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학혁신지원사업 교육혁신전략 프로그램별 우수사례

High Success 비교과 교육 혁신

01 HSP (High Success Project) 01p

3.1 학생주도 High Success Project 고도화

02 글로벌 동행 프로젝트 03p

3.2 학생 성공 경험 촉진 비교과 프로그램 고도화

03 3D프린팅 05p

3.2 학생 성공 경험 촉진 비교과 프로그램 고도화

04 AI응용학과코딩캠프 07p

3.2 학생 성공 경험 촉진 비교과 프로그램 고도화

05 상상독서 브이로그 영상 공모전 09p

3.2 학생 성공 경험 촉진 비교과 프로그램 고도화

06 글로벌 컨버세이션 파트너 11p

3.2 학생 성공 경험 촉진 비교과 프로그램 고도화

07 글로벌-업 13p

3.2 학생 성공 경험 촉진 비교과 프로그램 고도화

성공적 대학생활을 위한 HS진로·취업·창업 지원 혁신

08 진로취업멘토링 15p

4.2 진로탐색활동 및 맞춤형 진로지원 고도화

09 HS트랙진로탐색 17p

4.2 진로탐색활동 및 맞춤형 진로지원 고도화

10 진로취업페스티벌 19p

4.2 진로탐색활동 및 맞춤형 진로지원 고도화

11 창업동아리 21p

산학연계 융합형 HS창업생태계 구축·운영

학습·심리 지원혁신

12 트랙제 트랙기초 학습역량강화 프로그램 (ALEKS) 23p

5.1 빅데이터 기반 맞출형 기초학습역량 강화

13 JUMP UP 25p

5.1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기초학습역량 강화

14 한국어 뽐내기 대회 27p

5.1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기초학습역량 강화

15 LBT 지식나눔 프로젝트 29p

5.2 HS학습지원 프로그램 연계·공유·확산 고도화

16 HS-TED 31p

5.2 HS학습지원 프로그램 연계·공유·확산 고도화

17 집단상담프로그램 33p

5.3 HS마음건강 지원체계 고도화

18 힐링데이 35p

5.3 HS 마음건강 지원체계 고도화

2. 대학혁신지원사업 사업실행부서별 대표 우수사례

교육혁신전략

01 교수지원프로그램, 학습지원프로그램 37p

교수학습센터

02 국제교류지원팀 운영 프로그램 38p

국제교류지원팀

03 사회수요 맞춤형 역량기반 교양교육 혁신 38p

상상력교양대학

04 HS프라임강의 39p

스마트원격교육센터

05 대학혁신지원사업을 통한 환경개선공사,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그린캠퍼스 실현 기반 확립 39p

자산관리팀

06 진로개발, 취업지원 우수 프로그램 40p

진로취업지원팀

07 산학연계 융합형 HS창업생태계 구축 및 운영 40p

창업지원센터

08 맞춤형 유연학사제도 운영 41p

학사지원팀

09 HS마음건강 지원체계 고도화 41p

학생생활상담센터

10 HSP 운영지원체계 구축, 비교과교육과정 운영 42p

학생성공센터

11 데이터 기반 교육 성과관리 42p

한성미래연구센터

연구·산학협력혁신전략

12 기업 현장문제 해결을 위한 산학공동연구 프로젝트 운영 43p

산학연구기획팀

13 현장실습교육 고도화 43p

현장실습지원센터

평생교육혁신전략

14 평생교육혁신 44p

평생교육지원센터

사업관리 및 운영

15 스마트 교육서비스 지원역량 강화 44p

총무인사팀

16 예산관리 프로그램 자체구축 및 활용 사례, 대학혁신지원사업 홍보단 운영 45p

혁신지원사업센터

한성대학교 2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 개요

01 대학 비전 및 대학혁신지원사업 비전

● 중장기 발전목표

- 우리 대학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대학의 혁신 비전을 『미래를 디자인하는 창의융합 교육선도대학』으로 설정하고, 대학의 비전 달성을 위해 『창의융합 인재양성』, 『학생성공 지원교육』, 『미래지향 교육환경』을 중장기 발전목표로 설정함

● 대학혁신 비전·목표

- 대학발전계획과 특성화 계획을 바탕으로 『미래가치를 선도하는 High Success 창의융합 인재양성』을 혁신 목표로 수립함

02 대학혁신지원사업 추진전략

● 혁신 비전·목표·전략 체계

- 대학발전계획과 특성화 계획 중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 수요자 중심 교육, 산학협력, 자기 주도적 진로 활동 등 학생 성공 경험을 촉진할 수 있는 6대 혁신전략 방향에 부합하는 전략과제와 실행과제를 선정함

● 혁신전략 방향1

- 공적인 대학 생활과 가치 창출을 위해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을 고도화하고, 교육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 설계·운영, 산업체와 지역사회의 교육과정 참여 확대와 공유·협업으로 사회·산업 수요에 부합하는 혁신전략을 추진함

● 혁신전략 방향2

-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진로·학습 활동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프로그램 연계를 통해 학업성취와 결과물의 연속성을 통해 미래가치를 선도하는 인재양성 기반을 마련함

● 혁신전략 방향3

- 메타버스·에듀테크 기술을 교육, 학생지원에 활용하여 혁신 목표달성 동력을 확보함

한성대학교 대학 혁신지원사업 체계도

HS대학혁신사업 목표

“미래가치를 선도하 High Success 창의융합 인재양성”

교육혁신전략

전공교육혁신

• 창의적 문제해결 PBL· 캡스톤디자인 수업 고도화

• 신산업 인재양성 Micro Degree 기반

융합전공교육확산

• 맞줌형 유연학사제도와전공트랙 특성화학과 기반

학사구조고도화

• 미래지향 전공교육 인프라구죽 및

품질관리고도화

비교과교육혁신

• 학생주도 High Success 프로젝트 고도화

·학생성공경험측진비교과

프로그램고도화

• 학생 도전과성공 경혐의 공유 확산과

한성인재인증제고도화

발전전략과제 1-3

발전전략과저11-1

진로·추|업·창업 지원 혁신

• HS진로개발통합지원체계구축·운영

• 진로탐색 활동및 맞줌형

진로지원고도화

'AI기반맞춤형쥐업지원고도화

• 산학연계융합형 HS효H겁썽태계

구축운영

교양교육혁신

• 창의융합 역량강화 교양교과목

개발·운영

• 기초역량 및 기초학문 교앙교과목

개발·운영고도화

• 대표교수법 (FL+PBL) 적용

교앙교과목운영활성화

발전전략과제 1-2

발전전략과제 2-2, 2-3

학습·심리지원혁신

·빅데이터 기반맞춤형 기초학습역량강화

'HS학습지원 프로그램 연계·공유·확산

고도화

• HS마음건강 지원체계 고도화

발전전략과제 2-1 , 2-2 1

교육역량강화기반혁신

• 미래 교육역량강화교수 프로그램 고도화

• HS데이터웨어하우스 기반

교육성과표념|체계 고도화

• 장의융합 쿄육혁신을 위한교육 인프라고도화

• 메타버스 에듀테크 기반쿄육콘만츠 개발·운영 고도화

발전전략과져11-5 , 2-4, 2-5

교육혁신전략

전공교육혁신

• 창의적 문제해결 PBL· 캡스톤디자인 수업 고도화

• 신산업 인재양성 Micro Degree 기반

융합전공교육확산

• 맞줌형 유연학사제도와전공트랙 특성화학과 기반

학사구조고도화

• 미래지향 전공교육 인프라구죽 및

품질관리고도화

비교과교육혁신

• 학생주도 High Success 프로젝트 고도화

·학생성공경험측진비교과

프로그램고도화

• 학생 도전과성공 경혐의 공유 확산과

한성인재인증제고도화

발전전략과제 1-3

발전전략과저11-1

진로·추|업·창업 지원 혁신

• HS진로개발통합지원체계구축·운영

• 진로탐색 활동및 맞줌형

진로지원고도화

'AI기반맞춤형쥐업지원고도화

• 산학연계융합형 HS효H겁썽태계

구축운영

교양교육혁신

• 창의융합 역량강화 교양교과목

개발·운영

• 기초역량 및 기초학문 교앙교과목

개발·운영고도화

• 대표교수법 (FL+PBL) 적용

교앙교과목운영활성화

발전전략과제 1-2

발전전략과제 2-2, 2-3

학습·심리지원혁신

·빅데이터 기반맞춤형 기초학습역량강화

'HS학습지원 프로그램 연계·공유·확산

고도화

• HS마음건강 지원체계 고도화

발전전략과제 2-1 , 2-2 1

교육역량강화기반혁신

• 미래 교육역량강화교수 프로그램 고도화

• HS데이터웨어하우스 기반

교육성과표념|체계 고도화

• 장의융합 쿄육혁신을 위한교육 인프라고도화

• 메타버스 에듀테크 기반쿄육콘만츠 개발·운영 고도화

발전전략과져11-5 , 2-4, 2-5

용잉진공l욕외신프호그엠고도피·잊용명g언악시세도외전용등헥.{l§l엑기얀액생도전피g용경엉의용유‘싱과어샤구죠고도외힌성인찌인§셰끄도회미g해얻지원힘리징고용도l띠육인므리구륙잊rτ뀔펌필극1’전인잉꾀에H

교앙교륙쩍신

’잉의융잉역정강띠깅잉i꾀를

개l용영쐐

재l기‘잉죠l억용괴정영R잊고용기도엉죠외~l,’성이잉.i!.~~뺀%

대수잉(FL+PBl)적용

인전g꾀찌,.,

회슴심리지원쩍신교육역량강회기안찍신외에이터기인잊용g기죠잉g역정깅회이혜육역양깅회수프로그':it도회HS띠,'원g호그영언.유익산HSCI미터때뼈이g스?엔고도피교용성악굉a셰깨l도외HS이용건강지원에끼고도m정의g잉욕어잉을위인욕인프리고도외F교짚딩펴2-1,·2-21에티뻐스에듀에크?인딩쿄육끊용펴앤;ZP;K‘;용긴영:l<도l회

연구·산학 혁신

공유협력 강화

사회적가치 실현

기타/대학 운영 혁신 / 공공성·투명성 강화

평생교육 혁신

고기엉도언와져잉영교언수구매X생원g에용게연구이티유니버시티지윈이에1구§‘시지회역적기능기잉치ξ교l을욕,위,인~띠·‘H잉S진대한l써잉신마전스역믿정>구Il욕l·수재요직잊자용및영심쿄인~머~응I깨자구§용영IW~••연이용심잊흥영공g잉역그린잉떠스실얻기인획링·대미스영지역시회엉쩍‘섬인m응지인뻐~~.사얘도

산꾀'혁?엔P8l-잉i용‘휘찌끼용구성영맞용영X영g니터링고도회용영고도회

디X인HSP영깨용영g잉띠M.O.V.E.-U브호그엉씨깨고-'I·스미트'I시8스X앤역정·잉생교욕콘댄즈잉~잉

기업연g운애애잉을위힌구용‘시회적}1:l:1~대.위인강m공유*신

산힌용등언구프호씩드용영공용조g구매획대·공공성및회에올영싱강회

신억'력기인연l~iI응쿄욕융긍.유엉력l잉외’연구옹리정칙

고도외

.외흩이t~얘엌브핸드

잉fi위힌2냄A엠..',인

구용

.엄정‘3/.성회전혁1l%헨'~써%l전원강괴에'Hle뺏l셰하-2.5-3.5-4I빠한.'잉.~..,.4-써12,4-21

1. 대학혁신지원사업 교육혁신전략 프로그램별 우수사례

High Success 비교과 교육 혁신

성공적 대학생활을 위한 HS진로·취업·창업 지원 혁신

학습·심리 지원 혁신

각 페이지에서 QR코드를 스캔하시면 관련 게시글 확인이 가능합니다

HSP (High SuccessProject)

01 프로그램 소개

디자인씽킹을 통해 프로그램 지정주제와 관련해 전공지식, 지역사회 개선 등 교내외 다양한 영역에 대하여 주제를 선정하여 팀 프로젝트 활동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팀별 결과물을 산출하는 프로그램이다.

융합적 문제해결 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현실적 문제해경 경험과 도전기회를 제공하며 일상생활에서 발견된 문제를 도출, 탐구하며 문제해결능력 함양을 돕는다. 또한 교외 공모전 참여를 지원함으로써 학생들의 도전 경험을 활성화하고 우리대학 학생들의 디자인씽킹 능력 및 자기주도적·협력적 학습역량을 강화시킨다.

HSP 비교과 프로그램

HSP 운영지원체계

2022학년도 High Success Project 상시모집

02 참여자 인터뷰

담당자 | 나O영 (학생성공센터 부팀장)

Q. 'HSP'에 대해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대학생활 혹은 지역사회, 산학현장 경험을 토대로 문제점을 도출해보고 직접 해결방안을 제안해보는 프로그램입니다. 우리 학교에서 지향하고 있는 창의융합 역량을 향상하도록 도와주고자 기획하게 되었으며,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팀 프로젝트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지금의 HSP 프로그램은 2019년 하계 방학부터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현재의 대학혁신지원사업과 학생들의 프로그램 요구가 동시에 맞물리게 되면서 시작되었어요. 우리 학생들이 융합적 문제해결의 팀 프로젝트를 해보고, 사회진출에 유익한 경험이되도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하나의 프로젝트형 프로그램 단위로 운영되어 특정적인 프로그램별로 모집하였지만, 올해부터는 하나의 운영지원체계로 다루게 되었습니다. 간단하게 학생들의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운영체계로 정리할 수 있는데요! 일상 속에서 해결하고 싶은 문제는 언제든 인식될 수 있기에 상시 모집을 하고 있으며, 주제에 맞추어 적합한 시기를 3, 6, 12개월 단위로 선택하여 팀원진행할 수 있습니다. 자율주제 혹은 전공·산학 연계 중에서 설정하여 심도있는 프로젝트를 제안해볼 수 있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활동기간이 확대되었기 때문에 휴학생도 참여할 수 있으며, 내부 교수님과 멘토로 매칭하여 직접적인 피드백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교외 공모전으로 연결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먼저 루게릭 환우 분들을 위한 컵홀더 아이디어를 제작했던 팀이 있는데요. 프로젝트 심사를 하던 외부 관계자 분이 실제로 제작하면 좋다고 판단해 직접적인 투자를 해주셨고, 기업에서 학생들의 이름과 함께 루게릭 환우 분들 대상으로 기부를 하도록 진행하고 있습니다. 두번째로 팀 '슬기롭게 타요'에서는 대학생활을 하면서 불편했던 점을 주제로 잡아 아이디어를 고안했는데요. 학생들이 등교를 하며 스쿨버스, 마을버스 정류장의 거리와 탑승시간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상하였습니다. 그중 학생들의 적극성이 가장 인상 깊었는데요. 하나의 프로그램 아이디어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성북구청에 문의를 해보며 구체화하는 모습이 좋았습니다.

참여학생 | 김O우 (공공행정트랙 재학생)

Q. 'HSP'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평소에 스마트자기관리시스템을 자주 찾아봐서 HSP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습니다. 당시 수강하고 있던 기업경영 전공 교수님께서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해주셨습니다. 원한다면 직접 멘토를 담당하여 도와주신다고 하여 좋은 기회인 것 같아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기업경영 전공수업에서 배웠던 내용을 키워드로 선정해 심화 프로젝트를 기획하였습니다. 전공 수업을 통해 기업의 분석도구를 배워보면서 타기업을 조사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현재는 기업 '네이버'를 선정해 분석해보고 있는데요. 회사에서 어떤 사업을 하고 있는지 찾아보고, 그 분야에 대해 SWOT 분석을 하고 있습니다. 이후 소비자 입장에서 기업에 제안하고 싶은 점까지 탐구해보고 있습니다. 전공수업에서도 배우는 부분일지라도 더 심도있게 관심분야를 분석할 수 있어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올해부터 프로그램 운영체계가 바뀌게 되어 활동기간을 자유롭게 선택하게 되었는데요. 프로젝트 성격에 맞게 유동적으로 시간을 정할 수 있으며, 상시 모집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참여할 수 있어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모든 학우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습니다. 더 심화된 부분을 알아갈 수 있는 유익한 프로젝트입니다. 팀으로 협업해 하나의 주제로 같이 공부해볼 수 있어좋은 인연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학교 내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있지만, 더 나아가 교외 공모전과 졸업작품으로 연계할 수 있기에 한 번쯤 참여해본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참여학생 | 이O희 (전자트랙 재학생)

Q. 'HSP'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평소에 주 2~3회 비교과 프로그램을 확인하는 편이라 참여자 모집을 알게 되었고, 공학경진대회에 참가하게 되면서 지도교수님께서 추천해주셨습니다. 원래 공학경진대회는 4학년 졸업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제출하게 됩니다. 교수님께서는 저희 팀이 3학년 학생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새로운 도전을 해본다는 점에서 같이 활동하면 좋겠다고 말씀해주셔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저희는 태양광 패널을 자동으로 청소해주는 로봇청소기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태양광 패널이 실내가 아닌 외부에 설치되어 있기에 먼지나 낙엽, 벌레 시체, 새의 배설물 등의 영향으로 사람이 직접 청소해야 합니다. 하지만 로봇청소기에 센서를 달면 패널 위에서 떨어지지 않고, 자율주행을 가능하게 하여 편리한 패널 관리를 위해 기획하였습니다.

우선 팀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학교에서 주최하는 공학경진대회 혹은 외부 공모전들과 연계해 활동하여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활동 지원금과 비교과 포인트도 받을 수 있기에 아무런 걱정없이 진행하고 있어 참여하기 잘했다고 느꼈습니다. 1학기 종강 후 친한 친구들과 미리 프로젝트 경험도 해보고, 금전적인 부담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2~3학년 공대 학우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습니다.

글로벌 동행 프로젝트

01 프로그램 소개

한성대학교의 내국인 재학생과 외국인 재학생이 팀을 이루어 지역 탐방을 하며 각 나라의 사회,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학생 주도적으로 문화 및 학업의 기반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하여 진행한다.

참여학생 제출 결과보고서

02 참여자 인터뷰

담당자 | 신O재 (국제교류지원팀 팀원)

Q. '글로벌 동행 프로젝트'에 대해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유학생들의 고향에 직접 방문하여 문화체험을 진행하는 것으로 2019년 처음으로 글로벌 동행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 19이후에는 해외 방문이 어려워 국내 문화체험을 위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국제교류지원팀에서는 대학혁신지원사업을 통해 교통비와 숙박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2년 하계방학에는 국내에서 진행되었으며 2022년 동계방학에는 내국인 재학생과 외국인 유학생이 함께 해외에서 글로벌 동행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참여학생 | 최O민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재학생)

Q. '글로벌 동행 프로젝트'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평소 외국인 친구들과 어울리는 일에 관심이 많아 한성대학교의 글로벌 버디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유학생 친구들에게 한국의 문화와 한국어를 가르치면서 많은 보람을 얻고 재밌는 활동을 많이 해서 이번에도 글로벌동행프로젝트에 참가하여 함께 부산여행을 갔습니다.

부산으로 정했고 광안리, 해운대, 국제시장 등을 갔습니다. 택시에서 기사님께서 다양한 부산 사투리를 알려주셔서 배우고 특히 반안이 무척 신나 보였던 모습이 생생해요. 한국어를 배우는 친구들이기에 사투리가 더욱 인상적으로 다가왔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베트남의 학교생활에 대한 얘기도 들으면서 한국과의 문화 차이를 알아가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외국 친구들이 음식도 맛있게 먹어주고 한국을 좋아하는 모습이 뿌듯했고 한국인들이 재밌고 친절하다고 말해줘서 기뻤습니다.

저희는 부산이 다양한 영화의 배경이 되었고, 국제영화제가 열린다는 점에서 영화 촬영지나, 영화에서 나왔던 먹거리 등을 중심으로 계획을 세우니 수월하게 일정이 정해질 수 있었습니다. 동행 참가를 통해서 베트남 친구들과의 소중한 인연을 얻었다는 점이 가장 크게 느껴지고, 한국의 문화나 아름다운 이곳저곳을 소개해주면서 뿌듯함과 보람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참여학생 | 응웬티O안 (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 재학생)

Q. '글로벌 동행 프로젝트'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글로벌동행프로젝트에 참가하게 된 여러 계기 중 하나는 친구랑 더 특별한 방학을 보내고 싶다는 것입니다. 한 한기가 끝나면 혼자 집에서 공부하거나 가끔 집 근처를 놀러다녔습니다. 이렇게 혼자 재미없게 지내다가 우연히 이 프로젝트를 보고 친구한테 같이 하자고 말을 꺼냈습니다.

팀원들과 활동 장소부터 활동 내용까지 계획을 직접 세웠습니다. 처음에 어디로 갈지 서로 많은 제안을 했습니다. 저희 팀은 부산으로 동행 프로젝트 장소를 정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최종 선택한 장소는 흰여울문화마을, 해운대, 광안리, 국제시장이에요. 부산역에 도착해서 냉면과 만두를 먹고 흰여울문화마을로 이동했습니다. 흰여울문화마을은 집을 여러 색깔로 색칠하여 독특하면서도 예뻤습니다. 각자 핸드폰을 들고 예쁜 풍경을 사진으로 찍은 후 광안리에 가서 해산물을 먹었습니다. 그리고 바다에서 불꽃놀이를 하고 바로 해운대로 이동해 칼국수를 먹었습니다. 다음날 한국 문화가 담긴 국제시장으로 가서 구경했습니다.

한국의 문화에 대해 알아 보면서 친구랑 잊을 수 없는 추억을 만들 수 있습니다. 동행 친구들에게 정말 고맙고 많은 감동을 받았습니다. 나중에 기회기 생기면 또 같이 한국의 문화를 체험하고 싶습니다.

3D 프린팅

01 프로그램 소개

한성대학교는 창의성과 융합능력을 지닌 전문인 육성을 위해 학습역량강화 비교과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전공 이외의 융합능력을 기를 수 있는 프로그램 중 하나로 3D 프린팅 특강을 운영한다. ‘온라인 3D프린팅 특강’은 2020학년도를 시작으로 비대면으로 진행해왔다. 2022학년도 1학기부터 거리두기 제한이 풀리면서 학생들의 피드백을 반영해 학생들에게 3D프린팅을 직접 실습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대면 프로그램을 기획하였고 팅커캐드를 이용해서 펜꽂이 만들기 실습을 진행한다. 3D프린팅에 대한 기초지식이 없는 학생들도 이 프로그램을 통해 직접 모델링을 해보고 상상파크 3D프린터를 통해 직접 만든 결과물을 출력하는 경험을 해볼 수 있다.

이론 3D프린팅 시작하기

모델링 틴커캐드로 모델링 하기

실습 3D 프린터 유저 되기

3D 프린팅 결과물 제작

3D프린팅 펜꽂이

02 참여자 인터뷰

담당자 | 채O희 (창의융합지원센터 연구원)

Q. '3D프린팅' 프로그램에 대해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3D프린팅 프로그램은 대면 또는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코로나19로 실습이 불가능할 때는 온라인 강의로 진행하여 많은 학생들이 3D프린터 사용법 및 3D모델링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진행합니다. 3D프린팅과 3D모델링에 기초지식이 없는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이며 이론과 실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로 1학년 학생들이 제일 많으며 다양한 단과대학의 학생들이 참여하나 공과대학 학생들이 많은 편입니다. 이번학기에도 10회 정도 기획하였으며 방중에도 시행예정입니다. 한성대학교 재학생이라면 누구나 3D프린터 사용 가능하며 3D프린팅 프로그램이 깔려있는 노트북도 제공하니 상상파크 기자재 활용 워크숍에 참여 후 결과물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60 40 20 0 인문에술계열 사회과학대학 IT 공과대학 • 단과대학 별 학생잠여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참여학생 | 이O영 (글로벌패션산업학부 재학생)

Q. '3D프린팅' 프로그램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창의융합교육지원센터에서 근로를 하던 중 3D 프린팅에 대해 처음 접하게 되었고 관심이 생겨 신청하였습니다. 공대생이 아니다보니 3D 모델링 작업을 하는 법을 몰랐고 사이트에서 3D 결과물을 다운받고 3D 프린터를 사용할 수 밖에 없어서 많은 아쉬움을 느끼고 있던 차에 비교과 공지에 3D 모델링을 통한 펜꽃이 만들기 프로그램을 보았습니다. 3D 모델링을 배워보고 싶은 마음과 직접 진행하여 완성품도 만들 수 있는 점이 흥미로워 참여하였습니다.

3D 작업을 할때 포토샵이나 일러스트처럼 유료로 이용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할 줄 알았으나 팅거캐드라는 사이트를 이용하여 로그인만 하면 무료로 3D 작업이 가능하였고 자동 저장이 되는 점이 기억에 남습니다. 원하는 캐릭터를 어떻게 펜꽃이에 넣을 수 있는지 의문이 들었는데 어려운 작업을 요구하지 않고도 인터넷에 있는 이미지를 활용하여 쉽게 따라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3D 프린팅의 기초, 3D 프린터의 종류, 어떤 원리로 출력물이 나오는지에 대한 과정을 자세하게 설명들을 수 있어 많은 점을 배우게 된 것 같습니다. 추후에 혼자서 팅거캐드 사이트에 들어가 펜꽃이를 만들어 보았는데 실습을 통해 배운 과정을 따라해보니 어려움없이만들 수 있었습니다.

프로그램 참여에 매우 만족합니다. 설명만 잘 들었다면 쉽게 간단하게 따라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이수 후 혼자서도 3D프린터를 사용하여 작품을 만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상상파크의 3D 프린터를 예약해서 완성품을 만드는 법을 알게 되었고 내가 모델링한 펜꽃이의 완성도가 높았기에 향후 유사한 프로그램이 개설될 시 다시 참여할 의사가 있다.

AI 응용학과 코딩캠프

01 프로그램 소개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핵심기술인 AI 기반의 기술을 다양한 산업에 통합적으로 적용 및 활용할 수 있는 창의적인 융합인재를 양성하는 AI응용학과에서는 학생들의 프로그래밍 능력 증진 및 난이도 별 프로그래밍을 통한 전공 체계화를 위한 코딩캠프를 운영하였다.

구분 내용

참여인원 재학생 43명

기간 2022.07.06~2022.07.08 (2박 3일)

장소 포천 베어스타운

02 참여자 인터뷰

담당자 | 김O선 교수 (AI응용학과 학과장)

Q. 'AI코딩학과'와 '코딩캠프'에 대해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AI응용학과에 AI가 들어가는 만큼 기본적으로 AI에 대해 다룹니다. 전자공학과 관련된 것들과 컴퓨터공학과 관련된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능력,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기초 지식을 다루는 학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학원 진학 혹은 취업을 위해 소프트웨어 개발을 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3~4학년에 연계되는 교육 과정에서 프로그래밍 능력이 있어야 참여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초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 능력을 기르기 위해 이런 코딩캠프를 기획했습니다. 코딩 캠프는 주기적으로 매년 여름 방학마다 할 계획입니다. 2박 3일이지만 프로그램 능력이 향상되는 학생이 보였습니다. 그리고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에 코딩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였다는 후기가 많아 좋았습니다. 아쉬운 점은 오랜 기간 해당 코딩 캠프를 홍보했는데 학생들이 코로나 여파로 인해 오프라인 수업을 많이 하지 못해서인지 참여율이 저조하여 아쉬웠습니다.

한성대학교가 교육 중심인 만큼 인공지능 관련된 교육은 대학원까지 연계하여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앞으로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할 생각입니다. 프로그래밍 능력과인공지능 이론에 관한 교육을 중심으로 방학 중에 수행할 수 있는 동아리와 같은 활동을 활성화하려고 합니다.

참여학생 | 임O현 (IT융합학부 재학생)

Q. '코딩캠프' 프로그램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트랙 회장이라 코딩 캠프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학교 선배로서 후배에게 코딩을 알려주고 싶었고 저의 프로그래밍 실력도 점검하고자 했습니다. 코로나로 학생회 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했지만 이번에 교수님들과 다른 학생들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 및 자기 점검의 시간이 되어 좋았습니다. 이후 유사한 프로그램이 개설된다면 참여할 의사가 있습니다.

참여학생 | 윤O식 (AI응용학과 재학생)

Q. '코딩캠프' 프로그램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과대표로 조교님을 통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코로나로 선배 및 동기와 같이 할 수 있는 활동이 없었기에 이번 기회에 친해지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런 자리가 만들어졌다는 자체가 너무 좋았습니다. 다음 코딩캠프에서는 코딩의 심화된 부분이나 알지못했던 새로운 것에 대해서도 배우면 좋겠습니다. 5점을 기준으로 4점으로 만족합니다. 첫 행사라서 구조적으로 부족한 부분이 있지만 이후에도 참여할 것입니다.

참여학생 | 정O경 (AI응용학과 재학생)

Q. '코딩캠프' 프로그램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수업 중에 알게 되었고 E-class 공지를 통해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다른 학생회분들과 유대 관계 및 교수님과 활동을 하고 싶었습니다. 학생회와 함께 활동하면서 코딩의 실력을 키울 수 있어 좋았습니다. 그러나 교수님과 함께 코딩 활동과 대화를 하지 못해 조금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5점을 기준으로 4.5점 만족합니다. 진행하면서 큰 어려움이 없어 또 참여할 것 같습니다.

8

상상독서 브이로그 영상 공모전

01 프로그램 소개

학생들이 독서와 책에 대한 주제로 최신 트랜드에 따른 영상을 제작하는 공모전. 일상생활 속 독서 또는 책과 관련된 다양한 모습을 담은 브이로그 영상을 제작하여 학생들의 상상력 및 창의성을 고취, 영상 제작 경험을 통해 사회에서 요구하는 1인 콘텐츠 제작 역량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진행되었다.

02 참여자 인터뷰

담당자 | 이O원 (학술정보팀 팀원)

Q. '상상독서 브이로그 영상 공모전'에 대해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한성대 학생뿐만 아니라 요즘 책을 읽는 사람이 적지만 유튜브와 같은 스트리밍 콘텐츠는 많이 보는 편입니다. 학술정보관에서 학생들이 책을 많이 읽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생각한 것이 이번 공모전입니다. 특히 1인 콘텐츠가 증가하는 만큼 브이로그와 같은 형식의 영상 공모전을 생각했습니다. 공모전을 준비하면서 자발적으로 책을 읽는 것과 다른 학생이 책 읽는 모습을 보고 "나도 한 번 읽어볼까?"라는 생각을 가지면서 독서문화 환경이 조성되는 것을 기대합니다.

공모전 출품작은 자유 형식이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영상에서 같은 특징이 있진 않고 각자의 개성이 담긴 영상이 많았습니다. 굳이 특징을 하나 생각하자면 주제가 있는 만큼 학생 개인이 공부하는 모습과 캠퍼스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모습을 영상으로 보여준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과제에 필요한 책을 읽으면서 공부하거나 토론하는 모습을 영상에서 볼 수 있습니다.

브이로그라서 얼굴이 나오는 영상이 많아 수상작을 한성대학교 학생들에게 전체적으로 공개하고 싶지만 원하지 않는 학생이 좀 있습니다. 그래서 수상작을 전체적으로 공유하지 못 하는 것이 아쉽니다. 그래도 공모전을 준비하면서 학생들이 스스로 책을 읽고 생각하는 시간을 가진 것 같아 목적을 달성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전 공모전보다 참여자가 증가했고 영상의 구성도 발전하고 있습니다.

9

참여학생 | 송O아 (기업경영트랙 재학생 - 최우수상 수상)

Q. '상상독서 브이로그 공모전'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겨울방학 때 해당 공모전에 참가한 친구에게 추천을 받아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평소에 독서 포토폴리오를 만드는 습관을 가지고 있는데요. 공모전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독서포토폴리오가 알려지면 좋을 것 같아서 참여를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독서 포트폴리오를 하면 나중에 무슨 책을 읽었는지 알아보기 편하고 책에서 배운 지식 및 정보를 본인의 언어로 정리하기에 오래 기억할 수 있습니다. 특히 삶에 어떻게 이 책을 활용할 수 있을지를 생각해나가는 과정에서 발전할 수 있기에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었습니다.

독서에 대한 정리 습관을 갖는 것이 얼마나 좋을지 소개하는 영상을 찍는 과정에서 '편집은 어떻게 하면 재밌을까?', 어떤 식의 스토리 흐름이 좋을까?' 등을 고민했습니다. 이런 과정에서 제가 관심있는 '기획'분야의 역량을 키울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편집을 다 끝내고 나니, 세로로 편집이 되서 보기 불편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다시 편집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해서 그냥 제출했지만, 아직까지도 가로로 영상을 제작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어떤 책으로 해야 독서포토폴리오 영상이 재미있게 나올지 등을 비교하기 위해서 2~3권의 책을 정독했습니다. 이 과정이 시간도 오래걸리고 많은 노력이 필요했지만, 여러 책을 비교하며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하고 분석하는 것 만으로 해당 공모전을 참여하게 된 목적에 잘 맞는다고 생각하여 즐거운 마음으로 임한 것 같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유사한 공모전에 참여할 의향이 있습니다.

참여학생 | 서O우 (기업경영트랙 재학생 - 최우수상 수상)

Q. '상상독서 브이로그 공모전'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종종 학술정보관의 홈페이지를 방문하곤 하는데 그때 상상독서 브이로그라는 공모전을 알게 됐습니다. 그리고 동기에게 해당 공모전을 진행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다시금 듣게 됐고 다시 공모전을 봤을 때 공모전 취지에 공감을 하게 돼 참가했습니다. 저는 이번 공모전의 취지 자체가 독서를 장려하기 위한것으로 이해했습니다. 독서의 중요성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지속적이고 꾸준한 독서는 생각보다 많은 의지와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 저도 독서량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던 와중 해당 공모전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다른 학우들에게 또한 스스로에게도 독서를 해야하는 이유를 좀 더 구체화 할 수 있는 계기가 돼주지 않을까 싶어 참여하게 됐습니다.

평소에 영상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나 직접 주도를 하여 영상을 찍고 편집을 하는 과정은 색달랐습니다. 영상을 보는 이들이 조금이라도 더 설득력을 가지기 위해 여러 자료들을 찾아보게 됐고 재미 역시도 놓치지 않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이런 과정 속에서 영상을 보는 시청자들의 관점을 바라보게 됐습니다. 또한, 다른 영상을 시청할 경우 해당 영상이 인기를 끌거나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불특정 다수를 향한 공모전이 아닌 시청자와 주제가 명확한 만큼 영상 제작에 있어 구체적으로 다가갈 수 있었습니다. 또한, 공모전의 취지와 제가 참가한 동기가 일치하는데 영상을 보는 이들로 하여금 독서하고 싶은 마음을 불러일으켜야 했습니다. 그래서 제작하는 과정에서 저 역시 독서에 대한 관심을 더욱 가지게 됐습니다. 공모전에 참가하여 뜻 깊은 경험과 성과물을 낸 만큼 추후에도 참가할 예정이 있습니다. 비슷한 주제의 공모전 역시도 참여할 의향이 있으며 이번 공모전에서 수상을 하게 된 만큼 추후에는 조금 더 큰 범주의 공모전에 역시 도전해 보고 싶습니다.

3.2 학생 성공 경험 촉진 비교과 프로그램 고도화

0

Global Conversation Partner

01 프로그램소개

외국인 유학생(튜터)과 한국인(튜티)의 외국어 학습 튜터링으로 재학생들의 제2 외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어학 관련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 해당 프로그램은 '일본어, 중국어, 베트남어, 몽골어, 우즈벡어, 아랍어, 네팔어, 미얀마어'로 개설됨. 신청할 때 사전 조사 후 구체적인 계획서를 통해 맞춤 1:1 팀 매칭으로 학습 계획에 따라 12주 동안 진행.

2022-2학기 Global Conversation Partenr 프로그램

‘.•’.”.·M.•.θ..이MJ.J~“”l.‘“'‘I1liiI*•”l!11I’n•.Ii:.1Il<..o•’.삐2Ol1i‘o!llt‘‘E.lO.I”.IlEl.l”.!Bl.~l.!'”:I!,!.1‘l,lII'으.‘lI{Qi;'IS1Ii.2?;m.S“O.l·;i1O!l:Il:!.l.:!>’lloe.l.j'‘.iW.o‘!l*.“I.lt.!'”‘l.t.(.lU“If!1e't.0l/’“I!1O1tO.1ι.l)OOO•'IloIlil”…뿔뻐

02 참여자 인터뷰

담당자 | 신O재 (국제교류지원팀 팀원)

Q. 'Global Conversation Partner'에 대해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Global Conversation Partner 프로그램은 한성대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외국인 유학생이 자신의 언어를 직접 가르쳐주는 프로그램입니다. 현재 국제교류지원팀은 한국 학생이 해외로 파견 나가는 것을 담당하는 교류와 한성대학교에 있는 외국인 유학생을 담당하는 지원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코로나 상황으로 해외로 나가지 못하는 학생에게 외국어를 배울 기회를 주려는 취지로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외국인 유학생들이 어떻게 하면 한국에 더 빨리 적응할지에 대해 고민하다 이번 프로그램으로 자신의 언어를 가르치면서 다른 학생과 친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같다고 생각하여 개설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2021학년부터 한 학기에 한 번씩 지속적으로 개설됩니다. 제2 외국어를 처음 시작할 때 학원을 다니기에는 부담스럽고 혼자하려면 어떻게 시작할 것인지에 대한 막막함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부담스럽지 않고 외국어 공부를 시작하고 싶은 학생이나 외국인 친구들과 문화적 소통을 하고 싶은 학생이 참여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외에 다른 국제지원교류팀의 프로그램이 있으니 많은 학생이 참여하면 좋겠습니다.

1

참여학생(튜터) | 아라카키 OO노 (글로벌패션학부 일본인 재학생)

Q. 'Global Conversation Partner'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외국인 톡방을 통해 공지를 받게 되었습니다. 국적이 다른 만큼 서로의 문화를 교류할 수 있고 한국 학생과 소통하면서 한국에 대해 더 많이 알아갈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하여 지원했습니다. 또한, 참여하면 제가 직접 일본어를 가르치기 때문에 저의 한국어 실력도 키울 수 있는 동시에 회화 능력도 성장시킬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저 역시 한국어 회화 능력을 키울 수 있었습니다. 한국인 튜티에게 어떻게 하면 일본어를 잘 알려줄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공부 방법에 대해 생각했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의 튜터링에서 전반적으로 만족했습니다. 특히 저의 튜티가 지난주에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고 열정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이 뿌듯했고 성장하는 과정을 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하지만 일본어 공부를 위주로 했기 때문에 일본 문화에 대해 많이 가르쳐주지 못한 것 같아 아쉬웠습니다. 다음 학기에도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습니다.

참여학생(튜티) | 최O석 (모바일소프트웨어트랙 재학생)

Q. 'Global Conversation Partner'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학교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자주 보는 편인데 우연히 공지가 올라온 것을 보고 신청했습니다. 제가 평소에 유학이나 워홀에 관심이 있었지만 상황이 마땅하지 않아 국내에서 활동할 수 있고 그 나라의 언어에 대해 배울 수 있도록 학교에서 지원해주는 활동을 찾던 도중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했습니다.

저는 일본어를 배우고 있고 일본인 튜터와 함께 활동했습니다. 일본이라는 나라의 문화에 대해 배우면서 더 많은 관심이 생기고 일본어 공부를 더욱 열심히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일본어 공부에 대한 필요성을 깨달은 동시에 더 알아가고 싶다고 생각해 프로그램이 끝난 이후에도 꾸준하게 공부하고 있습니다. 시험 기간이나 만나기 어려운 상황을 제외하면 최대한 대면 활동으로 진행했고 이 외에는 화상으로 수업했습니다. 교재는 튜터가 준비했고 처음 4주 정도는 일본어 공부 외에도 일본 문화에 대해 배우면서 놀이 형식의 학습을 많이 했습니다. 그리고 이후에 문법 위주로 공부하여 일본어에 대해 배웠습니다. 부담없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외국어 공부를 편하게 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현재 다른 국제교류지원팀의 프로그램도 참여하고 있고 개설되면 당연히 다시 참여할 생각입니다. 이번에 참여할 때는 꼭 무엇을 얻어야겠다는 강박이 있어 언어를 배우기 위해 계획했다면 다음에는 튜티와 튜터 모두 도움이 되는 활동으로 학습 계획을 세우면 좋겠습니다.

글로벌-업

01 프로그램 소개

한성인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 기획된 프로그램이다. 세계 문화에 대한 이해 증진 및 다양성 존중을 통한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하고, 해외 파견예정자, 해외 취업희망자 등을 위한 글로벌 학습역량 강화 지원하고자 한다. 태국과 일본, 멕시코를 주제로 대면 강연이 펼쳐져 자세하게 알아보는 기회이다.

한성인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글로벌-업 (UP) 초청강연

: 태국, 일본, 멕시코

모집기간

(10.31)

11/06(일)

11/13(일)

11/17(목)

• 강연장소: 미래관 DLC

• 모집인원 :선착순 100 명

• 참가혜택 :각 강연당 비교과 10PT

(강연시청 완료 후 설문 및 후기제출자에 한함)

문의: 국제 교류지원팀 02-760-5595 intl@hansung.ac.kr

강연일시

11/08(화)

10:00

11/16(수)

14:00

11/21(월)

14:00

시카이

요이치로/

이토하라

야스에

강연자

이석우

홍지선

미나미큐슈,시마네현소개

도도부현 말의 매력

태국이라는 나라는 어떤 냐라일까

카리브해의숨은보석, 멕시코

3

02 참가자 인터뷰

담당자 | 신O재 (국제교류지원팀 팀원)

Q. '글로벌-업'에 대해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학생들에게 다방면적인 주제로 유익한 경험이 되어보고자, 여러 국가에서 활동하시는 분들을 섭외해 강연을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코로나 이전에는 학생들이 '해외에서 한달살기'를 다녀오는 경우를 자주 접했습니다. 지금은 해외 출입이 쉽지 않다보니 세계를 바라보기 보다는 시야가 국내에 좁혀져 있다고 생각했어요.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글로벌적인 마인드를 가질 수 있을까? 고민을 하다보니 다양한 국가를 접할 수 있는 강연 프로그램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글로벌업을 비대면으로 진행하다 보니 학생의 생생한 참여 후기를 들을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학기부터 대면 강의를 시작하며 강연 참여율과 활동 보고서를 직접 확인하다보니 만족도가 높은 걸 알 수 있었습니다. 실질적으로 학생들에게 도움이 된 것 같아 뿌듯하였습니다. 반면 아쉬운 점은 학생들의 노쇼가 많다는 것입니다. 꼼꼼히 문자로 안내를 하고, 참여하기 어려운 학생은 연락을 달라고 공지를 하는데도 많이 불참석을 하고 있습니다. 조금은 책임감을 갖고 참여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글로벌업은 다양한 국가의 전문가를 섭외하여 강연을 진행하는데 개인적으로 학생들이 잘 알지 못하고, 다가가기 어려운 나라를 위주로 선정했습니다. 따라서 작년에도 러시아, 북한, 이탈리아로 진행하였는데요.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다른 나라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어보고자 초점을 두었습니다. 또한 관심을 유도해보고자 '일본'을 구성해 참여도를 높여보고자 하였습니다.

강연을 기획한 저에게도 개인적인 도움이 되었습니다. 멕시코나 태국에 대해서 자세히 알지 못했는데, 강연을 통해 얻어가는 점이 많았습니다. 1시간 정도를 투자해서 글로벌업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새로운 국가에 대한 흥미는 물론 재학생 여러분의 글로벌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진로취업멘토링

01 프로그램 소개

현직자 멘토링을 통해 취업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한성대학교 진로취업지원팀의 프로그램.  현직자 멘토 1인과 5명 내외의 멘티로 팀을 구성하여 멘토링 진행함으로서 진로 및 취업을 위한 맞춤형 지도 및 관련 정보 제공이 이루어진다.

02 참여자 인터뷰

멘토 | 이O필 특임교수 (IPP사업단 특임교수)

Q. 멘토님의 '진로취업멘토링'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진로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계기는 기업에서 32간 근무하면서 신입 및 경력 직원을 채용하는 자리에 참여하면서 적지 않은 지원자들이 자신의 진로에 대해 정리가 부족하고 지원하는 직무에 대한 필요 역량이 무엇인지 잘 모르고 지원하여 합격하지 못하는 경우를 많이 경험하였습니다. 진로멘토링을 통하여 학생들이 학교에 재학하는 동안 자신의 진로에 대해 준비한다면 "자리에 자기자신을 맞추는 것"이 아닌 "내가 하고 싶고, 잘할 수 있는 분야의 직무"를 선정하고 그에 필요한 역량을 준비해 나갈 수 있도록 조언하여 시행착오를 격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좋았던 점은 진로멘토링에 지원한 학생이 예상보다 많아 학년별로 팀을 구성하여 진행하였는데 제 예상과는 달리 1학년 학생들의 참여도와 몰입도 그리고 주어진 과제에 대한 준비와 열정이 다른 학년에 비해 매우 높았습니다. 1학년팀 진행하는 동안 멘티들로 부터 진지하고 적극적인 참여에 깊은 감명을 받아 참여하는 멘티들의 귀중한 시간을 좀 더 보람있고 가치있게 보낼 수 있도록 멘토링 준비에 한치도 소홀할 수 없었다는 점입니다. 진로멘토링을 하면서 멘티 학생이 하고 싶은 분야의 전문가들과 만남을 주선하여 전문가분들과 직접 만나서 궁금한 내용을 질문하고 해당 직무에 필요한 역량을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피드백도 기억에 남습니다. 아쉬웠던 점은 1학년팀은 대면으로 진행 할 수 있었고 2학년과 3학년팀은 주간과 야간 학생이 함께 하여 시간조정이 쉽지 않아 비대면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어서 학생들과 소통이 상대적으로 적어 대면으로 진행한 1학년팀들 보다는 효과가 다소 미흡했을 것 같아 대면 멘토링과 같은 시간을 투자한 2학년과 3학년 학생들에게 미안하였습니다. 대면으로 진행하였다면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멘토 | 이O학 (FS Innovation 부사장)

Q. 멘토님의 '진로취업멘토링'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저는 패션업계 근무 경력 25년으로 지난 2019년 동계방학부터 현재까지 총 8회 이상 멘토링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저도 대학에서 패션을 전공해 졸업하고 나서야 대학교에서 배운 지식은 가장 기초적인 것이며 실제로 좋은 기업에 취업하거나 창업을 하기 위해서는 최신의 업계 정보와 기업이 필요로 하는 개인 역량에 대해 미리 알고 대학 생활을 통해서 철저히 준비해야 함을 뼈저리게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현재 패션을 전공하는 후배들에게 학교에서 배우는 지식과 실습이 실제 실무에서는 어떠한 의미이고 어떻게 활용되는 지에 대해 미리 구체적으로 알려줘서 향후 경쟁력을 가진 패션 인재가 되어 업계에 진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진로 멘토링을 진행해오고 있습니다.

이번 2022년 하계방학 멘토링을 포함해서 지난 3년간 총 55명의 학생들이 제가 진행하는 멘토링에 참여해왔습니다. 그 중에는 처음 하는 학생부터 연속으로 멘토링을 받은 학생까지도 있고, 2회나 3회 이상 멘토링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런데, 다들 멘토링에 참여하면서 이렇게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이 있는지 알지 못했고 만약 알았다면 일찍부터 참여해 멘토와 상의하면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었을텐데 라는 아쉬움을 토로하는 것을 보고 여전히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전략이 필요함을 또 다시 느꼈습니다. 가장 인상깊었던 것은 다른 학교 다른 전공에 패션학과 3학년 1학기로 편입한 편입생팀이었는데, 낯선 환경에서 친구 하나 없이 외롭게 적응해나가야 하는 학생들이 팀을 이뤄 서로서로 도와가며 패션에 대한 재미와 자신감을 얻어가는 과정은 저와 그들 모두에게 매우 의미있는 과정이었습니다. 또한, 상반기 한국의류학회 패션상품기획콘테스트에 참여하는 각각의 2개 팀이 저와의 멘토링을 통해 일련의 과정을 차근차근 준비하면서 1차 심사를 통과할 수 있었던 것은 큰 보람이었습니다.

멘티 | 양O영 (IT공과대학 재학생)

Q. '진로취업멘토링'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포인트를 모으기 위해 스마트 자기관리 시스템에서 비교과 프로그램을 찾던 중 장학금과 비교과 포인트를 동시에 주는 진로 멘토링 프로그램이 있는 것을 알게 되었고, 프로그램의 내용 중 '직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역량 파악'과 '진로 방향 탐색'이 진로에 대한 확신이 없던 저에게 꼭 필요한 내용이고 도움이 될 것 같아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멘토님께서 우리가 왜 앞으로 좋아하는 일과 잘 할 수 있는 일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자세한 이유와 경험들을 바탕으로 설명해 주셔서 단순하게 취업이 잘 되는 직업, 연봉을 많이 받을 수 있는 직업에 대해서만 고민해 왔던 제 스스로를 뒤돌아 보게 되었고 내가 무엇을 좋아하고 하고 싶어 하는지에 대해 깊게 고민해 보면서 앞으로의 진로 방향을 결정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5점을 기준으로 5점으로 매우 만족합니다. 이후 유사한 프로그램이 개설된다면 적극 참여할 의사가 있습니다.

멘티 | 송O웅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재학생)

Q. '진로취업멘토링'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멘토링은 학교 홈페이지에서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다양한 프로그램 중, 저는 패션 직무 탐색을 담당하시는 이O학 멘토님의 멘토링을 신청했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을 신청한 이유는 제가 패션 쪽으로 취업을 준비하고 있지만 비전공자인만큼 해당 직무와 산업에 대해 정보를 얻기가 힘들었기 때문입니다. 멘토링 프로그램 신청에는 전공 제한이 없어 편하게 들을 수 있었습니다.

멘토님은 여러 멘티팀을 운영하시면서 각 팀마다 다양한 직무의 실무자분들을 소개하는 동시에 다른 팀들도 자유롭게 다른 팀 멘토링에 참여할 수 있게 해주셨습니다. 덕분에 여러 실무자분들을 만나며 실제 산업 현장에 있는분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멘토링 이외에도 직무와 관련된 질문을 들어주시고 함께 고민해주셨습니다. 그러며 저에게 도움이 될만한 프로그램들을 소개해주셨고, 덕분에 제 진로 설계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추천하신 ESG경영 프로그램과 E커머스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멘토링이 끝난 이후에도 직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게 도와주셨습니다. 진로 멘토링을 하며 멘토링 과정에서 얻게된 다양한 지식들도 많지만, 멘토님과 인연을 갖게 되며 멘토링 이후에도 진로 설계와 취업 준비에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매우 만족합니다. 이후 유사한 프로그램이 개설된다면 또 참여하고 싶습니다. 저는 진로멘토링으로 얻게 된 것이 많아 주변 지인들에게 추천하기도 합니다!

트랙진로탐색

01 프로그램 소개

한성대 재학생 중에 트랙 선택이 고민인 학생이나 전공 트랙 관련 분야에 대해 알아보고 싶은 학생이 개인 혹은 팀을 이루어 직접 활동 계획을 세우고 활동의 결과물을 본인만의 콘텐츠로 만드는 프로그램이다.

‘f

02 참여자 인터뷰

담당자 | 김O희 (진로취업지원팀 팀원)

Q. '트랙진로탐색'에 대해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학생들이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주도적으로 전공 및 진로와 관련하여 탐색하는 프로그램을 직접 설계하여 기획부터 운영까지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면 좋겠다고 생각하며 운영합니다. 학생들이 이 프로그램을 발판으로 하여 스스로 대외 공모전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많은 경험을 쌓기를 바랍니다.

트랙진로탐색은 진로나 전공 선택을 위해 전공 트랙 현장을 직접 가서 학교에서 배우고 있는 공부나 배웠던 지식과 연게하여 많은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예를 들면 미디어를 전공으로 하는 학생들은 방송국이나 영상 공모전 등의 대외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해줍니다. 학생들이 만들어진 콘텐츠에 참여하는 것이 아닌 자기주도적으로 콘텐츠를 만들고 활동할 수 있는 점이 프로그램의 장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참여학생 | 송O재 (회계재무경영트랙 재학생)

Q. '트랙진로탐색'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저는 전시회를 진행 및 운영하는 회사에서 회계·재무를 담당하고 싶습니다. 팝업스토어처럼 디자인을 비롯하여 시각을 자극하는 재화와 서비스는 젊은 층이 많이 구매합니다. 이번 활동에서 인스타에 전시회 후기 사진을 올리는 많은 젊은 사람들을 보면서 기업이 어떻게 MZ세대에게 선택받을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SNS, 소비자, 젊은 세대, 전시회 등 여러 키워드를 합하여 연구하고자 하였습니다. 기업의 미래 사업을 평가하는 재무팀에서 디자인과 젊은 층이 선호하는 SNS에 인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사업들을 긍정적으로 평가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관심분야의 시장 가능성과 업계 동향, 직무들을 파악할 수 있어 전체적인 시장의 흐름을 알 수 있다는 점이 좋았습니다. 다양한 기업 중에서 전시회를 비롯한 여러 페어들을 진행하는 회사에서 재무를 담당하고 싶은 저로서는 전시회가 어떤 사람을 타겟으로 운영되어야 하는 지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좋았던 점은 학생으로서 부담되는 체험과 관람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해준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교통비까지 지원해주는 부분이 크게 도움되었습니다. 저희 집에서 코엑스까지 교통비가 왕복 5400원 정도가 소요되기에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게 진행되는 IT전시회 중 하나인 한국 전자전에 다녀오는 것이 망설여졌었습니다. 그런데 프로그램에서 교통비를 지원해주신 덕분에 가고 싶었던 곳에 다녀올 수 있었습니다.

참여학생 | 최O서 (웹공학트랙 재학생)

Q. '트랙진로탐색'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저는 VMD 및 전시 디자인에 관련한 분야 참여를 희망하였습니다. 대학을 입학하기 전부터 디자인에 대한 궁금증과 흥미가 있었고, 이번 기회를 통해 다양한 체험을 하며 VMD 및 공간디자인의 경험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프로그램을 통해 평소에는 가기 힘들었을 다양한 전시회와 사진전 관람을 HS 트랙진로탐색프로그램을 통해 체험할 수 있게 되었고, 또한, 제 진로에 대해 조금 더 자세하고 깊게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라운드 시소, 프랑코 폰타노 사진전, 섬세이 테라리움 등 관심이 있는 진로의 분야와 관련된 다양한 전시회를 관람하는데 사용하였습니다.

진로취업페스티벌

01 프로그램 소개

진로취업페스티벌은 취업 트렌드를 중심으로 진로 설정 및 취업역량 강화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 10가지의 세부 프로그램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개인의 특성과 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수강이 가능하다. 포트폴리오 특강, 코딩테스트 대비특강, 현직자 특강, 진로관련 검사 등에 참여를 통해 진로 설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진로·취업 페스티벌

.-;Jtlll[J‘,~잉.1I'iIl~U

v·.·~‘’•‘e‘-‘.-~2l“‘•...l’a-...”.e…Ue‘’.,‘,l“~.‘·n…,t....·!‘,.‘..‘~‘~-g.....[,..“..mJ.:,...ν-t.·r.않i'‘l~E![S야멘;.'..F.I..'.g‘n,.‘g~“.융''.•''~'~'UU'없l'..1.…f(T1“l“‘‘i.‘.’It-!.1’‘•!“-U.1.lIl02'∞’I~.HI.!:-.!•.!…OnJ.•:.·ll...•ll•!ll!

-빼면-빼를-rw'흩…[폐띠빨바』'1f1'$H‘흩·덤-F_닝혐t.’.t&-틀._l.....!를.•.二.-,1v1,릎J'tt‘;’등&

02 참여자 인터뷰

담당자 | 박O화 (진로취업지원팀 팀원)

Q. '진로취업페스티벌'에 대해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진로취업페스티벌은 한성대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취업목표를 설계하는데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진로와 취업준비로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특강과 현직자를 통해 얻은 직무정보를 배경으로 자기 주도적인 진로취업목표를 계획할 수 있도록 웹사이트에서 진행된 프로그램입니다. 참여혜택으로는 우수참여자에게 소정의 상품과 프로그램별 각5~10P 비교과포인트 지급으로 8개의 특강과 직무역량진단검사로 진행되었습니다.우선 학생들의 전공트랙선택과 대학 생활주기를 파악하였으며, 진로&취업을 자기주도적으로 프로그램을 기획 하였습니다. 그리고 변화하는 취업트렌드에 맞춘 최신 취업정보제공으로 다각적인 자기탐색을 하고 학생 개별 진로목표 설정과 취업역량강화 지원을 목표로 운영했습니다.

아무래도 최근 기업에서 많이 요구하는 직무경험과 직무역량이 화두가 되고 있어 직무역량진단검사와 검사이해 특강이었던 것 같습니다. 가장 많은 학생들이 참여했고 실제 직무역량진단검사를 실시하는 방법과 좋은 점수를 얻는 방법을 알게 되어 중견기업이상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다는 후기가 있었습니다. 이외에도 토크 콘서트는 현직에서 근무하는 분들의 생생한 하루 일과와 실제 어떤 업무를 하는지 회사생활을 간접적으로 접할 수 있었고 취업을 위해서 어떤 직무경험을 쌓고 대외활동을 해야 하는지 상세한 정보를 얻어 좋았다는 후기가 많았습니다.

참여학생 | 강O지 (금융데이터분석트랙 재학생)

Q. '진로취업페스티벌'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저는 평소에 지속적으로 진로상담을 받고 있어서 상담사님께 진로취업페스티벌 행사를 한다는 이야기를 들어 관심이 생겼습니다. 더불어 공지사항을 통해 비교과 프로그램들을 자주 챙겨보는 편이라 ‘한 번 해봐야겠다!’ 라고 생각했습니다. ‘진로 취업’ 은 늘 가깝고도 먼 듯 합니다. 내년에 졸업반을 앞두고 있어 늘 ‘취업’에 대해 생각하지만 실질적으로 내 상황에서 취업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하는지, 어떻게, 어떤 곳에 취업을 해야하는지, 또 취업을 한 뒤 회사 생활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학생으로서는 알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접할 기회가 있으면 최대한 자주 접해서 저의 진로와 취업에 대한 마인드셋을 하려고 노력합니다. 이번 참여도 그 노력의 일종이었습니다.

우선 저는 사회과학대학 소속이어서 실제 마케팅 업무를 하고 계시는 현직자로부터 실무 관련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던 ‘현직자토크콘서트’와 대기업을 희망한다면 필수적인 인적성 검사에 대해 강의해 주신 ‘직무역량 진단검사 이해’ 도 유익했습니다. 또한 전공 상관없이 들을 수 있는 ‘포트폴리오 특강’은 ‘포트폴리오’ 라는 어감에서 디자인 대학 학우분들이 많이 수강하셨지만 실질적인 발표와 취업시 발표 면접에 도움되는 PPT 제작 꿀 팁도 알려주셔서 정말 유익했습니다.

이번 진로취업페스티벌은 실제로 궁금했던 것들을 들을 수 있는 좋은 강연이 많았습니다. 취업에 대한 인사이트를 확장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저는 굉장히 만족했습니다. 진로페스티벌을 준비하시면서 학생들이 궁금한 게 뭘까, 어떤걸 알려주면 좋을까 많이 고민하시고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신 것이 느껴졌습니다. 이러한 기회로 취업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는 것은 추후 취업준비 할 때 자신에게 더 큰 도움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살아가면서 정말 맞다고 생각한 것도 시간이 지나면서 생각이 확장되면 완전히 다 맞지는 않았구나 생각이 드는 것처럼, 취업을 준비하고 미리 입사하기전에 실제로 업무를 하고 계시는 분들을 많이 만나고 이야기를 듣는 건 정말 유익한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기회가 된다면 학우 분들도 비교과 포인트만을 위해서가 아닌, 진로와 취업에 도움이 되는 다양하고 유익한 학교 프로그램들과 진로취업페스티벌에 참여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참여학생 | 전O주 (기업경제분석트랙 재학생)

Q. '진로취업페스티벌'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교내 스마트자기관리시스템을 통해 비교과 프로그램을 찾아보던 중 진로취업페스티벌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진로취업 페스티벌'을 참여한다면 취업 할 때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아 신청하였습니다.

진로취업페스티벌에는 다양한 세부 프로그램들이 있었지만, 개인적으로는 포트폴리오 특강이 가장 유익하다고 느꼈습니다. 취업을 할 때 자신의 장점이 무엇인지, 자신이 무엇을 하고 싶은지 등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생각을 해봐야 하는데요. 진로와 취업을 미리 고민하는데 있어서 '포트폴리오 작성법'이 크게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대단히 만족스러운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추후 유사한 프로그램이 있다면 꼭 참여하고 싶습니다.

창업동아리

01 프로그램 소개

학생들이 창업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에서 지원하며 창업동아리를 운영하고 있다. 대학 내 창업 분위기 조성을 통해 대학생 창업을 촉진하고 미래 성장 가능 사업을 발굴하여 육성한다. 체계적인 창업 교육 지원을 통해 미리 혁신적인 기업가를 양성하도록 한다. 창업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팀을 이루어 창업 아이템을 개발하며 학교에서는 시제춤 제작 지원, 내외부 전문가 멘토링 등을 제공하여 운영하고 있다.

02 참여자 인터뷰

담당자 | 홍O재 교육연구교수 (창업지원센터 센터장)

Q. '창업동아리'에 대해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한성대학교 창업지원센터에서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오랜 시간을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창업 동아리를 통해 학생 창업을 할 수 있는 기회 및 상업화를 목적으로 하는 상품에 대한 여러 도움을 주려고 합니다. 창업동아리에 선정되면 멘토링 및 지식 재산과 관련된 서비스, 창업동아리 전용 공간을 제공하고장학금 및 시제품 비용을 주어 창업화를 할 수 있도록 합니다. 특히 창업할 수 있는 물리적인 공간과 시제품 비용을 주는 것이 가장 좋은 것 같습니다. 또한, 창업 휴학이라고 하여 창업하기 위해서 휴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와 창업 동아리 실습 및 창업 기업 실습이 있습니다.

클라우드 펀딩과 선배 기업을 보면 '건강한 형제들'이라고 하여 가정용 운동 기구와 음식과 관련 사업 아이템을 통해 성공한 사례가 있습니다. 학생팀 중에서는 다음과 같은 아이디어를 제시했습니다.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위기 상황이 발생하면 망치로 깨서 탈출합니다. 하지만 노약자 및 어린이의 경우 힘을 쓰기 어렵기에 비상용 망치를 대신하여 안전핀만 뽑고 누르면 바로 탈출할 수 있는 제품을 선보였고 기억에 남습니다. 이외에도 아마추어 축구 동호회를 무인으로 촬영해주는 기계와 같은 아이디어도 좋았던 것 같습니다.

일단 패션과 플랫폼 창업이 많고 학교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기계를 활용해 AR과 VR 관련한 서비스 등을 생각하는 동아리를 외부와도 연계하여 적극 지원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끝으로 창업 아이디어가 있다면 한 학기 정도는 경험하면 좋을 것 같고 시제품 기금을 상시 모집하고 있으니 관심 있는 학생은 한 번 신청하면 좋겠습니다.

참여학생 | 서O민 (전자정보공학과 재학생)

“저는 개인 맞춤형 음향장비 컨설팅 및 세팅,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톤프린트의 대표 서동민입니다!”

Q. '창업동아리'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창업을 하고 학교 홈페이지를 보니 창업 동아리라는 것이 있다는 게 눈에 띄었고 따로 동아리 연합회 소속 동아리가 아니라는 것과 창업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것을 보고 체계적으로 진행이 될 것이라고 판단되어 신청했습니다. 창업 초기에는 외부 지원 없이는 자본금에 프로젝트가 막히는 것이 많고 아는 것이 적은 상태로 어렵게 사업을 운영하였습니다. 창업 동아리에서는 시제품 개발비를 지원하고 각종 교육프로그램과 멘토링, 지원사업 연계 등 각종 혜택이 많기에 참여를 결심했습니다.

저는 톤프린트라는 사업자명과 팀명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꾸준한 시제품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전에는 (주)에프터레인의 대표님과 멘토 멘티 관계로 멘토링을 진행하였고 회사의 방향을 잡고 운영하는데에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현재는 꾸준히 고객들의 니즈를 파악해서 새로운 제품들을 개발하는데 힘을 쓰고 있습니다.

중간 발표와 최종 발표가 있어 사업을 이제 시작한 단계와 혼자 사업을 진행하는 데에 있어서 동기부여가 됩니다. 아무래도 혼자 사업을 꾸리다 보면 단계를 밟아가는 부분에서 어려움을 느끼는데 창업동아리는 톤프린트가 페이스 메이커 역할을 해줍니다. 또한, 초기 창업 회사의 부족한 자금을 지원하는 시제품 개발 지원과 멘토링 프로그램과 창업 초기에 사무실을 마련하기 힘든데 사무실을 지원해주는 점이 좋았습니다. 동아리는 매우 만족하고 있습니다. 사업을 진행하면서 지쳐 포기하지 않게 해주고 계속해서 성장할 수 있게 이끌어 주는 것 같습니다. 단순히 저희 팀원들과의 소통 뿐아니라 다른 동아리 팀장분들의 발표를 보면서 새로운 견해를 가지게도 되고 성장에 도움이 많이 되는 프로그램인 것 같습니다.

참여학생 | 안O정 (AI응용학과 재학생)

Q. '창업동아리'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학교에서 창업동아리를 모집한다는 공고가 내려와서 직접 창업 동아리를 개설하게 되었습니다. 동아리 플룸은 제가 그동안 만들고 싶던 플랫폼이 있었고 이를 대학생 때 실현해보고 싶었습니다. 창업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들어오는 각종 지원을 받는다는 인센티브도 크게 작용한 것 같고 교수님의 탄탄한 지원도 창업동아리를 개설한 가장 큰 이유인 것 같습니다.

플룸에서는 현재 앱 개발의 와이어프레임을 위한 성능 분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9월에는 ‘플룸만의 차별점을 만들어 보자’라는 주제로 케이스 스터디 및 경쟁기업 분석을 끝낸 후, 10월인 다음 달에는 ‘개발을 시작하자’라는 타이틀로 본격적인 앱 개발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곧이어 11월 12월인 연말에는 투자 관련 피칭 준비를 할 것입니다.

플룸의 가장 큰 장점은 팀원들의 성격과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든 팀원이 플룸을 위해 밤새 경쟁기업 분석을 해오기도 하고, 항상 회의마다 모든 팀원의 의견을 존중하고 칭찬하는 분위기를 조성해줍니다. 학년과 나이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갈등이 전혀 없습니다. 동아리 내부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5점이라고 할 수 있고, 외부의 만족도는 4점이라고 할 수있습니다. 팀 내부의 빌딩 상황이나 계획수립의 정도는 최상이라고 장담할 수 있지만 창업동아리의 외부적으로는 다른 동아리들과 모여서 갖는 모의 해커톤이나 데모데이 시간이 더 있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트랙제 트랙기초 학습역량강화 프로그램(ALEKS)

01 프로그램 소개

본 수업은 ALEKS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온라인 교육으로서 총 8주간 단계별 수업을 진행한다. 인공지능 기반 학습프로그램 ALEKS를 활용하여 수학, 화학, 통계에 대한 학습을 주도적으로 할 수 있으며 기초학습역량 및 자기주도학습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학생은 스스로 학습 내용을 이해하며, 매주 과제를 제출하고, 이후 담당 교수와 1회 대면 수업(토론 및 질의응답)을 통해 자율형 온라인 수업에서 부족할 수 있는 부분을 보충하도록 운영한다.

2022-1학기 기초역량증진 프로그램

인공지능 (ALEKS)을 활용한 기초 3개 과목 수강생 모집

때옳앓m많웹향흘윈핀짧휠

대상]한성대학쿄재획생(1-3획년)리~I목얼20엉성일

괴를l기조회학기조수회,기조흥계

01수)1.HS-CESA및6대획습쩍링시전시흥검사

2쉴시긴강으1종8호|

3.ALEKS버지정토픽모두이수

4자씨시전시흥테스트

5민즉도조사

신정!1--자20기22안.0리3.시1스1.댐(글)(h-tt2p0s2'2i./0h3s.p2。4.π(목。I.)h2a3ns시un5g9.등acD.I~kIr/)에서신영

。Tj2022.03.28.(월)-04.01.(긍)13시까지영상수강

(선월시상서1내용문자로안내예정)

개강월J2022.04.04.(월)(상셰일징온신정서.확인해주셰요)

운영양엉wAeLbEeKxS로시지스정델된을월사정용에01여쉴시이깅수(강시의스잠델석온잉어로구성되어있용!J

m~영ALEKS밑시

기조§lot월요월오흥lAI-2흥2시

기초수찍회요월오흥3'1-오흥4시

기호륭계금g일오~3시-오흥4시

혀l택l이수조건종즉시비교괴포잉트80pt및상심부기국즈지급

g잉l교수회응샌Ei02)760-5816

02 참여자 인터뷰

담당자 | 권O경 (교수학습센터 주임)

Q. 'ALEKS'에 대해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학교 특성상 트랙제로 운영하고 있으나 전공 습득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있다고 알게 됐습니다. 이에 따라 트랙제 적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프로그램을 통해 전공에 대해 흥미를 느끼도록 도와서 전공 및 학교 이탈을 줄이고자 하였습니다. 또한 학생들이 자유롭게 문이과 교차를 하여 다양한 전공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종료 후 만족도 조사에서 기초적인 전공을 배워 좋았다는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기본적인 기획의도와 학생들의 만족도 평가가 부합하는 부분에 있어 뿌듯함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프로그램 신청 후 노쇼를 하는 학생들이 있어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강의의 질을 높이기 위해 비교적 소수 인원을 선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 시간에 20만원 정도 지원하고 있어 재정적 손해가 있으며, 타 학생들의 기회를 뺏을 수 있어 아쉽게 느꼈습니다. 참여 학생들이 당일 결석을 하거나 전화를 안 받는 경우가 늘어나는데, 책임감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주면 좋겠습니다.

기초적인 부분부터 학습하는 강의도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 기본적인 지식이 필요한 경우 별도로 공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기초적인 지식이 없는 학생 모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 실태조사 및 만족도 조사를 배경으로 기획된 프로그램입니다. 트랙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트랙제 기초학습역량강화 수강하면 좋겠습니다. 혹은 교수학습센터에 방문하거나 이메일을 보내주시면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참여학생 | 이O규 (상상력인재학부 재학생)

Q. 'ALEKS'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스마트자기관리시스템 찾아보다가 ALEKS 프로그램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흥미로운 게 생기면 일정 기간이나 목표를 잡고 하나에 집중하는 편인데, 그 당시 그게 수학이었기에 관심있어 참여했습니다.

저는 통계 과목을 수강하였습니다. 정규분포와 표준정규분포를 엑셀의 함수 마법사를 통해 계산하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엑셀은 실제 업무에서도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배운 것을 실제에 적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보람찼던 기억이 있습니다. 다만 단순한 문제가 반복되어 출제되는 경우가 있어 아쉬웠습니다. 개념학습 단계에서 문제를 읽지도 않고 풀이만 본 다음 숫자만 대입하면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렇게 된다면 학습 취지에 맞지 않게 개념 이해가 아니라 유형 암기가 될 수 있기에 다양한 문제유형과 응용문제가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수학과목을 공부하고 싶은데 학교 수업을 듣기엔 너무 어렵다고 느끼는 학생들에게 추천하고 싶습니다. 또는 성실하게 공부하고 싶은데 자기관리가 어려운 학생, 유학, 교환학생 준비 등을 위해 수학을 영어로 공부해보고 싶은 학생도 있을 것 같습니다.

프로그램이 종료되고 나서 스스로에 대한 아쉬움이 제일 컸습니다. ALEKS를 이용하면서 AI 학습프로그램이 굉장히 유용하다는 것을 느꼈는데, 이를 온전히 이용하지 못했다고 생각합니다,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만족도는 굉장히 높았습니다. 아쉬움이 남기도 하고 상당히 유용하기 때문에 또 비슷한 프로그램이 개설된다면 꼭 참여하고 싶었고, 실제로도 2학기에 비슷한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참여하고 있습니다.

한성 점프업

01 프로그램 소개

학업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는 재학생 혹은 대학생활과 대학에서의 학습에 흥미를 느껴보고 싶은 재학생을 위해 기획된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학사경고자 및 학업부진 학생들의 학습동기 부여 및 학교생활 적응을 돕고자 한다.「수강신청에 관한 세칙 제5조」에 따라 본 프로그램을 수료한 학사경고자 학생들에게 수강신청 학점제한 해제를 지원한다.

2022학년도 동계방학¶

한성 점프업!¶

지원대상¶

1. 학점제한을 풀고 싶은 학사경고자 학생¶

2. 대학생활과 대학에서의 학습에 흥미를 느껴보고 싶은 재학생 누구나¶

※ 학사경고자 및 근접그룹, 장애학생 우선 선발 (최대 100명)¶

모집기간¶

2023. 1. 2 (월)~2023. 1. 30. (월) 23시 59분까지¶

신청방법¶

스마트자가관리시스템(HS-Portal)에 신청¶

이수기간 실시간 강의 : 2023. 02. 01.(수) 오후 1시~ 오후 4시 (Webex)¶

녹화강의 이수기간 : 2023. 01. 25(수)~02.08.(수) 23시 59분까지¶

이수방법¶

학사경고자 : 실시간 강의 참여 + 녹화강의(학사정보관련) + 지도교수 면담 + 만족도조사 필수¶

비학사경고자 : 실시간 강의 참여 + 만족도 조사 필수¶

참여혜택¶

문의 | 교수학습센터 02-760-5816/4456¶

11학학멈멈메메한한를를풀풀고고잎잎은은학학마마경경고고mm학학멍멍

22대대학학맹맹활활과과대대학학머머||머머의의학학읍읍머머||흥흥미미를를느느며며보보고고잎잎은은매매학학맴맴누누구구나나

※※학학마마멸멸고고mm및및근근밍밍그그룹룹‘‘임임OOHH학학맴맴무무먼먼먼먼발발{{꾀꾀대대110000멍멍}}

룰룰헬헬렐렐ll

22002233..11..22..((월월JJ--22002233..11..3300..((월월))22331111115599분분mmll11ll

톨톨짧짧룹룹’’

므므마마트트mmllll관관리리미미므므탱탱((HHSS--PPoorrttaaUUCC에에민민멍멍

@@홉홉렐렐ll

밀밀111111간간암암의의22002233..0022..0011..((우우}}오오후후11미미~~오오후후44111111((WWeebbeexx))

북북호호}}강강의의0011무무IIII만만22002233..0011..2255..((무무))--0022..0088((무무))22331111115599분분TTIIHH1111

,,..학학짧짧mm검검룹룹고고’’마마밀밀mm긴긴밀밀의의잉잉여여++녹녹화화암암의의{{학학mm엄엄보보관관련련))++nnll도도교교우우면면담담++만만쪽쪽도도모모mm필필우우

~~ttJJll학학마마엄엄고고mm일일미미만만밍밍의의잉잉여여++만만옥옥도도모모mm필필우우

--란란오오22이0이후0후221133r시r시..l2l2~~..--~~00rr,~,~44..1.1.tt시시..’’’’’’’’’’’’시공공공공시밀밀대대오오엉엉한한한부부부한부늘늘의의하민하민기기것것내내지지국국을을간간정정기기의의올않씨씨않올지지계계성고고성난난키키등등획획재을을재게게앙앙••성성을을흔흔“만만“적적XX만만인인II''일일들들을을드드UU찍지지찍어어JJ가가올올는는키키자자게게내내리리μμ보보고는는고는는는는만만~~상상이이일일드드시시55과과..유유외외는는스스가가I얼얼I댐댐지지일일;;잉잉!!직직어어((jj환환;;올올시시킥킥WW경경입입IIII스스::]]tt꽉꽉템템;;HH걸걸전전략략

~~3377배배성성적적힐힐심심을을가가져져다다주주는는마마업업의의슴슴관관

톨톨짧짧웰웰ll

’’~~tt학학JJllmm학학마마덤덤고고멸멸고고mmmm비비교교비비과과교교포포과과인인포포트트인인트트330011pp00ttpp및및tt우우맘맘민민엠엠학학멍멍깨깨||한한빼빼깨깨ll

.‘‘.eeIIrr..JJuu))..GGttOO!!IIIIll잉잉~~''의의IInn''11tt::αα''ff’’22PP002222ff33PP..JJ00i11i..l..l33009988JJII;;IIll11tt--면면00..22..。。00‘‘88JJ잉잉00IIIIll00ffll11ll11PP00llUU잇잇UUnnPP11tt며~~며깅깅이이OO메메.!!.II''II.--...mm빼빼릎릎mm피피잉잉gggg이이잉잉~~iiRRiillll..며며PP돋돋oo..~~llQQIImmttll’’mm

문문의의||교교무무학학읍읍멘멘터터0022--776600--55881166//44445566

02 참여자 인터뷰

담당자 | 박O경 (교수학습센터 교육연구교수), 권O경 (교수학습센터 주임)

Q. '한성 점프업'에 대해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점프업 프로그램은 학사경고자 및 학사경고근접자 학생들에게 시간관리 등 다양한 학습법을 안내하여 새롭게 시작하는 학기에 학습동기부여를 도모할 수 있게 기획된 프로그램입니다. 특히 학사경고자의 경우 학점해제(15학점 -> 18학점)를 할 수 있는 기회도 주어집니다.

1) 점프업 프로그램은 실시간 비대면 수업(시간괸리 및 학습동기 부여 등 다양한 주제를 선정)

2) 교내 학생지원부서들(학생장학팀, 스마트원격교육센터, 학생진로상담센터, 학생생활센터, 교수학습센터, 학생성공센터, 학생원스톱지원센터)의 주요 학생지원사항 수강(e-class)

3) 지도교수 면담

총 3가지를 모두 하셔야 학점해제가 완료됩니다!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좋았던 점은 학생들이 학점해제를 할 수 있다는 점과 새로운 학기를 맞이하여 학습동기부여가 될 때 보람을 느낍니다. 아쉬웠던 점은 아무래도 비대면으로 진행되다보니 학생들과 교감을 하는 것에 있어서 아쉬움이 있습니다. 하계방학 점프업과 달라진 점은 없으나, 2023학년도 상반기에 학사경고자와 학사경고근접자만을 위한 학습법 향상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6주, 대면으로 진행되고, 매주 1회 참여하는 것으로 기획하고 있는데요. 학사경고자 및 학사경고 근접자 학생들이 학습동기 및 학습방법을 습득하여 학점향상의 성취를 느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 외에도 앞서 말씀드린 신규 프로그램과 기존에 운영되어 온 학습능력향상 튜터링, 학습컨설팅을 추천드립니다. 학습능력향상튜터링은 튜터 학생과 1:1 튜터링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전공학습뿐만 아니라 학교생활코치까지 겸비한 프로그램입니다. 학습컨설팅은 전문 학습상담사님과 상담을 통해 학습계획을 체계적으로 세우고 함께 학습습관부터 바꿔나가는 프로그램입니다. 두 프로그램 모두 대면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월I꿇l:tl••

I뿔I

쩡휩탱한.=.=.

수엉내용에집증뭇.,고지꾸띤생킥을잉니다

슐직히수g톨짙이에히지못히고잊어요v

j

cr>

C::::::::I

를l뚫|

외국인 한국어 뽑내기 대회

01 프로그램 소개

외국인들이 한국어 실력을 마음껏 뽐낼 수 있는 자리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팀끼리 대결하는 외국인 말하기 대회. 한성대 외국인 유학생 및 해외 교류 대학 재학 외국인이 팀을 이루어 주어진 주제에 맞는 말하기 발표를 진행한다. 뿐만아니라 외국인과 한국인이 함께 소통하고 즐기는 교류의 장을 펼친다.

한성대학교 개교 50주년 기념

제10회 외국인 한국어 뽑내기 대회

|많繼擺鍵

x.f...싫끼중t흐i흥x.f...!

앙가잉엉시싱

엉기자찍힌에싱외이징학깅.외대묵핵인l찌12영-20명*상*용%리그g'01zttj{:t잉%성8'잉8쭈이에m잉삭@~~>>애<<를흩어료회톨구{링성자흰의유.'9쇼2π셰1욕;잉.일H기히.를.)기~댐딩용요둥기둥를~.!I잉톨앙a엉공킥엉잉m강빙상심l장@킥유이Il수‘싹스I.상싱상상~'01~Ol엉잉임상8~엔잉집.,수윈시....0g'예는잉~>k

~tU2022년10월’7'il1월)요전10시끼지톨빼이지tQ:ls:I!WWW.t'efQrrg.8C.kJβ얘영%ν....,에:!W.OOK.1J한성대학교국제교휴원언어교육선!터햄어과정

|

02 참여자 인터뷰

담당자 | 안O숙 (언어교육센터 특임교수)

Q. '외국인 한국어 뽐내기 대회'에 대해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외국인 한국어 뽐내기 대회는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전국 규모의 한국어 말하기 대회로 2012년에 시작하여 올해로 10회를 맞는 국내 유일의 팀 대항 말하기 대회입니다. 개인이 아닌 2인 이상이 팀을 이루어 경연을 하는데 콩트, 프레젠테이션, 연극, 토론, 춤, 노래 등 다양한 형식으로 발표를 할 수 있습니다. 그동안 참가자가 유학생, 근로자, 다문화 가족 등 다양했으며, 세계인이 모여 화합하는 축제의 성격으로 대회를 운영해 왔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3년 만에 열리게 되었으며, 특히 올해는 한성대 개교 50주년을 맞이하여 대회 참가 대상을 한성대 재학 중인 유학생 및 해외교류대학 학생으로 했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실력 향상과 한성대 구성원의 글로벌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어 대회를 운영했습니다. 또한, 해외 교류대학에서 온라인 영상으로 참여한 것도 이번 대회의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번 대회의 평가 기준은 한국어 실력에 중점을 두어 심사합니다. 구체적으로말하기 능력, 표현 능력, 내용 구성, 공감도 등을 세분하여 평가합니다. 예선에서 시나리오와 팀 소개를 통해 본선 진출 팀을 결정하고, 본선에서는 심사위원들이 각 팀을 심사 기준에 맞추어 채점합니다. 총 18개 팀 108명이 참가했으며, 본선에는 12개 팀 총 79명이 출전했습니다. 12개 팀 중에 종합 1위는 최우수상, 2위는 우수상, 3위는 장려상 순입니다.

참여학생 | 우리는 하나다 (레O안, 부이OO응, 도OO진, 응OO린, 당OO아, 응웬OO엔 - 최우수상 수상)

Q. '외국인 한국어 뽐내기 대회'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안녕하세요. 저희 '우리는 하나다'는 베트남 유학생으로 구성된 6명의 팀입니다. 팀원 중에 한 명은 고등학교 시절 한국 문화에 많은 관심이 생겼고 한국으로 유학을 왔습니다. 팀원들 모두가 공통적으로 한국 음악과 드라마를 접하면서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유학을 와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평소 학교에서 한국어 공부를 같이 하는 선생님과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선생님이 카카오톡을 통해 해당 대회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셨습니다. 그리고 한국어교육트랙 교수님이 해당 대회에 나가는 것을 추천하셔서 저희도 한 번 도전해보자는 마음으로 참여했습니다. 대회를 준비하면서 한국어 말하는 연습을 많이 할 수 있었고 많은 사람 앞에서 발표하는 능력도 쌓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대회 주제가 한국 문화인 만큼 한국의 다양한 문화를 알아보고 배울 수 있었습니다. 대회를 준비하기까지 시간이 많이 없었는데 팀원 중에 한 명의 아르바이트가 끝나고 모여서 새벽까지 연습하는 추억을 쌓을 수 있어 좋았습니다. 연습하는 동안 팀원끼리도 서로에 대해 알아가고 더욱 친해질 수 있는 시간인 동시에 한국 생활을 더 재밌게 보낼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대회를 준비하는 시간이 많지 않았다는 점과 노래, 춤과 같은 것도 생각했다면 더 재밌게 대회를 즐길 수 있었을 것 같다는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LBT 지식나눔 프로젝트

01 프로그램 소개

학생 개인이 갖고 있는 전공지식 및 다방면 재능을 우리 학교 재학생들에게 가르쳐주면서 교학상장(敎學相長)의 기회를 얻고, 장기적 관점에서 우리학교 재학생들의 유능함을 교내외 홍보하고자 함

02 참여자 인터뷰

담당자 | 박O경 교육연구교수 (교수학습센터 교육연구교수)

Q. 'LBT 지식나눔 프로젝트'에 대해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learning by teaching'의 약자로 학생들이 스스로 갖고 있는 지식들을 강의로 재구조화 하며, 다른 학생들을 가르치는 프로그램입니다. 학생강사와 수강하는 학생이 서로 상호작용을 하며, 교수능력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경험 및 지식을 배울 수 있습니다. 자신의 지식과 재능을 소재로 하여 적극적으로 강사의 입장에 서서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직접 강의를 만들어볼 수 있으며, 전문적인 학습컨설팅 분이 오셔서 발표 스킬이나 강의 재구조화에 대해 배울 수 있습니다.

학교 강의에서는 알아가기 힘든 부분이기 때문에, 이번 기회를 통해서 컨설팅을 받아 많은 참여자들이 만족하였습니다. 다만 코로나로 인하여 학생강사의 강의를 녹화방식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서로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어렵다는 점이 조금 아쉽습니다. 이번 학기 중에 시간관리를 주제로 진행한 학생이 있었습니다. 전문적인 지식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시간 관리를 하는 법 및 일정 관리 노트를 다루었는데요.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조언이기 때문에 인상 깊었던 것 같습니다.

가르친다는 건 어렵게 느낄 수 있지만, 의외로 쉬운 분야이기도 합니다. 내가 알고 있는 것을 타인에게 나누어주며, 색다른 경험을 해볼 수 있습니다. 물론 준비하는 과정이 부담스러울 수 있으나 그만큼 유익한 점들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가벼운 마음으로 적극적인 참여를 한다면 좋겠습니다.

학생강사 | 반O성 (기업경영트랙 재학생)

Q. 'LBT 지식나눔 프로젝트'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처음에는 비교과를 받을 수 있어 크게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또한 본인에게 다방면적으로 약간의 재능이 있다고 생각하여 ‘해볼 만 하겠다’라고 느끼게 되어 참여했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고등학생 때까지 음악을 전공하였으나 성인이 된 후에 취업에 뛰어들었습니다. 이후 한성대에 입학하게 되었는데, 오랜 시간동안 음악을 전공한 만큼 내가 가장 잘 알고 자신있는 분야라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러나 작곡 부분에 있어서는 다른 사람들과 똑같이 초보자에서 시작해 스스로 독학을 해왔습니다. 따라서 나의 경험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 같아 기획하였습니다. ‘작곡입문법’ 강의는 기초적인 음악 지식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작곡에 입문하여 공부하는 법까지 알려드리고자 하였습니다. 일종의 가이드 라인처럼 나름대로의 방향성을 마련하기 위해 강의를 하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발표 해본 경험이 많아 자신있는 분야라고 느껴왔으나, 전문적인 컨설턴트 분들에게 강의 피드백을 생생하게 받아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평상시에 몰랐던 단점들을 알아보고, 바로 고쳐볼 수 있었습니다. 더불어 강의를 준비하는 과정을 통해서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는 게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 강의를 위한 피피티 자료를 만들면서 쉽게 느껴졌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강의를 하였을 때, 교수학습센터 교수님과 컨설턴트 분들이 참석해 심사를 해주셨는데요. 생각했던 것보다 전문적인 분들이 계셔서 더욱 긴장이 되었습니다. 더군다나 첫 번째 학생강사 때부터 심사자 분들에게 지적 받는 모습을 보았는데, 마지막 순서로 강의하다보니 평소보다 떨렸던 것 같아 아쉬웠습니다. 단순히 학교 수업에서 발표를 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을 가르치기 위한 목적으로 자리에 서다 보니 수업 내용 고안부터 어렵게 다가왔습니다.

기타 연주나 클래식 감상법, 헬스 중량, 요리 등등 다양한 분야를 염두해두고 저도 다음 학기에 재참여를 해볼 예정입니다. 앞으로 운영될 LBT 프로그램에서 뵐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곡끓부엽뭘묘

낼k빼삐F

';;'3

학생강사 | 고O정 (역사문화콘텐츠트랙 재학생)

Q. 'LBT 지식나눔 프로젝트'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저는 대학생활이 끝나기 전에 여러 프로그램에 참여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고, 'Learning By Teaching'이라는 프로그램에 흥미를 느껴 신청했습니다. 제 경험을 토대로 대학생들에게 필요할만한 정보를 주면서도 PT경험을 쌓을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여겼습니다.

저의 <효과적인 일처리를 위한 시간관리법> 강의는 대학생이 되면서 스스로 정해진 기간에 여러 할 일을 마쳐야 할 때, 시간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만든 강의입니다. 계획은 어떤 식으로 세워야 하는지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소개하였고, 실천을 돕는 팁들과 시간관리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소개하는 내용이었습니다.

LBT지식나눔 프로젝트를 하는 과정에서 전문가 컨설팅을 받았는데, 내 발화 태도와 발성 등을 처음으로 누군가에게 피드백을 받았었고 발표하는 모습을 촬영한 후 스스로 보면서 교수자의 태도를 배울 수 있어 좋았습니다. 나도 누군가에게 강의를 하면서 배우기도 한다는 점에서 'Learning By Teaching' 지식나눔 프로젝트의 의미를 직접 느낄 수 있었습니다.

꼭 거창한 주제가 아니더라도 LBT강의를 통해 나의 경험과 지식을 나눌 수 있는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강의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강의안을 만들고, 강의 내용을 준비하고, 피드백을 받는 등 PT연습도 할 수 있습니다. 많은 학생들이 참여해서 의미있는 경험을 하나 더 쌓아갔으면 좋겠습니다!

HS-TED

01 프로그램 소개

HS-TED는 한성인들이 자신의 성공경험을 TED처럼 멋지게 발표하는 영상을 촬영하고 공유하고자 기획된 프로그램.

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대학 경험을 바탕으로 학생의 성공 경험을 콘텐츠(글로벌)로 제작하고 이를 공유하여 교내 구성원에게 동기부여 기회를 제공하고, 교외로는 우리 대학 학생들의 우수성을 알린다

2022-1학시

HS-TED

학생강사 모집안내

해태.한S대핵교재혁앙r효찍엉릎흩업g낀생!il01!il;1)

〕절를멸하는효:~S증부n엘다g를트후어l써|이를찍성하여자기관리시스틸어S-portol>Ol신절

L'l.'J(~ιQ~OJ~

2022.06.21.{회)‘202207.10.(월)J;c접까지

1)윌고작성l4'::ι←..:oil-:_l'OJ~.J,K':.[::]

2)스코릴튿및PT컨슬팅f..:~_C·t’Q::i:I--lC22CB031ζ)1)133)HS-TE:l휠영..dl....:.r.......jξa~il!';':I~i!U'~은'븐j암호딘2022.07.13.(스)잉격자재덜영락0:1징

i뿔.1)프앤1젠B'OI컨킹슬팅J:I월(2J국어달표려설팅프힐)2)좌생링A<발프J:I뼈}I정확글수여

2lil여3Ca’영토?il)2α~

3)비교과포면트5OP-지三

02 참여자 인터뷰

담당자 | 박O경 교육연구교수 (교수학습센터 교육연구교수)

Q. ‘HS-TED’에 대해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프로그램을 만들게 된 취지는 한성인들이 자신의 성공경험을 TED처럼 멋지게 발표하는 영상을 촬영하고 공유하고자 기획하였습니다. 학생들이 교과활동 또는 비교과활동을 통해 성공하거나 실패, 도전하였던 경험들을 공유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참가하기만 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듣던 학생들도 학우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같이 도전할 수 있는 용기를 얻게되는 기회를 만들고자 기획하였습니다.

원래는 HS-TED만 운영하였으나 개교 50주년을 맞아 TED와 도전이야기에 참여하였던 학생들 중 몇 명을 선발하여 나의 이야기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습니다. 진행방식은 학생강사들이 신청을 하면 1차적으로 작성해 온 원고에 대해 수정을 하고 번역가에게 검수를 맡기어 원고의 퀄리티를 높입니다. 2차적으로 발표 스피치 연습을 진행하는데 영어 같은 경우 외국에서 살다오신 아나운서 분이 진행하시고 일본어 같은 경우에도 일본 유학을 하신 일본어 선생님을 초빙하여 스피치 컨설팅을 진행합니다. 그 후 전문 촬영업체의 촬영을 통해 콘텐츠 제작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집니다.

참여학생 | 김O잎 (제품,서비스디자인트랙 재학생)

Q. 'HS-TED'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HS-TED 를 주관하시는 교수님의 추천을 받아 교수학습센터 유투브 채널을 알게되었고 영상을 시청한 후 직접 참여해보아도 좋은 프로그램일 것 같아 참여를 하였습니다. 전공인 제품 서비스 디자인 트랙에 맞는 창업과 관련된 내용을 발표하였고 전공을 하면서 배우게 된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었는지 , 공모전에 나가 창업의 하게 된 과정, 그 부분에 있어 학교 도움을 받은 점 등이 있습니다. 그 예시로 3D 프린터 같은경우 상상파크에 배치되어 있고 기술을 다루고 이용하는능력은 학교 트랙제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일본어로 발표를 하여야하다보니 일본인 전문 선생님께서 발음을 교정해주셨는데 그 부분을 도움을 많이 받았던 것 같습니다. 일본어를 발음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제 2외국어로 말할 수 있는 정도였기에 TED와 같이 공시적인 자리에서 말하는 일본어 표 현을 어떻게 구사하여야 하는지를 도와주셨습니다. 이 점은 일본어 학원에 가서도 배울 수 없는 점이라고 생각하기에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김플잎 학생 강연 바로가기!

고이정 학생 강연 바로가기!

참여학생 | 고O정 학생 (역사문화콘텐츠 트랙 재학생)

Q. 'HS-TED'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스마트자기관리시스템에서 프로그램을 봤습니다. 처음엔 외국어에 자신이 없었고, 발표뿐만 아니라 촬영까지 한다는 것에 부담감을 느꼈습니다. 프로그램 내 에서 발음 교정이나 발표 피드백을 주신다는 것을 알고 이번 기회에 부담감을 안고 있던 마음을 자신감으로 바꿔보고자 HS-TED에 참여하였습니다. 2학년 때 직접 독서토론 소모임을 만들어 2년간 활동한 이야기를 주제로 여러 방법의 독서를 통해 교양지식을 높이면서 대학생활을 알차게 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에서 소개를 하였으니 시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영어로 발표를 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을 피드백받은 것이 좋았고, 단순한 발표뿐만 아니라 카메라 앞에서 어떤 어투가 어떤 분위기로 나오는지 섬세하게 짚어주신 것들이 도움이 많이되었습니다. 이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성공적으로 HS-TED를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프로그램 운영에 만족하며 외국어로 내 이야기를 발표한다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이지만, 학교에서 여러 방면으로 지원을 해주기 때문에 참여를 망설이는 학생이 있다면 일단 도전해보고 시작하는 것이 좋은 경험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집단상담 프로그램

01 프로그램 소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사회적 이슈와 직전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에서 수집된 학생들의 선호 주제로 진행된다. 우울감, 불안감과 같은 심리적 어려움 조절을 위한 집단, 대인관계 관련 집단, 발표불안 집단, 진로 구체화 집단 등 다양한 주제로 운영되고 있다. 집단리더(상담사)와 10명 내외의 집단원(참여학생)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주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며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의 문제를 다른 시각으로 볼 수 있게되며 사회 구성원들에게 비춰지는 본인의 모습에 대해 새롭게 깨닫고 새로운 행동이나 대화법을 시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집단상담 프로그램¶

대상전체재학생¶

신청 8/29(월) - 9/4( 일) (스마트 자기관리시스템에서 신청 및 선발)¶

활동보상 65point(전과정 완료시)¶

내용 집단리더(상담사)와 집단원(참여학생)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

... 한주제에 대한이해 및 역량향상¶

。를Ct체j¶

편 일정 집단영¶

문의 학생생활상담센터 02-760-5813¶

신청8/29(월)-9/4(일)(스마트자기관리시스템에서신청및선발)

활동보상65point(전과정완료시)

내용집단리더(상담사)와집단원(잠여학생)들이상호작용을통해다양

에*한주제에대한이해및역량향상

。E를l;헤C〉

구일정집단영

화10시I매9주/13화.(요93/2일시0간.1*904/2:회07)0.-1103/:400”아이(I)들의세상”10명I(비zo대om면)

화14시I매9주/13화.(요93/시2일0간.1*944/:2회07)0.-1107/:400”새로운나를만나GO!10명I廳)

목10시I매9주/15목.(요93/시일22간.1*904/2:회09)0.-1103/:600…이~。HH복~~한E는일<'~if~루매이5를τ며를m샤。이찾씨아나빅…를를10명많쁨)

목14시I매추목(요3시일간1*44:회0)0-17:00”괜찮지않아도괜찮아”10~1빼,l:Ile빼

9/15.9/22.9/29.10/6

금100시Aj-jI때I에|주16그,(요93시/일23간,1*9t4/o3회o0-),11301O7OUl”||한P성인생(E。한위번한뿐인U성P)공적이'-'II11,v0b~(비zo대om면)

‘-

뿔학생생활상담센터02-760-5813)**’-’‘

02 참여자 인터뷰

담당자 | 김O신 (학생생활상담센터 연구원)

Q.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해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우리 학교에서 진행하는 집단상담은 1명의 집단리더(전문상담사)와 10명 내외의 집단원(참여학생)이 모여서 특정 주제에 대해 함께 이야기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자신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관련된 심리적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집단상담은 학기중에 다섯 집단, 방학중에 세 집단씩 운영되고, 집단상담의 주제는 사회적 이슈와 직전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에서 수집된 학생들의 선호 주제를 반영하여 결정됩니다 우울감, 불안감과 같은 심리적 어려움 조절을 위한 집단, 대인관계 관련 집단, 발표불안 집단, 진로 구체화 집단 등 다양한 주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자발적인 신청을 통해 참여 모집을 하고 있어서, 참여학생들이 학과나 학년에서 특정 분포를 띄고 있지는 않습니다. 진행되는 주제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집단상담에서는 나의 이야기를 집단리더(전문상담사)와 다른 집단원(참여학생)과 함께 나누게 됩니다. 집단상담에서는 참여자 자신이 공감받는 경험과 타인을 수용해보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고민에 대해 여러사람들과 공감하고 공감받으며 해결해나가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집단상담에서 나눈 이야기는 비밀유지 서약을 통해 비밀보장을 하지만 여러 사람들과 나의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부담스러운 분들께는 집단상담 보다는 개인상담을 더 권해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집단상담은 4주간 총 12시간 진행되는 비교적 장기프로그램으로 9시간 이상 참여해야 프로그램 이수 및 비교과 포인트 지급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4주간 고정적으로 시간을 내서 성실하게 참여할 수 있는 학생들에게 참여를 추천합니다. 집단상담은 상호작용이 중요한 프로그램으로 대면 운영을 기본으로 하였지만, 코로나 이후 2022학년도까지는 비대면 실시간으로 운영하였습니다. 2023학년도부터는 프로그램의 취지와 학생들의 편의를 고려하여 학기중에는 대면, 방학중에는 비대면 운영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은 [참여모집-집단원 선발-집단상담(3시간* 4주) 진행-사후검사 및 만족도 검사]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학생들은 집단상담에 참여하며 수용적이고 지지적인 환경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나누고 공감받는 경험을 통해 큰 위안을 얻었다고 하였으며, 자신의 고민을 바라보는 시야가 넓어지고 관련한 심리적 어려움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을 길러서 정서조절에 도움을 받았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또한 실제 어려움을 경험하는 부분에 대한 해결책을 얻기도 하고 어려움을 극복하는 연습의 기회 등을 통해 보다 자신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마주하는 태도를 가지게 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참여학생 | 김O지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재학생)

Q.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평소 교내 학생상담센터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개인 상담도 몇 번 받은 적이 있는데요. 상담을 받다보면 제가 겪은 일이 유난히 특별해 힘들다고 토로하는 순간도 있었는데 그럴 때마다 상담 선생님께서 제가 겪은 일이 저‘만’ 겪은 일은 아니라는 말씀을 종종 해주셨어요. 저와 비슷한 경험을 한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상담 선생님으로부터 전해듣기만 해서 직접 만나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던 차에 제가 관심있는 주제로 집단 상담이 열린다는 공고를 보게되어 참여를 결심하게 됐어요. 상담에서 나눈 이야기는 모두 비밀로 하기로 약속해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는 어려워 간단하게만 말씀드리면, 저와 비슷한 경험을 하신 분이 많아 놀랐고 인상적이었어요. 제 인생을 가장 힘들게 하는 건 갑작스러운 이별이었는데, 비슷한 아픔을 경험하신 분들이 많으셨고 각자 그런 상황을 경험했을 때 극복하는 방법을 이야기 나눈 게 좋았어요.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시간이었으며 향후 유사한 프로그램이 개설되면 참여할 의사가 있습니다.

참여학생 | 김O형 (ICT디자인학부 재학생)

Q.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 비교과 포인트를 모으기 위해 스마트 자기 관리 시스템에서 본인이 할 수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찾다가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프로그램에서 좋았던 부분은 명상 수업입니다. 진지하게 이 수업을 참여하고 명상을 하였고 실제로 효과를 볼 수 있어서 좋았고, 왜 많은 이들이 명상을 하는지를 알 수 있어서 기억에 남았습니다. 전반적으로 좋았습니다. 만약 이 프로그램이 대면으로 진행이 된다면 더욱더 좋은 효과를 볼 거라고 생각하고, 유사한 프로그램이 있으면 참여하겠습니다.

힐링데이

01 프로그램 소개

매월 일정 주제를 다양한 매체로 접근하는 힐링데이 프로그램 운영. 힐링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심리적, 정서적 안정을 도모. 학생들이 학생상담센터에 대해 익숙하고 친숙해지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고민하면 뭐하니? "시즌 2"

일상 토크쇼 놀러오세요!

2022년 12월 힐링데이

토크콘서트 개최

앨셔:2022년6행24옐a¥3시....5시

장쇼:온라언쟁쑥α。om랭크션용)

싱셔잔온과인요효션행챔내다!

헬명표르*놓려so셰요!2022년12월힐링데이(냥...흘려요랴용..J훌i:.=킨코서트개초|

02 참여자 인터뷰

담당자 | 최O정 (학생생활상담센터 팀원)

Q. ‘힐링데이’에 대해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힐링데이 프로그램은 재학생 여러분들이 편안하고 흥미롭게 참여하실 수 있는 심리 특강입니다. 다양한 주제(자존감, 시간관리, 가스라이팅 등)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특강, 다양한 매체 활용(ex.미술) 다채롭게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힐링데이는 1학년부터 4학년까지 고르게 참여합니다. 심리에 관심이 조금이라도 있으신 분들, 재미있는 프로그램을 좋아하시는 분들은 모두 환영합니다. 학생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며 일반적인 특강과는 다른 친숙한 형태 (팟캐스트, 보이는 라디오 형식)로 진행하여 학생들이 부담없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참여학생 | 김O영 (문학문화콘텐츠트랙 재학생)

Q. '힐링데이' 참여 후기를 들려주세요.

A.상담센터에서 올린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힐링데이를 보게 되었습니다. 지난 여름 참여했던 경험이 있는데 그때 재미있고 다들 비슷한 생각과 고민을 하는 것이 신기했던 경험이 있어 이번에도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힐링데이 테마는 크리스마스 특집으로 꾸며진 분위기에서 온/오프라인으로 동시에 진행되는 토크쇼로 진행되었습니다. 성우분께서 사연을 읽어주시면 나머지 두분의 상담 선생님께서 함께 고민을 나누고 조언해주는 식의 토크콘서트였습니다. 토크 콘서트명칭에 적절하게 사연마다 노래도 배정되어 더욱 몰입하기 좋았던 것 같습니다.

이번 토크쇼 사연 중 반려동물에 대한 사연이 있었는데 같은 반려인으로서 사연을 듣던 중 눈물을 흘릴 뻔 했습니다. 반려동물과의 이별은 누구에게나 무겁고 속상한 일이라 더욱 공감할 수 있었으며 언젠간 제 곁을 먼저 떠날 반려동물과의 순간을 잘 정리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힐링데이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 중 5점입니다. 너무나도 좋았고 누군가의 고민을 함께 듣는 것이 좋았습니다. 다음 회차에도 참여할 생각이 있습니다.

2. 대학혁신지원사업 사업실행부서별 대표 우수사례

교육혁신전략

연구·산학협력혁신전략

평생교육혁신전략

사업관리 및 운영

교수지원프로그램

01 창의적 문제해결 PBL·캡스톤디자인 수업 고도화

PBL 및 캡스톤디자인 수업모델 개선

‘... 셔g. m‘ 톨mJt“1I 억_.ii ;그'를C 다-잉tl4'I를._Jω '·:.l· I 그mI ·....…._~ .~...

”’ 기,.

PBL 및 캡스톤디자인 수업운영 체계 제안

“‘·니쉰 :댈찮찮E 흐

”‘... .‘.’.·u‘ .• •• 딸f 홉쉰표七 •• :n3.:-. 현“ -”‘”눴·i …” ‘ ”뽑‘-.-.-’‘,-, ,~ -,-”-n니〔핀- - 웠 回미 Q {ri• . •.-수‘‘.U• 서•ζ땀 · ‘: •. -': ••• 혈. U.i‘텐 ..t-.;i-. . ”?.료‘ 。。 갚 크-’。~。。已 臨-f규-。。。같,-릎 흐 샤. 。= • 먹 댐 ”i앙뺑 。。。1 贊뚫f! i~

기업연계형 캡스톤디자인 수업방법 안내 워크숍 진행

기업연계형 캡스톤디자인 수업모델 적용 우수 사례 공유 워크숍 진행

02 AI기반 교수지원 플랫폼 도입 및 수업설계 파일럿

교원의 미래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AI기반 교수지원 플랫폼 도입

.- ‘E 흩톰 r

끼~ 'II'l/'1l'U얘 ••이g

교수지원 사항의 양방향 지원체제 전환

교수지원 프로그램 안내, 신청의 통합 허브 구축

3 수업디자인 프로그램

교육학 전문가와 협업하여 수업을 디자인하며, 교수자의 수업 계획, 운영, 평가 역량 강화를 도모하는 프로그램 (총 4가지 유형으로 세분화)

수업에서의 퍼실리테이팅 전략을 구체적으로 시연함으로써 교수자의 수업운영 역량 강화 및 높은 프로그램 만족도 확보 (평균 5.0점)

I엉 게‘시디쩌 II엉 짧에i11 1 얘 R 인때인 II 안볍 I

뺑a'l@lf.o이.ll'.l .l-.¥.서/때 l연 +‘·.11::l.I n .n.i..f .앤,뺑 익.끼시 ‘ . g . q+_, 찌 1 .:잉l.f시U*.. 뼈’ .'l'‘얘ie 씨앤 tii에해얀 t W.그MR’m1lt.1l~.ll.1ll.ll . H.‘!i!t.. 앵1 ..에.”M.

헬훌 •.•?.•‘그 •. •. . . .i.a. ..이 ?쁨9 a'!4t'-l“ 2' I'll' l I서 g? I~Iee4ιt Il '!i U

학습지원프로그램

01 기초학습역량강화 프로그램(ALEKS)

기초학문수양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프로그램(ALEKS)을 활용하여 전공관련 기초내용을 학습할 기회를 제공

2022학년도 총 6개의 강의 운영

- 총 이수자 78명(1학기: 41명, 2학기: 37명)

- 전체 만족도 4.82점(1학기 기준)

멍 γ ↑

=멘븐 i 더펀:뚫

딛뜯뜯딘

과목별 사전-사후 평가 비교 결과(1학기 기준)

- 과목별 시험평가 ‘평균 2.01점’향상

- 핵심역량(글로벌 소통역량, 글로벌 시민의식) 향상

- 6대 학습역량(자기주도학습역량, 문제해결역량, 외국어학습역량) 향상

전공기초에 준비 및 이해 향상

02 HS-TED

다양한 경험을 통해 성취한 성공 경험을 한국어 또는 외국어로 발표하고 이를 콘텐츠로 제작하여 학내 구성원 및 지역사회로 전파하는 프로그램

2020학년도부터 2022학년도까지 매년 1회, 총 3회 운영

- 학생강사 총 18명, 수강자 596명(누적)

전문 아나운서 및 언어 전문가 초빙 1:1 스피킹 컨설팅 진행(영어, 일본어)

- 학생강사의 전문성 함양 및 콘텐츠 질 제고를 위한 노력

- 각 컨설팅은 첨단강의실에서 녹화로 진행, 컨설팅 후에도 학생강사의 개별 연습 지원

매년 학생강사 및 수강생의 증가

외국어 발화 능력 향상(2022학년도 소감문 발췌)

- 한번도 해보지 못했던 외국어 발표를 통한 자신감 상승

- ‘도전’ 및 ‘성취’경험

- 특별한 경험을 통해 자존감 상승

** ,. 7.

-뼈 42 , 3667정 정'i! 425_7.607 7정'i!~ 1

국제교류지원팀 운영 프로그램

01 글로벌 동행 프로젝트

외국인 유학생과 한국인 재학생이 팀을 이루어 활동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 국내외 문화탐방 프로그램

내외국인 학생간의 상호 사회·문화 이해 폭 확대 및 글로벌 역량강화

외국인 유학생 뿐만 아니라 한국인 재학생 역시 한국 도시에 대한 역사적·문화적 견문 확장

내외국인 간의 소통을 통해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

02 글로벌업 초청강연

세계 다양한 지역 및 문화를 테마로 해당 지역과 관련해 실질적인 경험을 가진 전문가를 초청하여 진행하는 글로벌 강연 프로그램

세계문화이해 증진 및 다양성 존중을 통한 글로벌 시민의식 향상

03 외국인 한국어 뽐내기 대회

외국인 유학생이 팀을 이루어 콩트, 프레젠테이션, 연극, 토론 등 다양한 형식으로 한국생활을 표현하는 한국어 경진대회

유학생 한국어 발표 능력 및 기초학습역량 향상

국가 및 지역의 언어·문화에 대한 상호이해 및 교류를 통한 글로벌 역량 강화

빼흉훨률뻐

04 유학생 학습능력향상 멘토링

유학생 직전학기 학사경고자 및 학사경고 근접그룹과 내국인 멘토와의 1:1 멘토링으로, 유학생의 학업 및 생활을 밀착 관리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특별 관리 프로그램

유학생 한국어 발표 능력 및 기초학습역량 향상

국가 및 지역의 언어·문화에 대한 상호이해 및 교류를 통한 글로벌 역량 강화

참가 유학생 전원 직전학기 대비 성적 향상

성적 저조 유학생 집중 관리를 통한 중도탈락 위기 관리

사회수요 맞춤형 역량기반 교양교육 혁신

01 창의융합역량 강화 교양교과목 개발·운영

창의융합역량 강화 교양교과목 공모전

단과대학 특성 맞춤형 SW·AI 교양 교과목 개발

창의융합역량 강화 교육과정 운영 고도화를 위한 연구 및 자문

창의융합역량 강화 신설 교과목 <메타버스와 인공지능>

- 창의융합역량 강화 교과목 공모전 선정

- 미래 주도 메타버스 산업 대응 인공지능(AI)과 가상현실 XR 프로그램 배우기

- 2023학년도 1학기 핵심교양의 융합교양 교과목 3학점으로 편성 운영 예정

창의융합역량 강화 콘텐츠 강화 교과목 <디자인씽킹>

- 창의융합역량 교양 대표 교과목 중 하나인 <디자인씽킹> 교과목 콘텐츠 강화

- 디자인씽킹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습득을 전제로, 현장 밀착형 프로젝트를 통해 디자인 씽킹을 체득하는 심화 교과

- 2023학년도 <디자인씽킹> 수업 운영 시 적용 예정

단과대학 특성 맞춤형 SW/AI 교양교과목 개발

- 「미래 융복합 혁신 인재 지원사업」, 「디지털 혁신 인재 양성 사업」등 AI 교육 관련 사업 활성화로 인한 맞춤형 AI교육 필요성

02 기초역량 및 기초학문 교양 교과목 개발·운영 고도화

기초역량 강화 교양교과목 공모전

교양교육 이수체계 개선 연구, 기초학문 분야 교양교과목 조사 연구

교양교육 설계 및 성과분석에 대한 외부자문

교양교육 성과공유 워크숍 개최

- 실제 수업 운영 방식과 성과 공유, 교양으로서 AI학습의 중요성과 접근 방식에 관한 토론

- 교수학습센터 협조로 융합교양수업에 관한 필요성과 구체적 수업 방법 공유

03 대표교수법(FL, PBL) 적용 교양교과목 운영 활성화

대표교수법 적용 교양교과목 공모전

대표 교양 교과목의 대표교수법 적용 활성화를 위한 TF 운영

대표교수법 적용 활성화에 대한 외부 자문

대표교수법(FL, PBL) 적용 교양교과목 운영 활성화

- 대표교수법 적용 신설 교과목 <퍼실리테이팅과 자기개발>

대표교수법 적용 교양교과목 <사고와 표현> 우수과제 공모전 시행

- <사고와 표현> 수강생 대상 분반 별 발표과제 우수 팀 선정하여 시상

교양 필수 과목의 대표교수법 적용 활성화를 위한 TF 팀 운영

- <사고와 표현>, <디자인 씽킹>, <문제해결을 위한 코딩 첫걸음> , <삶과 꿈>과목 TF 운영

HS프라임강의

01 HS프라임강의

교내 매체제작시설 활용 방안 수립

- 교내 스튜디오는 인문 강좌뿐 아니라 다각도 촬영을 요구하는 실기수업에 대한 촬영과 다채널 영상 지원, 가상스튜디오시스템(크로마키 기법)으로 개발

- 교내 시설 이용 시, 교원의 이동거리가 축소되어 시간 효율성 확보

양질의 교육콘텐츠 제공 확대 및 학생 만족도 제고

- 교내 스튜디오를 이용함으로써 절감한 비용을 우수 콘텐츠 양적 확대에 투입하여 원격수업 품질 강화를 통한 내실화 및 재학생 만족도 제고

수업 콘텐츠(교안 및 학습자료, 수업 영상) 개발, 교안개발비 지원

~nn

n’ ‘ •.•._“~.~ .U DD .U'.’

• .......,.

“.‘“....“..~- . 1.‘. .,양· ’H‘'”‘

대학혁신지원사업을 통한 환경개선공사,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그린캠퍼스 실현 기반 확립

01 상상베이스 조성

팀 학습활동 및 학습.진로.심리 상담 강화를 위한 종합 공간 조성 목적

장소: 상상관 지하2층 / 480m2(145평)

행정부서 의견 수렴 및 회의 진행을 통한 공간 구성

02 에너지절약 실천계획 수립 및 실행

LED 조명 교체 사업

- 지속적으로 형광등을 LED등으로 교체하여 2022년 현재 교내 조명의 LED등 달성률 98% 수립

꽁“’”갇q'.1’.1T.,' .,함1r.; a ‘!l굉l •!i! •‘ • E •.•..•I•.q.•. ''.1•1‘. .•1 . . .... . ”‘·

도시가스 사용량 절감

에너지절약 캠페인 시행

- 에너지 절감 캠페인 포스터 제작 및 배포

진로개발, 취업지원 우수 프로그램

01 진로취업멘토링

연 4회 운영, 직무 분야별 팀 멘토링(멘토1인:멘티5명 내외)으로 운영하며 팀당 2-4회 진행

세부 직무 탐색 기회를 통해 직무역량 개발 및 능동적 경력탐색

실무 탐색 중심으로 구성

- 도서관 현장 방문을 통한 사서 직무 체험

- 뷰티 업계 마케터와 실제 제품 브랜드 전략 수립하기

-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기획안 작성법 실무 멘토링

- 모바일 안드로이드 반응형 프로그래밍 직무 분야 체험

- 해외영업 지원자를 위한 시장조사, 전략 수립 멘토링

- 자산운용업 운용지원 인력으로 취업하기위한 실무 체험 멘토링

멘토링 참여학생의 공모전 입상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지속적인 네트워크 형상(학생-기업 현직자)

02 취업캠프

연 2회(학기) 토요일 1Day, 직무 체험 가능한 전문 업체가 위탁 운영

실질적 직무 체험을 통한 직무이해역량 강화 및 경력개발

채용동향 및 직무별 취업준비 방법 및 소그룹별 직무탐색 실습

••“ ’‘ 뭘톨톨~

r얘 @ 톨; 를훌랩딩 i ‘~

03 진로탐색학점제

‘개발, 연구, 창작'등 다양한 주제와 방법으로 자기주도적 프로젝트 설계 및 수행하고 그 평가를 학점으로 수여

정형화된 교육과정 외 전공분야 탐색을 통해 다양한 성장경로 구축

산학연계 융합형 HS 창업생태계 구축 및 운영

01 교과·비교과 연계 창업 프로그램을 통한 산학연계 융합형 HS 창업생태계 구축 및 운영

‘t:J.;.IlJ‘깅깅빽

g 잉'11 4 >1 ,,<:IJ OC: lt'!l!\!l '.i.fl. llf-O i

융합형 HS 창업아이템 시제품 제작 지원

- 융합형 창업아이템 상시 지원

- 아이디어 구체화 및 실현성 검토

한성 CEO 발굴 멘토링 운영

- 창업이론 및 기본지식 교육

- 분야별 전문가 멘토링 지원

기술·디자인 특화 분야 창업동아리 지원

- 학생 창업 공간 지원

- 창업전문가 상시 멘토링

지식재산 교육 강화

- 지식재산권 출원 연계

- 지식재산 인식확산 특강

시제품 결과물 도출 및 창업화 사례

- 2022 창업아이디어 경진대회를 통해 융합형 창업 아이템 활용 및 유망 창업팀 발굴 / 시제품 지원 및 창업교과목을 통해 대상팀(구하다) 발굴

--… ”--- -l--l -m- ----

” ”··… ”--- -‘ ”--- ---

<시제품 활용 창업아이디어 경진대회>

<시제품 제작 - 안내서비스 로봇>

맞춤형 유연학사제도운영

01 내가그린학기

학생들에게 다양한 도전과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여 자기주도적 진로설계를 지원하고자 도입

전공 및 교양 교육과정이 아닌 원하는 주제와 방법의 교육과정으로 나만의 학기 설계 가능

2022학년도 4개 과정 총 308명 참여

i l21iJ mn -를t!i i· 1Q 1 iJ if1 i[·1 톨톨 m 톨'UJ Lm·) i?J삐-

•••히이 신 ..억 정엉잉 a 잉 ••에 tQ’ a 잉! --,l앤 m g s*l 꺼i!4, ! 끼.!”!’’“·” ::염 gg· 빨협월. .

02 상상더학기

2학기 교과과정을 여름방학과 2학기로 나누어 수강하는 학기

2학기 이수 학점(18학점 이내) 중 최대 9학점까지 집중이수 가능

22학년도 4과목 운영, 학생 107명 참여

22학년도 전공교육과정 프리(pre) 인턴십 교과목 운영

”~’.aQ 임앙...암잉, 3. 섭.3 강SS얻 μ ..:엉,.:.잊…”- 잉--‘ ~-wf’t'.' W·...... .’... . .A였=- W 'i‘C-’ ~…ls‘ .m m < m,.

Rg ‘ ’‘세. 잉응 %3 잉 엉잉:::앙:: ’” ’~‘.,~ 끼 렐?양암앙앙 암앙협잉. ... 1

03 집중이수제

학기별 정규 15주 수업이 아닌 8주 집중 이수 형태로 편성하여 수업 운영

2018학년도 도입 및 교양 교과목 위주 진행, 2019학년도 전공 및 미래플러스 대학으로 확대

2020학년도 제도 정비_운영 교과목 유형 및 세부 운영 내용 정비

2022학년도 75과목 운영, 학생 1,441명 참여

뼈•·-~~“'….. . ‘.‘.‘~.·..-.-ag u >- M .‘‘,,’,-.-~, ,~.’_”~.._--.ι -‘>↑. . .’_‘g‘애“. - ..- ’.. “I''...‘“‘...’_... . '.l.'.. ‘..~'....1' I.1I. .- . M . ‘.~• ..I:.••.끼’.U..•:. ‘.꺼.-.I•a.. ”I . . •잉2. .0•. . 1 • E’ne - -' •g._ • • -‘…~,, r- . ~~ ...:….잉‘ ‘” m “ ‘ ”.@•…@• . …”””.‘‘’~ .. ., uι-’1‘ ‘

04 맞춤형 유연학사제도 홍보

홍보영상, 홍보책자 (e-Book) 제작 및 배포

‘:;*-’;:: ‘‘‘: ‘ ”‘”μ

HS마음건강 지원체계 고도화

01 집단상담

2022학년도 집단상담 운영현황: 총 4회(16개 프로그램) 운영

20220222.·011. ‘R이.0I' “!.'t ! ‘!'.l三1 ’.니 i..'…e1. ' 여1•.. 0 •‘ 1“'1' 1• 4• ’ .0 •l 0• 이 .<1 으’e.。•/l.. “•·1•' ‘'••1.'“”I '드..,0',' ·0‘,•i !.!•'.el O

2022-2 ne’‘•IC‘•1”1W. e9’ <1 니l- 0. 1 .' l.' “-‘.’ 이 l•.I“iI'i•“'l이 1• i“!‘• M'. '-. l .~ ' 1 ­

202 2-l1 ~ ’!t OIl' 여이 II 'll ,’ .III~. II•• '

참여인원: 104명(1,192건), 만족도 4.72/5.0

사전/사후검사: 역량 11.0%증가, 부정적 정서 48.9% 감소

- 자기관리능력(45점 만점) 4.45점, 대인관계능력(65점만점) 4.67점 증가

- 우울감(63점 만점) 7.19점, 불안감(63점 만점)6.85점 감소

스마트자기관리시스템 활용을 통한 프로그램의 효율적 관리

코로나 이후 대면 활동 확대에 따라 요구되는 문제해결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의 향상

진로결정, 대인관계 능력, 등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

02 힐링데이

다양한 주제와 형태를 접목한 심리특강을 통해 심리적 역량과 문제해결 능력 향상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는 주제의 특강으로 마음건강에 대한 관심 고취 및 센터 진입장벽 완화

- 단회차 온라인 특강 : 다수 인원(평균 약 500명) 참여 가능

- 온라인 및 대면 동시 운영: 운영 주제의 특성을 고려한 대면과 온라인 송출 동시 운영

- 다양한 심리 관련 주제 선정: 학생 요구조사(개별 프로그램, 전체 대상 조사) 기초한 주제 선정

참여인원: 3,151명(11.30. 기준), 만족도 4.48/5.0

- 2021년 참여인원(2,516명) 대비 약 1.25배 향상

사전/사후검사: 스트레스 24%, 부정적 감정 21.4% 감소

- 스트레스(7점 만점) 0.86점, 부정적 감정(35점) 2.93점 감소

HSP 운영지원체계 구축, 비교과교육과정 운영

01 HSP (High Success Project)

2019년부터 학생들의 문제해결역량 강화 및 팀프로젝트 경험 확대를 위해 운영된 비교과 프로그램

띔뭘댈훌훌설

llllL- l 예잉l셔 ι에 g. 잉 .g 진앵톨 셔내언‘‘£ g세잉\ l 떼 -----’.IlII ' 현§-,깅 ....-잉..·-‘경.~. O. .· , 얻, 품。. ‘.1 . 회.A~ 'I ,I'I.III.핵. 영구‘개“느 rl~ 느 _품엉 ~과.,엉_엉 ~ ”I -지R 흩성갱싱꾀킥피 .'I. R. 1 J 1M톨뀔iJM!J!lJ ..................• “-“‘. ................•........................... --박훌월-- i i_. A.&.A혹 ; : 톨률률률-톨톨혹 I훌 률녁톨톨톨톨= ‘,.-‘•• - ‘ ι-: ’-..... ...ι I !W~ ••••••••••••

학생이 팀을 이루어 공통 관심 영역과 관련한 문제를 발굴하고, 창의적 해결방안을 도출하여 유·무형의 결과물을 창출해내는 모든 프로젝트 활동의 전 과정을 지원함

활동유형 : 전공연계형, 산업연계형, 자율주제형 중 선택 가능

활동기간 : 1단계(3개월), 2단계(6개월), 3단계(12개월) 중 선택 가능

멘토 : 교내 교원 1인 이상 필수 매칭(외부전문가 연계 필요시 학생성공센터에서 추가 지원)

프로젝트 추진 관련 활동비 실비 지급

실제 삶과 통합되는 팀 프로젝트 경험 지원

- 배움과 학습경험 + 프로젝트 실행경험⇒ 실제 삶으로 확장해결역량 강화 및 팀프로젝트 경험 확대를 위해 운영된 비교과 프로그램

전공 간 경계를 뛰어넘는 융합형 프로젝트 경험

02 비교과서포터즈 운영

비교과서포터즈를 통한 학습자 중심 홍보방안 마련

인스타그램, 카카오채널, 유튜브 등 SNS 활용 활성화

- 비교과 서포터즈 활동을 통한 홍보 자료 개발 (주 5개)

비교과 홍보 부스 운영

- 운영기간(5일) 동안 1047명 부스 방문 및 활동 참여

SNS중 심용보획대

비쿄과용보부스훈영

離뚫톨햄

빼繼}

03 도전과 성공 가이드북

비교과 로드맵 공모전 개최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량개발 목표 설정에 따른

비교과프로그램 이수 로드맵을 구성해보는 공모전 개최

도전과 성공 가이드북 제작 및 배포

비교과로드맵 우수작 중심으로

- 「도전과 성공 가이드북」 개발 및 홈페이지, 스마트자기관리시스템 내 게시, 카카오채널 통한 배포

- 선후배의 비교과로드맵 우수사례 공유와 모델링을 통해 성공적인 대학생활 지원

비공교모과전로개드최업 ~: 비우교수과작로시드상업 ’|도전과 우비성수교공사과가례로이중드드업심북 개발 비공성교유공과사도확례전산 과

데이터 기반 교육 성과관리

01 학습자 빅데이터 구축 및 AI 기반 교육성과관리 모델 개발

추진결과

, HS 예이터예어히우스구‘ (2019.10 ~202 0.0 2) • 추뼈뼈…n{!선“”이H S 이 진 예 터이 에경터어예뻐l 떼뼈과찌이 우 히쐐·-뻐t→뺑스」-f얘 서스 비 2스 쳐…1-;m-째3재 ’ 구 공M-뺑힘뼈;과…측 ( 2기 0능2 0추- 언가페뼈-縣페애--) ( 2 020) 톨교AI관육 기리용성반 과 - .학AI교 습기직지반원빅교대데육상이성서터과비구관스축리회 앙연안 모색 트랙(학과)별 정보서비스화연 추가구축

- 재학생 데이터 추가 탑재

- 트랙(학과)별 재학생 정보 제공

.개용개앙선정선보방2엉A 0 항스2위엠모2잊설 색 정/ 구회성제{영인공)초개정I I안I보 개및발 트’랙죠 시의주g 견임 악교수톨끽수협 대상 서개비스알회논연의(중인) 쩍懶… 1111“「1 j

• 기폰서비스예이 터·를석 • 기톨.lI'1!잊드액’회연 • 영 g 죠시잊 FQ 잉시 {진엠중} 스.D t, 51.: PI원 리 'I 스엠 • 연구징업의 I 용rYN • 연구진딩의 개‘업셰잉의 뺑

제공 주요 정보 (안)

.•.•.성. a .’앵+.’t.(ll.H.l’a..(-Si•. !‘ ‘-.‘!2• ..C인t.f경1!E ‘.i tS.l) !‘i A . ’’ ) ” 잉 •’• • ’잉..•!.써”g,~I에3'r;t t':• ~인l”뼈.l’.•'~이l‘‘.억이’‘기 .i ‘I t. g. 1l a‘’zfO I lW'.&Vt. '얀‘ 1<

화면 구성(안)

- 권한 관리 기능

- 엑셀 업로드 및 다운로드 기능

- 화면출력 및 저장

l‘l

「1~“-빼~‘- i ~짧~I 면輔구낭구- 훨:r.:후I ..↑~ 섭' 함E를-듣 「 ‘、• jl’ ’ l ”%깐”원‘‘ , |장|묘 0'· IIIm .il ~' ;, 퍼 J“””” 덩 L ←- 빼때밸 i :ζ* 」A ; !훌 l-: 디

재학생 단위 빅데이터 구축 및 분석·제공을 통해 수요자 맞춤형 정보 제공

- 재학생 단위 데이터 일원화를 통한 데이터 신뢰도 제고

- 트랙(학과)별 교육 품질 관리를 통한 교육의 질 제고

- 트랙(학과) 운영 성과 종합 분석을 통한 교육 운영 개선(안) 자료로 활용

빅데이터 AI 기반 교육성과관리를 통해 의사결정 효율성 제고

기업 현장문제 해결을 위한 산학공동연구 프로젝트 운영

01 기업 현장문제 해결을 위한 산학공동연구 프로젝트 운영

산학공동연구 프로젝트

- 가족회사가 필요로 하는 애로 기술 개발

- 신제품·서비스 기획 · 개발 등의 다양한 문제를 정의

- 기업-교수-학생(학부생,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연구팀

- 집중적인 문제해결을 수행하여 기업이 원하는 결과물을 도출

- 현장문제 해결형 산학공동연구 프로젝트 운영 체계 구축 및 시범 사례 발굴

산학교육지원팀 진로쥐업지원팀 ·산학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진로쥐업탐A 뿌 엠제 운영 ·운산영학 교육 시설 기자재관 리 학생성공센터 산학입력단 ·비교과프로그램운영 및지원 .-t..~앤 구프로젝트 자원 ·특화연구그름지원저에구죽 쿄수-학생

운영절차

<산학공동연구 프로젝트 운영 체계 개요>

02 운영성과

공학분야 산학공동연구 프로젝트: Hot Plate 투입/제거 시간을 줄이기 위한 장치 개발

IT분야 산학공동연구 프로젝트: 사물인터넷 국제표준화단체(oneM2M) 연계 글로벌 캡스톤디자인

디자인분야 산학공동연구 프로젝트: 메타버스 아트 소셜 플랫폼을 활용한 Co-creation 모델 제시

<공과분야>

I’‘T분” ’ 0‘ ·1>톨 m ‘ ·톨 .’-._.- ..._._ - _ g..‘‘ _,& ,_ - t -d ,...,- .. ‘<--.--. ..=:=.aW.-:.등 - --1-- -=-I -.‘:-----==-.- =, =-_.-.==..- .--.-.=‘ =-’ --‘ - ---를- 밭

프=:==_. ·1를 는:E--':=츠­ loT~ JlH. 2e0 J2!2 에.8우 3 영 수l ...gι。 .잉 n.‘e는 .M1.의M.2ι미 M~ l !에 진I-2]b잊 0!1:-를 2지~n2t퍼혹. ~. 92c잉적t-의og1 인o를2영앙p의 eW 영 r잊§을3 에bl진g: 잉 대 r 에、 쭈찌효 쭈 '1쭈를0기 인제 o에회 Om의2f .잉0 잉2 톨•g2에 을.•9 gg-! 1t윈 힌2t깅l 업 의‘ 진경신’교’ 믿 %

현장실습교육고도화

01 현장실습교육 고도화

현장실습 온라인 지원시스템 개선

- 현장실습 온라인 지원시스템 개선 및 고도화

- 교육부 규정개정 [시행 2021.7.6] [교육부고시 제2021-19호, 2021.7.6. 전부개정]

- 표준현장실습학기제 양식 및 시스템을 필요에 맞게 시스템을 재구축

- 2022학년도 종료 후 만족도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 개선 계획

현장실습 기업 발굴 및 성과 공유 환류

- 현장실습 우수기업 발굴 및 공모전 시행을 통한 우수사례 확산

- 교육부 규정개정으로 인해 표준현장실습학기제에 맞는 기업 발굴 요구, 산학협력중점교원 및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보다 다양한 기업 발굴 노력

- 현장실습 프로그램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수기 공모전을 진행하여 우수 사례는 온라인시스템에 게시하여 우수사례 확산 노력

표준현장실습학기제 참여기업 실적 비교

- 현장실습 우수기업 발굴

- 교육부 규정개정으로 인해 표준현장실습학기제 기업 발굴 모집이 중요해졌으며, 보다 많은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작년보다 다양하고 우수 중견기업들을 발굴하여 작년 대비 참여기업 16%, 참여학생 29.6% 상승 성과

표준현장실습학기제 참여기업 실적 비교

- 현장실습 공모전 시행을 통한 우수사례 확산

- 매년 현장실습 참여했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기공모전을 진행

- 현장실습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성과를 공유하여 우수사례 확산

- 작년 대비 공모전 참여 인원 100%이상 상승(‘23년 1월 시상 예정)

온라인 운영시스템 개선

C=[:c:I~a:z=1ICI ·’F*._•-... ..‘--‘…’.‘‘ * .“.‘. . . . …. ··-...-. ,‘-.‘._-..-.-. .-‘“. ‘ .1l ..~.Wl‘l”l =… .~ ..1 .l~. 이III이'l l < :‘”

-:_‘·-E 톨-:를 렐-__.. ‘ ?IaC룹I I ~ -a,a;;- E 펀그~그

•.‘(_I! lt U. -’..n피‘ 임료 곁과보개고선서전 직 성 및 취잉 *헬|햄시스슐댐 환내 겉과」 보 고개서_선 'I후 즐j 잊.. _률 -麗혁기 농 구연

드 - I

평썽교육 혁신

평생교육 혁신 강화

01._ 02._ 03._ 2*셰.12엑1잉.1 . .1I.1 구잉'. t.1용 1f영& 시 ‘톨영잉’윈:씨, it,li*£ I 'IH !‘ ’ 를111용1111121. 1.<.11. 툴 잉 효 l ’*톨

01 재직자 및 성인학습자 수요맞춤형 교육체계 구축·운영

미래플러스대학 현장직무역량기반 교육과정 개선 추진

훈최 q 에잉 1It1!!,,!!꺼~1I

g잊t 'l ll11tllllit지 lIt1 illl lI 11 .0‘ ItltIt tEtu힐.【el.::tE t!Il!!t다“a- u~iU' qa •“ •'••I‘I·I 끼O’l .‘~''''2l~t. NlI!!M IO SIPI .~~‘iIHU'.ti~I. ~ JIItll:'.f .!-. ol~ItHI ’I.“q •인• l‘J •I.•.. , ’t‘I; ’to‘II.l lte • •• _'.lI..a::.‘“‘ ι'! .!r ~lj.~. ’ ....l. ','l.! ~l il.:'lo.'.,..!“ ‘r . L~'''_

’~‘a'9 .M’ ..-...eI..’ P.‘l‘.l wI '.~'~NWI. .' I에..e . .“O.. e‘. ...~le ’..‘._ l..~.! -,o ‘.I .lI!.f~‘ 'II.:.I.·.I't J_ I.l.l-D ’I.I!“.영_~t‘~ ;‘l. ! .1’t ~Iι”!원aI1 츠‘Q .~’’ .“! I.‘t. I. ‘ ~t . ..l“·1. .‘‘. N‘.·‘서. . '. .’’“.i .‘ ’‘w.헤’. “ “iw‘l I ‘t‘,ol ''‘l.•. I. ’.• m' I !’ ._ ‘’i ;,、 ~ •.*‘...'...t…...~ ~ I'1 .I I_l1IItl l .'·.l.‘‘~.!”1.i .“’i .’써I .1 e l..•..~.I.. ’‘.“빼 “l•.+~~ +~It1'. Io.d IJ .l없씨 .:IQ..eI~ .lllBI.~I‘ 4. Ie.. I.• 'I t“qM . , “• .l ‘엉 서 .l ‘_!. ’g ~‘.q.’..i o~'•.I l N.f••i1.I.'‘•I ‘ ' ’. 1P' ‘ I ‘IP' lJ '‘. I'.'. .애 ' !‘.!‘ ..R..’. ....

미래플러스대학 교수지원 프로그램 운영

02 성인학습자 친화형 학사제도 운영 고도화

미래플러스대학 선행경험학습인정제도(RPL) 개편 및 운영 고도화

스마트파육서버스 지원역량 강화

01 HS 직원 아카데미 프로그램 운영

개인의 역량개발이 대학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

교육과정별 만족도조사 분석을 통해 강사 섭외 및 교육내용 수정 등 Feedback

개인이 가지고 있는 역량 극대화를 위해 사내강사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필요

02 전자결재 및 그룹웨어 시스템 구축

행정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및 고도화를 위해 전자결재시스템 구축

수작업으로 인한 시간전자결재시 종이의 낭비를 막음으로써 그린 오피스 실현을 통한 ESG 실천

업무효율성 향상하기 위한 정보접근성 강화 등의 SmartWork 체계 마련

업무능률 향상을 위한 협업 및 정보공유 체계 강화

전자결재시스템 도입으로 수작업 제거 및 업무 처리의 효율성 제고

전자결재, 문서함, 기록물관리, 전자게시판, 일정관리, 협업시스템, 전자메일 등의 기능 구현으로 신속한 업무수행 환경조성 및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협업시스템을 통해 프로젝트 자료의 외부 유출 방지 및 보안 강화

모바일 기능 구현으로 신속한 결재로 의사결정 시간 단축

기술지원 종료에 따른 보안 및 시스템 위험 해결

예산관리 프로그램 자체구축 및 활용 사례, 대학혁신지원사업 홍보단 운영

01 예산관리 프로그램 자체구축 및 활용 사례

대시보드 제작용 웹 프로그램 'Google Looker Studio'

- Google Sheets를 Database로 활용

- GUI 화면 구성

유동적 화면 구성 가능

- 화면 구성요소 간 상호작용

권한에 따른 데이터 열람 설정

- 전체 예산 조회 가능한 마스터 코드, 해당 부서 예산만 조회 가능한 부서 코드 부여

활발한 사용도

- 1개월 간 화면조회 1,174건

- 순 사용자 75명

예산편성 & 지출현황 실시간 반영

- 실행부서 자율적 점검 가능

- 예산집행률 제고

- 불용예산 신속 재편성

예산-사업계획 연계 화면 구축

- 사업계획 이행을 위한 예산집행 중요성 강조

02 대학혁신지원사업 홍보단 운영

재학생 홍보단 1기 선발

- 교내 혁신지원사업 프로그램 참여 및 참여자 인터뷰를 통한 월별 홍보 컨텐츠 제작(동영상, 카드뉴스 등)

- 전용 블로그 개설 및 메인 홍보채널로 활용

- 월별 약 3개 홍보 및 성과공유 컨텐츠 제작하여 게시, 2023.01기준 25건 게시 완료

우수사례집 제작 및 배포

- 10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2022학년도 1학기 우수사례집’ 제작 및 배포 완료

- 8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2022학년도 2학기 우수사례집' 제작 및 배포 완료

- 담당자 및 참여 재학생 인터뷰를 통한 우수 프로그램 홍보와 재학생 참여율 증가 기대 

HSU 한성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2022 우수성과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