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총서 2021-3

해외 정책브랜딩 성공사례

저자

최지혜(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

최일도(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

김해영(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

박한나(선문대학교 교수)

해외정책브랜딩 성공사례

초판 인쇄 2021년 12월 24일

초판 발행 2021년 12월 31일

저 자 최지혜·최일도·김해영·박한나

발행처 한국언론진흥재단

발행인 표완수

주 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프레스센터 12층~15층

전 화 (02) 2001-7114 팩스 (02) 2001-7720

ISBN 978-89-5711-623-4

해외 정책브랜딩 성공사례

최지혜・최일도・김해영・박한나

한국언론진흥재단

목차

1. 정책브랜딩의 개념과 관리방안 7

1) 정책브랜딩의 개념과 필요성 7

2) 정책브랜딩 자산 구축 13

3) 정책브랜드커뮤니케이션 전략 21

2. 국내 정책브랜딩 현황 25

1) 국내 정책브랜딩 진단 25

2) 국내 정책브랜딩 개선 방안 32

3. 해외 정책브랜딩 성공사례 35

1) 미국 NRFC의 Fatherhood.gov 35

2) 영국 아버지 연구소(Fatherhood Institute) 40

3) 해외 사례의 정책 브랜딩 시사점 44

4. 결론 및 함의 51

1) 정책 브랜딩의 활용 51

2) 정책 브랜딩의 체크리스트 55

3) 문화와 브랜드 개성을 고려한 브랜딩 62

4) 국민에게 가치를 주는 브랜딩 67

5) 국민과 정책브랜드 관계 69

참고문헌

그림

<그림 1> 국내 정책브랜드 사례 16

<그림 2> 정책브랜드 자산의 형성과정의 적용 20

<그림 3> 정책 과정과 정책 브랜딩 22

<그림 4> #DanceLikeaDad 포스터 38

<그림 5> #Dadication 포스터 39

<그림 6> 영국아버지 연구소 가이드 영상 41

<그림 7> Time with Dad 소개 42

<그림 8> FRED 프로그램 43

<그림 9> 융합 미디어를 활용한 정책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48

<표 1> 기업브랜드와 정책 브랜드의 비교 10

<표 2> 정책브랜드 자산의 효과 18

1. 정책브랜딩의 개념과 관리 방안

1) 정책브랜딩의 개념과 필요성

사적 영역에서의 브랜드 관리 개념을 정책 영역에 도입하는 것은 1)브랜딩 대상, 2)브랜딩 범주, 3)브랜딩 목적에서 가장 핵심적인 전환이 일어난다. 첫째,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개념이 정책의 영역에서는 국민으로 전환되었다. 정책 브랜드의 중심에는 국민이 있다. 경직된 중앙부처의 다양한 정책을 공급자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실수요자인 국민 중심으로 전개함으로써 정부가 정책을 통해 국민과의 관계를 원활히 하고 신뢰와 협력을 이끌어가는 과정이다 (최일도,&이재호, 2014).

둘째, 브랜딩의 범주가 제품·서비스에서 정책으로 전환되었다는 점이다. 정책브랜드의 역할은 정부가 펼치는 정책이라는 서비스가 지닌 특성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정책의 특성에 따라 출산율제고, 균형 및 복지, 지속적 경제 성장, 환경보호, 범죄 예방, 국민건강증진 등 국민들의 행복과 국가와 지방의 미래와 직결된 다양한 공공문제들이 곧 정책 브랜드의 범주로 적용된다 (김유경, & 김유신, 2015). 하나의 제품을 브랜드화하려면 그 제품의 기능이 무엇이고 왜 소비자들이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 제품을 특징지을 수 있는 브랜드 요소들을 이용함으로써 그 제품이 어떤 것인가에 대해 소비자들에게 알리는 것이 필수다. 브랜딩에 있어 핵심은 소비자가 제품군 내에서의

브랜드간의 차이를 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정책 브랜딩에서도 특정 정책에 대한 역할, 목표, 사회적 필요성을 인식시킴으로써 정책에 대한 국민의 지식을 체계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업쇼(Upshaw, 1995) 는 브랜드의 인지 형태를 형식화해 주는 말, 이미지, 생각, 연상의 조합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그는 소비자의 기억에 각인되는 것은 오직 브랜드가 창출하는 아이덴티티라고 설명하였다. 정책에서의 핵심 아이덴티티는 정책의 목표와 연계된다. 정책에서의 아이덴티티를 결정짓는 요소는 크게 정책의 범주, 정책의 속성, 정책의 품질이라 할 수 있다. 정책브랜드의 범주가 국민이 바라는 정책 범주와 강하게 연결되면 반대 집단의 의견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으며 강력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국민의 호응을 바탕으로 성공한 정책은 그 사례를 이용하여 정책범주를

확장할 수 있는 브랜드 확장의 기회도 함께 제공한다 (최일도, & 이재호, 2014). 정책의 속성이란 정책이 국민에게 어떤 혜택을 줄 수 있는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복지정책은 종류에 따라 경제적 혜택을 줄 수도 있고 편안한 심리적 혜택을 준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국민들이 특정 정책에 대해 무엇을 중요한 가치판단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정책의 품질이란 정책 자체가 지니는 대국민적, 사회적 가치와 수준, 실현되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혜택 등의 역할을 의미한다. 정책의 품질이란 국민들이 정책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전반적으로 지니는 느낌과 생각이다. 따라서 정책 품질은 정책 브랜드의 충성도를 형성하거나 유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정책을 브랜딩하는 데 있어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는 정책은 제

품에 비해 훨씬 무형적이고, 특정 집단이나 개인에 따라 그 품질이 다양하게 변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잠재적인 무형성과 가변성이라는 문제를 안고 있는 정책에 있어서는 브랜딩이 특히 더 중요하다. 정책은 실질적으로 수혜를 얻거나, 관여가 존재하지 않고는 속성에 의한 평가를 쉽게 할 수 없다. 그 이유로 정책을 브랜드화하는 것은 국민들로 하여금 정책의 품질과 속성을 나타내 주는 중요한 단서로 작용한다.

셋째, 기업 브랜드의 목표가 소비자-브랜드 관계 및 충성도의 제고를 통한 영리적 목적에 있다면 정책 브랜드의 목표는 사회적 합의, 국민적 동의를 얻는 데 있다는 데 차이점이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책이 지니는 가장 큰 목적이다. 정책브랜드는 국민의 삶과 국가를 발전시키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고객 중심의 민주 정

부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특정 상황에서 특정의 정책이나 정치 커뮤니케이션 현상이 가지고 있는 구체적인 의미에 대해 국민에게 설명하고 이해와 동의를 구해야 한다. 여기에는 브랜드 이론에서 설명하는 브랜드 인지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민에게 공개되어 널리 알려진 정책의 방향은 선험적 만족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우호적인 태도를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정 정책의 정당성은 논리적 합리성이 아니라 한 시대를 구성하고 있는 국민들의 공통된 생각을 통해 평가된다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 결국 정책을 수립하고 결정, 추진하는 과정에서 국민 개개인이 참여하고 정책을 공유하고 있다는 정서적 동질감이 깔려 있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 하더라도 성공할 수 없다 (최일도, & 이재호, 2014).

<표 1> 기업브랜드와 정책 브랜드의 비교

기업 브랜드 정책 브랜드

대상 소비자 국민

범주 제품·서비스 정책

목표 소비자-브랜드 관계/ 충성도 사회적지지 및 동의

다만 정책의 브랜드를 관리하는 과정은 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를 브랜딩하는 방법론을 그대로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의 원인 중 하나는 정책 브랜드는 경쟁의 관점에서 보기 어렵다는 점이다. 기업 브랜드는 브랜드 관리를 통해 경쟁적 우위를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하지만 정책 브랜드는 공공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경쟁의 공간으로 보기보다 공공의 이익과 사회적 공생의 추구라는 기본적인 정신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경쟁적 우위를 점하고자 하는 기업 브랜드의 접근보다는 각각의 정책 브랜드들이 가질 수 있는 ‘차별적 인식’을 형성하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즉 각각의 정책

브랜드가 어떠한 공적인 정체성을 차별적으로 갖고 있는 지를 확실히 인식시키는 것과 해당 정책 브랜드가 공적인 의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국민에 대한 약속을 적극적으로 공유하려는 노력이 더 중시된다. 두 번째는 다수의 이해당사자가 연관되어 있는 정책의 복잡성과 복합적인 성격을 들 수 있다. 정책은 단일한 경영 주체 및 브랜드 관리자가 없이 각각 여러 다른 기관의 소유 및 관리 하에 있기 때문이다. 정책 브랜드는 기업 브랜드와 달리 일정 수준의 정치적, 공적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즉 정책 브랜드는 기업 브랜드에서 보기 어려운 정치적인 조사, 미디어의 의혹, 공적 논쟁 등

을 견뎌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에서 정책 브랜드를 지키려면 개방적인 협의 과정을 통해 일반 국민의 인식과 동의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정책브랜드는 정책을 어떻게 수행하고 성공시키는가에 대한 방법론적 접근으로,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성패를 좌우한다 (김유경 외, 2018). 정책을 브랜딩함으로써 국민들로 하여금 지속적이고 차별화된 인식을 구축할 수 있다. 정책이 브랜드가 되는 사례는 정부의 다양한 부, 처, 청 등의 브랜딩 노력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2006년 노무현 정부 말기에 혁신정책브랜드의 평가를 시작으로 등장한 정책브랜딩은 정권의 이양으로 정체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김유경, 2018). 이는 진정한 의미에서 브랜드에 대한 이해가 정책브랜드에 적용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브랜드의 핵심인 차별적인 인식 제고 및

무형적 자산의 구축, 그리고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지속적 관리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서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책브랜드는 결코 브랜드명의 개발을 의미하지 않는다. 기업 브랜드의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브랜드는 인식을 심을 대상을 고려해야 하며, 대상에 대한 관계 구축을 이루어나가는 전반적 과정으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정책 브랜드란 개별 정책을 제품 또는 서비스의 관점에서 국민에게 접촉해 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를 이루어가는 과정과 결과를 일컫는다 (김유경, & 김유신, 2015). 특정 정책을 브랜드로 상정해 정책에 담겨있는 사실적·기능적 특징을 넘어서는 보다 본질적이고 확장적인 의미나 인식을 도출해 정립해 가는 과정이다.

지금까지 정책은 정부가 주도하여 시행하는 법적 행정으로 간주되었다 (최일도, & 이재호, 2014). 정책의제의 설정부터 평가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사실상 정부가 주도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한국 사회는 소통의 혼돈을 겪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쌍방향적, 다중적으로 소통하는 국민들은 더 이상 국가 주도의 중앙집권적인 통치 방식을 일방적으로 수용하지 않는다. 매체와 커뮤니케이션 기술 발달이 가져온 영향에 의해 변화된 정치 환경은 새로운 대국민 패러다임을 요구한다.

이러한 변화는 정책을 전통적인 행정학적 관점에서 국민의 다원주의 물결을 감당하기에 무리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민 개개인이 역동적인 능동 주체로서 정책의 결정과 집행, 평가 등 모든 단계에 참여자이자 감시자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정책의 행정

적 효율성만으로는 정책적 환경을 설명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정책 브랜딩은 지금까지 공급자 중심의 정책을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시켜 국민의 의견과 요구가 반영될 수 있는 실천적 도구를 의미한다. 국가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중요하고 반드시 필요한 정책일지라도 국민 개개인이 정서적 동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그 정책은 결코 성공할 수 없다. 이제 정책 결정권자나 관리자도 정책의 전반적 과정에서 참여와 공존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인식할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정책 과정에 브랜딩 이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정책의 중심이 정부에서 국민으로 옮겨짐을 의미한다. 브랜드 영역에서 브랜드 자산을 구축하기 위한 핵심을 소비자에 두고 있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특

정 정책에 대해 한 사회와 국민이 공유하는 의미, 실천적 행위와 같은 의미를 통해 설명하는 것이다. 특정 정책에 대한 정당성을 논리적 합리성이 아닌 국민들의 공통된 생각을 통해 평가하는 것이다.

현대사회의 정책 과정은 정형화된 제도적 장치가 아닌 국민들의 정서적 동의를 수반하는 형태로 변화해야 한다. 즉 정책브랜딩은 국민 중심의 정책 합리성을 찾는 과정으로 특정 시점과 공간에서 담고 있는 감성적 의미들과 복합되면서 발생한다 (황근, 2011).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과정에서 국민이 참여하고 공유한다는 정서적 동질감이 깔려 있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성공할 수 없다. 따라서 정책 과정에 브랜딩 기법을 도입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이 시대가 지향하는 관리체계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여기에 필요한 방법이 브랜드 영역에서의 소비자 즉, 국민의 정서와 이미지, 관계를 중심

으로 하는 정책 브랜딩인 것이다. 결국 정책 브랜딩은 국민의 이해와 요구를 개념화하는 작업이다. 여기에는 브랜드 이론에서 설명하는 브랜드 인지도, 지각된 품질 및 혜택, 감정적인 반응, 행동적 충성도에 이르는 자산 구성 요소들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정책브랜드 자산 구축

소비자 기반 브랜드 자산은 객관적으로 지각된 가치를 넘어서는 브랜드에 대한 주관적이고 무형적인 평가 전반을 뜻한다 (Rust et al., 2000). 소비자 기반의 정책 브랜드 자산은 따라서 정책 결과로 나타나는 객관적인 사실 (fact) 을 뛰어 넘는 정책에 대한 정책 소비자의 주

관적인 인지, 태도, 지각, 경향성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정책브랜드의 힘은 정책 소비자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것에 달려 있다. 강력한 정책 브랜드 자산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정책 소비자가 정책과 관련 서비스, 정책과 동반되는 사업 프로그램에 대해 올바른 형태의 경험을 갖게 함으로써 바람직한 느낌, 이미지, 신념 등을 정책 브랜드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정책 브랜드 자산은 해당 정책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형성된 정책 브랜드 지식이 긍정적인 정책 소비자의 반응을 창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현저하고 독특한 연상을 보유하고 있는 브랜드는 그렇지 않은 브랜드와 소비자 반응이 다르게 나타난다. 소비자의 기억 속에 높은 브랜드 인지도와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한다는 것은 소비자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지식구조를 창출하고 다양한 유형의 CBBE를 창출하는 것이다

(Keller, 2007).

기존의 기업 브랜드 자산에 대한 논의에 의하면 브랜드 자산은 해당 브랜드가 실행하는 마케팅 활동의 모든 측면과 관련된 인식, 선호, 행동 등에 영향을 미친다 (Keller, 2007). 브랜드 자산의 구축은 소비자의 인식 속에 차별적 효과를 형성하고, 경쟁브랜드의 공격 및 경쟁으로부터 방어할 수 있는 이점과 브랜드 관리의 방향성을 제공해 준다는 점, 브랜드 충성도의 제공, 브랜드 확장에 대한 이점이 있다.

기업 브랜드와 비교해 봤을 때 정책 브랜드 자산의 이점은 크게 다섯 가지이다. 첫째, 차별화된 효과를 통해 정책에 대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브랜딩의 핵심은 소비자들이 해당 영역에 속한 모

든 브랜드들을 동일하게 느끼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다. 강하고 호의적이며 독특한 연상이라는 측면에서 소비자의 기억 속에 높은 인지도와 긍정적인 이미지를 확립함으로써 지속적으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물론 정책의 경우, 다른 정책브랜드와의 경쟁 우위를 점하는 것이 목표가 될 수는 없다. 그러나 개별 정책브랜드에 대한 차별적인 연상은 중요하게 작용한다. 특히 정책브랜드의 경우 정책을 집행하는 주체가 다양하지만, 각 집행 주체가 시행하는 정책의 내용은 큰 차별성을 갖지 못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림 8>에 제시된 다양한 정책브랜드 사례를 살펴보면 각각의 정책 브랜드가 어떠한 정책 주체에 의해 집행이 되었는지, 어떠한 내용을 담고 있는 지에 대한 차별적인 인식을 떠올리기 힘들다. 특히 사례에 포함된 방학동 도깨비 시장의 경우에도 공릉동 도깨비시

장, 내손동 도깨비시장, 현풍 백년 도깨비시장 등 똑같은 브랜드명을 가진 정책브랜드와 어떠한 차별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는 지 떠올리기 힘들다. 즉, 각각의 정책브랜드 자산 구축은 곧 차별화된 인식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각 정책 주체 별로 비슷한 내용의 정책 브랜드를 내놓았을 때 그저 하나의 야시장이라고 치부되지 않고 각각의 경쟁력과 콘텐츠에 대한 인식을 심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브랜드 자산의 구축은 경쟁브랜드로부터의 방어를 용이하게 한다. 강력한 브랜드 자산은 경쟁 브랜드의 가격 할인 행사에도 판매량에 큰 영향을 받지 않으며, 경쟁 브랜드의 판촉 활동이 끝난 후에도 판매량이 빠르게 회복된다는 강점이 있다. 정책브랜드는 특히 정치적 상황의 변화와 미디어에 의한 정책 정보의 전달에 영향을

<그림 1> 국내 정책브랜드 사례

출처: 브랜딩리드(2016)

많이 받는다. 정치적 갈등 상황이 첨예해 질수록 정책에 대한 정치적 의도의 의심이 높아질 수 있으며 미디어를 통해 정책의 찬반 의견 대립에 많이 노출될수록 해당 정책을 외면하는 결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정책의 형성부터 결정 및 집행, 평가에 이르는 전반적인 정책 과정에서의 브랜드 자산 구축은 정책 지지자의 이탈율을 감소시키고 기존에 형성된 긍정적 감정 반응이 정치적 상황이나 미디어의 보도에 쉽게 영향을 받지 않을 가능성을 높여준다.

셋째, 브랜드 자산의 구축 과정은 소비자들이 해당 브랜드에 대해 가지는 인상과 이미지를 진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브랜드 위상에 대한 전략적 방향성을 도출하는 데 도움을 준다. 기업 브랜드 관리자들이 직면하는 가장 중요한 문제는 브랜드가 소비자들에게 무엇을 의미하고, 소비자의 브랜드 자산이 브랜드 활동에 대한 반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정책 브랜드 역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국민이 경험의 결과로 브랜드에 대하

여 알고, 느끼고, 보고, 들은 바에 달려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정책브랜드 자산 역시 국민이 정책에 대하여 가진 인식이 무엇인 지에 대한 위치를 파악하고 앞으로 개선해야 할 방향성을 진단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한다. 특히 정책의 경우 정권 및 정책 주체의 이양에 따라 연속성이 결여되고, 장기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는 사례들이 다수 존재하였다. 국민의 관점에서 브랜드 구축에 대한 방향성을 도출할 수 있다면 정책의 근본적 본질인 사회의 올바른 작동을 구현할 수 있는 지속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넷째, 정책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를 제고함으로써 정책에 대한 지지와 수용을 늘릴 수 있다. 긍정적으로 구축된 정책 브랜드 자산은 정책 소비자들이 특정 정책 활동에 대하여 더욱 호감을 가지고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정책의 참여도를 제고할 수 있고, 해당 정책과 관

련된 프로그램에 대한 수용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혹은 강력하게 구축된 정책 브랜드에 대한 호감도는 같은 분야에서 연관성을 갖는 새로운 정책이 집행될 때 기존의 정책 브랜드에 대한 감정이 전이되어 국민적 정책 반발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여기서 우리는 정책의 본질적 속성인 갈등에 대하여 생각해야 한다. 어떤 사회 문제가 정책의제로 받아들여지는 과정은 상호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정책 참여자들이 자신의 이익을 관철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는 갈등을 내포한다 (신호창 외, 2015). 정책 브랜드 자산의 구축은 해당 정책이 자신에게 혜택을 제공하지 않거나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하더라고 사회 전반의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믿음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섯째, 정책브랜드 자산의 긍정적 구축은 연계 정책 사업에 대한 후광효과 (halo effect) 를 일으킨다. 강력한 브랜드는 성공적인 브랜드 확장을 도와주기 때문이다. 기업이 신제품을 출시할 때 자산이 높은 브랜드를 활용하여 적용할 때,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마케팅 비용도 절감시킨다. 정책 브랜드 역시 계층적 사업 구조를 띠고 있다. 하나의 정책 목표를 기점으로, 하위에 세부 정책이 존재하고, 하위 세부 정책에 따라 그 하위에는 연관 사업들이 집행된다. 즉, 긍정적으로 구축된 상위 정책 브랜드의 파급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후광효과에 의해 지지를 받게 되는 다양한 관련 사업 및 서비스가 확장될수록 해당 정책 주체에 대한 국민의 접점이 늘어나게 되고 궁극적으로는 정책 주체에 대한 이미지나 태도가 개선되는 효과도 나타난다.

<표 2> 정책브랜드 자산의 효과

기업브랜드 자산의 이점 정책브랜드 자산의 이점

1. 차별적 효과 정책 경쟁력 강화

2. 경쟁브랜드 공격의 효과적 방어

- 정책 갈등 감소

- 사회적 합의 증대

3. 브랜드 관리 방향성 제공

정책브랜드 진단·개선을 통한 장기적 관리 방향성 제공

4. 브랜드 충성도 제고 정책지지 및 수용 제고

5. 브랜드 확장의 이점 연계 사업 및 정책에 대한 후광효과

출처: Keller, K. L.(2001)을 바탕으로 재구성

정책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 및 영향 관계 형성 과정에 대입해 보면, 정책 브랜드 인지도와 지각된 속성, 지각된 혜택, 정책브랜

드 이미지, 정책 브랜드 충성도에 이르는 위계적 관계 모형을 설정할 수 있다. 정책에 대해 전달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인지도 및 지식을 쌓은 국민은 해당 정책에 대한 속성과 혜택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브랜드에 대한 감정적 반응을 구축하게 된다. 호의적인 감정적 반응은 결국 정책브랜드가 지속되기를 바라고, 지지하게 되는 행동적 자산으로 이어진다.

먼저, 정책브랜드의 인지도는 정책에 대한 자산을 형성하는 데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켈러 (Keller, 1998) 는 소비자가 어떤 제품 범주를 생각할 때 특정 브랜드를 떠올리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구매하는 행동까지 이르게 된다고 하였다. 특히 브랜드의 인지도는 브랜드에 대한 연상과 지각된 품질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아커 (Aaker, 2004) 역시 브랜드의 인지도가 높을수록 해

당 기업이 만드는 제품과의 상호 연관성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따라서 정책브랜드의 인지도는 해당 정책에 대한 이성적 판단에 해당하는 기능적 자산인 지각된 속성과 지각된 혜택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수로 작용한다.

이성적 차원의 브랜드 자산 요소인 정책브랜드의 기능적 자산은 정책의 속성과 관련된 연상과 혜택과 관련된 연상으로 구성된다. 즉 정책에 대한 지각된 품질과 관련한 이성적 판단이다.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은 브랜드에 대한 감정적 태도를 형성하는 선행 변인으로 연구되었다. 지각된 품질은 대상의 전반적인 우수성에 대한 소비자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지각된 품질이 높다는 것은 브랜드를 차별적이고 우수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지각된 품질이 높을수록 브랜드

에 대한 호의적인 감정이 발생한다 (Zeithaml, 1988). 즉 정책브랜드에 대한 속성과 혜택의 평가는 감정적 반응으로서의 정책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브랜드에 대한 호의적인 감정은 결국 브랜드에 대한 행동적 충성도에 영향을 미친다. 켈러 (Keller, 2001) 는 소비자의 브랜드 이미지가 높을수록 브랜드의 충성도가 향상되며, 즉 감정적인 애착이 브랜드와 지속적인 관계를 맺기 원하는 관계적 공명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장기적인 브랜드 이미지의 구축은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있다고 (Farquhar,& Peter, 1989). 브랜드의 구매 및 선택에 있어 브랜드 이미지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는 연구 결과가 다수 존재함에 따라, 정책브랜드의 감정적 자산이 정책브랜드의 행동적 자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이처럼 브

랜드 자산의 형성과정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하여 리먼 외 (Lehmann, Keller, & Farley, 2008) 의 연구에 활용된 구조적 모형을 정책 브랜드에 적용하면 <그림 2>와 같다.

<그림 2> 정책브랜드 자산의 형성과정의 적용

정책브랜드 인지도

인지도

지각된 혜택

지각된 속성

기능성 자산

정책브랜드 이미지

감성적 자산

정책브랜드 충성도

행동적 자산

3) 정책브랜드커뮤니케이션 전략

브랜드가 소비자를 규명하고, 소비자와의 무형적 인식 및 관계를 구축해나가는 전반적인 과정이라면 정책 역시 과정적인 속성을 지닌다는 데 공통점이 있다. 정책은 일련의 순환적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Anderson, 1984; Dye, 2002). 정책은 공공 문제의 발생 단계에서부터 정부에 의한 정책 의제의 채택을 거쳐 정책 결정, 정책 집행, 집행 결과에 대한 평가, 평가 결과의 환류 등과 같은 일련의 순환적 과정 (policy process) 을 거친다 (신호창 외, 2015). 브랜드 관리 역시 마케팅 프로그램의 설계와 실행, 브랜드 자산의 구축, 실행 및 관리에 대한 제반 활동의 과정을 포함한다. Keller (2001) 는 브랜드 관리 프로세스를 크게 네 가지 주요 단계로 분류한다. 브랜드 포지셔닝과

가치의 정의 및 구축·브랜드 마케팅 프로그램의 계획 및 실행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 브랜드 성과의 측정 및 해석 (브랜드 자산 평가) - 브랜드 자산의 성장 및 유지가 그 과정이다. 정책과 정책 브랜딩의 전반적인 과정을 도식화하면 <그림 7>과 같다.

브랜드 포지셔닝과 가치의 정의, 구축 단계는 정책 구상의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책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해당 정책 브랜드의 범주 및 속성을 바탕으로 브랜드 포지셔닝을 계획할 수 있다. 이 단계는 정책이 지니는 본질적 의미와 특성을 수립하는 것으로 정책적 의미를 수용자에 전달될 수 있는 컨셉으로 전환하는 전략적 발상이 중요하다 (김유경, & 김유신, 2015). 특히 정책브랜드의

<그림 3> 정책 과정과 정책 브랜딩

Policy process

환류

● 정책 브랜드 자산 성장/유지

● 정책 브랜드 확장

정책 구상 정책 결정 정책 집행 정책 평가

Brand Management Process

Brand Message

Communication Strategy

Brand Experience

Brand Equity Evaluation

Brand Equity

Brand Awareness

Functional Equity

Emotional Equity

Behavioral Equity

Brand Identity

Brand Positioning

Policy Brand Execution

● 정책브랜드 정체성 도출

● 정책 포지셔닝 맵

● 정책브랜드 범주 정립

● 정책브랜드 요소 혼합

● 정책브랜드 마케팅프로그램

● 정책브랜드자산 평가/관리

● 정책브랜드 트래킹

아이덴티티를 정립하는 것은 정책브랜드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주요한 영향 요인이 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아이덴티티의 체계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향후 구축될 정책 브랜드 자산에 예상하지 못한 부정적 인식이 형성된다.다음으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은 정책의 결정과 집행에 걸쳐 수행되는 정책브랜드 활동이다. 이 단계에서는 정책에서 목표로 하는 내용과 가치가 국민에게 바르게 전달되는 커뮤니케이션 노력이 필요하다. 정책 대상 집단 및 일반 국민의 정책 브랜드 접촉점을 구성하고 총체적 미디어 관점에서 전개하는 공공캠페인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작용한다. 공공 기관의 정부 광고 역시 정책의 의미를 전달하는 정책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본 단계에서 활용된다. 정책의 결정 단계에서부터 시작하는 사전 홍보에서

부터 효과 평가에 이르기까지 정책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은 단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적절한 매체와 메시지의 선정 역시 중요한 문제이다.

브랜드 성과의 측정 및 해석 단계에서는 정책브랜드 자산을 평가함으로써 정책 평가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정책 브랜드 자산의 평가는 정책이 집행된 이후에 시행하겠지만 측정하는 정책 브랜드의 자산은 정책 과정 전반에 걸쳐 이루어진다. 정책의 인지도, 기능적 자산, 감성적 자산, 브랜드 이미지 및 충성도에 이르기까지 정책 과정을 통해 구축되는 정책 브랜드 자산을 진단하고, 정책 환류의 과정에 적용될 수 있는 정책 수용자 관점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정책 브랜드 자산의 평가는 정책브랜드 가치의 창출 과정을 추적하는 수단이며 장기적 관점에서 정

책 브랜드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정책은 정치적 영향에서 벗어나기 힘든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정권이 교체되면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 할지라도 이전 정권의 성과물이라 판단하여 다른 정책으로 교체하거나 폐기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정책 브랜드 자산의 지속적인 측정은 우수한 정책이 정치적 이해관계에 의해 소멸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속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중장기적 관점에서 정책 브랜드를 성장시킬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정책에 브랜드 관리에 대한 장기적인 관점을 적용하는 것은 정책 수용자에 기초한 브랜드 자산을 시간 경과에 따라 관리하고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계되는 혁신적 전략을 야기한다.

브랜드 자산의 성장 및 유지 단계는 정책 브랜드 자산의 측정 결

과로부터 정책 개선에 적용할 수 있는 환류 단계에 해당한다. 이 단계에서 강력한 정책 브랜드 자산을 보유한 정책의 경우 연계된 정책 사업 및 프로그램에 대한 확장을 꽤할 수 있다. 혹은 정책 과정의 단계 별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난 정책 브랜드 자산을 강화하는 전략적 방향성을 도출하는 단계로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정책브랜딩은 정책 과정에서의 어느 한 단계에 해당하는 것이 아닌 정책 과정 전반에 걸쳐 관리되어야 할 활동이다. 즉, 정책 브랜딩 과정과 집행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책 브랜딩 관리 체계의 이해가 필요하다.

2. 국내 정책브랜딩 현황

1) 국내 정책브랜딩 진단

국가브랜드를 비롯하여 각 정부 부처, 지자체, 공기업, 공공 기관 등 다양한 공공 영역에서 브랜드를 구축하고 관리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함에 따라 정책 역시 브랜드화를 위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학술적 논의는 전무한 상황이기 때문에 정책브랜딩을 단순히 정책마케팅으로 해석함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먼저 정책브랜딩을 1차원적 마케팅으로 치부하면서 나타나는 문제점이다. 물론 정책적 의미를 국민에게 전달할 수 있는 콘

셉트로 전환하는 전략적 발상은 중요하다. 그 콘셉트를 담아 비주얼로 구성하는 일은 정책을 브랜드화하는 기초적 과정이라 할 수 있다(김유경, & 김유신, 2015). 하지만 단순히 슬로건을 걸어놓고 브랜딩을 했다는 오해를 범하기 일쑤다. 공공브랜딩 활동에 대해 “브랜딩이 아니라 로고 제작에 불과하다”는 비판적 평가도 이러한 배경에서 제기되는 문제의식이다 (김광태, 2016). 브랜드의 가장 중요한 것은 네임, 로고, 심벌. 디자인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개발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을 바탕으로 얼마나 본질적이고, 풍부한 연상 이미지를 소비자로 하여금 갖게끔 하는가에 있다. 즉 브랜드는 소비자의 인식 속에 얼마나 차별화되고, 독특하고, 강력한 특정 브랜드만의 무형적 자산 가치를 창출하느냐가 중요하다. 정책브랜드를 단순히 1차원적

로고, 디자인에 국한하여 이해함으로써 그 속에 담길 본질적인 정체성을 잃어버린 것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된다. 정책브랜드는 국민에게 약속할 가치를 담고 있어야 하며, 이를 지속적으로 구현해 내면서 사랑받는 브랜드로 나아갈 수 있다.

정책브랜드에 대한 현실의 가장 큰 문제는 전문성의 상실이다. 주먹구구식의 정책브랜드 네임 만들기만 남발되고 있다. 단순히 브랜드명을 구축하고, 심벌 및 로고를 제작하는 1차원적 브랜딩 수준에서의 활동을 정책브랜딩의 전체로 오도하는 문제를 극복해야 한다. 이러한 전문성의 결여는 정책브랜딩에 소요되는 예산과 시간, 인력을 감안하면 엄청난 낭비다. 전문성이 결여된 채 남발된 정책브랜드 네이밍은 실제적으로 국민들의 인식 속에 브랜드 인지도(Awareness) 도 제대로 구축되지 못한 경우들이 나타난다. 2013년 문

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한 ‘부처별 대표 정책브랜드 관련 국민인식 조사’에 따르면 정책브랜드의 종합점수는 10점 만점에 5.05점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조사대상 정책의 인지도 평균은 4.54점으로 총 종합점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무한 상상실’브랜드 인지도는 2.95점, ‘똑똑! 남·북극’은 2.99점, ‘부정무역 125 (이리로) ’는 2.96점, ‘무한상상국민창업프로젝트’는 3.74점, ‘제대군인 지원제’3.56점 등 인지도가 3점을 넘지 않은 경우도 많았으며 대부분 4점대를 기록하고 있다. 정책브랜드의 가장 기본적인 인지도 확보가 이 정도 수준이라면 다음 단계에서 정책에 대한 기능과 감성적 평가와 정책에 대한 기대 효과 전반은 평가 자체가 불가능한 지경이다. 이는 곧 행정의 손실이자, 국가 자원의 낭비

이다. 국민의 삶과 사회에 아무런 기여를 하지 못하는 정책과 정책 브랜딩의 시도는 개선되어야 할 문제다. 예산과 전통적 관례에 의한 브랜드 콘텐츠를 내놓는데 급급하기보다 공공의 이슈에 대응하는 총체적 커뮤니케이션 활동으로 정책 브랜딩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정책에 대한 수용자 관점의 종합적 이해가 부족하다. 정책브랜드는 쏟아지고 있지만 정작 국민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는 정책은 드물다. 정책브랜딩의 핵심은 정책이 국민의 것, 수용자 중심주의를 인정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정책의 영역에서도 수용자관점에서 차별된 가치를 고민하고 이를 지속적이고 일관되게 관리할 체계적인 도구가 정립되어야 한다. 지금까지의 정책브랜딩은 공급자 중심관점에서 평가되어 왔다. 그 속에 정책 소비자인 국민의 인식 체계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부족했다. 정책에 대한 국민의 인식은

단순히 인지도에서 비롯되는 것도 아니며, 필요성 및 당위성과 같은 내용에 대한 인식만으로 나타나는 것도, 선호도나 만족도와 같은 전반적인 감정적 태도 또는 이미지로서 존재하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정책브랜드는 얼마나 많이 알려져 있는지, 또는 세부적 내용의 타당성을 갖추었는지, 또는 전반적으로 정책의 성과를 만족하고 있는 지에 대한 파편적인 논의에 그쳤다. 정책의 과정이 형성, 집행, 결과의 순차적 단계를 포함하고 있듯이 정책에 대한 국민의 인식 역시 하나의 단계만을 떼어 놓거나 전체 단계를 뭉뚱그려 평가할 수 없다. 형성 과정에서 민주성이 담보되었는가, 정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졌는가, 내용이 국민의 입장에서 정부의 고민이 느껴지는가, 개인적 또는 사회적 필요성을 느끼는 가 등 여러 차원들의 정책

인식 평가가 어우러져 결국 정책에 대한 실질적인 성과 및 효과에 대한 체감과 만족이 이루어진다. 지금까지 정책에 대한 국민의 인식 평가는 단편적인 속성만을 집계하는 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특정 정책이 왜 지지를 받는지, 또는 왜 외면을 받는 지에 대한 성찰이 불가능했다. 또한 대부분의 정책이 그러한 과정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무시하고서 집행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파편적으로 수행되어 온 정책에 대한 인식 측정 도구들을 종합하여 정책의 과정 전반에 이르는 국민 인식 평가 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정책브랜드는 결국 국민의 입장에서 이해되고 관리될 때 비로소 제대로 작동한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의 정책브랜딩에 중장기적 관점이 결여되어 있었다. 단발성 캠페인을 통한 단기적 홍보에 치중되어 있어 정책커뮤니케이션의 지속성이 떨어졌을 뿐 아니라, 정책브랜드 자체

의 지속성도 보장되지 못했다. 특히 기초지자체의 경우 단체장의 업적을 위해서는 4년 안에 뭔가를 이뤄야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브랜딩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실무적 지적이 있었다 (더피알, 2016). 지속적인 브랜드 관리도 필요하지만 이를 책임질 브랜드 전문가나 컨트롤 타워를 찾기 어렵다는 점도 문제로 제기된다. 브랜드 주무부서의 경우 대부분의 인력이 비전문가이고 순환보직을 실시하다보니 주인의식을 가지고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조직생리가 성립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김광태, 2016). 이러한 문제들은 결국 정책광고 등의 정부홍보 사업들의 전반이 무분별하고, 아무런 실질적 효과를 얻지 못하는 단기적 성과에 급급한 졸속 집행이 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정책 브랜딩은 정책이 지속적이고 차별화된 행정 서비스의 가치

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하다. 정책브랜딩의 직접적 효과는 정책 이미지의 총체적 효과에 있다. 즉, 단기적인 성과주의에서 벋어나 정책을 장기적 무형 자산으로 이해하는 노력과 적극적인 관리 자산으로 인식을 전환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하지만 포괄적 자산의 창출보다는 단기적인 성과 달성을 통한 효과의 가시화라는 실질적 목표에만 관심을 두면서 정책브랜딩이라는 이름하에 자신의 행정 업무를 수행하는 것 이상, 이하도 아닌 상황이 연출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들이 발생한 것에는 지금까지의 정책브랜딩에 대한 사회적인 논의와 학문적인 성과가 전혀 부족한 것에 기인한다. 정책은 정치와 행정 활동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고, 국민과의 소통의 과정을 정책 홍보 등의 공보활동에 치중한 논의에 국한함으로서 정책브랜딩의 방법적인 논의가 부족한 한계가 있었다. 정책의 예산 대비

계량적 효과 산출이나 정책 집행 주체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는 도구로 활용할 방안에 논의가 머물러 있었다. 이제는 그러한 한계에서 벗어나 정책이 효율적으로 국민에게 수용되고, 이해와 공감, 더 나아가 국민의 삶에서 정책이 역동적으로 작동될 것이라는 믿음과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정책브랜딩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와 논의의 전환이 요구된다. 정책브랜딩이 지니는 무형적 자산 가치에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정책을 브랜드화하는 것이 단순히 로고를 만드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정책을 통해 정책수용자에게 인식되는 유무형적 가치의 총합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에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예컨대 ‘서울로 7017’이 개장 몇 일만에 얼마나 많은 사람을 끌어 모았는가

에 대한 단기적인 성과에 매달려서는 안 된다. 정책브랜드는 기본적으로 이윤과 수치적 업적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므로 사회 전반의 가치와 사회자본의 향상 등 중장기적인 목표를 갖고 관리해야 한다.

그렇다면 단기적인 효과에 머물지 않는, 장기적 관점에서의 정책브랜드를 구축할 수 있는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 정책브랜드에 대한 유무형적 의미, 인식의 총체를 측정할 수 있는 정책브랜드 자산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정책 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쌓여 가는 지에 대한 과정을 이해해야 한다. 정책브랜드 자산의 구성 요소와 그 형성 과정을 이해한다면 각 정책의 진단과 개선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의 필요를 충족해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정책 브랜드는 정치적 변화에 의해 단발성으로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고 국민들의 외면을 받는 정책 브랜드는

그 이유가 무엇인지를 진단하고 올바른 방향성을 탐색해야 한다. 정책을 이해하는 데 좁은 의미에서 정책 엘리트만이 참여하여 분석하는 방법은 다양한 관점에서의 정책 성찰을 방해하며, 결국 본질적인 민주주의 실현으로서의 정책 관리에 걸림돌로 작용한다. 즉, 정책을 이해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책 수용자 행태와 인식 평가가 무엇보다도 총체적인 맥락을 통해 해석되고 분석되어야 한다. 이에 정책 소비자인 국민의 입장에서 진단이 가능한 정책브랜드 자산 구성요소를 밝혀내고 그 형성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민주주의 정책의 결과와 함의를 풍요롭게 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대부분의 국민이 해당 정책을 잘 알고 있으면서 강력한 이미지와 신뢰, 애착감을 갖는 브랜드를 개발한다면 강력한 정책 브랜드를

구축할 수 있다. 하지만 이미 정책 개발 단계에서 국민의 의견 수용이 결여된 채로 집행되고 있는 정책이나 새롭게 개발되는 과정에 있지만 심각한 여론의 반대를 겪고 있는 정책의 경우 강력한 브랜드로 나아가기 어려울 것이다. 정책은 단순히 구매를 할 수 있는 상업적 제품이나 서비스가 아니며 공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므로 브랜드 구축에 있어 여러 장애를 극복하기 불가능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위상을 갖고 있는 기업 브랜드의 경우에도 처음부터 소비자로 하여금 강력한 자산을 확보하지는 못했다. 나이키는 1964년 블루리본 스포츠로 시작하여 1971년에 브랜드 명을 변경했으며 아주 작은 회사에 불과했다. 단기간 내에 국민들로 하여금 사랑받는 브랜드가 되고자 하는 목표를 접어 둔다면 정책브랜드를 구축하기 쉬워질 것이다. 기업브랜드 관리와 정책브랜

드 관리의 차이는 있겠지만 기본 원리는 상당히 비슷하다. 국민에게 정책브랜드를 알리고, 호의적인 이미지를 구축하고 국민과 정책브랜드의 장기적 관계를 잘 구축해 나가는 목표를 가진다는 공통점이 있다.

기업 브랜드 관리를 정책에 적용함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특성은 브랜드 관리의 ‘고객지향성’과 ‘장기적 관점’이다. ‘고객지향성’은 기업의 입장이 아니라 고객의 입장에서 고객이 알고 있고 이해하는 브랜드가 기업 성과의 척도가 된다. 정책을 브랜드화 한다는 것은 결국 정책의 소비자이자 수용자인 국민의 입장에서 브랜드가 인식되고 있는가를 정책의 성과 척도로 삼는 것이다. ‘장기적 관점’은 브랜드 관리가 매출이나 시장 점유율과 같은 단기적 지표 뿐 아니라

브랜드 인지도, 이미지, 애호도 등을 성과지표로 포함하여 장기적 관점의 목표를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책 역시 단기적인 행정성과에 비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기업 브랜드 자산 구축은 기본적으로 사람의 커뮤니케이션 효과가 계층적으로 나타나는 데 근거하고 있다. 따라서 정책에 대한 국민의 인식 역시 계층적인 성격이 있다. 일순간의 노력으로 향상되기 보다는 시간에 따라서 서서히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2) 국내 정책브랜딩 개선 방안

정책은 계획 초기부터 설계, 집행 등 모든 과정을 국민들과 함께 해야 한다는 것이 민주주의 사회 공통의 논리다. 우리나라도 국민들

의 요구를 수용하여 반영하는 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환류 (feedback) 에 있다. 정부에 의견을 제출하는 개인이나 집단은 전체 국민들 규모로 볼때 극소수에 해당된다. 그들이 제출하고 요구하는 것이 아무리 지대한 공공성을 가지고 있더라도 그것이 수용되어 계획이 마련되고 집행된다면 처음부터 내용을 모르고 있는 국민들은 소외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이러한 부분까지 국가 최고통치자가 모두 관리할 수는 없다. 이 부분은 정책관계자의 체계적 계획과 전략방안을 통해 관리되어야 하는 것이다.

문제는 정책과정을 주도하는 정책관계자가 단계별로 인지도의 확산을 통해 공유점을 찾고 호의적 태도를 형성시켜 동의를 구하는

정책브랜딩의 필요성을 알고 실천할 수 있는가에 대한 부분이다. 정책과정의 중간단계에서 정책홍보 체계에 대한 전문성이 발휘되지 않는다면 디지털 커뮤니티 사회에서 외면당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 다른 문제는 매체의 활용에 있다. 국민들이 널리 이용하는 매체에 정책홍보에 필요한 광고가 집행되고 있는지 다시 생각해야 한다. 지금까지 국정감사 등을 통해 공개된 자료를 보면 독자나 이용자 수가 거의 없는 매체에 상당한 비용의 광고비가 집행되고 있다. 여기에는 매우 복잡한 문제가 얽혀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궁극적으로는 국민의 세금이 낭비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세상 어느 기업이나 단체, 국가를 통틀어 광고주로 일컬어지는 입장에서 노출빈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매체에 광고를 집행하는 경우는 없다. 우리나라 정책홍보가 유일무이한 상황이다. 그래도 중앙정부에서 집행하는

정책홍보용 광고는 매체효율성 원리로 설명이 되지만 지방자치단체의 상황은 전혀 다르다. 물론 나름대로 지역사회의 언론과 문화 창달을 위한다고 하지만 이것은 엄연한 궤변이다. 국민의 세금으로 국민이 모르는 매체에 광고를 집행하는 것이 어떻게 공익을 위한다는 것인가를 생각해야 한다.

아무리 우수한 전략이 입안되고 시행된다 하더라도 매체가 국민들과 접촉점을 형성하지 못하면 무용지물이다. 따라서 매체 활용의 문제는 국가적 차원에서 점검하고 대폭 수정 보완할 필요가 있다.

정책 브랜딩 관점에서 보면 궁극적인 아이덴티티가 부재하다는 것도 내용상의 문제로 지적할 수 있다. 가시적인 성과나 실적 달성을 위해서 행하는 일련의 활동은 단기적인 효과로 보일지 모르지만

국민들과의 장기적인 관계구축에 피해를 줄 수 있다. 통합적인 프로그램이나 체계가 부재한 상황이다 보니 산발적 광고나 이벤트를 시행하게 되고 그 행사에 참여한 국민들조차 무엇 때문에 개최한 행사인지 모르는 경우가 발생한다.

정책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확고하다면 그것에 기반을 둔 구체적인 전략을 세우기 쉽고 단계적으로 강력한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이렇게 구축된 관계는 추후 다른 정책을 시행하는데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정책과 국민들의 관계를 거대한 유기체로 보고 세심하게 접근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3. 해외 정책브랜딩 성공 사례

본 장에서는 해외의 정책 브랜딩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국내 정책브랜딩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오늘날 한국에서 저출산 문제가 중요한 사회문제로 논의되고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제시되는 남성의 적극적인 양육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미국과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미국 NRFC의 Fatherhood.gov

2018년에 발표된 일·생활 균형을 위한 부부의 시간 배분과 정책 과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맞벌이 부부의 경우 여성들이 남성에 비해 가사에 7.4배의 더 많은 시간을 쓰고, 육아 시간도 3.5배 정도 더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성호·김지민, 2018). 해당 연구에서 인용한 2014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남성의 경우 일평균 14.9분 정도를 육아에 사용하는 반면, 여성의 경우 52.2분으로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그런데 남성들이 여성에 비해 자녀와 시간을 보내는데 어려움을 갖는 것은 단지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어린 자녀를 둔 부부를 대상으로 호주에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아빠들은 엄마들에 비해 육아에 더 적은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Baxter & Smart, 2011). 마찬가지로 미국의 여론 조사 기관 퓨리서치센터 (Pew Research Center, 2015) 에 따르면, 미국의 직장생활을 하는 엄마들의 26%가 자녀와 시간을 너무 적게 보내고 있다고 답변한 반면, 일하는 아빠들 2명 중 1명 (48%) 은 자녀와 시간을 너무 적게 보내고 있다고 답변했다. 1

문제는 아빠들이 아이들의 인지 발달 및 정서 발달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여러 연구에서 아빠와 친밀감을 느끼는 아이들이 자기 통제력 (self-control), 자존감 (self-esteem), 공감(empathy) 등을 포함하여 더 높은 인지 및 사회적, 정서적 기능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axter & Smart, 2011). 또한 자녀와 시간을 많이 보내는 아빠일수록 직업 만족도가 높고, 이직을 고려할 확률이 낮다고 한다 (Ladge et al., 2015).

이에 미국의 책임 있는 아버지 정보 센터 (National Responsible Father-hood Clearinghouse, NRFC) 는 다양한 미디어 캠페인, 연구 활동, 훈련 프로그램, 상담 콜센터 등을 통해 아빠의 자녀 양육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공식 웹사이트인 fatherhood.gov을 포함하여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를 적극 활용한 캠페인을 통해 아빠들이 자녀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공중들에게 커뮤니케이션하고 있다.

한 예로 NRFC가 미국공익광고협의회 (AD Council) 와 미국 보건복지부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HHS) 와 함께 진행한 #Dance-

1 https://www.pewresearch.org/fact-tank/2015/04/01/working-mom-guilt-many-dads-feel-it-too/ft_15-04-01_workingdadsconflicted/

LikeaDad 캠페인은 아빠들이 자녀와 공유하는 짧은 순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 아동가족국 (Administration for Children and Families) 에서는 아빠들이 아이들과 시간을 더 보내기 위해서 엄청난 것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그저 일상에서 함께 춤을 추거나 우스꽝스러운 몸짓만으로도 얼마든지 자녀들과 양질의 시간을 쉽고 재미있게 보낼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고자 했다.

#DanceLikeaDad의 공익광고 Dance:60 영상 2 에 등장하는 아빠는 퇴근해서 아직 양복도 갈아입지 않은 채 딸과 무아지경에 빠져 춤을 추고 있다. 너무나 몰입해 딸은 잊고 오직 음악에 몸을 맡기고 흔들어대는 아빠의 모습이 우스꽝스럽게 표현된다. Kitchen:30의 영상 3 에서는 가운을 입고 나타난 아빠가 흥얼거리며 브레이크댄스를 추며 아들에게 아침식사인 시리얼을 주고 화면에서 멋지게 사

라진다. 자녀와 시간을 보낸다는 것은 자녀가 깜짝 놀랄만한 엄청난 곳에 데려간다거나 대단한 이벤트를 하는 거창한 것이 아니라 그저 일상에서도 얼마든지 짧은 순간을 함께 즐길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고자 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Dadication이라는 해쉬태그를 사용하여 아빠 (dad) 라는 단어와 헌신 (dedication) 이라는 단어를 합성, 육아가 쉽진 않지만 아주 짧은 순간이라도 자녀에게는 큰 변화를 줄 수 있다는 메시지를 통해 아빠들의 헌신을 강조하고 있다. 아기를 업고 요리하는 아빠, 일과 양육 사이의 균형을 맞추기위해 고군분투하는 아빠, 마약 중독

2 https://www.fatherhood.gov/research-and-resources/dance-dad-dance-60

3 https://www.fatherhood.gov/research-and-resources/dance-dad-kitchen-30

<그림 3> #DanceLikeaDad 포스터

출처 : PR Newswire 4

과 같이 개인적인 어려움을 극복한 아빠, 이민자나 미국 내 소수 인종으로서 문화적 어려움을 이겨내며 자녀를 키우는 아빠, 입양한 아이를 돌보는 아빠 등 다양한 아빠들의 모습이 광고로 표현된다.

4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dancelikeadad-encourages-dads-to-dance-their-way-into-the-hearts-of-their-most-important-audience--their-kids-300864667.html

<그림 4> #Dadication 포스터

출처 : fatherhood.gov5 5

이 뿐만이 아니라 각종 웨비나 (webinar) 를 통해 아빠들이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방법, 아빠들이 공동육아에 성공하기 위한 조언, 아이들의 롤모델 (role model) 로서 아빠의 역할, 건강한 부부생활을 위한 조언 등 구체적이고 다양한 주제를 중심으로 행복한 가정 유지 및 육아 참여를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자녀들의 나이대별로 유익한 활동 및 가이드는 물론, 자녀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여러 행사에 관한 내용도 제공된다. 이 외에도 자녀들의 숙제 및 공부를 도

5 https://www.fatherhood.gov/research-and-resources/dadication-social-graphics

와주는 방법, 책을 읽어주는 방법, 아이들과 놀아주는 방법, 심지어 아이들을 웃길 수 있는 농담 (joke) 까지도 제공하고 있다.

또한 NRFC는 정책을 알리는데 지역사회와 긴밀하게 협력해 오고 있다. 예를 들어 각 지역사회 이발소가 남성 타깃 공중에게 접근하기에 효과적인 장소라는 사실에 기반하여 이발소와 연계하여 지역사회 이벤트를 기획하여 양육 참여 이슈에 대한 입소문 (buzz) 을 형성하였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지역사회 영향력자 및 의사결정자들을 정책 브랜딩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있으며, 공중들이 자신들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 맵을 제공하고 있다.

미국공익광고협의회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 아빠들의 68%가 이러한 공익 광고 중 하나 이상을 듣거나 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또

한 이러한 캠페인에 대해 알고 있는 아빠들일수록 그렇지 않은 아빠들에 비해 자녀들의 숙제를 돕고, 자녀에 더 책을 읽어주는 등 자녀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Kostic, 2019). 또한 2013년부터 진행되어 온 fatherhood.gov 캠페인은 2억 6,900만 이상의 미디어 가치 (media value) 와 전국적으로 242억 명 이상의 언론 노출 효과 (media impressions) 를 확보했다고 한다 (Fisher & Dort, 2021).

2) 영국 아버지 연구소 (Fatherhood Institute)

미국에 Fatherhood.gov 사이트가 있다면 영국에는 아버지 연구소 (Fatherhood Institute) 가 아빠들의 자녀 양육 참여를 돕고 있다. 아

버지 연구소는 정책과 연구는 물론 여러 실행프로그램을 통해 아이들이 아빠와 긍정적이고 강한 유대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아이들이 미래의 아이들의 부모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전 세계가 성평등을 위해 수십 년간 노력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문화 프로그램이 육아 및 교육에 여성들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으며, 자녀 양육과 관련된 많은 캠페인에 아버지들의 참여를 촉구하는 내용이 많지 않다는 것을 지적한다.

<그림 5> 영국아버지 연구소 가이드 영상

출처: fatherhoodinstitute.org

영국의 아버지 연구소는 20년 이상의 교육 및 컨설팅 경험을 토대로 영국 내 의료 기관, 사회 복지, 교육 분야에 이르기까지 남성의 육아 휴직 및 양육 참여와 관련한 여러 정책에 대해서 알리고,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남성들의 적극적인 양육을 지원하

는 사회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1년에 새로 시작된 #Time with Dad 캠페인의 경우 COVID-19 락다운 상황에서 아빠들이 자녀들과 더 시간을 보낼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 공동 육아를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부터 아내의 출산, 산후우울증 및 모유 수유와 관련한 아빠의 역할, 자녀의 비만, 아빠의 양육 스타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자녀 학습, 아빠의 산후 우울증, 자녀 학습 및 성취, 자신감에 미치는 아빠의 영향 등 다양한 주제를 중심으로 가이드를 제공하여 아빠들이 양육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녀들을 돌볼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림 6> Time with Dad 소개

출처 : fatherhoodinstitute.org 6

이 외에도 어린 자녀들을 위해 같이 책을 읽어주는 “매일 책 읽는 아빠 (Fathers Reading Every Day, FRED) ” 프로그램은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4주간 진행되는 FRED에 참여하는 아빠들은 아버지 연구소에

6 http://www.fatherhoodinstitute.org/2021/fathers-after-lockdown-sign-up-to-our-time-with-dad-project/

서 제공하는 트레이닝을 받은 후 2주간 매일 15분을, 나머지 2주간 30분을 자녀에게 책을 읽어준다. 실제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영국의 초등학생들은 어휘, 읽기 및 쓰기 능력은 물론 수리 능력, 학교생활 등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결과가 나타났다 (Fatherhood Institute, 2021). FRED 프로그램은 단지 아빠들만을 위한 트레이닝을 제공하지 않고, 더 나아가 학교, 교육자, 가정 상담사, 어린이 센터, 지역사회 등 필요로 하는 곳들에 방문하여 해당 프로그램 및 관련 트레이닝을 제공하고 있다.

<그림 7> FRED 프로그램

출처 : fatherhoodinstitute.org 7

또한 아버지 연구소에서 운영하는 MITEY (Men In The Early Years) 캠페인은 더 나아가 아이들을 교육하고 돌보는 일이 여성의 일이 아닌 모든 사람의 일이라고 주장한다 (“Looking after and educating young children should be everyone’s job - not just women’s.”). 더 많은 남성들이 평등한 주체로서 적극적으로 육아 및 자녀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인

7 http://www.fatherhoodinstitute.org/2014/evaluation-finds-that-fathers-reading-every-day-children-do-better/

식 개선 캠페인이다. 또한 가정에서뿐만이 아니라 영국 노동 시장에서의 남성 유아 교육자의 비율이 매우 낮은 것을 지적하며, 더 많은 남성들이 유아기 돌봄 인력 및 초등학교 교사 등 노동 현장에서의 남녀 균형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성별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 직업에 있어서도 진정한 성 균형을 이루기 위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3) 해외 사례의 정책 브랜딩 시사점

(1) 한국의 저출산 이슈에 적용 가능성

지난 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사상 최저 수준인 0.84로 7년째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이며, 합계출산율이 1.0명에 미치지 못

하는 유일한 국가이다 (박세인, 2021). 한국에서 저출산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는 가운데, 정부는 2006년부터 2020년에 이르기까지 380.2조 원의 예산을 투입해왔다 (감사원, 2021).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출산율은 점차 낮아지고 있으며, 감사원의 저출산 고령화 대책 성과 분석 (2021) 에 따르면, 만혼 및 고령 출산이 출산률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다. 또한 결혼관 및 자녀관의 약화, 성분업적 역할관도 결혼 및 출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에 따르면, 15~49세의 기혼 여성의 평균 출생아 수는 1.75로, 53.3% 이상의 기혼 여성이 2명의 자녀를, 26.4%가 1명의 자녀를 출산하는 것으로 나타나 반 이상의 기혼여성이 2명의 자녀를 출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흥미로운 것은 2006년부터 2018년에 이르기까지 기혼 여성의 이상 자녀수는 2명이 넘고, 실제 출생아 수는 1.7명 전후로 사실상 기혼 여성들의 출생아 수의 차이는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감사원은 이에 따라 미혼 남녀의 비혼화와 만혼화가 심화되는 것이 저출산 문제의 주요 원인으로 파악하고 있다.

시대별로 결혼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줄어들고 있는데, 더 주목할 것은 남성과 여성 사이에 결혼의 필요성에 대한 태도에 큰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2018년 미혼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보면,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는 미혼 남성은 14.1%로 같은 응답을 한 6.0%의 여성의 2배가 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는 편이 좋다는 입장도 미혼 남성의 경우 36.4%인 반면, 미혼 여성의 경우 22.8%로 훨씬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결혼을 하지 않는

게 낫다는 입장은 미혼 남성의 경우 6.6%에 불과했지만, 여성의 경우 14.3%로 같은 응답을 한 남성의 2배 이상이며,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는 응답을 한 미혼 여성의 수와 비교해도 2배가 넘었다.

왜 결혼의 필요성에 대한 남녀의 태도에 차이가 있는 것인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2005년에 발표한 “저출산 원인 및 종합대책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가부장적 사회구조에서 비롯된 남녀 간 성역할관 격차는 결혼, 출산, 자녀양육의 전 과정에서 갈등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은 여성의 취업 활동의 지장을 초래하고, 자녀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맞벌이 부부의 가사 분담의 공평성이 감소함으로써 일·가정 양립이 어려워지며, 이는 출산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물론 이 외에도 자녀양육교육비용 및 주거

문제 등도 출산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그동안 많은 남성 육아지원 정책을 펼쳐 왔다. 2011년에 출범한 100인의 아빠단의 경우 온라인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하여 아빠들이 육아노하우를 공유함으로써 육아 참여를 활성화하고자 하였으며, 2015년 기준 750여명의 아빠들이 참여했다. 여성가족부에서도 워킹대디 사업을 통해 아버지 교육 온라인 콘텐츠를 제공하고 아버지 모임 지원이나 자녀와의 교감할 수 있는 교육 등을 제공했다. 양성평등 관점에서 남성의 육아 참여를 돕고자 아빠 육아휴직보너스제와 같은 정책을 통해 남성 육아 휴직자 비중을 높이기 위한 정책도 내놓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아빠들은 평균적으로 하루에 고작 6분을 자녀와 함께 보내며, 이는 OECD 회원국 중 최하위이다 (최윤정, 2015).

미국과 영국의 사례에서 주목할 사실 중 하나는 모두 행복한 가정을 위해 남성의 적극적인 육아 참여를 이야기함과 동시에 부부간의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을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육아기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자녀를 부부가 같이 양육하는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긍정적이고 평등한 부부 관계를 기반으로 가정이 화목하게 유지될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노력을 시도한다. 평등한 가사 분담은 물론 가정을 돌보는 것은 여성의 역할이라는 성역할에 지속적으로 이의를 제기한다. 성공적인 정책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 커뮤니티 파트너십을 통해 다양한 지역사회와 연대(coalition) 를 맺고 해당 정책의 중요성에 대해 자발적으로 논의한다.

국내 남성 육아 휴직자 비율은 2015년 5.6%에 불과했지만,

2020년 24.5%까지 증가했다 (고용노동부, 2021). 또한 2019년 고용노동부의 육아 휴직자 경험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 95%의 응답자가 육아 휴직 후 가족 관계도 전반적으로 좋아졌다고 응답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사회적으로 육아 휴직을 바라보는 부정적인 시각이 존재하며, 세계경제포럼 (2021) 이 발표한 지수에 따르면 한국의 성평등 수준은 156개국 중 102에 머무는 등 아직 양성 평등 사회로 나아가기엔 갈 길이 멀다 (김소연, 2021). 정책의 수립과 집행도 중요하지만, 좀 더 거시적인 관점에서 정책에 대한 공중들의 신뢰 확보 및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논의가 정부, 지자체, 기업 및 비영리 조직, 교육 기관, 미디어 등 통합적이고 긴밀하게, 무엇보다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 다양한 미디어 활용 전략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정책을 수립하고 결정, 추진하는 과정에서 국민의 공감을 얻지 못하면, 성공하기 어렵다 (최일도·이재호, 2014).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통해 국민들의 이해와 정서적 동의가 형성되었을 때 국민들의 정책지지 및 적극적 참여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모든 공중들이 같은 커뮤니케이션 채널에 노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따라서 많은 공중들에게 넓게 도달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미디어를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온드 (owned media)

미국와 영국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온드 미디어는 기본적으로 정책의 주요 내용을 전하고 공중들의 정책 이해도를 높이는데 효과적

<그림 8> 융합 미디어를 활용한 정책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출처 : https://www.i-scoop.eu 재구성

온드 미디어

(owned media)

융합 미디어

(converged media)

온드 미디어

(owned media)

온드 미디어

(owned media)

온드 미디어

(owned media)

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통제 (controlled) 매체라고 할 수 있다. 통제매체는 일반적으로 조직에서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예산을 할당해서 운영하기 때문에 콘텐츠나 메시지에 대한 통제권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웹사이트나 블로그가 대표적인 온드미디어로, 조직에서 통제권을 갖고 있기 때문에 페이지별로 정책과 관련한 내용을 효율적으로 구성, 전달할 수 있고, 시민들을 대상으로 제작된 여러 자료들을 업로드할 수 있다. 정책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 보고서, 통계자료, 보도자료, 팩트시트, 브로슈어 등을 아카이브 (archive) 형식으로 보관할 수 있어 일반 시민은 물론 연구자, 언론 등이 관련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언드 (earned media)

최일도·이재호 (2014) 의 연구에 따르면 정책홍보 관련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의 92.81%가 TV를 통해 정책 관련 정보를 습득한다고

답변했고, 인터넷이 87.91%로 그 뒤를 이었다. 모바일이 23.92%로 3위, 신문은 18.24%로 4위, 라디오는 14.01%로 5위에 올랐다. 즉, TV, 신문, 라디오와 같은 대중매체는 여전히 공중들이 정책 관련 정보를 습득하는 주요 매체임을 알 수 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2019년 실시한 언론 수용자 조사 결과 텔레비전이 91.6%로 가장 매체 이용률이 높았고, 라디오는 17.2%, 종이신문은 12.3% 수준을 보이고 있다.

언드 미디어란 일반적으로 매체비를 지불하지 않고, 언론 노출을 얻게 되는 것으로 대표적인 비통제 (uncontrolled) 매체라고 할 수 있다. 언드미디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해당 정책 이슈에 대해 의제를 설정하고, 공중들이 주목하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자간담회, 기자회견, 기자설명회 등을 통해 언론과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은 물론 보도자료와 팩트시트, 인포그래픽 등을 통해 공중들에게 필요한 정책 관련 내용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언론매체의 모니터링을 통해 기사의 논조나 댓글 분석을 통해 공중들의 반응을 살피는 것 또한 중요하다.

페이드 (paid media)

페이드 미디어는 광고처럼 매체비를 지불하고 사용하는 매체를 의미한다. 언드미디어와 마찬가지로 짧은 기간 동안 넓은 타깃에 전달될 수 있고, 청각과 시각 측면을 모두 자극하기 때문에 정책과 관련하여 공중들의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데 적합하다. 특히 새로운 정책의 경우 높은 빈도의 노출을 가능하게 하는 TV광고가 효

과적이나, 광고비가 상당히 많이 들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전통적인 대중매체를 활용한 광고 외에도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광고나 옥외광고도 정책을 알리는 커뮤니케이션으로 활용될 수 있다.

쉐어드 (shared media)

인터넷의 상호작용적인 특성은 정부와 공중 간의 쌍방향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정책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매체이다. 특히 공유에 초점을 맞춘 SNS는 공중들의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 공유와 참여가 가능하므로 반드시 활용하는 것이 좋다. Dance Like a Dad 캠페인의 경우 아빠들이 자녀와 함께 춤을 추며 시간을 보내는 영상을 올릴 수 있게 하였고, 영국의 아버지 연구소의 경우 아빠들이 자녀들에게 책을 읽어주는 영상은 물론 남성들의 유아 교육자 관

련 워크샵이나 세미나를 SNS를 통해 공유하고 있다. 더 나아가 정책 커뮤니케이션에 SNS를 잇는 차세대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 (metaverse) 를 활용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쉐어드 미디어가 가진 공유와 참여의 특성을 적극 활용하여 정책 커뮤니케이션이 정부의 일방향적 노력이 아닌 사회적 아젠다로 공중들이 자발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4 결론 및 함의

1) 정책 브랜딩의 활용

지금까지 정책은 정부가 주도하여 시행하는 법적 행정으로 간주되어 왔다. 시행자가 정부이고 정책의제설정부터 평가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사실상 정부가 주도해 왔기 때문이다.

문제는 현재 한국사회는 ‘소통의 혼돈’을 겪고 있다는 점이다. 국민은 인터넷과 스마트폰, 노트북, MP3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여 쌍방향적, 다중적으로 소통하면서 국가주도의 중앙집권적, 집중적, 수직적, 독점적 통치를 분권적, 자율적, 수평적, 네트워크적

인 협치 거버넌스로 바꾸어 놓고 있다.

정책결정과 집행 그리고 평가가 소수에 집중되는 패러다임에서 다수가 정책결정에 참여하고 집행과정부터 평가에 이르기까지 다수가 개입하는 패러다임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매체와 커뮤니케이션 기술 발달이 가져온 영향에 의해 변화된 정치환경은 새로운 대국민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과거의 중앙집권 구조의 획일적이며 순응을 요구하는 일원주의가 지배하던 한국정치에 국민의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다원주의의 물결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변동에는 IT 기술이 가장 큰 역할을 했다. IT 기술의 발달은 계층 간, 구성원 간의 새로운 커뮤니티를 형성하도록 했고 공

론의 장을 만들어냈다. 공동체주의 문화가 개인주의 문화로 변화되면서 점차 디지털 기반의 개인주의 형태인 신유목사회 (neo-nomatic society) 로까지 진입한것도 IT 기술의 소산이다.

이 같은 정책수행 과정의 패러다임 변화는 전통적인 PR이론이나 정치설득 이론으로 정책홍보 전반을 설명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 정확하게 표현한다면, 전통적인 설득이론으로 더 이상 정책을 홍보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민이 정책에 대한 선호 여부와 관계없이 정책결정과 집행 그리고 평가 등 모든 단계에 참여자이자 감시자로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설득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상황에 도달한 것이다.

이 같은 변화는 21세기 참여와 공존의 사회패러다임 시대에 설득/계몽의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이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

는 것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공급자 중심의 정치를 수요자 중심의 정치로 전환시켜 공중의 의견과 요구가 반영되기를 희망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책은 의제설정과 결정, 집행, 평가의 단계마다 각 단계별로 여론 수렴의 기회나 절차가 얼마나 제공되는지도 따져 봐야 한다. 문제는 우리 사회가 요구하고 있는 변화의 시류에 정책홍보와 같은 소통방안이 얼마만큼 부합되고 있는가에 대한 부분이다.

근래 정부에서 추진한 정책의 집행 과정을 보면 이슈의 유형을 떠나 이해관계에 따라 찬반양론이 극심하게 대립하는 구조를 볼 수 있다. 각 계파 또는 이해집단의 성향, 개인의 득실이 커뮤니티 공동체를 구성하고 개인에서 집단으로의 행동을 통해 의견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호 대립적인 의견을 보이며 표면적으로 적극적인 국민의 태도가 실제 정책 참여로는 연계되지 않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즉, 정책홍보는 정책을 수렴하고 결정하는 과정에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고 정책이 제기되고 결정, 집행 그리고 평가되는 단계 모두에서 항상 병행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더불어 적극적인 홍보를 한다고 해도 인터넷 기반의 커뮤니티를 통해서 의사를 표출하기는 하지만 실질적 참여 의지는 저조하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국가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중요하고, 필요한 정책이라 하더라도 국민 개개인들이 정책에 대한 정서적 동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그 정책은 결코 성공할 수 없다는 문제도 존재한다. 이에 정부가 정책을 홍보하는 과정에 참여와 공존이라는 정부의 새로운 역할 그리고 패러다임을 인식할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과거와 같이 정부 핵심에서 주요 정책의제들이 발의되고 결정된 후 국민들에게 설득을 통해 동의를 구하고 정책을 추진하는 수직적 정책수행방식으로는 더 이상 정책추진 동력이 나올 수 없다. 이 같은 정책수행 패러다임의 문제점은 결국 새로운 형태의 정책홍보 패러다임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미국, 캐나다, 영국 등을 중심으로 하는 선진국 그룹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영역의 소비자 관련 이론을 응용한 브랜딩 기법을 정책과정에 도입하고 있는 것이다.

정책과정에 브랜딩 이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정책의 중심이 정부에서 국민으로 옮겨짐을 의미한다. 마케팅 영역에서 브랜드 자산을 구축하기 위한 핵심을 소비자에 두고 있는 것과 같은 이치인 것

이다. 이것은 공식적, 관념적 차원을 넘어서서 특정 정책에 대해 한 사회가 공유하고 있는 의미, 동질성, 실천적 행위와 같은 실질적 의미도출을 통해 설명하는 것이다. 특정 정책의 정당성은 논리적 합리성이 아니라 한 시대를 구성하고 있는 국민들의 공통된 생각을 통해 평가된다는 의미다.

이 같은 맥락에서 볼 때, 현대사회의 정책과정은 정형화된 제도적 장치나 공적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아닌 정책합리성과 더불어 시민들의 정서적 동의를 수반해 나가는 형태로 변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여기에 필요한 방법이 바로 마케팅 영역에서의 소비자 즉, 국민의 정서와 이미지, 국민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정책 브랜딩인 것이다. 결국 정책 브랜딩은 이른바 국민의 이해와 요구를 개념화

하는 것이다. 즉, 특정 상황에서 특정의 정책이나 정치 커뮤니케이션 현상이 가지고 있는 구체적인 의미에 대해 국민에게 설명하고 이해와 동의를 구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브랜드 이론에서 설명하는 브랜드 인지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민에게 공개되어 널리 알려진 정책의 방향은 선험적 만족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우호적인 태도를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정 정책의 정당성은 논리적 합리성이 아니라 한 시대를 구성하고 있는 국민들의 공통된 생각을 통해 평가된다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

이 같은 체계는 정책과정의 중심을 국민에게 두고 국민을 통한 합리적 방안을 모색해야 함을 의미한다. 바로 국민 중심의 정책합리성을 찾아야 하는 것이다.

정책합리성은 전통적인 정치 커뮤니케이션이나 정책홍보에서와 같이 내용적 합리성뿐만 아니라 정책이 특정 시점과 공간에서 담고 있는 감성적 의미들과 복합되면서 발생한다.

이 같은 맥락에서 볼 때, 정책과정은 정형화된 제도적 장치나 공적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탈피하여 정책합리성을 바탕으로 국민들의 정서적 동의를 수반해 나가는 형태로 변화되어야 한다. 결국 정책을 수립하고 결정 추진하는 과정에서 국민 개개인이 참여하고 정책을 공유하고 있다는 정서적 동질감이 깔려 있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 하더라도 성공할 수 없다.

정책과정에 브랜딩 기법을 도입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다중적 커뮤니케이션을 지향하는 미디어 3.0 혹은 웹 3.0 시대의 정책홍보가 지향하는 방식이 될 수도 있다. 정책홍보 조직도 이에 적합한 구조

로 변화하여야 한다. 정책과정 패러다임의 지향점이 변화한다는 것은 정책홍보 담당 조직도 변화하여야 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즉, 정책 브랜딩 과정과 집행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책 브랜딩 관리체계로 전환되어야 하는 것이다.

2) 정책 브랜딩의 체크리스트

정책 브랜딩의 과정에서 가장 우선되어야 하는 부분은 정책 브랜드 아이덴티티 즉, 정책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것이다.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마케팅 영역에서 제품이나 서비스, 기업의 브랜드 자산을 구축하는 전략과정과 동일한 맥을 지닌다. 정책의 본질이 무엇이고

추구하는 바가 무엇이며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를 명확히 해야 하는 것이다.

아이덴티티 정립 과정에서 주의할 부분은 자칫 정책집행 결과가 가져올 수 있는 물질적 가치에 몰입될 수 있는 부분이다. 많은 학자들이 증명했듯이 아이덴티티는 지극히 정신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아이덴티티 체계에 물질적 가치가 반영되면 매출 중심의 경쟁구도에 집중하게 되며 소비자와의 관계구축이라는 브랜딩의 본질을 잃게 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정부가 시행하는 정책은 기본적으로 범국민적 공공성을 바탕에 두고 있으므로 물질적 가치를 이념화하지 않도록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러므로 만일 정책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물질적 가치가 투영될 경우 제품이나 서비스 브랜드보다 훨씬 심각한 대립과 분쟁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

다. 아무리 잘 만들어진 정책이라 하더라도 반대 의견을 지닌 집단이 존재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브랜드 비전과 목표도 중요하다. 신규 브랜드일 경우 환경분석에 의한 정보와 더불어 지향점이 뚜렷해야 하기 때문이다. 정책 브랜드도 같은 과정을 거친다. 정책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정립하기 위해서 도 정책과 관련된 사회연관성, 국민의 반응, 반대세력 등에 대한 정보와 자료를 세심하게 분석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마케팅 영역에서 적용하는 이론적 토대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정책브랜딩 과정에서 고려하고 확인할 필요가 있다.

① 정책범주 (category)

정책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요소 중 가장 먼저 생각할 수 있

는 것이 바로 정책범주에 대한 연상이다. 정부의 정책 브랜드가 국민이 요구하는 정책수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면, 이는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잘 만들어진 정책 브랜드 명칭은 곧 국민이 체험하거나 연상할 수 있는 혜택으로 연상되고 이것은 추후 강력한 정책 브랜드 자산 형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국민들이 어떤 정책 브랜드 명칭을 접할 때 행복, 편의, 혜택, 자긍심 등이 연상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케팅 영역에서 보면 시장지배력이 강한 브랜드들은 제품 범주와 브랜드 간의 연결고리가 견고하여 각각의 제품 범주에서 오로지 그 브랜드만이 회상된다. 정책 브랜드의 점주가 국민이 바라는 정책범주와 강하게 연결되면 반대 집단의 의견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으며 강력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어떤 정책이 국민이 생각하는 정책범주와 지나치게 강한 연상관계를 형성하면 추후 다른 범주의 정책을 구현하는 데 부담으로 작용할 수도있다. 인기 있고 성공적인 정책을 경험한 국민들의 기대심리가 커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정책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정책 브랜드 아이덴티티 정립 과정의 범주를 명확히 해야 한다. 국민의 호응을 바탕으로 성공한 정책은 그 사례를 이용하여 정책범주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브랜드 확장이라 정의한다.

브랜드 확장은 크게 제품확장, 라인확장으로 구분하며 이들은 각각 상향확장, 하향확장 등으로 분류한다. 제품확장은 동일한 기술수준에서 하나의 제품의 규격이나 부가가치를 세분화하는 전략이다.

라인확장은 유사한 기술수준에서 생산할 수 있는 제품의 범주를 넓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오렌지 주스를 생산하는 브랜드가 사과주스나 포도주스 제품까지 생산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향확장은 기술수준 및 부가가치를 업그레이드시켜 브랜드 영역을 넓히는 것이다. 컴퓨터 모니터를 생산하는 브랜드가 텔레비전으로 영역을 확장하는 것이 여기에 해당된다. 하향확장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기술을 활용해 부가가치가 낮은 제품까지 생산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동차 브랜드가 잔디깎기 (mower) 를 생산하여 확장하는 것이다. 이 논리를 정책 브랜딩에 적용하면 어떤 정책이 성공적으로 시행되었을 때 이를 기반으로 국가 운영의 토대 구축에 필요한 고도의 정책으로 접근하기 쉽고 그 보다 간단한 정책에 활용하기에 유리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커다란 영역에서 국민 복지 정책의 틀이 만들

어져 성공을 거두고 있다면 그에 부수적인 의료보험, 의약분업, 고용보험 등의 정책을 구현하기 쉬워진다는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중심이 되는 정책의 성공적 브랜딩이 선결되어야 하는 조건이 있다.

② 정책속성 (attribute)

이것은 브랜드를 중요한 제품속성이나 소비자 편익과 연계시키는 방법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통하여 강한 브랜드 연상을 만들 수 있다. 정책속성이란 정책이 국민에게 어떤 혜택을 줄 수 있는가를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복지정책은 종류에 따라 경제적 혜택도 줄 수 있고 궁극적으로 편안한 심리적 혜택을 줄 수도 있다. 문제는 정부가 표방하는 혜택과 국민이 생각하는 혜택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기에 정부는 특정 정책이 국민들에게 어

떠한 혜택으로 인지도가 있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만일 정부의 의도와 다른 속성으로 정책을 수용하고 있다면 정책홍보 등의 방법을 달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정책속성에 대한 연상을 토대로 한 포지셔닝 전략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중요한 속성이면서도 반대 세력에게 무시되었거나 소홀히 되었던 속성을 발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즉, 국민들이 무엇을 중요한 가치판단기준으로 삼고 있는가를 알아야 한다.

③ 정책품질 (quality)

정책의 품질이란 정책 자체가 지니는 대국민적, 사회적 가치와 수준, 실현되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혜택, 미래 사회에서의 역할 등을 의미하는 것이다. 물론 이를 위해 국민들이 부담해야 할 정신적, 경제적 부담과의 상관관계로 포함된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정책의

품질이란 국민들이 정책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전반적으로 지니고 있는 느낌과 생각이다. 이와 같은 특정 정책품질은 연관되는 다른 정책에 대한 태도와 기대심리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 이것은 직간접적 경험에서 비롯되는데 기존의 정책집행 결과와도 깊이 연계되어 있다. 정책품질에 대한 경험적 기억이나 평판 등이 관련 정책에 선입견을 투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정책품질은 정책 브랜드 충성도를 형성하거나 유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국민에게 고품질로 인식된 정책은 그 주기가 다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우호적인 태도를 갖게 할 수 있다.

제품 마케팅에서 품질대비 가격 요인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 처럼 정책대비 국민 부담도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된다. 정부에서 판

단할 때 국가에 필요한 정책이라 하더라도 국민이 느낄 때 가치효용성이 부족하다면

많은 반대에 부딪치는 원인이 된다. 국민들은 하나의 범주 내에서 자신들에게 실질적 혜택이 많고 효율성이 높은 정책을 당연히 선호하며, 반대집단의 저해가 있어도 그 정책을 찬성하게 된다. 다만 국민들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가치와 효용성을 공유하지 못한다면 역효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 그러기에 정책에 대한 올바른 정보의 전달이 중요하며 투명한 절차와 방법의 공개가 필요한 것이다. 국민들은 자신들이 모르게 계획되고 집행하는 정책에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④ 정책활용 (use)

정책은 새로운 제도를 만들어 내거나 기존 제도나 법의 영역을

확대시켜 연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도가 없이는 정책을 시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책은 제도나 법의 테두리 속에 존재하게 되는데, 국민이 이를 얼마나 인지하고 활용하여 실질적 혜택으로 받아들이는가를 고려해야한다. 즉, 사용상황은 정책의 필요성을 특정상황과 관련시켜 연상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을 설치, 운영한다는 홍보메시지를 접한 국민은 자신이나 가족이 병원을 이용할 때 편의를 볼 수 있을 것이라는 자연스런 연상을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만일 실제로 병원을 이용하고 혜택을 봤다면 더욱 강한 충성도로 연계된다.

⑤ 정책이용자 (user)

정책이용자는 정책의 수혜대상자 즉, 국민을 의미한다. 물론 당

연히 정책은 출발점이 국민을 대상으로 한다. 하지만 문제는 국민들 대부분이 정책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할 경우다. 그래서 정책홍보에 유명인이나 전문가 모델을 활용하기도 하지만 홍보만으로 국민의 동의를 구하기는 어렵다. 결국 정책은 국민 대다수가 찬성하고 희망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책관계자가 국민의 입장에서 필요로 하는 사항이 무엇인지를 면밀히 파악하여 정책집행에 반영해야 한다.

간혹 잘 만들어진 정책이라 하는 사업이 정작 국민들에게 외면을 받거나 집단적 반발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것은 정책의 집행방법이나 절차 등에 국민들이 소외되었거나 혜택이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을 경우다. 또한 특정 소수 계층에만 적용되는 정책일 경우도 국민들로부터 외면당하게 된다. 즉, 정책관계자는 마케

팅 원리처럼 대다수의 소비자입장에서 실제로 체험하고 느끼며 문제점을 파악하고 반영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⑥ 정책기원 (origin)

정책과정에서 당위성과 목표를 설명하다 보면 해외 주요국가의 사례를 제시하거나 역사적 배경을 이야기할 때가 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방법이나 절차가 달라질 수는 있지만 근본적인 정책목표는 유사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흔히 의회민주주의는 영국의 사례를 들고 복지정책의 모델로는 스웨덴을 제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정책의 정당성을 해외 주요국가의 기원에서 찾아 긍정적인 동의를 얻어내기 위한 것이다. 기원이 분명한 정책은 그 자체로 사회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쉽고 국민들에게 검증된 신뢰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문화와 브랜드 개성을 고려한 브랜딩

대부분의 기업들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할 때, 제품과 관련된 연상들을 토대에 두지만, 어떤 기업들은 기업문화, 기업구성원들의 특징, 최고경영자의 가치관 등 조직이나 조직 내의 문화와 관련된 연상을 기반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기도 한다. 브랜드가 하나의 문화의 상징코드로서의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것이다. 기업문화, 경영이념 등 기업과 관련된 브랜드 연상은 제품과 관련된 연상과 비교하여 무형적이며 보다 주관적인 특성을 가진다.

이 같은 특성을 정책의 영역에 적용하자면 정책 브랜드 연상은 정부에 대한 연상과 매우 깊은 연관이 있으며 정책결정권자의 가치

관, 정부의 문화 등과도 상관관계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정부의 국정운영 지침이나 지도자의 가치관까지 고려하여 정책과정을 설계하는 것이 쉽지는 않지만 특성에 맞춰 잘 짜인 정책은 여러 가지 장점도 지닌다.

정부 또는 지도자와 관련된 연상은 모든 정책범주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연상 활용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특정 정책과 관련된 연상은 주로 기능적 혜택과 연계되지만 정부와 관련된 연상은 상징적, 경험적 혜택을 부여하는 데 도움을 준다. 더불어 정부와 연계된 연상은 다양한 정책에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이밖에 국가, 정부 등과 연계된 연상은 정책과 결합하여 국민의 자긍심을 강화하고 정서적 안정을 제고할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

으로 국가브랜드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문화영역에서 논의하자면 정책 브랜드와 문화의 연계는 정책의 타당성을 강화시키는 데 일조하는 요인이 된다. 국민들이 정책 브랜드를 사회에 필요한 문화적 가치로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정책이 또 하나의 문화를 형성하는 계기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활용되는 문화적 가치는 전통적인 문화 중에 하나일 수도 있고 글로벌 환경에서 유입된 것일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국민들에게 친숙하고 개연성이 인정된 자연스러운 문화 요인을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브랜드들은 독특한 개성과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것으로 연상되기도 한다. 개인으로서의 브랜드라는 견해는 제품의 특성에 기초를 둔 것보다는 더 풍부하고 흥미로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제시한다.

브랜드의 속성을 인간적인 특성들로 표현하는 것을 말하며 이 견해에는 성별, 연령, 사회계층 및 개인의 성격 등 인간과 관련된 특성변수들이 모두 포함된다. 이것을 브랜드 개성이라 하는데 브랜드 개성은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서 더 강한브랜드를 만들 수 있다.

첫째, 사람의 개성이 사람 사이의 관계에 영향을 끼치듯이 브랜드의 개성이 소비자와 고객 사이의 관계에 기초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소비자가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브랜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논리를 정책 브랜딩에 적용하면 정책 자체가 충분한 개성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책이 개성을 지닌다는 것은 정책의 차별성이 강하다는 것이다. 국민들이 느끼기에 새롭고 차별화된 정책으로 설계되어야 호응과 만족도를 기대할

수 있다. 정책이 새롭기 위해서는 정책관계자가 국민들이 바라는 추상적인 요구를 구체화 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개성을 지닌 정책으로 인정될 수 있다.

개성을 지닌 정책은 각각의 분야에 중복되지 않음을 의미하기도한다. 국정을 수행하는 과정에 필요한 정책을 입안하다 보면 부처간의 소통 등의 문제로 중복되는 정책이 발표되기도 하는데 이럴 경우 국민은 뚜렷한 정책 브랜드로 인지하기 어렵다. 즉, 정책입안 과정에 각 부처 간의 긴밀한 소통과 조율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직적이고 통합적인 정책관리 체계도 함께 운영할 필요가 있다.

상징체계를 적절히 도입하여 활용하는 것도 필요하다. 강한 상징은 아이덴티티에 대한 결집력과 조화를 줄 수 있고 호감과 연상을 쉽게 불러올 수 있다. 어떤 브랜드를 대표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상징으

로 활용할 수 있지만 소비자가 대표적인 인지도와 회상력을 가지고 있어야만 비로소 상징으로 인정된다. 정책 브랜드도 마찬가지다. 미국의 해군에 ‘소수의 자랑스러운 해군’이라고 전해 내려오는 말은 지원자들이 타군보다 해군에 보다 좋은 이미지를 갖도록 도와준다.

일단 여러 형태의 감각적인 대상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수준으로 자리 잡게 되면 이는 그 브랜드의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자산으로 탈바꿈할 수 있다.

정책 브랜드에서 상징은 가시적이거나 공감각적일 수도 있지만 국민들의 기억과 마음속에 위치하는 심리적인 성격이 강하다. 상징성이 강한정책은 국민들에게 결속력을 제공할 수도 있고 참여에 공적인 가치를 부여할 수도 있다. 국내의 사례로 새마을 운동을 보면

잘 살아 보자라는 의지가 상징적으로 표출되고 있으며 국민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가치 기준으로도 작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당시의 국내 환경과 맞물려 국민의 요구를 바탕으로 지향점을 알려주는 지표가 되기도 했으므로 그 성공 요인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정책브랜딩 과정에 유사한 정책들을 하나로 응집시킬 수 있는 핵심아이덴티티를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핵심 아이덴티티란 브랜드의 기본정신이다. 그 브랜드가 가진 핵심적인 가치로 영원히 변하지 않는 특성을 지니며 모든 부가적인 요소들이 제거되고 난 후에도 최후까지 남는 브랜드의 특성을 바로 핵심 아이덴티티라고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요소 중 조직의 관점에서 본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핵심 아이덴티티와 관련이 깊다. 즉, 조직의 측면에서 확고한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형성된다면, 핵심 아이덴

티티도 굳건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확장된 아이덴티티란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본질을 형성하는 것은 아니지만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완성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보다 세부적이고 풍부한 아이덴티티가 형성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핵심 아이덴티티는 확고부동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수립에 도움을 주기는 하지만 동시에 지나치게 추상적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과의 연결고리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는 역할을 부여받은 것이 브랜드 아이덴티티라고 할 수 있다. 확고한 핵심 아이덴티티가 형성과 조화를 이루어 보다 풍부한 양의 긍정적인 확장 아이덴티티가 브랜드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면 그만큼 강력한 브랜드라고 말할 수 있다.

커다란 의미에서 보면 정책의 핵심 아이덴티티는 국정목표와 연계되며 확장된 아이덴티티는 국정목표를 당성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사업이다.

즉, 국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확장된 영역의 정책과 사업들이 유기적 관계를 가지고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세분화시키자면 각각 의 정책에도 핵심 아이덴티티가 있고 확장된 아이덴티티가 존재한다. 단일 정책 기준으로 보면 하나의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하부의 제도와 수행과정, 방법 등 확장된 아이덴티티 요소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물론 확장된 아이덴티티 요소들도 모두 핵심 아이덴티티와 강한 결속력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브랜드 개성이란 특정 브랜드와 관련된 독특한 인간적인 연상이라고 할수 있다. 브랜드 개성에는 특정 캐릭터, 상징, 옹호인, 라이

프스타일, 그리고 전형적인 사용자 연상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브랜드 개성은 소비자들이 다른 소비자들에 대해 갖고 있는 이미지와 유사하게 브랜드의 복합적인 이미지를 창출한다. 이러한 브랜드 개성은 인간의 개성뿐만 아니라 성별, 나이, 사회적 계층과 같은 특성도 포함한다.

브랜드 개성의 유형은 심리학자들과 마케터들이 사용하던 개성의 척도와 정성적인 조사를 거쳐 브랜드 개성척도 (Brand Personality Scales: BPS) 를 개발하면서 분류되었다. 이를 통해 나타난 5개의 개성 요소들은 성실 (sincerity), 열정 (excitement), 능력 (competence), 세련됨 (sophistication), 강인함 (ruggedness) 등이다.

정책 브랜드의 개성을 위의 논리에 따라 설명하자면 정책의 차별성, 국민들의 호응, 심리적 만족도 향상 등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정책 브랜드 개성은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느낌에서 비롯되며 여론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으므로 정책홍보 등의 과정에 어떤 개성을 연계할 수 있는지를 면밀히 분석, 적용해야 한다.

4) 국민에게 가치를 주는 브랜딩

브랜드는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다. 따라서 브랜드는 반드시 소비자에게 가치를 제안할 필요가 있다. 가치제안은 소비자에게 브랜드가 제공하는 기능적, 정서적, 자아 표현적 이익을 말한다. 따라서 브랜드 아이덴티티구성 요소들은 반드시 이러한 가치 제안을 할 수

있는 요소들로 이루어져야 하며, 아이덴티티 요소들을 설정할 때는 이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정책 브랜드도 마찬가지다. 정책 브랜드의 효율적인 가치제안은 정책과 국민 간의 관계를 만들고 호응과 협조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가치제안이 되기 위해서는 정책과정에 국민의 의견과 요구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를 고려해야 한다. 이 경우 정책은 국민에게 어떤 혜택을 줄 수 있는지를 표방해야 하고 혜택의 가치를 중심으로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정치적 말만으로 국민의 정책만족도 향상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직접적인 혜택이 아니더라도 정서적인 만족이라도 제고할 수 있는 정책브랜드를 만들어야 한다. 이에 정책브랜딩 과정에 다음과 같은 혜택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① 기능적 혜택

이것은 가치제안에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은 기능적인 이점이다. 이는 국민에게 기능적인 유용성을 주는 정책의 특성에 기반을 둔 이익이다. 특정 정책이 시행될 경우 국민들은 어떤 편의를 받을 수 있고 새로운 활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렇게 정책의 속성과 연결되어 국민들에게 제공되는 혜택은 정책의 사회적 기능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정책의 속성과 연결된 기능적 혜택을 제안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와 제도를 찾아내는 것이다. 문제는 기능적인 혜택제공에만 몰두할 경우 지나치게 사회적 편의에만 매달리게 됨으로써 다른 정책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계층과

연관성이 적은 계층 간의 갈등을 심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기능적 혜택을 강조하더라도 정서적, 심리적인 면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② 정서적/심리적 혜택

국민이 어떤 정책에 의한 제도를 활용할 경우 긍정적인 느낌을 받는다면 그 정책은 기능적 혜택과 정서적/심리적 혜택을 동시에 제공하게 된다. 정서적/심리적 혜택은 국민들이 직접 제도적 편의를 경험하지 않더라도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된다. 어떤 정책이 사회적 편의 확대나 공공의 이익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면 그 자체로 국민들의 호응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정책평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국민들이 바라는 정서적/심리적 요

구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③ 자아표현적 혜택

자아표현적 혜택을 주는 정책 브랜드는 국민들이 자신의 이미지를 타인에게 전달할 방법을 제공한다. 즉, 자아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국민들은 사회에서 다양한 역할을 가지고 있고, 각 역할마다 자아 개념을 가지고 있어 그것을 표현하고자 한다. 이것 역시 정서적/심리적 혜택과 연관이 있다. 정책 브랜드 영역에서 보면 국민들이 어떠한 제도나 서비스를 활용함으로써 자아만족이 향상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자정부 체계구축으로 인터넷으로 민원 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는 제도가 만들어졌을 때

이것을 활용함으로써 국민들 스스로 정보접근성을 확인하는 만족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경험을 통해 자아만족도가 향

상되었다고 느끼는 국민은 다른 민원 사항도 인터넷으로 처리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국민들은 또 다른 자아표현적 혜택을 경험하게 된다.

5) 국민과 정책브랜드 관계

정책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항상 국민의 정책활용 과정에만 작동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국민들이 어떤 정책에 의한 제도나 서비스를 항상 이용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떤 정책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으면 추후 활용할 수 있다는 신뢰가 형성된다. 즉, 정책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인지함으로써 정책은 물론 정부에

대한 신뢰까지 연계되는 것이다.

정책 브랜드와 국민들의 관계는 가치제안에 기반을 두고 있다. 관계는 특히 가치 제안이 아이덴티티로부터 효율적으로 도출될 때 긍정적인 영역에서 강력한 결속력을 지니게 된다. 정책 브랜드와 국민들 관계의 구조를 보면 정책 자체보다 정책시행자인 정부에 대한 이미지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관계를 어휘로 표현하자면 ‘존경심’, ‘친숙함’, ‘흥미로움’, ‘공동체 의식’ 등과 같은 감정이다.

마케팅 영역에서는 이 같은 구조에 대하여 블랙스톤 (M. Blackstone, 1993) 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소비자에 대한 브랜드, 또는 기업의 태도 간에 형성되는 상호작용”이라고 정의하였다.

푸니어 (S. Fournier, 1994) 는 브랜드 관계 연구를 통합적 차원에서 제시하여 이 분야의 실제적 연구가능성과 효용성에 대하 탐구를 촉진

시켰다. 그리고 심층면접 방법 등을 활용하여 112개의 브랜드 관계 묘사를 찾아내고 그것을 바탕으로 브랜드 관계유형을 도출하기 위한 7가지의 브랜드 차원을 밝혔다.

그는 상호대립적 의미를 지닌 차원을 명시했는데 자발적인 (voluntary) /강제적인 (imposed), 긍정적인 (positive) /부정적인 (negative), 열렬한 (intense) /피상적인 (superficial), 지속되는 (enduring) /단기적인 (short-term), 공적인 (public) /사적인 (private), 공식적인 (formal) /비공식적인 (informal), 균형적인 (symmetric) /불균형적인 (asymmetric) 차원이 그것이다. 이를 통해 푸니어는 의 차원을 알아냈고 이 결과를 통해 브랜드 관계를 가벼운 친구 (casual friends), 절친한 친구 (best friendships), 상황적 친구 (compartmentalized friend), 어릴 적 친구 (childhood friend), 중매결혼 (arranged

marriage), 정략결혼 (marriage of convenience), 헌신적 파트너관계 (committed partnerships), 의존관계 (dependencies), 불화 (enmities), 비밀관계 (secret affairs), 노예관계 (enslavements), 구애 (courtship), 시험적 관계 (flings), 친족 관계 (kinships), 반항/회피-노력관계 (rebounds/avoidance-driven relationship) 와 같이 묘사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같은 논리를 정책 브랜드 관계에 적용하면 국민들은 어떤 정책이나 정부에 대하여 앞서 제시한 것과 같은 유형의 관계를 설정한다는 것이다.

정책에 대해 국민들이 만들어가는 관계가 긍정적이고 우호적인 묘사에 해당된다면 추진력을 얻을 수 있지만 부정적인 묘사에 가깝다면 난항을 겪게 된다. 따라서 정책 브랜드 아이덴티티 정립 과정에서 국민들과 어떤 관계를 형성할 필요가 있는지를 차악하고 반영

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정책브랜드에 대해 국민이 지니게 되는 이미지 역시 매우 중요하다. 마케팅 영역에서 브랜드 이미지는 소비자의 인지와 심상에 자리해 있는 무형적 자산으로 정의한다. 즉, 브랜드 이미지란 소비자가 어떤 브랜드에 대하여 지니고 있는 좋고 나쁜 감정들이 여러 정보나 단서와 결합하여 형성된 총체적 연상이라고 할 수 있다. 브랜드 이미지는 소비자들의 기억에 특정 브랜드를 중심으로 하여 이 브랜드와 관련된 다양한 연상들이 그물처럼 연결되어 있다. 브랜드와 연계된 연상들은 존재할 뿐만 아니라 연상이 가지고 있는 강도의 수준도 각각 다르다.

정책 브랜드 이미지 역시 정책에 대한 많은 연상들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에는 어떤 정책에 대한 직간접적 경험을 비롯해 정책관계자에 대한 태도, 정부에 대한 신뢰도 등 많은 요인이 영향을 준다.

브랜드에 대한 연상의 연결은 많은 경험 혹은 매체의 노출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는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의 경험적 과정이 연계하여 작용하면서 때로는 개별적 이미지로, 때로는 둘 또는 그 이상의 개념이 종합적으로 나타난 복합적 이미지로, 때로는 복합적 이미지의 형태가 새로운 변종의 이미지로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중요하게 짚고 넘어갈 부분은 아이덴티티와 이미지의 관계다. 브랜드 이미지는 대체로 주관적이며 국민들의 해석과정을 통해 이성적이든 감성적으로든 형성되는 인식상의 현상이다. 따라서 정책 브랜드 이미지란 제품의 기술적, 기능적 또는 물리적 관심 속

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식하는 국민들의 특성, 상황요인, 정책홍보 활동 등에 의해 영향을 받아 나타난다.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한 현실자체보다는 현실을 어떻게 인식하느냐가 더욱 중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아이덴티티는 정책을 주관하는 정부의 입장에서 주창하는 것이고 이미지는 국민들이 정책에 대하여 형성하게 되는 것이므로 명백한 차이가 있다.

정책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바로 이미지 형성에 영향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만일 아이덴티티 체계나 대국민 홍보 방법 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자칫 예상하지 못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책에서 목표로 하는 내용과 가치가 국민에게 바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케이션 노력

이 필요하다.

6) 해외 정책브랜딩의 활용

앞서 소개한 해외 정책브랜드 사례와 관련 이론을 비추어 보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정책마케팅 관점에서 절차와 방법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정책결정권자의 의지에 있다. 정책결정권자가 정책을 브랜딩 하고자 하는 의지가 우선이고, 관련종사자들의 노력이 결합되어야 한다. 정책을 브랜딩 한다는 자체에 녹아 있는 함의도 깊이 생각해야 한다.

정책브랜드는 철저히 민주주의 사회 속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즉, 국민에 의한 사회체계만이 정책브랜드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이 부분은 민간 기업과 시장에서도 똑같이 적용된다. 과거 물자가 귀하고 기술이 보편화되지 못하던 시절, 특정 자본에 의해 독과점이 횡행하던 시절에는 일반 제품에도 브랜드 이론이 적용될 수 없었다. 시장 자체가 자본의 횡포에 움직여지고 소비자는 종속될 수박에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현대사회 들어 변모한 시장상황은 기업 간 경쟁구도를 만들었고, 현명해진 소비자의 판단력은 ‘소비주권’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냈다. 비로소 민간 시장에 브랜딩과 브랜드 이론이 접목되어 전략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정책브랜드 역시 군주국가, 독재국가 시절에는 적용될 수 없는 용어이다. 또한 아직도 일부 언론보도에 남아있는 ‘통치’라는 개념이 존재하는 한 활성화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민간 시장의 경우

와 마찬가지로 정책브랜드 역시 철저히 국민을 향한, 국민에 의한 저변이 있어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결국, 정책이 브랜딩되고 정책브랜드가 사회에 인식된다는 것은 그 사회가 얼마나 공정하고 평등하며 국민주권이 잘 보장되는 사회인지를 가늠하는 척도라 할 수 있다.

미국 등의 사례를 볼 때, 정책브랜딩의 과정과 메시지 등은 민주주의 사회가 아니라면 불가능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즉, 정책브랜딩은 정치와 행정 등 법제도가 국민과 동등한 권력거리를 유지할 때 형성되는 것이다.

또 하나 중요한 것은 연속성이다. 사회는 연속성을 띠는데 정치권이 변화한다고 하여 정책이 쉽게 바뀐다면 정책브랜딩은 불가능하다. 물론, 새로운 정치상황이 되면 그에 합당한 정책이 나오는 것

은 당연하지만, 국민과 사회에 중요한 가치를 형성하는 정책은 연속성을 지녀야 한다. 지방분권제도에 의한 지방자치단체의 정책도 마찬가지이다. 선거에 의해 새로운 지방자치단체장이 등장했다고 하여, 정책이 송두리째 바뀌면 정책브랜딩은 불가능하다.

물론 정책 자체에도 브랜드로서의 품질 진단과정이 필요하다. 국민에게 인식된 품질에 문제점이 있다면 브랜딩이 불가능하므로 교체하는 것이 마땅하다. 때문에 정책입안과 결정과정에는 충분한 합의와 미래가치가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감사원(2021). 저출산 고령화 대책 성과 분석.

https://www.bai.go.kr/bai/cop/bbs/detailBoardArticle.do?mdex=bai20&bbsId=BBSMSTR_100000000009&nttId=127632

고용노동부(2020). 지난해 남성 육아휴직자 2만 7423명...전년대비 23% 증가.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83889

김소연(2021). 한국, 성평등 수준 102위... 세계 성별 격차 해소에 136년 걸린다. 한국일보.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1033113120003589

박세인(2021). 지난해 합계출산율 0.84명...7년째 OECD 꼴찌.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82511340002227

이소영·김은정·박종서·변수정·오미애·이상림·이지혜(2018).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https://www.kihasa.re.kr/publish/report/view?type=research&seq=27889

조성호·김지민(2018). 일·생활 균형을 위한 부부의 시간 배분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최윤정(2015). 한국 아빠가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 하루 6분, OECD 꼴찌.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51017055051009

최일도·이재호(2014). 정책 브랜딩 방향.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서.

Baxter, J., & Smart, D. (2011). Fathering in Australia among couple families withyoung children. Family Matters, 88. Available at: https://aifs.gov.au/publications/family-matters/issue-88/fathering-australia-among-couple-families-young-children

Fisher, E., & Dorf, B. (2021). Real dads overcome obstacles to be present in their kids’ lives in new “#Dadication” PSAs. Ad Council. Available at:

https://www.adcouncil.org/press-releases/real-dads-overcome-obstacles-to-be-present-in-their-kids-lives-in-new-dadication-psas

Kostic, E. (2019). #DanceLikeaDad encourages dads to dance their way into the hearts of their most important audience - their kids. Press Release. Available at:

https://www.multivu.com/players/English/8552551-ad-council-fathers-day-dance-like-a-dad-campaign/

Ladge, J. J., Humberd, B. K., Watkins, M. B., & Harrington, B. (2015). Updating the organization man: An examination of involved fathering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29(1), 152-171.

Pew Research Center (2015). Among working parents, fathers more conflicted about time spent with kids. Available at: https://www.pewresearch.org/fact-tank/2015/04/01/working-mom-guilt-many-dads-feel-it-too/ft_15-04-01_workingdadsconflicted/

Rosenberg, J., & Wilcox, W. B. (2006). The importance of fathers in the healthy development of children. Available at:

https://www.childwelfare.gov/pubpdfs/fatherhood.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