 73<표 26> 제19대 이사회 구성 …………………………………………………… 75<표 27> 제20대 이사회 구성 …………………………………………………… 86<표 28> 제21대 이사회 구성 …………………………………………………… 88<표 29> 제22대 이사회 구성 …………………………………………… 90
<표 30> 1961년 당시 한성여중 · 고의 교직원 ……………………………… 120<표 31> 1966년 12월 당시 한성여 · 중고 교직원 명단 ………………… 121<표 32> 교무 분장표(1995년) ……………………………………………132<표 33> 교무 분장 편제 구성 일람(1997~2015) …………………………153<표 34> 교직원 자체 연수 일람(1997~2015) ………………………………158<표 35> 중점 특색 교육 사업명 ………………………………160<표 36> 교내 장학증서 및 대회 시상 종류 일람 …………………………179<표 37> 교내 각종 교무위원회 구성 명단(2015년 현재) …………… 179<표 38> 한성여고의 인가학급수와 정원(1953~1970) …………… 189<표 39> 시설 개선일지 ……………………………………………196<표 40> 연간 학사일정 …………………………………………… 197<표 41> 상담실 운영 프로그램 …………………………………………… 198<표 42> 특활발표회 …………………………………………… 199<표 43> 주요 생활지도 내용 ……………………………………………200<표 44> 훈련 내용 ………………………………………………203
<표 45> 사생대회 및 미술대회 …………………………………………… 204<표 46> 운동부 활약 내용 ……………………………………………205<표 47> 2015학년도 계열별 단위배당표 ……………………………… 218<표 48> 아버지 일터 체험 기관 ………………………………228<표 49> 학술동아리 세부 운영계획 (2015년) ……………………………… 231<표 50> 사랑교실 프로그램 ……………………………………… 232<표 51> 2015년도 교과목별 평가 계획 ………………………………233<표 52> 교무 분장 편재 구성 일람(1996~2015) …………………………236<표 53> 부서별 교내 자체연수 연간계획 (2015년) ………………………… 239<표 54> 대학 특별위원회 현황 …………………………………………… 274<표 55> 1994년도 선정 과제 연구 ………………………………275<표 56> 학과 구조 조정 (2015.5.1.) ………………………………337<표 57> 학부(과) 실적평가의 평가영역, 평가지표, 반영비율 및 평가방식 338그림목차
[그림 1] 경성여자기예학교 구획도(1940) …………………… 6[그림 2] 경성여자기예학교의 건물배치도(1940~1945) ……………7[그림 3] 한성여자중학교 평면도(1949.12.~1953.) . ……………… 12[그림 4] 한성여자중 · 고등학교 배치도 1(1959.11.) ……………36[그림 5] 한성여자중 · 고등학교 배치도 2(1959.11.) ……………37[그림 6] 1963년 한성학원 평면도 ………………………………… 39[그림 7] 통합 논술 지도팀 구성도 …………………… ………………… 226[그림 8] 故진영숙 동문(출처:국가보훈처) ……………………………… 352[그림 9] 흥차옥 동문(왼쪽), 현정화선수와 홍차옥 동문(오른쪽) …………… 369[그림 10] 김승진 동문과 요트(출처:동아일보) ……………… 370I. 한성학원의 설립
1. 한성학원의 설립
1.1 설립자의 교육에 대한 열정한성학원의 설립은 우촌(友村) 김의형(金義願 선생의 교육에 대한 특별한 열정에서 태동되었다. 김의형 선생은 일제강점기 우리 민족의 현실을 개선하고 사회를 변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즉 그는 교육을 통해 인간의 정신과 가치관을 바꾸고, 그 결과 인간이 변해야만 사회를 변혁할 수 있다는 이른 바 문화적 민족주의사상을 가졌다. 이런 이유로, 김의형 선생은 일본에 유학하여 체육을 전공한 후 일제강점기 20여년 동안 교사로서 학생 교육에 종사하여 왔다. 해방 후 학교 경영에 대한 제의가 왔을 때, 그가 이를 받아들인 것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행위였다.김의형 선생은 1904년 음력 8월 25일 충남 공주군 탄천변 견동리 256 번지에서 경주 김씨 우창(禹昌)과 경주 이씨 유헌(格露)의 딸 사이에서 차남으로 출생하였다. 김의형 선생의 아버지는 의릉참봉(義陸參奉)과 중추원의관(中樞鎬義官)을 지낸 유생 (儒主)으로 유학(備學) 정신을 지닌 인물이었다.
김의형 선생의 집안은 넉넉한 부농이었다. 가을이 되어 벼를 벨 때에는 수많은 일꾼들이 모여들어 함께 일을 하였다고 한다. 후일 한성학원의 설립 시 견동리에 소재한 상당량의 토지를 기부한 것도 바로 이런 토대 때문이었다.김의형 선생은 일곱 살이 되어서 사랑에 설치한 글방의 훈장 밑에서 한학을 공부하였다. 이 교육을 통해 그는 인간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초적인 도리(道理)와 예절 등을 배웠다.천연적인 심성(心性)과 유교적 교육의 영향으로 김의형 선생은 남을 배려할 줄 알고, 인정이 있었으며, 사치하지 않고 검소한 생활을 하였다. 다만, 공부할 때는 다른 사람보다 앞서고 절대 뒤지지 않으려고 노력하였다. 공부하다 졸리면 쌓인 눈을 녹여 세수하고 공부를 할 정도로 의지가 강하였다. 그리고 병정놀이를 할 때에는 대장으로 부하를 격려히고, 나무라는 등 탁월한 지도력을 보여주었다.
1910년대 중반, 김의형 선생은 대한제국 육군사관학교 출신인 이은우(李股雨)와 아버지의 도움으로 1913년 공주군 목동면 이인리에 설립된 삼흥학교(三興學校)의 후신인 이인공립보통학교에서 4년 동안 근대적인 교육을 받았다. 그는 산수, 사회, 지리 등의대적인 학문과 아울러 일본어, 체육 등을 배웠다 수학시절, 그는 대한제국 군대의 복장을 하고 군대식 교련을 가르치던 이은우 선생에게 깊은 감명을 받았다. 이 영향으로 그는 한때 군인이 되려고도 하였다. 그렇지만 일제강점기에 일본의 군인이 될 수는 없었기에 곧 학생들의 신체를 단련하는 체육교사가 되기로 작심하였다.1910년대 후반 이인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김의형 선생은 서울에 올라와 4년 과정의고등보통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리고 1924년 일본으로 건너기. 3년 동안 일본체육전문학교에서 수학하고, 1927년 3월 졸업하였다.1927년 귀국한 그는 1927년 4월 1일부터 1년 동안 천안보통학교의 체육교시로 활동하였다. 이어 1928년 4월부터 2년 동안 공주의 영명고등보통학교의 체육교사로 활동하였으며, 1930년 서울에 올라와 1년간 서울 협성실업학교에서 체육교사로 활동하였다. 그리고 1931년 4월 1일부터 1945년 9월 20일끼지 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의 체육교사로 활동하였다. 그리면서 그는 1938년 4월 1일부터 1945년 9월 20일까지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의 학생주사로 활동하였다.
이처럼 김의형 선생은 1927년부터 1945년까지 일관되게 교육계에서 활동하였다. 이것은 그의 교육에 대한 열정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뿐만 아니라 그는 보통학교와 고등보통학교, 실업학교, 전문학교 등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활동하였다. 이는 그가 중등교육기관과 고등교육기관을 운영해보고 싶은 꿈을 가졌기 때문이리고 생각된다.1.2 경성기예학교의 인수
김의형 선생은 1945년 9월 25일 일본인이 운영하고, 학생들의 대다수가 일본인이던 경성여자기예학교를 인수하였다, 1945년 9월 미군이 진주하여 학교의 운영권이 미군정에 귀속될 것을 우려한 경성여자기예학교의 책임자가 인수자를 물색할 때, 평소 학교의 경영을 염원해오던 김의형 선생이 경성여자기예학교를 인수한 것이다. 주위의 친지들이 “그까짓 형편없는 학교를 적지 않은 돈을 들여 일인들에게 전별금으로 주고 학교를 인수한다는 것은 도리어 골치만을 사는 결과뿐이란 말이야.”라고 만류하였지만 김의형 선생의 학교 운영에 대한 의지를 꺾을 수는 없었다.경성여자기예학교는 1874년 야마구찌현에서 출생한 이노우에 요우지(井上要二)가 1915년 9월 경 경성부 서소문정 58번지에 설립한 일본인 사립여자실업학교였다. 이노우에 요우지는 하기(款)중학교 교사로 활동하다 1909년 사립 한성중학교 교사로 초빙되었고, 얼마 후 경성거류민단립고등여학교(京城居留民團立高等女關交) 경성부립고등여학교(京爛存立高等女學校) 교사로 활동하다가 1915년 9월 사립 경성여자기예학교를 설립하고 교장에 취임하였다.
경성여자기예학교는 여학생들에게 의복 등의 제작과 수선 등을 가르쳤다. 매년 학생들이 제작한 작품의 전람회를 개최하기도 하였다, 1927년 당시 교장 1 명, 교원 18 명(전임 16 명, 촉탁 2 명), 학생 540 명이 전부 일본인이었으며, 학생의 정원은 보습괴(補習科) 56 명, 본과 436 명(제 1학년 99 명, 제2학년 170 명, 저13학년 167 명), 별과 48 명(제 1 학년 23 명, 제2학년 25 명)이었다. 출신학교를 살펴보면, 경성부 출신이 338 명 (62%), 경기도 출신이 80명(15%), 기타 지방 출신이 74 명(14%), 일본 출신이 44명 (8%), 만주 등지 출신이 4 명(1%)이었다. 그리고 학생들의 연령은 12.2세부터 22.2세까지였고, 평균연령은 14.7세 였다.국유의 교지와 교사로써 20 여년 동안 서소문에서 운영되던 경성여자기예학교는 1940년 경성부(京城府)가 ‘시가지도로 개수’로 이전을 요구하자 1930년대 시가지계획사업으로 신시가지로 성장하던 돈암지구로 이전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리고 1940년 6월 7일 조선총독부로부터 경성부 돈암동 산 48-56과 산 48-57 에 위치한 낙산 국유림의 일부를 불하받아, 새롭게 필지를 조성하고 교시를 신축한 후 1940년 9월 30일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A꺼
[그림 1] 경성여자기예학교 구획도 (1940)
당시 경성기예학교의 교지는 불하받은 부지 2,094.6평과 도로 200평 등 약 2,295평이 었고, 운동장은 1,000평이었다. 건물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현재 한성학원의 도서관과 우촌관을 권역으로 하는 부지에 E자 모양으로 들어섰고, 정문은 중문 주차장 들어오는 승리장의 대각선에 위치하였다. 교사{校舍)는 목조 1층 건물(平家鍵物)로 456평, 생도승강구 2개소에 각 15평, 생도변소 2개소에 각 6.75평, 도랑하(滅厭下) 6.5평, 소변실 13.25평, 목조로 된 2층의 이축교사이동교새 63평, 정문 연와조 1개소, 통용문 2개소가 위치하였다.
\、
[그림 2] 경성여자기예학교의 건물배치도 (1940~1945)
위의 평면도와 뒤의 1949-1951년도의 한성여자중학교의 평면도를 참고하면, 교실의 수는 12개 정도였던 것으로 보인다. 돈암동으로 옮겨올 당시 경성여자기예학교는 3학년 과정으로 입학생의 정원이 200명, 학급당 정원이 50명이었으므로, 적어도 교실 12개를 갖추고 있어야만 하였다.
1943년에 공포된 <조선교육령>과 <중등학교령> 에 따르면, 중등학교(중학교, 고등여학교,실업학교)의 경우 수업연한이 4년이었지만 여자 실업학교는 형편에 따라 2년도 가능했다. 해방 직전 경성여자기예학교가 몇년 과정으로 운영되었는지 밝혀주는 자료는 없지만, 1918년 예를 참고하변 3년 과정으로 운영되었던 것 같다.
1.3 한성고등여학교를 거쳐 한성여자중학교로경성여자기예학교를 인수받-은 김의형 선생은 “1945년 10월 5일, 학생을 모집하여 개교”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당시는 조선총독부가 학교 설립의 인가를 해주기 어려운 시점이었다. 그러고 한국에 진주한 미군도 이직 조선총독부로부터 교육 행정권을 장악하지 못하여 정식으로 인기를 해줄 수도 없던 상황이었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보건대, 김의형 선생은 경성여자기예학교를 인수한 후 10월 5일부티 일본인 학생을 제외한 소수의 한국인 1, 2, 3학년생을 교육하였던 것 같다. 그렇지만 김의형 선생은 실업계 중등학교인 경성여자기예학교를 일반계 중등학교인 한성고등여학교로 전훤하여 운영하려는생각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경성여자기예학교의 기존 학생들을 교육하면서 별도로 일반계 여학생을 모집하여 교육하였을 기능성도 없지 않다.
1946년 2월 13일 미국 군정청 문교부는 6-3-3-4제 된 한국의 신교육제도를 발표하였다. 이에 따르띤 중등학교인 중학교는 초급중학교 3년(12-15세), 고급중학교 3년(15-18세) 과정으로 되어 있었다. 그리고 실업중학교도 6년 과정으로, 앞의 3년 괴정을 초급실업중학교, 뒤의 3년 과정을 고급실업중학교라 하였다. 그리고 9월부터 시행될 신학제를 발표하면서 신·구학제의 충돌을 완화하기 위해 이행조치를 발표하였다. 그 내용에 의하면, 1946년 졸업예정자는 졸업하거나 고급중학교 2학년에 진학할 수 있었다. 이 발표가 있지 김의형 선생은 조선총독부 체제의 여자실업학교 경성여자기예학교를 미군정 제제의 여자일반중등학교인 한성고등여학교로 전환시켜 달라고 미 군정청에 신청하였다.1946년 4월 9일 미군정 당국의 인가로, 경성여자기예학교는 한성고등여학교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당시 한성고등여학교는 6년 과정이었고, 학년당 2학급 총 12학급을 운영할 수 있었다 한성고등여학교의 출범 당시 대표설립자 겸 교장은 이창기(李昌基)였고, 부교장은 김의형이었다. 한성여중·고 서무과장을 지낸 김상기의 증언에 따르면, 이창기는 인수 당시 경성여자기예학교의 교사였고, 이리랑 고개 우측에 위치한 김의형 선생의 집건너편에 거주하던 한 동네 사람이라고 한다. 당시 김의형 선생은 교육기관의 대표와 교장을 할 수 있는 자격이 미달하여, 교육계에서 활동한 경력이 풍부하여 자격을 갖춘 이창기씨를 대표설립자 겸 교장으로 추대하였다고 한다.
한성고등여학교의 공식적 발족이 있은 후 얼마 지나지 않은 1946년 7월 5일 ‘한성고등여학교’는 교명을 ‘한성여자중학교’로 변경하였다. 이것은 일본식의 학교명을 벗고 미국식 학교명을 갖춘 후, 미군정이 발표한 6-3-3-4의 신교육제에 맞추어 기을에 신학기를 실시하려던 의도로 보인다.한성여자중학교는 1946년 여름 신입생을 모집하였다. 『한성일보』(1946년 8월 29일자)의 광고에 따르면, 모집 인원은 초급 제 1학년 60명, 초급 제3학년 약간 명, 고급 제 1학년 약간 명이었다. 9월 6일부터 9월 18일까지 서류를 접수하여 9월 20일부터 9월 22일까지 시험을 치를 예정이었다. 모집 대상과 인원으로 추정해보건대, 경성여자기예학교의 2학년생은 한성여자중학교의 초급 3학년생으로, 경성여자기예학교의 3학년생은한성여자중학교의 고급 1학년생으로 전환시키고, 새로 초급 1학년생을 모집하여 학교를 운영하려 하였던 것 같다.
그런데 한성여자중학교는 설립 초기에 단일한 체계로 운영되지는 못하였다. 경성여자기예학교의 학생 중 일반계 중등학교로 전환되는 것을 희망하지 않는 학생들은 3년 과정의 실업계 교육을 받았다. 그리고 6년제의 한성여자중학교 학생이라고 하더라도 1946년 봄에 입학한 학생도 있었지만) 1946년 기을에 입학한 학생도 있었다. 또 미군정은 가을 학기제를 원칙으로 하였지만, 한성여자중학교의 전신인 한성고등여학교가 1946년 봄에 공식적으로 출범하였기 때문에, 한성여자중학교는 일제강점기와 같은 봄학기제를 유지하였던 것 같다. 이는 1952년 3월에 한성여자중학교의 제 1 회 졸업식, 1953년 3월에 제2회 졸업식이 있었던 사실에서 확인된다.1946년 가을 미국식 6년제 일반계 중등학교로 출범한 한성여자중학교의 학생들은 미군정에서 발표한 교육과정에 따라 교육을 받았다. 한성여자중학교 학생들은 1-3학년에 필수과목으로 사회·수학·과학·국어·체육보건·실과·음악을 배우고, 음악·미술 ·공예·수학·외국어·실업의 선택과목과 과학·국어의 특수과목 중에서 일부 과목을선택하여 한 주당 39 시간을 배워야 하였다. 그리고 4~6학년에 필수과목으로 국어 ·사회·과학· 수학· 체육브건·외국어를 배우고, 국어·사회·괴학· 수학· 외국어·음악·미술· 심리학 중에서 선택하여 한 주당 39시간을 배워야 하였다.
〈표 1> 1946~47년도 한성여자중학교 교육과정
과정 학년 1 2 3 4 5 6 현 중학교 과정 폐각
한성여자중학교는 1947년 7월 대표설립자 겸 교장이던 이창기를 명예교장으로 하고 부교장이던 김의형 선생을 교장으로 임명하였다. 이때부터 김의형 선생이 명실상부하게 한성여자중학교를 운영해나갔던 것이다.
한성여자중학교는 1947년 6월 경 신입생 모집 광고를 냈다. 모집인원은 150 명이었다. 서류제출기한은 6월 15일부터 7월 2일까지였다. 우편물을 보낼 주소는 동대문구 돈암동 48번지 였고, 전화번호는 동대문국 2318 번이 었다. 신입생을 뽑기 위한 시험은 7월 7일부터 7월 9일까지 3일 동안 치러졌다.
1946년부티 1948년 초까지 한성여자중학교는 학교를 운영하는 데 있어 교실 부족의 어려움은 없었다. 왜냐하면 경성여자기예학교는 해방 무렵 12개 교실을 갖고 있었는데 그 때까지는 부족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성여자중학교는 1946-47학년도에 고급 1학년 1-2학급, 초급 3학년 1-2학급, 초급 1학년 1학급 등 3-5학급을 운영하였다. 그리고 1947-48학년도에는 고급 2학년 1-2학급, 고급 1학년 1-2학급, 초급 2학년 1학급, 초급 1학년 3학급 등 6-8 교실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1947-48학년도에 세 iLL급 정원인 150명의 신입생을 뽑은 증가 추세를 감안히면, 1950년 9월 이후에는 교실 부족이 우려되었다.따라서 교사를 증축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문제는 당시 한성여자중학교는 재단이 있다고는 하여도, 확실한 모습을 갖추고 있지 못하였고, 재원도 부족하였다. 이 무렵 한성여자중학교의 운영진들은 재단의 확립과 재원의 마련에 고심하였던 것 같다.그런데 1948년 12월 육영사업으로 유명한 전북 고창의 홍종철(洪鐵澈, 46) 이 전북 고창의 사유토지 50만평(싯가 6천만원)을 희사함으로써 한성여자중학교의 재단법인이 확립되었다. 이 직후 재단의 이사진에는 김의형 선생 외에 홍종철(洪鍾願), 박종만(朴鍾萬), 조동식(趙東植), 안호상(安浩相), 백관수(白寬洙), 홍순필(洪淳必), 이석기(李錫基), 김수학(金秀潤)이 있었다.
재단의 확립에 힘입어, 한성여자중학교는 1949년 12월 5일 본관을 2층으로 증축하여 보통 교실 7개와 강당 1개(도합 건평 360평)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운동장을 가지런히 정돈하고, 철봉·멀리뛰기 모래판·농구대·배구대·뜀틀 등의 체육시설을 구비하였다. 1949년 12월 당시 한성여자중학교 교사의 평면도는 다음의 [그림 3]과 같다.북쪽의 2층으로 증축된 건물에 11개의 교실, 동쪽 건물에 2개 교실, 남쪽의 2층 이동식 목조건물에 2개 교실, 강당 옆에 1개 교실 등 총 18개의 교실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학년 당 3학급으로 6개 학년을 운영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경성여자기예학교의 학생이 모두 졸업하고 일반계 중등학교의 여학생만 교육함에 따라서, 재봉실과 같은 없애고 모두 교실로 편성하였던 것이다. 본관의 현관은 동북쪽에서 북쪽 건물의 중앙으로 옮겼다. 그리고 정문은 교사의 남쪽에 위치하였다.
[그림 3] 한성여자중학교 평면도 (1949.12.~1953.)
한성여자중학교는 일반 교육과 함께 체육 교육을 중시하였다. 이는 체육을 전공하였고, 교사 시절 체육에 남다른 관심을 가졌던 김의형 교장의 교육관이 반영된 때문으로보인다 구체적인 사례로, 한성여자중학교는 1948년 10월 10일 일요일 학교 운동장에서 시내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릴레이 대회를 개최하였다. 1949년 6월 11일부터 서운에서 개최된 ‘제 27회전국여자정구대회’에 이화여중, 동명여중, 숙명여중, 서울여상 등 11개 팀과 함께 참여하였다. 당시 한성여자중학교 정구팀의 임원 및 선수는 부장 이연세(李연世), 감독 조영식(鋼영식), 선수 윤순정(尹舜貞) · 홍혜순(洪惠順) · 송명숙(宋
明淑) · 홍영애(洪英愛) · 강명희(姜明熙) · 백난빈(白蘭빈) · 한명진(韓明함) · 이영숙(李英淑)이었다.
또 한성여자중학교는 예술활동도 활발히 전개하였다. 『자유신문』(1949년 5월 26일자)의 <사극 ‘만고열녀’ 공연, 한성여중 예술제전>이란 기사에 의하면, 1949년 5월 28,29일 정오와 오후 2시 교내에서 한성여중예술제전을 개최히였는데, 연극원들이 장정희 선생 원작·연출의 3막 7장의 ‘만고열녀(萬古烈女)’를 공연하였다고 한다.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남침으로 한성여자중학교는 임시휴교를 하였다. 이후 9·28 수복 후인 10월 1일부터 수업을 재개하였다. 1950년 12월 말 현재 한성여자중학교의 인가학급의 수는 1학년 2학급 120명, 2학년 2학급 120명, 3학년 펴냄 60명, 4학년 1학급 60명, 5학년 1학급 60명, 6학년 1학급 60명이었다. 그러나 정원을 다 채우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 당시 교직원은 12명, 사무원은 2명, 용인(傭人)은 1명이었다.1951년 1·4후퇴로 다시 임시휴교를 실시하였다. 그렇지만 한성여자중학교는 어려운 여건 하에서도 학생교육에 대한 책무를 결코 소홀히 하지 않았다. 1951년 5월 20일 부산에서 한성여자중학교는 동덕여자중고등학교와 합병하여 분교를 설립하여 운영하였다. 그리고 서울이 탈환되자마자 상경하여 1951년 10월 6일 ‘성북잔류중고등학생훈육개설하여 3,000명 정도를 교육하기도 하였다.
1.4 한성여자중학교·한성여자고등학교의 블리 운영과 한성학원의 설립1951년 5월 31일자로 6년제의 중학교를 3년제의 중학교와 3년제의 고등학교로 분리하는 학제변경이 있자, 김의형 선생은 1951년 8월 10일자로 문교부에 학년 당 2학급 총 6학급 정원 300명의 한성여자중학교와 학년당 2학급 총 6학급 정원 300명의한성여자고등학교의 설립을 신청하였다. 이처럼 한성여자중학교와 한성여자고등학교의 학년당 학급 수를 각기 2학급, 전체 정원을 각기 300명으로 줄였던 것은 농지개혁으로 인하여 유지재원이 부족하고, 6.25 전쟁으로 인한 부득이한 조치였다.교육부에서는 1951년 8월 31일자로 다음 해인 1952년 6월까지 재단법인 설립을 완료한다는 조건 하에 조건부 승낙을 하였다. 이때부터 김의형 선생은 분리된 한성여자중학교와 한성여자고등학교의 교장을 겸임하였다.
1951년 11월 김의형(金義衡) 선생은 조동식(趙東植), 안호상(안호상), 박종만(박종만), 이석기(李錫基)와 함께 재단법인 한성학원(한성학원)의 신청서를 문교부에 제출하였다. 신청 당시 한성여자중학교와 한성여자고등학교의 교사 상황은 다음과 같다.〈표 2> 한성여자중학교와 한성여자고등학교의 교사 상황 (1951.1 1.)
그리고 1951년 11월 한성학원 설립 신청 당시 한성여자중학교와 한성여자고등학교의 학급수와 정원은 다음과 같다. 한성여자중학교 1 학년 2학급 120명 2학년 2학급 120명, 3학년 1학급 60명, 한성여자고등학교 1 학년 1학급 60명, 2학년 1학급 60명, 3학년 1학60명, 총 8학급 480명이었다. 그러고 직원은 교직원 12명, 사무원 2명, 용인 2명 등 총 16명이었다. 이는 1950년 12월의 인기학급 및 교직원수와 동일한 것이었다.
기본재산으로는 토지와 지기증권과 기업체 1개를 갖고 있었다. 교사부지와 운동장 및 농지개학대상 농지를 제외한 임야 105 정보(315,000평,평가액 9,450만원, 연수익 200만원)가 있었다. 그리고 농지개혁으로 받은 총보상액 1,250 석 (5년 동안 매년 250석), 연수익 785만원, 기본평가액 7,850만원 상당의 지가증권 1 매를 갖고 있었다. 기업체로는 이석기가 김의형에게 매도한평가액 2억 7,000만원, 연수익 4,600만원 상당의 부산에 소재한 한흥(韓興)메리야스공업사를 갖고 있었다. 총 기본재산의 평가액은 4억 4,300만원이었고, 연수익액은 5,585만원이었다. 그리고 임야 86 정보(250,000평), 토지보상금 48,000,000원, 염전 100정보(600,000평) 연간 10,000,000원 수입을 한성학원 재단법인의 기본재산으로 하려고 계획하였다.
1951년 11월 문교부에 제출한 재단법인 한성학원의 설립 신청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것 같다.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설립 요건이 갖추어지지 않았던 때문으로 짐작된다.한성여자중학교와 한성여자고등학교의 교장이던 김의형은 1952년 11월 15일 다시 재단법인 한성학원 설립에 관한 신청서를 서울특별시에 다시 제출하였다. 당시의 신청 서류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1. 재단명 : 財團法人 鴻城學國2.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 산48 번지3. 목적 : 한성여자중학교 및 한성여자고등학교 유지 경영4. 재산내역
종별 수량 단가 가격
5. 收入調書1) 지가증권 : 補償權量 642.7석, 補償殘權量 44.9 석, 軍補償權量 129.8석
2) 정미소 : 수입금액, 103,000,000원, 지출금액 42,000,000원, (순)수익금액 61,000,000원- 충남 공주군 틴천떤 견동리 수입금액 39,000,000원, 지출금액 16,000,000원, 순수익금액 33,000,000원- 충남 공주군 이천면 이인리 78 : 수입금액 64,000,000원, 지출금액 36,000,000원, 순수익금액 28,000,000원3) 임야 : 64町 5段7畝(193,710평), 수입금액 17,280,000원, 지출금액 5,770,000원, 순수익금액 11,510,000원4) 보통재산수입 75,840,000원- 회울지동치 1 대 수입금액 68,400,000원, 지출금액 24,000,000원, 순수익금액 44,400,000원농우 53두 : 순수익금액 25,440,000원年幼生생산 30두 : 6,000,000원6. 임원명부
직명 성명 임기 약력
7. 기부행위
성명 지가증권 임야 정미소 자동차 농우 수입고
서울시에 제출한 서류는 11월 17일자로 문교부로 이첩되었다. 문교부에서 이를 검토하여 1953년 1월 21일 김법린장관이 재단법인 한성학원의 임원취임을 승인하였다. 그 후 한성학원은 ‘문화 제 1665 호’ 공문으로 재단법인 한성학원의 설립을 승인받았다.
설립허가 지령안(指令案)에서 문교부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한성학원에 당부하였다.
1. 법인설립 등기를 법정기일내에 완료토록 하고 재산이전등기를 법인설립허가일로 부터 2개월 이내에 완료토록 할 것.2. 도정공정허가명의 및 지가증권명의를 법인명의로 변경토록 할 것.3. 매년 제출하는 재단 년차사업 보고에는 기업체에 대한 싱세한 결산서를 첨부할 것.4. 이사장으로서 학교장을 겸무할 수 없으니 조속한 시일 내에 학교장을 선정하여 승인절치를 취할 것.한성학원은 1953년 3월 7일에 동대문등기소에 설립등기를 마쳤다.II. 한성학원의 발전
II. 한성학원의 발전
2.1 초대 김의헝 이사장 시기 (1953. 1.21. ~ 1958. 5. 8.)2.1.1 이사장과 이사진1) 초대 이사장 김의형 (金義衝) : 1953. 1. ~ 1958. 5.
이명 : 호 우촌(友村)
출생 : 1904. 8.25. ~ 1983. 3. 1.출신 : 충남 공주학력 및 경력 :1927. 3.20. 일본체육전문학교 졸업1927. 4. 1. 천안보통학교 교사1928. 4. 1 공주 영명고등보통학교 교사1930. 4. 1. 협성실업학교 교사1931 . 4. 1. 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 교사(1945.9.20.까지)1938. 4. 1.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 학생주사(1945.9.20.까지)1945. 9.25. 경성여자기예학교 인수1946. 4. 7. 한성고등여학교 부교장
1947. 7. 21. 한성여자중학교(6년제) 교장1950. 3. 1. 중앙교육위원1951. 8. 한성여자중학교 및 한성여자고등학교 교장1953. 1.21. 재단법인 한성학원 설립. 초대 이사장 역임.(1958. 5.22.까지)<표 3> 초대 이사회 구성
직명 이름 생년월일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1953년 1월 21일 김의형 선생이 재단법인 한성학원의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임기는 4년이었다. 이사는 조동식, 안호상, 박종만, 이석기였다. 조동식과 안호상은 임기가 4년이었고, 박종만과 이석기는 2년이었다. 감사는 한상길과 임명순이었는데, 한상길의 임기는 2년 임명순의 임기는 1년이었다.
1958년 5월 13일 이희순 여사가 김의형 선생을 이어 2 대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2.1.2 한성여중·고의 학급과 정원의 증가한성여자중학교와 한성여자고등학교는 6. 25 전쟁의 종전 즈음부터 체제를 정비하였다. 1953년 3월 31일 성북잔류중고등학교학생훈육소를 해체하고 이들을 한성여자중학교와 한성여자고등학교에 편입하여 운영하였다. 그리고 1953년 9월 1일에는 부산분교를본교에 복귀시켰다.
1954년 2월 한성학원 이사장 김의형은 서울특별시의 중고등학교 실정과 한성학원의 6. 25 전쟁으로 인한 피해가 극히 적은 점, 교사 수용능력 등을 고려하여 한성여자고등학교의 정원을 학년당 3학급, 전체 9학급의 450명 체제로 확장해줄 것을 요청하였다. 1951년 말 한성여자중학교가 한성여자중학교와 한성여자고등학교로 분리될 때 각기 학년당 3학급씩 9흐1급으로 할 예정이었으나, 담당자의 실수로 한성여자중학교는 학년당 3학급 전체 9학급으로 되었지만, 한성여자고등학교는 학년당 2학급 전체 6학급으로 된 것을 확대하고픈 의도였다. 그렇지만 이 신청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한성학원 이사장 김의형은 1955년 11월 7일 다시 한성여자고등학교의 학급과 정원을 학년당 4학급인 12학급 600명 체제로 변경해줄 서울특별시 교육청을 경유하여 문교부에 요청하였다. 그리고 1955년 12월 19일 한성여자중학교의 학급과 정원을 학년당 4학급씩 12학급 600명으로 늘려달라고 요청하였다.이에 문교부는 1955년 12월 31일자로 1956년부터 연차적으로 한성여자중학교는 3학급에서 4학급으로, 한성여자고등학교는 교실 부족을 사유로 2학급에서 3학급으로 늘리는 것을 허락하였다. 그러니까 한성여자중학교는 1956년 제 1학년 4학급-제2학년 3학급제3학년 3학급, 1957년 제 1 학년 4학급 - 제2학년 4학급 - 제3학년 3학급으로 학급이 증설되었다. 그리고 한성여자고등학교는 1956년 제 1학년 3학급- 제2학년 2학급- 제3학년 2학급, 1957년 제 1 학년 3학급 - 제2학년 3학급 - 제3학년 2학급으로 증설되었다.
1958년 1월 21일 한성여자중학교는 18학급 정원 600명, 한성여자고등학교는 12학급 정원 600명으로 인가받았다. 이에 따라 1958년 한성여자중학교는 제 1 학년 6학급, 제2학년 4학급, 제3학년 4학급이 되었다. 그리고 한성여자고등학교는 제 1학년 4학급, 제2학년 3학급, 제3학년 3학급이 되었다.이처럼 학급과 정원이 늘어난 것은 인구의 증가 때문이었다. 그리고 정원은 한정되어 있는데 입학희망자는 늘어났으므로 입학경쟁률이 상당하였다. 1957년 당시 한성여자중학교는 시험을 통하여 신입생을 모집하였는데, 경쟁률이 2.48:1 이었다. 즉, 1957년 신입생의 경우 입학정원은 4개 학급 240명이었는데 응시자수는 총 595 명에 이르렀다. 응시자의 거주지는 시내 거주자가 545명, 시외 거주자가 50명이었다.2.1.3 교사의 증설과 염전의 구입
1) 교사의 증설1955년 말 한성여자중학교와 한성여자고등학교의 학급 증설과 정원 증대 신청 당시 한성학원은 교지 21, 123.2평(운동장 800평), 교사 1,057.5평을 갖고 있었다. 부지 및 교시에는 보통교실, 가사실, 도서실, 강당, 운동장 800평, 지상시설물인농구장, 배구장, 정구장을 갖추고 있었다. 그리고 1,5 50,000환 상당의 제가사기구외 1,800,000환 상당의 잡기(잡기: 원 서류)를 보유하고 있었다. 교실의 수는 한성여자중학교와 한성여자고등학교의 학급을 학년당 4학급식 증원하는 것에 맞추어 강당을 없애고 교실 4개를 증설하여 다음의평면도와 같이 확장하였다.
N∞{
한성학원은 1956년 이후의 학급의 증설과 학생의 증가에 맞추어서 부지를 마련하고 교사를 증축하였다. 한성학원은 1955년 481,400환을 마련하여 국유림 야지(野地) 19,265.7평을 새로 매입하였다. 그리고 1955년 10월 5일 이사회에서는 1956년 6,150,000환을 여 교실 3개를 증축하고, 1957년 8,200,000환을 들여 교실 4개를 증축하기로 의결하였다. 이 의결에 따라, 1956년 11월 5일 한성여자고등학교의 교사 667평과 강당 188평, 부속건물 203평 건축과 운동장 2, 500평의 공사에 착수하였다. 이 공사는 1958년 11월 김의형 이사장의 퇴임 직전까지 공시를 거의 마무리하였다(1958년 12월 준공).
2) 염전의 구입한성학원은 1953년 9월 28일 충남 당진군 송산면 동곡리에 위치한 공유수면매립권(公有水面理立權)을 43,760,000환을 주고 정진구(정진구로부터 매입하였다. 한성학원은 이것을 개빌하여 한성제염사(한성熾樹土)를 설립하였다 1955년 9월 경 한성제염사의 부동산 목록은 다음과 같다.<표 4> 한성제염사 부동산 목록 (1955. 9.)
부동산명 수량 가격 비고
1955년 이 염전에서는 1년당 29,000가마니의 소금이 생산되었다. 한 가마니 당 약 950환이 었으므로 당시 거둘 수 있는 수익은 연간 27,550,000환에 달하였다. 비용을 상쇄하면 연간 16,512,000환의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계상되었는데, 이는 매년 한성여자중학교에 9,792,000환, 한성여자고등학교에 6,720,000환을 보조해줄 수 있을 만큼 큰 수익이었다. 이것으로 볼 때, 당진군 송산면 동곡리의 천일염전 구입은 한성학원을
재정적으로 안정되게 운영하는 데 큰 기여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1957년 5월 당시 충남 당진군 송산면 동곡리 염전의 부동산 감정기는 다음과 같다.<표 5> 한성제염사의 1957년 부동산감정가
부동산명 수량 가격 감정가격 비고
위외 같이, 30 정보 90,000평에 달하는 실염판의 기격은 63,000,000환, 주택 4동의 가격은 1, 500,000환, 염창고 6동의 가격은 3,600,000환에 달하였다. 한성제염시의 총 부동산감정기는 68,100,000환이었다.
그리고 1957년 당시 한성제염사에서 생산되는 소금은 30,000가마였다. 생산액을 2등품으로 계산했을 때, 한성제염사의 연수익은 가마당 1,470환이었으므로 총 44,100,000환에 달하였다.2.1.4 재정 상황1953년 10월 한성학원은 기본재산인 1951년과 1952년의 농지개혁보상금(농림증권) 265,073.76환( )과 김의형으로부터 빌린 임시차용금으로 시가 500,000환의 지동차 1 대구입히려 하였다. 이는 자동차의 운영 수익월 125,000환, 연 1, 500,000환을 학교경영에 필요한 재원으로 활용하고자 한 의도였다.1956년도 한성학원의 세입·세출 상황은 다음과 같다.
입·출 관 항 목 예산액 부기
위의 표와 같이, 1956년도 한성학원의 세입은 재단보조금 9,792,000환, 수업료 2,880,000환, 입학금 150,000환, 예금이자 35,000환, 잡수입 40,000환 등 12,897,000환이었다. 한성학원의 세입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총세입의 76%에 달하는 재단전입금이었다. 1950년대 중반 한성여자중학교와 한성여자고등학교가 비약적으로 발전한 것은 이처럼 막대한 규모의 재단전입금에 힘입은 것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2.2 2~6대 이희순 이사장 시기 (1958. 5.13. ~ 1977. 2.22.)
2.2.1 이사장과 이사진1) 제2대 이사장 이희순 (李喜順) : 1958. 5.13. ~ 1962. 5.13.
출생 1921. 2. 17.~
출신 : 충남 태안학력 및 경력 1939.3. 동덕고등여학교 졸업1941.3. 이화여자전문학교 가정과 수료1943.8. 화강소학교 교사〈표 6> 제2대 이사회 구성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한성학원 설립자이자 초대 이사장인 김의형 선생이 한성여자중학교 교장과 한성여자고등학교장에 전념하고자 이사장직에서 물러나고 부인 이희순 여사가 1958년 5월 13일 제2대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 제2대 이사회 구성은 설립 당초의 이사회 인원과 구성이 별반 다르지 않으나 박종만 이사가 임기만료로 물러나고 이희순 이사장이 그 자리를 메웠다.
1960년 5월 14일 자로 임기만료 된 이사 조동식과 이석기가 임기 4년의 이사로 중임되었다. 그리고 감사 임명순이 임기 2년의 감사에, 감사 한상길이 임기 1년의 감사로 중임되었다.
1961년 8월 23일 자로 이사 이석기와 감사 임명순을 해임하였다. 그리고 같은 해 10월 19일 자로 경방(주) 대표이사 김상형, 육군대학 총장 김계원을 4년 임기의 이사로 보임하였고, 동덕여고 교장 손정순을 이사 이석기의 잔여 임기의 이사로, 숙명여대 대학원장 이능우를 2년 임기의 감사로 취임하였고, 한상길은 임명순의 잔여 임기 감사로 중임하였다. 이 해 이사 수가 5 인에서 7 인으로 늘어나는 등 이사회 구성에 변회를 가져오게 되었다.2) 제3대 이사장 이희순 (李喜順) : 1962. 5.30. ~ 1966. 5.29.
<표 7> 제3대 이사회 구성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1962년 5월 30일 자로 임기만료 된 이희순 이사장을 제3 대 이사장으로 얀임하였다. 1962년 6월 12일 자로 안호상 이사가 중임하였다. 1964년 11월 14일 자로 조통식 이사, 손정순 이사가 개정된 정관에 따라 5년 임기의 이사가 되었다. 그리고 1965년 10.월 19일 자로 검싱-형 이사, 김계원 이사가 5년 임기 이사로 중임하였다.
3) 제4대 이사장 이희순(李喜順) : 1966. 5.30. -1971. 5.29.
<표 8> 제4대 이사회 구성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1966년 5월 30일 자로 임기만료된 이희순 이사장이 제2 대, 제3 대에 이어서 제4대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이 직전 김의형 이사가 5월 3일 자로 5년 임기의 이사에 중임되었고, 같은 해 7월 5일 자로 안호상 이사가 5년 임기의 이사에 중임되었다. 이로써 모든 이사의 임기가 5년으로 맞추어지게 되었다. 1969년 11월 14일 자로 조동식 이사, 손정순 이사가중입하였다.
4) 제5대 이사장 이희순 (李喜順) : 1971. 5.30. ~ 1976. 5.29.
<표 9> 제5 대 이사회 구성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1971년 5월 30일 자로 임기만료 된 이희순 이사장이 이어서 제 5 대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검은 해 4월 13일 자로 김상형 이사김계원 이사, 임명순 감사가 중임하였고, 이능우 감사가 이사로 자리를 옮기고 그 자리에 설립자와 사돈지간인 서병훈 서산철강(주) 대표이사가 감사에 취임하였다. 같은 해 5월 11일 자로 김의헝 이사가 중임히였고, ’월 20일 자로 한성학원 감사이자 동덕여대 이사장인 이능우 빅사가 1970년 12월 사빙힌- 조동식 이사의 진여 임기의 이사로 취임하였고, 9월 16일 자로 안호상 이사가 증임하였다. 1971년 4월 13일자로 임명순 감사가 중임하였고, 1973년 8월 1일자로 서탱훈 감사가 중임하였다. 1974년 11월 21일 자로 손정순 이사, 이능우 이사가 종임하였다 1975년 8월 11일 자로 임기가 만료 된 임명순 감사와 서병훈 감사가 중임하였다.
5) 제6대 이사장 이희순 (李喜順) : 1976. 5.31. ~ 1977. 2.22.
<표 10> 제6 대 이사회 구성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1976년 6월 12일 자로 이희순 이사장이 저16 대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이로써 이희순 이사장은 1958년 5월 13일 제2대 이사장을 시작으로 제6대 이사장까지 역임하게 되었다. 같은 해 5월 12일 자로 김의형 이사, 김상형 이사, 김계원 이사가 중임하였다. 그리고 같은 해 9월 16일 자로 안호상 이사가 중임하였다. 이 시기 이사회 구성은 특별한 변동이 없었다.
2.2.2 한성여중·고의 학급과 정원의 증가제2대 이희순 이사장이 취임한 1958년 한성여중의 인가 학급수는 학년당 쩍L급인 총 18학급, 한성여고의 인가 학급수는 학년당 4학급인 총 12학급이 었다. 그런데 입학생이 증가하자, 1959년 1월 17일 문교부의 인가를 얻어 한성여중과 한성여고의 인가 학급수는 학년당 8학급인 24학급, 학년당 애L급인 18학급으로 증가하였다. 이 해부터 한성여중의 정원은 1,200명, 한성여고의 정원은 900명이었다. 1960년 1월 15일, 1960년에 힌해한성여중 제 1 학년의 인가학급수를 10학급으로 하는 학칙변경안의 인가를 받았다.이처럼 1960년도부터 한성여중과 한성여고의 입학정원이 증가함에 맞추어, 한성학원은 교직원을 기로 결정하였다. 한성학원이 문교부에 제출한 계획서에 따르면, 1960년에는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33명, 서무직원 3명, 시설직원 5 명이았는데, 1961년에는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40명 서무직원 3명, 시설직원 5명으로 하여 교사를 7 명 늘리기로 작정하였다. 그리고 1962년에는 교장 1, 교감 1, 교사 42, 서무직원 3, 묘원 5 명으로 하여 교사를 전년에 비해 2 명 더 늘리려고 계획하였다.
과학관의 준공 직후인 1961년 11월 28일 한성학원은 1962년도부터 연차적으로 한성여고의 학급수를 한년당 7학급인 21학급으로 증설하고, 정원을 1,050명으로 늘리는 것을 인가받있다. 그러고 1963년 말에는 문교부의 인가를 받아 1964년도부터 연차적으로 한성여고의 학급수를 학년당 펴냄에서 8학급으로 증설하고, 정원을 1, 200명으로 늘렸다. 1964년 10월 30일, 1965년도부터 연차적으로 한성여중의 학년당 학급 정원을 10학급으로 늘리는 것을 인가받았다.1969년도 중학교의 무시험제 실시에 따라, 한성학원은 1968년 말 한성여중의 학년당 10학급에서 12학급으로 증가시켜주도록 요청하여 문교부의 인가를 받았다. 아울러 학급당 정원을 60명에서 70명으로 늘리도록 허가를 받았다. 같은 해, 한성여고의 학년당 8학급 전체 24학급이 었다.
2.2.3 교사의 증설과 학교시설의 확장1958년 12월 22일 한성여자고등학교 신축교사가 준공되었다. 새 교사는 3층 건물(1964년 4층 증축)로 연면적 21,949㎡이며, 강당은 62 ,142㎡ 부속건물 67,108㎡, 운동장 넓이 8,564㎡ 였다. 신축 한성여자고등학교 건물은 교사 668평, 강당 188평, 부속건물 203평의 건축과 운동장 2,500평이 준공되어 입주하였다. 이 신축 고등학교 교사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3층 건물로 현재의 진리관에 위치하였다.
1959년에 들어와 한성학원은 교사의 증설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돈암동 산 48 번지 일대 17,236평의 임야를 구입하였다. 이것은 과학관의 신축과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소재지 지번 지적 지목 면적
그리고 구관지역의 교사(원 강당)를 헐고 운동장을 정비하였다. 이 운동장에는 배구장, 정구장, 농구장을 마련하였다. 1959년 11월 당시 한성학원의 한성여중·고 교사 배치는다음과같다.
많핀
※ 중학교만 사용
[그림 4] 한성여자중·고등학교 배치도 1 (1959.1 1.)
창고
※ 고등학교 사용
[그림 5] 한성여자중·고등학교 배치도 2 (1959.11.)
1959년 10월 5일 과학관 건평 912평 3흡의 공사에 착수히였디 이 공시는 1961년 10월 5일 왼공되었다. 철조 콘크리트 4층 건물인 과학관의 건축에는 총 공사비 2억환 정도가 소요되었다. 이 과학관에는 화학실, 생물실, 물리실 등이 있고, 각실에는 대형실험기 9대가 설치되어 있었다. 그리고 재봉틀 30대와 재단기 9대를 갖춘 재봉실, 한식과 양식을 실습할 수 있는 가시실이 갖추어져 있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2,005명의 여학생만으로 구성된 악대를 운영한 한성여중·고의 과학관에는 33평의 음악교실, 음악감싱실, 16 미리 영사실이 갖추어져 있었다.
한성여중과 한성여고가 각기 학년당 8학급이 운영되던 1963년도 한성학원의 교사의 상황은 다음의 현황표 및평면도와 같다.<표 11> 1963년 7월 학교시설 현황표
시설명 세부시설 면적 구성 비고
썽 rAιI'(y}: 간성J
[그림 6] 1963년 한성학원평면도
1962년에는 11월 20일 건평 320평 2홉의 체육관 공시를 시작히여 1963년 12월 7일에 완공하였다. 학교 정문 앞 언덕 위에 자리 집-은 이 체육관은 외부 전변에 오륜마크를 갖고 있었고, 여학교의 체육관으로서는 보기 드물 정도로 웅장하고 화려하였다. 배구 ·농구·정구·핸드볼·육상 경기 등을 할 수 있는 종힘경기장으로 자기발전시설을 갖고 있아 야간 경기도 할 수 있었다. 총 수용인원은 4,000명 정도이며 무대를 설치히면 연극과 무용공연도 기능하였다.
한편 1964년에는 고등학교 새 교사(진리관)의 4층 증축공사를 완료하였다. 그리고 1966년 9월 13일에는 교사 증축부지 7, 561㎡ (2, 291평)의 공사에 착수하였다.1966년 한성학원은 충남 당진군 송산면 동곡리 80 번지의 임야 8 정보(24,000평)를 매입하였다. 그리고 같은 해에 양주군 와부변 팔딩리 396-1 번지 대지 42평, 381-4 대지 199평, 381-5 대지 115평, 397-1 대지 104평 총 1, 599평을 매입하였다. 양주에는 학생의 생휠관 교육과 교직원 휴양을 위한 의화장을 건설하여 1967년 10월 5일 왼공하였다.1968년 당시 한성여자중·고등학교의 시설은 다음의 그림과 같다.
뽑월 H 세 *1 도} 용
1969년도 학급 증설을 신청하기 위해, 한성학원은 1968년 말 운영 중인 한성여중 1학년 10실 2학년 7실, 3학년 7실, 한성여고 1 학년 7실, 2학년 7 실, 3학년 6실 등 총 45실의 교실과 13개의 특별교실에 대한 용도변경을 하였다. 그리고 3개의 교실을 증축하였다. 그 결과 1968년 말 교실 56개와 특별교실 7개를 미련하였다.
한편 1969년에는 교직원 식당을 개설하고, 숙직실을 준공하기도 하였다. 1970년 체육 한성의 위상을 높이며 학생 건강을 위하여 수영장 건설에 착수하여 1971년 7월 20일 낙산수영장을 준공하였다. 이 수영장은 여학교에 설치된 수영장으로는 최초이며, 국제 규격에 맞는 최신식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매년 여름 우리 학교의 학생과 학부모는 물론 타 학교의 학생에게도 개방되어 지역 사회에 공헌하기도 하였다.그리고 한성학원은 1969년 8월 12일 대학 본관의 신축공사에 들어가서 1972년 10일 완공하였다. 연면적 8966.12㎡이고, 지하1층 지상 8층인 이 건물은 그 해에 인기를 받은 한성여자대학교의 교사로 활용되었다(현 한성여고 교사).2.2.4 재정의 확충
1) 재산 상황1960년도 한성학원의 재산목록은 다음과 같다.<표 12> 1960년도 한성학원 재산목록
(단위 : 圜)
합계 기타 교육용토지 수익용토지 계 임야 대지 전 답 수익용 교육용 건물 주권 기업체 한성제염사 재산구분명칭
2) 재정 상황
1960년 당시 한성학원의 재정상황은 다음과 같다.<표 13> 1960년도 한성학원 재정상황
총계 소계 사친회 수입 소계 기타 국고보조 학교사용수수료 법인기본재산수입 과목 예산 결산액 비고 세입 세출 재정상황 학교인건비 학교수용비 법인 수용비 과목 예산액 결산액 비고 세출
1. 1960년도 결산상황을 기재한다.
2 목적 사업 학교 전체를 일괄한다.3. 위의 괴목은 대별(大別)한 것이다.2.2.5 재단법인 한성학원에서 학교법인 한성학원으로1963년 6월 3일 사립학교법이 제정되면서 사립학교의 설립주체, 재산 및 회계, 감독, 교원의 자격 및 신분보장 등을 규정하였다. 제 1 조 목적은 “이 법은 사립학교의 특수성에 비추어 그 자주성을 확보하고 공공성을 앙양함으로써 사립학교의 건전한 발달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01 다. 1963년 12월 5일 이사회에서는 새로 제정 공포된 사립학교법에 의하여 재단법인을 학교법인으로 변경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정관을 개정하여 문교부 승인 절치를 밟게 되었다. 개정된 정관의 주요 내용은 법인 이사를 이사장을 포함하여 5 인에서 7 인으로 늘리고 감사는 2 명으로 하며, 이사의 임기는 4년에서 5년으로 늘리고, 감사의 임기를 2년으로 하였다. 1964년 1월 24일 재단법인 한성학원을 학교법인 한성학원으로 변경하였다.
2.2.6 한성여자대학의 설립1972년 12월 21일 한성학원은 여성전문 양성기관인 한성여자대학의 설립을 인가받았다. 야간 4년제 여자대학으로 인가받은 한성여자대학은 입학정원이 국어국문학과 30명, 영어영문학과 30아1망 비서학과 20명, 가정학과 30명, 의상학과 20명, 생활미술학과 20명 등 모두 6개 학과의 150명이었다. 1973년 3월 5일 자로 초대학장으로 설립자인 김의형 선생이 취임하였다. 이로써 김의형 선생은 한성여자중학교 교장, 한성여자고등학교 교장뿐만 아니라, 한성대학 학장이란 막중한 중책을 맡게 되었다.1973년 12월 20일 학과 정원 조정에 의하여, 불문학과 20명, 무용학과 20명, 경영학과 30명, 무역학과 30명으로 학과가 증설된 반면에 비서학과(20명)는 폐지되었다. 그리하여 한성여자대학은 1974년도부터 입학정원이 9개학과 230명이 되었다.2.3 7~8대 김의형 이사장 시기 (1977. 3.30. ~ 1981.1 1. 5.)
2.3.1 이사장과 이사진1) 제 7대 이사장 김의형(金義衝): 1977.3.30.-1981.5.11.
이명 : 호 우촌(友村)
출생 1904. 8.25. ~ 1983. 3. 1.학력 및 경력 :1953. 1.21. 재단법인 한성학원 설립. 초대 이사장 역임 .0958.5.22 까지)1962.12. 대한핸드볼협회 회장1963. 3 대한올림픽위원. 서울시 학교체육지도위원1966. 3. 한국 체육교원회 회장. 서울시 학교체육회 부회장.〈표 14> 제7대 이사회 구성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1976년 12월 20일 이사회에서 제6대 이희순 이사장이 이사장직을 사임하였다. 1977년 1월 13일 개최된 이사회에서는 ‘ 1977년 법인 및 학교에 대한 운영계획’에 따라 이희순 이사장을 해임하고, 설립자인 김의형 선생을 제7대 이사장으로 임명하기로 의결하였다. 이 해 2월 22일 자로 이희순 여사가 이사장직에서 물러나고, 3월 30일 자로 김의형선생이 제7대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제7대 이사장의 임기 첫 해인 1977년도에는 “법인 및 학교에 대한 운영계획 심의” 하는 등 한성학원에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 주요 내용은 “효율적인 사학을 운영 경영하기 위하여 재단에 계획관리실을 재단계획실장은 이사장이 겸임한다. 재단 계획관리실에는 관리부와 학사부를 두어 관리부에는 이창성, 학사부는 서정회를 책임자로 두고 위원에는 중·고등학교 교장과 대학 사무처장, 고등학교 서무실장으로 하고 부실장에는 대학 학장으로 한다. 그리고 한성여자대학 학장에는 이희순 헌 법인 이사장, 한성여자중학교장은 현 김영희 교감, 한성여자고등학교장은 임양수 현 교김을 발령한다계획을 발표함으로 그동안 설립 당시부터 한성여자 중·고등학교 교장, 대학 학장 등 전면에 나서 학원 발전을 이끌어 온 우촌 선생이 이사장으로 한 발 물러나고 학원 산하교육기관에 각각 학교장을 두게 한다는 것이다.
이 결정에 띠라 1977년 2월 25일 한성여자대학의 학장에는 이희순 여시카 임명되었다. 이는 설립지인 김의형 선생이 한성학원뿐만 아니라 체육계에 헌신적으로 봉시를 하다 정신적·육체적으로 무리하여 건강을 해친 것이 중요한 이유였다‘ 김의헝 선생은 한성여자대학의 학장 자리를 부인인 이희순 여사께 넘겨주고, 여사의 외조자로서 역할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1977년 3월 고등학교 교장에 임양수, 중학교 교장에 김영희 교감을 각각 승진 발령함으로써 명실상부하게 한성여자중학교와 한성여자고등학교가 분리하게 되었다. 1977년 10월 1일 이사회에서 법인 정관을 개정하여 이사 정원 7 인을 9 인으로 늘리고 중고등학교 교장을 당연직 이사로 결정하였다.1978년 1월 19일 자로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인 이택형 박사가 감사로 춰임하았고 이해 4월 7일 지로 설립자의 사위가 되는 임양수 한성여자고등학교 교장과 김영희 한성여자중학교 교장이 이사로 취임하여 이사 정수 9명을 채우게 되었다. 1978년 7월 6일이사회에서 문교부 특별감사 결과 청강생 정원이 92 명인데 현원 126명으로 괴목별 77명 초과로 문교부로부터 학장서리 해임의 요구가 있어 이희순 학장서리의 사직원을수리하고 직무대리로 정연길 교무과장을 지명하였고 후임 학장은 김의헝 이사장, 이희순 이사안호상 이사 3 인의 합의로 추천토록 의결하였다. 이 해 12월 28일 이사회에 서 김의형 이사장이 한성대학 학장으로 김상형 이사의 아우인 김옥형씨를 학장 후보로 추천하나 논의 끝에 무기명 투표를 실시하여 재적이사 6 인 중 진-성 4표 반대 2표로 김옥형씨를 한성대학 학장으로 선임하였고 1979년 2월 16일 문교부로부터 학장 승인을 받아 취임하였다.
1980년 1월 8일 자로 한성대학 김옥형 학장이 이사로 취임하였고 같은 해 5월 7일자로 본인 의사에 따라 김상형 이사를 해임하였고 이능우 이사, 손정순 이사는 중임되었다. 감사인 서병훈, 이택형도 중임되었다. 이 해 6월 5일 이사회에서 전 대통령비서실장 김제원 이사에 대하여 10.26 사건에 연루되어 형이 확정되었으므로 시립학교법 제 22조의규정에 의하여 교육공무원법 제 16조의 금고 이상의 형을 받았기에 임원의 결격사유에 해당함으로 이사 해임을 의결하였고 6월 13일 자로 해임하였다.2) 제8대 이사장 김의형 (金義衝) : 1981. 5.28. -1981.11. 5.
<표 15> 제8 대 이사회 구성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1981년 5월 28일 자로 임기만료 된 김의형 이사장이 이어서 제8 대 이사장에 취임하였고 같은 날 이희순 이사가 중임하였다.
:。 인 서
문교부 대학교육국장 『승인서』 (1981. 5.28.). “학교법인 한성학원의 임원 취임은 사립학교법 제20조 2항의 규정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승인함"
1981년 8월 21일 자로 서병훈 감사가 이사로 취임하였고 9월 16일 자로 안호상 이사가 중임하였으며 이 달 9월 22일 자로 이사로 자리를 옮긴 서병훈 감사 후임으로 대한상공회의소 세무담당 김창정 회계사가 감사로 취임하였다.
1981년 11월에 이사장에 취임한지 불과 6개월도 안 돼 병마가 심해져서 더 이상 업무를 수행할 수 없었던 김의형 이사장이 사임하고 한성학원과 동고동락을 같이 해온 오랜 지기인 안호상 이사에게 이사장직을 물러 주게 되었다. 이 해 11월 6일 자로 한성학원 이사 겸 이사장 김의형과 감사 이택형을 해임하였다. 이로써 1945년 한성학원 설립자로, 1953년 한성학원 초대 이사장으로, 한성여중·고 교장으로, 한성대학 학장으로 한성학원의 발전을 주도적으로 이꿀어 왔던 우촌 김의형 선생이 뒤로 물러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 때 우촌 선생의 나이가 77세였다.
2.3.2 한성여자대학교를 한성대학교로1977년 10월 1일 이사회에서 한성여자대학을 한성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그리고 학과 입학정원을 각 40명으로, 입학정원 230명을 360명으로 증원 신청하고 교내수영장을 교육용에서 수익용으로 전환하기로 의결하였다.1978년 1월 11일 문교부로부터 다음과 같이 인가를 받았다. “학교법인 한성학원이 유지 경영하는 ‘한성여자대학’의 명칭을 ‘한성대학’으로 하고 1978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1978년 3월 5일, 이희순 학장의 참석 하에 1978년도 한성대학의 입학식이 개최되었다. 이 날은 야간 여자대학 한성여자대학이 주·야간 남녀공학 한성대학으로 탈바꿈한 획기적인 날이었다.1978년 10월 15일 문교부로부터 학과 정원조정 승인을 받았다. 국문학과, 영문학과, 의상학과, 생활미술학과, 무용학과의 입학정원이 각 10명씩 증가되었다. 그리고 경영학과와 무역학과는 입학정원이 각각 50명씩 증가하였다. 한편 가정학과(30명)가 폐지되고, 행정학과(30명)이 증설되었다. 그리하여 입학정원이 9개학과 230명에서 9개학과 380명으로 증가되었다2.4 9~11 대 안호상 이사장 시기 (1981.1 1. 6. ~1991. 3.30.)
2.4.1 이사장과 이사진1) 제9대 이사장 안호상(安浩相) : 1981.11. 6. -1986.9.16.
이명 : 호 한뫼, 호연(浩熟)
출생 1902. 1.23. ~ 1999. 2.21.출신 : 경남 의령학력 및 경력 :1924. 중국 상하이(上海) 동제대학(同炯大學) 예과(豫科)를 졸업1925. 독일 예나대학 철학부 졸업1929. 독일 예나대학 철학박사 학위 취득1933. 보성전문학교(普成專門學校) 교수1945. 서울대학교 문리대 교수1948. 초대 문교부장관1960. 대한민국 참의원 피선1963. 국민의당 최고위원〈표 16> 제9대 이사회 구성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삭
1981년 11월 6일 한성학원 설립 당시부터 이사로 재임하면서 우촌 선생의 든든한 받침목이 되어 주었던 안호상 이사가 제9대 이사장에 취임하여 학원 빌전의 새로운 전기맞이히케 되었다.
안호상 빅사는 대한민국 건국 초대 문교부 장관을 역 임 (1948-1950)한 한국 교육계의 원로일 뿐 아니라 남달리 민족의식이 투철했던 분으로 한민족의 고유한 역사와 시상 및 정신을 선양하는 국민정신운동을 전개하여 돗있는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고있던 사회 원로의 한 분이었다. 문교부 장관 재직 시 국민사상을 통일시거고 빈공민주정신을 획립하기 위해 일민주의(一民主義) 사상을 역설하는 한편 1949년 12월 31일에는 대한민국 신교육법을 공포하여 새로운 교육의 장이 열리게 되었다. 우퍼의 교육이념이 팀건 이 법의 제 1 조에는 “홍익인간의 이념 이래 모든 국민으로 히아금 인격을 완성하게 히고 지주적 생활 능력과 공민으로서의 지질을 이상 실현에 기야하거l 힘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명시 되어 있었다. 1948년 12월에는 중등학교 이상의 각급 학교에 학도호국단을 조직하기도 하였다. 이같이 사회적으로 명망 있고 지명도가 높은 분을 이사장으로 모시게 된 것은 한성학원으로서는 영굉-이 아닐 수 없었다. 그러나 한성학원과안호상 박사와는 오래전부터 인연이 있었던 것이다. 한성학원의 설립자 김의형 선생과 안호상 박사는 오랜 지우로서 마치 의형제와 같은 막역한 관계였다. 안호상 박사가 초대 문교부 장관으로 있던 시절부터 우촌 선생과 절친한 교우관계를 맺어온 남다른 관계였다. 이라한 인연으로 한성여중·고를 설립할 때는 물론 장관직에서 불라난 후 한성대학 설립 때 도 직간접으로 안호상 박사의 큰 도움을 받았던 것이다.
1972년 대학 인가 당시 문교부 정관이었던 민관식 장관에게 한성대학 설립을 가능조안해 준 분도 다름 아닌 안호상 박사였다. 이러한 인연으로 이사징으로 초빙하여 한성핵원의 제2 의 빌전의 계기로 삼으려 했으며 안호상 박사 또한 이와 검-은 제의흔쾌히 받이들여 이사장에 취임하게 되었다.1981년 11월 6일 설립자 우촌 선생의 사위인 조양상선 이창성 상무가 새롭게 이사로 취임하였으파 이 해 11월 21일 이사회에서는 건강상 이사장직에서 물러난 김의형 이사를 명예이사장으로 추대하였다.1981년 12월 26일 이사회에서 대학 운영 부실의 책임을 물어 김옥형 한성대학 학정에 대한 해임을 만장일치로 의결한 다음 자진 사퇴를 권고키로 하였다. 다음 해 1월7일 이사회에서 김옥형 학장의 사직원을 수리하였다.
1982년 1월 9일 자로 정년퇴임하는 한성여자중학교장 김영희 이사를 해임하고 임기만료된 이택형 감사의 후임으로 대전피혁의 이사인 이환호씨가 감사에 취임하였다. 이 때부터 당연직 이사로 들어가던 한성여자중학교 교장, 한성여자중학교 및 한성대학학장의 이사 선임을 폐지하였다.1982년 2월 1일 한성여자중학교 제 10 대 교장으로 염홍천 배문중학교 교장이 취임하였고 같은 해 2월 18일 자로 강병규 한성대학 학장이 취임하였고 3월 17일 자로 학장에서 물러난 김옥형 이사를 해임하였다. 이 해 11월 27일 자로 김창정 감사가 중임하였다.1983년 5월 13일 자로 이상혁 변호사와 김영수 한국방송개발원장이 이사로 취임하였고 이 해 6월 1일 자로 서병훈 이사를 해임하고 8월 17일 자로 서병훈 이사의 아들이지설립자의사위인 서정희 서울대 교수가 새롭게 이사로 취임하였다. 이 해 들어와서 이사회 구성에 많은 변동이 있게 된다. 설립자 우촌 선생과 설립 당시 이사로 취임한 이사들이 거의 물러나고 서정희 이사 중심의 이사 체제로 점차 옮겨 가는 양상을 띄게 되것이었다.
1985년 5월 6일 손정순, 이능우 이사의 임기 만료로 해임하고 이 해 5월 20일 자로 전주대 총장을 역임한 이희봉 이사가 취임하였고 1986년 7월 23일 자로 이희순 이사와 서울대 정창현 교수가 이사에 취임하였고 1986년 9월 26일 자로 노철용 이사가 취임하였다.1985년 5월 13일 한성여자고등학교 임양수 교장의 사망으로 한성여자중학교 염홍천 교장이 한성여자고등학교 교장을 겸직하였다.1987년 3월 2일자로 김인자 교감을 한성여자중학교 교장으로 임명하였다.2) 제 10대 이사장 안호상(安浩相) : 1986.11. 5. ~ 1990.12. 4.
<표 17> 제10 대 이사회 구성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1986년 11월 5일 자로 임기만료 된 안호상 박사가 이어서 제 10 대 이사장에 취임하였고 같은 달 10일 자로 김창정, 이환호 감사가 중임하였다. 이사회 구성은 제9대 이사장부터 왼전히 탈바꿈하게 되었다.
1987년 3월 2일 한성여중 제 12 대 김인자 교장이 취임하였다. 김인자 교장은 우촌 선생의 따님으로 한성여중 교감을 거쳐 교장에 취임하였다.1987년 8월 17일 자로 서정희 이사가 중임하였고 1988년 5월 2일 자로 이환호 겁-Ar가 이사로 취임하였고, 그 자리를 고기영 공인회계사가 감사로 취임하였디1989년 5월 1일 자로 김상종 공인회계사가 감사로 취임하게 되었고 1990년 9월 26일부로 노칠용 이사 및 정창현 이사가 중임하였다.1988년 8월 11일 개최된 이사회에서 8월 22일로 임기가 만료되는 홍순패 한성대학학장의 후임으로 신영기 서울대 교수를 만장일치로 의결하여 제6대 학장에 취임하게 되었다.1990년 10월 6일 이사회에서 교육부로부터 1990년도 한성대학 학시운영 실태조사 수검결과 그 책임을 물어 이희순 이사와 신영기 한성대학 학장 및 한성대학 사무처장 유무열에 대하여 해임 요구와 함께 해당 교직원에 대해서도 징계조치 사항이 있었는바 그 행정 처 리를 9월 27일자로 문교부에 보고하였다. 이 달 10일 한성대학 1990학년도 입시에서 신입생 720명을 선발하면서 이 중 수십 명을 부정입학시킨 사실이 검찰 수사 결과 드러나면서 이희순 이사를 포함한 학교 관계자 7 명이 구속되는 등 학교가 큰란에 빠지게 되며 이 와중에 신영기 학장이 사임하였고 원형갑 교무처장이 학장직무대행을수행하게 되었다.
3) 제 11 대 이사장 안호상(安浩相) : 1990,11 ,11, -1991, 3,30,
<표 18> 제11 대 이사회 구성
1990년 11월 임기 만료된 안호상 이사장이 제9 대, 제 10 대에 이어 제 11 대 이사장에 취임하였으나 교육부 승인 거부로 짧은 기간 안에 이사장 자리에서 물러났었다.
1990년 11월 11일 이사회에서는 한성대학 입시부정 건으로 학생소요가 이어지는 등어수선한 가운데 임기만료 된 안호상 이사장을 이어서 제 11 대 이사장으로 선임하고 고기영 감사의 중임을 의결하여 교육부에 승인 신청하였다. 다음 해인 1월 4일 교육부 공문에 의히면 고기영 감사의 중임만 승인하고 안호상 이사장의 연임 문제는 한성학원 법인에서 유지·경영하는 한성대학교의 최근 불법적인 학사운영 등으로 사회적 물의를빚은 사실과 관련하여 사회 일반의 신뢰회복 차원에서 이를 재검토 한 후 신청하도록 반려되었다. 이에 따라 1991년 3월 30일 사실상 안호상 이사장의 퇴진을 가져오는 결과가 되었다. 안호상 박사는 이사장직에서 물러난 이후에도 왕성한 사회활동을 하다가 1999년 2월 21일 타계하였다.
2.4.2 교사의 증설과 학교시설의 확장1981년 12월 29일 김의형 이사장 재임시 대학의 숙원사업으로 착공히았딘 종합관 건물(현 한성여중)이 1년간의 공사 끝에 준공식을 가졌다. 이 신축교사는 지히. 2층, 지상 5층 띤건평 1,770평 철근 콘크리트 교시로서 대학 강당을 비룻해 교수연구실 및 강의실로서 사용하기로 하였다.198 '5년 5월 3일 이사회에서 한성대학과 한성여중·고등학교의 교사플 상호 이전하기로 의결한다. 한성여중·고등학교를 모태로 설립한 한성대학이 1980년대 접어떤서 눈부신 발전을 거듭히면서 교육시설과 운동장의 태부족한 현상윌 맞게 되자 법인에서는 고심 끝에 교사 이전의 계획을 세우고 교사이전추진위원회를 구성하게 되었다. 한성에지증·고등학교, 한성대학 및 재단 관계지를 망라하여 구성된 교사이전추진위원회는 ‘교사이전 5개년 계획’을 구체화하여 발표하였는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차년도(1985)
이와 같은 교사 이전 계획에 따라서 1986년 8월 12일 교사 이전 및 대학본관(현 우촌
관) 기공식이 전 한성여자중학교 자리에서 안호상 이사장, 이희순 이사, 홍순태 한성대학장 등 내외 귀빈이 참석한 가운데 치러졌다. 본관 신축 건물은 대지면적 2, 294.3평, 건축면적 735.5평으로 동림건축 주식회사가 설계를 맡고, 우진토건 주식회사가 시공을 맡았다. 전체 6층 규모의 ‘철근 콘크리트 라멘조’구조로 1987년 8월 15일 완공되었다. 많은 어려웅에도 불구하고 법인의 의욕적인 사업 추진으로 예정보다 2년을 단축하여 대학본관(현 우촌관)이 완공되면서 교사 이전의 대역시를 완수하고 학원발전사에 새로운 도약을 맞게 되었다. 우촌관의 완공 후 여고 건물(현 진리관)이 대학본관으로, 과학관(현 지선관)이 별관으로 각각 명칭이 바뀌어 사용하게 되었으며, 한성대학 본관 건물은 한성여고 건물로, 종합관은 한성여중 건물로 각각 탈바꿈하게 되었다.
1987년 11월 30일 이사회에서는 현재 폐업(1985년 6월 28일 폐업 처리) 중인 낙산수영장을 교육용 기본재산으로 용도를 변경하고, 한성대학의 4개 학과 신설에 따른 실험실습실 및 실기실 확보를 위해 건물(현 공한관)을 신축하기로 의결하였다.1989년 4월 18일 과학관의 기공식을 가졌다. 이 과학관은 10개월에 걸친 공사 끝에 1990년 2월 27일 준공되었다. 지상 5층의 A동, 지상 4층과 지하 1층의 B동으로 된 과학관은 총 면적 1,626평에 건축 면적이 366평에 달하였다.
2.4.3 당진농장의 마련1983년 1월 20일 충남 당진에 있는 법인 소유의 염전을 농지로 전환시키는 사업을 단행하여 한성농장 종합개발공시를 발족하여 현지에서 기공식을 가졌다. 1979년 10월 26일 정부의 농경지 확장 사업의 일환으로 삽교천이 준공되자, 염전을 농장으로 전환하기 위한 5개년 계획을 세워, 총면적 145,852평의 기계영농에 의한 농작물 재배 및 축산영농을 병행할 수 있는 복합영농단지를 조성하였던 것이다. 이로써 보다 유용한 수익사업체로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이를 통해 법인은 매년 일정한 재정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이나라 이 농장 개발 이후 여기서 생산된 쌀 일부를 교수 및 직원들에 나눠 주기도 했으며 이를 시중 가격보다 싼 값으로 판매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자연히 학원분위기를 안정시켰으며 한성학원 가족으로서의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기여하였다.2.4.4 김의형 선생의 타계
1983년 3월 1일 설립자 우촌 김의형 선생이 향년 79세를 일기로 티계하았다 김의형 선생은 한평생 교육을 통한 구국사업을 펼치기 위하여 불철주야 지신의 봄을 돌보지 않고 오직 지난하고도 고독한 외길을 걸어오신 분이었다. 한성인의 영원한 스승인 김의형 선생은 일제 강점 당시의 어려운 현실을 정면으로 돌파하기 위해 혈혈단신 일본으로 건너가 체육을 전공하고 교직에 몸팀은 지 50 여년 만에 한성혁원이라는 커다란 업적을 남긴 채 별세하였다. 그의 타계 소식은 전 한성인에게 큰 충격과 숲폼을 가져주었다. 정례는 1983년 3월 4일 한성여고 교정(현 한성대학 운동장)에서 안호상 이사장이 장려1 위원장을 맡아 한성학원장으로 엄숙히 거행되었다.영결식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다. 개식(사회자) -묵념(진혼곡) - 식사(정례위원장 안호상 박사) -고인 약력보고(한성학원 손영일 실장) -조사(한성학원 교직원 대표연정열 교수, 한성여중·고 교직원 대표 송대빈 교감, 한성여중·고 학생 대표 김유경 -애도사(영락교회 김승련 목사) -육성녹음 근정-조가(한성여고 합창단)한회{유족 및 각계대표, 교직원) - 폐식.※ 고 우촌 김의형 선생 육성녹음 근정(1970.12. 5 국민교육헌장 선포 2주년 기념식에서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상한 소감)내가 금년에 67살인데 22살인가 23살 적에 교원을 시작했어요. 지금끼지 46년간 했어요 46년 동안에 내가 가르친 제자들, 그 때에 같이 있던 동료직원들, 니플 지도해주신 싱관님들, 사회 여러분들이 나를 46년 동안 이렇게 무사하게 고이고이 지도편달해주신 덕택으로 지난 5일 국가 원수 박정희대통령께서 내려주신 동백상을 탔어요. 이것은 순전히 (중략) 내가 받는 것이 아니고 그 분들이 받아야 될 것을 내가 판는 김-느낄 때에 다시 한 번 그분들에게 감사를 올리는 바입니다.2.5 12~13대 서정희 . 김옥자 이사장 시기
(1991. 4. 1. ~ 1997.1 2.22.)2.5.1 이사장과 이사진1) 제 12대 이사장 서정희 (徐廷熙) : 1992. 2.15. ~ 1995. 4. 4.직무대리 : 1991. 4. 1. ~ 1992. 2.14.
출생 : 1942~2007
출신 : 충남 청양학력 및 경력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졸업미국 콜로라도 대학원 공학박사<표 19> 제12 대 이사회 구성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1991년 새해 들어 지난 해 말 한성대학 입시부정사태를 법인의 수습대표인 서정희 이사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그리하여 일단 사태가 진정되어 대학 분위기가 일신되었다. 이 해 2월 18일 이사장 승인이 보류된 안호상 이사장플 대신히아 서정희 이사가 이사회의 동의를 거쳐 1991년 4월 1일부터 1992년 2월 14일까지 이사장 직무대리를 수행하게 되었다.
1992년 2월 15일 서정희 이사가 제 12 대 이사장에 취임하여 학원 빌전에 더욱 박차가하였다. 서정희 이사장은 한성학원의 ‘제 2의 창립기’를 이룩하였다. 낌고 푸른 대학, 실력 있는 대학’을 새로운 교육지표로 설정한 서정희 이사장은 교육환경 개선과 교육시섣 확장 빛 교육행정의 개선 등을 과감하게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다 그리하야 한성혁원, 특히 한성대학은 새로운 도약의 전기를 마련하였다. 이사진도 서정희 이사장을중심으로 탄탄하게 구축되었다.
1991년 5월 16일 자로 김 영수 이사, 이상혁 이사가 중임하였고, 교육부 감사 결과 물러난 이희순 이사의 자리에 동생인 성균관대 교수인 이현순 이사가 취임히였다. 같은 해 8월 ]7일 자로 서정희 이사가 중임하였다가 다음 해 2월에 이사장에 취임하였다.1992년 5월 4일 자로 서전통상 대표이사 한대림 이사가 취임하였다. 해 5월 18일 자로 이훤-호 이사가 중임하였고, 1993년 1월 14일 자로 고기영 감사가 중임하였다. 같은 해 4월 26일 자로 임기만료 된 김상종 감사의 후임으로 이자행 흥인 대표이사가 감사로 취임하였다.1993년 6월 21일 자로 임기만료 된 이희봉 이사를 해임하였다. 해 8 웰 19일자로 서정희 이사장의 부인 김옥자 여사와 연세대 민경덕 교수가 이사로 새롭게 취임하였다.1993년 7월 16일 이사회에서 한성학원 법인 정관 중 제22조 임원의 종류와 정수에 대하여 이사 9 인, 감사 2 인을 이사 11 인, 감사 2 인으로 늘렸다 그 사유는 여러 분야에서 전문가를 초빙하여 법인 이사회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고자 하는 데 있었다.
1994년 9월 26일 자로 노철용 이사, 정창현 이사가 중임하였다. 1995년 1월 14일 자로 고기영 감사가 중임하였다.1995년 3월 27일 이사회에서는 임기를 4개월 남겨두고 서정희 이사장을 물러나게 하고 김옥자 이사를 이사장으로 선임하였다(교육부로부터 면임 처리된 것은 4월 4일) . 표면적인 이유는 서정희 이사장이 현직 서울대 교수로 겸직의 부담을 느껴서라지만 한성학원을 운영하는 과정에 설립자 가족과의 마찰로 설립자의 맏딸인 부인 김옥자 이사장을 전변에 내세우게 된 것이 큰 이유였다. 서정희 이사장은 이사직은 유지하였다.2) 제 13대 이사장 김옥자(金玉子) : 1995. 4. 5. ~ 1997. 8.18.
출생 : 1944-
출신:충남공주학력 및 경력 : 1963. 숙명여자대학교 졸업1967. 동덕여자고등학교 교사1993. 한성학원 이사<표 20> 제13 대 이사회 구성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1995년 4월 5일 제13 대 이사장에 김옥자 이사가 취임하였다. 김옥자 이사장은 1993년 이사로 취임한 후 남편인 서정희 이사장과 함께 지난 몇년긴- 학교에 상주하면서 학원의 제반 업무를 익히고 수행하였다. 서정희 전 이사장은 명예이사장으로서 계속하여 학원발전에 헌신하였다. 김옥자 이사장은 제 13대 이사회 구성을 제12대 이사회 체제를 유지하였다.
1995년 4월 26일 자로 이자행 감사가 이사로 취임하였다. 같은 해 5월 16일 자로 김영수 이사, 이상혁 이사, 이현순 이사가 중임하였고, 7월 13일 자로 서정희 이사가 중임하였다1996년 5월 4일 자로 이환호 이사, 한대림 이사가 중임하였고, 같은 해 6월 26일 자로 (주)한화 김종각 대표이사가 감사로 취임하였다. 1997년 1월 14일 자로 고기영 감사기 중임하였다.1997년 8월 18일 자로 김옥자 이사장의 임기가 만료되었지만 이사회가 파행을 겪음에 따라 후임 이사장을 선임하지 못하였다. 시립학교법 제 17조 4항의 규정에 의거 소집권자인 이사장의 부재로 이사 과반수의 찬성으로 교육부의 승인 절치를 거친 다음 이사장 선임을 위한 이사회를 11월 14일 소집하였으나 전 날 조선일보 3단 지변에 한성학원 설립자 이희순 명의로 김옥자 이사장과 서정희 이사를 고발하는 ‘교육부장관님께 드리는 호소문’이란 광고가 실리고 이사회 당일 양쪽 간의 충돌로 이사회를 개최하지 못하는 결괴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 외중에 10월 4일 자로 김옥자 이사장의 동생인 김인자 한성여중 교장과 무용과 김경자 교수를 직위해제 함으로써 이희순 전 이사장을 비롯한 가족들과 서정희 명예이사장 간의 갈등이 극에 달하게 되었다. 이 해 말경 끝나지 않는 설립자 가족 간의 갈등으로 결국 김옥자 이사장을 비롯한 이사 전원이 해임되었고 12월 23일 부로 교육부에서 임시이사가 파견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로써 1990년 10월 한성대학 입시부정사태를 수습하면서 1991년 이사장 직무대리로 전면에 나섰던 서정희 전 이사장과 김옥자 이사장은 물론 이희순 전 이사장까지 불명예스럽게 퇴진당하고 이후 8년이란 기간 동안 임시이사 체제에 접어들게 되었다.
2.5.2 한성대학의 종합대학 승격
1993년 3월 1일 자로 한성대학이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다. 초대 총장으로 원형갑학장이 취임하였다. 원형갑 총장은 1991년 4월 제7대 학장으로 취임하여 2년 동안 학장직을 봉직해오다기 한성대학이 종합대학교로 승격됨으로써 초대 총장으토 취임하게 된 것이다.2.5.3 교사의 증설과 학교시설의 확장1994년 5월 한성대학 공간확보 계획으로 학생회관(현 창의관)과 괴펙관(현 공학관) 증축에 관한- 건축허가를 관할구청에 신청한 후 계획에 따라 학생회관 4층을 6층으로, 과학관 5층을 6층으로 증축하여 총 3 천여 ㎡를 증축하게 되었다. 공간사용 용도는 학생회관 5층은 침단 시스템을 갖춘 도서관 공간으로, 6층은 문헌정보학과 교수연구실로, 과학관은 전산통계학과, 산업공학과 증원에 따른 실험실습실 및 강의설, 교수연구실로배치하였으며 1995년 3월말에 준공하였다. 이에 앞서 건축허가 과정에서 대학교 교지가 도시계획시설상 대학시 되야 있지 않고 중·고등학교 시설로 되어 있어 건축허반려하였기 때문에 중앙토목주식에 의뢰하여 학원 교지를 종·고등학교 시설과 대학시섣로 분리 신청히여 승인을 받은 다음 건축허가 절치를 밟게 되었다.
1997년 5월 17일 한성여고 지하주차장을 준공하였다. 한성여고 교정에 지하 2층으로 시공된 이 주차장은 1,700 펑의 규모로서 약 150 대의 치-량이 주차할 수 있으며 치-량의 출입이 전지동으로 관리되었다. 주차장 1 층 내부에는 70평 규모의 휴게싣이 틀어서 있어 휴식처로서의 역할 외에 회의용이나 전사용으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히였디 지하2층에는 80 여평 규모의 탁구부 전용 연습실을 두어 여가 활동을 위해 사용히도록 하였다. 한성여고 지하 주차장은 기존 체육관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15층 규모의 악산타워를 건립하기 위한 주차장 시설을 확보하기 위한 전제로 시작하였다. 그러나 낙산타워 건섣은 이 해 실시설계 작업을 끝내고 서울시 교육청의 건축허가 단계에서 이희순 전 이사장의 반대로 무산되고 말았다.2.6 14~19대 임시이사체계기 (1998. 1.15. ~2005.12.31.)
2.6.1 이사장과 이사진1) 제14대 이사장 박병호(朴秉鎬) : 1998. 1 .15. ~ 1998. 7. 5.
출생 : 1931-
출신 : 전남 해남학력 및 경력 : 1952.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1953.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1980.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장199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객원교수〈표 21> 제14대 이사회 구성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1997년 12월 23일 교육부로부터 “임원취임승인 취소 및 임시이사 선임”의 공문을 받은 후 한성학원은 임시이사 제제가 시작되었다. 공문의 주요 내용은 한성혁원 법인에 대하여 1997년 12월 5일부티 1997년 12월 13일까지 실시한 종합감사- 결과, 한성학원 법인은 1994년 이후 현재까지 개최한 총 40 회의 이사회 중 36회는 회의를 개최하지 않고 회의콕만 허위로 직성하여 임원 취임 승인을 받거나 자격이 없는 이사를토써 구성된 이사회에서 임원을 선임하았는 비 이와 같은 적법하지 않은 이사회에서의 임원 선임 행위 및 이에 따른 임원 취임의 승인 행위는 명백하고 중대한 하자로서 ‘당엔무효’이므로 이픔 공시하는 춰지의 임원 취임의 승인을 취소하고 사립학교뱀 제건조에 의거 임시이사를 선임하여 통보한다는 내용이었다.
임원취임승인 취소 임원
이사(11 명) : 김옥자, 서정희, 이상혁, 김영수, 노철용, 정창현, 이환호‘ 이현순, 한대림,이자행,민경덕감사( 2 명) : 고기영, 김종각임시이사 선임임시이사(7 명) : 빅병호, 이영수, 차인석, 길희성, 박은정, 김칭국, 유해돈1998년 1월 12일 소집된 이사회에서 박병호 이사를 이사장으로 선임하였다. 1998년 1월 15일 자로 박병호 이사장이 제 14대 이사장에 취임하였다.1998년 2월 6일 자로 전영운, 권영조, 정종섭, 전풍자 4 인을 추가로 임시이사로 선임하여 정수 11 명을 채우게 되었다. 임시이사의 면면을 보면 교육부 교육개혁위원인 전영운, 차인석 교수와 교육개혁심의위원인 전풍자 이사 등이 파견되었다. 파견기간은 1997년 12월 23일부터 해임조치시까지였다.
1998년 3월 8일 자로 정상용 변호사 및 홍기택 공인회계사가 이사회의 추천으로 감사로 취임하였다 이 해 6월 10일 건강상의 이유로 박병호 이사장이 사임하여 7월 5일자로 이사장에서 물러나게 되나 이사직은 그대로 유지하였다.2) 제15대 이사장 차인석 (車仁錫) : 1998. 7. 6. -1999.12.31.
출생 : 1933-
출신 : 전남목포학력 및 경력 : 1954. 서울대학교 철학과 수료1957. 미국 아델파이 대학교 졸업1968. 서독 프라이부르그대 철학박사1966.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제 14대 사무총장1977. 서울대 철학과 교수<표 22> 제15 대 이사회 구성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1998년 7월 박병호 이사장이 사임힘으로 같은 달 6일 자로 교육개혁위원인 차인석 이사가 제 15 대 이사장에 취임하였디
1998년 8월 31일 자로 유해돈 이사가 본인 사임 의사에 따라 해임되었고 검은 해 9월 7일 자료 전 교육부 고등교육실장 신진기 이사가 새로 취임하였다.3) 제 16대 이사장 김채윤(金彩潤) : 2000, 1, 31, - 2001, 7,31.
출생 1931, - 2008,6, 16,
출신 : 경남 거창학력 및 경력 : 1952, 서울대학교 문리대학 사회학과 졸업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1977, 한국사회학회 회장1985,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 학장1991. 서울대학교 대학원장
1996. 한국방송공사 이사장<표 23> 제16 대 이사회 구성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1999년 8월 개정 공포된 사립 학교법에 따라 임시이사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1 회에 한하여 연임할 수 있고 기존 임시이사의 임기는 12월 31일자로 한다는 규정을 마련하였다. 이에 따라 1999년 12월 31일 자로 차인석 이사장 등 6명의 이사가 물러나고 김민하 이사 등이 새로 파견되었다.
교육부 문서변호 대학 81420-776(1999년 12월 31일) 임시이사 해임 및 선임 통보 ‘사립학교법 개정(1 999.8.3 1)으로 현재 재임중인 임시이사의 임기가 1999년 12월 31일 자로 만료하게 됨에 따라 새로운 임시이사진을 붙임과 같이 선임하여 통보하오니 학교법인 및 해당 학교의 조속한 정상화를 위하여 적극 노력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임시이사 해임 (6 명) 결정서
임시이사 겸 이사장 치인석, 이사 정종섭, 빅은정, 신진기, 김칭국, 길희성임시이사 선임 (6 명) 결정서임시이사 김민하, 빅흥수, 힌상진, 깅-무섭, 박재권, 김채윤2000 1건 1월 1일 자로 박병호, 권영빈, 이영수, 전풍자, 전영운 이사는 증임하였다.2000년 1월 21일 이사회에서는 제 16대 이사장으로 한국방송공사 이사장을 역임한 김재윤 이사를 선임하였다. 교육부에서는 1월 31일자로 승인하였다.2001년 11월 6일 자로 김민하 이사가 본인 의사에 따라 해임되었고 그 자리를 전 호남대 총장 이태영 이사가 취임하게 되었다4) 제 17대 이사장 이상희 (李相禮) : 2001. 8.20. ~ 2003. 7.19.
출생 : 1929. 4.29. ~ 2010. 7. 9.
출신 : 경남 고성학력 및 경력 1958. 서울대 사회학과 졸업1965. 동경대학 대학원 사회학 석사1967. 서울대 교수1995. 학교법인 상지학원 이사장2000. 한국방송공사 이사2002. 참여연대 공동대표2003.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표 24> 제17 대 이사회 구성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2001년 7월 김채윤 이사장이 본인 사임의시를 밝힘에 따라 해임하고, 전 상지학원 이사장인 이상희 이사를 새로 영입하여 8월 22일 이사회에서 제 17대 이사장으로 선임하였다.
2001년 12월 29일 교육부 공문으로 2년 임시이사의 임기가 끝나고 새롭게 임시이사를 선임하였다는 공문이 내려오게 된다.교육부 문서변호 대재 81420-1587(2001년 12월 29일) 임시이사 선임 통보‘관련 대학 81420-776(1999.12.31)으로 선임 통보한 귀 법인의 임시이사들의 임기가 2001년 12월 31일자로 만료됨에 따라 사립학교법 제 25조의 규정에 의거 다음과 같이 새로이 임시이사를 선임하여 통보하오니 학교법인 및 해당 학교의 조속한 정상회를 위하여 적극 노력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임기 만료로 해임되는 임시이사(6명) : 이영수, 박병호, 전영운, 권영조, 전풍지 김채윤
새로이 선임되는 임시이사(6 명) : 김삼웅, 장회익, 박은정, 서동구, 윤지희, 손봉호2002년 1월 1일 자로 한상진 이사, 깅무섭 이사, 박재권 이사는 중임하였고 이 해 8월 20일 자로 이상희 이사장이 취임하였다.5) 제 18대 이사장 손봉호(孫凰浩) : 2003. 8.12. ~ 2003.12.31.2004. 1.15 - 2004. 9.14
출생 1938. 8.18.:
경북포항학력 및 경력 1961. 서울대 문리대 영문과 졸업1972. 네덜란드 자유대 철학 박사 학위 취득1983. 서울대 명예교수 (철학 박사)1994.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1996. 공명선거실천시민운동협의회(공선협) 대표 역임<표 25> 제18 대 이사회 구성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2003년 8월 12일 방송문화진흥원 이사장으로 자리를 옮긴 이상희 이사장의 후임으로 손봉호 이사가 제 18대 이사장으로 취임하였고 임기만료 된 이태영 이사의 후임으로 경실련 사무총장 신철영 이사가 파견되었다.
2003년 9월 18일 한성학원에서는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앞으로 결원이사 보임 보류요청하였다. “한성학원 이상희 전 이사장의 임기만료로 인한 이사 결원 보임에 관하여 한성학원 이사회에서는 이사정수 현 11 명을 9 명으로 조정하기로 합의한 바 차후 이사 임기가 만료되는 시점에 정관 개정 승인을 요청할 예정이오니 이사선임을 보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협조 요청에도 불구하고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이상희 이사장의 결원으로 생긴 이사 1 석에 대하여 이 해 10월 1일자로 이종원 전 교육부 총무과장을 임시이사로 파견하였다.2003년 10월 1일 자로 서울시교육청 기획관리실장 이종원 이사를 파견하였다. 그리고 11월 5일 자로 임기만료 된 이태영 이사를 해임하고, 11월 21일자로 경실련 사무총장 신철영 이사를 파견하였다.2003년 12월 17일 이사회에서 정이사 제제에 대비하여 이사의 11 인에서 9 인으로 줄이는 정관개정을 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12월 31일 자로 임기만료 된 임시이사 9 명을 전원 해임하였고 2004년 1월 1일 자로 이사 7 명을 선임히아 피견하였다. 그중 손봉호, 장회익, 서동구, 김심웅, 박은정, 윤지희 이사 등 6 명은 재선임 되었고, 김제일 이사는 신임되었다. 임기중인 이종원, 신철영 이사는 유임되었다 2004년 1월 12일 이사회에서 전 이사장 손봉호 이사를 이사장으로 다시 선임하였다. 손봉호 이사징은 2004년 9월 14일 동덕여대 이사장으로 취임하여 이사장직을 시임하였다.
6) 제 19대 이사장 장회익 (張會寶) : 2004.10.18. ~ 2005.12.31.
출생 : 1938. 5.14.출신
출신 : 경북 예천학력 및 경력 1961.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졸업1969. 미 루이지아나 주립대 물리학 박사1971. 서울대 자연대 물리학과 교수2003. 서울대 명예교수<표 26> 제19 대 이사회 구성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2004년 10월 18일 자로 장회익 이사가 제19대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 2004년 11월 17일 자로 손봉호 이사장 해임으로 결원이 된 자리에 서울대 정용덕 교수를 파견하였다
2.6.2 교사의 증설과 학교시설의 확장1998년 5월 29일 강의동(현 탐구관 건물) 착공식을 가져 지하 2층, 지상 5층의 건물신축하여 1999년 2월말에 준공하였다. 건축연면적 1,440평의 건물을 짓는데 모두 3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였다. 이 건물은 1997년도 한성대학이 야간정원화 자율화 대학으로 선정되자 입학정원 390명을 증원하기 위해 부족한 공간시설 마련하려 진리관 뒤편의 가옥을 매입하여 짓게 된 것이었다.1998년 12월 29일 차인석 이사장과 한성대학교 총장 및 처·관장이 배석한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은 학생회관에 위치한 중앙도서관의 안전문제를 논의한 끝에 도서관 신축이라는 원칙에 인식을 같이하게 되었다. 이후 차인석 이사장은 이를 이사회에 안건으로상정하였다.
1999년 1월 4일 이사회는 시전조치로서 대학 내 모든 건물에 대히야 안전진단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이 해 2월 1일 이사회는 도서관 건축규모를 2,600평으로 의결하였고, 2월 9일 중잉도서관 건축을 위히어 이사회에서 3명, 대학에서 3 명의 위원을 추천하여 건축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이사회의 지시에 따라 2월부터 한 달 동안 전문용역회사가 대혁의 각 건물들에 대한 안전진단을 실시한 결과, 학생회관에 위치한 도서핀-은 앞으로 추가적인 하중부과는 무리라는 진단이 나왔다. 또한 우촌관 지히 과핵관, 진 c] 관의 안전문제가 드러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대학 당국은 교내 건물에 대한 종함적 제획을 마련하게 되었다. 첫째, 붕괴가 우려되는 우촌관 지히를 철거하고 그 지씌어l 종잉도서관 건물을 신축한다. 둘째, 지선관 앞에 교수연구실과 무용실기실, 그러고 전시설 용도의 교수회관을 건립한다. 셋째, 도심헝 특성화 대학이라는 취지로 시내 중심지에 적당한 매입히여 대학의 일부 기능을 이전한다. 넷째, 학생들의 활동공간을 증대한다는 차원에서 학생회관 뒤편에 노천무대를 건립한다. 다섯째, 과학관과 전리관은 보강공사실시하여 안전도를 제고한다. 5월 31일 이사회는 이 계획을 최종 승인히았으마 교직원을 대싱으로 한 의견수렴에서도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교수의 경우 135 냉 가운데 97명정 (72.2%), 직원의 경우 69 명 가운데 51 명 (73.9%) 이 대학당국이 제시한 제획안에찬성하였다.2000년 7월 25일 이사회는 기존의 건축계획에 학생들을 위한 학생회관 별관(한 인성관) 건축을 추가하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비록 신축건물의 구체적 용도플 둡라씨고 대학딩국, 교수협의회, 그리고 일부 학과의 갈등이 야기되어 총장실 점거 등 전통이 상당기간 지속되고 또한 그 과정에 기물을 파괴한 학생들이 형사 기소되는 플행한 시태까지 발생하였다. 그렇지만 교육공간 확대라는 목표는 전 구성원의 공감대플 헝성하였고, 오랜 기간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친 우리대학은 공간 확보에 있어서 현저한 진보의 발판윤 마련하게 되었다.
2001년 9월 22일 한성대학이 대학로 소재 동원빌딩을 80억원에 매입하였다. 지하철 4호선 혀1화역에서 50m 거리에 위치한 동원빌딩은 지상 8층, 지하 2층의 콘크리트 건물로서 대지 1,420㎡(427평), 건축면적 637㎡(193평), 연면적 6,525㎡(1,974평)의 규모이며 차링: 50대를 수용할 수 있는 주차장을 보유하고 있었다. ‘한성대학교 대학로캠퍼스’라 명명한 이 건물의 일부 공간은 도심형 예술대학을 구현하기 위한 일환으로 미디어디자인학부가 사용하고 예술대학 공연장 및 대형강의실을 비롯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였다. 대학로캠퍼스는 특성에 맞는 학괴를 도심에 적절히 분산하여 부족한 공간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방안이 되었고, 또한 문화예술의 메키-인 대학로에 위치함으로써 학교 이미지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되었다.
2001년 이 날 오전 10시 한성대학 운동장에서는 교수회관(현 연구관), 도서관(헌 미래관), 학생회관 별관(현 인성관) 신축을 위한 기공식이 거행되었다. 1999년 2월 1일 이사회에서 도서관 신축 의결을 하였고 같은 해 5월 31일 이사회에서는 교수회관 신축을, 25일 이사회에서는 학생회관 별관 신축을 의결한지 무려 2년이란 시간이 흐른 뒤에야 삽을 들게 된 것이었다. 이 기간 동안 공사 규모를 놓고 이성근 총장과 법인 이사회와의 줄다리기, 공사 방법을 둘러싸고 건축위원회에서 턴키 방식으로 할 것인지 논틴키 방식으로 할 것인지 공방이 벌어지면서 공사 착공이 더욱 지체되었다. 2000년 7월 현상설계 공모방식으로 설계업체를 선정키로 하고, 같은 달 28일 엄격한 심사에 의해 주식회사 공간종합건축사무소가 설계업체로 최종 선정되었다. 당선작으로 선정된 공간종합건축사무소의 설계 작품은 이 해 7월 29일 건축소위원회의 보고를 거쳐 이사회의 승인을 받았으며, 대학 당국은 8월 9일에 공간종합건축사무소 측과 교수회관, 도서관에 대한 설계 용역계약을 체결하였다. 설계업체 선정 후 교수회관, 도서관과 별개로 진행되어 온 학생회관 별관의 설계를 공간종합건축사무소와 협의한 결과, 교수회관, 연구동 설계에 학생회관 별관의 설계를 무료로 포함시키기로 합의하였다. 시공업체는 엄정한 심시를 거쳐 같은 해 9월 1일 최종적으로 주식회사 삼성건설이 낙찰되었다. 총 공사비 150억원이 투입되는 이 공사를 통하여 총 22,807.75㎡ (6,889평)의 교육공간을 새로 확보하게 되었다.
교수회관과 학생회관 별관은 각각 연건축면적 6,902.26㎡(2,088평)과 l ,838.88㎡(556평)으로 건립되었으며, 2002년 3월에 착공한 도서관은 연건축면적 14,066.61㎡ (4, 255평)의 공긴을 보유하게 되었다. 지선관 앞 분수대 자리에 건립된 교수회관은 지하 1 층, 지상 7층 철근콘크리트 구조로서 거의 모든 교수들의 연구실을 수용하게 되었다. 낙산 자락을 깎아 건설될 학생회관 별관은 지상 5층으로 각 층마다 5-9평 규모의 동아리실과 소규모 공연장이 들어섰다. 기존 민주광장 자리에 증축한 도서관은 지하 2층, 지상 6층의건물로 지하에는 무용실기실, 대형강의실, 박물관 등이 들어서고, 1 층은 연속간행물실, 2층은 정보자료과, 도서관장실, 갤러리 (GallelY), 3층은 인문과학 열람실, 4층은 사회과학 열람실, 5층은 자연과학 열람실, 6층은 여1술 열람실, 음헝:자료실, 시청각실 등으로 사용되고, 3층부터 5층의 일부는 일반열람실로 사용되었다. 교수회관과 학생회관 별관, 도서관 증축으로 한성대학 구성원은 이제 보다 나은 교육환경에서 교육과 연구, 수업과 학생활동, 그리고 행정 수행할수 있게 되었다.
2002년 9월에 연구관이 준공되었다. 총 8층 규모로 153 실의 교수 연구실이 입주하여, 보다 수준 높은 강의를 위해 준비할 수 있는 쾌적한 연구공간을 갖추게 되었다. 연구관 지하1층과 지상1 층은 전시실로 구성하여 졸업작품 전시회 및 교수와 학생들의 작품을 위한 전시실로 활용하고 있으며 옥상에는 한성대학을 알리는 사인물을 섣치히여 야간 조뱅시설을 두어 북악스카이웨이에서도 한성대학의 위치가 잘 보일 수 있도록 하였다.2002년 12월에는 학생회관 벨관이 준공되어 그동안 흘어져 있던 동아리플이 입주하여 학생틀의 동이리활동을 더욱 활기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2003년 8월말 미래관이 준공되었다. 총 면적은 4,300여평으로 혁술정보관을 비풋하여박물관, 전자계산소, 스튜디오, 첨단강의실 (Digital Learning Center) 등이 임주하였다. 미래관이 왼공되어 도서관 공간이 한결 늘어나게 되어 모든 학생들이 더욱 편리하고 쾌적히게 도서관 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미래관은 지하 2층 지상 6층의 규모이며 학술정보관, 전자계산소, 스튜디오, 첨단강의실 외에도 일반강의실, 실습섣, 체력단련실 등의 시설과 각종 홍보 기념품을 판매하고 있는 카페데리아로 구성되았다.
2003년 8월 12일 이사회에서는 서울시 교육청으로부터 지원받은 교육시섣곰 20억원 휠용하기 위하여 기존 체육관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체육관 증축을 위해 현장설명회를 하고 입찰을 실시하였으나 최초 입찰에서 삼성물산, 성지건설, 금깅-종함건설 3개 회사가 입찰하였으나 유찰되었고 2차에서는 심협종합건설 1개 회시만이 암침에 참가함에 띠라 유찰 되어 8월 7일 건축소위원회를 개최하여 수의계약의 펼요성을 논의하고 현재 한성대학교 도서관과 연구동 및 학생회관을 증축하고 있는 삼성물산과 체육관 증축협의를 위임하기로 의결하였다.2005년 3월 18일 낙산관을 준공하였다. 사업금액 총 8,773,000 천원이 소요되었으며, 지하 1 층 지상 4층 연면적 1,348.81㎡의 규모이다. 낙산관 증축은 교내에 대규모 강당및 실내체육관을 확보하고, 그동안 가건물을 사용하던 무용학과 실습실을 확충하기 위한 것이었다. 사업결과 지하 1층 기계실, 지상 1층 무용학과 3개 실습실, 지상 2층 대강당(650석), 지상 3층 체육관(280 석), 지상 4층 체력단련실이 마련되었다. 낙산관 증축으로 대규모 실내 체육관이 조성되어 우천 시에도 체육 실습이 가능해졌고, 대강당이 마련되어 다양한 교내 행시를 실시할 수 있게 되었으며, 무용학과 실습실이 면적도 증가되면서 쾌적함도 확보하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체력단련실을 마련하여 교내 구성원들의 건강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
2.6.3 직선제 총장의 선출2002년 5월 24일 개최된 이사회에서는 한성대학 차기 총장의 선출 방식을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다.1. 공채(공모) 방식으로 결정- 6월 중순에 한달 정도의 기간을 정하여 총장 모집 신문공고를 한다.
- 제출서류는 이력서, 소견서 (A4 2매 이내)로 한정한다.2. 총장후보 서류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1 치- 서류전형으로 선발한다.- 서류심사위원회는 법인이사 3명, 학교 교수 5 명 등 총 8명으로 구성한다.- 8월 초순에 10명 미만의 내·외 후보를 균형있게 선발을 원칙으로 한다.- 현 총장은 내부 인원으로 본다.- 서류심사위원회의 법인측 위원은 손봉호, 김삼웅, 박은정으로 선임한다.3. 최종 총장 후보의 선출- 교수 전원이 참가하는 직접투표 방식에 의해 외부 2 인, 내부 2 인을 최종 총장 후보로 선출한다.- 투표를 위한 서류배포는 이력서, 소견서로 한정한다.- 외부인사는 소견발표, 질의응답 등의 절차를 면제한다.- 선출된 후보 4 인의 순위는 인정히지 않으며 무순위로 8월 31일까지 이사회에 보고한다.
2002년 6월 25일 이사회에서는 총장후보 서류심사위원회를 각 구성원의 참여를 위하여 직원대표 2명, 학생대표 2 맹, 동문회 대표 1 명을 위원으로 추가히여 지난 5월 24일 이사회에서 의결한 교수 대표 5명, 이사회 대표 3 명 등 총 13명으로 서류심사위원회를 구성하기로 전원 동의하며 이 위원회의 결의는 재적위원 2/3 이상의 친성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진행된 총장 후보 선출 결과 최종 후보로 한왼-상 전 빙똥대 총장고]- 윤경로, 이종수 교수 등 3 인을 선정하-였으며, 2002년 8월 23일 이사회에서 비띈투표에 의해 과반수 이상의 찬성으로 한완상을 총장으로 선임하였다.2005년 1월 7일 이사회에서는 한성대학 차기 총장 선출과 관련하0:] 교수현의회에서 제출한 총장선출제도를 심의한 결과 총장 후보자 선출규정을 다음과 감이 개정하여시행하기로 하였다.
총장후보자선정위원회가 예비후보지를 선출하고 선출된 예비후보자 가운데서 지정된 절치를 거쳐 적임자를 결정한다. 선정위는 교수대표 3 인, 직원대표 1인, 학생대표 1인, 이사대표 2 인으로 구성한다. 총장후보자 추천은 신문 및 인터넷에 공고하따 추천과 맹행하여 선정위가 예비후보지를 탐색할 수 있다. 선정위는 재적위원 2/3 이상의 찬성으로 예비후보자 7 인을 선정한다. 예비후보자는 한성대학교에 재직하는 자와 그러히지 아니한 자의 비율이 어느 한쪽도 2/3을 넘지 않도록 한다. 전체교수회는 선정위에서 선정한 예비후보자 중에서 최종후보자 3 인을 선정하여 이사회에 보고한다.이와 갇은 절차에 따라 최종후보자 3 인중 사학과 윤경로 교수를 총장으쿄 선임하여 이 해 3월 1일 한성대학 제5 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2.6.4 정이사체제의 환원
2003년 정기국회에서는 교육부가 임시이사체제 장기화 극복 대책, 정이사체제로의 전환 방안들에 대한 고민이 부족하다며, 임시이사파견 대학에 대한 정기적인평가기구 설치 및 정상화 방안들을 주문하였다. 이에 따르면 대구대·상지대·조선대·영남대 등 임시이사가 파견된 지 10여년이 넘은 대학이 4곳이나 되고, 5년 이상인 대학이 한성대학을 포함하여 8곳에 달하는 등 임시이사체제가 장기화되고 있는 것도 비판의 도마 위에 올랐다. 임시이사를 ’조속한 대학의 정상화’를 위해 파견한다는 애초의 의도와는 다르다는 데에 의원들 대부분이 공감을 나타낸 것이다. 의원들은 여야 구분없이 임시이사 체제 장기회까 대학의 중·장기 발전 계획을 추진하는 데에 걸림돌이 된다는 데에 의견을 같이 했다.2003년 10월 15일 교육부는 정이사체제로 가는 필요 요건과 절차를 명확히 하고 정이사체제 전환을 위한 다양함 방안들이 고안돼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지변서 임시이사가 파견된 대학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설문 조사를 실시하기도 하였다.교육부 사학정책과(2003.10.15) 대학 운영관련 구성원 의견 제출
임시이사 선임 학교법인 편을 통해 우리부의 사학운영과 관련하여 정책수립 및 학교법인 대학 지원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학내구성원 또는 이해관계인 등으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되 각 단체별 의견을 구분해서 대표성을 가진 직위의 인사로부터 의견을 수렴하되 어느 개인의 의견이 아닌 해당 단체의 종합적인 의견을 수렴하기 바라며 반드시 각 단체별 의견 제출자의 직위 및 성명을 기재하도록 하였다.이에 따라 한성대학도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괴를 다음과 같이 답하였다.한성학원 손봉호 이사장 : “설립자의 학원 설립정신은 도덕적으로 존중되어야 하며, 임시이사체제 보다는 대학발전과 이익이 된다는 전제가 될 때 정이사체제로 전환되어야 한다라고 답하였다.한성대학 한완상 총장 : “우리 학원의 선결과제는 설립자 가족간의 화해가 우선되어야 하며 설립자측에서 정이사로 참여히고 학원운영은 공익이사체제로 일정액의 법인전입금을 충당함으로 교수와 학생이 연구와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학원분위기가 조성될 때 정이사체제가 가능할 것이다라고 답하였다. 한성대학 김원중 교협회징은 “대학운영 정상회를 바탕으로 한성대학교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서는 학교법인 한성대학 이사회를 임시이사체제에서 정이사체제로 전환해야 한다. 지난 6년간 임시이사제제에서 한성대학교는 운영정상화, 교내민주화 등 많은 진전이 있었지만 잦은 이사진의 교체와 상대적인 책임감 부족 등으로 임시이사회가 대학구성원들의 역량을 최대화 히여 학교발전에 순기능에 적용시키기에는 다소 부족히였으므로 임시이사체제에서 구축한 학교정성회를 바탕으로 새로운 도약이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되므로 정이사체제가 1:이램-직하다
이상우 노조위원장 : “구성원대표가 침여하는 방식을 통한 공익이사제보의 전환 혹은 능력 있는 재단의 영입을 통한 학원 정싱화 방식을 선호한다이영식 총동문회장 : “이사회는 학교를 운영하는 주체로서 그 역할이 매우 증요한 기관임에도 불구히고 동문회가 배제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학교의 반전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동문들도 이사회에 침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김지태 총학생회장 : “학원 3주체의 의시카 고루 반영이 되고 그것이 섬전적인 결정과집행으로 이어질 수 있는 민주적 운영 빙식이 학교문제를 해결할 것이디
2005년 7월 29일 이사회에서 한성학원 정상화 방안이 이사회에 안건으포 싱정된 배정과 아울러 배부된 자료를 기초로 한성학원의 정상화 방안에 대해 논의한 갤과 한성학원 정싱화 방안에 대해 정이사 체제의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이사 정수를 9 인으로 하며 총장은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차기 이사회에 보고하기보 의결하였다.2005년 11월 2일 이사회에서는 한성학원 정이사체제 진행 상황에 대하이 윤경로 총장으로부터“정이사체제 전환과 관련하여 교수협의회와 직원노조가 협의한 전과 단일안(교육부 추천 3 인, 대학구성원 추천 4 인, 설립자 추천 2 인)에 합의하였디 11 웰 1일 실시한 직원노조 투표 결과 친성 64명, 반대 16명, 무효 2 명으로 가결되었다. 교수협의회총회 결과 정이사체제로의 전환은 가결되었으나 구성 비율에 대한 최종 투표가- 금1정간에 있을 예정이다라는 내용과 한성대 학보사 주관으로 재학생을 대싱으로 한 설문조사 보고받았다. 그리고 이 달 9일 이사회에서 한성학원 정이사체제 구성비율에 관한 구성원들의 다수 의견에 대해 전원 동의하기로 의결하았다.2005년 12월 7일 이사회에서는, 정이사추천위원회가 대학구성원 몫으로 윤경로, 김동균, 김신일, 변해철, 양휘부, 이종훈, 황기연 등 7 인의 후보자를 추천하였으나 추천위원 중 일부가 추천 과정의 문제점을 제기한 바, 후보자 심의를 유보하고 김삼웅, 윤지희 이사와 정상용 감사로 하여금 추천 과정을 조사하게 한 후, 12월 14일 제 14차 이사회를 소집하여 논의하기로 의결하였다. 제 14차 이사회에서는 추천 과정에 별문제가 없다고 판단하고 예비후보자를 심의한 결과 대학구성원 추천 이사로 김동균, 김신일, 이종훈, 윤경로를 선정하여 교육부에 정이사로 추천하기로 의결하였다.
2005년 12월 21일 이사회에서는 정이사체제와 관련하여 교육부 추천 3 인(신용하, 문동후, 이경일)에 대해 봉인을 해제하고 의견 개진한 후 교육부 추천 3 인을 선임하되여성 이사 참여가 바람직하다는 이사회 의견을 교육부에 건의하기로 의결하였다. 그러고 설립자 추천 2 인(이희순, 계경문), 교내구성원 추천 4 인(이종훈, 김신일, 윤경로, 김동균) , 등 총 9 인을 학교법인 한성학원 정이사로 교육부에 승인 신청하기로 참석이사 전원의 찬성으로 의결하였다.2005년 12월 28일 교육부 문서번호 사립대학지원과-2204 공문으로 학교법인 한성학원 임시이사 해임 및 정이사 취임 승인이 내려옴으로 정이사체제가 시작되게 되었다. 한성대학은 지난 1998년 초 임시이사가 파견된 이후 8년간 비교적 큰 소요 없었고, 임시이사가 파견된 20개 대학을 대상으로 이뤄진 교육인적자원부 실태조사 결과에서도 ‘한성학원의 학교운영은 양호하며, 모범적’이라는평기를 받았기에 가능한 결과였다. 당시 내려온 공문은 다음과 같다.
‘관련 한성학원 제 258호(2005.12.26.) 위 호 관련으로 신청한 귀 법인의 임원취임승인 신청에 대하여 사립학교법 제20조 2항의 규정에 의거 아래와 같이 승인합니다.’해임되는 임시의사(7 명)이사장 겸 이사 . 장회익이사 : 김삼웅, 박은정, 서동구, 윤지희, 김재일, 정용덕취임하는 정이사(9 명)이사계경문, 김동균, 김신일, 문동후, 신용하, 윤경로, 이경일, 이종훈, 이희순2.6.5 대학종합평가 최우수대학 선정
2000년 2월 2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발표한 1999년도 대학종합평기에서 우리대학은 학부기준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교육, 연구, 사회봉시 교수, 시설·설비, 재정·경영 등 6개 영역에서 실시된평가에서 우리대학은 학생 수 1 만명 미만의 18개 일반대와 10개 산업대 등 총 28개 대학 가운데 교수 영역을 제외한 5개 영역에서 우수 핀정을 받아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2.6.6 인제대학과의 합병 모색2004년 3월 16일 이사회에는 손봉호 이사장이 인제대학과 M&A와 관련하여 인제대 이사장으로부터 통합제의를 받고 인제대학 백 이사장을 면담한 결과 대등한 합병 원칙에 관한 의견 개진이 있었음을 설명함으로 한성대학 구성원들 간의 M&A 건에 불을 지피가l 되었다.2004년 10월 9일 이사회에서는 침석이사 전원 찬성으로 장회익 이사를 이사장으로 선임히고 인제대학과의 M&A 추진과 관련하여 이사회의 입장을 다음과 감이 정리하였다.
‘이사회에서는 2004년 3월 16일 손봉호 전 이사장으로부터 인제대에서 힘탱제의를 받은 시싣을 보고받고 이를 학내 구성원과 관련자들에게 알리기로 결정한 바 있다. 그러나 타 대학과의 M&A 건은 임시이사 체제에서는 추진할 수 없는 중요한 사안으로 우리 이사회에서는 이 건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음을 획인한 바 있다. 따라서 대학 구성원의 의사와 무관하게 밀실에서 특정 대학과의 M&A 가 구체적으로 추진되고 있디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며 이러한 내용을 담은 무책임한 발언을 통해 학내의 풍함 분위기를 저해하는 것은 대단히 유감스러운 일로서 앞으로 되풀이 되어서는 안 될 젓이다. 라는 내용을 대학 구성원들에게 공개하기로 한다’에 따라- 2004년 한 해 한성대펙- 구성원 간에 관심을 끌었던 M&A 건이 사라지게 되었다.2.7 20~22 대 정이사체제 환원기 (2006. 1.17. ~2015.12.31.)
2.7.1 이사장과 이사진1) 제 20대 이사장 신용하(慣鍵慶): 2006. 1.17.-2009.12.31.
출생 : 1937-
출신 : 제주도학력 및 경력 : 1961. 서울대 문리대학 졸업1964. 서울대 대학원 경제학 석사1975. 서울대 대학원 문학박사1965. 서울대학교 교수1994. 국사편찬위원회 위원1998. 서울대 사회과학대학 학장2001. 백범학술원 원장<표 27>제20 대 이사회 구성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경력
2006년 1월 17일 이사회를 개최하여 교육부 추천인 신용하 이사를 제 20 대 이사장으로 선임하였다. 제20대 이사회 구성은 이희순 전 이사장이 정이사로 취임하여 8년 만에 설립자 가족이 다시 이사회에 침여하는 길을 열었다고 할 수 있겠다
2007 1관 6월 27일 이사회에서는 김신일 이사가 교육부장관으로 임명되면서 2006년 7월부터 공석이 된 자리를 개방이사로 선임하는 절치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2006년도 사립학교법 개정으로 대학에 교수, 직원, 학생 및 외부 인사 대표들로 대학평의원회를 구성하고 이사 정수의 1/3 이상을 반드시 개방이사로 선임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래서 이 해 6월 20일 한성대학의 대학평의원회 구성 및 동 위원회 운영규정을 재정하였다. 이에 따라 개방이사추천위 구성을 완료하였으며, 법인에서 6월 27일자로 대헥평의원회 및 중·고등학교 학교운영위원회에 개방이사 추천을 의뢰하는 절차를 시직하였다. 개빙이사추천위원회 구성은 법인 측 위원으로 문동후, 김동균, 게경문 이사와 박용일 감사로, 대학평의원회에서는 홍용식 대평위 의장, 조현호 직원대표, 한용수 총동문회장, 고등학교 운영위 구순희 교김 중학교 운영위 이귀영 부장교사로 구성되았으띠, 개방이사 후보자 2배수를 추천하고 차기 이사회에서 후보자 2배수 중 1 명을 개방이사로 선임하기로 의결하였다.
2008년 2월 29일 이사회에서 개방이사로 김인자 전 한성여자고등학교 교장, 개방감사로 김일섭 회계사, 일반감사로 박용일 감사를 선임하기로 만장일치로 합의하였다. 2008년 4월 2일자로 김인자 이사가 취임히였고, 박용일 감사와 김일섭 감사는 4월 28일 자로 중임하였다. 개정된 사립학교법에 따라 당시 취임한 감사는 1 회에 한하여 중임할 수 있었다.2009년 4월 한성대학 총장에서 교수로 물러난 윤경로 이사의 사퇴를 승인하고 그 여석을 개방이사로 선임하기로 하고 법인 측 위원으로 박용일 감사, 이경일 이사, 김인자 이사, 김동균 이사를 선임키로 하였으며, 대학평의원회 측은 이우관, 조현호, 대학원동문회장 박진학으로, 중·고등학교는 이경철 교감과 최대혁 부장교사로 구성하였다. 이후 개방이사추천위원회는 대학평의원측 위원의 자격 문제로 몇 차례 정회를 거듭하다가 직무정치 가처분 신청을 하는 등 파행을 겪게 되었고 결국 법인 이사회에서는 사립학교법 제 14조 5항 및 학원 정관 제24조의 2 및 이사회 의결에 따라 2009년 9월 16일 교육부에 개방이사 1 인을 추천을 요청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이 해 10월 22일 자로 개방이사 후보자로 두원공대 김병진 총장과 송대성 세종연구소 소장 2 인 추천하게 되나 결국 무산되고 말았다.
2009년 10월 20일 이사회에서는 차기 이사진 구성과 관련하여 법인 정관에 따라 일반 이사 6명과 개방이사 3 인을 선임키로 하고 현 이사들이 중임하는 것에 원칙적으로 합의하였다. 김인자, 계경문, 김동균, 문동후 이사 4명으로 치-기 이사진 구성방안 소위원회를 구성하여 세부방안을 마련하고 차기 이사회에서 처리하도록 의결하였고 이 해 11월 7일 이사회에서 신용하 이사장은 차기 이사회에 참여하지 않음을 천명한 다음 매회 투표대상 1 인의 퇴장 하에 전원 찬성으로 각 이사들이 차기 이사회에 선임할 것을 의결하였고, 대학에서 상정한 대학 총장의 당연직 이사 참여 건은 대학 각 구성원인 교협, 직원노조 등의 의견을 수렴한 후 차후에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이희순, 이종훈, 이경일, 김인자, 문동후, 계경문 이사를 차기 이사{임기 2010. 1. 1. ~ 2014.12.31)로 선임하였다.2009년 12월 17일 이사회에서는 개방이사추천위에서 2배수로 추천한 후보 중에서 김동균, 최정섭, 황기연 후보를 차기 개방이사로 선임하였다.2) 제 21 대 이사장 이희순(李喜順) : 2010. 1. 4. ~ 2014.12.31.
출생 : 1921. 2. 17.~
출신 : 충남 천안학력 및 경력 1939. 3 동덕고등여학교 졸업1941. 3. 이화여자전문학교 가정과 수료1943. 8. 화강소학교 교사1958. ~ 1976. 한성학원 2-6 대 이사장<표 28> 제21대 이사회 구성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정이사체제 171 이사 임기가 끝난 후 신용하 이사장만 물러나고 나머지 이사 전원 중임하게 되었다. 이전에 법인 정관을 개정하여 이사 임기를 4년에서 5년으로 늘리고 2010년 1월 이사회에서 제 21 대 이사장으로 이희순 전 이사장을 선임하였다. 한성학원 초창기 제 2대부터 제6대 이사장을 역임한 이희순 이사장은 고(故) 우촌 김의형 선생과 함께 한성학원의 산 증인으로 33년 만에 한성혁원의 이사장으로 복귀하게 되었다.
이희순 이사장은 취임과 더불어 한성대학에 대하여 ‘제 2개교’를 선언하였다. 한성대학의 미래와 성장전략에 대하여 건학이념을 바탕으로 한 실용중심교육의 강화가 바로 ‘제 2개교’의 초석이라는 것이다. 창의성과 다양성을 지니고 열린 사고와 문화적 소양 그리고 국제적 경쟁력을 겸비한 핵심인재양성에 주력할 것이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성 1등 프로젝트’를 통한 특성화, 교육훈련지원금을 비롯한 장학금의 확충, 그리고 ‘창업 1 등 대학’을 제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산학협력, 해외파견, 인턴제의 확대를 통하여 실용적 능력을 갖춘 인재를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첨단산업분야의 전문기를 배출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이사회 구성은 정이사 1 기체제와 별반 다름없으나 최정섭, 황기연 이사가 새롭게 취임하였다.
2013년 6월 21일 이사회에서는 한성학원 법인 업무 처리 효율성 제고 방안으로 법인 사무국장을 바른 시일 안에 채용하며, 법인 업무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사무국장이 선임될 때가지 한시적으로 이사장을 보좌하는 이사를 이사장이 지명하기로 의결하였다.2014년 10월 17일 이사회에서는 차기 이사진 구성과 관련하여 법인 정관에 따라 일반 이사 6 명과 개방이사 3 인을 선임키로 하고 선임대상 이사 1 인의 퇴장 하에 이희순, 이종훈, 이경일, 김인자, 문동후, 계경문 이사를 차기 일반 이사로 선임할 것을 의결하였다. 이 해 11월 1일 이사회에서는 개방이사추천위에서 추천한 2 배수 중 최정섭, 김동균, 황기연 이사를 선임하여 12월 1일 자로 교육부에 승인 요청하였으나 김동균, 황기연 이사의 경우 겸직 동의서를 받지 않았다는 사유로 7명의 이사에 대해서만 2015년 1월 4일 자로 승인이 내려오게 되었다.3) 제 22대 이사장 이종훈(李鍾燒) : 2015. 2.12. ~ 2020. 1. 3.
출생 : 1935-
출신:전북군산학력 및 경력 1959. 중앙대 경제학과 졸업1961. 중영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1978. 도쿄대 경제학 박사1979. 중앙대 교수1989. 도쿄대 객원교수1997. 중앙대 총장2005 덕성여대 이사장<표 29> 제22 대 이사회 구성
직명 이름 임기 현직 및 주요 경력
2월 12일 이사회에서 이종훈 이사를 22 대 이사장으로 선임하였다. 개방이사에 대하여는 개방이사추천위원회에 재선임을 요청하여 이 달 26일 이사회에서는 숙명여대 최신융 교수와 카이스트 정기현 교수를 이사로 선임하여 교육부의 승인을 거쳐 이 해 3월 27일 자로 이사로 취임하게 되었다.
지난 3월 2일 학교법인 한성학원 제 22대 이사장 이종훈 박사 취임식을 미래관 DLC에서 개최했다. 취임식은 1부와 2부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외빈으로는 윤형섭 전 교육부장관, 김성훈 전 농림부장관, 이대순 전 체신부장관, 이면영 홍익학원 이사장, 이현청 전 상명대 총장, 이성근 전 한성대 총장이 참석했다. 내빈으로는 한성학원 이희순 설립자, 이경일 한성학원 이사, 장원택 한성학원 감사, 강신일 한성대 총장, 이장한 한성여자고등학교장, 이귀영 한성여자」중학교장이 참석했다. 이종훈 이사장은 “저는 한성대의 설립자가 아닙니다. 다만 법인 이사회의 장이며 관리책임자입니다”라며 “한성학원의 주인은 여러분 모두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여러분을 중심으로 한성의 70년 역사를 정의하고 새로운 역사를 저와 함께 써 나갑시다제22 대 이사회는 2006년부터 시작된 제 1 기 정이사체제의 이희순, 이종훈, 이경일, 문동후, 계경문 이사를 비롯하여 2008년에 개방이사로 합류한 김 인자 이사와 2010년에 개방이사로 합류한 최정섭 이사에 올 해 개방이사로 합류한 정구현, 최신융 이사로 구성하게 되었다.
2.7.2 교사의 증설과 학교시설의 확충2006년 4월 1일부터 2006년 8월 31일까지 총 금액 2,780,000천원의 공사비로 연구관 2개층과 학송관을 증축하였다. 연구관은 기존의 7층에서 2개층을 증축하여 9층 건물이 되었다. 증축된 면적은 총 2,031.59m"로 연구실 56개를 확보하게 되었다. 연구관 증축사업은 그동안 신규교원충원으로 부족하였던 교수의 연구실 공간 확보를 위한 것이었다. 학송관은 대강당 건물에 지상 2층을 증축하여 연면적 1,191.42㎡에 실습실, 강의실 및 세미나실 14개를 조성하였다 그동안 대학원 전용 강의실이 없어 학부 강의실(탐구관)을 일부 사용하였던 실정이었다. 이 해 2학기부터 학부 교과수의 대폭적인 증가와교과과정의 세분화로 인해 학부에서도 강의실 수가 절대 부족하였다. 따라서 시설이 노후하여 활용도가 낮았던 대강당을 증축하여 대학원 독립 건물로 조성하게 되었다. 이 사업으로 대학원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고, 탐구관 4, 5층의 구 대학원 강의실을 학부 강의실로 전환하여 부족한 강의실을 획충할 수 있었다.
2009년 5월 한성학원의 숙원사엽 기운데 하나인 진입로 확장공사가 오랜 준비기간을 거쳐 착공되었고 이 해 12월에 완공되었다. 성북세무서에서 한성여중·고·대학으로 올라오는 삼거리부터 정문까지 약 300m의 기존 도로는 노폭이 불과 6m르 배우 협소하였다. 좁은 진입로는 차량통행의 불편과 접근성 저하 그리고 학교의 이미지를 훼손하여 한성학원으로서는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였다. 2006년 신용하 이사장 재임기간부터 시작된 획정계획이 여러 단계를 거쳐 마침내 결실을 보게 된 것이다. 2008년 3월에 ‘도시계획시설사업 실시계획 인가’가 고시되었고, 서울시와 성북구청의 재정지원과 한성대학의 분담금 25억 8 천만 원이 투자된 확장공사는 기존도로 약 300m 기운데 지l 개발이 예정된 150m플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12m(도로 7m/ 인도 5m) 로 확장하였다. 이 시엽은 한성학원은 물룬 지역주민들에게 쾌적한 가로흰경을 조성하였고 향후 재개발 지역의경제적 가치를 증대시키는 효괴를 가져왔다.
2012년 12월 14일 이사회에서 걸친 건축소위원회와 두 차례에 걸친 21세기발전위원회에서 논의를 거쳐 올리온 한성대학교 (가칭) 종합관 건축 계획(안) 심의 절과 종합관을 신축하는 것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휘트니스센터를 종합관 내부에 조성카쿄 의결하였다.2013년 4월 26일 이사회에서는 학교법인 한성학원 수익용 기본재산(충청남도 당진군 송산면 동곡리 소재 토지 42 필지 321.773㎡, 주택 및 창고 243. 92㎡) 의 산업단지로 수용하고 수용에 대한 보성금으로 일금 29,080,969,650원을 수령하는 것을 승인하였다. 이러한 보싱금으로 수익용 건물을 매입하자는 의견이 2013년 6월 21일 이사회애서부터 본격적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하였다.2014년 10월 교육부 각종평가지표에 포함되어 있는 교사확보율이 100%에 못 미치싱홍1.은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대상이었다. 이 문제에 고심해 온 대학당국은 2012년 8월 정주택 총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법인의 이사들과 감사 그리고 대학의 주요보직자들이 대거 참여한 ‘21 세기 발전위원회’를 발족하였다. 21세기 발전위원회는 공간 확충계획 수립을 위해 강신일 교무처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위원에 이정일, 김동균, 황기연 이사, 김용국 감시 이창원 기획협력처장, 박준철 총무처장, 명광주 학생처장 등 법인과 대학의 주요 보직자들과 건축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한, 정호섭, 민태욱, 조자연 교수로 구성된 건축소위원회를 가동시켰다. 건축소위원회는 수차례 심도 있는 회의를 거쳐 미침내종합관(가칭) 신축 계획을 확립하였고) 2014년 9월 기공식을 거행하였다. 2016년여름 준공예정인 종합관은 지하 2층, 지상 12층 건물로 공간 부족 문제를 일거에 해소할 뿐만 아니라 충분한 면적의 주차장을 지협에 확보함으로써 지상에 차가 없는 쾌적한 캠퍼스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2.7.3 한성대학교의 총장 선출 및 운영과 관련된 갈등2008년 10월 6일 총장선출제도개선 소위원회를 구성하여 이종훈 이사를 위원장으로 위원으로 박용일 감사, 홍용식 대학평의원회의장, 이창원 행정학과 교수, 정대홍 법인사무국장으로 구성하여 대학 교협 변경요청안, 직원노조 변경요청안을 토대로 제 5대총장후보자선출규정을 다음과 같이 변경 확정하였다.“선정위의 구성을 교수대표 3 인을 4 인으로 직원대표 1 인을 2 인으로 늘리고 예비후보자 선정 7 인을 5 인으로 줄이고 전체 교수회는 선정위에서 선정한 예비후보자 3 인을 이사회에 보고한다를 “선정위는 전체 교수와 직원의 투표 결과에 따라 최종후보자 2 인을 선정하여 이사회에 보고한다. 다만 직원의 투표결과는 직원 실제투표자수의 15%를 산정하여 반영한다로 개정하는 안을 이사회에 상정하였다.
2008년 11월 14일 이사회에서는 총장후보자선출규정(안) 에 대하여 총장선출제도개선 소위원회 이종훈 이사로부터 변경안의 내용에 대해 설명을 들었다. 일부 이사들이 “총장최종후보지를 2 인으로 제한한 것은 총장임명권이 있는 이사회의 선택의 일 뿐 아니라 외부 인시를 총장후보로 초빙하고도 이를 봉쇄히려 한다는 인상을 있음을 언급하였다. 또 선정위에 교수와 직원을 1 명씩 늘리면 학생과 이사도 1 명씩 늘려야 한다는 주장을 하였다. 이에 논란이 가열되자 안건 심의를 일단 보류하고 차기 이사회로 넘겼다.2008년 12월 5일 이사회에서 직원노조의 투표참여 (투표자수의 15%) (안)에 대하여 받아들이자는 의견들이 개진되었으나 직원이 총장 선거에 참여하는 것은 총장의 직무수행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의견을 받아 들여 제6대 총장후보자선뜰규정은 현행 제5대 총장후보자선출규정대로 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이사회 총장후보자 선정위원으로 이경일 이사, 계경문 이사를 선출하였다.
2009년 2월 13일 이사회에서 교수회의를 거쳐 올라온 3 인 중에서 제6 대 총장으로 무기명 비빌투표 방법을 통하여 행정학과 정주택 교수를 선임하기료 하여 3월 1일자로 제6대 한성대학 총장으로 취임하였다.2012년 9월 12일 개최된 이사회에서는 보직교수임명 파동과 관련해서 대학에서 상정한 보직교수 임명 건과 직원전보 임용 건을 이사장에서 총장이 행하는 정관 개정에 대하여 논의한 결과 부결시가고 법인정관 운영시행세칙폐지는 통과힘으로 그동안 운영하였던 이사장 자문위원 제도를 폐지하였고, 차기 총장 선출과 관련하여 이사 5 망 감사 1 명으로 소위원회를 구성하여 연구하도록 의결하여 김동균 이사를 위원장으로 선임하였다2012년 12월 3일 긴급 이사회에서 총장선출관련소위원회의 직선제와 간선제, 총장선정위원회 구성에 대한 겸토 등에 대해 보고를 받았다. 이후 이사회는 총정선출 방식의 변경은 “상당한 후속조치가 필요하고, 시간적으로 어려움이 많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직선제의 실시에 대해서는 장기적인 과제로 연구하고, 금년에는 소위원회 안을 결정키로 함어l 따라 기존 규정 중 제목을 제7대 총장후보자선출규정으로 변경히고 전제 조문은 현행대로 하고 시행일은 이사회 의결일자인 2012년 12월 3일 자로 승]-기효 결정하였다.
2013년 1월 29일 긴급이사회에서는 제7 대 총장 후보 내외지원자 비율 겸정에 대하여 총장후보자 선출 규정 제4조 4항과 5항 “예비후보자는 총장 후보자 공고 당시 한성대학교에 재직하는 자와 그러하지 아니한 자의 비율이 어느 한 쪽도 3분의 2를 념지 않도록 한디 “선정위는 위의 절차에 따른 예비후보지를 선정하기가 불기능한 경우에 그 이유와 대안을 이사회에 보고하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에 따라 1 차부터 5차에 결친 선정위원회 심사 결과 규정에 의한 내외 지원자별로 4:3 비율로 예비후보자7 명을 선정할 수 없어 이사회에 상정된 안건에 대하여 ‘한성대학교 제7대 총장 후보 내외지원자 비율 결정은 규정에 따른다.’로 의결하였다.
2013년 2월 14일 이사회에서 총장 후보자 3 인 강신일, 유병호, 정주택 후보지들과의 면담을 통하여 전 교무처장 강신일 교수를 제7대 총장으로 선임하여 이 해 3월 1일 자로 취임하였다.III. 창학정신과 교육이념
III. 창학정신과 교육이념
3.1 창학정신한성학원의 창학정신은 한성학원의 설립 취지에 잘 나타나 있다. 우촌 김의형 선생은 “과거 일제의 압제 하에서 우리 민족이 눈물겹도록 배움에 굶주렸던 것과 8. 15 광복과 함께 외국의 그릇된 풍조가 노도와 같이 잘못 밀려들어오는 것을 안일하게 좌시할 수 없어서 우리 한국정신을 이어 받아 국기를 위해 이바지할 인재를 양성할 돗에서였다고 밝히고 있다. 특히 일제 식민 통치의 원인 중 하나가 민족과 역사에 대한 소명의식에 대한 교육을 소홀히 한 데 비롯되었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대한민국에 가장시급한 일은 대한민국의 장래를 위해 헌신하고 봉사할 수 있는 젊은이를 양성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김의형 선생은 이러한 창학동기를 가지고 해방되던 그 해 10월에 한성여자중고등학교를 설립하고, 다음 세 가지를 한성학원의 건학정신으로 삼고 이를 교육 현장에서 실천하기로 하였다.첫째, 역사의 부름과 민족과 사회가 필요로 하는 소명의식을 고취시키는 것이다. 우촌선생은 삶의 유형을 개인이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사는 개인주의적 삶과 민족과 사회의 부름에 응답하여 헌신과 봉사하는 사회적 삶이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개인주의 적 삶에 머물지 않고 역사의 변천 속에서도 참된 도리에 벗어나지 않는 몸과 마음가짐갖추고 민족과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삶을 살기 위해서는 교육을 통하여 역사적 소명의식을 배양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둘째, 우리 민족, 즉 한국적 정신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것이다. 우촌 선생은 우리민족이 외세의 침략을 받고 오욕의 삶을 산 것은 우리 한국의 정신을 계승하고 발전시커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젊은이들에게 우리 민족의 정신을 심어주어다시는 외세의 지배를 받는 오욕의 역시를 반복하지 않아야겠다고 생각하여 민족정신을 고취시켜야 한다고 생각하았다.
셋째, 지덕제(智德體)의 조회를 겸비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 역시소명의식과 민족정신의 고취리는 교육 정신의 토대 위에 덕과 지식, 그리고 체력을 갖춘 지성과 실천력을 갖춘 건강한 지도지플 양성하고자 한 것이다. 우촌 선생은 교육의 일차적 목표는 무지 (無知)로부터 해방이라고 생각하여 피교육자에게 새로운 지식을 기→르지는 행위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하지만 이러한 앓이 지식(知識)에 머물지 않고 시물의 이치를 깨닫고 판단할 수 있는 지럭(智)의 단계로까지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했다한편 지력과 함께 참디운 인간의 품성(品性)도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선생은 어느시대 야느 나라이든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훌륭한 인간을 배양하는 것, 즉 ‘품성 도야와‘인격교육’이라고 생각했디 특히 우촌 선생은 우리나라는 동방예의지국이리고 지칭할 만큼 에의와 도의심을 모든 기치에 우선하는 사회 윤리로 지켜왔다는 것을 강조하며 선생 지신의 삶도 이테한 점을 중요시하며 살았다.미지믹으로 체(體)의 교육을 중시하였다. 선생은 지(智)와 덕(德)을 갖추어도 체력이뒷받침해주지 못히면 기형적인 인간이 되기 십상이라고 생각했디 아무리 좋은 생각을 갖고있고 갖추고 의지가 있어도 체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띤 실천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잘 알았던 것이다. 우촌 선생이 일본체육대학으로 유학을 결심한 것도 평소 체육의 중요성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요컨대 역사의 부름과 사회의 요구를 분석하고 그 안에서 자신의 소명의식을 발견하고, 우리 민족의 정신적 정수를 승계·발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소명의식과 한국적 정체성을 구현할 수 있는 덕성과 지성을 겸비하고 실천할 수 있는 건깅한 체력을 기잔 인재를 양성히고자 한 것이다.김의형 선생은 이러한 건학정신의 구현을 목표로 하여 1945년 9월 경성여자기예학교를 인수하여 다음 해 4월 9일 한성고등여학교를 변경하였다. 이후 한성여자중학교로 교명을 맨정하였다가 1951년 5월 한성여자중학교와 한성여자고등학교를 분리한 후 양교의 교장으로 이를 운영하였다. 또한 김의형 선생은 1972년에 한성학원의 숙원 시엽이었던 ‘한성여자대학'을 설립하여 초대 학장으로 이를 운영하였다. 그리고 1978년에는 이룹 ‘한성대학’으로 발전시켰다. 이 한성대학이 1993년 종합대학인 ‘한성대학교’로 승격되었던 것이다3.2 교육이념과 교육목표
3.2.1 교육이념한성학원의 교육이념은 진리 (j웹뿔)와 지선(至善)이다. 진리는 한성학원의 궁극적인 목적이 진리를 탐구하는 데 있다는 것으로, 교육기관으로서 한성학원의 정체성을 천명한 것이고, 지선(至善)은 우리대학이 배출할 인재와 추구할 가치를 말하는 것으로, 한성학원이 추구하는 가치와 인재상에 대해 천명한 것이라 하겠다.진리(眞理)는 ‘참된 이치’라는 사전적 의미가 말하고 있듯이 외부에 드러나는 표면적 이치, 눈속임하는 가식적 이치가 아닌 궁극적인 실제의 이치를 의미한다. 이 ‘참된 이치’우리를 둘러싼 모든 사안에 관계되어 있으므로, 진리란 정치·경제·사회·문화 ·종교 등 인간과 사회와 우주의 모든 것에 내재된 진실한 이치를 의미한다고 하겠다.지선(至善)이란 ‘지극한 선’을 의미한다. 이 말은 『대학(大學)』의 ‘지어지선(止於至善)’에서 가져온 것을 ‘더할 수 없는 지극한 선에 이른다.’라는 돗이다. 이는 우리대학이 추구하는 가치가 ‘지극한 선’이며, 이러한 ‘지선’을 추구하고 실천하는 인성을 겸비한 사람을 길러내는 것을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고 있음을 선언한 것이다.학문에 힘써 진리를 탐구하는 과정과 결과가 지선의 가치를 지향할 때 의미가 있으며, 지선의 가치를 가지고 진리를 탐구할 때 진정한 힘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원자폭탄이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을지라도 이것이 지극한 션을 행하는 데 기여하지 못한 것이라면 인류에게 의미 있는 탐구가 될 수 없는 것이다.우리 한성학원이 진리와 지선을 교육이념으로 삼은 것은 한성여자중학교·한성여자고등학교·한성대학교와 그 구성원이 다양한 분야에서 학문에 힘써 참된 이치인 진리를 찾고, 이러한 진리가 개인과 이웃과 인류에 궁극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선의 가치를 추구하고 실천하여 건강하고 좋은 사회와 세계를 만들기를 희망한 것이다.3.2.2 교육목적
현재 한성학원의 교육목적은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에 입걱하야 학술의 이론과 응용방법을 교수·연구하여 국기와 인류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지도적 인격을 도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되어 있다. 이는 대한민국의 교육이념과 교육목적, 그라고 한성학원의 진리와 지선이란 교육이념을 반영한 것이다.대한민국의 교육기본법 제 2조에는 ‘교육은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히아금 인격을 도야(1쉐감)하고 자주적 생활능력과 민주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갖추게 힘으로써 인간디운 삶을 영위히케 하고 민주국가의 발전과 인류공영 (人廳洪짧)의 이상을 실현하는 r;11 에 이비지하거l 함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되어 있디 즉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은 홍익인간이고, 교육목적은 홍익인간의 이념에 따라 개인적으로 인격도야와 자주적 생활 능력과 민주시민으로서의 지질을 갖춘 후, 개인의 삶-윤 영위할 뿐만 아니라 국기와 인류를 위해 일할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대한민국의 교육이념을 비텅-으로 한성학원의 교육목적을 설명하면 ‘홍익인간과 진리. 지선의 이념에 입각하여, 학생으로 하여금 제 학문 분야의 전리촬 궁구히도록 하고, 최고의 인격과 자주적·민주적 능력과 자질을 갖추도록 힘으로써, 개인과 국가와 인류에 도운이 되는 시람을 양성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3.2.3 교육목표한성학원의 교육목표는 ‘진리와 지선의 교육이념 아래 진리를 탐구히고 덕성을 함양하여 국가 . 사회 및 인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 그다.’는 것이다. 이는 교육 이념을 반영한 교육목적에 입각하여 학생 교육탐구’, ‘인격도야, ‘인재양성’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세운 것이다.한성학원은 3개의 구체적인 교육 목표 아래 각각 다음과 같은 3개의 시행덕목을 두고 있다.
진리탐구
첫 번째 목표는 ‘진리탐구(진리탐구)'이다. 이는 누구나 인정하는 보편타당한 참된 지식과 논리를 뭇한다. 이러한 것들은 시대의 흐름과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며 확장된다. 우리는 사물의 근본원리를 밝혀내기 위해서는 역사적으로 축적되어 온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해야 하며 또한 새로운 시대의 흐름과 요구를 읽어낼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창의력의 개발이 있어야 하며, 바른 가치관을 확립함으로써 진리 탐구의 결괴를 사회가 인류의 발전에 할 수 있도록 학생들을 육성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목표는 ‘인격도야(인격도야)’이다. 이는 참된 도리를 지켜나가는 올바른 사람을 육성하겠다는 것이다. 올바른 사람이란 개인의 이익이나 시류에 흔들리지 않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며 실천하는 사람을 말한다. 인격도야를 위해 동양에서는 학문의 연마와 함께 덕성을 쌓는 것을 중하게 여겼다. 또한 건전한 육체에 건전한 정신이 깃든다는 말이 있듯이 인격을 도야하는 데 신체의 단련 역시 중요한 방법이었다. 몸과 마음의 수양을 통해 덕성과 건강한 신체를 단련함으로써 민주시민사회의 일원으로서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인재를 육성한다는 것이다.
세 번째 목표는 ‘인재양성(人才養成)’이다. ‘인재양성’의 목표는 ‘민족 자부심 함양, ‘건전한 시민의식 고취’, ‘국가 · 인류의 번영에 기여’라는 세부 목표를 두고 있다. 이는 사회와 국가와 세계의 발전 및 이웃과 민족과 인류의 번영에 도움을 주는 인간을 육성하려는 것이라 하겠다. 한성학원의 설립 초기에는 인재양성의 방향을 ‘민족-사화-국가-인류’의 순으로 두었던 것 같다. 이는 설립 당시 우리나라의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한 개인의 성장을 인류의 발전에 이바지라는 방향성을 고려한 것이라면 ‘이웃/사화 국민(민족)/ 국가- 인류/ 세계’의 순으로 두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3.3 교육기관법 교육목표
3.3.1 한성여자 중·고등학교의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한성여지중고등학교의 교육목적은 대힌민국의 이념인 ‘홍익인간을 구현하기 위하여 인격과 실력을 갖춘 건전한 민주시민을 육성한다.’는 교육이념과 본교의 교육이념은 진리와 지선을 바탕으로 “지성·인성·감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적이고 도덕적인 인재를 양성한다. 규정되어 있다. 학생들이 지적 능력뿐 아니라 적인 인성을 고루 갖춘 몸과 마음이 건강한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것이며, 동시에 타인과 공김히고 소통할 수 있는 감성을 갖춘 인재플 육성하겠디는 것이다.이러한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화된 교육목표는 다음과 같다.심신의 발달을 추구하고 자기발견의 기회를 가짐.학습과 생활에 필요한 기본능력과 문제해결력을 기르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경 가짐.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기능을 익혀 적극적으로 진로를 탐색하는 경 기짐.우리의 전통과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지니고, 이를 발전시카려는 가짐.자유민주주의 기본적 가치와 원리를 이해하고, 민주적인 생활빙식을 익힘이러한 교육목표와 함께 다음과 같은 교훈을 통해 학생을 육성한다고 팔 수 있다.참되고 착한 사람이 되자.슬기롭고 이름다운 사람이 되자.의롭고 건강한 사람이 되자.
3.3.2 한성대학교의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
한성대학의 교육목적은 ‘대한민국의 교육이념과 본교의 건학이념을 바탕으로 공동선(共同善)을 추구하는 창조적 인재를 양성한다.’로 규정되어 있다. 즉 우리대학은 새로운 지식과 생각을 능동적으로 받아들이며,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연한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것이며, 더 나아가 국가나 사회를 위한 공동선(善)을 실천하는 인재를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이러한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화된 교육목표와 인재상은 다음과 같다.열린 사고와 국제 경쟁력을 갖춘 세계인 육성흉 공동체 의식과 문화적 소양을 갖춘 사회인 육성다양성과 창의성을 갖춘 전문인 육성위에서 제시한 세계인, 사회인, 전문인이 갖추어야 할 CENTER형 인재의 능력은 다음과같다.
전문적 지식과 유연한 사고를 갖춘 창의성(Creative)폭넓은 지식과 능력을 기반으로 한 효율성 (Efficient)원활한 네트워크 구축 및 소통능력 (Networking)자기주도성과 긍정적 태도를 바탕으로 한 신뢰성 (Trustful)도전정신과 리더십을 갖춘 적극성 (Energetic)사회가 필요로 하는 능력과 태도를 갖춘 준비성 (Ready)이상과 같이 기술된 설립이념, 교육목적, 교육목표, 인재상은 다음과 같이 연관되어 있다.
건학야녕
3.4 교육기관낼 상징
3.4.1 한성여자중·고등학교의 상징
교표 교화 교목
교기-한성여자중학교 교기-한성여자고등학교
1) 교표
교포 안에 쓰인 ‘한성’이라는 명칭은 옛 서울(조선시대)의 이름으로 우촌 김의형 선생의 건학정신인 ‘한국정신’의 앙양과 국적 있는 교육을 하자는 근본 취지를 나타낸다.교표의 전체 형상은 예로부터 우리나라 여성들이 직조(직조)할 때에 자료로 쓰이던 꽃인 목화이다. 교표 주위의 ‘ ’ 모양은 ‘사람(人)’을 나타내며 이것이 5개인 것은 인왕산, 북한산, 북악산, 남산, 낙산을 나타내는 것이며, ‘한성’을 둘러싸고 있는 ‘ㅇ ’모양은5대 진산에 둘러씨인 서울을 상정한다.
전체 바탕인 흰색은 우리 민족의 순결함과 더불어평회를 애호하는 배달민족의 기상을 상징하며 성숙한 여성상을 나티낸다. ’개의 꽃잎과 원과 ‘한성’의 두 글자는 모두 자주색으로 진취적인 기상을 나타내며 목화가 개화하기 시작할 때의 색채로서 정치- 활짝 피어나 장래를 짊어지게 될 청소년의 발랄함을 상징하기도 한다.2) 교화교화인 목련은 순백의 정결함 속에 배어 있는 분홍빛의 화시함은 선세 히고 아름다운 학생들의 마음을 나티낸디 꽃이 지고 난 후에 하얀 솜을 맺이서 의생환의 주된 재료가 쓰임새는 시회 빨전을 위해 꼭 필요한 인재로 자라고자 하는 한성여중고 학생들의 의지를 띄여주며, 추위로부터 보호하여 따뭇하게 감싸주는 목회솜의 소중함은 가정과 사회를 위해 헌신하고 봉시하-는 한성인의 가치관을 담고 있다.3) 교목
교목인 은행나무는 수맹이 긴 나무로, 한성여중고의 무궁한 발전을 기약한다. 수려한 자태와 고싱한 기풍은 한성여고 학생들의 순결한 마음과 고상한 인품을 뜻하며, 열매는 식용과 악용이 되고 니무는 고급 기구로 이용되는 것은, 국가와 사회에 이바지하는 유능한 새 일꾼이 됨을 상정한다.4) 교기교기는 교색인 자주색을 바탕으로 하여 가로가 98cm, 세로가 8.2cm로 되이 있다. 교기의 증앙에는 직경 25cm의 원형과 ‘한성’의 상징인 교표가 수놓아져 있고, 그 이래에는 ‘한성여자중학교’, ‘한성여자고등학교’라는 교명이 은색 수실로 수놓아 기재되이 있다. 교기는 각종 학교 행사 때에도 필수적으로 사용되어 한성여자중·고등학교를 대외적으로 상징한다.5) 교가
교 7~
3.4.2 한성대학교의 상징
1) 교표교표는 우리대학의 구성원임을 증명히고 구성원들 간의 일처l 잡과 소속김을 고양시키는 상정물이다. 우리대학의 정처l 성을 유지하되 시대적 흐름과 디자인적인 아름다움을 고려한 다양한 디자인적 변화가 있었다.
1972년 ~ 1977년
2007년 ~ 현재
2) 거북
거북은 예로부터 십장생의 하나로 일컬어져 왔으며 기린, 봉황,
3) 삼학송
삼학송은 우리대학 정문 옆에 우뚝 솟은 소나무 세 그루로,
4) 교기
교가는 우리대학의 이미지를 대내외적으로 나티내는
개교 당시 학교의 교기는 그 바팅을 자주색으로 하고 중앙에 교표를 그려 넣고 아래에 흰 글씨로 한성여자대학윤 새겨 놓았다. 1978년 교명과 교표가 바뀌면서 자주색 바탕에 교표와 한성대혁을, 1984년 거북이 분양으로 교표가 바뀌띤서 새보운 교표와 아래 흰색으로 한성대학교라 적어 놓았고, 가운데 진한 밤색을 백색으로 표현히고 아래 육각형을 떠받치고 있는 밤색 도헝을 히늘색으로 변경하였다. 이후 1991년 교기는 같은 자주색 바탕에 원래의 진한 밤색과 도형으로 제직-되어 있디 2007년 U.I.가 변경되면서 교기는 화이트 고급공단에 중앙에 지정색 자수 처리로 이미지 01크플 새겨놓고 은색사로 장식을 마감했다.
5) 기타
(1) 이미지 마크
대학의 이니셜인 U지를 기본으로 반복 활용하였으며 두 개
(2) 개교 35 주념 기념 상징
HANSUNG
(4) 2008년 상상력 상징
(5) 2012년 개교 40 주년 로고
6) 교가
(1) 한성여자대학 시절 교가
며 싸 )!I 씩 훌 11! .l1 짝
(2) 남녀 공학으로 전환되면서 새로 만든 교가
한성대학교 교가
IV. 교육기관
IV. 교육기관
4.1 한성여자중학교4.1.1 한성여중의 성장 (1951 ~1976)1) 설립자 및 학교장인 김의형 선생의 헌신1951년 8월 31일 한성여자중학교가 한성여자중학교와 한성여자고등학교로 분리된 후 한성여중·고의 교장으로서 역할을 수행한 사람은 한성학원의 설립자 겸 초대 이사장인 김의형 선생이었다. 김의형 선생은 25년간 1 대부터 7대까지 한성여중·고의 교장으로 활동하면서 학교의 성장을 위해 정신적·물질적인 기여와 헌신적인 노력을 하였다. 이 결과 한성여중·고의 비약적 성장이 이루어졌다.
김의형 선생은 1억 1, 150만원 가량의 시재를 출연하고, 친척과 친지들로부터 8,000만원 가량의 돈을 기부 받아 1953년 1월 21일 재단법인 한성학원을 설립하였다. 그리고 1953년부터 1958년까지 한성학원의 이사장 겸 한성여중·고의 교장으로서 김의형 선생은 한성여중·고의 성장을 위해 상당한 규모의 재정적 지원을 하였다. 그는 1953년 충남 당진군 송산변에 위치한 땅의 공유수면매립권을 인수하여 1955년 경 한성제염사를 설립하였다. 그리고 여기에서 얻어진 연간 수익 약 1,651 만환 중에서 979만환을 한성여중에, 672만환을 한성여고에 지원하였다. 1956년도의 경우, 한성여중·고의 세입 12,897,000환 중에서 76%에 이르는 막대한 비중을 차지한 것은 9,792,000환에 이르는 재단보조금이었다.이러한 한성학원의 엄청난 지원에 힘입어 한성여중·고는 교시를 증축하고, 학교시설을 늘릴 수 있었다. 1958년 12월 21,949㎡ 3층의 고등학교 교사를 마련한 후 1964년에는 이를 4층으로 증축하였다. 그리고 1959년에는 구관인 중학교 교사의 동쪽 편 건물을 증축하였다. 1959년 현재 연구관 자리에 4층의 괴학관건물을 짓는 것을 시작하여 1961년 완공하였다. 1962년에는 체육관을 건립하기 시작하여 다음해에 왼공하였다. 1967년 10월에는 경기도 양주군 와부띤에 의화장을 설립히여 교직원 휴양과 학생 생활교육의 장으로 활용하였다. 또 1971년에는 수영장을 건설하기도 히았디
2) 한성여중의 교직원1961년 11월 당시 한성여중의 교직원은 한성여고의 교직원과 구별이 되지 않고 한 기관 소속처럼 활풍하였다 1961년 당시 한성여중· 고의 교직원은 다음의 표와 같다.<표 30> 1961년 당시 한성여중·고의 교직원
직위 성명 성별 연령 최종졸업 학교명 자격 담당과목
직위
위의 표와 같이, 한성여중과 한성여고는 1961년 당시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13 명, 전임강사 5 명이었다. 교수진의 경력을 살피면, 상당히 우수한 교수진을 갖추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한성여중과 한성여고의 35살 이하의 젊은 교시와 전임강사는 9 명 중 5 명이 서울대 출신이었다. 그리고 연세대학, 숙명여대, 동국대, 일본미술전문대 출신이 각기 1 명이 있었다.
1960년대 중반에 이르면 학생과 학급의 증가에 따라 교직원의 수고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1966년 당시 한성여중·고의 교직원은 다음의 표와 같다.<표 31> 1966년 12월 당시 한성여·중고 교직원 명단
직위 성명 출신도 담당과목 직위 성명 출신도 담당과목
직위 성명 출신도 담당과목 직위 성명 출신도 담당과목
교사 신달우 충북 서예 교사 김용섭 전북 과학
3) 한성여중의 학급수와 정원
한성여중의 연도별 인가학급수와 실제학급수, 그리고 정원은 다음의 표와 같다. 다음의표에 따르면, 인가 학년당 학급수는 2 - 4 - 8 - 12로, 인가 전체 학급수는 6 - 8 - 10 - 12 -24 - 28 - 30 - 32 - 34 - 36로, 학급당 정원은 50 - 60 - 70으로 증가되었다. 그리고 전체 정원은 300명에서 2, 520명으로 증가되었다.
실제학급수와 학급당 인원은 1961년도와 1968년도의 것이 확인된다. 1961년도 한성여중의 학년별 실제학급수와 인원은 1 학년 8학급 510명, 2학년 8학급 571명, 3학년 7학급 508 명이었다. 학급당 정원은 전 학년 50명이었으나, 실제 학급당 인원은 1 학년 63.8영, 2학년 71.4명, 3학년 72.6명이었다. 그리고 전체정원은 1,400명이었으나 실제 전체 인원은 1, 589명이었다. 1961년도에는 28개 학급을 운영하여야 하였으나, 실제로는 23개 학급만 운영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1968년도에는 인가 학급 30개, 학급당 정원 60명, 전체정원 1,800명과 유사하게, 실제 학급 30개, 학급당 인원 61 .4명, 전체인원 1,843 명이었다.
연도 규정학급수 실제학급수 규정전학급 실제전학급 학급당정원 실학급학생수 학년당정원 실학년당학생수 전체정원
연도
한성여중은 1950-60년대 시험으표 중학생을 선발하였을 때 후기보 희생을 선발하였다. 1954년 12 원 중학생의 선반 시 40개교는 전기, 42개교는 후기였는데,한성여중은 후기았다 이 전형땅l쉽은 1960년대 중빈에도 이어져, 한성여중은 1964년 12월에 선발한 196 '5년도 임헥생 ll 침 시아l 도 후기로 모집하였다. 모집정원은 600명이았는데, 체육 음악 미술 등은 특기잔형이 있었다.
1968년 중학교 평준화에 관한 법이 통과되어 다음 해부티 무시험으로 입학생을 배정받게 되었을 때, 한성여중은 성신여중, 정신여중, 성신사대부속야좋파 함께 여자 학군의 공동지역에 편성되았디 당시 한성여중은 혜회 창경, 돈암, 효제 삼선 정덕 우촌, 은석, 안암, 성산사대부속 국민학교의 학생들을 배정받있다.4)주요 교육 활동
(1) 실력 향상 활동김의형 교장은 실력 향상을 교육 휠동의 우선순위로 삼았다. 그리히여 그는 1956년 이후 『의회』까지에 성적우수반 발표 표창, 1958년 이후 과제물 전시회 실시, 1959년 이후 장학생제도 시행, 1961년 이후 영어, 수학, 국어 중심으로 교내학력경시대회 실시, 1962년 ‘실력 충실의 해’ 선포, 1964년 이후월례교사 실시, 1966년 이후 영어 외우기 대회실시, 1968년 이후 무감독고사 실시, 1976년 이후 영어 외우기 대회 개최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2) 운동부의 활약
설립자 김의형 교장은 일본체육전문대학 출신의 체육인이었다. 그리고 그는 일제강점기에도 체육교사로서 탁구부를 육성하기도 하였다. 김의형 교장은 한성여중·고에다양한 운동부를 만들어 운영하였다. 1952년부터 1959년까지 탁구부를 만들어 운영히였고,1959년부터 1968년까지 핸드볼부(송구부), 1962년부터 1965년까지 정구부, 1959년부터 1976년까지 운냥부, 1962년부터 1976년까지 배구부를 만들어 운영하였다.이 운동부들은 전국대회에 출전하여 우승·준우승 등의 수상을 하였고, 다양한 친선활동을 벌였다. 몇 가지 예를 들변 다음과 같다. 한성여중 정구부는 1962년 11월 8일 서울운동장에서 개최된 중등부 연식정구대회에서 박혜식(朴혜식) . 최옥희(崔玉熺)조가 우승을 차지하였다. 한성여중 배구부는 1964년 1월 중순 한성여고에서 열린 서울시남녀중고 동계배구 연맹전 여중3부에서 4전 전승으로 패권을 차지하였다. 또 1965년 9 인제 충비패권종별배구선수권대회의 결승에 진출하였고, 1966년 4월 중순 서울운동장에서 개최된 ‘ 1966년도 춘계님-녀중고고배구연맹전’의 여중1 부전에서 3 전 전승으로 결승에 진출하였다. 한성여중 핸드볼부는 1966년 6월 제21 회 전국핸드볼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하였다
(3) 카드섹션 활동1960년 방콕아시아경기대회에서 카드섹션이 행해진 것을 보고 깊은 인상을 받은 김의형 교장은 민관식 문교부 장관과 함께 1967년 전국체육대회에서 한성여중 및 한성여고의 학생들을 참여시켜 카드섹션 행시를 시작하였다. 이는 학생들의 단결력을 키우고 성취감을 높이기 위한 일환이었다.처음에는 40 여종의 그림을 연출하였으나 해가 갈수록 규모와 모양이 발전하였다. 1971년에는 여의도 광장에서 개최된 국군의 날 행사에서 박정희대통령의 초상과 무궁회를 연출하는 등의 시연을 벌여 내외 귀빈과 참가 군인과 일반 방문객 등으로부터 빅수를받았다. 한성여고와 한성여중의 학생들은 1967년부터 1979년까지 전국체전과군의 날 행사 등에서 카드섹션을 벌여 대통령 표창, 문교부장관 표창, 체육회장 감사장, 각종 표창패와 상품을 받았다. 심지어 1971년 11월에는 한성여중의 교감 임양수가 5년간 전국체전에서 카드섹션을 맡아온 공로로 한성여고의 교감 김영희와 함께 국민훈장석류장을 받기도 하였다.
(4) 특활부 활동한성여종은 학생들로 하여금 집단 활동에 자발적으로 침여히케 하여 협동심을 기르고, 학생의 취미와 소질을 계빌하여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고 조회로운 인간육성하고자 각종 특활부 활동을 행하였다. 창학기에 만들어진 연극부는 각종의 예술제와 행사에서 ‘마의태자', ‘신라의 애사 ‘호동왕자, ‘춘향전’, ‘낙랑공주’ 등의 공연을 하였다. 1950년대에 창설된 춰주악부는 1974년 해체 되기끼지 각종의 예술제와 행사에 참여하여 한성인의 사기를 드높였다. 이 외에도 웅변부, 음악부, 미술부, 서예부, 문예부 등의 특활부가 교내외 훤꽁을 통해 한성여중고의 이름을 널리 일랐다. 한성여중 음악부의 학생들은 1963년 10월 5일괴. 6일 드라마센터에서 오페라를 <춘향전> (현제명 곡)을 하였다.5) 민주화운동
한성여중의 학생은 호국정신에 입각하여 자매부대 위문 활동을 벌였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민주회를 위해 시위에 참여하여 자신을 희생하기도 하였다. 그 대표적 인물이당시 한성여중 2학년생이던 진영숙이었다. 진영숙은 3·15 부정선거에 항거하여 일어난 4. 19혁명시 종로에서 시위를 벌이다가 총탄을 맞고 희생되었다. 그녀는 시위에 나가기 전에 다음과 같은 글을 어머니에게 남겼다.“시간이 없는 관계로 어머님 웹지 못하고 떠납니다. 끝까지 부정선거 데모로 싸우겠습니다. 지금 저의 모든 동무들 그리고 대한민국 모든 학생들은 우리나라 민주주의를 위하여 피를 흘립니다. 어머님께서는 데모에 나기는 저를 책하지 마시옵소서. 우리들이 아니면 누구가 데모하겠습니끼? 저는 아직 칠없는 줄 입니다. 그러나 국가와 민족을 위하는 길이 어떻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저의 모든 학우들 죽음을 각오하고 나갈 것입니다. 저는 생맹을 바쳐 싸우려고 합니다. 데모하다 죽어도 원이 없습니다. 어머님 저를 사랑하시는 마음으로 무척 비통하게 생각하시겠지만, 온 겨례의 앞날과 민족의 해방을 위하여 기뻐해주세 요. 이미 저의 마음은 거리로 나가있습니다. 너무도 조급하여서 손이 잘 놀려지지 않는군요. 부디 몸건강히 계세요. 거듭 말씀드리지만 저의 목숨은 이미 바치려고 결심하였습니다. 시간이 없는 관계상 이미 그치겠습니다이 글과 같이 진영숙과 그의 친구인 한성여중의 학생들은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발전을 위하여 죽음을 각오하고 민주회운동을 벌였던 것이다.
6) 위문과 의연 활동한성여중의 학생들은 국군장병 위문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는 국가적인 시책이기도 하였지만 김의형 선생의 창학정신인 애국정신의 발로이기도 하였다. 1966년을 예로 들면, 한성여중의 학생들은 1966년 12월 국군장병 위문품으로 『동아일보』 1개월분 134부동아일보사-에 기탁하였다.한성여중의 학생들은 주위의 어려운 사람들을 돌보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한 예로 재해를 당한 주변의 가난한 이웃에게 도움을 주기 위하여 의연활동을 전개하였다. 1966년 1월 1966년 7월 한성여중 2학년 5반 박영숙 외 4명은 가두모금을 통해 확보한2,349원을 동아일보사에 수재의 연금으로 제공하였다. 1966년 8월 초 한성여중 1 학년생 김영신과 김옥경은 각각 2,000 여원의 수재의연금을 동아일보사에 기탁하였다.
4.1.2 한성여중의 도약( 1977~1995)1) 중·고 분리와 학교 현황학교법인 한성학원에서는 한성여중·고와 한성대학교의 교사(校舍)를 상호 이전한다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한성학원 장기 발전 계획’을 1984년에 발표하였다. 이 계획에 따라 1986년 7월 19일 교사 이전을 단행했다. 당시 한성대학교의 본관 건물이 중학교 건물이 되었는데 전교생을 수용할 수 없는 한계 때문에 부득이하게 1 학년은 고등학교 건물 두 개 층을 사용하였다. 교실 부족으로 인해 학습지도 및 자율적인 학생 지도에 어려웅이 있어서 교육청으로부터 단계적으로 학급 감축 승인을 받아, 1985년에는 총 30개 학급으로 편성되었다.한편 1983년부터 교복 자율화 조치가 시행되어 운영되다가 학생간의 위회감 조장, 생활지도상의 문제 등 부정적인 측면이 부각되면서 교복 재착용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교에서도 설문조시를 실시한 결과 찬성 비율이 휠씬 높게 나타넘에 따라 1991년 6월 재칙용을 하기로 결정하고 1 학년부터 단계적으로 칙용하였다.
2) 학교장과 교육방침한성학원의 중·고 분리 정책에 따라 설립자인 김의형 선생이 교장직을 시임하고 교김으로 있던 검앙회 선생이 1977년 중학교 단독 교정-으로 취임히여 1982년끼지 8-9대 교장으로 소임을 디하였다. 초창기부터 학교 발전을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한 김영희 교장은 분리 직후의 어려운 야건 속에서 학교의 기본 체제를 정비하Jl 핵교의 갖추기 위해 노럭하였다. 이라한 열정을 보인 결과 본교는 독립 제제료 기만윤 다지면서 내실 있는 학교로 발전하게 되었다.김영희 교장은 교육이 우리의 충효정신을 바탕으로 한 국력의 증강과 올바른 국기관의 확립을 기하는 원천이 된디고 보았다. 국민 교육 현장 이념을 비딩으보 충효 교육을 깅화하았고, 의무,자립→협동으로 연결되는 책임이라는 기차 제제와 봉사→복지→인간애료 연결되는 시량이리는 아름다운 가치 체계를 융합, 조화시켜 우리 교육이 국가 발전의 근원으로서의 역할을 다 할 수 있도록 힘썼다.
이어서 1982년에 엠홍천 교장(10~11대), 1987년 김인자 교장(12대)이 취임하면서 고등학교와 분리된 이후 중학교 자체의 교육적 역량과 학교 여건을 향상시거기 위해 노력하았디 1991년에는 고등학교 교감으로 재직하던 송대빈 선생이 13 대 교정이l 취임하였다. 송대빈 교장은 본교의 문제점과 보완점을 간파하고 민주적인 의견 수렴 과정을 통하야 적극적인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교육의 주제를 담당하는 교직원틀의 사기 진작이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핵심 사항이라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교직원 건강 관리를 위해 제력 단련 기구를 구입하고, 교무실에 정수기 및 컴퓨터를 설치하는 등 근무 여건 개선에 최선을 디하였다. 교직원 상호 간의 협력과 단합을 특히 강조하아 분위기 조성을 위한 모임을 직접 주선하는 등 물심양면으로 애쓰는 모습은 많은 교시들의 귀감이 되었다.항상 ‘분수를 지키며 서둘지 말고 순리대로 살자’라는 생활신조로 결과만능주의에서 오는 문제점을 극복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데 힘써 왔다. 또 학생들의 소질과 특기를 계발하기 위한 도서실 확장, 미술실, 컴퓨터실 등의 시설 확충으로 면학 분위기 조성에 큰도움을주었다.
연도별 차이는 있으나 이 시기 추진되어 온 주요 학교 운영의 기본 방향은 아래와 같다.① 도덕성 회복을 위한 인간 교육 : 바른 생활의 습관화② 교육의 질 향상 : 학습 능력의 신장③ 과학, 기술 교육의 충실화 : 전산 교육의 정상화④ 교육 여건의 개선 : 학교 시설의 보완⑤ 연찬으로 전문성 제고 : 교원의 품위 유지⑥ 교육의 자율성 신장 : 학교 운영의 힘리화3) 교육과정및교무학사운영
(1) 교육 과정의 변화이 시기에는 제3차 교육과정부터 제5차 교육괴정까지에 걸쳐 학교 현장에 적용되었다. 제3차 교육과정 (1973년 개정 고시)은 기본 지식과 탐구력을 위한 학문 중심 교육과정의 성격을 띠었다. 지식, 기술교육의 쇄신을 강조하여서 기본 능력을 기르고 기본 개념을 파악하게 하며 판단력과 창의력을 함양하는 동시에 지식과 기술의 획득 과정에 관심을 기울인 교육을 하였다.제4차 교육과정(1981년 개정 고시, 1984년 시행)은 국민정신교육의 체계화, 전인교육, 진로교육의 강화, 과학 기술교육의 심화, 교육내용의 양과 수준의 적정화에 두고 건전한 심신의 육성, 지력과 기술의 배양, 도덕적인 인격의 형성, 민족 공동체 의식의 고양을 강조하였다. 제3차 교육과정이 지나치게 지적 학문에 편중되었다는 비판이 일자 전인교육의 강회를 위해 수엽 시간과 교과 학습량의 부담을 줄이어서 인간 중심 교육으로 변회를 기하였다.제5차 교육과정 (1987년 개정 고시, 1989년 시행)은 제4차 교육과정과 같이 인간중심교육과정이라는 바탕에 공똥점을 두고 조금씩 보완하고 수정하였다 21 세기를 향한 미래 사회 건설을 주도할 사람이리-고 생각한 인간상을 자주적인 시람, 창조적인 사람, 도덕적인 사람, 건강한 시람을 목표로 길어야 할 것으로 설정하였다.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조화로운 인격형성, 건전한 집단 생활, 언어·수리 등의 기초기능신장, 정보처리 능력과 탐구력 선정 풍부한 정서생활, 유용한 기초기술 습득과 진로탐색 등 6개 항목을 목표로 제시하았디
12개 교과로 편성펀 교과활동은 이전 제4차 교육과정과 거의 강있-는데 념녀평등 사회 분위기에 발맞추어 공통으로 이수할 수 있는 ‘기술·기정’이라는 괴꼭이 신설된 것이 특정이었디 특벨첼동에는 헥급휠동, 클럽활동, 학생회활동, 학교행사의 4개 영역으로 확대 편성되이서 혁생들의 자치휠동, 자율활동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2) 교무 학사 운영가) 교육평가학습 첼풍에 대한 성취도플 진단하는 교육평가는 교사의 학습 지도에 대한 학생들의 상타l 플 점- 이해힐- 수 있다는 것과 교수 및 학습 방법에 대해 새로이 개선한다는 점등에서 매우 증요하다. 본교는 이러한 관점에서 고사 계획 및 성적 처리 규정 유음 교육 괴정이l 맞추어 실시하았디
평가종류정기 고시는 매학기 중간고시 학기말고사를 함해 연 4회 실시히댔다. 비정기 고시는 학력고시 모의고사 등이 있었으며 학급 딩임의 상담 진학 자료로 활용되었다.교괴의평가- 문헝-은 동일 교과 교시들이 공동 출제토록하며 충분한 협의를 통하여 출제해 왔다. 문항 유헝은 창의력과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관식 문항을 30%) 출제히도폭 하았다.행동 딴달평기는 학급 담임이 1년 동안 학생들의 생활 태도를 누가 기록하였다. 학년밀에 가: 65%, 나: 30%, 다: 5% 기준으로 분포되도록 하였다.성적 처리 규정
학생들의 학습 정도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평가에 대한 공정성과 정확성을 위하여 성적 처리 규정을 제정하고, 성적 처리 과정에서 일어나는 제반 문제를 심의 결정하는 성적관리위원회를 두어서 협의 사안이 발생했을 경우 심의하여 처리하였다.실기평가 기준실기평기를 실시하는 교과는 국어, 과학, 체육, 음악, 미술, 가정 등이었고, 모든 학생들이 객관성을 갖고 수긍할 수 있는평가 기준을 매 학기 초에 각 교과 협의회에서 선정하고 실기평가 직후에는 반드시 학생들에게 공개하여 확인시켰다.성적 처리 전산화1987년부터 전산에 의하여 성적을 처리하였다. 컴퓨터에 의한 성적 처리는 실업계고교 추천제 입학에 따른 내신 성적의 신뢰성과 공정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었다. 1993년 컴퓨터 1 대와 카드 리더기를 구입하였다. 이 시스템을 통해 성적 통계, 개인별 통지표, 신입생 분반고사 등을 컴퓨터로 처리함으로써 교육평가 작업의 정확성과 신속성이 높아졌으며 교사의 잡무를 줄이는데도 큰 효괴를 가져 왔다.
(3) 교무 관련 협의체교무에 대한 분업적 협력 체제를 꾸려서 학교 교육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교무 분장을 구성한다. 교무 분장 조직은 교육 과정 운영을 지원하고 행정 업무의 기능을 위한 성격으로 교장 - 교감 - 각 부 주임 - 각 부 계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1977년 중·고 분리 이후 교무부, 학생부, 연구부, 교도부, 새마을부, 체육부, 국민윤리부 등 7개 부서로 운영되어 오다가 1980년대 정부의 과학기술 교육의 진흥책을 계기로 1985년부터 과학부가 신설되어 8개 부서가 되었다. 이 조직은 1992년도까지 유지되다가 장기적으로 학급 감축에 대비하기 위해 부서 조직 개편을 단행하였고, 1993년부터는 교무부, 연구부, 학생부, 교도부 등 4개 부서로 통폐합하였다. 연구부에는 과학부를 학생부에는 체육부, 교도부에 새마을부와 윤리부 업무를 통합하여 조직하였다. 1995년부터는 교도부의 명칭을 진로지도부로 비꾸어 운영하였고, 이후 방과후운영부서가 생길 때까지 지속되었다.<표 32> 교무 분장표(1995년)
교육부 학생부 연구부 교도부 새마을부 체육부 국민윤리부
가) 주임회의
학교 교육 목표를 중심으보 한 해의 학사 운영 전반에 대한 제획을 수립하는 기구이다. 주임 간부 회의는 교정을 위원장, 교감을 부위원장으로 히고 각 부 주임교사로 구성되어 운영하였다.나) 부별 협의회교무분장에 띠-른 각 부l칠 담당 교사들의 협의 기구로 학교 교육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하야 λ11부 7:11 획을 수립하고, 학생들을 관리하기 위한 서류 처리, 사무 분장에 따른 실무 등 펙교 행정 업무의 유기적인 협조 체제를 다지기 위한 기구였다.다) 학년별 협의회
학년 주임의 주관 아래 학년 딩임, 부담임으로 구성되며 매월 정기적으로 교육 실천 빙댐올위한혐의 하였다. 학급 운영에 대한 정보 교환으로 학급 운영 전략을 공유히고, 팀-임 의진 수램을 통하여 학교 경영에도 도웅을 주었다. 특히 학생들의 생활지도에 대한 문제점을 다각도로 논의하고 그 대책을 세워 실천하였다.라) 교과별 협의회교과 주임의 주관 이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지도를 위해 정기적인 협의를 갖는 조직이다. 제5차 교육과정 시행 당시 본교는 교과 협의회를 8개 교과별로 조직하였다. 국어과(한문), 사회과, 수학과, 과학과, 체육과, 예능과, 영어과, 가정과가 그것이다. 매월 협의회를 실시하여 수업 연구를 의논하고, 진도 조정, 효과적인 수업 모형 제시, 과제물 부과, 시험 문제 출제와 채점 기준 등을 다루었다.
마) 성적 관리 위원회학업 성적의 공정성을 높이고 합리적 관리를 위하여 시험 출제지 점검, 채점 과정 점검, 실기평가 기준 심의, 성적 전표 기재 사항 점검 등의 분담하였다.바) 학생 선도 위원회학생의 포상과 정계 사항을 공정하게 처리하여 학생을 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조직된 기구이다. 학생 선도 위원회는 학생 선도의 방침을 징계 보다는 포상 및 사전 예방에 역점을 두어 지도하는 방향을 견지하였다. 교감, 학생 주입, 진로지도 주임, 학생부기획계, 교내외 생활 지도 교사로 구성되었으며 교감은 당연직 위원장이 되어 본 위원회의 운영 전반을 통괄하였다.4) 교원의 전문성 향상
교수-학습의 질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수업 방법을 꾸준히 연구하였다. 매 학년 초교과 협의회를 통해 수업 개선을 위해 토의하고 새로운 수업 모형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협의하여 수업 연구 및 공개 수업을 실시하였다. 교사들은 학기별로 1 회씩 참관하여 수업 개선의 기회로 삼고, 강평회를 하여 수업 형태에 대해 상호 점검하고 효율적인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해 제안하여 자기 발전의 기회로 삼았다.북부 교육청 지구별 지율 장학회의 시범 연구 수업에도 적극 참여하여 창의적인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서예과의 <좌우명>, <주자시>, <부모 은혜>, 사회과의 <80년대 우리 경제>, 수학과의 <피타고라스의 정리> 등의 수업 연구가 대외적으로 실시되었다.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교사 자체 연수 활동도 꾸준히 실천해 왔다. <학습지도안 작성법>, <실기 실험 펑가 개선 방법>, <교구 제작 및 컴퓨터 사용법>, (1교사 1학생 지도록 작성 방법>, <근검 절약 운동 경제 연수>, <국민 정신 교육>, <민주 시민 교육>,<통일 안보 교육>, <식생활 개선 교육>, <국제 정세 와 안보>, <전학 지도 교육>, <심성수련 인성 교육>, <과학의 생활화> 등이 주요 연수 내용이었다.
교직원 간의 상호 부조와 친목을 도모하기 위해 상조회를 두아 방학 증 국내 명승지와 유적지를 답사하면서 각 지역의 문회를 직접 체힘 현장 연수를 실시하았다.또한 기옥교 교사 모임의 선교회가 결성되어 기독교 교육과 교제의 시간을 갖고,예배 행사도 실시히고 학생을 위한 정-학금도 적립하야 지급하였다.5) 중점특색사업및주요교육활동(1) 면학 분위기 조성을 위한 지원가) 장학제도학생들의 형:학열을 높이고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에게는 가지 격려하기 위한 에서 정학금을 지급하였다. 개교 초창기에는 교니}에서 지급하는 특대장학금, 의회장학금이 있었고 점차 사회 독지가 및 교육 관련 단체 등에서 기부금을 회사하여 장학 사업이 본격화 되었다.성적 우수자에게 수여하는 장학금뿐만 아니라 가정 헝편이 어렵지만 품행이 올바른 학생들을 발굴하여 수여하는 장학제도의 혜택도 많이 있었다 이 시기의 본교의 주요 장학 종류와 선발 기준은 다음과 같다.
특대상장학금
여교사장학금
나) 도서실, 진학 자습실 운영
교내 시설의 부족으로 도서실 공간 확보에 어려움을 겪다가 1991년 육성회의 도움으로 칸막이 독서대 90석을 구입하여 도서실(본관 2층)을 개설하였다. 초기 도서실은 도서 대출 업무보다 3학년의 진학을 위한 자습실로 이용되었다. 이어 1992년에 독서대 18석을 추가 구입하여 도서실 운영이 활기를 뛰게 되었다.1992년에는 도서실 확보를 계기로 서고에 있는 도서의 분류와 목록 작성을 완료하였고, 1994년부터 도서반 ‘여울목’을 조직하여 도서 대출과 관리 업무도 함께 추진하였다. 주로 점심 시간을 이용하여 대출을 하였고, 독서왕 선발, 독후감대회 등을 개최하여서력 신장을 꾀하였다.(2) 홍보용 학교 소식지 발간학교의 교육 활동을 학부모들에게 홍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 소식지를 1988년부터 발간하였다. 학교장 인사, 학생 자치 활동, 성적평가 규정, 교외 활동, 보건 활동, 각종 교내 학력 대회, 미담 사례, 교육 환경 개선, 각종 행사 등 교내외에서 실시한 교육 내용을 매월 1일자로 발간하여 기정에 발송하였다. 학부모는 학교 소식지를 통하여 학교의 교육 활동에 대하여 파악하였고, 관련한 의견이나 건의는 회신란을 통하여 전달되고 학교평가 및 계획 수립 시에 반영하였다.
진학 자습실 운영
1. ',1& 찍‘ 찍잉 '*'i''' 옹.’.2 「 이>찍1 \l.tt {쩍.셔 i 기 잉!l‘ i 니 Q 1 냉융앙 싹 :ilit 앙 *“‘?용에서
(3) 모범 학급 표창 제도
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한 한 벌보다 상을 주는 것이 성취 의욕을 고취시키고 파급되는 효과가 크다. 이 시기 본교에서는 이러한 교육적 동기에서 모범 학급 표창 제도를 실시하였다.가) 출석 우수반 표창월말 통제 결과 출석이 100%를 달성한 학급에 ‘모범 출석’ 싱패를 잔딘하였다.나) 청소 우수반 표창학급 환경을 청결히 유지하여 쾌적한 학급 분위기를 조성한 학급에월 1회 상패가 전달되었다. 선도부 학생이 매일 학급 청소 상태를 점검하여 점수로 누가 기록하였다.다) 환경 미화 우수반 표창매 학기 초 3월과 9월에 시상되었다. 교실의 게시물 부착 상태, 학습란의 충실도, 교실의 창결 상태, 청소 도구 정리 정돈 상태 등을 종합평가하여 명량하고 쾌적한 분위기를 조성한 학급에게 학년별로 시상했다.라) 체육 대회 종합 성적 및 응원상 표창
구기 대회 종목에서 학년별 상위 학급에 시상하였고, 응원상은 전 학년 대상으로 시상하였다.마) 합창 대회 표창학급 구성원들의 회음, 가칭력, 무대 공연 태도 등을평가하여 학년탤로 시상하였다.(4) 인성 교육올바른 인성과 가치관을 갖춘 조화로운 인간을 육성시키는 인성 교육에 힘쓰고자 다양한 조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올바른 가치관의 정립과 도덕성 함양을 위한 학교장이월 1 회 훈화조회를 직접 실시하였다.고전 음악, 명곡 등을 들려 주면서 음악 감상 교육을 내실화하고 학생들의 건전한 인격 형성과 정서 함양을 위해 1980년에는 음악조회를 도입하였다. 학생들은 음악 감상 노트에 악곡 해설 내용, 자신의 느낌 등을 기록하였다. 특히 국악 감상을 통해 전통 음악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기회도 제공하였다.
모든 교사가 참여하는 것에 의의가 있는 전교사 5분 훈화는 조회 시간에 전교생에개 방송을 통해 전달하였다. 학생들이 느끼는 갈등과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여 고민이 많은 청소년기의 학생들에게 정서적 안정을 갖게 하는 주 목적이 있었다. 주 1 회 수업 시작 전에 배경 음악과 함께 명상 주제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자기 반성할 수 있는 명상 조회도 운영되었다. 일과 시작 전에 실시되어 마음을 차분하게 하여서 학습 분위기 조성에도 효과가 있었다.(5) 독서 지도보다 효율적인 독서 지도를 위해 여러 방법들을 실시하다가 1984년 독서 지도 운영위원회를 조직하여 독서 교육을 위한 일체의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다. 독서 지도 운영위원회에서는 학년 초에 독서 지도 계획을 수립하고 학년별, 반별로 필독도서를 선정한 후 학생 모두가 구입하여 학급별로 돌아가면서 읽는 윤독의 형태로 운영하였다. 필독 도서 의무 구입이 타율적인 독서 습관을 일으킨다는 단점이 있어 1991년에 필독 도서구입 제도는 폐지하였다.
이후엔 학급 설치히여 책을 읽은 후 독후감을 작성하여 담임 교사가 검사하였다. 또한 국어과 교사들은 수엽 시간에 독서법과 독후감 작성 i쉽 등을 지도하고 학기별로한권의 선정한 후 필기 고사에 반영시켰다. 3주 동안의 독서 시간에 책을 읽고 4주째에는 학급별로 독후감 발표 및 토로의 시간을 가졌다.독서 지도 운영 위원회는 교감을 위원장, 연구주임을 간사로 하여 독샤 지도 담당교사, 각 학년주임, 각 교과주임, 국어과 교사로 구성되었다. 위원회에서는 독서 지도 계획 수립 및 학년별 필독 도서를 선정하고, 학급 문고와 학교 장서의 효융적 운영에 대해 연구하고, 우수 독후감 선정과 포상을 결정하였으며 각종 교내 독서 관계 행사를 주관하였다.(6) 서예 교육
우리의 민족 익히고 정서 순화와 인격 함양을 위해 샤에 교육을 시작하였다. 서예 교육은 글씨를 아름답고 깨끗하게 쓰는 활동을 통해 정신 활동을 계도하고 예술적인 감각을 길러주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사에 교실을 마련하고 좌탁 책상과 벼루를 상시 비치하였고 1, 2학년 미술 시간 중 1 시간을 힐애히여 실시하였디 특별활동 시간에도 서예반윤 편성 하여 지도에 힘쓴 결과 각종 서예 대회에서 단체상 및 개인상을 석권하기도 하였디 서예 수업이 인성 교육 및 예술 교육에 효과적이라는 점이주변 학교에도 널리 알려져서 서예과 공개 수업을 수치례 실시하여 자율 장학의 형태로 활발히 운영되었다.
교육활동
교육활동
(7) 학생 지도 활동
가) 생활 지도본교에서는 올바르고 도덕적인 인간을 양성하기 위해 생활 지도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사전 예방에 역점을 두었으며 문제 발생 시에도 처벌보다는 선도 중심의 지도기본 방향을 삼았다. 기본 생활 지도 계획을 수립하여 학생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현장 중심의 교육을 펼쳤다. 기본 생활 습관, 에절에 관한 사항을 책자로 정리하여 배부하였고, 비디오로도 제작하여 학기 초에 예절 교육을 실시했다. 학급 회의를 통해 학생들이 문제를 인식하고 지율적으로 해결 방안을 찾도록 지도하였다.나) 상담 활동1982년에 학교 경영의 최우선 과제로 싱담 활동을 강화시켰다. 상담실을 별도로 마련하고 상담 교사를 배치하여 효율적인 상담 휠동을 하였다. 먼저 학생 개인에 대한 특성과 개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초 지료부터 수집하였다. 신입생을 대상으로 지능 검사와적성 겸시플 실시하였고, 매 학기 초에는 자서전 쓰기, 교우 관계 조시교사가 학급의 학생틀을 파악하였다.
또한 진로상담부에서는 학급별 반정 부반장, 회장, 부회정을 대싱으로 집단 상담과 특수 환경 학생틀의 집단 싱팀을 1984년부터 시작하여 좋은 효괴를 거두었다. 학생 개인이 고민이나 깊등이 있을 경우에는 싱담 신청의 과정을 거쳐 비밀리에 상담 교사와 면담하여 문제 싱황 해결에 도움을 받았다. 특히 문제성이 있는 학생들의 경우에는 학급담임의 협조를 얻어 수시로 상담하여서 학교 생활 적응을 도왔다.다) 수련, 답시 극기 활동집단 생훤의 경 통해 질서와 협동심을 익히며 일상 생활에서 렛어나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는 기회로 삼기 위해 각종 수련 활동이 실시되었다 2희년은 극기 훈련과 고적 답사를 경험하게 하였다 1 학년은 심성 수련 활동을 진행하였는데 내띤 세계 관찰과 타인과의 인간 관계 협동을 배우는 교육이 주된 내용이었다.라) 보건 위생 지도
1979년에 중학교 양호실이 별도로 분리되면서 1980년에는 학교 특색 교육으로 보건교육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이후 보건 교사의 교실 수업이 중단되면서 전염병 예방을 위한 예방 침종과 응급 처치 및 건강 상담, 교직원의 건강 검진 등을 관리하였디 이 시기 주된 보건 위생 지도 사항-은 기생충 겸시 신체 검사(체격, 체 집, 체 력), 결핵 검진(1학년), 예방 접종, 소변 검사(2학년), 요양호 학생 상담 및 지도 등이었디마) 환경 운동 및 물자 절약 지도우리 학교, 우리 고장을 깨끗하게 가꾸기 위한 목적에서 자연 보호 전개하였다. 1980년대에는 정릉 유원지, 북악티널 입구에서 환경 정화 운동을 실시하였고, 1990년대에는 학교 주변 거리 청소, 새마을 청소 등에 매주 토요일 1개반씩 지역 사회 자연보호 활동에 참여하였다. 1987년 교사 이전 후 본관 건물 주변이 정돈되지 않고 잡초로 우거져 있었는데 1988년부터 산림 녹화 운동을 전개하여 여러 종류의 나무를 심어 가꾸었다. 1990년부터는 매월 첫째 토요일에 학교 교육 환경 정비를 위해 주변의 유해 업소에 대한 계도 활동, 불법 부착물 제거, 거리 질서 확립, 좌측 통행 캠페인 등도 실시하였다.
물자 절약 운동의 일환으로 폐휴지 수집도 매월 1 회 실시하여 이를 매각한 대금으로 불우 이웃 룹기 성금, 동료 학생 학비 보조 등에 사용하였다. 또한 절전, 절수 운동과 졸업생들이 교복 물려주기 운동을 하여 근검 절약 지도의 효괴를 거두었다. 또한 신입생에게는 1 인 1통장 갖기 운동도 전개하여 저축 습관을 기르게 하였고, 학생의 90% 이상이 통장을 소유하여 절약 습관을 생활화하게 하였다.(8) 학생 지율활동가) 학생회 활동학생회 선출이전까지 선거인단에 의해 의한 간접선거였다가 1993학년도부터 전교생이 투표하여 학생회장을 선출하는 직전제가 시작되었다. 민주적인 절차에 의해 학생들이 스스로 대표를 선출하고 지율적인 학생회 활동을 통해 자치 능력과 민주 시민의 역량을 키우는기회가 되었다. 학생회장 후보는 2학년 학생으로 2학년 1학기말 성적이 20% 이내인 학생으로 징계 사실이 없고, 30명 이상의 추천서를 제출하면 등록할 수 있었다. 후보지들은 합통 연설회와 방송을 통한 소견 발표를 가진 후 직접 선거 개표 결과 최고 득표자기학생회장, 차점자가 부회장으로 당선되었다.
학생회 운영학생회는 대의원회와 임원회를 두었는데 대의원회는 각 반 회장과 부회장으로 구성되어 매월 정기회의를 통해 자치 활동에 대해 심의 의결하였다. 임원회는 각 부의 부장과 차장으로 짜여지고 대의원회의에서 결정된 사항을 집행하였다. 초기 학생회 부서에는 총무부, 학술부, 바른생활부, 예술부, 미화부, 봉사부가 있었다.학생회는 일상적으로 등교 시간 생활지도, 방과 후 학급의 청소 상태 검사 활동을 했다. 방학 중에는 간부 수련회, 심성 수련 등의 지도력 향상 자체 연수를 실시하고, 불우학우 및 이웃 돕기 등의 봉사활동도 진행했다. 학우 돕기 활동의 주요 내용으로는 1990년에 화재로 가옥이 전소된 3학년 학우를 돕기 위한 모금 운동, 1993년에 종로구 혜화동에서 무장 탈영병의 총기 난사로 부친이 별세한 3학년 학우를 돕기 위한 모금 운동, 1994년에 화재로 가옥이 전소된 3학년 학생을 돕기 위한 모금 및 물품 수거 운동 등이 있었다.
불우 이웃돕기 활발하게 펼쳐서 북부교육청이 주최하는 불우 이웃 돕기 바자회에 매년 침여하였으며, 연말에는 사랑의 쌀 모으기 운동을 실시하여 청소년 가장 및 노인정, 성심원 등에 기증하였디 관내 다른 학교의 제조 대표 운동 선수였던 학생이 훈련 중에 하반신 마비가 되어 투병 중인 사실을 알고 본교에서도 적극적으로 모금운동을 펼쳤다. 1991년에는 여름철 수해 피해를 입은 지역민을 위해 수해 의연금을 전달하기도 하였다.나) 회동전인 교육의 일환으로 실시되는 교과 이외의 특별 활동은 공동체 의식과 봉사 정신을 기르고 개성과 소질을 실려 건전한 여가와 취미를 기르는 데 주 목적이 있었다. 이 시기 대표적인 특별활동 부서는 다음과 같다.본교 방송반은 1977년 독립하여 조직되었다. 초기에는 학교 행사 보조만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다가 1981년부터는 점심 시간을 이용한 음악 방송을 시작하여 학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고 방송반 활동도 활기를 띠게 되었다. 방송반원은 필기고시 음성 테스트, 면접 등 시험을 거쳐 소수로 선발되었고, 방송 시설 작동의 전문성을 갖고 활동하였다.
1958년 『의화』라는 제목으로 중·고 합본으로 교지 창간호를 발간했었다. 교지문예반에서는 종·고 분리 이후에 1978년 20호부터 중학교에서 별도로 발간하였다. 교사 및 학생들의 작품이 실리면서 학교의 교육 활동을 최종적으로 정리하는 의의가 있었다. 교지 외에도 「의회3 라는 같은 제목으로 학교 신문도 연간 3회 발간되었으나 1981년에 신문은 종간되었고 이후에는 학교 소식지의 형태로 매월 1 회씩 발행하여 학부모들께 학교의 교육활동을 홍보하였다.도서반은 1994년부터 본격적으로 도서실 운영, 서가의 대출 맡아상시적으로 활동하였다. 점심 시간을 이용해 학생들에게 도서를 대출해주고, 빈납 처리, 서가 정리 등의 활동을 맡았다. 게시판을 통해 책과 관련한 정보들을 홍보하여 본교의 독서 지도에많은 역할을 담당하였다.
걸스카우트는 자아 계발과 지도력 향상, 봉사 활동 등을 토대로 열심히 활동하였다. 고아원, 양로원, 노인정 위문 활동으로 사랑을 나누는 봉시를 실천하였다. 뒤플 야영, 사제동행 등산, 도전 활동 등의 야외 활동 뿐만 아니라 연례 행사로 국립 묘지 헌화와 주변 묘역 정화 휠동도 실시하였다. 거리 질서 캠페인, 등하핏길 교통 안전 지도 등도 맡았으며 특히 주요 행사 시 내빈, 학부모 안내 등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9) 교내 행사활동1963년 시작된 교내 합창 대회는 본교의 시설 좋은 강당을 이용하여 계속 개최되었다. 학급 수가 많아서 예선을 실시하여 통과한 학급만 본선 경연에 참가할 수 있었다. 자유곡과 지정곡으로 대회를 준비했으며 외부 심사 위원을 초빙하여 공정하게 심사하였다. 학급별 시상 외에도 지휘상, 반주상을 별도로 선정하여 개인상을 수여하였다. 학급의 다양한 학생들이 노래와 회음을 통해 조회를 이룰 수 있게 하였던 행사였다.애교심을 높이고 학생들의 단결력을 높이며 건강한 신체를 단련시키기 위하여 체육대회를 실시하였다. 1987년에서 1990년 사이 운동장 사정으로 개최하지 못했던 때를 제외하고는 격년제로 실시되었다. 피구, 럴례이, 줄다리기, 가장행렬, 응원전 등이 주요 종목이었다. 특히 본교는 국내의 각종 공식 기념행사에서 카드 섹션을 맡은 경험이 있어서 교내 체육 대회에서 질서 의식이나 응원전의 수준 또한 매우 높았다.
자연과 호흡하며 글 쓰는 기회를 가져보기 위해 1962년 시작된 문예 백일장은 이때에도 계속 매년 5월에 실시되었다. 1980년대 초반에는 주로 본교 뒤에 있는 낙산에서 열렸으나 이후 시내 궁궐에서 개최하기도 했다. 운문부와 산문부 두 부문으로 나누어서 제시 받은 글제를 바탕으로 원고를 작성하였다. 또한 미술 실기 대회는 1977년에 처음으로 백일장과 함께 개최되었는데 수채화 부문과 서예 부문으로 나누어 운영하였다.1993년에는 한민족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나의 주장 발표 대회를 시작하였다. 이전까지는 반공웅변대회, 통일안보대회 등의 명칭으로 개최되었으나 국제적 냉전 질서가 쇠퇴하고 남북 공동체 의식이 강조되면서 명칭과 내용을 변경하였다. 학교, 가정, 사회 생활 여러 분야에서 소재를 취해 논리적으로 정리하여 발표하는 경연대회였다.교내 시화전과 작품 전시회는 매년 10월 가량 열렸다. 1977년부터 교내 시화전을 매년개최하다가 전시회를 좀3개최하다가 전시회를 좀3개최하다가 전시회를 좀더 발전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1991년부터는 클럽 활동 시간에 제작한 작품 전시도 병행하게 되었다. 전시회 기간 동안에는 전교생 뿐만 아니라 학부모, 지역 주민 등도 침여하아 관람할 수 있게 하였다. 학생틀은 클렵 시낀에 연습하고 익힌 솜씨를 자랑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 교육 활동이 더욱 활발해졌다.
(10) 교외 행사 활동관내 중학교 간의 상호 힘력을 위해 조직된 자율 장학 협력회에서 주최하는 대회에 참기하여 밝고 맑은 노래 부르기 대회, 영어 말하기 대회, 학생 탐구 발표대회, 모형 항공기 제작 비행 대회, 효행 실천 시례 발표 대회, 통일 안보 웅변 그램 그리기 글짓기 대회, 문예 백엘정- 대회 등에서 좋은 성괴를 거두었다.교육청이 주최하는 종합 학예 발표회에도 활발하게 참여하였다. 북부 종합 발표회는 학생, 교시 학부모가 하나되는 학교 운영으로 교육 활동의 효과를 높이고 참여획대시킨다는 목적에서 출발한 행사였다. 본교는 특히 공연 부문 종 뮤지컬, 중창, 독창 공띤에 참가하여 발표회의 수준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본교는 군 부대와 지매 결연 사업도 운영하였다 6.25 전쟁 때 본교 교정에 주둔했던 인연에서 비롯되어 육군 2355부대인 오뚜기부대와 자매 결연을 뱃었다. 본교 학생들은 일년에 두 지례 오뚜기부대를 방문하여 위문 편지와 위문품을 전달하였다. 부대에서 는 독수리 장학금을 조성하여 수여하였고, 싸리비를 손수 제작하여 본교에 전달하는 등 군과 민긴의 친목과 유대 관계를 높여 왔다.
운동부의 활약도 상당하였다. 설립자 우촌 김의형 선생의 지덕제 조화 교육 정신이 실천에 옮겨져 운동부서가 창설된 바 있었다. 먼저 1972년 창단된 농구부를 시작으로 1977년에는 유상부가 창단되었다. 농구부는 1977년부터 전국 규모 대회 입상을 시작하여 1979년에는 전국 중고 농구 연맹전에서 우승을 차지하고 최우수 선수상도 받았다. 하지만 1983 넌 학교 재정의 어려움으로 해체되었다. 육상부 역시 과학적인 훈련 지도와 선수들의 의욕, 학교의 지원 등이 어우러져 소년체육대회, 전국 중고등학교 육상 경기 대회 등에서 좋은 성괴를 거두었으나 농구부와 마찬가지로 이후에 해제되었다.4.1.3 한성여중의 혁신 ( 1996~2015)
1) 학교장과 교육 목표14대 김인자 교장(1995.3-1999.2)은 ‘21 세기를 선도하는 자율적·창의적·도덕적인 인간 교육’이란 서울의 1996-99년 교육지표를 참고하여 ‘정직, 질서, 창조의 정신을 생활화하는 여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제시하였다. 산업화로 인한 물질만능 중심적 사고와 개인주의적 분위기 속에서 다양한 가치가 조화된 더불어 사는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만들어 가는 것이 교육의 큰 과제라고 여겼다. 이에 따라 사람답게 사는 길을 가르치는 것이 모든 학교가 나아갈 방향이라고 생각하여서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고 세계화 시대 속에서 자랑스러운 한국인 상을 모색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정직, 질서, 창조의 정신을 생활화하는 학생을 육성하고자 했다.15대 윤성열 교장(1999.4-1999.6)은 ‘21 세기를 선도하는 자율적·창의적·도덕적인 인간 교육’이란 서울의 1999년 교육지표를 참고하여 다가오는 21세기 고도의 지식 정보화 사회를 앞두고 단순한 지식의 암기와 습득보다는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창출하고활용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학생 스스로 새로운 문제를 인식하고 창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길러 줄 것을 강조하였다. 이에 따라 체험 중심의 인성교육 내실화, 창의성 신장을 위한 수업 방법 혁신,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평가 방법 개선, 교육 정보화의 실현, 진로 지도의 체계화, 교육 방법 혁신을 위한 학교 환경 개선을 지향하고 창조적이고 미래지향적인 21 세기를 대비하는 여인 육성이라는 교육 목표를 설정하였다.
제 16대 김신길 교장(1999.7-2000.8)은 기본이 바로 된 학교 문화 정착을 학교 운영의 방향으로 삼았다. 지향하는 학생상, 교사상, 학교상을 구분하고 당시 추진되던 서울교육 새물결 운동과 연계하여 중점 내용을 설정하였다. ‘칭찬받는 학생상’으로 맑은 품성·밝은 슬기, 기초실력 기르기, 기본체력 갖추기, 칭찬카드제 운영 제도를, ‘존경받는 교사상’으로 사랑과 실력 있는 교시 교원의 전문성과 책무성 제고, 자율연수 풍토 조성, 우수교사 포상제를, ‘신뢰받는 학교상’으로 교단 지원 중심의 열린 학교 구현, 건전교직 풍토의 조성, 학부모의 학교공동체 참여 강화 등을 강조하였다.제 17대 고춘식 교장(2000.11-2005.8)은 민주적인 학교 운영을 목표로 하였다. 이는2001년의 제7차 교육과정에 발맞추어 미래 지향의 도닥적·창의적·지율적 민주 시민육성을 교육 복표로 설정하고, 지율·책임의 학교 문화 정착,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및평가방법의 개선, 바른 인성을 지닌 공동제 시민 의식 함양 등을 세부 과제로 지l 시한 지표를 반영한 것이었다. 그는 지신이 설정한 교육 목표에 맞추어, 교무실 내에서 상의하달식의 명령이 아닌 교시들 사이의 민주적 토론과 의사 결정 구조릉 도입하였다. 교시들이 인권과 자발성을 기초로 하여 품위 있는 인격제로서 학생들을 대하여 자긍심을 느낄 수 있게 하는 방향으로 이끌었다. 준비하는 수암 연구하는 교사, 고뇌하는 교시로서의 보습이 진정한 교권을 갖춘 잘 가르치는 교사상의 표습임을 제안하였다. 스스로 참여히고 실천하는 학교 공간을 강조하여 학생지치회의 ‘한성인 한마당’신설하였고 학생들의 자치성을 높였다.평생 독서를 지향하는 치원의 독서 교육을 위하여 ‘도전 대히소설’, ‘도전 열 권 읽기’를 방학 때마다 실시하야 참가지플에게 ‘독서 인증서를 발급하였다. ‘배려’, ‘창의성’, ‘대화’, ‘도전’, ‘학교 공동제의 김동’ 등을 해마다 각기 다르게 회두로 제시하여 학교 운영의 기본 빙향으로 삼고자 하였다.
2005년부터 서울시는 실력과 인성을 갖춘 창의적 인재 육성을 교육지표로 삼았다.그리고 학력 신정을 위한 교육 활동 지원, 인성-진로 교육 내실화 추진, 학교의 자율성·책무성 제 고, 교육 복지의 선진화 구현을 정책 방향으로 심아 교육의 변화를 요구하였다.
이 무렵 취임한 18대 이광우 교장(2005.9-2008.2)은 인긴의 일생에서 보람 있는 일은 어린 시절의 교육이라고 보았다. 이에 따라 가르치고 배우는 일이 가장 열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학교, 서로 신뢰하고 협력하여 함께 성장하는 학교, 각각 다양한 생각과 역할존중하는 민주적인 학교, 구성원 모두가 행복한 삶을 살아기는 학교싱을 목표로 세웠다. 교사에게는 수준별 수업, 사이버 가정 학습, 교사 연수 등 자기 연찬을 당부하고 학생블의 개성을 인정하고 존중할 것을 부탁하였다. 자기 삶의 주인이 되는 학생상제시히고 자기만의 능력과 소질을 연마하고 계발하는 일을 열심히 하도록 강조하였다. 특히 섣립 초기에 있던 다양한 동아리들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지원하였다2008년 취임한 제 19대 김태정 교장(2008.8-2012.2)은 서울교육 방향의 지속성에 맞추어 칭의성과 바른 인성을 갖춘 건강한 민주 시민 육성을 학교 운영 목표로 삼았다.그는 학교 경영관을 3개 영역으로 나누어서 학생상으로 바르게 행동하는 학생, 자주적이고 합리적인 학생, 몸과 마음이 건강한 학생을 제시하였다. 자기 계발에 열심인 교사, 기쁨으로 가르치는 교사, 책임감과 자긍심이 있는 교사를 바람직한 교시장으로 설정하여 교사의 질을 높였다. 이에 따라 즐겁게 배우는 학교, 자연과 함께하는 학교, 학부모와 지역사회로부터 신뢰 받는 학교의 모습이 되도록 추진하였다.
2012년 취임한 제20대 이경철 교장(2012.3-2014.2)은 지, 덕, 체를 겸비한 창의적인 인재 육성을 교육 목표로 정하였다. 주요 학교 운영 방침으로 미래 지식정보화사회에 부응하는 창의적인 인재 육성, 선생님을 존경하고 학생을 사랑하는 학교문화 조성, 민주적·합리적·투명한 학교 경영을 강조하였다. 이에 따라 각기 영역을 나누어 예의바른 학생, 창의적인 학생, 노력하는 학생을 학생상으로 하였다. 올바른 품성과 남을 배려하는 마음을 갖도록 교육하는 교시 학생들의 잠재력을 일깨워 주는 교사, 열심히 연구하고 재미있게 가르치는 교시를 교사상으로 삼았다. 학생들이 자랑스러워하는 미래가 있는 학교(Future), 열심히 가르치고 부지런히 배우는 역동적인 학교(Dynamic), 학부모와 지역사회로부터 신뢰 받는 학교(Trust)를 학교상으로 설정하였다.특히 2012년에는 학교 자체 브랜드를 제작하고 비전을 세워서 현재까지 학교 교육의 기본 바탕으로 삼고 있는 중이다.
학교 브랜드 ‘PLUS+ Hansung’내 인생에 Plus! 지 역사회에 Plus! 국가와 민족에 Plus! 인류와 문화에 Plus!P - Polite 예의바른 한성인 L - Lively 생동하는 한성 인U - Useful 쓸모 있는 한성 인 S - Sensible 지각 있는 한성 인학교비전서로 믿고 배우며 사랑과 존경이 기득한 학교즐거웅과 희망이 넘쳐나는 활기찬 학교지혜와 용기를 가진 시대의 리더를 키우는 학교꿈과 열정을 키워내는 학교미래의 먼 안목을 갖도록 준비시키는 학교2013년 서울시는 모든 학생의 꿈과 끼를 함께 카우는 행복교육을 교육비전으로 천명하였다. 교육의 기본 회복, 선생님의 긍지와 보람을 찾기, 안심하고 보낼 수 있는 학교만들기, 그늘진 곳의 아이들도 꼼꼼히 챙기기, 시민 모두를 위한 학습공동체 서울을 만주요 정책 방향으로 삼고 새로운 과제들이 도입되었다. 2015년부터는 모두가 행복한 혁신미래교육으로 서울교육 방향이 새롭게 변화되었다 지성·김정·인성을 기창의교육, 모두의 기능성을 여는 책임교육, 안전하고 신뢰받는 안심교육, 소통하며 지원하는 어울림 교육행정, 학생·교사·학부모·시민의 침여교육 5 기지의 정책 방향으로 질문이 있는 교실, 우정이 있는 학교, 삶을 가꾸는 교육을 지표로 하였다.
2014년 제 21 대 교장으로 취임한 이귀영 교장(2014.3-)은 서울시의 교육비전과 교육 지표를 참고히여 인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적, 도덕적인 인재양성을 학교 교육 목표로 명시하였다. 바른 기본 생활 습관과 실력을 갖춘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인재 육성, 교시와 학생과 학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학교문화 조성, 모두의 기능성을 여는 책임교육, 안전하고 신뢰받는 안심교육 등을 기본 운영 방침으로 삼았다 구체적으로 영역나누어서 기본생활교육이 잘된 예절바른 학생, 지성, 감성, 인성을 갖춘 창의적인 학생, 더불어 살아가는 민주시민의 자질을 연마하는 학생상을 제시하였다. 교사싱으로는 진취적이고 정열적으로 연구하는 교사, 학생 개개인의 기능성을 최고로 발현시키는 교사 각자의 여건에 맞는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는 교사를 강조하였다. 안전히고 지역사회로부터 신뢰받는 학교, 활기 념치는 교실, 행복한 학교, 꿈을 거워가는 실력 있는 학교상블 제시하여 운영히고 있다.
2) 교육과정 및 교무 학사 운영(1) 교육과정의 변화이 시기에는 제6 차 교육과정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까지 학교 현장에 적용되었다. 제6차 교육과정(1992년 개정 고시, 1995년 시행)은 기초학습 능력의 신장과 교과교육지도에 주력하여 건강한 사람,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도덕적인 사람을 기르려는 데 두었다. 중학교의 교과활동은 도덕·국어·국사· 사회·수학· 과학· 체육· 음악·미술·한문·영어·실업 가정의 12과목으로 편제하였다. 그리고 이들 교과와는 별도로 ‘선택’시간이 있는데 한문, 컴퓨터, 환경 괴목 중 한 과목을 선택하여 주당 1-2시간 부과할 수 있다. 특별활동은 학급활동·클럽활동·전교학생회활동·학교행사의 4개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제7차 교육과정 (1997년 개정 고시, 2001년 시행)은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 기초 능력을 토대로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 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의 토대 위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 민주 시민 의식을 기초로 공동제의 발전에 공헌하는 사람을 육성하는 인간상으로 삼았다. 수준별 수업의 도입과 학생 선택권 확대, 재량 활동시간 도입이 골자인데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 10년과 선택(심화)중심 교육과정 2년으로 구성돼 있다. 국민 공통기본 교육과정은 교과활동, 재량활동, 특별활동으로 편성된다. 교과 영역에는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외국어(영어)가 편성되었고, 재량활동에는 교괴재량활동, 창의적재량활동으로 구성되었다. 특별활동을 자치활동, 적응활동, 계발활동, 봉사활동, 행사활동으로 구분하여 실정에 따라 운영하였다.제7차 교육과정 이후부터는 일률적으로 전면 개정하지 않고 수시로 부분적으로 개정하기로 방침이 수정되었다. 이후 도입된 2007개정 교육과정 (2007년 개정 고시. 2010년 시행)은 체육 교괴군의 독립으로 체육 과목을 필수 괴목으로 지정하고, 역사 괴목을 독립하여 사회과와 분리해 시수를 매김으로써 과목의 시수를 보장하였다. 중학교 수학은 수학과 수학 익힘책, 영어는 영어와 English Activities로 교과서를 나누었고, 국어, 도덕, 역사 교과서가 국정 교과서 체제에서 검인정 교과서 체제로 변화했다 그런데 이후 곧바로 2009개정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금방 변경되어서 혼란을 초래하였다.
2009개정 교육과정 (2009년 개정 고시, 2011년 시행)은 지율성과 창의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어서 학기당 이수과목을 최대 5과목 줄이고 교과 집중이수제를 도입하여 학교 자율에 따라 교육과정을 20% 범위 내에서 증감 운영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특정 학기에 몰아서 수업하는 집중이수제에 대한 폐단이 너무 많아 학기당 이수과목에서 예체능 과목을 제외시켰다. 교과 편성은 2007개정 교육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특별활동 명칭이 창의적체험활동으로 변경되고,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으로 구분하여 실시되었다.이렇게 수시로 교육과정이 바뀌어서 입학년도에 따라 학생들이 배우는 단위 배당이서로 다른 상태로 학교 교육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2015년 기준으로 재학 중인 학생들의 교육과정 단위 배당을 보면 다음과 같다.
구분
(2) 교무 학사 운영
가) 교과 성적평가학업 성적평가와 처리의 전 과정을 공정하게 하여 학교 교육에 대한 신뢰성을 제고하여 교육과정의 정상적인 운영과 연계하고 있다. 전 교과에서 수행평기를 실시하여 과정 중심의평가를 지향하고, 서술형·논술형 문항 출제를 확대하여 학생들의 창의성을높였다.
정기고사1학기 중간고사, 기말고사, 2학기 중간고사, 기말고사 연 4회 실시한다. 고사 시간표와 시험 범위는 고사 실시 2주 전에 공개 발표하고 출제 및 인쇄 등 문제지 취급과정에서 보안을 철저히 하고 있다. 부정행위 방지를 위하여 학년별로 혼합하여 분반하고 학부모와 공동으로 감독한다. 과목당 복수의 교사일 공동 출제를 원칙으로 하고, 채점이 끝나면 점수 결과를 학생에게 공개하고 성적 정정 및 이의 신청 기간 2일간 운영한다.수행평가제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도입된 수행평가는 그 기준, 방법, 실시 시기 등에 관해 교과협의회에서 협의한다. 수행평가 사전 예고제를 실시하여 학생들이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을 부여하고,평가 점수 결과를 학생에게 공고하여 확인하게 하고 이의 신청 기회제공하고 있다.
(3) 교무 관련 협의체가)부장회의학사 운영과 관련하여 교장, 교감, 부장교시 행정실장이 참석하여 협의한다. 매주 1회 회의를 열고각부서 간의견 조율 및 업무추진 방법 결정하고주간,월간, 연간각종 교육 활동 및 행사 실시에 대한 방법을 협의한다.나)교직원회의학교 업무와 관련하여 부서별 업무 소통 및 전체 교사 간 의견 교류를 목적으로 한다. 매월 2회 회의를 열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학교 교육에 반영하며 사안이 있을 경우 비정기적으로 소집한다. 주요 공지사항 전달, 각종 행사 및 학교 현안 문제 협의하고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다)학년협의회
학년단위의 원활하게 수행하고 혁년별로 의견을 수렴한다. 매월 1 회 회의를 열고 학년 현안 문제, 학년 행사 실시 방법 협의, 학년별 건의 사항- 수렴, 담임교사간 학생 생활 지도 빙안 협의 반영한다. 특히 학기별로 1 회는 학부모와 함께하는 혁년협의회로 개최하여 주요 내용을 같이 협의히고 학교에 대한 건의 사항을 같이 토론하여 학부모의 학교 교육 참여도를 제고하고 있다.라)교과협의회교과 딘위의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고 수업 개선 및평가 방법 혐의 목적으로 한다. 매월 1 회 회의플 열고 수업 진도, 시험 범위, 수행평가, 결과 분석, 교과 장학, 교과별 행사 등을 협의하여 반영한다.마) 교직원 워크삼매학년도 말에 전체 학교교육활동 내용을평가히고 및 반성하아 치년도에 반영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다. 교시 학생, 학부모 설문지 통계와 응답 내용을 검토히고 토론회 실시하는데 공통 주제에 대해 분임별로 토의하고 전체 회의로 모여서 내용 통합 발표한다.
학부모와 함께하는 학년협의회
교직원회의 및 전체 연수
3) 민주적인 교무 분장
(1) 교무 분장 편제학교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업무를 편제하여 부장을 세우고, 교괴별 학과장을 선정하여 주요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 교육 정책의 변화 및 학교장의 경영 방침에 따라 부서 편제 및 명칭에는 다소 변화가 있어 왔다. 2003년부터는 5년이상1 급 정교사 자격, 부장 임기제, 순환 보직제, 교과별 2 인 이상 제한, 개인 의사 표시을 내용으로 하는 부장 선출 제도를 도입하여 학교장의 학교 운영에 협조하고 있다.한편 고춘식 교장 이후 학교장 임기 단임제가 내부 구성원 사이에 약속되어 지켜지고 있으며 교감 대상자 2 인을 추천할 때도 민주적인 투표 과정을 거치고 있다. 현재는 6개 행정부장, 3개 학년부장, 10개 학과장의 분장표로 구성되어 운영하고 있다.<표 33> 교무 분장 편제 구성 일람 (1997~2015)
연도 교장 교감
연도 교장 교감 행정실장(서무과장) 부서학과 구성
2003 고춘식 이광우 홍연호
연도 교장 교감 행정실장(서무과장) 부서학과 구성
2009 김태정 이경철 홍연호
연도 교장 교감 행정실장(서무과장) 부서학과 구성
4) 교원의 전문성 향상
수업 개선 및 교수·학습의 질적 향상을 위해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을 계속히고 있디 자율적으로 연구하고 좋은 수업 모형을 함께 만들어가띤서 수업에 적용하도록 히고 있다. 모든 교사가 전문성 향상을 위해 직무연수 연간 60시간 이상을 이수히고 있으며 수업 만족도 조시를 실시하여 학생들로부터 피드백을 받는다.(1) 수업 연구 및 컨설팅 장학
매해 교원의 20% 이상은 수업 연구를 실시하고 외부 인사 초청 컨설팅 장학도 병행하고 있다. 경력 2년 이하의 교사와 기간제 교사의 경우 매년 1 회 실시하되, 근무 연수 3년 이상인 경우 약식장학으로 진행한다. 복직한 교사의 경우 2년 연속 수업연구 실시하고있다.(2) 수업 공개 주간학기당 1 회 이상 학부모, 동료교사 대상 수업 공개 주긴-으로 운영한다. 동교과 교사 간에 상호 수업을 참관하고, 상시 교실 개방으로 수업 내용 상호 공유하고 있다.(3) 학생 만족도 조사1학기 기말고사 이후 수업 학급에 대한 설문지 작성 조사로 실시하고, 2학기에는 교원평가 만족도 조사 인터넷 설문 응답으로 실시하여 그 결과를 교사가 열람할 수 있게 하고있다.(4) 수업촬영전 교사 연 1 회 이상 자신의 수업을 동영상으로 녹화하여 자기 수업 확인 점검의 기회로 삼고 있다. 촬영 교사는 녹화된 영상을 보고 자기장학 점검표를 스스로 작성하여 제출한다.
(5) 수업연구회 조직배움의 공동체 수업을 바탕으로 혁신학교 모델을 공부하는 연구회가 조직되어 2010-2012년 사이에 운영되었다. 학급 운영 사례와 정보를 공유하고 혁신학교로 운영 중인 학교에 직접 답시를 다니기도 했다. 현재는 수업 방법 개선을 위해 범교과적으로 조직을 구성하여 2013년부터 수업 연구회로 활동하고 있다.월 1 회 정기 모임을 통해 수업 모형을 공유하고 교육 관련 도서를 읽은 후 토론회를 실시한다. 공개수업 참관 시에는 학생들을 위주로 관찰하여 수업 교사의 피드백 자료로 삼는다.(6) 교직원 자체 연수 실시
수업 능력 향상을 도모하고 교육력을 높이기 위해 전제 교직원회의와 겸하여 자체 연수를 수시로 실시하고 있다. 1997년 이후 교직원 지체 연수 내용을 간추려 보면 아래와 같디 당시에 강조되던 교육적 과제와 주안점들이 무엇이었는지 변화의 흐름을 짐작할수 있다.<표 34> 교직원 자체 연수 일람 (1997~2015)
연도 주요 연수 내용
2002
연도 주요 연수 내용
5) 교사-학생 관계 형성 및 지원 활동
수업 개선을 위한 전문성 신장 노력 외에 본교는 교사와 학생 사이의 진실한 관계 형성을 위해 노력하였다. 특히 학교 생활에 어려웅을 겪는 학생들을 위해 특별한 지원 활동을 해왔다. 1997년에는 원로교사와 비행학생 사이에 1 대 1 결연을 맺어 상담활동을 진행하였으며, 1998년에는 부적응학생들을 따로 모아 학생부장을 비롯하여 교시들과 같이 북한산 등반을 함께하며 학교 생활 적응을 위해 도왔다. 2004년에는 역시 부적응 학생들의 상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학교장이 직접 인솔하여 성북구에 있는 심우장으로 체 험학습을 가서 심성을 순화하고 계도하는 계기로 삼았다.2007년 입학생을 기준으로 2009년까지는 ‘작은학년제’라는 이름으로 담임 운영 프로젝트를 시범적으로 실시하였다. 배움과 돌봄의 공동체 만들기를 지향하며 작은학년제맡은 교시.8 인이 3년 동안 연속하여 맡게 하는 것이었다. 이로써 심층적으로 학생을 파악하고 교사-관계를 밀도 있게 형성하여 학생 성장의 효과를 높이고 진로 진학 지도를강화히려는 목표로 운영되었다. 일부 성과는 있었으나 전 학년에 걸쳐 적용하기에는 학사 운영상에 난맥이 있어 지속되지는 못했다.
2006년부터 희망하는 교직원들이 자율적으로 장학금을 미련히여 들풀장학회라는 이름으로 필요한 학생에게 혜택을 주고 있는데 2015년 현재 17명이 참여하여 214만원의 기금을 적립히고 있다.한편 2003년에는 재생불량성빈혈이라는 난치병으로 투병하던 2학년생 김 00 학생을 돕고자 교사와 학생회, 학부모회, 급식업체가 힘을 모아 모금활동을 히았고, 몇몇 교사는 헌혈에 동참하기도 하였다. 특히 서울·경기 교사노래모임 ‘해웃음’과 연계하여 희망 자선 콘서트를 열고, 신문보도와 방송을 통해 외부에 알려 2 천 3 백만원 기량을 모아 전달하였디 2006년에도 재생불량성빈혈로 병상 생활을 하던 2학년생 김 00 학생을돕기 위해 교시와 학생들이 같이 거리에서 피켓팅을 하며 모금활동을 1쉴이기도 하였고, 학부모들의 도움도 얻어서 8백만원 가량의 성금을 모아 지원하였디 2011년에는 집에 화재가 나 큰 정제적 피해를 입은 2학년생 김 00, 김 00 쌍둥이 자매를 돕고지 교사, 학생, 학부모들이 3 백만원 가량의 성금과 옷가지들을 모아 전달하였다
6) 중점 특색 사업 및 주요 교육 활동일상적인 교육활동 외에 연도별로 중점을 두고 학교장 책임 하에 실시한 본교만의 특색 교육 시엽틀이 있다. 교육에 대한 시대적 요구가 반영된 그 시엽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35> 중점 특색 교육 사업명
연도 중점특색교육사업명
연도 중점 특색 교육 사업명
2008-2011
이 중에서 특색 있게 실시했던 주요 교육 활동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우리 경제 살리기(1997년)가)목적우리 경제를 바로 알아 바른 경제 생활 의식을 고취하고 합리적인 소비 생활 태도를함양한다. 국제 경제와 우리 경제의 현황을 이해히여 근검, 절익 협동 정신을 고취하고 우수 시례를 벌굴한다.
나) 추진 내용덜 쓰고 아껴쓰기- 자린고비 정신 실천하기 : 필요한 불건만 사기, 값비싼 물건 안 쓰기 등- 경제일기 쓰기 : 금전출납부와 경제일기 쓰기, 1 인 1 통장 잦기 저축 운동 등- 외화 절약하기 : 무절제한 외국여행 지제하기, 우리 싱품 애용하기- 지원, 에너지 이껴쓰기 : 물, 전기, 학용품 이껴쓰기, 1 회 용품 안 쓰기 등다시 쓰고 바꾸어 쓰기안 쓰는 불건 살려 쓰기 : 교과서, 교복 물려주기, 고장난 물건 고쳐 쓰기 등- 상설 알뜰매장 도서, 학용품, 생활용품 비꾸어 쓰기 매장, 비자회 열기 등분실물 코너 운영 : 자기 물건에 이름 쓰기, 분실물 진열장 설치식생활 바로하기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 먹을 만큼 덜어서 먹기, 남은 음식 버리지 않기 등- 밥상머리 교육 : 가족과 힘께 식사하기, 불필요한 외식 줄이기 등식생활 습간 바로하기 : 신토불이 정신 훈화, 우리 고유 음식 맛들이기 등사교육비 줄이기- 학교 정규 수업 충 실: 일-찬 수업하기, 예습, 복습 잘하기 등- 방과후 교육활동 활성화 : 소질과 적성 특기 계발, 다양한 특별활동 운영불법괴외 안하기(2) 노동을 통한 공동체 생활(1998년)가) 목적 및 방침농촌 체험학습을 통해서 땀흘리는 노동의 중요성과 더불어 돕는 협동심, 인내심 등을함양시키고 소망의 집에 있는 정신적, 신체적으로 불편한 사람을 보면서 감사한 마음을 갖게 한다.
나) 추진 내용일시 : 1998년 4월 27-29일 3학년 / 5월 25-27일 1학년 / 9월 28-30일 2학년장소 : 두레마을(경기도 화성)방법 : 전 교사가 학생들과 함께 퇴비 만들기(음식물찌꺼기, 돈분 등을 활용), 잡초 뽑기, 포도밭 가지치기, 잔디 입히기, 부엽토 모으기, 양돈, 양계사 분 치우기, 고추 따기, 배추밭 김매기 등 농촌을 체험하는 공동체를 이룬다.(3) 교육정보화 구축 및 활성화 (1999~2002)가) 목적 및 방침컴퓨터 활용 교육을 내실 있게 함으로써 미래의 정보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교육정보서비스 활용체제를 구축하여 활성화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 열린교육및 수준별 학습효괴를 조기에 정착시킨다.
- 정보화 기능 신장을 위한 실습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학교 정보화 기자재의 연차적 보급 확대- 다양한 정보매체 활용 체제 구축, 교원 컴퓨터 활용 능력 활성화- 다양한 교육용 소프트웨어 자체 개발 및 활용나) 추진 내용학교정보화 기자재 확충 : 컴퓨터 교육실 대형 스크린, 프로젝트, 디지털 카메라, CD-R교직원 연수 및 동호회 . 매주 수요일 8교시에 자체 연수 실시, 컴퓨터의 작동 및 사용법, 윈도우의 운영체제, 워드프로세서, CAI, 컴퓨터 바이러스, LAN의 사용법, 엑셀, 파워포인트 활용 등 사무처리 정보화 지향학생 컴퓨터 활용능력 신장 : 특기적성 컴퓨터반 운영,월 1 회 정보화 관련 방송, 컴퓨터 인증제 실시, 컴퓨터실 개방, 교과 컴퓨터 교육 편성 등 실습 위주의 정보화교육
학교 홈페이지 운영의 내실화 : 교수·학습, 연구, 교육행정 정보 등의 DB 구축, 가상 공간 활용 사이벼 학습 마당 마련, 학습 자료 DB 구축으로 재택 학습 실현, 학습정보 제공 및 학교 홍보 등교육정보화 추진위원회 구성(4) 동아리활동의 활성화 (2000~현)가) 목적 빛 방침학생들의 다양한 특기와 적성을 계발하여 가고 싶은 학교, 즐거운 학교 문회를 창조하기 위히여 교내의 동아리 활동을 다양화하고 활동 공간을 확보한다.- 학생 동아리 활동을 적극 지원한고 동이리 지도교사 회의를 구성학년 초 공개 모집 기간에 희망 학생이 동아리에 가입하고 연합회를 구성- 목화축제를 이틀간 실시하여 동아리 활동의 부여하고 발표의 장을 마련여름방학 중 연함 하계 캠프(1박 2일)를 실시하여 지도교시와 학생 모두 참여나) 초기 동이리 현황 및 지도교사(2000년, 10개)
걸스카우트 염정은 봉사동아리. 청소년 사회 교육 단체로 봉사 활동
다) 현재 동아리 현황 및 지도교사(2015년, 19개)
Blue-T 정용기 로봇동아리. 로봇 연구 모임, 로봇 원리 연구 제작
동아리활동 활성화 - 덩더쿵
(5) 계절학기제 시행 (2001 ~2003)
가)목적 및 방침학생들의 학력 저하를 막고 기초 실력을 향상시카기 위해 교육과정을 차별화하고 다양화한다. 수학 영어 두 과목에서 단계헝 수준별 교육 괴정을 적용하여 기초 부진학생을 방학 중에 지도한다.나) 추진 내용계절 학기 시행을 학기 초에 학생들에게 공지히여 학습 동기 부여계절 학기 시행 전에 재시험을 실시하여 면책 기회 부여대상자선정- 매 고사 총료 후 평정 척도 ‘가'에 해딩하는 60점 미만인 자 중 재시험 틸락자 혹은 미응시자중간고사 대상자 선정자 중 기말고시에서 성적이 향상되어 재시험 대상자가 아닐 경우 수강 면제계절 학기 시행
- 1일 4시간 수업으로 진행하며 수학과 영어를 2시간씩 교대로 실시- 깅의 위주 수업을 지양하고 실습, 체험 위주로 난이도 조절하야 수업- 재시험 결과는 내신 성적에 반영하지 않고 계절 학기 종료 후(6)평생독서를 지향한 독서교육의 강화 (2002~ 현)가) 목적 및 방침다양한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창의력과 상상력을 신장시키며 다양한 세계를 체험하게 하고, 사회 변화를 이해하게 하며, 비판적 사고를 기르게 한다. 건강한 시민, 품격 있는 어른으로 성정하도록 하여 독서교육이 삶의 교육과 직결된다는 관점에서평생독서플 지호한다.- 기존 도서동아리와 함게 새로운 독서토론 동아리를 운영하여 서적에 대한 정보를 제공히고 관심 증대시킴.- 열린 서가 및 도서관의 도서를 확보, 전산화하여 소장 서작에 대한 정보 제공도서실 개방 시간 확대, 복사기 설치 운영 등 독서에 편리한 환경 구축나) 추진 내용
도서실 환경 개선 및 독서 전문 동이리 신설 운영- 도서실 전선화 및 도서 대출증 전산화 작업 완료- 기증 도서로 구비된 ‘열린 서가’ 비치 도서 확충- 도서실 개방 시간을 아침, 점심, 방과후 등 세 차례 개방하고 복사기 설치- CD, DVD 등 디지럴 자료 구비하여 종합 교수학습 지원 시설로 전환도서동이리 ‘여울목’ 운영 내실화 및 독서동아리 ‘빠따’ 신설- 독서동아리가 제작 독서 정보 유인물 『책!책! Check It Out』주간지 간행- 학생들이 읽고 싶은 책, 갖고 싶은 책, 선물하고 싶은 책 목록 작성 및 배포 - 선정도서 캠페인 홍보 활동, 포스터 제작, 우수 감상문 게시학교 독서 환경 조성 및 독서 행사 개최
- 작가와의 만남, 독서퀴즈대회, 도서관 견학 제험, 날밤읽기 등 행사 개최- ‘도전 대하소설’, ‘도전 열 권 읽기’ 방학 중에 실시, 독서 인증서 수여- 교사 독서 동아리 결성 및 선생님이 추천하는 책 목록 배포- 계절에 따라 좋은 책 선물하기 운동, 한 달에 한 번 대형서점 가는 날 운동- 학부모를 위한 독서 모임 운영1학년 국어 시간 중 독서 시간으로 1 시간 독립 편성- 작품에 대한 해설과 감상 쓰기 활동지 첨부 독후휠동
(7) 자치 활동을 통한 적성 및 소질의 계발 (2003~현)
가) 목적 및 방침학생들이 학교 생활에서 주인 의식을 갖고 스스로 공동제 문제를 해결해 나가도록 하여 민주적인 시민 의식을 함양히며, 자치 활동의 내용을 다양화하여 학생 스스로 학교의 문화 창출히도록 유도한다.- 학생회 조직은 학생회 규정에 따라 민주적 절차를 거쳐 조직히되, 회징과 부회장은 직접 선거로 선출- 학생 지치 조회를 실시하여 학생 스스로 학교 활동에 참여하고 긍정적인 학교 문화칭조하여 기고 싶은 학교, 머무르고 싶은 학교 지향- 학생회 주관으로 이루어지는 행사를 통해 자치 활동의 영역을 획산나) 추진 내용민주적인 학생회 조직과 운영- 담임교사와 학생 20명 이상의 서면 추천으로 출마. 직선제로 학생회장단 선출선거 운동, 방송 연설회, 합동 연설회 각 1 회 실시
- 이침 등교 지도, 점심 급식 질서 지도, 학생회 간부 야영 빛 연수(연 2 회), 학생지치 활동비 예산 편성, 학생회 주관 행사 확대(신입생 OT, 스승의 날, 목회축제), 헥생회실 운영, 학년제 대의원회 조직- 4.19 국립 묘지에 있는 4.19 혁명 희생자인 모교 진영숙 선배 묘역 참배학생 자치 조회 한성인 한마당 운영대의원회의를 통해 계획 수립하고 학생회가 주관하여 행사 진행- 일반 조회와 차별성을 갖기 위한 독특한 프로그램 개발(특기발표, 동이라 발표, 주제 발표 등)- 자치 조회의 성과 및 개선 사항을 점검하기 위해평가 설문지 활용 기록
(8) 창의적 재량활동의 활성화 (2004~2007)
가) 목적 및 방침7차 교육과정의 창의적 재량활동 수업을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건강한 몸과 정신이 바르게 성장하도록 교육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운영한다, 21 세기 세상의 주인된 여성으로 갖추어야 덕목을 길러주는 활동식 수업을 편성한다.나) 추진 내용건강한 삶(1학년)- 양성평등 교육, 올바른 성지식에 대한 정보 제공, 성문제 예방- 인간관계 교육, 생명에 대한 존중감 함양, 성표현물에 대한 비판적 사고- 성역할, 남녀 2차 성정과 변화, 성폭력의 의미와 원인, 성폭력 대처 방안 역할극, 성병의 종류와 증세, 임신과 분만, 낙태와 피임, 이성교제 등 교육아름다운 삶(2학년)- 텔레비전, 영화, 비디오, 컴퓨터 등 영상매체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 첨단 영상 매체와 현대 미술과 디자인의 연관성 활용 표현 능력 배양- 디자인의 활용, 디지털과 아날로그 비교, 디지럴카메라 활용과 영상극 만들기, 제품 디자인의 개념, 제품 디자인의 활용과 인체공학, 휴대폰, 컴퓨터 마우스 활용 디자인 실습등 교육행복한 삶(3 학년)
① 인성교육- 나의 탐색을 통한 자아성찰과 티인을 배려하는 마음 기르기- 긍정적 시고와 지존김- 향상으로 공동체에서 조화롭게 사는 빙법 익히기- 자기소개 인사하기(정직), 신기한 문방구(진실), 자기 주장고 정청하기(관계개선, 배려), 시진보고 설명하고 그림 그러기(전달), 나의 취미와 적성(전로)② 전통음악교육조성들이 만들어낸 전통문화의 종합예술로서의 성격고 축제 문화 이해민요와 춤, 풍물놀이 등의 기초적인 기능 학습과 공동 작품 창작으로 창의력 계발 교육대보름 굿의 기원, 민요 배우기, 장단 익히기, 소고춤 배우기, 타악 퍼포먼스 배우고 발표하기, 조별 창작굿 만들기 교육(9) 사이버 가정학습 체제 구축 (2006~2008)가) 목적 및 방침
니날이 빌전하는 인터넷 서비스 환경과 주 5일제 수업의 확산 일로에서 자기주도적 학습 체제를 사이버상에 구축하여 다양한 학습환경과 제공한다.- 학습지료를 수집, 보관, 분류하여 구축하고 하드웨어 서비스 환경을 개선- 방송반과 연계하여 촬영 및 편집 능력을 함양하고 학습모형을 개발하야 서비스- 인터넷 환경을 수시로 점검하고 사이트 접속을 통해 온라인나) 추진 내용- 국어, 영어, 수학, 과학 교사의 자발적 참여을 통한 실무진 구성히고, 타 과목 교사들 중심으로 특생 강의 협조 및 준비- 방학 중 촬영 및 편집을 통한 영상 휠용 기술 연수 참가- 학생 테스터를 모집하여 사이버 학습에 대한 접속환경 조사 빛 문제점 보완- 학기 중 과목별로 수업 내용을 촬영하고 홈페이지에 탑재 서비스- 방송 기지재 확보, 인터넷 서비스망 확충, 1교사 1학생제 촬영 시스템 도입(10) 학력 신장을 위한 맞춤형 수준별 수업 (2007~현)
가) 목적 및 방침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맞춤식 교수·학습 전략을 수립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육 통해 학습 결손을 방지한다. 수업에 대한 자신감을 고취시켜 창의적 인재들을 발굴하여 육성하는 한편, 수준별 이동수업의 한계에 대해 분석하고 극복 방안을 마련한다.- 수학과(1, 2학년), 영어과(2학년) 두 개 교과에서 실시한다.- 효과적인 눈높이 수업을 위한 인프라 구축, 수업모형 개발.평가모형 개발- 학기별로 새롭게 학급을 편성하여 새로운 동기 부여를 한다.- 기존 공간을 개조하여 교과 교실을 확보한다.나) 추진 내용수학과 (2007-2012)- 원리반(하위 20%), 탐구반(중위 45%), 창의반(상위 35%)으로 학생 구성- 2개 학급을 3개 반으로 구분하여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특별히 원리반 인원을최소화하여 성취도가 떨어지는 학생들을 배려
- 교사용 학생용 대수막대 제작, 협동학습용 수업기자재 제작 등 학습교구를 개발- 개별학습, 모둠학습, 발표 및 토론학습 등 다양한 수업 모형으로 실시영어과 (2007- 현)- Try반(10~13명), Dream반(30~35 명), Challenge반(21~25명)으로 학생 구성- 2개 반을 3개의 등급으로 나누어 원어민과 영어수업을 주당 1회 실시하여 학생의 영어 수준에 맞는 표현과 내용을 사용하여 수업을 진행- Try반 학생들에게는 개별화 수업을, Challenge반 학생들에게는 심화 학습을 실시하여 수준에 맞는 학습 동기 부여가 가능(11) 토의·토론 수업의 확대 (2009~현)가)목적 및 방침토의·토론을 통하여 학생들의 사고 능력을 확장시키고 학습 활동에 대해 학생들의관여도와 주인의식을 증진시킨다 토의·소양수준에 관계 없이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한다.
- 도덕 교과에서 토의·토론교육의 실제 수업을 모색- 교과서 분석을 통해 각 단원의 논제를 추풀히고 적합한 형식을 적용나) 추진 내용도덕 교과서 분석 단원별 논제 추출 구성
단원명 토의토론수업 논제 추출 토의토론 형식
토론대회 개최
- 학급별 예선을 거쳐 4 팀을 선정하여 본선대회를 진행하고 3학년 학생이 관람- 토론 주제를 설정하고 팀당 3 명의 인원으로 구성하여 찬반 토론 실시하야 교사가 심판을 보고 승패 판정을 내려 우세한 쪽을 승리로 결정(12) 학생 1인 1운동 건강 교육 (2008~2011)
가) 목적 및 방침청소년기 체육활동의 기회를 확대하여 체력을 향상하고 하루 한 시간 이상의 신체활동을통해 심신의 발달을 유도한다. 지속적인 운동을 통해 집중력과 지구력을 높이고 유산소 운동을 통해 비만율을 감소시킨다.- 전학생을 대상으로 체육시간의 준비운동으로 줄넘기를 실시- 점심, 방과후시간을 이용하여 스스로 줄넘기, 탁구, 인공암벽등반에 참여한다.- 체육교과의 해당 학년의 수행평가로 실시하고 대회 개최를 통해 동기를 부여나) 추진 내용줄넘기 마라톤 대회, 이단뛰기 대회- 수업 시간을 이용해서 반별 대표 5 명은 선발하고 체육관에 모두 모여서 최종 1 명이 남을 때까지 줄넘기 마라톤 대회 실시- 개인별로 이단뛰기 2 번의 기회를 주고 횟수를 측정하여 우승자를 시상함.줄넘기 ucc 경진대회
- 1년 간의 줄넘기 활동 내용을 직접 찍은 동영상을 제작하여 제출하고 성실히 실천한학생을 선발탁구 복식 대회- 방과후에 강당에서 2 인 1 조로 원하는 팀을 꾸려서 복식경기로 진행하고 토너먼트 방식으로 승패를 겨루고 우승자를 정함.인공 암벽 오르기 대회- 체육 시간에 암벽 오르는 방법을 익힌 후 신청자를 받아 인공 암벽 정상에 빨리 도착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시상함.배드민턴대회
- 2 인 1 조로 팀을 이루어 하이클리아 렐리 대회를 실시하고 가장 많이 수행한 학생 선정- 학급 내 배드민턴 복식 경기를 실시하여 반 대표를 선정히고 대표팀을 모아 토너먼트 경기를 진행함.
탁구 복식 대회
(13) 인재양성을 위한 영재학급 운영 내실화 (2010~현)
가) 목적 및 방침영재성 계발을 통해 창의력과 탐구사고력이 뛰이난 인재를 육성하고 결과보다는 과정을 증시하며 학생 스스로의 노력에 의한 창의적 산출물의 생산을 유도한다.2, 3혁년을 대상으로 1개 학급을 개설하여 20명을 무학년제로 운영- 영재교육 대상자는 담임교사 및 수학교사의 추천 지원 → 영재성 선발도구 검사 →심층 면접 3단계로 판별- 한각교육개발원, 영재교육지원센터에서 개발한 자료를 참고하여 심회 칭의성 계발, 협동학습, 프로젝트학습 등 다양한 내용으로 교재를 구성- 영재교육기본연수(60시간)를 이수한 교사가 담당하며 개인별 포트폴리오 자료를 작성한 수 있도록 지도하고, 인성교육을 위하여 봉사활동을 1 회 실시나) 추진 내용
개설 시기 : 학기 중에는 방과후에, 여름방학 기간에는 집중 수업으로 하여 비정규 교육과정으로 운영지원 분과 : 교육과정, 교과활동, 특별활동, 운영기획, 학생지원 5개 분과수업활동 계획 예시
시기 지도주제
(14) 인성교육 활성회를 통한 생활지도 (2013~현)
가) 목적 및 방침스스로 자기 김정을 조절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고 생명의 고귀함을 느끼게 하며 남배려하는 마음의 필요성을 지도한다. 교사와 학부모간의 정보 교류 확대로 학생 지도에 있어 유기적인 관계 형성을 도모한다- 1학년 상담 괴목, 2학년 인성 과복, 3학년 보건 과목을 편성하여 운영- 학기별 1 회 ‘학부모의 주간’ 지정 및 학부모 상담 주간 운영하고 ‘학부모의 주간’에 수업 공개 및 상담과 학급 운영 홍보촬동을 적극적으로 전개- 학년부장 중심으로 부적응학생 생활을 지도하고 학부모외의 긴밀한 협조를 위해 노력나) 추진 내용
인성조회 : 매월 첫째주월요일, 전문상담교사의 인성 조회 전교생 대상 실시한자성어 익히기 : 매주 금요일, 인성에 좋은 한자성어 소개 빙송을 보고 공책에 쓰면서 익히기담임교사의 인성지도 . 연중으로 학교폭력예방 및 학급 운영 방침 홍보명작 읽기 : 방학 증 명작 한 편을 읽고 독후감 써서 우수 학생 시상Wee Class 운영- 상담실과 생활지도부가 연계하여 부적응학생들에 대해 유형별 및-춤헝 상담 프로그램으로 개입- 잠재적 위기 학생에 대해 학교표준화 검사, 정신행동 선벨검사 실시히여 조기에 선별하고 개입 방법을 마런일반 핵생들의 자기 성장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해 싱팀- 서비스블 실시하고 ‘애플데이’ 행사로 친구 관계 개선 기회 제공(15) 자아성장을 통한 학력 향상 (2014~현)
가) 목적 및 방침사교육에 의존하기 않고 스스로 계획하고 공부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여 학슴의 성취통해 지아검-이 성장하는 인재를 양성한다. 멘토·멘티 학습을 통해 핵력을 향상히고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배워서 상호 공존하고 협력하는 21 세기가 요구하는 인재로 양성한다.- 자기주도적 학습태도를 확립하는 학습코칭반 운영으로 상호간의 성장을 도모학습코칭빈은 무학년제로 해서 희망자 20명 내외로 구성하여 1 학기 기초반 2학기 심화반으로 운영- 멘토·멘티 성장학습은 학기초에 민티 대상 학생을 선정하고, 지발적인 희망자들을 팀을 구성나) 추진 내용학습코칭반무학년 한 학급으로 구성하여 홀랜드 직업탐색검사, 적성검사, 학습유형테스트,학습플래너 작성 등의 내용으로 운영
- 참가 학생에게 간식을 제공하고 문화활동도 지원하여 참여율을 높이고 이수 시 생활기록부에 기록멘토·멘토 성장학습- 학년 단위로 멘토·멘티 팀을 이루어 구성하고 요일별 학습 희망조를 편성- 요일별 관리교사가 학습 분위기를 조성하고 참가 조의 학습시간을 인증- 협동학습 시간에 따라 최대 봉사시간 5시간을 부여하고 목표 단계 이수별로 상증정하여 참여의 적극성을 높임.(16) 꿈과 끼를 펼치는 문·예·체 활동(현)가)목적및방침학업 이외에 학생들의 전인적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문화, 예술, 체육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활동과 행시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꿈과 끼를 미음껏 펼치고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나) 추진 내용희망 학생이 자율적으로 활동하는 상설동아리 활성화전교생이 소질을 계발하고 취미를 실리는 창의적제험활동 동아리 가입스포츠클럽 운영- 건전한 스포츠 활동을 통해 체력을 키우고 여러 스트레스를 해소하게 함- 주당 1 시간 희망 스포츠클럽(피구, 배드민턴, 넷볼, 요가, 농구, 발리볼 등)에서 체육활동학년체육대회- 1 학기 기말고사 후 학년별 체육 경기를 실시하여 학급 구성원간 단합 유도- 피구, 줄다리기 두 종목에 한하여 학급별 대항으로 진행학급힐링캠프 : 담임교사와 학생들이 함께하는 학급 야영 프로그램합창대회 : 학급 대항 자유곡 1 곡 선정 노래 합창 발표 경연목화축제 : 공연, 전시회, 제험, 이벤트 등 교사, 학생, 학부모 종합 빌표회
대동제 : 은행팀, 목화팀 대항 청백전 방식으로 전교생이 참여하는 체육 행사
(17) 학교 대외 활동 및 표창
교내에서 여러 기지 교육 활동을 전개하여 학교의 교육력을 높인 것과 동시에 대외활동에도 활발하게 참여하였다. 근래에 활동했던 내용들만 정리해보면 2012년에 서울특별시 학교보건진흥원에서 주최한 줄넘기 발표대회에서 건깅교실 동이리가 참가하여 금성을 수싱했다. 2013년에는 성북구청 나눔정-터 축제에 LID 동아리가 찬조 출연하였으띠 국민생활체육회장기 주최 전국창작음악 줄넘기대회에서 건깅교실 동이씌가 동상받았다. 또한 성북교육지원청 학교청렴도평가에서 청렴우수학교로 선정되었다.2014년에는 환경부 한강유역환경청에서 주최한 한강사랑 서포터즈 우수활동 동아리 발표대회에서 오래된미래 동아리가 금상을 수상했고, 성북구 산하 학교절전소 사업 1호로 초록에너지수호천사 동이리가 지정되었다. 국민안전처 주최 생활안전지도 대국민 아이디어 공묘전에서는 건강교실 동아리가 제작한 골목길 안전지도가 대상의 영예를 안았디 또한 관교 학생 30 여 명이 성북구청이 주최한 책 읽는 성북 북페스티벌 개막식 공연 푸대와 스댐 활동에 참여하였고, 서도소리 배뱅이굿 기획 공연에 덩더쿵 동아리가 출연하였다.2015년에는 지구를 위한 성북구민 행동의 날 불끄기 행사에는 LID 동이리가, 성북구청 혁신교육 설명회 및 학교-마을 결연식에는 덩더쿵 동아리가 친조 출연하였다. 한성여중-한성대-성북구청 3자가 모여 미래인재양성 프로젝트를 위한 교육콘텐츠 협약식도 체결하였다. 그리고 흡연예방교육 우수학교로 선정되어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을 받았고, 성북교육지원청 학교청렴도평가에서 청렴우수학교로 또 다시 표창을 받았다.
<표 36> 교내 장학증서 및 대회 시상 종류 일람
- 선행학습 방지 대책과 관련하여 교과경시대회 시상 중단 (2015년 현재)
장학증서 특대장학생,의화장학생,목화장학생,동창회장학생
<표 37> 교내 각종 교무위원회 구성 명단 (2015년 현재)
학교교육과정위원회 교장,교감,교무부장,연구부장,교육정보부장,창의체험부장
교복공동구매추진위원회 총학부모회 위원 5인
4.1.4 교육 환경의 개선
1) 시설(1) 교육시설 확충 및 주요 개선 (1995년 이전)가) 본관, 과학관, 학생회관 신축나) 수영장 신축다) 테니스장 신축라) 체육관 신축마) 한성대학교와 한성여자중·고등학교 부지 및 교사 이전
(2) 교육시설 확충 및 주요 개선 (1996~2000)
가) 한성여자중학교와 한성여자고등학교 사이 도시계획으로 소방도로가 나면서 구름다리 설치 / 본관 심야전기증설 및 난방 개선(심야온풍기) / 교육정보화 위한 자체 학내망 구축나) 본관 지하층 학생식당 설치 [1998년 08월 23일부터]위탁급식 실시(한성여자고등학교와 조리실을 이용한 공동급식)(3) 교육시설 확충 및 주요 개선 (2001 ~2005)가) 본관 창호 교체 / 본관 전기용량증설 및 배선 / 본관 교실 교체본관 교실 조도개선 및 간선 교체 / 본관 강당 음향 및 영상시설 개선본관 가정실습실 개선 / 본관 급수시설 및 온수시설 개선나) 체육관 및 강당 (낙산관) 증축。2005년 3월 18일 준공 / 사업비: 8,359,677,300원。철골· 철근콘크리트조 / 지하 1 층 지상 4층 / 연면적 4,872.36㎡。운동장이 없어 체육관에서 체육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는데 노후 체육관 증축으로 교육시설의 안전성 및 안전사고를 대비하고 효율적인 교육활동 및 학교행사에 휠용할 수 있는 체육·문화공간을 확보하여 탄력성을 기하는데 도모하고쾌적히고 안전한 교육환경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전학년의 급당 인원을 3명 이하로 낮추어졌으나 7차교육과정의 다양한 수업 및 수준별 수업을 실시할 수 있는 교육공간이 필요하며 특기적성교육 및 예술활동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기 위한 다목적교실의 증축으로 확보하였습니다.
(4) 주요시설 획충 및 주요 개선 (2006~201O)
가) 본관 소방시설 개선 / 본관 외벽개선 / 학내망 및 통신시설 개선 / 소운동장 개선본관 강당 무대 개선나) 구름다리 칠거철거 전 사진
철거 후 사전 l 한성학원 동문 설치
학교 주변 주택 재개발 부지조성 및 이피트 단지 조성
다) 신관 증축
。2007년 8월 27일 준공 / 사업비 1,307,862, 590원。철근콘크리트조 / 지상 4층 / 연면적 1,609.06㎡。열악한 학생식당 증축으로 학생들의 품위 및 문회수준 향싱과 위생 및 인전시고예방 효과가 기대됨.。전학년의 급당 인원은 35 명 이하로 낮추이졌으나,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교육과정편성·운영 및 학력신정을 위한 수준별(눈높이) 이동수업을 실시하기 위한 다목적 교육공간의 필요로 교실의 추가 증축하여 교육시설의 안전성 및 안전사고를 대비히고 쾌적하고 효율적인 정규교육활동을 할 수 있는 교육시설 확보 및 개선에 기여함.공사 전 사진
준공사진
(5) 주요시설 확충 및 주요 개선 (2011 ~2015)
가) 학교급식 무상급식 전환 [2011년08월 부터]나) 공부방 설치 / 학생공감상담실 설치 / 본관 교실 바닥 개선 / 본관 천정용 냉·난방기 교체 / 방송시설(디지틸 영상·음향) 개선다) 본관 옥상 지붕 개선
본관 옥상 지붕 개선
라) 신관 소강당 및 학교운영위원회실(학부모회실) 설치
마) 급식실 및 학생식당 (목화관) 증축 [2013년 06월01월부터 직영무상급식으로전환]。2015년 5월 24일 준공 / 사업비 : 1,755,895,320원O 철근콘크리트조 / 지/원층 / 연면적 l ,139.15㎡。1999년 8월부터 2008년 12월 현재까지 한성여중의 학교시설의 절대부족으로동일법인인 한성여고의 급식실을 이용하여 공동조리한 후 학교급식을 실시하면서 여러 문제점들이 야기되어 안전사고도 염려되고 있습니다.O 한성여고 급식실에서 조리한 음식을 배식차량으로 250미터 이상 떨어진 급경사가 있는 도로와 비탈진 진입로를 경유하여 재학생들에게 학교급식을 실시하면서 위생관리와 배식시간 등의 문제들에 대해서 학생들과 학부모님께 지속적인학교급식시설의 개선에 대한 건의가 요구되어오고 있는 열악한 여건입니다.。급식실 및 학생식당 증축으로 보다 위생적이고 능률적인 작업이 가능한 급식환경 기준과 학생들이 쾌적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급식시설을 확보하여식중독예방 효과와 직영무상급식에 대비하여 반석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학생들의 품위 및 문화수준 향상 도모와 학교급식의 위생 및 안전사고 예방의최대 효과와 원활함을 확보할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공사 전 사진
준공 사진
4.2 한성여자고등학교
4.2.1 여고의 성장 (1951~1976)1) 한성여고의 학급수와 정원한성여고의 1953년도 인가 학급 및 정원은 학년당 2학급, 전체6학급, 학급정원 50명 전체정원 300명이었다. 한성여고의 1961년도 인가 학급 및 정원은 학년당 6학급, 전체 18학급, 학급정원 50명 전체정원 900명이었다_ 1968년에는 인가학급이 학년당 8학급, 전체 24학급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한성여고의 인가학급 및 정원은 다음의 표와 같이 1953년 이후 1970년까지 계속적으로 증가하였던 것이다.<표 38> 한성여고의 인가학급수와 정원 (1953~1970)
연도
연도
한성여고의 실제 운영되었던 학급수와 학생수는 인가학급 및 정원과는 다소 달랐다. 1961년 11월 당시 한성여고의 학급수와 정원은 다음과 같다. 1학년 5학급 339 명, 2학년 4학급 304명, 3학년 3학급 203 명이었다. 전체인원은 848명, 학급당 인원은 l 학년 67.8 명, 2학년 76명, 3학년 67.7 명이었다.
한성여고는 6.25 전쟁 후인 1954도 3월에 실시한 고등학교 입학자 선발에서 후기교로 결정되었다 그리하여 동구여상고, 숭의여고, 보성여고, 서울경라고, 명성기고와 같이 1954년 3월 11일부터 24일까지 입시를 실시하여 학생을 선발하였다.2) 한성여고의 주요 교육 활동
(1) 실력 향상 활동김의형 교장은 인문계 고등학교의 핵심은 ‘실력’이라고 판단하고, 실력 향상을 교육활동의 우선순위로 삼았다. 한성여고는 1956년 이후 『의화』지에 성적우수반을 발표하여 표창하고, 1958년 이후 과제물 전시회를 개최하였다. 그리고 1959년 이후에는 장학생제도를 시행하고, 1961년 이후에는 영어, 수학, 국어 중심으로 교내학력경시대열었다. 그리고 1962년에는 ‘실력 충실의 해’를 선포하여 학생들의 실력을 향상시커기 위해 노력하였다. 1964년 이후월례고사를 실시하였고, 1966년 이후 앙어 외우기 대회를 개최하였다. 1968년 이후 무감독고사를 실시함으로써 학생틀의 자율성을 증대하고자 하였고, 1976년 이후 영어 외우기 대회를 개최함으로써 학생플의 영어구시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 결과 주변 학교에 비해 우수한 대학 진학률을 보여 주었다.(2)월간 『義花』 와 연간 『의화』 발간
1956년 10월 10일 한성여고의월간지로 『義花』를 창간하였다. 이는 “낙산 언덕 한성의 보금자리에서 성장하는 여러 학생들의 모습을 엮어서 서로 보고 읽는 가운데 돈목(돈목)한 정의를 더욱 두럽게 하고자 한다는 창간사의 한 구절처럼, 학생들의 돈목한 정의를 더욱 두럽게 하고자 함이었다.월간지 『義花』는 1981년 7월 15일까지 총 124호가 발간되었다. 1958년부터 1977년까지 연간종합지『義花』를 발간하였다. 이는 한성여중고의 1년간의 사건과 활동을 소개하는 살아있는 역사책이었다.(3) 운동부의 활약설립자 김의형 교장은 일본체육전문대학 출신의 체육인이어서 정구부, 탁구부, 핸드볼부, 배구부, 육상부 등 다양한 운동부를 운영하였다. 한성여고의 운동부들은 전국대회에 출전하여 높은 성적을 거두어 학교의 명예를 선양하였고, 다른 학교 학생과의 교류· 친선에 기여하였다.핸드볼부는 전국정구대회에서 자주 우승을 차지하였다. 1966년 제5 회 전국남녀핸드볼종합선수권대회, 1967년 제6회 전국남녀핸드볼선수권대회, 1968년 제7회 전국남녀핸드볼선수권대회의 여고부경기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특히 한성여고 핸드볼팀은 1968년 핸드볼협회가 1년 동안의 성적을 감안하여 선정한 최우수팀에 선정되었다.
한성여고는 1960년 8월 개최된 제 32 회 전국남녀학생수상경기대회에 2 명이 처녀 출전하였다. 육상부는 1961년 7월 8일 개최된 400 미터 계주 육상경기대회에서 한성여고 3등으로 들어왔다.(4) 카드섹션 활동한성여고의 학생들도 한성여중의 학생들처럼 전국체전, 국군의 날 행사 등에서 카드섹션 활동을 벌였다. 이는 학생들의 협동심과 단결심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대통령과 장관 등의 표창과 상품을 받음으로써 학교의 명예를 선양하였다. 이는 학생들이 성취감을 얻게 함으로써 자율학습역량의 제고에 도웅을 주었다.1970년 전국체전 개회식과 폐회식에서 한성여고 3,000명의 학생은 모두 183 컷의 장면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1974년 10월 8일 개최된 제 55 회 전국체육대회 개회식에서 한성여고 3,000명의 학생은 재미교포=대한헝공과 지유의 여신상, 재일교포=부관연락선, 이북5도=태극기와 백두산, 제수률 새우 순환도로, 부산동백꽃과 부산타워, 경남=울산현대조선소, 경북=포항종합제철 농지정리 첨성대, 전남=새마을운동 식링:증산 다도해개발, 전북=농공병진, 충님느충무공과 거북선, 충북=속리산 국립공원, 강원=오징어 명태어로작업, 경기=통일로와 자유의 집, 서울=고층건불과 지하철 등 14 기자의 카드섹션을 선보였다.
이러한 공로로 한성여고의 교직원은 감사패와 훈장을 받기도 하였다. 1971년 한성여고의 김의헝 교장은 제52 회 전국체전에서 식전공개행사에 협조한 공포료 대한체육회로 부티 감시패를 받았다. 1971년 한성여고의 김영희 교감은 한성여종의 임양수 교김과 힘께 국민훈장 석류장을 받았다. 그리고 이인영(李仁榮) 교사는 1975년 초청을 받아 필리핀에 기서 마르코스대통령 생일축전 시 필리핀 국민에게 카드섹션을 교육하여 갖가지 모양올 구한하기도 하였다.(5) 특활부 활동한성여고는 학생들의 자율성과 협동심 등을 기르기 위해 다양한 특활 활동을 전개하였다. 얀극부는 1956년 7월 9일 라디오 방송국인 HLKY에서 “장미꽃세송이”리는 방송공연하였다.
한성여고 취악부는 1959년 5월 23일 서울운동장에서 개최된 ‘제 37 회 전국여자연식정구대회’ 개회식에서 주악을 담당하였다.3) 위문과 의연 활동1953년 한성여고의 교직원과 학생 일동은 1953년 12월 14일 3,400환을 경향신문사에 부산회재의연금으로 제공하였다.한성여고교장 김의형은 1976년 12월 27일 체육장학기금 3만원을 대한체육회에 기부하였다.4.2.2 여고의 도약( 1977~1995)
1) 시대상황1974년 고교평준화 실시는 우리나라 모든 고등학교에 큰 충격과 변화를 가져왔다. 각 학교의 특정을 실리는 특별 활동은 하나씩 둘씩 없어지고 입시 부담이 적은 실업계 고등학교로 넘어갔다. 전인 교육의 도장인 학교가 어찌 보변 입시 준비 기관 같은 모습으로 전락한 것도 사실이었다.본교에서도 이와 같은 시대의 변화에 적응할 수밖에 없었다. 카드섹션도 상업계 고등학교로 넘겨주고(1978), 취주악부도 없어지고 체육한성의 명성을 자랑하던 운동부도 없어지거나 축소되어 갔다. 그러나 한편 본교에서는 새로운 도약을 할 수 있는 호기회를 맞게 되기도 했다. 대외적으로 활동이 많이 준 것은 안타까운 일이나 내실을 다지알찬 교육을 해 온 이 시기는 한마디로 실력 향상을 위한 줄기찬 노력 시대라 할수있다2) 역대 학교장의 취임과 교육방침
(1) 제9~10대 임양수 교장 취임과 도약의 토대 마련 (1977 ~ 1984)설립자 교장 선생님께서는 연세도 연만하시고 후학들에게 길을 열어준다는 뜻에서 1977년 교장직을 사임하시고 고등학교 교장으로 임양수 교감 선생님을, 중학교 교장에 김영희 교감 선생님을 각각 승진 발령함으로 새로운 체제가 시작되었고 이로써 본 학원은 명실상부하게 중·고등학교가 완전 분리되었다.임 교장 선생은 충청도 공주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본학원에서 오랫동안 지리괴를 담당학고 취주악부를 맡아 카우는 데도 큰 공을 남겼다. 설립자 선생님의 사위이시기도 한 임교장은 지금까지의 발전 기반위에서 새로 도익t하는 만들기 위해 패기찬 신념과 님다른 노력으로 일과를 보냈다.학교의 모든 일을 혼자서 결정하지 않고 여러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여 중론을 모아 학교 행정을 이끈 옹화한 성품의 교육자였다. 실력향상뿐 아니라 명랑한 학교 분위기만들기 위해서 엄격한 권위보다 모든 선생님들과 친구처럼 지내며 격려하고 수고에감사해 하였다. 그러므로 전교직원이 일치단결하여 자발적이고 헌신적으로 학교 발전에 참여하여 최고의 진학률을 나타내므로 학원의 도약 발전에 전환침을 미련하였다.
그러나 선생님 지병으로 말년에 고생하다가 아깝게도 1984년 회갑을 눈앞에 둔 향년 59세로 타계하여 공주 선영에 안치되었다.임양수 교장의 학교 운영방침은 다음과 같았다.오늘날의 모든 국가들은 복지사회의 실현을 최대의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국민의 민주시민적 자질 향상에 역점을 두고 있는 교육의 힘에 크게 의존한다이에 본교는 1977학년도에 즈음하여 첫째 교육의 질적 발전, 둘째 서윤 교사명의 생활회 셋째 학교 행정의 창의적 쇄신이리는 서울 교육 시책에 의거 다음과 같이 우리학교의 경영목표를 설정한다.자유 민주적 봉사, 협동하는 새마을 정신의 힘양에 힘쓴다.지역 사회에 봉사, 협동하는 새미을 정신의 함양에 힘쓴다.과학적 생활 태도의 함양을 위해 학생들의 창의력 계발과 기초과학 교육에 주력한다.성실한 학교생활 운영을 위해 면학 분위기 조성에 주력한다.
자율적 생활 태도의 신장으로 참된 사회인으로서의 자질을 배양시컨다.(2) 제11~12대 염홍천 교장 취임과 학습 내실화 주력 (l984~ 1991)임영수 교장의 갑작스런 유고로(1984년 5월) 본 고등학교는 큰 공백이 생기게 되었다. 진학지도에 차질이 생기고 교시플의 허탈감도 컸다. 재단에서는 이런 침을 감안하여 중학교 염 교장을 고등학교 교장까지 겸임케 하다가 이어 정식으효 교징으로 발령하고 중학교 교장에는 김인자 교감 선생을 승진 발령함으로 염 교장 시대가 시작되았다염 교장 선생님은 이북 출신으로 배문중학교 교장으로 오랫동안 제시다가 한성여중 교장으로 오신분이셨다. 성격이 매우 차분하고 온순하시며 외유내강의 선비평으로 조용한 개학과 순리적 발전을 도모하시는 합리적인 분이셨다.선생님 재엄 중 교사 이전 사업이 있었는데(1986) 대학이 사용하던 건풀이 고등학교에 맞지 않아 여성교육 환경으로 고치기 위해 교실 안팎의 각종 시설물을 정비히고 아름답고 깨끗한 학교 분위기를 만들어 놓으셨다.
염홍천 교장의 학교 운영방침은 다음과 같다.학생 개개인의 인격을 존중하고 개성을 최대한으로 발휘하게 함과 동시에 우리 민족의 문화 전통을 계승하게 하여 나라와 겨레를 사랑하는 생활로 자랑스런 한국인임을 인식하게 하고 조국에 헌신할 수 있는 유능하고 적격한 민주적 사회인을 육성할 목표에 따라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기지로 나누어 주력한다.사랑으로 학생 육성연찬으로 수업 개선존경으로 상호협조본교 교육 계획을 충실하게 운영하기 위하여 이와 같이 교사들의 수업에 임하는 자세와 교사 상호간,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를 중심적으로 조언하고 지도하여 건전한 교육기관으로 육성 발전시킨다.(3) 제13대 김인자 교장 취임과 건학정신 제고 (1991 ~ 1995)1991년 3월 염 교장 후임으로 김인자 교장 선생님이 부임하셨다. 선생님은 설립자 선생님의 따님으로 숙명여대에서 학사, 석사를 마치시고 1968년부터 본교에서 오랫동안 국어 교사로, 교감으로, 교장으로 계시면서 설립자 선생님의 숭고한 교육입국의 돗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서 노심초사하시는 분이시다. 김 교장의 고등학교 부임은 여러 가지변에서 학교 분위기가 쇄신되는 계기가 되었다.
첫째 중고 교사 이동을 통해 젊은 교시를 많이 확보함으로 학교 분위기를 젊게 바꾸어 놓았다. 둘째 과김-한 시설투지를 통해 여학교다운 깨끗한 환경을 조성하였다. 셋째 실력우선주의를 강조하여 실력 있는 학교를 만들었다. 본 고등학교는 김 교장을 맞으면서 60, 70년대의 활기를 되찾았다. 일사불란한 지도력으로 연구하는 학풍을 조성하였다.김인자 교장의 학교 운영방침은 다음과 같다.바른 세계관, 국가관, 인생관을 지닌 애국애족하는 여성을 육성한다.도덕성 확립과 근면, 성실, 봉사하는 기본적인 생활 태도를 함양시킨다.교사의 확고한 교직관과 탁월하고 창의적인 지도력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자율적인학습 태도를 신장시키는 새로운 교육환경조성에 힘쓴다.
과학 기술 교육의 강화로 세계화에 앞장서는 능력을 기른디지성과 덕성의 토대가 되는 기초 제력 향성을 위해 보건 체육교육을 강회히고 이를 생활화하도록 지도한다.3) 교육환경 개선과 다양한 교육활동(1) 교육환경 개선과 연간학사일정 및 상담실 운영가) 교육환경 개선1986년 교사 이전으로 고등학교는 본래 대학이 사용하던 건물로 오게 되었다. 건물 자제와 시설이 고교 교육 여건에 맞지 않아 적잖은 어려움을 겪었다. 화장실을 비롯한 제반시설을 여학생 교육환경으로 바꾸기 위해 상당한 기간 동안 시설개조 공시를계속하였다. 특히 1991년 김 교장 선생님의 부임으로 획기적 시섣 보수 공사를 실시하여 이제는 어느 정도 여성교육기관으로 손색없이 아름답고 깨끗한 교육 환경을 갖추었다.<표 39> 시설 개선일지
연도 교육 환경 개선 내용
나) 연간 학사일정
1977년부터 현재까지는 대략 다음과 같은 연간계획으로 학교 행사가 있어 왔다. 때로 사정에 따라 약간씩 변경된 것도 있지만 큰 줄거리는 비슷했다.<표 40> 연간 학사일정
월별 교육활동월별 교육활동
다) 상담실 운영
상담실은 1994년부터 진로지도부로 명칭이 바뀌면서 좀 더 포괄적으로 학생들의 생활지도를 담당하게 되었다. 문제 학생을 선도하고 상담하는 일 외에 모든 학생들의 당면 과제인 진로문제를 좀 더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지도하고 있다.<표 41> 상담실 운영 프로그램
지능검사및적성검사 표준화 검사 결과 지도(이문, 이과 지도)
(2) 충효사상 앙양과 다양한 문예활동
가) 충효사상 앙양을 위한 각종 백일장 대회1977년부터 시작한 교육활동 중 다른 학교에서 볼 수 없는 본교의 특별한 것으로는 충효시상 영양을 위한 시조 백일장을 실시한 점이다.평소에는 그냥 스쳐 지나치기 쉬운 조상에 대한 자부심과 부모님께 김사하는 마음을 백일정을 통해 상기해 봄으로서 우리 민족정신에 조금이라도 기까이 기케 하는 이 행사는 당시 윤리부와 국어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매년 신학기가 시작되면 각 반 담임 책임하에 전교생에게 각 한수씩의 시 모든 국어 선생들의 엄정한 심사를 거쳐 장원작, 우수작 등을 뽑아 표칭하고 우수 액자화하여 교내 복도에 게시하므로 환경미화에도 도움을 줄 뿐 아니라 학생듬이 매일 보고 읽으므로 효에 대한 기본 정신을 몸에 익히고자 했다. 이 행사는 본교의 독창적 교육 활동으로 학생 인격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해 왔으며 앞으로도 계속 실시해야 할 바람직한 행사이다.
나) 문예활동한편 1977년부터 시화전을 비롯한 사진전, 꽃꽂이전, 서예전, 무용발표회 등이 다양한 문예활동과 행사가 있었는데 1983년부터는 특활발표회란 이름으로 종합행사가 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에 와서는 학교 행사를 줄이기 위해 3년 윤번제로 실시하기로 하였다.<표 42> 특활발표회
연도 행사
(3) 생활지도와 생활관 교육
가)생활지도생활지도의 기본 취지와 목표는 가정과 학교에서의 생활 습관을 올바르게 형성하며 협동, 자율적인 생활태도를 길러 건정한 생활기풍을 조성하고 인성 지도의 심화, 정의로운 사회 건설의 일환으로 질서 생활 교육을 강화, 올바른 생활 태도를 기르는데 있다. 그리고 이를 실천에 옮기기 위한 훈련방침은 다음과 같다.가정, 학교, 사회생활에서 기본이 되는 예절 및 근검절약하는 생활 습관을 철저히 훈련하여 습관화 되도록 한다.통일 교육, 행사 교육, 질서 교육 등을 통하여 애국 애족심을 함양한다.합리적인 계획으로 국민 교육 헌장 이념을 생활화 한다.상담 활동을 통하여 학생을 바르게 이해하고 개별 지도와 정서 순화 지도에 노력한다.생활평점 제도 운영으로 학생들의 자율적인 행동을 기른다 등을 실천방침으로 교육하였다<표 43> 주요 생활지도 내용
지도내용 주요내용
나) 생활관 교육과 극기 훈련
본교 생활관에서 실시해오던 생활관 예절교육은 1980년대에 늘면서는 전문교육기관에 의뢰하여 실시하였다. 대성의 집, 명성수련원 등 풍광 화려한 대자연 속에서 2박 3일동안 합숙 훈련을 하면서 본교 교사와 전문 지도요원의 지도, 감독하에서 교육하였다.1980 1관에서 1982년까지는 1학년이 생활관 교육을 2학년이 수학여행을, 1983년부터는 1학년 생활관 교육과 수학여행을, 2학년에서 극기훈련을 실시하였고 1990년부터는 극기훈련은 없어지고 1학년 수학여행 2학년 생활관 교육으로 정착되었디 그리고 개인 간부학생들이 실시하는 1 주간 수련회가 교육위원회 주최로 1977년부터 사임당 교육원, 화랑교육원 등에서 실시하였다.생활관 교육의 목적과 교육내용은 다음과 같다.
단체생활을 통한 협동정신 함양신체 단련과 정신수양을 통해서 국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정신력 배양예절 교육을 통한 한국적 부덕 양성애국애족하는 청소년 자세 확립‘나도 할 수 있다’, ‘하면된다는 적극적 사고와 행동, 적응력 양성단체의 일원으로서 규칙준수 정신 함양건전한 심신의 수련 등이다.(4) 학력경시대회와 각종 교육행사가)학력경시대회대학교 입시제도는 예비고사제, 학력고사제, 수능고사제 등으로 변화하였다. 이와 같은 다양한 고사제도 변화에 맞추어 본교에서는 학력 신장을 위해 자율학습을 실시하고 보충수업을 계속해 갔으며 영, 수, 국 경시대회를 열어 시상하기도 했다. 영·수·국 학력경시대회는 처음에는 학교 자체적으로 출제하다가 81년 이후에는 전문입시기관에서 실시하는 모의고사로 대체되었다.
나) 우수도서 선정과 독서지도중고등과정에서 독서지도는 매우 중요하다. 독서생활을 습관화 시키며 간접적인 경험을 독서를 통해 함양시킬 목적으로 본교에서는 독서지도를 학생생활지도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국어과 교사와 사회과 등 관련 교시들로 우수도서 선정위원회를 두고 매달 우수도서를 선정 발표하고 연중 독서 목표량을 10권으로 결정하며, 학급문고는 학생 1 인당 1-2권씩 제출케 하여 학예부장이 목록을 작성 보관토록 지도하였다. 독서시간은 매주정규 시간표에 주1 시간의 독서 시간을 배정, 자율적으로 독서하게하고, 독후감을 기록, 국어과에 제출하게 하였다. 그리고 독후감 발표회는 제출된 독후감 노트 중에서 우수작을 선정하여 학급별로 발표시키고, 시상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독서를 생활화하도록 지도하였다.다) 합창대회
본교의 합칭대회는 1962년 이래로 실시해 오던 중요한 학교 교육활동의 하나이다. 처음에는 합창뿐 아니라 기악, 독창, 중창까지 포함되었으나 1977년 증·고 분리부터는 주로 합창 중심으로(빈별대헝7 바뀌어 축소되었다. 반의 명예를 걸고 반 잔치l 기. 1개월 이상 점심시간, 쉬는 시간, 방과 후, 이른 새벽을 이용 그 준비가 대란한 행사였다.학교 합창대회에서 1 등을 히면 학교를 대표하여 지구별 대회에 나가고 이 대학에서 1 등을 하면 서울시 연합 발표회에 참가하기도 하였다.라)수학여행학창시절의 가장 큰 추억일 수 있는 일중에 수학여행이 제일이다. 본교의 수학여행은 1959년부퍼 실시되어 왔다. 여행지는 해에 따라 조금씩 다프나 주로 경주플 중심으로 주변의 명산대천과 울산, 부산, 포항의 산업시설이었다. 처음에는 3힌년에서 실시하다가 1972년부터 2학년에서 1983년부터 지금까지는 1학년이 실시히고 있으펴 수학여행 실시 목적은 아래와 같다.고적답시를 통해 조상의 빛난 얼을 되새긴다.
조국의 참모습을 견학하고 한국인으로서의 긍지를 갖는다.문화재 보호와 자연보호정신을 재인식시킨다.학우들과의 공동생활을 통해 이해와 봉사, 협동, 단결심을 배운다.마)반공교육행사1974년월남 공산회는 국내외에 큰 충격을 주었다. 교육 정책에도 반영되어 빈공교육을 강화하게 되었다. 민방위 훈련을 더욱 강화하고 교련 겸알도 생기게 되었다.민방위 훈련처음 갑작스런 공격에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민방위 훈련은 재난을 대비하는 예방 훈련으로 매달 15일을 민방위(또는 민방공)날로 정하여 철저히 실시하이 왔디 특히 1978년 3월 15일 제74차 민방위 날에는 본교가 서울시 지정학교로 시험훈련을 실시하기도 했는데 이때는 서울시장까지 참관하는 대규모적 훈련이었다.<표 44> 훈련 내용
훈련경계경보 발령
교련 검열
1974년 7월 8일 교련 교육확인 지도가 시작되어 80년대 초반까지 계속되었는데 그 목적은 국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반공정신에 투철한 애국애족의 정신을 기르며, 군사에 관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시키며, 훈련을 통해 강인한 체력을 연마시키고, 단체 훈련을 통하여 규율 정신을 익히고 단결심을 굳게 하고, 국가에 봉사하는 태도를 기르는 데 목적이 있었다.반공웅변대회6.25 사변 기념행사의 하나로 반공웅변대회를 실시한 것은 이미 1950년대 말부터였다. 1977년 제 19회 웅변대회로부터 1992년 제 34회까지 중단 없이 계속되었다. 각반 한명씩 연사를 뽑아 예선을 거쳐 강당에서 1, 2학년을 대상으로 대회를 열고 심사, 시상하였다. 이어서 반공 강연회도 실시하고 선생님들의 6.25 회고담을 들려주는 등 중요 행사의 하나였다.
바) 사생대회와 미술활동한성여고의 예체능활동은 대외적으로 이름을 떨친 체육활동 외에도 사생과 미술활동도 눈부셨다 수도사대를 비롯한 각 대학 주관하는 미술실기대회에 나아가 특선을 차지하곤 하였는데 이는 매년 5월중에 교내 사생대회를 개최하여 학생들의 재주를 마음껏 발휘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준 결괴였다. 1970년대까지는 주로 한성학원에서 실시했으나 1980년대 접어들면서 어린이공원과 경복궁 등 야외로 장소를 옮겨 좀 더 넓은 시야를 바라보며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하였다.<표 45> 사생대회 및 미술대회
연도 행사및장소
(5) 교내 체육대회와 운동부 활동
가) 교내체육대회교내 체육대회가 정식으로 시작된 것은 1977년도였다. 이 날은 학교 전교직원과 학생이 힘께 뛰고 즐기므로 심신의 피로도 풀고 애교심도 향상시가는 축제의 날이었다.경기 종목은 피구, 줄다리기, 800m 계주, 100m 달리기, 배구, 응원, 가장행렬, 교직원 경기 등으로 주로 반별 대항이었다. 운동경기도 치열하였지만 응원이나 가장 행열 준비도 대단해서 즐거움과 재미를 보여주는 중요 학교 행사의 하나였다. 1977년 1회 대회를 시작하였고 1987년 이후에는 5월15일 스승의 날에 교직원 운동경기를 하였다.나) 운동부 활약
1977년 이후의 운동부 활약은 초창기 보다는 많이 위축되었다. 할 수 있다. 운동부의 수도 많이 줄고 그 실적도 전보다는 저하되었다. 이는평준화 (1974) 이후 실력 향상에 치중한 탓도 있고 학교의 재정적 지원도 부족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표 46> 운동부 활약 내용
연도
(6) R.C.Y. 활동과 한묵회
가) R.C.Y. 활약본교의 R.C.Y는 1964년도에 정식으로 발족되었으나 활발하지 못하다가 1977년부터 본격적으로 활동하였다. 주요 활동 내용은 교내청소, 학교주변 정화활동, 교통사고 줄이기 캠페인과 스승의 날 선생님께 꽃 달아드리기, 1년에 두 번씩 고이원, 양로원, 라파엘의 집에 가서 봉사 활동을 하며, 빈곤과 재난 전쟁으로 고통 받는 우리나라 이동과 청소년들에게 전달할 상자를 제작하고 구호품을 보내는 우정의 상자 보내기, 매년 연말에 단원 또는 전교생이 /살 한 봉씩을 보아 적십지사회에 전달하는 시렁이 쌀 한줌 모으기 운동 등이었는데 이 국제적인 어려운 세계의 이웃들과의 나눔 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나) 한묵회 활동본교 졸업생들의 서예 친목 모임인 ‘한묵회’는 1978년 자11 회 서예전을 학교에서 열어 1994년끼지 매년 한 번씩 학생을 상대로 일반인을 상대로, 전시회플 허댔다. 회원중에국전 초대작가도 있고 국전에 다수 입상하기도 했다.4.2.3 여고의 혁신 (1995~2015)1) 학교 교육방침
(1) 교육목표 및 학교장 경영관가) 제 14-15 대 윤성열 교장 (1995. 3. ~ 2003. 8.)새로운 문민정부 시대를 맞이한 우리나라는 「세계화」 라는 대명제 아래 교육 개혁을 첫 과제로 내걸고 온 국민이 총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이러한 시대적 요망에 따른 학교 교육의 역힐은 그 야느 때보다도 중차대한 상황이었다.교육이 국가 발전의 구심점이 되며 그 가운데서도 학교교육의 비중이 가장 큰 것은 주지의 사실이었으며 이에 따라 교육행정의 민주화와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교육제도의 정비, 일선 학교의 교육환경 개선, 도덕성이 투철한 전인적인 민주시민 육성, 자긍심을 갖는 교직 풍토 조성, 과학 기술 교육의 강화 등이 급선무가 되었다.그 학사운영에 관한 교육 개혁을 수립함에 있어서 인간 교육 중심의 교육 활동강회 학습자 위주의 다양한 교육 과정 운영, 즐겁게 생활하는 자율적 학교 경영이라는 시 교육청의 기본 방향에 따라 ‘창조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신한국 여인 육성’이라는 교육목표를 내걸고 다음과 같이 학교 운영 방침을 설정하였다.
바른 세계관, 국가관,인생관을 지닌 애국 애족하는 여성을 육성한다.도덕성 확립과 근면 성실 봉사하는 기본적인 생활 태도를 함양시킨다.교사의 확고한 교직관과 탁월하고 창의적인 지도력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자율적인 학습 태도를 신장시 새로운 교육 환경의 조성에 힘쓴다.과학 기술 교육의 강화로 세계화에 앞장서는 능력을 기른다.보건 체육 교육의 생활회를 기한다.이 시기에 시설분야에서는 급식시설을 설치하여 교실배식중식을 제공하였고 정보센터 교실증축으로 멀티미디어 교육과 도서교육에 발전을 이루었다.
정보센터 교실 증축
나) 제 6대 구영희 교장 (2003. 9. ~ 2006. 8.)
새로운 시대, 새 역사의 장을 열어 가는 대망의 21 세기를 맞이하여 다가오는 사회는 고도의 지식 정보화와 개방화, 다양화를 특정으로 하기에 본교에서도 교육 목표를 ‘새시대를 열어갈 참되고 창의적인 여성 육성’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해 원칙과 정도로 신뢰받는 교직사회건설과 스스로 찾아서 배우게 하는 교수-학습의 실현, 도덕적인 인간 육성에 중점을 두고 추진하였다.이러한 시책들은 단계적으로 시행되는 제7차 교육괴정운영의 기본 방향에 따라 스스로학습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기르고, 건전한 인성과 창의성을 함양하며, 열린 교육 풍토 조성과 교육정보화 실현을 위하여 신중하면서도 적극적으로 펼쳐 나갔다.
또한 교육환경 개선에도 계속하이 섬혈을 기울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즐거운 학교생활이 다음과 같은 방침을 정하였다.목표 달성을 위한충실한 경영목표관리는 교장이나 조직원이 공동의 설정하고, 각자의 책임한계를 그들에게 요구되는 성취수준에 따라 겔정하며, 그 기준을 토대토 하여 운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 교직 정래플 예측하여 설정하고 목표와 수단 시아에 일관성을 유지하고 조직 내 각 부서 간의 조화와 균형을 유지하는 데 노력한다. 본교의 교육 학력 신정과 도덕성 회복이다.창의성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본교는 창의력이 우리 삶의 질을 높이고 국가 발전을 가져오는 중요한 것임을 인식하고 그 개발을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이직 만족할 만큼의 성괴플 얻고 있지 못하므토 창의성 교육이 실제 교실 수업에서 알차게 이루어질 수 있도폭 노력한다.
교직원의 능력 위한 인사관리교육활동의 성패는 교직원들의 질과 그들이 수행하는 업무의 효율성에 달려있다. 오늘날 3 대 관리 요소라 불리는 재정, 물지 인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인적지원이다. 교육의 인적 지원은 교직원이고 교원들이 스스로 학교 현장을 즐낌게 느끼도록 민주적인 방법으로 인사 규정을 개선하고 능력에 적합한 인사배치로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노력한다.미래지향적인 교육시설의 개선본교는 인근 타 학교에 비하여 비좁은 학교 부지를 가지고 있으나 교육 여건 개선에 계속 노력한 결과 많은 발전을 하여 왔다. 앞으로 교직원이나 학생들이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교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여건 개선에 최대한 노력해갈 것이다.이 시기에 시설분야에서는 본관동 옥상방수공사를 완료하고 본관동 전면창호교제공사를 실시하였으며 급식 석식을 개시하였다.
다) 제 17대 김동화 교장 (2006. 8. ~ 2010. 8.)평소 책 읽는 학교를 교육목표로 생각하던 김동화 교장선생님은 책 읽기 교육을 통해 서로 신뢰하고 존중하는 행복한 배웅터를 만드는 것을 학교 경영의 기저로 삼았다. 이를 위해 정체성 확립, 도덕성 회복, 전문적 소양 증진을 경영의 3대 목표로 설정하고 바른 인성지도와 학력향상이라는 구체적인 학교경영 방침을 설정하였다.바른 인성 지도- 책 읽기 교육의 지속적인 내실화로 ‘나’ 찾기 ‘너’ 존중하기, ‘우리’ 사랑하기 정신을 높인다.- 논술 토론교육의 강화로 창의적 사고 능력을 고양시킨다.- 예절 지도 및 기초 질서 교육을 꾸준히 실천하여 품위 있는 덕성을 갖도록 한다.- 내실 있고 체계적인 진로 지도를 통하여 각자의 적성을 계발하도록 한다.
학력 향상- 수준별 맞춤 학습프로그램의 다양한 개발로 학습 효율성을 극대화시킨다.- 교수학습 방법의 창의성·전문성 제고로 학습 능률을 향상시킨다.- 깨끗하고 쾌적한 교육 환경 개선으로 면학 분위기를 조성한다.- 방과 후 학교 운영을 활성화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심화시킨다.이 시기에 학교의 주요한 변화는 논술캠프 및 저자와의 만남 최초 실시(제 1 회), 학생회장 선출 첫 전자투표 실시, 학부모 영어회화연수 및 컴퓨터연수실시, 개교기념 행사최초 학교구성원 떡, 음료 제공행사 진행, 한성대와 교류지원 협약(등교 시 한성대 버스 운행지원 및 멘토링제 등)을 맺었다.시설분야 개선으로는 본관 동 중앙현관 옛 전경사진 게시, 난방시설개선공사(도시가스설치), 체육장전기공사 및 방송실 리모델링공사, 본관 동 외벽보수공사, 급식실 설치증축공사(학생식당 마련), 학년별 교무싣 분리설치, 과헥실 시설개선, 한빛마루(도서실) 설치 개관, 영어전용교실설치, 위클래스(상담실)설치 개관, 운동장 비픽-공시 학생 및 교직원 대여용 우산 제작, 이과수 음수대설치 등이 있다.
학생회장 선거 첫 전자투표
저 11 회 저자와의 만남
급식실 설치 증축
한빛마루(도서관)개관
라) 제 18대 구순회 교장 (2010. 8. ~ 2014. 8.)
평소 학생상담 전문가로 학생들의 진로지도에 전문적인 식견을 갖춘 선생님으로 자기주도학습 코칭에도 남다른 관심을 가지고 학생들을 지도하려고 노력하셨다. 본격적으로 시작된 고교선택제를 맞이하여 ‘예절 바르고 능력 있는 글로벌 인재 육성’을 교육목표로 삼고 잠재력을 발휘하는 학력신장 교육, 1 가지 이상의 자격증을 소지할 수 있는모습과 외국어를 1 가지 이상 할 줄 아는 세계와 소통하는 주인공 교육, 연구하며 가르치는 책임 있는 교육, 봉사활동을 생활화하는 더불어 살아가는 꿈이 있는 희망 교육, 교육 공통체가 함께 노력하는 선진 교육을 추진 방향으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학교 운영 방침을 정하였다.맞춤식 진학지도를 통한 학습 프로그램 확대
자기주도학습을 통한 입학사정관제 대비선생님들의 수준 높은 수업 및 교재 개발예절을 잘 지키고 봉사하는 인성 함양학부모의 교육 참여 기회 확대 및 교육 환경 개선이 시기의 학교의 주요한 변화로는 학교표창-학부모 학교참여 지원사업 우수, 교내토론대회 및 진학 콘서트 최초 개최 (제 1 회), 교목인 은행나무 화단 정비조성, 학교비품관리시스템 도입 학교급식 위탁에서 “직영”으로 전환(2011.08), 학교급식 한성여중 공동 조리에서 “단독조리교”로 전환(2013.06) 이 있었다.시설분야에서는 후변 외벽보수 공시 본관 승강기 설치 (7개층), 회장실 물비누로 교체 및 공기정향;z1l 섣치, 신관외벽 전광판 설치활용, 전면창호 안전 난낀-대 설치, 학생휴게실 설치, 운동장 스탠드 나무의자 및 시화판 설치, 학생증 스마트카드 전환활용, 급식조리종사원 샤워실 설치, 교문 전동자바라 설치, 신관 휴게실 환경미화 등이 있다.
저 11 회 교내토론대회
제 1 회 진학콘서트
마) 제19대 이장한(2014-2018) 현 학교장 재임 중
부임 전 입시전문가로 활동했던 경험을 살려 학생들의 진학지도에 전력을 다하고 있으며 다양'한 교내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시들의 진학지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연수를 강화하고 있으며 학생들에게 다양'한 진학정보를 제공하여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고 있다. ‘인성과 비전을 지닌 실력 있고 창의적인 인재 육성’을 학교교육목표로 설정하고 주요 추진 방향으로는 비전을 키우는 진로·창의 교육, 열정과 실력-즐거웅이 있는 학교, 연구하며 가르치는 책임 있는 교육,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의식교육, 자율과 책임을 바탕으로 한 자기주도적 교육을 실현을 정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학교장 학교 운영방침을 다음과 같이 정하였다.자기주도적 역량강회를 통한 학력신장과 진로·진학 능력 구축창의적 인재육성을 위한 수월성 교육배려와 소통, 예절을 잘 지키고 봉사하는 인성함양교육공동체와 함께 하는 어울럼 교육
학교의 주요한 변화로 시교육청진학지도지원단 및 컨설팅 장헥위원의 연수, 야간자율학습 학생을 위한 야자음악회 개최 등이 있다.시설분야에서는 2015년 정보센터 냉난방개선공시 교직원 개인 인터넷 전화설치완료, 2016년 본관동 냉난방개선공사 및 급식조리실바닥공사, 후면외벽보수공사, 외벽꾸멈공시 급식실 오븐기설치 등 환경개선 사업이 배정확정 되었다.
작은음악회
(2) 학교 교육과정의 변화
가) 제6차 교육과정학교교육과정의 편성방향은 제6차 교육과정의 정신과 서울시 교육 반영하는 본교 교육 목표와 노력 중점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① 제6차 교육과정의 범주 안에서 본교의 교육 목표와 노력 중점이 교육 현장에서 살아날 수 있도록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한다.② 지역 사회의 특성과 요구, 학생, 학부모, 특성과 요구, 또 교사의 반영하되 학교의 교육 여건과 교사 수습 실정을 고려하여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앙 계획을 수립한다.③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있어서 학년간의 연계성을 고려한다.④ 교시들의 창의적인 교수학습 활동을 강화시키고 학생들에게 적합한 학습 경험이 제공되도록 편성하여 교육의 질을 향상시킨다.
⑤ 전인 교육의 기본 틀을 바탕으로 과정별 특성을 강조하는 이수 모형을 중심으로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한다.⑥ 교과 및 특별 활동의 학년별 성취 수준을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다양한평가 방법을 통해 학생의 학습 목표 달성 및 수업의 질 개선에 노력한다.⑦ 개인의 능력차를 고려한 과목별 이동 수업과 다양한 선택 교과를 선정하여 이수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한다.⑧ 특별활동 운영에 있어서 지역 사회의 교육적 여건과 학부모의 지원 체계를 활용하여 실질적인 클럽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편성한다.나) 제7차 교육과정7차 교육 과정은 고등학교의 교육목적(교육법 제 104조) 및 교육목표(교육법 제105조)를 달성하기 위한 국가 수준의 제7차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1997- 15호)을 근거로하여 본교의 교육 목표에 맞게 구성한 것이다.
① 본 교육 과정은 2002-2004년 입학생을 대상으로 제7차 교육 과정을 근거로 편성한다.② 본 교육 과정은 본교의 교육 목표와 학교장의 경영방침 및 서울교육 새물결 운동 5대 과제들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편성하였다.③ 2002년 입학생은 2학년부터 인문 사회 과정과 자연 과정으로 구분하여 이수한다.④ 2002년 입학생부터 시행되는 7차 교육과정은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체제로 되어 있다.⑤ 2002년 입학생부터 시행되는 7차 교육과정은 교육 내용의 양과 수준을 적정화하고, 심도 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수준별 교육과정이 도입되었다.⑥ 학기당 이수 과목을 최소화하여 학생의 수업 부담을 경감시켰다.⑦ 1학년 학교 선택 교괴목인 제2외국어는 중국어·일어로 복수 편성하여 학생의 괴목선택의 기회를 확대시켰다.⑧ 급변하는 정보화·개방화 시대에 슬기롭게 적응해 니갈 수 있는 정보 활용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편성하였다.⑨ 특별활동 시수 68시간을 최대 확보하기 위하여 격주제 운영을 히되 자치활동과 클럽활동을 탄력적으로 운영하여 효율성을 높였다.
⑩ 휴업일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교육적 효괴를 극대화시겼다.다) 2007개 정 교육괴정본 교육 과정은 고등학교의 교육 목적 (교육법 제 104조) 및 교육 (교육법 제 105조)를 달성하기 위한 국가 수준의 제7차 교육 과정 (교육부 고시 1997-15 호)을 근거로 하여 본교의 교육 목표에 빚게 재구성한 것이다.① 2007개정 교육 괴정 취지에 맞추어 다음과 같이 본교의 교육과정편성 및 운영 기본 빙향을 설정한다㉠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운영되도록 학습자의 능력과 수준에 적합한 개별학습 및 자기 주도적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노력한다.㉡ 학생 개개인의 진로 설계에 따라 적성과 능력을 계발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도록 학생의 선택권을 보장하고 선택 중심 교육 과정을 운영 방식을 다양하게 제시한디
㉢ 학생, 교시 학부모의 의견을 수렴하고 학교와 지역사회의 여건을 반영하여 특색 있는 교육과정이 편성·운영되도록 한다.㉣ 개인의 능력치를 고려하여 수학과 영어 교과목 등 일부과목에서는 이동수업이 기능하도록 편성한다.② 편제 및 단위 배당 기준㉠ 교육과정은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으로 구성한다.㉡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은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의 3개 앙역으로 편성한다.- 교과는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외국어(영어)의 10개 교과로 조직한다.- 재량활동은 교과 재량활동과 창의적 재량활동으로 한다- 특별활동은 자치활동, 적응활동, 계발활동, 봉사활동, 행사활동의 5개 영역으로 한다.
㉢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교과와 특별활동의 2개 영역으로 한다.- 교과는 고등학교 교육과정편성운영지침에 근거하여 교육청 지정괴목, 학교 지정과목, 학생 선택과목 등을 안배하여 편성한다.- 교과의 편성에서 학생 선택과목은 학부모와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한 결괴를 바탕으로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이 되도록 편성한다.라) 2009개정 교육과정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2006년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부분수정고시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6껴호,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8-148호)과 서울특별시 교육청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제2008-9호)과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방안(2009.09.28.) 에 따른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기본방향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① 서울 교육 지표를 반영하여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 꿈과 끼를 키우는 교육, 학부모, 지역사회, 학교가 함께하는 행복 교육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학교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한다.
② 선택 중심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운영되도록 학습자의 능력과 수준에 적합한 개별 학습 및 자기 주도적인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노력한다.③ 학생 개개인의 진로 맞춤형 교육과정으로 적성과 능력을 계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선택 중심 교육 과정 및 선택 교괴를 학생·학부모가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제시한다.④ 학생, 교원, 학부모 및 지역 주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학교와 지역 사회의 여건을 반영하여 특색 있는 학교 교육 과정이 편성·운영되도록 한다.⑤ 개인의 능력 치를 고려하여 수학과 영어 교과목에서는 수준별 이동 수업이 기능하도록 편성·운영한다.⑥ 창의 인성 교육의 활성회를 위해 창의적 체 험활동의 교수 목표와 방법,평가 방향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인성 및 역사교육을 강화하고 교육과정 중심의 학교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⑦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에 관한 효과적인 질 관리 제제를 구축히여 교육활동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교육과정의 실천에 대한평가를 매년 실시하여 문제점은 계속 수정·보완하고 다음 학년도의 편성·운영에 빈영한다.
<표 47> 2015학년도 계열별 단위배당표
자연계
미적분 I 5 5 5
자연계
스포츠과학 5 4 2 2
인문계
실용영어독해와 작문 5 4 4
인문계
기술 가정 5 5 3 2
2) 학교 교육활동
(1) 학교 특색사업가) 중·장기 학교 발전계획 수립한성여고는 성북구에 위치한 선지원학교로서 주변이 노후 된 주거 밀집지역으로 둘러싸여 있고 도로망이 절- 구축되지 않아 접근성이 떨어지는 등 다소 불리한 주변 환경에 처해 있디 그러나 주변이 재개빌되고 있고 본교를 비롯한 학교법인과 지역주민의 노력으로 새로운 도로밍을 확충하려는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본교 학부모들의 거주·핵력·시교육비 지출 현황 등을 고려할 때 현재 본교의 학력수준보다 더 높은 수준을 요구할 것으로 판단된다. 2010학년도 고교 선택제를 대비하야 적 환경의 개선과 학력신장에 대한 당위적 요구만으로 학부모와 학생의 선호도를 보징펠- 수 없으므로 구태의면한 모습을 벗어버리고 학교현실과 주변여건 등을 면빌히 검토하여 중 ·장기 학교 발전계획을 수럽하게 되었다.(가) 학교 l띨전의 방향 및 기대효과① 우수 신입생 유치
발전하는 학교의 미래 지향적 비전 제시로 주변 중학교의 우수 학생, 학부모에게 적극적인 홍보로 믿음을 주는 학교 이미지를 확립한다.②우수학생관리우수 학생들의 지속적인 성적향상을 위한 효율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올 마련한다.③ 독서 지도현대를 시는 청소년에게 필요한 “문화 읽기”로서의 독서 교육 확대와 초교과적 독서, 연계 프로그램 개발, 개가식 도서관 건립을 추진한다.④ 교수학습교재 개발교수 학습 방법 개선으로 학생들의 학력 신장을 도모하고, 교과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습득하고 학습 지료를 제작하고 활용한다.⑤ 환경 개선
학생과 교사 모두를 위한 현대적이고 편리한 학교시설 확충으로 보다 충실한 교수학습활동을확보한다.⑥ 기대효과㉠ 우수 학생 유치 및 관리를 통해 대학입학률을 높인다.㉡ 도서실을 개가식으로 변경하고, 학생 전용 열람실을 설치하여 면학분위기를 조성하며 학력을 신장한다.㉢ 교육청 주관 전국 단위의 학력평가에서 1-3 등급의 중상위권 비율을 높이는 한편 7등급 이하의 하위권 비율을 낮춘다.㉣ 부적응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흥미를 느끼고 즐겁게 생활하게 된다.㉤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미래의 직업에 대해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한다.㉥ 학부모 연수를 통해 학교와 가정이 유기적으로 협조할 수 있게 된다.㉦ 특별교실 및 관리실 현대화로 학생들의 특별수업의 질을 높이고, 시청각 교육 효율을 극대화하며, 건강관리 및 고충상담 활동에 많은 도웅을 준다.
㉧ 체험중심의 봉사활동으로 학생들의 인성교육에 도움이 된다.㉨ 층별 학생휴게실 설치로 지친 학생들의 휴게장소 및 정보교환에 도움을 준다.㉩ 지하1층에서 교내로 매점을 이전하여 교직원 및 학생들의 편의를 돕는다.(나) 분과별 세부 추진 과제① 홍보분과홍보 전담팀을 운영하여 우수 신입생을 유치하고, 학교 이미지를 제고하며, 재학생들에게 학교에 대한 자부심을 함양하며, 미래 지향적인 학교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다른학교와 치별화되는 교육시스템을 구축하려고 노력하였다. 이것은 현실적으로 지속적으로 학교 이미지가 하락하고 있었으며, 대학입학률을 높이려는 주변 학교의 동향도 있고, 선지원 학교로서의 경쟁력을 제고해야 했으며, 학교의 빌전 계획을 외부에 알릴 필요성과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학부모들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함이었다.②학력신장분과
독서지도와 토론 수업을 연계하는 것이 최우선적인 목표였다. 위해 첫째, 고전읽기를 통한 인식지평을 확대하고 둘째, 다매체 시대를 반영한 다양한 문화 읽기를 시도하고 셋째‘ 독샤·토문·논술의 얀계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것은 전자매제 시대의 학생들에게 아전히 요구되는 독해 능력과 편협히고 협소한 문회정험에 함볼되어 있는 학생들의 문회적 바탕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었으며 향후 대학입시에서 논술 능력의 확대가 요구되었기 때문이었다.또한 학생 맞춤식 교수·학습을 전개하였다. 수준별 이동수업으로 학슴 효과를 극대화하고, 유비쿼터스 환경의 기반을 구축하고, 논술교육의 활성회로 논리적 시고를 함양히며, 교수·학습 방뱀 개선으모 학력 신장을 도모하기 위함이었는데 이것은 학생들의 수준별 선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를통해 공교육 보왼을 통한 사교육비 경감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학력이 우수한 학생과 학력이 부진한 학생들의 지도는 지속적인 성적 관리와 학생들의 기본 학슴 능력향상윷 위한 지도, 공교육 내실화 및 교육격차 해소판 통해 전체적학습능력의 형:상에 의한 명문고로의 도약이 가능히다고 핀란했으띠, 이를 위해 학과별로 실효성 있는 지도방안을 마련하며, 학습부진학생과 학습우수학생의 선벨 및 관리,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특별 프로그램 및 지도방안의 개발이 이루이졌디
③ 교육환경 개선분과교실 정보화 시설 개선이 첫 번째로 요구되었는데 이는 첫째, 현대회된 정보화 시설로 교수-학습 휠동을 극대화하고 둘째, 에듀데인먼트(Edutainment) 지원으로 학습 효과극대화히고 셋째, 멀티미디어와 결합된 교과학습 자료를 휠용 기능하게 히며 넷째, 펀 업무용 컴퓨터 교체로 업무 효율성 증대하기 위함이었다. 이는 현실적으로 학습효과를 위한 현대화된 시설이 필요했고, 보다 많은 시청각 기자재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양질의 수업 제공해야 했으며, 교시들은 최신 사양이나 업그레이드 된 컴퓨터 필요했기 때문이었다.나) 학교 혁신 추진계획 수립
2010학년도부터 실시되는 고교선택제를 준비하기 위해 학교 혁신 추진계획을 수립하였다. 그 목표는 첫째, 실력과 인성을 갖춘 창의적 인재 육성이었고 둘째, 성공적 혁신을 통한 학생 학부모와 교사의 교육만족도를 높이는 것이었고 셋째, 지식기반사회에 맞는 참된 학업성취 (authentic achievement)를 달성하는 것이었다.이를 위해 학교장과 행정실장을 중심으로 학교혁신 협의회를 구성하고 전 교원을 대상으로 혁신연수를 실시히고 독서, 토론, 논술 연계 자료집을 통한 자기 주도적 논술교육 강회를 위한 자율혁신 과제를 추진하였다.논술교육은 기왕의 본교 독서교육과 연계하여 학생들의 입시 논술 요구에 부응하면 서도 삶의 실천으로서의 글쓰기를 학생들에게 지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이를 위해 다음의 것들을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첫째, 독서교육을 토론, 논술교육과 연계하고 이 모든 활동을 개가식 도서실이 지원하도록한다.둘째, 입시 논술에만 치중된 학교 논술 지도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고 논술교육을 모든 학생들에게 확대한다.
셋째, 독서교육과 논술 교육의 생산적 확대를 위해 이 둘을 연계하고 기왕에 개발한『읽고 댓거리하고 쓰고』를 잇는 교재를 개발한다.넷째, 각종 교사연수와 논술경시대회, 논술캠프, 논술첨삭 풀 구성 등 논술교육의 내실회를 위해 노력한다.학년 별 논술 수업 단계는 1학년에서 읽기, 쓰기, 독서토론을 중심으로 한 논술기초를, 2학년에서 배경지식 확장과 쓰기연습을 통해 논술기본을, 3학년에서는 기출문제풀이와 실전논술 준비로 논술을 대비하는 과정을 마련하였다.세부 추진 내용은 첫째, 학기별 2회에 걸친 교사 연수를 저자 강연으로 진행하고 가급적 인문학과 자연과학이 교류할 수 있는 내용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였으며 둘째,토론과 문화활동 감상문 쓰기를 중심으로 한 방학 중 논술캠프를 구성하고 셋째, 학년별로 자율논술문제와 입시 논술 문제를 이용하여 논술왕 선발대회를 개최하고 넷째, 학생들이 써 온 논술문을 첨삭하는 논술첨삭 풀을 구성하고 다섯째, 학년별 교재를 개발하고 인문학술부 산하에 통합 논술팀을 운영하여 계속적인 독서와 논술을 연계한 지료집을 제작하였다.
지원팀
[그림 7] 통합 논술 지도팀 구성도
다) 사교육 절감형 창의경영학교 프로그램
2011년에 싣시한 시교육 없는 학교 프로그램은 정규 교육과정을 보완하고, 사교육 흡수히여 사교육비 부팀을 경감시키고 지역적 특성에 맞는 운영 El 넬을 개발하고, 학교벨 운영 시스템 구축을 통해 공교육의 내실화에 기여히고 학생의 다양한 욕구와 수준차를 고려한 다양한 강좌를 개설하여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를 낮춤으로써 공교육을 정성화시가는데 목적을 프로그램으로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었다. 이를 위해 영어, 수학 교과 전용교실을 운영하고 대학생 멘토를 통한 저소득층 학생의 실력 향상을 도모하고 학생 수준에 맞는 영어, 수학 수준별 수압 실시하고 선택헝 맞춤형 방과후 학교를 운영하고 교사의 연구와 헌신, 학생의 학습의욕 고취로 방과 후 학교의 고품질을 유지하고 출결관리, 학습싱담, 학생·학부모 서비스 강화위한 빙과 후 학교 행정 전담인력을 채용하여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 강화를 위한 자율학습실 운영을 활성화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를 위한 세부추진계획 계획은 다음과 같다.선택형 맞춤형 방과 후 학교 운영-아이스타 I, 아이스타 II
대상은 1,2,3학년 학생으로 하고 인원은 아이스타 I 은 20-30명 내외, 아이스타 II 15 명 내외로 구성하고 과목은 언어, 수리, 외국어, 탐구, 논술, 적성검사 등을 제시하고 운영 방법은 첫째, 수준별로 편성운영하고, 선택형 맞춤형 운영으로 온라인상으로 신청관리를 한다. 둘째, 학생들의 참여도 제고를 위하여 학생들의 출결 상황을 학부모에게 문자로 고지한다. 셋째, 수업단위 종료 후 개근 학생에 한하여 학교생활기록부에 자기주도 학습 참여 시수 부여한다.대학생 멘토링대상은 1, 2학년 학생 중 저소득층 자녀로 하며 방과 후 학교 부장을 중심으로 방과후 학교 운영을 위한 협의제를 구성하고 한성대학교 교육지원팀의 지원을 받아 학년당 1-2 명씩 총 24명의 멘토 선발 후 본교 희망학생과 1:1 로 결연하여 수학, 영어 과목을 지도한다. 시간은 학기당 총 40시간으로 주2 회, 1 회당 2 시간, 10주를 운영하고 이를 통해 사교육을 기대하기 어려운 저소득 학생이 부족한 교과에 대해 개인교습을 받는교육적 효괴를 기대할 수 있다.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시장을 위한 자율학습실 운영대상은 1,2,3학년 학생 학년 당 120명, 성적우수학생 학년 당 30명으로 선정하고 학생들이 자율학습에 몰입할 수 있는 쾌적한 시설을 제공하며, 학생들의 편의를 최대한 배려하는 시설을 완비한다. 특히 온라인 학습을 위한 컴퓨터 시설을 완비하고 지도교사의 지도하에 지정좌석제를 실시하여 면학분위기를 조성한다.라) 아버지일터 체험2011년도부터 실시한 아버지일터 체험은 학생들이 진로를 정할 수 있도록 폭넓고 다양 기회를 제공하려는 목적과 학부모가 직접 진학을 돕는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학부모회의 활동을 학교 안으로 꿀어들이고 활성화하려는 목적을 가진 프로그램이다. 운영방침은 자신의 진로와 연관하여 본교 재학생의 아버지가 근무하는 직장을 방문하여 체험하고, 보고서를 쓰는 것이며 학부모회 소속 학부모가 전원 인솔자로 참여하는것이다. 세부적인 추진계획은 가급적 여름방학, 겨울방학, 주말 중에 실시하고 경영컨설팅, 경인통계청, 굉고회시 녹색성장체험관, 병원, 동물병원, 의류디자인 회시 모의법정, 방송국, 장애인종합복지관, 신문사, 경찰서, 천문대, 청소년미디어센티, 외교통상부, 은행, 인천본부세관 등의 다양한 기관을 선정하는 것이다.
〈표 48>아버지 일터 체험 기관
KBS 경찰서 나래동물병원 대한병원 롯데 모의법정
마) 의회재를중심으로 한 수월성 교육
2010학년도 학교선택권 확대를 대비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결과물은 진학이었고 이를 위해 입학 장학생과 일정 수준에 도달한 학생에게 맞춤식 진학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입학 장학생은 중학교 내신 5%이내의 성적 상위권 학생 중에 선발히았고 입학시 장학금 지급뿐만 아니라 성적유지 시 3년간 지속적으로 장학금을 지급하였다. 특히 대상학생이 학교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토록 유도하여 학교교육을 활성회히려고 하였다. 구제적은 방침으로는 입학 장학생 및 일정수준에 도딜-한 학생들을 위한 관리 프로그램과 이들이 사용하는 90석 규모의 자율학습실을 ‘의화재(義化齊)’라고 칭히고, 개인탤 포트폴리오를 작성하여 입학사정관제에 대비한 입시전략을 세웠다.의화재의 편성 인원 및 방법은 1학년은 30명을 선발하되 1 학기는 중학교 내신 성적으로 2학기는 1 학기 내신성적과 교육청 학력평가 성적을 토대로평가하여 상위 성적의 학생을 선빌하고 2,3학년 각 30명은 전 학년의 누적 성적을 토대로 선빌하였다; 구체적인진학지도는 첫째, 개인별포트폴리오를 작성하였다. 인적성 검사 결과 및 개인의 의시를 토대로 진학계열을 구분하고 내신 성적과 학력평가 성적 및 봉사, 교내외 수상기록 등입시에 필요한 요소를 입력 및 관리하였다. 둘째, 그룹별 진학 설명회를 개최하였다. 그룹별 성적향상 방법 및 입시 전형별 자료를 제공하였다. 셋째, 교내외 프로그램 참가를 독려하였는데 특히 각종 교내외 경시 및 대학프로그램, 봉사활동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적극 참기를 권유하였다. 넷째, 맞춤식 수업을 제공하였다. 교괴목은 언어, 수학, 영어, 논술 및 탐구로 구성하여 괴목별 100분 수업을 진행하였다. 다섯째, 자율학습실따로 운영하였다. 철저한 도서실 관리를 통한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함이었다. 여섯째, 한성대학교 특강을 운영하였다. 한성대학교 교수 특강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전공 관련 지식을 심화시키기 위해서였다.
바) V.I.P. (Vision비전, Impression감동, Passion 열정) 프로그램입시의 관건이 학교생활기록부 종합전형으로 넘어가면서 학교 내 교육활동 프로그램이 중요하게 되었고 학교 간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2014학년도부터 자율동아리를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게 되었다.
목적- 학생들에게 관심분야에 대한 비전과 열정을 갖게 하고 창의적·능동적 활동을 통해 자기계발능력을 배가시킴.- 관심분야가 맞는 학생들끼리 자율동아리 및 자율적인 활동을 통해 능동적인 학생중심의 교육활동을 실시함- 진로와 관련된 관심 분야에 대한 자율적인 학술동아리 활동을 통해 진로·진학에 대한 비전을 갖게 하고 나아가 구체적인 목표 설정을 도외줌.- 학생 자발적인 자기주도학습을 통해 개개인의 역량을 극대화함.방침- 수요일 7-8교시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희망에 의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게 함.- 활동의 유형① 정규 동아리 활동(관현악반), 스포츠 클럽 휠동(핸드볼반, 넷볼반)등
② 학술동아리 활동 : 1,2학년 각 6개씩 12개 의 학술동아리 운영 (2014년)③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활동: 도서실 자율학습반, 한빛마루 독서활동반④ 방과 후 수업(아이스타2) 실시 : 1,2학년 논술반, 기초학력부진학생 프로그램⑤ 자기주도 활동 Open Class( 집단상담)- 활동의 결과·한빛마루 독서활동반의 경우는 독서기록장에 기록된 독서 이력을, 도서실 자율학습의 경우는 기준 시간 이상(예정 시간의 90%)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활동 결과를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함.세부추진계획
운영기간 및 시간 : 2015년4월- 2015년12월, 매주 수요일 빙과후 7,8교시- 학술동아리는 희망 학생들의 신청을 받아 소정의 심시를 거쳐 운영을 결정함.① 학술동아리의 구성 : 희망 학생들이 지도교사를 섭외하여 학술동아리 운영계획서를 제출 후 소정의 심시를 거쳐 승인을 득한 후 한 학기 동안의 활동을 통해 소논문 형태의 활동 결괴물을 제출하도록 함.② 휠동 결과틀 자료집 형태로 제직하여 보관하고 학생들 휠동 내용를 학교생활기복부에 기록함.- 도서실 자율학습반, 한빛마루 독서활동반은 희망학생 재조사를 하여 운영함.- 1, 2혁년 논술반은 수요자 중심으로 진행함-- 기초학력부진학생 프로그램은 일반고 진로진학 역량강화 사엽의 일환으로 정해진 프로그램을 실시함.<표 49> 학술동아리 세부 운영계획 (2015년)
동아리영 주제 인원
601701 지역의 사회 문화적 배경과 지역 S앤과의 상관관계 조사 5
사) 사랑교실 운영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입시와 진학에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학교생활은 말 그대로 재미없는 학교가 되고 만다. IMF이후로 경제시정이 어려운 가정이 많이 늘어나고 정리해고와 비정규직의 증가와 같은 사회문제는 가족해체로 귀결되떤서 꿈과 희망을 빼앗긴 학생들이 증가히고 이 문제는 학교에도 고스란히 반영되었다. 이 괴정에서 소외된 학생들을 돕기 위한 학교 내 대안교실이 필요하게 되었고 ‘사랑교실’이라는 이름의 프로그램을 2015년부터 시행하게 되었다.목적
-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내적으로 성숙하고 꿈을 찾는 기회가 주어지는 공간을 마련한다.- 학생틀이 진로 방향을 확립하도록 진로에 대한 정보와 체험의 기 제공한다.- 학교 부적응 학생들에게 심리적인 소속감을 느끼게 하여 중도에 학업을 중단하는 일을 예방한다운영대상- 교과학습에 부담을 많이 느껴 대체 활동을 원하는 학생- 학교 부적응 요인이 많아 지속적인 상담이나 대체 프로그램이 필요한 학생- 기타 학교장이 교육목적 상 필요하다고 인정한 학생<표 50> 사랑교실 프로그램
영역 프로그램 효과
영역 프로그램 효과
(2) 학교 일상 사업
가) 교무 학사운영(가) 교과 및 비교과평가학교의평가는 교과활동평가와 비교과활동평가로 나뀐다. 교과활동의평가는 객관식 위주의 단답형평가를 지양하고, 정기고사 이외 수행평가와 서술형·논술형평가를 합쳐서 학기말 총 배점의 45% 이상 (2단위 이하의 과목은 20%)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비교과활동의평가는 출결과 봉사활동내용은 있는 그대로 기록하고 창의적 체험활동의 평가는 4개 영역별 활동 내용,평가 기준 및 방법을 학업성적관리위원회 심의로 결정하고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의 영역별 이수시간 및 특기사항을 기록한다. 독서활동의평가 및 관리는 개인별·교과별 독서활동상황을 독사활동에 특기할만한 사항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독서활동란에 학기말에 기록한다.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평가 및 관리는 수시로 관찰하여 누가기록된 행동특성을 바탕으로 총체적으로 학생을 이해할 수 있는 종합의견을 문장으로 기록한다.<표 51> 2015년도 교과목별평가 계획
과목
과목
실용영어 l 4 1 학기 200 20 54 46
과목
(나) 교무학사 운영을 위한 위원회
기본적으로 매주 1 회씩 열리는 교직원회의에서 학사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협의하지만 사전에 매주 1 회씩 교장, 교감, 행정실장, 부장이 참여하는 부장회의에서 부서 간 의견 조율을 통해 학사 일정과 내용을 협의하고 필요에 따라 교과협의회나 학년협의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한다.
위원회영칭 위원장 소위원회 위원
위원회명칭 위원장 소위원회 위원
(다) 위원회의 구성
2003년부터 시행된 교원인사위원회를 통해 교원 인사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여 투명하고 민주적인 학교 운영을 시행해 오고 있다. 이를 통해 신임교사 임용 대상자 추천에 관한 사헝 학급 담임 배정에 관한 사항, 보직 교사 배정에 관한 사항, 교무 업무 분장에 관한 사항, 포상대상자 추천에 관한 사항, 연수대상자 추천(교감 포함)에 관한 사항, 기타 교무회의에서 위임된 인사에 관한 사항에 대해 심의·의결해 오고 있다<표 52> 교무 분장 편재 구성 일람 (1996~2015)
연도 교장 교감 부서/학과 구성
연도 교장 교감 부서/학과 구성
교무(김동화), 연구(이태영), 생활(최대혁), 진로(구순회), 정보
연도 교장 교감 부서/학과 구성
학과장
연도 교장 교감 부서/학과 구성
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교사의 전문성 및 직무수행 능력을 신장시키고 교사 상호간 이해 및 협력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연수를 실시하였다. 이 연수는 연중계획에 의한 내실 있는 교내 자체연수실시하고, 외부 강사 초청 등의 다양한 맞춤형 연수 방법으로 효율성을 높이며, 자기개발을 위한 온·오프라인 연수활동을 적극 지원했으며, 교직원 전체연수를 통하여 학교현안을 토의하고 인회를 도모하는 방침으로 진행되었다.<표 53> 부서별 교내 자체연수 연간계획(2015년)
순서 내용 부 서
순서 내용 부서
저탄소 친환경교육관련 연수 교육연구부
순서 내용 부서
개인정보보호 연수 교육정보ㅓ부
(3) 학생중심의 학교행사
가)축제1995년 제 1 회 의화제를 시작으로 2014년 의화제에 이르기까지 총15 회의 축제가 학생들의 꿈과 끼를 발신-하는 정-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1995년 이전에는 일부 동아리 발표회의 성격이 짙었으나 20세기 마지막으로 치러진 1999년 제5회 의화제부터는 ‘의화예술제’라는 타이틀을 걸고 본격적인 축제의 모습으로 자리잡았다. 이틀간이어지는 흥겨운 축제는 첫날 학생 모두가 참여하는 학생회주관 행시를 시작으로 각 동이리의 전시회와 각종 이벤트로 이어졌으며 국악반, 무용빈 중찬반, 관현악반의 공연이 성횡리에 이루어졌다. 이튿날은 주변 고등학교와의 교류환동의 일환으로 타학교 동이리의 찬조공연이 있었으며, 방송빈-과 연극반의 관객을 암도하는 무대들이 만들어졌고, 오후에는 한성가요제가 펼쳐지며 참가하는 학생들은 수많은 시템~들의 시션을 한몸에 받으며 무대를 즐기는 여유로운 보였으며 대동제와 힘께 막을 내렸다. 히지만 2005년부티 의화제는 이틀에서 행사가 축소되며 다시 1990년대 후반의 모습으로 되돌아기는 아쉬움을 남갔다. 다만, 공연중심의 동아리는 지금까지도 계속해서 전문적인 공연단 못지않은 실력으로 의화제를 빛내고 있다.
비록 학업과 진학에 압박에 시달리는 고등학교 생활이지만 빡빡했던 일상에서 벗어나 숨겨왔던 끼를 맘껏 펼쳐 보이며 있는 힘껏 웃고 즐길 수 있던 하루. 진정으로 자신이 주인공이 되어 보고, 듣고, 느끼고, 서로를 응원하고 위해주는 멋지고 근사한 시간으로서 의화제는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이다.
나)체육대회1990년대에는 비좁은 운동장 때문에 대학교 운동장을 빌려서 치러지던 체육대회는 다소 시설이 부족해 번거롭게 장소를 이동하며 진행되었지만 학생들과 교사들의 열정은 부족한 운동장을 뛰어넘고도 남았다. 봄 햇살이 한창인 5월 중순이 되면 교실에서 웅크리고 공부만 하던 학생들도, 교과 공부는 다소 소홀했던 학생들도, 학기 초 폭풍같은 업무량으로 스트레스를 받던 교사들도 모두 그들의 열정을 보여줄 수 있는 체육대회를 마음껏 즐겼다. 대학운동장에서의 달리기, 선생님들의 축구가 끝이 나면 본교 운동장에서 우리학교 체육대회의 특정인 ‘가장행렬’, ‘에어로빅’이 펼쳐졌고 본격적으로 반별 피구대회가 시작되면서 학생들의 환호성은 최고점에 이르렀다. 2000년부터는 체육대회를 본교에서만 치르게 되고, 이후 학생들의 지나친 승부욕이 교육적으로 부작용이 있음을 고민하던 학교는 모두가 함께 우승을 나눌 수 있는 청백전의 형태를 도입하고, 재미있는 명랑운동회의 형태와 협동심을 기를 수 있는 종목들의 도입으로 더욱 발전된 모습을 보여 왔다. 2000년대 후반부터는 한성여고의 자랑인 ‘핸드볼’, ‘넷볼’ 등이 체육대회의 주요한 종목으로 자리 잡았고 이는 학교 내 스포츠클럽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다) 소규모 테마여행 및 수련회
수학여행과 생활관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되던 체험학습은 2000년대 들어 소규모 테마여행과 수련회로 변경되었다. 1990년의 수학여행은 주로 경주에서 실시되었다. 기차를 타고 이동하고 경주시내의 대형여관에 숙소를 정하고 불국사, 통도시 문무대왕 수중릉 등을 돌아보았다. 하지만 학생들이 가장 좋아했던 프로그램은 첫째 날 저녁의 반별 장기자랑과 숙소에서의 밤샘대화였다. 물론, 다음날부터 이동하는 차량에서 내내 잠만 자는 시간이 늘이니는 이쉬웅은 있었지만 급우들과 소중한 추억을 쌓는 데는 더없이 좋기회았디 시절이 시절인지라 다소 부족한 숙소와 식사의 문제도 있었지만 이후, 1999년부터 설악산으로 장소를 옮기면서 숙소도 콘도로 변경되고 식사도 좋아지는 등 많은 부분이 개선되었다 2004년부터는 제주도로 수학여행 장소가 변경되고 소규모 테마여행으 바뀌면서 학년 전체가 한 장소로 여행을 가는 것이 아니라 2-3 만 규모로 스스로 계획하는 테마여행도 생기면서 더욱 알찬 수학여행으로 바뀌었다.
1990년대에 다니던 생활관은 심성훈련 중심의 프로그램이 주를 이루었다. 장소는 대성리였고, 수학여행과 마찬가지로 반 별 장기자랑과 한복을 입고 배우는 예절교육, 간단한 체육대회와 캠프파이어 등으로평소 학교에서 느낄 수 없었던 자연의 아름다움과 더불어 선생님들의 유쾌하고 소탈한 모습에 시제 간의 정이 더욱 돈독해지는 계기가 되었다. 1999년부터는 대천임해수련원,평창국립수련원, 보람원, 용평리조트 등으로 장소를 옮기면서 더욱 쾌적하고 깨끗한 시설에서 유익하고 풍부한 프로그램들이 진행되었다.
라) 한빛 독서 캠프와 독후감 발표대회
21 세가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우리는 독서에 관해 몇 가지 달라진 상황을 맞이하였다. 소위 전자 매체가 도서문회를 압도하고 있으며 학생들은 예전보다 책을 읽지 않는다. 정보화시대일수록 정보의 비판적 수용 능력과 활용 능력은 절실하기에 다양한 방면의 꾸준한 독서 지도는 불가피하다. 한편 독서는 더 이상 책으로 출판된 것만을 대상으로 삼을 수 없기에 독서 개념은 ‘책읽기’에 국한되지 않고 ‘문화 읽기’의 개념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이에 2000년대부터 강화된 독서교육 강화의 프로그램으로 독서감상문쓰기대회, 독서퀴즈대회, 독서인증제, 학급문고운영, 다독왕 시상, 알플 도서 장터 등 수많은 프로그램이 있었고, 2009년부터는 한빛 독서 실시하며 하루 종일 책 읽는 시간을 가지며 저지와의 만남과 강연, 독서관련 영화 상영을 실시하였고, 독서퀴즈대회는 2011년부터 ucc와 프레지 등을 활용한 독후감 발표대회로 변경되며 독서교육이 더욱 강회되어 실시되었다.
4.2.4 교육 환경의 개선
1. 주요시설 분야 (1995년 이후)1) 급식시설 설치① 공사 일반현황 (단위: 원)
세부사업명
② 사엽 배경 : 대통령 지시사항으로 급식확대에 따른 지원
③ 담당자 : 시설담당 김지현, 행정실장 한종호, 학교장 윤성렬2) 교실 증축(정보센터)
① 공사 일반현황(단위 : 원)
세부사업영
② 사업 배경
1998.02.25 대통령 취임사와 7.20 교육개혁 실천사업③ 담당자 : 시설담당 홍연호, 행정실장 한종호, 학교장 윤성렬3) 옥상 방수
①공사 일반현황(단위 : 원)
세부사업영
② 사업 배경 : 2003년도 교육환경개선사업비로 교부된 사업
③ 담당자 : 시설담당 안병기, 행정실장 한종호, 학교장 구영희4) 난방시설 개선
①공사 일반현황(단위 : 원)
세부사업명
② 사업 배경 2005년도 교육환경개선사업비로 교부된 사업
③ 담당자 : 시설담당 안병기, 행정실장 한종호, 학교장 구영희5) 전기 공사 및 기타 공사
① 공사 일반현황(단위:원)
세부사업명 체육장전기공사 및 방송실리모델링
② 사업 배경 : 2008년도 교육환경개선시업비로 교부된 사업
③ 담당자 : 시설담당 안병기, 행정실장 한종호, 학교장 김동화6) 외벽 보수
① 공사 일반현황(단위:원)
세부사업영 본관동 외벽 보수공사
② 사업 배경 : 2009년도 교육환경개선사업비로 교부된 사업
③ 담당자 : 시설담당 안병기, 행정실장 한종호, 학교장 김동화7) 식당 및 특별교실 증축
① 공사 일반현황(단위 : 원)
세부사업영 물량 해건당물 초=-人:l::.5'ι 。 - 「H 지원금교 교부부금 액내 역 | 자체부담액
② 사업 배경 : 2008. 9년도 교육환경개선사업비로 교부된 사업
③ 담당자 : 시설담당 안병기, 행정실장 한종호, 학교장 김동화8) 후면 외벽 보수
①공사 일반현황(단위 : ·원)
세부사업명 후면 외벽보수공사
② 사업 배경 2011년도 교육환경개선사업비로 교부된 사업
③ 담당지 시설담당 안병기, 행정실장 직무대리 김미경, 학교장 구순회9) 승강기 설치
① 공사 일반현황 (단위 : 원)
② 사업 배경 : 1차 2011년 성북구청에서 환경개선사업비로 사업
2차 2013년 서울시교육청에서 시설개선사엽비로 교부된 사업③ 담당자 : 시설담당 안병기, 행정실장 직무대리 김미경, 학교장 구순회10) 냉난방 개선
① 공사 일반현황 (단위 : 원)
② 사업 개요(내용) : 2015년도 교육환경개선사업비로 교부된 사업
③ 담당자: 시설담당 안병기, 행정실장 직무대리 김미경, 학교장 이장한4.3 한성대학교
4.3.1 형성기 (1972~ 1982)1) 제1대 김의형 학장 (1972.12. ~ 1977. 2.)(1) 한성여자대학의 설립과 김의형 학장의 취임한성여자대학은 1972년 12월에 한국 여성 전문 영재 양성기관으로 문교부로부티 정식 설립을 인가받았다. 1945년 10월 5일 낙산에 한성고등여학교를 건립한 이래 27년만의 일이었다 한성여자대학은 문교부로부터 야간 5년제 여자대학으로, 입학정원 국어국문학과 30명, 영어영문학과 30명, 비서학과 20명, 가정학과 30명, 의상학과 20명, 생활미술학과 20명 등 모두 6개 학과 150명으로 인가받게 된 것이다.1973년 3월 김의형 선생이 한성여자대학의 초대학장으로 취임하였다. 김의형 학장은 취임 직후 “선진국 달성이란 당면과제를 갖고 있는 시점에서, 미래 우리나라를 젊어지고 나갈 전문 인재를 육성하는 한성여자대학의 탄생이 우리 국가발전에 하나의 새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라는 취지의 「개교시j 를 발표하였다. 그리고 앞으로 “우리대학은 교육을 통한 영재 발굴과 계발에 힘써, 학문 연마를 통한 개인의 창의력을 높여 앞날 국가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양성을 그 교육목표의 하나로 삼기로 하였다. 그리고 지덕체의 삼위일체가 된 이 세 가지 요소 중에 어느 하나도 빠뜨림이나 빈틈이 없는 균형 잡힌 교육을 구현해 펼쳐나가고자 한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그리고 초대 한성학원 이희순 이사장은 한성여자대학의 개교를 축하하는 「축사」를 하였다. 이희순 이사장은 “우리 한성여자대학은 21 세기 미래를 향한 사회 각 분야에 걸쳐 사회에 희망의 등불이 되고, 국가 사회에 봉사의 기수가 될 여성 지도자 양성을 우리대학의 교육 목표로 삼을 것이다라고 하고, “우리 사회에 부응하는 진실 되고 성실하고 참된 교육혁신을 통하여 미래를 향한 한 치의 빛나감이 없는 여성 인재양성에 총력을 기울일 것을 굳게 다짐한다라고 의지를 밝혔다.(2) 제1회 입학식 거행
1973년 3월 5일에 한성여자대학의 제 1 회 입학식이 거행되었다. 제 1 회 신입생은 국문학과·영문과·비서학과 . 가정학과·의상학과·생활미술학과 등 6개 학과 150명이었다.김의형 학장은 개식사에서, 한성여자대학 제 1 회 입학식의 개최가 한국 대학가에 새정을 여는 것이라는 의미를 밝히고, 여성전문영재 육성에 최션을 디하겠다고 다짐하였다 그리고 이희순 이사장도 우리대학을 급변하는 세계정세 속에서 여성전문영재교육의 역시적 사명을 다하는 대학으로 육성하겠다고 약속하였다. 한편 1973년 3월에는 제 1 회 신입생을 맞아 교무처장에 고창식, 학생처장에 윤태영교수플 임명하였다.(3) 증과 증원과 각종 서클의 탄생1974년부터는 입학 정원이 전년보다 80명이 늘어 9개 학과 230명으로 증원되었다. 이는 1973년 12월 20일의 학과 정원 조정에 의해 비서학과(20명)가 폐지되고 불문학과(20명), 무용학과(20명), 경영학과 (30명), 무역학과(30명)가 신설되었기 때문이었다.한편 1974년부터는 학생활동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안보문제연구회(회장 조인자 지도교수 연정열), R.C.Y.( 회장 박옥면, 지도교수 윤태영), 불교학생회 등 세 개의 서클이 처음으로 선보인 것이디 이 해에는 국가안보와 총력안보의 각종 권기대회 및 행사가 여기저기에서 열렸으며 이 같은 시대적 상황 속에 각종 반공웅떤대회가 개최되기도 한 시기였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우리대학도 웅변반이 조직되었고 웅변활동을 통해 신설 대학인 한성여자대학을 대외에 홍보하는 데 힘쓰기도 하였다.
1975년에는 기독교학생회, 등산반이 탄생하였다. 그리고 안보문제얀구회는 한국반공연맹 산하 전국대학 반공서클 회원교로 가입하여 반공관련 내용을 연구하고 반공관련 활동을 벌이기도 하였다.(4) 직제 개편과 제1회 한성 축전의 개최1975년 2월에는 차장을 과장으로 직제를 바꾸고 정기수 교수를 교무괴장, 연정열 교학생과장에 임명되었다. 그리고 정기수 교수가 불문학과장, 김진걸 교수가 무역학과장 대행에 임명되었다.1975년에는 총력안보가 보다 강조되던 시기인 만큼 본교에도 학도호국단이 창설되었다.대대장 조인자(국문과 3학년), 부대대장 박옥면(영문과 3학년), 총무부장 박순식(가정과 3학년), 지도부장(생미과 3학년), 새마을과장 정득영(가정과 3학년), 문예부장 문장옥(국문과 3학년), 체육부장 주순희(의상학과 3학년)가 간부로 활동하였다.
학도호국단은 1975년 7월 18일부터 1 주일 동안 충남 아산군 탐정면 신리 소재 온양양로원에서 묘목밭 경작과 김매기 등의 봉사활동을 벌였다. 그리고 그 해 12월 5일부터 1주일 동안 동 양로원에서 동계 봉사활동을 하였다.한편 1976년부터는 학술활동의 전통이 서서히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1976년 6월 국어국문학과의 이근수 교수는 남해도 방언 민속 학술조사 활동을 펼쳐 학술조사활동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이 해 10월에는 제1 회 한성축전이 학도호국단의 주관으로 성대하게 개최되어 한성축전의 새로운 장이 만들어졌다.(5) 「한성경영학보」 발간 「한성여자대학보」 창간1976년에는 우리대학 최초로, 경영학회(이 해 4월 최초로 학회를 구성, 회장 주완숙)에서 타블로이드판 신문인 「한성경영학보」를 11월 22일자로 창간하였다. 동 신문은 발행인 김의형, 편집인 연정열, 편집장은 경영학과 3학년 정상란이 맡았다.
이 해 11월 30일 문공부로부터 정기간행물 허가를 받고 격월간 대학신문인 「한성여자대학보」가 12월 10일자로 창간되었다. 이 신문은 학생과에서 관장 발간키로 하고 발행인 김의형 학장, 편집인 겸 주간 이근수 학생과장으로 등록을 마쳤다 「한성여자대학보」의 창간으로 「한성경영학보」는 폐간되었다.(6) 제1회 학위수여식 개최1977년 2월 25일에 한성여자대학 제1회 학위수여식이 개최되었다. 학위수여식에서 김의형 학장은 영예의 학위기를 받는 졸업생들을 축하하고, 오늘의 영광이 있기까지 뒷받침 해주신 학부모님의 은혜에 보답하여 사회에 나가 등불과 같은 훌륭한 일꾼이 되라는 내용의 격려시를 하였으며, 이희순 이사장도 축사를 통해 졸업 후 학교에서 배운 전공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 모교인 한성여자대학을 빛내줄 것을 당부하였다. 학위기를 받은 졸업생들은 국문학과 25명, 영문학과 21명, 의상학과 6명, 생활미술학과 14명, 가정학과 23명 등 모두 89 명이다.2) 제2대 이희순 학장 (1977. 3. ~ 1978. 8.)
(1) 이희순 학장 취임1977년 3월 1일 제2 대 학장에 이희순 학장이 취임하였다. 이희순 학장은 취임시를 통해 면학분위기 조성과 대학의 제도 및 기능 획립과 개선, 학생 빛 교직원의 인화와 협조를 학교 운영의 방침으로 제시하고, 학생과 교직원들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임을 다짐하였다.이 해 10월 8일과 9일 양일간 제2 회 한성축전이 성대하게 열렀다. 전년도 제1회 한성축전 때보다 그 규모나 내용 면에서 많은 발전을 가져왔으며 카롤릭 학생회, 서예반 등 새 서클의 탄생과 함께 한성축전의 질적 변화를 가져왔다.(2) 남녀공학의 한성대학 탄생1978년 1월 11일 한성여자대학에서 한성대학으로 교명이 변경되고, 야간 여자대학에서 남녀공학으로 바뀌었다. 이 해 10월 15일 문교부로부터 학과 정원조정 승인을 받아국문학과, 영문학과, 의상학과, 생활미술학과, 무용학과 입학정원이 각 10명의 증원을하였으마 경영학과와 무역학과는 각 50명의 획기적인 증원을 하였다. 한편 가정학과 폐과로 행정학과(입학 정원 30명)가 신설 되어 입학정원이 종전 9개 학과 230 병에서 9개 학과 380 맹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1978년 2월에는 제2 회 학위수여식이 있었다. 학위를 받은 여학사는 보두 82 명이었다. 학과별로 보면 국문학과 24명, 영문학과 21명, 경영과 2명, 무용과 6망 생활미술학과 15명 의상학과 4명, 가정학과 10명이다. 이 해 3월 5일 1978학년도 입학식에서 이희순 혁정과 이사장 김의형 선생은 남녀공학의 새로운 장을 함께 맞이한 신입생들의 입학을 축하하였다. 1979년 2월 24일 제3회 학위수여식에서 학위를 취득한 여학사는 국문학과 14명, 영문학과 19명, 경영학과 7명, 무용학과 6명, 의상학과 7명 생활미술학과 11명 가정학과 12 명 등 모두 76 명이었다.한편 1978년 2월 인사개편으로 교무과장에 정연길 교수가 임명되았다.8월에는 이희순 학장이 사임함으로써 정연길 교무과장이 학장직무대리를 맡게 되었고, 교무과장에 정하경 교수, 학생과장에 이창신 교수가 각각 임명되었다.「한성여자대학보」는 교명 변경과 함께 제호가 「한성대학보」로 변경되었고, 제7호부터 주간 교수가 이창신 교수로 바뀜과 동시에 편집인 이근수 교수, 주간 이창신 교수의 이름으로 학보를 발간하였다. 제8호부터 연정열 교수가 주간교수에 취임하면서 종전 학생과장 주관으로 발간한 학보를 독립해서 발행인 이희순, 편집인·주간 연정열의 명의로 문공부에 등록 허가를 받았다.
(3) 학생활동1978년 신학기를 맞아 학도호국단은 남·여 공학에 따른 체제로 바뀌게 되었다.11월 4일 1978년도 정기 검열에서는 총검술 등 교련 사열을 보여주었다.제3 회 낙산축전(제 1, 2 회는 한성축전)은 6월 2일부터 4일까지 성대하게 개최되었다. 1978년부터 우리대학은 탁구팀 조직을 통한 새로운 스포츠 명문의 터전을 마련하였다. 탁구팀은 부장 연정열, 코치 겸 주무 이석구, 선수 김혜정, 김길자, 안화순, 김정자로 팀을 구성하고 5월 10일부터 열린 전국 종별 탁구선수권대회에 처음 출전, 전년도 우승팀인 효성여대를 결승 상대로 하여 감격의 첫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어 11월 문교부 장관기쟁탈 남·여 탁구선수권대회 대학부에서도 우승을 차지하여 창단 첫해부터 탁구 명문교의 전통을 마련하였다.
이 해 10월 중앙학도호국단 주최 제9회 전국대학미전에서 생활미술학과 4학년 정란순 양이 동양화 부분 일부에서 특선에 입상, 우리대학을 대내외에 선전하였다.3) 제3대 김옥형 학장 (1979. 3. ~ 1981.12.)(1) 김옥형 학장 취임1979년 3월 제3 대 학장에 김옥형 학장이 취임하였다. 김옥형 학장은 취임사에서 인화와 단결을 통해 한성대학의 발전에 최선을 다할 것을 다짐하였다. 그리고 우리 한성인이 일치단결하여 우리대학을 참다운 배웅의 전당으로 가꾸어 나가자고 강조했다. 한편 3월 신학기를 맞아 일부 보직개편으로 학생과장에 김계욱 교수, 도서관장에 정연길 교수가 임명되었다.(2) 5개 학과 증원 승인, 교직과정 설치
1979년 9월 11일에는 문교부로부터 의상학과를 비롯한 5개 학과에 대한 증원 승인을 받았다. 의상학과, 생활미술학괴 무용학과, 행정학과에 각각 10명씩 입학정원이 늘어났으며, 1977년 10월 20일 국시학과에서 학과 명칭을 바꾼 사학과는 20명을 증원하여 총 입학정원은 9개 학과 440 명이 되었다. 1979년 12월에는 문교부로부터 경영학과와 무용학과 두 학과에 교직괴정 설치를 인가받았다.한편 제4회 낙산축전이 이 해 5월 16일, 17일 양일간 성대히 열랐고, 이어 10월 14일에는 추계 교내 체육대회가 열렸다.(3) 한성대 동창회 조직, 탁구팀 우승1979년 7월에는 제 1 회 졸업생 조인자 동문(국문학과 1977년 졸업)의 발기로 동문회가 조직되었다. 동문 상호간 친목도모와 모교 발전을 위한 터전 마련을 목적으로 조직된 동문회의 초대 동창회장에는 조인자 동문이 선임되었다. 한편 탁구팀은 1979년 문교부 장관기 쟁탈 탁구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하였다.(4) 직제개편 및 학과 증과
1980년 2월 제4회 학위수여식에서는 국문학과 28명, 영문학과 21명, 경영학과 8 명, 무용학과 6명, 생활미술학과 18명, 가정학과. 14명, 의상학과 6 명의 모두 101 명의 여학사를 배출하였다. 이 해 8월에는 직제개편으로 교무과장 및 학생과장올 교푸처장 및 학생처정으로 그 명칭을 바꾸고 교무처장에 이근수 교수, 학생처장 신은속 교수를 각각 임명하였다. 그러나 3개월 뒤 교무처장 이근수 교수가 타교로 전직함으로써 그 후임에 최맹규 교무처장에 임명하였디1979학년도에는 경영·무역학과 두 학과에 교직과정 설치를 인가 데 이어, 이해 12월 전 학과에 교직과정 설치를 인가 받게 되었다 1980년 10월 15일에는 문교부로부터 경제학과와 도서관학과의 증과 승인과 함께 졸업정원을 각 40 명씩 인가받았다. 그리고 졸업정원제도에 따른 140학점 실혐대학 채택으로 학과정원은 11 개 학과에 졸업 정원 520명 입학정원 676 명이 되었다.(5) 제3대 김옥형 학장 사임과 종합관 준공
가) 제 5 회 학위수여식 및 보직개편1981년 3월 신학기를 맞아 보직개편이 이루어져 교무처장에 연정열 교수, 학생처장에 신은숙 교수, 사무처장에 김범주 교수를 각각 임명하고, 도서관장 김복길 교수는 유임되었다. 학보사 편집인겸 주간 연정열 교수가 교무처장에 임명됨으로써 공석이 된학보사 편집인과 주간에 대한 후속인사가 있었다. 학생처장 신은숙 교수가 학보사 편집인을 학생처장이 겸하도록 제의한 것을 김옥형 학장이 받아들여 학보사 편집인 신은숙 교수, 주간 윤경로 교수 명의로 문공부에 등록인기를 받았다.이 해 2월 25일 열린 제5 회 학위수여식에서 학위를 받은 학사는 국문학과 6명, 영문학과 15명, 경영학과 18명, 무용학과 12명, 의상학과 15명, 생활미술학과 14명, 가정학과 7 명 등 모두 87 명이다.나) 종합관 준공1981년 12월 29일 1년간의 공사 끝에 종합관 준공식을 가졌다. 이 신축교사는 지하2층, 지상 5층 연건평 1,770평의 철근 콘크리트 건물이다. 종합관은 강당을 비롯해 교수연구실 및 강의실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다) 대학미전 입선 및 동남아 해외연수1980년 11월에 우리대학 생활미술학과 학생들은 하인두 교수(서양화)와 정하경 교수(동양화)의 지도 아래 문교부 주최 제 11 회 전국대학미전에서 동양화, 서양화, 디자인, 공예부분 등 4개 부분에서 다수의 입상지를 배출하였다.1981년 2월에는 문교부 주관으로 실시한 해외 연수가 개교 이래 처음으로 행해졌다. 국어국문학과 이석주 교수의 인솔로 필리핀, 대만, 태국, 일본 등 동남아 4개국을 순방하며 해외 견문을 넓혔다.라) 김옥형 학장 사임1981년 12월에 김옥형 학장이 개인 사정에 의해 사임함으로써 학장 직무대리에 연정열 교무처장이 임명되어 1982학년도 입시 업무를 다루고 이듬해인 1982년 2월말 제4대학장으로 부임해 온 강병규 학장에게 인계하였다.
4.3.2 성장기 (1982rv 1993)1) 제4대 강병규 학장 (1982. 2. ~ 1984. 7.)강병규 학장의 재임기간 동안 우리대학은 열악한 조건과 환경을 빠른 시간 내에 극복하고 실용주의 대학으로 성장하기 위한 장·단기적인 빌전계획과 방안을 마련하였다. 대학행정의 제도를 정비하고 학부제를 도입하였으며 각종 연구소 섣덴을 통해 연구하는 대학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됨으로써, 향후 종합대학으로서의 성정을 위한 기반이 마련되었다.(1) 한성대학종합화계획 수립과 학부제 운영1982년 2월 19일 제4대 학장으로 강병규 박사가 취임하였다. 강병규 학장은 취임사를 통해 정보화 시대에 부응하는 미래지향적 대학과 대학문화 창달의 산실로서의 면모 갖춘 획기적인 한성대학으로의 비전을 제시하였다. 급변하는 현대사회에 부응한 대학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현대 산업사회가 요구핸 ‘다원적 사회가능과 직엽주의적이며 실용주의적인 대학j 의 갖추는 것이 우선이었다 이를 위히여 1982년 4월 대학발전 방안을 실천화하기 위해 재단, 대학, 동창회를 중심으로 하는 ‘대학발전협의회’가 구성되어 ‘한성대학종합화계획’을 발표하였다.
종힘-합화계획안은 대학 내 기구 확장과 신설 및 개편 등의 작업으로 시직되았으며, 주요 사업별로 각종 위원회를 구성하여 연구·심의하도록 하였다. 먼저 학시행정의 개학과 대학행정기구의 대폭적인 정비, 대학운영과 관리 전반을 관장할 기구로서 기획과와 예산관리과로 구성된 기획실을 신설하였다. 1982년 4월 기획실(초대실장 : 손영일)은 대학요람 및 영문요람 등을 처음으로 발간했으며, 대학조직이 갖추어야 할 규정을 제정·배부함으로써 각 행정부서의 체제를 재정비하였다.이와 함께 향후 종합대학으로의 승격을 위해 대대적인 학사개편이 단행되었다. 1982년 6월 7일 무용과· 경영학과 학생 49명에 한해 처음으로 교생실습을 실시한 이래1983학년도 신학기부터 전 학과에 걸쳐 교직과정을 확대 개설하였다. 이어 1983년에는 학사행정 계획을 위해서 학부제를 도입하게 되었다. 성격이 유사한 학과들을 분류해 4개의 학부를 두고 모든 학사행정을 학부 중심 운영체제로 전환하도록 하였다. 학부제 운영 방안은 당시 대학의 규모로 볼 때 매우 과감하고도 획기적인 조치였다. 인문학부, 사회학부, 예술학부, 교양학부 등 4개학부로 학부제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학부제 도입은 그 당시 운영상의 미숙과 기구 확대에 따른 부수적인 조치들의 미비로 기대만큼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학사 운영제도의 개편 작업 중에서 특별히주목되는 것은 학과 전용 강의실제를 도입했다는 점이다. 이는 국내 대학 중에서는 처음 시도된 제도로서 강의실의 효과적인 활용과 학과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교육환경의 개선은 자연히 각 학과별 연구활동을 활성화 시켰으며 그에 따른 연구성과물로 학과마다 논문집이 발간되기 시작하였다. 1982년 국어국문학과의 『漢城語文學』, 사학과의 『漢成史學』, 경영학과의 『經營論集』, 미술학과의 『漢成美術』 등 학과 논문집 창간호가 발행되었다. 이로써 우리대학은 진리와 학문을 탐구하고 연구하는 대학 본래의 모습과 위상을 정립해 나가는 도약의 단계로 진입하게 되었다.
학생처는 장학제도의 합리적인 개선책을 마련하는 한편 외부 장혁금의 적극적인 유치노력을 통해 수혜의 폭을 확대하는 등 학생 복지를 위해 제반 노력과 조치를 취했다. 이밖에도 전일제 수업에 따라 증원된 학생들의 졸업 후 취업 강구를 위해 1984년 2월 22일 ‘취업대책위원회(위원장 : 한창호 교수)’를 구성·운영하였다. 이 ‘취업대책위원회’는 이후 ‘취업상담실’로 상설기구화하여 보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학생복지 행정을 전개하였다.1983년 3월 1일에는 설립자로서 한성학원의 큰 기둥이셨던 우촌 김의형 선생께서 향년 79세를 일기로 타계하셨다. 일평생을 교육이라는 지난하고도 고독한 외길을 걸어오신 한성인의 영원한 스승 우촌 김의형 선생, 그의 타계 소식은 전 한성인에게 큰 충격과 슬픔을 가져다주었다. 장례는 1983년 3월 4일 한성여고 교정에서 엄숙히 거행되었다-한편 1984년 전국 대학에서 거세게 일고 있던 대학치율화 바람은 우리대학에도 영향끼쳤다. 1984년 3월 28일-29일 ‘대학발전을 위한 공청회’를 시작으로 학내의 복잡-한갈등 요소들이 함께 작용하여 급기야 교내 시위로까지 파급되었다. 5월 25일부터 11일 간에 걸친 학내 소요는 대학구성원 모두에게 커다란 상처를 님켰다. 그러나 한성여중 ·여고와 대학의 상호이전을 골자로 하는 획기적인 ‘한성대학발전계획안’을 :<<]]시함으로써 일단 수습국변에 들어갔디 1984년 7월 4일에는 학내소요의 여파와 그 과정에서 빚어진 학원 내의 갈등으로 인해 경병규 학정-이 결국 4년간의 임기를 지l 우지 못한 채 사임하였다.
(2) 학생복지관 완공과 교사이전 5개년 계획 수립1983년 9월 5일 학생복지관이 왼공되어 개관식을 가졌다. 복지관의 원공으로 학생들에게 후생복지시설로서 편의를 제공하게 되었다. 1983년 4월초에 착공 예정이었으나 허가 상 문제 등으로 인하여 결국 개교 12주년 기념일인 10월 5일 착공식을 갖고, 동년 12월 ]5일 기공식을 거행한 학생복지관은 딩-초 지상 5층으로 계획히았으나 예산 부족으로 인하여 4층으로 완공하게 되었다.깅병규 학장 시절에는 학내외적으로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재단의 히어l 교사 이전 및 대학발전계획은 차질 없이 추진되었다. 한성여자 중·고등학교, 한성대학 및 재단 관계자를 망라하여 구성된 교사이전추진위원회는 ‘교사이전 5개년 계획을 구체화하여 발표하였다(3) 각종 연구소의 설치1982년 6월 1일 우리대학은 제반 여건을 종합 분석하고, 그 토대로 우리대학의 실정에 맞추어 민족사상연구소, 사회산업발전연구소, 한국전통문화예술연구소, 학생생활지도연구소 등 4개 연구소를 개설하고, 전공교수들을 전임연구원으로 위촉하였다.민족시상연구소(초대소장 . 정연길 교수)는 1982년 10월 27일 창립기념강연회를 개최한 이래 매년 정기적인 강연회, 학술세미나 개최 및 학술지 『民族文化』발간 등 인문과학 분야의 연구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1985년 11월 1일 민족사상연구소는 연구활동의 효율회를 위하여 한국전통예술연구소와 통합, 민족문화연구소로 새룹깨 딴족하였으며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농기구와 생활도구를 상설 전시하고 있는 농경생훤사전시관을 연구소 산하에 두었다.사회산업발전연구소(초대소장 : 이창신 교수)는 1982년 6월 16일 창립기념사업으로 미국 스댄포드대학의 Richard. B. Foster 교수를 초빙하여 한국일보 대강의실에서 각계 인시들과 학생, 교수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강대국의 동북아시아 전략 전망’이라는 주제로 대규모의 성대한 강연회를 개최한 바 있다. 그후 제2대 연구소장으로 취임한 정연선 교수(행정학과)에 의해 연구소로서의 체제가 정비되었다. 1983년 3월 31일 사회산업연구소로 개칭하는 한편 각 전문분야별로 연구책임 교수제를 도입, 명실상부한 전문적인 연구소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던 것이다.
한국전통예술연구소(초대소장 : 하인두 교수)는 1982년 11월 4일 창립기념강연회 개최 이후 연구활동의 효율성을 기하기 위하여 민족사상연구소와 통합하여 민족문화연구소로 새롭게 발족하였다.학생생활지도연구소는 단순한 학생지도 및 상담활동에 국한하지 않고 정기적인 학생 의식 실태조사, 학생생활관계 학술지 발간, 세미나 개최 등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대학생활 및 졸업 후 사회생활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해왔으며, 이후 그 명칭을 학생생활 연구소로 개칭하여 보다 활발한 연구활동을 추진하였다.2) 제5대 홍순태 학장 (1984. 9. -1988. 8.)
제5 대 홍순태 학장 재임기간에 우리대학은 교사이전 5개년 계획에 따라, 교사 이전을 완료하고 우촌관을 비롯한 학교 시설 확충으로 대대적인 학교의 변회를 추진하였다. 이와 함께 학군사관후보생 (ROTC)을 창설하고 경영행정대학원이 신설됨으로써 종합대학으로서의 변모를 갖추기에 이르렀다.(1) 종합대학의 시초 마련1984년 9월 5일 신축된 학생복지관 강당(현 창의관 소강당)에서 제5 대 홍순태 학장의 취임식이 거행되었다. 그는 취임사에서 “대학은 학문과 진리의 탐구에 그 목적을 두며 이를 통한 창조적 연구로 인간 생활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는 곳”으로 규정하고 “계속적이고도 신념 있는 교육의 계획과 연구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하였다.한편 ‘대학발전을 위한 공청회’를 시작으로 28일간 지속되었던 학내 사태를 수습하고학원의 정상회를 기하기 위하여 8월 1일자로 대폭적인 보직개핀을 단행하였다. 교무처장 한창호 교수(경제학과), 학생처장 이우범 교수(도서관학과), 도서과장 이용남 교수(도서관학과), 학보시주간 겸 빙송실장 황진수 교수(행정학과), 민족문회연구소장 지배선 교수(사학과), 사회산업연구소장 허창재 교수(경제학과), 학생생활 연구소장 겸 취업대책위원장 강석중 교수(무역학과)를 임명하였다.
(2) 우촌관 완공과 교사 이전 완료1985년부터 추진되었던 교사이전 5개년 계획은 많은 어려움에도 풀구하고 재단의 의욕적인 사업 추진으로 예정보다 2년을 단축한 1987년 8월 대학본관(현 우촌관)이 완공되떤서 교사 이전의 대역사를 완수하고 새로운 도약을 맞게 되었다.1986년 7월 여중·여고의 방학과 동시에 대학, 여중·여고의 자리 바뀜이 이루어져 교사 이전이 완전히 마무리되었디 교사 이전이 단행됨으로써 전 여고 건물이 본관으전 과학관이 별관으로 각각 병칭이 바뀌어 사용되었다. 1986년 8웰 12일 교사 이전 및 본관 신축 기공식이 오전 10시 전 한성여자중학교자리에서 거행되었디 이 날 열린기공식은 안호상 이사장, 이희순 이사, 홍순태 학장을 비롯한 대학 처장 등 내외 귀빈 50 여 명이 참석하였다. 본관 신축 건물은 대지면적 2 천2 백94.3평, 건축면적 7 벡 35.5평으로 동림건축 주식회사가 설계를 맡고, 우진토건 주식회사가 시공을 맡았다. 전제 6층의 ‘철근 콘크리트 라멘조’ 구조로 1986년 8월 12일 착공되어 1987년 8월 15일 완공되었다
1987년 8월 25일에는 우촌관이 준공되었다. 우촌관은 대지 면적 2,994.3평, 건축 면적 3,447평이며, 1986년 8월 12일 기공식을 가져 378일 만에 완공 되았디 총 공사비는 22억 3 천968 만 4 천원(설계 감리비 5 천 860만 4천원+공사비 21억 8 천 108만원)이 투입되었다.(3) ROTC 창설1984년 12월 4일 국방부령 제 281 호(1975년 9월 25일) 학군무관 후보생 규칙에 근거인교(1984년 11월 22일) 학군사관 후보생 과정 설치 승인을 얻었다. 이에 따라 1985학년에 1 학년 재학 중인 교련대상자 중 후보생을 선발하고, 1986학년부터 본격적인 훈련을 시작하였다. 1985년 3월 11일 학군사관후보생(R. O.T.C.) 창설 및 입단식이 운동장에서 안호상 이사장, 홍순태 학장 및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되었다.
3) 제6대 신영기 학장 (1988. 8. -1990.10.)신영기 학장이 취임하면서 우리대학에서는 연구활동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는 대학원 교육의 내실회를 통해 보다 높은 수준의 학문을 연구하고 사회가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양성을 위해 대학원 신설계획을 세웠다. 이에 따라 학부의 발전과 연계하여 교내 교수진을 비롯한 외부의 우수 교수를 초빙하여 깅죄를 개설함으로써 보다 폭넓고 깊은 학문에 접할 기회를 마련하였다.(1) 학장선출홍순태 학장의 임기 만료가 다가옴에 따라 신임학장 선출에 관한 문제에 학내외를 통하여 많은 관심이 집중되었다. 당시 전국 상당수 대학들은 그 대학에 재직 중인 교수중에서 총·학장을 선출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교수협의회에서는 재직 교수 중에서 학장을 추대하자는 여론이 크게 일어났다. 당시 재단에서도 이러한 여론을 과감히 수렴하고자 하였으나, 결과적으로 재단 이사회에서 학장 초빙을 맡게 되었고 외부인사인 신영기 학장을 초빙하게 되었다. 신임학장이 내정되자 교수협의회에서 인준 동의 절차를 거쳐 1988년 8월 22일 오전 10시 소강당에서 신·구 학장이·취임식이 거행되었다.
신영기 학장은 취임사를 통해 ‘뜨거웠던 정열을 부드럽게 누그러뜨려 화합과 단결로 써 나라와 학교의 발전에 기여함은 물론 자기 자신들의 계발과 성찰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 하며 한성가족 모두 하나가 되자고 역설하였다.(2) 과학관 준공과 교내 환경 조성1990년 우리학교는 과학관을 준공함으로써, 1988년도에 신설된 자연계열학과가 실험 실습실을 전용으로 소유하게 되었다. 과학관은 1971년도에 준공한 교내 수영장 자리에 처음 건축을 추진하여, 1989년 1월 19일 서울시의 사업승인, 4월 7일 성북구청의 건립허가에 따라 4월 18일 과학관 기공식을 갖게 되었고, 10개월에 걸친 공사 끝에 1990년 2월 27일 준공하게 되었다. 과학관은 총 면적 1,626평에 건축 면적이 366평으로, 지상 5층의 A동, 지상 4층 지하 1 층의 R동으로 구성되었다. 과학관은 강의실로 6개실, 산업디자인학과, 의류직물학과, 전산통계학과가 각각 4개실을 과별, 실힘실로 사용하게 되었고, 교수연구실 10개 실, 전자계산소 1개설, 학과사무실 3개 등 총 35개실을 보유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노천극장, 데니스장, 주위 환경 조성이 과학관 준공식 전인 2월 23일 착공하여 4월 말에 일단락 맺었다.
(3) 대학원과 각종 기구의 설립가) 석사과정 설치와 대학원의 증설신영기 혁정이 취임하면서 우리대학에서는 연구활동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는 대학원 교육의 내실화를 통해 보다 높은 수준의 학문을 연구하고 사회가 편요포 하는 전문인력양성을 위해 대학원 신설계획을 세웠다. 이에 따라 학부의 발전과 연계하여 교내 교수진을 비롯한 외부의 우수 교수를 초빙하여 강좌를 개설함으로써 파다 폭넓고 깊은학문에 접할 기회를 마련하도록 노력하였다. 그 결과 1989년 11월에 문교부료부터 국어국문학과·사학과·무역학과에 36 명을 인가 받아 1990학년도부터 석사과정이 설치되았다
1987년 10월에 경영학과 40망 행정학과 40명으로 신설된 경영행정대학원은 1988년 11월 문교부로부터 분리인가를 받게 되었다. 그 결과 경영대학원과 행정대혁원은 1990년도부터 독자적인 행정체제를 갖고 교육에 임하게 되었으며 각각 60 명의 장원을 획보하였다. 또한 1989년 11월에는 문교부로부터 행정대학원 내에 정원 15명의 교좌행정학과 설치를 인가 받았다.나) 전자계산소의 개설1988학년도부터 전산통계학과를 비롯한 산업공학과, 의류직물학과, 산엽디자인학과 등의 자연계 학과가 신설되어 전산을 필요로 하는 요청이 쇄도하였고 이에 따라 1989년도부티는 이 학과의 전공괴목 강의가 시작되자, 전자계산소의 설립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전자계산소 설립에 우선 해결해야 할 것은, 컴퓨터를 비롯한 기본설비 도입을 위한 재원조달과 앞으로 대학 규모의 확대 및 발전에 상응하여 어떤 기종과 시스템을 도입할 것인기를 결정하는 일이었다. 이에 따라 우선 1990년 1월 6일 ‘MV/15000 System'을 도입하였고, 2월 28일 과학관 2층에 전자계산소를 개설하였다. 초대 소장으로는 경제학과 권혁제 교수가 임명되었다. 그리고 초창기에 PC 실습실 1개소를 개설하였고, 그 해 9월에는 제 2 PC 실습실을 개설하였다. 또한 전자계산소에서는 급증하는 Computer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수시오 Computer 기본과정. Database, Spread Sheet, Word processor 등의 특강을 실시하였다.
다) 북방문제연구소의 설립1989년 4월 1일 설립된 북방문제연구소는 한국의 북방정책과 관련이 있는 중국과 소련 및 기타 지역의 공산국기들에 관한 학문적 연구를 통해 인류평화와 동서 화해 무드에 따른 강대국 관계의 재편, 한국의 국제적 지위 향상, 북한에 대한 한국의 통일 및 대화 정책, 한국의 국가이익 증진에 어느 정도 기여할 목적을 두고 설립되었다.초대 소장으로는 1989년 4월 1일 유영옥 교수가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 9월 7일에 문교부 인기를 받았다. 1990년 5월 25일 북방정책 학술세미나를 개최하고, 같은 달 논문집 『북방연구』를 발행하였으며, 그 후 유영옥 교수의 사퇴로 2대 소장으로 무역학과 강석중 교수가부임하였다.
라) 출판부의 설립출판부는 이상적인 교과내용을 담은 우수한 교재개발과 학술연구물 출판에 관한 교수연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1989년에 설립되었다. 1990년 2월 『言語와 生活 세계』, 『文章과 表現』, INTERACT and SENSIBILITY를 발간하였으며, 1990년 9월 2대 출판부장으로 부임한 이석주 교수는 1991년 2월에 『현대사회와 생활체육』을 발간하였다. 이 책들은 주로 교양국어, 교양영어, 교양체육 과목에 활용되었다.마) 농경생활사 전시관 개설우리대학 부설 민족문화연구소(소장 윤경로 교수)는 선조들의 농경 생활 기구를 수집하여 1991년 6월 11일 전시핀을 개설하였다. ‘농경생활사 전시관’은 우리 농촌의 어제와 오늘의 모습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각종 농기구와 민속자료로 꾸며졌으며, 그 소장품은 5 백여 점, 품목으로는 2 백여 점에 이른다. 주로 경기도 일원에서 최근까지 사용되던 농기구틀을 수집하였으따, 시대적으로는 고대부터 사용되던 단순 농기구류로부터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철제 농기구류에 이르기까지 디양하다.
(4) 신영기 학장 사임과 원형갑 학장의 취임1990년에는 우리대학이 일대 위기에 봉칙하였다. 이 해 10월 1990학년도 입시에서 신입생 720명을 선발하면서 이 중 94 명을 부정입학시킨 사실이 검찰 수사 결과 드러난 것이다 이 사건으로 학교 관계자 7명이 구속되는 등 학교가 큰 혼란에 빠졌으며, 그 와중에 신영기 학장이 시임하였다.1991년 4월 1일에는 우리대학 최초로 교수로 재직 중인 원형갑 학장이 취임하였다. 이와 비슷한 시기에 안호상 이사장이 임기가 만료됨에 따라 신임 이사장으로 서정희 박사가 재단 이사회의 동의블 가쳐 취임하였다. 이 해부터 교수 임용방식에 획기적인변화가 생겼다. 특히 전임교수 초빙은 종래의 교수채용절치를 과감히 개선하야 공개채용 제도를 정착시켰다. 그 결과 국내외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우수한 교수를 다수 충원수 있었다
4.3.3. 발전기 ( 1993~2002)1) 종합대학교 승격 - 초대 원형갑 총장 시기 (1993. 3. 1. ~ 1995. 3.31.)우리대학은 1993년 3월 1일자로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원형갑 혁정이 초대 총장으로 추대되었다. 원형갑 총장은 강의평가제를 도입하여 정착시컸으며, 다양한 전공의 신임교수를 초빙하고 객원교수제도를 활성화 하는 등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한편 건학 20주년을 맞아 『한성대학교 20년사』(1992)를 발간하였으며, 한성학원 설립자 우촌 김의형 선생의 추모집 『낙산의 삼학송』 (1992) 도 발간하였다. 또한 대학의 운영 현황과 각종 자료를 계량화하고평가할 수 있는 『한성대학백서』(1992)를 발간하여 대외적으로 공표하였다.
(1) 학사와 교육 행정가) 종합대학교 승격 및 학칙 변경이 시기의 가장 큰 특징은 우리대학이 종합대학교로 승격된 점이다. 우리대학은 1973년 3월 한성여자대학으로 신설된 이래 20여년만인 1993년 3월 1일자로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다. 종합대학교로 승격됨과 동시에 제7대 학장으로 봉직해온 원형갑 학장이 초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또한 승격에 따라 1993년 3월 1일자로 학칙이 변경되었었는데 주요 변경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학칙 개정에 따른 주요 변경 내용>㉠ 교명이 ‘한성대학’에서 ‘한성대학교’로 변경되었다.㉡ 기관장이 ‘학장’에서 ‘총장’으로 바뀌었다.㉢ 단과대학명이 각 학부에서 인문대학, 사과과학대학, 예술대학, 이공대학의 4개 단과대학으로 바뀌었다.
㉣ 학기 최대 학점이 21 학점에서 20학점으로 변경되었다.㉤ 폐강 규정의 인원이 10 인 미만에서 전공 10 인, 교양 20 인 미만으로 변경되었다.㉥ 교육부로부터 전산통계학과와 산업공학과 야간으로 40명씩 증원 및 증괴를 받았다.나) 교육과정의 개편종합대학교 승격과 동시에 교육과정 전반을 개편하였다. 교과과정의 개편은 ‘학문발전에 맞는 새로운 경향의 교과과목과 정보화 및 개방화 사회에서 미래지향적 교과과정 개편을 원칙으로 한다.’는 것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특히 교양과목의 수를 늘리고, 학부별 특수성을 고려하여 교양 선택과목을 5개의 학문영역과 소영역별 과목으로 나누어 운영하는 방침을 세웠다. 또한 시대와 사회의 요구를 반영하여 교양 필수과목으로 전자계산개론을 포함하였으며, 글로벌 시대에 세계 시민으로서 시각을 갖고 삶을 영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외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1994년 입학생부터 졸업 자격으로정하였다
다) 입학 정원 증원 및 학과 신설1993학년도에 신입생 80 맹을 증원하여 총 입학정원 800명을 모집하았다. 전산통계학과 야간 40명과 산업공학과 야간 40명이 증원되어 후기전형으로 획정되었다. 한편 전년도끼지는 후기전형이었던 미술학과기. 1993학년도부터는 전기전형으로 신입생을 선발하게 되어, 전기전형에서는 320명 (40%), 후기전형에서는 480명 (60%)을 모집하게 되었다.1994학년도에는 학과의 신설이 인기되어 컴퓨터공학과{주 : 40명 야: 40명), 정보공학과(야 : 40명), 산업안전공학과(야: 40명), 산업디자인학과(야 : 30명) 등 190명의 입학정원이 늘어났다. 학과 신설로 입학정원이 총 800명에서 990명으로 늘어나 종합대학으로의 발판을 굳히게 되었다. 한편 이 해에 미술학과는 회화과로 명칭을 띤경하였다.라) 입시제도 개선 및 성과1993학년도 신입생 320명 모집에 6,544 명이 지원하여 전체평균 20.5 : 1 의 경쟁률로, 전기 대학 모집에서 전국 최고의 지원율을 기록하였다. 그 중 기장 높은 경쟁률을 보인 문헌정보학과는 40.6 : 1 로서 매스컴에 보도되기도 하였다.
또한 개교 이래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1994학년도는 본고사 임시를 전국 9개 대학 중 우리대학이 포힘되어 교육계에 큰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1994 펙년도부터 달라진 입시제도는 고교내신제도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문제점을 보완히고 대혁의 특성화와 지율성을 위하여 본고시를 실시하고 아울러 전·후기 분할모집에서 전기모집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또한 내신 성적과 수학능력시험을 합산하여 상위 10% 이내에 드는 학생을 대상으로 모집정원의 30%까지 면접 특차전형으로 선발히키로 하였디(단, 예술대는 특차전형을 하지 않기로 함) .한편 본고사의 합리적인 입시관리를 위해 입시공정관리위원회를 구성·운영하였으며, 문제의 출제는 경찰관의 경호 아래 안전하고 공정하게 진행하였디 본고사 시행을 앞두고 1993년 8월에는 예시문제를 각 고교와 입시 전문지에 공개히였고 이를 통하여 출제방향과 형식을 널리 홍보하였다. 특차와 본고사로 구분하여 실시한 1994 학년도 입시에는 예년보다 우수한 전국 상위권 학생들이 대거 지원하여 우리대학의 위상을 한층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예술대학에서는 실기고사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출제부터 채점과 정까지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 무용학과에서는 실기시험에 학부모들을 참관시켰으며, 실기고사장에 채점 전산시스템을 갖추어 실기고사 성적을 공개하고 부전공 실기, 전공 기초 실기시험은 2일 전에 공개 리허설을 통해 출제하는 등 타 대학에서 실시하지 않제도를 국내 최초로 단행함으로써 학부모와 수험생에게 큰 호응을 얻었으며 매스컴에도 소개되었다. 미술계열 회화과와 산업디자인학과의 실기고사는 입시안내 홍보를 통해 각 종목별로 미리 예시한 실기문제 내에서 출제하였다. 이는 기존의 비밀 출제방식에서 크게 탈피한 것으로써 수험생들이 사전에 충분한 연습을 거쳐 실기시험에 응시하게 되어 수험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다.1995학년도 본고사는 설립 이래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가운데 치러졌다. 특차를 제외한 980명 모집 정원에 24, 120 여 명이 지원한 본고사는평균 24.6 : 1을 나타냈고 최고의 경쟁률은 정보전산계열 42 : 1 이었다. 모두 13개 학교에 분산하여 영어, 논술, 수학3과목 중 2개 과목을 시행하였다.
한편 1995년도 입학시험에서 특차모집의 지원자격과 전형요소별 반영비율, 대학별 고사괴목 등이 변경되었다. 특차모집의 지원자격은 대학수학능력시험 계열별 성적 상위 10%이내여야 하며 전형요소별 반영비율은 인문계와 자연계가 내신성적 40%, 수학능력시험이 30%, 대학별 고사가 30%이며 예·체능계는 내신성적 40%, 수학능력시험 30%, 실기고사 30%로 예년에 비해 실기고사 40%에서 30%로 축소된 것이다.본고사 비율은 전년에 비하여 20%에서 30%로 상향 조정하였다. 이는 대학입시의 획일적 국가 관리에 따른 기능적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고교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뿐 아니라, 신입생 선발을 비롯한 대학운영의 전반적 자율성을 제고하고자 한 것이다.마) 교수 충원 및 강의평가제 도입종합대학교 승격 후 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한 학교발전 장기 계획의 일환으로 1991년 9월부터 1992년 사이에 30 여명, 1995년에 14명 등 총 44 명의 교수진을 충원하였다. 또한 1991년 6월에는 국내에서 최초로 개설한 모든 강좌를 대상으로 강의평가를 실시하는 강의평가제를 도입하였다. 강의평가의 결과는 교수틀에게 환류(feed back) 됨으로써 강의의 수준 향상에 기여히도록 하였다. 한편 사회 현장의 실무 경험이 많은 인사들을 객원교수료 초빙하여 학생들이 이론적 지식 뿐 아니라 현장성 있는 살이있는 지식을 접할 기회를 마련하였다.
바) 예술대학원 신설 및 대학원 명칭 변경1994년 10 윌 21일에는 예술대학원 신설이 인가되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단일 대학원으로 인기된 예술대학원은 석사학위과정 5학기제를 원칙으로 무용, 산업디지인, 회화전공으로 구성되었으며, 입학정원은 60 명이었다. 예술대학원 신입생 모집은 1994 학년도 12월부터 실시하였다. 한편 94년에 일반대학원의 석시과정에는 산업공학과, 의류직물학과, 경제학과가 신설되었으며, 경영대학원의 무역학과는 학분적인 전문성운 심화하기 위하야 국제경영학과료 변경하였다.(2) 시설 및 환경가) 도서관 공간 확보 빛 정보 짐색실 신설
중앙도서관은 1개 학년이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열림공간을 비룻히아, 교육부가 제시한 기준을 초괴한 110%에 딜하는 장서율을 확보하였다. 또한 포항공대를 비롯한 국내 유수 기관과 정보협조 제계를 맺었디 한편 1993년 10월에는 정보검색실을 신설하여 각종 기자재를 갖추고 국내외 도서관을 비롯한 첨단 과학기관에 소장되어 있는 각종 자료를 온리인으로 검색,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게 되었다.나) 학생회관, 과학관 증축1994년 5월에는 공간확보 계획에 따라서 학생회관과 과학관 증축에 관한 건축허가를 관할구청에 신청한 후 계획에 따라 학생회관 4층을 6층으로, 과학관 5층을 6층으로 증축하여 총 3 천여평방미터가 늘어나게 되었다. 공간사용 용도는 학생회관 5층은 첨단 시스템을 갖춘 도서관 공긴으로, 6층은 문헌정보학과 교수연구실로, 괴학관은 전산통계학과, 산엽공학과 증원에 따른 실험실습실 및 강의실, 교수연구실로 배치하였으며 199'5년 3월 말에 왼공하였다.다) 교사(校舍) 보수 및 교육 환경 개선 작업
대학의 면학 분위기 조성을 위하여 1991년부터 교육환경 개선작업을 대대적으로 실시하였다. 1993년 봄철을 맞이하여 학교주변에 나무심기에 주력을 하였으며, 낙산 환경 조성, 낙산교 완공, 오솔길 계단 설치, 진달래와 녕쿨장미 식재, 정문 진입로 고압전주 이설, 우촌관 6층 복도 태라스 창문 및 어학실습실 이중창 설치, 각 건물 옥상 및 지하 물탱크 청소 등을 실시하였다.라) 대학 ‘이미지 마크’ 제작이미지 마크는 ‘모든 행사와 각종 인쇄물에 활용, 대학의 이미지를 세계화 속에 부각, 대학 구성원의 의식개학과 일체감 조성’을 목적으로 산업디자인학과 이상원 교수가 제작하였다. 제작된 이미지 마크는 대학의 심벌마크(교표)와 함께 모든 행사와 각종 인쇄물에 공식적으로 활용하였다.마) 지선관 앞 분수대 설치 및 우촌관 광장 이념 탑 건립지선관 앞 분수대가 1992년 10월 3일 설치되었고 주변 조경공사도 동시에 진행되었다. 정종해(회화패 교수의 설계로 건설된 새로운 분수대는 발전하는 대학을 상정하고 있으며 높이 10-13m의 스텐파이프(지름 20 인치) 6개와 1.5-2.3m 높이의 스텐파이프 24개로 구성되었으며 주변에 지름 7m, 원형둘레 20m의 인조바위도 동시에 설치되었다.
한편 우촌관 계단광장에 예술대학 회화과 문범 교수가 제작한 새로운 조형물이 설치되었다. ‘세계-나무’라고 이름이 붙여진 이 조형물은 하늘이 투영 반사되는 아메바 형상 위에 세계를 상징하는 지구의를 올려놓았다. 아울러 이 조형물을 떠받치는 여섯 개의 기둥은 우리대학 상징물인 거북의 등을 상정하고 쭉 뻗어 오른 기둥은 나무와러싼수풀을나타낸다.바)낙산에‘남문’ 건립낙산 정상에 새로운 조형물을 겸한 건립하였다 남문은 우리대학의 상징물인 거북이 형상에 새로운 조형미를 가미하여 제작된 상징물로서 스테인리스 재질을 사용하였다. 산업디자인학과 고영란 교수의 디자인으로 중앙에서 양쪽으로 열고 닫을 수있는 여닫이 식으로 설계되었다. ‘남문’ 디자인은 기존의 고정관념을 깨고 동양적인 발상에 의해문 양쪽으로 길게 늘어선 담장과 연결되도록 시원하고 산뜻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담장이라기보다는 하나의 경계선을 이루는 조형물이라는 점에서 더욱 흥미를 갖게 하였다. 이 조형물은 팀장 안이 들여다보이면서 담장 역할을 하는 ‘문-상징탑’ 이다.
(3) 대학 특별위원회 구성 및 대학발전과제 수행가) 대학 특별위원회 구성우리대학의 현안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1994년도 특별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위원장에는 중진 교수들을 위촉하고, 위원에는 주임급 이성의 직원 1명을 포함시켜 위원회 운영 및 연구에 효율성을 기하도록 하였다.<표 54> 대학 특별위원회 현황
위원회명 설치 목적 및 취지 위원장 위원
나) 대학발전과제 수행 및 발전기금 조성
대학발전과제 연구 제4차년도를 맞이하여 1994년도에는 6개 과제를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토록 하였다. 과제별로 연구책임자가 5 인 이상의 공동 연구원을 선임하여 기획과에 신청하도록하였다.<표 55> 1994년도 선정 과제 연구
과제명 연구목적 및 취지 연구책임자
1995학년도의 대학 발전과제 연구 보고는 학사협의회 (2월 16~18일, 제주도 서귀포 프린스호텔)에서 진행하였다. ‘대학장기발전계획연구’, ‘대학시설공간 사용의 효율성제고연구’, ‘대학행정 전산화 발전 연구’, ‘대학 교과과정 발전 연구’, ‘대학 교양 교과과정발전 연구’, ‘대학원 교과과정 발전 연구’ 등 여섯 분야에 걸쳐 밀도 있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한편 대학발전기금 조성을 위한 작품전 ‘한성회화제’가 1994년 6월 2일부터 7일까지 세종문화회관 전시실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전시회는 우리대학 교수와 동문들이 주체가 되어 작품을 출품하였고,월간 『산학연저널』에서 주관하여 여러 기업체에 알선하고 여기서 얻은 수익금은 우리대학의 대학발전기금 조성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 날 출품된 작품은 30호 내외의 작품 100 여 점이며, 전시회 관람객 수는 약 1,000 여 명이 넘었다.
2) 진통과 변화 속 도약 - 제2대 이용남 총장 시기 (1995. 4. 1. ~ 1997.12.22.)제2 대 이용님- 총장 시기에는 학부제를 실시하는 등 교과과정을 개편하였다. 개편 결과 전공학점은 45혁점으로 줄이고, 기타 학점은 나머지 학점으로 보충힘으로써 실제적인 복수 전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1994년부터 치러온 입시 제도률 정비하야 입시요강확정히고 다양한 전헝요소를 다변화하여 우수한 인재를 선발히려는 노력을 허였고, 1998년에는 교육 환경 개선으로 교수 확보율이 교육부 기준융을 초과하여 정원 지율화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이와 함께 국내 최초로 전지정보관을 개관 운영하았고, 국내외 대학과 학술 교류 혐정 및 학점 교류 인정 협정을 맺음으로써 학생들의 편의률 도모하고 대학의 위상을 제고하였다.하지만 재단의 분규로 1997년 12월 23일 교육부의 임시 이사체제효 전환되었고, 이용남 총장체제에서 윤정로 총장대행 체제로 변경되었다. 진통과 혼란 속에서도 1996년10월 18일 대학원에 ‘국제풍성-정보대학원’이 신설 인가를 받았디 또한 한성기족의 화힘을 위한 ‘한성인의 밤’ 행사가 마련되고, 지역 주민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한성기족의 노력은 계속되었다.
(1) 학사와 교육 행정가) 이용남 총장 취임1995년도 학시협의회 총장후보 선거에서 이용남 교수가 제2 대 총장후보자료 선출되어 이사회의 승인을 거쳐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총장 취임식은 4월 1일 소깅딩에서 거행되었다. 취임식에서 이용남 총장은 ‘조화와 협력의 구조 속에 대학 발전 이룩해야라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첫째, 우리대학 교육의 근본을 갖추어 내실을 튼튼히 하는 데에 힘쓰고, 둘째, 대학교의 자율능력을 신장시킴으로써 체질을 강화시켜 기며, 셋째, 변화와 개혁의 시대에 대비해 국제경쟁력을 커워나갈 것을 약속하았다.나) 교육제도의 개선
1997년에 ‘최소인정 학점제’를 도입하는 등 교과과정을 전면 개편하였다. 이전과 마한가지로 졸업 학점으로 총 140학점을 유지하되, 한 학과에 필요한 전공학점은 45학점으로 줄이고, 기타 학점은 나머지 학점으로 보충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실제적인 복수전공이 가능하게 되었다.1998년 10월에는 학부제 확대개편으로 모집단위 통폐합을 시행하였다. 모집단위 통폐합으로 어문계열, 인문계열, 사회계열로 분류하는 한편, 의상학과 및 의류직물학과를 의생활학부로 통합하고 명칭을 의상디자인전공, 의류패션산업전공으로 정하였다. 정보전산학부에는 정보시스템공학전공을 신설하고 전산통계학과, 정보공학전공을 멀티미디어정보처리전공, 정보통신공학전공으로, 산업시스템공학부 산업안전공학전공을 기계시스템공학전공으로 각각 명칭을 변경하였다. 그리고 야간학과 모집 정원의 30%를 주간으로 전환하여 1999학년도 입학정원이 주간 960명 야간 660명이 되었다.한편 1994학년도부터 대학별 본고사를 치러온 우리대학은 1996학년도 입시요강을 확정하면서 역시 본고사를 치렀다. 특히 1996학년도 입시는 전형요소를 다변화하여 다양한 인재를 선발하였다. 전형일자는 1996년 1월 18일이며, 전기모집 중 ‘다’ 그룹에 속했다. 예·체능계열을 제외한 전 학과에 영어를 필수 과목으로 두었다. 1996학년도 입학정원은 1, 180명으로 확정되었다. 경제학과와 행정학과에 야간이 신설되고 국어국문학과와 영어영문학과, 경영학과, 무역학과, 산업디자인학과, 정보전산학부 등이 증원되었다. 1996년도 본고사는 1996년 1월 18일 시행되었는데, 당시 경쟁률은 6.2 : 1 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1997년 10월 13일에는 우리대학의 교수 확보율이 교육부 기준율을 초과 달성되는 등 교육 여건이 개선됨에 따라 정원 지율화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이 날 교육부는 전국 150개 대학 중 우리대학을 비롯하여 수도권 32개교, 지방 41개교를 정원 자율화 대학으로 선정하였다. 1998학년도에는 신입생 390명을 증원하였다다) 전자정보관 개관 및 운영1996년 5월 10일에는 중앙도서관에 국내 대학 최초로 전자정보관을 개관하였다. 1995년 5월 4일 전자정보시스템(전자정보관) 구축을 위한 연구발표회를 개최하였고, 이후, 증축된 학생회관 5층에 전지정보관(전자정보시스템) 설립의 구체적인 계획이 수립되었다. 전자정보관은 총면적 274평 학생회관 5층 공긴-에 방학 중에 공사를 시작, 11월에 완료하였다.
라) 국내외 대학과 학술 교류 협정 및 학점 교류 인정1997학년도 2학기부터 재학생들은 대학 간의 교환과목을 힘정 대학에서 이수하여 학점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국외 6개 대학과 학술교류 협정을 맺었다. 1997년 7월 21일 올림피아호텔에서 열린 ‘대학 간 상호 교류에 관한 협정서 조인식’에서 우리 대학을 비롯한 굉운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삼육대학교, 상명대학교, 서경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세종대학교 등 9개 대학 관계지들은 학점교류혐정을 조인하였다미.) 연구제도 개선 및 교수 연구 활동1996년 2월에 열린 1995학년도 학사협의회에서는 21 세기를 향한 우리대학의 발전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구성된 여러 연구위원회별로 ‘대학발전과제 연구결과 보고’ 진행하였고, 1997년 2월 14일부터 16일까지 2박 3일의 일정으로 전라남도 광주 신양파크호텔에서 열린 1996학년도 학사협의회에서 1996학년도 대학발전과제 연구 결과 보고가 있었으며, 대학발전과제와 연구책임자를 응모제로 채택하였다.
이와 함께 우리대학은 다양한 교육개혁을 추진해 왔는데, 그 진행 실적올 종합하여 「한성대 소식」 1996년 51 호에 게재함으로서 성과를 되짚고 발전의 삼았다. 추진 방향은 ‘교육개혁 조기 추진 및 정착’으로 ‘교육 중심 대학으로 교육의 질 개선’을 도모하고, ‘각종 제도의 개선으로 대학의 공공성 및 열린 체제를 구축’하는 것으로 잡았다.바) 국제통상대학원 및 예술대학원 패션학과 신설1996년 10월 18일 대학원에 ‘국제통상정보대학원’이 신설 인가되었다 신섣된 국제통상정보과는 5학기 과정에 총 정원 60 여 명이다. 이로써 우리대학에는 대학원, 경영대학원, 행정대학원, 예술대학원을 포함하여 5개의 대학원에 20개 학과가 설치되었다. 행정대학원에 신설된 부동산학과는 전공에서 독립학과로 승격되었고, 복지 행정학과는 사회복지 전문가 양성, 복지행정 전문 관료 재교육의 취지로 신설되었으며, 이수 시 사회복지사 1급을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부여되었다. 또한 1997년에는 예술대학원에 패션예술학과가 신설하였다.
사) 학생 복지 및 학생들의 대외 활동학생들의 복지를 위해 1998년 7월 30일 총장실에서 장학위원회를 개최하고 1998학년도 2학기 성적장학생과 특별장학생, 그리고 근로봉사장학 신청서를 교부하였으며, 학생회관 지하층의 인테리어 공사, 학사 E동을 완공하여 학생들의 동아리가 입주하였다.탁구부는 1995년 대통령기 전국탁구대회에서 준우승, 5월 춘계 대학탁구연맹전에서 종합우승, 1997년 제30회 장관기 전국학생탁구대회 남자팀 개인 단식 및 단체전 우승을 차지했으며, 축구부는 1991년에 우승을 한 바 있는 전국대학 축구연맹전 1997년 9월 추계 대회에서 4강에 진출하였다. 또한 교육의 질 개선의 효과는 학생들의 대외 활동이 활발해지고 그 결과가 다양한 분야의 수상으로 이어졌다.(2) 시설 및 환경
가) 신축 및 시설 개선과학관과 학생회관이 증축되 었다. 1994년 8월에 시작하여 1995년 5월 말에 준공되어 학생회관 500 여평, 과학관 500 여평이 확장되었다. 학생회관 5층에는 전자정보관이 개설되었고, 6층은 교수연구실이 들어섰다. 과학관 5층에는 컴퓨터 관련 통합 실습실, 교수연구실 등이 들어섰고, 1층에는 교직원식당, 학생식당, 매점 등이 설치되었다. 또한 옥상에는 야외무대가 설치되어 휴식공간으로 활용되었다.1997년 2월에는 학군단 건물과 후생관 건물이 준공되었다. 진리관 1층에 자리하고 있던 학군단 시설이 단독 건물로 이전하여 준공식을 가졌다. 준공식에는 이희순 여사를 비롯하여 김옥자 이사장, 서정희 명예이사장, 이용남 총장, 학군단 교장 노연웅 소장과 129학군단장 원공관 대령이 참석했다. 우촌관 중문 앞에 완공된 후생관은 총 면적 287㎡에 지하 1 층, 지상 3층 규모로 지하에는 25평의 사이버 카페가 들어섰으며, 1층에국민은행, 2층에는 구내 컴퓨터와 안경점이, 3층에는 사진관이 들어섰다.1997년 5월에는 한성여고 교정 지하에 지하 2층의 주차장이 완공되었다. 이 주차장은 1,700평의 규모로 총 150 여대의 차량이 주차할 수 있으며, 치량의 출입이 자동으로 관리된다. 이와 더불어 학사 E동의 동아리동이 완공되어 야구반, 비둑 시랑회, 해랑사리우, 피닉스, UBF, 낙산 극단, 트리률 등 7개 동아기가 1997년 3월 3일자로 입주하였다.
1998년에는 지하 2층, 지상 5층의 강의동(현 탐구관)을 신축하기로 결정하고 5월 29일에 착공식을 가졌고 1999년 2월 준공하였다. 대지 1,440평에 총 35억 원의 예산이 투여되었다.나) 교내 조정 빛 상정불 설치교내 곳곳에 환경을 개선하고 다양한 조경을 하였으며, 상정볼을 설치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짙다.① 우촌관 광장에 조형물 ‘깃발’ 설치② 낙산에 벽화의 길 조성③ 중문 확장과 소공원 조성
④ 본관에 옥외 성장물 건립⑤ 우촌관 현관에 설립자 김의형 선생 흉상 제막⑥ 낙산 공원에 소공연장 및 원형 탁자 시설⑦ 남문 근처 낙산로에 꽃나무길 조성⑧ 쓰레기 소각모 설치(3) 변회를 위한 진통과 임시이사 체제가) 총장대행 체제와 임시이사 체제1997년 재단 분규로 김옥자 이사장을 비롯하여 이사 전원이 퇴진하고 12월 23일 교육부 임시이사가 파견됐다. 이용남 총장은 12월 30일 사임했다. 학교법인 이사로 있던 서정희 이사 등 11 명의 이사진이 1997년 12월 22일 사임함에 따라 교육부로부터 파견된 임시 이사진 11 명으로 임시이사 체제가 구성되었다. 1998년 첫 소집된 이사회에서 박병호 이사를 이사장으로 선임한 후 학원의 안정과 발전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임시이사회는 교육부 감사결과를 바탕으로 이전의 재단이사회가 절차에 따라 운영되지 못했던 부분에 대한 우선적인 시정을 단행하여, 직위해제한 두 명에 대하여 원인무효화히고정기승진에 누락된 교수들에 대하여 소급적용하여 승진토록 하였다. 재단 내분은 사실상 1997년 11월부터 시작되었는데, 학생, 교수, 교직원들이 학교 주제로서 자신들의 위치를 확인히고 문제해결을 위한 능동적인 웅직임을 보임으로써 새로운 가능성을 고민하는 중요한 시간을 갖게 했다.
이용남 총장을 비롯한 관련 보직교수들도 사표를 제출함에 따라, 1998년 1월 28일자로 윤경로(사학과) 교수가 총장 직무대행 및 교무처장으로 임명되었으며 이어 2월 2일 보직개편이 단행되어, 윤경로 총장대행 체제가 가동되었다. 보직개편으로 학생처장 박명환(산업공학과) 교수, 사무처장 이상한(경제학과) 교수, 기획실장 유병호(무역학과)교수, 도서관장 이정숙(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학원장 이석주(국어국문학과) 교수가 임명되었다.나) 행정조직 개편 및 총장 추천위원회 구성임시이사체제가 되면서, 행정 조직이 전면 개편되었고 사무처가 부활하였다. 행정조직은 교무처, 학생처, 사무처가 중심이 되었고, 총무과 및 경리과는 총장직속 기구가 되었다 사무처는 1990년 학내사태 이후 법인에서 사무처의 업무를 일부분 관장하다가 1991년에 한시적으로 폐지되었으나 1998년 임시이사체제가 되면서 다시 부활되어 기획실에 있던 시설과, 관리과도 그 소속으로 하였다.
한편 1998년 2월 교원의 학문연구를 장려하고 대학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교내연구비를 신설하였다. 이 해 4월에는 행정학과 이창원 교수를 위원장으로 하는 대학발전위원회에서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를 토대로 교원 연구년제에 관한 규정을 개정하였다.1998년 1월에는 제 14대 박병호 이사장 그리고 7월에 제15대 차인석 이사장이 연이어 취임하면서 새로운 대학 분위기 쇄신을 위하여 총장 선출을 위한 총장추천위원회를 구성하여 공개 모집하기로 했다. 총장 선출을 위한 추천위원회의 결성과 관련한 오랜 논의 끝에 법인 이사회에서는 우리대학 최초로 공개채용을 통한 총장 선출방안을 제시하였고, 이에 따라 교수대표(인문대학, 사회대학, 이공대학, 예술대학) 8 인, 직원대표 2인,학생대표 2 인, 사회 저명인사 2 인, 동문회대표 1 인 등 15 인으로 구성된 총장추천위원회가 발족하였다. 총장 선출은 추천위원회에서 3 명을 추천한 뒤, 법인 이사회에서 최종 선출하기로 했다.
총장 후보자 공모에 당시 총장직무대행을 맡고 있던 윤경로 교수가 입후보함에 따라 총장직무대행을 사되하였다. 이에 따라 새로운 총장직무대행 겸 교무처장에 행정학과 황진수 교수가 임명되었다. 추천위원회는 일련의 활동 결과 외부인사‘ 1 인을 포함한 3인(이성근 전 배재대 총장, 윤경로 사학과 교수, 강병식 사학과 교수)을 총정후보로 이사회에 추천함으로 활동을 일단락 하였다.(4) 한성인의 밤 및 지역민과의 교류가) 한성가족의 밤한성가족의 화합을 위한 ‘한성가족의 밤’ 행사는 한성가족들이 학교를 잘 알고 이해할수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학교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1995년 5월 27일 오후 5 시, 학생회관과 과학관 증축을 기념하는 동시에 한성의 가족들이 한 지리에 모이는 ‘한성가족 축제의 밤’ 행사를 진행하았다. 이희순 한성학원 설립자, 서정희 명예 이사장, 김옥자 이사장 가족과 이용남 총장 가족을 비롯한 총 400 여 명이 참석하여 즐거운 시간을 가졌다.
1997년 5월 17일에도 ‘한성가족의 밤’행사가 낙산야외공원과 노천극장에서 열렸다. 500 여 명의 교수와 직원이 가족 동반으로 참여한 가운데 열린 이 행사는 특별히 대단위 한성주차장이 준공된 것을 함께 기념하여 더욱 큰 의의를 기졌다.나) 지역민을 위한 사회교육 프로그램1996년에는 지역주민을 위한 방학 특강으로, 어린이 축구교실과 컴퓨터 강좌가 개설되었다. 어린이 축구 교실은 전 국가대표 선수인 박종원 우리대학 감독이 직점 지도를 맡게 되어 한층 열기를 더했다. 이 두 강죄는 모두 무료로 제공되었다.1997년도에 운영된 프로그램은 컴퓨터 교실, PC통신 및 인터넷 교실, 재테크 교실, 생활경제 교실, 무역통신문 교실, 탁구교실, 어린이 축구교실이다. 우리대학은 매년 지역주민을 위한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다. 이 프로그램은 해가 거듭될수록 지역주민의 요구를 적극 수용하여 강좌 수를 대폭 늘여가고 있다.
3) 최우수 대학 선정 - 제3대 이성근 총장 시기 (1998.10. 14. ~ 2002. 9.30.)이성근 총장이 취임하면서 우리대학은 기존의 모집단위를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이공대학, 예술대학의 4개 단과대학, 10개 모집단위로 통폐합하고, 각 단과대학의 업무분장관할하기 위한 학장제를 신설했다. 또한 학생들의 전공 선택의 폭을 확대하기 위하여 1999년 10월 14일 본격적인 학부제를 채택하였다.우리대학은 1998년 입학정원이 1,230명에서 1,620명으로 390명이나 증원되었으며, 이후 교수 확보율을 높이기 위해 29 명의 교수를 충원하였다. 이외에도 겸임교수제도를 도입하는 등 교원 확보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있었다. 대학원 또한 다%댄 과의 증과 및 증원이 있는 등 양적·질적으로 성장을 거듭했다. 이러한 노력은 2000년 2월 2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발표한 1999년도 대학종합평가에서 우리대학이 학부기준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1) 학사와교육행정가) 이성근 총장의 취임과 보직 개편1997년 말에 발생한 학내 분규 사태로 어수선했던 대학의 분위기는 임시 이사진의 파견과 더불어 1998년 10월 이성근 박사가 제3대 총장으로 취임함으로써 수습되었다. 총장선출위원회의 규정에 따라 이사회는 10월 14일 이성근 박사를 제3 대 총장으로 최종 결정하였다. 10월 23일 학생회관 소강당에서 교직원을 비롯한 많은 내외빈이 참석한 가운데 총장 취임식이 거행되었다.신임 총장이 취임함에 따라 보직개편이 단행되었다. 교무처장에 사학과 윤석효 교수, 연구기획처장에 산업시스템공학부 홍윤기 교수, 학생처장에 경상학부 권오 교수, 사무처장에 경상학부 홍용식 교수가 각각 임명되었다. 도서관장에는 문헌정보학과 이우범 교수가 임명되었으며, 대학원장은 이성근 총장이 겸직하게 되었다.한편 2000년 11월 기존 보직교수의 임기가 만료됨에 따라 이성근 총장의 후반 임기동안 대학의 업무를 책임질 새로운 보직교수들이 임명되었디 교무처장에 영어영문학부 김용석 교수, 학생처장에 미디어디자인학부 조열 교수, 기획연구처장(기존 연구기획 처장의 명칭변경)에 경영학부 최명규 교수, 총무처장(기존 시무처장의 명칭변경)에 경영학부 김길평 교수, 도서관장에 영야영문학부 고정자 교수가 임명되었다. 이성근 총장이 겸직해왔던 대학원장에는 경영학부 연정열 교수가 임명되었으나 연정열 교수는 2002년 2월 정년되임하였고, 공석으로 남아 있던 대학원장직은 2002년 8월 이성근 총장이 재겸직하게 되었다. 한편 김용석 교무처장은 총장 출마하기 위히여 2002년 8월 2일 사퇴히였고, 그 후임으로 교직과 김경배 교수가 임맹되었다.
나) 학장제 신설 및 모집단위 통폐합 학부제 실시우리대학은 1993년 3 윌 종합대학교로 승격하면서 4개 단과대학으로 개편되었으나 실질적으로는 대학 단위로 운영되지 않았다. 그러나 제3 대 이성근 총장이 취임하고 모집 단위가 4개 단과대학으로 통폐합되면서 1998년 11월 26일 각 4개 단과대학의 업무를 분장관할하기 위한 학장제가 신설되고 이 날 4 명의 학장들이 임명 되었다. 인문대학장에는 영어영문학파 김용석 교수, 사회과학대학장에는 경싱학부 김평광 교수‘ 이공대학장에는 정보전산학부 차운옥 교수, 예술대학장에는 무용학과 김숙자 교수가 각각 임명되었다.
한편 1998년 10월 우리대학은 기존의 모집단위를 인문대학, 시회과학대학, 이공대학, 예술대학의 14개 단과대학, 10개 모집단위로 통폐합하였다. 인문대학에는 어문계열주 ·야)에 국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인문계열(주· 야)에 사학과, 문헌정보학과가 편성되었고, 시회과학대학에는 경상학부(주· 야)에 경영학 전공, 무역학 전공, 경제학 전공, 사회계열(주·야)에 행정학과, 부동산학과가 편성되었다. 한편 이공대희은 정보전산학부(주. 야)에 컴퓨터공학 전공, 멀티미디어정보처리 전공)전산통계학 명칭변경), 정보통신공학 전공(정보공학 명칭변경), 정보시스템공학 전공(신설), 산업시스템공학부(주 ·야)에 산업공학 전공, 기계시스템공학 전공(산업안전공학 명칭변경)으로 재편되었다. 마지믹으로 예술대학은 의생활학부(주·야)에 의상디자인 전공(의상학과 [갱칭변경), 의류패션산업 전공(의류직물학과 명칭변경), 예능계열에 무용학과(주), 회화과(주), 산업디자인학과(주·야)으로 새로이 구성되었다. 총 입학정원 1,620명으로 전년과 동일하나야간 정원 940명 가운데 280명을 주간으로 대체하여 주간 960명, 야간 660명으로 바뀌었다.
1999년 10월 우리대학은 국가 교육정책에 부응하고 학생들의 전공 선택의 폭을 확대하기 위하여 본격적인 학부제를 채택하였다. 기존 학과 중심의 체제를 한국어문학부, 영어영문학부, 역사문화학부,지식정보학부,사회과학부, 경영학부, 미디어디자인학부로 개편하였다. 이로써 무용학과와 회화과만이 학과체제로 존속하고 나머지 학과는 모두 학부로 통폐합되었다. 이에 따라 대학편제는 4개 단과대학, 10개 학부 28개 전공, 2개 학과로 구성되어 명실상부한 학부제의 변모를 갖추게 되었다.2001년 6월에는 모집단위 변경으로 기존 사회과학부를 경상학부(무역학 전공, 부동산학 전공)와 정경학부(지식경제학 전공, 행정학 전공)로, 정보전산학부를 컴퓨터공학부(멀티미디어정보처리 전공, 컴퓨터시스템 전공)와 정보공학부(정보시스템공학 전공, 정보통신공학 전공)로 분리하였다. 1973년 3월 150명 정원의 한성여자대학으로 출범한 우리대학의 편제는 이제 4개 단과대학, 12개 학부 28개 전공, 2개 학과, 입학정원 1,620명이 되었다.다) 우수교원 확보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후 학교의 규모가 커지게 된 90년대에 우리대학은 거의 매년 우수 교수들을 대대적으로 임용하여 왔다. 1998년 입학정원이 1, 230명에서 1,620명으로 390명이나 파격적으로 증원되면서 교수 충원은 대학의 가장 중요한 현안으로 대두하였고, 이에 따라 이성근 총장 재임기간 동안 외국인 교수를 제외하고 29명의 신임교수가 임용되어 한성의 새 식구가 되었다.연도별로 보면, 1999년 9월 1일 정보전산학부 이항찬 교수를 포함하여 3명, 2000년 3월 2일 부동산학과 안정근 교수를 포함하여 8명, 2001년 3월 1일 경상학부 노재확 교수를 포함하여 7명 그리고 2002년 3월 1일 경영학부 오경주 교수를 포함하여 11 명이 각각 신규 임용되었다. 단과대학으로 구분하면, 이공대학에 14명, 사회과학대학에 9 명, 예술대학 미디어디자인학부에 4명, 교양학부에 2 명이다.또한 1999년 교수확보율을 증진하기 위해 겸임교수제도를 채택하였고 2002년 8월에 59명의 겸임교수를 확보하였다. 겸임교수들은 이론적 지식뿐만 아니라 전공 관련 기관에근무하면서 풍부한 경힘과 실무능력을 겸비하여 다양한 형태의 고급 교육 제공에 큰 역할을 수행하였다. 1998년 당시 전제 전임교원 수는 외국인 교수를 포함하여 152명에서 2002년 8월어1 169명으로 늘어났다.
라) 최우수 대학으로 거듭난 한성대학2000년 2윌 2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발표한 1999년도 대학종힘평가에서 우리대학은 학부기준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교육, 연구, 사회봉시 교수, 시설·설비, 재정·정영 등 6개 영역에서 실시된평가에서 우리대학은 학생 수 1 만 명 미만의 18개 일반대와 10개 산업대 등 총 28개 대학 가운데 교수 영역을 제외한 5개 영역에서 우수 핀정을 받아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우수 대학의 인정기준은평가영역별 총점의 90% 이상으로, 우리대학은 교육영역에서 120점 만점에 1171점(100점 환산 점수로 97.58점), 연구 영역에서 %점 만점에 60.37(100점 만점에 92.81)점), 사회봉사 영역에서 35점 만점에 35점(100점 만점에 100 점), 시설설비 영역에서 100 점 만점에 95.01점, 재정경영 영역에서 100점 만점에 91.2점융 받았고, 교수영역에서는 80점 만점에 71점(100점 만점에 88.75점)을 받았다. 종합하면 우리대학은 총 500 점 만점에 469.68점(100점 만점에 93.94점)을 기록해 18개 일반 대학교 가운데 상위 3개 대학교 안에 포함된 것이다.
마) 국내외 대학과의 교류 활동2000 1관 3월 9일 일본 상반대학교 국제학부 2학년 학생 20명이 문화탐방과 학생교류를 통해 영국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는 취지로 우리대학을 방문했다. 이블은 우리대학 학생들과 함께 ‘한일 협력에 관하여’라는 주제 하에 동북아시아의평회와 경제발전에 관한 세미나를 열었다.2000년 11월 7일 총장실에서는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 소재한 코핀CCoppin) 주립 대학과의 자매결연이 체결되어, 양 교는 교환학생, 교환혁점, 교환교수제 등에 합의를 이루었다 2001년 2월 27일에는 일본 하기국제대학과의 자매결연이 이루어졌다. 우리 대학에샤는 이성근 총장과 보직교수들이, 하기국제대학 측에서는 타시로 타까히데 학장, 무라까미 하야오 도서관장, 권순진 국제학과장이 배석한 이 자리에서 양 대학은 학생및 교직원 교류, 공동연구, 학술·정보물의 교환 등의 학술교류협정에 동의하였다.
한편 1999년 10월 17일 소강당에서는 헬무트 슈미트(Dr. Helmut Schmidt) 전 독일 수상의 명예 경영학 박사학위 수여식이 열렸다. 슈미트 박사는 학위수여식 이후 ‘21 세기 세계인의 윤리와 의무’라는 주제로 기념특강을 하였다. 독일연방공화국 건국 50주년 기념 한국행사에 참여하기 위해 내한한 슈미트 박사는 이성근 총장의 초청을 흔쾌히 수락하였고, 명예박사 학위수여는 EC 통합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그의 공로를 인정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다.2001년 5월 8일에는 전 네덜란드 수상 Andreas Van Agt의 명예 행정학 박사 수여식이 거행되었다. 네덜란드 법무부 장관, 부수상, 국가의회 의원, 수상 등 화려한 정치경력과 주일본 및 주미 EC 대사, 도표 UN 대학 국제통치학부 교수 등을 역임하면서 국제협력에 큰 역할을 수행한 공로를 인정하기 위한 학위수여식에서 그는 ‘The Successes and Failures of Europe's Efforts at Integration, in Particular the European Union's External Relations’라는 주제의 특별강연을 하였다.바) 대학원 증과 및 증원
이성근 총장 재임 기간 동안 현저한 변회를 맞게 된 분야 가운데 하나는 대학원의 증과·증원이었다. 1999년 11월 2일 교육부의 인가를 통해 대학원 석사과정 15명, 박사과정 5 명이 증원되었고, 국제통상정보대학원에서 명칭을 변경한 국제대학원에 15명, 예술대학원에 20명이 각각 증원되었다. 또한 각각 30명과 20명을 입학정원으로 하는 컴퓨터신기술대학원과 안전보건경 영대학원이 신설되었다. 2000년 7월에는 부동산대학원(20명 정원)이 신설되었고, 국제대학원에 국제마약범죄학과가, 경영대학원에 e-business학과가 새로이 증과되었다.이와 더불어 이 해 10월에는 교육대학원(40명 입학정원)이 신설됨에 따라 대학원은 일반대학원과 8개 특수대학원 등 총 9개 대학원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2001년 10월에는 경영대학원에 서비스 경영학과, 행정대학원에 지방정부경영학과와 경찰행정학과가 신설되었고, 교육대학원의 입학정원은 기존 40명에서 34명으로 감축되었다. 대학원 체제의 두드러진 변화 가운데 하나는 교육대학원을 제외한 7개 특수대학원이 2001년 3월 기존 5학기제에서 4학기제로 학기를 단축하였다는 것이다. 1987년 11월 9일 경영행정대학원의 설립인기률 받아 출발한 우리대학의 대학원은 이제 규모와 위상에 있야 현저한 발전을 이루어 고급인력의 양성에 큰 기여를 히고 있다.
(2) 시설 및 환경가) 공간 확충 계획1999년 3월 6일 준공된 강의옹은 그 동안 부족했던 교육 공간 문제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었디 강의동이 준공되기 이전인 1998년 말부터 기존 건란의 인전문제를 해결하그l 대핵평기률 대비하기 위한 논의를 통해 교수회관, 중앙도서관, 학생회관 별관을 신축히고 대학로에 건물을 구입하는 결정이 이루어졌다.1998년 l2 웰 29일 자인석 이사장과 총장 및 처·관장이 배석한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은 중앙도서관 안전문제에 관한 논의 끝에 도서관 신축이라는 원척에 인식을 같이하게 되었고, 이사장은 이를 이사회에 안건으로 상정하였으며, 1999년 1월 4일 이사회는 사전조치료서 한성학원 공문(학법 99-1 호)을 통하여 대학 내 모든 건물에 대하여 안전진단을 실시히도확 하였다. 이 해 2월 1일 이사회는 도서관 건축규모를 2,600평으로 의결하였고 2월 9일 중앙도서관 건축을 위하여 이사회에서 3명, 대학에서 3명의 위원을 천거하여 건축위원회룹 구성하였다.
이사회의 지시에 따라 2월부터 한 달 동안 전문용역회사가 대학의 각 건물를에 대한 안전전단을 실시한 결과, 학생회관에 위치한 도서관은 앞으로 추가적인 하중부과는 무리라는 진단이 니왔다. 또한 우촌관 지히 과학관, 진리관의 안전문제가 드러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대학 당국은 교내 건물에 대한 종합적 계획을 마련하게 되었다 첫째, 붕괴가 우려되는 우촌관 지하를 철거하고 그 자리에 중앙도서관 건물을 신축한다. 둘째, 지선관 잎에 교수연구실과 무용실기실 그리고 전시실 용도의 교수회관윤 건훈l 한다. 셋째, 도심헝 특성화 대학이라는 취지로 시내 중심지에 적당한 건물을 매입하여 대학의 일부 기능올 이전한다. 넷째, 학생들의 활동공간을 증대한다는 차원에서 혁-생회관 뒤편에 노천무대콸 건립한다. 다섯째, 과학관과 진리관은 보강공사를 실시히야 안잔도를 제고한다. 이사회는 이 해 5월 31일 이 계획을 최종 승인하였으며 i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의견수렴에서도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교수의 경우 135 명 가운데 97명(72.2%), 직원의 경우 69명 가운데 51 명 (73.9%) 가 대학당국이 제시한 계획안에 찬성하였다.또한 2000년 7월 25일 이사회는 기존의 건축계획에 학생들을 위한 학생회관 별관 건축을 추가하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비록 신축건물의 구체적 용도를 둘러싸고 대학당국, 교수협의회, 그리고 일부 학과의 갈등이 이후로도 상당 기간 지속되고 또한 학생들이 형사 기소되는 불행한 사태까지 발생하였지만, 교육 공간 확대라는 목표는 전 구성원의 공감대를 형성하였고, 오랜 기간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친 우리대학은 공간 확보에 있어서 현저한 진보의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
나) 외부 건물 매입우리대학은 대학로에 위치한(종로구 명륜동 271- 41-4) 동원빌딩을 80억 원에 매입하였다. 이는 낙산 캠퍼스의 협소한 부지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또한 대학의 다양화· 특성화에 걸맞는 도심형 캠퍼스를 조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지하철 4호선 혜화역에서 50m 거리에 위치한 동원빌딩은 지상 8층, 지하 2층의 칠근 콘크리트 건물로서 대지 427평, 건축면적 193평으로 차량 50대를 수용할 수 있는 주차장을 보유하고 있다. ‘한성대학교 대학로캠퍼스’라 명명한 이 건물의 일부 공간은 도심형 예술대학을 구현하기 위한 일환으로 미디어디자인학부가 사용하고 있으며, 예술대학 공연장 및 대형강의실을 비롯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다) 교수회관, 도서관, 학생회관 별관 착공2001년 9월 22일 오전 10시에 교수회관, 도서관, 학생회관 별관(동아리동) 신축을 위한 기공식이 거행되었다. 2000년 7월 현상설계 공모방식으로 설계업체를 선정·심사하여 7월 28일 주식회사 공간종합건축사무소가 설계업체로 최종 선정되었다. 이후 건축소위원회의 보고를 거쳐 이사회의 승인을 받았으며, 대학 당국은 8월 9일에 공간종합건축사무소 측과 교수회관, 도서관에 대한 설계 용역계약을 체결하였다. 시공업체는 주식회사 삼성건설이 낙찰되었다.교수회관은 지하 1 층, 지상 7층 철근콘크리트 구조로서 대부분 교수들의 연구실을 수용하게 되었다. 도서관은 지하 2층, 지상 6층의 건물로 지하에는 무용실기실, 대형강의실, 박물관 등이 들어서고, 1 층은 연속간행물실, 2층은 정보자료과, 도서관장실, 갤러리 (Gallery), 3층은 인문과학 열람실, 4층은 사회과학 열람실, 5층은 자연과학 열람실, 6층은 예술 열람실, 음향:자료실, 시청각실 등으로 사용되고, 3층부터 ’층의 일부는 일반열람실로 사용되게 된다. 학생회관 별관은 지상 5층으로 각 층마다 5-9평 규모의 동아리실과 소규보 공연장이 들어갈 예정이다.
라) 벤처창업지원센터 개관 및 중앙도서관 협약 체결우리대학은 산업제와의 자l 휴를 통한 지역사회 봉사의 일환으로 성북구의 벤처창업을 지원하기로 하고, 2000년 9월 31일에 ‘성북벤처창업지원센터 및 중소기업제퓨 전시장’을 개관하았다. 개관식에는 이성근 총장, 진영호 성북구청정을 비롯한 150명의 인사들이 참여하였다 우리대학이 위탁 관리하게 되는 벤처창업지원센터는 성북구 장위동 65-154 에 위치히고 있는 지하 1 층, 지상 4층, 총 연띤적 1,376 ㎡(416평) 규모로 총 19개 업체, 중소기업제품 전시판매장, 부녀교실 등이 입주하였다.벤처창업지원센터는 2001년 중소기업청에서 지원하는 창업보육기관에 선정되었다. 서울지역에서 신청한 6개 기관들 가운데 최우수 성적으로 칭엽보육센터로 지정 및 지원을받게 젓이디 중소기업청으로부터 시설자금으로 총 8,000만 원을 지원 받았고,이와 별도로 서울시로부터 5,000 여만 원에 해당하는 시설지금 등 총 1억 3 천여만 원의 시설비 지원을 받았다. 또한 센터는 성북구의 이미지 제고와 지역발전에도 적지 않은 역할을 하였다. 2001년 7월 27일에 시작된 창업강좌에는 무선인터넷 분야의 기업및 인력 육성과 지원을 위한 과정에 80명이 참가하여 교육을 받았고 712만 원의 강좌지원이 이루어졌다.
한편 2000 1간 11 13일에는 우리대학이 국회도서관과 정보공유 협약을 체결함합으로 써 교수와 학생들에게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 협약에 따라 우리대학의 구성원은 국회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 학술지, 정부간행룹에 대한 디지털 원문검색과 출력을 할 수 있게 되었고 나아가 국회도서관과 협약을 체 결한 다른 도서관과의 정보 공유도 가능해 졌다.우리 도서관은 1996년 5월 10일 국내대학으로는 최초로 미래헝 전자도서관인 전자정보관을 개관했고, 그 후 많은 대학 및 공공 전문도서관의 관계자들이 땅문하야 시설운영 및 서비스 현황 등을 견학할 정도로 첨단 도서관의 모델로 인정받아 왔다. 전자정보관은 전자정보검색실, 교육매체제작실, 종합영상음향실, V.O.D. 실, 위성통신 수신실 등으로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적극적 변신을 모색해 온 도서관은 2001년 3월 30일 제33 회 한국도서관상을 수상(한국사립대학교 도서관협회의 추천)하는 영예를 안았다.
마) 제 증명 인터넷 서비스 및 학군단 승격학생들의 모든 민원사항을 한 곳에서 해결하는 One-Stop Seryice를 실시해 온 학생종합서비스센터는 2001년 8월 24일 (주)아이디씨텍과 공동으로 인터넷 제증명 발급 및 전송 시스템 개통식을 갖고 온라인 서비스를 개시했다. 새로이 시작된 이 서비스를 통하여 각종 증명서를 필요로 하는 졸업생과 재학생은 인터넷으로 신청하여 개인 프린터통하여 증명서를 발급 받을 뿐만 아니라 e-mail을 통하여 원하는 곳으로 보낼 수도 있게 되었다. 또한 지하철역의 유인 PAST, 공공장소에 설치된 KIOSK(무인종합정보안내시스템) 등을 통해서도 모든 증명서를 발급 받을 수 있게 되었다.한편 2000년 12월 27일 학군단이 독립적인 위상을 갖춘 129-1 학군단으로 승격되어, 129-1 초대 학군단장으로 김득중 중령이 취임하였다. 각급 부대에서 근무했고 고려대학학군단 교수부장을 역임한 신임 김득중 학군단장은 정통 학군단 출신으로 “눈빛이 살아 있고 기가 넘치며 강인한 체력을 겸비한 조국과 군이 필요로 하는 정예 초급 장교육성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새로 거듭난 학군단 초대단장으로서의 취임 포부를 밝혔다. 학교의 규모가 작아 그 동안 인근의 국민대가 관장하는 학군단으로 존속해 왔던 학군단은 이제 모든 업무와 행정을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위치에 서게 되었다.
(3) 이사회 구성 변동1997년 말에 발생한 학내 분규 사태로 학교법인 한성학원의 서정희 이사를 비롯한 11 명의 이사진이 1997년 12월 22일 사임하면서 교육부에서 파견된 임시이사체제로 들어갔다. 이성근 총장이 부임하기 전 제 14대 박병호 이사장(1998년 1월 15일 취임), 제15 대 차인석 이사장(1 998년 7월 6일 취임) 체제로 존속해 옹 임시이사회는 1999년 8월 개정 공포된 사립 학교법에 명시된 임시이사의 임기는 2년에 1 회에 한하여 연임할 수 있고 기존 임시이사의 임기는 12월 31일자로 한다는 규정에 따라, 1999년 12월 31일자로 차인석 이사장 등 6 명의 이사가 교체되었고, 김민하 이사 등이 새로 파견되었다.2000년 1월 22일 이사회는 제 16대 이사장으로 김채윤 이사를 선임하였으며, 2001년 8월 김채윤 이사장이 사임함에 따라 전 상지학원 이사장 이상희 이사를 새로 영입하여 8월 22일 제 17대 이사장으로 선임하였다. 한편 2001년 12월 31일자로 임기가 만료된 이영수 이사를 비롯한 6 명이 퇴임하고 손봉호 이사 등 6 명이 새로운 임시이사로 파견되었다.
4.3.4 변혁기 (2002~2015)1) 특성화모색기 - 제4대 한완상 총장 시기 (2002 ,10, - 2004,10.)한완상 총장은 제4 대 총장으로 취임하면서 ‘학생들의 창의성과 상싱력이 존중받는 대학’이리는 비전을 제시하였다. 그는 학력 위주의 획일적인 교육 대신 특성화 교육을 통해 우수인재를 배출한다는 ‘작지만 알찬 대학’을 목표로 세우고, 다양한 창의력, 상상력 학생교육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뿐만 아니라 English zone과 외국유학생 도우미 ‘한성엠바서더’ 프로그램, 해외어학연수단 파견, 학술교류 확대 등읍 통해 국제적인 경쟁력을 깅회히댔고 미래정보회를 위한 학술정보관 신축, 행정서비스의 개선을 추진하았디 그 결과, 외식창업동아리 1 호점을 오픈하였고, 미래관은 깐축분화대상 본상을 수상히았으며, 행정서비스에서는 ISO 9001 인증을 획득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2004년도 대학종힘평가에서 “교육, 사회봉사 영역 최우수 대학" “교수 영역” 우수대학(기계공학과)으로 선정되는 결과를 만들어냈다. 또한 국내 최초의 중소기업 특화 대학원으로 디지털중소기업대학원을 설립하여 다수의 산학연(산업체, 대학, 연구기관) 공동기술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함으로써 실용연구에 앞장서는 젊은 학교로서의 대내외적인 인정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한완상 총장의 갑작스런 퇴임과 함께 다수의 사업들이 계획대로 시행 완료되지 못하거니 후속 연관 사업으로 이어지지 못한 채 마무리된 것은 크게 아쉬운 부분이라 할 수 있다.(1) 학사와교육 행정
가) 한완상 총장 취임2002년 10월 14일 한완상 박사가 제4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한성학원 이사회(이사장 이상희)는 이사회에 추천된 4명의 후보 중 한완상 전 부총리를 차기 총장으로 선임하였다. 한완상 총장은 10월 15일 취임식에서 ‘총점이 아닌, 창의성이 존중받는 대학으로서의 전환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우리 학교의 잠재적 역량을 극대화하고 우수한 산업 인력 육성을 위한 특성화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특성화 계획은 한국학연구의 활성화, 도심형 예술대학의 육성, 경영 및 정보화 지식에 기반한 전문 인력의 양성이라는 3가지 목표를 중심으로, “작지만 알찬 대학”으로서의 방헝:을 제시하였다. 우선, 창조적이며 상상력 있는 학생을 선발하여 인문학적 통찰력과 예술적 상상력을 자극하고 산업디자인과 미디어디자인분야를 집중 육성하여 도심형 예술대학으로 자리매김을 강조하였다.2003년 8월에는 이상희 이사장이 MBC 이사장으로 자리를 옮겨가자 제 18 대 이사장에 손봉호 박사가 취임하였다. 손봉호 이사장은 우리대학 학생들의 자기개발과 교수들의 연구와 교육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학교의 교육환경을 높이기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하였다.
나) 창의력, 상상력 학생교육을 위한 기반 마련2002년 9월 교육인적자원부에 제출한 ‘2003학년도 정원조정안’ 중 미디어디자인학부 인원 증원계획이 채택됨에 따라, 2002년 10월 25일 열린 교무위원회에서 2003년부터 신입생을 20명 증원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와 함께 교무위원회는 “현 시대적 흐름에 맞게 전공명칭을 새롭게 바꿔 달라”는 학과의 요청에 의해 미디어디자인학부와 정보공학부의 전공명칭의 변경을 결정하였다. 그 당시 미디어디자인학부는 산업디자인학과에서 출발하여 사회에서 요구하는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적극적 수용이라는 컨셉으로 미디어 디자인학부로 확대 운영되고 있었다. 그러나 보다 최신의 지식과 정보를 기반으로 한21 세기 문화대국 안에서의 역량 있는 전문 디자이너를 배출할 수 있는 디자인교육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미디어디자인컨벤츠학부로 명칭을 변경하게 되었다. 미디어디자인컨텐츠학부는 기존 입학정원이 주간 80명, 야간 40명인데 2002년, 2003년에 각각주간 정원을 20명씩 증원하게 되어 2003년에는 주간 120명이 됨에 따라 야간 정원 40명은 폐지되었다.
학부명칭의 변경에 따라서, 미디어디자인컨텐츠 학부내 시걱커뮤니케이션디자인 전공은 비쥬얼컨텐츠 디자인 전공으로 인테리어디자인 전공은 스페이스컨텐츠디자인 전공으로, 팬시프로덕트디자인 전공은 프로덕트컨텐츠디자인 전공으로 바뀌었다. 교육과정 또한 캐릭터, 애니메이션, 게임, 출판, 이벤트 및 데마파크 디자인, 온라인 오락, 모바일, 웹 디지인 등을 포함하여 대폭 개편되었다. 정보공학부 정보시스템공학 전공은 소프트웨어시스템 전공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한편 전문화된 사회에서 학생들의 적성을 십분 발휘할 수 있는 창조적인 끼와 무한한 성장력을 기진 학생을 선발, 육성히고자 하는 우리대학의 노력은 입시제도에도 반영되었다. 2004학년도 신입생 모집에서 예술대학은 국내 최초 설기 100% 반영이라는 새로운 입시 제도를 도입하였다. 이는 예술 계열 신입생 선발기준에 수능점수는 빈영되지 않고 동점자 처리 시에만 적용하는 매우 획기적인 시도였다.2004학년도 정시 신입생 모집 원서접수는 2003년 12월 10일부터 15일까지 5일 동안인터넷 100% 접수로 우리대학 방문 없이 어느 곳에서나 간편히케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우리대학은 「가」군과 「다」군으로 모집하며 I다」군에서는 애술계열 미디어디자인컨텐츠학부만 모집하며 「가」군에서는 나머지 일반전형 및 특별전형을 모집하였다. 모집유형은 일반학생, 취업자, 농어촌학생, 실업계고교 출신자 전형이 있으마 인문/자연계열은 수능 60% 학생부 40%를 반영하며, 교차지원도 가능하였다.
2005학년도 우리대학은 기존의 시회과학대 정경/경상학부, 공과대학 점퓨티공학/ 정보공학/산업및기계시스템공학부를 분리하여 학과로 전환하는 학제편제가 있었다. 그동안 운영되어왔던 학부제는 그 의미가 퇴색되어 명목상의 학부제로만 남아 있는 상황에서 소속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학부 분리안을 추진하게 된 것이다. 띠라서 정경학부는 행정학과, 경제학과로, 경상학부는 무역학과, 부동산학과로, 컴퓨터공학부는 멀티미디어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정보공학부는 정보통신학과, 정보시스렘공학과, 산업및기계시스댐공학부는 산업시스템공학과, 기계시스템공학과로 분리되었디 학생들의 전공선택에 있어서 선택권은 기존의 전과제도, 복수전공, 부전공 등을 활성회함으로써 보장토록 하였다.다) 대학 경쟁력 강화
2004년도에는 영어경쟁력의 획기적인 향상을 위해 캠퍼스 내 장시간 영어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English Zone을 운영하였다. English Zone은 학생들이 24시간 영어환경에노출되어 영어만을 사용하며, 외국인 강사가 학생들이 영어로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영미 문화권의 생활을 익히고 영어실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도하자는 취지로 시작되었다.2004년 11월 4일부터 12월 2일까지 매주 수요일 ‘Hansung English Fall Festival’을 개최하여 각종 게임을 통해 영어 실력을 향상하도록 하고, 교양학점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등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부단한 노력을 기울였다.한편 우리대학은 2003년 12월 공군본부와 학군교류 협정식을 갖고 교류합의서를 작성하였다. 공군본부와의 학군교류 협정은 군위탁생의 우리대학 특수대학원 입학을 적극 유치하고 대외교류를 보다 활성화하는데 취지가 있었다. 이 해 4월과 12월에는 각각 건국대학교와 국방대학교와 학술교류를 통해, 교직원 상호교류, 학생교류 및 상호 학점 인정, 공동연구 및 학술회의 개최, 학술정보 및 출판물의 교환, 행정정보의 교환, 교육 연구용 기자재 및 시설의 공동 사용 등의 협정을 체결하였다.국내 대학 뿐 아니라, 우리대학은 2003년 12월 중국 북화대학교와 장춘 세무대학교와 서로 신뢰, 이익을 기초로 하는 교육 교류 협력 강회를 위한 학술 교류 협약을 체결하고 국제적 경쟁력 강회를 위한 기반을 다지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우리대학의 학술정보관은 이 해 4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학술정보 공동활용 협정을 체결하고, 양 기관간이 소장하고 있는 과학기술정보 데이터베이스 상호 이용을 통해 정보 이용의 효율을 꾀하고, 정보 교류와 정보자료의 교환 및 상호협력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였다.
라) 행정체계의 개선한완상 총장이 취임하고 나서 행정효율화를 위한 행정서비스 체 계가 본격적으로 정비되기 시작하였다. 2002년 12월에 우촌관 3층에 원스톱시스템 공사가 완료됨으로써 본격적인 행정 업무의 일원화가 실시되었다. 수업지원과, 교무과, 학생지원과, 입학과, 총무과가 우촌관 3층 종합행정실로 통합됨에 따라 행정의 간소화로 업무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되었다.2003년 1월부터 6월끼지 5개월간 실시한 행정부문에 대한 ISO 9001 인증 절차 및 직무분석을 통한 행정서비스의 강화, 대학 환경 변화에 띠-른 행정체계의 개선으로 팀제 도입, 나아가 행정지원 극대호}를 통한 고객만족도 지수의 헝:상을 가져오도록 하기 위한 행정서비스헌정- 선포 등이 연달아 이루어졌다. 2003년 7월 1일에는 ISO 9001 인증을 획득하였디 ISO 인증이란 국제표준화기구(ISO) 에서 제정한 품질경영시스템에 관한 국제규격에 의거히여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이나 기업의 품질경영 빛 품질보증 능력을평기하여 인정해 주는 제도이다.
한편 우리대학은 한국생산성 센터에 의뢰한 직무분석 결과에 따라 조직설계차원에서 팀제를 도입하야 기존의 과 처1 제를 팀 체제로 전환하는 행정체계 개편을 추진하였다. 2003년 8월 12일 이사회는 대학 행정조직을 팀제로 전환하-는 정관 개정융 의결하였다. 팀제는 직급과 직책을 달리하여 직급은 현행과 같으나 직책은 팀장과 팀원 2 딘겨l 구조로 하여 결재단체를 줄여서 신속히고 유연한 의시결정이 이루어지고 떤회에 대한 적응을 빠르게 한다. 팀원의 업무가 상하에서 수평관계로 분화되어 팀원간의 공동책임과 경쟁을 유도하고 7-h율적 업무수행을 도모함으로써 직무 만족도를 제고히고 고객에 대한 서비스 품절 향상을 기할 수 있게 되었다. 2004년 1월 19일 이루어진 텀지l 개편에 따르면 기존의 17개의 과 체제는 16개의 팀으로 변경되었다. 시설과와 관리과가 시설지원팀으로 통폐합되고 연구지원과를 폐지하고 그 업무를 교수지원팀과 신설된 산학협력단으로 이관하는 등의 대대적인 개편이 이루어졌다.
마) 한성대 기만 확장우리대학은 2002년부터 ‘산학연(산업체, 대학, 연구기관) 공동기술 얀구 프로젝트’에 참야해 여러 산업제들과 함께 12개의 기술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히게 되었다- 우리대학은 산핵관련실적과 사업추진의지 등에서 심사기준을 통과하여 산학연 19개 학교 중하나로 선정된 것이다. 산학연 프로젝트를 담당하기 위해 산학연 컨소시엄센더가 설립되었으며, 2002년 4억 원의 지원금으로 총 127M 업체와 공동 연구과제를 이팔았던 것을 시작으로, 2003년에는 프로젝트 당 3 천만 원씩 총 3억 원의 자금으로 10개 업체와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쾌거를 이루었다.2003년에 우리대학은 중소기업청에서 주최하고 중소기업 정보화 경영원에서 주관한‘중소기업 정보화 리더스 아카데미’의 교육 기관으로 산학연 참여 19개 대학교 중 고려대학교와 함께 선정되었다. 정보화 교육기관으로의 선정은 우리대학이 산학연 프로젝적극 운영하여 실용연구에 앞장서는 젊은 학교로 이미지 제고에 이바지하였다.
2004년 3월에는 산학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산학협력단이 설립되었다. 산학협력단이 설립된 이후, 이 해 3월 청년채용패키지사업(중소기업청)에 선정되고 연속으로 6월 중소기업청 산학연 공동기술 개발 컨소시엄사업(중소기업청)에 선정되는 성과이루었다.우리대학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취업정보를 제공하고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2002년 11월 다산 E&E와 산학교류협정을 체결하였다. 산학교류협정은 우리대학과 다산 E&E가 상호 협력하여, 국가 인적 자원관리의 한 영역인 대학생들의 올바른 사회진출을 연구, 실천함으로써 상호 발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산 E&E는 우리대학의 취업업무와 관련하여 2001년 12월부터 취업 및 창업 학교운영과 개개인에 대한 상담, 취업정보망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였다.한편 학생들의 국제적 역량을 강화시키고 경험을 넓히기 위한 취지로 시작된 해외어학 연수단 파견은 한완상 총장 재임기간 동안 보다 활성화되었다. 2004년 1월에 2003학년도 동계 학생 해외어학 연수단이 파견되었으며, 그해 6월에는 2004학년도 하계 학생 해외 어학연수단으로 그 참여인원이 대폭 확대되어 미국, 뉴질랜드, 중국으로 파견되었다. 이와 함께 우리대학으로 오는 해외 유학생들을 위한 ‘한성엠버서더’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2004년에 처음 도입한 사업으로 외국인 및 재외국민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기 위하여 우리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및 재외국민을 관리하고 더 나아가 많은 학생들이 입학할 수 있도록 홍보하기 위하여 중국 유학생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한성엠버서더는 우리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유학생을 적극적으로 관리하여 이탈방지하고 학업을 보조하여 외국 유학생들의 우리대학 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활성화를 목적으로 그 사업이 확대되었다.
2004년 1월 16 일에는 우리대학의 명예박사 학위 수여가 있었다. 미래관 Digital Learning Center에서 내, 외빈 300 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명예박사 학위수여식이 거행되었다. 남북 경협사업의 물꼬를 튼 공로로 김운규 현대아산 시장에게 명예경영학박사학위를 수여하였고, 저명한 타악기 연주자이자 세서각 조각가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인간문화재 김대환씨가 종합 예술인으로써 명예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이와 같이 우리대학은 학사와 교육 행정을 비롯한 전 분야에 걸쳐 지속적인 노력과 투자를 이까지 않았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우리대학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2004년 12월에 발표한 2004년도 대학종합평가 및 학문분야평기에서 ‘교육, 사회봉사 영역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또한평가대상 학문분야에서 기계시스렘공학과가 우수대학으로, 대학원 기계시스템공학과가 ‘교수 영역’ 우수대학으로 선정되는 성과를 이루었다.바) 디지털중소기업대학원 설립2003년 우리대학은 국내 처음으로 디지털중소기업대학원을 석시과정 빛 전문가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특수대학원으로 설립하였다. 디지털중소기업대헥원은 국나1 최초의 중소기업 특화 대학원으로 대부분의 경영대학원 교육체제가 대기엠 위주로 편헝:되어 있는 것에 착안하여 중소기업 혁신을 위한 디지털경영의 연구 개발과 교육을 통한 우수한 벤처, 중소기업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취지아래 개설되었다. 초대원장은 염종석 교수가 맡았으며, 디지털중소기업대학원의 교수진은 정진택, 주형근, 이금룡 교수 등으로 구성되었다.
디지털증소기업대학원은 중소기업체 임직원, 정부투자기관 등 중소기엠 지원 유관기관과 중소기업 컨설턴트, 예비 창업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Cyber 깅의와 주말 강의 위주로 교육 수요자의 시간 관리를 최적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중소기업 경영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하는데 역점을 두고, 실무와 연계된 전문가를 초빙해 특강 및 포렴을 개최하였다. 디지틸중소기업대학원은 디지털중소기업경영학석사(MBA) 및 디지털응용기술석사 학위과정으로 구성되었다.디지털중소기업대학원은 중소기업청으로부터 2003년 이래 5년 연속 ‘증소벤처기업 CEO 경영혁신 아카데미 지정대학’이 되었고, ‘중소벤처창업지원 전국 최고 우수대학원’, ‘기술창업 대혁원 서울 대표기관’으로 선정되는 등 ‘디지털 IT 분야의 중소기업 대학원’으로 대내외적인 인정을 받게 되었다.사) 한성대 외식창업동아리 제 1호 오픈
우리대학의 경영대학원 호텔관광외식경영학과는 2003년 10월 학생중심의 창업동아리를 발족하고, 2004년 3월 6일 외식창업연구소를 창설하여 4월 6일 창업 1 호점인 ‘참벼루 삼겹살’을 오픈하게 되었다. ‘참벼루 삼겹살’은 서울 성북구 동소문동 1 가 62 번지 (삼선교대로 녹십자익댁 길 건너편 30평 규모)에 위치하며, 돼지고기 삼겹살이 주된 메뉴이다. 참벼루 고기구이판은 무쇠가 재질인 벼루모양의 구이판으로써, 5cm 두께로 되어 가열된 온기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고기가 구워지는 동안 기름이 튀는 위험을 없앨 수 있게 하는 것이 특정이다. 창업동아리는 변하고 있는 창업시장에서 우리대학만의 노하우, 열정을 바탕으로 경쟁력 있는 청년창업지를 육성하고자 하는 학교의 노력이 반영된 것으로, 우리대학만의 특성화된 학생들의 창업지원 제도로 정착되었다.(2) 시설과 환경가) 미래 정보화를 위한 학술정보관 신축과 활동2003년 10월 우리대학 도서관은 972석의 열람석을 보유한 3, 597평 규모의 미래관 건물로 이전하고 학술정보관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학술정보관은 신축도서관 개관과 함께 RFID 기반의 디지털 장서관리 시스템을 대학 최초로 도입하고 2003년 11월 25일 학술정보관 디지털 장서관리 시스템 개통식을 Digital Learning Center에서 가졌다. 국내 대학 최초로 RFID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학술정보관은 그 동안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모되어 도서관에 부담을 주어 왔던 장서점검을 손쉽게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학술정보관은 지문인식자리배석시스템을 새로이 도입하고, FOL(Friends of Library) 제도를 시행하여 지역사회에 도서관의 문호를 개방함으로써 지역사회 도서관 서비스 개방을 선도하는 대학이 되었다.
2004년에는 학술정보관에 서고소독제를 설치하여 유해미생물(진드기, 책벌레, 곰팡이)로부터 장서를 보호하고 이용지들의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여 쾌적한 열람환경을 유지토록 하였으며, 열람테이블 및 열람좌석을 추가 설치하였다. 또한 학술정보관은 홈페이지 개편을 비롯하여 원문정보제공 시스템 업그레이드 등을 통해 본격적인 디지털 도서관으로써의 면모를 갖추어 나갔다. 기존의 학술정보관 홈페이지를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각종 웹서비스 및 타도서관 열람증 발급, VOD시스템을추가하여 웹 프로그램을 재구축하였다. 원문정보 제공시스템은 기존의 TES 시스템에서 제공되었던 Tiff회일 형식의 원문을 PDF 화일로 변환하여 제공힘으로써 이용자의 인터페이스를 개선하고 서비스의 향상시켰다.
나) 미래관, 연구관, 인성관 준공식과 새로운 공간 미련미래관은 2003년 8월말 왼공되었으며, 총 면적은 4,300 여평으로 학술정보관윤 비롯하여 전자계산소, 스튜디오, 침단강의실(Digital Learcning Center) 등이 입주하였다. 미래관이 왼꽁되어 도서관 공간이 한결 늘어나게 되어 학생틀이 더욱 편리하고 쾌적하게 도서관 시설을 이용한 수 있게 되었다. 미래관은 지하 2층 지상 6층의 규모이며 학술정보관, 전지계산소, 스튜디오, 침단강의실 외에도 일반강의실, 실습설, 제력단련실 등의 시설과 각종 흥보 기념품을 핀매히고 있는 카페테리아로 구성되어 있다.미래관은 『2004 한국건축문화대상 준공건축물부분 본상(건설교통부장관상)』 을 수상하였다. 한국건축문화대상은 1년 동안 우리나라에 건축된 수많은 건축물 중 설계, 시공, 조형미등을 종합적으로평가하여 선정하는 상으로서 건축부분에서 가장 권위 있는상이디 시상식은 2004년 11월 24일 세종문화회관 컨벤셜홀에서 진행되었으며, 우리대학 미래관 수상 현판식은 11월 30일 오전 11 시에 이사장, 총장 및 많은 교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떤구관은 2002년 9월에 준공되었으며 총 8층 규모로 153실의 교수 떤구실이 입주하여, 보다 수준 높은 강의를 준비할 수 있는 쾌적한 연구공간을 갖추게 되었다. 연구관지하1층과 지상1 층은 졸업작품 전시회 및 교수와 학생들의 작품을 위한 전시실이 마련되어 있다. 연구관 옥상에는 우리대학을 얄리는 사인물을 설치하고 야간조명시설을 두어 북악스카이웨이에서도 우리대학의 위치가 잘 보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 해 12월에 인성관이 준공되어 학생회관 별관에 그동안 흩어져 있던 동이리실률이 입주하여 학생들의 동아리활동을 더욱 활기차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한편 2004년 1월 무용학과 실습실, 강당, 체육관, 체력단련실을 갖춘 지하1 층/지상4층으로 연면적 1,500 여평 규모의 체육관(현 낙산관) 신축을 위하여 기존 체육관을 철거하고 착공하였다. 이 해 7월 창의관의 지상 6층(250.8㎡ )을 증축하여 기존의 휴게공간이었던 데라스옥상에 실습실 공간을 마련하였으며, 개별식 냉난방기기를 GHP 냉난방시스템으로 교체하였다.
(3) 『한성대학교 30년사』 발간건학 30주년을 맞이하여 그 동안 대학운영에 관련된 사료 및 자료들을 수집하여 『한성대학교 30년사』를 발간하였다 『한성대학교 30년사』는 우리대학의 역사 자료집으로 서의 역할과 동시에 우리대학의 발전과정과 새 방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모두 5편으로 구성되었다. 제 1 편은 한성대학교 설립배경과 교육이념, 제2 편은 형성기(1972-1981), 제3 편은 성장기 (1982-1992), 제4편은 발전기(1993-2002), 제5 편은 21 세기 한성대학교 모색기(진입기 2002년 8월 1일 이후)로 구분하여 총장별 주요 사건 중심으로 기술되었다. 이 중 『한성대학교 20년사』 이후 우리 학교가 종합대학교로 승격하고 도약의 발판을 마련한 10년간 학과의 증과와 증원, 신규교수 채용, 교사확장 등 대내적인 성장과 함께 대외적으로 학교의 이미지 개선 및 홍보활동 등에 있어 괄목한 성장을 이내용에 가장 역점을 두어 다루었다. 부록에는 연혁, 졸업생 현황, 재직교수 및 교직원 명단, 보직자 명단, 연도별 졸업생 현황 등이 수록되었다.(4) 논란과 사건
2000년대 초반 교육부 주도의 대학 발전을 위한 통폐합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우리대학은 인제대와 M&A를 추진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이를 둘러싼 한완상 총장과 학내 구성원의 심각한 갈등이 있었다. 이 갈등의 발단은 한완상 총장이 인제대와 M&A을 통한 정이사 체제로 전환을 적극 추진하려는데 반해 교수들은 의견을 달리한 데 있었다.2004년 2월 24일 동계 학사협의회에서 시행한 한성학원의 정이사 체제에 대한 설문결과, 교수들의 의견은 다양했으며 M&A가 유일한 대안이 아나라고 생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후에도 우리대학과 인제대 간의 M&A와 관련된 진행설이 계속해서 이어지자 우리대학 교수협의회는 이사장과 총장에게 비민주적인 방법으로 ‘타 대학과의 M&A’를 진행해 왔다는 것이 사실이라면, 교수들은 결코 좌시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이에 대해 이사장과 총장은 학교 구성원의 의견수렴 없이 M&A를 진행하지 않을 것이며, 교협이 중심이 되어 기급적 빠른 시일 내에 정이사 체제 전환에 대한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교협은 이사장과 총장과의 면담결과 교수협의회가 요청한 사항률이 받아 률여졌다고 핀란하고, 정이사체제 전환에 대한 논의가 ‘인제대학교와의 M&A’에 국한하여 진행되어서는 안되며 민주적이고 투명한 의견수렴과정을 통하여 대학구성원이 지향하고 동참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교수들에게 공지허였디 이라한 M&A 추진과 관련히여 혁내 구성원틀 간의 논란은 이해 10월 한완상 총장이 총장직을 시임함으로써 종식되었다.
한편 2004년 2월 16일 당시 우리대학 경리과장 유제한씨가 교비자금 29억 원을 횡령하여 임의로 주식에 투지하였다기 20 여억 원의 손실을 기져왔다고 학교 측에 자술하였다 2004년 2월 17일 학교 측은 유제힌을 바로 경찰에 고발히아 구속시카고 징계위원회를 개최하야 파변 조치히였으며 2월 26일 이 시건의 교비자금 관리에 대한 책임을 물어 총우처장 및 기획정호처장을 경질하였다. 대외적으로는 금융감독원에 굿모닝증권상대로 금융사고 조사 의뢰 및 손해배상 청구를 신청하였으나 금융감독원의 감사 결과 학교 측의 과싣로 끝났다. 이 시건으로 유제한은 3월 30일에 3년 6개월의 실형을선고받았다.
2004년 4월 29일 이사회에서는 공금횡령과 관련하여 한완상 총장의 사표수리를 논의한 결과, 관리 책임이 있다는 것은 분명하나 대다수 구성원들이 총정시되를 원하지 않것으로 판단하야 사퇴서를 반려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이 시건은 유제한의 개인적 비리에 대한 조사와 조치로 귀결되었으며, 그 후 ‘자금관리위원회’를 발족하여 교비 자금의 투자에 관한 심의를 하도록 하였다. 총무처장이 인감을 관리하도폭 히고 경리과는 통장을 관리하되, 회계 관리자는 보험에 가입하는 등의 후속 조치를 취하였다.(5) 한완상 총장 퇴임과 이우관 총장직무 대행2004년 10월 15일 법인이사회는 한완상 총장이 대한적십자 총재로 지리를 옮기면서 공석이 된 총장 자리에 당시 이우관 교무처장을 총장직무대행으로 임맹하였다. 이우관 총장 직무대행은 2005년 1월 시무식에서 직무대행체제가 임시체제이기는 히지만, 학교 운영까지 임시로 할 수는 없다는 판단 하에 우리대학의 ‘변화의 전기’를 위한 대책을 발표하였다 첫째, 서울시와 추진하고 있는 ‘패션 프로젝트’를 통해서, 서울시 산하의 ‘패션디자인 센터’를 대학로 에듀센터에 입주시키는 것이다. 성북구와 함께 추진하고 있는 ‘의류마을 사업’을 이루어 우리대학이 서울시 패션 프로젝트와 함께 동대문을 중심으로 하는 패션산업 발전의 주축이 되어 이미지 제고 및 우리대학 ‘패션 및 디자인 분야의 발전의 모멘텀이 되는 비전을 제시하였다. 둘째, 학교 진입로 확보를 포함한 학교 주변의 지역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다. 우리대학이 낙산을 중심으로 삼선동 지역을 교육과 문화가 어우러지는 지역으로 개발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여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봉사 및 지원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마련할 계획을 밝혔다. 강의 공간 확보와 함께 학생들이 편안하게 느낄 수 있는 캠퍼스를 만들기 위해 건물의 증축 가능성 및 종합관 건설 계획을 상반기에 추진하고, 이와 함께 학교 담장 개방을 검토하여 학교 운동장의 공원화 및 학교 옆의 공원 관리권 확보를 추진할 계획을 밝혔다. 셋째, 학생들의 교육환경과 행정체계를 개선하는 것이다. ‘취업정보센터’, ‘교수개발 센터’를 설립하여 학생들이 만족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및 행정체제를 구축할 것이며, 특성화사업은 복수전공체제로 추진하며 학과별 발전계획에 대해서도 1월 중에 안을 마련하여 공시하고 선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을 비추었다.
한편으로는 총장 선출을 위해, 교수 대표 3 인, 직원 대표 1 인, 학생 대표 1 인, 이사대표 2 인으로 총장후보자선정위원회을 구성하였다. 총장후보자선정위원회에서는 교내 교수 4 인 강병식(역사문화학부) 교수, 윤경로(역사문화학부) 교수, 이종수(행정학전공)교수, 최송길(경영학부) 교수와 외부인사 3 인 등 예비후보자 7 인을 선정하였으며 이 중강병식 교수, 윤경로 교수, 이종수 교수가 최종후보자 3 인으로 선정되었고 이사회에서 윤경로 교수를 선임하여 2005년 3월 제5 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이 기간 중에 제 18대손봉호 이사장이 2004년 10월 동덕여대 총장으로 부임하여 이사장직에 물러나고 제 19대 이사장으로 장회익 박사가 취임하였다.
2) 학생감동교육의 추구 - 제5대 윤경로 총장 시기 (2005, 3, - 2009, 2.)윤경로 총장은 취임사에서 한성대의 비전으로서 ‘학생감동 교육중심 대학’과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대학’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교육과 연구 방면에서 다양한 제도적인 조치들이 도입되었으며 그 성과 또한 적지 않았다. 이 시기 우리대학은학생들이 감동을 느낌 수 있는 질 높은 교육환경을 미련하기 위하여 365일 열린 캠퍼스, 한성튜터링, 지역인재육성산업, 장학제도 개선, 해외봉시란 피견 등의 리더십을 키우기 위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취업률 70%(2006년)를 돌파하기도 하였고, 중소기업 적엽훈련 컨소시엄 사업 빛 벤처창업지원센터 최우수 등급학교, 교육 및 사회봉사 영역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2007년 제4회 ‘훌륭한 대학교상’을 수상한 갓은 이러한 노력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학교의 내부 시설 및 주변 환경 정비 또한 훤-발하게 이루어 진 점도 특기할 만하다.
정이사체제로의 전환을 계기로 학교 발전을 위한 중장기 발전계획들이 모색되었다는 사실 또한 중요하다. 건학. 50주년인 2023년을 수립된 발전방안 ‘드림 2023’은 진학 학생 수의 감소 예상과 대학 구조조정의 심화, 신입생 학력 저히와 열악한 캠퍼스 환경, 부정적 학교 이미지 고착화 우려 학내외의 주요 위협요소로 상정하고 이에 대응한 수 있는 나름의 다양한 발전 전략을 제시하였다.(1) 학사와 교육 행정가) 윤경료 총장 취임과 정이사체제 전환
역사문회학부 윤정로 교수가 2005년 3월 1일 제5 대 총장에 취임하였다. 3월 21일에 교내 낙선관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윤경로 총장은 ‘학생감동으로 이는 교육의 새시대’라는 지l꽉의 취임시를 통하여 우리대학의 발전 비전을 기자로 제시하였다. 첫째, 학생감동 교육중심 대학인데, 이는 학생들에게 감동을 느낄 수 있는 칠 높은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이를 위하여 대학 행정력을 총 집결하여 서울 장안의 ‘색깔 있는 대한’ ‘맛깔 나는 젊고 푸른 대학’을 민들어 가겠다는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대학인데‘ 윤정로 총장은 이에 대해 우리대학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과 힘께, 내연을 보다 착실히 디지면서 외연을 넓혀나갈 것이라고 하였다. 즉, 비현실적인 화려한 구호보다 실현가능한 실시구시적인 대학발전 전략을 조용히 실속 있고 알차게 펼쳐나감으로써 ‘머물고 싶은 대학 ‘다시 찾고 싶은 대학’을 만들어 나갈 것을 다짐했었다.윤정로 총장 취임 이후 한성학원 정상화 관련 교내 협의가 진행되었다. 2005년 11월에는 교수와 직원이 정이사 체제 구성 비율을 교내 추천인사 4 인, 교육부 추천인사 3인,설립자 추천인사 2 인으로 구성하기로 하고, 12월에는 교내 추천인사 4 인을 선출하기 위한 정이사후보추천위원회(이하 추천위)가 구성되었다.
추천위에서는 정이사 후보평가 기준표를 작성하여 예비 후보자를 심사하고 추천후보 45인 중, 1 차 심사를 통해 20 인, 2차 심시를 통해 7 인을 최종 선출해 이를 이사회에 보고하였다. 후보자 7 인 중 최종 선임된 4 인의 정이사는 우리 학교 윤경로 총장을 포함한 김신일 서울대 교수, 이종훈 덕성학원 이사장, 김동균 상지대 대학원장이다. 한편 교육부 추천 인사 3 인은 신용하 서울대 명예교수, 이정일 언론중재위원, 문동후 세계태권도연맹 사무총장이며 설립자 측 추천인사 2 인은 이희순 전 한성학원 이사장과 계경문 국민대 교수이다. 이사회에서는 2005년 12월 21일, 위의 9 인을 교육인적자원부에 승인 요청했으며, 2006년 1월 1일 교육인적자원부는 학교법인 한성학원의 정이사 체제 개편을 승인·통보하였다.정이사체제 전환 후, 2006년 1월 17일 최초로 열린 이사회에서는 신용하 이사를 한성학원 제 20대 이사장으로 선출하였다. 2006년 3월 6일 취임식에서 신용하 이사장 은우리대학은 입지가 탁월하고 무한한 발전 잠재력을 갖추고 있는 젊은 대학이므로 앞으로 잠재력이 꽃피어 명문대학으로 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임을 다짐하였다
나) 대학 중장기발전계획 수립우리대학은 1972년 개교 이래, 36년 동안 졸업생 약 1 만 8 천명, 재학인원 7천명의 중규모 대학으로 성장하였으나, 1990년대 후반 이후, 내부적인 리더십의 부재와 외적인 환경요인으로 인해 10 여년간 대학발전의 침체기를 맞이하였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과거 2회 (2001년, 2003년)에 걸쳐, 외부 컨설팅을 통해 대학발전계획을 수립한 바 있으나, 학내 구성원의 참여가 원천적으로 제한되어 우리대학의 상황을 적절히 반영하지는 못하였다.2005년 윤경로 총장 취임 이후, 학내 구성원의 전반적인 공김대를 바탕으로 자체적인 연구를 진행한 결과 기존 학과간의 상호융합과 연계를 통한 문화중심 즉 Culture Technology 중심의 발전방안을 도출하여, 2006년 9월 8일 법인이사회의 원칙적인 동의얻은 바 있다. 다만 이사회에서 개별사업에 대한 실행계획 보완 및 학내 구성원의 최종합의를 요구함에 따라 2008년 말 대학본부 차원의 수정·보완 작업을 완료하였다.건학 50주년인 2023년을 목표로 수립된 발전방안인 ‘드림 2023! 문화지향의 글로벌 CT 대학’은 ‘도심 속 상상력 CT(Cu!ture Technology) 대학’이라는 슬로건 하에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설정하았다. 첫째는 건학 45주년인 2018년에 국내 최고의 CT 대학을 달성한다는 것, 둘째는 건학 50주년인 2023년에 문화 대학을 달성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전략이 제시되었다. 즉, 주/야간 신입생간 학력수준치를 해소하기 위하여 야간정원을 주간으로 100% 전환하고, 선택과 집중 전략에 의하여 특성화 학과를 적극 발굴 및 신설하며, 공과대학의 공학인증제 도임 학생수준 향상을 위한 교육인증제를 전교 치원에서 확대 실시하며, 해외 유학생 및 지방학생 유치를 확대히고, 특수대학원과 사회교육원 등 평생교육사업을 강화히고, 교원의 승진심사 기준을 강화하고, 성과보상 중심의 행정직원 인사시스템을 구하고, 비전사업과 연계한 교육환경 개선 모색 등을 주요 사업으로 제시하고 있다
다) 학생 감동교육을 위한 기반 마련우리대학의 365일 열린 캠퍼스는 방학 중 취업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다양한 실무교육을 받아 현장에서 필요한 전문지식을 갖춘 준비된 인재를 거운디는 운영되었다. 학기 중에 취업지원팀에서 신청과 접수를 받아 방학 중에 우리대학 캠퍼스에서 운영하였다. 각종 지격인증프로그램이나 유망 직종에 대한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는 강의가 개설되었으며, 외부 유명 강사진을 초빙하여 현장감 있는 수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100% 교육훈련지원금 수강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한성튜터링은 특정과목에 우수한 실력을 갖춘 학생(튜터)과 그 과목의 학습에 도움받고자 학생(튜티) 5 명이 팀을 이루어 공부하는 학생 주도 프로그램이디 이 프로그램은 2006년 1 학기부터 시작되었으며, 저학년들의 전공 기초 학습능력가워주고, 선후배 및 같은 학년 학우들 간의 학문적 유대감 및 인간적 친밀감을 높여주기 위하여 개발되었다.튜터링 제도는 튜터에게 등급별 장학금을 지급하였다.A등급은 70만원, 13등급은 60만원, C등급은 50만원이다. 튜터링에 대한평가는 튜티의 성적, 튜터링 브고서, 튜티의 튜터평가서률 풍하여 각 학장 및 교무처장이 참여하는평가위원회에서 하였다.2006년에는 장학제도도 대폭 개정 및 신설되었다. 그동안 성적장학금은 최우수장학,수장학, 우장학, 장려장학으로 구분하여 각각 등록금의 45%, 35%, 30%, 25%씩 등수별로 치등 지급하였다. 2006년부터는 성적장학금을 최우수와 우수로 구분하여 각각 등록금의 50%와 35%씩 지급하였다. 한성복지장학의 경우 기존에는 한성복지 60만원, 학과 추천 50만원의 장학금이 지급되었으나 2006년부터는 A, B, C 등급으로 나누어 각각 120만원, 80만원, 60만원으로 세분화 및 증액되었다. 한성디지털탤런트 장학제도는 기존의 단대 최우수장학이 폐지되고 신설된 것이다. 신설된 한성디지털탤런트장학은 성적우수자와 사회봉사시간, 어학관련 자격증(TOEIC, TOEFL, TEPS-최근 2년 이내), 기타자격증(HSK, JPT, JLPT, 한지능력 인증 1 급 등)을 제시하면 학년별 배점표에 따른 누적 점수를 통해 고득점자에게 등록금 전액을 지급하는 제도이다.
한편 우리대학이 소재한 성북구 지역의 활성화 및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지역발전을 도모한다는 취지하에 2005학년도(입시기준 2006학년도)부터 ‘자매지역고교출신자전형’음 친성하여 성북구 지역의 고듀학교대상으로 우수 학생을 선발하였다. 또한 2006학년도부터는 대학로에 우리대학의 캠퍼스가 설치됨에 따라 대상 지역을 종로구로 확대하고 전형명칭을 ‘지역인재육성’으로 변경하여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였다. 위의 전형으로 우리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에게는 대학 4년간 일정 점수를 유지할 경우 다양한 장학금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지역 소재의 우수 학생들이 우리대학에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라) ‘2006 교육과정’ 개편과 공학인증제의 도입그동안 우리대학의 교육과정은 우리대학만의 특색이 부족하고, 교양교육의 방향이 명확하지 않는 등 몇 가지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2004년 9월 ‘2006년 교육과정개정 위원회’가 구성되었고, 2005년 11월 ‘2006 교육과정 개정’이 최종확정되었다.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기본 지침은 첫째, 교양교육, 전공교육에 관한 명확한 편성 방침 수립 및 방침에 의거한 교과과정 구성(교양교육은 기초소양 교육 강화, 취업교육 활성화, 영어 교육 확대) 둘째, 학생들의 기초학력 함양을 위한 졸업인증제도 도입 및 교양필수 과목 변경(대학별 차별화) 셋째, 자격증 취득 활성화를 통한 외부 경쟁력 제고 넷째, 외국어 능력 향상이었다.‘2006 교육과정 개정’ 중 기초교양교육과정은 첫째, 필수교양의 경우 논리적인 사고, 말하기 및 글쓰기 강화, 외국어 구사능력 강화, 전신능력 강화를 위해 관련 괴목을 확대하였고, 수준별 괴목의 운영과 인성교육의 강화였다. 둘째, 핵심교양의 경우 각 학과의 전공교육을 연계히고 단과대학별 특성을 반영하는 교양과목을 개설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전공 관련 영역 외 티영역의 교육을 경험히도록 하였다. 전공교육과정은 심화전공을 두어 전공에 대한 깊이 있는 교육을 할 수 있도록 개편하였다.
공학인증제는 대학의 공학 및 관련교육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기준과 지침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인증 및 지문을 시행함으로써 공학 교육의 발전을 촉진하고 실력을 갖춘 공학기술 인력을 배출하는데 기여하기 위한 제도이다. 승인된 이수한졸업생은 공학싣무률 담당할 준비가 되어있음을 보증하는 것이다. 우리대학은 공학교육 개선을 위하여 2006년 5월 공학인증추진위원회를 결성하여 제도 도입을 위한 검토를 거친 후 이 해 9월 공학교육인증제 도입을 결정하였다 다음해인 2007년 신입생에 대하여공학인증프로그램을 도입하였다.마) 글로벌리더십 인재육성
우리대학은 2006학년도부터 글로벌리더십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았다. 먼저 해외봉시단 파견 사업은 우리대학 학생을 21 세기에 적함합한 글로벌 리더로 양성하기 위하여 2006학년도 하계방학부터 시작되었다. 해외봉사활동은 참여 학생들이 봉사정신을 키울 수 있는 기회가 되었을 뿐만 아나라 학생들의 대학에 대한 자긍심을 거워주고 현지인에게는 한국의 이미지를 개선하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또한 우리대학의 해외봉시활동이 SBS 방송(2008년 1월 2일) 등 각종 언론 매체에 보도되어 대학총보 빛 이미지 향상에 기여한 바 있고, 해외 학생 유치에 일익을 당담한 바도 있다.이와 함께 2006년도부터 지식정보화 시대의 필수요소중 하나인 영어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영어학습에 대한 자신감 배양 및 국제화 감각을 제고하기 위하여년 2 회(하계 ·동계 빙학) 4주 과정으로 영어캠프를 운영하였다. 영어캠프는 학생들에게 C성어에 대한 자신감뿐만 아나라 외국 문호}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매우 좋은 반응을 얻었디바) 취업률 제고를 위한 노력들
2005년 3월 7일 취업정보센터가 문을 열었다. 취업정보센터에 취업과 관련된 책자, 비디오 등의 간행물을 비치하였고 상탐사와 진로 관련 상담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1학년 위주의 적성검사, 선호도검사 등의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직업 활동을 찾이볼 수 있는 직업카드 프로그램과 이력서나 자기소개서 작성 클리닉 프로그램도 마련하였다.2005학년도 신입생들은 기존과는 다르게 의무적으로 1년간 심리상담 등을 거친 후 2학년 때부터 교육훈련지원금을 지급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학생생활연구소에서 심리상담을, 학과 행정사무실을 통해서 지도교수 상담을, 취업정보센터를 통해서 진로상담을 1 회 이상 받아야 한다. 이러한 제도는 아직 진로를 확정하지 못한 1 학년 학생들에게 상담을 통해 졸업 후 진로를 모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2008년부터는 처음으로 취업교괴목을 개설하여 저학년들의 직업과 진로선택을 돕고, 아울러 여대생들을 위한 특화된 진로교육을 실시하였다. 개설된 과목은 비록 2과목에 불과하지만, 학생들의 적극적인 직업 계획수립, 개인 경력개발 및 취업 역량강화에 도움이 되었다는평가를 받았으며 무엇보다도 이러한 교육이 학기 중 학점이 부여되는 교과목 형태의 취업지도 프로그램으로 제공되었다는 점에서 참여 학생들의 동기부여(학점 이수) 및 만족도가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한편 2006년도에는 취업 커뮤니티를 운영하여 학생들이 취업문제에 스스로 대처해나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졸업한 동문을 활용하여 재학생에게 업종·직종별직업정보를 제공하고 아울러 취업 관련 스터디(커뮤니티)를 활성화하기 위함합이었다. 학교에서는 취업커뮤니티의 활동비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이와 더불어 한성 취업 Festival을 개최하여 학생들의 취업 의지를 고취시켰다. 한성 취업 Festival은 2005년부터 개최된 우리대학의 정기 취업행사 중 하나로 이를 통해 우리대학 학생들의 성공적인 사회진출을 위한 기업정보수집, 구직기술능력 향상, 공통 취업정보 취득의 기회를 제공하는 2일간의 집중 취업지원 행사이다, 2005년 개최 이래로 매년 학생들의 호응이 매우 높았으며 참가 기 업도 2008년의 경우 삼성 SDS, LG CNS, 한국 IBM, 한국오라클 등 31개 업체에 달했다. 한성 취업 Festival 의 주요 행사 내용을 2008년도의 행사를 기준으로 정리하면 행사는 매년 9월경에 개최되며 행사 프로그램은 크게 ‘기업채용관’,‘이벤트관’, ‘취업지원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대학은 학생취업률 향상을 위하여 2005년 이후 해당분야 석사이상의 취업컨설팅 및 진로지도 경력자와 취업전문담당직원을 채용하였다. 또한 2006년부터 노동부 대학취업지원 기능 확충사업에 선정되었고, 이후 한성 취업 Festival, 취업커뮤니티 활성화 사업, 취업교과목 운영, 학생 취업 진로지도 종합프로그램(취업지원시스템) 구축 등의 취업지원 시엽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다. 그 결과 2006년에 처음으로 취업률 70%대를 돌파하였고, 2008년 역대 최고 취엄률인 72.1%에 이르게 되었디사) 지식서비스&컨설팅대희원 및 R&D 센터 개설2008년 7월 30일에 컨설팅대학원 및 R&D 센터 개설 협약식이 이루어졌다. 컨설팅대학원은 우리나라 현실에 적함합한 컨설팅 기업 등을 개발히고, 현장 중심의 컨설팅 능력을 기르기 위해 중소기업청의 지원으로 설립한 것인데, 당초 10개 대학이 신청하여 경합을 벌았으나 최종적으로는 서강대와 함께 우리대학이 선정되었다. 이맨 선정의 결과는 작지만 강한 우리대학만의 강점을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라고 한 수 있으며 한성대나름의 경쟁력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컨설팅대학원에서는 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 대상으로 국내 기업 환경에 적합한 컨설팅 기 개발해 전수할 예정인데, 우리대학은 2008년 안에 지식컨설팅학회를 별도로 설립하고, 컨설팅혁신대전 등 국제학술세미니를 열어 컨젤팅에 관한 한 최고대학으로 도약히겠다는 복안이다. 또한 이를 위해 대학원뿐 아나라 학-부 과정에서 컨설팅 관련 깅죄를 개설하고 아울러 2011 학년도에는 아예 학부에 컨설팅학과를 독립 학과로 설치해 한국형 컨설팅 중심대학으로 거듭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추진하기로 하였다.(2) 시설과 환경가) 낙산관·연구관·학송관 증축2004년 1월 10일 착공한 낙산관 증축 사업이 2005년 3월 18일에 준공되었다. 사업금액 총 8,773,000,000원이 소요되었으며, 지하 1 층 지상 4층 연면적 1,348.81㎡의 규모이다. 낙산관 증축은 교내에 대규모 강당 및 실내체육관을 확보히고, 그동안 가건물을 사용하던 무용학과 실습실을 확충하기 위한 것이었다. 사업결과 지하 1 층 기계실, 지상 1층 무용학과 3개 실습실, 지상 2층 대강당(650석), 지상 3층 체육관(280 석), 지상 4층 체력단련실이 마련되었다. 낙산관 증축으로 대규모 실내 체육관이 조성되어 우천 시에도 체육 실습이 가능해졌고, 대강당이 마련되어 다양한 교내 행사를 실시할 수 있게 되었으며, 무용학과 실습실이 면적도 증가되면서 쾌적함도 확보하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체력단련실을 마련하여 교내 구성원들의 건강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함께 2006년 4월 1일부터 2006년 8월 31일까지 총 금액 2,780,000,000원을 사용하여 연구관 2개층과 학송관을 증축하였다. 연구관은 기존의 7층에서 2개층을 증축하여 9층 건물이 되었다. 증축된 면적은 총 2,031. 59㎡로 연구실 56개를 확보하게 되었다. 학송관은 지상 2층을 증축하여 연면적 1,191.42㎡에 실습실, 강의실 및 세미나실 14개를 조성하였다. 시설이 노후하여 활용도가 낮았던 구 대강당을 증축하여 대학원 독립건물로 조성하게 된 것이다.나) 스터디라운지 조성 및 기숙사 확충
2006년 1월 2일부터 2006년 2월 28일까지 사업비용 372,200,000원을 사용하여 우촌관 로비 인테리어를 새롭게 하고 미래관에 스터디라운지를 조성하였다. 그동안 우촌관 로비는 대학본부 로비로서 외부 인사들의 출입이 빈번함에도 불구하고 노후화 된 시설로 인해 대학교 이미지에 좋은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또한 미래관 스터디라운지를 조성한 공간은 낙산관 신축으로 체력단련실을 이전하고 남은 공간으로 행사준비 외에 용도가 불분명하였다. 이를 학생들의 그룹 스터디실로 조성하였다.이 사업으로 대학 본부의 이미지가 신-뭇해져 외부 인사 방문 시 좋은 인상을 심어줄 수 있었으며, 스터디라운지는 학생들의 그룹스터디를 활성화시켰고, 학생들이 즐겨 찾는 명소가 되었다. 또한 라운지의 환경 개선으로 각종 행사를 개최할 수 있었으며, 40명 이상 수용 기능한 대회의실을 조성하여 각종 세미나, 학과장 회의 등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하기도 하였다.한편 2005년 2월부터 2007년 3월까지 학교가 구입한 부동산은 그동안 부족하였던 기숙사로 활용하게 되었다. 이로써 지방 학생, 외국인 유학생 및 외국인 교수에게 기숙사를제공할수 있게 되었다.
다) 정원 조성 및 동문 개설2006년 11월 28일부터 2007년 3월까지 사업금액 445,000,000원을 투지하여 운동장에 농구장과 족구장을 설치하고, 탐구관 앞 분수대와 잔디를 조성하였다. 이 사업은 탐구관 앞이 주지정화 되는 상황을 개선해달라는 학생회의 요구를 수용하여 진행되었다. 이와 함께 2007년 6월 22일에 시작된 동문(여종·여고의 사이길) 신설 공사가 12월 30일에 미무리되었디 동문의 신설로 인해 우리 학교의 출입로는 정문, 중문, 남문에 이어 동문도 추가하게 되았디 새로 생긴 동문은 한성대에서 삼선초등학교, 보문동 방면으로 통한다. 동문 입구에는 총 세 개의 기둥이 세워졌으며 또한 나가는 담장 위에는 기와를 연달아 앉고 담벼락에는 무늬로 장식하여 고궁 고풍스런분위기를 느낄 수 있게 하였다.라) 교내 무선랜 구축 및 무선인증서비스 도입우리대학은 2002년 9월 탐구관 강의실에 부분적인 무선랜 구축을 시적으로 최첨단캠퍼스(차세대 U-Campus)로의 진화를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2007년 9월에는 국내 대학으최초로 교내 전지역 무선랜을 개통하였으며 아울러 난청지역찾기대회를 통해 교내 무선랜난청지역을 모두 해소하였다. 이러한 성과에 힘입어 2008년 3월에는 무선인증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었다.
마) 기타 학교시설 확충2007-2008년도에 이루어진 각종 학교시설의 확충, 정비 시실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우촌관 100호 휴게공간 조성 (2007년 3월), 8층 사회교육원 강의실 조성 (2007년 4월), 공학관 데니스장 조성 (2007년 8월), 탐구관 옥상 조경 (2007년 11월), 탐구관 지하 강의실 조성, 게스트하우스 B동(구 은성장) 리모델링 (2008년 2월), 공학관, 진리관 로비 인데리어, 3층 사회교육원 강의실 조성 (2008년 3월), 창의관 외벽 리모텔링, 미래관 지하 B102호 첨단 강의실 조성 (2008년 8월), 미래관 전면 휴게공간 조성 (2008년 9월), 연구관 옥상 녹화, 연구관 옥상에 한성대 LED 사인물 설치 (2008년 11월)(3) 각종 행사와 성과들
가) 한성학원 ‘창립 60주년 기념식’과 한성대 35주년 기념행사학교법인 한성학원 ‘창립 60주년 기념식’이 2005년 10월 1일 낙산관 대강당에서 개최되었다. 이 기념식에는 한성학원 장회익 이사장, 이희순 설립자, 윤경로 총장, 한성여자중학교이광우 교장, 한성여자고등학교의 김동화 교장, 그 외 교직원과 학생들이 참석하였다. 이번 기념식은 학원연혁 보고와 근속 교직원 표창, 장회익 이사장, 이희순립자, 윤경로 총장의 기념사와 식사, 한성여자중학교 풍물동아리 ‘덩더쿵’의 풍물공연과 무용반의 무용공연 순으로 진행되었다.2007년에는 한성대 35주년 기념행사가 있었다. 이 해 10월 5일 개교기념일을 전후한9월 18일부터 11월 4일에 걸쳐 화합·단결·변화를 슬로건으로 제2의 건학을 꿈꾸며 다채로운 행사들이 펼쳐졌다. 개교기념식이 열린 10월 2일에는 개교 35주년 기념 UI(University Identity) 선포식 이 있었다. 대학교의 브랜드라 수 있는 UI 선포에 대해 윤경로 총장은 “한국은 몰라도 삼성은 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UI는 중요하다”며 UI 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제작한 인피니트의 관계자는 “새로운 UI는 한성의 이니셜 H를 형상화했으며 역동적이고 열려 있는 화살표의 이미지를 담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다양한 문화, 학문을 열린 사고로 받아들이는 한성인의 지성을 상징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우리대학 35주년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학술정보관 1 층에 대학사료실을 신설하여 학교의 역사자료를 비치 전시하였다. 전시품목은 총 10종의 패널 및 207개 사료이며 개인 혹은 학교에서 보관하고 있는 자료를 총망라하여 그 중에서 책, 홍보 책자, 신문, 기념품, 사진 한성대의 역사와 숨결을 느낄 수 있는 자료를 선별 전시하였다. 아울러 ‘한성대의 어제와 오늘’ 사진전도 마련하였으며, ‘한성대 캠퍼스의 변천’, ‘역대 이사장 및 총장’ 등을 주제로 한 각종 이미지 배너도 설치되었다.개교기념일인 10월 5일에는 개교 35주년 기념 윤경로 총장의 메시지가 발표되었다. 가능성 넘치는 젊고 푸른 한성대학교를 주제로 제2 의 도약을 강조하는 내용의 총장 메시지에는 기존의 성장 동력을 발판으로 그 동안 ‘학생에게 감동을 교육중심의 대학 만들기’,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대학 만들기’, ‘교육 환경 개선’이란 목표를 향해 한성대의 발전 노력이 경주되어 왔음이 천명되었다.행사 일정의 마지막인 11월 4일에는 중앙일보에서 주관하는 서울 마라톤대회에 학생과 교직원을 포함해 350명이 참가하였다. 잠실종협운동장에서 중잉일보와 일간스포츠, 대한육상연맹이 주최하는 10㎞ 서울마라톤은 윌슨 온시레(케냐 2:06:47), 지영준(한국 2:08:43) 등 세계적 기록을 보유한 선수들도 참여했는데, 한성대 구성원이 단제로 참가함으로써 구성원들 간의 연대감을 형성하고 대외적인 학교 홍보에도 도움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나) 대외평가우리대학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2005년 2월 21일 발표한 ‘ 2004학년도 대학종합평가 및 학문분야평기2 에서 ‘교육 및 사회봉사 영역’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또한평기대상 학문분야에서 우리 학교 기계시스템공학과는 ‘교육야건 및 지원체제 영역’ 최우수 대학, 대학원 기계시스템공학과는 ‘교수영역’ 우수대학으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총 6개평가영역 중 ‘교육 및 사회봉사영역’만 최우수대학으로 선정되었을 뿐 타영역에서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우리대학의 종합평기결과는 최우수, 우수, 인정대학 중에서 ‘인정대학’이었다.
2006년도에는 우리대학 학술정보관이 2006년 세계도서관정보대회 (2006. 8. 20. ~ 24. 서울 심성동 코엑스) 공식 방문도서관으로 선정되어, 8월 23일 미국, 독일, 프랑스, 호주, 남아프리카 등 23개국의 도서관 사서 38 명이 우리대학 도서관을 방분하였다 방문객들은 국내 대학 최초로 도입한 장서 자동인식 기술과 ID 발급시스템, 멀티미디어 정보실, 하늘정원 등을 시찰하였다. 방문도서관 프로그램은 우리나라의 국립중잉도서관, 국회도서관, 법원도서관, 12개 공공도서관, 9개 대학도서관, 9개 전분도서관 2개 학교 도서관을 선정하여 우리나라 도서관인들은 물론 세계의 도서관인들에게 그 도서관의 특성과 사례에 대해 소개하는 프로그램이다.이 해에는 중소기업청 지정으로 운영되고 있는 우리대학 벤처창엽지원센터가 2006년 중소기업청평가 최우수 등급으로 선정되었다. 벤처창업지원센터는 초기 창업자, 예비창업자들에게 대학의 질 높은 자원을 이용하여 기술, 경영, 마케팅, 법률, 회계, 상품 디자인 등에 관한 교육 및 컨설팅과 외부 컨설팅을 통해 기업을 성공적으로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대학은 2001년에 성북구청으로부터 위탁 운영을 맡은 이래로 5차례의평가에서 4차례에 걸쳐 최우수 등급으로 선정되었다.평가실시 대상기관은 전국 290 여개, 서울지역 28개 기관이었다.
2006년 5월에는 우리대학 산학협력단이 노동부에서 시행하는 ‘중소기업 직업훈련 컨소시엄사업’에 선정되었다. 이 사업은 대학이 보유한 우수 훈련시설 및 장비 등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인력을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최장 6년(단계별평 7꺼 동안 정부로부터 지원금을 받는 사업이다. 우리대학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간 약 34억 원의 정부지원금을 받았으며, 이 기간에 3만 2 천여 명의 학생이 참여하였고, 약 3천개의 기업이 참여하였다. 우리대학은 이 사업에서 2년 연속 최우수(A등급) 기관에 선정되기도 하였다.2007년에는 전국 5만여 교수들로 이루어진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이하 사교련)로부터 제4회 ‘훌륭한 대학교상’을 수상했다. ‘훌륭한 대학교상’은 사교련이 민주적 의사 결정, 행정의 투명성·공정성·효율성, 교권확립 등을 기준으로 전국 사립대 가운데 귀감이 되는 대학에 주는 상이며 이번평가는 전반적인 학교 운영 자료와 실사 그리고 교수협의회, 학교 당국, 직원노조, 총학생회의 의견 수렴 결과를 바탕으로 결정되었다.다) 각종 협약 체결
2005년 5월 19일 아리랑 시네센터 세미나실에서 윤경로 총장과 이상한 교무처장, 성북구 도시관리공단의 조삼섭 이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성북구도시관리공단과 우리대학 교류협력 협약식이 진행되었다. 이 협약 체결에서 양 기관은 “문화·정보·지역사회개발 등 각 분야의 긴밀한 교류협력을 통하여 지방자치시대의 올바른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상호 우호증진과 공동발전을 위하여 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2006년 9월에는 우리대학이 중국의 북화대학 및 회북전력대학과 ‘2+2 복수학위협정’을 체결하였다. 이 협정은 2년은 소속대학에서, 나머지 2년은 협정을 체결한 타 대학에서 교과과정을 이수하는 것으로 두 대학의 졸업요건이 충족되면 2개의 학위증을 수여받는 제도이다. 북화대학과는 협정체결과 더불어 우리대학 한국어과정 및 학위과정을 이수하고자 하는 유학생을 모집하여 파견하기로 하였고, 회북전력대학과는 복수학위를 취득하고자 하는 우리대학 학생들이 화북전력대학에 갈 경우 등록금 감면을 받을 수 있도록 협약하였다. 또한 자매결연협정을 맺은 길림예술대학동화대학과는 2007년부터학부 교환학생 3 명 상호교흰과 동화대학 학부졸업생 및 교수를 우리대학 대학원에 파견하는데 힘의하였다.
2007년 4월 20일에는 서울시 산하 패션센터와 업무협약을 제결하였다. 우리대학은 서울 중소패션기업마케팅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약 5억원의 지원금을 받게 되었다. 이로써 우리대학은 중소기업 수출의 중간다리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어 시회와 기업에 공헌할 수 있는 기반이 더욱 획대되었다.2007년 8월 22일에는 우리대학과 광운대, 대진대, 동덕여대, 심육다l, 상명대 등 5개 대학과 도서 상호대차 협정을 체결하였다. 모두 사립대도서관혐의회 소속인 이 5개 대학은 이 협정의 체결로 9월부터 우리대학 학술정보관과 서로 도샤를 대여할 수 있게 되었다. 5개 대학은 각 도서관마다 전공분야에 따라 특회된 도서 정책을 기자고 있기 때문에 이 점을 잘 활용하면 많은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다2007 11월 14일에는 국시편진위원회와 학술연구 교류 협약을 제결하였다. 이 협약은 한국사 연구 및 보급의 활성화와 국사 교육, 한국인의 정체성 형성에 이비지힘을 목적으토 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공동학술회의 개최, 학술 자료 및 연구 성과를교환하기료 하였다.
라) 지역시회 봉사활동우리대학과 지역 내 초·중학교 연계 협력망을 구축하고, 또한 저소득층 힌생들에게 대학생 멘토률 통한 학습 및 인성지도 등을 지원힘으로써 계층간 교육격차 해소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에서 2007-2008년도에 걸쳐 <서울시 성북교육청 대학생 멘토링>활동을 전개하였다.학부 재학생으로 평균평점 3.0이상인 자에게 멘토 지격을 부여하여 초등학교 3학년~종학교 3학년 학생을 교육 대상(멘티)으로 기초학습지도 및 교과지도를 기본으로 하고 아울러 인성지도, 특기, 적성지도, 진로지도, 상담 활동 등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2007년도에는 멘토링 참여 인원이 55 명이었는데 2008년도에는 120 병으로 크게 늘어나 멘토링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마) 교지 『漢城』폐간과 동문조직 활성화
2006년 3월 교지편집위원회에서 발간하던 교지 『漢城』을 폐간하고 신문사, 영자신문사, 방송국을 ‘한성프레스센터’로 통합 운영하는 안을 교무위원회에서 승인하였다. 교지 『漢城』은 2004년까지 연 2 회 발간되었고, 2005년부터는 연 1 회 발간되었다. 교지 폐간 배경에 대하여 당시 교지 주간 김진환 멀티미디어공학과 교수는 “과거 학생들이 다양한 매체를 접할 수 없는 상황에서 교지의 의미가 있었지만, 다양한 매체를 통해 각종 정보와 의견을 쉽게 얻는 현재에는 교지가 계속 출간되는 것이 별다른 의미가 없다’고 설명하였다.한편 과거 유명무실하였던 동문회를 재건하고 각종 동문조직을 활성화하기 위해 2005년 이후 대학본부 차원에서 많은 지원이 이루어졌다. 2005년에는 동문 주소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매년 자료를 업데이트한 결과 동문 1 만명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었다. 2007년에는 총동문회 홈페이지 개설을 지원하였으며 대학 정책결정과정에 동문 대표 2 명(학부 동문대표 한용수 총동문회 부회장, 대학원 총동문대표 박진학 총동문회회장)을 대학평의원회평의원으로 선임함으로써 동문대표의 참여를 보장하였다3) 학생성공교육 - 제6대 정주택 총장 시기 (2009, 3, - 2013, 2.)
2009년 3월 ‘학생성공교육’의 기치를 내걸고 우리대학 제6대 총장으로 취임한 정주택 총장은 자신의 공약을 실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취업·창업 프로그램 및 국내외 인턴쉽 확대, 장학금 지급 증가, 해외봉사와 ‘한성 석세스 프론티어’로 대변되는 학생활동의 질적 성장 등은 ‘학생성공교육’을 체감케 하는 정책들이었다. 다른 성과들도 주목할 만하다. 우리대학의 숙원사업인 진입로 확장이 마침내 결실을 이루었고, 외국대학과의 교류확대 그리고 외국인 유학생 지원센터 개관은 국제회의 조류에 부응하는 행보였다. 다양한 방식으로 지역사회와 협력을 증진시켰고, 학술정보관은 그 명성에 걸맞게 지속적으로 내실을 다졌다. 한편 학생 및 외국인 교원 기숙사 확충, 외부건물 매입, 종합관 신축계획 수립은 부족한 공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1) 학사와교육 행정
가) 정주택 총장 취임과 이희순 이사장 취임2009년 3월 1일 행정학과 정주택 교수가 우리대학 제6 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3월 27일 개최된 총장 이·취임식에서 정 총장은 지신의 슬로건인 ‘학생성공교육’을 재차 강조하였디 “학생들이 자신들의 뭇을 이룰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어 나가도록 교육하는 일”이 총장과 우리대학이 수행해야 할 최우선 과제리고 천명한 정주택 총장은 ‘학생성공교육’을 위해 “교수, 직원, 학생이 삼위일체가 되어 함께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빌했다.한편 2010년 1월에는 제6-7대 이사장을 역임한 이희순 여사가 한성학원의 제21대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 고(故) 우촌 김의형 선생과 함께 한성학원의 산 증인이자 33년 만에 한성학원의 이사징으로 복귀한 이희순 여사는 취임과 더불어 ‘제 2개교’를 선언하였다. 이희순 이사장은 우리대학의 미래와 성장전략에 대한 지신의 포부를 밝혔다. 건학이념을 바팅으로 한 실용중심교육의 강화가 바로 ‘제 2개교’의 초석이라는 젓이다. 칭의성과다양성을 지니고 열린 사고와 문화적 소양 그리고 국제적 정쟁력을 겸비한 핵심인재양성에 주력할 잣이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성 1 등 프로젝트’를 통한 특성화, 교육훈련지원금을 비롯한 장힌l금의 확충, 그리고 ‘창업 1 등 대학’을 제시하였디 보다 구제적으로, 산학협력, 해외파견, 인턴제의 확대를 통하여 실용적 능력을 갖춘 인재를 접종적으로 육성하는 교육과정을 미련하여 첨단산업분야의 전문가률 배출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나) ‘학생성공교육’을 위한 기반 마련2000년대에 들어와 학생들의 취업난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교육부는 취업률을 대학평가의 주요지표에 포함시켰다. 이와 같은 변화된 환경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우리대혁은 학생들의 취업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였다.2002년부터 시직된 학부/학과/전공별 취업행사와 더붙어 2009년부터 단과대학 취업 촉진시힘이 시행되었다. 단과대학별로년 2,000만원이 지원된 이 사업은 단과대학의성을 살린 맞춤형 취업교육을 목표로 하여 업종 및 직종 특강, 사전직무교육, 취업자 데이터떼이스 구축, 취업정보센터 설립, 카네기 글로벌 리더쉽코스 교육, 취업역량강화교육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가동하였다. 한편 2007년 출범한 취업캠프는 교내 취업 교육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위치로 승격되었다. 취업교육을 전문으로 하는 외부 업체와 연계하여 실시된 취업캠프는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 교육, 이미지 메이킹 컨설팅, 실전모의 면접, 기업의 채용 트렌드 특강 실시 등을 통하여 참가지들에게 전문적 취업전략을 세울 수 있는 능력을 고취시켰다.
또한 일종의 취업 박람회 성격을 띠고 매년 사나흘에 걸쳐 전개된 취업 페스티벌은 기업의 인사담당자들을 초청하여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 상 교육, 기업설명회 및 채용특강, 직무심화교육, 자기소개서 클리닉 등을 운영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취업목표를 구체적으로 세우고 현장실무에 적응하기 위한 준비의 필요성을 부각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외에도 취업대비 직종별 단기특강과 채용설명회가 정기적으로 개최되었고, TOEIC speaking, SAAT, GTQ, ERP 등 영어 및 특정 실무를 위한 교육이 실시되었다.취업 지원을 위한 교내 프로그램의 또 다른 요체는 365 캠퍼스 프로그램이다. 방학활용하여 운영되는 365 캠퍼스 프로그램은 취업에 필요한 실무습득 및 자격증 취득에 도웅이 되는 비교과과정이다. 취업지원 교내 프로그램은 2009년 4월 15일 잡 카페가 신설되면서 더욱 활성화되었다. 2008년 노동부 대학취업지원기능 확충사업의 일환으로 예산을 지원받아 개설된 잡 카페는 기존의 경력개발실의 업무를 계승 확대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을 진단하고 진로를 모색하는 데 필요한 지원업무를 수행한다. 2009년에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진로의식조사를 실시하였고, 재학생들을 위한 진로 가이드북을 발간하였다. 2010년부터는 정기적으로 직업심리검사, 진로집단상담, 입사서류 클리닉을 진행 및 운영하면서 우리대학의 취업지원 업무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한편 각종 국가고시 준비생들의 면학과 수험전략 지원을 위해 설치 운영되어 온 고시 반은 2009년 학습의욕을 제고하기 위해 내부시설을 전면적으로 개선하였고, 2010년에는 기존의 행정고시 반을 공무원 준비반으로 확대 개편하였다. 기존 20명 내외였던 정원을 2011년에는 50명으로, 2012년에는 60명으로 대폭 증원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와 취업과 마찬가지로 창업은 대학의 중차대한 관심사로 부상하였다. 학생들이 경험과 자본과 법률적 지식이 부족한 상태에서 성공적 청년창업을 이루려면 많은 사전준비가 필요하다. 우리대학은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창업지원에 착수하였다. 무엇보다도 창업지원이라는 익숙지 않은 업무를 전담하는 창업지원관을 채용하였고, 2013년 2월끼지 크게 4 가지 상설 프료그램을 기동하여 왔다.
첫째, 2010년 1 학기에 시작된 창업 강좌는 학생들에게 창업에 필요한 기본지식을 제공하고 실무능력을 힘양시카는 수업이다.출째, 2010년에 제도회된 창업경진대회는 학생들에게 도전적인 칭엽의식을 고취시키고 참신한 창업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사업과 연계시킴으로 미래의 청년 기업기를 양성하기 위한 취지를 갖고 있다. 구체적 창업 이이템을 개발하여 실제와 다품없는 창업 시율레이션을 시도함으로써 시행착오를 줄이고 창엽 노하우를 축적케 하기 위함이다.셋째, 방학기간에 운영되고 있는 창업캠프는 학엽수행을 병상행해야 하는 학기 중에 쌓기 힘든 전문적 창업지식을 집중적으로 습득하는 프로그램이다 2011년 12월 20일부터 이틀간 홍전 대명콘도에서 개최되고 32 명의 예비 창업가들이 참가한 제 1 차 창업캠성공창업기와 함께 하는 토크콘서트, 사업계획서 및 프라l 젠데이선 코칭, 스토리텔링 미케팅 특강으로 그 내용이 구성되었다. 한편 2012년 6월 26일부터 이틀 간 용인 에버랜드에서 열린 제2차 창업캠프에는 49 명이 참가함합으로써 창업에 대한 우리 학생들의 관심이 점차로 커져가고 있음을 증명하였디넷째, 2010년부터 기동된 창업동아리는 우리대학이 역점을 있는 창업지원사엽의 또 다른 요체 라 할 수 있다. 학교당국에서 별도의 공간을 제공히고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성공적 취업 준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는 재학 중에 기업에서 근무 경험을 쌓은 일이라 할 수 있다. 우리대학은 이 점에 초점을 맞추이 다양한 국내외 인턴쉽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기업 현장체험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국내 인턴쉽 제도는 크게 세 가지로 입축된다. 첫째, 고용노동부 지원 사업인 ‘청년직장 제힘 프로그램’은 시행된 첫 해인 2007년 5개 업체에 9 명이 파견되었으니 이후 참여업체와 침가학생 수가 비약적 늘어났다. 2009년에는 23개 업체에 61명이, 2010년에는 28개 업체에 58 명이, 2011년에는 11개 업체에 41 명이, 2012년 15개 업체에 29 명이 파견되어 실무지식을 터득하고 기업운영과 기업문회를 체득하는 경험을 쌓았다. 둘째, 우리대학이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자체 인턴쉽 프로그램’에는 참여 학생이 2007년 첫 해 단 1명에 볼괴하여 중단되었다가, 재도입된 2011년에는 6명, 2012년에는 11 명으로 꾸준한 상승세률 호였다. 셋째, ‘중소기업체험학습’ 역시 우리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국내 인턴쉽 제도의 한 축을 차지한다. 첫해인 2008년 39 명이 침여하여 대대적인 호응을 유발한 이 프로그램은 아쉽게도 2009년에는 13 명으로 주춤하였고 2010년 33 명으로 다시 상승세를 탔으나 그 해를 마지막으로 중단되었다.
학생들의 해외 인턴쉽은 두드러진 확장세를 보였다. 2009년 ‘한미 WEST' 프로그램으로 시작된 우리대학의 해외 인턴쉽 제도는 2011년 학생지원처에서 자체개발한 ‘ICCE USA’가 추가되면서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게 되었고, 2012년에는 ‘무역진흥공사(KOTRA)인턴쉽’ 프로그램까지 도입되면서 다양한 국가에서 우리 학생들이 소중한 경 하게 되었다. 미국, 뉴질랜드, 쿠웨이트, 말레아시아 등에 소재한 현지기업과 해외공사에서 6개월에서 1년을 근무하면서 참여 학생들은 해외기업의 문회를 익히고 글로벌 마인드를 함양함으로써 폭넓은 시각을 갖추고 자신감을 드높이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학교딩국은 학생들이 근무하는 현장을 방문하여 애로사항을 듣고 격려하떤서 근무의욕을 제고시키고 또한 기업관계자들을 만나 제도적 보완과 개선을 논의하였다. 우리대학의 해외 인턴쉽 제도는 그 기대효과가 큰 만큼 향후 더욱 확대될 것으로 판딘된다.한편 2009년부터 나타난 현저한 변화 가운데 하나는 장학금 지급의 대폭적인 증가다. 2009년을 기점으로 교내장학금의 규모가 처음으로 연50억 원을 돌파하였고, 그 해 정부의 정책변화로 국가장학금이 증가하면서 교외장학금도 2008년에 비해 4배가 넘는 괄목할 만한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2012년에 국가장학금 1유형이 도입되면서 교외장후L금은 비약적으로 확대되었다. 교내외 장학금의 규모가 커지면서 자연히 장학금 수혜 인원도늘어났다.
이와 함께 튜터링 장학금은 선후배간의 학문적 교류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튜터링 장학금은 특정 수업에서 우수한 성적을 받은 선배(튜터)가 그 수업을 수깅하고 있후배(튜티)들에게 수업내용을 지도하고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알려줌으로써 튜티의 학업수행에 도웅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다) 학과신설과 연구 역량 강화우리대학은 2011년에 부동산 경영학과(야간)을 신설하였고, 2013년에 공공인재학과 (야간)을 신설하였다. 부동산 경영학과, 공공인재학과가 신설되면서 모집단위는 기존 22개 에서 24개로 늘어났다. 2009년 11월 교육부의 ‘특성화고졸 재직자 특별전형 운영기준시행공고’에 따라 기획협력처는 부동산경영학과 신설을 적극 검토하였고, 2010년 5월 사회과학대학의 4개 학부/학과는 야간정원을 1 명씩 김축하여 신설되는 부동산경영학과에 충당하기로 결정하였다 이후 기획위원회는 5개월에 걸쳐 부동산정영학과 운영방안수립하였고, 교육부는 정원 내 4명, 정원 외 33 명(총 입학정원의 2%)을 모집인원으로 하는 부동산경영학과 신설을 반영한 우리대학의 2011년 학생정원 조정계획을 승인하였다. 계획이 승인됨에 따라 부동산경영학과 신입생이 모집되었다. 2011년에는 정원 내 4 병, 정원 외 6 명이 선발되었고, 2012년의 선발인원은 정원 내 4명 정원 외 8 명으로 늘어났다
한편 2012년 대학본부는 2013년부터 ‘특성화고졸 재직자 특별전형’의 정원 외 모집 인원이 기존 2%(33 명)에서 4%(66 명)로 확대됨에 따라 기존 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추가로 학과를 신설하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였고, 새로운 학과를 운영할 학부/학과를 모집하였다 2012년 7월에 행정학과는 공공인재학과(야간) 신설 계획서를 제출하였고, 이에 따라 기획위원회와 교무위원회는 해당학과의 설치를 의결하였다. 공공인재학과 신설이 교육부의 승인을 얻게 되면서 기존 부동산경영학과의 정원 내 모집인원 4명 가운데 2명은 공공인재학과로 넘어갔다. 따라서 2013년 이 두 개 신설학과의 모집인원은 각각 정원 내 2명, 정원 외 33 명으로 도합 70명으로 확정되었다.
그런데 대학의 경쟁력을 가름하는 요소는 무앗보다도 교수의 연구 및 강의 역량이라 할 수 있다. 우리대학은 교수들의 연구를 촉진하고 강의수준을 향상시카기 위해 한편 연구비 증액과 우수강의 포상 등 인센티브를 지급히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승진 및 재임용의 기준을 강화하는 이중적 정책을 펼쳤다. 대학정보공시제의 도입으로 그 내용이 외부로 알려지게 되고 또한 대학평가의 주요 지표로 자리 잠은 교원업적을 제고하여 대혁의 수월성을 향상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되었기 때문이다.정주택 총장은 2009년 취임과 동시에 선거공약으로 내세웠던 연구비 증액을 실현하였디 연구비 연간 총액 한도가 1 인 당 천 5백만 원으로 늘어나면서 교수들의 연구의욕을 고취시겼고, 특히 SCI, SSCI, A&HCI급 학술지에 게재되는 논문에 대해서는 천만 원의 연구비를 지급하기로 결정하였다. 2010년에는 국제학술지 논문게재를 독려허가 위해 SCI, SSCI, A&HCI 논문의 경우 연간 천만 원 한도의 장려지원금을 추가로 지급하는 파격적 정책을 실시하였다. 한편 학기 당 6학점 이상 학부강의를 한 전임교원 가운데 강의평가점수가평균 4.5 이상이거나 단과대학별 상위 10%에 해당하는 우수교원에게 학기말에 100만 원을 지급하는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였다. 연구와 봉사 영역의 경우에도 연간업적을 기준으로 뛰어난 성과를 거둔 교수들에게 각각 100만 원의 포상을 시행하였다.
교수 역량 제고 정책은 업적평가의 강화로 이어졌다. 2010년부터 승진 및 재임용 요건에서 연구영역의 총점은 변함이 없었지만,평가기준이 대폭 강화되었다. 번역서 및 편저서의 점수가 삭감되었고, 국내우수학술지(학진 등재후보지)와 국내일반혁술지 그러고 기타학술지 및 기념논문집에 게재된 논문의 점수도 하향 조정되었다. 서평, 본 대학 및 부설연구소 논문집 게재 논문, 학술회의 발표문(전문 및 초록), 연구결과보고서, 의장 및 상표, 실용신안, 단체전 및 비 상설 전시장의 개인전, 단체공연 등의평가점수도 축소되었다. 한편 승진요건에서 논문의 학진등재지 게재 비율이 2011년 30%에서 2012년 50%로 강화되었다. 교육영역의 경우, 학생면담지도와 외국어 강의의 점수가 상향조정된 반면, 기존에 각각 2점이 할당되었던 강의계획서 제출, 성적균형평가 및 공시, 홈페이지평가항목은 전면 폐지되었다.라) 학술정보관의 도약
규모는 크지 않지만 내실 있는 도서관으로 정평이 난 우리대학의 학술정보관은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2009년 학생들의 편의를 위해 1 인당 대출도서수를 기존 5 권에 서 7권으로 확대하였고, 6층 그룹 스터디실 예약제를 도입하여 시설의 효율적 운영을 도모하였다. 2010년 12월 학술정보관은 성북구청과 도서관 교류 및 발전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였고, 이로써 우리대학은 지역사회 도서관서비스 개방을 선도하는 대학이 되었다. 이 협약에 따라 성북구민은 누구나 우리대학 학술정보관 자료 열람실을 이용할 수 있고 도서자료 대출도 가능해졌다. 이러한 노력은 즉각적인 결실을 보게 되었다. 교육과학기술부 주최 2010년도 대학도서관평가에서 소규모 대학 제3분야(지역사회연계 및 대외협력 활성화) 1 위에 올라 영에로운 수상을 하면서 그 위상을 강화하였다. 대학도서관평가 시상금 4천만 원은 멀티미디어 매체가 증가승}는 추세에 부응하는 차원에서 전자신문 KIOSK와 오디오북 KIOSK 구입에 사용되었다. 한편 2006년 시작된 ‘장서 50만권 소장을 위한 도서기증 캠페인’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어 2011년에는 장서 50만권을 달성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또한 이 해에 E-book은 3만 종을 넘어섰고, 연속간행물은3천 종을 상회하게 되었다. 뿐만 아나라 자리 배석기 교체와 교외접속 프로그램 (Library Proxy)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졌다. 2012년에는 로비와 프레젠테이션 룸 리모텔링 및 산소발생기 설치를 통해 열람환경을 대대적으로 개선하였고 흐탤정보관 모비일 홈페이지를 오픈하였다. 도서관의 전자정보화 추세에 앞장 서온 학술정보관은 대내외적으로 틱월한 평가를 받고 있는 우리대학의 자랑이라 할 수 있다.
마) 학생군사교육단 (EOTC) 의 성장과 증원우리대학 당국은 학군단 지원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매년 예산을 큰 폭으로 증액하였고, 대대적인 내부 수리를 통해서 학군단 건물을 새로운 모습으로 일신히였으며, 다양한 교육 장비를 신규로 구입하거나 교제하였다. 우리대학의 학군단은 이와 같은 학교의 전폭적인 지원을 등에 엽고 2010년과 2011년 국방부평가에서 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고‘ 그 결과 학군후보생 배정인원이 증가되는 쾌거를 이루었다. 2008년 31 명이었던 정원이 2009년에는 33명, 2010년 34명, 2011년에는 36명, 2012년에는 42 명으로 늘어남으로써 학군딘의 위상은 높아졌고 취업률 향상에도 도웅이 되었디 한편 정주택 총장과 희생지원처장은 방학 중 학생중앙군사학교에서 실시되는 입영교육 현장에 정기적으보 방문하여 훈련에 여념이 없는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바) 국방과학대학원 신설우리대학은 군방정책과 경영, 국방과학 분야에서 군(軍)선진화를 선도할 인재를 양성하고 강군육성 및 국가발전에 일익을 담당하고자 국방과학대학원을 2010년 3월 1일에 설립하였다 그동안 우리대학은 2001년부터 군 간부를 대상으로 국제대학원에 안보전략학과와 지역정보학과, 경영대학원에 국방경영 전공을 개설해 2010년 현재끼지 500 여명의 졸업생을 배출했고, 졸업생의 상당수가 군 고위직에 진출하거나 박사과정에 진학하여 박사 학위를 받는 등 군과 개인 발전에 크게 기여해왔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우리대학은 국빙관련 교육의 메카로 발돋음하기 위해, 기존의 국제대학원과 경영대학원에 분산 운영되던 재학생들의 수업 및 학사관리를 통합하고 최근 국방전력의 필수적인 의사겸정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M&S(Modelling&Simulation)학과를 신설한 국방과학대학원을 설립한 것이다.(2) 시설과 환경
가) 교육환경 및 편의시설 개선‘학생성공교육’의 실현을 위한 초석 가운데 하나는 교육환경 개선이다. 우선 수업의 질적 제고와 교수와 학생의 편의를 위한 전자교탁 도입이 2009년부터 본격화되었다. 2009년 미래관 2개, 탐구관 33 개, 진리관 6개, 우촌관 1개 등 총 42개가 설치되었고, 2010년에는 공학관 11 개, 2011년에는 공학관 2개, 진리관 2개, 창의관 7개, 학송관 5개, 지선관 1개 등 총 17개가 추가로 설치되었다. 전자교탁은 마이크와 조명장비, 태블릿 모니터, 컴퓨터, 영상장비, 빔 프로젝터가 장착된 교탁이다. 이전까지 대학전체에 6개에 불과했던 전자교탁이 3년간 무려 70개가 늘어남으로써 대학의 모든 수업은 최첨단화된 교육장비의 혜택을 누리게 되었다.교육환경 개선은 탐구관, 진리관, 창의관의 리모델링으로 이어졌다. 탐구관의 경우 1차로 2011년 7-8월에 1층 7개 강의실 환경개선 공사가 이루어졌다. 벽변 인테리어 필름 설치 및 패브릭 마감, 천장 인테리어 우물천장형 마감, 바닥 데코타일 마감공사가 진행되었고, 일반전등을 모두 LED 전등으로 교체하였다. 2차 공사는 2012년 7-8월에걸쳐 3층 7개 강의실과 5층 7개 강의실을 대상으로 1 차 공사와 동일한 내용으로 시행되었다.
진리관은 2012년 6월부터 8월까지 대규모 리모델링이 이루어졌다. 노후화된 기와지붕을 아스팔트 싱글로 전면 교체하였고, 한기와 소음에 취약했던 기존의 단창 창호를 모두 이중 단열시스템 창호로 교체하였으며, 2-3층의 실습실과 4층 일반강의실의 벽면과 천장, 바닥과 전등에 최신 자재와 장비를 설치하였다. 이로써 진리관은 건물 외부와 내부 모두 쾌적하고 청결한 모습으로 탈바꿈하였다.2013년 1월부터 2월까지 창의관 5층 실습실의 대대적인 공사가 진행되었다. 기존 경량벽체 (SGP 판넬)을 철거하고 ACL 조적벽을 설치하였으며, 실습실 전체 공간을 용도별로 전면 재구획하였다. 벽면은 인테리어 필름 및 패브럭으로 마감하였고, 천장은 노출천장으로 바꾸고 흡음텍스로 마감하였으며, 바닥에는 데코타일을 깔았다. 일반전등을 모두 LED 전등으로 교체하였다.나) 공간 확충과 매입
변화하는 우리대학의 모습은 공간 획충에서도 잘 드러난디 그동안 학생들을 위한 기숙사 시설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우리대학은 2011월 8월에 여학생 전용 기숙사인 우촌학사를 준공하였다. 2010년 11월 착공하여 9개월의 공사기긴을 거쳐 대학 인 성북구 삼선동 3 가 27-10에 건립된 우촌학시는 지하 1층/지상 5 층, 연면적 1,308.7㎡의 철근콘크리트 구조 건물로 총 27개실을 보유하였고 수용인원은 98 명이다. 세탁실, 냉장고실, 샤워실, 야외휴게실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추고 장애인을 위한 기숙공간을 확보히고 있다. 학생지원처에서는 기숙사의 제반 행정과 학생관리 업무를 전담하는 사감을 재용하여 체계적으로 기숙사를 운영하고 있다. 2009년 8월과 9월에는 대학 동문(東門) 근처에 위치한 푸르지오 아파트 4채를 외국인 학생 기숙사로 사용하기 위해 구매하였다. 각 아파트는 동일한 면적(114.65㎡)으로 각 2채씩 남학생과 야학생을 수용하고 있다 이로써 우리대학 학생 기숙사의 연 면적은 3,207.12㎡로 2008년 대비 2배 이상증가하였다.한편 우리대학은 학생들의 영어 실력 향상과 시대에 필요한 국제적 감각을배양을 위해 외국인 임용해 왔고, 그 수는 점치적으로 증기해 왔다. 외국인 교수틀의 처우개선과 안정적인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치원에서 전용숙소를 확대할 필요가 대두되었고, 이에 따라 2010년 12월 성북구 삼선동 5 가 63-6 번지에 게스트 하우스 C동을 신축하였다. 지하 1층/지상 2층, 연면적 718.23r냥 규모의 게스트 하우스 C동은 각 방마다 넓고 쾌적한 공간을 보유하였고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추어 외국인 교수들이 연구와 강의에 전념할 수 있도록 양질의 주거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게스트 하우스 C동이 왼공됨으로써 외국인 교수 전용숙소는 3개 동으로 늘어났고, 연 면적은 1,000㎡를 상회하게 되었다.
이 시기 우리대학은 외부 건물도 적극적으로 매입하기 시작하였다. 2012년 2월 대학이사회의 승인을 얻어 성북구 삼선동 5 가 299 번지에 소재힌. 3층 건물(대지 416.6㎡’ 연건평 606. 54㎡)을 41억 6천만 원에 매입하였다. 성북경찰서 앞 사거리 대로에 위치한 이 건물은 교통이 편리하여 접근이 용이하고 인근에 다양한 시설이 갖추어져 있어 입지조건이 매우 뛰어나다. 향후 학생 기숙사 건립 용도로 구입한 이 건물은 건평 230.88㎡에 연건평 1,385.28㎡의 규모를 갖춘 6층 기숙사 신축이 가능하다.다) 진입로 확장
우리대학의 숙원사업 가운데 하나인 진입로 확장공사가 오랜 준비기간을 거쳐 2009년 5월 착공되어 이 해 12월에 완공되었다. 성북세무서에서 우리대학으로 올라오는 삼거 리부터 대학정문까지 약 300m의 기존 도로는 노폭이 불과 4-6m로 매우 협소하였다. 좁은 진입로는 차량통행의 불편과 접근성 저하 그리고 대학의 이미지를 훼손하여 우리대학으로서는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였다 2005년 윤경로 총장 재임기간부터 시작된 확장계획이 여러 단계를 거쳐 마침내 결실을 보게 된 것이다. 2008년 3월 ‘도시계획시설사업 실시계획 인가가 고시되었고, 서울시와 성북구청의 재정지원과 우리대학의 분담금 25억 8천만 원이 투자된 확장공사는 기존도로 약 300m 가운데 재개발이 예정된 150m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12m(도로 7m/ 인도 5m)로 확장하였다.라) 종합관 신축계획 수립1990년대 말부터 우리대학은 공간 확보에 심혈을 기울여왔다. 탐구관, 연구관, 미래관, 인성관이 연속적으로 신축되었고, 창의관은 대규모의 리모델링을 통해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하였다.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협소한 공간은 우리대학의 오래된 문제였다. 부족한 교육공간은 교육의 수월성 제고에 걸림돌이 되었고, 협소한 주차장은 구성원들의 불편을 가중시켜 왔다. 무엇보다도 각종평가지표에 포함되어 있는 교사확보율이 100%에 못 미치는 상황은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대상이었다. 이 문제에 고심해 온 대학당국은 2012년 8월 정주택 총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법인의 이사들과 감사 그리고 대학의 주요보직자들이 대거 참여한 21 세기 발전위원회를 발족하였다.
21 세기 발전위원회는 공간 확충 계획 수립을 위해 강신일 교무처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위원에 이경일, 김동균, 황기연 이사, 김용국 감사, 이창원 기획협력처장, 박준철 총무처장, 명광주 학생처장 등 법인과 대학의 주요 보직자들과 건축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한, 정호섭, 민태욱, 조자연 교수로 구성된 건축소위원회를 기동시켰다. 건축소위원회는 수차례 심도 있는 회의를 거쳐 마침내 종합관(가칭) 신축 계획을 확립하였다. 2016년 여름 준공예정인 종합관은 지하 2층, 지상 12층 건물로 공간 부족 문제를 일거에 해소할 뿐만 아나라 충분한 면적의 주차장을 지히층에 확보함으로써 지상에 차가없는 쾌적한 캠퍼스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3) 세계로 뻗는 한성학원가) 해외봉사 및 학생활동학생들의 역량강화는 강의실에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 학생들의 경험축적과 국제적 안목을 넓하기 위한 취지로 2006년부터 시작된 해외봉시는 정주택 총장 재임 기간에 한층 활성화되었다. 주목할 만한 두 가지 변화가 있었다. 첫째, 매년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에 각각 1개 팀을 파견해 온 해외봉사는 2009년부티 2011년까지 하계봉사딘의 경우 2팀으로 증편되았다. 둘째, 주로 동남아시아에 국힌되었던 기존의 해외봉시와 달리봉시대상국가가 확대되었다. 2009년 7 기 (2 팀) 해외봉시는 각각 이슬람 문화권인 우즈베키스틴과 카자흐스탄에서 전개되었고, 2010년 10기와 2012년 12기는 남태평양의 작은 섬나라 바누아투에서 이루어졌다 2012학년도 겨울방학에 진행된 14기는 아프리카 케냐로까지 해외봉시의 지역을 넓혔다. 특히 바누아투의 경우는 우리대학이 한국 최초로 봉시활동을 시작한 국가였다. 열악한 환경에 신음하고 있는 자국 어린이들에게 내민 봉사단원들의 도움의 손길과 교실 한 채를 지어준 우리대학에 감동한 바누이투의 신문시와 빙송국은 10 기 봉사단의 활동을 일제히 보도하였고, 단원들은 격러하기 위해 방문한 정주택 총장 일행은 바누아투 대통령을 만나 봉사의 취지를 설맹히고 환담을 나누었다. 2013년 2월까지 14기(17팀)가 파견된 해외봉사에는 총 385 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우리대학의 해외봉사 활동은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무엇보다도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국제적 감각 및 봉사정신을 고취하고 자신에 대한 자긍심을 고양할 수 있었다. 또한 현지인들에게 우리대학은 물론 대한민국의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한편 해외봉사활동이 각종 언론 매체에 보도되어 대학흉보 및 이미지 향상에 기여하였다. 그동안 대상댁가와 프로그램을 외부의 도웅 없이 자체적으로 개발해왔고 다양한 노하우를 축적한 우리대학의 해외봉시는 현재 국내의 많은 대학들을 선도하고 있다.학교본부에서 빙문국을 결정하고 봉사내용을 기획하는 해외봉사와 달리 ‘한성 석세스 프론티어 (Hansung Success Frontier, 이하 HSF)’는 학생들 스스로가 대상국가와 프로젝트를자유롭게 결정하는 해외경힘 프로그램이다, 2010년 도입된 HSF는 프로젝트의 성격을 제한하지 않고 외국의 사례를 현장방문을 통해 직접 조사한 후 티- 문화권 탐방에서 발견한 장점과 교훈을 국내에 적용시키고자 하는 취지를 갖고 있다. 지역에 따라 참여 학생 1 인당 200만원까지 지원되는 HSF는 우리학교 만이 시행하고 있는 차별화된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의 대대적인 호응을 얻으띤서 매년 지원자가 급증하는 추세를 보여 왔다. 매년 치열한 경쟁률을 보이는 HSF에 참여한 학생은 2010년 7개 팀 (21 명), 2011년 8개 팀 (24 명), 2012년 11개 팀 (33 명)으로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방문국은 유럽 국가들과 미국이 대세를 이루었지만, 일본, 싱가포르, 대만 등 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젝트도 있다.
나) 잉글리쉬 라운지잉글리쉬 라운지 (English Lounge)는 학생들의 전반적 영어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목적을 가지고 2009년 10월에 미래관 지하에 만들어진 공간이다. 강의실 보다 좀 더 편안한 환경에서 자유로운 형식으로 영어를 즐겁게 배우고 익하는 것을 지향한 장소로 제공되었다. 잉글리쉬 라운지는 Group Speaking, Open Activity, Englìsh Corner, 그러고 Quiz Show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학생들이 영어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외국인 전임교수 2 명이 항상 상주하여 언제든지 학생들과 교류하고 소통하고 있으며, 예약제를 운영하여 1:1 만남을 통해서 영어에 대한 세세한 부분을 지도한다.
Group Speaking은 원어민 교수와 함께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습하는 회화 프로그램이다.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팀을 구성하여 팀별로 설정한 목표 달성을 위해 외국인 교수와 함께 자유로운 토론을 실시하여 회회능력향상을 꾀하는 수업이다. 매일 오후에 진행되는 Open Activity 수업은 전반적인 영어 능력 제고를 위해 강좌마다 주제를 변경해가면서 그 주제에 맞는 영어 학습을 수행한다. 출석률이 좋은 학생에게 1학점을 부여하는 이 수업은 학생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한편 English Corner는 영어에 자신감이 없는 학생들을 위한 1:1 영어 코칭 프로그램으로 짧은 에세이부터 영어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첨삭까지 지도하면서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잉글리쉬 라운지는 2012년도에 총 방문 학생 수가 9 천 명을 념을 정도로 대대적인 호응을 얻고 있다.다) 다양한 국제교류
정주택 총장 재임기의 두드러진 변화 가운데 하나는 국제교류가 대폭 확대되었다는 점이다. 2009년 3월부터 2012년 8월까지 교류를 체결한 외국대학의 수가 14개국 33 개교에 딜-한다. 이는 1999년부터 2008년까지 10년 간 우리대학과 외국대학의 교류제결수가 53개인 사실과 비교하면 괄목할만한 변화이며, 국제화의 조류에 부응한 긍정적 행보라고할수 있다.외국대학과 체결한 국제교류가 증기힘에 따라 파견학생과 초청학생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우리대학이 파견한 학생수가 2009년 110명 2010년 114명, 2011년 136 명, 2012년 152 명으로 매년 꾸준히 상승하였고, 우리대학에 파견된 외국학생수도 2009년 18명, 2010년 38명, 2011년 41명, 2012년 39 명으로 이전과 비교하여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라) 외국인 유학생 지원센터 개관2012년 3월 1일 우리대학은 외국인 유학생 지원센터를 개관하였다. 우촌관에 위치한외국인 유학생 지원센터의 설립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 매력적인 유학환경을 조성하여 한국 유학의 이미지를 개선하여, 성공적인 한국유학생활 지원을 통해 우수 지한(知韓) . 친한(親韓) 인재를 육성한다.② 한국 고등교육의 국제적 신뢰도 및 경쟁력을 제고한다.③ 유학생 관리의 모범적 기준을 제시하여 대학의 유학생 질 관리를 강화한다.우리대학이 외국인 유학생 지원센터를 설립한 데에는 아픈 계기가 있었다. 2011년에 도입된 교육부의 ‘학사과정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역량 인증제’에 따라 2011년 11월 16일 우리대학도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역량 인증제에 대한평가를 받게 되었다. 그러나 당시평기결과 우리대학은 사증발급 제한대학으로 분류되어 1년간 외국인 유학생 모집이 중지되었고, 교육부에 향후 관리개선 계획을 제출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외국인 유학생 핀리 전담조직 및 전담직원을 배치하여 입학에서부터 수강신청, 생활상담, 학시관리, 아르바이트 관리 및 주선, 기숙사 배정, 졸업까지의 일련의 업무를 One-stop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마련하게 된 것이다.
외국인 유학생 지원센터는 입학한 유학생을 위한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할 뿐만 아니라 매 학기 초 개별 면담을 진행한다. 한편 미수강 및 미등록자를 신속히 파악하고 관리하여 중도이탈율을 낮추고 법무부 유학생 정보시스템 등록·신고를 보다 철저하게 준수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정기적인 상담을 통해 유학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현재 입학원서 접수시점부터 전담직원을 배치하여 입학 후 오리엔테이션, 비자신청안내, 학사관리, 시간제취업 신고안내, 생활지도, 문화제험 등의 각종 활동을 One-stop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있다.마) 지역사회와 협력우리대학은 대외적인 팽창뿐 아나라, 지역사회와의 협력에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우리대학이 주관하고 국가보훈처와 국방부 6.25 사업단이 후원하는 제 1 회 ‘호국보훈의 달나라사랑 감사행샤가 2010년 6월 4일 낙산정원에서 개최되었다. 우리대학에 재학 중인보훈장학 대상 학생 및 학부모, 성북구청장, 국가보훈처 북부지청장, 국방부 6.25 사업단 관계자 등 약 100 여명이 초청되었고, 이희순 이사장과 정주택 총장은 학교를 대표하여 국가존립을 위해 자신을 희생한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였다.
2010년 11월부터 전개된 장수마을 벽화그리기 봉사활동 역시 지역사회를 향한 따뜻한 마음의 발로다. 우리대학에 인접한 장수마을은 노인들과 저소득층 주민들로 구성된 낙후된 지역이다. 낡은 주택 외벽과 고지대의 계단에 자원봉사 학생들이 채색한 밝고 아름다운 그림을 보면서 주민들은 우리대학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아까지 않았다. 한편 각각 2000년과 2005년에 시작된 삼선동 노인정을 위한 등유 제공(매년 1,000 리터)과 삼선동 독거노인 도시락 지원 및 직접배달은 차질 없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 또한 2011년부터 시작된 삼선동 선녀축제에 우리대학은 인적, 물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학생들은 선녀와 가마꾼으로 봉사하고, 대학당국은 300만원 상당의 행사물품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2010년부터 우리대학 정문을 드나드는 택시기시들에게는 생수가 제공되고 있고, 2012년부터는 언어교육원 한국어과정 주관으로 성북구 다문화 아동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으며, 2008년 시작된 성북구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화교육도 순조롭게 지속되고 있다.
4) 특성화와 구조개혁 시기 - 제4대 강신일 총장 시기 (2013. 3. 1. ~ 2015. 6.)2013년 3월 1일 ‘작은 변화 큰 도약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우리대학 제7대 총장에 취임한 강신일 총장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 사업과 IPP(IndustIy Professional Practice)형 일학습 병행제 사업을 수주하였다. 그리고 ‘2013년도 대학기관평기인증’을 획득하고 지역주민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로 ‘인증모범사례대학’에 선정되었으띠, 한국언론인연합회로부터 ‘대한민국 참교육대상J을 수성하였다. 그러고 종합관 신축 계획안을 미련하여 착공하고, 특성화 사업을 추진하고, 구조개혁추진위원회를 조직하는 등 구조개학평가에 대비하았다.(1) 학사와 교육 행정가) 강신일 총장 취임과 이종훈 이사장 취임2013년 3월 1일 경제학과 깅신일 교수가 우리대학 제7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3월 28일 개최펀 총장 이·취임식에서 깅- 총장은 ‘상상력으로 꿈이 이루어지는 대학, 세상을 이끌어 갈 이노베이터를 배출하는 대혁J을 슬로건으로 선포했다. 강신일 총장은 “사회적 환경이 변화해 지원은 줄어들고, 책무성은 증가하고, 등록금은 동결 및 인하를 해야 하는 실정이니, 위기의식을 공유하여 대내외 환경 변화에 대처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고 ‘학생교육중심 대혁 ‘과감한 투자’, ‘행정서비스의 개선’, ‘취업률 상승’등을 추진 목표로 삼아 업무를 추진하고, “작지만 강한 산학협력대학을 만들겠다라고 소신을 밝혔다
한편 2015년 3월 2일 이종훈 박사가 한성학원의 제 15 대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 이날 취임식에는 윤형섭 전(前) 교육부장관, 김성훈 전 농림부장관, 이대순 전 체신부정관, 한성학원 이희순 설립자, 이경일 한성학원 이사장원택 한성학원 감사, 강신일 한성대 총장, 이장한 한성여자고등학교장, 이귀영 한성여자중학교장 등이 참석하였다. 이자리에서 이종훈 이사장은 “저는 한성대의 설립자가 아닙니다. 다만 법인 이사회의 장이며 관리책임자입니다. 한성학원의 주인은 여러분 모두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습니다.여러분을 중심으로 한성의 70년 역시를 정의하고 새로운 역사를 저와 함께 써나갑시다라고 소신을 밝히고, 한성인의 동참을 호소하였다.
나) ‘교육개발원’, ‘교육역량개발센터’로 발전재학생의 학습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설치된 교육개발원은 2013, 2014년 다양한 사업을 실시하였다. 한성튜터링, 외국인유학생멘토링, 한성여고멘토링, 학습법노트 배부, 우수강의 수필공모전은 이전부터 하던 사업을 계속하여 실시하였다. 그런데 학습컨설팅, 학습법워크숍, K-CESA, 교수· 학습요구 조사 등은 2014년에 새롭게 실시되었다.2014년 3월 3일-4월 25일, 4월 21일-6월 13일, 1 차와 2차로 나뉘어 실시된 학습컨설팅은 학습진단과 학습코칭으로 구성된다. 학습진단은 학습전략검사를 실시해 현재 본인의 학습활동을 보완하고 개선된 학습전략을 계획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학습코칭은 학습컨설팅 전문가와 1:1 면담을 통해 향상된 학습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1차와 2차 각기 15 명씩 실시하였다. 학습법워크숍은 학생들이 학습전문가의 교육과 지도하에 팀원간의 토론과 실습 등을 통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케 하고, 효과적인 학습법을 익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87명이 이 프로그램을 받았다. K-CESA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6가지 핵심역량 진단평가로, 2014년 360명이평가를 받았다. 교수·학습요구 조사는 설문을 통해 학생들이 원하는 강의와 이상적 인 교수법을 파악한 후 교수에게 제공함으로써 교수의 강의 개설 및 진행에 도웅을 주기 위한 것이다. 2014년 100명에게 교수·학습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재학생의 학습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설치된 ‘교육개발원’이 2014년 12월 19일 교육역량개발센터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교육역량개발센터는 2015년 3월 기구와 조직을 확장하고, 학술연구원·직원·조교 등을 충원하고, 학생들의 교육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여러가지 사업을 수행하도록 규정을 정비하였다.교육역량개발센터는 ① 교양·전공·비교과 교육과정과 특성화 프로그램 연구·개발지원 ② 교수역량개발 연구·개발 지원 ③ 학습역량개발 연구·개발 지원 ④ 교육평가(성취도, 교육성과 등) 지원 연구·개발 및 각종 교육데이터 생성·관리 제공 ⑤ 이러닝 및 교육매체 연구·개발 제작 지원 ⑥ 기타 대학교육 관련 제도 및 교육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협력 ⑦ 대외적인 교육관련 연구 수행 사항 등의 사업을 수행하도록 규정되어 있었다.
교육역량개발센터의 조직도는 다음과 같다.
교육역량개발챔터장
그리고 교육역량개발센터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직위 인원 주요업무 전공 및 학위
교육역량개발센터의 예산도 전 해에 비하여 대폭 상향되었다.
2012 2013 2014 2015
다) 취업창업팀의 취업창업프로그램 운영
청년취업난으로 고통을 받는 학생들이 직업을 가질 수 있도록 ‘취업창업팀’을 마련하고 학생들의 취업·창업을 지원하였다. 취업창업팀에서는 크게 인턴십프로그램, 취업교육프로그램, 취업상담 및 컨설팅, 채용정보지원 등의 사업을 실시하였다.인턴십프로그램은 국내와 해외 프로그램으로 구분되며, 국내 프로그램으로는 산학협동프로그램(고용노동부 강소기업체험 프로그램, 자체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였고, 해외프로그램으로는 ICCEUSA 인턴십 프로그램, KOTRA 프로그램, WEST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중 ICCEUSA 인턴십 프로그램은 미국의 패션, IT, 경 영 등의 분야에서 인턴십을 경험하는 프로그램이었다. 학교 인턴십을 이용할 경우 최대 15학점까지 인정되고, 해외 인턴십의 경우 장흑L금이 지급되었다.취업교육프로그램으로는 취업창업캠프와 취업창업페스티벌이 있었다. 취업창업캠프에 참가하면 기업 인사담당자의 실전모의면접특강, 이력서·자기소개서 클리닉, 취업동향 및 채용 경향에 관한 취업 특강을 받았다. 그리고 취업창업페스티벌에서는 이미지 메이킹, 실전모의면접, 취업특강 등에 대한 교육을 받았다. 이 외에도 취업창업팀은 고시반 운영, 기업체 특강, 365 캠퍼스 운영, 무료 모의토익·토익스피킹 .OPIC 테스트 등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취업을 도왔다. 그리고 2013년 5월에는 10만원을 갖고 창업하여 높은 수익을 거둔 학생에게 시상하는 ‘10 Talent’ 사업을 추진하여 학생들에게 창업 경험을 제공하였다.
라) ‘2013년 대학기관평가인증’에서 모범대학으로 선정우리대학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산하기관인 한국대학평가원에서 실시한 ‘ 2013년 대학기관평가인증’에서 인증을 받았을 뿐만 아나라 모범대학으로 선정되었다. 2013년 평가에서는 97개 학교가평가를 받았는데, 우리대학은 87개교의 인증학교에 포함되고,인증학교 중 17개교만을 지정한 모범학교로 선정되었다
대혁의 사명 및 빌전, 교육, 구성원, 교육시설, 재정경영, 사회봉사 총 6개의 영역으로 진행된평기에서 우리대학은 교육과정의 틴력적 운영, 연구년 제도, 높은 애교심, 지도싱팀-과 개인진로상담이 깅점으로평기되었다. 그리고 사회봉사학점을 5점까지 부여하고, 재정의 편성과 집행과 감사 부분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도서관 개방 등 지역주민을 위한 서비스는 모범사례로 뽑혔다.한편 한국연구재단에서 발표한 ‘학문분야:별 전국대학평가’에서 우리대학의 핵과 중에서 역사문화학부는 6 위, 행정학과는 8위로평가받았다. 또 ‘학문별 영향력 학자’ 평가에서는, 행정학과의 이종수교수가 행정학분야 2 위, 경제학과의 박승록교수가 경제학분야 6위, 한국어문학부의 김동환교수가 한국어와 문학분야 13 위에 올랐다. 그리고 UDT(The UT Dallas’ Naveen Jindal School of Management) 에서 재무·회계·인사· 생산·MIS·마케팅·국제경영 국제적으로 권위가 있는 24개의 저널에 발표된 논문으로 심사한 평기에서 우리대학의 경영학과는 국내에서 7 위, 세계에서 337 위에 랭크되었다.그리고 우리대학은 2014년 4월 10일 한국언론인협회로부터 ‘2014 대한민국 참교육대상’ 시상식에서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연 연계프로그램이 높은 점수를 받아 글로벌산학협력부문의 대상을 수상하였다. 우리대학은 산학협력프로그램으로 디즈니 인턴심 엽무정힘과 교환학생학점을 획득할 수 있는 ‘Disney 인턴십 프로그램’, 미국내 기엠에서 인틴 함으로써 학점을 얻을 수 있는 ‘ICCEUSA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마) 교수님과 함께 하는 입학식2014년 2월 25일부터 26일까지 이틀 동안 강원도 횡성에 웰리힐리파크에서 ‘교수님과 함께하는 2014 입학식’을 거행하였다. 이 행사는 ‘신입생입학식’, ‘단과대학별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학사협의회’를 통합한 것으로 신입생들에게 자긍심을 심어주고, 교수님신임생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제고하기 위한 취지에서 개최되었다. 첫날에는 신입생 오리엔데이션, 신입생 입학식, 신입생 환영 행사, 학과별 친교시간의 행사가 진행되었다. 학과별 친교시간에는 교수와 조교 소개, 학과(전공) 소개, 전공과목 수강신청 안내, 궁금해요?(질의 및 응답), 기타 지체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둘째 날에는스키·보드·곤돌라·썰매 등을 타는 학생들의 야외활동 행사를 가졌다.
바) 학과 구조조정출생율의 감소 등으로 2018년부터 대학입학정원이 고등학교 졸업자수를 초과하는 역전현상이 발생하고, 2020년부터 미충원규모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교육부는 2023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대학 입학정원을 총 16만 명을 줄이기로 계획하였다. 그리고 교육부는 학교의 기본요건과 구조개혁의 실적을평가하여 일정 수준에 미달할 경우 재정지원 제한 등을 수단으로 삼아 입학정원의 축소를 강요하였다. 2014년평가에서 우리대학은 재정지원대학에서 벗어나는 대신 정원의 4%를 줄이기로 약속해야만 하였다.교육부의 제 1차 구조개혁평가에 대비하기 위하여, 우리대학은 ‘융합컨설팅학부’, ‘Emerging 산업 중심의 클러스터형 디자인 융합교육사업단’, ‘글로벌서비스무역전문가 양성사업단’, ‘한류문화콘텐츠전문가 육성 사업단’, ‘문화예술융성학부’ 등의 특성화 사업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사회의 수요 등을 고려하여 대학과 학과의 구조조정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과와 교수 간에 이해가 갈려 대립·갈등하는 진통을 겪었으나 2015년 5월 1월 2016학년도 입학정원을 공시하면서 다음과 같이 학과의 신설과 변경을 밝혔다.<표 56> 학과 구조 조정 (2015. 5. 1.)
변경사항 변경전 변경후
변경사항 변경전 변경후
우리대혁은 정원의 축소와 관련하여 학과평가제를 실시히고,평가결과가 히위인 학과의 입학정원을 상위학과 또는 신설학과에 배정하기로 결정하었다 학부(과)의 실적평가의평가영역,평가지표, 반영비율 빛평가방식은 다음과 같다.
<표 57> 학부(과) 실적평가의평가영역,평가지표, 반영비율 및 평가방식
평가영역평가지표 반영비율 평가방식
사) 학술정보관 개선
2013년 4월 학술정보관이 흠페이지를 개선하고, 도서관 로비와 그룹스터디실을 개선하였다. 로비에 의자와 테이블을 설치하고, 검색기기를 엘리베이터 옆으로 이동함으로써 학생들의 편의를 도왔다. 그리고 그룹스터디실은 방 두 개를 하나로 연결해 대형 그룹스터디실을 만들고 화이트보드와 대형 TV를 설치하였다.2014년 4월 학술정보관 로비에 일종의 오프라인 도서검색대인 브라우징 (Browsing) 서기를 설치하였다. 즉, 로비에 책장을 설치하고 신착도서, 세계문학전집, 한성권장도서, 교수저서 네 가지 종류의 책을 비치하여 학생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2015년 3월 12일에는 강순애 학술정보관장 등의 노력으로 기존의 자유열람실을 리모델링한 연속간행물실을 개방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북 카페 같은 자유로운 공간에 서 255종의 일반 잡지, 시사·교양지, 국외 학술지를 자유롭고 안락한 환경에서 열람할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나라 PC가 구비되어 있어 국립중앙도서관과 국회도서관의 자료를 손쉽게 열람·출력할 수 있게 되었다.아) 한성대신문 지령 500호 발간
1976년 12월 15일 『漢成女大學報』로 창간된 후 『漢成大學報』·『한성대학교』·『漢成大學報』『한성대신문』 등으로 제호를 변경한 『한성대신문』이 2015년 3월 16일자로 지령500호를 발간하였다. 1976년 12월 15일 창간된 『漢成大學報』는 처음에 격월간 4 면, 국한문 흔용, 세로쓰기로 발행되었다. 1978년 4월 25일 제7호부터 『漢成大學報』로, 1982년 4월 9일 제 29호부터 『한성대학보』로 제호를 변경히였고, 1983년 1월 1일부터 월간 8 면, 1984년 3월 5일부터는 격주 8·4면을 발행하였다. 1988년 1월 1일부터 『漢成大學報』로 제호를 다시 변경하였고, 그 해 8월 22일자 제111 호부터는 가로쓰기·세로쓰기 혼합 편집형태를 전면 가로쓰기 편집으로 전환하였다. 1990년 8월 27일자 제 142호부터 『한성대신문』으로 제호를 변경한 후 1994년 3월 2일 제200호부터 주간 8면으로 발행하다가 최근에는월간 8면으로 발행하고 있다.1976년 창간된 이후 수많은 학생기자들이 거쳐 갔는데 퇴임기자회에 가입된 학생기자의 수는 6기부터 37까지 총 62 명이다. 2015년 현재 편집국장, 취재부, 학술부, 사회부, 문화부에 소속된 6 명의 학생기자들이 기자로서의 사명감을 갖고 특별한 각오와 헌신적인 열정으로 신문을 발간하고 있다
『한성대신문』은 독자의 편의를 위하여 ‘세로쓰기’에서 ‘가로쓰기’로 편집방식을 변경하였다. 그러고 1986년 12월 ‘한성문학상’을 제정하고 문학작품을 응모 받아 시상한 후 1987 던부더 2000년까지는 ‘한성문화상’ 으로, 2000년 12월 1일부터는 다시 ‘한성문학상’으로 개칭하여 응모한 시와·소설 등의 직품 중에서 우수한 학생을 선정하여 시상하였다. 2000년 12월 15일에는 제 1 회 (1986)-제 15 회 (2000) 까지의 수상 작품을 모아 『한성문학상수상 직품집』을 발간하였다.2006년 ‘한성 프레스센터’로 통합된 한성대신문시는 2006년 12월 15일 칭간 30주년호를 발간하였다 2007년 6월 창간 400호 기념으로 ‘제 1 회 사진공모전’을 개최히였고, 이후 매년 이 행사률 개최해오고 있다. 2008년 1월에는 뉴스레터를 발행히였고, 2012년 1월에는 페이스랙을 개설하였다. 2014년 1월에는 ‘시사 IN’으로부터 ‘제6회 대학기자상’ 특별상을 수상덴았다. 그리고 2015년 3월에는 지령 500호 발행을 ‘한성대신문 캘리그라피 공모전’을 개최하였다.『한성대신분』 지령 500호 발간을 축하하며, 강신일 총장은 “학교의 위기를 헤쳐 나가고,사회의 분제를 해결히고, 국가와 민족의 과제를 완수하는 데 『한성대신문』이 ‘정론(正論)’의 역할을 다하기를 희망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또 “사건과 소식을 신속히 전달하것도 중요하지만, 사실을 편견과 왜곡 없이 정확히 보도하고, 다수의 의견을 존중하지만, 소수의 견해도 무시하지 않고, 무엇보다 올바른 가치가 확신되어 우리 시회를 바르게 만드는 데에,『한성대신문』이 소중한 역할을 다하기 바란다고 당부하였다. 그리고 이종훈 이사장은 지령 500호 발간을 축하하면서 앞으로 『한성대신문』이 한성대학교의 새로운 역사를 써 나아가는 데 앞장서 길잡이가 될 것을 특별히 부탁하였다.
자) IPP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형 일학습 병행제 사업 선정우리대학이 2015년 4월에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시행하는 ‘IPP (Industry Prifessional Practice) 형 일학습 병행제 사업’에 선정되었다. 3학년·4학년을 대상으로 대학교 혁엽학기와 산업체 전일제 현장훈련을 병행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 실습 제도인 이 사엽에 선정됨으로써 우리대학은 5년 동안 연간 10억 원을 지원받아 2015년 2학기부터 야간학생과 행정학과 학생을 제외한 공과대학, 사회과학대학 10개 학과 학생중 150명이 협약한 기업체에서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현장훈련 기간 동안 학생들은 현장 실무경험을 쌓고, 학기당 최대 15학점을 인정받고, 학교에서 지급되는 장학금과 기업체에서 지급하는 최저 임금수당으로 총월 120만을 지급받았다.
차) 교내 첫 건강검진 실시2013년 4월 8일부터 12일까지 연구관 전시실 1층에서 교내 대학생, 대학원생,평생교육원 재학생을 대상으로 무료건강검진을 실시하였다.(2) 시설과 환경가) 교육환경 및 편의시설 개선‘상상력으로 꿈이 이루어지는 대학, 세상을 이꿀어 갈 이노베이터를 배출하는 대학’을 위해 교육시설 환경을 개선하였다. 먼저 강의실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공사가 이루어졌다. 공학관과 창의관과 진리관·미래관의 강의실과 실습실을 개선하였다. 조명을 바꾸고, 방음벽을 설치하는 등의 공사를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수업을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학생들의 편의시설을 개선하기 위하여 2015년 3월 12일 연구관 1층 로비에 ‘상상마루’를 개관하였다. ‘상상마루’란 명칭은 경영학과 김다운학생이 제공하였는데, ‘상상’은 우리대학의 지향 목표를 표현하였고, 한옥 누마루와 유사한 마루를 조합해서 이 공간의 특정을 나타냈다.나) 공간 확충과 매입학생들을 위한 기숙사인 삼선학사 B동의 학생들을 위한 기숙사 시설의 부족을 보완하기 위하여 2014년 8월 삼선동 2가 382 번지의 주택을 매입하였다. 지하 1 층, 지상 2층 연면적 137.46㎡의 이 건물에는 학생 15 명을 수용할 수 있었다. 그리고 종합관 건축을 위한 허가조건인 진입로 확보를 위해 삼선동 2가 365 번지에 위치한 지상 1층 연면적 42.98㎡의 건물을 매입하였다.다) 종합관 신축 착공
교사확보율이 100%에 못 미치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2012년 8월 전임 정주택 총정을 위원징으로 하고 법인의 이사들과 검사, 대학의 주요보직자로 구성된 ‘21 세기 발전위원회’ 산하 ‘건축소위원회’가 ‘종합관 신축 계획’을 미련하였다. 깅신일 총장은 이 계획에 의거하여 2013년 4월 현상설계를 시행하고, 같은 해 10월 건축허가를 얻은후, 2014년 8월 7일 종합관 신축에 착꽁히고, 8월 28일 총장과 각 부서 교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착꽁식이 열렸다.2016년 S월 6일 왼공 예정 인 종합관은 연면적 22,754㎡, 지하 2층, 지상 12층의 철근콘크리트 건물로 세워질 예정이다 275억 원의 재원이 소요되는 이 건물에는 강의실 ·그룹스터디실과 아울러 편의시설인 체육장· 카페·셀러드 바 등이 갖추이점으로써 학생들의 교육과 학습 및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 뿐만 아나라 뽑한 면적의 주차장을 지하층에 확보함으로써 지상에 차가 없는 쾌적한 캠펴스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3) 세계로 뻗는 한성학원
가) 국제역량 강화 교육학생들의 영어 구사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2009년 10월 미래관 지하에 만들어진 잉글라쉬 라운지 (English Lounge)를 계속 운영하고 Group Speaking, Open Ativity를 운영하여 왔다. 2013년에는 전체 대학생을 대상으로 외국인 전임교원이 1:1 첨삭지도하거나 대화룹 통해 말하기를 지도하는 English Corner를 운영하였다. 그리고 지정주제에 대해 총 4 팀이(1팀당 5 명)이 전임교원과 겨루는 Quiz Show를 운영하였다. 2013년 그룹스피크 390명 오픈 액티비티 178명, 잉글리시 코너 1,668명, 잉글리시 라운지 퀴즈쇼에 155명이 참가하였다. 그리고 2014년에는 그룹 스피크 81명, 오픈 액티비티 150명, 잉글리시 코너(라운지 아워) 2,517명 잉글리시 코너 (Writing Spot) 1, 567명, 잉글리시 라운지 퀴즈쇼에 232 명이 참가하였다.나) 해외봉사 및 학생활동학생들의 경험축적과 국제적 안목을 넓하기 위한 취지로 2006년부터 시작된 해외봉사는 강신일 총장 재임 기간에도 계속되었다, 2013년 여름에는 15 기 25 명의 학생이 우즈베키스탄, 겨울에는 20명의 학생이 태국에서 봉사활동을 하였다. 그리고 2014년 여름에는 17 기 20명이 우즈베키스탄, 18 기 20명의 학생이 태국에서 봉사활동을 하였다.
그리고 2003년도에 시작된 ‘한성인 사랑하기부터 한민족 사랑하기’ 행사가 계속되어, 2013년에는 30명의 학생이 일본 훗카이도 일대를 탐방하였다. 그리고 2014년에는 31 명의 학생이 중국의 상해·항주·소주·주장 일대를 탐방하였다.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 사업 선정2013년 11월 한국국제협력단(KOICA) 에서 추진한 ‘2014년도 대학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KOICA 종료 프로젝트 사후관리 사업’에 선정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대학은 2014년 ‘몽골정부 통합데이터 구축사업 사후관리 사업’과 ‘콜롬비아 국립도서관 역사자료 디지털화·보존역량강화사업의 사후관리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이 사업의 수주는 학생들에게 해외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줌으로써 본교가 세계로 뻗어나가는 발판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2014년 4월 4일 몽골에서 오종근(산학협력단)교수는 ‘몽골정부 통합데이터 구축사업 사후관리 사업’의 착수보고를 하였다. 그리고 2014년 8월 25일(월) 오후 2시 몽골 울란바트로 투신호텔에서 정보보안에 관한 학술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이 학술회의에는 사업책임자인 우리대학의 오종근교수, KOICA 몽골 사무소의 우동완 부소장 등 관계자 50명이 참석하였다.
2014년 12월 한국국제협력단(KOICA) 에서 발주한 ‘2015년도 아카데미 협력사업 및 국제개발 이해증진사업’에 선정되었다.라) 국제교류협약 체결 대학의 증가강신일 총장 재임기간 동안 외국대학과 국제교류협약을 체결한 수가 대폭 증가하였다, 2013년 3월 28일 미국 California State University, Fullelton( 이하 CSUF) 과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하였다, CSUF는 미국 남부 캘리포니아 Los Angeles area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근에는 Hollywood, Disney Land가 위치하고 있다, 2013년 8월에는 미국 Montclair State University와 학생교환협정을 체결하였다. 미국 뉴욕인근(30분 거리)뉴저지 몽클레어에 위치한 MSU는 본교에 2008년 디즈니프로그램으로 교류를 시작하였으며 그동안 본교의 재학생들이 방문학생으로 파견되었고, 2012년에는 단기 영어강의 연수과정에 본교 교원을 파견한 바 있었다. 2014년 1월에는 이태리 밀라노에 위치한 Accademia di Belle Arti di Brera와 학술교류협정을 제결하였다 Accademia di Belle Arti di Brera는 1776년에 개교하였으며 Department of Visual Arts, Department of Design and Applied Arts 등 3개 전공에 3,800명의 학생들이 재학중이다. 유럽대학과의 교류대학 발굴이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었고, 예술대학 학생의 교류에 도움이 되었다. 2014년 4월 1일에는 한국인이 몽골에 설립한 대학 중 최대 규모이고 현재 5개의 단과대학과 28개 학부전공 약 3500명의 학생이 재학하는 몽골 울란바타르대학(총장 오덕교)과 학술교류 협정을 제결했다. 한성대학교는 울란바타르대학과 앞으로 교원, 학생, 학술자료 및 학술정보, 양교가 협의한 기타 교류활동 지원하기로 약속하였다. 2014년 8월 6일에는 중국 하북(河北)성에 위치하고 약 20,000 병의 학생이 지1 학하는 중국의 연경이공학원(減京理工學完)과 학생교류협정을 체결하었다 2014년 8월에는 미국 Northern Michigan University( 이하 NMU)와 학생교환협정을 체결하었다. 미시간주 북
쪽 Marquette 지역에 위치한 NMU는 1899년에 설립한 주립대학교로 3개 단과대학 (Art & Design, Business, Health Science & Professional Studies) 에 8,500 병의 학생이 재학중인데 특히, Graphic Design, Painting, Sculpture 등 우수한 예술프로그램을 운영중이어서 본교 예술대학 학생들에게 좋은 기회를 제공해주었다. 2014년 9월 16일에는 중국의 수도시범대학 과덕학원( )과 학술교류협정 및 학생교류프로그램 협정을 제결하였다. 중국 수도사범대학 과덕학원은 중국 북경시에 위치해 있으며 예술분야에 특회펀 대학이다 2014년 9월에는 미국 University of Wisconsin La-crosse( 이하 UWL)가 학생교환 협정을 체 결하였다. 미국 중부 명문인 UWL은 재학생 5개 대학(Business, Liheral Studies, Art& Communication, Science&Health, Education) 91개 전공에서 1 만여 명 의 학생들이 공부하는 University of Wisconsin System 소속의 주립 대학이디 2014년 10월 14일에는 태국의 치앙라이 라차핏 대학(Chiang Rai Rajabhat University)간 국제교류협정을 체결하였다. 태국 치앙라이 라차팟 대학은 1992년 설립되어 왕립대학교의 성격을 지녔으며, 27,000여명의 학생 및 교직원, 13개 학부 / 69개 학과로 구성되어 있다. 본 협정은 국제교류협력 및 코이카사업의 원활한 협력을 위해
체결되었다. 2015년 6월 18일 미국 Missouri Southern State University( 이하 MSSU)와 학생교환협정을 체 결하였다. MSSU는 1937년 설립된 미주리소속 주립대학으로 학생수 약 6,000명 정도의 소규모 종합대학이다. School of Arts & Science, School of Business, School of Education, School of Health Science 4개 단과대학이 있으며 예술대학내에 Art-Graphic,Visual, Studio 등 전공이 개설되어있어 본교 관련 예술대생에게 도움이 되는 대학이었다. MSSU에서는 교환학생 정원외에 한성대에서 파견되는 방문학생에게는 In-state Rate(50% 장학금)을 제공하여 저렴한 연수기회를 제공하였다.
2013년 9월 13일 제 18 기 엠배서더 결연식이 체결되어 30명의 한국인 학생들과 30명의 외국인 학생들이 결연식을 맺었다. 한국인 학생들은 11월 말까지 외국인 학생들과 함께 한국문회를 학습하면서 외국어를 학습하고, 외국인 학생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쳐 주었다.2013년 5월 22일 국내에 거주하는 대학생·대학원생·결혼 이주여성 등을 위한 ‘제 2회 외국인 한국어 뽑내기 전국대회’가 낙산관 대강당에서 개최되었다. 강신일 총장은 “세계가 하나로 통합되고 있는 지금 다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하며 다문화에대한 이해와 외국인에 대한 배려를 당부하였다. 이 대회에서 ‘희극외국인들’이라는 발표를 한 ‘대한민국 사랑한다’텀이 1등을 하여 300만원의 상금을 받았다.
2014년 6월 21일 낙산관 대강당에서 ‘제3 회 외국인 한국어 뽐내기 대회’가 개최되었다. ‘외국인유학생 글쓰기 대회’도 통합된 제3 회 대회에서는 한국어를 가장 잘하는 팀에게 ‘청산유수상’, 팀워크가 가장 좋은 팀에게 ‘일심동체상’,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준 팀에게 ‘공감백배상’을 신설하여 다양한 팀에게 수상하였다. 제3회 대회에서는 ‘한국어 어렵지 않아요’라는 주제로 큰 호응을 얻은 ‘몽고리아팀이 1등의 영예를 안았다.마) 지역사회와 협력우리대학은 대외적인 팽창뿐 아나라, 지역사회와의 협력에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2014년 4월 7일부터 25일까지 성북구 다문화 가정의 아동을 위한 멘토링 활동을 전개하였다. 우리대학의 학생 약 20명은 멘토로 다문화 가정의 집을 방문하여 아동에 대한 학습지도, 미술·음악·체육 활동 및 고민상담, 진로상담을 하였고, 아동들과 함께 문화체험 학습 활동을 벌였다.학생들은 이 활동을 통해 디문화 가정 및 사회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미래 한국 시회의 변화 양상에 대응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을 뿐만 아나라 ‘사회봉사활동 증명서’, ‘언어교육원장 명의의 활동 증명서’를 발급받았다.
2014년 5월에는 세월호사건으로 큰 아픔을 겪은 단원고 재학생들을 위해 본교의 재학생과 박사총원우회의 회원 등이 565만원의 성금을 모아 단원고에 전달하였다.v. 한성학원의 졸업생들
v. 한성학원의 졸업생들
한성학원은 설립 이후, 70년 역사 속에 중학교 24,198명, 고등학교 39,314명, 대학교 32,568명 (2015년 기준)의 졸업생들을 배출하였다. 한성학원의 졸업생들은 사회에 나아가 학술연구, 정치, 언론, 문화예술, 스포츠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한 활약을 보이고 있다5.1 한성여자중학교5.1.1 학술·교육인한성여자중학교는 교육 분야의 뛰어난 인재를 많이 배출하였다. 이혜령 (1973년 졸업생)은 방송통신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서울특별시교육청 장학관 윤신덕 (1979년 졸업생)을 비롯하며 많은 동문들이 교육계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졸업년도 성명 주요경력 비고
5.1.2. 언론인
중앙일보 문화부 이지영(1986년 졸업)차장과 극동방송 PD 이자 아니운서였던 조수진(1987년 졸업)은 한성여자중학교의 졸업생이다. 조수진 PD는 1994년 극동방송에 입사한 후 <굿모닝 febc), <행복채널> 제작과 <쉼터가 있는 오후> 연출 및 진행을 맡았으며 극동방송 PD협회장을 역임하였다.졸업년도 성명 주요경력 비고
1986 이지영 중앙일보 문화부 차장1987 조수진 (전)극동방송 PD겸 아나운서5.1.3 전문직업인
한성여자중학교는 칭학기부터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을 추구하는 사펌 기초능력을 토대로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을 육성시키는 전인교육에 노력하여 왔으며 그 겔과 많은 졸업생들이 다양한 전문분야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우리나라 최초 여성 특급호텔 총지배인으로 화제가 되었던 김숙자 한성여자중학교 1973년 졸업생이다. 김숙자 동문은 대학에서 비서학을 전공하고 1983년부터 호텔과 인연을 맺기 시작해, 그랜드하앗트서울에서 비서실, 판촉, 마케팅, 홍보 등의 영역을 섭렵하며 실무를 쌓았으며, 여성 특유의 감각과 섬세한 판단력, 강력한 실행력으로 높이 평가되었다.우리나라 상하이 외국인 중의사 1 호인 홍원숙 의학박사 또한 한성여자중학교 1984년 졸업생이다. 홍원숙 동문은 대학을 졸업하고 1993년 중국으로 유학가서 대학원과정에서 ‘중국 국가 유학기금 관리위원회의 우수 외국 유학생 장학금’으로 연구했고, 상해중의대부속 쉬광(쉬광)의원 국제건강센터, 상해중의대부속 룽화( )의원 외국인진료실 과장을 거쳐 민항구 중의의원 부주임 의사로 근무하고 있다.
졸업년도 성명 주요경력 비고
5.1 .4 4·19 혁명과 진영숙 학생
1960년 4월 19일 당시 한성여자중학교 2학년이었던 진영숙 양이 학생 시위운동에 참여하여 순국하였다. 진영숙 양은 4. 19혁명 당시 한성여자중학교 2학년이었으며, 시위에 나가면서 어머니께 드리는 편지에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을 각오하는 마음을 드러냈다. “어머님께, 시간이 없는 관계로 어머님 뵙지 못하고 떠납니다. 저는 아직 철없는 줄 압니다. 그러나 국가와 민족을 위하는 길이 어떻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어머님께, 끝까지 부정 선거 데모로 싸우겠습니다. 지금 저와 저의 모든 친구들 그리고 대한민국 모든 학생들은 우리나라 민주주의를 위하여 피를 흘립니다 …어머니, 우리들이 아니면 누구가 데모를 하겠습니다. 저의 모든 학우들은 죽음을 각오하고 나간 것입니다. 저는 생명을 바쳐 싸우려고 합니다 …어머니는 저를 사랑하시는 마음으로 무척비통하게 생각하시겠지만 온 겨례의 앞날과 민족의 해방을 위해 기뻐해 주세요 이미 저의 마음은 거리로 나가 있습니다. 부디 봄 건강히 계세요
진영숙 학생은 1960년 4월 19일 오후 4시 학교가 끝난 뒤 집에 돌아왔다가 시위에 나서기 전 자신을 카워준 어머니께 위의 편지를 남기고 시위 버스에서 구호를 외치다 미아라고개에서 경찰의 발포로 목숨을 잃었다.우리학교는 진영숙 학생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1960년 5월 17일 학교 교정에서 위령제를 거행히고 1962년에는 중학교에서 명예 졸업장을 전달하고 교내 삼학송 옆에다 추모비를 세우고(현재는 없어짐) 그의 정신을 기리고 있다.
[그림 8] 故진영숙 동문 (출처 : 국가보훈처)
5.2 한성여자고등학교
5.2.1 학술·교육인한성여자고등학교는 학술, 연구 분야의 뛰어난 인재를 많이 배출하였다. 한성여자고등학교 졸업생들은 매년 국내외 많은 공모전과 학술 대회에서의 뛰어난 활약을 보여왔으며, 김영희(1973년 졸업생) 동남보건대 교수를 비롯하여 많은 동문들이 각 영역에서 학문의 발전에 기여히고 있다.
졸업년도 성명 주요경력 비고
5.2.2 정치·법조인
백명인 21 세기 강원여성 포럼대표는 1960년 한성여자고등학교 졸업생으로, 35 여년간 양성평등과 여성인권 신장에 앞장선 공로로 2006년 자랑스런 강원여성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또한 제 17대 국회의원 김선미 의원은 한성여자고등학교 1979년 졸업생이다 김선미 의원은 남편 심규섭 의원이 갑작스럽게 사망한 후, 2004년 남편의 지역구였딘 안성에서 출미해 17대 국회의원에 당선돼 화제를 모았다.평범한 주부에서 국회의원으로의 화려한 변신을 보이며 한부모 가정에 쏟아지는 사회적 편견을 없애는 데 앞장서는 정치인으로평가되고 있다.졸업년도 성명 주요경력 비고
1960 백명임 21세기 강원 여성 포럼 대표1979 김선미 17대 국회의원5.2.3 언론인
한성여자고등학교는 방송부의 뛰어난 활약:을 보이며 언론 분야의 뛰어난 인재를 많이 배출하였다. 이지희(1991년 졸업생) 아나운서, 채희선(2001년 졸업생) 충주방송국 아나운서를 비롯하여 많은 졸업생들이 언론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히고 있다.
졸업년도 성명 주요경력 비고
5.2.4 문화·예술·체육인
한성여자고등학교는 건립과 함께 여러 가지 재정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일반 교육활동에서 성취하기 어려운 특별 교육을 통해 예술교육에 노력하여왔다. 그 결과, 한성여지중·고등학교의 졸업생들은 문화 예술분야에 더욱 뛰어난 성과를 이루며 한성여고의 이름을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특히 한성여자중·고등학교의 학생 특별활동 동아리인 서예부는 1960년대 후반 서예가로 활동하셨던 신딜-우 선생님의 지도하에 학생들이 전국대회에서 여러 차례 수상히였으며,그 당시 활동하였던 졸업생들이 중심이 되어 현재까지 ‘한묵회’라는 서예연구회를 조직하여 매년 전시회를 개최하는 등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한묵회는 한성여자중학교 낙산 신달우 선생으로부터 서예교육을 받았던 한성여자중·고등학교 졸업생 동문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서예회이다. 1969년 한성여자중학교 서예부가 창립되고 전국 규모의 휘호 대회에서 단체상 및 개인상을 석권하던 졸업생들이 주축이 되어 1978년 본교 서예실에서 제 1 회 한묵회 전시회를 개최한 이래, 매년 11월 제 2회부터는 교외로 발판을 넓혀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한묵회는 회원들의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의 결과로 서예계의 최고의 영예인 국전과 서예 대전에서 두각을 나티내기도 하였다. 신상회는 국전 입선 3 회, 대한민국 서예 대전 특선 2 회, 입선 6회의 수상 경력을 지니고 있으며 국전초대 작가로 활약하고 있다.
탤런트, 영화배우 등 연예계 분야에도 한성여자고등학교 졸업생들이 많은 활약을 보이고 있다. 자매 모델이자 댈런트로 뛰어난 활동을 보이고 있는 변정수(1993년 졸업), 변정민(1 995년 졸업)은 한성여자고등학교의 졸업생이다.한성여자고등학교는 체육 분야에 뛰어난 성과를 보여 왔다. 학교 설립자인 김의형 선생은 체육대학 출신의 체육인으로 ‘여성 건강은 나라의 보배’라는 뚜렷한 신념 아래 여학생 체육 교육 육성을 위하여, 탁구부, 정구부, 핸드볼부, 육상부, 배구부 등이 운영되어 ‘체육 한성’의 전통을 이루어냈다. 1950년대와 60년대 초는 탁구부의 활약이 가장 돋보였던 시기로, 전국체전을 비롯하여 각종 대회를 수십 차례 석권하는 위엄을 보였다. 핸드볼부도 1959년 창립된 이후 국내 중고등부 핸드볼부 시합의 우습을 휩쓸었으며 일본 체육대학의 초정을 받아 해외 원정까지 나아가 우승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정구부는 1962년 서울대표 선수권에 진출한 것을 시작으로 하여 1965년 한일친선 경기를 나가는 실력을 과시하였다. 육상부는 설립자 우촌 선생의 각별한 관심과 지도하여 육성되어 가장 많은 성과를 이루어냈다. 국내외 각종 대회를 석권하며 기장 많은 우승기와 우승컵을 획득하였다. 배구부는 1962년 5. 16 기념 배구대회 우승을 필두로 각종 배구대회에 참가해 우승을 차지하였다.
현재 한성여자고등학교는 체육부 대신 학교스포츠클럽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핸드볼과 넷볼을 중심으로 활성화 시키면서 설립지님의 체육정신을 이어나가고 있다. 스포츠 클럽 지원금을 조성하여 스포츠 클럽학생들이 경기에 참가하는 것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최근 핸드볼부는 2015년 학생전국학교스포츠클럽 핸드볼대회이l 서 전국 우승을 차지하는 쾌거를 이루며 그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졸업년도 성명 주요경력 비고
5.3 한성대학교
5.3.1 총동문회1977학년도 제 1 회 학위수여식에 90명의 동문을 배출한 이후 2014학년도 38회 전기학위수여식 때 1,213 명의 동문을 합쳐 지금까지 배출된 한성대학교의 동문 수는 총 32,568 명이다. 1977년 7월 1회 졸업생 국어국문학과 조인자 동문의 발기로 동문상호간 친목도모와 모교 발전의 터전 마련을 목적으로 조직된 총동창회의 초대 회장에 조인자 동문을 선임하였다. 조인자 동문은 재학중에 학도호국단 대대장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구분 학번 학과 성명 재임기간 주요경럭
10 1979 사 정영진 1989 - 1990 〃
구분 학번 학과 성명 재임기간 주요경력
5.3.2 학술·교육인
한성대학교 학생들은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연구 성과를 거두며, 다수 분야의 각종 논문 공모전을 수상하였다 한성대학교 학생들의 학술 연구에 대한 성과는 여러 학술분야에 기여를 하였다. 한성대학교 사학과 대학원 졸업생인 정동일은 재학당시, 논쓰다 1994년 12월 국내 처음으로 연산군 금표비를 발견하였다 경기도 고양시 대자동 금천군 묘역에서 발견된 금표비는 한국 시학계에 큰 관심을 일으겼고, 이 발견 사실은 각 일간지마다 일면 기사로 다루어졌다. 이 금표비는 국분학과 정후수 교수의 고증을 거쳐 연산군대의 금표비임이 입증되었다. 금표비는 왕의 사냥터를 표시하고 일반인의 출입을 금하기 위해 세운 비이다. 금표지역은 고잉 파주, 양주, 서울, 인천 일대로 지나치게 넓었는데 그 기운데서도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곳이 고양지역이었다. 현재 금표비는 1995년 8월 7일 경기도문화재자료 제88호로 지정되었으며, 정동일 졸업생은 고양시 문화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또한, 74학번 국어국문학과 이혜숙 동문이 혜전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부임을 시작으로 많은 동문들이 교육 분야에 진출하여 뛰어난 활약을 보이고 있다. 75 학번 엄미숙 동문은 모교 출신으로는 최초로 우리대학 영어영문학부 교수로 재직하여 후학 양성에 앞장서고 있다.80학번 사학과 박재련 동문은 많은 아이돌 스타를 비출하여 연예인 사관학교로 불리는 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 교장으로 재직 중이다.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80 국어국문 전장배 현)한성대학교 총무처 부처장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85 회화 박혜란 현)한성대학교 총무처 팀장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5.3.3 공무원
1999년 행정자치부 여성 1 호 서기관인 유은숙은 한성대학교 영문학과 77학번 졸업생이다. 유은숙 동문은 행정자치부가 단행한 본부장· 팀장 서열파괴 발탁인사에서 특히 관심을 끈 인물로, 9급 출신 계장에서 팀장으로 발탁된 홍일점로 세간의 큰 화제가 되었다. 유은숙 동문은 정보처리기술사와 컴퓨터 공학박사로 자타가 공인하는 컴퓨터 분야 최고 전문가로 평가되고 있다. 유은숙 동문은 안전행정부 한국지역정보개발원 기획조정실장을 거쳐 현재 공공데이터분쟁조정위원회 상임위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80학번변광화 동문은 교육부에서 오랜 기간 재직하다 인천시 부교육감을 역임히고 현재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학번 학과 서o 며o -?「 ;」。↓켜。려「 비고
1 영어영문 이지한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이사장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87 영어영문 김경석 한국콘텐츠진흥원 인프라지원팀장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5.3.4 정치인
80학번 회화과를 졸업한 이정선 동문은 18대 한나라당 국회의원이자 한나라당 부대변인을 역임하였다. 이정선 의원은 리포터로 장애인 관련 방송을 맡으며 그들을 더 깊이 이해히고 그들을 위한 활동을 하며 정치에 입문하게 되었다. 이정산 동문은 장애인 방송인으로 널리 알려진 인물로, 2002년 제6대 서울시의원에 비례대표로 당선되면서 정치에 입문했다. 이정선 동문은 2002년 대선 때에는 한나라당 중앙선대위 부대변인과 중앙선대위 장애인위원회 상임부위원장으로 활동했고,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대변인실 상근자문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5.3.5 경제 · 기업인
영어영문학과 80학번 동문인 한서상호저축은행 김태호 대표이사를 비롯하여 한성대학교의 많은 졸업생들은 경제단체, 금융기관, 다양한 기업체 등에 종사하면서 경제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88 무역 최삼섭 대림산업 상무
5.3.6 언론·방송인
80학번 사학과 김영일 동문은 84년도 졸업과 동시에 MBC에 입사하여 보도국 기자, KNN(SBS부산경남 네트워크 새 방송본부장, iKNN대표이사를 역임하고 현재 부산외국어대학교 영상미디어학과 겸임교수로 부산 시청자 미디어센터 센터장으로 재직중이며 78학번 경영학과 황제연 동문은 85년 KBS 에 입사 TV드라마제작국 PD, 외주사업부 부장을 거쳐 현재 방송심의위원으로 재직중이다.SBS 드라마 ‘용팔이’를 비롯하여 ‘프라하의 연인’, ‘파리의 연인’ 등을 연출한 오진석 PD는 국문학과 97학번 동문이다. 오진석 PD는 2015년 작품 ‘용팔이’로 그리메상 촬영부문상을 수상하였다. 그리메상 촬영부문상은 한국방송촬영감독연합회 (K1PA) 에서 1993년 제정하여 지난 1년 동안 각 방송사에서 제작한 다큐멘터리 및 드라마 부분에서 뛰어난 영상미와 실험적인 영상을 추구한 촬영감독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5.3.7 문화·체육·예술인
한성대학교는 예술대학윤 중심으로 미술, 무용, 영화 분야의 뛰어난 인재률 많이 배출하였다. 특히, 한성대학교는 1980, 1990년대 탁구부를 중심으로 한 교내 체육활동이 활발하였으며, 대통령기 전국탁구대회를 비롯하여 여러 대회에서 수성을 하여 학교의 이름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때 탁구부의 눈부신 활약의 주축을 이루었던 동문들이 바로 영어영문학과 79학번 김 완, 무역학과81 학번 김기택, 국이국문학과 88학번 홍차옥 동문이다. 김 완과 김기택 동문은 2년 선후배 사이로 70~80년대 한국탁구의 쌍두마차로 일컬어진다 김완과 김기택 동문은 탁구 국가대표로서 1986년 아시안게임 단체전 우승, 1981년 미국 us 오픈대회 개인복식 우승, 1985년 세계월드겹 남자 개인 단식 준우승을 이루고 공식은퇴 후, 부천시청, 여수시청 김독을 역임하고 현재는 주니아 국가대표팀 김독으로 휠동 중이다 김기택 동문은 1988년 서울올림픽 대회 개인단식에서 은메달을 획득하고 1991년 국가대표로서 공식 은퇴 후, 제일모직, 삼성생명 등 섣엠팀의 지도자료 뛰었디 현재는 김기학 탁구클럽을 운영하며 생활체육 지도자로 변신했다. 1991년 우리나라 스포츠 시상 처음으로 탁구 종목이 남북 단일팀을 구성하여 일본 지바에서 열렌 세계대회에 출전하여 여자단체에서 막강한 중국을 격파하고 우승하였다. 그 우승의 주인공인 홍차옥 동문은 우리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생이다. 홍차옥 동문은 현정화선수와 복식팀을 이루어, 1990년 제 11 회 베이징아시안게임 탁구 여자복식 금메달, 같은 해 제 1 회 세계복식컵 대회 우승, 1991년 제 41 회 지바 세계선수권대회 여자단체 금메달, 1992년 제 25 회 바르셀로나 올림픽 여자복식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현재는 대학교단에서 교육자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한성대학교 회화과 85학번 동문인 김승진 선장은 2014년 10월 19일 아라파니호를 타고 충남 딩진 왜목항을 출발해 칠레의 케이프 혼, 아프리카 최님단 희망봉, 인도네시아 순다해협을 잇따라 통과하고 209일 만인 2015년 5월 16일 왜목항으로 입항하였다. 이어 김승진 동문은 2014년 9월 12일과 13일 양일간 전라북도 부안군 격포항에서 개최된 제 1 회 새만금 국제요트대회에 요트팀 ‘아라파니호’(선장 김승진)로 출전했다. 이날 출전한 아라파니호에는 한성대학교의 로고 및 이미지가 요트의 선체와 대형 돛에 부착되어 있었다행정학과 90학변 졸업생인 임영수 동문은 국내 첫 프로게임팀 SG 슬기를 창단한 매니저이자 감독이다. 1998년 임영수 동문은 국내 최초 프로게임단을 출범하고, 국내 첫 프로게이머 신주영의 매니저로 활동하였다. 임영수 동문은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의 하나인 스타크래프트의 전략과 전술을 개발하는 게임분석가로, 현재 청강문화산업대 게임학과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그림 9] 홍차옥 동문(왼쪽). 현정화선수와 홍차옥 동문(오른쪽)
학번 학과 성영 주요경력 비고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그림 10] 김승진 동문과 요트 (출처 : 동아일보)
5.3.8 전문직업인
87학번 경영학과 안성용 동문은 공인회계사 시험에 합격하고 사법고시에 합격한 유일한 동문이다. 86학번 경영학과 신윤칠 법무시를 비롯하여 많은 졸업생들 공인회계사, 법무사, 변리사, 세무사, 관세사 등 전문분야에서 뛰어난 활동을 보이고 있다.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5.4 한성대학교 대학원
5.4.1 총동문회1987년 10월 경영행정대학원을 신설하여 경영학과 40명, 행정학과 40명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그 이후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석사과정을 포함해, 경영대학원, 행정대학원, 예술대학원, 국방대학원, 지식서비스 & 컨설팅 대학원, 부동산대학원, 교육대학원이 설치되었다 2014학년도 38 회 전기학위수여식 때에는 258 명의 동문을 배출하였다. 한성대학교에서 배출된 박사 244 명과 석사 4,284 명 등 총 4,500명 이상의 동문은 사회 각분야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5.4.2 학술·교육인한성대학교 대학원은 학술, 연구 분야의 뛰아난 인재를 많이 배출하였다. 국립경찰대학 학장을 역임하고 있는 07학번 행정학과 박사 김정식 동문을 비롯하여 많은 동문들이 각 학문영역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구분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구분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5.4.3 공무원·군인
한성대학교 대학원은 01학번 경영학과 박사 최호 중령, 05학번 경영학과 박사 김판규 육군참모총장, 05학번 경제부동산학과 박사 정태식 재정경제부 사무관 등 관계와 육, 해, 공군의 뛰어난 인재를 많이 배출하였다.
구분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럭 비고
구분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석사
구분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07 국제대학원 신봉수 75사단 대령
구분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5.4.4 정치인
한성대학교 대학원은 05 번 행정학과 박사 이미성 전 서울시위원, 05학번 행정학과 박사 김판규 현 서울시위원을 비롯하여 정치계의 뛰어난 인재를 많이 배출하였다.
구분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구분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석사 08 행정대학원 최미경 영등포구의원99 행정대학원 박동수 성북구청 국장5.4.5 경제·기업인
경영학과 박사 83학번 동문인 J&K 주식회사 김종원 대표이사를 비롯하여 한성대학교 대학원의 많은 졸업생들은 경제단체, 금융기관, 다양한 기업체 등에 종사하면서 경제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구분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구분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석사
5.4.6 언론·방송·출판인
한성대학교 대학원의 많은 졸업생들은 언론, 방송분야에서 뛰어난 활동을 보이고 있다. 06학번 경제부동산학과 동문 전창원 박사는 MBN에서 기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08학번 경제부동산학과 유은길 박사는 wow 한국경제 TV 선임기자로, 여러 대학원 동문들이 언론, 방송계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구분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5.4.7 전문직업인
한성대학교 대학원의 많은 졸업생들은 공인회계사, 법무사, 변리사, 세무사, 관세사 등 전문분야에서 뛰어난 활동을 보이고 있다. 06학변 경영학과 박사 삼일회계법인 대표고문, 08학번 경영학과 박사 이정학 세무시를 비롯하여 많은 대학원 동문들이 공인회계사, 법무사, 변랴사, 세무사, 관세사 등 전문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구분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구분 학번 학과 성명 주요경력 비고
부록
한성학원부록
한성학원 연혁1945. 9. 25. 설립자 김의형 선생 경성여자기예학교 인수1945. 10. 5. 한성고등여학교 개교, 한성고등여학교 재단 설립1946. 4. 9. 한성고등여학교 6년제 12학급 인가, 대표설립자 겸 교장 이창기, 부교장 김의형1946. 7. 5. 한성여자중학교로 교병 변경1946. 12. 5. 본관을 2층으로 증축, 강당 준공1947. 7. 김의형 한성여자중학교 교장 취임, 이창기는 명예교장 취임1951. 8. 31. 학제 변경으로 한성여자중학교와 한성여자고등학교로 분리 각 6학급 300명 인가1952. 5. 31. 한성여자중·고등학교 교장에 김의형 선생 취임1953. 1. 21 재단법인 한성학원 설립 인기(문교부 : 문화 제1665호)한성학원 초대 이사장에 설립자 김의형 선생 취임
1955. 2. 1 천일염전 한성제염시를 법인경영체로 운영1958. 5. 13. 한성학원 제2 대 이희순 이사장 취임, 제6대 이사장까지 역임1958. 12. 22. 한성여자고등학교 신축교사 준공(현 진리관 건물)1961. 10. 5. 과학관(현 지선관 건물) 준공1963. 12. 7. 실내체육관 준공1964. 1. 24. 재단법인을 학교법인으로 조직 개편1967. 10. 5. 경기도 팔당 소재 학생수련관 의화장 매입1971. 7. 20 국제공인 규격의 낙산수영장 준공1972. 12. 21. 한성여자대학 설립 (6개학과 150명)1973. 3. 5. 한성여자대학 초대학장에 김의형 선생 취임1977. 1. 6. 한성여자중학교 제8대 김영희 교장 취임, 제9 대 교장까지 역임1977. 3. 1 한성여자고등학교 제9대 임양수 교장 취임, 제 10 대 교장까지 역임한성여자대학 제 2대 이희순 학장 취임1977. 3. 30. 제7 대 이사장 김의형 선생 취임, 제8대 이사장까지 역임1978. 1. 11. 한성여자대학을 한성대학으로 교명 변경
1979. 3. 한성대학 제3 대 김옥형 학장 취임1981. 11. 6. 제9 대 안호상 이사장 취임, 제11 대까지 역임1981. 12..29. 종합관 준공(현 한성야중)1982. 2. 1. 한성여자중학교 제1O대 염홍천 교장 취임, 제 11 대 교장까지 역임1982. 2. 19. 한성대학 제4 대 강병규 학장 취임1983. 3. 1. 한성학원 설립자 김의형 선생 타계1983. 3. 4. 한성학원 설립자 김의형 선생 학원장 거행1984. 9. 5. 한성대학 제5대 홍순태 학장 취임학생복지관 준공(현 창의관)1984. 12. 4. 한성대학 ROTC 창설1985. 5. 14 한성여자고등학교 제11대 염홍천 교장 취임, 제12대 교장까지 역임1986. 8. 12. 한성여자중·고등학교와 한성대학 간 교사 이전1987 3. 2. 한성여자중학교 제12대 김인자 교장 취임1987. 8. 25. 대학 본관 우촌관 준공1987. 10. 경영행정대학원 신설(경영학과 40명, 행정학과 40명)
1988. 8. 22. 한성대학 제6대 신영기 학장 취임1989. 11. 대학원 신설(국어국문학과, 사학과, 무역학과 계36명)1989. 4. 1. 한성여자중학교 제15대 윤성열 교장 취임1990. 2. 27. 과학관 준공(현 공학관), 전자계산소 개소1991. 2. 13. 한성여자중학교 제13대 송대빈 교장 취임한성여자고등학교 제 13 대 김인자 교장 취임1991. 4. 1. 한성대학 제7 대 원형갑 학장 취임1992 2. 15. 제12 대 서정희 이사장 취임1993. 3. 1. 한성대학교 종합대학교 승격, 한성대학교로 교명 변경한성대학교 초대 원형갑 초대 총장 취임한성여자중학교 제 14 대 김인자 교장 취임1995. 3. 2. 한성여자고등학교 제 14대 윤성열 교장 취임, 제 15대까지 역엠1995. 5. 제13대 김옥자 이사장 취임한성대학교 제2대 이용남 총장 취임1998. 1. 15. 제14대 박병호 이사장 취임
1998. 7. 6. 제 15 대 차인석 이사장 취임1998. 10. 14. 한성대학교 제3대 이성근 총장 취임1999. 2. 28. 강의동 준공(현 탐구관)1999. 7. 1. 한성여자중학교 제 16 대 김신길 교장 취임2000. 1. 31. 제16대 이사장 김채윤 박사 취임2000. 11. 13. 한성여자중학교 제 17 대 고춘식 교장 취임2001. 8. 20. 제 17대 이상희 이사장 취임2001. 9. 22. 대학로 에듀센터 매입2002 4. 한성여자고등학교 정보관 준공2002. 9. 한성대학교 연구관 및 인성관 준공2002. 10. 14. 한성대학교 제4대 한완상 총장 취임2003. 3. 1 한성여자중·고등학교 통합행정실을 분리2003. 8. 12. 제 18대 손봉호 이사장 취임2003. 8. 한성대학교 미래관 준공2003. 9. 1. 한성여자고등학교 제 16대 구영희 교장 취임
2004. 10. 18. 제 19 대 장회익 이사장 취임2005. 2. 낙산관 준공2005. 3. 1. 한성여자중·고등학교 주5일제 수업 운영한성대학교 제5 대 이사장 윤경로 총장 취임2005. 9. 1. 한성여자중학교 제 18대 이광우 교장 취임2006. 1. 17. 제20대 신용하 이사장 취임2006. 8. 9. 한성여자고등학교 제 17대 김동화 교장 취임2007. 8. 한성여자중학교 신관 준공2008. 3. 1. 한성여자중학교 제 19대 김태정 교장 취임2008. 10. 15. 한성대학과 한성여고간 교류지원 협약(멘토링제, 장학금 특전 등)2009. 3. 1. 한성대학교 제6대 정주택 총장 취임2009. 7. 27. 한성대학교와 한성여고간 교육실습지정학교 협약2010. 1. 4. 제 21 대 이희순 이사장 취임2010. 2. 13. 한성여자중학교 제13 대 송대빈 교장 취임2010. 9. 1. 한성여자고등학교 제 18 대 구순희 교장 취임
2012. 3. 1. 한성여자중학교 제 20대 이경철 교장 취임2013. 3. 1. 한성대학교 제7대 강신일 총장 취임2013. 5. 한성여자중학교 목화관 준공2014. 3. 1. 한성여자중학교 제21대 이귀영 교장 취임2014 8. 한성대학교 종합관 착공2014. 9. 1. 한성여자고등학교 제19대 이장한 교장 취임2015. 2. 12. 제 22 대 이종훈 이사장 취임◇ 이사장
대수이름 임기 재임기간
직무대리 서정희 1991.04.01. ~ 1992.02.14
◇ 역대 이사, 감사 명단
대수 이름 현직 및 주요경력 재임기간 비고
감사 한상길 재단법인 대성학원 이사
대수 이름 현직 및 주요경력 재임기간 비고
감사 서병훈 서산절광(주) 대표이사
대수 이름 현직 및 주요경력 재임기간 비고
이사 정창현 서울대학교 교수
대수 이름 현직 및 주요경력 재임기간 비고
이사 류해돈 전 서울시 부교육감 1997.12.23. ~ 1998.08.31.〃
대수 이름 현직 및 주요경력 재임기간 비고
20대 이사장 신용하 서울대 명예교수 2006.01.17. ~ 2000.12. 31 20대 이사회
대수 이름 현직 및 주요경력 재임기간 비고
◇ 역대 교육기관장 명단
법인이사장 한성대학교총장(학장) 한성여자고등학교장 한성여자중학교장
14 대 박병호 직무대행 윤경로 15대 윤성렬
◇ 한성학원 이사와 감사의 변화
정관 개정에 따른 임원의 수와 임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설립당초의 임원의 수는 5명, 임기는 4년이며 제1차 이사 반수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1969년 제정된 사립학교법에 따라 이 해 12월 10일 자로 정관을 개정 이사의 수를 5 인에서 7 인으로 이사의 임기를 4년에서 5년으로 하였으며, 1977년 10월 1일 정관을 개정하여 이사의수를 7인에서 9 인으로 늘리고 이사의 수를 5년에서 4년으로 줄였다. 이 해 중·교장들이 당연직 이사로 받아들이면서 이사의 임기를 학교장 임기에 맞추게 된 것이다. 이후로 이사의 수와 임기는 큰 변동이 없다가 1993년 7월 16일 서정희 이사장 당시 이사의 수를 9 인에서 11 인으로 늘렸다가 임시이사체제에 들어가면서 임시이사의 임기를 2년으로 제한하여 1회에 한해 중임토록 하였다2003년 12월 17일 장회익 이사장때 정이사체제의 전환에 대비하여 이사의 수를 11 인에서 9 인으로 축소하였다.2006년 1월 1일 정이사체제 출범 당시 이사의 임기를 종전처럼 2년에서 4년으로 되돌려 놓고 2007년 6월 5일 이사의 임기를 4년에서 5년으로 정관개정 하였다.정이사체제 출범 당시 법인설립 당초의 이사 임기와 같이 정이사 반 수의 임기를 1/2로 하여 이사의 임기를 달리하였더라면 지금처럼 이사 임기가 통일해서 동시에 임기가 만료되고 선임해야 하는 현상이 없었을 것이다.
개정연도 임원의 종류 임원의수 임기 비고
개정연도 임5개정연도 임원의종류 임원의수 임기 비고
◇ 법인 설립 정관
1) 한성학원 창립 정관(1953년 1월 21일)제1장 목적 및 삽입제1 조 본 법인은 대한민국 교육의 근본 이념에 기초하겨 중고등 교육을 실시함을 목적으로 한다.제2조 본 법인은 전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성여자중학교 및 한성여자고등학교를 유지 경영한다.제2장 명칭 및 사무실제3조 본 법인은 재단법인 한성학원이라 칭한다.제4조 본 법인의 사무소는 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 산 48번지에 둔다.제3장 재산 및 정리
제5조 본 법인의 자산은 기본 재산 및 보통 재산의 2종으로 나눈다. 기본 재산은 별지의 재산 및 장래 기본 재산에 편입할 재산으로 한다. 보통 재산은 전항 이외의 재산으로 한다.제6조 기본 재산은 이사회의 결의를 거쳐 문교부 장관의 인기를 얻지 아니하면 매매, 기부, 양도 또는 담보(擔保)를 할 수 없다.제7조 본 법인의 경비는 기본 재산에 나오는 과실(果實), 기부금 및 기타 수입으로써 이에 충당한다.제8조 매년도 세계(處計) 잉여금은 다음 해에 이월 사용하는 금액 이외에는 이를 기본 재산에 편입한다제9조 수지예산(收支據算)으로써 정한 것 이외에 의무적인 부담 또는 권리 포기는 이사회의 결의를 거쳐 문교부 장관의 인가를 얻어야 한다. 단, 예산 내의 지출을 위하여 그 회계연도의 수입으로서 상환하는 일시 차입금(借入金)은 문교부 장관의 인기를 요하지 아니한다.제 10조 본 법인의 회계연도는 4월1일부더 다음해 3월1말까지로 힌디.
제4장 임원제 11 조 본 법안에는 다음과 같은 임원을 둔다이사 5명 감사 2명제12조 이사 및 감사는 이사회에서 선출하여 문교부 장관의 인가에 의해 취임한다.제13조 이사의 호선(互選)으로 이사장 1명을 선정하여 문교부 장관의 인가에 의해 취임한다.제14조 이사장은 본 법인을 대표하고 그 사업을 관리한다제15조 이사장의 유고 시에는 이사장이 지명하는 이사가 이사장의 직무를 대리한다.제16조 감사는 본 법인의 회계를 감사한다.제17조 임원의 인기는 4년, 감사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1) 제 1 차 이사 반수의 임기는 2년, 감사 반수의 임기는 1년으로 한다.2) 보결에 의하여 취임한 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잔임 기간으로 한다.3) 임기 전의 임원의 해임은 이사회의 결의를 거쳐 문교부 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제5장 이사회
제18조 이사회는 매년 1회 개회하고 필요가 있을 시에는 수시로 개회한다. 이사회는 이사장이 소집하여 그 의장이 된다. 이사회는 현 재적 이사회의 과반수가 출석치 않으면 개회하지 못한다.제19조 이사장은 이사 3명으로부터 회의목적을 명시하여 이사회의 개최를 요구할 시에는 이를 소집한다제20조 1. 이사회에서 의결할 사항은 특히 규정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음과 같다.1) 예산 결산 및 재산의 취득 관리에 관한 사항2) 학교장 진되에 관힌 사항3) 일시 차입금에 관한 사항4) 기타 본 법인에 관한 중요한 사항2. 학교장인 이사는 전항 제 2) 의 학교장의 결의에 참석할 수 없다.제21조 이사회의 이사는 출석 이사의 과반수로써 이를 결정한다.1) 가부 동수인 때에는 이사장이 이를 결정한다.
2) 감사는 이사회에 출석하여 의견을 진술할 수 있다.제22조 이사장이 부의사항(附議事項)의 내용이 경미하다고 인정할 시에는 서면 회의로써 이사회의 결의를 대신할 수 있다.제6장 해산제23조 본 법인을 해산하고자 할 때에는 이사 전원의 의결로써 문교부 장관의 인기를 받아야한다.제 24조 본 법인을 해산하였을 때의 잔여 재산은 이사회의 의결에 의하여 국가 또는 본 법인과 통일 혹은 유사한 목적을 가진 단체에 기부한다.제7장 부칙제25조 본 법인 설립을 위한 기부 행위는 이사 2/3 이상의 동의로써 문교부 장관의 인가를받지 아니하면 변형할 수 없다.
제26조 본 법인 설립을 위한 기부 행위 시행에 관한 세칙은 이사회에서 이를 정한다.2) 1982년 1월 19일 한성학원 정관
제 1 장 총칙제 1 조 (목적) 이 법인은 대한민국 교육이념에 입각하여 중등교육 및보통 고등교육과 고등교육을 실시함을 목적으로 한다.제 2 조 (명칭) 이 법인은 학교법인 한성학원(이하 “법인”이라 한다)이라 한다제 3 조 (설치학교) 이 법인은 제 1 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학교를 설치 경영한다.1 한성대학교2. 한성여자고등학교3. 한성여자중학교제 4 조 (주소) 이 법 인의 사무소는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2가 392의 2에 둔다.제 5 조 (정관의 변경) 이 법인의 정관의 변경은 이사 정수의 3분의 2 이상의 찬성에 의한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문교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제 2 장 자산과 회계
제 1 절 자산제 6 조 (자산의 구분) ① 이 법인의 자산은 기본재산과 보통재산으로 구분하되 기본 재산은 교육용 기본재산과 수익용 기본재산으로 구분하여 관리한다.② 기본재산은 별지 목록의 재산과 제 11 조의 규정에 의한 적립금 및 기타 이사회의 의결에 의하여 기본재산으로 정하는 재산으로 한다.③보통재산은 제 2항에서 정하는 재산으로 한다.제 7 조 (재산의 관리)① 제6조 제 2항의 규정에 의한 기본재산을 매도·증여 교환 또는 용도를 변경하거나 담보에 제공하고자 할 때에는 이사회의 의결을 가쳐 김독청의 허가를 받아야한다.② 기관재산과 보통재신의 운영과 관리에 관하여는 법령과 이 정관에 특별히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사회에서 따로 정한다.제 8 조 (경비와 유지방법) 이 법인의 경비는 기본재산에서 나오는 과실 및 수익 사업의 수입과 기타의 수입으로 충당한다.
제 2 절 회 계제 9 조 (회계의 구분) ① 이 법인의 회계는 학교에 속하는 회계와 법인에 속하는 회계로 구분한다.② 법인회계는 일반회계와 수익사업 회계로 구분할 수 있다.③ 제1항의 학교에 속하는 회계는 당해 학교의 장이 집행하고 법인의 업무에 속하는 회계는 이사장이 집행한다.제 10 조 (예산외의 채무부담) 수지예산으로써 정한 이외의 의무부담 또는 권리 포기는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감독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다만, 대학에 속하는 회계의 의무부담은 학장이 감독청의 허가를 받아 대리한다제 11 조 (세계잉여금의 처리) 이 법인에 속하는 회계의 매년도 세계잉여금은 차입금의 상환과 익년도에 이월 사용하는 분을 제외하고는 적립하여야 하며, 이 적립금은 기본재산으로 한다.제 12 조 (회계연도) 이 법인의 회계연도는 3월 1일부터 익년 2월 말일까지로 한다.제 3 절 대학재무위원회
제 13 조 (설치) 대학에 속하는 회계의 예산, 결산 및 기타재정에 관한 대학의 장의 심의에 응하기 위하여 대학의 장 소속하에 대학재무위원회(이하 ‘재무위원회’라 한다)를 둔다.제 14 조 (기능) ① 재무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한다.1. 대학의 장이 집행하는 회계(기상회로부터 수락받은 회계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의 예산, 결산에 관한사항2. 대학의 장이 집행하는 회계의 자금관리에 관한 사항3. 대학학생 부담금에 관한 사항4. 기타 대학재정에 관한 중요사항② 제1항 제 1호의 예산 심의에 있어서는 대학의 장의 동의 없이 증액 심의할 수 없다.제 15 조 (구성) ① 재무위원회는 대학의 장이 아닌 전임강사 이상의 교원 5 인과 이사장이 아닌 이사 2 인으로 구성한다.② 교원인 재무위원은 대학의 장이 지명하고 이사인 재무위원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이사장이 대학의 장에게 통보한다.③ 재무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보궐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잔여임기로 한다.
제 16 조 (위원장 선출 및 직무) ① 재무위원회의 위원장은 위원의 호선으로 교원인 위원 중에서 선출한다.② 재무위원회의 위원장은 위원회를 대표히며 회무를 통리한디③ 재무위원회의 회의는 위원장이 이를 소집하고 그 의장이 된디④ 위원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교원인 위원 중에서 위원장은 미리 지정한 위원이 그 직무를 대행한다.제 17 조 ① 재무위원회 회의는 대학의 장의 요청이 있을 때 또는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 위원장이 이를 소집한다. 다만, 대학의 장이 회의 목적을 명시하여 회의 소집을 요구한 때에는 3일 이내에 회의를 소집하여야 한다.② 재무위원회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③ 대학의 예산, 회계담당 직원은 재무위원회의 회의에 참석하여 발언할 수 있다제 18 조 (회의록 직성비치) ① 재무위원회는 회의록을 적성 비치하여야 한다② 제 1 항의 회의록에는 위원장을 포함한 출석위원 2 인 이상이 서명, 날인한다.제 19 조 (재무위원회의 간사 등) ① 재무위원회의 서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간시와 서기 약간인을 둘 수있다.
② 간시와 서기는 당해 대학의 소속 직원 중에서 대학의 장이 임명한다.제 20 조 (위원 수당 등) 재무위원회에 출석한 위원에 대하여는 예산의 범위 안에서 수당과 여비를 지급할 수 있다.제 21 조 (운영세칙) 재무위원회의 운영에 관하여 이 정관에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은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대학의 장이 정한다.제 3 장 기 관제 1 절 임 원제 22 조 (임원의 종류와 정수) ① 이 법인에 다음의 임원을 둔다.이사 9 인(이사장 1 명 포함) 감사 2 인제 23 조 (임원의 임기) ① 임원의 임기는 다음 각 호와 같다, 다만, 최초의 염원 반수의 임기는 그 임기의 반으로 한다.1. 이사 4년2. 감사 2년
② 보선에 의하여 취임하는 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잔임기간으로 한다.제 24 조 (임원의 선임방법) ① 이사와 감사는 이사회에서 선임하여 감독청의 승인을 받아 취임한다.② 임기 전의 임원의 해임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감독청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③ 임원 중 결원이 생긴 때에는 2월 이내에 이를 보충하여야 한다.④ 임원의 선임은 임기만료 2개월 전에 하여야 하며 늦어도 임기개시 1개월 전에 감독청에 취임 승인을 신청하여야 한다.제 25 조 (임원 선임의 제한) ① 이사 정수의 반수 이상은 대한민국 국민이어야 한다.② 이사회의 구성에 있어서 각 이사 상호간의 민법 제777조에 규정된 친족관계나 처의 3촌 이내의 혈연관계가 있는 자가 이사 정수의 3분의 1을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③ 이사 정수의 3분의 1 이상은 교육에 경험이 있는 자라야 한다.④ 감사는 감사 상호간 또는 이사와 민법 제777조에 규정된 친족관계나 처의 3촌 이내의 혈연관계가 있는 자가 아니어야 한다.⑤ 감사 중 1 인은 공인회계사의 자격을 가진 자라야 한다.제 26 조 (이사장의 선출방법과 그 임기)① 이사장은 이사의 호선으로 감독청의 승인을 받아 취임한다.
② 이사장의 임기는 이사로 재임하는 기간으로 한다.③ 이사장은 이 법인이 설치 경영하는 학교의 장 및 다른 학교의 이사장을 겸하지 못한다.제 27 조 (이사의 직무)① 이사장은 법인을 대표하고 법인의 업무를 통리한다.② 이사는 이사회에 출석하여 법인의 업무에 관한 사항을 심의 결정하며 이사회 또는 이사장으로부터 위임받은 사항을 처리한다. 다만, 대학에 속하는 회계의 예산, 결산은 제외한다.제 28 조 (이사장 직무대행자 지정)① 이사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이사장이 지명하는 이사가 이사장의 직무를 대행한다.② 이사장이 궐위되었을 때에는 이사회에서 지명하는 이사가 이사장의 직무를 대행한다③ 제 1항 및 제 2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사장 직무 대행자로 지명된 이사는 지체 없이 이사장 선출의 절차를 밟아야 한다.제 29 조 (감사의 직무) 감시는 다음의 직무를 행한다.1. 법인의 재산상황과 회계를 감사하는 일2. 이사회의 운영과 그 업무에 관한 사항을 감사하는 일
3. 제1호 및 제2호의 감사결과 부정 또는 불미한 점이 있음을 발견한 때 이를 이사회의 관할청에 보고하는 일4. 제3호의 보고를 하기 위하야 필요한 때에는 이사회의 소집을 요구하는 일5. 법인의 재산상황과 회계 또는 이사회의 운영과 그 업무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이사장 또는 이사에게 의견을 진술하는 일제 30 조 (임원의 겸직 금지)① 이사는 감사 또는 당해 학교법인이 설치 경영하는 학교의 교원, 기타 직원을 겸할 수 없다. 다만, 학교장은 예외로 한다.② 감사는 이사장, 이사 또는 학교법인의 직원(당해 학교법인이 설치 경영하는 학교의 교원, 기타 직원을 포함한다)을 겸할 수 없다.제 2 절 이사회제 31 조 (이사회의 구성 및 기능) ①이사회는 이사로서 구성힌디②이사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 결정한다.1. 학교법인의 예산, 결산, 차입금 및 재산의 취득, 처분과 관리에 관한 사항(대학에 속하는회계의 예산 및 결산에 관한 사항은 제외한다)
2. 정관의 변경에 관한 사항3. 학교법인의 합병 또는 해산에 관한 사항4. 임원의 임면에 관한 사항5. 법인이 설치한 학교의 장 및 교원의 임면에 관한 사항(대학교원 임면사항은 제외한다)6. 법인이 설치한 학교의 경영에 관한 중요한 사항7. 수익사업에 관한 사헝8. 기타 법령이나 정관에 의하여 그 권한에 속하는 사항③ 감사는 이사회에 출석하여 발언할 수 있다.제 32 조 (이사회의 개회 및 의결 정족수) ① 이사회는 이사 정수의 과반수가 출석하지 아니하면 개회하지 못한다.② 이사회의 의시는 이 정관에 특별히 규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출석한 이사의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다만, 가부 동수인 경우에는 의장이 결정한다.제 33 조 (이사회 의결 제척 사유) 이사장 또는 이사가 다음 각 호의 1 에 해당할 때에는 그 의결에 참여히지 못한다.1. 임원선임 및 해임에 있어 자신에 관한 사항
2. 금전 및 재산의 수수를 수반하는 사항으로서 임원 자신이 법인과 직접 관계되는 사항제 34 조 (이사회의 소집)①이사회는 이사장 또는 이사장 직무 대행 이사가 소집하고 그 의장이 된다.② 이사회를 소집하고자 할 때에는 적어도 회의 7일 전에 회의의 목적을 명시하여 각 이사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다만, 이사 전원이 집합되고 또 그 전원이 이사회의 개최를 요구한 때에는 예외로 한다.제 35 조 (이사회 소집 특례)① 이사장은 다음 각 호의 1 에 해당하는 소집 요구가 있을 때는 그 소집 요구일로부터 20일 이내에 이사회가 개최될 수 있도록 7일 이내에 회의 소집통지를하여야한다.1. 재적 이사 반수 이상이 회의의 목적을 제시하여 소집을 요구한 때2. 제 29조 제4호의 규정에 의하여 감사가 소집을 요구한 때3. 이사회의 소집권자가 궐위되거나 또는 이를 기피함으로서 7일 이상 회의 소집이 불가능할 때에는 재적 이사 과반수의 찬성으로 감독청의 승인을 받아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제 4 장 수익사업
제 36 조 (수익사업의 종류) 이 법인이 설치하여 유지 경영하는 학교의 운영을 위하여 다음 각호의 사업을한다.1. 농장경영2. 수영장 운영3. 부동산 임대제 37 조 (수익사업의 명칭) 제 36 조의 사업을 하기 위하여 한성농장, 낙산수영장을 경영한다. 다만, 부동산 임대사업은 법인에서 직영한다.제 38 조 (수익사업체의 주소) 한성농장은 충남 당진군 송산면 동곡리에, 낙산수영장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 184번지에 둔다.제 39 조 (관리인)① 제 37 조에 규정된 사업을 경영하기 위하여 관리인을 둔다.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한 관리인의 임용, 복무, 보수 및 기타 필요한 사항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이사장이 정한다.제 5 장 해 산
제 40 조 (해산) 이 법인을 해산하고자 할 때에는 이사 정수의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교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제 41 조 (잔여재산의 귀속) 이 법인을 해산하였을 때의 잔여재산은 합병 및 파산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문교부장관에 대한 청산 종결의 신고가 종료된 후 다른 학교법인이나 기타 교육사업을 경영하는 자에게 귀속한다.제 42 조 (청선인) 이 법인이 해산할 때에는 청산인은 해산 당시의 이사 중에서 선출하되 문교부정관의 승인을 받이야 한다.제 6 장 교직원제 1 절 교 원제 1 관 임 명제 43 조 (임면)① 이 법인이 설치 경영하는 학교의 징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이사장이임면히되 그 임기는 4년으로 한다.
② 제 1 항 이외의 대학의 교원은 다음과 같이 기간을 정하여 당해 학교의 장이 임명하고 임명한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문교부장관에게 보고한다.1. 교수 : 5년2. 부교수 : 3년3. 조교수 : 2년4. 전임강사 1년5. 조교 : 1년③ 대학의 장이 제2항의 교원을 임명하고자 할 때에는 당해 대학 교원인사원회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④ 제1항 내지 제2항 이외의 교원은 당해 학교의 장의 제청으로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이사장이 임명하고 임명한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감독청에 보고한다.⑤ 제1항 제2항 및 제4항의 규정에 의한 교원의 임면권자가 교원을 해임하였을 때에는 해임한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해임의 사유를 구체적으로 기술한 증빙서류를 첨부하여 감독청에 보고한다.⑥ 대학의 장은 제2항 제3항 및 제5항의 규정에 의하여 교원을 임면하였을 때에는 그 임면사항을 15일 이내에 이사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제 2 관 신분보장제 44 조 (휴직의 사유) 교원이 다음 각 호의 1 에 해당할 때에는 당해 교원의 임면권자는 휴직을 명할수 있다.1. 신체 또는 정신상의 장애로 장기의 휴양을 요할 때2. 병역법의 규정에 의하여 정집 또는 소집된 때3. 천재지변 또는 전시 사변이나 기타의 사유로 인하여 생사 또는 소재가 불명하게 된 때4. 기타 법률의 규정에 의한 의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직무를 이탈하게 된 때5. 학위취득을 목적으로 해외유학을 하게 된 때 또는 외국에서 1년 이상 연구 또는 연수하게 된 때6. 국제적 기구 또는 외국기관과 또는 재외국민교육기관에 고용된 때7. 여교원이 임신 또는 출산하게 된 때제 45 조 (휴직의 기간) 교원의 휴직기간은 다음과 같다.1. 제44조 제 1호의 규정에 의한 휴직기간은 1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로 한다.
2. 제44조 제2호 및 제4호의 규정에 의한 휴직기간은 그 복무기간이 만료될 때까지로 한다.3. 제44조 제3호의 규정에 의한 휴직기간은 3월로 한다.4. 제44조 제5호의 규정에 의한 휴직기간은 3년 이내로 한다.5. 제44조 제6호의 규정에 의한 휴직기간은 그 고용기간으로 한다.6. 제 44조 제7호의 사유로 인한 휴직은 재직 중 2회에 한하되, 그 기간은 각각 1년 이내로한다.제 46 조 (휴직교원의 신분)① 휴직 중의 교원은 신분을 보유하나 직무에 종사하지 못한다.② 휴직기간 중에 그 사유가 소멸된 때에는 30일 이내에 임용권자에게 이를 신고하여야 하며, 임용권자는 지제없이 복직을 명하여야 한다.③ 휴직기간이 만료된 교원은 제 44조 제3호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당연히 복직된다.제 47 조 (휴직교원의 처우)① 제44조 제 1호 및 제5호의 규정에 의하여 휴직된 교원에 대하여는 그 휴직기간중 봉급의 반액을 지급한다. 다만, 결핵성 질환으로 인한 휴직의 경우에는 그 휴직기간 중 봉급의 8할을 지급한다② 제 44조 제2호 내지 제4호와 제6호 및 제7호의 규정에 의하여 휴직된 교원에 대하여는봉급을 지급하지 아니한다.
제 48 조 (직위해제 및 해임) ① 형사사건으로 기소된 교원에 대하여는 직위를 부여 하지않는다.② 임면권자는 다음 각 호의 1 에 해당하는 교원에 대하여는 직위를 부야하지 아니 할 수 있다1. 직무 수행능력이 부족하거나 근무성적이 극히 불량한 자 또는 교원으로서 근무태도가 심히 불성실한자2. 징계의결이 요구된 자③ 제1항 또는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직위를 부여히지 아니한 경우에 그 시유가 소멸된 때 에는 임면권자는 지체 없이 직위를 부여하여야 한다.④ 제1항 또는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직위가 해제된 자에 대히아는 봉급의 8할을 지급한다. 다만, 제 1 항 또는 2 항 제 2호의 규정에 의하여 직위 해제된 자가 직위 해제터 6월이 정과하여도 직위를 부여받지 못할 때에는 그 6월이 정과 한 이후의 기간 중에봉급의 5할을 지급한다.⑤ 임면권자는 제2항 제1호에 의하여 직위 해제된 자에 대하여 3 윌 이내의 기간 대기를명한다.
⑥ 제5항의 규정에 의하여 대기명령을 받은 자에 대하여는 임면권지는 능력회복이나 태도개선을 위한 교육훈련 또는 특별한 연구과제의 부여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⑦ 제 2항 제 1 호와 제2호 또는 제 1 항의 직위해제사유가 경합하는 때에는 제2항 제2호 또는 제 1 항의 직위해제처분을 하여야 한다.⑧ 제 2항 제 1호의 규정에 의하여 대기명령을 받은 자가 그 기간 중 능력의 향상 또는 개전의 정이 없다고 인정된 때에는 임면권자는 교원징계위원회의 동의률 얻어 면직시킬 수 있다.제 49 조 (보수) 교원의 보수는 자격과 경력 및 직무의 곤난성과 책임의 정도에 따라 이사회의회의 의결을 거쳐 따로 규칙으로 정한다. 다만, 대학교원의 보수는 대학의 장이 따로 규칙으로 정한다.제 50 조 (의사에 반한 휴직·면직 등의 금지)① 교원은 형의 선고 징계처분 또는 사립학교법이 정하는 사유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휴직 또는 면직 등 부당한 처분을 딩하지 아니한다. 다만, 학급 학과의 개폐에 의하여 폐직이나 과원이 될 때 또는 조건부로 임명된 자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② 교원은 권고에 의하여 해직을 당하지 아니한다
③ 교원은 징계처분 기타 그 의사에 반한 불리한 처분에 대하여 불복이 있을 때에는 재심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제 3 관 교원인사위원회제 51 조 (교원인사위원회 설치) 대학교원(학교의 장을 제외한다)의 인사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하게 하기 위하여 당해 대학에 교원 인사위원회(이하 “인사위원회”라 한다)를 둔다.제 52 조 (인사위원회의 기능)① 인사위원회는 다음 각호의 사항을 심의한다.1. 대학의 장이 교수·부교수·조교수·전임강사·조교를 임면제청 하고자 할 때의 임면동의에 관한사항2. 인사위원회의 심의를 요하거나 학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② 인사위원회가 제성조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임용기간이 만료되는 교원에 대하여 제 1항의 규정에 의한 임명의 동의를 함에 있어서 전임용 기간 중의 다음 사항을 참작하여야 한다.1. 연구실적 및 전문영역의 학회 활동2. 학생의 교수 연구 봉사 생활지도에 대한 능력과 실적
3. 교육관계법령의 준수 및 기타 교원으로서의 품위 유지제 53 조 (인사위원회의 조직)① 대학 인사위원회는 당해 대학의 교무처장 및 학생처장과 학장이 지명하는 3 인의 조교수 이상의 교원으로 조직한다.② 인사위원회 위원중 당연직 위원이 아닌 위원회의 임기는 1년으로 하되 중임할 수 있다.제 54 조 (인사위원회 위원장 및 직무)① 인사위원회의 위원장은 당해 대학의 교무처장으로 한다.② 인사위원회의 위원장은 위원회를 대표하며 회무를 통리한다.③ 인사위원회의 회의는 위원장이 이를 소집하고 의장이 된다.④ 위원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위원장이 미리 지정한 위원이 그 직무를 대행한다.제 55 조 (인사위원회의 회의 소집 등)① 인사위원회의 회의는 학교의 장의 요청이 있을 때 또는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 위원장이 이를 소집한다.② 인사위원회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제 56 조 (회의록 작성)① 인사위원회는 회의록을 작성하여 당해 학교의 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② 제 1항의 회의록에 위원장을 포함한 출석위원 2 인 이상이 서명 날인한다.
제 57 조 (인시위원회의 간사 등)① 인사위원회의 서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간사와 서기 약간인을둘수 있다.② 간사와 서기는 당해 학교의 교직원 중에서 학교의 장이 임명한다.제 58 조 (운영세칙) 인사위원회의 운영에 관하여 이 정관에 규정하지 아니한 사항은 당해 인사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위원장이 이를 정한다.제 2 절 교원징계위원회제 59 조 (교원징계위원회의 설치) 교원의 징계사건을 심의·의결하기 위히아 교원의 임면권자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징계위원회를 둔다.1. 학교의 장 징계위원회2. 일반교원 징계위원회3. 대학교원 징계위원회제 60 조 (교원 징계위원회의 조직 및 관할)① 제 59조의 규정에 의한 각 징계위원회는 위원 5 인(위원장 1 인을 포함한다) 으로 조직한다.② 학교의 장 징계위원회는 학교의 장에 대한 징계사항을 핀장하되 그 위원은 이사 중에서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이사장이 임명한다.③ 일반교원 징계위원회는 대학 이외의 각급 학교의 교원(학교의 장을 제외한다)에 대한 징계사헝을 관장하되 그 위원은 일반징계위원회가 관장하는 학교의 고[원과 이사 중에서 이사장이 임땅한다. 다만, 이사인 위원의 수는 재적위원 반수에 1 인을 가신 한 수를 초과할수없다.④ 대학교원 징계위원회는 대학교원 (학교의 장을 제외한다)에 대한 징계사항을 관장하되 그 위원은 대학교원 징계위원회가 관장하는 당해 학교의 교원 중에서 학교장이 임명한다.제 61 조 (교원 징계위원회의 위원장 선출 및 직무)① 교원징계위원회 위원장은 위원의 호선으로 선출한다② 교원징계위원회의 위원장은 위원회를 대표하며 회무를 통리한다.③ 교원정계위원회의 회의는 위원장이 이를 소집하고 그 의장이 된다.④ 위원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위원 중에서 연장자가 그 직무를 대행한다.제 62 조 (징계의결의 기한) 교원징계위원회가 징계의결요구를 받은 때에는 그 요구서를 접수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징계에 관한 의결을 하여야 한다. 다만, 부득이한 사유가 있을 때에는 당해 징계위원회의 의결로 30일의 범위 안에서 1 차에 한하여 그 기한을 연장할수있다
제 63 조 (제척사유) 교원징계위원회 위원은 그 자신에 관한 징계사건을 심리하거나 피징계자와 친족관계가 있을 때에는 당해 징계사건의 심리에 관여하지 못한다.제 64 조 (진상조사 및 의견의 개진)① 교원징계위원회는 징계사건을 심리함에 있어서 진상을 조사하여야 하며, 징계의결을 행하기 전에 본인의 진술을 들어야 한다. 다만, 2회 이상 서면으로 소환하여도 불응한 때에는 그 사실을 기록에 명시하고 징계의결을 할 수 있다.② 교원징계위원회는 필요하다고 인정한 때에는 관계인을 출석시켜 의견을 들을 수 있다.제 65 조 (징계의결)① 징계의결은 재적위원 3분의 2이상의 출석과 재적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행하여야한다.② 교원징계위원회는 정계사건을 심리하고 징계를 의결한 때에는 주문과 사유를 기록한 징계의결서를 작성하고 이를 임명권자에게 통고하여야 한다.③ 임명권자가 제2항의 통고를 받은 때에는 그 통고를 받은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그 의결내용에 따라 징계처분을 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임명권자는 징계처분의 사유를 기재한 결정서를 당해 교원에게 교부하여야 한다.
④ 교원징계위원회 회의는 공개하지 아니한다.제 66 조 (징계의결시의 정상참작 등) 교원징계위원회가 징계사건을 의결함에 있어서는 징계 대상자의 소행, 근무성적, 공적, 개전의 정·징계요구의 내용, 기타 정상을 참작하여야 한다.제 67 조 (교원징계위원회의 간사 등)① 교원징계위원회의 사무를 처리하게 하기 위하여 간사와 서기 약간인을 둘 수 있다.② 간사와 서기는 교원징계위원회가 설치된 당해 기관 소속직원 중에서 그 임명권자가 임명한다.제 68 조 (운영세칙) 교원징계위원회의 운영에 관하여 이 정관에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은 당해 교원징계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위원장이 정한다.제 3 절 재심위원회제69조 ~ 제82조 삭제제 4 절 사무직원
제 83 조 (지격)① 다음 각 호의 1 에 해당하는 자는 사무직원(기능직 및 고용원 등을 포함한다. 이하 “일반직원”이라 한다)으로 임용될 수 없다.1. 급치산자 또는 한정치산자)2. 파산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3.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년을 정과하지 아니한 자4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유예의 기간이 완료된 날로부터 정괴하지 아니한자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은 경우에 그 선고유예 기간 증에 있는 자6. 법원의 판결 또는 디른 법률에 의하여 자격이 싱실 또는 정지된 자7. 이 법인과 이 법인이 설치 경영하는 학교에서 징계에 의하여 피띤의 처분을 받은 때로 부퍼 5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② 일반직원의 신규임용에 있어서는 학력의 제한을 두지 아니한디. 다민 기숲직 및 기능직은 임용될 직종에 관한 지격증, 띤허증 기타 임용권자가 필요로 지격이 있는자를 인사규칙에 정하는 비에 따라 우선 임용할 수 있다.③ 재직 중인 일반직원이 제 1항의 규정에 해당하게 된 때에는 딩연 되직한다
제 84 조 (임용) ① 일반직원의 신규임용·승진·승급·전직·전보·강임·휴직·직위해제 ·복직·면직 및 피면(이하 “임용”이라 한다)은 임용권자가 공개채용·전형 또는 근무성적 기타 능력의 실증에 의하여 행함을 원칙으로 한다.② 제1 형의 규정에 의한 임용에 있어서는 그 시험과목·방법·절차 등에 관하여는 따로 인사규칙으로 정한다.③ 일반직원은 이사장이 임용하되,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임용권의 학교의 정에게 위임할 수 있다. 다만 대학의 일반직원은 당해 대학의 장의 임용한다.④ 대학의 징은 제3항의규정에 의하여 일반직원을 임면하였을 때에는 그 임면사항을 이사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제 85 조 (복무) 일반직원의 복무에 관하여는 사립학교 교원에게 적용하는 규정을 준용한다.제 86 조 (보수) 일반직원의 보수는 일반의 표준 생계비 및 민간인의 임금 등을 고려하여 직무의 난이성 및 책임의 정도에 따라 적당하도록 직급 및 근속기간에 따라 이사회의 의거쳐 따로 인사규칙으로 정한다.제 87 조 (신분보장) 일반직원의 신분보장에 관하여는 사립학교 교원에게 적용하는 규정을준용한다.
제 88 조 (징계 및 재심청구)① 일반직원의 징계 및 재심청구는 사립학교 교원에게 적용하는 규정을 준용한다. 다만, 일반직원 징계위원회 및 재심위원회를 따로 두어야 한다.제 7 장 직 제제 1 절 법 인제 89 조 (법인 사무조직)① 이 법인의 업무를 처리하게 하기 위하여 법인 사무국을 국장은참여로 보한다.② 법인사무국에는 서무과와 관리괴를 두며, 각 과장은 참사 또는 주사로 보한다.③ 제 1항 및 제 2항의 규정에 의한 분장업무는 따로 규칙으로 정한다.④ 법인 이사회의 지문기구로 기획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다. 기획위원회 위원은 이사장이 위촉하며, 이사회의 자문역활을 한다제 2 절 대학교
제 90 조 (학장 등) ① 대학에 학장을 둔다② 학장은 교무를 통할하고 소속 교직원을 지휘 감독하며 학생을 지도하고 대학을 대표한다.제 91 조 (하부조직)① 대학에 기획실, 사무국, 교무처 및 학생처를 둔다.② 실장, 국장은참여, 부참여 또는 조교수 이상의 교원으로 보하고 각 처장은 교수, 부교수 또는 조교수로 보한다.③ 사무국에는 서무과와 경리과를 두며, 각 과장은 참사로 보한다.④ 교무처에는 교수과와 학적괴를 두며, 각 과장은 조교수 이상 또는 주사로 보한다.⑤ 학생처에는 학생과와 지도과를 두며 각 과장은 조교수 이상 또는 주사로 보한다.⑥ 기획실에는 기획과와 예산관리과를 두며 조교수 이상 또는 주사로 보한다.⑦ 제 1항 내지 제6항에 규정에 의한 분장업무는 따로 규칙으로 정한다.제 92 조 (부속시설)① 대학에는 필요한 부속기관을 둘 수 있으며, 그 업무를 처리하게 하기 위하여 장과 필요한 부서장을 둘 수 있고 그 분장업무는 따로 규칙으로 정한다.② 제1항의 규정에 의한 부속기관의 설치에 관하여는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제 93 조 (도서관)① 도서관에는 수서과, 열람괴를 두며 수서과장은 침사로 보하고 열람과 장은 사서자격증을 소지한 일반직 또는 교원으로 보한다.
② 제1헝의 규정에 의한 분장업무는 따로 규칙으로 정한다.제 3 절고등학교제 94 조 (교장 등)① 고등학교에 교장 1 인과 교김- 1 언을 둔다.② 교장은 교무를 통할하고 소속 교직원을 지휘 감독하며 학생을 지도하고 학교를 대표한다.③ 교감은 교장을 보좌하며 교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교장의 직무를 디}행한다.제 95 조 (히부조직)① 고등학교에 서무괴를 두며, 과장은 부침이1-로 보하되 그 분장 업무는 띠-로 규칙으로 정한다.제 4 절중학교제 96 조 (교장 등)① 중학교에 교장 1 인과 교감 1 인을 둔다.② 교징은 교무를 통할하고 소속 교직원을 지휘 감독하며 학생을 지도하고 학교를 대표한다.
③ 교감은 교장을 보좌하며 교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교장이 직무를 대행한다.제 97 조 (히부조직)① 중학교에 서무괴를 두며, 과장은 주사로 보히되 그 분정- 엽무는 따로 규칙으로 정한다.제 5 절 정 원제 98 조 (정원) 법 인 및 각급학교에 두는 일반직원의 정원은 별표1 과 같다제 8 장 보 칙제 99 조 (공고) 이 법인이 법령과 정관 및 기타 이사회의 의결에 의하여 공고하여야 할 사항은 (동아일보) 신문에 공고한다.제 100 조 (시행규칙) 이 정관의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이사회의 의으로 정한다.제 101 조 (설립 당초의 임원) 이 법인의 설립 당초의 임원은 다음과 같다.
직위 성명 생년월일 임기
부칙
① (시행일) 이 정관은 1953년 1월 21일부터 시행한다① (시행일) 이 정관은 1960년 8월 11일부터 시행한다.① (시행일) 이 정관은 1964년 1월 24일부터 시행한다.① (시행일) 이 정관은 1972년 12월 20일부터 시행한다.① (시행일) 이 정관은 1975년 10월 30일부터 시행한다.① (시행일) 이 정관은 1977년 10월 27일부터 시행한다.① (시행일) 이 정관은 1978년 2월 6일부터 시행한다.① (시행일) 이 정관은 1978년 5월 4일부터 시행한다.① (시행일) 이 정관은 1980년 8월 16일부터 시행한다.① (시행일) 이 정관은 1981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① (시행일) 이 정관은 1981년 1월 19일부터 시행한다.
①(교직원에 대한 경과조치) 이 정관 시행 당시 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원 및 일반직원은 이 정관에 의하여 이사장이 대학에 근무하는 교원 (학교의 장은 제외한다) 및 일반직원은 이 정관에 의하여 대학의 장이 임명한 것으로 본다. 다만, 대학의 교원의 임용기간은 종전의 규정에 의한다.①(교원징계에 대한 경과조치) 이 정관 시행 당시 교원징계위원회 및 재심위원회에 계류중인 징계 및 재심청구사건은 종전의 규정에 의한다.①(학교의 장 임기에 대한 경과조치) 이 정관 시행 당시 종전의 정관의 의하여 임기없이 임명된 학교장의 임기는 이 정관 시행일로 부터 기산하고 임기제로 임명된 학교장의 임기는 종전의 규정에 의한다.①(대학의 보직자 등에 대한 경과조치) 이 정관 시행당시 종전의 사립학교법 및 정관에 의하여 임명된 대학의 보직은 이 정관에 의하여 당해 학교의 장이 임명한 것으로 본다.①(인사위원회 위원에 대한 경과조치) 이 정관 시행당시 종전의 정관에 의하여 임명된 대학의 인사위원회 위원 종 이 정관에 의하여 당연직 위원이 아닌 위원은 이 정관 시행일에 임명된 갓으로 본다.
①(일반직원에 대한 경과조치) 이 정관 시행당시 종전의 정관에 의히야 임명되어 근무하는 일반직원이 이 정관에 의한 정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초괴하는 일반직원이 퇴직할 때 까지 따로 있는 것으로 보되, 일반직원의 신규임명은 그 초괴하는 정원이 있을 때에는 채용하지 못한다.①(임원의 임기에 대한 경과조치) 이 정관 시행당시 종전의 정관에 의하여 취임된 이사의 임기는 종전의 규정에 의한다.3) 2015년 10월 현재 한성학원 정관
제 1 장 총 칙제 1 조 (목적) 이 법인은 대한민국 교육이념에 입각하여 중등교육 및 고등교육과 고등교육을 실시함을 목적으로 한다.제 2 조 (명칭) 이 법인은 학교법인 한성학원(이하 “법인”이라 한다)이라 한다.제 3 조 (설치학교) 이 법인은 제 1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학교를 설치 경영한다.1. 한성대학교2. 한성여자고등학교3. 한성여자중학교제 4 조 (주소) 이 법인의 사무소는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2가 389에 둔다.제 5 조 (정관의 변경) 이 법인의 정관의 변경은 이사 정수의 3분의 2이상의 찬성에 의한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교육부장관의 인기를 받아야 한다.제 2 장 자산과 회계
제 1 절 자산제 6 조 (자산의 구분)① 이 법인의 자산은 기본재산과 보통재산으로 구분하되 기본 재산은 교육용 기본재산과 수익용 기본재산으로 구분하여 관리한다.② 기본재산은 별지 목록의 재산과 제 11 조의 규정에 의한 적립금 및 기타 이사회의 의결에 의하여 기본재산으로 정하는 재산으로 한다.③ 보통재산은 제 2항에서 정하는 재산으로 한다.제 7 조 (재산의 관리)① 제6조 제 2항의 규정에 의한 기본재산을 매도.증여 교환 또는 용도를 변경하거나 담보에 제공하고자 할 때에는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관할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다만,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미한 사항은 이를 관할청에 신고하여야 한다.② 기본재산과 보통재산의 운영과 관리에 관하여는 법령과 이 정관에 특별히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사회에서 따로 정한다.제 8 조 (경비와 유지방법) 이 법인의 경비는 기본재산에서 나오는 과실 및 수익 사업의 수입과 기타의 수입으로 충당한다.
제 2 절 회 계제 9 조 (회계의 구분)① 이 법인의 회계는 학교에 속하는 회제와 법인에 속하는 회계로 구분한다.② 법인회계는 일반회계와 수익사업 회계로 구분할 수 있다.③ 제 1 항의 학교에 속하는 회계는 당해 학교의 장이 집행하고 법인의 염무에 속하는 회계는 이사장이 집행한다.제 10 조 (예산외의 채무부담) 수지예산으로써 정한 이외의 의무부담 또는 권리 포기는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관할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제 11 조 (세계잉여금의 처리) 이 법인에 속하는 회계의 매년도 세계잉여금은 치입금의 상훤과 익년도에 이월 사용하는 분을 제외하고는 적립하여야 하며, 이 적립금은 기본재산으로한다.제 12 조 (회계연도) 이 법인의 회계연도는 3월 1일부터 익년 2월 말일까지로 한다.제 3 절 예산·결산자문위원회 (삭제 2007. 6. 5)
제 13 조 내지 제 17 조 (삭제 2007. 6. 5)제 18 조 내지 제 21 조 (삭제)제 3 장 기 관제 1 절 임 원제 22 조 (임원의 종류와 정수)① 이 법인에 다음의 임원을 둔다.1. 이사 9명(이사장 1 인 및 개방이사 3 언을 포함한다)2 검사 2 병(추천감사 1 언을 포함한다)② 제1 형의 임원 중 상근하는 이사 1 인을 둘 수 있으며, 보수는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따로 정한다. (2015. 8.21)제 23 조 (임원의 임기 )① 임원의 임기는 다음 각 호와 같고, 이사는 중임할 수 있으며 감사는 1 회에 한하여 중임할 수 있다. 다만, 최초의 임원 반수의 임기는 그 임기의 반으로 한다 (변경 2007. 6. 5)1. 이사 5년 (변경 2007. 6. 5)
2. 감사 3년 (변경 2007. 6. 5)② 보선에 의하여 취임하는 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잔임기간으로 한다.제 24 조 (임원의 선임방법)①이사와 감사는 이사회에서 선임하여 관할청의 승인을 받아 취임한다.② 임기 전의 임원의 해임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해임 한다.③ 임원중 결원이 생긴 때에는 2월 이내에 이를 보충하여야 한다.④임원의 선임은 임기만료 2개월 전에 하여야 하며 늦어도 임기개시 1개월 전에 관할청에 취임승인을 신청하여야 한다.제 24 조의 2 (개방이사선임)①) 법인은 개방이사의 선임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15일 이내(재직이사의 경우 임기만료 3개월 전)에 개방이사추천위원회(이하 “추천위원회”라 한다)에 개방이사 선임 대상자의 추천을 요청하여야 한다. (변경 2008. 1.14)② 법인으로부터 추천 요청을 받은 추천위원회는 30일 이내에 대상인원의 2배수를 추천하여야 한다. 다만, 동 기간 내에 추천이 없을 시에는 법인은 관할청에 추천을 요청한다.(변경 2008. 1.14)
③(삭제 2008. 1.14)제 24 조의 3 (추천위원회)① 제24조의2에 의하여 개방이사를 추천하고자 할 경우 학교운영위원회 및 대학평의원회의 의시를 균형있게 반영하기 위하여 추천위원회를 두며, 추천위원회는 대학평의원회에 둔다. (변경 2008. 1.14)② 추천위원회 위원 정수는 9인으로 하고, 그 구성은 다음 각 호와 같다. (변경 2008. 1. 14)1. 대학평의원회 3 인2. 중학교 학교운영위원회 1 인3. 고등학교 학교운영위원회 1 인4. 법인이사회에서 추천한 자 4 인③ 추천위원회 위원장은 위원의 호선으로 선출한다. (변경 2008. 1. 14)제 24 조의 4 (개방이사의 자격) 개방이사의 자격요건은 다음 각 호와 같다. (신설 2008. 1.14)1. 건학이념을 구현할 수 있는 자2. 사립학교법 제22조의 임원 결격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자제 25 조 (임원 선임의 제한)① 이사 정수의 반수 이상은 대한민국 국민이어야 한다.② 이사회의 구성에 있어서 각 이사 상호간의 민법 제777조에 규정된 친족관계에 있는 자가 이사 정수의 4분의 1을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
③ 이사 정수의 3분의 1 이상은 교육경험이 3년 이상 있는 자라야 한다.④감사 중 1 인은 공인회계사의 자격을 가진 자라야 한다.⑤ 감사 중 1 인은 추천위원회에서 추천한 자라야 한다. 다만, 추천 등에 대하여는 제 24조의2 의 규정을 준용한다.제 26 조 (이사장의 선출방법과 그 임기)① 이사장은 이사의 호선으로 선임한다.② 이사장의 임기는 이사로 재임하는 기간으로 한다.③ 이사장은 이 법인이 설치, 경영하는 학교의 장을 겸하지 못한다.제 27 조 (이사장 및 이사의 직무)① 이사장은 법인을 대표하고 법인의 암무를 통리한다.② 이사는 이사회에 출석하여 법인의 업무에 관한 사헝을 심의 결정하며 이사회 또는 이사징으로부터 위임받은 사항을 처리한다.제 28 조 (이사장 직무대행자 지정)①이사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이사장이 지명하는 이사가 이사장의 직무를 대행한다.② 이사는 이사회에 출석하여 법인의 업무에 관한 사항을 심의 갤정하며, 이사회 또는 이사장으로부터 위임받은 사항을 처리한다.③ 제1 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사장 직무 대행자로 지맹된 이사는 지제 없이 이사장 선출의 절차를 밟아야 한다.
제 29 조 (감사의 직무) 감사는 다음의 직무를 행한다.1. 법인의 재산상황과 회계를 감사하는 일2. 이사회의 운영과 그 업무에 관한 사항을 감사하는 일3. 제1 호 및 제2호의 감사결과 부정 또는 불미한 점이 있음을 발견한 때 이를 이사회의 관할청에 보고하는 일4. 제3호의 보고를 하기 위하여 펼요한 때에는 이사회의 소집을 요구하는 일5. 법인의 지}신상황과 회계 또는 이사회의 운영과 그 업무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이사장 또는 이사에게 의견을 진술하는 일제 30 조 (임원의 겸직 금지)① 이사장은 당해 학교법인 및 다른 학교법인이 설치.경영하는 사립학교의 장이나 다른 학교법인의 이사장을 겸함 수 없다.② 이사는 감사 또는 당해 학교법인이 설치 경영하는 학교의 교원, 기타 직원을 겸할 수 없다. 다만, 학교장은 예외로 한다.③ 감사는 이사장, 이사 또는 학교법인의 직원(당해 학교법인이 설치 경영하는 학교의 교원, 기타직원을 포함한다)을 겸할 수 없다.
제 2 절 이사회제 31 조 (이사회의 구성 및 기능)① 이사회는 이사로서 구성한다.② 이사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 결정한다.1. 학교법인의 예산 결산 차입금 및 재산의 취득, 처분과 관리에 관한 사항2. 정관의 변경에 관한 사항3. 학교법인의 합병 또는 해산에 관한 사항4. 임원의 임면에 관한 사항5. 법인이 설치한 학교의 장 및 교원의 임면에 관한 사항6. 법인이 설치한 학교의 경영에 관한 중요한 사항7 수익사업에 관한사항8. 기타 법령이나 정관에 의하여 그 권한에 속하는 사항③ 감사는 이사회에 출석하여 발언할 수 있다.제 32 조 (이사회의 개회 및 의결 정족수)① 이사회는 재적이사 과반수가 출석하지 아니하면 개회하지 못한다.
② 이사회의 의사는 이 정관에 특별히 규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사 정수의 과반수의 창성으로 의결한다.제 33 조 (이사회 의결 제척 사유) 이사장 또는 이사가 다음 각 호의 1 에 해당할 때에는 그 의결에 참여하지 못한다.1. 임원 및 학교의 장의 선임과 해임에 있어 자신에 관한 사항2. 금전 및 재산의 수수를 수반하는 사항으로서 임원 자신이 법인과 직접 관계되는 사항제 34 조 (이사회의 소집)① 이사회는 이사장 또는 이사장 직무 대행 이사가 소집하고 그 의장이 된다.② 이사회를 소집하고자 할 때에는 적어도 회의 7일 전에 회의의 목적을 명시하여 각 이사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다만, 이사 전원이 집합되고 또 그 전원이 이사회의 개최를 요구한 때에는 예외로 한다.제 35 조 (이사회 소집 특례)① 이사장은 다음 각 호의 1 에 해당하는 소집 요구가 있을 때는 그 소집 요구일로부터 20일 이내에 이사회가 개최될 수 있도록 7일 이내에 회의 소집통지를 하여야한다.
1 재적 이사 반수 이상이 회의의 목적을 제시하여 소집을 요구한 때2. 제 29조 제4호의 규정에 의하여 감사가 소집을 요구한 때② 이사회 소집권자가 궐위되거나 또는 이를 기피함으로서 7일 이상 회의 소집이 불가능할 때에는 재적 이사 과반수의 찬성으로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 다만, 소집권자가 이사회 소집을 기피한 경우에는 교육인적지원부 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제 4 장 수익사업제 36 조 (수익사업의 종류) 이 법인이 설치하여 유지 경영하는 학교의 운앙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한다.1. 농업·임엄2. 부동산 임대3. 주차장업4. 삭제 (2015. 4.20)5. 삭제 (2015. 4.20)
제 37 조 (수익사업의 명칭) 제 36 조의 사업을 하기 위하여 한성농장, 한성조럼원을 경영한다. 다만, 부동산 임대사엽은 법인에서 직영한다. (2014. 8. 8)(2015. 4.20)제 38 조 (수익사업체의 주소)1. 한성농장 : 충남 당진군 송산띤 동곡리2. 한성조림원 : 충남 공주군 탄천면 유하리 산 23-1〃 운곡리 산 12-1〃 대학리 산 67-2〃 견몽리 산 19-13. 강원도 횡성군 청 일면 갑천리 산 132, 133, 134, 136, 1494. 삭제 (2015.4.20)제 39 조 (관리인)① 제 37 조에 규정된 사업을 경영하기 위하여 관리인을 둔다.② 제 1 항의 규정에 의한 관리인의 임용, 복무, 보수 및 기타 필요한 사항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이사장이 정한다.제 5 장 해산
제 40 조 (해산) 이 법인을 해산하고자 할 때에는 이사 정수의 3분의 2이상의 찬성으로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의 인기를 받아야 한다제 41 조 (잔여재산의 귀속) 이 법인을 해산-하였을 때의 잔여재산은 합병 및 파산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에 대한 정신종결의 신고가 종료된 후 다른 학교법인이나 기타 교육사업을 경영하는 자에게 귀속한다.제 42 조 (정산인) 이 법인이 해산할 때에는 정산인은 해산 당시의 이사 중에서 선출하되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제 6 장 교직원제 1 절 교 원제 1 관 임 명제 43 조 (임면)① 이 법인이 설치 경영하는 학교의 장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이사장이임면하되 그 임기는 4년으로 하고 1 회에 한하여 중임 할 수 있다.
② 본 대학의 교원으로 재직 중에 당해 대학의 장으로 임용된 자가 임기를 마친 경우에는 대학의 장의 임기가 만료되는 날의 다음날에 대학의 장 임용직전의 교원으로 임용된 것으로본다.③ 학교의 장 이외의 대학교육기관의 교원은 인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당해 대학의 장의 제청으로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이사장이 임면한다. 이 경우 다음 각 호의 범위 안에서 계약조건을 정하여 행한다1. 근무기간가. 교 수 : 정년까지의 기간. 다만 본인이 원하는 경우에는 계약으로 정하는 기간으로 한다.나. 부 교 수 6년 이내다. 조 교 수 :6년 이내 (2012. 8.10)라. 삭제 (2012. 8.10)2. 급여 : 정관 제 49조 및 교직원 보수규정에 의한 급여3. 근무조건 . 교수시간 및 소속학과 등에 관한 사항4. 업적 및 성과 : 연구실적·논문지도·진로상담 및 학생지도 등에 관한 사항
5. 재계약 조건 및 절차 : 근무기간 종료 후 다시 임용되는 조건 및 절차에 관한 사항6. 그밖에 대학의 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④ 2002년 1월 1일 현재 재직중인 대학교원으로서 임용기간 종료 후 다시 임용되는 교원은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이 정한 「재직중인대학교원에대한임용지침」을 준용하며, 다음괴같이 기간을 정하여 교원이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당해 대학의 장의 제청으로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이사장이 임면한다. 다만, 본인이 원할 경우에는 제 3항의 규정을 적용할 수 있다.가. 교 수 : 정년까지의 기간나: 부 교 수 : 6년다. 조 교 수 :6년 (2012. 8.10)라. 삭제 (2012. 8.10)⑤ 교원임면에 관한 세부사항은 대학의 장이 따로 정한다.⑥ 대학의 장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본인의 동의를 얻이 체 결한 제약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⑦ 대학교육기관의 학장 및 대학원장, 각 처장 등의 보직은 총장이 보하고 이사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2014.10.17)
⑧제1 항 내지 제4항 이외의 교원과 제 3항의 교원에 대한 승급, 전보, 겸임은 대학에서 정한 절차에 따라 총장이 행하고 이사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2014.10.17)⑨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 11항의 규정에 의하여 임면권자가 교원을 임면히였을 때에는 임면한 날로부터 7일 이내에 관계 증빙서류를 첨부하여 관할청에 보고히아야 한다 (2009.8.28)⑩ 조교의 경우에는 근무기간을 1년으로 하며 대학의 장이 임면한다.⑪ 중·고등학교 교원은 당해학교의 장의 제청으로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이사장이 임면한다. (2009. 8.28)제 43 조의 2 (기간제교원)①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에서 사립학교법 제54조4 에 규정한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교원 자격증을 가진 자 중에서 기간을 정하여 기간제교원을 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임면권자는 그 권한을 학교장에게 위임한다.1. 교원이 제 59조 제 1 항의 각호의 1 에 해당하는 사유로 휴직하여 후임자의 보충이 불가피할 때:2 교원이 파견·연수·정직·직위해제 또는 휴가 등으로 1월 이상 직무에 종사할 수 없어 후임자의 보층이 불가피한 때
3. 파면·해임 또는 면직처분을 받은 교원이 교원지위향상을 위한 특별법 제9조 제 1항의 규정에 의하여 교원징계재심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하여 후임자의 보충발령을 하지 못하게 된때4 특정교과를 한시적으로 담당할 교원이 필요한때② 기간제교원에 대하여는 사립학교법 제 56조, 제 58조, 제2항, 제58조의 2, 제59조, 제 61조 내지 제 64조, 제64조의2 제65조, 제 66조 및 제66조의2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하며 임용기간이 만료되면 당연히 퇴직한다.③기간제교원의 임용기간은 1년 이내로 하되, 필요한 경우 3년의 범위 내에서 그 기간을 연장할수 있다.제 2 관 신분보장제 44 조 (휴직의 사유) 교원이 다음 각 호의 1 에 해당하는 사유로 휴직을 원하는 경우에는 당해 교원의 임면권자는 휴직을 명할 수 있다. 제 1 호 내지 제 4 호의 경우에는 휴직을명하여야한다.
1. 신체 또는 정신상의 장애로 장기의 휴양을 요할 때2 병역법의 규정에 의하여 징집 또는 소집된 때3. 천재지변 또는 전시 사변이나 기타의 사유로 인하여 생사 또는 소재가 불명하게 된 때4. 기타 법률의 규정에 의한 의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직무를 이탈하게 된 때5. 학위취득을 목적으로 해외유학을 하게 된 때 또는 외국에서 1년 이상 연구 또는 연수하게 된 때6. 국제기구, 외국기관 또는 재외국민교육기관에 고용된 때7. 자녀양육(휴직 신청 시 당시 1세 미만 자녀에 한함)을 위하여 필요하거나, 여교원이 임신 또는출산하게 된 때8. 교육부장관이 지정하는 국내 연구기관이나 교육기관 등에서 연수하게 된 때9. 사고 또는 질병 등으로 장기간 요양을 요하는 부모, 배우자, 자녀 또는 배우자의 부모의 간호를 위하여 필요한 때10 배우자가 국외근무를 하게 되거나 제5호에 해당하게 된 때11. 국가기관, 공공기관 또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에 한시적으로 임명된 때제 45 조 (휴직의 기간) 교원의 휴직기간은 다음과 짙다.
1. 제44조 제 1호 및 제9호의 규정에 의한 휴직기간은 1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로 한다.2. 제44조 제2호 및 제4호의 규정에 의한 휴직기간은 그 복무기간이 만료될 때까지로 한다.3. 제 44조 제3호의 규정에 의한 휴직기간은 3월로 한다.4. 제44조 제5호 및 제 10호의 규정에 의한 휴직기간은 3년 이내로 한다5. 제44조 제6호의 규정에 의한 휴직기간은 그 고용기간으로 한다.6. 제44조 제7호의 사유로 인한 휴직은 재직 중 2회에 한하되, 그 기간은 각각 3년 이내로 한다.7. 자144조 제8호의 규정에 의한 휴직기간은 2년 이내로 한다8. 제44조 제 11 호의 규정에 의한 휴직기간은 그 임용기간으로 한다제 46 조 (휴직교원의 신분)① 휴직 중의 교원은 신분을 보유하나 직무에 종사하지 못한다.② 휴직기간 중에 그 사유가 소멸된 때에는 30일 이내에 임용권자에게 이를 신고하여야 하며, 임용권자는 지체없이 복직을 명하여야 한다③ 제44조 제3호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휴직기간이 만료된 교원이 30일 이내에 복귀를 신고한 때에는 당연히 복직된다.제 47 조 (휴직교원의 처우)① 제44조 제 1 호 및 제5호의 규정에 의하여 휴직된 교원에 대하여는 그 휴직기간중 봉급의 반액을 지급한다. 다만, 결핵성 질환으로 인한 휴직의 경우에는 그 휴직기간 중 봉급의 8할을 지급한다.
② 제44조 제2호 내지 제4호와 제6호 내지 제 11호의 규정에 의하여 휴직된 교원에 대하여는 봉급을 지급하지 아니한다.제 48 조 (직위해제 및 해임)① 형사사건으로 기소된 교원에 대하여는 직위를 부여하지 않는다.② 임면권자는 다음 각호의 1 에 해당하는 교원에 대하여는 직위를 부여하지 아니 할 수 있다.1. 직무 수행능력이 부족하거나 근무성적이 극히 불량한 자 또는 교원으로서 근무태도가 심히 불성실한자2 징계의결이 요구된 자③ 제 1 항 또는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직위를 부여하지 아니한 경우에 그 사유가 소멸된 때에는 임면권자는 지체없이 직위를 부여하여야 한다④ 제1항 또는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직위가 해제된 자에 대하여는 봉급의 8할을 지급한다. 다만, 제 1 항 또는 2 항 제2호의 규정에 의하여 직위 해제된 자가 직위 해제일로부터 3월이 경과하여도 직위를 부여받지 못할 때에 는 그 3월이 경과 한 이후의 기간 중에 봉급의 5할을 지급한다.
⑤ 임면권자는 제 2항 제 1 호에 의하여 직위 해제된 자에 대하여 3월 이내의 기간 대기를 명한다.⑥ 제5항의 규정에 의하여 대기명령을 받은 자에 대하여는 임면권자는 능력회복이나 태도개선을 위한 교육훈련 또는 특별한 연구과제의 부여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⑦ 제2항 제 1호와 제 2호 또는 제 1항의 직위해제사유가 경합하는 때에는 제 2항 제2호 또는 제 1항의 직위해제처분을 하여야 한다.⑧ 제2항 제 1 호의 규정에 의하여 대기명령을 받은 자가 그 기간중 능력의 향상 또는 개전의 정이 없다고 인정된 때에는 임면권자는 교원징계위원회의 동의를 얻어 면직시킬 수 있다.제 49 조 (보수) 교원의 보수는 자격과 경력 및 직무의 곤난성과 책임의 정도에 따라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따로 규칙으로 정한다.제 49 조의 2 (복무) 사립학교의 교원의 복무에 관하여는 국.공립학교의 교원에 관한 규정을준용한다.
제 50 조 (의사에 반한 휴직 면직 등의 금지)① 교원은 형의 선고 징계처분 또는 사립학교법이 정하는 사유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휴직 또는 면직 등 부당한 처분을 당하지 아니한다. 다만, 학급 학과의 개폐에 의하여 폐직이나 과원이 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② 교원은 권고에 의하여 해직을 당하지 아니한다.③ 교원은 징계처분 기타 그 의사에 반한 불리한 처분에 대하여 불복이 있을 때에는 재심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제 50 조의 2 (명예퇴직수당)① 당해 학교교원으로서 20년 이상 근속한 자가 정년퇴직일전 1년 이상의 기간중 자진하여 퇴직하는 경우에는 명예퇴직 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② 제 1항에 명시하지 아니한 명예퇴직수당의 지급대상범위, 지급액, 지급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은 교육공무원법을 준용한다. 단, 대학교원에 대하여는 따로 규칙으로 정한다.③ 제 1항의 명예퇴직수당지급 대쟁}중 재직시 공적이 특히 현저한 자에게는 자격기준에 불구하고 특별승진 할 수 있다.제 50 조의 3 (후임자 보충발령의 유예) 교원이 본인의 의사에 의하여 파면 또는 해임되거나 근무성적 불량으로 면직되었을 때에는 그 처분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후임자의 발령을 하지 못한다.
제 50 조의 4 (교원의 정년)① 대학교원의 정년은 65세 로 하며, 단 총장은 예외로 한다.② 중.고등학교 교장 및 교원의 정년은 62세로 한다.③ 교원은 그 정년이 달한 날이 속하는 학기의 말일에 퇴직된디제 3 관 교원인사위원회제 51 조 (교원인사위원회 설치) 교원(학교의 장을 제외한다)의 임면등 인사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히케 하기 위하여 학교벨로 당해 학교에 교원 인사위원회 (이하 “인사위원회”라 한다)를 둔디제 52 조 (인사위원회의 기능)(1) 인사위원회는 다-음 각호의 사항을 심의한다1. 대학교육기관의 장이 교수 부교수 조교수를 임면제청 하고자 헐- 때의 임면제청 동의에 관한 사항(2014.10.17)2 제43조 제4항에 의하여 대학교육 기관장이 보직을 제정하고자 할 때의 동의에 관한 사항3. 중·고등학교의 경우 교원의 보직에 관한 사항과 연수 및 포상대성차 추천에관한 사항4 기타 학교의 장이 인사위원회의 심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② 인사위원회가 제 43조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임용기간이 만료되는 교원에 대하여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임명의 동의를 함에 있어서 전임용 기간 중의 다음 사항을 참작하여야 한다.1. 연구실적 및 전문영역의 학회 활동2. 교수 얀구 봉사 및 학생의 생활지도에 대한 능력과 실적 (2014.10.17)3. 교육관계법령의 준수 및 기타 교원으로서의 품위 유지제 53 조 (인사위원회의 구성)① 대학교원 인사위원회는 총장이 임명하는 9 인의 교원으로 중·고등학교 교원인사위원회는 당해 학교의 장이 임명하는 5 인의 교원으로 구성한다.② 인사위원회 위원회의 임기는 1년으로 하되 중임할 수 있다.제 54 조 (인사위원회 위원장 및 직무)① 인사위원회의 위원장은 당해 학교장이 임명한다.다만, 대학교육기관의 경우에는 교무처장이 위원장이 된다.② 인사위원회의 위원장은 위원회를 대표하며 회무를 통리한다.③ 인사위원회의 회의는 위원장이 이를 소집하고 의장이 된다.④ 위원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위원장이 미리 지정한 위원이 그 직무를 대행한다.제 55 조 (인사위원회의 회의 소집 등)① 인사위원회의 회의는 학교의 장의 요청이 있을 때 또는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 위원장이 이를 소집한다
② 인사위원회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위원 과반수의 친성으로 의결한다.제 56 조 (회의록 작성)① 인사위원회는 회의록을 작성하여 당해 학교의 장에게 보고하여야한다.②제 1항의 회의록에 위원장을 포함한 출석위원 2 인 이상이 서명 날인한다.제 57 조 (인사위원회의 간사 등)① 인사위원회의 서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간사와 서 수있다.②간사와 서기는 당해 학교의 교직원 중에서 학교의 장이 임명한다.제 58 조 (운영세칙) 인사위원회의 운영에 관하여 이 정관에 규정하지 아니한 사항은 당해 인사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위원장이 이를 정한다제 2 절 교원징계위원회제 59 조 (교원징계위원회의 조직)① 교원징계위원회는 5 인의 위원으로 조직한다.②교원징계위원회의 위원은 교원 또는 학교법인의 이사중에서 이 사회의 의결을 거쳐이사장이 임명한다. 다만, 학교법인의 이사인 위원의 수가 위원의 2분의 1을 초과할 수 없다.
제 60 조삭제제 61 조 (교원 징계위원회의 위원장 선출 및 직무)① 교원징계위원회 위원장은 위원의 호선으로 선출한다.② 교원징계위원회의 위원장은 위원회를 대표하며 회무를 통리한다.③ 교원징계위원회의 회의는 위원장이 이를 소집하고 그 의장이 된다.④ 위원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위원중에서 연장자가 그 직무를 대행한다.제 62 조 (징계의결의 기한) 교원징계위원회가 징계의결요구를 받은 때에는 그 요구서를 접수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징계에 관한 의결을 하여야 한다. 다만, 부득이한 사유가 있을 때에는 당해 징계위원회의 의결로 30일의 범 위안에서 1차에 한하여 그 기한을 연장할수있다.제 63 조 (제척사유) 교원징계위원회 위원은 그 자신에 관한 징계사건을 심리하거나 피징계자와 친족관계가 있을 때에는 당해 징계사건의 심리에 관여하지 못한다.제 63 조의 2 (위원의 기피 등)① 징계대상자는 교원징계위원의 불공정한 의결을 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할 만한 상당한 사유가 있을 때에는 그 시실을 서면으로 소명하고 기피를 신청할수 있다.
② 제1 항 규정에 의한 기피신청이 있는 때에는 위원회의 의결로 기피 결정하여야 한다. 이 경우 기피신청을 받은 자는 그 의결에 참여하지 못한다.③ 제 63조의 규정에 의한 제척 또는 제1 항의 규정에 의한 기피로 교원징계위원회의 출석위원이 재적위원의 3분의 2에 미달되어 징계사건을 심리할 수 없게 된때에는 교원징계위원회의 위원장은 위원의 수가 재적위원 수의 3분의 2이상이 될 수 있도펀 위원의 임명권자에게 임시위원의 임명을 요청하아야 한다.제 63 조의 3 (징계의결 요구사유 통지) 교원의 임면권자가 교원에 대한 징계의결을 요구할 때에는 징계의결요구와 동시에 징계대상자에게 징계사유를 기재한 설명서를 송부하여야 한다.제 64 조 (진상조사 및 의견의 개진)① 교원징계위원회는 징계사건을 심리함에 있어서 진상을 조사하여야 히며, 징계의결을 행하기 전에 본인의 진술을 들어야 한다. 다만, 2 회 이상 서면으로 소환하여도 불응한 때에는 그 시실을 기록에 명시하고 징계의결을 할 수 있다② 교원징계위원회는 필요하다고 인정한 때에는 관계인을 출석시켜 의견을 들을 수 있다.
제 65 조 (징계의결)① 징계의결은 재적위원 3분의 2 이상의 출석과 재적위원 과반수의 찬행하여야한다.② 교원징계위원회는 징계사건을 심리하고 징계를 의결한 때에는 주문과 시유룹 기록한 징계의결서를 작성하고 이를 임명권자에게 통고하여야 한다.③ 임명권자가 제 2항의 통고를 받은 때에는 그 통고를 받은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그 의결내용에 따라 징계처분을 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임명권자가 법인일 때 에는 징계처분 권을 이사장에게 위임한다.④ 징계처분권자는 징계처분의 시유를 기재한 결정서를 당해 교원에게 교부하이야 한다.⑤ 교원징계위원회 회의는 공개하지 아니한다제 66 조 (징계의결시의 정상참작 등) 교원징계위원회가 징계사건을 의결힘에 있어서는 징계 대상지의 소행, 근무성적, 공적, 개전의 정.징계요구의 내용, 기타 정상을 참작하여야 한다.제 66 조의 2 (징계사유의 시효) 교원징계 의결의 요구는 징계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2년 (금품 및 향응수수, 공금의 횡령·유용의 경우에는 5년) 을 경과한 때에는 이를 행하지못한다.(201 1.1 2.08)
제 67 조 (교원징계위원회의 간사 등)① 교원징계위원회의 사무를 처리하게 하기 위하여 간사와 서기를 둘 수 있다.② 간사와 서기는 교원징계위원회가 설치된 당해 기관 소속직원 중에서 그 임명권자가 임명한다.제 68 조 (운영세칙) 교원징계위원회의 운영에 관하여 이 정관에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은 당해 교원징계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위원장이 정한다.제 3 절 재심위원회제69조 - 제 82조 삭 제제 4 절 사무직원제 83 조 (자격)①다음 각 호의 1 에 해당하는 자는 사무직원(고용원 등을 포함한다. 이하 “일반직원”이라 한다)으로 임용될 수 없다. (2014. 2. 7)1. 피성년후견인 또는 피한정후견인 (2014. 2. 7)2 파산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S년을 경과하지 아니한자4. 금고 이상의 헝을 받고 그 집행유예의 기간이 완료된 날로부터 2년을 경과하지 아니한자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은 경우에 그 선고유예 기간 중에 있는 자6.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의하여 자격이 상실 또는 정지된 자7 이 법인과 이 법인이 설치 경영하는 학교에서 징계에 의하여 파면의 처분을 받은 때로부터 5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와 해임처분을 받은 때로부터 3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② 일반직원의 신규임용에 있어서는 학력의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다만, 기술직 및 기능직은 임용될 직종에 관한 자격증, 면허증 기타 임용권자가 필요로 하는 자격이 있는 자를 인사규칙에 정하는 바에 따라 우선 임용할 수 있다.③ 재직 중인 일반직원이 제 1 항의 규정에 해당하게 된 때에는 당연 퇴직한다.제 84 조 (임용)① 일반직원의 신규임용·승진·근속승진·승급·대우직원선발·전직·전보·강임·휴직·직위해제·복직·면직·해임 및 파견(이하 “임용”이라 한다)은 임용권자가공개채용·전형 또는 근무성적 기티 능력 의 실증에 의하여 행함을 원칙으로 한다.
② 제1 형의 규정에 의한 임용에 있어서는 그 시험과목·방법·절차 등에 관하여는 따로 인사규칙으로 정한다.③일반직원은 이사장이 임용하되, 학교소속 일반직원은 당해 학교의 장의 제 청이 있어야 한다. (2014.10.17) (2015. 4.20)제 85 조 (복무) 일반직원의 복무에 관하여는 사립학교 교원에게 적용하는 규정을 준용한다.제 86 조 (보수) 일반직원의 보수는 일반의 표준 생계비 및 민간인의 임금 등윤 고려하여 직무의 난이성 및 책임의 정도에 따라 적딩하도록 직급 및 근속기간에 따라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따로 인사규칙으로 정한다.제 87 조 (신분보장) 일반직원의 신분보장에 관하여는 시립학교 교원에게 적용하는 규정을 준용한다제 88 조 (징계 및 재심청구)① 일반직원의 징계 및 재심청구는 사립학교 교원에게 적용하는 규정을 준용한다. 다만, 일반직원 징계위원회 및 재심위원회는 법인에 따로 두어야 한다제 7 장 직제
제 1 절 법 인제 89 조 (법인 사무조직)① 이 법인의 업무를 처리하게 하기 위하여 법인 사무국을 두며, 국장은 참여 또는 부참여로 보한다.② 법인사부국에는 서무과와 관리과를 두며, 각 과정은 참사 또는 부참사로 보한다.③ 제 1 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한 분장업무는 따로 규칙으로 정한다.제 2 절대학교제 90 조 (총장 등)① 대학교에 총장을 둔다.② 총장은 교무를 통할하고 소속 교직원을 지휘·감독히며 학생을 지도하고 대학교를 대표한다제 91 조 (학장 및 대학원장)① 대학교의 각 단과대학에 학장을, 각 대학원에 대학원장을 둔다.② 학장 및 대학원장은 교수로 보한다.③ 학장과 대학원장은 총장의 명을 받아 교무를 통할하고 소속 교직원을 지휘.감독하며 학생을 지도한다.
제 92 조 (하부조직)① 대학교에 교무처, 기획협력처, 학생처, 총무처 및 입학홍보처를 둔다. (2010. 8.19) (2014. 3.27) (2015. 8.21)② 교무처장, 기획협력처장, 학생처장 및 입학홍보처장은 부교수 이상의 교원으로 보하고 총무처장은 부교수 이상의 교원 또는 참여, 부참여로 보한다. (2010. 8.19) (2014. 3.27) (2015.8.21)③ 제2항의 각 처장을 보좌하기 위하여 부처장을 둘 수 있으며, 부처장은 부참여 또는 조교수 이상의 교원으로 보한다.④ 교무처에는 교수지원팀, 학사지원팀 및 교육역량개발센터를 두며 각 팀장은 주사 이상으로 보한다. (2009. 8.28) (2015. 8.21)⑤기획협력처에는 기획전략팀과평가감사팀 및 국제교류협력팀을 두며 각 팀장은 주사 이상으로 보한다. (2009. 8.28) (2010. 8.19) (2014. 3.27) (2015. 8.21)⑥ 학생처에는 학생지원팀, 장학복지팀과 경력개발지원팀 및 창업지원팀을 두며 각 팀장은 주사 이상으로 보한다. (2010. 8.19) (2015. 4.20) (2015. 8.21)⑦ 총무처에는 총무인사팀, 시설지원팀, 재무회계팀, 관재팀을 두며 각 팀장은 주사 이상으로 보한다. (2014. 3.27)
⑧ 입학홍보처에는 입학관리팀과 대외홍보팀을 두며 각 팀장은 주사 이상으로 보한다. (2009. 8.28) (2010. 8.19) (2014. 3.27)⑨ 제 1항 내지 제8항의 규정에 의한 분장업무는 따로 규칙으로 정한다.제 93 조 (대학원 하부조직)① 대학원에 교학부를 둔다.② 교학부장은 조교수 이상의 교원으로 보한다.③ 대학원 교학부에는 교학팀을 두며 팀장은 주사 이상으로 보한다.④ 제1항 내지 제3항의 규정에 의한 분장업무는 따로 규칙으로 정한다.제 94 조 (부속기관)① 대학에는 필요한 부속기관을 둘 수 있으며, 그 업무를 처리하게 하기 위하여 장과 필요한 부서장을 둘 수 있고 그 분장업무는 따로 규칙으로 정한다.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한 부속기관의 설치에 관하여는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제 95 조 (학술정보관)① 학술정보관에는 관장을 두며 관장은 부교수 이상의 교원으로 보하고 관장은 총장의 명을 받아 학술정보핀에 관한 시무를 관장하고 소속, 교직원을 지휘, 감독한다② 학술정보관에는 관장을 보좌하기 위하여 부관장을 둘 수 있으며 부관정은 부참여 또는 교원으로 보한다.
③ 혁술정보관에는 학술자료팀과 학술정보팀을 두며 각 팀장은 주사 이상으로 보한다.제 95 조의 2 (산학협 력단)① 대학교에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 력단 촉진에 관한법률 제 25조의 규정에 의한 산학협력단을 둔다.④ 산학협력단장은 부교수 이상의 교원 또는 부참야로 보한다⑤ 산학협력단에는 단장을 보좌하기 위하여 부단장을 둘 수 있으며, 조교수 이싱의 교원 또는 참사로 보한다.제 95 조의 3 (전자계산소)① 정보의 효율적 관리 운영을 위해 대학의 부속기관으로 전자계산소를 둔다.② 전자제선소에는 소정을 두며 소장은 조교수 이상의 교원 또는 부침야 이싱의 직원으로 보하고 소장은 총장의 명을 받아 사무를 관장하고 소속 교직원을 지휘, 김독한다.③ 전자계 산소에는 정보화팀을 두며, 팀장은 주사 이상으로 보한다제 95 조의 4 (대학평의원회설치) 대학교에는 교육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대학평의원회(이하평의원회라 한다)를 설치한다.제 95 조의 5 (평의원회의 구성 )①평의원회는 교원·직원 및 학생을 대표할 수 있는 자, 그리고 판문 및 대학빌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 중에서 대학교육기관의 장이 위촉하는 13명의평위원으로 구성하며, 각 구성단위의 정원은 다음 각 호와 같다.
교원 ( 5 )2 직원 ( 3 )3. 학생 ( 3 )4. 풍문 및 대학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 ( 2 )②평의원회 구성에 있어서 제①항의 각 구성단위 중 어느 한 단위에 속하는평의원의 수가평의원 정수의 2분의 1을 초과할 수 없다.제 95 조의 6 (평의원의 위촉)①평의원은 다음 각 호의 구성단위에서 추천한 지를 대학교육기관의 장이 위촉한다.1. 교원을 대표하는평의원은 교수회에서 추천한다.2 직원을 대표하는평의원은 전체 직원회에서 추천한다.3. 학생을 대표하는평의원은 총학생회에서 추천한다.4. 각 구성단위별평의원 추천을 위한 의사 정족수는 총회과반수 출석 및 출석인원의 과반수 찬성으로 추천하는 것으로 한다. 단, 학생은 제반 여건을 고려하여 투표로 선출하기로 한다.
② 동문 및 대학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는 외부 인사 중에서 대학교육기관의 장이 위촉한다.제 95 조의 7 (평의원회 의장 등)①평의원회에 의장과 부의장 각 1 인을 두되, 각각의 구성 단위를 달리 하여야 한다.② 의장과 부의장은평의원회에서 호선하되, 그 임기는평의원의 임기와 같다.③ 의장은평의원회를 대표하며 회의를 주재하고 부의징은 의장을 보좌하며 의장 유고시에는 이를 대리한다.제 95 조의 8 (평의원의 임기)①평의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② 보선평의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잔임 기간으로 한다.제 95 조의 9 (평의원회의 기능)평의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한다. 다만, 제4호 내지 제6호의 경우는 자문에 한한다. (변경 2008. 1.14)1 .대학의 발전계획에 관한 사항2. 학칙의 제정 또는 개정에 관한 사항3. 추천위원회 위원 추천에 관한 사항
4. 대학헌장의 제정 또는 개정에 관한 사항5. 대학교육과정의 운영에 관한 사항6‘ 대학의 예산 및 결산에 관한 사항 (신설 2007. 6. 5)7. 그 밖에 교육에 관한 중요사항으로써 대학교육기관의 장이 심의에 부의하는 사항제 95 조의 1O(운영규정)평의원회의 운영에 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학교육기관의장이 따로정한다제 3 절고등학교제 96 조 (교장 등)① 고등학교에 교장 1 인과 교감 1 인을 둔다.② 교장은 교무를 통힐하고 소속 교직원을 지휘 감독하며 학생을 지도하고 학교를 대표한다.③ 교감은 교장을 보좌하며 교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교장의 대행한다.제 97 조 (히부조직 및 학교운영위원회)① 고등학교에 행정실을 두며, 실장은 부참사로 보하되 그 분장 업무는 따로 규칙으로 정한다.② 고등학교에 학교운영위윈회를 두고 초.중등교육법 및 시행령을 이행하고 서울특별시립 학교운영위원회 설치·운영에 관한 조례를 준용하며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운영 등에 관히야 이 정관에 규정하지 아니한 사항은 학교운영위원회 규정으로 정한다.
③ 학교운영위원회 교원위원은 임기만료 10일 이전에 선출하고 당연직 교원위원을 제외한 교원위원은 민주적 절차와 빙법에 의하여 대표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적정한 범위 내에서 교직원 전체회의에서 추천한 자 종 학교의 장이 위촉한다.④ 학교의 예산·결산 자문에 관한 사항 및 기타 사항은 학교운영위원회 규정에서 따로 정한다.(변경 2007, 6, 5)제 4 절중학교제98 조 (교장 등)① 중학교에 교장 1 인과 교감 1 인을 둔다.② 교징은 교무를 통할하고 소속 교직원을 지휘 감독하며 학생을 지도하고 학교를 대표한다③교감은 교장을 보좌하며 교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교장이 대행한다.자199 조 (히부조직 및 학교운영위원회 )① 중학교에 행정실을 두며, 실장은 주시로 보하되그 분장 업무는 따로 규칙으로 정한다.
② 중학과이l 학교운영위원회를 두고 초·중등교육법 및 시행령을 이행하고 서윤특별시립 학교운영위원회 설치.운영에 관한 조례를 준용하며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 운영 등에 관하여 이 정관에 규정하지 이나한 사항은 학교운영위원회 규정으로 정한다③학교운영위원회 교원위원은 임기만료 10일 이전에 선출하고 당연직 교원위원을 제외한 교원위원은 민주적 절차와 방법에 의하여 대표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적정한 댐위 내에서 교직원 전체회의에서 추천한 자 중 학교의 장이 위촉한다.④ 학교의 예산·결산 자문에 관한 사항 및 기타 사항은 학교운영위원회 규정에서 따로 정한다" (변경 2007, 6, 5)제 5 절 학교교육분쟁조정위원회제 100 조 (학교교육분쟁조정위원회 설치) 교원예우에 관한 규정(이하 “영”이라 한다)에 의거이 법인이 설치·경영하는 한성여자중·고등학교에 학교교육분쟁조정위원회를 설치·운영한다.제 101 조 (학교교육분쟁조정위원회의 기능 등)① 학교교육분쟁조정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는 영의 규정에 의하여 고등학교이하의 각급학교(이하 “각급학교”라 한다)에서 교육활동 중 발생하는 교원(직원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과 관련된 다음 각 호의 분쟁 사안을 심의·조정·권고(이하 “심의 등”이라 한다) 한다.
1. 학생생활지도 등 교육활동과 관련하여 교원과 학부모간에 발생한 분쟁2, 학생안전사고에 대해 학교안전공제회(이하 “공제회”라고 한다)의 보상액들에 동의하지 아니하고 동 사고 관련 교원에게 추가 보상 등을 요구하여 발생한 분쟁3 기타 교원예우 및 교권보호·존종에 위해가 되거나 위해의 우려가 있는 사항② 위원회는 분쟁에 관한 심의 등을 하기 전에 당사자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여야 한다.③ 위원회가 학생안전사고 관련 분쟁사안에 관한 심의 등을 하기 위하여 경제적·법률적 전문지식이 필요한 경우에는 공제회에 지원을 요청할 수 있으며, 공제회는 임·직원의 회의 참석, 고문변호사의 조언 등 필요한 지원을 하여야 한다.제 102 조 (위원회의 구성 등)① 위원회는 위원장 1 인을 포함한 5 인 내외의 위원으로 구성하되, 학교장은 당연직 위원이 된다.② 위원은 당해 학교 학교운영위원회 위원 중 동 위원회가 추천하는 교원위원·학부모위원, 지역위원 각 1 인을 학교장이 위촉한다.③학교장은필요시 또는 행정분야의 전문지식이 있는 자 1 인을 위원으로 위촉한다.
④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위촉하는 위원은 국기공무원법 제33조의 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하여야하며 정당의 당원이 아니어야 한다.제 103조 (위원장)① 위원회의 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호선하며, 임기는 1년으로 하되 연임할수있다.② 위원장은 위원회를 대표하고, 위원회의 업무를 통할한다.③ 위원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경우에는 위원장이 미리 지명한 위원이 그 직무를 대행한다.제 104 조 (위원의 의무)① 위원은 무보수 봉사직으로서 수당을 지급하지 아니한다. 위원은 회의에 성실히 참여하여야 한다.② 위원은 당해 학교와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거래를 할 수 없으며, 그 지위를 남용하여 재산상의 권리·이익의 취득 또는 알선을 하여서는 아니된다.제 105 조 (분쟁조정 신청) 분쟁에 관련된 교원 또는 학부모는 위원장 또는 학교장에게 서면 또는 구두로 분쟁조정 신청을 해야 한다.제 106 조 (회의개최 등)① 회의는 분쟁조정의 신청이 있을 때 개최한다.② 분쟁조정 신청이 있을 경우 위원장은 신속히 회의를 개최하여야 히며, 늦어도 분쟁조정 신청이 있은 날부터 7일 이내에 개최한다.
③ 회의의 소집통지는 위원장이 위원에게 서면 또는 구두로 하되 개최일 3일 이전에 하여야한다. 다만 위원장 이 긴급을 요하는 사안이라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제 107 조 (위원의 제척) 위원이 분쟁의 당사자가 된 경우에는 당해 사안의 심의 등에 위원의 자격으로 침여할 수 없다.제 108 조 (심의 등 결과의 처리)① 위원징은 위원회의 심의 등의 결과를 관련 당사자에게 즉시 통지하여야한다.② 당사자는 위원회의 심의 등 결과를 존중하여야 한다.③ 위원회는 심의 등 결과, 보상 해결이 필요하거나 당해 교원을 위한 소송대행 기타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학교장으로 하여금 공제회에 이를 신청하게 할 수 있다.④ 위원회는 분쟁사안 중 교원에 대한 협박·폭행·폭언 등으로 당해 교원 또는 학교교 육에 과중한 피해를 입혔다고 판단되는 사안에 대하여는 학교장으로 하여금 관련자를 사법기관에 고발하도록 권고할 수 있다.⑤ 위원회는 분쟁사안중 학생에 대한 폭력 등 학생인권 침해의 정도가 범죄수준에 이를 정도로 심각하다고 판단되는 사안에 대하여는 학교장으로 하여금 당해 교원의 징계의결 등 인사조치를 요청하도록 권고할 수 있다.
제 109 조 (간사) 위원회의 회의기록 등 사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히아 교직원 중에서 학교장이 지명하는 간사 1 인을 둘 수 있다.제 110 조 (학교운영위원회규정의 준용) 위원회의 위원의 임기, 위원의 자격상실, 기타 회의의 운영 등에 관하여 본 절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은 동 정관 중 학교운영위원회의 규정을준용한다.제 111 조 (운영세칙) 위원회의 구성·운영 등에 관하여 이 정관에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은 위원회 규정으로 정한다.제 6 절 정 원제 112 조 (정원) 법 인 및 각급학교에 두는 일반직원의 정원은 별표1 및 별표 2와 같다. 다만 한성대학교 일반직원의 직급별 정원은 이사회 의결을 거쳐 총장이 직원인사규정에 따로 정한다.제 8 장 보 칙
제 113 조 (공고) 이 법인이 법령과 정관 및 기타 이사회의 의결에 의하여 공고하여야 할 사항은 (동아일보) 신문에 공고한다.제 114 조 (시행규칙) 이 정관의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세칙으로 정한다.제 115 조 (설립 당초의 임원) 이 법인의 설립 당초의 임원은 다음과 같다
직위 성명 생년월일 임기 주소
부칙
①( 시행일) 이 정관은 1953년 1월 21일부터 시행한다.부칙①( 시행일) 이 정관은 1991년 2월 25일부터 시행한다②(교원에 대한 경과조치) 이 정관 시행 당시 대학 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원(학교의 장을 제외한다) 및 일반직원은 이 정관에 의하여 학교법인이 임명한 것으로 본다. 다만, 대학교육기관의 교원의 임용기간은 종전 임용 기간의 잔여기간으로 한다.③(교원징계에 대한 경과조치) 이 정관 시행 당시 교원징계위원회 및 재심위원회에 계류중인 징계 및 재심청구사건은 종전의 규정에 의한다.④(인사위원회 위원에 대한 경과조치) 이 정관 시행 당시 종전의 정관의 의하여 임명된 대학교육기관의 인사위원회 위원중 이 정관에 의하여 당연직 위원이 아닌 위원은 이 정관 시행일에 해임된 것으로 본다.⑤(일반직원에 대한 경과조치) 이 정관 시행당시 종전의 정관에 의하여 초과하는 경우에는그 초과하는 일반직원이 퇴직할 때까지 그 정원이 따로 있는 것으로 보되 일반직원의 신규임용은 그 초과하는 정원이 있을 때에는 채용하지 못한다.부 칙
①(시행일) 이 정관은 1993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②(교원등에 대한 경과조치) 이 정관 시행당시 대학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원(학교의 정-은 제외한다) 및 일반직원은 이 정관에 의하여 학교법인이 임명한 것으로 본다. 다만, 대학교육기관의 교원의 임용기간은 종전임용기간의 잔여기간으로 한다.③(인사위원회등 위원임기에 대한 경과조치) 이 정관 시행당시 종전의 정관에 의하여 임명된 인사위원회등 위원의 임기는 전임기간으로부터 기산하여 잔여기간으로 한다.④(학교의 장의 임기에 대한 경과조치) 이 정관 시행당시 종전의 정관에 의하야 임명된 현학장은 정관변경에 따라 총장으로 하고 임기는 전임기간으로 부더 기산하여 잔여기간으로 한다⑤(학생에 대한 경과조치) 이 정관 시행당시 한성대학 재적생은 이정관에 의하여 한성대학교의 해당학과에 해당학년에 재적하는 것으로 본다.부 칙①(시행일) 이 정관은 1998년 5월 18일 부터 시행한다.②(대학교원에 대한 경과조치) 1, 정관 제43조 제3항의 규정은 종전의 임용-기간이 만료된 때 부터 적용한다.
2, 정관 제 43조 제3항의 시행당시의 전임강시 조교수, 부교수는 종전의 기간을 합산하여 동 규정에 의한 임용기간이 만료된 때에 재임용 또는 승진 심사를 받는다.부칙①(시행일) 이 정관은 2007년 6월 S 일부터 시행한다.②(임원의 임기에 대한 경과 조치) 이 정관 시행 당시 재임 중인 임원은 제23조 제1항의 개정규정에 불구하고 당해 임원의 임기가 종료될 때까지는 종전의 정관에 의한다.부칙①(시행일) 이 정관은 2011년 12월 08일부터 시행한다. 다만, (별표1) 의 개정규정은 2012년 5월 24일부터 시행한다.②(기능직 10급 직원으로 재직 중인 직원에 대한 기능9급 직원으로 승진임용에 관한- 특례)이 정관 시행 당시 기능10급으로 재직 중인 직원은 재직기간에 따라 2012년 5월 23일까지 순차적으로 승진임용한다부칙
①(시행일) 이 정관은 2011년 12월 21일부터 시행한다부칙(시행일) 이 정관은 2012년 7월 22일부터 시행한다.(전임강사 명칭폐지에 따른 경과조치) 이 정관 시행 당시 재직중인 전임강사의 기간을 합산하여 동 규정에 의한 임용기간이 만료된 때에 재계약 또는 승진심시를 받으며, 기존의 조교수는 정관 43조 개정에도 불구하고 종전처럼 4년의 임기가 만료된 때에 재계약 및 승진심시를받는다.부칙(시행일) 이 정관은 2015년 4월 20일부터 시행한다.한성여자중학교부록
◇ 학급수 및 학생수(1) 학급수의 변화가) 1946년 : 6년제 12학급 인가나) 1952년 : 한성여자중·고등학교 6학급 분리 편성다) 1958년 : 학년별 6학급씩 18학급 증설 편성라) 1960년 1 학년 10학급 증설 편성(1학년 10학급, 2학년 6학급, 3학년 6학급 총 22학급)마) 1962년 : 학년별 10학급씩 30학급 증설 편성바) 1969년 학년별 12학급씩 36학급 증설 편성사) 1984년 1 학년 10학급 감축 편성(1학년 10학급, 2학년 12학급, 3학년 12학급 총 34학급)아) 1986년 : 학년별 10학급씩 30학급 김축 편성자) 1995년 1 학년 8학급 감축 편성(1학년 8학급, 2학년 10학급, 3학년 10학급 총 28학급)차) 1997년 : 학년별 8학급씩 24학급 김축 편성타) 2013년 1 학년 7학급 감축 편성(1학년 학급, 2학년 8학급, 3학년 8학급 총 23학급)파) 2015년 : 학년별 7학급씩 21학급 감축 편성(2) 학생수의 변화
가) 1945년부터 1997년 2월까지 졸업한 총학생수
졸업회수
나) 1998학년도부터 2015학년도까지 학생수
학년도 학급수 1학년
◇ 재 정
(1) 예산규모가) 단식부기(가) 학교비·육성회비 적용기간 1999년 2월말까지(단위 : 천원)
구분
(나) 학교회계(학교운영지원비) 적용기간 2010년 2월말까지
(단위 : 천원)
구분 세입·세출예산총액 재정결함지원금 법인전입금
나) 복식부기(에듀파인) 적용시작 : 2010년 3월부터
(단위 : 천원)
구분 세입·세출 예산총액 재정결함지원금 법인전입금
(2) 재정결함지원금
[목적] 공립학교 수준으로 수업료를 징수하고 있는 사립학교와 의무교육시행으로 수업료를 징수하지 않는 사립학교에 대한 인건비 및 운영비 재정부족액을 지원하여 교육과정 정상화와 안정적인 학교운영이 이루어지도록 함(3) 중학교 의무교육 실시가) 수업료 면제 : 2001학년도부터 1개 학년씩 수업료 징수 및 수납을 연차적으로 면제를 2003학년도까지 실시하여 2004학년부터는 전 학년 수업료 면제가 완료 되었습니다.나) 학교운영지원비 변제·의무교육 전면실시에 따른 학교운영지원비 징수 및 수납은 헌법재판소 위헌판결로 2012학년도 2분기까지만 징수 및 수납하였으며 2013학년도 부터는 회계과목에서 소멸 되었습니다.◇ 교직원 정원
(1) 교직원 정·현원표가) 교장괴 교감 및 교사 정원 기준(개 교장·학교당 1 명(나) 교감·학교당 1 명(다) 학급당 교원 정원 기준 개정
정원기준일 중학교(일반) 일반고등학교
※ 학급수에 학급당 기준을 곱하되 소숫점 이하는 소숫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
(라) 교사 증치 기준 (2016.03.0 1. 기준)
구분 증치 기준 내 역
나) 교원 정원 현황 (1995-)
학년도 학급수 교장 교감 일반교사 보건교사
다) 사무직원 정원 기준
적용기준일 급별 학급수 일반직 기능직
라) 직원 정원 현황 (1995-)
(2) 관리자(교장, 교감, 행정실장)
임명기간 학교장 연대 사진 성명 교감 사진 성명 행정실장(서무과장)
1982.02.06. -
임명기간 학교장 연대 사진 성명 교감 사진 성명 행정실장(서무과장)
2005.09.01. -
◇규칙및주요규정
(1) 학교규칙, 인사규칙가) 학교규칙 (개정시행일 1992년 3월 1일)[목적] 이 학교규칙(이하 ‘학칙’이라 한다)은 초·중등교육법(이하 ‘댐’이라 한다) 제8조 및 동법시행령(이하 ‘시행령’이라 한다) 제9조에 의거 한성여자중학교(이하 ‘본교’라 한다)의 학사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나) 인사규칙 (개정시행일 2000년 4월 1일)[목적] 이 규칙은 학교법인 한성학원의 정관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합(2) 교원 인사가) 교원인사위원회규정 (시행일 : 1999년 7월 1일)[목적] 이 규정은 학교법인 한성학원 정관 제 51 조의 규정에 의거 한성여자중학교의 교원인사에 관한 사항을 심의함.나) 선임교원채용규정 (시행일 : 1999년 4월 22일)
[목적] 결원 교원 발생시 공개적이고 투명한 절차를 통해 훌륭한 교원을 채용하기 위함.(3) 사무직원 인사기) 신임행정직원채용규정 (시행일 : 2009년 3월 30일)[목적] 결원 직원 발생시 공개적이고 투명한 절차를 통해 훌륭한 직원을 채용하기 위함.나) 교육공무직원 (시행일 : 2016년 1월 1일)[목적] 이 조례는 「근로기준법」 및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에 따라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각급 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육공무직원의 근로관계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직종] 구학부모회직원, 행정실무사, 교무행정지원사, 중학교사서, 영양시 조리사, 조리원 等다) 대우사무직원임용제 (시행일 : 2000년 4월 1일)
[목적] 사립학교 일반직 및 기능직(이하 “사무직원”이라 한다) 중 당해 직급에서 일정기간 이상 장기근속한 자에 대한 사기진작 및 근무의욕 고취하고 공·사립학교 사무직원간 대우수당 지급 형평성 도모라) 근속승진제 (시행일 : 2001년 2월 28일)[목적] 사립학교 일반직 8급 및 9급과 기능직 8급 '9급 및 10급 사무직원으로서 당해 직급에서 일정기간이상 장기 근속한 사무직원을 인사 관계 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승진 임용함으로써 조직의 활성회를 도모하고 사무직원의 승진기회를 확대함으로써 근무의욕을 고취시키고 사기를 진작시키고자 함.(4) 학교운영위원회규정 (시행일 2000년 7월 4일)[목적] 학교운영위원회는 학교운영과 관련된 중요한 의사결정에 학부모, 교원, 지역 인사가 참여함으로써 학교 정책결정의 민주성, 합리성, 투명성을 확보하고 학교교육목표달성에 기여하기 위한 단위학교 치원의 교육자치기구이다.
(5) 학교폭력대책위원회규정 (시행일 2008년 10월 16일][목적] 이 규정은「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법률 제113885호, 2012.05. 01)」 및 동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89호, 2012.05.01) 에 의거,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책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피해학생의 보호, 가해학생의 선도, 교육 및 피해학생과 가해 학생간의 분쟁조정을 통하여 학생의 인권을 보호하고 학생을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육성함.(6) 교원분쟁조정위원회규정 (시행일 2001년 3월 2일)[목적] 이 규정은 교원예우에관한규정(이하 “영”이라 한다) 제6조제4항과 서울특별시 공립학교의 학교교육분쟁조정위원회 설치·운영에관한조례(이하 “조례”라 한다)의 위임규정에 따라 한성여자중학교 학교교육분쟁조정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7) 학업성적관리규정 (개정시행일 2001년 3월 2일
[목적] 이 지침은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에 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교육과학기술부 훈령(제 127호 2015.1.9., 제29호 2014.1.16.) 및 교육과학기술부훈령(제 282호 2013.2.15.) 및 중학교학업성적관리시행지침 (2015개정판, 서울특별시교육청)을 근거로 하여 작성된 것으로, 서울특별시의 중학교와 이에 준하는 학교에서 적용할 학업성적평가 및 관리의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하여 학업성적 평가 및 관리의 객관성·공정성·투명성과 신뢰도를 제고하는 데 목적이 있다.(8) 학생교복규정 (시행일 2015년 8월 20일)[목적] 신입생 및 재학생의 교복 구매 시 교육부의 「교육비 부담 정감을 위한 교복 가격 안정화 방안」 (’13.7.9)과 「교복 구매 운영 요령」 [’13.9. 10.(제정). 14.4.14( 개정)] 제시에 따라 학교 주관 구매를 실시를 통한 좋은 품질의 교복을 적정한 가격으로 구매하여 학부모의 정제적 부담을 완화시키고자 한다.
(9) 학부모회 규정 (시행일 2016년 1월 29일)[목적] 학부모회는 한성여자중학교 학부모들이 교육공동제의 일원으로 교육활동에 참여하여 학교교육 발전에 이바지함(10) 학생회 회칙 (개정시행일 1991년 3월 2일)[목적] 본회는 본교 교육이념에 입각한 자율적인 활동을 통하여 민주적인 지지능력을 기르고 건전한 학풍을 조성함.◇ 한성여자중학교 교원 신분변동 현황 (2015.10.05. 기준)
담당교과 이름 재임기간 비고
담당교과 이름 재임기간 비고
영어 김영 1999.04.01. - 재직
◇ 한성여자중학교 직원 신분변동 현황
직위(급) 이름 재직기간 비고
육성회직 조경은 1999.03.10. ~ 2014.03.31 의원면직
◇ 건물조서
학교법인한성학원 [한성여자중학교](2015.10.05. 기준)
건물명 구조층별면적(㎡) 비고
한성여중
◇ 토지조서
학교법인한성학원 [한성여자중학교](2015.10.05. 기준)
필지수 소재지 지번 지목 면적(㎡) 편입면적(㎡) 소유자
8 서울시 성북구 삼선동2가 405-9 잡 152.00 152.00
한성여자고등학교부록
◇ 정년 및 명예퇴직자 현황
연번 교원명 정년퇴직 비고
10 정해인 1970.09.02. ~ 1995.02.28 10 서은경 1982.03.02. ~ 2012.08.31
◇ 교원 일반퇴직자 현황
연번 교원명 재임기간 퇴직구분
11 김대희 1962.03.01. -1983.05.07. 의원면직 36 이병택 1973.06.01. -1980.02.25. 의원면직
연번 교원명 재임기간 퇴직구분연
58 이영숙 1981.03.02. ~ 1981.12.31 의원면직 80 김시희 1993.03.01. ~ 2000.08.31 공립전출
◇ 직원 일반퇴직자 현황
12 정애영 1979.04.01. ~ 1987년퇴직 36 신지연 1996.03.27. ~ 1996.08.26.
◇ 교감 및 행정실장(서무과장) 현황
교감(직무대리기간포함) 행정실장
구영희 1995.03.01. ~ 2003.08.31
◇ 한성여자고등학교 건물조서 (2015년 현재)
건물명 용도 지번 구조 건축년도층별면적(㎡)층별 면적 등기년도 비고
정보센타
◇ 한성여자고등학교 토지조서 (2015년 현재)
소재지 지번 지목 면저(㎡) 편입면적(㎡)
◇ 한성여자고등학교 급식시설 (2015년 현재)
구분 면적(㎡) 비고 기타
한성대학교부록
◇ 한성대학교의 교원의 보직 및 주요 상황· 1973년 개교하면서 국어국문학과 고창식, 윤태영 교수가 대우교수로 신규 임용하여 각각 교무처장과 학생처장에 임명하고 윤태영 교수는 국문학과장을 겸직하였다· 1974년 신학기에 김복길, 차주환 교수를 신규 임용하여 각각 가정학과 및 의상학과장, 생활미술학과장에 임용하고 고창식 교무처장을 영문학과장으로 연정열 시간강사를 경영학과 및 무역학과장대행으로 임명하였다.· 1975년 신학기에 경영학과 연정열, 불어불문학과 정기수, 무용과 김형표(예명: 김진걸), 교양 신은숙 교수를 신규임용하고 처장제를 과장제로 변경하여 보직개편을 단행하여 교무과장 정기수, 학생과장 연정열, 불문학과장에 정기수, 무용학과장에 김진걸 전임강사대우를 임명하였다 .· 1976년 신학기에 국문학과 이근수, 영문학과 이경식, 가정학과 장석향 교수가 신규 임용되고 이 해 6월 보직개편하여 교무과장 이경식, 학생과장 이근수 교수를 임명하였고 각각 국문학과장, 영문학과장에 겸직 발령하였다. 6월 9일자로는 최초 임용된 윤태영 교수가 계약만료로 퇴직하였다 또한 4월 1일 조교수에서 부교수로 최초 승진한 고창식 교수가 8월 31일자로 퇴직하였다 .
· 1977년 가정학과장 김복길, 의상학과장에 새로 장석향 교수를 임명하고 신설된 국사학과장에 신은숙 교수를 임명하였다. 이 해 무용과 김경자 교수를 전임강사로 국문학과 정연길 교수를 정교수로 신규 임용하였다 .· 1978년 신학기에 생활미술학과 정하경, 행정학과 이창신, 의상학과 이남희, 박명희, 생활미술학과 정히경, 하인두, 교양과 김계욱 교수를 2학기에 영문학과 허광일 교수가 신규 임용되었다. 한편 이 해 2월 교무과장에 정연길, 3월 신설된 행정학과장에 이창신 교수를 임명하였으며 이 해 8월에 정연길 교무과장이 학장서리에 임명되면서 교무과장 정하경, 학생과장 이창신 교수가 임용하였다 .· 1979년 3월에 무용과 김숙자, 국어국문학과 이석주, 경영학과 최명규, 행정학과 김범주 교수가 신규 임용되었고, 국어국문학과장 정연길, 영문학과장 허광일, 의상학과장 이남희, 미술학과장에 하인두 교수가 임명되었다.· 1980년 3월 영문학과 고정자 경영학과 최송길, 국문학과 김종엘, 무역학과 김신, 이시환, 사학과 지배선, 생활미술학과 강국진 교수가 신규 임용되고 무역학과정 최명규, 무용과장 김숙지 국문학과장 이석주, 영문학과장 고정지 사학과장 지배선 교수를 임명하였고, 이 해 8월 무역학과정을 김신 교수로 임명하였고 영문학과 박양구, 유명숙 교수를 신규 임용하았다. 이 해 8월 직제개편으로 과장을 처징으로 그 명칭을 바꾸고 교무처장 이근수, 학생자정 신은숙 교수를 임명하였으나 교무처장이 3개월 후 타교로 전직함으로 후임에 최명규 교수를 임영하게 되었다.
· 1981년 3월 보직개편으로 교무처장 연정열, 학생처장 신은숙, 시무처장 김범주 교수를 임맹하고 도서관장에 김복김 교수가 유임되었다. 이 달 경제학과 한칭호, 교직 조점환 교수를 신규 임용하면서 신설된 경제학과장과 도서관학과장을 맡게 한다. 이 해 같이 임용된 교수로는 경영학과 김길평, 사학과 윤경로, 임영상, 의상학과 이명희 교수이며 2학기에 체육 깅은석, 영어영문학과 김용석, 경영학과 김원중, 무역학과 김평광, 교직 김양현 교수를 임용하였다.· 1982년 2월 깅랭규 학장의 취임으로 이달 22일자로 보직개편을 단행하여 교무처장 정하경, 학생처장 김제옥, 사무처장 이승록(외부), 기획실장 손영일(외부), 도서관장 연정열, 국어국문학과장 정연길, 영어영문학과장 박양구, 사학과 지배선, 경영학과 연정열, 무역학과정 김평광, 경제학과정 최명규, 행정학과장 이창신, 도서관학과장 이용님 의상학과 이남희, 미술학과 하인두, 무용과 김경자 교수를 각각 임용하였다.
· 1983년 2월 학사개학 조치로 성격이 유사한 학과들을 4개 학부로 분류하여 학부중심 으로 운영하기로 하여 인문학부장 이동섭, 사회학부 연정열, 예술학부 하인두, 교양학부 박양구 교수를 임명하였다. 한편 보직개편도 동시에 단행하여 교무처장 이용남, 학생처장 최맹규, 도서관장 정연길, 국어국문학과장 이석주, 영어영문학과정 조효진, 사학과 지배선, 경영학과 최송길, 무역학과 김용정, 경제학과 한창호, 행정학과 김범주, 도서관학과 이우범, 의상학과 이명희, 미술학과 깅국진, 무용과 김경자, 교양과 김용석, 교직과 김양현 교수룹 각각 임명히였고 이듬 해 3월 학생처장에 김용석, 사무처장에 최명규, 기획실장에 강병식 교수를 임명하나 6월에 학내소요로 보직개편을 단행하여 교부처장에 김용석, 학생처장 강은석, 사무처장, 강석중 교수를 임명하였다.· 1984년 9월 흥순태학장이 취임하여 보직개편을 단행하여 교무처장 윤석효, 사무처장, 김길평, 학생처장 강은석 유입, 기획실장 김용정 교수 유임하였으나 12월 학생처장을 한진만 교수로 교체하고 도서관장 홍봉춘, 학보사주간 이종수, 영어영문학과정 김용석,경영학과장 김원중, 행정학과장 황진수, 도서관학과장 이우범, 의상학과장 최해주, 미술학과장 정하경 교수를 각각 임명하였다.
· 1985년 8월 교무처장 최명규, 학생처장 김경배, 도서관장 한창호, 영어영문학과정 박양구 교수를 임명하였다.· 1986년 8월 교무처장 한창호, 학생처장 이우범, 도서관장 이용남, 학보사주간 황진수, 국어국문학과장 김창용, 영어영문학과장 김용석, 사학과장 윤경로, 경영학과장 연정열, 무역학과장 김용정, 행정학과장 이종수, 경제학과장 권혁제, 도서관학과장 정진식, 무용학과장 김진걸, 미술학과장 강국진, 교양과장 김계욱, 우촌관 건설본부장 김길평, 체육부장 강은석 교수를 임명하였다.· 1987년 10월 이공계열인 전산통계학과, 산업공학과, 의류직물과와 예능계열 산업디자인학과의 신설로 1988년 2학기에 전산통계학과 최병수, 산업공학과 김대홍, 의류직물학과 안영무, 산업디자인학과 조열 교수를 신규임용하여 각각 학과장에 임명하였다.· 1988년 8월 신영기 학장이 취임하면서 보직개편을 단행하여 교무처장 김용정, 학생처장 이석주, 사무처장 박양구, 기회실장 김용정, 국어국문학과장 원형갑, 영어영문학과장 고정자, 사학과장 윤석효, 경영학과장 김원중 교수를 임용하였다.· 1991년 3월 원형갑 학장이 취임하면서 교무처장에 이종수 교수를 임명하고 1992년 8월 영어영문학과장 조효진, 경영학과장 홍용식, 무역학과장 최옥근, 경제학과장 권혁제, 도소관학과장 조인숙, 의상학과장 양미경, 미술학과장 조덕현, 산업디자인학과장 이상원, 교양과장 김종섭, 교직과장 김경배 교수를 각각 임명하였다.
· 1993년 3월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어 4개 단과대학으로 개편하였고 이 해 9월 컴퓨터공학과, 정보공학과, 산업안전공학과 신설과 산업디자인학과의 증원으로 입학정원이 990명에 이르게 되며. 교수충원도 대폭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컴퓨터공학과 황기태, 정보공학과 김인철, 산업안전공학과 이남식 교수를 신규임용하여 각각 학과장에 임용하였다.· 1994년 이후로도 대학발전의 질적 성장을 위하여 우수한 교수진의 확보와 학문연구의 장을 조성하고자 서정희 이사장 시절 우수교수 지원확보 계획을 수립하여 1994년 8월부터 1996년 8월에 이르기까지 무려 50여명에 이르는 신임교원을 충원하여 전임교원의 수가 133 명에 이르게 된다. 이는 서정희 이사장이 취임한 해 전임교원 수 69명에서 배이상 증가된 수치를 보여 주고 있다.· 2003년 3월 부동산학과 신설로 안정근, 박병식, 이용만 교수를 신규임용하였고 2003년3월에는 신설된 국제대학원과 디지털중소기업대학원에 대학원전임교원으로 조성권, 주형근 교수를 초빙하였다.
· 2006년 3월 사고와 표현, 교양영어를 담당할 비정년제열 전임교원을 언어교육원 소속으로 대폭 충원하였고 학과 소속으로도 비정년계열과 외국인 전임교원을 충원하도록 독려하았다. 학과 소속 비정년계열 전임교원은 최초 계약 기간이 정과한 2년 후 정년계열로 전환하던지 계약기간 만료로 면직 처리하였다.· 2012년 2월 대학구조개학평가에 대비하고자 전임교원확보율 최저 기준인 61% 이상을 맞추기 위하야 비전임교원으로 산학협력중점교원 15명과 이 해 3월 강의전담교원 23명을 대폭적으로 충원하여 4월 기준 전임교원수 239명으로 전임교원확보율 63.9%에 이르게 되었다.· 2015년 기준 전임교원수는 260명이며 교원확보율은 74.3%이다.◇ 한성대학교 연도별 교원 현황
(연도말 기준 / 단위 : 명)(연도말 기준/단위:명)
구분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73~2015 교원 현황>
임용교원 퇴직교원
◇ 한성대학교 교원 명단
학과(부) 전공 이름 재임기간 비고
의상 가정관리 박영희 1978.03.02. ~ 1982.02.28 의원면직
학과(부) 전공 01 EE 므5 재임기간 비고
국어국문 고전문학 김창룡 1983.03.02. - 재직
학과(부) 전공 이름 재임기간 비고
의상 섬유예술 신인숙 1991.08.15. - 재직
학과(부) 전공 이름 재임기간 비고
산업디자인 디자인이론 고영란 1994.02.15. - 재직
학과(부) 전공 이름 재임기간 비고
정보전산 디지탈로직컴퓨터 정성훈 1996.03.01. - 재직
학과(부) 전공 이름 재임기간 비고
부동산 부동산조세법 민태욱 2001.03.01. - 재직
학과(부) 전공 이름 재임기간 비고
의류패션산업 패션디자인 김지언 2006.03.01. ~ 2010.02.28 계약만료
학과(부) 전공 이름 재임기간 비고
회화 회화 Dirk Fleischmann 2009.09.01. ~ 2011.08.31 계약만료
학과(부) 전공 이름 재임기간 비고
부동산 지구물리학 양칠수 2012.03.01. ~ 2015.02.28 계약만료
학과(부) 전공 이름 재임기간 비고
산업경영공학과 MIS 서동백 2013.03.01. ~ 2014.08.31. 의원면직
학과(부) 전공 이름 재임기간 비고
산학협력단 화폐금융론 홍순영 2014.03.01. - 재직
학과(부) 전공 이름 재임기간 비고
◇ 한성대학교 직원의 변동
· 1973년 한성대학 개교 당시 행정조직은 교무처, 학생처, 사무처로 나누어져 있었으나 학생수 100명 채 안되는 시절이라 행정을 같은 사무실에서 처리하였다. 이 해 2월 행정직원으로 박관현, 임동순을 임용하여 교학 업무를 담당하였고 12월에 김영기가 서무주임으로, 이듬 해 5월에는 허천옥이 경리로 임용되었다.· 1975년 2월 직제개편으로 교무처, 학생처, 사무처를 과로 낮추고 4월 서무과장으로 당시 고등학교 김성열 서무실장을 임용하였으나 1978년 8월 정년 퇴직히띤서 이후 김영기 서무주임이 서무과장으로 승진하였다.·1976년 4월 맹형호가 학생과로, 1977년 6월 최동운, 조치형이 교무과료. 1978년 4월 김명수를 도서관에 이종수를 교무과에 각각 신규 임용하면서 시무실도 분리하고 업무분장도 나누게 되었다.·19개년 3월 기능직 직종 중에서 눈에 띄는 것이 여직원 교환수로 3 병이 교대 근무하면서 교내 전화는 물론 교외 전화를 연결하여 주던 역할을 하여 오다가 1988년 전화교환기 전산화로 타 직종으로 전환하였다·1979년 병사담당 박종규, 1980년 학적담당 장대환, 서무담당 김우백 선생을 경력직원으로 채용하였다. 이 해 과를 다시 처로 바꿔 교무처, 학생처, 시무처로 개편하고 교무처에 교무과와 학적과를 학생처에 학생지도과와 행정과를 사무처에 서무과와 영선과를 두었다.
·1981년 3월 주임제를 두어 교무처에 최동운 교무주임, 장대환 학적주임, 학생처에 맹형호 학생지도주임, 박종규 행정주임, 사무처에 이종수 영선주임, 도서관 김명수 사서주임으로 보직 승진하였다.·1982년 2월 깅병규 학장 재임 시 기획실을 신설하고 이 해 2월 23일 이승록 사무처장, 손영일 기획실장을 외부에서 영입하였고 기획실에 기획과와 예산관리과를 두어 기획주임으로 정재문을 신규 임용하였으며, 이 때 유재국, 공대원, 박종욱, 이정봉 선생을 경력직원으로 공개 초빙하였다. 외부 영입한 기획실장과 사무처장은 2년 계약만료로 물러닌다·1985년 2월 서무과를 총무과로 명칭 변경하였고 이 해 김영기 서무과장을 한성여중·고서무과정으로 전보하고 중·고등학교 유무열 서무과장을 총무과장으로 교체 임용하았다.·1985년 6월 기획실을 폐지하여 사무처로 기획과를 편입하고 기획과장에 유무열 총무과장을 겸직 발령하였다.
·1987년 4월 법인사무국에 강홍빈을 임용하였고 그동안 법인사무국에 근무했던 한종호는 고등하교 행정실로 자리를 옮기게 된다.·1987년 11월 홍순태 학장 재임 시 총무과장 외 주임제로 운영되던 부서에 주임을 과장으로 보직 승진하였다. 이에 따라 교무처 교무과장에 최동운, 학적과장에 정대홍, 교학과장에 맹형호, 학생처 학생과장에 공대원, 장학과장에 박종규, 총무처 서무과장에 유재국, 경리과장에 박종욱, 도서관 사서과장에 김명수 선생을 각각 발령하였다.·1988년 3월 기획실을 재신설하여 조승익을 발령하였고 1989년 전자계산소를 설립하여 외대에 있던 정영만 선생을 스카우트 하였다. 이듬 해 유부상, 조현호, 유정미, 김순자를 전자계산소 직원으로 임용하였다.·1990년 5월 유무열 총무과장이 사무처장으로 승진하였으나 이 해 9월 입시부정사건에 연루되어 해임되었다. 이를 계기로 1991년 2월 서정희 이사장 직무대행 시절 대학 사무처를 폐지하였고 총무과, 경리과를 총장직속기구로 두게 되었다. 이는 사무처장직을 없애고 그 역할을 법인사무국에서 관장하게 하는 조치였다. 강홍빈 법인과장이 그 역할을담당하였다.
·1992년 시설과를 설치하여 전장배 관리주임을 시설과장으로 승진 발령하고 1995년에는 입시관리과를 신설하여 조승익 주임을 발령하였다.·1995년 12월부터 6개월 사이에 신입직원 20여명을 대폭 충원하였으며 이 해부터 기능직을 더 이상 채용하지 않고 무기계약직인 기능직II를 채용하기 시작하였다.·1997년 7월 1일 법인과장 강홍빈을 법인사무국장에, 학생과장 소순무를 학생부처장에, 정보자료과장 김명수를 도서관 부관장에 승진 발령하고 기능직 중에서 자격을 갖추고 근무 우수자를 기술직으로 직종 변경하였다.·1997년 12월 서정희 명예이사장이 물러나고 임시이사 체제에서 강홍빈 법인사무국장이 의원면직하고 그 자리에 최동운 총무과장을 승진 전보하였다. 법인사무국장은 70년대 말에 전담직원을 두었으나 80년대 초 강병식 사학과 교수가 법인사무국장을 잠시 담당한 것을 제외하면 대학 직원을 파견하는 것이 관례였으나 2012년 감시원 감사 결과 대학 직원이 법인 직원으로 파견하여 급여를 지급하는 것이 위법이라는 지적 이후 현재는 전담 직원으로 운영하고 있다.법인사무국장은 차인석 이사장 재임 시 최동운 국장부터 손봉호 이사장 재임 시 공대원국장, 신용하 이사장 재임 시 정대흥 국장, 이희순 이사장 재임시 안홍열 당시 총무처 차장에 이어 명예퇴직한 노성수 국장이 잠시 맡기도 했다. 이 해 8월 31일 에는 한성대학에 20여년간 몸담았던 김명수 도서관 부관장이 정년퇴직 하였고 2000년 2월 말일 자로 배종후 시설과장이 그리고 소순무 학생부처장이 정년퇴직 하였다.
· 2001년 11월 이성근 총장 재임 시칠 기획연구처 내에 기획과 업무에서평가 및 예산심사분석업무를 분리하여 심사평가과를 신설하여 당시 전장배 기획과장이 겸직하였다.· 2002년 7월에 유재국 연구지원과장이 최초로 명예퇴직한 데 이어서 2003년 2월에 최동운 도서관 부관장이, 2005년 6월에는 김석기 시설지원팀 팀원이 각각 명예퇴직 하였다.· 2004년 1월 팀제로 전환하면서 종전 과 명칭을 팀으로 변경하고 부속기관이던 전자계산소를 연구기획처에 편입하여 기획정보처로 명칭 변경하는 등 17개 과를 팀으로 개편하여 교무처 교수지원팀장에 김태식, 학시지원팀장에 노성수, 기획정보처 기획예산팀장에 정영만, 심시평가팀장에 장영우, 정보회팀장에 정영만, 학생지원처 학생지원팀장에 조승호, 취엄정보팀장에 박철우, 총무처 총무인사팀장에 전장배, 재무회계팀장에 정대홍, 시설지원팀장에 정철환, 입학홍보처 입학정보팀장에 이성민, 홍보교류팀장에 맹형호, 대학원교학팀장에 조윤철, 학술정보관 학술자료팀장에 박인호, 학술정보팀장에 임동학, 산학협력팀장에 유부상 과장을 각각 발령하였다.
·2006년 6윌에 맹형호 시설부처장이, 2007년 2월에 공대원 법인사푸국장이, 2010년 6월에 정대홍 법인사무국장이 정년퇴직하였으며 이 해 7월에 정철환 취업정보팀장이, 2008년 8월에 김태식 학술지료팀장이, 2012년 9월에 노성수 대학원교학팀장이 명예퇴직하였다.·2015년 10월 현재 직원의 수는 기능직 포함하여 113 명이다.◇ 일반직 현황
구분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 한성대학교 직원 명단
최초임용 최종부서 이름 재임기간 비고
비서 서무과 성방현 1976.04.06. ~ 1976.09.06. 의원면직
최초임용 최종부서 이름 재임기간 비고
4 급 비서실장 김환철 1982.03.04. ~ 1984.07.31 의원면직
최초임용 최종부서 이름 재임기간 비고
별정직 재무회계팀장 이선준 1988.03.03. ~ 2013.08.31. 정년 퇴직
최초임용 최종부서 이름 재임기간 비고
미화원 총무처 정명현 1994.01.01. ~ 2001.08.31 11
최초임용 최종부서 이름 재임기간 비고
8 급 IPP사업단 손영호 1997.08.01. - 재직
최초임용 최종부서 이름 재임기간 비고
〃 총무처 박종석 2013.01. 21. - 〃
◇ 학과(부) 설치 연혁
·1973년 3월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비서학과, 가정학과, 의상학과, 생활미술학과 등 6개 학과 150명의 야간대학으로 개교하였다.·1973년 12월 비서학과를 폐과하였고 무용학과, 경영학과, 무역학과, 불어불문학과 등 4개 학과를 증과함으로써 9개 학과에 입학정원 230명으로 늘어났다.·1976년 10월에는 불어불문학과를 폐과하였고 국사학과를 신설하였으며, 이듬 해 국사학과를 사학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1978년 1월 남녀공학으로 전환하였고 이 해 10월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의상학과, 생활미술학과, 무용학과, 경영학과, 무역학과 입학정원을 증원하였고, 행정학과를 신설하고 가정학과를 폐과하여 9개 학과에 입학정원 380명으로 늘어났다.·1979년 9월 행정, 무용, 의상, 생활미술, 사학과 등 5개 학과를 60명 증원하여 입학정원이 440명이 되었다.·1980년 10월 주간에 경제학과, 도서관학과를 신설하여 전일제 수업 실시와 더불어 주야간대학으로 전환하였다. 당시 졸업정원제 시행으로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사학과, 경영학과, 무역학과, 경제학과, 행정학과, 도서관학과, 의상학과, 생활미술학과, 무용과 등 11개 학과 졸업정원 520명, 모집인원 676명으로 정원 조정하였다. 야간에 졸업정원 국어국문학과 20명, 영어영문학과 20명, 경영학과 40명, 무역학과 40명만 두고,모든 학과를주간으로 전환하여 국어국문학과 20명, 영어영문학과 20명, 경영학과 40명, 무역학과 40명 사학과 40명, 행정과 40명, 무용과 40명, 의상학과 40명, 생활미술학과 40명을 두어 야간 4개 학과, 주간 11 개 학과가 되었다.
·1981년 10월 1일 생활미술학과가 미술학과로 명칭 변경하였다.·1986년 졸업정원제 폐지로 입학정원 520명으로 재조정하였다.·1987년 10월 이공계열인 전산통계학과, 산업공학과, 산업디자인학과, 의류직물학과등 4개 학과에 각각 40명씩 증과하고 도서관학과를 문헌정보학과로 명칭 변경하였다. 이로써 15개 학과에 입학정원 720명이 되었다.·1992년 7월 전산통계학과, 산업공학과 야간 증과로 80명이 증원하여 입학정원이 800명이 되었다.·1993년 3월 1일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어 4개 단과대학로 개편하였고, 이 해 9월 컴퓨터공학과(주,야 각 40명, 정보공학과(야), 산업안전공학과(야) 각 40명, 산업디자인학과(야) 30 명을 증과로 주간 16개 학과, 야간 10개에 입학정원이 990명이 되었다. 미술학과를 회화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 1994년 10월에 전산통계학과, 컴퓨터공학과, 정보공학과를 정보전산학부로 개편하여 주간 80 명 야간 120 명이 되었다 · 1995년 10 윌 정보전산학부 주간 40 명, 영어영문학과, 국어국문학과 야간 각 20명, 행정학화, 경제학과 야간 각 40명, 무역학과, 경영학과, 산업디자인학과 야간 각 10명이 증과증원되어 입학정원이 1,180 명이 되었다.· 1996년 10월 산업안전공학과 주간 신설을 위해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행정학과 주간에서 각 5명씩, 경성학부 주간에서 15명을 감원하여 도합 30명을 자체 조정히고 경영학과, 무역학과, 경제학과를 경상학부로, 산업공학과와 산업안전공학과를 산업시스템공학부로 통함하였다. 국어국문학과(야), 영어영문학과(야), 행정학과(야) 각 10 명씩, 경상학부(야) 30 명 산업시스템공학부(야)에 10명을 증원하여 입학정원 1,230 명이 되었다.· 1997년 11월 수도권 야간 정원 지율화 대학으로 선정되어 부동산학과 야간에 40명을 증과하였고, 경성학부(야) 80 명, 문헌정보학과(야) 40명, 정보전산학부(야) 30명, 산업시스템공학부(야) 40명, 의류직물학과 (야) 40 명, 산업디자인학과(야) 40 명, 의상학과(야) 40명, 사학과(야)40명 등 무려 390명을 증원히여 입학정원이 1,620 명(주간 680명, 야간 940명)이 되었다.
·1998년 10월에 모집단위 통폐합으로 어문계열, 인문계열, 사회계열로 나누었고, 의상학과 및 의류직물학과를 의생활학부로 통합하고 명칭을 의상디자인 전공‘ 의류패션산업 전공으로, 정보전산학부에 정보시스템공학 전공을 신설하였고 전산통제학과 정보공학 전공을 멀티미디어 정보처리 전공, 정보통신공학 전공으로, 산업시스렘공학부 산업안 전공학 전공을 기계시스템공학 전공으로 각각 명칭 변경하였고, 야간학과 모집 정원의 30%를 주간으로 전환하여 이전 주간 680명, 야간 940명이 주간 960명, 야간 660으로 주야간 신입생 모집 정원이 역전되었다.·1999년 6월 모집단위 학부제 확대로 한국어문학부, 영어영문학부, 역사문회학부, 지식정보학부, 사회과학부, 경영학부, 미디어디자인학부로 개편하여 대학편제를 4개 단과대학, 10개 학부 28개 전공, 2개 학과에 입학정원 1,620 명이 되었다.· 2000년 6월 산업디지인학과를 미디어디자인학부로 확대하였고 시각커뮤니케이션디자인 전공, 캐릭터애니메이션 전공, 스페이스디자인 전공, 팬시프로덕트디자인 전공을 주간학부 세부 전공으로 하였고, 공간연출디자인을 야간학부 세부 전공으로 하며, 산업시스템공학부를 산업 및 기계시스템공학부로 명칭 변경하였다.· 2001년 6월 모집단위를 자체 조정하여 사회과학부를 2개 학부로 분리하여 경상학부에 무역학 전공과 부동산학 전공을 정경학부에 행정학 전공과 경제학 전공을 지식경제학 전공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정보전산학부를 2개 학부로 분리하여 컴퓨터공학부에 컴퓨터시스템 전공과 멀티미디어정보처리 전공을, 정보공학부에 정보통신공학 전공과 정보시스템공학 전공으로 분리하였다.
· 2002년 미디어디자인학부를 미디어디자인컨텐츠학부로 명칭 변경하였고 주간에 20명 증원하여 입학정원 1,640명으로 4개 단과대학 아래 12개 학부, 2개 학과 33개 전공의 편제로 이루어졌다.·2003년 4월, 미디어디자인컨텐츠학부(야간)40명을 폐지하였고 미디어디자인컨텐츠학부(주간)정원을 100명에서 120명으로, 정보공학부(야간)정원을 30명에서 50명으로 증원하였다. 이 해 11월 정보공학부(야간의 정원을 50명에서 30명으로 20명 감원하여, 입학정원1,620명이 되었다.
·2005년 자체조정으로 정경학부가 행정학과, 경제학과로 분리되었고 경상학부가 무역학과, 부동산학과로 컴퓨터공학부가 멀티미디어공학과, 컴퓨터공학과로, 정보공학부가 정보통신학과, 정보시스템공학과로, 산업및기계시스템공학부가 산업시스템공학과 기계시스템 공학과로분리되었다.·2009년 11월, 산업시스템공학과가 산업경영공학과로 명칭 변경을 신청하여 2010학년도 부터 변경된 명칭이 적용되었다.·2011년 행정학과(야간), 경제학과(야간), 무역학과(야간), 경영학부(야간) 인원을 각 1 명씩 감원하여 부동산경영학과(야간) 4명을 신설하였다·2013년 공공인재학과를 신설하였다·2015년 정원감축으로 현재 우리대학은 4개 단과대학 아래 7개 학부, 13개 학과, 21개 전공의 편제로 이루어졌다.◇ 학과(부)별 설치 현황
구분 학과
1993 국어국문 영어영문 사 문헌정보 경영 무역 경제 행정 무용 회화 산업디자인 의상 전산통계 컴퓨터공학 정보공학 산업공학 의류직물 990
구분 학과
2010 한국어문학부 영어영문학부 역사문화학부 지식정보학부 경영학부 행정학과 경제학과 무역학과 부동산학과 무용 회화 미디어디자인학부 의생활학부 멀티미디어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정보시스템공학과 한업시스템공학과 기계시스템공학과 1,620
◇ 학과(부)의 설치 시기 및 입학 정원
설치인가 학과/학부 입학정원 구분 비고
1978.10.15
설치인가 학과/학부 입학정원 구분 비 고
회화 • 미술학과 명칭 변경
설치인가 학과/학부 입학정원 구 분 비 고
1998.10.01
설치인가 학과/학부 입학정원 구분 비 고
2000.
설치인가 학과/학부 입학정원 구분 비고
산업시스템공학과(주) 60 자체인원 조정/분리
설치인가 학과/학부 입학정원 구분 비고
미디어디자인 컨텐츠학부 애니메이션 제품디자인전공(주) 36( ▽ 1)
◇ 졸업생 현황
· 1977년 2월 25일 제 1 회 학위수여식을 가지고 국문학과 25명, 영문학과 22명, 의상학과 6명, 생활미술학과 14명, 가정학과 23 명 등 총 90명의 여학사를 처음으로 배출히였고 국문과 조인자 등 9 명이 공로상을 수상하였다.· 1978년 2월 25일 제2 회 학위수여식에 82명의 여학사가 탄생하였고 최우수상은 국문과 신경숙이 수상하였다. 이 해 님녀공학으로 전환하면서 남학생을 신입생으로 맞게 되었다.· 1979년 2월 24일 제3회 학위수여식에서 76명의 여학사를 배출하았다. 최우수성은 영문과 이향순이 수상하였다· 1980년 2월 25일 제4회 학위수여식에서 101명의 여학사를 배출하였다. 제 5 회 학위수여식은 · 1981년 2월 25일 체육관에서 개최된 제 5 회 학위수여식에서 86명의 여학사와 1명의 남학배출하고 의상학과 빅은임이 최우수싱을 수상하였다.· 1982년 2월 20일 제6회 학위수여식부터 남녀학사가 균등하게 배출되었다. 이 해 160명의 학사학위자 중 남학생이 77 명 여학생이 83명을 차지하였고 최우수상은 생활미술학과이맹아가 수상하였다.
· 1985년 2월 23일 제9회 학위수여식에 1l개 학과 452명이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수석졸업은 사학과 신세준이 치지했다.· 1986년 2월 22일 제10회 학위수여식에 11개 학과 416명이 학사학위률 받았으며 수석졸업자는 행정학과 김철수 군이 었다.· 1987년 2월 21일 제11회 학위수여식에 1l개 학과 432명이 학사학위를 받았으며 경제학과 김봉학 군이 수석을 차지하였다.· 1988년 2월 20일 제12회 학위수여식에 11개 학과 518명이 학사학위를 받았으며 도서관학과 임동혁이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1992년 2월 20일 제16회 학위수여식이 거행되어 654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는데 십년 전 1982년 졸업생 수 160명에 비교해보면 4배 이상 증가하였음을 얄 수 있겠다.· 1993년 2월 19일 제17회 학위수여식에 14개 학과 640명이 학사학위를 받았으며 수석졸업지는 미술학과 황은정이었다.· 1994년 2월 22일 제18회 학위수여식에 661명이 학사학위를 받았으며 수석졸업자는 경영학과 정미영이었다·1995년 2월 20 일 제19회 학위수여식에 15개 학과 664명이 학사학위를 받았으며 전체 수석졸업자에게 수여하는 우촌상은 전산통계학과 이명희가 수상하였다.
제 1 회 졸업생이 배출된 1977년 이래 2014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까지 배출된 졸업생의 수는 총 32,568 명이다. 학과별로는 경영학과 졸업생이 3,625명으로 가장 많았고,무역학과 2,580명,국어국문학과 2,134명의 순으로 졸업생이 많았다.
구분 총계
무용 1,211 6 6 6 12 17 31 39 39 34 32 36 36
구분 14회 15회 16회 17회 18회 19회 20회 21 회 22회 23회 24회 25회 26회
산디 32 22 36 27 32 33 65 65 47 80 89
구분
패션디자인 67 115 75 97 84 80 68 81 71 88 74 78 89
◇ 한성대학교 주요 행사
연도일시 장소 행사명
1986.08 .12.10:00 운동장 교사이전 및 본관(현 우촌관) 기공식
연도일시 장소 행사명
◇ 시설 현황
. 1945년 9월 현재 위치에 있는 경성여자기예학교를 인수(대지: 2, 290평, 건평 378평)하여 이 해 10월 5일 한성고등여학교를 개교하였다.. 1958년 12월 교세확장에 힘써 돌신인 낙산에 티를 넓혀 15,000 여평의 대지 위에 750 여평의 한성야고 본관(한 전리관)과 200 여평의 강당(현 무용과 실기실)을 준공한다. 진리관은 1964년 4층으로 250 여평 증축하고 1987년 대학이 이전히면서 북쪽으로 500 여평 증축하였다.. 1959년 S월 850 여평의 과핵관(현 지선관)을 착공하여 1961년 10원 9일 준공한다. 이 건국내 처음으로 물리실, 화학실, 가사실, 재봉실, 미술실, 음악실, 도서실 등을 갖춘 종합과학관으로의 면모를 강추었다.. 1963년 12월 여자고등힌교 최초로 400 야평의 체육관을 준공하고 1971년 7월 현 과학관 자리에 국제규격의 수영정을 준공한다.. 1967년 10월 경기도 양주군 와부면 팔당리에 있는 2, 200 여평의 ‘의회장’을 구입하여 교직원 휴양 및 학생생활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였다.
. 1971년 2월 2,500 여평의 대학본관(현 여고 건물)을 준공하였다.. 1981년 12월 1,800 여평에 지히긍층, 지상 5층 규모의 종합관을 준공하여 l, 2층은 교수연구실로 3, 4층은 강의실, 5층은 강당으로 지하 1,2층은 학생복지시설로 사용하였다. 1983년 10월 개교기념 12주년 기념일에 학생복지시설 및 도서관을 수용하기 위한 학생복지관(현 학생회관) 착공식을 갖고 이 해 12월 5일 기공식을 가졌다. 이 깐물은 당초 지하1 층에 지상5층으로 설계히였으나 공사 도중 예산 부족으로 연면적 1,400 여평에 4층으로 변경하여 1984년 9월 5일 준공하았다. 이 깐원온 1993년과학관과 함께 증축하였다.. 1986년 ‘한성대학발전계획안’에 의하여 추진된 “교사이전5개년계획”으로 여중·고와 대학 간의 대대적인 교사 이전 작업이 실시되었다. 부족한 대핵시설을 해소하기 위해서 중·고등학교의 교사 및 교지와 맞바꿀 수밖에 없디는 법인의 결정으로 당시 대학본관으로 한성여고가, 종합관에 한성여중이 입주히고 디l 한은 여중 ·고 모든 건축물과 운동장, 수영장, 체육관을 사용함으로써 대혁-으또서의 새로운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1986년 8월 ‘교사이전5개년계획’보다 2년이나 앞당겨 구 한성여중건물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연면적 3,000 여평에 지상 6층 규모의 우촌관 기공식을 갖고 1987년 8월 25일 준공하므로 교사 이전의 대역시를 왼-수하고 대학 본관으로 중추적인 기능을 담당하게 되았다. 당시 건설본부장은 경영학과 김길평 교수로 이후 과학관 및 강의동을 거쳐 2002년 교수회관, 학생회관별관, 도서관 신축의 건설본부장까지 역임하였다.
. 1990년 2월 종합대학으로의 승격과 대학의 장기 빌전 계획의 일환으로 추진되어 왔던 과학관이 정보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하여 전자계신소를 개소하였다. 이로써 학교행정 전산화 및 교수연구 지원, 학생들의 전산교육에 일익을 담당하게 되었다.. 1991년 11월 상정탑이 건립되었다. 교문을 겸해서 세워진 상정탑은 상징물인 거북이를 형상화 한 것으로 명물로 자리를 굳히게 되었다.. 1994년 8월 부족한 교육시설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존 학생회관 4층을 6층으로, 과학관 5층을 6층으로 증축하고 1995년 5월 학생회관 5층을 전자정보관으로 개관하였다.. 1996년 8월 마스터플랜에 의하여 체육관 자리에 한성종합관을 추진키로 하고 160 여 대의 주차 시설을 우선 확보하기 위하여 한성여고 운동장 지하에 1,700 여평 규모의 한성 주차장 기공식을 갖고 1997년 5월 17일 준공식을 가진다. 이후 한성종합관 신축은 학내 문제로 무산되었다.
. 1997년 2월 독립 학군단 설치를 위한 학군단동이 준공되었고, 이에 앞서 1996년 1월 100여평 규모의 후생관을 준공하여 구내은행, 컴퓨터점, 안경점, 사진관 등이 입주하였다.. 1998년 5월 강의동 기공식을 갖고 수요자 행정 서비스를 위하여 학생회관에 학생종합서비스센터를 개관하였다.. 1999년 3월 1,500 여평의 강의동 준공식을 갖고 대학원을 이전하는 등 교사 재배치를 하고 ‘캠퍼스종합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2000년 7월 도서관, 연구동, 학생회관 신축을 위하여 현상설계 당선업체인 공긴-종합건축사사무소와 계약하여 설계를 진행하였고, 삼성물산(건설부문)을 시공사로 선정하여 2001년 9월 착공하였다.. 2001년 9월 13일 도심형 예술대학을 구현하기 위하여 대학로 명륜동에 있는 2,000 여평의 동원빌딩을 매입하여 대학로캠퍼스(현 에듀센터)로 명하였다.. 2002년 9월 지하 1층/지상 7층, 연띤적 2, 100여평 규모의 연구관을 준공히고, 11월 지상5층 연면적 '560 여평 규모의 학생회관(현 인성관)을 준공하여 교내 흘어져 있던 교수연구실과 학생동이리실을 각 각의 건물로 이주시켜 심도있는 연구와 자율적인 학생자치생활에 큰 기여를 하게 되었다.
· 2003년 9월 지히2층/지상6층 4,300 여평의 도서관(현 미래관)이 준공되어 학생회관(현 창의관)에 있던 도서관 및 전자정보관이 이주하였고 2003년 10월 준공식을 갖고 학술정보관을 개관하였다. 이 건물은 2004년 11월 24일 한국건축문화대상에서 본상을 수성하였다.· 2004년 1월 무용학과 실습실, 강딩 체육관, 체력단련실을 갖춘 지하 1 층/지상 4층으로 연면적 1,500여평 규모의 체육관(현 낙산관) 신축을 위하여 기존 체육관을 철거히고 착공하였다.※ 한성여종 건물로 자금 부담하고 일부 시 시정함.· 200'5년 3월 체육관(현 낙산관)을 준공하고, 2005년 6월 15일 준공식을 가졌다.· 2005년 3월 열악한 진입로 확장을 위하여 「성북구 균형발전추진계획」 사업과 연계하여 성북구청에 「대학 진입로 개선 및 문화/교통광장 설치계획 보고서」를 제출하고 성북구청과 서울시에 도시계획사업 승인 및 관련 예산 확보를 요청하였다.· 2006년 9월 부족한 연구실 확보를 위하여 기존 7층의 연구관을 9층으로 2개층 증축하여 620 여평을 추가 확보히고, 대강당(현 학송관)을 1개층을 2개층으로 증축하여 170 여평을 추가 확보 후 대학원의 단독 건물로 사용하였다. 또한 우촌관, 공학관, 지선관, 창의관, 탐구관에 장애인용 엘리베이터를 설치히여 장애인이 쉽게 이용 가능한 건물로 구축하였다.
· 2007년 12월 동쪽의 한성여자중학교, 한성여자고등학교 사이 소방도로(도로 깊이 65m) 도로 폭 4m에서 8m로 확장하고 교문을 세워 동문으로 명칭하고 12월 21일 준공식을 가졌다.· 2008년 3월 서울시와 성북구는 한성학원 진입로 305m에 대하여 155m 구간은 추 후 재개발 사업 시 확장하고, 150m 구간만 우선 확장하는 내용의 도시계획시설(도로)사업 실시계획인가를 고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성대, 행정안전부, 서울시, 성북구에서 예산을 확보하였다.· 2009년 5월 진입로 305m중 150m를 도로 폭 6m에서 12m로 확장공사를 착공하였다.· 2009년 12월 학생기숙사 건축을 위하여 학교 인근에 대지면적 184평 규모의 부동산을 매입하였다.. 2010년 2월 외국인교원 숙소 마련을 위하여 85평의 부지를 매입하고 2010년 5월 지하1 층/지상 3층 연면적 220평 규모의 외국인교원 숙소(현 게스트하우스C동)를 신축하였다.
. 2010년 2월 외국인교원 숙소 마련을 위하여 85평의 부지를 매입하고 2010년 5월 지하1층, 지상3층 220평 규모의 외국인교원 숙소(현 게스트하우스C동)를 신축하였다.. 2011년 8월 지하1 층, 지상 5층, 연면적 396평, 100여명 수용 가능한 규모의 기숙사를 신축하였다.. 2010년 12월 진입로 150m 구간의 도로 확장이 완공되 었다.. 2012년 2월 학생기숙사(우촌학사) 건축을 위하여 성북구청 사거리에 위치한 대지면적 126평 규모의 부동산을 매입하였다.. 2012년 8월 부족한 주차대수와 교사확보율 100% 이상 달성을 위하여 운동장 부지에 종합관 건축을 위한 「21세기 발전위원회」,「건축소위원회」 를 구성하고 건설사업 시행 계획안을 수립하였다.. 2013년 1월 종합관(가칭) 건설사업에 대하여 지하2층, 지상12층, 연면적 6,900평, 주차대수 255 대 규모의 기본계획안을 수립하였다.. 2013년 4월 종합관(가칭) 건설사업 시행을 위한 현상설계 당선작을 선정하였다 (당선자 : 시아플랜건축사사무소, J&J건축사사무소)
. 2013년 8월 종합관(가칭) 건설을 위한 캠퍼스 세부시설조성에 대하여 서울시로부터 허기를 득하고 동년 10월 성북구청으로부터 건축허가를 득하였다.. 2014년 6월 종합관(가칭) 건설을 위한 시공사(한진중공업)와 감리사(토문종합엔지니어링)를 선정하였다.. 2014년 8월 2016년 7월 준공을 목표로 종합관(가칭) 건축을 착공하였다.. 2015년 6월 성북구청 사거리 부지의 학생기숙사 건축을 위하여 지하1층, 지상 6층, 연면적 408평, 70여명 수용 가능한 규모의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실시설계를 시행하였다.. 2015년 12월 2016년 8월 준공을 목표로 학생기숙사(가칭 생활관) 건축을 칙공하였다.◇ 교지 확보율
(㎡)
구분 필지 수
◇ 캠퍼스 내 교지
(㎡)
번호 소재지 지번 지목 면적 취득형태 취득일시 비고
번호 소재지 지번 지목 면적 취득형태 취득일시 비고
◇ 캠퍼스 외 교지
(㎡)
번호 소재지 지번 지목 면적 취득형태 취득일시 비고
◇ 교사 확보율
(㎡)
구분 동수 기준면적(A) 교사기준시설(B) 부속/기타
◇ 캠퍼스 내 건물
(㎡)
번호 건물명 층수 준공연도 연면적
◇ 캠퍼스 외 건물
번호 건물영 소재지 지번 층수 준공연도 연면적(㎡)
7 게스트하우스 B동 성북구동소문동1 가 18
대학원 연혁
1987.10 경영행정대학원 신설(경영학과 40명, 행정학과 : 40명)
1999.11
예술대학원 패션예술학과 패선섬유예술 전공 폐지, 헤어디자인, 뷰티에스테틱 전공 신설
입학정원 조정
대학원 박사과정 학과 신설(문헌정보, 영어영문, 사학, 경제학과)
입학정원 조정
예술대학원 뷰티예술학과 뷰티색채학 전공 신설
•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융합기슬학과-정원외 계약학과(재교육형)
2011.11
• 행정대학원 53영, 50명(행정/사회복지/경찰행정학과 34 영, 마약알콜학과 16 영)
한성학원 70년사 펀찬위원회
위원장 이경일 (한성학원 이사)위원 한성대학교조규태 교수·나은미 교수·권기중교수박희진 교수·전장배 부처장·장재혁 팀장정미영차장·정순선과장한성여자고등학교황인주 교사·김미경 실장한성여자중학교전수진 교사·홍연호 실장한성학원 70년사인쇄 2016년 10월 1일발행 2016년 10월 31일발행 인 이상한편찬인 한성학원 70년사 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