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총서 2020-2
정부광고의 시각적 표현유형과 크리에이티브저자
최일도(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최지혜(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전홍식(숭실대학교 교수)정부광고의 시각적 표현유형과 크리에이티브
초판 인쇄 2020년 12월 24일초판 발행 2020년 12월 31일저 자 최일도・최지혜・전홍식발행처 한국언론진흥재단발행인 표완수주 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프레스센터 12층~15층전 화 (02) 2001-7114 팩스 (02) 2001-7720ISBN 978-89-5711-598-5정부광고의 시각적 표현유형과 크리에이티브
최일도・최지혜・전홍식목 차
1. 서론 71) 정부광고 분류체계 필요성 72) 정부광고 분류체계의 기준 112. 개념 고찰 및 과정 131) 정부광고 유형 13
2) 분류체계 구성방법 153) 결과도출 및 기대효과 193. 정부광고 유형분류 기준과 내용 211) 선행연구 체계 검토 212) 광고의 형태(type) 243) 광고의 기법(technical form) 294) 소구스타일(style) 365) 소구방법(method) 42
6) 소구대상(target) 497) 소구모델(Model) 548) 효과소구(effect) 584. 결론 641) 기대효과 및 활용 642) 제언 65참고문헌1 서론
1) 정부광고 분류체계 필요성지난 2018년 12월 13일, 정부광고법 시행 이후 정부광고를 통한 대국민 정책소통은 제도나 형식을 넘어 체계적인 발전과 품질향상을 필요로 하고 있다. 정책메시지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방법과 메시지 품질개선을 통한 소통능력 향상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정부의 소통능력 향상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정책메시지를 활용한 소통에는 아직까지 광고가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광고는 매체1를 이용하기에 확산성이 높고, 메시지에 대한 국민 반응을 짧은 시간에 확인할 수 있기에 활용도가 높은 것이다. 때문에 광고의 발달 과정은 매체의 발달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광고가 본격적인 영역을 구축하는 시점은 종이가 상용화되고 인쇄기술이 보급되면서 부터이다. 이후 전파를 이용한 라디오, 텔레비전 등이 등장하면서 광고는 기술과 내용 면에서 진화하였고, 인터넷 사용화와 모1 방송, 신문, 옥외, 인터넷 등 광역 대중매체와 표적집단 대상의 소규모 광고책자 등 모든 매체를 말한다.
바일 기기의 대량보급에 따라 오늘날의 디지털 온라인 광고환경에 이르게 되었다. 즉, 매체의 기술적 발전이 광고의 동반 발전을 견인한 것이다. 물론, 지금은 광고만을 게재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광고 전문매체’도 존재하지만, 아직까지는 광고는 여러 유형의 콘텐츠와 더불어 노출되고 있다. 드라마, 영화, 게임 등의 콘텐츠는 광고로부터 제작비용, 유통비용 등을 충당하고 광고는 콘텐츠의 가치와 대중성에 기인하여 확산효과를 거두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광고와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는 상호작용을 통해 미디어산업 전체의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다.
광고가 콘텐츠와 상호작용을 통해 효과를 창출하려면 해당 콘텐츠와매체의 특성에 적합한 형태의 제작기술과 광고 메시지에 대한 크리에이티브가 필요하다. 여기에는 각각의 매체 특성별로 적용 가능한 기법과 배경의 구성, 자극을 위한 소구(appeal)2 선정과 기술개발이라는 과제가 따른다.
문제는 역할과 기능적 관점에서 우리나라 정부광고는 아직까지 민간기업 광고에 비해 제한적 요인이 많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많은 이유가 있지만, 정부광고가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보편성과 공공성이 가장 중요2 소구는 배경의 느낌(tone & manner), 모델(성별, 연령 등), 카피 유형, 메시지의 강도(strength), 메시지 성격, 음악활용 등의 인지(cognitive)와 정서(emotion)에 관련된 모든 요소를 의미한다.
한 제한요인이다. 민간기업의 ‘상품’과 달리 ‘정책’을 다루어야 한다는 점이 가장 큰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민간기업이 목표로 하는 소비자와 정부광고가 목표로 하는 국민의 메시지반응 역시 차이가 많다.
민간기업에서 행하는 상업광고는 목표계층에서 표출하는 반응이 효과의 중점이 되지만, 정부광고는 목표계층 이외의 모든 계층에서 나타나는 반응을 모두 감안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3또 하나의 차이는 민간기업의 상업광고는 경쟁관계에 있는 기업 간의 비교를 통해 품질과 성과가 평가되지만, 정부광고는 송신자가 유일하기때문에 반응을 통해 절대적 가치를 획득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앞의 전제를 보면 민간 상업광고보다 정부광고는 더 많은 제한요인과 부담을 지니고 있다. 이와 유사한 관점에서 정부광고와 공익광고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함께 지니고 있다.4 여기서 중요한 것은 공통점에 대한 부분이다. 정부광고와 공익광고는 제한점이 많기 때문에 크리에이티브 과정에 애로가 많다. 광점위한 표적집단을 고려해야 하고, 자극적 표현을 최대한 자제하면서도 지속 가능한 성과를 기대해야 한다는 이해상충의3 민간 상업광고는 사회적 문제가 되지 않는 한, 경쟁기업 간의 비교 등을 통해 목표소비자 계층의 반응만 나타나지만, 정부광고는 정책을 다루기 때문에 연령, 계층별 목표소비자가 존재하더라도 정치적 이유 등과 연계되어 사실상 모든 국민의 반응으로 나타난다.
4 이에 혹자는 정부광고를 공익적 목적 기준에 따라 공익광고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정부광고는 목적은 공익에 두고 있지만 특정 정책이 모든 국민의 이익을 표방할 수는 없기 때문에 공익광고 보다는 공공광고로 분류하는 것이 마땅하다.문제를 풀어야 하기 때문이다. 바로 여기에 정부광고 표현유형 및 크리에이티브에 대한 자산(equity) 구축이 필요한 이유가 있다.5
우리나라는 물론 해외 주요국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정부의 동일한 정책과 국정과제에 대한 여러 정부기관의 광고가 집행된다. 예를 들어 ‘일자리 창출’이라는 국정과제와 정책에 대한 광고는 고용을 담당하는 부처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정부기관 등에서 행하고 있다. 이럴 경우 차별성과 특장점이 발현되지 않으면 소위 반감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각 집행기관별로 참고할 수 있는 데이터 고유도 필요하고, 시대별 흐름을 읽을 수 있는 자료의 중요성도 커진다. 바로 정부광고 ‘아카이브’의 중요성이다.
여기에서도 중심이 되는 것은 표현유형과 크리에이티브에 대한 데이터와 관련 자료들이다. 광고는 첫째도 둘째도 크리에이티브에 따라 성패가 좌우되기 때문이다. 표현유형과 크리에이티브에 대한 데이터와 자료를 분석하여 광고제작 등에 필요한 전략을 수립하고 차별성, 독창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노력이 따르지 않으면 정부광고는 또 하나의 형식에 머무르는 한계가 나타난다. 국민의 세금으로 집행하는 정부광5 여기에 핵심적인 부분은 정부광고 아카이브(archive) 구축이다. 아카이브는 우리나라 정부광고는 물론 해외 주요국가의 자료와 표현유형 분류, 제작과 관련한 기술, 크리에이티브 정보 등을 망라하여 입체적인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고에 대한 비판과 정책에 대한 비판이 커질 수박에 없다.
2) 정부광고 분류체계의 기준정부광고 분류체계는 민간기업의 광고 분류와 마찬가지로 인쇄와 동영상 등을 포함한 매체의 광고물 제작에 사용되는 메시지 유형과 소구방법 등 전반적 광고 분위기인 ‘톤 앤 매너(tone & manner)’ 조성에 활용된 다양한 광고기법을 분석하여 만들어진다.여기에는 정부광고 크리에이티브의 다양한 사례를 참고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품질향상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려는 목적이 있다. 정부광고 품질향상이라는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분류체계를 구성하고자 한다.
- 정부광고 크리에이티브 분석단위를 재정립하여 정부 광고 제작과정에 각각의 기법들이 얼마나 활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온/오프라인(전통적 매체와 신유형 매체)을 통한 현재의 정부광고 제작물을 분석하고 기존의 크리에이티브 분석단위에 포함되지 않는 범주를 탐색하여 그 속성별 개념을 정리한다.- 향후 메시지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소통의 토대가 마련되도록 정부광고의 시각적 표현 유형의 기준을 확립하고 키워드별로 분류가 가능한 시스템을 정착시킨다.
2 개념 고찰 및 과정
1) 정부광고 유형광고유형은 메시지 송신자의 의도에 따른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볼 때 소구법 유형과 실행(executions)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광고 메시지6에 어떠한 기법과 표현법을 사용하고 있는가에 대한 부분은 완성된 광고물에 나타나는 주요 기법을 중심으로 분류한다(예: 정보/감성 소구, 비교소구,공포소구, 공포소구, 유머 또는 성적소구 등).
소구유형은 일정한 기준을 필요로 하는데, 정부광고 크리에이티브 분류에는 프란젠(Franzen, 1994)의 연구 모델을 중심으로 하고, 송신자의 의도가 반영된 활용기법을 포함시켜 분류한다. 여기에는 메시지 수신자의 인구통계적 측면에서 문화권, 성별, 세대별 라이프스타일로 인한 차이점에 따라 광고유형을 분류하는 기준도 차용한다(예: VALS, PRIZM System 또는 Roper Starch Global Lifestyles에 따른 세대별 SNS의 광고 유형 등).정부광고 유형은 우리나라 정부광고물의 표현과 크리에이티브 유형6 언어적(verbal) 메시지와 그림, 음악표현 등 비언어적(non verbal) 메시지 영역 모두를 포함한다.
에 따라 범주를 비교하고 유사성과 차이점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해야 하므로, 온/오프라인 등에서 노출된 광고를 모집단으로 하여 각 광고에 적용된 정부광고의 시각적 유형을 체계화 한다.
이 과정에는 한국광고정보센터(www.adic.co.kr)의 유형별 분류체계도 참고하며, 학계의 연구논문과 국내 관련업체의 실무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함으로써, 새롭게 제기된 광고유형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는 목적도 포함된다.특히 정부광고는 광고주의 기관별 특성에 따라 표현유형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기관 업무와 성격의 유사성 등에 따른 분류기준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광고는 민간 상업광고와 달리 대국민 소통효과 증진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소구점이나 표현기법 등의 부분에서는 민간의 유형과 다소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공공의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자극적인 소구방법보다는 상대적으로 평온한 느낌을 줄 수 있는 기법을 활용할 가능성도 크기 때문에 정부광고를 민간 상업광고의 틀로 분류하기에는 제한점도 있다. 이에 1970년대 광고유형분류에 활용된 사례를 포함하여, 현재까지 동서양의 광고학계에서 개별적으로 검증되고 활용되어왔던 분류유형(메시지 소구유형, 광고 실행 및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을 정립하고, 우리나라 정부광고의 특성을 개념화함으로써 정부광고 분류체계의 기준을 완성하고자 한다.2) 분류체계 구성방법
(1) 표본민간광고든 정부광고든 유형별 분류체계를 정립하기 위해서는 광고물 자료의 수집이 필요하다. 선행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적합성을 검증하는 과정과 새로운 유형에 대한 발견과 개념화에도 시간이 요구된다. 이에 일정 기간 동안 집행된 정부광고물을 표본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1차적 분류를 시행함으로써 보편적 분류체계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는 과정이 우선된다. 표본분석을 통해 나타난 새로운 유형의 개념을 정립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분류체계 수정모델을 기준으로 2차적 분류를 시행하여 최종적으로 적합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따른다. 최종적인 분류체계가 검증되면 그 기준에 따라 추가로 집행되는 정부광고물을 분류하고 키워드를 장착하여 검색 가능한 알고리즘을 부여하면 시스템이 완성된다. 여기에 필요한 분류체계 검증 샘플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른다.
- 2019~2020년에 집행된 모든 매체의 정부광고물을 대상으로 한다.- 모집단의 표본추출 방법은 무선표집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되, 모집단의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적 표본 추출 방법을 제시할 수도 있다.7(2) 척도(measurement)
1차적 분석을 위한 척도는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이론을 기분으로 하되 정부광고 유형의 내용분석을 위한 다양한 분석 단위로 세분화하여 분류한다. 정부광고물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단위의 차원을 메시지 소구유형 또는 광고의 소구유형에 따라 관측문항을 개발하여 수신자 입장에서 형성되는 소구점을 파악한다. 이 과정에는 프란젠의 5가지 광고 전략과보조기법을 이용하여 노출된 정부광고의 시각적 표현유형을 내용 분석할 수 있는 관측문항으로 전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메시지 소구 유형, 프란젠의 5가지 광고전략 및 인구통계적 측면에서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단위와 관측문항을 비교 검증하고, 정부 광고유형 분류를 위한 1차적 기준을 완성한다. 분류기준에는 이론적 타당성이 필요하므로 우선 선행연구 등에서 검증된 프란젠의 광고유형 분류체계를 차용한다.
<표1> 프란젠의 유형분류
7 기간 내에 집행된 광고물 중 표현유형이나 소구방법, 기법 등에서 이슈가 되었거나 신유형 기술을 처음 도입한 사례가 명확한 경우 대상으로 선정한다.
표현방법 보조기법
드라마기법(drama)
(3) 타당성 조사
정부광고 메시지 소구유형, 프란젠의 5가지 광고전략과 보조 기법 및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이용하여, 1차 분류와 분석을 통해 개발된 정부광고 유형에 대한 최종적인 관측문항의 타당성을 확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타당성을 검증하는 이유는 새로운 기법이나 소구방법 등이 나타날 경우 각 유형에 대한 정의와 개념정리에 대한 객관적 이해가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광고 유형분류 기준으로 개발된 최종 광고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을 확보를 위하여 대면 타당성(face validity)8과 내용 타당성(content validity)9을 근거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4) 신뢰성 조사(inter-coder reliability)정부광고 유형분류 체계 구축을 위한 분석을 위해 타당성이 확보된 관측문항을 2인 이상의 코더(coder)를 통해 내용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과정은 본 조사에 앞선 사전조사로써 표본으로 선정된 광고물을 두 명의 코더가 관측문항에 따라 독립적으로 분석하도록 하고, 결과를 서로 비교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 때 나타난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일치된 부분은 수용하고, 차이점이 발견될 경우, 코더 간 관측문항에 대한 차별적 견해에 대해 토론하고, 주연구자와의 최종 논의함으로써 관측문항의 방향성을 설정하도록 한다.
여기에는 2명의 코더에 대한 사전교육이 선행되어야 하며, 광고물 분8 대면 타당성은 유형분류 작업에 참여한 연구자와 코더 간의 각 개념에 대한 의견일치와 논리적 타당성 등을 의미한다.
9 내용 타당성은 특정한 기법으로 분류한 이유와 광고물에 적시된 내용이 일관적 설명력이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류와 용어의 정의 등에 대한 일관된 약속이 선결되어야 하므로, 일정한 교육과정을 거쳐 분류기준에 대한 매뉴얼을 작성하고 이를 공유하게 함으로써 차이점과 오차를 줄이도록 한다.
사전 조사에 따라 코더에 대한 훈련이 종료된 후 표본으로 선정된 정부광고를 주 연구자를 제외한 두 명의 코더에 따라 독립적으로 부여하고 분석하도록 한다. 이 때 두 명의 코더에 의한 분석된 결과물이 통계적인 유의수준에 포한된 지를 확인하기 위해 페럴트와 레이(Perreault & Leigh, 1989)의 신뢰성척도(Ir)10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3) 결과도출 및 기대효과
정부광고 품질향상을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사례분석에 도움이 되는 표현유형을 내용분석과 같은 정성적이며 정량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광고주 누구나 정부광고통합시스템(GOAD)에서 쉽게 찾아보고 유사점과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는 정보체계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에 타당성이 확보된 관측문항과 신뢰성이 확보된 결과물을 바탕으로 정부광고의 시각적10 Perreault & Leigh's Ir = {[F0/N-(1/K) [K/(K- l)]}.5 if F0/N ≧ 1/K, or 0 if F0/N < 1/K, whereF0 = frequency of observed agreement.
N = the total number of pairwise judgments. K = the number of categories into which the responses can be coded.표현 유형을 분석하고, 타당한 분류속성(evaluation criteria)을 정립하여야한다.
즉, 정부광고 표현유형 분류체계에 대한 추가요소 및 제거요소에 대해 정리하고 이를 기준으로 광고의 유형을 분류하는 기준을 정립하여야 한다.정부광고의 시각적 표현유형과 크리에이티브 분류는 정부광고 축적물 세분류 작업의 기준을 확립하고, 정부광고통합시스템에 장착되어 정부광고주가 원하는 표현유형의 사례를 언제든지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체계의 근간을 확립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정책이나 국정과제에 대한 정부광고가 시행될 때, 중복적인 표현을 피하고 각 정부기관별로 차별적인 세부정책을 이해시키는 과정에 절대적인 참고가 되기 때문이다. 체계화된 세분류의 결과물은 향후 정부광고물의 효과적인 운영과효율적 비용집행의 기준이 될 수도 있다.
더불어 세분류한 결과물은 매체와 기법 등의 변천에 따라 지속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연구협업체계를 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3 정부광고 유형분류 기준과 내용
1) 선행연구 체계 검토정부광고 분류체계의 기준을 정립하기 위하여, 우선 한국광고총연합회에서 운영하는 ‘광고유형 분류시스템’에 제시된 개념을 분류체계별로 수정 보완하였다.위의 시스템은 물론 국내외 연구자들이 정리한 개념을 기준으로 대분류의 명칭 중에 수정을 시행한 부분은 기존의 ‘광고의 기본형식’이라는 의미의 재해석이었다. 하위요인의 구성으로 볼 때 ‘광고기법’이라는 용어를 적용하는 것이 명확한 표현이라 판단하였다.11는 Panda(2005)의 연구 내용을 기초로 평가한 것이다.
기존에 적용시켰던 하위 요인 중 기법의 영역에 있는 ‘입증식소구’는 ‘실증소구’와 기법상의 유사성이 강하게 나타남도 발견했다. 광고를 통해 어떠한 결과를 예시하고 증명하는 방식에 입증과 실증이라는 의미에 대해 엄밀한 구분 차이가 어려웠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입증식소구’라는 요인은 ‘실증소구’의 영역으로 편입시켜 제외하도록 하였다. 또11 광고유형 분류체계를 연구한 판다(Panda, 2005)의 연구 내용을 기초로 점검하였다.
한 ‘사실제시기법’이라는 명칭 역시 소구기법의 카테고리에 적합한 ‘사실제시소구’라고 수정하는 것이 옳은 기준이라고 보았다.
2000년대 이후 인터넷 네트워크를 활용한 개인 간 통신과 메시지 교류 등의 영향으로 냉소적 차원 또는 순간적 유머를 활용한 광고의 형태가 나타나기도 하였으므로, 학술적 영역에서 ‘키치(kitsch)’ 형태로 분류하는 부분이 등장하였기에 중분류 영역의 소구스타일 하위 요인으로 키치광고 영역을 추가시켰다.소구대상 부분에는 ‘직장인 여성’과 ‘기업인’이라는 영역을 포함시켰다. 민간 상업광고의 사례로 볼 때, 생활가전 및 자동차 부분에서 직장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가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인이라는부분은 두 가지 관점이 나타났다. 기업광고의 경우 일반소비자를 대상으로 소구하는 경우도 있지만, 연합합병 등이 빈번하고 기업의 연대가 강화되는 현재의 산업구도에서 또 다른 기업인에게 소구하는 광고의 형태도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고지광고의 형태로 소비자 입장에서 기업인에게 소구하는 광고의 경우도 등장했으므로 분류체계에 추가하였다.
소구모델 부분에 ‘가상인물’을 추가한 것과 효과 소구 부분에 ‘가상공간(cyber space)’을 추가한 것은 컴퓨터 그래픽 기술의 발달과 현재의 커뮤니티 환경을 고려한 광고의 등장 때문이었다. 또한 인쇄광고의 경우 청각적인 효과 적용이 불가능하므로 시각적 영향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상공간에 대한 분류가 필요하였다. 더불어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등을 활용한 방법도 등장하고 있으므로 역시 분류체계에 포함시키는 것이 합당하다12.
전체적인 영역에서 볼 때 광고 유형별 분류기준은 기존의 광고를 유의미한 기준과 유형별로 체계화하여 시기적 요인을 가미하여 구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현재 광고에 활용되고 있는 활용실태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주효과를 기준으로 분류하도록 하였다.
<표2> 정부광고 유형별 분류체계
12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은 부분적으로 가상공간을 활용한다는 점이 유사하므로 둘의 의미를 묶어 ‘가상증강현실’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2) 광고의 형태(type)
광고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을 위한 것인가, 목적은 무엇인가를 분류하는 것으로, 이러한 구분은 산업구조상의 재화나 용역가치 제고 또는 이미지 제고 등의 다양한 차원에서 행해지는 광고의 전반을 광고의 목적과 기대효과에 따라 구분하는 방법이다.이에 따라 광고의 형태는 다시 제품광고, 기업광고, 서비스광고, 정치광고, 의견광고, 공익광고, 고지광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1) 제품광고(product)광고의 대상이 제품인 경우이다. 새로이 개발된 신제품이나 기존의 제품 등 자사의 생산품을 판촉하기 위해 행하는 광고이다. 이 광고는 제품의 특장점이나 디자인, 성능 등을 소개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이해를 도와 구매욕구가 생기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제품광고는 유형적 생산품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무형의 생산과 소비를 창조하는 서비스광고와 차별화 된다.
또한 제품광고는 소비자가 지니고 있는 궁금증이나 호기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간접적 경험을 부여하여 제품에 대한 인지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인지된 제품은 소비자의 자아의식에 따라 구매행동으로 연결되기도 한다.제품광고의 소구 하위요소는 노하우 공개, 사용법 설명, 간접경험, 품질 공개 등의 방법이 이용된다.
(2) 기업광고(company)기업광고는 소비자에게 제품이 아닌, 기업 자체를 인식시키고, 우호적 태도를 형성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광고이다. 기업광고는 장기적으로 안목에서 기업의 대외적 가치를 상승시키기 위해 행해진다. 주로 기업의 사회적 역할, 기업 정신, 기업의 이미지를 위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기업광고는 단기적으로 경제적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기업에 대해 형성된 이미지가 그 기업의 제품을 구매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기업광고가 효과를 거두려면 장기간에 걸쳐 일관성 있게 행해져야 하는데 효과적으로 집행된 기업광고는 하위 브랜드 광고에도 잠재력을 발휘한다.
기업이념, CEO의 경영철학, 기업 직원들의 이미지 등이 기업광고의 하위요소로서 이용된다.(3) 서비스광고(service)대상이 제품이 아닌 서비스 자체인 경우의 광고를 말한다. 서비스는 금융, 보험, 통신, 레스토랑, 항공사, 호텔, 렌터카, 회원 서비스, 미용/건강관리 등을 말한다. 이밖에 서비스 자체가 제품일지라도 그것에 추가되거나 제공 되는 서비스에 대한 광고를 포함한다. 즉, 자동차회사의 무료차량점검 순회서비스와 같은 내용을 담은 것이 서비스광고이다.
서비스 광고를 접하는 소비자는 제품 사용 이외의 또 다른 혜택을 받는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서비스 제공 회사는 소비자에게 우호적인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는 추후 제품의 구매행동에도 영향을 미친다. 서비스 광고는 무형의 서비스를 유형화하는데 초점을 맞춘 광고의 메시지가 주로 전달되며 이성적 또는 감성적 형태의 소구로 소비자에게 접근하는 경향이 지배적이다.서비스의 유형화 전략으로 심상전략, 연상전략, 물리적 증거제시, 다큐멘테이션 등을 사용되며 할인티켓, 무료서비스쿠폰, 이용안내 등이 광고를 이루는 각각의 요소가 될 수 있다.
(4) 정치광고(political)정당이나 후보 개인에 의한 선거광고 또는 정당이나 정부 또는 정치관련 단체에 의한 유권자 대상의 광고가 정치광고이다. 이 광고는 경쟁상대와의 정책비교를 통한 우월성 강조를 통해 지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행해진다.어떠한 정당이나 개인에 대해 비우호적인 태도를 보이던 유권자가 자신에 대한 직간접적 이익이 될 수 있는 정책을 보고 지지대상을 바꿀 수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정당이나 개인 스스로 이미지 변환이나 지지율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후보자의 이미지나 자격 또는 내세운 정책에 대한 평가내용, 유권자에 대한 혜택, 기타 선거참여독려 등이 정치광고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이다.(5) 의견광고(issue)어떠한 쟁점이나 논의 대상이 화제가 되었을 때 여기에 대한 자신이나 단체의 입장을 게재하고 반대론적 입장의 상대에게 의지를 표명하고 의견을 관철시키기 위해 쓰이는 광고이다. 의견개진을 통해 갈등을 해소하고 당사자간의 충돌을 막을 수 있으며 상대방이나 소비자 모두를 설득할수 있기 때문이다.
의견광고는 맹점지적, 논리에 대한 해명, 사실의 공개 등이 의견광고의 주류를 이룬다.(6) 공익광고(public)건강한 사회문화 형성을 위해 공적인 차원에서 지켜지거나 약속되어야 할 사항에 대한 광고이다. 공익광고의 대상은 전국민이 되는 경우가 보통이며 주관은 해당분야의 관공서나 단체 , 기업 등에서 담당한다. 따라서 음주운전, 마약복용금지, 자연보호, 교통안전 등의 공적인 주제를 가지고 만들어진다.공익광고는 공익적 관점에서의 태도를 강조함으로써 생활 전반에 걸쳐 공동사회라는 의식을 다시 한번 되짚어볼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 반복적인 메시지가 전달되면 무의식중에 이러한 메시지를 염두에 둔 행동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인간존중, 환경보전, 양심회복 등의 요소들이 공익광고의 주된 요소로 적용된다.
(7) 고지광고(notice)기업차원에서 볼 때 광고하고자 하는 목적이 새로운 사실이거나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 등일 경우에 행해지는 광고이다. 기업차원에서 보면 광고하고자 하는 목적이 새로운 사실이거나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 등일 경우에 행해지는 광고이다. 이밖에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정책의 결정사항, 법제도의 개정 등을 알리는데 이용되는 광고이다.
이 광고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사 제품 사용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소비자와의 유대관계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소비자의 알권리 충족이라는 차원에서의 피드백을 목표로 한다.광고의 내용은 문의전화 소개, 각종 변경사항 해설, 정책의 당위성 등을 기본적인 요소로 구성된다.3) 광고의 기법(technical form)
광고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나 내용을 전개하는 표현기법에 대한 기초 분류방법이다. 어떠한 목적을 지닌 광고를 소비자에게 인지시키고, 회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각 광고의 형태나 내용에 따라 표현의 이상적인 흐름을 형성할 수 있는 기본 기법이 요구된다.이 같은 관점으로 보면 광고의 기본형식은 크게 공개기법, 제품진열기법, 연상전이기법, 레슨기법, 드라마기법, 레슨-드라마기법, 오락기법, 상상기법, 특수영상기법, 패러디기법, 인터뷰기법, 이미지기법, product merit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1) 공개기법(announcement)
사실이나 모양 그 자체로 제품을 대변해 준다. 이 기법은 가장 기본적인 광고방식으로 제품과 제품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공개기법은 제품에 대한 사실적인 내용이나 모양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① 순수제시 방식(pure presentation)② 사실적 설명 방식(factual explanation)③ 상품 메시지 방식(product message)④ 기업설명, 다큐멘터리방식(corporate presentation, documentary) 등이있다.(2) 제품진열기법(display)
진열대의 상품처럼 상품의 모양을 보여주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모든 방식을 말한다. 제품진열기법은 제품의 모양을 보여줌으로써 직접 또는 암시 등의 심리적 효과로 상품에 대한 구매의욕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선택을 가능하게 해주거나 다양한 제품규모를 인식시켜 신뢰를 형성하는 역할도 한다.제품을 표본이나 다양성을 보여주기 위해 단순히 제품의 진열형태를 소구하는 내용이 주류를 이룬다.(3) 연상전이기법(association transfer)제품의 주체, 대상, 행위 등을 다른 사물, 사람 또는 상황, 환경과 연결하여 상표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명, 상징적 연상기법(symbolic as-sociation)이라고도 한다.
연상전이 기법은 소비자들로 하여금 광고에서 보이는 것과 소비자 자신을 동일하게 느끼게 해준다. 예를 들면 라이프스타일법은 사람들, 즉 젊고 성공한 사람들을 통한 전환으로 광고에서 제시된 제품을 사용할 경우 소비자 자신도 젊고 성공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해주기 때문에 구매 욕구를 증가시켜 줄 수 있다.① 라이프스타일법(lifestyle)② 은유법(metaphor)
③ 환유법(metonymy)④ 유명인을 통한 전이방식(celebrity transfer) 등이 있다.(4) 레슨기법(lesson)직접전달방식으로 사실과 논쟁거리의 제시라든지 수용자에게 무엇을 가르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 기법은 제품에 대해 설명하고, 추천인을 통해 소비자를 설득하거나 제품을 실연해 보임으로써 직접 눈으로 비교해 볼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한 사실적이며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① 추천인(presenter)
② 증언/추천(testimonial/endorsement)③ 실연(demonstration)④ 비교(comparison)⑤ 유추(analogy)⑥ 방법(“how to”)⑦ 드라마식 레슨(dramatized lesson) 등의 하위 소구가 있다.(5) 드라마기법(drama)둘 이상의 사람들 사이에 상호작용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행동의 연속성, 시작, 중간, 엔딩 으로 구성된다.
드라마 기법은 소비자가 제품의 효용과 용도를 극화하여 이해를 돕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자연스럽게 일상생활이나 극적인 연출을 통해 상상 또는 연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① 생활의 단면 기법(slice of life)② 문제해결 기법(problem solution)③ 비네트 기법(vignettes)④ 영화 기법(theater) 등이 하위요소이다.(6) 레슨-드라마기법(lesson-drama)드라마 형태의 레슨 묘사 방식으로 상황, 기분, 순간들을 연기를 통해 사실적이거나 교훈적인 강한 언어 메시지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모델이 경험한 내용을 광고와 접목시킴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다.
이 기법은 레슨과 드라마가 교차되는 형태의 이중적 기법을 사용한다. 대체로, 드라마의 결과로 모델에 의한 레슨으로 마감한다.(7) 오락기법(entertainment)제품의 직접적 판매보다는 수용자에게 즐거움을 선사함으로써 장기적인 브랜드 이미지 제고 전략을 수행하는 과정에 중점을 둔다.오락기법은 유머, 제품을 소재로 한 유희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을 때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큰 효과를 거둘 수 있게 한다.
① 유머(humor)② 제품을 소재로 한 유희 기법(play or act around product)(8) 상상기법(imagination)만화, 영화, 비디오 테크닉 등 비현실적 경험을 묘사하는, 즉 가상세계를 표현하는 방식이다.특별히 드러내어 강조해야 할 특징을 갖지 않은 제품에 특정 이미지를 부가하여 다른 제품과 차별화를 할 수 있으며, 그것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구매동기를 자극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① 만화 기법(cartoons)② 움직이는 영화 소도구(film properties in action)③ 그 밖의 비현실적인 연기(other, unrealistic acts) 등(9) 특수영상기법(special effect)모든 예술적 요소, 만화영화, 만화, 카메라 효과, 녹음과 비디오 테크닉, 음악 노래 등이 포함된다. 특정대상을 자극할 수 있는 창조적인 현대의 테크닉을 사용한다.특수영상기법은 사실적 광고표현으로 연출하기 힘들고 고난도의 촬영기술이 요구되는 광고 크리에이티브 소구로 소비자에게 비현실적 충격을 통해 오락과 실감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① 움직이는 상품, 애니메이션(product in action, animation)② 영화, 비디오 기술, 예술적 자극법(film, video techniques, artistic stimuli)(10) 패러디기법(parody)문학작품이나 연극, 영화 등 예술분야에서 기성 작품의 문체나 운율을 교묘히 모방하여 과장이나 풍자로서 해학적으로 다시 만드는 것을 말한다. 패러디 기법을 이용한 광고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제품에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게 해주며 제품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킨다.
원작품의 이미지와 메시지를 활용한 과장, 해학, 풍자, 익살 등이 주요 요소라고 할 수 있다.(11) 인터뷰기법(interview)제품사용의 효과나 실제 사용 장면을 현실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타겟 소비자와의 인터뷰 장면을 활용한다. 이 기법은 소비자의 의견을 조사하는 형태의 간접적 기능을 지니고 있다.직접 제품을 사용해 본 소비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해 신뢰감을 제공해주며, 호의적인 태도를 갖게 한다.
이 기법은 출연자가 동시 진행하는 형태, 나레이터와의 인터뷰, 실제 일선기자, 조사원, 면접원 등이 현장감 있게 소구하는 것이 보편적이다.(12) 이미지기법(image)특별히 드러내어 강조해야 할 특징을 갖지 않은 상품이나 기업을 광고를 통해 차별화시키기 위해서, 특정 이미지를 부가하도록 만드는 방식을 말한다. 제품에 특정 이미지를 부가하여 다른 제품과 차별화를 할 수 있으며, 그것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구매동기를 자극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 기법은 말 그대로 이성보다는 감성적 이미지에 소구한다. 연성소구, 심리동기유발 소구나 감성소구를 주로 한다.
(13) 제품특성강조기법(product merit)제품 자체와 그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전달하는 방식을 말한다. 특히 제품을 통해 차별화 포인트를 부각시키는 광고에서 활용되는 것이 보편적이다.제품특성강조기법은 제품 자체가 지닌 특성을 강조하여 설명하는 방식으로, 이 소구방식을 이용한 광고는 소비자들에게 유용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사실제시기법이나 USP 등의 제시 기법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4) 소구스타일(style)
소비자에게 광고를 제시함에 있어서 메시지 전달 효과를 높이기 위한 내용 구성 및 설계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다.이것은 소비자의 경험에 의한 감성 및 이성적 판단 기준을 토대로 정해지는데 일반적으로 광고의 목적과 타겟 소비자 계층의 특성에 따라 광고의 유형이 결정된다.소구 스타일은 사실제시기법, 유머소구, 공포소구, 성적소구, 비교소구,실증소구, 연성소구, 경성소구, 직접반응소구, 애정소구, nostalgia,kitsch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사실제시소구(fact presentation)상품이나 상표에 관한 실제적 설명을 기초로 하는 형식을 말한다. 이 소구방식은 상품이나 상표에 관한 사실적 정보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유용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에 대한 믿음을 제공해 준다.제품에 관한 과장된 표현이나 각색이 아닌 fact 중심의 내용을 있는 그대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제품 기능이나 효과에 대한 나열식, 자료식 소구가 주류를 이룬다.(2) 유머소구(humor)
톤 앤 매너(tone & manner)에 있어 모든 인간의 공통 언어인 웃음을 주소구 기법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일반적 웃음뿐만 아니라 냉소적 웃음까지도 포함한다. 유머소구는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을 때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유머는 광고에 따뜻한 표정을 주어 큰 효과를 거둘 수 있게 한다.① 말장난(puns)② 절제된 표현(understatement)③ 재담(joke)④익살(ludicrous)⑤ 풍자(satire)
⑥ 반어적인 것(irony)⑦ 단어게임(word games)⑧ 희극(slapstick) 등이 있다.(3) 공포소구(fear)소비자가 광고에서 권장하는 제안을 따르지 않았을 때 겪을 수 있는 부정적 결과에 대한 두려움이나 공포를 이용하는 광고 소구기법이다. 혹시 발생할지도 모르는 사고로부터의 안심이나 미래에 대한 대비 등을 제안함으로써 안녕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마음을 공략할 수 있다. 사고예방,부작용방지 등의 요소가 주로 쓰인다.
(4) 성적소구(sex)성에 관한 관심을 제품에 연관시키는 것으로 에로티시즘적 감정에 기초를 둔다. 성적 소구의 사용은 소비자들의 주의를 끄는데 있어서 효과적이며, 성적 자극이 제품과 연관성이 높으면 그 효과는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그러나 관련정도가 낮으면 자극을 주기만 하고 주의를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타당성 있는, 그리고 절제 있는 성적 소구의 사용이 요구된다.① 언어의 이중적 의미를 이용② 잠재의식 기법을 사용한다. 특히, 육체적 매력소구, 노출소구를 주로 이용한다.
(5) 비교소구(comparison)경쟁 브랜드와 비교하는 기법을 사용하여 다른 어떤 브랜드보다 우위에 있다는 점을 명백히 서술한다. 비교 광고는 상품의 정보를 보다 많이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특히, 구체적인 비교는 상품간의 차이를 쉽게 이해하도록 해주며 어떤 속성이 중요한지를 소비자에게 명확하게 전달한다.그리고 진실되고 공정한 비교 광고는 소비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경쟁 상품과 서비스간의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다. 비교의 강도와 접근방법에 따라 직접 비교, 간접 비교로 나눌 수 있다.
(6) 실증소구(demonstration)광고되는 제품이 그 소비자, 사용자에 의해서 직간접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상황이 사실적, 실증적으로 증명되며 그 결과가 제시되는 방식을 말한다.실제 상황을 사실적, 실증적으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증가시키는데 있어서 효과가 있다. 제품사용의상황을 실제로 시연하여 제시하는 소구형태이다.
(7) 연성소구(soft sell)판매에 있어 간접적이며 장기적인 접근으로 제품과 사람, 상황, 아이템 등을 긍정적인 감정으로 연결시킨 감정적 소구이다. 연성소구 기법은 기분이나 분위기 창출에 주로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광고에 호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목적이 된다. 따라서 직접적이고 강압적인 접근보다는 간접적이며 장기적인 접근으로 소비자들에게 재미있고 환상적인 소구를 사용하여 광고에 대해 호감을 끌기 위해서는 이 소구방법이 효과적이다.① 유머
② 함축적 의미③ 비언어적 메시지④ 비주얼 등의 접근방법을 취한다.(8) 경성소구(hard sell)직접적이며 단기적인 실제적 판매 차원의 접근으로 일반적으로 제품이용의 이성적, 논리적 이유를 제시한다. 경성소구를 사용한 광고는 제품이 지닌 특성을 다양한 자료를 통해 제시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한 사실적인 정보를 제공해주고, 제품으로 인해 소비자가 누릴 수 있는혜택을 제시하기 때문에 타사의 제품과 비교하여 월등하다는 것을 강조할 때 효과적인 소구방법 이다.
① 강한 논증과 행위② 제품의 특성과 고객 혜택을 강조한다.(9) 직접반응소구(direct response)직접적인 행위 유인 요소를 사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직접반응소구는 단기간 내에 소비자의 행동을 유발하거나, 쿠폰을 사용하게 하거나, 판매점을 방문하게 하거나 하는 등의 소비자의 반응을 목적으로 한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DM, 통신판매광고 등이 있다.① 쿠폰
② 초대(10) 애정소구(affection)애정소구는 그 행위의 대상이나 주체가 남녀간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물론 남녀간의 관계도 해당되지만 커다란 의미에서 부모자식관계, 스승제자관계, 친구관계까지 포함되는 정신세계에서의 애정을 소구대상으로 하는 소구기법이다.이러한 소구의 광고는 직접적인 구매행동을 기대하기보다는 정감에 의한 잠재적 태도로부터 형성된 호감에 의해 효과를 볼 수 있다. 장기적캠페인이나 장수브랜드 제품광고 등에 적합하다. 모성, 부성, 우정, 스승의 마음 등이 이에 해당되는 요소이다.
(11) 향수소구(nostalgia)과거를 중심 주제로 하여 인간의 감성을 지배하는 방식으로 신문, 잡지, 방송 등 다양한 광고 매체를 통해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고 있다. 이러한 광고기법은 과거의 회상, 일기, 편지 등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불변적 요소를 지닌 제품군의 광고에서 많이 나타난다.과거의 경험적 요인으로부터 기인되므로 소비자의 회상에 호소하거나 현실세계에서의 과거감정구현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하면 효과적이다.꿈, 비망록, 회상, 고향, 어린시절 등의 요소가 많이 쓰인다.
(12) 키치(kitsch)키치(Kitsch)란 ‘통속 취미에 영합하는 예술 작품’을 가리키는 말인데 현재 일부 광고에 적용되고 있다. ‘잡동사니’, ‘천박한’이라는 의미를 지닌 키치라는 용어가 처음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후반으로 애초에 미학적인 안목이나 경험을 거의 갖추지 못한 사람들을 위한 통속적인 싸구려 그림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최근에는 일부러 유치하고 천박한 방법을 동원함으로써 기성 예술의 엄숙주의를 조롱하고 야유하는 예술의 한 형식을 가리키는 용어로 쓰이고 있으며 광고에서도 기존의 광고 형식을 탈피한 형태의 광고 표현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5) 소구방법(method)소구방법은 소비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어떠한 수단을 활용하는가에 대한 분류이다. 이 부분은 소비자의 관념과 생활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므로 심리적, 경험적 공유점을 찾아 적합한 메시지를 추출하는 과정의 기본적 방법 유형을 구분하는 것이다.(1) 심리소구(psychological)
모든 광고는 심리소구에 기반을 둔다고 할 수 있다. 이를 구분하자면 심리소구는 소비자의 구매심리 또는 제품에 대한 태도 형성과정에서의 심리적 작용 등에 기초하는 소구 방법이다. 심리소구는 소비자의 일반적인 경험을 토대로 했을 때 그 효과가 크다. 소비자 의 개인적인 비교심리를 이용한 우월감 제공, 가격요인, 잠재욕구 자극, 습관이나 감성이용 등의 방법이 쓰인다.실질적인 이익이나 혜택보다는 감성적, 이성적으로 느껴질 수 있는 상대적 차별점을 이용하므로 소비자의 태도를 형성하기에 용이하다. 또한이루기 힘든 소망에 대한 욕구를 대리만족 시켜줄 수 있는 방법이나 모델 등을 이용한 동질성 부여 등의 방법으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소비자의 심리를 자극하는 방법으로 마케팅 차원에서의 할인혜택이나 경품제공 등의 이익을 부여하는 방법이나 모델, 상징물 등을 이용해 소비자의 욕구를 대리만족 시키는 방법이 쓰인다.(2) 논증소구(argument)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객관적, 사실적 논리전개에 맞춰 근거를 제시하고 확인시킴으로써 효과를 창출하는 소구법이다. 이 기법은 경쟁사와의 품질 또는 상품의 특성 등의 부분에서 논란이 되고 있거나 소비자가궁금해 할 때 주로 이용된다.
이 소구법은 소비자의 의문사항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 증명해 보이는 것이므로 그 결과의 신뢰성과 논리의 타당성이 부여된다면 우호적 태도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사실증명, 공개실험, 상식파괴, 사회관행 등이 이 소구법의 부수적 요인이 된다.(3) 정보소구(information)소비자가 모르고 있는 사항에 대한 새로운 내용을 제시하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인지율 증가와 태도형성을 유도하는 소구방법이다. 정보전달은 광고의 기본요소이므로 거의 모든 광고는 정보소구를 이용하고 있다. 주로 신제품의 발매나 기술혁신 등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제도 광고를 할 때 쓰인다.
소비자에게 새로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간접적 경험을 부여한다는 것이 가장 큰 의미를 지닌다. 소비자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체득한 경험적 요소를 바탕으로 태도를 형성하고 신뢰감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로운 사실에 대한 정보는 기존 정보의 기반 위에 반영되어 어떠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정보공개, 질문응답, 제품해부, 성분분석 등의 제시법으로 신뢰성을 전달한다.(4) 안전소구(safety)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안전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키고 이와 관련된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소구법은 소비자의 직·간접적 경험에 의한 연상이 있어야 효과적이다.안전에 대한 욕구를 최대한 자극함으로써 직접적인 반응과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른바 직접적인 안전=생명=필수 라는 등식관계를 성립시켜 주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나친 과장이나 허위성 메시지는 자칫 불신감과 위험감 증대로 이어질 수 있다. 안전검증, 보장성 강조, 예방기능 공개 등의 방법이 주 요소이다.
(5) 반복소구(repetition)브랜드 이름이나 제품의 특장점을 다양한 방법으로 반복하는 방법이다. 신제품에 대한 광고나 브랜드명이 기억하기 어려울 때, 특별한 요소를 강조하려 할 때 주로 쓰인다. 이것은 소비자의 시청각을 최대한 활용하여 인식시키는 것으로 비보조상기, 보조인지를 높이는 소구법인데 정해진 시간 내에서의 지나친 반복은 규제의 대상이다.소비자의 기억정도는 메시지의 노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동일한 조건에서의 동일한 방법으로 전달된 메시지에 대한 회상력은 노출 횟수에 따라 결정되어진다. 그러므로 반복되는 메시지는 소비자의 무의식 영역에까지 확대되어 그 만큼 높은 효과를 거두게 된다.
시각적 반복, 청각적 반복, 색상을 이용한 반복 등이 이용되며 패러디를 이용한 반복 등이 쓰인다.(6) 판촉소구(sales promotion)소비자의 구매시점에 제품의 특성 외에 다름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구매 욕구를 일으키는 소구법이다. 이것은 서로 연관성 있는 제품군끼리의 연계나 계절의 특수성 또는 사회적 환경요인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소비자들은 자신이 구매하려는 상품 외에 또 다른 혜택이 제공되는상품을 구매하려는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같은 판촉에는 본 상품에 대한 품질과 기술력이 기본적으로 우선되어야 역효과를 방지할 수 있다. 지불편의 마일리지제공, 포인트 경품 제공 등의 방법이 쓰인다.
(7) 문제해결(problem-solution)제품이나 서비스 이용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나 단점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개하는 광고기법이다. 주로 경쟁사 제품보다 우월함을 비교하거나 성능의 차별성을 강조하려 할 때 쓰인다.소비자가 사용하는 제품의 단점이나 제한요소에 대한 불만을 해소시켜 주는 의미로서 동종 보완제품의 재구매를 유도할 수 있고 경쟁사와의관계에서 선택적 우위를 점할 수 있다. 이용편의, 새로운 기능, 품질보강, 디자인 개선 등의 요소가 함께 쓰인다.
(8) 사전사후(before-after)광고 속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어떠한 현상에 적용시켰을 때 만족스런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광고이다. 이것은 처치 전과 처치 후의 상태를 보여줌으로써 효능을 강조하고 신뢰감을 심어줄 수 있다. 주로 의약품이나 화장품 광고가 많다.사용경험이 없는 소비자나 기존제품 사용시 불만족스런 소비자의 경우 구매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효과 공개, 효과의 신속성, 사용편의 등을 이용한다.
(9) 생활단면(slice of life)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생활상을 공개함으로써 제품의 유용성이나 생활에서의 역할 등을 강조하는 광고기법이다. 식품류, 의약류, 의류광고를 비롯하여 다양한 제품군에서 많이 이용되는 기법이다.제품 자체에 대한 광고보다 거리감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소비자와 유사한 생활 속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제품을 자연스레 노출시킴으로써 제품에 대한 친숙도를 향상시키고 잠재력인 구매의도를 형성시킨다. 생활의 여유, 가족의 행복, 직업인의 자부심 등이 이러한 광고의 요소로 이용된다.
(10) 생활방식(lifestyle)생활 전반에 걸쳐 밀접하게 관련된 제품 등을 소개할 때 이용되는 광고기법으로 소비자의 개성, 자긍심, 행동양식 가치관 등을 반영시켜 표현하는 광고이다. 자동차 광고나 의류광고 등에 많이 쓰인다.모델을 이용하여 광고 속의 가치와 소비자의 생활을 동일시하기도 하며 구매의욕을 고취시켜 행동으로 연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제품의 권위, 사회적 신분상승 기대욕구 등의 요소가 이용된다.(11) 맥락(context)광고의 제작배경이나 상황을 독특하게 가지고 있거나, 이미 인지되어 있으므로 굳이 설명을 하지 않아도 전후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흐름을 지닌 광고를 말한다. 즉, 백설공주 이야기 중의 한 단면을 광고로 이용했을 때 소비자들은 광고의 모태가 되는 내용을 이미 알고 있으므로 전반적인 연출이 필요 없게 되는 것을 말한다. 러브스토리 영화의 테마음악이나 장면 등을 이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미 인지도가 높은 영화나 드라마 또는 신화 등의 소재를 이용하므로 소비자에게 보다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메시지 전달 역시 용이하다. 그러나 반면에 진부한 느낌을 줄 수 있다는 부담도 함께 지니고 있다. 신화에서의 상징, 영화의 주인공, 유명한 대사, 음악 등이 광고의 요소로 이용된다.
6) 소구대상(target)소구대상 광고의 타겟 소비자 계층을 기준으로 구분하는 것인데 광고하는 제품의 최종 소비자를 기준으로 연령별, 성별 직업별 등으로 세분화된다. 여기서 최종 소비자와 구매자는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소구대상은 크게 어린이, 청소년, 대학생, 부모, 직장인남자, 가정주부, 일반성인, 노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1) 어린이(children)
제품 사용주체로서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며 어린이 또는 어린이 이미지의 캐릭터를 사용하는 광고이다.어린이는 그 존재 자체로서 구매욕구의 무조건성이 강하고 순수한 성격을 지닌 대상이므로 각종 광고에 널리 등장한다. 어린이의 단순한 욕구 및 또래문화의 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요인을 자극함으로써 어른보다 월등한 광고효과를 거둘 수 있으나 이에 대한 규제 역시 강하므로 공익을 우선으로 하는 선별작업이 필요하다. 만화캐릭터, 인기모델, 사회의 관심 등이 중요한 요소로 이용된다.(2) 청소년(youth)
소비주체로서의 능력을 지닌 대상으로서의 청소년에게 어필하는 광고이다. 제품의 필요성을 기본으로 하되 청소년이 선호하는 스타일이나 청소년만의 독특한 개성과 자아의식이 반영될 수 있는 제품의 광고에 쓰인다.절대적 판단기준이 완성되지 않고 감성이 강한 청소년을 자극함으로써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청소년이 선호하는 대중문화를 소재로 한 광고가 많으며 연예인을 모델로 한 광고가 효과적이다. 연예인 인기편승, 우상심리, 사회 독립적 성격 등이 이용된다.(3) 대학생(college students)청소년기를 벗어난 주체로서의 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광고이다. 문화 체득의 욕구가 강하고 개성 표현이 뚜렷한 존재로서의 대학생은 그들의 이해와 판단이 바로 소비로 이어질 수 있으며 시간적 여유도 많으며 이성에 대한 의식 또한 강하다. 따라서 통신기기, 레저용품, 의류 등의 광고가 많이 등장한다.
청소년보다 논리적인 성격과 자부심이 강한 계층이므로 사실적 근거를 통해 의미를 부여하면 설득효과가 높다. 또한 청소년기의 습성이 사라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청소년 대상 소구의 요소와 병행하면 효과적이다.제품의 문화적 가치, 최신기능이나 사양, 캠퍼스 라이프 등이 이용된다.(4) 부모(parents)
부모는 가장 큰 직접 구매자로서 광고의 타겟이다. 부모를 소구대상으로 하는 광고는 제품의 성능, 가격, 이용가치 등을 모두 고려하여야 성공을 거둘 수 있다. 이러한 광고에는 제품의 품질도 중요하지만 부모의 경쟁심리가 이용되기도 한다.부모에게 소구하는 것은 부모 자신에 대한 효과보다는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자녀를 생각하는 교육관련 제품이나 서비스, 식품, 가구 등 많은 종류가 여기에 해당된다. 적정한 가격과 품질의 우수성이 인정된 제품일 경우 광고는 커다란 효과를 거둘 수 있다.자녀에의 관심, 경쟁심리, 부모의 역할 등이 광고의 요소로 쓰인다.
(5) 직장인 남성(office men)연령 고하를 막론하고 자율적인 소비주체로서의 대상을 지칭한다. 직업의 종류와는 관계없이 소득이 있는 대상으로서 직장인 남성을 규정하는 것이다.사회에서의 지위나 역할에 대한 자아의식을 강조하는 광고가 효과적이다. 직장인남성 역시 제품을 통해 자아의식을 만족시키려는 의도가 강하므로 명품 브랜드에 대한 광고나 의류, 주류 광고 등이 많이 등장하며 직장인의 라이프스타일이나 생활 단면을 부각시켜 높은 효과를거두고 있다. 여가선용, 직장에서의 지위, 인간관계 등이 광고의 요소로 쓰인다.
(6) 직장인 여성(office women)상대적으로 비중이 증가하는 직장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과거에 비해 직장인 여성의 소비성향이나 사회의 참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현상을 반영한 것이다.직장인 여성으로서의 자부심과 사회적 위상 등을 강조하는데 필요한 자동차, 노트북, 화장품 등의 영역은 물론 주류 광고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사회의 경쟁심리, 생활의 단면 등이 소재로 활용된다.
(7) 가정주부(house wives)가정경제의 주체로서 소비대상인 가정주부를 타겟으로 하는 광고이다. 과거에는 경제성과 가족의 건강 등이 주요 소재였지만 이제는 패션과 관련된 제품이나 주부의 자아의식을 부각시키는 광고가 많이 등장한다.가정주부가 간직하고 있는 잠재된 욕구나 보상심리를 충족시킴으로써 직접적인 구매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즉, 가정을 총괄하는 존재로서 인정하고 반면에 하나의 자아의식을 지닌 주체로서 이미지를 부각시켜 광고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가족 건강, 보상심리, 자녀에 대한 학구열, 주부의 자존심 등이 이용되는 요소들이다.
(8) 일반성인(adult)성별, 연령의 차이 등에 대해 범위를 넓힐 수 있는 제품을 광고할 때 타겟이 되는 대상이다. 일반적으로 맥주 광고나 의약품광고 등에 많이 등장하는데 근래에 들어서는 정치광고의 영역에 가장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성인들의 공통적 관심사라 할 수 있는 건강이나 기호식품 등에 대해 품질의 우수성을 강조함으로써 제품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며 내재된 욕구를 해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가정생활, 건강욕구 등이 광고의 요소로 이용된다.
(9) 노인(senior)건강에 대한 욕구가 어느 세대보다 강한 계층으로서의 존재와 인생의안정기에 들어선 세대에 대해 소구하는 광고이다. 주로 의약품, 건강보조 식품, 레저용품 등에 대한 광고가 많다.경제능력의 유무에 따라 상황은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공통적인 관심사를 자극하면 커다란 광고효과를 누릴 수 있다. 특히 건강과 관련된 제품의 경우 공감대가 형성되면 구매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건강보전, 여가생활, 사회에 대한 관심, 소외의식 등이 광고의 요소로 쓰인다.
(10) 기업인(CEO)각 기업 간의 융화와 경쟁 관계에서의 우위 선점 등을 목적으로 기업인을 대상으로 선정하거나 소비자가 기업인에게 전달하려는 메시지가 도출됨에 따라 새로운 타겟으로 나타난 것이다.7) 소구모델(Model)광고의 효과를 높이고 이해를 돕기 위해 모델이 이용되는데 모델의 사회적 지위나 인지도 또는 모델과 광고와의 직간접적 관계 등을 고려하여 구분하는 분류방법이다. 세분화할 경우 성별, 연령별, 직업별 구분으로까지 확대된다.
일반적으로 소구모델은 전문가, 유명인, 일반인, 자사직원, 기타모델 등으로 나눌 수 있다.(1) 전문가(expert)광고의 제품이나 서비스와 관련된 분야의 전문가를 모델로 하여 광고의 신뢰성을 부여하는 소구방법이다. 여기서 전문가는 각 직종별로 구분했을 때 특정한 자격증이나 면허를 소지한 개인이나 단체를 지칭한다.
전문인을 모델로 이용한 광고는 그에 상응하는 자격이나 활동영역, 업적 등을 광고에 명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문인은 지명도를 떠나 소비자들에게 상당한 신뢰감을 부여한다. 가령 의약품 등 생명이나 건강과 관련된 분야의 광고일수록 그 효과는 커진다. 즉, 전문가가 인정했다는 일정의 간접보증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전문가와의 동반행사 참여, 전문가가 서명한 보증서, 전문가의 라이프 스타일 등이 전문가를 모델로 이용한 광고에 함께 사용된다.(2) 유명인(celebrity)유명인을 소구모델로 이용한 광고에서의 유명인은 굳이 광고의 제품과 관련된 분야의 인물이 아니어도 상관없다. 이러한 광고는 유명인이 지닌 인지도를 활용하기 위한 것이므로 그 인물의 인지도에 관심을 둔다.
인기연예인이나 스포츠스타가 그들의 분야와는 직접적으로 관계없는 음료수나 의류, 컴퓨터제품 등의 광고 모델로 등장하는 것이다.광고가 타겟으로 설정한 계층의 소비자들이 선호하고 우상시하는 유명인이 모델로 등장할 경우 소비자는 그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유명인과 동일시되어 보려는 시도를 할 수 있다. 또한 맹목적 추종자의 경우 제품의 필요에 관계없이 구매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즉, 유명인 자체의 인기에 편승하여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유명인 사인 증정, 유명인과 만남의 기회 제공, 유명인 사진을 제품에 동봉하는 방법 등이 이용된다.(3) 일반인(general people)일반인 모델 광고는 의미 그대로 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 가운데서 임의로 선정된 모델이거나, 특정인을 부각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군중을 모델로 설정한 광고이다. 일반인은 유명인이거나 제품 또는 기업과 관련된 인물이어서는 의미가 떨어진다. 일반인을 모델로 이용하는 경우는 소비자와의 거리감을 없애고 광고하려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실생활에 밀접하고 친숙하다는 개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인 모델은 전문가나 유명인보다 지명도 면에서 불리하지만 반대로 전문가나 유명인이 표현할 수 없는 친밀도를 강조할 수 있다. 즉, 이웃과 같은 이미지로 보다 쉽게 제품이미지를 포지셔닝할 수 있다. 따라서 일상적인 생활 주변에 사용되는 소모성 제품이나 식품의 경우 일반인 모델을 많이 사용한다.일반인의 생활 단면, 일상적인 취미, 습관, 가족구성 등이 일반인을 모델로 하는 광고의 하위요소로 이용된다.(4) 자사직원(employee)
자사직원을 모델로 이용하는 경우는 대개 해당 제품과 관련이 있는 분야를 담당한 직원 또는 대표자가 직접 나서게 된다. 제품의 특성이나 주 소비층과 같은 연령의 모델이 주로 등장한다.자사의 제품을 자사의 직원에게 사용하게 하거나 사용경험, 특성 등을 소개하게 함으로써 제품은 물론 기업이미지까지 상향시키려는 의도에서 이용된다. 또한 자사의 제품을 이용하는 직원을 통해 소비자에게 신뢰감을 심어줄 수 있으며 기업조직내의 결속력 강화 등의 목적을 위해 이용된다.제품이미지와 어울리는 유니폼, 자사 브랜드를 상징할 수 있는 특정한제스처 등이 소구의 하위요소로 이용된다.
(5) 가상인물(cyber target)실존하지는 않지만 상징적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가상인물을 불특정다수로 선정하는 광고가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컴퓨터 문화의 확산과 가상공간의 확대 등에 의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6) 동식물(animals and plants)반려동물이나 반려식물의 위상이 증대됨에 따라 강아지, 고양이, 열대어, 앵무새, 은행나무, 소나무 분재 등이 주요 모델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으며, 인물이 등장하지 않으면서 황금빛 보리밭 등을 컨셉으로 등장시키기도 한다.
(7) 기타(others)인물이나 제품 대신 다른 소구모델을 이용하는 경우이다. 자연을 배경으로 하거나 숫자, 공식, 도형 등을 응용한 디자인을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근래 들어서는 저작권 유효기간의 만료된 유명화가의 그림을 활용하기도 하며, 세계적으로 이름난 악기, 상징물 등으로 모델을 대신하기도 한다.8) 효과소구(effect)광고의 구성상 메시지나 내용의 전체 또는 부분적인 강조가 필요하거나 시청각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된 방법에 따라 구분하는 분류법이다. 대체적으로 TV광고의 경우 비주얼 요소에 대한 이미지 극대화를 위해 음향 요소가 함께 쓰이고 부분적인 강조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효과소구는 크게 Jingle, BGM, Sound Logo, Sound Effect 등으로 분류된다.(1) 징글(jingle)징글은 어떤 상징적인 음향이나 음악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것은 소비자의 사회적 경험에 의해 습득된 음향이나 음악을 이용하기도 하며, 새로이 제작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징글은 주로 소비자의 연상작용을 이용하여 문자 외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징글을 이용한 광고에 반복 노출된 소비자는 무의식중에 그 음향이나 음악의 분위기를 기억하게 된다. 그리고 소비자는 기억된 징글에 의한 조건반사적 연상반응을 보일 수 있다. 또한 징글은 시각적 제한을 받더라도 전달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므로 공감각적인 광고 인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단순 음향이 아닌 유행어 성격을 띤 카피나 슬로건 등이 유사한 기능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2) 배경음악(background music)TV나 라디오 광고의 경우 나레이터나 모델의 목소리 외에 내재된 음악이 BGM이다. 거의 모든 광고가 BGM을 이용한다고 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광고의 분위기나 브랜드의 이미지와 가장 유사하거나 소비자의인지나 회상력에 보조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기존음악이나 제작된 음악을 사용한다.소비자의 인지와 회상의 경로는 자극요인이 많으면 많을수록, 보조요인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 영역이 확장된다. 그러므로 시각이나 청각으로전달하는 카피메시지에만 의존하는 방법보다는 광고에 어울리는 배경음악을 삽입함으로써 인지도와 회상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모델이 직접 부르거나 연주하는 실황이나, 부분적인 삽입 등의 방법으로 음악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3) 로고소리(sound logo)어떤 음향을 고유한 스타일로 신호화시켜 전달하는 것으로, 청각적 연상작용을 이용하여 로고를 형상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대의 음향은 간단명료해야 하며, 액센트 구분이 명확해야 더욱 효과적이다.시각은 본인의 의지에 따라 순간적으로 차단될 수 있지만 음향은 2차적 행동 없이는 차단되지 않는 강제성이 있다. 따라서 음향으로 로고 이미지를 전달하거나, 시각과 병행하여 공감각적으로 전달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이다.
슬로건 강조 신호음, 브랜드의 신호음화 등이 함께 쓰이는 방법이다.(4) 음향효과(sound effect)광고에 있어서 특히 강조하고 싶거나 구성상 필요한 부분에 음향요소를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보다 쉽게 메시지를 전달하게끔 하는 것이 음향효과의 목적이다. 음향효과는 자연적인 소리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인위적으로 원하는 분위기의 음향을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상상속의 상황을 광고로 제작할 때 음향효과의 역할은 매우 크다.
음향효과는 비주얼 메시지에 현실감과 극적 효과를 더해주므로 소비자들의 인지과정에 도움을 준다. 특히, 피치레벨이나 음량의 변화를 이용한 음향효과는 그 자체로서 메시지를 대신하기도 하며 상징성을 지니기도 한다. 그러므로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동일상황의 음향보다 과장되어 사용되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현장감 극대화, 컨셉 강조, 내용의 반전 등이 요소로 이용되며 광고의 흐름을 연결하는데 도움을 준다.(5) 가상공간(cyber space)광고의 배경 또는 화면의 일부를 가상공간화 된 형태로 처리하여 신비로움과 미래지향적 의미를 내재시키는 것이다. 인쇄광고의 경우 가상공간화 된 배경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6) 가상증강현실(virtuality augmented reality)가상현실은 컴퓨터 안에 또다른 현실을 구축하는 것이지만, 증강현실은 현실 세계를 보완하는 것이다. 쉽게 말해 가상현실이 조작되고 창작된 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이라면, 증강현실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인 차이점이 있다. 이에 가상증강현실은 ‘혼합 현실’이라고도 하지만 단어를 사용하는 의도대로 있어서 '혼합현실'은 ‘증강현실’과 구분될 필요가 있다. 과거에는 단순히 현실에 가상의 물체가 있으면 ‘증강현실’로 포괄적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최근에 증강현실이 정보를 덧붙여주는 정도의 구현이 단순한 방향으로 상용화가 많이 이루어지다 보니 단어의 의미가 예전보다 축소되었다. 그리고 증강현실과 가상현실 사이에 ‘증강가상’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세워지고 증강현실과 증강가상을 통합한 개념을 혼합현실로 정의되었다. 보통은 ‘혼합현실’이나 ‘증강현실’이나 비슷한 의미로 받아들이면 되지만 만약 두 단어를 같이 쓰고 있으면 두 단어가 설명하는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증강현실이 현실의 시각적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필수이기 때문에 증강현실 기술 개발을 위하려면 영상/이미지 처리 기술을 거의 필요로 하게 된다(2020. 위키백과).
가상증강현실기법은 게임 등을 응용한 광고에 집중적으로 활용되고 있다.(7) 인공지능인간의 지능으로 할 수 있는 사고, 학습, 자기 개발 등을 컴퓨터가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컴퓨터 공학 및 정보기술의 한 분야로서,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을 모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인공지능이라고 말한다.
인공지능은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과학의 다른 분야와 직간접으로 많은 관련을 맺고 있다. 특히 현대에는 정보기술의 여러 분야에서 인공지능적 요소를 도입하여 그 분야의 문제 풀이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2020, 두산백과).인공지능은 광고에 등장하는 제품이나 모델, 소비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온라인 상 소비자와의 대화 등을 통해 실시간 맞춤형 광고 추적광고 등의 방법에 활용된다.4 결론
1) 기대효과 및 활용본 정부광고 자료 유형별 분류 기준과 체계는 학술적 관점과 실무적 관점의 두 가지 영역에서 의의가 있다. 먼저 학술적 관점에서 보면 정부 및 공공부문 광고 연구자의 유형 분류의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예비 광고인의 체계적 광고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각각의 사위 분류체계와 하위요인별로 학술적 사전적 정의와 의미가 명시되어 있으므로 광고 이론에 대한 의미 정립과 이해에 근거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재단이 총괄적으로 수행하는 정부광고물 자료의 DB 구축과 활용성 강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메타 업데이트를 시행하였고 향후에도 지속하는 것을 전제하였으므로 소비자의 성향과 광고의 상호 관계를 이해함으로써 효율적인 광고를 제작하는 지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것은 광고와 사회적 시대상황이 반영된 자료이니만큼 추후 광고의 동향까지도 유추할 수 있는 귀중한 사료가 된다.광고 실무 차원에서 보면 제품군별 또는 광고의 목적별 표현기법과 소구의 흐름 등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정부기관 등의 광고 전략의 수립 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기술적 체계로는 업데이트된 자료와 재정리된 내용의 활용은 웹상에서 상호 연계되도록 함으로써 광고 유형의 대분류, 중분류 및 하위 요인 중 하나의 키워드만 인지하더라도 그 내용을 검색할 수 있도록 구조화 시킬 수 있다.이후 추가되는 광고 자료에 대한 분류 역시 동일한 맥락에서 재검토되고 업데이트 된다면 정부광고의 역사를 기술하는 동시에 정부광고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지식근간이 되는 자료로서 그 가치를 계속 인정받게될 것이다.
2) 제언앞서 기술한 내용들은 정부광고를 기록물화 하고 이들 자료를 통해 보다 발전적이고 효과적인 대국민 소통이 이루어지기 위한 분류기준과 방법을 논의한 것이다. 정부광고 유형별 분류 작업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광고물 분류와 더불어 통합적 DB라 할 수 있는 ‘정부광고 아카이브’가 구축되고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에 정부광고 아카이브에 탑재하여야 할 내용과 활용성 등을 제언하고자 한다.(1) 정부광고 아카이브 구성
정부광고 아카이브는 우선 지금까지 집행한 정부광고물13 자료를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한 검색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정부광고주나 일반국민 등 누구나 찾고자 하는 정부광고물을 찾아볼 수 있어야 하고 궁금해하는 내용이나 단어와 연계되는 광고물의 특성이 연계되어 갈무리된 자료로 나타나야 한다. 예를 들어 ‘어린이’ 또는 ‘코로나19’를 검색하면 각 단어와 연계된 모델유형, 이슈유형이 연계되어 검색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각각 검색된 광고물에는 광고주, 제작사, 게재시기 등의 기본정보도함께 나타나야 한다.
아직은 정부광고법 시행 4년차에 불과하지만 연도별 기간을 검색조건으로 설정하여 시기별로 변화하는 정책메시지의 흐름도 찾아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추후 자료가 누적되면 광고의 표현방법이나 기법, 크리에이티브 성향 등을 시계열화시켜 볼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이와 함께, 국외 정부광고 관련 자료들도 탑재해야 한다. 정부광고를 기준으로 저작권상 문제가 없는 해외 우수광고 사례를 자료화할 필요도 있고, 세계광고제의 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도 장착해야 한다.근래 들어 국내 정부기관 등에서는 디지털 광고 기법, 모델 선정 이유13 방송, 인쇄, 옥외, 온라인 등 각 매체별로 집행한 모든 자료를 기준으로 하되 2018년 12월 13일(정부광고법 발효일) 이후 집행한 자료를 중심으로 한다.
등과 관련된 학술적, 이론적 근거를 요구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정부광고 집행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관련 논문, 보고서 등을 제공하는 기능도 갖추어야 한다.
정부광고 아카이브에 미비된 부분은 ‘고객의 소리’ 등의 창을 통해 요청받아 지속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운영체계도 병용해야 함은 물론이다.(2) 정부광고 아카이브의 역할「정부기관 및 공공법인 등의 광고시행에 관한 법률」과 동법 시행령은 광고를 집행하는 정부기관 등에 대한 지침을 담은 법령이다. 시행령에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정부광고 대행업무를 하도록 되어 있고, 이 업무를대신할 기관으로 한국언론진흥재단을 정한 것이다. 앞의 법령은 광고주의 범위와 업무주체를 지정하였을 뿐 광고가 기획되고 시행되는 모든 과정은 민간 광고업계의 업무와 다르지 않다. 실제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빈간 광고회사와 많은 협업을 통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해외의 광고회사 모두 가장 우선하여 구축하는 체계가 아카이브라는 것이다. 광고회사 아카이브는 물론 광고 업무를 수행하는 크리에이터나 기획자 모두 개인별 아카이브인 ‘포트폴리오(portfolio) 구축에 많은 노력을 한다. 그 이유는 자명하다. 아카이브는 광고회사의 역사이자 광고주의 기록물이고, 개인별로는 과거와 현재를 증빙하는 실적이자 아이디어와 전략 도출에 영감을 주는 근원이기 때문이다.
아카이브는 외부에서 특정 광고회사 사이트를 접속했을 때 전통과 가치를 파악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근거로도 작용한다. 해당 아카이브에서 원하는 자료를 찾아보고 구하면서 그 광고회사의 능력과 현주소를 파악할 수 있고, 여기에 잠재된 이미지는 추후 더 많은 광고수주를 불러올 수 있는 동력이 되기 때문이다.이에 국민의 세금으로 집행하는 정부광고를 대행하는 기관은 더욱 책임이 막중하다. 정부광고를 집행하는 광고주에 대한 서비스 제공은 물론이거니와 일반 국민들도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정책소통 자료와 역사’ 정보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광고 아카이브는 앞에서 제시한 이론과 체계를 바탕으로 조속히 구축해야 할 과제이고 이를 통해 정부의 정책소통 능력과 성과는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참고문헌>
■ 국내김봉현(2004). 비교광고의운용실태및표현방식에관한내용분석연구. 광고연구. 제62호. 187~215.박유식·경종수(2002). 광고유형과오디언스특성이공익광고의효과에미치는영향. 광고학연구. 제13권 5호. 177~200.박재관(2005). 성적소구광고의 윤리성 평가와 광고효과에 관한 한ㆍ미간 비교연구. 광고학연구. 제16권 4호. 7~29.서찬주(2001). 광고유형에 따른 소비자준거가격의 변화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2권 2호. 115~144.양윤·김경민(2004). 광고유형, 정보단서유형 및 정보처리양식에 따른 우연 광고노출의 영향. 광고연구. 제64호. 161-189.
양윤·민재연(2004). 무드, 정보처리유형 및 광고유형이 광고에 대한 감정·인지반응과 광고태도에 미치는영향. 광고학연구. 제15권 3호. 7~37.위키백과(2020). 가상증강현실.이병관·백혜진·김봉철(2004). 광고에서 유명인모델의 부정적 정보와 제3자 효과. 광고연구. 제65호. 147~169.이시훈·홍창선(2004). 위협의 강도와 불안수준에 따른 위협소구 광고의 효과 연구. 광고연구. 제62호. 103~131.이종민·이동건(2005). 유머광고의효과에관한연구: 개인적상품관여도의매개역할을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16권 1호. 141∼162.하한호·이영일(2005). 시장지위를고려한광고제시순서와소구유형이브랜드평가에미치는영향. 광고학연구. 제16권 4호. 155~181.■ 국외
Ajit M. Menon, Aparna D. Deshpande, George M. Zinkhan and Matthew Perri III(2004). A model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direct-to consumer advertising: integration of concepts and measures from marketing and healthcar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23(1), 91~117.Ben Mein(2004), Good advertising relies on positioning. New Media Age, 8 April, 17.Charlotte J. Romano(2005). Comparative Advertising in the United States and in France. Northwester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 Business, 25(2), 371~414.Choi, Yung Kyun & Miracle, Gordon E.(2004). The Effectiveness of Comparative Advertising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advertising, 33(4), 75~87.De Mooij, Marieke(1998). Global Marketing and Advertising: Understanding Cultural Paradoxes. Sage Publications, Inc., USA.Franzen, G.(1994). Advertising Effectiveness. Henley-on-Thanes, Oxford-shire, UK: NTC Business Publications.Karen Flaherty, Marc G. Weinberger, and Charles S. Gulas(2004). The Impact of Perceived Humor, Product Type, and Humor Style in Radio Advertising. Journal of Current Issues and Research in Advertising, 26(1), 25~36.
Laskey, H. A., Fox, R. J., & Crask, M. R.(1994, Nov/Dec). "Investigating the impact of executional style on television commercial effectivenes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pp.9-16.Paushali Lass and Susan Hart(2004). National Cultures, Values and Lifestyles Influencing Consumers' Perception towards Sexual Imagery in Alcohol Advertising: An Exploratory Study in the UK, Germany and Italy.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20(5/6), 607~623.Robert Heath & Agnes Nairn(2005). Measuring Affective Advertising: Implications of Low Attention Processing on Recall. Journal of Advertising Reasearch, 45(2), 269~281.Woltman Elpers, Josephine L. C. M.; Mukherjee, Ashesh; Hoyer, Wayne D.(2004). Humor in Television Advertising: A Moment-to-Moment Analysi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1(3), 592~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