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대학교는
진리(眞理) ·지선(至善)이라는 교육이념을 바탕으로 창의적 전문인, 포용적 사회인, 열린 세계인을 양성합니다
교육이념 진리(眞理) ·지선(至善)
교육목적 한성대학교의 교육이념을 바탕으로 공동선(共同善)을 추구하는 창조적 인재를 양성한다.교육목표창의성과융합능력을 지닌전문인을 육성한다.공동체 의식과윤리적 소양을 갖춘사회인을 육성한다.열린 사고와국제경쟁력을 갖춘세계인을 육성한다.인재상 창의적 전문인 포용적 사회인 열린 세계인역 량창의융합역량•창의력•융합능력공동체역량•자기관리능력•대인관계능력글로벌역량•글로벌소통능력•글로벌시민의식비 전 미래를 디자인하는 창의융합교육 선도 대학2024학년도 한성대학교 상상력+
유연학사제도 + 트랙가이드Part 1. 유연학사제도 한눈에 알아보기 04Part 2. 학사일정(한성대학교에서의 1년) 07Part 3. 한성대학교에서의 4년 08Part 4. 교육과정의 이해 10
01. 교과과정별 교육목표02. 교과과정별 이수체계 및 졸업요건03. 전공과정04. 교양과정05. 융합과정06. Micro Degree과정Part 5. 2개 트랙선택에 따른 전공이수 유형 14Part 6. 한성대학교 트랙 소개 1601. 종합02. 단과대학별 소개Part 7. 주요 학사제도 138Part 8. FAQ 142※ 본 책자의 내용은 2024년 2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후 규정 개정, 시행방법 개선 등으로 인하여 본 책자에 안내된 사항에 변경이 있을 수 있으니, 학교홈페이지 ‘교육정보’ 메뉴 및 ‘학사 공지사항’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Part 1. 유연학사제도 한눈에 알아보기
우리대학은 ‘창의융합인재양성’ 교육목표 달성과 학생이 주도적으로 설계하는 교육과정 이수를 지원하기 위해 학사제도를 유연화하고 있음유연학사제도의 추구하는 방향은?
01
발빠른 사회 변화에 대응가능한 세분화된직무중심 트랙전공교육과정운영과 학생 선택권 강화+02다양한‘내가그린학기 프로그램’을활용하여 학교생활 중폭넓은 경험을 통해 진로를설계해보는 기회 제공+03학생의 다양한 여건에 따라캠퍼스 생활을 할 수 있도록지원하는 학생 맞춤형학사제도 제공대표 유연학사제도는?
자신만의 전공 설계, 융합교육 실현1. 학생 주도로 전공을 선택하는 ‘전공 트랙제’ 운영•43개 트랙 및 전공, 5개 학과 중 자유롭게 2개를 선택하여 자신만의 전공을 설계할 수 있는 융합교육 제공•자신에게 맞는 트랙을 선택할 수 있도록 3학기-7학기까지 트랙변경 제도 운영2. 첨단기술 관련 지식 습득을 위해 필요한 ‘Micro Degree과정’ 운영•신산업 및 전공 관련 산업 분야의 취업 실무능력을 겸비할 수 있도록 9학점 단위의 Micro Degree 과정 운영3. 독립적인 트랙교육과정의 융합 시너지를 높이기 위한 ‘융합교육과정’ 운영•분야가 다른 2개 트랙의 원활한 이수를 지원하고 전교생의 융합교육 경험을 지원하기 위한 융합기초 및 융합선택 교과목 운영자신만의 경력을 쌓아 학기를 설계할 수 있는 ‘내가그린학기’ 운영
내가그린학기 : 학생 스스로 원하는 교육과정을 선택하여 설계하는 학기•학생들에게 다양한 도전과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여 자기주도적 진로설계를 지원하고자 도입된 제도•전공 및 교양교육과정이 아닌 원하는 주제와 방법의 교육프로그램으로 나만의 학기 설계•종류 : 글로벌리더/산학협력/창업실습/진로탐색 과정
각 과정별 대표 프로그램
글로벌리더
• 교환/방문학생• 단기 및 학기 어학연수• Disney College• 1+1(영어+전공)산학협력•국내외 현장실습•일학습병행•IPP 현장실습창업실습•창업실습학점제 프로그램- 창업동아리실습- 창업기업실습진로탐색•진로탐색학점제 프로그램- 상상설계진로* 본 프로그램은 이수학점 및 학점인정 등 세부내용이 상이함자신만의 계획에 맞게 선택하는 학사제도
1. 집중이수제•집중이수제란? 학기별 정규 15주 수업이 아닌 8주 집중 이수 형태로 편성하여 수업운영
수업 운영형태 3월~6월 7월 8월 9월~12월 1월
기존 운영체제15주 수업(주당 1시간 15주-1학점) 여름계절학기겨울계절학기15주 강의집중이수제8주 수업 8주 수업 8주 수업 8주 수업(주당 2시간 8주-1학점) (주당 2시간 8주-1학점)2월8주만에 수업을 마칠 수 있어 잔여기간에 시간 활용이 가능하다고~2. 상상더학기
•상상더학기란? 2학기 교과과정을 여름방학과 2학기로 나누어 수강하는 학기- 정규학기와 차별화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과정 이수 기회를 확대ㆍ제공하고자 도입된 제도- 2학기 이수 학점(18학점 이내) 중 최대 9학점까지 여름방학기간 집중이수할 수 있음2학기 학업부담 완화로 학기 중 융합 및 진로탐색 등 다양한 활용 가능하고 방학기간을 전공학습과 융합과정 이수 등 학업을 위해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하다고~
자신만의 계획에 맞게 선택하는 학사제도
3. K-MOOC 학점인정•재학생이면 누구나 졸업 때까지 최대 3학점까지 이수 가능•조기 취업자의 일과 학습 병행 고민을 타파! 최대 12학점까지 이수 가능4. 군e-러닝 학점인정•군입영 휴학생(*국방부 소속 병사(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상근예비역)) 모두 다 가능•최대 6학점까지 이수 가능(교양학점 인정)5. 조기취업자 공결처리 제도
•조기취업자(7학기 이상)에 한해 수강과목의 출석을 공결로 처리하여 과제 등으로 출석 점수를 인정 받을 수 있는 제도•학기 단위로 2회(총1년) 까지 허용6. 학사학위취득 유예(졸업유예)제도•학칙에서 정하는 졸업요건을 모두 충족한 학생의 신청에 따라 일정기간 이내에서 재학상태로 졸업을 연기하는 제도•수강의무, 등록금납부 의무 없음•학기 단위로 2회(총1년) 까지 허용7. RPL(Recognition of Prior Learning) : 선행경험학습인정제•직장경험, 연구, 실습, 타 기관에서의 교육 등 다양한 형태의 학습경험을 학점으로 인정해주는 제도로 미래플러스대학 및 계약학과에 한해 운영Part 2. 학사일정(한성대학교에서의 1년)
월별 학기구분 수업 성적및시험 학적 행사
3 •수강신청 정정/포기•입학식•전공트랙 탐방프로그램41학기•중간수업평가 •중간고사 •다전공 취소 신청5 •트랙 선택•전과 신청6여름계절학기/상상더학기•수업만족도조사•여름계절학기 및 상상더학기수강신청/정정•기말고사•성적조회 /이의신청 •트랙 변경 신청7여름방학•1학기 최종성적 확정•여름계절학기 성적조회/이의신청/확정8 •2학기 수강신청 •휴·복학신청•다전공 신청 및 변경 •후기 학위수여식
9 •수강신청 정정/포기
102학기•중간수업평가 •전공트랙 탐방 프로그램11 •트랙 선택•전과 신청12겨울계절학기•수업만족도 및교육만족도 조사•겨울계절학기 수강신청/정정•기말고사•성적조회 /이의신청1겨울방학•2학기 최종성적 확정•겨울계절학기 성적조회/이의신청/확정•트랙 변경 신청2 •1학기 수강신청 •휴·복학 신청•다전공 신청 및 변경 •전기 학위수여식Part 3. 한성대학교에서의 4년
1학년 2학년
특징자기 이해 심층 진로탐색 및 전공탐색 단계심층 진로탐색트랙선택교과[전공] 트랙기초수업[교양] 교양필수수업[전공]1ㆍ2트랙 전공수업 [부전공][융합]융합기초 및 융합선택[교양]선택필수교양, 일반교양트랙변경가능(7학기까지)
비교과
학습역량① 학습역량UP 기초학습역량강화프로그램② 공부의 신 한성 튜터링③ 영어 고수되기 Virtual Global English④ Multilingual 언론사 활동심리ㆍ상담역량⑤ 마음건강 심리검사데이진로ㆍ취업역량⑥ 진로결정 지원 자기 이해 워크숍⑦ 취업 One Shot One Kill 채용동향 취업특강⑧ 해외취업지원 파견학생 체험공유회창업역량⑨ 창업왕 온라인 창업교육기타⑩ 한성 유학생 종합지원 글로벌 튜터링⑪ 애서가 독서아카데미
진로,취업 HS진로발달 검사, 직업심리 검사
상담ㆍ진로 개인상담ㆍ트랙선택 전 개인상담ㆍ지도교수상담ㆍ학생생활상담ㆍ진로 개인상담(관심분야탐색)ㆍ트랙변경 전 개인상담ㆍ지도교수상담ㆍ학생생활상담
3학년 4학년
전공분야 경력개발구체화 단계전공 심화 및 활용학습사회진출 준비단계
[전공]
1ㆍ2트랙 전공수업 [부전공][융합]융합기초 및 융합선택,Micro Degree[교양]선택필수교양, 일반교양캡스톤디자인[전공] [부전공][융합] Micro Degree[교양] 일반교양
*캡스톤디자인(Capstone Design)이란?
학부과정을 통해 배운 전공지식을 종합하여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진로계발을 할 수 있는 수업
학습법 워크숍 학습컨설팅
Group Speak Virtual Exchange영어스피치대회 글로벌 동행 프로젝트힐링데이 집단상담프로그램HS트랙진로탐색 상시진로지도시스템HS실전면접 트레이닝 현장실습 프로그램글로벌업 초청강연 취업멘토링창업동아리 창업아이디어경진대회외국인 유학생 문화체험 취업교육독서클럽 발표대회 청년 제안 프로젝트전공 튜터링 LBT지식나눔프로젝트취업준비도 검사, 직업심리 검사ㆍ취업개인상담(취업전략수집)ㆍ지도교수상담ㆍ학생생활상담ㆍ취업개인상담 (입사서류, 면접클리닉)ㆍ지도교수상담ㆍ학생생활상담취업준비도 검사, 직업심리 검사ㆍ취업개인상담(취업전략수집)ㆍ지도교수상담ㆍ학생생활상담ㆍ취업개인상담 (입사서류, 면접클리닉)ㆍ지도교수상담ㆍ학생생활상담
창의적 전문인
포용적 사회인열린 세계인
Part 4. 교육과정의 이해
1 교과과정별 교육 목표
교과과정
교양과정상상력과 포용력을 갖춘창의융합적 세계시민 육성•창의적 탐구력과 융합적 사고력 증진•성찰적 지성과 포용적 감성 배양•글로벌 소통능력과 글로벌 시민의식 제고•자기주도학습을 위한 기초학습 역량 증진전공과정창의융합교육을 통한선도적 전문인 육성•유연한 학사제도를 통한 전문적 기초지식 함양•사회수요를 반영한 융합능력 배양•프로젝트 중심 교육을 통한 현장 실무능력 증진비교과과정다양한 사고와 성취 경험을 통한 사회참여형 인재육성•한성핵심역량의 함양•학생생애 주기별 맞춤형 역량 강화•지역사회봉사를 통한 사회공헌 및 공동체 의식 함양2 교과과정별 이수체계 및 졸업요건
교과과정별 교육 목표
교과과정별 이수체계 및 졸업요건0212교과 (전공/교양)130학점나머지 21학점은 전공, 교양 구분없이학점을 이수하여야 합니다.트랙(전공)별로 별도의 졸업요건도이수하여야 졸업 가능7가지 비교과프로그램 유형트랙(전공)별 졸업요건비교 과 8 0 0 p o i n t교과(전공/교양) 비교과130학점졸업800point트랙(전공)별 졸업요건0103전공(1트랙/2트랙)78학점이상 + = 교양31학점이상130학점비교과과정이란?우리대학 인재상 및 6대 핵심역량 (창의력, 융합능력, 자기관리 능력,대인관계능력,글로벌소통능력, 글로벌 시민의식)을함양하도록 정규 교육과정 외의 별도 프로그램을개발ㆍ운영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교육과정현장체험활동 공모전·대회소모임·멘토링봉사특강·워크숍어학·자격상담·검사7가지비교과프로그램유형3 전공과정
2개의 트랙·학과·전공을 78학점 이수하여야 졸업할 수 있다.
A. 융합전공ⅠⅠ B. 융합전공Ⅱ OR 심화전공
2개의 트랙·학과·전공을각각 39학점씩 78학점 이수1개의 학과·전공57학점+부전공 21학점의 78학점 이수1트랙·학과·전공39학점+2트랙·학과·전공 1학과·전공 n트랙·학과·전공 1학과·전공39학점 57학점 21학점 78학점+C. 융합전공Ⅰ+부전공 OR Micro Degree융합전공Ⅰ+ 부전공 21학점 또는 MD 9학점을이수하여 각각 총 99학점, 87학점 이수1트랙(전공)39학점2트랙(전공)부전공MD전공39학점 21학점9학점or + +78학점 99학점, 87학점
이수과정
이수구분전공기초전공필수전공선택 소계 전공계융합전공Ⅰ트랙·학과·전공 3 15 21 3978학점트랙·학과·전공 3 15 21 39융합전공Ⅱ학과·전공 3 15 39 57부전공 78학점(트랙·학과·전공) 3 12 6 21심화전공학과·전공 3 15 60 -78학점창의융합대학 소속 학과 3 21 54 -4 교양과정
교양학점 31학점을 이수하여야 졸업할 수 있다.
교양필수
13학점사고와 표현, 영어커뮤니케이션, AI와 SW 기초, 한성 이마기난스+선택필수교양15학점4개 영역 이상에서 1개 교과목 이상, 총 15학점 이수1.인문학적상상력 2.사회과학적상상력3.과학기술상상력 4.예술과스포츠상상력5.융합적상상력+자율선택3학점이상일반교양 및 일반선택 교과목 등=교양31학점 이상Part 4. 교육과정의 이해
5 융합과정• 융합교육체계
독립적인 트랙의 융합시너지를 높이기 위한 융합과정
창의융합교육지원센터(C&C School)2개 트랙 이수를 지원하는 융합교과융합기초교과융합선택교과융합교양교과단과대학 A 단과대학 B트랙A1트랙B1트랙A2트랙B2트랙A3 ... ...트랙B3트랙An트랙Bx
구분 내용
융합기초교과• 개요 : 제1트랙과 학문적 성격이 다른 분야(타 단과대학 또는 타 학부)의제 2트랙 이수를 원하는학생 대상, 제 2트랙 수업 적응을 지원하는 교과목융합선택교과• 개요 : 융합역량 배양을 위한 학제간 융합교과목으로, 2개 이상의 트랙에서 2인 이상의 교수가 참여하여운영하는 교과목융합교양교과• 개요 :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 ICT기술(VRㆍAR, 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스마트팩토리 등) 기반의 융합역량배 양을 위한 융합교양 교과목으로, 비이공계 학생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이론 및 실습교육 진행6 Micro Degree 과정
• 디지털 신산업 및 사회 수요 기반 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실무 중심 융합교육과정- Micro Degree 과정은 각 전공별 관련 산업의 현장실무 중심 교과목 및 융합선택 교과목으로 구성- Micro Degree 과정별 9학점 취득 시 이수를 인정- 졸업 및 성적증명서에 Micro Degree 과정 이수 내역을 기재하여, 기업체 등 외부에서 해당 학생의 실무역량 확인 가능
유형1
트랙·학과·전공 교과목 중 MD 과정별 교과목 이수A트랙 (30학점)Micro Degree (9학점) + B트랙 (39학점)유형2트랙·학과·전공 외에 추가 선택 이수A트랙 B학과 + Micro Degree (9학점)이수 학점 : 9학점 이수 신청: 유형1 별도 신청 과정 없음, 유형2 매년 2월경 신청(학사공지 참고)
이수 기간 : 유형1 제한 없음, 유형2 1년 내 이수
2024학년도 Micro Degree 과정 _ 유형1
Dual Editor • 출판물 편집, 영상물 편집 능력을 필요로 하는 분야 및 인접 분야로 진출을 원하는 학생을 위한 과정Big Data • 빅데이터 분석·활용 능력을 필요로 하는 분야 및 인접 분야로 진출을 원하는 학생을 위한 과정AI활용• 머신러닝과 딥러닝, 생성형 AI 등의 핵심 AI 기술의 개념을 습득하며, 다양한 분야에서의 실제 응용 사례를 탐구하여 AI사회에서 요구되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고를 강화하는 과정SAP ABAP프로그래밍• SAP S/4HANA솔루션의 개발 프로그래밍 언어인 SAP ABAP(Advanced Business Programing)을 학습하고 캡스톤디자인 및 인턴십을 통해 현장수요에 적합한 기업 소프트웨어 개발인력을 양성하는 과정글로벌비즈니스현장연계 과정• 글로벌비즈니스의 이해를 바탕으로 산업과 기업현장을 통해 글로벌 의사소통 마인드와 실무적 지식을 습득하여 글로벌비즈니스 핵심역량과 글로벌 경영환경 분석연량을 강화하는 과정마케팅 현장연계 • 마케팅 분야 자격증 부재를 보완하고, 마케팅에 대한 실무적 경험과 역량을 강화하는 과정과학기술융합기초(대학공동형)• 4차 산업혁명 기술 발전, 신산업 인재 육성 등 사회변화에 따라 학생 전공을 불문하고 과학기술의 동향을 이해하고, 진로 및취창업 역량을 배양하는 과정2024학년도 Micro Degree 과정 _ 유형2SAP 비즈니스아카데미• 기업 회계와 프로그래밍 역량을 기반으로 SAP S/4HANA 솔루션을 활용하여 기업 업무 프로세스를 설계함으로써 기업의 회계관련 업무 프로세스를 혁신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과정인공지능(AI) 전문과정•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인공지능(AI) 기술의 다양한 기법들을 이론학습과 실습을 통해서 이해도를 증진시키며, 실제적인다양한 응용들에 적용을 통해서 인공지능기술의 역량을 높이는 과정창업&프랜차이즈아카데미• 프랜차이즈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현장맞춤식 교육을 통하여 프랜차이즈 전문 실무능력을 배양하여 현장감 있는 프랜차이즈 전문가를 양성하는 과정만화/웹툰 전문가 과정• 영상 콘텐츠의 원작으로 활용되는 만화(웹툰) 제작을 위한 다양한 기법들을 이론과 실습을 바탕으로 학습하여 시장 잠재력있는 만화(웹툰) 창작의 기반을 다지는 과정디지털 편집디자인전문과정• 기초적인 편집디자인 이론과 테크닉을 기반으로 미디어 레이아웃 구성 방법 및 효과를 이해하고 인쇄 및 디지털 미디어에 적합한 실전적인 편집디자인 능력을 함양하는 과정디지털 사진&영상촬영 아카데미• 디자인에 필요한 실사 이미지 구현을 위해 디지털 환경에서의 사진 및 영상 촬영에 필요한 기술적 지식을 습득하고 사진과영상에 대한 예술적, 실용적 표현 감각과 촬영 테크닉을 함양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융합형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과정영상CG&시각효과전문가• 디지털 콘텐츠 제작의 핵심역량인 영상CG&VFX(시각효과) 제작 실무 기술 관련 이론과 실습 교육으로 영상, 메타버스, 실시간 실감형 콘텐츠 등 신기술 기반의 융복합 콘텐츠 제작 역량을 기르는 과정옴니채널 및 패션 ERP전문가 양성과정• 쇼핑몰 창업부터 직영 매장까지 운영가능한 융합적 업무 프로세스를 학습하고, 현재 국내 주요패 션 기업 대부분이 사용하고 있는 통합적 ERP시스템을 실습하는 과정심리상담 전문가 과정• 심리상담전문가 과정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상담이론 및 실습, 이상심리이론 및 실습 교육을 통해 임상심리사 2급 시험에 대비할 수 있는 과정※ Micro Degree 과정별 운영과 관련한 상세 내용은 우리대학 홈페이지 ‘교육정보-교육과정-Micro Degree 과정’에서 확인 가능합니다.한성대학교는 ‘미래를 디자인하는 창의융합교육 선도대학'이라는 비전과, 대학혁신지원사업의 목표인 ‘학생 주도의 창의융합 High-Success 교육혁신’을 이루기 위하여 창의융합교육지원센터(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Center) 조직을 운영.
창의융합교육지원센터란?창의융합교육지원센터는 인문ㆍ사회ㆍ예술ㆍ디자인ㆍ공학 등의 다양한 전공분야에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ICT기술을 융합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해 우리 대학만의 차별화된 창의융합교육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융합기초, 융합모듈, 융합선택, 융합교양 등 다양한 전공 교과목 및 비교과프로그램을 운영함.Part 5. 2개 트랙선택에 따른 전공이수 유형
단과대학 A 단과대학 B
트랙A1트랙B1트랙A2트랙B2트랙A3트랙A4 ... ...트랙B3트랙B4트랙An트랙Bn창의융합교육지원센터융합교과2개 트랙 이수를 지원하는융합교과전공 심화유형 전공 융합유형 전공 확대유형※트랙 이수이수학점 : 39학점이수학위 : 복수학위수여전공융합유형
1트랙 - 2트랙 서로 다른 단과대학 내 트랙 이수
융합유형 전공만 이수
뉴미디어광고·커뮤니케이션디자인트랙 &영미언어정보트랙
융합유형 전공 이수 + α
빅데이터트랙 & 글로벌비즈니스트랙+ 창업실습과정 (창업학점인정)패션마케팅트랙 & 기업경영트랙+ Micro Degree과정 이수회계·재무경영트랙 & 빅데이터트랙+ Micro Degree과정 이수 + 진로탐색학점제전공확대유형
1트랙 - 2트랙 동일한 단과대학 내 학문분야가 다른 트랙 이수
확대유형 전공만 이수
패션디자인트랙 & VMD·전시디자인트랙
확대유형 전공 이수 + α
부동산트랙 & 법&정책트랙 + 산학협력과정 (IPP현장실습 등)영미문화콘텐츠트랙 & 역사문화큐레이션트랙 + 글로벌리더과정(어학연수, Disney College 등)전공심화유형
1트랙 - 2트랙 동일한 단과대학 내 학문분야가 유사한 트랙 이수
심화유형 전공만 이수
지식정보문화트랙 &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심화유형 전공 이수 + α
전자트랙 & 시스템반도체트랙 + 산학협력과정 (IPP현장실습 등)인테리어디자인트랙 & VMD·전시디자인트랙 + Micro Degree과정 이수Part 6. 한성대학교 트랙 소개
창의융합대학
상상력인재학부문학문화콘텐츠학과AI응용학과융합보안학과* 미래모빌리티학과 (신설)2022학년도 창의융합대학 신설신산업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학과교육과정을 운영함과 동시에 트랙교육과정과 유연하게 연계된 융합교육과정을 제공함IT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모바일소프트웨어트랙·빅데이터트랙·디지털콘텐츠·가상현실트랙·웹공학트랙기계전자공학부·전자트랙·시스템반도체트랙·기계설계트랙·기계자동화트랙산업시스템공학부·산업공학트랙·지능형제조시스템트랙디자인대학
글로벌패션산업학부·패션마케팅트랙·패션디자인트랙·패션크리에이티브디렉션트랙ICT디자인학부·뉴미디어 광고·커뮤니케이션디자인트랙·브랜드·패키지디자인트랙·영상·애니메이션디자인트랙·UX/UI디자인트랙·게임그래픽디자인트랙·인테리어디자인트랙·VMD·전시디자인트랙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트랙제 특성
-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 급변하는 사회수요에 대한 빠른 대응 및 연계성 높은 교육과정 운영- 다양한 트랙 선택의 조합을 통한 학문간 시너지 극대화- 자유로운 트랙 선택으로 전공 적합성 향상 및 대학생활 적응력 향상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국제무역트랙·글로벌비즈니스트랙·기업·경제분석트랙·경제금융투자트랙·공공행정트랙·법&정책트랙·부동산트랙·스마트도시·교통계획트랙·기업경영트랙·벤처경영트랙·회계·재무경영트랙미래플러스대학
호텔외식경영학과융합행정학과비즈니스컨설팅학과뷰티디자인학과ICT융합디자인학과미래인재학부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영미문화콘텐츠트랙·영미언어정보트랙·한국어교육트랙·역사문화큐레이션트랙·역사콘텐츠트랙·지식정보문화트랙·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예술학부·동양화전공·서양화전공·한국무용전공·현대무용전공·발레전공상상력교양대학
기초교양학부소양ㆍ핵심교양학부자율교양학부크리에이티브 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은 인문과 예술의 융합을 추구하며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와 예술학부로 구성
新르네상스시대!
인문학의 시선과 예술적 창조력이 융합하여 미래를 연다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20 영미문화콘텐츠트랙22 영미언어정보트랙24 한국어교육트랙26 역사문화큐레이션트랙28 역사콘텐츠트랙30 지식정보문화트랙32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예술학부
34 동양화 전공36 서양화 전공38 한국무용 전공40 현대무용 전공42 발레 전공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영미문화 콘텐츠트랙English Culture Contents급변하는 국제사회의 요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글로벌 마인드를 일깨웁니다.
Tel 02-760-402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
글로벌 문화콘텐츠 분석, 생산, 유통 전문가
영어 관련 교육 및 문화서비스 전문가
실용영어를 활용한 실무 및 행정 전문가
졸업 후 진로
다양한 영어 활용 분야: 영어교육 및 서비스업계, 각종 기업체, 콘텐츠 관련 업계 등
초·중등 학교·학원 영어 교육자전문 통·번역자대학교원 및 연구소 연구원문화서비스업 종사자 (항공사,공항, 여행사, 호텔 등)기업체 사무/관리/경영자(컨설팅,금융, 유통, 무역, 제조 등)외국계 기업, 해외 파견 사무원공무원(행정, 경찰, 군무원 등)공기업 행정직콘텐츠업계, 출판사, 공연, 광고,게임, 연예 기획/관리/마케팅카피라이터, 기자, 방송인 등교육 목표
• 영어소통 능력과 인문학적 소양을 겸비한 글로벌 문화콘텐츠 전문가비교 소개
•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영어영문학과(부)
• 타 대학과의 차별성 : 실용영어와 영미문화콘텐츠 역량을 타 트랙의 특정 역량과 융합 가능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 글로벌 자기주도 문화체험프로그램 참여• 토익 점수 900점 이상의 성적표 제출 또는 토익 3회 응시/1회 800점 이상 (또는 토스 7급)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영미문화콘텐츠 분석, 비평 및 기획 역량 • 영미문화콘텐츠 분석 비평 역량• 영미문학문화콘텐츠 기획 역량영미문화콘텐츠 기초지식 및 실무영어기초역량• 영미문화콘텐츠 기초 이해 역량• 실무영어 기초 역량영미문화콘텐츠 원전 이해 및 실무영어 활용역량• 영미문화콘텐츠 원전 이해 역량• 실무영어 활용 역량영미문화콘텐츠 활용 및 글로벌문화 융합역량• 영미문화콘텐츠 활용 역량• 글로벌문화 융합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글로벌비즈니스트랙 /기업경영트랙마케팅, 무역, 경영실무종사자2 디자인대학패션크리에이티브디렉션트랙 / 뉴미디어광고·커뮤니케이션디자인트랙광고.뉴미디어 콘텐츠실무종사자3 창의융합대학 문학문화콘텐츠학과 문화콘텐츠 실무종사자단대내 융합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역사콘텐츠트랙문화콘텐츠 실무종사자2 한국어교육트랙심화 전공 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영미언어정보트랙 영어 관련 실무종사자트랙교수진
이병은 교과 영국문화의 이해, 시로 읽는 영국문화, 콘텐츠로서의 셰익스피어, 시사영문강독
캡스톤디자인서영윤 교과 현대영미희곡과 대중문화, 그리스로마문화와 성서이야기, 드라마로 보는 영미사회황정현 교과 미국문화의 이해, 영미콘텐츠와 미디어, 영미문화 스토리텔링, 영미소설과콘텐츠기획 캡스톤디자인, 할리우드영화와 미국문화연구투랄리자 교과 English Conversation I & II, English Writing Skills, Job English, BusinessEnglish, 실용영어청취강상구 교과 영어시스템의 이해, 실용영문법I, 영어발음의 실제 캡스톤디자인박종언 교과 영어데이터 활용, 영어 데이터 분석 캡스톤디자인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TOEIC, OPIc, TOEIC speaking, TOEFL 등 공인영어시험
기본역량 관련 자격 컴퓨터활용능력, 인터넷IEQ(윤리자격) 등필수교과목
•영화로 읽는 영미문화콘텐츠 •English Conversation II
•영국문화의 이해 •시로 읽는 영국문화•콘텐츠로서의 셰익스피어 •현대영미희곡과 대중문화•영미소설과 콘텐츠기획 캡스톤디자인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영미언어 정보트랙English Language Studies국제적 감각을 지닌 실용적이고 탄탄한 외국어 구사능력을 함양합니다.
Tel 02-760-402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
영어교육 및 영어서비스 전문가
실용영어를 활용한 실무 및 행정 전문가
통·번역 전문가
졸업 후 진로
다양한 영어 활용 분야 : 영어 교육 및 서비스 업계, 통·번역, 각종 기업체
번역가통역사해외영업원대외제휴협력사무원국제협력사무원영어학연구원영어교사영어교육평가연구원무역사무원해외무역관무역금융사무원글로벌소싱전문가방송대외협력기술자마케팅사무원광고기획자교육 목표
실용영어를 활용한 실무형 인재 및 통·번역 전문가 양성비교 소개
•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영어영문학과
• 타 대학과의 차별성 : 영어학을 중심으로 독립된 전공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 글로벌 자기주도 문화체험프로그램 참여• 토익 점수 900점 이상의 성적표 제출 또는 토익 3회 응시/1회 800이상 (또는 토스 7급)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영어 의사소통 역량 • 영어 문장 구성 역량• 영어 표현 청해 역량• 영어 표현 적용 역량• 영어 발음 구사 역량영어의 구조 분석 역량 • 영어 문장구조 분석 역량• 영어 음운구조 분석 역량• 영어 어휘구조 분석 역량• 영어 의미구조 분석 억량• 영어 구조 분석 적용 역량영어 교육 역량 • 영어 교수법 이론 파악 역량• 영어 교수법 응용 역량영어권 문화 이해 역량 • 영어권 업무 문화 이해 역량• 영어권 문화의 특징 파악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
단대간 융합1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기업경영트랙 실무 종사자2 글로벌비즈니스트랙 마케팅 분야3 국제무역트랙 무역업 분야단대내 융합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한국어교육트랙 교육 분야2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정보 서비스 분야심화 전공 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영미문화콘텐츠트랙 영어 관련 서비스 분야트랙교수진
강상구 교과 영어 시스템의 이해, 영어발음의 실제 캡스톤디자인 실용영문법I
박종언 교과 영어데이터 활용, 영어 데이터 분석 캡스톤 디자인투랄리자 교과 English Conversation I & II, English Writing Skills, Job English, BusinessEnglish, 실용영어청취이병은 교과 영국문화의 이해, 시로 읽는 영국문화, 콘텐츠로서의 셰익스피어, 시사영문강독캡스톤디자인서영윤 교과 현대영미희곡과 대중문화, 그리스로마문화와 성서이야기, 드라마로 보는 영미사회황정현 교과 미국문화의 이해, 영미콘텐츠와 미디어, 영미문화 스토리텔링, 영미소설과콘텐츠기획 캡스톤디자인, 할리우드영화와 미국문화 연구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무역영어, 관광통역안내사기본역량 관련 자격 공인영어성적필수교과목•실용영어청취 •실용영문법 II •영어 데이터 활용•English Word Elements •English Conversation I •영어습득론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한국어 교육트랙Korean Language Education증가하는 한류의 영향 속에서 해외 및 국내 체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전문가를 키웁니다.
Tel 02-760-5702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한국어 교원 및 한국어교육 콘텐츠 개발 전문가 양성졸업 후 진로
교원, 콘텐츠 개발자, 행정가, 연구자 등의 다양한 진출 분야
국내외 대학 기관국내 초중등학교 KSL 교원해외 초중등학교 KFL 교원해외 파견 교원다문화 가족 지원센터한국어 학원한국어 문화 관련 출판사한국어·한국문화 교재 개발웹/모바일 콘텐츠 기획사온라인 한국어 콘텐츠 개발한국어능력시험 관련 콘텐츠 개발한국어 문화 콘텐츠 기획세종학당재단국립국어원재외동포재단국립국제교육원대학 및 교육기관 교직원대학원 진학교육 목표
한국어교원 한국어교육 콘텐츠 개발자 한국어교육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한국어교육 또는 한국어문화교육 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본교는 트랙제 교육과정을 통해 한국어 교육 역량은 물론 콘텐츠 개발 역량강화 및 외국어 분야, 언어 정보 처리 분야와의 결합으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강점이 있음.아울러 언어교육센터 한국어 과정과의 밀접한 연계를 통해 현장 교육 경험을 제공하고 있음.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트랙 역량 점수 취득 : 교육봉사/ 교육 관련 프로그램 참여, 한국어교육 콘텐츠 개발, 영어, 제2외국어 등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한국어학 및 언어학의 여러 분야에 대한 기초지식 및 이해 역량• 언어학 이해 역량• 한국어학 이해 역량한국어교육의 여러 하위 분야에 대한 핵심 지식이해 역량• 한국어교육 기초 역량• 한국어교육 언어 기능 이해 역량한국어교육의 여러 하위 분야에 대한 심화 지식및 적용, 연구 역량• 한국어교육 언어 지식 심화 역량• 한국어교육 설계 역량한국어 교수 자료 개발 및 활용 등 실제적인한국어교육 콘텐츠 개발 역량• 한국어교육 교수 역량• 한국어교육 자료 개발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공공행정트랙 한국어교육 정책 업무 수행 기관2 IT공과대학 디지털콘텐츠·가상현실트랙 언어 및 문화 교육의디지털 콘텐츠 개발3 디자인대학 뉴미디어 광고·커뮤니케이션디자인트랙뉴미디어 언어 교육 관련콘텐츠 개발 분야단대내 융합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영미언어정보트랙 언어 교육 전문가2 지식정보문화트랙 해외 교육 기관 파견 교사심화 전공 1 창의융합대학 문학문화콘텐츠학과 방송계 및 문화계한국어교육 관련 분야 진출트랙교수진
이은희 경력 워싱턴 주립대 교환교수, 중고등 국어교과서 개발, 국어교사 연수 프로그램 참여
교과 한국어의 이해, 한국어 문법의 이해, 한국어 의미 탐구, 한국어 문법 교육의 원리와실제노정은 경력 한국어능력평가 업무 수행, 한국어교재 개발, 세종학당 교원 교육 및 평가 과제 수행교과 외국어습득의 이해, 한국어평가의 원리와 실제, 한국어교육실습, 언어와 데이터(융합교과), 언어데이터와 챗봇(융합 교과)김윤주 경력 미국 Blacksburg Korean Language School 운영, 국내외 한국어교육과정 및 교재개발, 교사 선발 및 파견 업무 수행, 한국어능력시험 출제 팀장 및 채점 팀장교과 한국어교육의 이해, 한국어 교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한국어 교재 연구, 한국어 교수법의이해와 적용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한국어교원 2급 자격증기본역량 관련 자격 컴퓨터 활용 능력, 외국어능력시험(TOEIC, HSK 등), 한국어능력시험(외국인)필수교과목• 한국어 교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한국어 평가의 원리와 실제• 한국어 문법의 이해• 한국어 교재 연구• 한국어 문법교육의 원리와 실제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역사문화 큐레이션트랙Historical and Cultural Curation역사와 문화유산을 활용하여 역사문화를 창의적인 방식으로 기획합니다.
Tel 02-760-403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큐레이션 전문가(큐레이터) 역사문화활용 전문가졸업 후 진로
역사문화를 활용한 다양한 실무분야에 진출
학예연구사전시기획자문화상품기획자여행기획자미술품 감정평가사매장문화재발굴조사원문화재 수리 기술자문화유산 활용사업 기획자기록물관리사편사연구원민속 연구자지역사 연구자교육 목표
역사와 문화유산을 활용한 역사문화 분야의 실무 중심의 전문가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사학과/고고미술사학과/민속학과/박물관학• 타 대학과의 차별성 : 역사문화 기초 자료에 대한 접근 능력과 활용을 위한 안목을 배양하고, 기존 관련 분야 전공을 융합하여 실무 중심의 경험을 축적함으로써 전문가로서의 능력을 키울 수 있음.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졸업논문 작성 또는 관련 콘텐츠 제작• 학술답사 2회 이상 참여 (23학번부터 해당)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역사문화 기초 자료의 이해와 조사 역량 • 역사문화의 원천소스 검색 역량• 가공된 역사문화 자료의 비판적 검토 역량• 역사문화 활용을 위한 기획 역량큐레이션 실무 역량 • 박물관 미술관에 대한 이해 역량• 소장품의 관리와 전시품의 조사 역량• 전시와 교육의 창의적 기획 역량역사전문가 활용 역량 • 지역역사문화 자원의 조사 역량• 역사문화자원 인프라 이해와 구축 역량• 역사문화자원의 활용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디자인대학 영상·애니메이션디자인트랙 영상·애니메이션 제작2 IT공과대학 디지털콘텐츠·가상현실트랙 역사문화콘텐츠 제작3 창의융합대학 문학문화콘텐츠학과 연극·영화 작가·방송 작가단대내 융합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영미문화콘텐츠트랙 연극·영화 작가·방송 작가2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기록물관리사심화 전공 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역사콘텐츠트랙 출판, 문화예술기획, 방송PD,여행상품개발자 등트랙교수진
박근칠 교과 유물·유적으로 본 중국문화, 중국고대문명의 탄생, 중국인의 생활문화사
박준철 교과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조규태 교과 한국 근현대의 일상, 한국 근현대 역사문화의 활용, 한국 근현대의 라이벌, 역사와다큐멘터리이재석 교과 쇼군 사무라이의 역사와 문화, 일본 역사속의 승자와 패자, 현대일본의 어제와 오늘,영상자료로 보는 일본 문화권기중 교과 조선시대의 일상과 문화, 한국사의 논쟁들, 역사문화 큐레이션의 이해, 지역학과콘텐츠 개발 종합설계윤용선 교과 격동의 20세기 서양, 서양의 건축과 미술, 21세기의 여명, 근대서양, 서양 고전 읽기윤성호 교과 역사문화큐레이션의 이해, 문화유산 전시, 기획 실습 종합설계, 역사문화큐레이션종합 설계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박물관 및 미술관 학예사 자격시험기본역량 관련 자격 국내여행안내사, 관광통역안내사, 한국사능력시험1급필수교과목•역사문화 큐레이션의 이해•유물·유적으로 본 중국문화•한국 근현대의 라이벌•역사 테마의 탐구와 연습•21세기의 여명, 서양근대•한국사의 논쟁들•한국근현대의 역사문화 활용•역사문화큐레이션 종합설계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역사콘텐츠 트랙Historical and Contents역사와 문화예술에 대한 전문적인 식견을 바탕으로 역사 문화적 사실을 재조명합니다.
Tel 02-760-403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역사문화전문가 역사문화콘텐츠기획전문가졸업 후 진로
역사를 활용한 다양한 직무에 진출 가능
편사연구원민속 및 지역사연구자매장문화재조사원문화재감정사문화유산교육사기록물관리사영상콘텐츠 기획전문가개인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실감형 디지털콘텐츠 기획자스마트 앱 기획자축제 및 이벤트 기획자문화상품 디자이너교육 목표
역사와 문화의 기획 스토리텔링을 통한 역사문화콘텐츠제작자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사학과/역사콘텐츠학과/ 문화콘텐츠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역사 문화 기초 자료에 대한 접근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음. 역사 문화에 대한 전문적 종합적 지식과 안목을 토대로 타 전공과 융합하여 콘텐츠 제작자로서와 기획 능력을 키울 수 있음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졸업논문 작성 또는 관련 콘텐츠 제작• 학술답사 2회 이상 참여 (23학번부터 해당)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콘텐츠 원천소스의 기초조사 역량 • 사료의 서지학적 이해 역량• 연구성과의 분석 역량• 사료의 검색과 해석 역량히스토리텔링 기획 역량 • 사료와 연구를 활용한 자료 수집 역량• 다큐멘터리 및 영상 스토리 작성 역량• 히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콘텐츠 기획 역량역사콘텐츠 개발 및 활용 역량 •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 개발 역량• 축제 및 여행 기획과 응용 역량• 지역학 콘텐츠의 개발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디자인대학 영상·애니메이션디자인트랙 영상·애니메이션 제작2 IT공과대학 디지털콘텐츠·가상현실트랙 역사문화콘텐츠 제작3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벤처경영트랙 비즈니스 기획단대내 융합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영미문화콘텐츠트랙 연극·영화 작가·방송 작가2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학예사, 큐레이터심화 전공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역사문화큐레이션트랙 출판, 문화예술기획, 방송2 PD, 여행상품개발 등트랙교수진
박근칠 교과 중국인의 생활 문화사, 중국 고대문명의 탄생, 실크로드의 미술과 종교
박준철 교과 역사콘텐츠의 이해, 중세 유럽의 전쟁 섹슈얼리티 질병,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조규태 교과 한국 근현대의 일상, 한국 근현대의 라이벌, 역사 다큐멘터리 제작하기이재석 교과 쇼군 사무라이의 역사와 문화, 일본 역사 속의 승자와 패자, 현대일본의 어제와 오늘,영상자료로 보는 일본문화권기중 교과 조선시대의 일상과 문화, 역사문화 큐레이션의 이해, 지역학과 콘텐츠 개발 종합설계윤용선 교과 격동의 20세기 서양, 서양의 건축과 미술, 서양 고전 읽기윤성호 교과 역사문화 큐레이션의 이해, 한국 고대사 산책, 문화유산 큐레이팅 입문,역사문화큐레이션 종합설계강성봉 교과 지역학과 콘텐츠 개발 종합설계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박물관 및 미술관 학예사기본역량 관련 자격 국내여행안내사, 관광통역안내사, 한국사능력시험1급필수교과목•역사콘텐츠의 이해•중세 유럽의 전쟁 섹슈얼리티 질병•현대 일본의 어제와 오늘•한국 고대사 산책•역사 다큐멘터리 제작하기•실크로드의 미술과 종교•일본역사 속의 승자와 패자•지역학과 콘텐츠 개발 종합설계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지식정보 문화트랙Library and Information Culture지적 자유를 지지하는 도서관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류 문화를 계승합니다.
Tel 02-760-408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사서기록관리전문요원정보시스템전문가졸업 후 진로
정보와 데이터 관리가 요구되는 정보관리기관 및 업체
[국가 및 공공도서관]국립도서관(국회도서관,법원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지방자치단체 및 교육청도서관[대학도서관]국공립/사립대학도서관[전문도서관]국책연구소 정보서비스 담당 및기업 부설 정보자료실[학교도서관(교육대학원 연계)]초중등교육기관(초·중·고)학교도서관[서점 및 일반기업]정보(도서 및 제품)[공공기관(기록관리 전공 대학원연계)]국가기록원,지방기록물관리기관,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교육청 기록관리 담당실[민간 및 지역 아카이브]민간기업 아카이브 및지역문화원[공공기관]전산직 사서[시스템 개발 기업]도서관시스템개발회사,일반 기업의 데이터베이스관리부서 및 웹서비스 기획 부서교육 목표
정보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정보전문가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문헌정보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학제적 성격을 가진 문헌정보학의 특성을 반영하여 타 학문분야와 융합을 용이하게 하는 과목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졸업시험•졸업시험 과목 대체- 전공 관련 자격증- 비교과포인트: 비교과포인트 800점 초과분 중 전공 비교과포인트 150포인트(1과목 대체)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정보 기획 및 관리 역량 • 정보관리 역량 • 정보문화기획 역량정보 큐레이션 역량 • 정보 큐레이션 역량정보 분석 및 조직 역량 • 정보조직 역량 • 정보분석 역량커뮤니케이션 및 서비스 역량 • 커뮤니케이션 역량 • 서비스 역량정보 검색 및 실무 역량 • 정보검색 역량 • 실무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공공행정트랙법&정책트랙 국가 및 지방직 공무원2 창의융합대학 문학문화콘텐츠학과방송국 및 큐레이션 담당 부서 출판사및 인터넷서점, 북큐레이션 콘텐츠 기획및 서비스 관리3 이외 단과대학 이외 트랙웹 서비스 기획 및 정보관리 부서도서관 정보관리 시스템 및 데이터 구축비품, 용품 제작기업단대내 융합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영미문화콘텐츠트랙방송국 및 큐레이션 담당 부서 출판사및 인터넷서점, 북큐레이션 콘텐츠 기획및 서비스 관리2 역사콘텐츠트랙 민간기업 및 지역아카이브심화 전공 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지역 문화재단 및 아카이브트랙교수진
1
트랙서은경 경력 미국일리노이대학 위험폐기물 연구 및 정보센터 사서, 한국정보관리학회 회장,한국문헌정보학회 부회장, 국가지식정보위원회 위원교과 정보검색의 이해박지영 경력 국가기록관리위원회 위원, 서울기록관리위원회 위원, NKOS(NetworkedKnowledge Organization Systems) 프로그램 기획위원회 위원교과 정보미디어와 리터러시, 분류의 이해, 카테고리와 태그박성재 교과 정보미디어와 리터러시, 도서관과 지식자원, 도서관과 마을공동체, 프로그램 기획과평가, 지식정보의 자원활용박진호 경력 한국예술종합학교 : 예술정보관기획팀장, 예술정보관 건립(2003-2007)국립중앙도서관 : 전문연구관, 국립디지털도서관 건립(2007-2013)주식회사리스트 : 수석연구원, 시맨틱 웹 연구개발(2014-2021)교과 지식의 세계, 문헌정보학 캡스톤디자인, 데이터베이스 기초, 소셜데이터의 이해2트랙정경희 경력 한국기록관리학회 회장, 국회도서관발전자문위원회 위원, 한국도서관협회저작권위원회 위원, 지식의 공유 연대 의장교과 공동체 아카이빙, 문화콘텐츠와 저작권박희진 경력 iSchool Digital Humanities committee(국제정보대학협의회 디지털인문학분과위원회), 한국인터넷자율기구 자율규제 DB 소위원회 위원, 국가기술표준원문헌정보(ISO TC 46) 전문위원회 전문위원교과 메타데이터의 이해, 디지털 자원 큐레이션, 정보시스템 설계와 평가이호신 경력 한국구술사학회 부회장, 한국도서관협회 저작권위원회 위원장, 한국문화예술위원회예술정보관 사서 및 관장,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사서교과 디지털과 지식콘텐츠, 인문콘텐츠와 정보기술, 기록관리의 이해, 미디어로 읽는도서관, 기록으로 읽는 사회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컴퓨터활용능력, 정보처리기사, 독서지도사, 경영 빅데이터분석사, 데이터 분석전문가, 데이터아키텍쳐전문가, SQL전문가, SQL개발자기본역량 관련 자격 ※ 졸업시 2급정사서 자격증 취득필수교과목•지식의 세계 •지식과 정보의 구조 •지식문화경영•도서관과 지식자원 •문헌정보학 캡스톤디자인 •도서관 데이터 구축 실습•문헌정보학 현장실습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디지털인문 정보학트랙Digital Humanities인문학에 디지털기술을 적용하여 세상에 없던 문화콘텐츠를 기획·가공합니다.
Tel 02-760-408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디지털큐레이터콘텐츠 기획자정보관리전문가졸업 후 진로
데이터, 정보, 콘텐츠를 기획, 개발, 관리, 아카이빙, 서비스하는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
[도서관 영역]대학/연구소/방송국/기업체 도서관데이터 전문 사서디지털인문학 사서디지털스칼라쉽 사서[아카이빙 영역]기록관/도서관/박물관/미술관 등 문화유산기관,지역문화재단, 문화원디지털 큐레이터기록물 큐레이터[문화콘텐츠 산업영역]역사/문학/문화유산콘텐츠개발사업기관문화콘텐츠기획자문화콘텐츠분석가디지털출판전문가[디지털정보서비스 산업영역]플랫폼서비스업체, 검색포털업체,온라인서점 등정보관리전문가디지털정보서비스전문가북큐레이터[IT 영역]IT 및 데이터 전문공공기관(예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및 사업체데이터 및 정보정책전문가데이터 및 정보분석가인터페이스디자이너문화유산 앱 개발자[대학원 진학]기록관리전공 대학원, 교육대학원,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기록관리전문가(중앙행정기관 및지방자치단체), 데이터사이언티스트교육 목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정보/지식/문화유산 컨텐츠 기획, 개발, 관리, 서비스에 유능한 디지털큐레이터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문헌정보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타 대학의 문헌정보학 심화전공도 가능한 동시에 공과대학의 IT 및 데이터 전공트랙, 인문대학 내의 문학과 역사트랙 등 학생 관심과 역량에 따른 전공선택이 가능함.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졸업시험 또는 졸업시험 대체• 졸업시험 대체 요건- 컴퓨터 및 언어능력 자격증- 전공 비교과포인트 : 비교과포인트 800점 초과분 중 전공 비교과포인트 150포인트 이상 획득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콘텐츠 기획 역량 • 콘텐츠 개괄적 이해 능력 • 정보탐색 및 서비스기획 능력콘텐츠 분석 및 융합 역량 • 콘텐츠 분석 능력 • 콘텐츠 융합 능력디지털 기술 역량 • 웹 기반 기술 능력 • HCI 분석 능력커뮤니티 이해 및 서비스 역량 • 커뮤니티 이해 능력 • 서비스 제공 능력디지털큐레이션 실무 역량 • 디지털 정보원 평가 능력 • 디지털 콘텐츠 기획및 축적 능력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IT공과대학빅데이터트랙 IT 및 데이터전문공공기관/기업2 디지털콘텐츠·가상현실트랙플랫폼서비스, 검색포털기업,온라인서점 등3 창의융합대학 문학문화콘텐츠학과 문학/문화유산콘텐츠 개발 및서비스공공기관/기업단대내 융합 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역사콘텐츠트랙역사문화큐레이션트랙역사문화콘텐츠 개발 및 서비스기관, 기록관/박물관/미술관 등문화유산기관, 지역문화재단 및 문화원심화 전공 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지식정보문화트랙 대학/연구소/기업체도서관의데이터관리부서트랙교수진
1
트랙정경희 경력 한국기록관리학회 회장, 국회도서관발전자문위원회 위원, 한국도서관협회저작권위원회 위원, 지식의 공유 연대 의장교과 공동체 아카이빙, 문화콘텐츠와 저작권박희진 경력 iSchool Digital Humanities committee(국제정보대학협의회 디지털인문학분과위원회), 한국안터넷자율기구 자율규제 DB 소위원회 위원,국가기술표준원문헌정보(ISO TC 46) 전문위원회 전문위원교과 메타데이터의 이해, 디지털 자원 큐레이션, 정보시스템 설계와 평가이호신 경력 한국구술사학회 부회장, 한국도서관협회 저작권위원회 위원장, 한국문화예술위원회예술정보관 사서 및 관장,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사서교과 디지털과 지식콘텐츠, 인문콘텐츠와 정보기술, 기록관리의 이해, 미디어로 읽는도서관, 기록으로 읽는 사회2트랙서은경 경력 미국일리노이대학 위험폐기물 연구 및 정보센터 사서, 한국정보관리학회 회장,한국문헌정보학괴 부회장, 국가지식정보위원회 위원교과 정보검색의 이해박지영 경력 국가기록관리위원회 위원, 서울기록관리위원회 위원, NKOS(NetworkedKnowledge Organization Systems) 프로그램 기획위원회 위원교과 정보미디어와 리터러시, 분류의 이해, 카테고리와 태그박성재 교과 정보미디어와 리터러시, 도서관과 지식자원, 도서관과 마을공동체, 프로그램 기획과평가, 지식정보의 자원활용박진호 경력 한국예술종합학교 : 예술정보관기획팀장, 예술정보관 건립(2003-2007)국립중앙도서관 : 전문연구관, 국립디지털도서관 건립(2007-2013)주식회사리스트 : 수석연구원, 시맨틱 웹 연구개발(2014-2021)교과 지식의 세계, 문헌정보학 캡스톤디자인, 데이터베이스 기초, 소셜데이터의 이해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2급정사서자격증(트랙졸업 시 취득), 기록관리전문요원(기록관리전공대학원/ 기록관리교육원 연계 필요)기본역량 관련 자격 정보처리기사,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국가공인데이터분석전문가필수교과목•인문콘텐츠와 정보기술 •학술커뮤니케이션의 이해•메타데이터의 이해 •디지털 자원 큐레이션•디지털인문정보학 캡스톤디자인 •문화자원 데이터 리터러시예술학부
동양화 전공Major in Oriental Painting미술문화전통을 올바로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자기 경영능력까지 갖춘 창의적 예술가를 배출합니다.
Tel 02-760-411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예술전문가(실기계열)예술 전문가 (이론계열)졸업 후 진로
창의적 예술 창작활동과 미술문화전통을 토대로 자기 경영능력 직무들이 다양함
작가동양화 화가서예가문화재수리기술자문화재수리기능자일러스트레이터컬러리스트큐레이터(학예사)동양화 이론가예체능계열 교수미술교사미술관장미술학원강사교육 목표
인문학적 소양과 예술적 자질을 갖춘 창의적 예술가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회화과/동양화전공•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트랙제 시행을 통해 동양화전공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를 경험할 수 있고 트랙간의 융합을 통해 다양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음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졸업 작품 심사 통과 • 졸업전시회 및 작품 발표 • 졸업 인정 최소 평점 취득(2.0)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전통적 표현 양식 창조 역량 • 동양매체 활용 역량• 채색기법 이해 역량• 수묵기법 이해 역량인문학적 사고와 세계관 역량 • 동양미학 이해역량• 한국미술사 이해 역량작품 및 전시 기획 역량 • 프로젝트 실행 및 기획 역량• 작품 아카이빙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디자인대학영상·애니메이션디자인트랙 콘텐츠 제작사2 뉴미디어광고·커뮤니케이션디자인트랙 아트 디렉터3 브랜드·패키지디자인트랙 컬러 스타일리스트단대내 융합 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역사문화큐레이션트랙 미술사가심화 전공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동양화전공 동양화 화가2 서양화전공 예술 작가트랙교수진
동
양화전공김선태 경력 현대채색화연구, 전통재료연구, 전통기법현대화연구교과 진채기법, 진채형상, 진채창작연구, 재료학한동호 교과 수묵기법, 수묵형상, 수묵창작연구, 수묵화서양화전공이인현 교과 조형연구, 회화연구, 창작연구허은영 경력 미술세계 미술대전 심사위원, 신라미술대전 심사위원, 단원미술제 심사위원교과 회화워크샵, 에디션워크샵, 에디션연구정헌이 경력 삼성미술문화재단 선임연구원, 미술평론가교과 동시대미술의쟁점, 미술의이해와감상, 성찰적삶을위한그림일기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문화재수리기술자, 문화재수리기능자, 문화예술교육사, 컬러리스트기사기본역량 관련 자격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인디자인 등필수교과목• 동양화기초회화 • 기초필묵• 진채기법Ⅰ • 수묵기법Ⅱ• 수묵형상Ⅰ • 진채형상2• 진채창작연구Ⅱ예술학부
서양화 전공Major in Western Painting미술문화전통을 올바로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자기 경영능력까지 갖춘 창의적 예술가를 배출합니다.
Tel 02-760-411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예술 전문가(실기계열)예술 전문가(이론계열)졸업 후 진로
창의적 예술 창작활동과 미술문화전통을 토대로 자기 경영능력 직무들이 다양함
작가서양화 화가에체능계열 교수일러스트레이터컬러리스트큐레이터(학예사)서양화 이론가전시기획자비평가미술교사미술관장미술학원강사교육 목표
인문학적 소양과 예술적 자질을 갖춘 창의적 예술가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회화과/서양화전공•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트랙제 시행을 통해 서양화전공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를 경험할 수 있고 트랙간의 융합을 통해 다양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음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졸업 작품 심사 통과 • 졸업전시회 및 작품 발표 • 졸업 인정 최소 평점 취득(2.0)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독창적 표현 양식 창조 역량 • 서양매체 활용 역량• 평면 및 입체 구성 역량인문학적 사고와 세계관 역량 • 미술사조 이해 역량• 미술교육론 이해 역량• 비평적 이해 역량작품 및 전시 기획 역량 • 평면 매체 활용 역량• 프로젝트 실행 및 기획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디자인대학영상·애니메이션디자인트랙 콘텐츠 제작사2 VMD·전시디자인트랙 무대 및 세트디자이너3 인테리어디자인트랙 설치미술아티스트단대내 융합 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역사문화큐레이션트랙 미술사가심화 전공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서양화전공 서양화 화가동양화전공 예술 작가트랙교수진
서
양화전공이인현 교과 조형연구, 회화연구, 창작연구허은영 경력 미술세계 미술대전 심사위원, 신라미술대전 심사위원, 단원미술제 심사위원교과 회화워크샵, 에디션워크샵, 에디션연구정헌이 경력 삼성미술문화재단 선임연구원, 미술평론가교과 동시대미술의쟁점, 미술의이해와감상, 성찰적삶을위한그림일기동양화전공김선태 경력 현대채색화연구, 전통재료연구, 전통기법현대화연구교과 진채기법, 진채형상, 진채창작연구, 재료학한동호 교과 수묵기법, 수묵형상, 수묵창작연구, 수묵화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박물관·미술관 학예사, 문화예술교육사, 컬러리스트기사기본역량 관련 자격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인디자인 등필수교과목• 서양화기초회화 • 기초드로잉• 동시대미술의 쟁점 • 조형연구Ⅰ• 에디션워크샵Ⅰ • 회화연구2• 포트폴리오세미나예술학부
한국무용 전공Korean Dance무용지도자를 위한 무용 및 예술 분야의 다채롭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제공합니다.
Tel 02-760-410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예술교육자공연예술분야예술행정가졸업 후 진로
공연예술 분야뿐만 아니라 예술교육자, 예술행정가 등 직무들이 다양함
한국무용 지도자유아발레 지도자문화예술교육 지도자국·시립 등 직업무용단 무용수무용의상 디자이너무대기술자무용 분장사무대 조명안무가문화예술 사무직공연/문화예술 기획자공연/문화예술 디지털 콘텐츠제작자교육 목표
한국무용 전문가 인재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무용과, 무용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본교 트랙제 시행을 통해 전공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트랙을 접할 수 있고, 타 트랙(전공)과의 융합이 가능함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창작발표회(2, 3학년) • 졸업작품발표회(4학년)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전문 무용수 역량 • 기본적인 움직임 수행 역량• 한국 춤 응용 표현 수행 역량• 한국 춤 핵심 기술 수행 역량• 기초 실기 수행 역량공연실연 역량 • 공연예술현장의 다양한 업무에 대한 이해 역량• 무대현장에서의 리더쉽 발휘 역량• 다양한 레퍼토리에 대한 이해 및 수행 역량안무/창작 배양 • 독창적 안무 창작 역량• 프로젝트(무용) 제작 역량한국무용 지도 역량 • 지도자의 역할을 위한 다양한 교수법 모형 이해 역량• 타 장르 무용의 기술 수행 및 표현 향상 역량• 무용 역사의 배경지식 이해 역량• 무용의 기능학적 이해와 활용 역량• 동작 분석 역량• 무용과 음악의 관계 이해 역량문화예술교육역량 • 무용교수학습 이론 이해 역량• 문화예술교육 현장직무에 대한 이해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디자인대학패션디자인트랙 무용 및 무대의상 디자인2 인테리어디자인트랙 무대디자인, 조명디자인3 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 무대 분장4 창의융합대학 문학문화콘텐츠학과 문화예술기획, 무용비평,무용기획, 무용과학단대내 융합 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역사콘텐츠트랙 문화예술기획, 공연기획심화 전공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현대무용전공전문무용수, 안무가2 발레전공트랙교수진
박영애 경력 국제기독교무용협회 회장
교과 연구방법론박재홍 경력 유니버셜발레단 수석무용수/발레마스터, 사단법인 한국발레협회 회장교과 발레, 작품제작실습, 무용교수법김남용 경력 전 국립무용단, 한국춤협회 부이사장, 대한무용학회 부회장, 한량무 이수자교과 한국무용, 작품제작실습, 공연예술현장의 이해정석순 경력 2020 서울무용제 대상, 안무상, 전 스위스 국립 Theater St.gallen 단원교과 현대무용, 작품제작실습, 무용장르3(현대무용)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유아발레 지도자 자격증, 한국무용 지도자 자격증, 한국무용 전통 이수자기본역량 관련 자격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댄스 치료사 자격증, 필라테스 자격증, 요가 자격증, 실버 댄스, 레크레이션 지도사, 공연예술 지도사 자격증필수교과목• 무용기본실기(초급), 전공 1(중급), 전공 2(고급), 전공 3(전문)• 레파토리실습1~4, 작품제작실습1~2예술학부
현대무용 전공Modern Dance무용지도자를 위한 무용 및 예술 분야의 다채롭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제공합니다.
Tel 02-760-410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무용공연예술현장의 현대무용 지도자·교육자전문무용수, 안무가예술행정가졸업 후 진로
공연예술 분야뿐만 아니라 예술교육자, 예술행정가 등 직무들이 다양함
전문무용수안무가예술강사문화예술지도자국·시립 등 직업무용단 무용수무용의상 디자이너무대디자이너조명디자이너무용·연극메이크업 아티스트무용평론가연극·무용작가문화예술기확자교육 목표
현대무용 전문가 인재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무용과, 무용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본교 트랙제 시행을 통해 전공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트랙을 접할 수 있고, 타 트랙(전공)과의 융합이 가능함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창작발표회(2, 3학년) • 졸업작품발표회(4학년)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전문 무용수 역량 • 핵심 기술 수행 역량• 응용 표현 수행 역량공연실연 역량 • 응용 표현 수행 역량 및 확장 표현 수행 역량안무 역량 • 창작 및 공연 수행 역량현대무용 지도자 역량 • 현대무용 이해와 교육을 통한 실천 역량• 무용의 역사와 배경지식의 이해• 기초 실기 수행 역량• 인체의 이해와 실천 역량• 확장 표현 수행 역량• 지도자의 역할을 위한 교육 수행 역량• 타 장르 무용의 기술 수행 및 표현 향상 역량문화예술교육역량 • 현대무용(문화예술)교육 배경지식의 이해 및 실천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디자인대학패션디자인트랙 무용 및 무대의상 디자인2 인테리어디자인트랙 무대디자인, 조명디자인3 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 무대 분장4 창의융합대학 문학문화콘텐츠학과 문화예술기획, 무용비평,무용기획, 무용과학단대내 융합 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역사콘텐츠트랙 문화예술기획, 공연기획심화 전공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한국무용전공전문무용수, 안무가2 발레전공트랙교수진
박영애 경력 국제기독교무용협회 회장
교과 연구방법론박재홍 경력 유니버설발레단 수석무용수/ 발레마스터, 사단법인 한국발레협회 회장교과 발레, 작품제작실습, 무용교수법김남용 경력 전 국립무용단, 한국춤협회 부이사장, 대한무용학회 부회장, 한량무 이수자교과 한국무용, 작품제작실습, 공연예술현장의 이해정석순 경력 2020 서울무용제 대상, 안무상. 전 스위스 국립 Theater St.gallen 단원교과 현대무용, 작품제작실습, 무용장르3(현대무용)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유아발레 지도자 자격증, (민간)댄스치료사, (민간)레크레이션지도사기본역량 관련 자격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댄스 치료사 자격증, 필라테스 자격증, 요가 자격증, 실버 댄스, 레크레이션 지도사, 공연예술 지도사 자격증필수교과목• 무용기본실기(초급), 전공 1(중급), 전공 2(고급), 전공 3(전문)• 레파토리실습1~4, 작품제작실습1~2예술학부
발레 전공Ballet발레분야의 전문무용수, 안무가, 지도자와 문화예술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Tel 02-760-410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창의융합 실연자창의문제해결 창작자양방향소통 지도자졸업 후 진로
공연예술 분야뿐만 아니라 예술교육자, 예술행정가 등 직무들이 다양함
전문무용수안무가예술강사문화예술지도자국·시립 등 직업무용단 무용수무용의상 디자이너무대디자이너조명디자이너무용·연극메이크업 아티스트무용평론가연극·무대작가문화예술기획자교육 목표
• 고전~현대의 다양한 예술표현과 시대적 융합 예술표현 양식을 표현할 수 있는 창의적 실연자 양성• 고전~현대의 양식 융합이나 예술-기술 융합을 통한 시대적/창의적 융합 예술의 창작자 양성• 예술(발레) 콘텐츠 기반의 양방향 에듀테크 활용을 통한 문화예술(발레)을 교육하는 지도자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무용과, 무용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본교 트랙제 시행을 통해 전공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트랙을 접할 수 있고, 융합이 가능함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발레공연 창작 역량: 창작발표회 작품 인증(2회)• 발레공연 수행 역량: 졸업작품발표회 작품 인증(1회)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전문 발레 무용수 역량 • 발레의 움직임 기본 수행 능력 역량• 타 무용 기본 수행 및 활용 역량• 응용 표현 수행 및 창의 역량• 시대별 다양한 레퍼토리에 대한 이해와 전문 무대실연 역량공연예술현장 직무 역량 • 공연예술현장의 다양한 업무에 대한 이해 역량• 무대현장에서의 리더십 발휘 역량발레교육 지도 역량 • 발레의 움직임 원리와 해부 생리학적 지식 기반의 지도 역량• 발레(무용)의 배경지식 이해 역량문화예술교육 역량 •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분석, 평가 역량•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기획, 진행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디자인대학패션디자인트랙 의상 디자인2 인테리어디자인트랙 무대, 조명디자인3 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 무대 분장4 창의융합대학 문학문화콘텐츠학과 문화예술기획, 비평단대내 융합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문학문화콘텐츠트랙 문화예술기획, 비평2 역사콘텐츠트랙 문화예술기획, 공연기획심화 전공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현대무용전공공연 단체/기괸2 한국무용전공트랙교수진
박영애 경력 국제기독교무용협회 회장
교과 연구방법론박재홍 경력 유니버설발레단 수석무용수/ 발레마스터, 사단법인 한국발레협회 회장교과 발레, 작품제작실습, 무용교수법김남용 경력 전 국립무용단, 한국춤협회 부이사장, 대한무용학회 부회장, 한량무 이수자교과 한국무용, 작품제작실습, 공연예술현장의 이해정석순 경력 2020 서울무용제 대상, 안무상. 전 스위스 국립 Theater St.gallen 단원교과 현대무용, 작품제작실습, 무용장르3(현대무용)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바가노바 메소드, RAD지도자, RAD무용수, 유아발레 지도자 자격증기본역량 관련 자격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댄스 치료사 자격증, 필라테스 자격증, 요가 자격증, 실버 댄스, 레크레이션 지도사, 공연예술 지도사 자격증필수교과목• 무용기본실기(초급), 발레 1-1, 발레 1-2, 발레 2-1, 발레 2-2, 발레 3-1• 무대공연실습, 레파토리실습1~4, 작품제작실습1~2미래융합 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에서 4차 산업혁명을 표명하는 ‘미래’와 그 핵심요소인 ‘융합’의 개념을 포함하는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으로 발전
사회현상을 융합 사회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복합적 사회문제에 대한 융합적 솔루션 개발
사회과학부
46 국제무역트랙48 글로벌비즈니스트랙50 기업·경제분석트랙52 경제금융투자트랙54 공공행정트랙56 법&정책트랙58 부동산트랙60 스마트도시·교통계획트랙62 기업경영트랙64 벤처경영트랙66 회계·재무경영트랙사회과학부
국제무역 트랙International Trade학문과 산업의 구분과 경계가 불분명해지는 융합시대로의 산업 특성을 이해합니다.
Tel 02-760-405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글로벌 시장분석 전문가글로벌 무역 전문가졸업 후 진로
현장·실무연계 교육확대로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직무역량인 해외시장의 동향 및 분석, 무역실무 지식
및 외국어를 강화하여 현장 실무형 인재양성주요 직업 일반무역사무원, 해외영업사무원, 수입업무사무원, 물류관리사, 원산지관리사,공기업사무원(KORTA,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 해외무역관사무원(KORTA, KITA,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 글로벌소싱전문가, 자재구매사무원, 관세사, 보세사 등융합 직업 탄소무역전문가, 국제머천다이저, 국제인터넷쇼핑몰운영자, 국제의료마케팅전문가,국제금융사무원, 외환딜러, 경영기획사무원, 국제경영분석가, 한류마케팅전문가,국제회의기획자, 외국법자문사, 물류IT시스템개발자 등교육 목표
• 복합무역시대 국제경제와 무역실무를 융합한 통섭적 교육 지향• 국제통상환경의 분석과 효과적 무역절차의 수립을 결합한 창의적 교육 지향• 수출입 전략을 실무적으로 적용하는 多학제적 교육 지향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他대학의 무역학과, 국제무역학과, 국제물류학과, 국제통상학과 등• 타 대학과의 차별성 :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직무역량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및 트랙인증에 반영했을 뿐만 아니라 취업과 연계한 기본역량을 제시하여 재학생이 글로벌무역전문가로 성장하도록 지원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①, ②, ③ 중 1개 이상 충족 시 졸업인증① 국제무역관련 자격증 취득: 국제무역사(1급), 무역영어(1급), 원산지관리사, 물류관리사, 보세사, 유통관리사(1급·2급), ERP 정보관리사(물류 1급), 전자상거래관리사(1·2급), 전자상거래운용사 등 이와 동등한 자격증② 공인어학성적 취득• 영어 : TOEIC 750점 이상 or Speaking Level 6 (IH 140점 이상), TOEFL(iBT) 87점 이상, TEPS 630점 이상 or TEPS Speaking 56점 이상, IELTS 6.0 이상, OPIc IM2 이상• 일본어 : JLPT N2 이상, JPT 525점 이상• 중국어 : 新HSK 4급 210점 이상(舊HSK 5급 해당), TSC Level 4 이상• 기타 FLEX점수 기준으로 700점 이상 취득한 점수 인정 (베트남어, 스페인어 등)③ 기타졸업인증 : 관세사 최종시험 합격, 무역관련 공모전(단독기준) 3위 이내 입상, 국제경제·상무를 혼합한 전공역량 통합논술시험 합 격 (트랙시행) ※ 3개 기준 중 1개 이상 충족시 트랙 인증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글로벌 무역시장 동향 및 분석 역량 • 국제경제학의 이해역량 • 최신동향 및 이슈탐구 역량• 해외시장조사 및 컴퓨터를 활용한 서류작성 역량글로벌 무역지식 및 활용 역량 • 국제무역절차 및 클레임 대처역량• 글로벌 의사소통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영미언어정보트랙해외영업 및 판매 협상 관련 수출입 기업2 영미문화콘텐츠트랙3 디자인대학 패션마케팅트랙 온·오프라인 상품 기획 및 판매 관련수출입기업단대내 융합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기업경영트랙 상품유통 및 품질관리 관련 수출입기업2 회계·재무경영트랙 무역 회계 및 경영관리 관련 수출입기업심화 전공 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글로벌비즈니스트랙 해외시장전략 및 지원 관련 공기업 및수출입기업트랙교수진
김상조 경력 참여연대 경제개혁센터 소장,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대통령 비서실 정책실장
교과 경제학원론, 글로벌시대의 국제통상, , 국제통상정책론노재확 경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선임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책임연구원,국회입법지원단 입법지원위원, 한성대학교 기획처장 및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학장교과 무역시장분석, 중국통상환경론홍승린 경력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KTC) 전문가/관세청 특허심사위원회 심사위원/보세사 전형출제위원/세계무역협회-IICR 자문위원교과 국제무역보험론, 국제무역학원론, 국제무역운송론, 무역 시뮬레이션 종합설계최원석 경력 한국직업능력개발원(KRIVET) 위촉연구원, 관세청 특허보세판매장 심사위원, 중원대학교국제통상학과 초빙교수교과 글로벌시대의 국제통상, 무역법규론, 무역영어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국제무역사(민간자격), 무역영어(국가공인자격), 원산지관리사(국가공인민간자격), 보세사(국가공인전문자격), 관세사(국가공인전문자격), 물류관리사(국가공인전문자격), 유통관리사(국가공인전문자격), ERP 정보관리사(국가공인민간자격), 전자상거래관리사(국가기술전문자격), 전자상거래운용사(국가기술자격), 수입관리사(민간자격), 스마트해상물류관리사(민간자격, 추후 국가공인민간자격으로 격상 예정)기본역량 관련 자격 컴퓨터활용능력, MOS(Microsoft Office Specialist), 영어(TOEIC·TOEFL·TEPS·IELTS), 일본어(JLPT·JPT), 중국어(HSK), 기타 외국어(FLEX)필수교과목•국제무역학원론 •국제무역운송론•무역법규론 •중국통상환경론•국제무역실무론 •컴퓨터활용과 무역정보처리•무역시뮬레이션 종합설계사회과학부
글로벌 비즈니스 트랙Global Business글로벌비즈니스의 전반적인 교육을 통해 모든 기업문제의 솔루션을 이끕니다.
Tel 02-760-5722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실무형 글로벌비즈니스 전문가졸업 후 진로
경영관리, (국제)마케팅, (국제)물류, 무역, (해외)영업, 회계/재무, 인사/조직 등의 직무들이 다양함
주요 직업 유통관리사, 외환관리사, 감정평가사, FRM, AFPK, CFP, 경영기획담당자, 상품기획자,행사기획자, 마케터, 마케팅전문가, PPL마케터, 네이미스트, 텔레마케터, 문화마케터,미스터리샤퍼, 해외영업원, 영업 및 판매 관리자, 영업관리전문가, 보험설계사, 선박중개인,복합운송주선인, 인사 및 노무 담당자, 교육 및 훈련 담당자 등융합 직업 스포츠에이전트, 체험상품기획자, 여행상품개발전문가, 의료관광코디네이터,저작권에이전트, 키워드에디터, 소비자트렌드분석가, 프로젝션매핑디자이너 등·교육 목표
인성과 역량 측면에서 균형 잡힌 실무형 글로벌비즈니스 전문가 육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경영학과(부), 국제통상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글로벌 경쟁전략, 재무, 마케팅을 기반으로 한 중소/강소기업의 실무형 글로벌 비즈니스 전문가 양성 가능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현장연계형 수업학점 취득 또는 프로그램 이수•프로젝트형 수업학점 취득•어학 관련 수업학점 취득(교양필수 교과목 이외) 또는 프로그램 이수•취업 또는 관련 프로그램 이수•컴퓨터 활용 관련 수업학점 취득(글로벌비즈니스트랙 전필 또는 교양필수 과목 이외) 또는 프로그램 이수 또는 자격 취득※위 5가지 인증기준 중 3가지 이상 충족시 인증(같은 인증 기준 내 중복 충족 가능)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국제경영의 이해 역량 • 글로벌 경영 프로세스 전반에 대한 이해 역량• 국제 경영의 기본 개념 이해 역량글로벌비즈니스 최신 동향 및 이슈 탐구역량• 글로벌 비즈니스 핵심역량파악 역량• 글로벌 비즈니스 경영환경분석 역량국제마케팅 및 국제재무 이해 마케팅 역량 • 글로벌 디지털 환경의 마케팅 성과지표 이해 역량• 글로벌 환경의 재무적 이해 및 분석 역량해외시장조사 및 의사소통 역량 • 해외시장 과학적 조사 분석 역량• 글로벌 의사소통 마인드와 방법적 지식 습득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영미문화콘텐츠트랙 글로벌 문화컨텐츠마케팅 전문가2 디자인대학 패션마케팅트랙 글로벌 패션 마케터,글로벌 패션 산업 전문가3 IT공과대학 산업공학트랙 글로벌 데이터서비스전문가단대내 융합1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기업경영트랙 글로벌 마케팅 전문가2 경제금융투자트랙 글로벌 금융 전문가심화 전공 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국제무역트랙 글로벌 무역서비스 전문가트랙교수진
강명수 경력 현) 한성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 한국경영학회 상임이사, 한국항공경영학회
편집위원장,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평가 위원전)The University of Tennessee at Martin 방문교수, 한국경영학회 편집위원회 운영위원장,관세청 특허심사위원회교과 국제마케팅캡스톤디자인, 글로벌비즈니스마인드, 글로벌비즈니스프리인턴십, 글로벌비즈니스캡스톤디자인, 사회과학 프리인턴십, 현장주도 비즈니스 종합설계이정훈 경력 현)한성대학교 사회과학부 부교수/학생성공센터장, 호서대학교 경영학부교과 글로벌비즈니스마인드, 디지털마케팅, 글로벌비즈니스캡스톤디자인, 글로벌비즈니스프리인턴쉽김기현 경력 현)한성대학교 사회과학부 조교수, 글로벌비즈니스트랙 트랙주임교수, 고려대학교기업경영연구원 아시아경영연구센터 연구위원교과 글로벌시대경영학 프리캡스톤, 국제경영학, 글로벌비즈니스마인드김도완 경력 현) 한성대학교 사회과학부 조교수, 고려대학교 기업지배구조연구소 연구원교과 재무관리, 국제재무관리, 글로벌비즈니스트렌드, 데이터통계분석과 비즈니스,금융파생상품론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유통관리사, 외환관리사, 감정평가사, FRM, AFPK, CFP기본역량 관련 자격 MOS자격증, 컴퓨터 활용능력(1급/2급)필수교과목•글로벌비즈니스마인드 •글로벌시대경영학 프리캡스톤 •국제경영학•국제마케팅캡스톤디자인 •국제재무관리 •글로벌비즈니스트렌드사회과학부
기업·경제 분석트랙Industry & Economy Analysis기존 경제학에 정보통신미디어산업 및 4차 산업과 관련한 다양한 지식을 접목시킵니다.
Tel 02-760-406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융합형 경제·기업 분석 전문가경제·산업의 경쟁상황 파악 분석 전문가경제학적 실무형 전문가졸업 후 진로
경제학 기초 이론 및 사회 경제, 국가 경제 관련 이론을 바탕으로 졸업 후에는 기업, 국가 기관등 진출
자산관리 전문가,리스크관리전문가, 재무분석가,투자분석가, 펀드매니저,금융회사 및 금융공기업직원,금융자산관리사, 외환관리사,자산운용전문가, 신용평가사,투자자문사, 금융지주회사,재무설계사경제 관련 국제기구,경제 관련 일반 기업체,유통 및 마케팅 국내외 회사,수출입 관련 공공기관,재경직 공무원,경제/경영 관련 언론사정부출연 및 지자체 출연연구기관, 중앙정부 및지방자치단체 경제 연구원, 환경이코노미스트, 빅데이터 분석전문가교육 목표
일반 경제 관련 기업 및 재정/세무 전문가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경제학과(부)•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한성대학교 전체의 트랙제 시행을 통해 21세기 경쟁력 있는 융합형 경제학도가 가능함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공인어학시험 성적 : 토익600점, 토플74점(IBT), 토익스피킹 120점, TEPS 520점, OPIC IM2이상, 제2외국어중국어HSK4급이상, 일본어JLPT2급이상, JPT540점 이상 등•관련 자격증 취득 : 공인회계사, 변호사, 세무사, 보험계리사, 감정평가사, 공인노무사, 관세사, 공무원 시험, 증권투자권유대행인 및 펀드투자권유대행인 자격증 2종, 은행FP, 국내 및 국제재무분석사(FRM), 투자자산운용사, 금융투자분석사, 국제재무분석사(CFA LEVEL1), 재무관리사(CFP), 신용위험분석사(CRA), SAS 국제공인자격증(Base 이상), 전산세무회계 등 이와 동등한 자격증으로 트랙주임교수가 판단하는 경우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경제학적 사고 역량 • 미시경제학 원리의 기본적 사고• 시장의 수요, 공급, 균형을 이용한 미시경제학적 사고미시경제학의응용적 사고 역량• 법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응용적 사고• 규제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응용적 사고• 함수와 모양설정을 이용한 계량경제학을 통해 경제를 분석하는 응용적 사고• 조세의 기본 구조를 이해하고 조세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응용적 사고• 정부의 조세 및 재정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응용적 사고• 정부의 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응용적 사고사회적 이슈대응 역량• 산업조직을 경제학적으로 분석, 이해하는 능력• 산업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제학적 분석능력IT 및 정보통신 분야경제학 분석 역량• 정보통신미디어 산업의 경제학적 분석, 이해하는 능력• 디지털 경제와 기업전략의 경제학적 이해 분석 능력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지식정보문화트랙문화 예술 및 데이터 경영자2창의융합대학문학문화콘텐츠학과3 AI응용학과 데이터분석가/Data Analyst단대내 융합1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국제무역트랙국제 무역사 및 경제통상 전문가2 글로벌비지니스트랙3 부동산트랙 금융부동산 종합자산관리전문가4 회계·재무경영트랙 회계 재무 경영 관리자심화 전공 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경제금융투자트랙 금융 데이터 전문직트랙교수진
이내찬 경력 정보통신정책 연구위원, 전 김앤장 방문교수
교과 게임이론의 이해, 플랫폼 경제의 다이나미즘과 미래, 디지털경제와 기업전략여효성 경력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위원교과 미시경제학, 재정학, 산업조직이론, 계량경제학김정렬 경력 한국경제 연구원, 예금보험공사 연구위원교과 경제금융투자이해, 금융시장론, 파생상품론, 보험시장론김상봉 경력 SK 경영경제 연구소 연구위원교과 금융과 생활, 거시경제학, 화폐금융이론, 국제금융론, 행동경제학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공무원, 공인회계사, 변호사, 세무사, 보험계리사, 감정평가사, 공인노무사, 관세사, 증권투자권유대행인 및 펀드투자권유대행인 자격증 2종, 은행FP, 국내 및 국제재무분석사(FRM), 투자자산운용사, 금융투자분석사, 국제재무분석사(CFA LEVEL 1), 재무관리사(CFP), 신용위험분석사(CRA), 원산지관리사, 국제무역사 1급 등기본역량 관련 자격 인터넷정보관리사, 공인중개사, 컴퓨터활용능력, 인터넷IEQ(윤리자격), 주니어 TESAT, MOS자격증 등필수교과목•경제원론Ⅰ(미시경제기초), 미시경제학, 산업조직이론, 재정학•조세경제학, 경제정책, 법경제학사회과학부
경제금융 투자트랙Economics Finance&Investment경제이론의 기초를 바탕으로 빅데이터에 기반한 데이터분석기술을 학습합니다.
Tel 02-760-460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융합형 금융·경제 분석 전문가빅데이터에 기반한 경영전략을 통한 데이터분석능력졸업 후 진로
경제학 기초 이론 및 사회 경제, 국가 경제 관련 이론을 바탕으로 졸업 후에는 기업, 국가 기관등 진출
자산관리 전문가, 리스크관리전문가, 재무분석가,투자분석가, 펀드매니저, 금융회사 및금융공기업직원, 금융자산관리사, 외환관리사,자산운용전문가, 신용평가사, 투자자문사,금융지주회사, 재무설계사정부출연 및 지자체 출연 연구기관, 중앙정부 및지방자치단체, 경제연구원, 환경 이코노미스트,빅데이터 분석 전문가트랙교육목표
경제 금융투자 트랙은 경제이론을 기초로 하며 금융 및 투자이론, 금융비지니스와 데이터 분석능력, 디지털 기술 습득 등의 융합 과정을 통해 경제 전문가 및 금융투자 전문가, 전략기획 전문가의 양성을 목표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경제학과(부)•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한성대학교 전체의 트랙제 시행을 통해 21세기 경쟁력 있는 융합형 경제학도가 가능함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공인어학시험 성적 : 토익600점, 토플74점(IBT), 토익스피킹 120점, TEPS 520점, OPIC IM2이상, 제2외국어중국어HSK4급이상, 일본어JLPT2급이상, JPT540점 이상 등• 관련 자격증 취득 : 공인회계사, 변호사, 세무사, 보험계리사, 감정평가사, 공인노무사, 관세사, 공무원 시험, 증권투자권유대행인 및 펀드투자권유대행인 자격증 2종, 은행FP, 국내 및 국제재무분석사(FRM), 투자자산운용사, 금융투자분석사, 국제재무분석사(CFA LEVEL1), 재무관리사(CFP), 신용위험분석사(CRA), SAS 국제공인자격증(Base 이상), 전산세무회계 등 이와 동등한 자격증으로 트랙주임교수가 판단하는 경우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경제학적 사고 역량 • 거시경제지표를 통해 경제현상을 분석하는 능력• 정부의 정책이 파급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능력금융 및 투자산업에 대한 이해 역량 • 산업별 현황 파악 및 분석 능력• 공정경쟁의 문제를 경제적으로 분석하는 능력실무 및 프로그램 활용 역량 •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에 관련된 실무 프로그램을 활용하여금융기술에 접목시킬 수 있는 능력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지식정보문화트랙문화 예술 및 데이터 경영자2 창의융합대학 문학문화콘텐츠학과3 IT공과대학 산업공학트랙 운영 및 생산 관리자단대내 융합1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국제무역트랙국제 무역사 및 경제통상 전문가2 글로벌비즈니스트랙3 부동산트랙 금융부동산 종합자산관리 전문가4 회계·재무경영트랙 회계 재무 경영 관리자심화 전공 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기업·경제분석트랙 금융 데이터 전문직트랙교수진
김정렬 경력 한국경제 연구원, 예금보험공사 연구위원
교과 경제금융투자이해, 금융시장론, 파생상품론, 보험시장론김상봉 경력 SK 경영경제 연구소 연구위원교과 금융과 생활, 거시경제학, 화폐금융이론, 국제금융론, 행동경제학이내찬 경력 정보통신정책 연구위원, 전 김앤장 방문교수교과 게임이론의 이해, 플랫폼 경제의 다이나미즘과 미래, 디지털경제와 기업전략여효성 경력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위원교과 미시경제학, 재정학, 산업조직이론, 계량경제학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공무원, 공인회계사, 변호사, 세무사, 보험계리사, 감정평가사, 공인노무사, 관세사, 증권투자권유대행인 및 펀드투자권유대행인 자격증 2종, 은행FP, 국내 및 국제재무분석사(FRM), 투자자산운용사, 금융투자분석사, 국제재무분석사(CFA LEVEL 1), 재무관리사(CFP), 신용위험분석사(CRA), 원산지관리사, 국제무역사 1급 등기본역량 관련 자격 인터넷정보관리사, 공인중개사, 컴퓨터활용능력, 인터넷IEQ(윤리자격), 주니어 TESAT, MOS자격증 등필수교과목•경제금융투자이해(거시경제기초), 거시경제학, 금융통계학, 보험시장론•국제금융론, 노동경제학, 파생상품론, 행동경제학 종합설계사회과학부
공공행정 트랙Public Administration행정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각 분야의 공직 전문성을 배양합니다.
Tel 02-760-407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행정공무원행정연구원공기업 공공기관 행정직 담당자졸업 후 진로
공공부문, 민간부문 정책분석 관련 직무분야 및 공무원 등으로 진출
국제기구공무원검찰공무원경찰공무원소방공무원선거행정직 공무원세무직 공무원출입국관리직 공무원공공데이터분석가사회과학연구원통계 및 설문조사원시장 및 여론조사전문가대학교 교육행정사무원공공기관·공기업인사담당자재무담당자공공행정컨설턴트교육 목표
공직자로서의 윤리 의식과 공직수행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행정학과(부)•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한성대학교의 트랙제를 기반으로 학제 간 융합을 통해 종합적·분석적 공공관리역량 및 공공문제해결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 제공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공무원 채용시험 합격 및 취업 • 공공부문 및 컴퓨터관련 자격증 취득• 영어성적 기준 점수 이상 획득 • 자원봉사활동 50시간 이상• 산업체 인턴십 40시간 이상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행정학적 사고역량 • 행정이론 이해역량 • 융합적 행정개념 적용역량분석적 문제진단 및 해결 역량 • 방법론 기반 자료 해석역량 • 행정사례분석역량효과적 의사소통 역량 • 의사전달역량 • 지능정보서비스 전달역량공공리더십 역량 • 윤리적 리더십 역량 • 경찰리더십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지식정보문화트랙 사서직공무원(중앙행정부처, 지방직)2 역사콘텐츠트랙 학예연구직 공무원 (학예연구사)연구직 공무원 (기록연구사)3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공공부문데이터 관리전문가4 창의융합대학 AI응용학과 공공데이터분석가, 정책설계전문가단대내 융합1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부동산트랙 지적직 공무원2 스마트도시·교통계획트랙 스마트시티전문가, 도시재생전문가심화 전공 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법&정책트랙 국가직·지방직 공무원, 공공행정전문가,사회과학연구원트랙교수진
정진택 경력 입법고시 정보체계 출제위원, KOICA ICT 기술 평가위원, 서울시 ICT 기업 투자유치 자문위원
교과 스마트 정부론, 행정과IT활용윤경준 경력 한국국정관리학회 회장, 대통령소속 지방행정체제개편추진위원회 자문위원,대통령소속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자문위원교과 행정조사방법론, 환경정책론전주상 경력 통계청 자체평가위원장, 행정자치부 정부혁신 평가위원, 행정자치부 지방자치단체합동평가위원교과 지방행정론, 정부개혁론최천근 경력 경찰공무원, 대통령소속 자치분권위원회 자치경찰특위 특별위원, 기획재정부공공기관경영평가단 평가위원교과 행정통계론, 경찰행정론(캡스톤디자인), 공기업론조문석 경력 한국행정학회 운영위원, 행정안전부 산하기관 경영평가위원교과 재무행정론, 증거기반정책종합설계(캡스톤디자인)김지성 경력 여성가족부 자체평가위원·정책자문위원, 한국인사행정학회 연구이사, 고려대정부학연구소 연구교수교과 행정학원론, 공공조직론, 인사행정론김은주 경력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 국제개발협력위원회 평가전문위원, 외교부 정책자문위원교과 리더를 위한 정책학, 정부규제론한명진 경력 대법원 재판연구관, 헌법재판연구원 책임연구관, 환경부 자체규제심사위원회전문위원, 환경부 적극행정위원회 전문위원교과 헌법, 행정법Ⅰ, 행정법Ⅱ, 생활속의 법(교양)강문호 경력 서울행정학회 총무이사, 국가위기관리학회 특임이사교과 도시행정론, 행정윤리, 인간개발론, 행정 및 정책 사례연구김경희 경력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위원, 공무원시험 출제위원, 면접심사위원교과 정책결정론, 복지정책론, 공무원시험특강, 리더십개발론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행정사, 사회복지사, 변호사, 변리사, 회계사, 세무사, 관세사, 공인회계사 등기본역량 관련 자격 정책분석평가사, 컴퓨터 활용능력, 정보처리기사/산업기사, 통계분석, 사회조사분석사, 통계패키지(R, SAS, SPSS, STATA 등) 활용 능력필수교과목•행정학원론 •공공조직론 •인사행정론•재무행정론 •행정 및 정책사례 연구 •공무원 시험특강•경찰행정론 캡스톤디자인 •행정조사방법론사회과학부
법&정책 트랙Law and Policy정의 안에서 바람직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법학과 정책학을 공부합니다.
Tel 02-760-407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정책분석가·연구원정책컨설턴트행정공무원졸업 후 진로
공공부문, 민간부문 정책분석 관련 직무분야 및 공무원 등으로 진출 가능함
국가직/지방직 공무원교육행정직 공무원사회복지직 공무원검찰사무직 공무원외무공무원경찰군무원관세공무원공공기관, 공기업 사무원국책/민간 연구기관 연구원공공빅데이터 전문가사회과학연구원여론조사 전문가공공/민간 컨설턴트국회·지방의회 의원 보좌관언론인대학교 교육행정사무원민간기업 인사/재무 사무원도시개발전문가관세사비정부기구(NGO)전문가교육 목표
종합적인 사고력, 데이터 분석 능력,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여 바람직한 사회 구현할 수 있는 정책전문가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정책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정책학, 법학, 소프트웨어 활용 데이터 분석 역량을 두루 겸비하여 사회문제와 정책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적인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학제간 교육과정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취업 • 공무원 채용시험 합격 및 취업• 공공부문 및 컴퓨터관련 자격증 취득 • 영어성적 기준 점수 이상 획득• 자원봉사활동 50시간 이상 • 산업체 인턴십 40시간 이상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법적 사고 및 판단 역량 • 법적 문제이해역량정책 분석 및 활용 역량 • 정책이론 이해역량 • 방법론 기반 정책 분석역량• 정책유형별 사례분석역량행정 역량 • 행정기술 활용역량 • 정책문제 해결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지식정보문화트랙 사서직 공무원2창의융합대학AI응용학과 공공데이터 분석 전문가정책설계 전문가3 문학문화콘텐츠학과 기자, 언론·미디어 출판인단대내 융합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스마트도시·교통계획트랙 스마트시티전문가,도시재생전문가2 부동산트랙 지적직 공무원심화 전공 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공공행정트랙 국가직 및 지방직 일반행정직렬공무원, 정책분석가, 행정사트랙교수진
정진택 경력 입법고시 정보체계 출제위원, KOICA ICT 기술 평가위원, 서울시 ICT 기업 투자유치
자문위원교과 스마트 정부론, 행정과IT활용윤경준 경력 한국국정관리학회 회장, 대통령소속 지방행정체제개편추진위원회 자문위원,대통령소속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자문위원교과 행정조사방법론, 환경정책론전주상 경력 통계청 자체평가위원장, 행정자치부 정부혁신 평가위원, 행정자치부 지방자치단체합동평가위원교과 지방행정론, 정부개혁론최천근 경력 경찰공무원, 대통령소속 자치분권위원회 자치경찰특위 특별위원, 기획재정부공공기관경영평가단 평가위원교과 행정통계론, 경찰행정론(캡스톤디자인), 공기업론조문석 경력 한국행정학회 운영위원, 행정안전부 산하기관 경영평가위원교과 재무행정론, 증거기반정책종합설계(캡스톤디자인)김지성 경력 여성가족부 자체평가위원·정책자문위원, 한국인사행정학회 연구이사, 고려대정부학연구소 연구교수교과 행정학원론, 공공조직론, 인사행정론김은주 경력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 국제개발협력위원회 평가전문위원, 외교부 정책자문위원교과 리더를 위한 정책학, 정부규제론한명진 경력 대법원 재판연구관, 헌법재판연구원 책임연구관, 환경부 자체규제심사위원회전문위원, 환경부 적극행정위원회 전문위원교과 헌법, 행정법Ⅰ, 행정법Ⅱ, 생활속의 법(교양)강문호 경력 서울행정학회 총무이사, 국가위기관리학회 특임이사교과 도시행정론, 행정윤리, 인간개발론, 행정 및 정책 사례연구김경희 경력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위원, 공무원시험 출제위원, 면접심사위원교과 정책결정론, 복지정책론, 공무원시험특강, 리더십개발론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정보처리기사/산업기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변호사, 변리사, 회계사, 세무사, 관세사, 행정사, 노무사, 사회복지사, 감정평가사, 정보관련기술 자격증 등기본역량 관련 자격 컴퓨터활용능력, 워드프로세서, 사회조사분석사, 정책분석평가사, 통계패키지(SPSS, R, STATA, SAS, Python) 활용 능력, 데이터 분석 능력필수교과목• 리더를 위한 정책학 • 정책결정론 • 정책분석론 • 헌법 • 행정법• 리더십개발론 • 공기업론 캡스톤디자인 • 증거기반정책종합설계사회과학부
부동산 트랙Real Estate전 국토의 86.7%를 차지하고 있는 부동산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획득합니다.
Tel 02-760-442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부동산관리전문가부동산투자전문가부동산연구가졸업 후 진로
영리·비영리 조직의 부동산 투자, 자산, 연구 직무들이 다양함
부동산자산관리시설관리회사부동산정보제공업체주택관리사주택관리공단한국자산관리공사한국토지신탁부동산자산운용사부동산신탁회사은행/보험사/증권사 부동산팀연기금(국민연금 대체투자팀)한국감정원국토연구원한국건설산업연구원한국주택금융공사레저/프랜차이즈업체(입지/상권분석)교육 목표
부동산 실무형 인재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부동산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한성대학교 전체의 트렉제 시행을 통해 특정 분야의 부동산 전문가로 융합이 가능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전공 관련 자격증 취득(지적기사, 공인중개사, 감정평가사등)• 토익 점수 700점 이상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부동산학 이론 역량 • 부동산학에 대한 기초 및 경제학적 사고 역량• 부동산평가 및 회계에 대한 역량부동산학 응용 역량 • 부동산학의 법률적 사고 역량• 부동산개발 및 관리에 대한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IT공과대학 빅데이터트랙 부동산정보회사2 디자인대학 인테리어디자인트랙 부동산인테리어, 건축회사단대내 융합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회계·재무경영트랙 일반회사, 금융회사, 회계사무소2 기업경영트랙 일반회사, 금융회사심화 전공 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스마트도시·교통계획트랙 도시재생전문가, 도시환경전문가트랙교수진
이용만 경력 LG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前한국주택학회 회장, 前한국부동산분석학회 회장
교과 부동산금융민태욱 경력 공인회계사, 감정평가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이사교과 부동산공법, 부동산회계 및 세무, 감정평가임병준 경력 前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교보증권 애널리스트, 한국부동산부석학회 이사교과 부동산경제김병진 경력 前한국가정법률상담소 상담위원교과 부동산사법, 부동산경매조재우 경력 KAIST4차산업혁명지능정보센터 연구원, 카카오벤처스 자문위원교과 지속가능도시개발론, 도시설계와 단지계획, 스마트도시와 교통,도시재생 캡스톤디자인남두희 경력 한국교통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ITS학회 상임이사, 서울시 교통영향평가 심의위원교과 교통계획, 교통분석 및 설계, 대중교통계획 및 운영, 공간지리정보체계론,도시재생 캡스톤디자인백성준 경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원, 前대우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교과 도시계획론, 지역개발계획과 사회공헌, 도시 및 부동산정책론,도시재생 캡스톤디자인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지적기사, 지적산업기사 등기본역량 관련 자격 감정평가사, 공인중개사 등필수교과목• 부동산경제론• 부동산공법론• 부동산과 컴퓨터• 부동산시장분석론• 감정평가론• 부동산시설관리론사회과학부
스마트도시·교통계획트랙Smart City and Transit Planning과거와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스마트한 도시의 진화를 이끌어갑니다.
Tel 02-760-5725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도시계획전문가교통계획전문가졸업 후 진로
정부 및 지자체 공무원, 공공기관, 일반기업의 도시계획, 도시재생, 교통계획, 측량 등 직무 다양
[정부 및 지자체 공무원] 도시계획직/환경직/지적직[공공기관] 국토연구원/한국토지주택공사/서울주택공사/한국국토정보공사/환경정책평가연구원[일반기업] 도시/환경/건축/부동산 관련 직군[전문가] 도시계획가/도시재생전문가/환경컨설턴트[융합 직업] 퍼실리테이터/도시디자이너/녹색건축전문가/기후변화전문가/유비쿼터스도시기획자/에너지,환경 및 기후변화관련 민간연구소 연구원[정부 및 지자체 공무원] 교통계획직[공공기관] 국토연구원/교통연구원/환경정책평가연구원[일반기업] 교통/환경/공간정보/부동산 관련 직군[전문가] 교통계획가/측량 및 지리정보 전문가/환경컨설턴트[융합 직업] 퍼실리테이터/도시디자이너/녹색건축전문가/기후변화전문가/유비쿼터스도시기획자/에너지,환경 및 기후변화관련 민간연구소 연구원교육 목표
스마트기술에 기반한 도시와 교통을 만들어가는 전문가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도시계획, 교통공학•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트랙제를 통한 부동산, 공공정책, 빅데이터, 건축디자인 등과의 융합으로 보다 창의적이고 포괄적인 차원에서 도시교통분야 전문가로 양성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최소한으로 요구하는 역량 : 도시 및 교통 전문지식, 문제해결능력, 소통능력, 창의성 능력• 역량 인증 세부 조건 : 관련 분야 국가공인자격증(기사), High-Success Point 내역• 인증기준 : 세부조건을 모두 수행했을 경우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공간정보구축 및 교통설계 역량 • 교통계획에 대한 기초 및 활용 역량• 공간정보구축에 대한 기초 및 활용 역량도시계획 및 도시재생 역량 • 스마트도시와 도시계획의 기초 및 활용 역량• 도시재생의 기초 및 활용능력에 대한 역량환경 및 에너지 영향평가 역량 • 환경법에 대한 기초 및 법률적 사고 역량• 도시, 환경, 경제학의 연관성에 대한 기초 및 경제학적 사고 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커뮤니티 아카이빙(기록학)2 디자인대학 인테리어디자인트랙 재생건축, 도시설계단대내 융합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법&정책트랙 도시재생, 도시행정2 벤처경영트랙 공간기반비즈니스, 프롭테크심화 전공 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부동산트랙 부동산개발, 녹색자산관리트랙교수진
조재우 경력 KAIST4차산업혁명지능정보센터 연구원, 카카오벤처스 자문위원
교과 지속가능도시개발론, 도시설계와 단지계획, 스마트도시와 교통,도시재생 캡스톤디자인남두희 경력 한국교통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ITS학회 상임이사, 서울시 교통영향평가 심의위원교과 교통계획, 교통분석 및 설계, 대중교통계획 및 운영, 공간지리정보체계론,도시재생 캡스톤디자인백성준 경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前대우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교과 도시계획론, 지역개발계획과 사회공헌, 도시 및 부동산정책론, 도시재생캡스톤디자인민태욱 경력 공인회계사, 감정평가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이사교과 부동산회계론, 부동산조세론, 부동산공법론, 감정평가론이용만 경력 LG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前한국주택학회 회장, 前한국부동산분석학회 회장교과 부동산학의 이해, 부동산투자금융론, 부동산경제론임병준 경력 前대우경제연구소 연구원교과 부동산과 컴퓨터, 부동산시장분석론김병진 경력 前한국가정법률상담소 상담위원교과 부동산학의 이해, 부동산사법, 부동산권리분석 및 경매, 도시 및 환경법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도시계획기사, 교통기사, 공인중개사기본역량 관련 자격 정보처리기사필수교과목• 스마트도시와 교통 • 도시설계와 단지계획• 도시계획론 • 교통분석 및 설계• 교통계획 • 지속가능도시개발론• 지역개발계획과 사회공헌 • 스마트도시 캡스톤디자인사회과학부
기업경영 트랙Business Administration모든 경영조직의 경영현상에 관한 이론과 응용 속에서 현장실무능력을 강화합니다.
Tel 02-760-404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홍보·마케팅 전문가인사 전문가전문경영자졸업 후 진로
영리 비영리 조직의 홍보 마케팅, 인사, 전략, 경영관리 분야
마케팅 관리자홍보 전문가Hospitality 관리자패션마케터스포츠마케터문화예술 마케터유통관리자브랜드, 상품 관리자노무사인적자원관리자인사/노사 관리자경영교육 전문가일반기업 경영자중소벤처경영자글로벌 경영자부동산 경영자경영컨설턴트공기업 관리자
교육 목표
기업경영 실무형 인재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경영학과(부)•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한성대학교 전체의 트랙제 시행을 통해 특정분야의 경영자로 융합이 가능함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회계사, 노무사,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영지도사 등 자격증 취득• 공인어학성적 기준 점수 이상 획득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직무분석 및 성과관리 역량 • 성과관리 역량 • 직무관리 역량조직목표 수립 및 관리 역량 • 성과통제 역량 • 전략적 통제 역량시장분석 및 마케팅믹스관리 역량 • 시장기회 분석 역량 • 마케팅전략 수립 역량• 마케팅믹스 실행 역량 • 마케팅 성과분석 역량기업가 역량 • 경영관리 역량 • 전략수립 역량• 경영기술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디자인대학 패션마케팅트랙 패션 기업 마케터2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영미언어정보트랙 글로벌 경영자3 창의융합대학 문학문화콘텐츠학과 문화예술 경영자단대내 융합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글로벌비즈니스트랙 글로벌 경영자2 부동산트랙 부동산 경영자심화 전공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회계·재무경영트랙 일반 기업 경영자2 벤처경영트랙 중소벤처 경영자트랙교수진
신민철 경력 대우증권 SPAC 사외이사
교과 소비자행동, 마케팅전략, 유통관리차종석 경력 삼성종합기술원, Accenture교과 조직행동론, 인적자원관리주영혁 교과 마케팅원론, 하이테크마케팅, 서비스마케팅, 마케팅프리인턴십하성욱 교과 경영전략, 인적자원관리, 비즈니스AI융합프로젝트, 거시조직론권상집 경력 CJ E&M 인사팀, CJ그룹 회장실 인사팀교과 기업가정신, 거시조직론, 변화와 혁신관리, 경영전략차문경 경력 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교과 서비스마케팅류종현 경력 한화생명 연수원교과 노사관계론, 기업윤리, 조직행동론, 리더쉽과 인간이동주 경력 LG전자 산업연구원교과 경영데이터의 이해, 비즈니스애널리틱스 종합설계, 인터넷비즈니스론최강화 교과 비즈니스통계, 서비스운영관리정균범 교과 관리회계, 원가회계, 회계원리김윤식 교과 신상품 마케팅전략정라미 교과 경영전략, 거시조직론문혜진 교과 조직행동론, 인사관리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경영지도사, 노무사, 텔레마케팅관리사, 소비자전문상담사 1급/2급, 사회조사분석1급/2급, 전산회계운용사, 컨벤션기획사 1급/2급, 국제무역사 2급, 원산지실무사, 외식경영관리사, 인적자원개발사 등기본역량 관련 자격 SMAT(서비스경영자격), 구매자재관리사, 인터넷정보관리사, 공인중개사, 컴퓨터활용능력, 인터넷IEQ(윤리자격), 주니어TESAT 등필수교과목• 인적자원관리론 • 유통관리론 • 경영전략• 노사관계론 • 서비스품질경영 • 서비스마케팅• 마케팅커뮤니케이션 • 마케팅프리인턴십사회과학부
벤처경영 트랙Venture Management벤처 및 혁신기업의 취업과 창업에 필요한 창의적 전문경영능력향상을 도모합니다.
Tel 02-760-404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벤처기업 창업가전문 경영인력경영혁신 전문가졸업 후 진로
영리·비영리 조직의 벤처기업 및 전문 경영인력 관련 직무들이 다양함
벤처기업가벤처기업 전문경영인비즈니스 프로세스분석가하이테크 제품 마케터콘텐츠사업 마케터시장조사 및 분석 전문가IT산업분석가서비스혁신전문가전자상거래/모바일거래 기획자앱 기획자콘텐츠사업 기획자신상품기획전문가교육 목표
벤처경영 실무형 인재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경영학과(부)•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한성대학교 전체의 트랙제 시행을 통해 특정분야의 경영자로 융합이 가능함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회계사, 노무사,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영지도사 등 자격증 취득• 공인어학성적 기준 점수 이상 획득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사업환경 및 기회분석 역량 • 데이터 구조 이해 및 설계/분석 역량• 시장 이해 및 분석 역량• 첨단 기술 이해 및 신상품 개발 및 판매 역량• 데이터 분석 역량• 시장 이해 및 분석에 따른 상품 개발 역량기업가 정신 역량 • 앙트레프러너쉽 이해 및 구현 역량• 시장 분석 및 대응 변화 역량신사업 기획 역량 • 비즈니스 프로세스 이해 역량• 금융 시장 이해 및 재무전략 운용 능력• 인터넷 환경 이해 및 신사업 모델 개발 역량벤처경영 관리 역량 • 데이터 관리 역량• 비즈니스 문제 해결 역량• 정보시스템 관리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IT공과대학빅데이터트랙 경영 데이터 분석가2 모바일소프트웨어트랙 IT 분야 하이테크 기업 창업단대내 융합 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기업·경제분석트랙 벤처창업 및 하이테크 산업 정책심화 전공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기업경영트랙일반 기업 경영자2 회계·재무경영트랙트랙교수진
이동주 경력 LG전자 산업연구원
교과 경영데이터의 이해, 비즈니스애널리틱스 종합설계, 인터넷비즈니스론이형용 교과 경영데이터베이스론, 경영정보학원론, 재무정보시스템, IT와 사회최강화 교과 비즈니스통계, 서비스운영관리신재호 교과 공급사슬전략, 벤처비즈니스프로세스분석, 비즈니스통계, 서비스운영관리신민철 경력 대우증권 SPAC 사외이사교과 소비자행동, 마케팅전략, 유통관리차종석 경력 삼성종합기술원, Accenture교과 리더쉽, 인적자원관리론, 조직행동론주영혁 교과 마케팅원론, 서비스 마케팅, 하이테크 마케팅, 마케팅프리인턴십엄윤성 교과 재무관리, 투자론, 파생금융상품, AI를 이용한 주식가치평가김용식 교과 고급회계, 중급회계하성욱 교과 경영전략, 인적자원관리, 비즈니스AI융합프로젝트, 거시조직론김윤식 교과 신상품 마케팅전략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데이터분석전문가, 경영지도사, 창업지도사, 사회조사분석사, 물류관리사, 전자상거래관리사, 전자상거래운용사, 정보시스템감리사(CISA) 등기본역량 관련 자격 MOS(Microsoft Office Specialist), 컴퓨터활용능력 등필수교과목• 경영데이터베이스론 종합설계 • 시장조사론• 인터넷비즈니스론 • 자금조달전략• 혁신과 변화관리 • 신상품 마케팅전략• 벤처비즈니스프로세스분석사회과학부
회계·재무 경영트랙Accounting & Finance Management회계·재무·세무·금융 등을 융합한 전공과목의 단계별 교육과정을 이수합니다.
Tel 02-760-404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회계관련 전문가재무관리 전문가세무관련 전문가졸업 후 진로
영리·비영리 조직의 분석형 전문경영 인력 관련 직무들이 다양함
회계담당자공인회계사은행텔러여신심사역신용평가사기업인수합병전문가재무담당자리스크관리자주식/채권투자분석가유가증권상장심사원금융상품개발자주식/채권펀드매니저프랍트레이더재무컨설턴트세무회계사무원조세공무원세무사교육 목표
회계·재무경영 실무형 인재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경영학과(부)•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한성대학교 전체의 트랙제 시행을 통해 특정분야의 경영자로 융합이 가능함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회계사, 노무사,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영지도사 등 자격증 취득• 공인어학성적 기준 점수 이상 획득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재무제표 작성 및 분석 역량 • 기업관리 역량• 기업분석 역량제조원가 계산 및 분석 역량 • 제조원가 분석 역량• 제조원가 통제 역량재무계획 수립 및 관리 역량 • 재무관리 역량• 경영분석 역량• 재무데이터 분석 역량금융상품 이해 및 투자계획 역량 • 투자계획 수립 역량• 전략수립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 1 IT공과대학 빅데이터트랙 회계·재무데이터 분야단대내 융합 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글로벌비즈니스트랙 국제 회계·재무심화 전공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기업경영트랙 일반 기업 경영자2 벤처경영트랙 벤처 기업 경영자트랙교수진
엄윤성 교과 재무관리, 투자론, AI를 이용한 주식가치평가김용식 교과 고급회계, 중급회계정균범 교과 관리회계, 원가회계, 회계원리임지은 교과 금융기관론, 파생금융상품이상혁 교과 회계의 이해, 세무회계실무이형용 교과 경영데이터베이스론, 경영정보학원론, 재무정보시스템, IT와 사회자격증직무역량 관련 자격 회계사(CPA), 세무사(CTA),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1급, 재무분석사(CFA), 재무위험관리사(FRM), 재무설계사(CFP), 투자자산운용사, 신용분석사, 외환관리사, 자산관리사(FP), AFPK 등기본역량 관련 자격 전산회계 1~2급, 전산세무 2급, 전산회계운용사 1~3급, 세무회계 1~3급, 기업회계 1~3급, 회계관리 1~2급, 회계실무(FAT) 1~2급, 펀드투자권유대행인, 증권투자권유대행인, 은행텔러자격증 등필수교과목• 원가회계• 투자론• 재무정보시스템 종합설계• 중급회계• 세무회계실무• 경영분석• 파생금융상품디자인대학
창의적 디자이너, 글로벌 역량을 갖춘 디자이너, 인문적 소양과 윤리의식을 갖춘 디자이너 양성
나누고 모으고!
전공 세분화와 전공 통합으로 시대를 선점한다
글로벌패션산업학부
70 패션마케팅트랙72 패션디자인트랙74 패션크리에이티브디렉션트랙ICT디자인학부76 뉴미디어광고·커뮤니케이션디자인트랙78 영상·애니메이션디자인트랙80 브랜드·패키지디자인트랙82 UX/UI디자인트랙84 게임그래픽디자인트랙86 인테리어디자인트랙88 VMD·전시디자인트랙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
90 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글로벌패션산업학부
패션마케팅 트랙Fashion Marketing패션전문가의 능력을 갖춰나가는 교육 및 마케팅 분야에 집중합니다.
Tel 02-760-5794
02-760-414702-760-409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패션마케팅 전문가패션머천다이징 전문가바잉 전문가졸업 후 진로
국내 및 글로벌 패션기업의 패션마케팅 직무, 패션머천다이징 직무 등 다양함
패션마케터디지털 마케터브랜드 매니저광고/홍보기획자패션 컨설턴트패션창업가패션상품기획자소재기획 전문가온라인 플랫폼 관리자비주얼머천다이저의류무역업체 머천다이저바이어유통관리사샵 매니저슈퍼바이저관세사
교육 목표
글로벌 실무형 패션마케팅 전문가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패션디자인학과, 의류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트랙제를 통한 다양한 분야의 패션마케터/머천다이저로서의 융합이 가능함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공인외국어성적 또는 자격증 : 공인영어 토익 600점 이상 또는 그에 준하는 공인외국어 성적 또는 자격증• 전공수업 관련 포트폴리오 제출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글로벌 패션산업 환경과 트렌드 분석 역량 • 패션산업 이해 역량• 패션트렌드 분석 역량창의적 마케팅 전략과 커뮤니케이션 기획 역량 • 마케팅 전략 수립 역량• 패션커뮤니케이션 기획 역량• 마케팅 전략 실행 역량혁신적인 패션시장 개척 및 창업 역량 • 패션 신시장 개척 역량• 패션창업 역량글로벌 패션 비지니스 및 유통관리 역량 • 글로벌 패션비즈니스 역량• 유통관리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글로벌비즈니스트랙 패션 수출기업 종사자2 국제무역트랙 패션 상품전문 관세사3 기업경영트랙 패션기획 마케터단대내 융합1디자인대학브랜드·패키지디자인트랙 브랜드디자이너2 뉴미디어광고·커뮤니케이션디자인트랙 패션 광고/ 홍보기획자심화 전공1디자인대학패션디자인트랙 패션디자이너2 패션크리에이티브디렉션트랙 패션 에디터트랙교수진
김용주 교과 패션유통관리, 글로벌패션시스템, 패션창업 캡스톤디자인, 소비자행동
채진미 교과 패션마케팅, 패션머천다이징프로세스, 패션브랜드와 커뮤니케이션, 패션리테일링지혜경 교과 패션비지니스 이해, 패션시장조사, 의복사회심리, 온라인 패션스타트업캡스톤디자인김성복 교과 패션일러스트레이션, 패션스토어플랜, 패션디자인포트폴리오홍성애 경력 미국 ASTM Committee Member, 유럽/미국 SCI JOURNAL 심사교과 의복구성, 드레이핑, 테크니컬 디자인, 패턴메이킹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샵마스터, VMD, 유통관리사, 컬러리스트 산업기사, 물류관리사, 국제무역사, 원산지 관리사, 전자상거래 관리사 1,2급, 빅데이터 분석기사기본역량 관련 자격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사, 컴퓨터활용능력, GTQ, ACA, MOS필수교과목• 패션비지니스 이해• 패션소재기획• 패션유통관리• 패션창업 캡스톤디자인• 패션마케팅• 패션머천다이징프로세스• 패션리테일링• 온라인 패션스타트업 캡스톤디자인글로벌패션산업학부
패션디자인 트랙Fashion Design세계경제의 개방화, 글로벌화에 어울리는 실무중심의 교육영역을 넓힙니다
Tel 02-760-5794
02-760-414702-760-409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패션디자이너테크니컬디자이너컬러리스트졸업 후 진로
패션디자이너 직무, 패션 테크니컬 디자이너 직무, 패션 컬러리스트 직무 등 다양함
패션디자이너니트디자이너특수복디자이너한복디자이너패션잡화디자이너테크니컬디자이너모델리스트밴더TD패턴 산업기사패션브랜드 패턴사일러스트레이터텍스타일디자이너패션정보기획자비주얼머천다이저패션스타일리스트교육 목표
패션산업의 실무능력을 갖춘 창의적이고 전문적인 인력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패션디자인학과, 의류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트랙제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패션관련 디자이너로서 융합이 가능함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공인외국어성적 또는 자격증 : 공인영어 토익 600점 이상 또는 그에 준하는 공인외국어 성적 또는 자격증• 전공수업 관련 포트폴리오 제출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패션디자인 기획 및 개발 역량 • 패션디자인 기획 역량• 패션디자인 개발 역량패션 상품 생산 준비 및 개발, 관리 역량 • 패션상품 생산준비 역량• 패션상품 개발 및 관리 역량패션트렌드 분석 및 해석, 예측 역량 • 패션트렌드 분석 및 해석 역량• 패션트렌드 예측 역량패션디자인 발상과 표현 역량 • 패션디자인 발상 역량• 패션디자인 표현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서양화전공 일러스트레이터2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글로벌비즈니스트랙 유통관리사3 IT공과대학 모바일소프트웨어트랙 모바일 소프트웨어 개발자단대내 융합1디자인대학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 패션스타일리스트2 VMD·전시디자인트랙 VMD심화 전공1디자인대학패션마케팅트랙 패션MD2 패션크리에이티브디렉션트랙 패션디렉터트랙교수진
김경인 교과 패션드로잉기초, 디자인스케치, 니트디자인
김성복 교과 패션일러스트레이션, 패션스토어플랜, 패션디자인포트폴리오홍성애 경력 미국 ASTM Committee Member, 유럽/미국 SCI JOURNAL 심사교과 의복구성, 드레이핑, 테크니컬 디자인, 패턴메이킹유금화 경력 패션디자이너교과 패션디자인, 칼라스튜디오, 토탈패션 소품개발캡스톤디자인윤진아 경력 김철웅모드 디자이너, ㈜세넥스 ‘DEUS’디자이너, ㈜동방패션플래이닝 디자이너교과 패션디자인프로세스, 어패럴패턴디자인, 의복제작실무, 패턴CAD안현주 교과 패션문화콘텐츠, 현대패션연구, 남성패션프로세스, 서양복식사김희정 경력 한영인터내셔날, 경춘산업, 부경통상 디자이너교과 패션문화콘텐츠, 세계민속복식, 무대복식디자인, 미디어산업과 패션최경희 경력 아큐아스큐텀골프 디자이너, 베네통 이너웨어 MD교과 패션CAD, 어패럴프로패셔널링크, 디지털패션그래픽, 크리에이티브 패션테크놀로지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컬러리스트산업기사, VMD, 패션스타일리스트, 샵마스터, 유통관리사 패션CAD, 패턴CAD, 일러스트, 패션디자인, 컴퓨터그래픽스 운용기능사,기본역량 관련 자격 컴퓨터활용능력, GTQ, ACA필수교과목• 의복구성 • 패션디자인프로세스• 패션스토어플랜 • 패션CAD• 디자인스케치 • 토탈패션소품개발 캡스톤디자인• 패션디자인 포트폴리오글로벌패션산업학부
패션 크리에이티브 디렉션트랙Fashion Creative Direction패션스타일리스트에서 광고홍보 분야까지-창조적 커뮤니케이션에 앞장섭니다.
Tel 02-760-5794
02-760-414702-760-409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패션크리에이티브디렉터패션에디터패션스타일리스트졸업 후 진로
패션크리에이티브디렉터 직무, 패션에디터 직무, 패션스타일리스 직무등 다양함
패션디자이너패션테크니컬디자이너패션소재기획디자이너패션영상콘텐츠 기획자패션플랫폼 및 콘텐츠 개발자디지털 패션디자인 개발패션트렌드 분석자패션저널 에디터패션광고홍보기획자패션웹디자이너패션저널리스트패션비주얼머천다이저퍼스널컬러전문가패션컬러리스트엔터테인먼트 스타일리스트방송국 스타일리스트교육 목표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맞춘 창의적인 패션크리에이티브디렉터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패션디자인학과, 의류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트랙제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크리에이티브디렉터로서 융합이 가능함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공인외국어성적 또는 자격증 : 공인영어 토익 600점 이상 또는 그에 준하는 공인외국어 성적 또는 자격증• 전공수업 관련 포트폴리오 제출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글로벌 문화환경의 트렌드 분석 역량 • 글로벌 콘텐츠 이해 역량• 복식 문화 이해 역량• 현대 패션트렌드 분석 역량창의적 패션디자인 콘텐츠 개발과 시각적표현 역량• 의복 제작의 구조이해와 실행 역량• 패션 소재 테크닉 개발 역량• 패션산업 실무능력 개발 역량패션 저널리즘과 크리에이티브디렉션 역량 • 패션 미디어 콘텐츠 분석과 기획 역량• 패션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개발 역량컴퓨터 그래픽 활용을 통한 디지털 패션포트폴리오 개발 역량•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표현 역량• 3D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한 패션프로젝트 수행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창의융합대학 문학문화콘텐츠학과 패션광고 홍보 기획자2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기업경영트랙 패션기획 마케터3 IT공과대학 디지털콘텐츠·가상현실트랙 영상기반 콘텐츠 제작자단대내 융합1디자인대학영상·애니메이션디자인트랙 디지털콘텐츠디자이너2 뉴미디어·광고커뮤니케이션디자인트랙 뉴미디어광고디자이너심화 전공1디자인대학패션디자인트랙 패션디자이너2 패션마케팅트랙 패션MD트랙교수진
안현주 교과 패션문화콘텐츠, 현대패션연구, 남성패션프로세스, 서양복식사
김희정 경력 한영인터내셔날, 경춘산업, 부경통상 디자이너교과 패션문화콘텐츠, 세계민속복식, 무대복식디자인, 미디어산업과 패션최경희 경력 아큐아스큐텀골프 디자이너, 베네통 이너웨어 MD교과 패션CAD, 어패럴프로패셔널링크, 디지털패션그래픽, 크리에이티브 패션테크놀로지김경인 교과 패션드로잉기초 , 디자인스케치, 니트디자인김용주 교과 패션유통관리, 글로벌패션시스템, 패션창업 캡스톤디자인, 소비자행동유금화 경력 패션디자이너교과 패션디자인, 칼라스튜디오, 토탈패션 소품개발캡스톤디자인윤진아 경력 김철웅모드 디자이너, ㈜세넥스 ‘DEUS’디자이너, ㈜동방패션플래이닝 디자이너교과 패션디자인프로세스, 어패럴패턴디자인, 의복제작실무, 패턴CAD지혜경 교과 패션비지니스이해, 패션시장조사, 의복사회심리, 온라인 패션스타트업캡스톤디자인채진미 교과 패션마케팅, 패션머천다이징프로세스, 패션브랜드와 커뮤니케이션, 패션리테일링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컴퓨터그래픽스운용 기능사, VMD(비주얼머천다이징), 샵마스터, 컬러리스트 산업기사, 패션디자인 산업기사, 유통관리사, 패션스타일리스트, 퍼스널칼라 전문가기본역량 관련 자격 컴퓨터활용능력(1급, 2급), MOS, GTQ, ACA필수교과목• 디지털패션그래픽 • 패션스타일링 • 크리에이티브패션테크놀로지• 염색디자인실습 • 패션저널리즘 • 무대복식디자인• 어패럴프로패셔널링크 캡스톤디자인ICT디자인학부
뉴미디어광고·커뮤니케이션 디자인트랙New Media Advertising & Communication Design뉴미디어 시대의 패러다임이 요구하는 광고 및 마케팅의 변화를 선도합니다.
Tel 02-760-415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디지털 미디어 디자이너디지털 그래픽 디자이너크리에이티브 커뮤니케이션 디자이너졸업 후 진로
디지털 미디어디자이너, 영상디자이너. 그래픽디자이너, 콘텐츠 기획 및 디자이너 등
디자인 및 기획 관련 직무들이 다양함디지털미디어디자이너영상편집디자이너UX/UI 디자이너앱디자이너웹디자이너브랜드디자이너출판디자이너인포그래픽디자이너그래픽디자이너광고디자이너방송그래픽디자이너콘텐츠디자이너상품기획 및 디자이너방송 및 드라마 제작자디지털 인스톨레이션 제작자교육 목표
시대를 읽고 디지털미디어로 소비자와 자유롭게 시각소통할 수 있는 미디어커뮤니케이션디자인 전문가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시각디자인학과, 시각영상디자인전공•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한성대학교 전체의 트랙제 시행을 통해 다양한 트랙과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영역과의 융합이 가능함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 개인 포트폴리오 제출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창의적 발상 및 조형 역량 • 아이디어 발상 역량• 조형 및 표현 역량• 문제해결 역량커뮤니케이션디자인 역량 • 정보디자인 역량• 시각커뮤니케이션 역량• 스토리텔링 역량디자인비즈니스 역량 • 디자인 마케팅 역량• 디자인기획 및 제작 역량• 미디어의 이해 역량실무프로젝트 수행 역량 • 프레젠테이션 역량• 실무디자인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디지털 정보기획 및 디자인 관련2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기업경영트랙 디자인마케팅 분야디자인매니지먼트 분야3 IT공과대학 디지털콘텐츠·가상현실트랙 디지털미디어콘텐츠 기획 및디자인 분야단대내 융합1디자인대학UX/UI디자인트랙 웹디자인, 앱디자인 분야,서비스디자인 분야2 영상·애니메이션 디자인트랙 영상디자인, 애니메이션 분야심화 전공 1 디자인대학 브랜드·패키지디자인트랙 시각디자인관련 전 분야트랙교수진
김지현 교과 인포메이션디자인, 레이아웃워크숍, 타이포그래픽디자인, 편집디자인종합설계지상현 교과 브랜드성공사례분석, 디자인심리학, 소비자심리와디자인, 브랜드디자인전략전신종 교과 조형연습, POP디자인실험, 패키지디자인스튜디오, 입체그래픽디자인실험자격증직무역량 관련 자격 시각디자인 산업기사, 컬러리스트기사기본역량 관련 자격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포토샵, 일러스트레이션필수교과목• 감성포토 광고영상• 타이포그래픽디자인• 이미지마케팅• 이미지메이킹• 브랜드디자인전략• 어메이징콜라보&뉴미디어광고• 커뮤니케이션그래픽• 편집디자인종합설계• 성공프리젠테이션스킬ICT디자인학부
영상·애니 메이션디자인 트랙Time-based Media & Animation Design디지털 융합시대에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핵심 성장동력인 영상・애니메이션을 다룹니다.
Tel 02-760-4422
02-760-5850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애니메이션 전문가영상디자인 전문가디지털콘텐츠 전문가졸업 후 진로
디지털 기반의 문화콘텐츠관련 기획과 실무의 다양한 직무가 있음
애니메이션 기획자애니메이션 감독2D/3D 애니메이터애니메이션 프로듀서캐릭터디자이너레이아웃 아티스트스토리보드 아티스트영상 및 영화기획자영화감독 및 프로듀서방송디자이너영상·녹화 및 편집기사모션그래픽디자이너디지털영상처리전문가영상광고제작전문가(CF)게임그래픽디자이너디지털콘텐츠디자이너VFX 전문가웹툰작가(만화가)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이너미디어아티스트교육 목표
융합형 미래기술 기반 영상·애니메이션 콘텐츠 전문가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애니메이션학과, 디지털영상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트랙제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디지털 융합기반의 영상·애니메이션 지식 확대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졸업 작품 제작과 전시참여• 졸업상영회 및 전시를 통해 평가 받아 졸업자격을 부여함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영상·애니메이션 콘텐츠 기획 및 제작 역량 • 애니메이션 제작 역량• 캐릭터 기획 및 시각화 역량신기술 및 뉴미디어 환경 적응 역량 •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 역량• 첨단 콘텐츠 관련 미디어기술 역량융합콘텐츠 활용 역량 • 영상기획 및 제작 역량• 문화콘텐츠 기획 및 제작기술 역량프레젠테이션 시각화 및 의사소통 역량 •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 전달 역량• 포트폴리오 기반 프리젠테이션 역량• 디지털애니메이션 동작표현• 영상미디어아트워크• 영상커뮤니케이션• 캐릭터 개발 프로세스• 컴퓨터 특수시각효과• 영상애니메이션 캡스톤디자인• 영상애니메이션 스타트업 워크샵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역사콘텐츠트랙 문화콘텐츠 기획 분야2 영미문화콘텐츠트랙 시나리오, 스토리텔링 분야3 IT공과대학 디지털콘텐츠·가상현실트랙 디지털콘텐츠 디자인 분야단대내 융합1디자인대학브랜드·패키지디자인트랙 패키지디자인 분야2 UX/UI디자인트랙 디자인 분야심화 전공1디자인대학뉴미디어광고·커뮤니케이션디자인트랙 광고 영상 분야2 게임그래픽디자인트랙 게임 영상 분야트랙교수진
김효용 경력 (사)한국애니메이션학회 회장, 한국콘텐츠진흥원 이사, (재)디지털 애니메이션 재단
이사교과 디지털 스튜디오, 영상커뮤니케이션, 영상애니메이션 캡스톤디자인,영상애니메이션 스타트업 워크샵전영돈 경력 ㈜앱크로스 개발이사, ㈜핑크망고 대표, ㈜포켓조이 대표교과 영상애니메이션 기초, 영상미디어 아트워크, 캐릭터 개발 프로세스, 영상애니메이션캡스톤디자인, 영상애니메이션 스타트업 워크샵현은주 경력 스캔라인VFX 라이팅아티스트, 하이드라릭스VFX 라이팅아티스트, 더블네거티브페인트아티스트교과 영상애니메이션 기초, 디지털 스튜디오, 컴퓨터 특수시각효과, 컴퓨터그래픽김미라 경력 백상예술대상방송부문심사위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전문위원, 한국영상대학교교수교과 영상커뮤니케이션, 디지털 영상 합성, VFX 장면연출 워크샵전완식 경력 한국은행 화폐도안자문위원교과 게임그래픽기초, 게임캐릭터콘셉트아트, 게임드로잉기법연구, 콘셉트아트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컴퓨터그래픽스 운용기능사(국가기술), 방송통신기능사(국가기술)필수교과목• 디지털애니메이션 동작표현 • 영상미디어아트워크 • 영상커뮤니케이션• 캐릭터 개발 프로세스 • 컴퓨터 특수시각효과 • 영상애니메이션 캡스톤디자인• 영상애니메이션 스타트업 워크샵ICT디자인학부
브랜드·패키지 디자인트랙Brand & Package Design제품과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을 극대화할 수 있는 트렌디한 컨셉을 주도합니다.
Tel 02-760-415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패키지디자이너브랜드디자이너그래픽디자이너졸업 후 진로
패키지디자이너, 브랜드 기획자, 아트상품개발자 등 디자인관련 직무들이 다양함.
패키지 디자이너아트상품 개발자옥외광고 디자이너무대 & VMD 디자이너문화, 예술 및 방송 관련 전문가브랜드 기획자.서비스디자인 기획자광고디자이너북디자이너삽화가그 외 시각디자이너교육 목표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패키징 기술을 통합한 패키지디자인 실무 수행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시각디자인전공•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한성대학교 전체의 트랙제 시행을 통해 특정분야의 디자이너로 융합이 가능함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개인 포트폴리오 제출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창의적 발상과 조형표현 역량 • 조형요소와 구성원리 이해 역량• 종이를 통한 지기구조 이해 및 효과적 표현 역량브랜드패키지디자인 문제에 대한종합적 사고 역량• 감성이 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해 역량• 기초적인 입체 형태의 전개도 이해 역량정보분석 및 시각화 역량 • 인포메이션디자인의 중요성과 기능 이해 역량• 패키지디자인의 지기구조와 그래픽과의 연관성 이해 역량커뮤니케이션 매체의 특성 이해 및활용 역량• 해당 브랜드의 상황을 시장상황 단계에 맞게 파악할 수있는 역량• 실험적 디자인에 대해 아이디어 발상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기업경영트랙 브랜드·경영 분야2 IT공과대학 디지털콘텐츠·가상현실트랙 무대·VMD 디자인분야단대내 융합 1 디자인대학 UX/UI디자인트랙 패키지·제품디자인 분야심화 전공 1 디자인대학 뉴미디어 광고 ·커뮤니케이션트랙 시각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분야트랙교수진
전신종 교과 조형연습 ,POP디자인실험, 패키지디자인스튜디오, 창작스튜디오김지현 교과 인포메이션디자인, 레이아웃워크숍, 타이포그래픽디자인, 편집디자인종합설계지상현 교과 브랜드성공사례분석, 디자인심리학, 소비자심리와디자인, 브랜드디자인전략자격증직무역량 관련 자격 시각디자인 산업기사, 컬러리스트기사기본역량 관련 자격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포토샵, 일러스트레이션필수교과목• 브랜드성공사례분석• POP디자인실험• 인포메이션디자인• 패키지디자인스트럭쳐• 패키지디자인스튜디오ICT디자인학부
UX/UI디자인 트랙UX/UI Design사용자경험 연구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의 혁신적인 제품, 서비스디자인을 선도합니다.
Tel 02-760-4422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UX/UI디자인 전문가제품디자인 전문가서비스디자인 전문가졸업 후 진로
일반기업의 디자인/기획부서, 디자인연구소, 컨설팅전문회사 등 다양함
UX디자이너UI디자이너UX컨설턴트앱디자이너인터랙션디자이너유저리서치전문가IT제품디자이너운송수단디자이너가구디자이너생활용품디자이너뷰티용품디자이너디자인특허전문가서비스디자인컨설턴트서비스경험디자이너디자인씽킹퍼실리테이터사회혁신디자이너디자인벤처스타트업교육 목표
UX/UI디자인 기반의 제품 및 서비스디자인 전문가 양성비교 소개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산업디자인학과(제품디자인)타 대학과의 차별성 : 트랙제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UX/UI디자인 융합이 가능함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개인 포트폴리오 제출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UX/UI디자인 문제해결 역량 • UX 디자인프로세스 역량UX/UI디자인 융합 운용 역량 • UX 디자인 활용 역량• UI 디자인 활용 역량전략적 UX/UI디자인 역량 • 전략적 사고 역량• 분석적 사고 역량UX/UI디자인 컴퓨터활용 역량 • 3D 프로그램 활용 역량• 2D 프로그램 활용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벤처경영트랙 디자인매니지먼트2IT공과대학기계설계트랙 엔지니어링디자인3 산업공학트랙 인더스트리얼 디자인단대내 융합1디자인대학브랜드·패키지디자인트랙 제품패키지디자인2 인테리어디자인트랙 공간디자인심화 전공1디자인대학뉴미디어광고·커뮤니케이션디자인트랙 앱디자인2 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 뷰티제품디자인트랙교수진
전종찬 경력 ANBD한국회장, 디자인주도다학제지원사업 한성대 총괄책임과목 UX디자인의 이해, UXUI디자인프로젝트, UXUI디자인스튜디오안광준 경력 평창비엔날레 예술총감독, 한성디자인아트교육원장과목 UXUI지식재산권, UXUI창업스튜디오자격증직무역량 관련 자격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제품디자인기사(산업기사, 기술사)기본역량 관련 자격 컬러리스트기사,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필수교과목• 컴퓨터응용디자인• UX/UI디자인프로젝트1• UX/UI디자인프로젝트2• UX/UI디자인스튜디오1• UX/UI디자인스튜디오2• IOT 인터페이스 디자인ICT디자인학부
게임그래픽 디자인트랙Game Illustration게임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함께 실무와 결합된 게임 프로젝트를 직접 수행합니다.
Tel 02-760-4422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게임그래픽 전문가게임디자인 전문가디지털콘텐츠 전문가졸업 후 진로
디지털 기반의 문화콘텐츠관련 기획과 실무의 다양한 직무가 있음
게임 아트디렉터2D 콘셉트 아티스트3D 모델러캐릭터 디자이너배경 콘셉트 디자이너3D 애니메이터UI 디자이너VFX 디자이너일러스트레이터게임 프로듀서게임 콘텐츠 기획자게임 시스템 기획자게임 레벨 기획자게임 UI 기획자방송,영상 디자이너게임광고제작전문가디지털 콘텐츠 디자이너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이너미디어 아티스트게임엔진 테크니컬 아티스트교육 목표
융합형 미래기술 기반 게임 그래픽 및 콘텐츠 전문가 양성비교 소개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게임학과, 애니메이션학과, 디지털영상학과타 대학과의 차별성 : 트랙제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디지털 융합기반의 게임콘텐츠, 그래픽 지식확대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졸업 작품 제작과 전시참여•졸업상영회 및 전시를 통해 평가 받아 졸업자격을 부여함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디자인 문제에 대한 종합적 사고 역량 • 그래픽 표현 기본 수행 역량• 콘셉트 분석 및 창의적 표현 역량창의적 발상과 조형 표현 역량 • 게임 캐릭터 및 사물 창작 능력• 게임그래픽 표현 기법 역량공간 구성 및 표현 능력 역량 • 이미지 페인팅 기술 능력•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 능력게임그래픽디자인 콘텐츠 기획 및 제작 역량 • 캐릭터 및 사물의 표현 기술 역량• 콘텐츠 기획 능력정보 분석 및 시각화 역량 • 콘셉트 분석과 재구성 능력• 아이디어의 시각화 능력디자인 상품 기획 및 활용 역량 • 상품기획 및 설계 능력• 아트상품 제작 및 특허 취득 능력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창의융합대학 문학문화콘텐츠학과 시나리오, 스토리텔링분야2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역사콘텐츠트랙 문화콘텐츠 기획 분야3 IT공과대학 디지털콘텐츠·가상현실트랙 디지털콘텐츠 디자인 분야단대내 융합1디자인대학UI/UX디자인트랙 디자인 분야2 브랜드·패키지디자인트랙 패키지디자인 분야심화 전공1디자인대학영상·애니메이션 트랙 영상·애니메이션 분야2 뉴미디어광고·커뮤니케이션디자인 트랙 광고 분야트랙교수진
전완식 경력 한국은행 화폐도안자문위원, 한국관광공사 미래비전 수립 자문위원
교과 게임그래픽기초,콘셉트아트,게임드로잉기법연구하승완 경력 넷마블, 위메이드 엔터테인먼트, 누라임게임즈 아트디렉터교과 아트페인팅,게임페인팅기법연구,디자인특허와아트상품종합설계이주환 경력 EA 코리아, 플레이위드 게임즈, 다우데이타교과 콘셉트아트, 3D모델링윤희영 경력 스마일게이트 엔터테인먼트교과 비주얼아트테크닉,UI디자인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게임기획전문가(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그래픽전문가(한국콘텐츠진흥원)기본역량 관련 자격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컬러리스트기사(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시각디자인기사(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필수교과목•게임그래픽기초 •아트페인팅•게임드로잉 기법연구 •비주얼아트 테크닉•콘셉트아트 •게임캐릭터 콘셉트아트•소셜미디어 작품발표 •디자인특허와 아트상품제작ICT디자인학부
인테리어 디자인트랙Interior Design홈인테리어, 레스토랑인테리어, 브랜드숍 인테리어 등 모든 공간의 인테리어디자인을 습득하여 사회에서 요구하는 실무적합형 인재 양성
Tel 02-760-5792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인테리어디자이너기업체 브랜드숍 SI팀(Shop Identity TEAM)공공환경디자이너졸업 후 진로
남을 배려하는 마음을 갖고, 지식을 토대로 한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직간접 경험이 많은 인재,
감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디자인을 완성하는 집중력이 강하며, 글로벌 감각을 갖춘 인재 양성[인테리어디자인] 주거공간,상업공간, 업무공간, 종교공간,판매공간 공간기획 및 설계시공[건축디자인] 건축디자인회사인테리어팀[전시디자인]홍보관,박물관전시기획, 코엑스,킨텍스 전시회 전시부스디자인[건설회사] 삼성물산, GS건설,SK건설등 주택상품개발팀[전자기업인테리어팀] 삼성전자,LG전자의 자사매장관리[화장품기업SI팀] 아모레퍼시픽,LG생활건강 등[식음료 기업인테리어팀]SPC그룹, CJ푸드빌 등[패션브랜드인테리어팀] 지오다노,유니클로 등[유통기업] 롯데백화점,현대백화점,이마트 등[공공디자인]지방자치단체공공디자인센터,공공디자인전문회사,도시경관계획회사[컴퓨터그래픽] 3D그래픽전문회사 환경그래픽전문회사[기타] 인테리어 잡지사 기자,방송국 무대 및 무대디자인회사디자이너교육 목표
새롭고 감동적인 공간을 디자인하는 바른인성과 글로벌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갖춘 공간전문가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실내건축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건축베이스인 타대학과는 차별화된 미술과 디자인베이스로 아트와 장식미술을 기반으로 한 공간디자인을 교육함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졸업작품의 작품집 수록 및 졸업전시회 전시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디자인 개발 역량 • 디자인발상 역량• 디자인기초지식 역량공간 설계 역량 • 디자인기획 및 공간드로잉 역량• 모형제작 역량컴퓨터활용 역량 • 2D, 3D 프로그램 운용 역량• 컴퓨터그래픽 활용 역량글로벌 역량 • 트렌드 리서치 역량• 글로벌마인드 및 커뮤니케이션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동양화/서양화전공 인테리어디자이너2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스마트도시계획.환경비즈니스트랙 공공환경디자이너3 공공행정트랙단대내 융합1디자인대학브랜드·패키지디자인트랙 기업체브랜드숍디자이너2 UX/UI디자인트랙 가구코디네이터심화 전공 1 디자인대학 VMD·전시디자인트랙 비주얼머천다이저트랙교수진
한혜련 경력 미국 pratt Institute 대학원 졸업,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회장
교과 기초공간디자인변대중 경력 홍익대학교 건축학 박사, 한국기초조형학회 회원, 한국건축가협회 회원교과 실내디자인 종합설계, 레스토랑디자인, 실내디자인과 창업이주형 경력 前 ㈜LG생활건강 디자인센터 인테리어팀, ㈜코아스인테리어교과 인테리어디자인과 코디네이션, VMD창업과 실무 캡스톤권혁진 경력 CCS충북방송 사외이사, 인테리어디자인 ㈜봄으로 이사교과 취업과 포트폴리오, 공간조형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실내건축산업기사, 실내디자이너자격시험(KOSID), 컬러리스트산업기사, 컴퓨터그래픽스 운용기능사, 실내건축기능사,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건축기사기본역량 관련 자격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사, 컴퓨터프로그래밍필수교과목• 인테리어디자인과 코디네이션• 기초공간디자인• 홈인테리어디자인• 실내디자인종합설계• 실내디자인과 창업• 레스토랑디자인• 실내디자인 스튜디오ICT디자인학부
VMD·전시디자인트랙Visual Merchandising & Exhibition Design브랜드와 마케팅에 대해 학습하고 상품을 돋보이게 하는 VMD(Visual merchandising)을 연출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배양합니다.
Tel 02-760-5792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비주얼머천다이저전시디자이너공간코디네이터졸업 후 진로
트렌드를 선도하는 유행감각, 글로벌브랜드업무를 위한 외국어능력, 전략적마케팅 사고,
창의력과 순발력을 겸비한 디자인센스를 갖춘 융복합 실무형 디자이너[대형유통분야] 백화점VMD,면세점 및 대형마트VMD.대형유통몰VMD[패션기업분야]국내외의류패션브랜드VMD,액세서리VMD, 잡화VMD[화장품분야]국내화장품브랜드VMD,화장품기업 상품개발/기획/MD,글로벌화장품브랜드 VMD,H&B스토어 VMD[대기업] 광고대행사 SP팀,대형유통몰SP팀,[전시디자인기업]시공테크,옥토끼이미징 등의전시기업(박물관전시기획,홍보관전시기획), 코엑스,킨텍스행사전시부스디자인[공기업] 서울디자인재단도시디자인, 국립중앙박물관학예사, 서울민속박물관 학예사[코디네이터]주택모델하우스코디네이터,가구코디네이터,이벤트코디네이터[조명디자이너]경관조명디자이너,무대조명디자이너[컴퓨터그래픽] 그래픽디자이너,3D그래픽디자이너[무대디자인]방송국무대디자이너,무대디자인전문회사교육 목표
전략적 사고와 창의적 디자인능력, 글로벌 커뮤니케이션능력을 갖춘 실무형 비주얼머천다이저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VMD전시디자인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4년제 대학 유일의 VMD전시디자인 과정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졸업작품의 작품집 수록 및 졸업전시회 전시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창의적 VMD 디자인 개발 역량 • 디자인발상 역량• 마케팅과 디자인 이해 역량제작 설계 역량 • 전시콘텐츠 개발 역량• 공간마케팅 역량컴퓨터 활용 역량 • 2D, 3D프로그램 운용 역량• 컴퓨터그래픽 활용 역량글로벌 역량 • 트렌드 리서치 역량• 글로벌마인드 및 커뮤니케이션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영미언어정보트랙 글로벌브랜드VMD2 동양화/서양화전공 백화점디스플레이3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기업경영트랙 기업체 마케팅부서단대내 융합1디자인대학뉴미디어광고·커뮤니케이션디자인트랙 광고,프로모션 기획부서2 패션디자인트랙 패션브랜드VMD심화 전공 1 디자인대학 인테리어디자인트랙 브랜드숍공간전략기획부서트랙교수진
변대중 경력 홍익대학교 건축학 박사, 한국기초조형학회 회원, 한국건축가협회 회원
교과 실내디자인 종합설계, 레스토랑디자인, 실내디자인과 창업이주형 경력 前 ㈜LG생활건강 디자인센터 인테리어팀, ㈜코아스인테리어교과 인테리어디자인과 코디네이션, VMD창업과 실무 캡스톤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비주얼머천다이징(VMD), 실내건축산업기사, 실내디자이너자격시험(KOSID), 컬러리스트산업기사, 실내건축기능사기본역량 관련 자격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사, 컴퓨터프로그래밍필수교과목• VMD전시무대디자인• 공간조형• VMD스튜디오• VMD창업과 실무 캡스톤디자인• 디스플레이 취업뷰티디자인 매니지먼트 학과
Beauty Design Management뷰티디자인, 뷰티헤어, 뷰티메이크업, 뷰티컨설팅을 통해 뷰티디자인 역량을 키워 실무능력을 배양합니다.
Tel 02-760-4199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뷰티디자이너뷰티디렉터뷰티 브랜드 MD, BM졸업 후 진로
실무 및 창업, 경영, 교육
[실무 및 창업]헤어 디자이너메이크업 아티스트피부 관리사네일 아티스트특수 분장사[경영]국제 뷰티 비즈니스 디렉터뷰티매니지먼트 디렉터병원 코디네이터뷰티 슈퍼바이저[교육]뷰티 강사뷰티 전문 기업 교육부뷰티 브랜드 매니저교육 목표
글로벌 비즈니스 마인드를 갖춘 실무형 뷰티전문가를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미용예술학과, 뷰티헬스전공, 미용화장품과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트랙제 시행을 통한 전공 융합 가능실무현장교육을 통한 예비 인턴십 교과목 운영글로벌 뷰티전문가 양성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미용 국가 자격증 취득• 미용 대회 참가• 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 졸업작품 전시회 출품 및 전시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헤어 디자인 실무 역량 • 헤어기초 이론역량• 현장실무 및 응용 역량메이크업 실무 역량 • 메이크업 기초 역량• 현장실무 및 응용 역량에스테틱 실무 역량 • 에스테틱 기초 역량뷰티 디자인 실무 역량 • 국제 비즈니스 기초 역량• 취업 및 창업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기업경영트랙 뷰티 경영자2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한국어교육트랙 글로벌 뷰티전문가단대내 융합1디자인대학패션크리에이티브디렉션트랙 스타일리스트2VMD·전시디자인트랙 화장품 브랜드 VMD뉴미디어 광고·커뮤니케이션디자인트랙 뷰티 디렉터트랙교수진
권오혁 경력 前)일본 시세이도 한국 헤어디렉터/ 헤어바이혁 대표원장
교과 기초헤어, 기초헤어컬러, 뷰티실무현장교육, 뷰티취업종합설계한혜련 경력 前)뷰티매니지먼트학과 학과장교과 뷰티상품기획이정민 경력 前)제이컴(J.COM) 대표이사교과 기초메이크업, 응용메이크업, 스테이지메이크업, 캐릭터메이크업홍미라 경력 누벨바그헤어살롱 교육이사교과 뷰티디자인기초, 네일아트 및 케어, 헤어 및 두피관리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미용사(일반, 메이크업, 피부, 네일) 자격증, 맞춤형 화장품 조제 관리사, 컬러리스트 산업기사기본역량 관련 자격 TOEIC, HSK필수교과목• 뷰티디자인기초• 기초메이크업• 기초헤어• 기초에스테틱• 네일아트 및 케어• 헤어 및 두피 관리IT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 기계전자공학부, 산업시스템공학부의 3개 학부로 구성
4차 산업혁명 시대 공학이 이끈다!
10개 혁신 공학의 융합으로 혁신의 리더를 키운다
컴퓨터공학부
94 모바일소프트웨어트랙96 빅데이터트랙98 디지털콘텐츠·가상현실트랙100 웹공학트랙기계전자공학부102 전자트랙104 시스템반도체트랙106 기계설계트랙108 기계자동화트랙산업시스템공학부
110 산업공학트랙112 지능형제조시스템트랙컴퓨터공학부
모바일 소프트웨어 트랙Mobile Software스마트폰 OS 및 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통해 미래의 모바일 소프트웨어를 선보입니다.
Tel 02-760-4438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자모바일, IoT,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자IT 기획 및 운영자졸업 후 진로
소프트웨어 개발자로서 다양한 분야 진출 가능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자 스마트 앱 & 서비스 개발자IoT 및 웨어러블 소프트웨어개발자모바일 게임 개발자네트워크 시스템 개발자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자정보시스템 운영자금융 및 보안 솔루션 개발자기술영업모바일고객관리모바일콘텐츠 기획자교육 목표
현장 실무 능력을 갖춘 모바일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가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컴퓨터공학과, 소프트웨어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모바일 앱 개발 관련 교육의 비중이 높으며, 비IT 트랙을 함께 이수함으로써 금융, 경영 등의 비IT 분야 지식을 갖춘 융합 개발자 양성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Github 활동 권장• 다음 조건 중 1개 이상 충족 : 졸업논문 발표, 전공 관련 자격증 취득(정보처리기사 등), 교내외 공모전 입상, 캡스톤디자인발표회 작품 출품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모바일 서비스 요구사항 분석 역량 • 프로그래밍 기초 역량•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역량모바일 소프트웨어 설계 및 구현 역량 • 모바일 & 스마트 디바이스 개발 역량• 모바일 앱 개발 역량•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이해 역량• 크로스 플랫폼 앱과 백엔드 서비스 개발 역량IoT 및 네트워크 설계 및 구현 역량 • 컴퓨터 구조 이해 역량 • 운영체제 이해 역량• 시스템 프로그래밍 역량 •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역량공학적 사고 및 협업 역량 • 알고리즘 이해 역량 • 종합적 문제해결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기업경영트랙 ERP, CRM SW 개발2 회계·재무경영트랙 회계, 재무 SW 개발3 벤처경영트랙 IT스타트업, 경영, 컨설팅단대내 융합 1 IT공과대학 전자트랙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심화 전공1IT공과대학웹공학트랙 웹, 앱연동 분야2 빅데이터트랙 IoT빅데이터분석 분야3 디지털콘텐츠·가상현실트랙 모바일게임, AR, VR 분야트랙교수진
이재문 경력 한국통신
교과 iOS프로그래밍, 모바일&스마트시스템, 웹프로그래밍, 컴퓨터프로그래밍황기태 경력 비트컴퓨터교과 운영체제, 객체지향언어1·2, 모바일&스마트시스템, 캡스톤디자인정인환 경력 삼성전자, 두루넷교과 컴퓨터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랩, 네트워크프로그래밍, 캡스톤디자인황호영 경력 컴퓨터신기술연구소교과 컴퓨터구조, 데이터통신, 알고리즘, 컴퓨터프로그래밍허준영 경력 차세대융합기술원, (주)인젠, (주)나다텔교과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 고급모바일프로그래밍, 캡스톤디자인,모바일시스템응용프로젝트김영웅 경력 KT 연구개발본부교과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설계, 자료구조, 컴퓨터프로그래밍장재영 경력 컴퓨터신기술연구소교과 빅데이터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빅데이터기초, 시스템프로그래밍김남윤 경력 삼성전자교과 웹프레임워크1, 웹프레임워크2, 정보보안, 캡스톤디자인계희원 경력 인피니트헬스케어교과 컴퓨터그래픽스, 객체지향언어1, 컴퓨터프로그래밍, 캡스톤디자인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OCAJP, OCPJP, 클라우드 자격증(AWS, Google, Azure), 리눅스마스터, 네트워크관리사, CCNA기본역량 관련 자격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필수교과목• 모바일&스마트시스템 • 안드로이드프로그래밍• iOS프로그래밍 • 고급모바일프로그래밍• 캡스톤디자인컴퓨터공학부
빅데이터 트랙Big Data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는 빅데이터 관련 기술을 익히고 경험합니다.
Tel 02-760-4438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데이터베이스 엔지니어링 개발자데이터마이닝 분석 개발자인공지능S/W 전문가졸업 후 진로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빅데이터 소프트웨어 개발 및 데이터 분석, 이를 이용한 정보시스템 관리
데이터베이스 엔지니어링 개발자정보시스템운영자정보시스템 고객관리정보시스템 기획자빅데이터 기획/분석 전문가데이터 마이닝 분석 개발자응용 및 시스템S/W 개발자금융 및 보안 솔루션개발자기술영업인공지능 S/W 전문가교육 목표
산업과 연계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소프트웨어 개발자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컴퓨터 공학과, 소프트웨어 공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응용만이 아닌 컴퓨터 공학 기본을 충분히 교육하여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적응능력을 갖게 함• 졸업논문발표• 졸업논문발표 • 교내외 공모전 입상• 전공관련 자격증 취득(정보처리기사 등) • 캡스톤디자인발표회 작픔 출품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개발 및 구현 역량 • 프로그래밍 기초 역량• 프로그래밍 역량•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빅데이터 소프트웨어 설계 및 분석 역량 • 프로그래밍 기초 역량• 데이터분석 기초 역량• 프로그래밍 역량• 데이터분석 프로그래밍 역량데이터마이닝 소프트웨어 개발 및 구현 역량 • 수리 역량• 데이터분석이론 역량• 데이터분석 역량공학적 사고 및 의사소통 역량 • 프로그래밍 기초 역량• 데이터분석이론 역량• 데이터분석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기업·경제분석트랙 금융 소프트웨어 개발 및 관리2 기업경영트랙 기업 경영3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디지털인문정보학트택 인문정보관리4 창의융합대학 AI응용학과 소프트웨어 개발단대내 융합 1 IT공과대학 산업공학트랙 기업경영 관리심화 전공1IT공과대학모바일소프트웨어트랙소프트웨어 개발2 웹공학트랙트랙교수진
1트랙
엄종석 교과 데이터마이닝, 컴퓨터 비젼 , 빅데이터기초권영미 교과 자료구조, 알고리즘, 선형대수, 확률 및 통계김영웅 교과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설계장재영 교과 데이터베이스, 빅 데이터프로그래밍, 빅데이터 기초강희중 교과 자료구조, 알고리즘,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초이석기 교과 웹서버 프로그래밍, 웹프로그래밍 기초, 데이터 마이닝2트랙김성동 교과 프로그래밍 언어론, 컴파일러정인상 교과 소프트웨어 공학, 설계패턴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데이터베이스 관련(OCA, OCP, OCM, SQLD), 데이터/데이터마이닝관련(DME)기본역량 관련 자격 정보처리기사, 정보검색사필수교과목• 빅데이터기초 • 데이터 마이닝• 데이터베이스 설계 • 빅 데이터 프로그래밍• 캡스톤디자인 • 인공지능컴퓨터공학부
디지털콘텐츠·가상현실트랙Digital Contents and Virtual Reality디지털콘텐츠와 가상현실, 증강현실, 메타버스에 이르는 실감 미디어 기술을 선도하는 소프트웨어 인재를 양성한다.
Tel 02-760-413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인터랙티브 콘텐츠 개발자VR, AR, XR, 메타버스 실감형 콘텐츠 전문가그래픽, 영상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졸업 후 진로
디지털콘텐츠와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및 메타버스 기술을 아우르는 실감형 콘텐츠 개발 관련
직무와 함께 2D/3D 그래픽 및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직무를 모두 포함함• 인터랙티브 영상/애니메이션콘텐츠 개발자• 디지털 방송/광고 콘텐츠제작자• 디지털 교육콘텐츠 개발자• 실시간 응용콘텐츠 제작자• 게임 그래픽 및 애니메이션제작자•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실감형콘텐츠 및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영상기반 콘텐츠 제작자• 실감형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및서비스 개발자• 실감형 영상콘텐츠 제작자• 실감형 교육콘텐츠 제작자• 메타버스 응용 개발자• 메타버스 크리에이터• 그래픽 기반 2D/3D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2D/3D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개발자• 게임프로그래밍 개발자• 컴퓨터 비전 관련 소프트웨어개발자• 영상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자교육 목표
실감 미디어 기술을 선도하는 융합형 소프트웨어 전문 인재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미디어학과, 멀티미디어공학과, 가상·증강현실학과, 스마트IT공학부•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한성대학교 전체의 트랙제 시행을 통해 메타버스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빅데이터, 모바일, 웹, AI, IoT 등 컴퓨터공학 전문 분야는 물론 영상, 애니메이션, 뉴미디어, 패션디자인, 문학문화콘텐츠 등 다양한 학문, 산업 분야로의 융합이 가능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졸업논문 발표 • 전공 관련 자격증 취득(정보처리기사 등)• 교내외 공모전 입상 • 캡스톤디자인 발표회 작품 출품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시나리오, 스토리텔링, 디지털콘텐츠 설계등 기획 실무를 담당하는 인터랙티브콘텐츠 개발 역량• 컴퓨터 프로그래밍 및 문제해결 역량• 3D 그래픽 디자인 제작 역량• 3D 그래픽 프로그래밍 개발 및 응용 역량메타버스로 대표되는 가상 세계에개발자의 상상력을 실현, 구현시킬 수 있는역량• 수리 역량• 2D/3D 그래픽, 영상 개발 및 처리 역량• 가상현실 기능요소 개발 및 메타버스 응용 역량온·오프라인에서 동시에 활용 가능한 VR,AR, XR 콘텐츠, 솔루션, 디지털 플랫폼,어플리케이션 개발 역량• 콘텐츠 기초 프로그래밍 역량• 영상기반 프로그래밍 개발 역량• 디지털콘텐츠 제작 및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개발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디자인대학 영상·애니메이션디자인트랙 독립디지털콘텐츠 제작자2창의융합대학AI응용학과 IoT 디바이스 활용 콘텐츠 개발자3 문학문화콘텐츠학과 콘텐츠기반 디지털 미디어 기획자단대내 융합 1 IT공과대학 기계자동화트랙 디지털 트윈 기반의스마트 제조 응용 개발자심화 전공1IT공과대학모바일소프트웨어트랙 IoT, 모바일 플랫폼 콘텐츠 및소프트웨어 개발자2 빅데이터트랙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응용콘텐츠 개발자3 웹공학트랙 웹 플랫폼 콘텐츠 및소프트웨어 개발자트랙교수진
이항찬 경력 디지털영상처리, 컴퓨터 비전, 컴퓨터그래픽
교과 게임그래픽&애니메이션, 영상처리, 컴퓨터프로그래밍조세홍 경력 가상현실, 증강현실, 메타버스, 가상교육, 디지털콘텐츠 기획/제작, AI 응용프로그램교과 가상현실, 디지털콘텐츠기획및제작, 1인미디어와 융합콘텐츠, 멀티미디어와응용,그린IT의 이해계희원 경력 GPU 기반 병렬가시화, 의료영상처리, 컴퓨터 그래픽스교과 컴퓨터 그래픽스, 게임 프로그래밍, 컴퓨터프로그래밍, 객체지향언어1김진모 경력 가상현실/증강현실, 컴퓨터 그래픽스 응용, 게임 공학교과 가상현실, 디지털콘텐츠기획 및 제작, 가상현실애니메이션, 객체지향언어1이지은 경력 컴퓨터그래픽스, 가상현실, 기하모델링 및 처리교과 컴퓨터그래픽스, 게임프로그래밍, 가상현실, VR/AR의 이해, 컴퓨터프로그래밍,자료구조엄종석 교과 데이터마이닝, 컴퓨터비젼, 확률 및 통계권영미 교과 이산수학, 자료구조, 선형대수, 알고리즘강희중 교과 컴퓨터프로그래밍, 자료구조, 프로그래밍랩, 알고리즘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멀티미디어 콘텐츠제작 전문가, 게임기획 전문가, 게임그래픽 전문가, 게임프로그래밍 전문가기본역량 관련 자격 정보처리기사필수교과목• 웹프로그래밍기초 • 게임그래픽 & 애니메이션 • 영상처리• 가상현실 • 디지털콘텐츠 기획 및 제작 • 캡스톤디자인• 컴퓨터그래픽스 • 게임프로그래밍컴퓨터공학부
웹공학트랙Web Engineering인터넷 서버 시스템 구축 및 분석을 통해 웹 서비스 개발 역량을 키워갑니다.
Tel 02-760-4438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웹 프로그래머(front-end, back-end)클라우드 컴퓨팅 개발자시스템 운영 및 관리자졸업 후 진로
웹 프로그래밍, 클라우드 컴퓨팅 개발자 및 네트워크시스템 관리자 등으로 진출
naver, daum 포털금융 서비스e-Commerce게임 서비스신사업 서비스 기획자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개발자클라우드 개발자시스템 통합(SI) 업무네트워크 및 시스템 관리자공공기관 전산직교육 목표
산업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웹 서비스를 구축하고 분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가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컴퓨터공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웹 분야(front-end, back-end)에 대한 가장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교과과정을 보유하고 있는 트랙으로서 4차 산업 혁명의 핵심적인 플랫폼 기술 교육자격증직무역량 관련 자격 OCP(데이터베이스), OCJP/OCWCD/OCBCD(자바), AWS(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associate, certified developer associate), 정보 보안 기사, 리눅스 마스터, 네트워크 관리사, CCNA기본역량 관련 자격 정보 처리 기사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졸업논문 발표 • 전공 관련 자격증 취득(정보처리기사 등)• 교내외 공모전 입상 • 캡스톤디자인 발표회 작품 출품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구축 역량 • Front-end 프로그래밍 역량• Back-end 프로그래밍 역량웹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서비스 설계 역량 • 웹 프레임워크 활용 능력• 데이터베이스 설계 역량• 응용 서비스 설계 역량• 클라우드 아키텍처 설계 및 구축 역량웹 애플리케이션 구축 및 배포 역량 • 웹 애플리케이션 구축 역량•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역량•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 및 운영 역량공학적 사고 역량 • 공학 문제 모델링 및 해결 역량• 문제해결을 위한 분석 역량• 알고리즘 적용 능력, 종합적 문제해결 능력협업 프로세스 구축 역량 • SW 버전 관리 및 프로젝트 관리 역량• SW 개발 프로세스 이해 역량• 협업 및 공학 문제해결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창의융합대학융합보안학과 웹보안, 네트워크 보안2 AI응용학과AI운용플랫폼,AI애플리케이션서버3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글로벌비즈니스트랙 e-Commerce단대내 융합1IT공과대학지능형제조시스템 스마트팩토리2 산업경영트랙IT컨설턴트, 생산/산업관리심화 전공1IT공과대학모바일소프트웨어트랙 IoT2 빅데이터트랙 빅데이터, 인공지능3 디지털콘텐츠·가상현실트랙 가상현실, 메타버스트랙교수진
김진환 교과 웹 서버 프로그래밍, 운영체제, 객체지향언어2
정인상 교과 소프트웨어공학, 설계 패턴김성동 경력 서울대 컴퓨터신기술연구소, (주)엘앤텍, UPENN 방문교수, USC ISI 방문연구원교과 프로그래밍언어론, 클라우드컴퓨팅, 웹프로그래밍, 컴파일러김남윤 경력 삼성전자교과 오픈소스소프트웨어, 웹프레임워크2박승현 경력 KT, 현대자동차교과 정보 보안, 웹 프로그래밍, 웹프레임워크1황기태 경력 비트컴퓨터교과 운영체제, 객체지향언어1·2, 모바일&스마트시스템허준영 경력 차세대융합기술원, (주)인젠, (주)나다텔교과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 고급모바일프로그래밍, 모바일시스템응용프로젝트이석기 교과 웹 프로그래밍, 웹 서버 프로그래밍필수교과목 • 웹 프로그래밍 • 웹 서버 프로그래밍
• 웹 프레임워크1 • 웹 프레임워크2• 캡스톤 디자인기계전자공학부
전자트랙Electronics미래산업사회의 중추적인 엔지니어 역할을 담당할 첨단인재를 양성합니다.
Tel 02-760-4434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디지털 시스템 전문가디지털 통신/네트워크 전문가신호처리/제어공학 전문가졸업 후 진로
전자 및 전기 공학 전반의 취업 또는 대학원 진학이 가능함
각종 디지털 시스템 개발자임베디드시스템 개발자의료기기 업체 개발자웨어러블 헬스케어 시스템 개발자기술 영업/각종 협회 직원통신사 연구직/일반직통신기기 업체 개발자기업체 전산실 직원특허사무소 직원가전제품 개발자드론/로봇/자율주행차량 개발자디지털 시스템/반도체 개발자전력회사 공무원/일반직교육 목표
차세대 전자공학 산업을 이끌어 나갈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이론과 실무에 능통한 전문 엔지니어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전자공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한성대학교 전체의 트랙제 시행을 통해 타 학문과의 연계 학습이 가능함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전자 종합설계프로젝트 작품 출품• 전국 규모의 경진대회 수상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회로 해석 및 설계 기술 역량 • 전기/전자회로 분석 및 설계 구현 기술 역량• 반도체회로 설계 및 구현 기술 역량통신 및 신호처리 기술 역량 • 유무선 통신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아날로그/디지털 신호처리 기술 역량디지털시스템 설계 및 구현 기술 역량 • 디지털회로 분석 및 설계 구현 기술 역량• 임베디드시스템 설계 및 프로그래밍 작성 역량창의적인 종합 설계 및 구현 기술 역량 • 각 과목별 수행 과제를 통한 세부 기술 역량• 캡스톤 팀 설계 및 구현 과목을 통한 종합 기술 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 1 창의융합대학 미래모빌리티학과 모빌리티 기술 개발자단대내 융합1IT공과대학기계자동화트랙 자동화 로봇 개발자2 기계설계트랙 메카트로닉스 개발자심화 전공 1 IT공과대학 시스템반도체트랙 시스템반도체 설계 전문가트랙교수진
정영모 경력 서울대학교 제어계측 신기술연구소 연구원, Georgia Institute of Tech.
Post doc.교과 회로이론 I, 회로이론 II, 통신공학 I, 통신공학 II오종택 경력 한국통신 무선통신연구소교과 디지털신호처리, 컴퓨터구조, 마이크로프로세서실험,데이터통신및컴퓨터네트워크호광춘 경력 한국통신 무선통신연구소교과 전자기학, 전기전자회로실험, 신호및시스템, 제어공학공규열 경력 삼성전자 반도체, Aalto Univ. Post doc.교과 전자공학의기초, 논리회로, 디지털영상처리, 무선통신공학김일민 경력 LG전자, 한국전자통신연구소(ETRI), 삼성SDS교과 프로그래밍언어, 자료구조, 운영체제이종복 경력 LG반도체, 현대전자, UCI 방문교수교과 전자회로, 디지털집적회로, 반도체소자, 아날로그집적회로김준민 경력 한국산업기술시험원교과 시스템반도체의기초, 반도체공정, 반도체센서, 임베디드시스템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무선설비기사, 정보통신기사, 방송통신기사, 정보처리기사, 전기기사, 전기공사기사, 전기철도기사, CCNA, CCNP 등기본역량 관련 자격 전자기사, 반도체설계기사, 의공기사, 임베디드기사 등필수교과목 회로이론 I • 논리회로• 신호 및 시스템 • 컴퓨터구조• 통신공학 I • 전자종합설계프로젝트
기계전자공학부시스템반도체 트랙System Semiconductor전자산업의 쌀인 시스템반도체의 설계와 공정을 통하여 글로벌 국가경쟁력을 강화합니다.Tel 02-760-4434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아날로그 및 디지털 반도체 회로 설계 전문가반도체 소자 전문가반도체 공정 전문가졸업 후 진로
종합반도체기업, 팹리스, 파운드리의 취업 또는 대학원 진학이 가능함
반도체설계업체 개발자팹리스업체 연구개발자반도체기술영업 직원아날로그 기기 업체 개발자종합반도체기업 연구직/일반직파운드리업체 연구직/일반직반도체 장비,재료,부품업체 직원전자기기 업체 개발자임베디드시스템 개발자의료기기 업체 개발자교육 목표
차세대 반도체 산업을 이끌어 나갈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이론과 실무에 능통한 전문 엔지니어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시스템반도체공학과, 반도체시스템공학과, 반도체공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한성대학교 전체의 트랙제 시행을 통해 타 학문과의 연계 학습이 가능함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전자 종합설계 프로젝트 작품출품• 전국 규모의 경진대회 수상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반도체소자와 반도체 공정 분석 및 설계 구현 역량 • FPGA 설계 및 구현 역량• CMOS 디지털집적회로 설계 및 구현 역량아날로그 회로 분석, 설계 및 구현 역량 • BIT, FET, 전자회로 설계 및 구현 역량• CMOS 아날로그집적회로 설계 및 구현 역량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공정 기술 역량 • 반도체소자 이해 역량• 반도체공정 이해 및 실무 역량인공지능 등 응용 시스템 구현 역량 • 임베디드시스템 설계 및 구현 역량• 인공지능 설계 및 구현 역량창의적 공학문제 해결 및 응용 역량 • 공학문제점 파악 역량• 공학문제 해결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IT공과대학 기계자동화트랙 자동화 로봇 개발자2 IT공과대학 기계설계트랙 메카트로닉스 개발자심화 전공 1 IT공과대학 전자트랙 전자공학 엔지니어트랙교수진
김일민 경력 LG전자, 한국전자통신연구소(ETRI), 삼성SDS
교과 프로그래밍언어, 자료구조, 운영체제이종복 경력 LG반도체교과 전자회로, 디지털집적회로, 반도체소자, 아날로그집적회로김준민 경력 한국산업기술시험원교과 시스템반도체의 기초, 반도체공정, 반도체센서, 임베디드시스템정영모 경력 서울대학교 제어계측 신기술연구소 연구원, Wireless SystemsLab.,Georgia Institute of Tech. Post doc.교과 회로이론 I, 회로이론 II, 통신공학 I, 통신공학 II오종택 경력 한국통신 무선통신연구소교과 디지털신호처리, 컴퓨터구조, 마이크로프로세서실험, 데이터통신 및컴퓨터네트워크호광춘 경력 한국통신 무선통신연구소교과 전자기학, 전기전자회로실험, 신호 및 시스템, 제어공학공규열 경력 삼성전자 반도체, Aalto Univ. Post doc.교과 전자공학의 기초, 논리회로, 디지털 영상처리, 무선통신공학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반도체설계산업기사, 반도체장비유지보수기능사, 의공기사기본역량 관련 자격 전자기사, 정보처리기사, 전기기사, 전기공사기사, 임베디드기사, 무선설비기사, 정보통신기사, 방송통신기사필수교과목• 반도체소자 • 자바프로그래밍• 반도체공정 • 아날로그집적회로• 반도체센서 • 시스템반도체 종합설계프로젝트기계전자공학부
기계설계트랙Mechanical Design보다 강화된 기계설계 교육과정 운영으로 세계를 움직이는 혁신적인 설계역량을 쌓아갑니다.
Tel 02-760-432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기계/자동차/항공기 관련 직종 연구 개발자공공운송시설 및 공기업 기계직종 공무원일반 제조업 빛 기계요소 정비/조립 전문가졸업 후 진로
기계/항공/조선 등 다양한 산업체에서 기계자동화/공학설계/정비 및 조립 직무들이 다양함
자동차 관련 기업 연구개발중공업/엔지니어링 연구개발항공기/미래운송기술 연구개발지능형로봇 설계개발자동화 의료기기 설계개발캐드 기반 설계사철도공사 기계직군 공무원공항공사 기계/항공직군 공무원항만공사 기계/조선직군 공무원기계공학 시험원자동차 조립원자동차 부분품 조립원금속가공 기계조작원항공기 정비원공업기계 설치 및 정비원
교육 목표
기계공학에 대한 전공 기초교육을 통해 기계요소에 대한 이해 및 이에 기반을 둔 응용설계 능력, 기계시스템의 설계, 분석 및 제작 등 종합설계 능력을 갖추고 캡스톤디자인을 통한 실생활 및 산업 현장에 필요한 기계장치 개발능력 배양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기계공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한성대학교 전체의 트랙제 시행을 통해 기계설계분야의 전공지식을 기초로 한 특정분야의 엔지니어로 융합이 가능함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기초 역학에 관한 지식, 기계요소 자동화 능력, 컴퓨터 언어 활용, 글로벌 역량• 세부조건: 졸업전시작품 설치 및 졸업논문 제출 (캡스톤디자인)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공학적 분석 역량 • 공업 수학 이해 역량 • 역학 기초 이해 역량실무적 활용 역량 • 컴퓨터 OS 및 코딩에 대한 이해 역량 • 실험 및 모사를 할 수 있는 역량• 기초 역학 지식을 응용할 수 있는 역량설계 및 의사전달역량• 기초 설계를 할 수 있는 역량 • 종합설계를 할 수 있는 역량• 기초 역학 지식을 응용할 수 있는 역량윤리/글로벌 경쟁력 • 공학기술을 응용할 수 있는 역량 •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창의융합대학 미래모빌리티학과 자율주행시스템2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벤처경영트랙 창업3 디자인대학 영상·애니메이션디자인트랙 모션그래픽단대내 융합1IT공과대학모바일소프트웨어트랙 임베디드시스템2 산업공학트랙 시스템공학심화 전공1IT공과대학기계자동화트랙 기계공학전반, 로봇공학2 전자트랙 전자공학트랙교수진
최재봉 경력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교과 기계설계, 기계실험 및 측정, 유한요소해석한정수 경력 West Virginia University교과 재료역학1, 재료역학2우윤환 경력 Spatial Corp. ACIS 개발팀교과 프로그래밍 기초1, CAD1, CAD2윤주일 경력 현대중공업 중앙연구소교과 동역학, 열역학1, 열역학2, 기계제작법이상열 경력 두산인프라코어, 지멘스(Siemens)교과 공업수학1, 공업수학2, 열역학1, 열역학2조이상 경력 가경코스모 기술연구소교과 전산수학, 수치해석 및 실습, 유한요소해석최기흥 경력 Institute for Physical Science and Technology교과 자동제어, 디지털시스템 및 실습, 제품디자인박두용 경력 한국산업안전공단, 미국 3M연구소교과 환경안전공학, 최적환기설계실무강상욱 경력 삼성전자교과 창의적기계설계, 프로그래밍 기초2, 컴퓨터기반 계측 및 제어, 진동학김상현 경력 대한항공, 삼성종합기술원교과 기계재료학, 기구학, 응용기계설계 및 실습, 나노멤스공학개론김민구 경력 신속기술획득연구원(구 방위산업기술지원센터)교과 기계공학기초, 자동제어, 메카트로닉스김상희 경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교과 프로그래밍 기초1, 유체역학 2, 에너지공학, 일반화학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기계설계(산업)기사, 일반기계기사, 메카트로닉스(산업)기사, 공장자동화(산업)기사, 기계기술사, 기계안전기술사기본역량 관련 자격 각종 캐드자격증, 각종 프로그래밍 자격증필수교과목• CAD2 • 기계설계 • 응용기계설계 및 실습• 기계제작법 • 유한요소해석 • 재료역학2• 기계설계캡스톤디자인기계전자공학부
기계자동화 트랙Mechanical Automation국가미래성장동력산업인 지능형 로봇 및 기계자동차시스템에 대한 역량을 극대화합니다.
Tel 02-760-432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기계/자동차/항공기 관련 직종 연구 개발자공공운송시설 및 공기업 기계직종 공무원일반 제조업 빛 기계요소 정비/조립 전문가졸업 후 진로
기계/항공/조선 등 다양한 산업체에서 기계자동화/공학설계/정비 및 조립 직무들이 다양함
자동차 관련 기업 연구개발중공업/엔지니어링 연구개발항공기/미래운송기술 연구개발지능형로봇 설계개발자동화 의료기기 설계개발캐드 기반 설계사철도공사 기계직군 공무원공항공사 기계/항공직군 공무원항만공사 기계/조선직군 공무원기계공학 시험원자동차 조립원자동차 부분품 조립원금속가공 기계조작원항공기 정비원공업기계 설치 및 정비원교육 목표
기계공학에 대한 전공 기초교육을 통해 기계요소에 대한 이해 및 이에 기반을 둔 응용설계 능력, 기계시스템의 설계, 분석 및 제작 등 종합설계 능력을 갖추고 캡스톤디자인을 통한 실생활 및 산업 현장에 필요한 기계장치 개발능력 배양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기계공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한성대학교 전체의 트랙제 시행을 통해 특정분야의 엔지니어로 융합이 가능함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 기초 역학에 관한 지식, 기계요소 자동화 능력, 컴퓨터 언어 활용, 글로벌 역량• 세부조건: 졸업전시작품 설치 및 졸업논문 제출 (캡스톤디자인)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공학적 분석 역량 • 기술 이해능력 • 기초연산능력• 역학기초이해능력실무적 활용 역량 • 컴퓨터 활용 및 정보처리 능력 • 실험기획 및 설계 능력• 역학응용 능력설계 및 의사전달 역량 • 기초설계 능력 • 역학지식을 응용한 설계 능력• 종합설계 능력윤리/글로벌 경쟁력 역량 • 공학기술응용 능력 • 환경문제해결 및 공동체 윤리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창의융합대학 AI응용학과 자율주행시스템2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벤처경영트랙 창업3 디자인대학 영상·애니메이션디자인트랙 모션그래픽단대내 융합1IT공과대학모바일소프트웨어트랙 임베디드시스템2 산업공학트랙 시스템공학심화 전공1IT공과대학기계설계트랙 기계공학전반, 로봇공학2 전자트랙 전자공학트랙교수진
최기흥 경력 Institute for Physical Science and Technology
교과 자동제어, 디지털시스템 및 실습, 제품디자인박두용 경력 한국산업안전공단, 미국 3M연구소교과 환경안전공학, 환경측정 및 실험강상욱 경력 삼성전자교과 창의적기계설계, 컴퓨터기반 계측 및 제어, 프로그래밍 기초2, 진동학김상현 경력 대한항공, 삼성종합기술원교과 기계재료학, 기구학, 응용기계설계 및 실습, 나노멤스공학개론김민구 경력 신속기술획득연구원(구 방위산업기술지원센터)교과 기계공학기초, 자동제어, 메카트로닉스최재봉 경력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교과 기계설계, 기계실험 및 측정, 유한요소해석한정수 경력 West Virginia University교과 재료역학1, 재료역학2우윤환 경력 Spatial Corp. ACIS 개발팀교과 프로그래밍 기초1, CAD1, CAD2윤주일 경력 현대중공업 중앙연구소교과 동역학, 열역학1, 열역학2, 기계제작법이상열 경력 두산인프라코어, 지멘스(Siemens)교과 공업수학1, 공업수학2, 열역학1, 열역학2김상희 경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교과 프로그래밍 기초1, 유체역학 2, 에너지공학, 일반화학조이상 경력 가경코스모 기술연구소교과 전산수학, 수치해석 및 실습, 유한요소해석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기계설계(산업)기사, 일반기계기사, 메카트로닉스(산업)기사, 공장자동화(산업)기사, 기계기술사, 기계안전기술사기본역량 관련 자격 각종 캐드자격증, 각종 프로그래밍 자격증필수교과목• 자동제어 • 수치해석 및 실습 • 진동학 • 디지털시스템 및 실습 • 나노멤스공학 • 메카트로닉스 • 기계자동화 캡스톤디자인산업시스템공학부
산업공학트랙Industrial Engineering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분야(Man, Machine, Money 등)를 조화롭게 지휘하고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배웁니다.
Tel 02-760-412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생산물류 관리자
인간중심의 안전경영관리자
데이터 기반의 고객경영관리자
졸업 후 진로
비즈니스기획 및 관리자
생산관리기술자,물류시스템기획관리자,물류센터운영자인간공학기술자, 산업안전관리자 마케팅전문가,고객관계관리전문가,데이터사이언티스트0교육 목표
정보통신 기술과 시스템 분석 도구 활용 능력을 바탕으로 산업시스템의 설계, 구축, 운영을 최적화하고 혁신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시스템 경영 및 혁신 전문가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산업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산업시스템공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생산, 안전, 고객관계관리에 특화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다음의 4가지 기준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트랙 졸업 자격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인정한다.1. 트랙에서 인정하는 자격증(제3조 제2항)을 하나 이상 취득하여야 한다.2. 트랙에서 인정하는 교외 공모전(제3조 제3항)에서 입상하여야 한다.3. 전국 규모의 학회가 주최하는 학술대회에서 논문을 구두로 발표하거나, 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수준 이상의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여야 한다.4. 트랙에서 인정하는 졸업 논문(작품, 프로젝트 포함)을 제출하여야 한다.트랙육성역량
역량 하위 역량
시스템통합 및 효율화 역량 • 인간/기계 시스템 개선 역량• 제조 시스템 개선 역량• 데이터 분석 기본 이론 이해 역량•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역량자료의 이해와 분석 역량 • 데이터 분석 기본 이론 이해 역량• 데이터 처리 역량비즈니스 프로세스 이해 역량 • 생산 프로세스 이해 역량• SCM 프로세스 이해 및 개선 역량• 마케팅 프로세스 이해 및 개선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글로벌비즈니스트랙 시스템적 사고능력을 갖춘글로벌비즈니스 전문가2 경제금융투자트랙 시스템적 사고능력을 갖춘금융 전문가3 기업경영트랙 시스템적 사고능력을 갖춘기업 경영인단대내 융합1IT공과대학빅데이터트랙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전문가2 기계자동화트랙 스마트 팩토리 설계 전문가심화 전공 1 IT공과대학 지능형제조시스템트랙 스마트 팩토리 전문가트랙교수진
1트랙
정병용 경력 대한인간공학회 Fellow, 대한인간공학회지 편집위원장, 인간공학기술사회회장교과 작업경영, 인간공학, 안전관리, 안전보건관리유재건 경력 정보통신정책연구원(구 통신개발연구원) 전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선임연구원교과 공학경제개론, 제조공정및자동화, 스마트제조, 데이터베이스설계및활용김형수 경력 한국CRM디지털마케팅협회장, 한국CRM학회 부회장, IBM CRM수석컨설턴트교과 빅데이터분석및응용, 빅데이터분석기초, 비즈니스어플리케이션이상복 경력 Professors at UNH(Univ. of New Haven), UCMerced(Univ. of Cal.Merced)교과 시스템시뮬레이션, 인공지능의이해와활용, 실험계획, 물류경영박인채 경력 Post-Doc. at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교과 생산빅데이터, 특허정보분석및활용, 기술경영, 공학프로그래밍2트랙이명복 교과 글로벌SCM문혜진 경력 VCA Korea 인증원, 디앤카(DEKRA 인증원) 실장교과 품질및공정관리, 품질관리, 공학확률과통계, 공학통계응용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CPIM(국제 생산 및 재고 관리사), SAP Global Certification, CMC(국제 공인 컨설턴트), PMP(국제 공인 프로젝트관리사), ERP 정보관리사기본역량 관련 자격 물류관리사, 산업안전기사, 인간공학기사, 사회조사분석사, CRM 전문가 GL, 마케팅통계분석가 GL, 데이터마이닝 전문가 GL, 고객 DB 분석가 GL필수교과목• 경영과학 • 인간공학 • 공학경제개론• 시스템시뮬레이션 • 빅데이터분석및응용 • 안전관리• 산업공학캡스톤디자인산업시스템공학부
지능형제조 시스템트랙Intelligent Manufacturing System4차 산업혁명 관련 IT 기술을 제조 공정 전반에 적용하는 스마트 팩토리에 대해 배웁니다.
Tel 02-760-5777
트랙소개
목표양성인력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및 하드웨어 개발자스마트 팩토리 구축 전문가스마트 팩토리 컨설턴트·기획 전문가스마트팩토리 운영 전문가졸업 후 진로
스마트 팩토리 설계, 구축 및 운영 전문인력을 양성
스마트 팩토리 관련 솔루션(ERP, SCM, MES 등)개발 기업에서 프로그래밍 능력과 스마트 팩토리에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솔루션 개발을 담당스마트 팩토리 관련 하드웨어(자동화 설비, 로봇,PLC 등) 개발 기업에서 공장 자동화에 대한 이해와스마트 팩토리 운영에 필요한 기능을 기반으로하드웨어 개발스마트 팩 토리 구 축을 담 당하는 기 업(솔루션업체, 하드웨어 업체, 컨설팅 업체 등)에서 각종솔루션 및 장비들을 기업의 요구사항에 맞추어커스터마이제이션을 담당스마트 팩토리 관련 컨설팅 업체에서 수요기업을대상으로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위한 타당성 검토,구축 범위, 솔루션 선정, 하드웨어 선정, 프로젝트일정 등의 컨설팅을 수행스마트 팩토리를 구 축한 (또는 구 축 의향 이있는) 제조업체에서 효율적인 운영을 담당하고,궁극적으로는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최적화된공장 운영을 담당교육 목표
스마트 팩토리의 설계, 운영관리를 담당할 수 있는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지닌 인재, 집단 지성의 힘을 바탕으로 팀으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융합적 사고를 지닌 인재 양성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스마트팩토리 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4년제 대학 학부 과정으로는 처음 설치, 스마트 팩토리뿐만 아니라 미래 제조 패러다임의 변화를 선도할 수 있는 인력 양성트랙(전공) 역량 인증기준다음의 4가지 기준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트랙 졸업 자격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인정한다.1. 트랙에서 인정하는 자격증(제3조 제2항)을 하나 이상 취득하여야 한다.2. 트랙에서 인정하는 교외 공모전(제3조 제3항)에서 입상하여야 한다.3. 전국 규모의 학회가 주최하는 학술대회에서 논문을 구두로 발표하거나, 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수준 이상의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여야 한다.4. 트랙에서 인정하는 졸업 논문(작품, 프로젝트 포함)을 제출하여야 한다.트랙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지능형제조시스템에 대한 이해를바탕으로 한 스마트제조 시스템 설계역량•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에 대한 분석 및 해석 능력• 전통적 제조시스템의 구조 설계 로직 이해 및 구현 능력• 다양한 해석을 바탕으로 합리적이고 창의적 아이디어를제시할 수 있는 능력플랫폼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융합시스템 설계 및 운영관리에 적용할 수있는 역량• 필요 전문지식의 능동적 학습, 자유롭게 활용하여 문제를해결할 수 있는 능력• 기반 기술을 다양한 관점에서 활용하여 스마트팩토리 문제를접근하고 해결하는 능력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간 융합1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기업경영트랙 스마트 팩토리 운영 및 기획 전문가2 창의융합대학 AI응용학과 제조 현장의 AI기반 의사결정 전문가단대내 융합1IT공과대학빅데이터트랙 제조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전문가2 웹공학트랙 스마트팩토리 관련 솔루션(MES, ERP 등)개발 전문가3 기계자동화트랙 공장자동화를 통한 스마트 팩토리 구축 전문가심화전공 1 IT공과대학 산업공학트랙 스마트 팩토리 운영 및 기획 전문가트랙교수진
1트랙
홍정완 경력 한국전자통신연구소(ETRI) 선임연구원, (사)기업정보화지원센터 연구위원교과 생산경영, 생산운영관리, SAP 생산프로세스, SAP 프리인턴십문 찬 경력 대우전자 디자인연구센터 선임연구원교과 디자인과제조, 창의 팩토리박현성 경력 SAP Korea ERP/PI 컨설턴트교과 프로세스혁신, SAP SCM 프로세스, SAP ABAP 프로그래밍, SAP ABAP캡스톤디자인2트랙이상복 경력 Professors at UNH(Univ. of New Haven), UCMerced(Univ. of Cal. Merced)교과 시스템 시뮬레이션, 인공지능의 이해와 활용, 레고를 활용한 지능형시스템설계박인채 경력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MIT) Post Doc.교과 생산빅데이터, 기술경영, 빅데이터분석기초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CPIM(국제 생산 및 재고 관리사), SAP Global Certification(PP Module Consultant), ERP 생산정보관리사, 경영지도사(생산관리 분야)필수교과목• 전공기초 : 레고를 이용한 지능형 시스템 설계• 전공필수 : 제조공정 및 자동화, 디자인과제조, 품질및공정관리, 프로세스혁신, 인공지능의 이해와 활용, 생산빅데이터, 스마트팩토리캡스톤디자인창의융합대학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첨단학문과 신기술 기반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자율전공학부인 상상력인재학부와 특성화학과인 문학문화콘텐츠학과, AI응용학과, 융합보안학과, 미래모빌리티학과로 구성
창의융합의 교육모델을 제시한다
첨단학문과 신기술의 결합으로 독창적인 창의융합인재를 육성한다
116 문학문화콘텐츠학과
118 AI응용학과120 융합보안학과122 미래모빌리티학과문학문화 콘텐츠학과
Literature & Cultural Contents웹소설에서 메타버스까지 세상의 모든 미디어를 스토리텔링으로 혁신합니다.
Tel 02-760-5637
학과소개
목표양성인력문학문화콘텐츠 텍스트 비평 및 생산 분야콘텐츠 마케팅·정책 분야이야기 콘텐츠 기획·창작 분야디지털콘텐츠 기획·제작 분야졸업 후 진로
드라마·영화·예능·교양 등 방송·영상, 출판, 게임, 문화기관, 홍보·마케팅, 엔터테인먼트 등 기존의 메이저
산업과 웹툰·웹소설·MCN 등 웹콘텐츠 분야까지 콘텐츠산업의 진로 범위는 매우 다양함[비평 및 텍스트생산 전문가]방송구성작가, 기자·웹콘텐츠에디터, 카피라이터,문학 및 문화 평론가, 온오프 출판물 기획편집자,1인 크리에이터, 문학 작가 및 글쓰기 관련 분야[이야기콘텐츠 기획·창작 전문가]영화·드라마·웹툰 등 시나리오·스토리작가 및 기획자,서사 영상물 연출가, 웹툰·웹소설 PD, 기타 이야기기반 콘텐츠 기획·창작·제작 분야[콘텐츠 마케팅·정책 전문가]콘텐츠기획자(PM/PD), 콘텐츠 마케터, 콘텐츠홍보전문가, 국제교류 전문가, 콘텐츠 정책 연구원,콘텐츠관련 정부·지자체·진흥원 등 공공기관 분야[디지털콘텐츠 기획·제작 전문가]게임 기획/제작자, 웹/앱 기획/제작자, 디지털콘텐츠기획자, 메타버스 포함한 AR/VR 기획 분야교육 목표
글로벌 시장이 요구하는 수준의 K-컬처 콘텐츠를 기획, 제작할 창의적인 콘텐츠 산업 전문인을 육성한다.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문화콘텐츠학과, 문화미디어학과, 문화예술경영학과, 문예창작학과•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타 대학이 인문/예체능/IT공학 한 분야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문학문화콘텐츠학과는 스토리텔링 역량, 문화콘텐츠 기획 역량, 디지털 미디어 신기술 구현 역량을 상호작용적으로 융합하여 교육학과(전공) 역량 인증기준• 학과에서 정한 내규에 따라 외부 전문가와 산업체 평가 시행학과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스토리텔링 역량 • 스토리텔링 유형별 이해 및 활용역량• 문학적 원천 분석 및 비평 역량• 원형 스토리 콘텐츠화 역량• 스토리 아이디에이션 및 창작 역량문화콘텐츠 기획 역량 • 콘텐츠 상업 시장 및 트렌드 분석 역량• 목표 산업별 전략 수립 역량• 인력, 예산, 장비운용 계획 역량• 기획서 작성 및 제안 역량미디어 신기술 구현 역량 • 미디어 기술 분석 역량• 콘텐츠 맞춤형 기술 설계 역량• 신기술 활용 콘텐츠 기획 역량• 신기술 활용 콘텐츠 구현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 간 융합1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역사콘텐츠트랙 한국문화해설사, 학예사2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문화정보 디지털콘텐츠 직무3 한국어교육트랙 문학 기반 한국어교사4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벤처경영트랙 출판사/웹진창업5 디자인대학 뉴미디어 광고·커뮤니케이션디자인트랙 광고 및 홍보학과교수진
김동환 경력 한국문학교육학회장, 태국 치앙마이라차팟대학교 파견교수
교과 스토리텔링의 세계, 현대문학의 콘텐츠화 전략, 문학과 문화의 융합적 이해,우리시대 소설비평과 진로직무김기홍 경력 시나리오 작가, 인문콘텐츠학회 학술위원장,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위원장교과 문화콘텐츠의 이해, 미디어와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의 세계, 인쇄광고비주얼과카피전준현 경력 전자응용 분야 NCS기반 국가기술자격 위원, 국가 공인자격시험 출제/검토 위원,㈜액토즈소프트교과 디지털콘텐츠기획입문, 뉴미디어콘텐츠와 마케팅, 실감형콘텐츠 경험디자인 설계,앱콘텐츠디자인(캡스톤디자인)강호정 경력 한성어문학회장교과 현대시의 문화적 이해, 현대시 기반 콘텐츠비평, 스토리텔링의 세계, 문화콘텐츠와현대인의 삶김보름 경력 인문콘텐츠학회 교육이사, 한국여가학회 대외협력이사, 영국 런던대학교 VisitingScholar담당 문화콘텐츠산업의 이해, 뉴미디어콘텐츠와 마케팅, 웹콘텐츠와 플랫폼의 이해, 한류속의 K콘텐츠와 문화정책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컴퓨터활용능력, GTQ, ITQ기본역량 관련 자격 게임기획전문가, 전자출판기능사필수교과목※ 아래 9개(27학점) 교과목 중 7개(21학점)를 졸업에 필요한 필수교과목으로 인정• 스토리텔링의 세계 • 고전문학의 콘텐츠화 전략 • 현대문학의 콘텐츠화 전략• 지역문화와 콘텐츠(캡스톤 디자인) • 미디어와 문화콘텐츠 • 문화콘텐츠 트렌드 분석• 앱콘텐츠디자인(캡스톤디자인) • 장르별 스토리텔링실습 (캡스톤디자인) • 문화콘텐츠기획서실전연습 (캡스톤디자인)AI응용학과
Applied Artificial intelligence인공지능 및 디지털 기술로 촉발되는 초연결 기반의 지능화 혁명을 선도합니다.
Tel 02-760-4376
학과소개
목표양성인력영상/음성 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가지능형 IoT 시스템 개발 전문가AI 기반 융합 기술 전문가졸업 후 진로• AI 시스템 분야: 삼성전자, LG전자, 하이닉스, 포스코• ICT 기술 융합 분야: 현대 자동차, 기아 자동차, SKT, KT, LG U+• 데이터 분석 과학 분야: 네이버, 카카오, 엔씨소프트, 쿠팡• AI 관련 IT 솔루션 분야: 현대오토에버, 삼성SDS, LG CNS, 롯데정보통신, 안랩 등교육 목표지능형 IoT, 영상/음성 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팩토리, 지능형 로봇, 자율주행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 배양비교 소개•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인공지능학과, 소프트웨어학과, 컴퓨터공학과, 전자공학과 등• 타 대학과의 차별성 : 영상/언어/음성 인공지능과 IoT를 결합한 창의적 융합 AI 인재 양성학과(전공) 역량 인증기준• 공인영어성적 (TOEIC 700 이상 혹은 이와 상응하는 공인 영어성적)• 논문: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또는 학술지 (게재 예정증명서도 가능)• 교내외 공모전 입상학과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AI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 • AI 프로그래밍 역량 • AI 소프트웨어 설계 역량AI 모델 개발 및 데이터 분석 능력 • 데이터 분석 역량 • AI 모델 개발 및 응용 역량AIoT 시스템 개발 능력 • AIoT 디바이스 설계 역량 • AIoT 플랫폼 설계 역량AI 응용 서비스 개발 능력 • AI 응용 서비스 개발 역량 • AI 응용 서비스 아키텍처 설계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 간 융합1IT공과대학빅데이터트랙 AI 기반 빅데이터 전문가2 디지털콘텐츠·가상현실트랙AI 기반 콘텐츠 및 가상현실엔지니어3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기업경영트랙AI 스타트업, AI 정책 수립 및서비스 기획단대 내 융합1창의융합대학융합보안학과 AI 보안 전문가2 미래모빌리티학과 자율주행 전문가학과교수진
조혜경 경력 서울대학교 제어계측 신기술연구센터, 고등기술연구원
교과 딥러닝, 인공지능수학, 확률 및 통계, 디지털 논리 및 회로정성훈 경력 한국과학기술원 위촉연구원교과 머신러닝, 강화학습, 자료구조, python for AI지 준 경력 Mobil Exploration and Producing Technical Center교과 딥러닝, 머신러닝, 자연어처리, 웹프로그래밍이관우 경력 포항공과대학교 강사교과 클라우드컴퓨팅, 소프트웨어공학, 모바일프로그래밍, 객체지향프로그래밍노병국 경력 Precision Engineering Center교과 인공지능 랩, 선형대수, 인공지능수학, 오픈소스HW노광현 경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교과 컴퓨터비전, 오픈소스HW, 산학협력 프로젝트, 인공지능 캡스톤디자인김명선 경력 LG전자 연구소, 삼성전자 연구소교과 지능형임베디드시스템, 시스템프로그래밍, 운영체제, 알고리즘 및 실습오희석 경력 삼성전자 연구소, 한국전자통신연구원교과 컴퓨터비전, 인공지능수학, AI프로그래밍, 시각지능학습이웅희 경력 LG Uplus, 삼성전자교과 C프로그래밍, 디지털 논리 및 회로, 컴퓨터구조, 컴퓨터 네트워크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AICE, AIPD, TOPA, TensorFlow 개발자 자격증, 인공지능 엔지니어, 인공지능 활용능력 등기본역량 관련 자격 정보처리기사, 빅데이터분석기사, 전자계산기사, 정보검색사 등필수교과목• 인공지능수학 • 자료구조 및 실습 • 머신러닝 • 지능형 임베디드 시스템 • 딥러닝 • 인공지능 랩• 인공지능 캡스톤디자인융합보안학과
Department of Convergence Security해킹, AI 보안, 블록체인, 자율주행자동차보안, 양자보안, 차세대통신보안 (5G/6G) 분야와 관련된 개발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합니다.
Tel 02-760-5732
학과소개목표양성인력융합보안 시스템 전문가융합보안 컨설팅 전문가융합보안 관제 전문가
졸업 후 진로
사기업, 공기업 내의 정보보호 관련 부서
• 시스템 보안 전문가• 네트워크 보안 전문가• 취약성 분석 전문가• 보안 시스템 개발자• 보안 전문 컨설턴트• 정보보호정책 관리자• 정보보호기술 지원자• 정보보호 교육 강사• 정부출연 연구소 연구자• 정보시스템 검증 위원• 국가공인 인증기관 심사관• 국가망 보안 관리 전문가교육 목표
융합보안 실무형 인재 양성비교 소개
•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정보보호학과
• 타 대학과의 차별성 : 사이버보안과 정보시스템의 융합을 통한 융합보안 인재로의 성장이 가능함학과(전공) 역량 인증기준
• 융합보안 시스템 개발 역량과 컴퓨터 프로그래밍 전반적 역량• 세부조건: 다음 항목 중 2개 이상의 조건을 만족- 교외 학술대회 발표 (1저자)- 학술지 게재 (1저자)- 교외 공모전 입상- 캡스톤디자인 참여- TOEIC 750점 이상 혹은 이와 상응하는 공인영어성적학과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수학적 사고 역량 • 수학적 사고 역량• 자료구조의 이해와 분석 역량• 정보처리 역량보안 엔지니어링 역량 • 보안 SW 개발 역량• 시스템 보안 구축 역량암호·인증 역량 • 암호·인증 시스템 이해 역량• 암호·인증 시스템 구현 역량보안 시스템 역량 • 보안 시스템 이해 및 정보윤리 역량• 보안관제와 문제해결 역량• 보안 진단 및 대응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 간 융합1IT공과대학모바일소프트웨어트랙 모바일보안전문가2 빅데이터트랙 개인정보보호전문가3 웹공학트랙 클라우드보안전문가단대 내 융합1창의융합대학AI응용학과 인공지능보안전문가2 미래모빌리티학과 자동차보안전문가학과교수진
김승천 경력 LG전자 DTV/DA 연구소 선임연구원
교과 데이터통신, 컴퓨터네트워크, 네트워크 해킹 및 보안, 캡스톤디자인이후진 경력 Freescale Semiconductor 시스템 아키텍처 엔지니어교과 선형대수, 확률 및 통계, 암호학 기초, 암호학 고급서화정 경력 싱가포르 과학기술청 연구원교과 보안프로그래밍, 암호프로그래밍 기초, 암호프로그래밍 고급, 양자컴퓨터와 해킹박명서 경력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연구원, 강남대학교 조교수교과 악성코드분석, 역공학분석, 웹&앱보안, 인공지능보안방갑산 경력 삼성데이타시스템 선임연구원교과 자료구조, 알고리즘분석,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응용이기원 경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선임연구원교과 공간정보 응용, 위성정보 이해와 처리, 데이터 시각화, 웹 그래픽 정보처리구동영 경력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학과 연구교수교과 정보보안개론,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초, 객체지향 언어, 이산수학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정보보안기사 (EIS), 정보보안관리사 (ISM), 정보보호전문가 (SIS), 정보시스템감사사 (CISA), 정보시스템보안전문가 (CISSP)
기본역량 관련 자격 정보처리기사 (EIP)필수교과목
• 컴퓨터네트워크
• 암호학의 기초• 암호프로그래밍 기초• 역공학분석• 알고리즘분석• 데이터시각화미래모빌리티 학과
Smart Mobility컴퓨터/AI공학 및 전기·전자·제어공학, 기계공학 중심의 기반 기술 교육과, 산업체와 연계된 자율주행 및 전동화 기술의 미래 모빌리티 융합 교육을 통해서 실무 교육을 실시합니다.
Tel 02-760-5730
학과소개
목표양성인력자율주행 기술 개발자전동 기술 개발자모빌리티 기술 개발자졸업 후 진로
• 자율주행 알고리즘 개발, 센서 퓨전 기술, 로보틱스 분야 산업체
• 전력제어 알고리즘 개발, 제어 SW 검증, 모터 및 전력제어 SW 개발 분야 산업체• 자동차/비행기/선박 제조 기업• 모바일 로봇 제조 기업• 자동화 기계 제조 기업• 전동 기계 설계 전문가• 이동체 전력 기계 전문가• 전력 기기 기업• 배송/운송 기업• 물류 기업• 교통/도시 설계 전문가교육 목표
자율주행 및 전동화 기술의 융합 교육과정을 통한 미래 모빌리티 분야의 핵심인재 양성비교 소개
•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모빌리티학과
•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한성대학교 전체의 트랙제 시행을 통해 타 학문과의 연계 학습이 가능함학과(전공) 역량 인증기준
• 모빌리티종합설계프로젝트 1/2학기 중 한 학기 이수학과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미래모빌리티 기초이해 역량 • 모빌리티 기초 문제해결 역량• 미래모빌리티 프로그래밍 역량모빌리티 설계 및 개발 역량 • 자율주행 데이터 분석 및 활용 역량• 전동화 제어 설계 역량미래모빌리티 프로젝트 기획 및 수행 역량 • 미래모빌리티 신기술 학습 역량• 프로젝트 기획 및 수행 역량연계트랙
구분 추천순위 단과대학 추천 트랙 진로 분야단대 간 융합1IT공과대학전자트랙 전자부문 기술 개발자2 기계자동화트랙 모빌리티 자동화 기술 개발자3 기계설계트랙 모빌리티 설계 기술 개발자단대 내 융합1창의융합대학AI응용학과 모빌리티 AI 기술 개발자2 융합보안학과 모빌리티 보안 기술 개발자학과교수진
오종택 경력 한국통신 무선통신연구소
교과 디지털신호처리, 모빌리티통신노광현 경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교과 모빌리티프로그래밍실습, 모빌리티센서응용설계, 자율주행시스템응용윤주일 경력 현대중공업 중앙연구소교과 확률및랜덤프로세스김상현 경력 대한항공, 삼성종합기술원교과 기초역학1, 기초역학2이상복 경력 Professor at University of New Haven교과 모빌리티서비스응용김민구 경력 신속기술획득연구원(구 방위산업기술지원센터)교과 제어공학, 드론및UAM개론이상열 경력 두산인프라코어, 지멘스(Siemens)교과 선형대수오희석 경력 삼성전자 연구소, 한국전자통신연구원교과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개론, 컴퓨터비전이경복 경력 LG전자 연구소교과 미래모빌리티개론, 모빌리티 창의설계, C프로그래밍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전기기사, 전자기사, 전기철도기사, 로봇소프트웨어개발기사, 로봇하드웨어개발기사, 로봇기구개발기사, 그린전동자동차기사
기본역량 관련 자격 전기자전거정비사, 드론자격증필수교과목
• 미래모빌리티개론 • 모빌리티 전기전자회로 • 논리회로 및 컴퓨터구조 • 디지털신호처리 • 기초역학I, •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개론 • 기초역학II • 자율주행시스템응용
미래플러스대학
내 삶의 미래를 더하는 평생교육 중점 대학
미래사회 변화에 대비한 성인학습자
맞춤형 교육을 통해 직무역량 강화와 삶의 질 향상
126 호텔외식경영학과
128 융합행정학과130 비즈니스컨설팅학과132 뷰티디자인학과134 ICT융합디자인학과136 미래인재학부호텔외식 경영학과
Department of Hotel & Restaurant ManagementCultivating creative catering experts 학교기업 레스토랑의 실무실습을 통한 창의적 외식전문가를 양성합니다.
Tel 02-760-5743
학과소개
목표양성인력호텔경영전문가외식경영전문가외식조리전문가졸업 후 진로
호텔외식산업은 거대자본과 1인 기업이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고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혁신적인 기술
도입으로 기존의 교육 시스템이 운영하지 못했던 정보 분석 능력과 소비자 감수성, 그리고 실무능력을동시에 갖춘 인력의 공급이 필요함. 이에 호텔외식 분야에 특화된 경영 전문 지식을 갖추고 조리실무능력을 발휘하여 호텔경영전문가, 외식 경영전문가, 외식조리전문가, 외식경영 컨설턴트, 조리장,매니저, 창업을 통한 점주 등으로 활동호텔 및 콘도사업체레저 및 리조트 사업체단체급식프랜차이즈 창업호텔전문 컨설턴트호텔외식관련 교강사외식조리업체레저 및 리조트 사업체단체급식오너쉐프프랜차이즈 창업비법전문 컨설턴트케이터링전문가외식경영관련 교강사외식조리업체레저 및 리조트 사업체단체급식오너쉐프프랜차이즈 창업비법전문 컨설턴트케이터링전문가조리·제과관련 교강사교육 목표
전문화‧융합‧1인 창업 시대를 선도하는 호텔외식산업 분야 전문인력 양성비교 소개
•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세종대학교/글로벌조리학과, 호텔외식관광 프랜차이즈경영학과
•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타 대학이 실습위주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나 우리 호텔외식경영학과는 호텔과 외식, 조리 관련 경영이론교육을 바탕으로 창업실습공간을 확보하여 경영이론을 바탕으로 창업실습을 진행하여 실질적인 창업 경험을 제공 함.학과(전공) 역량 인증기준
졸업작품 제출 및 평가 : 100점 만점 기준 80점 이상학과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외식경영기본역량 • 외식경영 이해• 조리응용실무• 외식서비스 이해외식경영역량 • 외식경영관리• 외식경영 전략수립호텔외식경영역량 • 호텔외식상품개발• 호텔외식마케팅• 호텔외식서비스관리외식창업역량 • 외식창업컨설팅• 온라인외식창업• 프랜차이즈 경영연계트랙(학과)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학과 진로 분야단대내 융합1미래플러스대학융합행정학과 외식창업 및 경영컨설팅2 ICT융합디자인학과 메뉴디자이너 및 관리자3 비즈니스컨설팅학과 외식경영컨설팅학과육성역량학과교수진
김현주 경력 취영루
교과 외식경영관리론, 외식창업종합설계2, 프랜차이즈경영론, 환대산업론김경자 경력 대한외식창업연구소교과 세계식문화사, 식생활과 건강, 식음료서비스실무, 푸드스타일링채봉수 경력 WTCO한국본부 상임위원, WTCO국제 심사위원, 세계음식문화연구원 중식명인교과 서비스품질, 푸드필드종합설계, 연회기획설계, 조리학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직업능력개발 훈련교사 1,2,3급, 조리기능사, 조리산업기사, 조리기능장, 제과기능장, 위생사
기본역량 관련 자격 한식, 양식, 중식, 일식, 복어 조리기능사, 제과, 제빵 기능사, 조주기능사, 외식경영관리사필수교과목
• 서비스품질
• 호텔경영원론• 외식경영원론• 외식메뉴관리론융합행정 학과
Convergence Public Administraion뉴융합시대의 패러다임이 요구하는 행정학과 법학의 융합을 선도합니다.
Tel 02-760-5743
학과소개
목표양성인력공공행정 전문가민간행정 전문가공공데이터 전문가졸업 후 진로
• 정부 정책과 관련 법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공‧민간 부문의 목표와 전략을 올바르게 수립하여
추진해나갈 수 있는 기획‧관리 전문가행정공무원법원행정사무원사회복지행정사무원도시행정전문가전문비서사무보조원기업행정사무원경영지원사무원경영기획사무원마케팅사무원인사 및 노무사무원교육 및 훈련사무원홍보사무원총무사무원공공빅데이터 전문가전자정부전문가시장 및 여론전문가
교육 목표
공공-민간 부문의 이론과 실무역량을 두루 겸비한 전문가비교 소개
•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명지대학교 법무행정학과, 서울사이버대학교 법무행정학과
• 타 대학과의 차별성 : 융합행정학과는 다양한 학문 분야의 융합 교육을 통해 창의적 사고력과 합리적 판단력을 배양하여 공공기관과 민간부문 행정‧법무 실무 전문가와 공공데이터 전문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하며, 공공-민간 부문의 융합, 이론과 실무의 융합, 학문간 융합을 기반으로 핵심 역량을 배양하고 현장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업무 역량을 함양함학과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공공행정 역량 • 공공기획• 정책사업기획• 공공관리• 정책사업관리민간행정 역량 • 민간행정기획• 협력 및 조정• 민간행정관리공공데이터 활용관리 역량 • 공공데이터관리• 공공데이터활용기획• 공공데이터수집• 공공데이터분석법행정실무 역량 • 법률 및 제도 분석• 법적사고• 법률 및 제도 적용융합행정실무 역량 • 법‧제도 정책이해• 공공데이터 이해• 조직행정실무연계트랙(학과)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학과 진로 분야단대내 융합1미래플러스대학뷰티디자인학과 뷰티분야 행정실무2 호텔외식경영학과 호텔외식분야 행정실무3 비즈니스컨설팅학과 행정컨설턴트4 ICT융합디자인학과 디자인 기업 관리 및 행정 담당자학과교수진
김라은 경력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정보학교실연구교수
교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법 윤리학 센터 연구원서미정 경력 숙명여자대학교 초빙교수교과 행정과 빅데이터, 행정사무실무, 데이터분석 개론, 조직과 사회강혜연 경력 연세대학과 공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원, LG CNS Entrue Consulting신임컨설턴트교과 행정조사방법론, 정부프로젝트관리 실무, 재무행정, 기획실무 종합설계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법무사, 공인노무사 등기본역량 관련 자격 행정공무원, 행정사 등필수교과목• 민법총칙• 정책학개론• 조직과 사회• 헌법실무학과(전공) 역량 인증기준다음 조건 중 1가지 충족 (단, 법학사인 경우 1. 졸업논문 제출한 경우만 가능함)1. 졸업논문 제출 (법학사인 경우 필수)2. 공무원 채용 시험 합격3. 공직/컴퓨터 활용 자격증 취득 : 행정사, 정책분석평가사 2급, 사회조사분석사2급, 워드프로세서 1급, 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사무자동화산업기사, 컴퓨터활용능력, 인터넷 능력시험4. 영어성적 : TOEIC 750점 이상, TOEFL(IBT) 85점 이상, TOEIC Speaking&Writing 각 140점 이상, TEPS 597점 이상, IELTS 6.0 이상비즈니스 컨설팅학과
Business ConsultingDigital Convergence Service 시대와 산업계 요구에 부응하는 맞춤형 컨설턴트를 육성합니다.
Tel 02-760-5743
학과소개
목표양성인력
기술경영전문가
전략경영전문가
경영컨설턴트
졸업 후 진로
산업의 흐름은 제조3.0에서 제조4.0으로 전환되고 있고, 제조4.0 시대는 기존의 교육 시스템에서는
담당하지 못했던 고도의 창의력과 감수성, 그리고 문제해결능력을 겸비한 창의성과 공학적 지식 및인문학적 소양을 골고루 함양한 양손잡이(Ambidexterity)고급 인적 자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이를 수용할 만한 미래의 직업군으로 아래의 전문분야와 경영지도사로 활동할 수 있음.기술지도사, 기술경영사,기술평가사경영지도사 경영지도사교육 목표
Digital Convergence Service 시대와 산업계 요구에 부응하는 맞춤형 컨설턴트 육성비교 소개
• 타 대 학 유 사/관련 학 과(전공) : 명 지대학교 미 래융합경영학과, 경상 대학교 산 업경영학과, 중앙대학교 지식경영학부, 청운대학교 창업경영학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벤처경영학과
• 타 대학과의 차별성 : 비즈니스컨설팅학과는 Convergence Consulting Service를 통해 기업의 생산성 및 경쟁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국내 최고의 산업 혁신 컨설턴트 육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컨설팅 수행에 필요한 기본적인 Skill인 Problem Solving Skill, Communication Skill, Project Management Skill 등을 함양할 수 있음.학과(전공) 역량 인증기준
다음 조건 중 1가지 충족1. 졸업논문(작품, 프로젝트 포함) 제출 (프로젝트는 팀 단위 수행 가능)2. 전공관련 자격증 취득(SAP 국제공인자격증, 사회조사분석사 2급, 경영지도사, 기술지도사, CMC)3. 교외공모전 입상4. 학회 논문 발표학과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비즈니스 프로세스 이해 역량 • 재무관리 역량• 생산 및 품질관리 역량• 인적자원관리 역량• 마케팅(마케팅전략기획) 역량경영컨설팅실무역량 • 프로젝트 관리 역량• 자료수집 및 분석 역량• 컨설팅 분야별 컨설팅 툴킷 적용 역량• 의사소통 역량(문서작성 역량)경영진단역량 • 기업 문제 파악 및 해결 역량• 의사소통 역량(인터뷰 역량)전략기획역량 • 경영계획 및 전략수립을 위한 전략적 사고 역량• 목표 설정 및 의사소통 역량R&D기술업 사업화역량 • 기술사업화 전략 및 수립 역량• 기술가치 평가 및 IP 관리 역량연계트랙(학과)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학과 진로 분야단대내 융합1미래플러스대학뷰티디자인학과 뷰티창업 컨설턴트, 뷰티경영 컨설턴트2 호텔외식경영학과 호텔외식분야 경영관리자3 융합행정학과 행정컨설턴트4 ICT융합디자인학과 디자인분야 창업 및 경영 전문가학과교수진
임욱빈 경력 호워스충정컨설팅 시니어 컨설턴트
교과 재무회계, 컨설팅개론, 기업진단방법론, 경영전략 프로젝트 종합설계홍정완 경력 한국전자거래학회 재무이사 및 감사교과 생산관리, 서비스혁신컨설팅실무, 전공세미나박현성 경력 SAP Korea 유통/소비재산업솔루션 컨설턴트교과 비즈니스프로세스, 프로세스 혁신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SAP 국제공인자격증, 사회조사분석사
기본역량 관련 자격 경영지도사, 기술지도사, CMC필수교과목
• 문제해결방법론
• 비즈니스프로세스• 조사방법론• 컨설팅개론• 기업진단 프로젝트 종합설계• 경영전략수립 프로젝트 종합설계뷰티디자인 학과
Beauty Design뷰티분야의 전문화, 세분화, 체계화된 우수한 전문인재를 양성합니다.
Tel 02-760-5743
학과소개
목표양성인력
뷰티아트전문가
뷰티경영전문가
뷰티교육전문가
졸업 후 진로
뷰티산업의 트렌드를 분석하여 세분화, 전문화, 차별화된 뷰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체계적인
이론과 전문 적인 실습 을 통 해 뷰티디자 인전문가, 뷰티숍 창 업 및 경영전문가 양 성을 위한뷰티경영전문가, 뷰티분야 교육설계 및 교육개발을 위한 뷰티교육전문가를 양성을 목표로 함뷰티디자인 전 분야의실무전문가로 활동헤어디자이너,메이크업아티스트,네일아티스트, 피부관리사,두피모발전문가, 세미퍼머넌트전문가뷰티숍 관리자 등 뷰티서비스업경영관리자로서 활동개인 및 프랜차이즈 헤어숍,웨딩숍, 네일숍, 피부관리숍,두피관리숍 등뷰티분야 교수법 설계 및 관리,뷰티분야 교강사로 활동대학교수, 시간강사,미용고등학교교사, 학원강사,직업전문학교 강사 및 문화센터방과후 교사 등교육 목표
뷰티분야 서비스, 경영, 교육 전문가 양성비교 소개
•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뷰티케어학과, 뷰티아트학과, 뷰티미용예술학과, 뷰티산업학과 등
• 타 대학과의 차별성 : 타 대학의 뷰티학과는 목표인력양성 기준이 방대하여 실현성의 차별화 및 세분화된 전문인력양성에 어려움이 있음. 하지만 본교의 뷰티디자인학과는 선취업 후진학을 목표로 한 실무자 및 재직자 전형으로 뷰티분야의 인력양성에 있어 뷰티산업 필드의 트렌드와 니즈를 반영하고 학생의 특성과 역량을 고려함은 물론 지속적인 자기계발 및 차별화된 전문가 양성의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련 분야의 기술자가 아닌 체계적인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함학과(전공) 역량 인증기준
• 졸업작품 제출 및 평가 : 졸업작품(5 학과(전공) 역량 인증기준 0점)+포트폴리오(50점) 심사 후 합산 80점 이상학과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뷰티 현장실무 응용 역량 • 뷰티현장실무• 뷰티이미지메이킹• 뷰티트렌드이해뷰티 디자인 역량 • 뷰티콘텐츠 제작• 뷰티디자인 개발뷰티 경영 역랑 • 뷰티경영기획• 뷰티인적자원관리• 뷰티창업• 뷰티콘텐츠마케팅뷰티 교육 역량 • 뷰티교육콘텐츠개발• 뷰티교육설계연계트랙(학과)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학과 진로 분야단대내 융합1미래플러스대학융합행정학과 뷰티분야행정실무2 비즈니스컨설팅학과 뷰티경영컨설턴트3 호텔외식경영학과 뷰티경영관리자학과교수진
홍수남 경력 뷰티전문가-메이크업, 퍼스널컬러 및 이미지메이킹, 세미퍼머넌트전문가
교과 미용학개론, 뷰티일러스트레이션, 뷰티색채학, 응용메이크업, 뷰티트렌드권오혁 경력 뷰티전문가-헤어 및 뷰티경영전문가교과 뷰티이미지메이킹, 커트기초실습석유나 경력 뷰티전문가-헤어스타일링, 헤어숍 실무교과 공중보건과 안전위생, 뷰티기초실무1, 뷰티디자인, 뷰티교육콘텐츠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미용사(일반), 미용사(메이크업), 미용사(피부), 미용사(네일)
기본역량 관련 자격 SMAT경영서비스급, 퍼스널컬러자격증, 컬러리스트 산업기사 등필수교과목
• 뷰티이미지메이킹
• 미용학개론• 두피모발과학• 뷰티실무론ICT융합 디자인학과
ICT Convergence Design새로운 기술 융합 시대를 주도하는 창의융합형 시각디자인 전문인력 양성Tel 02-760-5743
학과소개
목표양성인력
디자인비즈니스 전문가
커뮤니케이션 디자이너
UX/UI 디자이너
졸업 후 진로
• 디자인 전문 업체 및 벤처 기업 창업과 학문 분야의 연구자로서 진출과 산업체의 디자인 경영과
디자인 실무를 담당한 디자이너로 활동• 전문 디자인업체, 중소기업체, 정부 기관, 방송 매체사, 출판사 등에 취업하여, 경제, 문화, 사회에중요한 역할을 담당• 다양한 학문과 전공이 접목된 분야로서 컴퓨터 기술뿐만 아니라 정보통신 및 산업디자인 전반에디자이너로서 활동디자인기업 경영자,광고기획자, 브랜드기획전문가,브랜드디자이너,광고디자이너, 그래픽디자이너,편집디자이너, 영상디자이너,패키지디자이너, 캐릭터디자이너,아이덴티티디자이너앱 디자이너, 웹 디자이너,스마트 콘텐츠 디자이너,디지털 콘텐츠 디자이너,모바일서비스기획자교육 목표
새로운 기술(ICT)의 시대를 주도하는 창의융합형 시각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비교 소개
•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시각디자인학과
• 타 대학과의 차별성 : 디지털 기술융합에 특화된 시각디자인 분야 실무 및 비즈니스 역량 함양학과(전공) 역량 인증기준
졸업작품 제출 및 평가 : 졸업작품(50점)+포트폴리오(50점) 심사 후 합산 80점 이상학과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디자인 기본 역량 • 발상 및 아이데이션• 디자인소양• 표현 및 구성시각디자인 역량 • 정보디자인• 패키지디자인영상디자인 역량 • 영상연출• 모션그래픽• 영상촬영, 영상편집UX/UI 디자인 역량 • UX디자인• 웹(앱)개발 디자인• GUI디자인• 서비스·경험디자인디자인 비즈니스 역량 • 디자인 창업 및 경영• 디자인마케팅• 브랜드개발 및 디자인• 디자인 성과 관리 및 프리젠테이션연계트랙(학과)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학과 진로 분야단대내 융합1미래플러스대학비즈니스컨설팅학과 디자인분야 창업 및 경영 전문가2 융합행정학과 디자인 기업 관리 및 행정 담당자학과교수진
박원철 경력 (주)애니지니 대표, (사)한국기초조형학회 콘텐츠작품분과 부회장,
(사)한국애니메이션학회 학술이사교과 평면조형, 영상그래픽, 미디어스토리텔링디자인, 인포그래픽전신종 경력 (사)한국기초조형학회 수석부회장, ANBD(ASIA NETWORK BEYOND DESIGN)특임이사, 전시국장교과 입체조형정향진 경력 모다디자인 대표, 디지털미디어콘텐츠 개발(교육부), 이벤트 홍보 기획 및제작(문광부), 신문광고디자인, 색채디자인 공저교과 앱개발 종합 설계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시각디자인(산업)기사, 웹디자인기능사,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기본역량 관련 자격 그래픽기술자격GTQ필수교과목
• 기초평면디자인
• 기초입체디자인•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 디자인• UX디자인 방법론• 인포메이션디자인미래인재학부
Digital Technology-Based Future Human Resource미래인재학부는 전 산업 분야 신산업 역량을 배양하고 재직자의 AI 역량을 향상시켜 디지털 분야 전문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함
Tel 02-760-5743
학과소개
목표양성인력
데이터사이언스 전문가
AI실무활용 전문가
AI융합프로젝트 전문가
졸업 후 진로
데이터사이언스 기반 분야(예: AI, 빅데이터 등)에서의 전문 인재 양성은 모든 산업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핵심 역량 향상의 필요성이 증가하고있음. 특히,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의 산업별 융합 트렌드를 반영하여 많은 직무에서 데이터사이언스기술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미래 직업군에서 활동하는 데 필요한 기반이 됨데이터행정전문가,AI데이터분석가SW 개발자,AI비즈니스컨설턴트, 스타트업창업, IT기업마케팅전문가푸드테크전문가, 온라인외식창업전문가, 뷰티테크전문가,AI뷰티마케팅전문가, 앱개발디자이너, 게임그래픽디자이너교육 목표
데이터사이언스 기반 기술(AI, 빅데이터 등)의 이해와 전문성, 윤리의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유연하고 혁신적인 사고를 갖춘 실무인재 양성
비교 소개
• 타 대학 유사/관련 학과(전공) : 한국방송통신대 첨단공학부 AI전공, 한양대 산업 융합학부, 서울과학기술대 인공지능 융합학과, 연세대 AI융합 심화전공 프로그램, 성균관대 응용AI 융합학부(24년 신설), 덕성여대 데이터사이언스학과
• 타 대학과의 차별성 : AI·빅데이터 등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사이언스와 다양한 산업 및 ICT 기술을 융합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차별화된 창의 교육 모델을 개발학과(전공) 역량 인증기준
다음 조건 중 1가지 충족
1. 졸업작품 제출 및 평가• 프로젝트는 팀 단위 수행 가능 • 학과 교수회의에서 평가2. 교내외 관련 공모전 입상3. 국내외 관련 학술대회 발표 또는 학술지 게재학과육성역량
전공 역량 하위 역량
데이터사이언스 이해 및 활용 역량 • 데이터 사이언스 이해•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 수집 및 저장•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AI 실무 활용 역량 • AI 이해• AI 응용• AI 활용• AI 융합AI융합프로젝트 설계·운영 역량 • AI융합프로젝트 개발 및 관리• AI 비즈니스 전략 및 모델 설계연계트랙(학과)
전공융합형 전공심화형
미래인재학부 전공(AI교육, 39학점) + 미래플러스대학 내 타 전공 중 1개 선택(39학점)
미래인재학부 전공(AI교육, 39학점) + 타 단과대학 유사전공 트랙 선택(39학점)
구분 추천
순위 단과대학 추천 학과 진로 분야단대내 융합1미래플러스대학비즈니스컨설팅학과 AI비즈니스컨설턴트, 스타트업 창업2 융합행정학과 데이터행정전문가, AI데이터분석가3 호텔외식경영학과 푸드테크전문가,온라인외식창업전문가4 뷰티디자인학과 뷰티테크전문가,AI뷰티마케팅전문가5 ICT융합디자인학과IT기업마케팅전문가, 앱개발디자이너, 게임그래픽디자이너심화 전공 1 창의융합대학AI응용학과 등유사전공SW 개발자, AI·데이터분석가 등학과교수진
신성 경력 비케이시 책임연구원, 가천-카카오엔터프라이즈 SW아카데미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교과 인공지능 기초, 파이썬 프로그래밍, 데이터마이닝, 데이터사이언스 프로그래밍정장훈 경력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전략기획경영본부장,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R&D재정사업평가센터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연구개발타당성심사팀 연구관교과 AI비즈니스 프로젝트, AI융합 캡스톤디자인자격증
직무역량 관련 자격 빅데이터 분석기사, SQLD개발자
기본역량 관련 자격 정보처리기사필수교과목
• 데이터마이닝• 데이터사이언스종합설계
• 데이터 분석 및 예측• AI융합캡스톤디자인• 데이터사이언스 프로그래밍Part 7. 주요 학사제도
1. 트랙선택 & 변경
• 트랙선택
ㆍ대상 : 2개 학기(1학년 2학기) 과정을 이수 중인 재학생(단, 미래플러스대학 재학생 제외)ㆍ신청기간 : 매학년도 11월 중ㆍ2학년 진급 시 2개의 트랙·학과·전공을 선택하여야 함ㆍ입학 시 소속 모집단위에서 반드시 1개 이상 트랙·학과·전공을 선택하고, 다른 1개의 트랙·학과·전공은 자유로움ㆍ각각의 트랙·학과·전공은 수강신청, 교육과정 이수, 학위 부여 등 모든 학사운영 내용이 동등함• 트랙변경ㆍ대상 : 트랙제를 이수 중인 3학기~7학기 재학생ㆍ신청기간 : 매학년도 1월, 7월ㆍ2개의 트랙·학과·전공 모두 변경 가능· 소속 모집단위 내에서 선택한 트랙·학과·전공을 다른 모집단위로 변경하는 경우는 ‘전부(과)’에 해당되어 별도의 선발과정을 거침· 상상력인재학부 소속 1학년은 2학년 진학 시 본인이 선택한 트랙·학과·전공 소속 학부가 본인 소속이 됨· 트랙선택 및 변경 관련 상세 안내는 학사공지 참조(유의사항)
ㆍ트랙변경으로 인해 기 취득한 트랙 전공학점은 일반선택 학점으로 전환되어 교육과정별 이수학점에 영향을 주므로 트랙 선택 및 변경에 신중을 기하여야함.ㆍ창의융합대학 학과는 입학 시 소속 모집단위가 아닌 학생이 선택할 경우 선발인원 제한 있음(모집 인원의 30% 이내)ㆍ2023학년도 신입생부터 컴퓨터공학부 내 트랙선택 및 변경 시 자격요건 만족 시 (전공기초과목 성적 B 이상) 가능함 - 추후 트랙선택 공지 참조• 일반 전부(과)제도ㆍ대상 : 3~7학기 재학생(징계를 받은 사실이 있는 자, 예능계열 실기 전형 및 특성화고교재직자 전형 입학자는 제외)ㆍ선발시기 : 매학년도 5월, 11월 중• 교차 전부(과)제도ㆍ대상 : 4, 5학기 재학생으로 지원 당시 취득학점이 학기당 평균 15학점 이상이고, 총 평균 평점 3.0 이상인 자징 (계를 받은 사실이 있는 자예, 능계열 실기 전형 및특 성화고교재직자 전형 입학자는 제외)ㆍ선발시기 : 매학년도 7~8월, 1~2월 중(유의사항)ㆍ2023학년도 신입생부터 일반 전부(과) 또는 교차 전부(과) 시 트랙선택을 위한 자격요건이 부여될 수 있음 - 추후 전부(과) 공지 참조2. 수강신청
• 수강신청방법
ㆍ학교홈페이지-종합정보시스템(http://info.hansung.ac.kr)-[교무]-[수강신청]ㆍ수강신청 확인: 학교홈페이지-종합정보시스템-[교무]-[수강신청서]• 시간표 및 수업계획서 조회ㆍ학교홈페이지-종합정보시스템-[교무]-[시간표 및 수업계획서 조회]ㆍ학생 개인 시간표 조회: 학교홈페이지-종합정보시스템-[교무]-[개인시간표 조회]• 수강신청 학점
ㆍ최소 6학점 ~ 최대 18학점(성적우수자, 학사경고자 학점이월여부에 따라 수강신청 학점 변동있음)• 선착순 제한ㆍ교양 및 전공 선택과목에 있어서 학생들의 수강기회를 특정과목에 편중되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수강신청 선착순에 따라 적정한 규모에서 마감함.3. 휴ㆍ복학 신청
가사나 질병, 기타 특별한 원인으로 학업을 계속할 수 없을 때 신청할 수 있으며, 일반휴학과 특별휴학으로 구분한다.
• 일반휴학ㆍ신입생은 병역 또는 질병에 의한 경우 이외에는 입학년도의 휴학을 할 수 없음ㆍ휴학은 재학기간 중 통산 3년(6학기) 가능함• 특별휴학(군입대휴학/모성보호휴학/창업휴학)ㆍ군입대휴학 : 군입대휴학은 입영 30일 전부터 신청 가능 / 입대휴학원과 입영통지서 직접 제출ㆍ모성보호휴학 : 본인의 임신, 출산, 육아 또는 이와 관련된 사유 / 통산 2년 초과할 수 없음ㆍ창업휴학 : 창업 또는 창업 준비의 사유로 창업관련 위원회의 창업휴학 승인을 받은자 / 통산 2년을 초과할 수 없음• 휴학시기ㆍ일반휴학 / 창업휴학 : 매학기 방학기간중 (1학기:2월, 2학기:8월)ㆍ군입대휴학 / 모성보호휴학 : 연중 사유발생 시• 복학ㆍ대상 : 휴학신청자 중 복학학기가 도래한 학생은 반드시 복학신청을 하여야 함ㆍ휴학기간 만료 전 조기복학 가능ㆍ복학기간 : 2월(1학기), 8월(2학기)4. 학적상태
• 종합정보시스템에 본인의 학적사항 기재는 필수임
• SMS, 학교 발송물, 제증명 발급시 필요하므로 주소/연락처를 반드시 입력, 변동사항 발생 시 반드시 수정 입력* 연락처 미기재 및 잘못된 연락처 기재로 인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주의
구분 내용
재학 등록금을 납부하고 재학 중인 자휴학 휴학(일반,군입영,질병휴학) 중인 자자퇴 재학생이 개인적인 사유로 더 이상 우리 대학을 다닐 수 없는 경우미등록제적 해당 학기에 등록하지 못한 경우미복학제적 휴학기간 만료 후 복학하지 않은 경우학사경고제적- 재학기간 중 성적평점평균이 1.75미만으로통산 5회 학사경고를 받은 경우- 학사경고제적 후 재입학할 학생이 2회 학사경고를 받은 경우징계제적학칙을 위반하거나 그밖에 학생의 본분에 어긋난 행위를 하였을 때에학생지도위원회 상벌분과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제적된 경우5. 재수강
• 대상과목
ㆍ개설된 과목 중 동일과목으로 처리된 교과목에 한하여 취득 성적이 C+ 이하인 경우 가능ㆍ수강신청 정정 기간에 수강 인원이 남아 있는 과목만 신청 가능• 성적제한ㆍ취득 가능한 최대 성적등급은 A0로 제한• 성적 인정 및 표기ㆍ성적은 재수강한 최종 성적(F포함)으로만 인정되며, 성적표 상에 재수강한 과목은 ‘R’표기가 추가됨• 신청 학점 제한 및 기타ㆍ교육과정상 폐지된 과목은 재수강 불가하나 동일교과목이있거나 학부장 또는 해당 주임교수가 인정한 교과목은 재수강이 허용됨ㆍ한 학기당 3학점 이내 재학기간 중 12학점 이내(단, 4학년은 학기당 제한을 두지않 고 전체 12학점 이내에서만 가능함)ㆍ계절학기 내 재수강은 재학기간 중 재수강 제한 학점인 12학점에 포함되지 않음ㆍ‘F’등급 과목 재수강 신청이 가능하고 ‘F’등급 과목은 12학점 제한을 받지 않음6. 계절학기/상상더학기
• 계절학기
ㆍ대상 : 학점취득 희망자(단, 휴학생도 가능하나, 8학기를 초과한 자는 휴학 중 수강할 수 없음)ㆍ학점제한 : 학기당 6학점 이내ㆍ기간 : 여름계절학기(7~8월중)/겨울계절학기(12월~1월중)• 상상더학기ㆍ대상 : 재학생 중 2학기 등록예 정자 (2학기 휴학예 정자 제외)ㆍ수강 및 등록 : 최대 9학점까지 수강가능-잔여학점은 2학기에 수강(2학기 등록금에 포함)-수강학점, 이수학점, 취득성적은 각각 2학기로 인정* 상상더하기 수강학생은 반드시 2학기 등록을 해야 합니다.7. 성적평가 방식
• 성적등급 및 평점
성적등급 성 적 평점
A+ 95~100 4.5A0 90~94 4.0B+ 85~89 3.5B0 80~84 3.0C+ 75~79 2.5C0 70~74 2.0D+ 65~69 1.5D0 60~64 1.0F 0~59 0• 평가비율
ㆍ중간고사 및 기말고사 : 50~80%ㆍ과제물 및 발표, 태도 : 0~40%ㆍ출석 10~20%8. 등록금납부
• 등록기간
ㆍ보통 1학기는 2월 중순경, 2학기는 8월 중순경• 등록금고지서는 등록기간 일주일전에 종합정보시스템을 통하여 조회 및 출력 가능• 분할납부ㆍ총 4차로 나누어 납부가능(학기초과자 및 휴학생은 신청 불가)9. 제증명발급 안내
• 발급수수료
(1) 재학생 : 국문(500원), 영문(500원) (졸업예정증명서 무료)(2) 졸업생 : 국문(1,000원), 영문(1,000원)(3) 교육비납입증명서 : 무료• 발급방법(1) 자동발급기 이용 : 상상관 로비에 설치되어 있으며 24시간 이용 가능함.(2) 인터넷 발급 : 본교 홈페이지 하단에서 증명 발급을 클릭하면 PC에서 직접 출력 가능. 회원아이디/ 비밀번호 입력 후 ‘대학교 증명 신청’클릭 후 ‘한성대학교’를 선택(3) 행정기관 Fax 민원 신청 : 가까운 행정기관(주민센터 등), 정부24에서 팩스 민원 신청10. 전자출결시스템
• 실시간출결시스템 어플 다운로드
Play Store에서 전자출결 앱 다운로드 (Android)
① Play Store 실행② "한성대학교 스마트출결" 검색 후 설치
App Store에서 전자출결 앱 다운로드 (iOS)
① App Store 실행② "한성대학교 전자출결" 검색 후 설치• 기능
(1) 출결기능ㆍ(대면수업) 강의실에서 어플을 켠 뒤 ‘출석체크’기능을 통해 출석체크ㆍ(비대면수업) 온라인동영상 시청 시 e-class를 통해 자동 출석체크(2) 시간표조회 : 학년도/학기별 개인시간표 조회가능(3) 강의정보 조회 : 간략한 강의 정보 확인 가능(4) 휴ㆍ보강알림, 출결알림Part 8. FAQ
Q 신입생도 휴학이 가능한가요?
- 신입생의 경우 입학 학년도의 휴학이 불가하며 군입대 휴학 또는 질병으로 인해 종합병원 1개월 이상 진단이 나올 경우만 가능합니다.Q 휴학시 등록금 납부를 해아하나요?- 등록금 납부를 하지 않아도 휴학이 가능하며, 등록금을 납부할 경우 추후 복학시 자동으로 등록이 대체됩니다.Q 신입생인데, 수강신청이 궁금합니다.- 1학년 신입생 수강신청은 아래와 같습니다.a. 신입생의 경우 교양필수과목이 있어서 졸업하기전 반드시 수강하여야 졸업이 됩니다.▶ 대부분의 교양필수과목(「사고와 표현」, 「영어커뮤니케이션」, 「AI와 SW 기초」)은 일괄수강신청으로 인해서 자동으로 수강신청됩니다.* 일괄수강신청 후 본인의 확인이 꼭 필요합니다.b. 수강신청은 학교홈페이지 종합정보시스템에 접속하여 실시합니다. 시간은 오전 11시부터입니다.▶ 수강신청은 선착순으로 마감됩니다. 배정된 인원이 마감되었을 시에는 다른 과목을 수강신청해야 합니다.c. 수강신청한 과목이 도저히 수강불가능한 경우 정해진 기간 내에 수강신청포기가 가능합니다.▶ 수강신청포기는 F학점과는 상이하며 수강신청을 하지 않은 것으로 처리 됩니다.Q 수강신청 학점의 상ㆍ하한은 어떻게 되나요?
- 기본 6학점이며 최대 18학점까지 가능합니다.(15학번 이전 학생은 최대 20학점까지 가능)※ 성적장학금을 받고자 하는 학생은 15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장학금 수혜대상이 됩니다.※ 직전학기 성적이 4.0이상이고, 해당학기에 F학점이 없는 경우는 최대수강신청학점에 3학점을 추가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Q 학점이월제도는 무엇인가요?- 학점이월제는 수강신청 기준학점 중에서 사용하지 않은 학점은 최대 3학점까지 다음 학기 내에서 이월이 가능한 제도입니다. 이월 학점을 포함하여 최대 취득학점은 15학번 이전 학생은 23학점, 16학번 이후 학생은 21학점까지 가능합니다.Q 계절학기에 취득한 과목의 성적은 어떻게 처리되나요?
- 직전학기에 산입되어 처리되며, 계절학기에서 취득한 학점은 학사경고, 장학생 선발과는 무관하며 졸업 소요학점으로 산입됩니다.Q 계절학기는 휴학생도 수강이 가능한가요?- 네, 8학기 이내인 휴학생도 계절학기 수강이 가능하나, 초과학기자 중 휴학생은 수강이 불가합니다.Q 정규학기 중간에 군입대하면 성적은 어떻게 처리되나요?- 당해 학기 중간고사를 마치고 군입대 휴학한 학생은 성적평가에 관한 세칙 제4조에 의거, 본인이 원할 경우 중간고사까지의 성적만으로 학기성적으로 인정할 수 있습니다. 성적신청(또는 성적포기신청)을 하고자 하는 자는 성적인정신청서(성적포기신청서)를 종합정보시스템- 신청메뉴에서 출력하여 반드시 담당교수에게 서명을 받아 제출하여야 합니다.Q F학점 기준 결석일수가 궁금합니다.
- F학점 기준 결석일수는 한성대학교 학칙 제 30 조에 근거합니다.학칙 제 30조(성적) : 출석 상황이 불량한 자(출석일수의 4분의 1이상 결석자)는 그 과목학점을 취득할 수 없다.예시)1)2학점을 수강하는 경우, 전자출결시스템 출석부 30칸 중 8개 이상이 결석표시면 F2)3학점을 수강하는 경우, 전자출결시스템 출석부 45칸 중 12개 이상이 결석표시면 F※ 출석부 칸 수= n학점 * 15시간Q 조기졸업 신청 자격은 어떻게 되나요?- 신입학한 자가 7학기 만에 4학년 전 과정을 이수하고 전체 성적 총 평점평균이 4.0 이상 가능자로 수강과목 중 과락(F학점)이 없는 자, 또는 학ㆍ석사 연계과정자로서 관련 요건을 갖추어 졸업예정인 자입니다.(1) 신입학한 자로 7학기만에 4학년 전과정을 이수(2) 전체 성적 총 평점평균이 4.0 이상(3) 수강 과목 성적이 과락(F학점, Non-Pass포함)이 없고 졸업사정기준을 충족(4) 조기졸업자는 재학기간 중 3회 이내로 계절학기 수강을 제한※ F학점을 받고 재수강한 경우도 최초 수강과목 성적이 F학점이므로, 조건 미충족임※ 재입학, 편입학의 경우 신입학이 아니므로, 조건 미충족임Q K-MOOC 강좌 학점인정이 궁금해요
- K-MOOC 강좌는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인 K-MOOC 플랫폼(http://www/kmooc.kr)에서 운영하는 강좌입니다.- 우리 대학 재학생 한 학기 최대 1학점, 졸업까지 최대 3학점까지 K-MOOC 강좌 수강 학점인정 (자율교양)이 가능합니다.(조기 취업자는 최대 12학점까지 인정 가능)※ 강좌 수강 및 학점인정에 관한 상세사항 문의: 상상력교양대학 교학팀Q 군휴학중 사이버강좌로 학점을 듣는 방법이 궁금해요- 군 복무중인 휴학생(국방부 소속 병사)은 최대 6학점까지 군 e-러닝 나라사랑포털 (narasarang.or.kr)을 통해 원격(사이버)강좌 수강이 가능합니다.- 별도의 교내 수강신청 절차는 없으며, 나라사랑포털을 통해 진행하면 됩니다.- 성적은 국 전역 후 복학하면 군휴학 직전 학기 성적으로 인정됩니다.Q 졸업과 수료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구분 졸업이수학점 학과(트랙)졸업요건 비교과 포인트 졸업유예여부
수료 ox oo x ▶ 졸업유예 불가능x x졸업 o o o ▶ 졸업유예 가능* 비교과졸업요건은 2016학번 이후부터 적용Q 졸업유예제도는 언제 신청할 수 있나요?
- 학칙과 전공에서 정하는 모든 졸업요건을 충족한 학생은 정해신 신청기간(주로 1학기:6월 중, 2학기 :12월 중)내에 신청이 가능합니다.※ 수료자, 조기졸업신청자, 외국인유학생은 졸업유예 신청이 불가합니다.- 졸업유예신청을 하시면 수강의무나 등록금 납부의무는 없습니다. 졸업유예는 1년만 가능합니다.- 조기졸업대상자는 졸업유예가 불가합니다.Q 재학 중 취업을 하게 되었어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7학기 이상 조기취업 학생은 재직기간에 해당하는 당해학기 수강과목의 출결을 인정 받을 수 있으며, 최대 2학기까지 과제 등으로 출석점수가 인정됩니다.- 직장건강보험가입자 등(한국교육개발원 취업통계 기준 취업자 및 제외 인정자)으로, 본교 진로취업지원팀에서 조기취업 승인을 득하여야합니다.한성대학교 주요사이트
1. 한성대학교 홈페이지 : https://www.hansung.ac.kr/학사공지 바로가기(https://www.hansung.ac.kr/hansung/8385/subview.do)2. 한성대학교 종합정보시스템 : https://info.hansung.ac.kr/교무(교육과정/수강신청/수업만족도 관련), 학적(개인 학적정보), 성적(성적조회), 졸업, 등록(등록금고지서조회, 납부), 각종 신청서비스(복학,트랙신청ㆍ변경 등)3. 스마트자기관리시스템 : https://hsportal.hansung.ac.kr/
비교과포인트 조회, 비교과프로그램 제공 등 비교과 통합관리, 핵심역량진단, 학습역량진단, 기초심리검사 등 각종 진단 및 설문- 학생성공센터(비교과교육과정) : https://hansung.ac.kr/sites/css/-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진로취업) : https://career.hansung.ac.kr/4. 학사지원팀(교육과정,학사제도) : https://www.hansung.ac.kr/sites/eduinfo/5. 창의융합교육지원센터(융합교육과정) : https://hansung.ac.kr/cncschool/index.do6. 학생원스톱지원센터 : https://www.hansung.ac.kr/sites/ones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