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학생부 교과전형, 너의 대학은?

‘너도 과.대 해봐!’

내 성적으로 합격 가능한 대학은?

학교가 묻고, 대학이 답한다

2024 대학별 수시 집중 분석

06 가톨릭대

08 건국대

10 경희대

12 고려대

14 국립공주대

16 국민대

18 단국대

20 덕성여대

22 서강대

24 서울과학기술대

26 서울시립대

28 성균관대

30 성신여대

32 숙명여대

34 숭실대

36 세종대

38 이화여대

40 인하대

42 중앙대

44 켄텍(KENTECH)

46 한국외대

48 한양대

대학별 전형 분석 자문단

장지환 교사(서울 배재고등학교)

강권일 교사(제주 삼성여자고등학교)

오원경 교사(경기 용인홍천고등학교)

INTRO

한눈에 살펴보는 주요 대학 2024 수시 전형

학생부 교과전형

대학별 평가 방식

대학 전형

교과 반영(공통 및 일반선택 과목 기준)

상위 등급

과목 선택

서류

평가

수능 최저

학력 기준

면접

전 교과

국·수·영·

사·과

계열별

교과 지정

가톨릭대 지역균형 ○ ○

건국대 KU지역균형 ○ ○

경희대 지역균형 ○ ○ ○

고려대 학교추천 ○ ○ ○

공주대 일반(교과) ○ ○

국민대 교과성적우수 ○ ○

단국대 지역균형 ○ ○

덕성여대

고교추천 ○ ○

학생부100% ○ ○ ○

동국대 학교장추천 ○ ○ ○

서강대 지역균형 ○ ○

서울과기대 고교추천 ○ ○

서울시립대 지역균형 ○ ○

성균관대 학교장추천 ○ ○ ○

성신여대 지역균형 ○ ○

세종대 지역균형 ○ ○

숙명여대 지역균형 ○ ○

숭실대 학생부우수자 ○ ○

연세대 추천형 ○ ○

이화여대 고교추천 ○ ○

인하대 지역균형 ○ ○

중앙대 지역균형 ○ ○

한국외대 학교장추천 ○ ○

한성대

지역균형 ○

교과우수 ○ ○ ○

한양대 지역균형 ○

홍익대 학교장추천 ○ ○

※ 인문·자연 모집 단위 기준(예체능 제외)

※ 진로선택 과목 반영 방법은 대학별 모집 요강 참조

추천전형

추천 기준 및 인원

대학 전형 추천 기준 추천 인원

가톨릭대

지역균형 졸업예정자 및 졸업자 제한 없음

학교장추천 졸업예정자 및 졸업자 의예 1명, 약학/간호 제한 없음

건국대 KU지역균형 졸업예정자 및 졸업자 제한 없음

경희대 지역균형 졸업예정자 3학년 재적 인원의 5% 이내(소수점 버림)

고려대 학교추천 졸업예정자 3학년 재적 인원의 4% 이내(소수점 올림)

국민대 교과성적우수 졸업예정자 및 졸업자 제한 없음

단국대 지역균형 졸업예정자 및 졸업자 제한 없음

덕성여대 고교추천 졸업예정자 및 졸업자 제한 없음

동국대 학교장추천 졸업예정자 및 졸업자 8명 이내

서강대 지역균형 졸업예정자 20명 이내

서울과기대 고교추천 졸업예정자 및 졸업자 10명 이내

서울대 지역균형 졸업예정자 2명 이내

서울시립대 지역균형 졸업예정자 및 2023년 졸업자 10명 이내

성균관대 학교장추천 졸업예정자 3학년 재적 인원의 10%(소수점 올림)

성신여대 지역균형 졸업예정자 및 졸업자 제한 없음

세종대 지역균형 졸업예정자 및 졸업자 제한 없음

숙명여대 지역균형 졸업예정자 및 졸업자 제한 없음

숭실대 학생부우수자 졸업예정자 및 2022, 2023년 졸업자 제한 없음

연세대 추천형 졸업예정자 10명 이내

이화여대 고교추천 졸업예정자 및 2023년 졸업자 3학년 재적 여학생 인원의 5%(최대 10명)

인하대 지역균형 졸업예정자 및 2021년 이후 졸업자 제한 없음

중앙대 지역균형 졸업예정자 및 2023년 졸업자 20명 이내

한국외대 학교장추천 졸업예정자 및 2023년 졸업자 서울캠퍼스 10명, 글로벌캠퍼스 10명 이내

한성대 지역균형 졸업예정자 및 졸업자 제한 없음

한양대 지역균형 졸업예정자 및 2023년 졸업자 3학년 재적 인원의 11%

홍익대 학교장추천 졸업예정자 및 2022, 2023년 졸업자 10명 이내

학생부 종합전형

면접 구분

대학 전형

면접

미시행

면접 일정 제시문

활용

의학 MMI

수능 이전 수능 이후 면접 시행

가톨릭대

잠재능력우수(서류) ○

잠재능력우수(면접) 12.2(토)

학교장추천 의예 12.2(토) ○

건국대 KU자기추천 12.2(토)~3(일)

경희대 네오르네상스 12.2(토)~3(일) ○

고려대

학업우수 11.25(토)~26(일) ○

계열적합 11.11(토)~13(일) ○

공주대 종합(일반) 11.24(금)~29(수)

국민대

국민프론티어 11.25(토)~26(일)

학교생활우수 ○

단국대

DKU인재(서류형) ○

DKU인재(면접형) 11.25(토)

덕성여대

덕성인재Ⅰ(서류형) ○

덕성인재Ⅱ(면접형) 11.19(일)

동국대 Do Dream 12.9(토)~10(일)

서강대 일반 ○

서울과기대

학교생활우수 11.25(토)

창의융합인재 11.25(토)

서울대

지역균형 12.1(금)~2(토) ○

일반 11.24(금)~25(토) ○ ○

서울시립대

종합Ⅰ(면접형) 11.25(토)~26(일)

종합Ⅱ(서류형) ○

성균관대

계열모집 ○

학과모집

(일부 학과)

10.21(토)

(사범, 스포츠, 의예)

과학인재 10.22(일) ○

성신여대

학교생활우수 ○

자기주도인재 11.18(토)~19(일)

세종대

세종창의인재(면접형) 11.18(토)~19(일)

세종창의인재(서류형) ○

숙명여대

숙명인재(면접형) 11.25(토)~26(일)

숙명인재(서류형) ○

숭실대 SSU미래인재 12.1(금)

연세대

활동우수 11.18(토)~19(일) ○

국제형 11.25(토) ○

이화여대 미래인재 ○

인하대 인하미래인재 11.18(토)~19(일)

중앙대

CAU융합형인재 12.2(토)~3(일)

CAU탐구형인재 ○

한국에너지공과대 일반 12.4(월) ○

한국외대

면접형 10.29(월)

서류형 ○

한성대 한성인재 ○

한양대 일반 ○

홍익대 학교생활우수자 ○

※ 기회균형, 고른기회 등 기타 전형의 면접은 요강 참조

논술전형 | 논술고사 일정

9.23(토) 9.24(일) 10.7(토) 10.8(일) 11.16(목) 11.18(토) 11.19(일) 11.20(월) 11.25(토) 11.26(일) 12.2(토) 12.23(일)

인문 연세대 성신여대

가톨릭대

홍익대

수능

시험

건국대

경희대

단국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숭실대

경희대

동국대

서강대

숙명여대

세종대

이화여대

한국외대

한양대

덕성여대

중앙대

한국외대

인하대

자연

성신여대

연세대

서울시립대

홍익대

가톨릭대

건국대

경희대

서강대

숙명여대

숭실대

경희대

단국대

동국대

성균관대

서울과기대 중앙대

덕성여대

세종대

이화여대

한국외대

한양대

인하대

의약학 연세대

건국대

경희대

숙명여대

가톨릭대

성균관대

중앙대 이화여대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가톨릭대 01

잠재능력우수자전형, 서류형·면접형으로 이원화 교과전형에 진로선택 과목 반영

가톨릭대 학생부교과전형인 지역균형전형은 추천 인원에 제한이 없다. 교과 100%와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을 적용해 선발하며, 올 수시부터 진로선택 과목을 반영한다.

학생부종합전형인 잠재능력우수자전형은 서류형과 면접형으로 이원화한다. 서류형은 서류 100%로, 면접형은 1단계 서류 100%로 4배수를 가려낸 뒤 2단계에서 서류 70%, 면접 30%로 선발한다. 가톨릭지도자추천전형은 면접형과 선발 방식이 같고, 세 전형 모두 수능 최저 기준은 적용하지 않는다.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은 의예과, 약학과, 간호학과는 종합전형에서 학교장추천전형을 별도로 운영한다. 의예과는 고교별 추천 인원이 1명, 간호학과와 약학과는 제한이 없으며 의예과와 약학과는 수능 최저 기준이 적용된다. 논술전형은 논술고사 70%와 교과 30%로 선발하며, 수능 최저 기준은 의예과, 약학과, 간호학과만 두고 있다. 가톨릭대 수시의 주요 사항을 문호식, 김한은, 장정화 입학사정관에게 들었다.

취재 정애선 소장(내일교육 부설 교육정책연구소 헤리티지내일) asjung@naeil.com

Q 의예과, 약학과, 간호학과의 선호도가 높다. 가톨릭대만의 장점이 있다면?

가톨릭대 의과대학은 국내 최대 부속병원을 보유하고 있다. 자대 병원이 8곳이기 때문에 의예과, 간호학과 졸업생을 모두 흡수한다. 약학과 또한 실습을 가톨릭대 성모병원에서 진행한다. 부속병원에서 해마다 선발하는 인원 대비 대학 정원이 더 적은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Q 지역균형전형 입시 결과에서 2021학년에 신설한 의생명과학과의 높은 교과 성적이 눈에 띈다. 이 학과의 어떤 점에 기인했다고 보나?

의생명과학과 남재환 교수는 코로나 백신 등에 활용되는 mRNA 백신 분야의 국내 최고 권위자다. 코로나19 당시 질병관리본부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의예과, 약학과를 비롯한 바이오메디컬 분야 인프라가 탄탄하다 보니 신설 학과임에도 의생명과학과가 시너지를 냈다고 본다. 현재 의생명과학과는 ‘분자의학 생명공학 트랙’과 ‘유전체-생물 정보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트랙을 이수한 학생들은 산학협력프로그램과 전문연구인력양성프로그램 등을 통해 실제 연구소와 산업체 현장에 바로 적응할 수 있다. 백신 연구 분야가 각광받고 있는 추세에 비춰보면 의생명과학과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Q 자유전공학과를 폭넓게 선발하고 있다. 가톨릭대만의 특징이 있다면?

지유전공학과는 학생들에게 폭넓게 전공을 탐색하고, 진로를 설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입학 후 1년 동안 다양한 교과목을 학습한 후 2학년에 진학할 때 원하는 전공을 선택할 수 있다. 보건, 의료, 사범, 예체능 학과를 제외하면 전공별 상한선 없이 100% 선택할 수 있다는

2024 가톨릭대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교과 지역균형

교과 100

※ 추천 인원 제한 없음

※ 의예 인적성 면접 실시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한 최저

전체(의,약,

간호 제외)

◯ ◯ ◯ 1 2합 7

의예 ◯ ◯ ◯ 2 4 4합 5

약학 ◯ ◯ ◯ 1 3합 5

간호 ◯ ◯ ◯ 1 3합 7

종합

잠재능력

우수자(서류)

서류 100

없음

잠재능력

우수자(면접)

[1단계] 서류 100(4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가톨릭지도자

추천

[1단계] 서류 100(4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학교장추천

(의예, 약학, 간호)

[1단계] 서류 100(4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 추천 인원: 의예 고교당 1명,

약학/간호 제한 없음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한 최저

의예 ◯ ◯ ◯ 2 4 3합 4

약학 ◯ ◯ ◯ 1 3합 5

기회균형Ⅰ 서류 100 없음

논술 논술 논술 70+교과 3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한 최저

의예 ◯ ◯ ◯ 2 4 3합 4

약학 ◯ ◯ ◯ 1 3합 5

간호 ◯ ◯ ◯ 1 3합 7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사/과’ 는 응시 과목 수를 의미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국(국어), 확(확률과 통계), 미/기(미적분/기하), 영(영어), 사(사탐), 과(과탐),

한(한국사)

※ 전형 전체 의예과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과탐 2과목 평균 절사 처리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인문사회, 자연·생활, 공학 계열로 나눠 선발한다. 특정 학과보다는 계열에 따라 폭넓은 진로 탐색을 했거나 대학에 와서 좀 더 경험한 후 세부 전공을 선택하고 싶은 학생들, 중간에 진로가 바뀐 학생들이 주로 지원하는 편이다. 인문사회 계열은 심리학과와 경영학과, 자연·생활 계열은 의생명과학과, 공학계열은 컴퓨터정보공학부를 주로 선택한다.

Q 가톨릭대에서 추천할 만한 학과가 또 있다면?

회계학과가 학생들에게는 낯설 수 있지만 기업에서 선호도가 높아 취업률이 좋은 학과 중 하나다. 복수 전공이나 전과를 할 때 재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은 학과이기도 하다. 경쟁률과 합격선을 고려하면 경제·경영학과를 생각했던 학생들이 계열 적합성의 관점에서 지원해볼 만하다.

국내 대표적인 공간디자인 공모전에서 6관왕을 차지한 공간디자인소비자학과도 추천하고 싶다. ‘공간디자인·주거학 트랙’과 ‘소비자학·자원관리 트랙’으로 운영되는데, 전자는 인테리어 디자인, 주택 설계, 공간 마케팅에 관심 있는 학생이, 후자는 마케팅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지원하면 좋다. 실기로 선발하지 않기 때문에 공간디자인에 관심이 있지만, 실기 준비를 하지 않은 학생들에게 적합한 학과다.

Q 학생부종합전형인 잠재능력우수자전형을 서류형과 면접형으로 분리했다. 이원화 배경은?

코로나 상황을 겪으면서 학생들 입장에서는 면접이 부담스러울 수 있다고 봤다. 최근 종합전형을 서류형과 면접형으로 이원화하는 대학들이 늘고 있는 추세이기도 하다. 면접형에서는 1단계 선발 배수를 3배수에서 4배수로 늘려 결과적으로 면접의 영향력을 높였다. 면접에 강점이 있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반면 면접에 부담을 느끼는 학생들은 서류형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학업 역량이 좀 더 우수한 학생들은 서류형을, 탐구 활동에서 나타나는 역량이나 발전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는 학생들은 면접형을 선택하면 좋다. 실제 평가 항목도 그렇게 구성하고 있다. 자유전공학과는 모두 서류형에서만 선발한다. 전공보다 계열 적합성을 보는 관점에서 면접형보다는 서류형에 부합한다고 판단했다.

Q 의예과, 약학과, 간호학과의 경우 학교장추천전형을 교과전형과 종합전형으로 나눠 운영한다.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

입시 결과를 보면 교과전형인 지역균형전형의 합격 컷이 더 높다. 최종 등록자 평균을 기준으로 의예과는 1.00등급, 약학과는 1.11등급, 간호학과는 1.76등급이었다. 수능최저 학력 기준도 더 높다. 종합전형인 학교장추천전형의 경우 최종 등록자 평균 기준 의예과는 1.18등급, 약학과는 1.93등급, 간호학과는 2.32등급이다. 가톨릭대 교과전형은 교과 100%로 선발하기 때문에 입시 결과를 보고 어느 전형을 선택할지 판단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Q 지역균형전형의 교과 반영 방식에 변화가 있다. 올 수시 모집에서부터 진로선택 과목을 반영한다. 입시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나?

전 모집 단위와 간호학과는 국어·영어·수학·한국사·사회·과학 교과 중 상위3과목의 성취도 환산 점수를 반영하고, 의예과와 약학과는 수학·과학 교과 전 과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경쟁률

Top 5 Bottom 5

지역균형 잠재능력우수자 가톨릭지도자추천 논술 지역균형 잠재능력우수자 가톨릭지도자추천 논술

국사학과(5) 21.2 의생명과학과(11) 32.64 의예과(2) 22.5 약학과(5) 343.4 화학과(5) 5.8 물리학과(10) 5.9

중국언어문화학과(3),

수학과(2) 3

물리학과(3) 12.33

중국언어문화학과(6) 20.5 경영학과(15) 27.67 사회복지학과(3) 11.33 의예과(19) 217.89 생명공학과(7) 6.14 수학과(10) 6.2 회계학과(3) 3.67 수학과(3) 15

프랑스어문화학과(5) 19

자유전공학과

(인문사회)(9) 23

미디어기술

콘텐츠학과(3) 10.33

심리학과(4) 37.75 식품영양학과(5) 6.2 회계학과(15) 6.27

일어일본문화학과(3),

화학과(2), 물리학과(2) 4

자유전공학과

(자연·생활)(5) 15.2

의예과(10) 18.1 의류학과(10) 20.3

국사학과(2),

의류학과(2) 9.5

컴퓨터정보공학부(4)

30.25

심리학과(10) 6.5 철학과(10) 7.7 영어영문학부(4) 4.25 식품영양학과(3) 15.33

간호학과(14) 15.64 컴퓨터정보공학부(15) 18.47 국제학부(4) 7.75 간호학과(18) 29.33 의생명과학과(5) 6.6 화학과(10) 8.5 철학과(2), 행정학과(2) 4.5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3) 15.67

※ ( ) 안은 학과별 모집 인원 ※ 신학과 제외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입시 결과

6.5

6

5.5

5

4.5

4

3.5

3

2.5

2

1.5

1

지역균형 잠재능력우수자 가톨릭지도자추천

1.00

1.11

1.76

1.82

2.35

3.28

3.08

2.86

5.05

3.59

3.90

4.20

4.39

5.41

5.51

6.13

3.67

3.84

4.17

2.63

실제 최하위 등급

실제 최상위 등급

통계상 예측되는 최상위 등급

통계상 예측되는 최하위 등급

25%

50%

75%

※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은 입학처 발표 최종 등록자 평균 기준

※ 잠재능력우수자전형의 경우 입학처 발표 최종 등록자 평균 기준으로 최상위 학과 합격 등급은 3.08, 상위 25% 학과는 3.67, 50% 학과는 3.84, 75% 학과는 4.17, 최하위 학과는 4.39등급이라는 의미다.

교과 등급 상위 5개 학과(입학처 발표 최종 등록자 평균)

지역균형 잠재능력우수자 가톨릭지도자추천

1 의예과 1 심리학과 3.08 의생명과학과 2.86

2 약학과 1.11 식품영양학과 3.3 생명공학과 3.19

3 간호학과 1.76 특수교육과 3.32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3.29

4 의생명과학과 1.82 화학과 3.33 에너지환경공학과 3.3

5 생명공학과 2.35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3.44 의류학과 3.36

교과 등급 하위 5개 학과(입학처 발표 최종 등록자 평균)

지역균형 잠재능력우수자 가톨릭지도자추천

1 물리학과 3.28 일어일본문화학과 6.13 데이터사이언스학과 5.05

2 중국언어문화학과 3.22 프랑스어문화학과 5.51 일어일본문화학과 4.8

3 아동학과 3.15 중국언어문화학과 5.41 철학과 4.69

4 철학과 3.14 의생명과학과 4.39 인공지능학과 4.6

5 프랑스어문화학과 3.11 영어영문학부 4.29 아동학과 4.33

※ 학교장추천

의예과 1.18 / 약학과 1.93 / 간호학과 2.32

● 전형별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전형 분류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고·영재학교 기타

교과전형 99.2% 0% 0% 0% 0.8%

종합전형 83.8% 5.06% 9.11% 1.01% 1%

논술전형 87.85% 5.71% 0.71% 0% 5.7%

※ 2023 대입 대학 알리미 자료 기준

자문 교사의 2024 가톨릭대 합격 Adivice

가톨릭대 교과전형은 지역균형전형으로 2개 영역 등급 합 7 이내라는 수능 최저 기준을 두고 교과 성적 100%로 선발한다. 단, 의예과, 약학과, 간호학과는 최저 기준이 좀 더 엄격하다. 최저 기준을 충족하고 충원율을 고려했을 때 실질 경쟁률은 2.75:1 정도다. 최종 등록자의 교과 성적 평균은 의예과, 약학과, 간호학과, 의생명과학과를 제외하고 2등급 초반에서 3등급 초반까지 넓게 분포하고 있어 공개된 3년간 통계를 살펴봐야 한다.

잠재능력우수자 면접형은 기존 전형이 유지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학업 역량 25%, 전공 적합성 35%, 인성 20%, 발전 가능성 20%로 전년에 비해 평가 요소별 반영 비율에 변화가 있다. 1단계 3배수 선발에서 4배수 선발로 변경됐지만, 서류형과 이원화하며 모집 인원 자체를 줄였기 때문에 좀 더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신설된 서류형은 서류 100%로 선발한다. 신설 전형 지원을 고려할 때는 기존 전형과 어떤 면에서 달라졌는지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둬야 한다. 학업 역량 35%, 전공 적합성 30%, 인성 20%, 발전 가능성 15%로 면접형보다 학업 역량에 무게를 둔다.

학교장추천전형은 의예과, 약학과, 간호학과에서만 모집한다. 최종 합격자 평균 교과 등급이 의예과 1.18, 약학과 1.93, 간호학과 2.32등급이며 1단계 합격자 중 수능 최저 기준 통과율은 의예과는 82%, 약학과는 70% 정도다.

논술전형에서 의예과, 약학과, 간호학과는 수능 후에 논술고사가 시행되며, 수능 최저 기준이 있다. 이 외에 인문사회 계열, 자연과학·공학 계열 학과는 수능 전에 논술고사가 시행되며 수능 최저 기준이 없다. 타 대학의 논술전형에 비해 경쟁률이 상당히 낮은 편이다.

목의 성취도 환산 점수를 반영한다. 성취도 A는 1등급, B는 2등급, C는 3등급으로 환산한다. 자체 시뮬레이션 결과 의예과와 약학과는 대체로 수학·과학 교과에서 성취도 A를 받는 경우가 많고, 그 외 모집 단위는 상위 3과목만 반영하기 때문에 큰 차이는 없을 것 같다. 지난해까지 진로선택 과목은 반영하지 않았는데, 이제 성취도

평가가 들어온 지도 몇 해가 지났기 때문에 학교 교육과정의 안정적 운영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반영 방식을 변경했다.

Q 올해 수시 모집에서 서류 평가 항목이 축소되면서 교과 영역이 강조되는 상황이다. 가톨릭대는 과목 이수 현황을 어느 정도로 반영하나?

가톨릭대는 입학처 홈페이지에 <진로진학 가이드북>을 공개하고 있다. 전공별로 주요 교육과정과 인재상, 관련 고교 교과목을 안내했다. 그러나 가톨릭대는 상식적인 범위에서 관련 과목 이수 여부를 참고하지만,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는 평가 기준을 두고 있지는 않다. 의예과에 지원하는 학생이라면 대체로 생명과학과 화학을 Ⅱ과목까지는 이수하는 편이다. 컴퓨터 관련 전공은 수학을, 바이오 관련

전공은 생명과학과 화학을 좀 더 살펴본다. 심리학과에 지원하는 학생들은 <확률과 통계>와 <생명과학Ⅰ>을 이수하는 사례가 늘고 있기도 하다. 학생들이 통상 이해하는 선이라고 본다. 전공 관련 교과목을 꼭 이수하지 않았더라도 자율 활동이나 동아리, 진로 활동 등에서 관련 역량이 보인다면 복합적으로 평가한다.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9.12(화)~15(금)

17:00

9.18(월)

~22(금)

10.8(일) 11.16(목) 11.19(일) 11.24(금) 11.25(토) 12.2(토) 12.15(금)

2024 인원 2023 인원

원서 접수

[지역균형/

학교장추천]

대상자 입력

[논술]

논술고사

(의예, 약학 외)

수능 시험

[논술]

논술고사

(의예, 약학)

[잠재능력우수자(면접)/

가톨릭지도자추천/

학교장추천]

1단계 합격 발표

[잠재능력우수자(서류)]

최종 합격 발표

[지역균형(의예)]

인적성 면접

[잠재능력우수자(면접)/

가톨릭지도자추천/

학교장추천(의예)]

면접(신학과 제외)

[전형 전체]

최종 합격 발표

지역균형

교과

잠재능력

우수자(서류)

잠재능력

우수자(면접)

가톨릭

지도자추천

종합

학교장추천 기회균형 논술

논술

기타

247 259 255

55 49

96

178 204

269

438

106

51

96

179 201

지역균형

18.4%

기회균형Ⅰ

7.1%

잠재능력

우수자(서류)

19.3%

잠재능력

우수자(면접)

19.0%

가톨릭지도자추천 4.1%

학교장추천

3.6%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건국대 02

교과·종합전형, 과목 이수 이력 중시

자연 계열 논술 출제 범위에 <기하> 포함

건국대의 올 수시전형은 작년과 비교해 큰 변화는 없다. 학생부교과전형인 KU지역균형전형은 교과 70%, 서류 30%로 타 대학에 비해 서류 반영 비율이 높다. 학교별 추천 인원에 제한이 없지만, 지난해 수시에서는 전년에 비해 경쟁률이 다소 줄어든 점이 눈에 띈다. 학생부종합전형인 KU자기추천전형은 1단계에서 서류 100%로 3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 면접을 진행한다. 두 전형 모두 서류 평가에서 과목 이수 이력을 중시한다는 점을 눈여겨봐야 한다. KU논술우수전형은 인문 논술의 경우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이 완화돼 논술 고사의 영향력이 커졌다. 자연 계열 논술 고사 출제 범위에 <기하>가 포함된 점도 주목된다. 김경숙 책임입학사정관에게 2024학년 건국대 수시 모집에 대해 들었다.

취재 정애선 소장(내일교육 부설 교육정책연구소 헤리티지내일) asjung@naeil.com

Q 타 대학에 비해 특화된 학과가 많다. 눈여겨볼 학과를 소개한다면?

KU융합과학기술원의 줄기세포재생공학과와 화장품공학과를 꼽을 수 있다. 우선 화장품공학과는 생명공학 기술이 접목되는 최근의 화장품 산업 추세에 맞게 화장품 소재 개발부터 품질 검사, 공정, 마케팅까지 전 분야를 특화한 교육과정으로 구성돼 있다. 학생들이 진출하는 분야도 연구원부터 마케팅까지 다양하며, 기업에서도 특화된 교육과정을 우수하게 평가하고 있어 졸업생 취업률이 건국대 안에서 가장 높다. 화장품 산업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을 선발하고자 하기에 다양한 합격생들이 입학하는 만큼 교과 성적대도 넓은 편이다.

줄기세포, 인공장기, 생명정보학 등 재생생물 분야에 특화된 줄기세포재생공학과는 전공 교수진의 연구 실적이 특히 우수한 학과로 손꼽힌다. 무엇을 배우는 학과인지 충분히 이해하고, 이 분야에 관심 있는 학생들을 선발하기 때문에 역시 다양한 스펙트럼의 학생들이 입학하고 있다.

상허생명과학대학의 동물자원과학과도 소개하고 싶다. 식량자원으로서 동물 산업을 다루는 학과로 서울에서는 개설된 대학이 많지 않은 데다 교육과정과 교수진이 탄탄하다. 사료회사 등으로 진출하는 학생이 많고 취업률이 높은 학과로 눈여겨볼 만하다.

Q 학생부교과전형인 KU지역균형전형은 2023학년에 처음으로 서류 평가를 실시했다. 학생부종합전형의 서류 평가와 어떤 차이가 있고, 영향력은 어느 정도였나?

교과 70%와 서류 30%로 평가한다. 교과 성적으로 1배수 안에 들은 학생이 서류 정성 평가로 뒤집히는 비율은 20% 내외다. 보통 교과 성적이 좋은 학생은 서류 평가에서도 좋은 점수를 받는다. 다만 성적은 좋은데 위계에 맞지 않게 과목을 이수했거나, 수학과에 지원했는데 수학 과목 이수 단위가 현저히 부족하거나 한 경우는 서류 평가에서 감점 요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공학부에 지원한 학생이 교과 성적은 1등급대로 우수하지만 <미적분> <기하> 등 수학 과목과 <물리학Ⅰ·Ⅱ>를 이수하지 않았다면 서류 평가에서 좋은 점수를 받기 어려울

2024 건국대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교과 KU지역균형

교과 70+서류 30

※ 추천 인원 제한 없음

없음

종합

KU자기추천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사회통합 서류 70+교과 30 없음

기초생활 및

차상위

서류 70+교과 30

논술 논술 논술 10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한 최저

인문 ◯ ◯ ◯ 1

5

2합 5

자연 ◯ ◯ ◯ 1 2합 5

수의예 ◯ ◯ ◯ 1 3합 4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사/과’ 는 응시 과목 수를 의미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국(국어), 확(확률과 통계), 미/기(미적분/기하), 영(영어), 사(사탐), 과(과탐),

한(한국사)

수 있다. 교과전형의 특성상 지원하는 학생들의 성적이 워낙 촘촘해 서류 평가의 영향력을 고려해 지원할 필요가 있다.KU지역균형전형의 서류 평가 요소는 학업 역량 67%, 진로 역량 33%로 학생부종합전형인 KU자기추천전형에서 평가하는 공동체 역량을 포함하지 않는다. 종합전형은 학생부의 전 영역을 평가하는 반면 교과전형은 교과 학습 발달 상황을 중심으로교과적 측면만 본다는 차이가 있다. 교과 성적이 좋은 학생들의 과목 이수 이력, 수업에 임하는 태도 등을 한 번 더 보겠다는 것이 서류 평가의 목적이다. 지원 학과와연관된 과목의 이수 여부가 진로 역량에서 평가되기 때문에 교과전형에서도 과목이수 이력이 중요하다. 다만 공동체 역량은 현재 주로 창의적 체험 활동이나 행동특성 및 종합 의견 항목에서 주로 확인되기 때문에 종합전형과의 차별성을 위해 평가 요소에서 제외했다.Q 논술전형의 자연 계열 출제 범위에 <기하>가 포함되고, 1개 문항을 줄였다. 인문 논술은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이 완화됐다. 배경은?현재 <기하>가 진로선택 과목으로 전환되면서 지원자 중 이수 학생이 늘어나는 추세다. 자연 계열 전체 지원자의 80% 이상이 <기하>를 이수한 상황이어서 이제는 논술 출제 범위에 포함해도 된다는 것이 출제위원들의 판단이었다. 문항 수를 줄인 것은 학생들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다.인문 논술 지원자들의 최저 기준 충족률이 완화 전에는 50% 내외였는데, 2개 합 5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68% 도로 예상됐다. 논술전형은 최저 기준 충족률의 영향이지나치게 커지기보다는 논술 고사로 승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전형 취지에도 부합하기 때문에 완화했다고 보면 된다.

Q KU자기추천전형의 서류 평가 항목 중 학업 역량에서 보는 학업 성취도와 진로 역량에서 보는 전공(계열) 관련 교과 성취도 평가에 차이가 있다면?각각의 항목에서 바라보는 성취도를 분리해서 보려고 노력한다. 학업 역량에서의학업 성취도는 고교 교육과정에서 이수한 교과의 전반적인 성취도를 의미한다. 학생이 이수한 일반선택, 진로선택 과목이 모두 평가 대상이다. 진로 역량에서의 교과성취도는 위계에 맞게 과목을 이수했는지, 전공(계열) 관련 과목들에서 어느 정도의성취도를 보이는지를 주로 본다.Q 진로 역량의 평가 내용을 보면 학생들이 이수한 선택 과목이 중요하게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선택 과목이 서류 평가에 미치는 영향은?진로 역량에서는 진로와 관련된 과목을 이수하려고 노력했는지, 성취도는 우수한지 등을 중요하게 본다. 공대에 지원한 학생이 진로선택 과목으로 바뀌면서 석차등급의 부담이 줄었는데도 <물리학Ⅱ>를 이수하지 않았다면 지원 학과에 정말 관심이있는 학생인지 고민이 된다. 서류 평가에서 진로 역량의 비중이 클 수밖에 없는 이유다.크게 자연 계열 전공에서는 수학과 물리학, 혹은 생명과학과 화학이 기반이다. 인문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경쟁률

Top 5 Bottom 5

KU지역균형 KU자기추천 KU논술우수 KU지역균형 KU자기추천 KU논술우수

생물공학과(4) 24.75 시스템생명공학과(13) 35.54 수의예과(6) 441.83 부동산학과(5) 6.4 지리학과(19) 8 부동산학과(8) 22.38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6) 21.5 기계항공공학부(11) 33.82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6) 93.17 동물자원과학과(4) 6.75 동물자원과학과(19) 8.68 기술경영학과(4) 25

융합생명공학과(7) 19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12) 33.42 컴퓨터공학부(24) 79.17 물리학과(7) 7 부동산학과(11) 9.55 경제학과(16) 25.56

생명과학특성학과(10) 16.9 의생명공학과(22) 30.82 융합인재학과(7) 70.86 산림조경학과(3) 7 산림조경학과(12) 10.42 응용통계학과(4) 27.5

화학과(4) 16.5 문화콘텐츠학과(12) 30.58 전기전자공학부(31) 68.84 스마트운행체공학과(6) 7.17 스마트운행체공학과(10) 10.7 식품유통공학과(3) 29.67

※ ( ) 안은 학과별 모집 인원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입시 결과

6

5.5

5

4.5

4

3.5

3

2.5

2

1.5

1

KU지역균형 KU자기추천

1.19

2.33

2.11

1.52

1.87

2.00

2.48

2.68

3.16

2.07

3.72

4.26

4.50

4.85

5.17

5.67

실제 최하위 등급

실제 최상위 등급

통계상 예측되는 최상위 등급

통계상 예측되는 최하위 등급

25%

50%

75%

※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은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 발표 70% 컷 기준

※ KU자기추천전형의 경우 합격자 70% 컷 기준으로 최상위 학과 합격 등급은 2.07, 상위 25% 학과는 2.48, 50% 학과는 2.68, 75% 학과는 3.16, 최하위 학과는 3.72등급이라는 의미다.

교과 등급 상위 5개 학과(70% 컷 기준)

KU지역균형 KU자기추천

1 수의예과 1.19 융합인재학과 2.07

2 융합생명공학과 1.52 생물공학과 2.12

3 시스템생명공학과 1.68 영어교육과 2.18

4 생명과학특성학과 1.69 수의예과 2.24

5 줄기세포재생공학과 1.7 수학교육과 2.27

교과 등급 하위 5개 학과(70% 컷 기준)

KU지역균형 KU자기추천

1 부동산학과 2.33 시스템생명공학과 5.67

2 건축학부 2.3 부동산학과 5.17

3 정치외교학과 2.23 일어교육과 4.85

4 행정학과 2.21 영어영문학과 4.5

5 사회환경공학부 2.17 글로벌비즈니스학과 4.26

● 전형별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전형 분류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고·영재학교 기타

KU지역균형 98.1 % 0 % 0 % 0 % 1.9 %

KU자기추천 82 % 6.6 % 8.4 % 3 % 0 %

KU논술우수 77.8 % 18.2 % 2.8 % 0 % 1.2 %

※ 2023 대입 대학 알리미 자료 기준

자문 교사의 2024 건국대 합격 Adivice

KU지역균형전형은 교과 70%, 서류 30%로 전년과 동일한 비율로 평가한다. 교과 100%로 선발한 2022학년과 내신 분포 범위를 비교해보면 2023학년의 경우 범위가 더 넓어져 서류 평가의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류 평가의 경우 학생부에 기재된 교과 학습 발달 상황만 반영하며, 평가 요소 중 학업 역량과 진로 역량 2가지를 7단계 척도로 평가한다. 지원 시 학과와 연관된 과목의 이수 여부와 성취도를 우선 살펴볼 것을 권한다.

KU자기추천전형은 서류 평가에서 학업 역량 30%, 진로 역량 40%, 공동체 역량 30% 3개 평가 요소로 평가한다. 이 중 비율이 가장 높은 진로 역량의 평가 항목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진로 역량의 평가 항목 3개 중 2개가 전공(계열) 관련 내용으로, 지원 학과에서 요구하는 교과의 이수와 성취도가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건국대 홈페이지에서 학과별 교육과정을 확인해봐야 하는 이유다. 예를 들어 글로벌비즈니스학과는 중국의 통상 및 비즈니스에 특화된 학과인데도 단순히 국제통상학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교육과정을 확인해보면 <중국기업경영전략론> 등 중국 관련 내용이 많다. 따라서 학과별 교육과정을 반드시 확인해봐야 한다. 입학처 홈페이지에 공개된 을 참고해 지원하면 좋다.

대입 포털 어디가에 공개된 KU자기추천전형의 합격자 내신 등급 70% 컷 범위는 2.07~5.67로 편차가 크다. 종합전형에 지원하기 전 학교 상담을 통해 지원 고교의 건국대 합격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건국대는 입학처 홈페이지에 <2024학년 논술전형 대비 KU 논술 가이드북>을 공개한다. 인문사회 계열의 경우 수학에 강점을 보이는 학생이라면 수리 문항이 60%로 구성된 인문사회계Ⅱ 모집 단위에 지원하는 것도 추천한다.

학 전공에서는 국어, 사회과학 전공에서는 사회 과목을 기반으로 영어와 국어를 좀 더 보는지, 수학이 필요한지가 전공별 교육과정에 따라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

진로 역량은 결국 지원하는 학과에 대한 관심이다. 이전에는 이 부분을 동아리나 진로 활동에서 주로 봤다면 이제는 교과 영역에서 보겠다는 것이다. 과목 이수 이력과 성취도,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에 기록된 수업 참여도 등을 열심히 볼 수밖에 없다.

Q KU자기추천전형의 평가 요소 중 공동체 역량이 30%로 비중이 상당히 큰 편이다. 최근 학생부 평가 항목이 축소되는 추세인데, 공동체 역량은 어떤 항목에서 주로 확인하나?

주로 창의적 체험 활동의 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과 행동 특성 및 종합 의견에서 공동체 역량을 확인한다. 특히 공대처럼 협업이 중요한 모집 단위에서는 공동체 역량을 중시한다. 학급과 학교 안에서 구성원들과의 협업 및 소통 능력, 나눔과 배려, 성실성과 규칙 준수, 리더십 등을 확인하려고 노력한다. 공동체 역량을 갖춘 학생들이 건국대에 입학하길 바란다는 상징적인 의미로 보면 좋겠다.

Q KU자기추천전형에서 면접의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1단계 서류 평가로 3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70%에 면접 평가가 30% 포함된다. 건국대 면접은 서류 기반 면접으로 학생들이 했던 활동에 대한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면접은 10분 내외로 진행되며, 대체로 5~7개의 질문과 그와 관련된 꼬리 질문들로 구성된다. 서류 평가 점수가 높은 학생이 면접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는 편이다. 1~2배수까지는 면접으로 평가 순위가 뒤바뀌는 것이 거의 의미가 없지만, 30%의 비중인 만큼 면접은 충실히 준비해야 한다. 모든 질문은 서류에서만 나오기 때문에 학생부 내용을 잘 숙지하고, 평소 자신이 했던

다양한 활동들에 대해 시작한 계기, 과정, 결과, 배우고 느낀 점 등을 잘 정리해두면 도움이 될 것이다.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KU

지역균형

교과 종합 논술

9.11(월)~14(목)

17:00

9.18(월)~22(금) 11.16(목) 11.17(금) 11.18(토) 12.2(토)~3(일) 12.15(금)

2024 인원

2023 인원

KU

자기추천

사회통합 기초생활

및 차상위

KU

논술우수

342341

830

795

20

63

434

37 63

434

원서 접수

KU학교추천

대상자 입력

수능 시험

KU자기추천

1단계

합격 발표

KU논술우수

논술 고사

KU자기추천

면접

전형 전체

최종

합격 발표

KU지역균형

17.9%

KU논술우수

22.7%

기타

11.5%

KU

자기추천

43.5%

기초생활 및 차상위 3.3%

사회통합 1.0%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경희대 03

지역균형전형 교과 등급 영향력 확대

수능 최저 일부 학과 확통·사탐 지정 주목

경희대는 올 수시 모집에서 학생부 교과 성적 70%에 교과 종합 평가 30%로 선발하는 지역균형전형의 교과 영향력을 높였다. A~C까지 3단계로 평가하는 교과 종합 평가의 급간 점수 차를 5점에서 3점으로 줄인 것이다. 또 지역균형전형과 논술우수자전형의 한의예과, 간호학과, 건축학과, 지리학과 인문 모집 단위의 경우 수능 최저 학력 기준에 <확률과 통계>, 사회탐구 과목을 지정했다. 모집 단위의 의도에 따라 학생을 명확하게 선발하기 위해 자연 계열 학생의 교차지원을 막은 셈이다. 논술우수자전형은 작년과 달리 교과 반영 없이 논술 100%로 선발한다. 경희대 임진택 책임입학사정관에게 올 수시 지원 시 주목해야 할 점을 들었다.

취재 정애선 소장(내일교육 부설 교육정책연구소 헤리티지내일) asjung@naeil.com

Q 학생부교과전형인 지역균형전형의 경우 2023학년에 처음으로 교과 종합 평가를 실시했다. 영향력은 어느 정도였나?

교과전형의 서류 평가를 학생부종합전형과 다르게 설계하려고 노력했다. 지역균형전형은 학생부 항목 중 교과 학습 발달 상황만 본다. 종합전형에서 살펴보는 진로 탐색 활동과 경험, 공동체 역량 등은 평가하지 않는 것으로 선을 그었다. 서류 평가 대신 교과 종합 평가라는 용어를 쓰는 이유이기도 하다. 크게 학업 충실도와 교과 이수 충실도로 나뉜다. 교과 이수 충실도에서는 지원 학과와 관련된 과목 선택은 적절한지, 성적 관리를 위해 석차등급이 나오는 일반선택 과목은 최소화하고 진로선택 과목 중심으로 이수하지는 않았는지 등을 본다. 교과 종합 평가인 만큼 교과 역량을 검증하는 데 초점을 둔다. 가점보다는 감점의 의미에 가깝다.

종합전형의 서류 평가는 상대평가이기 때문에 평가 척도에 따라 점수를 줄 수 있는 인원이 제한되어 있지만, 교과전형의 교과 종합 평가는 절대평가로 설계했다. 다수가 A를 받도록 설계해 변별력을 크게 두지는 않았다는 의미다. 다만 의약 계열 등 지원 학생의 교과 성적대가 촘촘한 모집 단위는 교과 종합 평가의 영향력이 있었던 게 사실이다. 올 수시에서 A~C까지 3단계로 평가하는 교과 종합 평가의 급간 점수 차를 5점에서 3점으로 줄인 이유는 평가자의 심리적 부담을 덜고, 좀 더 유연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보면 된다.

Q 인문 계열을 분리 선발하는 한의예과(인문), 간호학과(인문), 지리학과(인문), 건

2024 경희대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교과 지역균형

교과 70+서류 30

※ 재학 인원 5% 이내

재학생만 추천 가능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한 최저

인문 ◯ ◯ ◯ 1

5

2합 5

지리(인문),

간호(인문)

◯ ◯ ◯ 1 2합 5

한의예(인문) ◯ ◯ ◯ 1 3합 4

자연 ◯ ◯ ◯ 1 2합 5

의예, 치의예,

한의예(자연), 약학

◯ ◯ ◯ 1 3합 4

예체능 ◯ ◯ 1개 3

종합

네오

르네상스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없음

기회균형 서류 70+교과 30

고른기회 서류 70+교과 30

논술 논술우수자 논술 10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한 최저

인문 ◯ ◯ ◯ 1

5

2합 5

지리(인문),

간호(인문),

건축(인문)

◯ ◯ ◯ 1 2합 5

한의예(인문) ◯ ◯ ◯ 1 3합 4

자연 ◯ ◯ ◯ 1 2합 5

의예, 치의예,

한의예(자연), 약학

◯ ◯ ◯ 1 3합 4

예체능 ◯ ◯ 1개 3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사/과’ 는 응시 과목 수를 의미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국(국어), 확(확률과 통계), 미/기(미적분/기하), 영(영어), 사(사탐), 과(과탐),

한(한국사))

축학과(인문)의 경우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지정 과목을 수학은 <확률과 통계>, 탐구는 사회탐구로 명시했다. 취지는?

인문과 자연을 분리 선발하는 학과에만 적용된다. 이들 학과의 경우 각 계열에 맞게 지원하라는 취지로 분할해놨는데, 교차해 지원하는 학생들이 생겨났다. 수학 과학 중심으로 이수했던 학생이 자연 계열이 아닌 인문 모집 선발로 지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수학과 탐구 응시 과목을 지정해 모집 요강에 명확하게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고 봤다. 인문과 자연 트랙으로 분리한 취지에 맞게 학생들이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고 보면 된다.

Q 학생부종합전형인 네오르네상스전형의 한의예과(인문), 간호학과(인문), 지리학과(인문)도 자연 성향 학생들이 지원하는 편인가?

2025학년에는 간호학과, 건축학과가 자연 트랙으로 간다. 인문은 선발하지 않는다. 다만 한의예과와 지리학과는 문·이과 융합 과정의 성격이 있어 분리 선발을 유지하기로 했다. 경희대 지리학과는 공간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GIS가 정보기술과 융합하고 있고, 한의예과는 국제화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인문과 자연 성향 학생들이 어우러져 공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학과의 요구였다. 2025학년부터는 순수 인문 전공인 문과대학, 외국어대학과 한의예(인문)은 수능 최저 기준에 사탐을 지정하고, 가산점을 부여한다. 사회 계열은 응시 과목에 제한이 없다. 자연 계열은 수학 지정 과목을 없애고, 과탐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것으로 최종 정리됐다. 교차지원은 사실 정시에서 더 문제였다. 교차지원한 학생들의 중도 포기율이 20%가량으로 나타났고, 학점 관리도 잘되지 않는 상황이다. 이런 고민이 반영됐다.

학생부종합전형에서도 분리 선발하는 학과의 경우 각 트랙에 맞게 지원하길 기대한다. 수학과 사회 과목을 주로 이수한 학생들은 인문, <미적분>과 과학 과목을 주로 이수한 학생들은 자연 트랙으로 지원해달라는 것이 대학의 입장이다. 트랙을 바꿔 교차지원한 학생들 중 실제 합격한 사례가 없다고 보면 된다.

Q 학업 역량의 학업 성취도와 진로 역량의 전공(계열) 관련 교과 성취도를 평가할 때 차이가 있다면?

자연 계열은 명확하다. 학업 역량의 학업 성취도에서는 석차등급과 원점수를 비롯해 전 과목을 살펴보고, 진로 역량에서는 주로 수학,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전공(계열) 관련 교과 성취도를 본다. 인문사회 계열은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교과를 중심으로 본다. 예를 들어 경영학과의 경우 영어와 수학 성적이 상대적으로 우수한지는 진로 역량의 교과 성취도, 전 과목은 학업 역량의 학업 성취도가 될 것이다. 평가자 입장에서 보면 동시에 일어나는 일이기에 각각 따로 평가한다기보다 전반적인 성취도를 보다가 지원 학과 관련 성취도가 우수한지 따져보는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Q 경희대는 학생부전형 가이드북을 통해 자연 계열 전공 학문 분야의 권장 과목을 가급적 이수하라고 명시하고 있다. 권장 과목을 이수하지 않은 학생들은 어떻게 평가할 계획인가?

경희대는 이미 학과별 인재상이 있었고, 관련 과목을 선택해 이수했는지 여부가 평가 요소 중 하나였다. 5개 대학의 공동 연구를 통해 권장 과목을 제한적으로 안내했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경쟁률

Top 5 Bottom 5

지역균형 네오르네상스 논술우수 지역균형 네오르네상스 논술우수

약학과(4) 28.25 생물학과(13) 51.69 한의예과(인문)(5) 339.4 도예학과(4) 3 도예학과(11) 6.36 환경학및환경공학과(4) 17.5

의예과(11) 27.91 유전생명공학과(13) 32.92 약학과(8) 205.75 국제학과(13) 4.15 글로벌한국학과(1) 7 식물·환경신소재공학과(4) 17.75

응용화학과(7) 26.29 화학과(8) 29.25 의예과(15) 197.53 중국어학과(6) 4.17 응용수학과(7) 7.71 한방생명공학과(4) 19.5

식물·환경신소재공학과(3) 25 약학과(14) 28.14 치의예과(11) 169.82 지리학과(자연)(4) 4.75 응용물리학과(7) 7.86 원자력공학과(8) 20

한의예과(인문)(3) 24.67 정치외교학과(14) 25.79 국어국문학과(7) 113.43 의류디자인학과(4) 4.75 스페인어학과(12) 8.08 응용수학과(4) 20.25

※ ( ) 안은 학과별 모집 인원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입시 결과

4.5

1

1.5

2

2.5

3

3.5

지역균형 네오르네상스

1.1

2.1

2.45

4.3

3.075

2.4

1.5

1.7

1.9

4

최하위 등급

최상위 등급

25%

50%

75%

※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은 입학처 발표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 평균 기준

※ 네오르네상스전형의 경우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 평균을 기준으로 최상위 학과 합격 등급은 1.1, 상위 25% 학과는 2.1, 50% 학과는 2.45, 75% 학과는 3.075, 최하위 학과는 4.3등급이라는 의미다.

※ 인문: 국어, 영어, 수학, 사회, 한국사 전 과목 평균 등급

자연: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전 과목 평균 등급

예체능: 국어, 영어 전 과목 평균 등급

교과 등급 상위 5개 학과(합격 평균 등급 기준)

지역균형 네오르네상스

1 의예, 한의예 1 의예 1.1

2 치의예 1.1 한의예(자연) 1.4

3

한의예(자연), 약학과,

디지털콘텐츠, 체육학과 1.2

한의예(인문) 1.6

4 시각디자인 1.3 치의예, 간호(자연), 디지털콘텐츠 1.7

5 생물학과, 유전생명공학 1.4 조리&푸드디자인, 간호(인문) 1.8

교과 등급 하위 5개 학과(합격 평균 등급 기준)

지역균형 네오르네상스

1 도예학과 2.4 물리학, 화학 4.3

2 스페인어학, 한국어학 2.3 러시아어학, 일본어학 4.2

3 중국어학과 2.2 스페인어학,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4.1

4 프랑스어학, 러시아어학, 일본어학, 태권도학 2.1 프랑스어학, 중국어학, 한국어학 3.9

5

글로벌커뮤니케이션, 조리&푸드디자인,

주거환경, 지리학(자연),

사회기반시스템공학 2

응용영어통번역학 3.6

● 전형별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전형 분류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고·영재학교 기타

지역균형 94.3% 0.2% 0% 0% 5.5%

네오르네상스 73.5% 4.2% 17.7% 3% 1.6%

논술우수 80.4% 11.9% 1% 3.8% 2.9%

※ 2023 대입 대학 알리미 자료 기준

자문 교사의 2024 경희대 합격 Adivice

경희대는 2023학년 지역균형전형에서 서류 평가를 도입했다. 서류 평가 시 교과 학습 발달 상황을 A~C 3단계 절대평가로 정성 평가했다. 이에 따라 입시 결과에 변화가 있을거라 예상했지만, 교과 등급의 영향력은 여전했다. 2022학년에 서류 평가 없이 진행된 고교연계전형과 2023학년 지역균형전형 결과를 비교해보는 게 좋다. 단, 의예과 등 최상위 학과의 경우 수능 최저 기준을 충족한 교과 등급 1.0 지원자의 불합격 사례가 상당수 확인돼 서류 평가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2024학년에는 A~C평가 점수 차이를 5점에서 3점으로 줄여 A(50), B(47), C(44)로 평가한다. 서류 평가의 영향력은 낮아지고, 교과 등급의 영향력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네오르네상스전형의 서류 평가 항목은 학업 역량(30%), 진로 역량(50%), 공동체 역량(20%)이다. 이 중 비율이 가장 높은 진로 역량의 평가 항목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진로 역량의 경우 전공(계열) 관련 교과 이수 노력, 전공(계열) 관련 교과 성취도, 진로 탐색 활동과 경험 3가지로 평가된다. 입학처 홈페이지에 게시된 ‘대학 자연 계열 전공 학문 분야의 교과 이수 권장 과목 안내’를 반드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학과별 이수 권장 과목을 제시할 뿐 아니라 <2024 경희대 학생부전형 가이드북>에서도 ‘가급적 이수’하라고 명시하고 있다. 타 대학에 비해 선택 과목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지원 시 유의해야 한다.

입학처 홈페이지에 공개된 네오르네상스전형 합격자 평균 등급 범위는 1.1~4.3등급으로 편차가 큰 편이다. 합격자 고교 유형에서도 자사고 및 특목고가 25%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대학 발표 자료뿐 아니라 학교 상담을 통해 지원 고교의 경희대 합격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고, 이를 공개적으로 명시했다고 보면 된다.이번에 발표한 교과 이수 권장 과목은 ‘핵심 과목’과 ‘권장 과목’으로 구분된다. 핵심과목은 학과 공부를 위해 ‘필수 이수’를 권장하는 과목이고, 권장 과목은 ‘가급적 이수’를 권장하는 과목이다. 경희대 평가에서는 지역균형전형과 네오르네상스전형에서 반영 정도에 차이가 있다. 지역균형전형의 경우 지원하는 모집 단위에 필요한 핵심 과목 이수 여부를 좀 더 엄격하게 볼 계획이다. 충족하지 못했다면, 다른 전형을활용해 지원하라는 의미다. 반면 네오르네상스전형에서는 일부 과목을 이수하지않았지만 수학, 과학 교과의 전반적인 성취도가 우수하다면 크게 문제되지 않을 것이다.<확률과 통계>의 경우 아직까지는 지원 학생의 학교 교육과정에 따라 이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핵심 과목으로 제시한 모집 단위는 산업경영공학과, 응용화학과,화학과, 간호학과 등 일부다. 그 외 모집 단위는 권장 과목으로 설계했기 때문에 올해 평가에서 큰 문제는 없다. 지원 시 모집 단위별 핵심 과목을 기준으로 전형을 결정하면 참고가 될 것이다.Q 네오르네상스전형에서 면접의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충원 합격까지 고려하면 면접의 영향력이 당락을 바꿀 정도로 크다고 말하긴 어렵다. 대체로 80%가량은 서류 평가 순서대로 합격한다고 보면 된다. 면접을 잘 봐야한다는 강박을 갖기보다 평균적인 점수를 목표로 하면 부담이 덜할 것이다. 보통 종합전형의 면접 질문을 ‘꼬리 물기’ 방식이라고 표현한다. 학생부에 나타난 활동의과정을 묻는 질문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질문의 요지를 잘 파악해 간략하게 핵심만답하는 것이 좋다. 최근에는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에 기록된 수업 활동을 검증하는 질문이 늘어나는 추세라는 점을 참고하자.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2024 인원

2023 인원

9.11(월)~

13(수) 18:00

원서 접수

9.15(금)

이후 안내

지역균형

대상자 입력

11.16(목)

수능 시험

11.18(토)~19(일)

논술우수

논술고사

12.15(금)

전형 전체

최종 합격 발표

12.2(토)~3(일)

네오르네상스

면접

11.22(수)

네오르네상스

1단계 합격 발표

지역균형 네오르네상스

578555

1,092 1,100

교과 종합

지역균형

20.0%

기회균형 5.7%

네오르네상스

37.7%

논술

16.7%

기타

16.9%

고른기회

3.1%

고른기회

90 90

기회균형

165 165

483487

논술

논술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고려대 04

학교추천전형 재학생으로 제한, 학생부종합전형 모집 인원 증가 주목

고려대는 학생부교과전형으로 학교추천전형,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을 적용하는 학업우수전형과 최저 기준이 없고 면접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계열적합전형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올해 고려대 수시 모집은 변화가 상당하다. 지난해까지 졸업생도 추천할 수 있었던 학교추천전형은 올해부터 재학생만 추천할 수 있다. 학교추천전형과 학업우수전형에서는 수능 최저 기준을 완화해 지원 문턱을 낮췄다.

종합전형의 경우 모집 인원을 늘려 1천593명에서 251명 증가한 1천844명을 선발한다. 고려대 인재발굴처 최미정 책임입학사정관에게 올해 지원자가 특히 중요하게 살펴야 할 점을 들었다.

취재 정애선 소장(내일교육 부설 교육정책연구소 헤리티지내일) asjung@naeil.com

Q 학교추천전형의 모집 인원이 870명에서 679명으로 줄어 감소 폭이 크다. 반면 학업우수전형과 계열적합전형의 모집 인원은 각각 915명에서 1천6명, 495명에서 632명으로 증가했다. 모집 인원에 변화를 준 이유는?

일찌감치 학교추천전형을 권장 수준보다 많은 모집 인원으로 운영해왔다. 모집 인원 변화에는 대내외적 상황이 영향을 미쳤다. 올해부터 지원 자격을 재학생으로 제한한 데다 학업우수 전형과 중복 지원을 막았다. 정부의 대입 개편안에 따라 추천형 교과전형으로 선발하는 대학이 늘면서 지원자 풀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모집 인원의 적정선을 고민해야 했다. 교과 성적은 최상위지만 학교추천전형의 수능 최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불합격하는 일반고 학생들이 계열적합전형에도 지원할 수 있도록 선택지를 넓히자는 취지도 있었다. 각 전형의 모집 인원 변화에는 이런 전반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

Q 졸업생도 지원할 수 있었던 학교추천전형의 지원 자격이 재학생으로 제한됐다. 기존 재학생과 졸업생의 지원 및 합격 비율은?

지난해 재학생 지원 비율은 88.5%, 졸업생은 11.5%였다. 이 중 총 합격자 비율은 재학생 93.5%, 졸업생 5.5%였다. 2022학년에는 재학생 지원 비율이 91.3%, 졸업생이 8.7%였고, 총 합격자 비율은 재학생 96.7%, 졸업생 3.3%였다. 졸업생의 지원 및 합격 비율이 늘어나는 추세다. 학교추천전형은 일반고 재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한 전형이다. 전형 취지가 분명하기에 좀 더 부합할 수 있도록 지원 자격을 재학생으로 제한했다. 다시 원래대로 돌아갔다고 보면 된다.

2024 고려대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교과

학교

추천

교과 80+서류 20

※ 3학년 재적 4% 이내 인원의

재학생 추천

※ 학업우수와 중복 지원 불가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한 최저

인문 ○ ○ ○ 2

4

3합 7

자연(의과대학 제외) ○ ○ ○ 2 3합 7

의과대학 ○ ○ ○ 2 4합 5

종합

학업

우수

[1단계] 서류 100(6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한 최저

인문 ○ ○ ○ 1

4

4합 8

반도체공학, 차세대통신,

스마트모빌리티(A)

○ ○ ○ 1 4합 7

자연(A, 의과대학 제외) ○ ○ ○ 2 4합 8

의과대학 ○ ○ ○ 2 4합 5

계열

적합

[1단계] 서류 100(5배수)

[2단계] 1단계 50+면접 50

없음

고른

기회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없음

사이버

국방

[1단계] 서류 100(5배수)

[2단계] 1단계 60+면접 20+기타 2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한 최저

사이버국방 ○ ○ ○ 2 4 4합 7

특기자

사이버

국방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60+면접 20+기타 20

디자인

조형

[1단계] 서류 100(5배수)

[2단계] 1단계 60+면접 4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한 최저

디자인조형 ○ ○ ○ 1 4 3합 8

체육

교육

[1단계] 서류 70+교과 25+출결 5

(5배수)

[2단계] 1단계 80+면접 2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한 최저

체육교육 ○ ○ ○ 1 ○ 2합 7

※ 교과 성적으로 수능 최저 대체 가능(요강 참조)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사/과’ 는 응시 과목 수를 의미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국(국어), 확(확률과 통계), 미/기(미적분/기하), 영(영어), 사(사탐), 과(과탐),

한(한국사)

Q 2023학년부터 학교추천전형과 학업우수전형의 중복 지원을 금지한 배경은? 이에 따라 입시 결과에 어떤 변화가 있었나?

두 전형의 중복 지원과 중복 합격이 지나치게 많았다. 일괄 전형인 학교추천전형은 큰 문제가 없는데, 학업우수전형은 단계별 전형이기 때문에 1단계 합격자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학업우수전형의 면접 대상자 배수를 늘렸지만, 이를 상쇄할 정도로 중복 합격이 늘어났다.

두 전형의 중복 지원이 가능했을 때 학업우수전형은 좀 더 희망하는 모집 단위로, 학교추천전형은 안정적인 모집 단위로 지원하는 경향이 있었다. 과거 중복 지원이 금지됐을 때 학교추천전형의 비인기 학과 경쟁률이 저조한 편이었는데, 올해도 이런 현상이 다시 재현될 가능성이 있다. 학업우수전형의 합격선은 다소 낮아질 가능성이 있고, 학교추천전형은 모집 단위별 편차가 더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 고려대에 합격하길 원하는 학생이라면 경쟁률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학과를 적극 고려해 볼 만하다. 학업우수전형의 경우 학교추천전형으로 지원했던 교과 성적 최상위 학생들의 지원이 늘면서 졸업생의 합격 비율이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Q 종합전형인 학업우수전형과 계열적합전형을 놓고 고민하는 학생이라면 어떤 기준으로 선택해야 할까?

두 전형의 평가 방식에 다소 차이가 있다. 학업우수전형은 지원자가 재학한 고교의 교육과정 안에서 이수 과목을 살펴보는 반면 계열적합전형은 모집 단위에 필요한 과목을 제대로 이수했는지 여부를 좀 더 중심에 놓고 본다. 특목고 학생들의 경우에도 모집 단위에 필요한 과목을 이수하지 않았다면 계열적합전형에서 불리할 수 있다. 외고 학생들이 사회과학 계열에 지원 시 불리할 수 있다는 의미다. 계열적합전형은 이수 과목이 지원하는 모집 단위와 좀 더 부합해야 합격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Q 올해 학교추천전형의 진로선택 과목 평가 방식이 달라졌다. 성취도 등급 변환 시 A를 받았다면 성취도별 분포 비율과 상관없이 모두 1등급을 적용하기로 한 배경은?

학교추천전형의 지원 자격도 달라졌고, 중복 지원도 금지했기 때문에 굳이 성취도 A의 분포 비율까지 고려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다. 학교 현장의 성취도 평가도 어느 정도 안정됐다고 본다. 학교추천전형 지원자의 교과 성적은 워낙 조밀하게 모여 있기에 전년 대비 어느 정도 상향 조정될 수 있겠지만, 큰 영향력은 없을 듯하다.

Q 학교추천, 학업우수전형의 수능 최저 기준 충족률을 고려한 실질 경쟁률은? 올해 최저 기준 완화로 충족률이 어느 정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나?

지난해 학교추천전형의 수능 최저 기준 충족률은 인문 58.2%, 자연 65.3%였다. 학업우수전형은 인문 45.3%, 자연 63.4%였다. 결과적으로 학교추천전형의 경쟁률은 11.32:1에서 최저 기준 충족률을 반영한 실질 경쟁률은 7.01:1로, 학업우수전형의 경쟁률은 17.09:1에서 면접 응시율과 최저 기준 충족률을 반영한 실질 경쟁률은 면접 단계 기준 2.18:1로 집계됐다. 올 수능난도가 어떻게 될지 알 수 없어 정확하게 말하긴 어렵지만, 최저 기준 완화의 영향으로 충족률은 작년 기준 평균 10%p 정도 상향될 것으로 예상한다.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경쟁률

Top 5 Bottom 5

학교추천 학업우수 계열적합 학교추천 학업우수 계열적합

지구환경과학과(8) 22.63 식품공학과(10) 32.9 의과대학(15) 24.47 일어일문학과(9) 5.78 사이버국방학과(5) 6.2 서어서문학과(10) 9.6

의과대학(30) 21.6 바이오의공학부(16) 32.31 철학과(4) 22.25 사학과(10) 6.1 역사교육과(7) 10.14 수학교육과(5) 9.8

통계학과(15) 18.93 컴퓨터학과(14) 29.86 식품자원경제학과(3) 21.33 국제학부(5) 6.6 반도체공학과(10) 10.5 스마트모빌리티학부(15) 10.13

바이오의공학부(15) 18.8 지구환경과학과(7) 28 정치외교학과(7) 21.29 사회학과(17) 6.71 국어국문학과(12) 10.83 가정교육과(2) 11

식품공학과(10) 18.6 보건환경융합과학부(17) 27.24 생명과학부(11) 20.73 자유전공학부(20) 6.8 영어영문학과(23) 11 영어교육과(8) 11.25

※ ( ) 안은 학과별 모집 인원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입시 결과

5.5

5

4.5

4

3.5

3

2.5

2

1.5

1

학교추천 계열적합 학업우수

1.18

1.73 1.63

3.63

2.12

2.29

2.85

5.07

2.65

3.09

3.72

2.05

1.51

1.66

1.82

최하위 등급

최상위 등급

25%

50%

75%

※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은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 발표 70% 컷 기준

※ 계열적합전형의 합격자 70% 컷 기준으로 최상위 학과 합격 등급은 1.73, 상위 25% 학과는 2.65등급, 50% 학과는 3.09등급, 75% 학과는 3.72등급, 최하위 학과는 5.07등급이라는 의미다.

교과 등급 상위 5개 학과(70% 컷 기준)

학교추천 학업우수 계열적합

1 의과대학 1.18 컴퓨터 1.63 수학교육 1.73

2 수학교육 1.3 의과대학 1.66 의과대학 2.01

3 역사교육 1.42 수학교육 1.74 교육학 2.03

4 국제학, 자유전공,

전기전자, 화공생명 1.44

반도체공학 1.89 정치외교 2.22

5 미디어학 1.91 미디어학 2.27

교과 등급 하위 5개 학과(70% 컷 기준)

학교추천 학업우수 계열적합

1 독어독문 2.05 노어노문 3.63 지구환경과학 5.07

2 언어학 2.04 중어중문 3.47 식품공학 4.54

3 불어불문 2.03 독어독문 3.43 반도체공학 4.23

4 가정교육 1.93 일어일문 3.38 산업경영공학 4.2

5 건축사회/보건정책 1.87 서어서문 3.26 수학과 4.09

● 전형별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전형 분류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고·영재학교 기타

학교추천 94.5% 2.5% 3.0% 0% 0%

학업우수 60.6% 23.1% 15.3% 1.0% 0%

계열적합(인문) 13.7% 12.3% 74.0% 0% 0%

계열적합(자연) 7.7% 10.9% 0% 81.0% 0.4%

※ 2023 대입 대학 알리미 자료 기준

자문 교사의 2024 고려대 수시 합격 Adivice

고려대는 교과전형인 학교추천전형과 종합전형 중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학업우수전형에 수능 최저 기준을 적용한다. 따라서 지원 전형을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수능 성적이다.

학교추천전형은 종합전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낮다. 올해부터 재학생만 추천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합격 확률이 높은 전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입시 결과를 살펴보면 학과 대부분이 70% 컷 기준 1등급대의 높은 성적을 보이는 동시에 성적 편차가 다른 전형에 비해 크지 않은 점을 유의해야 한다. 또 교과 성적이 높은 지원자가 대부분이어서 20%의 서류 평가가 당락을 좌우할 수 있다.

학교추천전형의 서류 평가 비율은 교과 이수 충실도 70%, 공동체 역량 30%로 지원 학과를 선택할 때 자신의 일반선택, 진로선택 이수 과목을 살펴봐야 한다.

올해 고려대 종합전형은 예년에 비해 모집 인원이 대폭 증가한 만큼 합격 가능성도 커졌다고 볼 수 있다. 종합전형 지원을 고려한다면 수능 최저 기준 적용 여부와 함께 작년 수시 결과를 살펴보고 자신에게 적합한 전형을 고민해야 한다. 1단계 통과를 위해 모집 요강에서 공개한 평가 요소인 학업 역량, 자기계발 역량, 공동체 역량의 세부 사항을 꼼꼼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 학업우수, 계열적합, 고른기회전형의 2단계 면접은 제시문을 활용한 심층 면접으로 진행되는 만큼 미리 준비해야 한다. 대학에서 공개한 선행학습 영향 평가 보고서의 기출문제와 입학처에서 제작한 면접 대비 영상을 참고하자.

한편 고려대는 2024학년 정시에서 수능 성적 80%에 교과 성적 20%를 반영하는 교과우수전형을 신설했다. 정시에서 고려대에 합격하려면 3학년 2학기에도 성실히 학교생활을 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하자.

Q 고려대를 비롯해 5개 대학이 자연 계열을 중심으로 교과 이수 권장 과목을 발표했다. 올해 서류 평가에 어떻게 반영할 계획인가?

<확률과 통계> 이수 여부는 고교별 교육과정 편성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바로 평가에 반영하지는 않을 계획이다. <기하>는 수학과나 수학교육과 등 모집 단위 특성상 반드시 필요한 경우 학교에서 개설했는데도 미이수했을 때 감점 요인이 될 수 있다. 다만 그 외 자연 계열 모집 단위는 <기하>를 이수했다면 물론 좋겠지만, <미적분>만 이수해도 따로 감점을 주진 않을 계획이다. 과학은 상식적 수준에서 이수 과목을 판단한다. 모집 단위에 필수적인 과학 Ⅰ·Ⅱ과목을 2개 정도 이수했다면 감점은 없다. 신소재공학부는 <물리학Ⅰ·Ⅱ> <화학Ⅰ·Ⅱ>, 의대는 <생명과학Ⅰ·Ⅱ> <화학Ⅰ·Ⅱ> 등 상식적인 수준에서 필요한 과목을 이수했는지 확인할 예정이다.

Q 고려대 종합전형의 면접을 잘 준비할 수 있는 팁이 있다면?

고려대 면접은 생각할 시간을 충분히 주고, 문항을 최소화하되 답변의 깊이를 보려는 경향이 강하다. 또 문항의 연결고리가 중요하다. 1번에서 2번으로 갈 때 확장과 심화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이 과정에서 논리적 흐름이 깨지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제시문을 충분히 읽고 문항에서 무엇을 묻는지 파악한 뒤 논리적 흐름을 갖출 수 있도록 답변을 이어가면 좋다. 면접 시간을 충분히 활용하는 건 좋지만, 문항별 시간을 기계적으로 배분하는 방식은 추천하지 않는다. 핵심을 잘 말할 수 있다면 답변 시간을 일부러 늘려 중언부언할 필요는 없다. 그보다는 면접관이 답변 중 보충이 필요한 부분이나 답변 도출을 위한 사고 과정을 다시 물어볼 수 있는 시간을 주는 것도 추천할 만하다.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학교추천

교과

9.11(월)~13(수)

17:00

9.18(월)~22(금) 10.27(금)

12.15(금)

11.3(금)

11.25(토)~26(일)

11.4(토)

11.21(화) 11.16(목) 11.11(토)~12(일)

2024 인원

2023 인원

학업우수 계열적합

종합

고른기회 특기자

특기자

기타

학업우수

38.8%

계열적합

24.4%

고른기회

7.3%

특기자 2.7%

기타 0.6%

학교추천

26.2%

679

870

1,006

915

632

190

70

16

495

168

70

15

원서 접수

학교추천

대상자 입력

고른기회 1단계

합격 발표

학교추천 학업우수

최종 합격 발표

계열적합 1단계

합격 발표

학업우수

면접

고른기회

면접

계열적합 고른기회

최종 합격 발표

계열적합

면접

수능 시험

학업우수

1단계 합격 발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국립공주대 05

수시 모집 인원 소폭 확대

교과전형 중복 지원 활용 추천

국립공주대는 올해 사범 계열 508명을 포함해 2천815명을 수시로 선발한다. 2023학년과 비교해 수시 선발 인원이 소폭 증가했다.

교과전형은 일반(교과)과 지역인재로 교과 100%를 반영해 선발하며 학과별로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이 상이해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종합전형인 일반(종합)은 모집 단위 중 천안공과대학과 산업과학대학을 제외하고 면접을 포함한 2단계 전형으로 모집한다. 국립공주대 입학본부 임규홍 입학팀장에게 올해 수험생이 주목해야 할 점을 들어봤다.

취재 정나래 기자 lena@naeil.com

Q 올해부터 교과전형에 진로선택 과목의 성취 등급을 반영하는 이유는?

고교 교육과정의 변화를 고려하면서 학생의 부담은 최소화하는 방법을 모색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본인의 적성과 진로에 따라 선택 과목을 이수하게 됐고, 대입 전형에도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지역·학교별 여건이 상이하지만 3과목 이상은 이수할 수 있으므로, 상위 3과목의 평균을 반영하게 됐다.

Q 일반(교과)와 지역인재 전형 지원·합격자 간 차이가 있었나?

지역인재전형은 그간 일반전형에 비해 커트라인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는 인식이 컸으나 2023학년 대입 결과를 살펴보면 일부 모집 단위에서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다. 선발 인원, 모집 단위의 특성, 수험생의 선호도에 따라 성적의 편차가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 2023학년까지의 교과전형 결과를 보면 사범대학을 제외하고, 3∼5등급의 합격생이 많았으나, 일부 모집 단위에서 6∼7등급의 지원자가 추가 합격하는 사례가 있었다. 결국 지원하려는 모집 단위의 지난 3~5년간의 전형 결과를 확인·판단해야 하는데, 학생이 개별적으로 정리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 따라서 교과전형을 지원하는 수험생은 우선 최저 기준 충족 여부를 고려하고, 대학의 산출 방법에 따라 본인의 성적을 산출한 후, 본교 입학 상담(041-850-0111, ipsi.konjgu.ac.kr)을 통해 검증하고 지원 여부를 결정하길 추천한다. 2024학년은 입학 자원의 감소, 수도권 대학 선호도 확대 및 국립공주대 수시 모집 인원 증가 등의 영향이 미칠 수 있으므로, 최저 기준 충족 가능성이 높은 모집 단위에 적극적으로 지원하길 추천한다. 또한 지역인재전형의 지원 자격을 충족한다면 일반(교과)전형과의 중복 지원 등 기회를 충분히 활용해봐도 좋겠다.

Q 종합전형인 일반(종합)의 모집 인원이 소폭 증가한 배경은? 또 A+에서 F까지 9단계 척도로 서류를 평가하는데 합격자가 주로 위치하는 구간이 궁금하다.

2024 국립공주대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교과

일반

(교과)

교과 10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수학교육과 ◯ 필수 ◯ 1 3합 10

사범1 ◯ ◯ ◯ 1 3합 10

사범2, 간호 ◯ ◯ ◯ 1 3합 12

인문사회과학대학

국제학부

◯ ◯ ◯ 1 3합 13

간호보건대학

인공지능학부

◯ ◯ ◯ 1 3합 14

자연과학대학

천안공과대학

◯ ◯ ◯ 1 3합 15

산업과학대학 ◯ ◯ 1 3합 17

지역

인재

종합

일반

(종합)

[1단계] 서류 100(4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단, 천안공과대학,

산업과학대학은 [일괄] 서류 100)

없음

고른

기회

※ 사범1: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윤리교육과 교육학과 역사교육과 일반사회교육과 지리교육과

물리교육과 화학교육과 생물교육과 지구과학교육과 체육교육과

※ 사범2: 한문교육과 경영금융교육과 문헌정보교육과 특수교육과 유아교육과 환경교육과

컴퓨터교육과 기술가정교육과 음악교육과 미술교육과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사/과’ 는 응시 과목 수를 의미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국(국어), 확(확률과 통계), 미/기(미적분/기하), 영(영어), 사(사탐), 과(과탐)

학생부종합(일반전형)의 모집 인원이 2023학년 1천3명(22.8%)에서 2024학년 1천415명(26.9%)으로 늘었다. 정시를 축소하고 수시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일반(종합)과 일반(교과)을 고르게 증원한 결과다. 또 서류 평가 결과 면접 대상자의 점수는 대개 A+에서 B0 사이에 위치한다.

Q 지난 종합전형 서류 평가에서 전공 적합성과 발전 가능성을 잘 보여준 사례를 소개한다면?

서류 평가는 학생부의 전반적인 내용을 종합적으로 살피되, 지원 학과에 대한 관심과 뚜렷한 진로 목표를 바탕으로 고교 생활을 얼마나 성실하고 충실히 했는지를 본다. 평가 요소 중에는 전공 적합성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지만, 모집 단위 특성에 따라 다소 상이할 수 있다. 전공 관련 비교과 활동의 단순히 양적인 부분이 아닌 내실 있는 학교 활동에 주목하며, 교과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예를 들면 국어 교사를 목표로 삼은 한 지원자가 국어 과목 도우미 활동을 하며 지식을 나누는 ‘배움의 의미’를 깨우치고, 다양한 분야의 책을 많이 읽는 한편 학교 도서관을 활용한 독서 교육 방안을 탐구해 교내 과제 연구 발표대회에 참가했으며, 문학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개별화된 열린 교육법을 조사·토론한 후 자율동아리에서 모의 문학 수업을 진행한 사례가 있었다. 교과 수업을 비롯해 각 활동의 본래 목적에 충실하면서, 본인의 관심 분야와 연계해 깊이 있게 접근하고 단순 조사나 감상에 그치지 않고 토론이나 실제 모의 수업 진행 등 직접 활용해 보며 역량을 높였다는 점이 인상 깊었던 사례라 할 수 있다.

Q 종합전형은 2단계에서 면접을 30% 반영한다. 대비법을 조언한다면?

첫째, 서류 기반 면접인 만큼 학생부 내용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학 홈페이지의 선행학습 영향 평가 보고서 또는 모집 요강의 예시 문항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면접 시간은 10분 정도다. 질문을 듣고 의도를 파악해 간결하게 답변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특히 평가에 활용되는 학생부 항목이 많이 줄어 서류만으로 학생의 진면목을 파악하기가 어려워졌다. 면접은 대학에 학생이 관심 분야에 대한 열정, 성실한 학교생활, 전공 관련 역량을 자세히 전달할 기회다. 실제 서류에선 특별한 성취나 활동을 찾아보기 어려웠던 학생이 면접에서 전공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확고한 목표 의식, 진학 후의 학업·진로 계획을 드러낸 사례가 있다. 다만, 면접 자체에 부담을 느껴 본인의 역량을 충분히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모의 면접 등을 통해 생각을 간결하게 정리하고 자신 있게 답변하는 훈련을 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로 올해 천안공과대학과 산업과학대학의 일반(종합)전형은 면접 없이 서류 100%로 선발한다. 그 외 면접을 시행하는 모집 단위에서 경쟁률이 4:1 수준에 머문다면, 지원자 전체가 면접 대상자가 될 수 있다. 학생부가 모집 단위 특성이나 인재상에 다소 부합하지 않더라도 면접에서 보완할 기회가 있음을 고려해 지원 모집 단위를 선택하길 바란다.

Q 국립대로서의 경쟁력을 소개한다면?

국립공주대는 충남과 세종을 대표하는 국립대다. 공주사범대학이 모태로, 1991년 종합대 승격 이후 현재 4개 캠퍼스에 7개 단과대학, 일반대학원·특수대학원을 갖춘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경쟁률

Top 5 Bottom 5

일반(교과) 지역인재 일반(종합) 일반(교과) 지역인재 일반(종합)

사회복지학과(12) 23.8 경영학과(6) 15.7 간호학과(16) 26.6 지역사회개발학과(12) 3.3 전기전자제어공학부(28) 3.3 응용수학과(7) 3

음악교육과(11) 14.5 그린스마트건축공학과(3) 11 게임디자인학과(7) 21.7 산업시스템공학과(20) 3.5 응용수학과(7) 3.6 디지털융합금형공학과(4) 3.3

윤리교육과(4) 14 소프트웨어학과(8) 10.6 응급구조학과(9) 20.3

미래자동차공학과(18),

디지털융합금형공학과(12),

인공지능학부(20) 3.8

미래자동차공학과(5) 3.8 데이터정보물리학과(8) 3.8

특수동물학과(9) 12.4 컴퓨터공학과(8) 10.1 영상학과(9) 19.3 도시융합시스템공학과(13) 4 화학공학부(12) 3.9 물리교육과(10) 3.9

생물교육과(5) 11.8 사회복지학과(6) 9.5 경영학과(9) 17.3 식물자원학과(19) 4.1 기계자동차공학부(24) 4 산업유통학과(5) 4

※ ( ) 안은 학과별 모집 인원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입시 결과

6.5

6

5.5

5

4.5

4

3.5

3

2.5

2

일반(교과) 지역인재 일반(종합)

2.28

3.10

2.03

6.16 6.25

4.15

3.77

4.68

5.36

4.58

5.12

6.50

3.39

4.33

5.03

최하위 등급

25%

50%

75%

최상위 등급

※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은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 발표 70% 컷 기준

※ 종합전형인 일반(종합)의 경우 합격자 70% 컷 기준으로 최상위 학과 합격 등급은 2.03, 상위 25% 학과는 3.77, 50% 학과는 4.68, 75% 학과는 5.36, 최하위 학과는 6.25등급이라는 의미다.

교과 등급 상위 5개 학과(70% 컷 기준)

일반(교과) 지역인재 일반(종합)

1 윤리교육과 2.28 간호학과 3.1 상업정보교육과 2.03

2 화학교육과 2.29 경영학과 3.68 역사교육과 2.57

3 생물교육과 2.39 보건행정학과 3.73 일반사회교육과 2.58

4 국어교육과 2.45 컴퓨터공학과 3.81 화학교육과 2.84

5 기술·가정교육과 2.47 사회복지학과 3.96 교육학과 2.86

교과 등급 하위 5개 학과(70% 컷 기준)

일반(교과) 지역인재 일반(종합)

1 스마트수산자원학과 6.5 정보통신공학과 6.16 데이터정보물리학과 6.25

2 지역건설공학과 6.26 데이터정보물리학과 5.99 응용수학과 6.21

3 지역사회개발학과 5.75 기계자동차공학부 5.48 디지털융합금형공학과 6.15

4 원예학과 5.74 스마트인프라공학과 5.43

스마트수산자원학과,

지역건설공학과 6.08

5 산림과학과 5.66 화학공학부 5.36 식물자원학과 5.95

● 전형별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전형 분류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고·영재학교 기타

교과전형 95.70% 0.28% 0% 0% 4%

종합전형 92.37% 0.72% 2.01% 0.14% 4.80%

※ 2023 대입 대학 알리미 자료 기준

자문 교사의 2024 국립공주대 합격 Adivice

국립공주대는 선호도 높은 사범대학 외에 다수 학과에서 교직 과정을 설치·운영한다. 비사범대학에서도 교사가 될 길을 열어둔 셈이다. 교사를 희망하지만 성적이 상대적으로 낮은 학생은 모집 요강의 교직 과정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학과를 선택하면 교직의 꿈을 이어나갈 수 있다.

교과전형의 교과 평가는 등급이 산출되는 전 과목으로 계산되는 교과 점수 900점과 출결 100점을 합산하고, 진로선택 과목 성적 상위 3과목 성취도를 가산점으로 부여한다. 이때 교과 점수는 기본 점수 500점에 1등급 400점, 2등급 350점, 3등급 300점 등 9등급까지 50점씩 차등을 둔다. 따라서 등급이 산출되는 전 과목 성적이 고른 학생이 높은 교과 환산점을 얻는다.

일반(교과)과 지역인재의 교과 성적을 비교하면 일반적으로 지역에 제한이 없는 일반(교과)의 성적대가 높다. 하지만 전년도엔 영어영문학과 행정학과 컴퓨터공학과 등 일부 학과에서 지역인재의 합격선이 더 높았던 만큼 지역인재 지원이 가능한 학생은 주의가 필요하다. 또 자연과학대학, 천안공과대학, 산업과학대학은 최저 기준이 1등급씩 완화됐다. 해당 학과에서는 최저 기준 충족률 상승에 따라 교과 성적이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이를 감안해 지원 전략을 세워야 한다.

종합전형에서 서류·면접의 평가 요소는 전공 적합성, 발전 가능성, 인성이다. 전공 적합성과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려면 학과 홈페이지에서 교육과정 등을 살펴보고 학교 활동에서 이를 고려하길 권한다. 마지막으로 국립공주대의 입결을 분석하면 경쟁률과 합격 성적 간의 연관성이 높았다. 따라서 섣불리 학과를 확정하기보다 9월 15일(금) 18시 원서 접수 마감 이전 경쟁률 추이를 살펴보면서 지원할 것을 추천한다.

2만2천여 명 규모의 국립종합대로 성장했다. 국립공주대 등록금은 계열에 따라 약 160만 원에서 212만 원 사이이며, 1인당 연간 평균 장학금은 2022년 공시 기준 264만2천 원이다. 졸업생의 취업률은 계열에 따라 편차가 있지만 평균적으로 약 59.0%이며, 유지 취업률은 86.9%다.

특히 학생 수요와 사회 변화에 발맞춰 학사 제도의 변화를 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부전공/복수 전공/연계 전공 등을 통해 학생들의 다채로운 전공 수요를 충족하는 한편, 일부 모집 단위에서 교직 과정을 이수할 수 있고, 평생교육사·사회복지사 자격 취득 과정도 운영한다. 특히 수험생들은 입학 후 모집 단위 이동(전과)에 대한 관심이 높은 편이다. 다만 입학 정원의 여석에 따라 인원이 결정되므로, 많은 학생들이 복수 전공을 이수한다. 입학 정원의 100%까지 승인되므로 참고하라.

Q 국립공주대는 공주, 천안, 예산캠퍼스를 운영하며 세종캠퍼스에 2026년 입주할 예정이다. 각 캠퍼스의 특징이 궁금하다.

공주캠퍼스엔 국립대 중 최대 규모의 사범대학, 지능 정보화 사회의 인문·사회적 현상에 대응할 융복합 인재를 양성하는 인문사회과학대학, 기초과학을 선도하는 자연과학대학, 현장 실무 역량을 갖춘 간호 보건인을 육성하는 간호보건대학, 글로벌 문화예술의 중심인 예술대학, 본부 소속의 국제학부가 있다. 수도권과 인접한 천안캠퍼스에는 배후의 산업단지와 연계해 미래 산업사회를 선도할 공학도를 양성하는 천안공과대학과 본부 소속의 인공지능학부가, 예산캠퍼스에는 미래 농업 사회를 준비하기 위해 농·생명 바이오 과학기술을 학습하는 산업과학대학이 있다. 세종캠퍼스에는 AI와 ICT 관련 학과가 입주할 예정이다. 캠퍼스별로 특성화돼 있어 각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한다.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9.11(월)~15(금)

18:00

10.24(화)~

25(수)

11.16(목) 11.22(수) 11.24(금)~29(수) 12.15(금)

2024 인원 2023 인원

원서 접수

[교과전형]

실기(미술교육과/

음악교육과)

[교과전형]

실기(체육교육과)

[종합전형]

면접

[전형 전체]

최종 합격 발표

수능 시험

[종합전형]

1단계 합격 발표

일반(교과)

교과 종합

지역인재 일반(종합) 고른기회

일반

기타

1365

250

854

50

511

1298

261

723

83

340

※ 세부 사항은 입학처 홈페이지에 게시된 요강 참조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국민대 06

학교생활우수자전형 평가 항목 배점 변경

모빌리티, AI 분야 첨단학과 신설

국민대는 올 수시 모집에서 1천995명을 선발한다. 학생부교과전형인 교과성적우수자전형은 전형명에 명시되지 않았지만, 학교 추천이 필요하다. 학생부종합전형인 학교생활우수자전형은 서류 100%로 선발하며, 평가 항목 배점을 변경해 전공 잠재력과 공동체 의식 및 협동 능력의 비중을 높였다. 국민프런티어전형은 1단계 서류 100%로 선발하고, 2단계에서 면접 30%를 반영한다. 첨단학과로 미래모빌리티학과, AI디자인학과, 인공지능학부, AI빅데이터융합경영학과를 신설해 주목된다. 국민대 수시 주요 사항을 최상은 입학사정관에게 들었다.

취재 정애선 소장(내일교육 부설 교육정책연구소 헤리티지내일) asjung@naeil.com

Q 국민대의 경쟁력 있는 학과들을 소개한다면?

국민대는 14개 단과대학과 53개 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2023학년 학생부종합전형 입시 결과를 살펴보면 자연 계열에서는 기계공학부, 건설시스템공학부, 소프트웨어학부, 인공지능학부의 경우 1~4, 5등급 학생들의 지원자 및 합격자, 등록자가 고루 분포되어 있다. 성적은 조금 부족하더라도 고교 3년 동안 잘 준비된 학생부를 바탕으로 종합전형에 지원한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이 외에도 응용화학부 바이오의약전공, 바이오발효융합학과, 건축학과 등의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국민대가 주최하는 전국 고등학교 조형실기대회, 알고리즘대회 입상 시 소프트웨어특기자 및 미술·조형 특기자전형에 지원할 수 있으니 해당 분야에 관심 있는 학생들은 미리 대회를 준비하는 것도 좋다.

Q 첨단 분야와 관련된 미래모빌리티학과, AI디자인학과, 인공지능학부, AI빅데이터융합경영학과를 신설했다. 어떤 학생들이 지원하면 좋나?

인문 계열의 AI빅데이터융합경영학과는 AI·빅데이터 기술과 경영학의 융합을 통해 경영의사 결정을 위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통찰력을 이끌어낼 능력을 갖춘 디지털 경영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비즈니스애널리스트, 데이터분석가, 빅데이터엔지니어, 데이터과학자, 데이터베이스관리자, 데이터개발자, 데이터컨설턴트, 데이터기획자 등에 관심 있는 학생이 지원하면 좋다.

자연 계열의 인공지능학부는 컴퓨터공학·소프트웨어 기반의 응용 인공지능 교육을 지향한다. 체계적인 컴퓨터공학 및 소프트웨어 기초 교육을 제공하며, 데이터과학과 컴퓨터비전, 자연어처리, 자율주행, 빅데이터 처리, 인공지능 응용 및 융합 등에 관심 있는 학생에게 추천한다. 미래모빌리티학과는 차세대 이동수단의 개발과 실현을 위해 친환경 전동화, AI, 빅데이터, 자율 시스템 분야의 공학 지식 융합을 목표로 한다. 도심항공교통/드론, 딜리버리로봇, 퍼스널 모빌리티, TaaS/MaaS 등 다양한 미래모빌리티 분야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지원하면 좋다. 예체능 계열의 AI디자인학과는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미래 디자인 방법을 탐구하

2024 국민대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교과 교과성적우수자

교과 100

※ 추천인원 제한 없음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인문 ◯ ◯ ◯ 1 2합 5

자연 ◯ ◯ ◯ 1 2합 6

종합

국민프런티어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학교생활우수자 서류 100 없음

기회균형Ⅰ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특기자

어학특기자

[1단계] 어학점수 100(8배수)

[2단계] 1단계 20+면접 50+교과 30

없음

소프트웨어특기자

[1단계] 입상실적 100(3배수)

[2단계] 1단계 20+면접 50+교과 30

없음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사/과’ 는 응시 과목 수를 의미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국(국어), 확(확률과 통계), 미/기(미적분/기하), 영(영어), 사(사탐), 과(과탐)

며, 인공지능 적응형 디자이너 양성을 목표로 한다. 스마트시티 도시계획, 스마트 스페이스 계획, 데이터 기반 디자인, 고객 AI 감정 분석, AI 컨설팅, AI 서비스 기획, 빅데이터 고객 커뮤니케이션 분야, 생체신호 평가 분야, 홀로그램/VR/AR 분야, 서비스 빅데이터 분석가, 미래 모빌리티 기획 및 디자인, 사물인터넷 등에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 적합하다.

Q 국민대는 학생부교과전형의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을 유지하고 있다. 예년의 최저 기준 충족률은?

추천 인원에 제한이 없는 교과성적우수자전형의 수능 최저 기준 충족률은 인문 계열 63%, 자연 계열 74%로 평균 69%의 충족률을 보이고 있다. 인문 계열 경쟁률은 10.29:1이지만, 충족률에 따른 실질 경쟁률은 6.84:1이었다. 자연 계열 경쟁률은 7.64:1이지만, 충족률에 따른 실질 경쟁률은 5.49:1이었다. 수능 최저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학생이라면 적극 지원해볼 만하다.

Q 국민프런티어전형과 학교생활우수자전형의 서류 평가 차이점은?

국민프런티어전형은 면접형, 학교생활우수자전형은 서류형이다. 올해 수시 모집부터 두 전형의 평가 항목은 동일하지만, 평가 배점을 달리해 선발한다. 전형 선택의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하려는 취지다.

국민프런티어전형은 학교생활을 열심히 한 학생, 지원 전공에 자신 있는 학생, 학생부에 기록된 내용을 토대로 면접에서 다시 한 번 어필할 수 있는 기회를 잡고 싶은 학생 등이 주로 지원한다. 국민대의 대표적인 종합전형으로 경쟁률도 높다. 학교생활우수자전형은 타 대학과 면접일이 겹치는 학생, 학교생활은 열심히 했지만 면접에 자신 없는 학생 등이 다양하게 지원하고 있다. 국민프런티어전형은 모집 인원의 3배수 학생들만 2단계 면접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부담, 경쟁률의 차이 등이 있다고 보면 된다.

Q 두 전형의 서류 평가 항목의 차이점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면?

국민프런티어전형과 학교생활우수자전형의 서류 평가 항목 배점이 올해 수시 모집부터 변경됐다. 올해부터 자기소개서가 폐지되고, 학생부 반영 영역이 축소되기 때문에 두 전형 간에 차이를 두기 위해 전형 명칭에 맞춰 서류 평가 항목 배점에 변화를 줬다. 국민프런티어전형은 자기 주도성 30%, 발전 가능성 20%, 전공 잠재력 25%, 학업 능력 15%, 공동체 의식 및 협동 능력 10%로 자기 주도성의 평가 비중이 가장 높다. 학교생활우수자전형은 자기 주도성 15%, 발전 가능성 20%, 전공 잠재력 35%, 학업 능력 15%, 공동체 의식 및 협동 능력 15%로 전공 잠재력의 평가 비중이 가장 높다.

자기 주도성에서는 교내 활동과 수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는지, 자신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스스로 노력하고 성취한 부분이 있는지 등을 평가한다. 전공 잠재력에서는 진로 탐색을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성과는 어떤지, 지원 모집 단위에 맞는 역량을 갖췄는지 등을 평가한다. 자신의 학생부 내용을 토대로 평가 항목 배점에서 좀 더 유리한 전형을 선택해 지원할 것을 권한다. 국민대는 수시 6회 지원 중 지원 자격 등이 된다면 모든 전형에 중복 지원이 가능하다는 점도 참고하자.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경쟁률

Top 5 Bottom 5

교과성적우수자 국민프런티어 학교생활우수자 교과성적우수자 국민프런티어 학교생활우수자

경제학과(7) 19.43 광고홍보학전공(7) 51.86 광고홍보학전공(1) 29 자동차IT융합학과(10) 4.9 자동차공학과(18) 3.78 자동차공학과(18) 3.56

글로벌한국어전공(2) 18.5 시각디자인학과(7) 46.71 인공지능학부(3) 19.67 자동차공학과(19) 5.21 나노전자물리학과(11) 4.55

지능형반도체융합

전자전공(17) 3.76

재무금융전공(5) 17.4 스포츠건강재활학과(8) 30.63 일본학과(4) 16 바이오발효융합학과(7) 5.86 지능전자공학전공(12) 4.67 정보보안암호수학과(10) 4

국제통상학과(10) 16.5 바이오발효융합학과(11) 22.36 경영학전공(4) 15.5 소프트웨어학부(23) 5.91

기계금속재료전공(15),

자동차IT융합학과(11) 4.73

나노전자물리학과(9) 4.11

인공지능학부(11) 12.82 AI디자인학과(10) 22.3 러시아·유라시아학과(6) 14

AI빅데이터융합

경영학과(자연)(7),

미래모빌리티학과(5) 6

행정학과(17) 5.24 기계공학부(35) 4.26

※ ( ) 안은 학과별 모집 인원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입시 결과

5.5

5

4.5

4

3.5

3

2.5

2

1.5

1

1.80

2.41

3.74

5.16

2.63

2.80

3.49

2.53

3.54

5.45

2.81

2.92

3.27

1.91

2.54

2.17

2.10

2.29

교과성적우수자 국민프런티어 학교생활우수자

통계상 예측되는 최상위 등급

최상위 등급

통계상 예측되는 최하위 등급

실제 최하위 등급

25%

50%

75%

※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은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 발표 70% 컷 기준

※ 국민프런티어전형의 경우 합격자 70%컷 기준으로 최상위 학과 합격 등급은 2.53, 상위 25% 학과는 2.81, 50% 학과는 2.92, 75% 학과는 3.27, 최하위 학과는 3.54등급이라는 의미다.

교과 등급 상위 5개 학과(70% 컷 기준)

교과성적우수자 국민프런티어 학교생활우수자

1 바이오의약전공 1.65 바이오의약전공 2.28 바이오의약전공 2.12

2 교육학과 1.8 미디어전공, 시각디자인학과 2.53 건축학부(자연) 2.41

3 경영학전공 1.91 경영학전공 2.61 교육학과 2.45

4 바이오발효융합학과 1.95 정치외교학과 2.64

나노소재전공,

임산생명공학과 2.53

5 임산생명공학과 2.03 행정학과 2.69 바이오발효융합학과 2.56

교과 등급 하위 5개 학과(70% 컷 기준)

교과성적우수자 국민프런티어 학교생활우수자

1

건설시스템공학부,

나노전자물리학과,

정치외교학과 2.54

글로벌경영전공 5.45 러시아·유라시아학과 5.16

2 일본학과 2.46 중국정경전공 4.89 중국어문전공 4.2

3 기계공학부 2.45 중국어문전공 4.58 건설시스템공학부 3.74

4

기계금속재료전공,

중국어문전공 2.44

인공지능학부 3.63 나노전자물리학과 3.56

5 러시아·유라시아학과 2.42 스포츠건강재활학과 3.61 기계공학부, 미래모빌리티학과 3.46

● 전형별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전형 분류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고·영재학교 기타

교과성적우수자 98.48% 0.25% 0% 0% 1.3%

국민프런티어 91.9% 2.18% 4.05% 0% 1.9%

학교생활우수자 91.67% 3.03% 4.8% 0% 0.5%

특기자 48.15% 1.23% 0% 0% 50.6%

※ 2023 대입 대학 알리미 자료 기준

자문 교사의 2024 국민대 합격 Adivice

국민대는 입학처 홈페이지 ‘대입 정보 제공-입시 통계 자료’에서 학과별 3개년 경쟁률 추이와 합격 예비 순위, 교과 등급 평균, 최저를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학교 추천을 받는 교과전형인 교과성적우수자전형은 수능 최저 기준 통과가 수월한 만큼 교과 성적이 가장 중요하다. 교과 성적 산출식을 살펴보면 1등급 100점으로 3등급까지는 등급 당 1점 차이에 불과하지만, 4등급부터는 감점 폭이 커진다. 입학처 공개 결과에서 모든 학과의 합격 등급 최저선이 3등급 이내인 이유다. 또 반영 교과 영역 중 이수하지 않은 영역이 있는 경우 해당 교과 영역의 반영을 제외한다. 이는 교차지원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계열에 구애받지 말고 지원 학과를 유연하게 판단하는 것도 합격에 도움이 될 것이다.

종합전형으로 1단계 서류 100%에 2단계 면접 30%를 포함한 국민프런티어전형과 서류 100%로 평가하는 학교생활우수자전형이 있다. 서류 평가 시 국민프런티어전형은 수업 및 교내 활동에서 드러나는 자기 주도성의 비중이 30%로 가장 높다. 학교생활우수자전형은 진로 탐색과 지원 전공 특성에 맞는 역량을 확인하는 전공 잠재력의 평가 비중이 35%로 가장 높다. 자신의 학생부가 어떤 역량을 주로 보여주고 있는지 판단해 지원 전형을 선택해야 한다. 고교 유형별 합격생 비율에서 일반고 학생의 선발 비중이 타 대학에 비해 높은 점도 특징이다.

국민대는 어학, 소프트웨어특기자전형을 유지하고 있다. 어학특기자전형은 어학 성적, 소프트웨어특기자전형은 대회 입상을 지원 자격 기준으로 한다. 관심 있는 학생은 미리 확인하고 준비해야 한다.

Q 국민프런티어전형에서 면접의 영향력은 얼마나 되나?

국민프런티어전형은 1단계에서 모집 인원의 3배수를 선발한다. 면접 평가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1단계 서류 평가 점수는 매우 촘촘하다. 2단계 면접은 30%로 반영되지만, 실질적인 영향력은 높은 편이다. 면접 역전율은 인문 계열 46.4%, 자연 계열

52.1%, 예체능 계열 53.3%로 평균 50.6%라고 보면 된다. 따라서 1단계에 합격했다면 고교 3년 동안의 활동에 대해 어떤 질문도 자신 있게 답변할 수 있도록 꼼꼼히 면접을 준비해야 한다. 국민대는 모의면접 프로그램을 고교 연계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있어 참여해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Q 국민대가 운영하고 있는 다양한 학사제도를 소개한다면?

국민대는 심화전공, 부전공, 다전공, 교직이수 제도 등을 운영하고 있다. 심화전공은 입학한 단 한 개의 전공을 취득하는 것을 말한다. 부전공은 이수하고자 하는 부전공을 신청하고, 전공과목 중 21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한다. 다전공

은 이수하고 하는 다전공을 신청하고, 전공 선택(필수 지정 과목 포함) 최저 이수 학점 40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한다. 교직이수는 교직 과정 설치 학과(전공)에서 입학 정원의 10% 이내로 신청자에 한해 선발하며, 교직이수 과목의 학점을 이수할 경우 졸업 시 중등학교 정교사 2급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9.11(월)~15(금)

18:00

9.18(월)

~22(금)

10.31(화) 11.4(토) 소프트웨어 11.16(목)

11.5(일) 어학

11.14(금) 11.22(수) 11.25(토) 인문·예체능

11.26(일) 자연

12.15(금)

2024 인원 2023 인원

원서 접수

[교과성적우수자]

대상자 입력

[특기자]

1단계 합격 발표 수능 시험

[특기자]

면접

[특기자]

최종 합격 발표

[국민프런티어]

1단계 합격 발표

[국민프런티어]

면접

[교과·

종합 전체]

최종 합격 발표

교과성적우수자

교과

국민프런티어 학교생활우수자

종합

고른기회Ⅰ 어학특기자

특기자

소프트웨어

특기자

기타

493 490

403

122

41 15

409 431

646

383

122

42 15

고른기회Ⅰ 448

6.1%

어학특기자 2.1%

소프트웨어특기자

0.8%

교과성적우수자

24.7%

기타

21.6%

국민프런티어

학교생활우수자 24.6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단국대 07

DKU인재(면접형) 신설로 종합전형 이원화

교과전형만 수능 최저 적용

단국대 죽전캠퍼스는 2천279명을 수시 모집으로 선발한다. 학생부교과전형인 지역균형선발은 학생부 교과 성적 100%로 선발하는 전형으로, 2개 등급 합 6 이내의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을 적용한다. 그 외 단국대의 모든 전형에는 수능 최저 기준이 없다. 한편 천안캠퍼스의 교과전형인 학생부교과우수자전형은 2개 등급 합 8 이내의 최저 기준을 적용한다. 단, 간호학과는 2개 등급 합 5 이내다. 단국대는 2024학년에 DKU인재(면접형)을 신설해 면접이 없는 서류형과 함께 종합전형 이원화 체제를 갖추었다. 서류형은 서류 100%로 선발하지만, 면접형·SW인재·창업인재전형은 1단계 서류 100%로 3~4배수를, 2단계 서류 70%와 면접 30%로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

논술전형은 논술 80%와 학생부 교과 20%로 선발하며 최저 기준이 없다.

전형을 세분화해 다양한 역량을 지닌 학생들을 모집하는 단국대 2024학년 수시 모집 전형에 대해 입학처의 이야기를 들었다.

취재 민경순 리포터 hellela@naeil.com

Q DKU인재(면접형)을 올해 신설했다. 그 배경은?

단국대 학생부종합전형 중 기존에 면접을 시행하는 전형은 죽전캠퍼스의 SW인재전형과 천안캠퍼스의 DKU인재전형(의·치·약학과, 문예창작과), 교육기회배려자전형(약학 계열), 농어촌학생전형(의학 계열)이었다. 모집 단위의 특성을 고려해 면접을 진행해왔다. 그 외 종합 전형은 학생부를 바탕으로 서류 평가 100%로 선발했다. 그러나 최근 학생부 대입 미반영 항목 확대와 기재 내용 축소에 따라 서류 평가 자료가 예년보다 빈약해졌다. 제출 서류의 진위여부를 확인하고 학교생활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등 학생부 기록 축소를 보완하기 위해 면접형을 도입했다.

Q 종합전형을 서류형과 면접형으로 이원화해서 선발하는 이유는?

DKU인재(서류형)의 선발 인원 일부를 DKU인재(면접형)으로 선발한다. 서류형은 서류 100%로, 면접형은 1단계 서류 100%, 2단계 서류 70%와 면접 30%로 평가한다. 전형별로 평가 항목 비율이 달라 지원자 풀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DKU인재(서류형)은 학업 역량 45%, 전공 적합성 35%, 인성 및 발전 가능성 20%를 반영하고, 면접형은 학업 역량 35%, 전공 적합성 45%, 인성 및 발전 가능성 20%를 반영한다. DKU인재(서류형)은 대학에서의 기초 학습 능력과 태도 중심의 평가 요소인 학업 역량 비율을, DKU인재(면접형)은 면접을 통해 학생부를 보완하고 진로 의지, 진로 탐색 활동과 경험을 확인할 수 있는 전공 적합성(진로 역량)을 각각 45% 반영한다. DKU인재(면접형)은 면접 평가 점수로 서류 평가의 순위가 바뀔 수 있다.

Q 면접형과 서류형을 고민한다면 선택 기준은?

종합전형 최종 합격자의 등급은 죽전캠퍼스의 경우 주로 2~4등급대다.

DKU인재(서류형)은 전반적인 교과의 학업 성취도 및 학업 발전 정도, 자기 주도적인 학업 수

2024 단국대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교과

지역균형선발

죽전캠퍼스

교과 100

※ 추천인원 제한 없음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인문 ◯ ◯ ◯ 1 2합 6

자연 ◯ ◯ ◯ 1 2합 6

학생부교과우수자

천안캠퍼스

교과 10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인문 ◯ ◯ ◯ 1 2합 8

자연 ◯ ◯ ◯ 1 2합 8

종합

DKU인재(서류형) 서류 100

없음

DKU인재(면접형)

[1단계] 서류 100(4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SW인재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창업인재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기회균형선발 서류 100

사회적배려대상자 서류 100

논술

논술우수자

죽전캠퍼스

논술 80+교과 20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사/과’ 는 응시 과목 수를 의미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국(국어), 확(확률과 통계), 미/기(미적분/기하), 영(영어), 사(사탐), 과(과탐)

행 의지와 노력 등을 평가한다. 성실하게 학교생활을 하며 폭넓게 진로를 탐색했다면 지원을 고려해볼 수 있다. 반면 DKU인재(면접형)은 전공 적합성의 평가 비율이 높다. 진로를 확장해나가는 모습, 전공(계열) 관련 선택 과목 이수, 학업 성취도, 전공(계열) 관련 활동의 경험과 노력을 드러낼 수 있다면 지원하길 바란다.

Q 서류 평가 요소가 축소됐다. 기존과 달라진 점은?

서류 평가 시 확인할 항목이 줄면서 기존의 전공 개념 평가에서 진로 개념으로 확장해 다양한 교과에서 전공(계열) 의지를 확인하는 데 집중할 것이다. 특히 고교 3년간의 노력과 역량에 대해 연계성을 갖고 심화 평가할 수 있는 부분은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이다. 성취평가제에 따라 줄어든 교과 변별력을 보완하고 개인의 과제 수행 역량과 노력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Q 건축학부 건축학전공(5년제)은 사회·과학 교과를 모두 반영하지만, 반영 비율은 10%로 낮다. 그 이유는?

건축학전공(5년제)은 자연 계열이지만 인문학적 소양도 필요한 전공이다. 계열별 학생부 반영 교과를 보면 인문 계열은 국어 30%, 수학 20%, 영어 30%, 사회 교과 20%를, 자연 계열은 국어 20%, 수학 30%, 영어 30%, 과학 교과 20%를 반영한다. 반면 건축학전공(5년제)은 국어와 수학 모두 중요하다고 판단해 국어 수학 영어를 모두 30%를 반영한다. 사회·과학 교과를 모두 반영하지만, 수험생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10%만 반영한다.

Q SW융합대학에 속한 통계데이터사이언스, 사이버보안, 모바일시스템공학, 컴퓨터공학, 소프트웨어학과 등은 서류형으로 선발하지 않는 이유는?

SW인재전형은 2019학년에 신설했으며, SW융합대학 지원 사업과 연관돼 있다. 따라서 SW융합대학에 속한 학과들은 DKU인재가 아닌 SW인재전형으로 선발하고 있다. SW인재전형 설계 당시, 기존 DKU인재와 다르게 면접을 도입했다. 학생부를 기반으로 한 질의응답을 통해 서류의 진위를 확인하고 SW인재로서의 전공 적합성과 발전 가능성을 살피고자 면접형으로 설계한 것이다. 입시 결과를 보면 DKU인재보다 일반고의 지원 및 합격이 많은 편이다. 평균 등급이 다른 학과보다 높아 보이지만, 일반고 기준으로 보면 다른 전공도 비슷한 수준이다.

SW인재전형은 특기자전형이 아니다. DKU인재(면접형)과 크게 다르지 않다. 두 전형 모두 전공 적합성의 비중이 높아 관련 활동을 열심히 하고 그 활동을 잘 정리해서 면접에서 표현할 수 있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것이다.

Q 교과전형의 전년도 최저 기준 충족률은 어느 정도였나?

단국대는 교과전형만 최저 기준을 둔다. 죽전캠퍼스는 2개 합 6 이내, 천안캠퍼스는 2개 합 8 이내, 간호학과는 2개 합 5 이내다. 2023학년 교과전형의 수능 최저 충족률은 죽전캠퍼스는 인문 계열 70.6%, 자연 계열 68.2%였으며, 천안캠퍼스는 인문 계열 66.6%, 자연 계열 68.3%, 간호학과 44.8%였다. 2022학년에는 죽전캠퍼스는 인문 69.6%, 자연 69.9%였으며 천안캠퍼스는 인문 59.1%, 자연 55.6%, 간호학과 43.9%였다.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경쟁률

Top 5 Bottom 5

지역균형선발 DKU인재(서류형) 논술우수자 지역균형선발 DKU인재(서류형) 논술우수자

정치외교학과(4) 29 무역학과(12) 33.25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11) 43.45 과학교육과(7) 5.14 파이버융합소재공학(10) 6.3 파이버융합소재공학(8) 13.13

한문교육과(4) 23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10) 33.1 도시계획부동산학부(8) 36.25 소프트웨어학과(12) 5.75 고분자공학(19) 7.26 수학교육과(9) 13.44

산업보안학과(4) 18 영미인문학과(7) 28.43 정치외교학과(6) 34.33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9) 6 수학교육과(9) 7.44 토목환경공학과(14) 14.21

수학교육과(4) 15.25 철학과(4) 22 경영학부(31) 32.61 경영학부(31) 6.16 한문교육과(8) 7.75 고분자공학(9) 14.67

화학공학과(16) 14.25 상담학과(5) 21.2 국어국문학과(8) 32.5 도시계획·부동산학부(9) 7.11 토목환경공학과(23) 7.87 산업보안학과(4) 15.25

※ ( ) 안은 학과별 모집 인원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입시 결과

5.5

5

4.5

4

3.5

3

2.5

2

1.5

지역균형선발 DKU인재 SW인재

5.25

1.90

2.10

2.31

2.46

2.57

2.95

2.98

2.74

3.00

3.26

3.75

2.99

3.34

3.42

3.48

2.50

실제 최하위 등급

통계상 예측되는 최상위 등급

실제 최상위 등급

통계상 예측되는 최하위 등급

25%

50%

75%

※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은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 발표 70% 컷 기준

※ 종합전형인 DKU인재의 경우 학과별 합격자 70% 컷을 기준으로 최상위 학과 합격 등급은 2.50, 상위 25% 학과는 2.74, 상위 50% 학과는 3.00, 75% 학과는 3.26, 최하위 학과는 5.25등급이라는 의미다.

교과 등급 상위 5개 학과(70% 컷 기준)

지역균형선발 DKU인재(서류형) SW인재

1 수학교육과 1.9 수학교육과 2.5 컴퓨터공학과 2.96

2 행정학과 2.1 국어국문학과 2.62 소프트웨어학과 3.02

3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2.14 과학교육과 2.66 정보통계학과 3.34

4 과학교육과 2.21 특수교육과 2.72 산업보안학과 3.36

5 화학공학과 2.23 사학과 2.73 모바일시스템공학과 3.48

교과 등급 하위 5개 학과(70% 컷 기준)

지역균형선발 DKU인재(서류형)

1 토목환경공학과 2.95 국제경영학전공 5.25

2 건축학전공(5년제) 3.36 한문교육과 3.75

3 한문교육과 2.75 융합반도체공학 3.54

4 기계공학과 2.65 건축공학전공 3.49

5

고분자시스템공학부

(파이버융합소재공학전공) 2.64

건축학전공(5년제) 3.36

● 전형별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전형 분류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고·영재학교 기타

지역균형선발 90.91 % 0 % 0 % 0 % 9.09 %

DKU인재(서류형) 94.64 % 1.79 % 1.12 % 0.22 % 2.23 %

논술우수자 94.87 % 0.32 % 0 % 0 % 4.81 %

※ 2023 대입 대학 알리미 자료 기준

자문 교사의 2024 단국대 합격 Adivice

단국대 죽전캠퍼스 교과전형인 지역균형선발은 학생부 교과 100%에 수능 최저 기준을 적용한다. 최저 기준은 2개 영역 등급 합 6 이내다. 진로선택 교과도 반영하지만 성취도가 높은 상위 3과목만 반영하기에 당락에 큰 영향은 없을 전망이다. 해마다 학과별 합격자 컷의 등락이 큰 편이다. 크며 전년도 입시 결과가 낮을 경우 그 다음 해에 경쟁률과 입시 결과가 크게 높아지므로 신중하게 지원해야 한다.

학생부종합전형은 서류 100%로 선발하는 DKU인재 (서류형)과 1단계 서류 100%로 3~4배수를 선발한 뒤 1단계 70%와 면접 30%로 선발하는 DKU인재(면접형)·창업인재·SW인재전형으로 나뉜다. DKU인재는 서류형과 면접형 모두 수능 최저 기준이 없다. DKU인재(서류형)은 학업 역량 45%, 전공 적합성 35%, 인성 및 발전 가능성 20%로 선발하고, DKU인재(면접형)과 SW 인재는 학업 역량 35%, 전공 적합성 45%, 인성 및 발전 가능성 20%로 선발한다. 서류형은 학업 역량, 면접형과 SW인재는 전공 적합성에 좀 더 중점을 두고 평가한다.

DKU인재(면접형)은 올해 신설됐다. 보통 면접형의 합격자 내신 등급은 서류형보다 낮게 나오는 경우가 많다. 이는 부족한 서류를 면접으로 만회하려는 학생들이 지원하기 때문이다. DKU인재(면접형)은 전공 적합성의 반영 비율이 서류형에 비해 10% 높고 학업 역량 비율은 10% 낮으므로. 전공 적합성을 잘 드러낼 수 있다면 지원을 고려할 만하다.

논술우수자는 최저 기준 없이 논술 80%와 교과 20%로 선발하는데, 실질적으로 논술고사가 당락을 결정한다. 인문 계열 모집 단위의 경쟁률은 31:1, 자연 계열은 17:1이었다. 자연 계열은 지원 대비 합격 비율이 높아 수능 성적이 생각만큼 나오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지원하는 것도 전략이 될 수 있다.

Q 면접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면접 준비와 관련해 조언한다면?

DKU인재(면접형)는 1단계에서 학업 역량 35%, 전공 적합성(진로 역량) 45%, 인성 및 발전 가능성(공동체 역량) 20%로 평가해 4배수를 선발한다. 참고로 SW인재는 3배수를 선발한다. 전공 적합성(진로 역량)의 경우 전공(계열) 관련 이수 교과와 관련 활동

경험, 노력을 중심으로 평가했다면, 2단계 면접에서는 이를 심화해 해당 전공(계열)에 대한 이해도와 성과, 향후 목표 및 진로에 계획, 발전 가능성을 포함해 평가한다.

따라서 면접 준비 시 학생부를 꼼꼼히 살펴보고 지원 전공(계열)에 대한 관심과 이해, 활동의 연계성을 검토해 역량을 드러내면 좋을 것 같다.

Q 2024학년 단국대 수시에 지원하려는 수험생에게 조언한다면?

전형별로 평가 요소의 반영 비율이 다르므로 본인에게 적합한 전형을 선택해 지원하길 바란다. 참고로 DKU인재(서류형)과 DKU인재(면접형) 간 복수 지원도 가능하다.

단국대는 캠퍼스별 특성화를 통해 교육경쟁력 강화에 힘쓰고 있다. 올해 바이

오헬스와 반도체, 미래자동차 등 신산업 분야의 전략적 투자를 확대해 해당 학문 분야의 인재 양성을 위해 힘쓰고 있다. 정부 지정 4기 캠퍼스 첨단산업단지에 선정돼 약 536억 원을 지원받게 되면서 산학연 혁신 허브 시설을 준공하고 혁신 기업 및 연구소를 유치해 성과를 창출하고자 한다. 단국대의 발전 가능성을 보고 지원하면 좋겠다.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9.12(화)~

15(금) 17:00

9.18(월)~

9.22(금)

11.13(월) 11.16(목) 11.18(토, 인문)~

19(일, 자연)

11.25(토) 11.26(일) 12.15(금)

2024 인원

2023 인원

원서 접수

[지역균형선발]

대상자 입력

수능 시험

[DKU인재(면접형)/

SW인재/창업인재]

1단계 합격 발표

[논술우수자]

논술고사

[DKU인재(면접형)]

면접

[SW인재/창업인재]

면접

[지역균형선발/

종합전형 전체/논술]

최종 합격 발표

지역균형선발

16.7%

DKU서류형

14.2%

DKU인재(면접형)

6.8%

SW인재 3.2%

창업인재 0.9%

기회균형선발 5.0%

사회적배려대상자

2.7%

논술

19.6%

실기우수자

14.9%

기타

15.9%

지역균형

선발

교과 종합

DKU인재

(서류형)

DKU인재

(면접형)

SW인재 창업인재 기회균형

선발

사회적

배려대상자

263

225

50 50 43 50

261

343

79 80

235 225

논술

논술

우수자

108

- 15

310 315

실기우수자

251

234

기타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덕성여대 08

가상현실융합학과·데이터사이언스학과 신설

고교추천전형, 상위 3개 교과만 반영

덕성여대는 올해 가상현실융합학과와 데이터사이언스학과를 포함하는 미래인재대학을 신설했다. 입학 후 학생이 전공을 선택하는 전면 자유전공제를 5년째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일부 모집 단위(약학과 유아교육과 미래인재대학)를 제외하고 계열 단위인 글로벌융합대학(인문) 과학기술대학(자연) Art&Design대학(예능)에서 학생을 선발한다.

학생부교과전형은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이 있는 학생부100%전형과 학교 추천을 받아 지원이 가능한 고교추천전형을 운영한다. 학생부종합전형은 서류 중심의 덕성인재전형Ⅰ과 면접 중심의 덕성인재전형Ⅱ가 있어 본인의 장점에 따라 전형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수시 모집 인원의 11.8%인 100명을 논술전형으로 선발한다. 덕성여대 김지윤 입학사정관에게 올해 입시에서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점들에 대해 들었다.

취재 정은아 기자 galax@naeil.com

Q 미래인재대학에 가상현실융합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등 첨단 학과를 신설했다. 교육과정과 진로 등에 대해 설명한다면?

덕성여대는 올해 교육부로부터 가상현실융합학과와 데이터사이언스학과 신설 승인을 받았다. 정원은 2024학년 기준 각 40명이며, 수시 모집으로 각 학과별 30명씩 선발할 예정이다.

가상현실융합학과는 증강현실, 가상현실, 메타버스 등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융합 기술을 가르친다. 4학년이 되면 캡스톤 디자인과 창업 관련 수업을 통해 실무 능력을 기를 기회도 제공한다.

데이터사이언스학과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딥러닝, 데이터 처리 기법, 머신러닝. 인공지능 등을 다루는 학과다. 산업체와 연계해 학생들이 실제 산업 현장에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IC-PBL(Industry-Coupled Problem based learning) 방식으로 운영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졸업 후엔 ICT 분야의 전 영역에서 연구원으로 활동 가능하다. 바이오 데이터, 의학 통계 데이터 등이 필요한 분야에서 진로를 새롭게 개척할 수도 있다.

Q 올해 학생부교과전형에서 학생부 교과 성적 반영 방식이 일부 변경됐다. 진로선택 과목 10%를 반영하며 고교추천전형 역시 학생부100%전형처럼 상위 3개 교과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이와 관련해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

올해 교과전형은 공통 및 일반선택 과목 90%, 진로선택 과목을 10%로 평가한다. 이때 공통 및 일반선택 과목은 전 과목을 고려하지 않는다. 고교추천전형과 학생부100%전형 모두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교과에서 상위 3개 교과만을 반영한다. 전년도엔 고교추천전형의 경우 전 과목을 반영했으나 올해는 기존의 학생부100%전형처럼 부분 교과 산출 범위로 통일했다.

하지만 두 전형 간에 차이가 존재하므로 주의 깊게 살펴보고 지원해야 한다. 고교추천전형은

2024 덕성여대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교과

학생부 100% 교과 10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전체(약학 제외) ◯ ◯ ◯ 1 2합 7

약학* ◯

필수

포함

◯ 1 3합 6

고교추천

교과 100

※ 추천 인원 제한 없음

없음

종합

덕성인재Ⅰ

(서류형)

서류 100

없음

덕성인재Ⅱ

(면접형)

[1단계] 서류 100(4배수)

[2단계] 1단계 60+면접 40

기회균형

(사회통합)

서류 100

논술 논술 논술 10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전체 ◯ ◯ ◯ 1 2합 7

※ 세부 사항은 입학처 홈페이지에 게시된 요강 참조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사/과’ 는 응시 과목 수를 의미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국(국어), 확(확률과 통계), 미/기(미적분/기하), 영(영어), 사(사탐), 과(과탐)

상위 3개 교과에 해당되는 과목이라면 전부 반영한다. 반면 학생부100%전형은 상위 3개 교과에서 상위 4개 과목만 반영한다. 이때 상위 4개 과목은 총 12단위 이상 이수한 과목이어야 한다.

진로선택 과목 반영 시 A등급과 B등급은 각각 1등급과 2등급에 준해서 적용한다. 하지만 두 등급 간 점수 차이는 최소화했다. 상위 3과목의 진로선택 과목이 부족한 경우 공통 및 일반선택 과목을 기준으로 환산 점수를 적용할 예정이다. 결론적으로 교과전형의 진로선택 과목 반영 비율 10%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 취지를 반영한 수치이지만, 전년도 입시 결과를 참고해 90%로 반영되는 공통 및 일반선택 과목에 중점을 두고 접근하는 것이 좋다.

Q 학생부100%전형에서 약학대학의 70% 컷이 2022학년 수시에 이어 2023 학년 수시에서도 모두 1등급이었다. 동점자가 상당했을 것 같은데, 어떤 기준으로 합격과 불합격이 결정됐나?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교과에서 부분 산출하기 때문에 12과목 평균이 1.0등급인 학생들이 많다. 지난 입시 결과를 살펴보면 실제로 동점자 처리 과정에서 변별력이 생기기도 했다.

변별력은 우선 <화학Ⅱ>와 <생명과학(생물 포함)Ⅱ> 이수 여부에서 드러난다. 다른 전형과 달리 약학대학의 동점자 처리 기준은 <화학Ⅱ> 이수 여부, <생명과학(생물 포함)Ⅱ> 이수 여부, <화학Ⅱ> 성취도, <생명과학(생물 포함)Ⅱ> 순이다. 2023학년 학생부100%전형 지원자 중 75% 정도가 <화학Ⅱ>와 <생명과학(생물 포함)Ⅱ>를 이수한 학생들이었다.

그 이후의 동점자 처리 기준은 과학기술대학(자연)의 기준과 동일하다. 공통 및 일반선택 교과 성적, 진로선택 교과 성적, 학생부 수학과 성적, 학생부 영어과 성적, 학생부 국어과 성적, 학생부 사회/ 과학 교과 성적, 학생부 총 이수 단위 수, 학생부 총 이수 교과목 수 순으로 이어진다.

진로선택 과목의 성적을 새롭게 고려한다는 점 외에는 전년도와 같은 방식이다. 교과별 성적이 반영되는 경우 3학년 1학기까지 석차가 산출되는 전 과목을 반영한 성적이라는 점도 잊지 말아야 한다.

Q 덕성인재전형Ⅰ과 덕성인재전형Ⅱ는 모두 종합전형이지만 선발 방식이 상이하다. 수험생을 위해 두 전형의 차이를 짚어준다면?

두 전형 모두 최저 기준이 없다는 점은 동일하나 덕성인재전형Ⅰ은 서류 중심이고, 덕성인재전형Ⅱ는 면접 중심이다. 덕성인재전형Ⅰ은 서류 100%로 최종 합격이 결정된다. 서류 평가에서 보는 평가 항목은 자기 주도성, 기초 학습 역량, 학업 성취 역량, 협업 및 소통 능력이다.

반면 덕성인재전형Ⅱ는 1단계에서 서류 100%로 4배수를 뽑아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60%, 면접 40%로 평가한다. 서류 평가 시 덕성인재전형Ⅰ의 평가 항목과 더불어 자기 성장 노력과 성실성을 추가로 고려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2단계에선 면접의 영향력이 크다. 1단계를 통과할 정도의 학생들이라면 서류 성적이 다소 낮은 편이더라도 면접으로 충분히 역전할 수 있다. 서류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았던 자신

● <2023 경쟁률> 학과(모집 인원) 경쟁률

학생부100% 고교추천 덕성인재Ⅰ(서류형) 덕성인재Ⅱ (면접형) 논술

1 약학대학(15) 13.4

글로벌융합대학

(유아교육과 제외)(77) 12.91

약학대학(25) 16.32

글로벌융합대학

(유아교육과)(5) 16.6

글로벌융합대학

(유아교육과 제외)(60) 68.25

2

글로벌융합대학

(유아교육과 제외)(86) 7

글로벌융합대학

(유아교육과)(4) 12

글로벌융합대학(유아교육과)(3) 13

글로벌융합대학

(유아교육과 제외)(80) 14.99

글로벌융합대학

(유아교육과)(5) 37.6

3 과학기술대학(47) 6.06 과학기술대학(39) 9.92

글로벌융합대학(유아교육과 제외)(57)

7.88

과학기술대학(37) 9.65 과학기술대학(40) 30.35

4 글로벌융합대학(유아교육과)(7) 6 - 과학기술대학(28) 7.71 - -

※ ( ) 안은 학과별 모집 인원

●2023 수시 입시 결과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 70% 컷(어디가 발표)

학생부100% 고교추천

덕성인재Ⅰ

(서류형)

덕성인재Ⅱ

(면접형)

1 약학대학 1

글로벌융합대학

(유아교육과) 2.1

약학대학 1.33

글로벌융합대학

(유아교육과) 2.98

2

글로벌융합대학

(유아교육과) 2.27

과학기술대학

2.79

과학기술대학

3.35

과학기술대학

3.51

3

글로벌융합대학

(유아교육과 제외) 2.41

글로벌융합대학

(유아교육과 제외) 2.96

글로벌융합대학

(유아교육과 제외) 3.4

글로벌융합대학

(유아교육과 제외) 3.71

4

과학기술대학

2.5

-

글로벌융합대학

(유아교육과)

● 전형별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전형 분류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고·영재학교 기타

교과전형 98.04% 0% 0% 0% 2%

종합전형 99.57% 0% 0.43% 0% 0%

논술전형 88.46% 7.69% 0.96% 0% 2.90%

※ 2023 대입 대학 알리미 자료 기준

자문 교사의 2024 덕성여대 합격 Adivice

덕성여대는 수도권 대학 최초로 전면 자유전공제를 도입했다. 약학대학, 유아교육과와 올해 신설된 미래인재대학을 제외하면 전공을 정하지 않고 입학하게 된다. 대학에선 2학년 때 전공을 제대로 선택할 수 있도록 전공 탐색 과목을 개설하고 전공 박람회를 개최하는 한편 일대일 컨설팅 등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과학기술대학의 경우 최신 기술 동향에 발맞춰 디지털소프트웨어공학부 내 빅데이터, 웹&앱,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사이버보안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덕성여대 교과는 최저 기준이 있는 학생부100%전형과 최저 기준은 없지만 학교의 추천을 받아야 하는 고교추천전형이 있다. 작년 학생부100%전형은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중 3개 교과의 상위 4개 과목, 총 12과목을 반영했다. 고교추천전형은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전 교과목을 반영했다. 그 결과 작년 입결에서 고교추천전형 합격생의 교과 성적이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올해 고교추천전형은 학생부100%전형과 같이 상위 12과목을 반영하는 것으로 변경됐다. 따라서 올해는 두 교과 전형 간 성적 산출의 유불리가 없으므로 최저 기준 충족 가능성을 기준으로 두 전형 중 자신에게 맞는 전형을 고르면 된다.

종합전형의 서류 평가 항목은 발전 역량의 자기 주도성과 자기 성장 노력, 학업 역량의 기초 학습과 학업 성취, 덕성 역량의 협업 및 소통 능력과 성실성이다. 덕성인재전형Ⅰ은 자기 주도성(40%)을 가장 큰 비율로 평가하며 덕성인재전형Ⅱ에서 반영하는 자기 성장노력, 성실성은 반영하지 않는다. 따라서 서류에 나타난 본인의 장점을 충분하게 이해하고 전형을 선택해야 한다. 덕성인재전형Ⅱ는 면접에서 서류 신뢰성(50%), 종합적 사고력(30%), 인성(20%)을 평가한다. 서류 신뢰성에서 좋은 평가를 받으려면 면접 전 학생부에 기록된 활동을 복기해보는 것이 좋다.

덕성여대의 논술고사는 교과서의 주제를 최대한 활용하므로 학교 수업을 충실히 이수한 학생은 충분히 해결 가능하다. 특히 자연 논술의 경우 2년간의 기출문제와 모의 기출문제 모두 1학년 <수학>, 2학년 <수학Ⅰ> <수학Ⅱ> 범위에서만 출제됐다. 또 수능에서 <확률과 통계> 사회탐구로도 최저 기준을 충족할 수 있으므로 인문 계열을 준비했던 학생도 수리 능력이 있다면 도전할 만하다.

의 가치관, 경험 등을 면접에서 보여주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학교 안에서 자기 주도적인 변화나 성장을 이룬 친구들이 지원하면 좋다.

Q 덕성여대 논술전형의 특징이 있다면?

덕성여대 논술은 모집 단위에 따라 인문 사회 계열과 자연 계열 유형으로 나뉜다. 인문 사회 계열의 경우 복수 지문을 활용하며 요구하는 답안의 방향이 명료하다. 추상적인 주제를 바탕으로 각 제시문을 비교 및 분류해 설명 또는 비판 등을 요구하는 유형이 출제된다.

자연 계열은 최근 2년간 <수학> <수학I> <수학II>범위에서 출제되고 있다. 수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일반화하거나 대입해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문항이 주로 출제된다. 주어진 제시문의 정보를 이용해 문제에서 요구하는 바를 오류 없이 풀어내는 과정을 보여줘야 한다.

입학처 홈페이지에 최근 기출문제와 모의 논술 문항을 안내하고 있으니 참고하면 좋다.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9.11(월)~

15(금) 18:00

9.18(월)~22(금) 11.14(화) 11.16(목) 11.19(일) 11.26(일) 12.15(금)

2024 인원

2023 인원

원서 접수

[고교추천]

대상자 입력

수능 시험

[덕성인재Ⅱ(면접형)]

1단계 합격 발표

[덕성인재Ⅱ(면접형)]

면접

[논술]

논술고사

[전형 전체]

최종 합격 발표

학생부

22.8%

고교추천

18.5%

덕성인재Ⅰ(서류형)

13.3%

덕성인재Ⅱ(면접형)

19.6%

기회균형

(사회통합)

3.5%

논술

19.8%

기타 8.4%

교과 종합

학생부100% 고교추천 덕성인재Ⅰ

(서류형)

덕성인재Ⅱ

(면접형)

기회균형

(사회통합)

134

120 122

25 25

100 105

논술

논술

96

61 66

기타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서강대 09

지역균형·논술전형 수능 최저 완화

교과 산출 방식 변화

서강대는 올 수시에서 학생부교과전형인 지역균형, 학생부종합전형인 일반, 기회균형, 서강가치전형과 논술전형을 운영한다. 지역균형, 기회균형, 서강가치전형은 각각 지난해 수시에서 고교장추천, 고른기회, 사회통합전형의 명칭을 변경한 것이다. 올해 서강대는 교과 성적을 산출하는 교과전형과 논술전형의 대상 과목을 국·수·영·사·과에서 전 과목으로 확대했다.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은 예년에 비해 완화했다.

지역균형전형에서는 학교당 추천 인원을 10명에서 20명으로 확대했다.

또 로욜라국제대학에 글로벌한국학부, 게페르트국제학부를 신설해 신입생을 모집한다. 서강대 지원자가 주로 살펴야 할 점을 강경진 책임입학사정관에게 들었다.

취재 정애선 소장(내일교육 부설 교육정책연구소 헤리티지내일) asjung@naeil.com

Q 로욜라국제대학에 글로벌한국학부, 게페르트국제학부가 신설됐다.

로욜라국제대학은 한국과 세계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세계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신설됐다. 전 세계에서 모인 국제 학생들과 함께하기에 교양과 전공 전 과목을 영어 강좌로 진행한다. 기존의 글로벌한국학부에 게페르트국제학부와 외국인 100%로 선발하는 글로벌융합학부를 더해 로욜라국제대학 안에서 한국 학생들과 국제 학생들이 서로 어우러지기를 기대했다. 글로벌한국학부는 글로벌한국학·한국어교육전공, 게페르트국제학부는 국제통상·국제관계·아시아전공, 글로벌융합학부는 글로벌경제·글로벌경영·글로벌미디어전공으로 구성된다. 이 중 글로벌한국학부에서 15명, 게페르트국제학부에서 5명을 선발한다.

Q 서강대는 첨단학과로 인공지능학과와 시스템반도체공학과를 운영한다. 타 대학의 첨단학과와 차별화된 점이 있다면?

기존에 연계전공으로 있던 인공지능을 첨단학과로 전환했다. 학생들이 인공지능의 활용까지 고민하기를 바라기에 지금도 다양한 전공과의 다전공을 장려한다. 시스템반도체공학과는 SK하이닉스와 채용 보장형으로 설립한 계약학과다. 다만 채용 보장은 아니더라도 원하는 학생은 시스템반도체공학과를 다전공으로 선택할 수 있다는 게 차이점이다.

Q 지역균형전형과 논술전형의 교과 반영 방법이 변경됐다. 반영 교과를 전 교과로 확대한 이유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를 반영하고자 했다. 학생들의 선택권을 존중한다면 주요 교과가 아니라는 이유로 외면받는 교과가 있어선 안 된다고 본 것이다. 교과에 따라 성적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기에 합격선 하락은 어느 정도 예상되지만, 올 수시에서 변경된 사항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Q 지역균형전형의 교과 성적 산출식이 일부 변경됐다. 성취도와 성취비율이 부여되는 과목의 최종 점수가 100점 이상인 경우 모두 100점 만점으로 처리한다. 예상되는 변화는?

성취도로 평가되는 진로선택 과목의 운영 양상이 고교마다 차이가 크다. 특히 공동 교육과정

2024 서강대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교과 지역균형

교과 90+출결 10

※ 20명 이내 재학생 추천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한 최저

전 계열 ◯ ◯ ◯ 1 4 3개 각 3

종합

일반

기회균형 서류 100 없음

서강가치

논술 일반 논술 80+교과 10+출결 1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한 최저

전 계열 ◯ ◯ ◯ 1 4 4합 7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사/과’ 는 응시 과목 수를 의미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국(국어), 확(확률과 통계), 미/기(미적분/기하), 영(영어), 사(사탐), 과(과탐),

한(한국사)

으로 운영되는 과목을 이수한 학생들을 고려해야 했다. 기존의 서강대 산출 방식이 자칫 학생들에게 공동 교육과정 과목을 이수할수록 불리해진다는 의미로 받아들여 질 수 있었다. 난도 높은 과목에 도전하거나 다양한 과목을 듣고 진로를 개척해나가 는 학생 모두 비율 계산 점수에서 유리하게 반영해주는 달성제로 변경했다고 보면 된다. 예를 들어 과목별 환산 성취 비율이 80점이 나오는 학생이 3과목을 들으면 만점, 60점이 나오는 학생이 4과목을 들으면 만점이 되는 방식이다. 다만 기존 방식에서도 교과전형은 석차등급이 산출되는 과목의 영향력이 절대적이었다. 당락에 미치는 영향보다는 학생들이 과목을 선택하는 데 있어 도외시되는 부분은 만들지 않겠다는 취지가 더 크다.

Q 지역균형전형과 논술전형의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을 완화한 이유는?

지역균형전형의 수능 최저 기준이 국·수·영·탐(1) 4개 과목 중 3개 합 6에서 3개 과목 각 3 이내로 완화 폭이 크다. 재학생들이 지원하는 전형인 데다 학령인구 감소 등을 고려해 최저 기준에 대한 부담을 낮춰주려는 취지다. 교과전형의 당락이 최저 기준에 의해 좌우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봤다. 입시 결과로 놓고 볼 때 합격선 상승 요인인 최저 기준 완화, 교과 성적 산출식 변경과 합격선 하락 요인인 전 교과 반영이 공존하는 상황이어서 합격선은 2022학년과 2023학년 입시 결과 사이에서 형성되지 않을까 예상한다.

논술전형의 최저 기준 역시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조정했다. 논술의 수능 최저 기준 충족률이 50%대까지 내려온 상황인데, 수능의 영향력이 지나치게 커지는 것은 전형 취지와 맞지 않다고 봤다. 최저 기준 완화로 충족률이 10% 내외 오를 것으로 예상은 하지만, 논술전형의 당락은 결국 논술고사가 좌우할 것이다.

Q 서강대는 학생부종합전형을 일괄전형으로 변경하면서 면접을 실시하지 않고 있다. 이유는?

서강대의 지난해 학생부종합전형 충원율은 181%였다. 모집 인원 574명에 최종 합격 인원이 1천613명이었는데, 면접 대상자를 3배수로 가정할 경우 모두 합격권인 셈이다. 면접이 크게 의미 있는 상황이 아니다. 면접의 장점이 있지만, 이 경우 서류 평가 기간이 짧아질 수밖에 없다. 그보다는 고심해 서류를 평가할 수 있는 시간을 최대한 확보하고자 했다.

Q 서강대의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요소는 학업 역량(50%), 성장 가능성(30%), 공동체 역량(20%)으로 학업 역량을 특히 강조하고 있다. 학업 역량에서 주로 평가하는 것은?

서강대에서 공부할 수 있는 학업적 결과를 보여주는지가 곧 학업 역량의 규정이다. 따라서 교과 성적의 절댓값으로 읽어낼 수 없는 과목별 원점수, 평균, 표준편차, 이수자 수, 성취도 및 성취 비율과 함께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 창의적 체험 활동 상황 등 학생부의 여러 영역에 기재된 내용을 토대로 학생이 학업을 수행해온 과정과 결과를 함께 평가한다.

평가 항목 중 학업 역량과 성장 가능성에 공통된 요소들이 있다. 차이가 있다면 교과 학습 발달 상황을 바라보는 관점이 학업 역량은 결과론적이라면, 성장 가능성은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경쟁률

Top 5 Bottom 5

지역균형 종합일반 논술일반 지역균형 종합일반 논술일반

유럽문화학과(6) 16.33 철학과(10) 26.8 시스템반도체공학과(3) 155.67 경영학부(28) 6.82 시스템반도체공학과(3) 155.67 물리학과(6) 70

중국문화학과(4) 15.25 생명과학과(23) 23.48 컴퓨터공학과(12) 147.5 경제학과(18) 7.78 컴퓨터공학과(12) 147.5 경제학과(21) 72.52

생명과학과(6) 14.83 아트&테크놀로지학과(12) 22.83 전자공학과(12) 129.33 지식융합미디어학부(14) 7.79 전자공학과(12) 129.33 영문학부(10) 78.7

영문학부(10) 12.9 정치외교학과(11) 21.09 화공생명공학과(12) 125.25 수학과(6) 8.33 화공생명공학과(12) 125.25 경영학부(36) 80.56

시스템반도체공학과(3) 12.67 화공생명공학과(34) 20.82 인공지능학과(3) 122.67 사회과학부(11) 8.36 인공지능학과(3) 122.67 인문학부(16) 81.69

※ ( ) 안은 학과별 모집 인원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입시 결과

5.5

5

4.5

4

3.5

3

2.5

2

1.5

1

지역균형 종합일반

1.49

1.87

1.53

1.60

1.72 1.82

2.65

3.09

1.65

4.85

최하위 등급

최상위 등급

25%

50%

75%

※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은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 발표 70% 컷 기준

※ 종합일반의 경우 합격자 70% 컷 기준으로 최상위 학과 합격 등급은 1.65, 상위 25% 학과는 1.82, 50% 학과는 2.65, 75% 학과는 3.09, 최하위 학과는 4.85등급이라는 의미다.

교과 등급 상위 5개 학과(70% 컷 기준)

지역균형 종합일반

1 경영학부 1.49 신문방송학과 1.65

2 생명과학과 1.51 생명과학과

3 컴퓨터공학과 1.53 컴퓨터공학과 1.74

4 전자공학과 1.54 미디어&엔터테인먼트학과 1.75

5 정치외교학과 지식융합미디어 1.54 전자공학과 정치외교학과 1.91

교과 등급 하위 5개 학과(70% 컷 기준)

지역균형 종합일반

1 중국문화학과 1.87 화학과 4.85

2 화공생명공학과 1.84 종교학과 3.8

3 물리학과 1.81 사학과 3.68

4 수학과 1.77 철학과 3.67

5 유럽문화학과 1.72 유럽문화학과 3.3

● 전형별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전형 분류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고·영재학교 기타

지역균형 98.1 % 0.0 % 0.0 % 0.0 % 1.9 %

종합일반 59.6 % 11.7 % 24.3 % 3.9 % 0.5 %

논술일반 67.4 % 20.7 % 10.7 % 0.6 % 0.6 %

※ 2023 대입 대학 알리미 자료 기준

자문 교사의 2024 서강대 수시 합격 Adivice

지역균형전형의 수능 최저 기준이 완화됐기에 2022학년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2022학년 학교장추천전형의 실질 경쟁률은 9.7:1로 2023학년 6.14:1보다 높았다. 공개된 합격자 70% 컷 평균 점수는 2022학년 1.6에서 2023학년 1.65로 다소 낮아졌다. 따라서 지난해에 비해 올해는 교과 합격선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단, 교과전형의 경우 경쟁률에 따라 합격선 변화가 크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서강대는 타 대학과 달리 성취도로 평가되는 교과 점수 산출 시 성취율을 활용한다. 같은 A를 얻더라도 학교에서 A를 받은 학생 비율이 낮을수록 높은 점수로 환산하는 방식이다. 올 수시에서는 이 방식이 변경돼 A의 성취 비율이 높더라도 성취도 평가 과목을 많이 이수하면 만점을 받을 수 있어 2023학년에 비해 석차등급으로 산출되는 과목의 영향력이 커졌다.

서강대의 종합전형은 모두 면접이 없는 일괄 전형으로 학생부 기재 내용만이 평가 대상이다. 타 대학과 비교해 학업 역량의 평가 비중이 50%로 높은 편이다. 학업 역량의 평가 요소로 학업 성취도, 탐구 능력, 융합 능력,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제시하고 있다는 데 유의하자.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에 공개된 학생부종합일반전형 합격자 70% 컷 분포는 1.65~4.85로 편차가 크다. 또 대학 알리미에 공개된 자료를 보면 종합전형에서 자사고, 특목고 출신의 합격 비율이 높다. 고교 유형에 따라 합격자 성적 분포가 다를 수 있기에 학교 상담을 통해 재학 중인 고교의 서강대 합격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서강대는 논술 가이드북을 제작해 공개하고, 모의문제를 연 2회(1월, 9월경) 입학처 홈페이지에 탑재하고 있다. 논술전형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반드시 확인하고 시험을 준비해야 한다.

태도적 측면을 중심에 놓고 본다는 것이다. 좋아하지 않는 과목, 자신 없는 과목이어도 최대한 잘하려고 노력하길 기대한다.

Q 성장 가능성의 세부 평가 항목 중 ‘교과 이수 과정과 성취도’와 학업 역량의 ‘학업 성취도’가 중복되는 듯하다. 차이점이 있다면?

성장 가능성에서는 학교에 개설된 과목 안에서 학생의 선택 과정을 본다. 자신의 상황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수 과목을 선택해나갔는지, 위계에 맞게 이수 과정을 밟아 갔는지, 쉬운 과목만 골라듣기보다 발전 지향적으로 도전해나갔는지 등을 태도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대학에서도, 사회에서도 결국은 스스로 공부하고 도전해야 하는 순간의 연속이다. 학업 역량에서 보는 학업 성취도와는 다른 맥락이기에 성장 가능성 안의 세부 평가 항목으로 설명했다. ‘고교 내 개설 과목에 대한 선택의 과정과 교과 이수 과정에서 얻은 결과’라는 표현을 두고 어려운 과목을 많이 이수하면 유리한지 묻는 경우도 있는데, 그렇지 않다. 학생 스스로 어떤 선택의 과정을 거쳤고, 어떤 성취도로 이어졌는지 보려는 취지다.

Q 올해 서강대 수시 지원자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학생들이 종합전형 지원 시 전공 적합성에 매몰되다 보니 모집 단위 선택에 위축되는 경우가 많다. 서강대는 평가 항목에 전공 적합성이나 계열 적합성, 진로 역량 등을 두고 있지 않다. 그만큼 넓게 바라보고 평가한다는 의미다. 반도체 분야에 관심이 있다고 꼭 시스템반도체공학과에만 지원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전자공학과와 물리학과 기계공학과에서도 반도체를 공부하는 학생들이 있다. 올 수시부터 자기소개서가 폐지됐기 때문에 어떤 면에선 모집 단위 선택이 좀 더 자유로워졌다고 볼 수 있다.

최근 권장 과목을 발표하는 대학들이 늘면서 지원 시 과목 이수 여부가 부담이 될

수 있겠지만, 서강대는 학생들의 과목 선택에는 다양한 이유가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이수자 수가 너무 적어 물리학을 선택하지 못했지만 그만큼 화학과 생명과학을 열심히 공부했다면 공대에 지원했더라도 그 가치를 인정한다. 대학 차원에서도 이런 학생들의 추수 지도를 위한 보완 과정을 마련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대학의 학문을 너무 좁게 보지 말고 적극적으로 지원하길 바란다.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지역균형

교과

9.12(화)~15(금)

18:00

9.18(월)~22(금)

18:00

11.16(목) 11.18(토) 자연~

19(일) 인문

12.15(금)

2024 인원

2023 인원

종합일반 기회균형

종합

서강가치 논술일반

178 178

558

574

85

36

175

77

26

175

원서 접수

지역균형

추천 명단 검증

수능 시험

논술일반

논술 시험

전형 전체

최종 합격 발표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서울과학기술대 10

수시 모집 인원 소폭 확대, 첨단 학과 창의융합인재전형으로 선발

서울과학기술대는 수시전형으로 전체 정원의 65.9%인 1천592명을 선발한다. 이는 작년의 62.2%에서 3.7%p 증가한 수치다.

학생부교과전형인 고교추천전형은 교과 성적 100%로 선발하며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을 적용한다. 학생부종합전형은 2단계 면접 평가를 포함하며 학교생활우수자전형·창의융합인재전형 등으로 나뉜다.

창의융합인재전형은 전형 취지를 반영하기 위해 첨단인재전형에서 명칭을 변경했다. 서울과학기술대 입학처 관계자에게 올해 수시 지원 시 눈여겨볼 점을 확인했다.

취재 이수린 기자 darling@naeil.com

Q 서울과학기술대의 장점을 소개한다면?

학생 입장에서 체감하기 쉬운 혜택으로 장학금 지원과 기숙사, ST학기제를 들 수 있다. 서울과학기술대의 연 평균 등록금은 546만 원, 연 평균 장학금은 319만 원으로, 실질적으로 학생이 부담하는 비용은 113만 원 정도다. 서울에 위치한 국립대의 이점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게다가 서울과학기술대에서 장학금을 받고 있는 학생은 80% 이상으로, 등록금 대비 장학금 지급률은 전국 상위에 든다.

생활관의 경우 약 2천600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최대 40%를 신입생에게 우선 배정한다. 기숙사는 캠퍼스 안에 자리 잡고 있어 접근성이 높다. 또 학생들의 다양한 진로 탐색을 위해 ST학기제를 운영한다. 학사 개시일을 2월 20일로 앞당기고 하계 방학을 3개월로 확대했다.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 정규 교과 집중 이수, 교환학생 등 현장 중심의 전문 인재 육성을 위한 토대를 갖추고 있다.

Q 2학년부터 이수 가능한 연계융합전공에 대해 설명한다면?

연계융합전공은 계열의 경계가 흐려지고 학문 간 융합이 요구되는 현 동향에 맞춰 2개 이상의 학과를 연계해 편성한 융합 교육과정이다. 2학년 이상이 복수 전공 또는 부전공으로 이수한다. 전공의 장벽 없는 다학제 간의 융합 교육과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융합형 인재 배출이 목표다. ‘IT융합소프트웨어전공’ ‘빅데이터경영공학전공’ ‘지식재산기술경영전공’‘창업융합전공’ ‘반도체융합전공’ ‘ICT인공지능전공’ ‘핀테크AI경영전공’ ‘한국문화전공’ 등 총 8개 전공이 개설돼 있다.

한편, 자연 및 이공 계열 외에도 인문사회대학 기술경영융합대학 조형대학 등 다양한 계열의 학과가 개설돼 있다. 인문사회대학에는 행정학과 영어영문학과 문예창작학과가 있다. 내실있는 교육과정으로 해당 분야 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한다. 기술경영융합대학에는 경영학전공과 글로벌테크노경영전공이 개설돼있다.

조형대학에는 디자인학과(시각디자인·산업디자인) 도예학과 금속공예디자인학과 조형예술학과가 있다. 실기 전형 외에 수시에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선발하기도 한다.

2024 서울과학기술대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교과 고교추천

교과 100

※ 고교별 추천 인원 10명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인문, 건축학 ◯ ◯ ◯ 1 2합 7

자연 ◯ ◯ ◯ 1 2합 7

종합

학교생활우수자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없음

창의융합인재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기회균등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논술 논술우수 논술 70+교과 30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사/과’ 는 응시 과목 수를 의미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국(국어), 확(확률과 통계), 미/기(미적분/기하), 영(영어), 사(사탐), 과(과탐)

Q 종합전형인 첨단인재전형의 명칭을 창의융합인재전형으로 변경했다. ‘전형 취지를 알리기 위해서’라고 밝혔는데, 좀 더 설명해준다면?

서울과학기술대 창의융합대학에는 인공지능응용학과, 미래에너지융합학과, 지능형반도체공학과가 있다. 인공지능응용학과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분야인 인공지능을 모든 산업 분야에 적용할 기술을 다룬다. 미래에너지융합학과는 대체 에너지와 관련된 공학적 전문성과 정책적 소양을 갖춘 인재를, 지능형반도체공학과는 실무 중심의 글로벌 반도체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해당 학과들은 수시에서 ‘창의융합인재전형’을 통해 별도 선발한다. 선발 과정과 평가 반영 비율은 다른 종합전형과 동일하다. 수학·과학적 지식이 충분하고 관련 내용이 학생부에 잘 드러나 있다면 누구나 지원 가능하니 많은 지원 바란다.

Q 종합전형의 평가 요소 중 진로 역량의 반영 비율이 가장 높다. 학생부의 어떤 영역에서 이를 확인하나?

종합전형 1단계 서류 평가의 반영 비율은 학업 역량 35%, 진로 역량 45%, 공동체 역량 20%다. 학업 역량은 고교에서 성실하게 교과 과목을 이수했는지 확인하는 평가 요소로, 고교마다 교육 환경이 다른 것을 감안해 개설 과목, 이수자 수, 원점수 및 표준편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진로 역량은 진로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교과 시간 동안 수행한 학업 활동 그리고 주도적으로 참여한 교내 활동 및 동아리 활동 등 학생부에 기재된 모든 사항을 평가한다.

공동체 역량의 경우 사회의 일원으로서 건강한 인성을 갖추고 공동체 안에서 규칙을 준수하며 배려와 솔선의 생활을 해왔는지는 평가하는 영역으로 출결, 자율 활동, 행동 특성 및 리더십 활동 등에 기재된 사항 전반을 확인한다.

Q 일반고 합격자 중 고교 과목 선택과 관련해 기억에 남는 학생이 있다면?

2023학년 화공생명공학과는 종합전형 경쟁률이 약 84:1로 매우 치열했다. 해당 모집 단위 합격자 중 과목 선택 자체가 특별하다기보다 관심을 가지고 진로를 구체화한 과정이 학생부에 잘 나타났던 학생이 기억에 남는다. 진로 방향을 화학공학으로 정하고 교내에 개설된 과목을 성실하게 이수하던 중에 배터리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교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학생이었다. 공동 교육과정을 이수하거나 진로와 관련한 소인수 과목을 선택하는 것도 분명 진로 역량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겠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주어진 환경에서 관심 분야를 위해 노력해왔다면 종합전형에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Q 교과전형인 고교추천전형은 재학생뿐 아니라 졸업생도 추천할 수 있다. 작년 졸업생의 합격 비율은?

2023학년에 고교추천전형으로 합격해 등록한 졸업생 비율은 9.9%다. 졸업생의 지원 비율에 비해 합격률은 높은 편으로 교과 성적 우수자의 경우 고교추천전형에 지원하는 것도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경쟁률

Top 5 Bottom 5

고교추천 학교생활우수자 창의융합인재(첨단인재) 논술 고교추천 학교생활우수자 논술

건축학부(건축학

전공)_자연(9) 15.78

화공생명공학과(12) 84.42 인공지능응용학과(30) 12.87 컴퓨터공학과(9) 89.78

경영학과(글로벌테크노

경영전공)_자연(3) 5

MSDE학과(7) 7 안경광학과(5) 26.8

지능형반도체공학과(7)

14

환경공학과(9) 44 미래에너지융합학과(15) 11.13 화공생명공학과(9) 53.11

인공지능응용학과(13)

5.15

기계시스템디자인

공학과(32) 8.16

건축학부(건축공학

전공)(9) 26.89

경영학과(경영학전공)(12)

13.92

컴퓨터공학과(13) 39 지능형반도체공학과(15) 8

스마트ICT융합공학과(7)

46.43

전기정보공학과(33)

5.36

안경광학과(9) 8.56

산업공학과(ITM전공)(3)

27

화공생명공학과(15) 13.07

디자인학과(시각

디자인전공)(3) 37.33

- 전자공학과(12) 44.25 안경광학과(11) 5.55

산업공학과(ITM전공)(7)

8.86

MSDE학과(5) 27.8

식품공학과(11) 11.82 정밀화학과(9) 27.22 -

건축학부(건축학

전공)_자연(5) 41.2

산업공학과(ITM전공)(8)

6

건설시스템공학과(21)

9.19

건설시스템공학과(16)

29.44

※ ( ) 안은 학과별 모집 인원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입시 결과

5

4.5

4

3.5

3

2.5

2

1.5

고교추천 학교생활우수자

1.77

2.69

2.01

2.18

2.38

2.25

2.85

3.13

3.43

3.58

4.92

통계상 예측되는 최하위 등급

실제 최하위 등급

25%

50%

75

통계상 예측되는 최상위 등급

※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은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 발표 70% 컷 기준

※ 종합전형인 학교생활우수자전형의 경우 합격자 70% 컷 기준으로 최상위 학과 합격 등급은 2.25, 상위 25% 학과는 2.85, 50% 학과는 3.13, 75% 학과는 3.43, 최하위 학과는 4.92등급이라는 의미다

교과 등급 상위 5개 학과(70% 컷 기준)

상위 5개 학과(70% 컷 기준)

고교추천 학교생활우수자 창의융합인재(첨단인재)

1 화공생명공학과 1.77 MSDE학과 2.23 미래에너지융합학과 2.55

2 MSDE학과 1.93 산업공학과(ITM전공) 2.49 지능형반도체공학과 2.95

3 신소재공학과 1.94

경영학과(글로벌테크노

경영전공)_인문 2.75

인공지능응용학과 3.13

4 인공지능응용학과 1.96 정밀화학과 2.77 -

5 전자공학과 1.99 신소재공학과 2.79

교과 등급 하위 5개 학과(70% 컷 기준)

고교추천 학교생활우수자

1 안경광학과 2.69 경영학과(경영학전공) 4.92

2 건설시스템공학과 2.53 문예창작학과 3.58

3 영어영문학과 2.52 스마트ICT융합공학과 3.57

4 건축학부(건축공학전공) 2.44 스포츠과학과 3.56

5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2.42 안경광학과 3.56

● 전형별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전형 분류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고·영재학교 기타

교과전형 99.74% 0.25% 0% 0% 0%

종합전형 83.88% 6.80% 2.77% 4.03% 2.50%

논술전형 92.59% 6.35% 0% 0% 1.10%

※ 2023 대입 대학 알리미 자료 기준

자문 교사의 2024 서울과학기술대 합격 Advice

서울과학기술대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주요 수시전형의 지원 추이를 살펴보면 2022학년에는 1천53명 모집에 1만5천501명이 지원해 14.72:1의 평균 경쟁률을 기록한 반면 2023학년엔 1천9명 모집에 1만7천503명이 지원해 17.34:1의 평균 경쟁률을 나타냈다. 특히 작년 학교생활우수자전형의 화공생명공학과는 경쟁률이 84.42:1에 달했다. 교과전형인 고교추천전형은 교과 성적 100%로 선발하며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이 있다. 교과 성적은 계열별로 자연은 국수영과, 인문은 국수영사한 과목을 반영한다. 1천 점 만점으로, 1등급에서 5등급까지는 등급 간 배정 점수가 10점 간격을 유지하지만, 6등급 이하부터 급격히 감소한다. 반영 과목 중 소위 ‘버린 과목’이 있을 경우 점수가 낮아진다. 환산점을 산출해 작년 합격 환산점과 비교해보자.

종합전형인 학교생활우수자전형의 경우 학과별 경쟁률과 교과 성적의 차이가 크다. 따라서 지원 시 특정 학과를 고집하기보다 유연한 판단이 필요하다. 종합전형에서는 학업 역량, 진로 역량, 공동체 역량 중 진로 역량을 가장 많이 반영한다. 전공 관련 교과 이수와 성취도, 관련 활동 등이 필요하다. 창의융합인재전형은 다양한 학문 분야 지식을 학습하고 융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융합 역량, 문제를 스스로 발견해 논리적 사고와 추론 능력을 바탕으로 해결하는 창의적 문제 해결 역량을 평가한다.

논술전형을 준비하는 경우 선행학습 영향 평가 보고서를 참고하자. 논술전형에 합격한 학생들의 설문 조사가 있어 전형 준비에 참고가 된다. 올해 논술고사는 <확률과 통계>가 범위에서 제외됐지만, 범위 에 포함된 공통 과목 <수학>에도 수열, 조합 파트가 있는 만큼 기본적인 학습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Q 올해 서울과학기술대 수시 지원자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우선 복수지원의 이점을 충분히 활용했으면 한다. 전형별로 모집 단위를 나눠 지원해 여러 가능성을 고려하여 변화된 제도를 활용했으면 한다. 또한 모의 논술과 모의 면접을 실시할 예정이니,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실전 감각을 익힌다면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고도 충분한 대비가 가능할 것이다. 서울과학기술대 입학처 홈페이지 및 유튜브 채널에 관련 입시 정보가 지속적으로 공유되니 이를 잘 활용하기를 바란다.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9.11(월)~15(금)

18:00

9.18(월) ~22(금) 11.16(목) 11.17(금) 11.20(월) 11.25(토) 12.15(금)

2024 인원 2023 인원

원서 접수

[고교추천]

대상자 입력

수능 시험

[종합전형 전체]

1단계 합격 발표

[논술]

논술고사

[학교생활우수자/

창의융합인재]

면접

[전형 전체]

최종 합격자 발표

고교추천

교과

학교생활우수자 창의융합인재

종합

기회균등 논술

논술

기타

444

416 408

343

67 60

86 85

189 190

398 385

※ 세부 사항은 입학처 홈페이지에 게시된 요강 참조

학교생활우수자

25.6%

창의융합인재 4.2%

기회균등

5.4%

고교추천

27.9%

논술 11.9%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서울시립대 11

교과전형 추천 인원 확대, 종합전형 모집 단위 인재상 주목

2024학년 서울시립대 수시는 지난 2023학년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다. 학생부교과전형은 ‘3개 영역 등급 합 7’ 이라는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을 그대로 유지하고, 학생부 교과 반영 방법도 전년과 동일하다.

지역균형선발전형은 모집 인원이 228명으로 소폭 확대되고, 고교별 추천 인원이 8명에서 10명으로 늘었다. 학생부종합전형은 면접형인 학생부종합전형Ⅰ과 서류형인 학생부종합전형Ⅱ로 모집한다. 논술전형은 논술 70%와 교과 30%로 선발하며 최저 기준 없이 수능 전에 논술고사를 치르는 특징이 있다. 지난 입시 결과와 2024학년 수시 전형에서 주목해야 할 점을 서울시립대 장한별 선임입학사정관에게 들어봤다.

취재 정나래 기자 lena@naeil.com

Q 자기소개서 폐지 등 평가 서류 축소로 인해 예상되는 변화가 있다면?

정부 예고에 맞춰 선제적으로 평가 방식을 바꿔왔다. 따라서 큰 변화는 없을 전망이다. 다만 그 반작용으로 교과, 특히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이 지나치게 강조됐다. 세특 기재 의무화로 기록은 상향 평준화됐는데, 한편으로는 학생 개인의 특성보다 교과 과정 내 일반적 활동을 다수 기술하거나, 지원 학과에 맞춰 전략적으로 기술한 사례가 다수임을 지난 입시에서 확인했다. 대학 입장에선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성취 과정과 결과가 일관적인지, 전공 영역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갖추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를 살핀다. 단순한 미사여구보다 교과 성취 수준이나 평가 기준에 근거한 사실적 관찰 기록에 눈길이 간다. 또 학생들이 교과 내에서 진행한 탐구 활동은 개인의 역량을 보여주는 좋은 요소지만, 결국 면접에서 심층 검증 소재가 된다는 점도 유의하길 바란다.

Q 교과전형인 지역균형선발전형에서 진로선택 과목을 상위 3개 과목만 반영한다. 결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나? 또 올해 고교당 추천 인원을 확대한 배경은?

3개의 진로선택 과목 모두 성취도 A인 지원자가 95% 내외다. 교과 평가에서 진로선택 과목 을 10% 반영하나, 합불에 영향을 미치긴 어렵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진로선택 과목을 이수하고 있는 고교의 상황을 평가에 반영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로 보면 된다. 고교당 추천 인원을 2023학년 8명에서 2024학년 10명으로 확대한 것은 좀 더 기회를 주기 위한 조치다. 다만 지난해 학교당 추천 인원은 대개 3~4명이었다. 주요 대학이 추천형 교과전형을 동시다발적으로 도입한 만큼, 한정된 지원자층에 다양한 선택지가 주어졌다. 주로 1등급 중후반에서 2등급 초반대가 지원·합격한다. 우수한 교과 성적은 기본이고, 최저 기준 충족 여부를 따져봐야 해 생각 외로 지원이 쉽지 않은 전형이다. 따라서 올해 수험생의 지원 경향도 예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한다.

Q 지역균형선발전형의 2023학년 최저 기준 충족률이 53.1%다. 올해도 이런 추세

2024 서울시립대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교과 지역균형

교과 100

※ 10명 이내 재학생 추천

종합

종합Ⅰ(면접형)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60+면접 40

없음

종합Ⅱ(서류형) 서류100

기회균형Ⅰ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60+면접 40

사회공헌·통합

[1단계] 서류 100(4배수)

[2단계] 1단계 60+면접 40

논술 논술 논술 70+교과 30

* 자연 계열Ⅰ: 자연 계열Ⅱ 제외 전 자연 모집 단위

** 자연 계열Ⅱ: 환경원예학과 건축학부 교통공학과 조경학과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사/과’ 는 응시 과목 수를 의미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국(국어), 확(확률과 통계), 미/기(미적분/기하), 영(영어), 사(사탐), 과(과탐)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인문 ◯ ◯ ◯ 1 3합 7

자연 계열Ⅰ* ◯ ◯ ◯ 1 3합 7

자연 계열Ⅱ** ◯ ◯ ◯ 1 3합 7

가 유지될까?

학령인구는 전반적으로 줄고 있으나, 향후 3년간 고3 학생 수가 비슷하게 유지되고 N수생이 증가하는 추세라 수능 응시 인원에 큰 변화가 있을 것 같진 않다. 최근 정부가 수능에서 초고난도 문항 출제를 배제하겠다고 밝혔다. 이로 볼 때 최저 기준 충족률은 비슷하거나 다소 높아질 것 같다. 최저 기준이 높다는 평가도 있는데, 현재 대입 체제를 고려한 조치다. 서울 주요 대학의 정시 선발 비중이 40%로 확대됐다. 수시는 9월에 원서를 접수해, 일선 학교의 3학년 2학기 면학 분위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대학이 수능에서 손을 놓으면 안 될 것 같다고 판단했다. 또 교과 성적과 수능 성적이 완벽히 비례하지는 않더라도 어느 정도 균형을 이뤄야 한다는 메시지를 고교에 전해야 한다는 인식도 있다. 최저 기준은 당분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같은 맥락에서 2025학년 종합전형(서류형)에도 최저 기준을 적용한다. 국어 수학 영어 탐구(1과목) 중 ‘2개 영역 등급 합 5’로 높은 기준은 아니다. 교과전형 지원층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해봤더니 매우 높은 충족률을 보였다. 끝까지 최선을 다하라는 메시지로 이해하면 좋겠다.

Q 2023학년 종합전형에 학생부종합Ⅱ전형(서류형)을 신설했다. 이전과 비교해 지원자층에 변화가 있었나? 또 2024학년 3개 학과에서만 신입생을 선발하는 이유가 궁금하다.

지난해 수험생들의 전형 선택 폭을 넓혀주기 위해 종합전형을 서류형과 면접형으로 나눠 실시했다. 그중 Ⅱ(서류형)는 경영학부(69명), 국제관계학과(6명), 교통공학과(2명), 도시행정학과(3명) 등 4개 모집 단위에서 총 80명을 선발했다. 2023학년 수시에서 종합Ⅰ(면접형)의 지원자층과 큰 차이는 없었다. 또 전형 운영 여부는 개별 학과의 모집 전략과 의사결정에 따른다. 예를 들어 2024학년 수시에서 자연 계열인 교통공학과는 교육 활동과 기록에 대한 검증이 중요해진 현재의 흐름을 반영해 종합Ⅰ(면접형)로 일원화했다. 반면 경영학부 등 3개 학과는 인문 계열 내 상위권 학생의 선호도가 높아 우수한 지원자층 내에서 수험생의 다양한 요소를 반영할 수 있어 종합Ⅱ(서류형)로 계속 운영한다.

Q 종합Ⅱ(서류형)는 평가 요소 중 잠재 역량을 50% 반영한다. 서울시립대 다른 종합전형의 반영 비율(40%)보다 더 높게 책정한 이유는? 또 모집 단위별 인재상 안내를 보면 전공 관련 교과 성취도가 우수한 학생을 원한다고 밝히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평가하나?

서울시립대는 종합전형에서 학업 역량, 잠재 역량, 사회 역량을 평가한다. ‘모집 단위별 인재상’을 강조하는 특성상 모든 종합전형에서 전공 분야에 대한 노력과 성취를 보여줄 수 있는 잠재 역량을 좀 더 눈여겨볼 수밖에 없다. 특히 서류형 지원자들은 전공 학문 탐구를 위한 기초 학업 능력을 살피는 ‘학업 역량’이 대동소이한 편이라 잠재 역량을 좀 더 많이 반영한다.

각 전공의 특성이 다르고 요구하는 역량도 차이가 큰 만큼, 학과 공부에 필요한 고교 교과 성취도가 좋으면 높게 평가한다. 전공 관련 과목에서 어느 정도 역량을 입증한다면, 다른 교과의 성취도가 다소 낮아도 충분히 평가받을 수 있다는 신호로도 해석할 수 있다.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경쟁률

Top 5 Bottom 5

지역균형 종합Ⅰ(면접형) 종합Ⅱ(서류형) 논술 지역균형 종합Ⅰ(면접형) 논술

영어영문학과(4) 47.25 생명과학과(8) 35.25 국제관계학과(6) 23.67 신소재공학과(3) 48.67 세무학과(8) 9 세무학과(20) 6.3 물리학과(4) 21.75

건축학부(건축학전공)

(4) 43.25

화학공학과(15) 33.2 도시사회학과(3) 20.67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19) 43.16

물리학과(3) 10.33

국사학-도시역사경관학전공

(2) 7.5

교통공학과(3) 23

인공지능학과(2) 34 국제관계학과(14) 32.14 교통공학과(2) 18 컴퓨터과학부(8) 41.5 행정학과(9) 13.11 조경학과(12) 7.67 수학과(9) 23.33

환경공학부(9) 27.33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15) 31.07

경영학부(69) 15.78 기계정보공학과(3) 38.67 도시행정학과 (5) 13.2

도시공학-도시부동산

기획경영학전공(2) 8

건축학부(건축공학전공)

(5) 25.6

융합응용화학과 (4) 25.5 환경원예학과(9) 29.33 생명과학과(4) 34 컴퓨터과학부 (7) 13.57

물리학-나노반도체물리학

(2) 8.5

공간정보공학과 (4) 25.75

※ ( ) 안은 학과별 모집 인원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입시 결과

6

5.5

5

4.5

4

3.5

3

2.5

2

1.5

지역균형 종합Ⅰ

(면접형)

종합Ⅱ

(서류형)

1.63

2.10

1.99

1.82

1.73

2.07

2.91

2.53

2.15

5.76

2.23

2.53

4.32

최하위 등급

25%

50%

75%

최상위 등급

※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은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 발표 70% 컷 기준

※ 종합Ⅰ(면접형) 합격자 70% 컷 기준으로 최상위 학과 합격 등급은 2.07, 상위 25% 학과는 2.23, 50% 학과는 2.53, 75% 학과는 4.32, 최하위 학과는 5.75등급이라는 의미다.

※ 종합Ⅱ(서류형)는 4개 학과 중 2개 학과(국제관계학과 경영학부) 등급의 70% 컷만 공개

교과 등급 상위 5개 학과(70% 컷 기준)

지역균형 종합Ⅰ(면접형) 종합Ⅱ(서류형)

1 세무학과 1.63 화학공학과 2.07 국제관계학과 2.15

2 신소재공학과 1.69 생명과학과 2.1 경영학부 2.91

3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1.71 컴퓨터과학부 2.14

4 행정학과 1.74 환경공학부 2.15

5 화학공학과 1.76 도시공학과/신소재공학과 2.17

교과 등급 하위 5개 학과(70% 컷 기준)

지역균형 종합Ⅰ(면접형)

1 경제학부 2.1 융합응용화학과 5.76

2 경영학부 2.03 기계정보공학과 5.5

3 국제관계학과 2 사회복지학과 5.45

4 수학과 1.97 건축학부(건축공학전공) 4.6

5 토목공학과 1.87 공간정보공학과 4.45

● 전형별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전형 분류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고·영재학교 기타

지역균형 93.9% 0.0% 0.0% 0.0% 6.1%

종합 71.0% 3.0% 21.5% 4.3% 0.2%

논술 88.2% 5.2% 0.0 % 0.0 % 6.6%

※ 2023 대입 대학 알리미 자료 기준

자문 교사의 2024 서울시립대 합격 Adivice

서울시립대 지역균형선발전형은 상대적으로 높은 최저 기준을 반영하므로 내신만큼 수능 준비도 중요하다. 참고로 전년도 학과별 평균 최저 충족률은 53.1%에 불과했다. 경쟁률이 18.87:1이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실질 경쟁률은 10:1이 안 되었던 셈이다. 최종 합격자의 교과 최저 등급은 인문 계열 모집 단위 2.30, 자연 계열 모집 단위 2.36이지만, 평균 등급은 인문 1.86, 자연 1.82다. 따라서 본인의 교과 등급이 합격자 평균보다 낮다면 전공 선택 시 주의해야 한다.

서울시립대 종합전형은 학생부종합Ⅰ(면접형)과 학생부종합Ⅱ(서류형)로 구분된다. 면접형은 학업 역량 35%, 잠재 역량 40%, 사회 역량 25%, 서류형은 학업 역량 30%, 잠재 역량 50%, 사회 역량 20%를 반영해 잠재 역량을 높게 평가한다. 지원 전 입학처에 공개된 모집 단위별 인재상 확인이 필수다. 면접형의 경우 최종 합격자의 학생부 평균 등급이 일반고 2.64, 자사고 2.65로 큰 차이가 없는 반면 특목고의 경우 5.43까지 떨어진다. 단, 합격자 고교 비율에서 일반고가 72.3%로 대다수인 만큼 일반고 평균에 준해서 본인의 학생부를 살펴 지원해야 한다.

논술전형은 자연 계열 모집 단위에서만 선발한다는 점과 출제 범위가 고교 수학 교과 교육과정 전반이라는 점을 유의하자. 2023학년 논술은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기하> <확률과 통계> 모든 범위에서 고르게 출제됐다. <확률과 통계>를 미이수했거나, 수능 <미적분> 선택자라 <기하>를 배우지 않았다면 선택 시 주의해야 한다. 또 논술고사가 수능 전인 10월 7일(토)에 진행된다. 최저 기준이 있는 홍익대의 논술고사 날짜와 겹친다. 마지막까지 본인의 모의고사 성적을 바탕으로 수능 성적을 잘 예측해 지원하길 권한다

Q 종합Ⅰ(면접형)에서 면접 결과로 합불이 뒤바뀐 비율은?

지난해 최초 합격자의 53.6%가 1차 서류 평가에서 1배수 밖에 있던 그룹이었다. 그만큼 면접이 최종 당락에 미치는 영향력이 컸다. 서류 평가를 통과한 학생들의 평가 점수가 매우 촘촘해, 면접을 변별력 있게 진행하는 편이다. 최근 2년간 지원자들을 평가해보니 코로나19로 인해 실험·활동에 직접 참여하기보다 영상이나 책으로

간접 경험을 쌓은 경향이 다수 나타났다. 기록에 비해 실제 깊이가 얕다는 인상을 준 지원자가 종종 있었다. 때문에 면접에서 이를 집중적으로 확인했다. 서류에 기반해 전공 관련 교과의 기본 개념부터 심화 내용, 그를 포함해 관심 영역을 포괄하는 간접적 지식까지 확인하는 꼬리 질문을 이어갔다. 따라서 학생부를 잘 확인하고, 기록의 행간을 스스로 설명할 수 있도록 예비 질문에 좀 더 정교하게 답변하는 훈련을 해두면 좋다. 자신이 탐구했던 영역의 최근 이슈나 트렌드를 파악해두는 것도 도움이 된다.

Q 올해 서울시립대 수시 지원자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여전히 모집 단위별 인재상을 중심으로 선발한다. 핵심 평가 기준이니, 수험생

들은 대학 홈페이지에 안내된 내용을 잘 살펴보길 바란다. 특히 주어진 학교 환경에서 전공 관련 기초 교과를 충실히 선택·이수하고, 교과를 중심으로 심화 학습하며 주변에서 관련 주제나 문제의식을 갖고 접근하는 경험을 쌓는다면 눈여겨볼 것이다. 화려한 과목명, 탐구 활동 주제로 포장하려 하지 말고, 내실을 쌓길 바란다.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지역균형

교과 종합

9.11(월)~

14(목) 18:00

9.18(월)~22(금) 10.7(토) 11.16(목) 11.17(금) 11.25(토, 자연)~

26(일, 인문/예체)

12.15(금)

2024 인원

2023 인원

종합Ⅰ(면접형) 종합Ⅱ(서류형) 기회균형Ⅰ 사회공헌·통합

228

368

80 80

34 34

194

371

143 143

75 77

원서 접수

[지역균형]

학교장 추천서 접수

수능 시험

[논술]

논술고사

[종합Ⅰ]

1단계 합격 발표

[종합Ⅰ]

면접고사

[전형 전체]

최종 합격 발표

논술

논술

종합Ⅰ(면접형)

39.3%

논술

8.0%

기타 0.9%

지역균형

24.4%

종합Ⅱ(서류형)

8.5%

사회공헌·통합

3.6%

기회균형Ⅰ

15.3%

※ 세부 사항은 입학처 홈페이지에 게시된 요강 참조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성균관대 12

면접 추가된 과학인재전형 신설

수능 최저 수학 응시 과목 제한 폐지

성균관대는 올 수시에서 입학 정원의 10% 내외인 402명을 학생부교과전형인 학교장추천전형으로 선발한다.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은 작년에 비해 완화됐다. 전체 선발 비율에서 36%를 차지하는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주로 서류로 선발했던 계열모집, 학과모집 외에 면접이 추가된 과학인재전형이 신설됐다. 또 수능 최저 기준을 적용하는 교과전형, 논술전형의 자연 계열 모집 단위에서 수학 응시 과목 제한을 폐지했다. <확률과 통계>에 응시해도 지원이 가능해진 셈이다.

기존의 반도체시스템공학과,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외에도 첨단학과로 지능형소프트웨어학과, 반도체융합공학과, 에너지학과가 신설됐다.

성균관대 입학처 권영신 입학사정관실장에게 올 수시에서 성균관대 지원 시 주목해야 할 점을 들었다.

취재 정애선 소장(내일교육 부설 교육정책연구소 헤리티지내일) asjung@naeil.com

Q 반도체시스템공학과, 바이오메디컬공학과에 더해 올해 지능형소프트웨어학과, 반도체융합공학과, 에너지학과가 신설됐다. 특히 반도체시스템공학과와 반도체융합공학과는 어떤 차이인가?

우선 반도체시스템공학과와 지능형소프트웨어학과는 삼성전자와의 협약으로 설립된 채용 보장형 계약학과다. 인공지능에 특화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지능형소프트웨어학과는 학·석사 5년제 통합 과정으로 운영된다. 반도체시스템공학과와 반도체융합공학과의 가장 큰 차이는 계약학과 여부다. 반도체시스템공학과의 경우 현재도 70~80% 이상의 재학생들이 삼성전자에 입사하고 있다. 반도체융합공학과는 사회적 수요가 높은 반도체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신설된 첨단학과로, 두 학과의 교육과정은 유사하다. 다만 반도체융합공학과는 계약학과가 아니기 때문에 SK하이닉스를 비롯해 다양한 반도체 기업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려 있다. 에너지학과는 2차전지와 신재생에너지, 전기자동차, 수소자동차 등 첨단 에너지 시스템 구축과 신재생에너지원의 발굴, 생산을 다루는 학과다. 첨단학과는 일반 공대 학과들에 비해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이 높은 특징이 있다. 우수 인재를 선발하려는 취지라고 보면 된다.

Q 학생부종합전형에 과학인재전형을 신설한 배경은?

이공계 분야의 연구 후속 세대를 육성하기 위해 신설된 전형이다. 수능 최저 기준은 적용하지 않는

2024 성균관대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교과

학교장

추천

교과 100

(진로선택 과목 정성 평가 20 포함)

※ 3학년 재적 학생 수의 1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인문Ⅰ ◯ ◯ ◯ 2 3합 6

인문Ⅱ ◯ ◯ ◯ 2 3합 7

자연Ⅰ ◯ ◯ ◯ 2 3합 6

자연Ⅱ ◯ ◯ ◯ 2 3합 7

종합

계열모집 서류 100

없음

학과모집

서류 100(아래 모집 단위 제외)

- 사범, 스포츠과학, 의예

[1단계] 서류 100(3배수, 의예 5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과학인재

[1단계] 서류 100(7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기회균형 서류 100

논술 논술우수 논술 10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인문Ⅰ ◯ ◯ ◯ 2 3합 5

인문Ⅱ ◯ ◯ ◯ 2 3합 6

자연(의예) ◯ ◯ ◯ 2 3합 4

자연Ⅰ ◯ ◯ ◯ 2 3합 5

자연Ⅱ ◯ ◯ ◯ 2 3합 6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사/과’ 는 응시 과목 수를 의미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국(국어), 확(확률과 통계), 미/기(미적분/기하), 영(영어), 사(사탐), 과(과탐)

※ 인문Ⅰ: 특성화 학과 / 인문Ⅱ: 인문Ⅰ 이외 인문 계열 학과

자연Ⅰ: 특성화 학과 / 자연Ⅱ: 자연Ⅰ, 의예 이외 자연 계열 학과

탐구 과목 각 1과목으로 반영

인문 계열 사탐 1과목 필수 포함, 제2외국어/한문 탐구 1과목 대체 가능

자연 계열 과탐 1과목 필수 포함

다. 1단계 서류 평가로 모집 인원의 7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 제시문에 기반한 교과형 면접을 치른다. 수학은 <미적분>과 <기하> <확률과 통계>, 과학은 지구과학을 제외한 <물리학Ⅰ·Ⅱ> <화학Ⅰ·Ⅱ> <생명과학Ⅰ·Ⅱ>를 전 범위로 한다. 면접 시간은 10분가량, 현장에 와서 영상으로 촬영하는 방식이다. 현재 모의면접 문항을 출제 중인데, 입학처 홈페이지에 공개 예정이니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충원율을 고려하면 1단계 7배수 안에 들 경우, 면접에서 크게 문제가 없는 한 거의 합격권이라고 볼 수 있다. 서류 평가가 좋은 경우 면접에서도 수학·과학 역량을 잘 발휘할 수 있을 거라고 판단한다. 전형명 때문에 과학고나 영재학교 학생들이 유리할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일반고 학생들도 다른 과목은 좀 부족하지만 수학, 과학 쪽에 특화돼 있다면 도전해볼 만하다. 면접 출제 범위를 고려하면 수학과 과학을 충분히 공부한 학생들에게 좀 더 적합한 전형이다. 서류 평가 방식은 기존의 종합전형과 동일하다.

Q 교과전형에서 진로선택 과목의 경우 정성 평가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어떻게 평가하나?

교과 80% 외에 20%로 반영되는 진로선택 과목 정성 평가는 학업 수월성과 학업 충실성을 각 10%로 평가한다. 학업 수월성은 학생의 성취 수준과 원점수, 성취도별 분포 비율 등을 중심으로, 학업 충실성은 과목 이수 현황과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 기록을 중심으로 본다.

다만 과목 이수 현황의 경우 모집 단위 연계 과목을 이수하지 않았다고 해서 페널티를 적용하는 방식의 개념은 아니다. 주요 교과 진로선택 과목을 유의미하게 이수했는지, 쉬운 과목만 골라 배우지는 않았는지 등을 학업 역량 측면에서 바라본다고 생각하면 된다.

Q 교과전형에서 진로선택 과목의 평가 결과에 따라 당락이 뒤바뀌는 비율은 얼마나 됐나?

교과전형은 80% 반영되는 교과 정량 평가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다. 20% 정성 평가의 변별을 크게 두면 고교에서도 예측이 어려워진다. 교과전형에 지원하는 학생들의 성적대가 워낙 촘촘하다 보니 당락이 바뀐다기보다 합격권 안에 있는 학생들 사이에서의 순위가 일부 바뀌는 정도로 보면 된다.

Q 올 수시에서 수능 최저 기준의 경우 자연 계열의 수학 응시 과목 구분을 폐지했다. 또 인문 계열은 제2외국어/한문을 탐구 한 과목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학교장추천전형의 합격선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나?

탐구 한 과목 대체는 계속 해왔던 방식이고, 자연 계열은 수능 수학 필수 응시 영역 제한을 풀었다. <미적분>과 <기하>뿐 아니라 <확률과 통계> 응시자도 자연 계열에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 성균관대는 최저 기준 적용 시 탐구 과목을 각각 인정한다. 다만 인문 계열은 사탐 한 과목, 자연 계열은 과탐 한 과목 이상 응시가 필수다. 지난 해 최저 기준 충족률이 60%가량 됐는데, 완화 효과가 발휘된다면 충족률은 그보다는 좀 더 높아질 수 있다. 그 경우 교과 합격선이 소폭 상승할 수도 있다.

Q 성균관대를 비롯해 5개 대학이 자연 계열을 중심으로 교과 이수 권장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경쟁률

Top 5 Bottom 5

학교장추천 학과모집 계열모집 논술우수 학교장추천 학과모집 논술우수

사회과학 계열(5) 21.6 의예(20) 25.5 인문과학 계열(72) 17.46 의예(5) 489.2 국어국문학(11) 5.36 건축학(5년제)(27) 7.56 건설환경공학(20) 49.5

건축학(5년제)(10) 17 약학(30) 21.5 사회과학 계열(84) 20.74 약학(5) 457.4 사학(11) 5.45 러시아어문학(11) 7.91 글로벌경제학(15) 64.27

소프트웨어학(10) 16.1 교육학(15) 17.2 자연과학 계열(71) 24.76 반도체시스템공학(10) 163.9 철학(11) 5.64 글로벌경제학(45) 8.18 글로벌리더학(15) 70.8

인문과학 계열(5) 15.8 스포츠과학(17) 17 공학 계열(150) 14.12 소프트웨어학(10) 150.9 심리학(11) 5.64 수학교육(15) 8.47 글로벌경영학(15) 77.07

경영학(10) 14.4

글로벌바이오

메디컬공학(30) 16.7

글로벌융합학(40) 16.9 자연과학 계열(30) 111.97 물리학(10) 5.8 프랑스어문학(11) 9.36 전자전기공학(30) 83.5

※ ( ) 안은 학과별 모집 인원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입시 결과

4

1

1.5

2

2.5

3

3.5

학교장추천 학과모집 계열모집

1.39

1.46

2.57

3.31

2.60

2.92

3.30

3.95

2.72

3.31

3.66

2.40

1.65

1.85

2.03

최하위 등급

25%

50%

75%

최상위 등급

※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은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 발표 70% 컷 기준

※ 학과모집의 경우 합격자 70% 컷 기준으로 최상위 학과 합격 등급은 1.46, 상위 25% 학과는 2.72, 50% 학과는 3.31, 75% 학과는 3.66, 최하위 학과는 3.95등급이라는 의미다.

교과 등급 상위 5개 학과(70% 컷 기준)

학교장추천 학과모집 계열모집

1 경영학 1.39 의예 1.46 공학 계열 2.92

2 수학교육 1.55 전자전기공학부 2.11 글로벌융합학 3.28

3 사회과학 계열 1.58 수학교육 2.35 사회과학 계열 2.57

4 소프트웨어학 1.61 소프트웨어학 2.46 인문과학 계열 3.31

5

글로벌리더학/

자연과학 계열 1.63

약학 2.64 자연과학 계열 2.62

교과 등급 하위 5개 학과(70% 컷 기준)

학교장추천 학과모집

1 의상학 2.4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 3.95

2 사회복지학 2.15 의상학 3.81

3 한문교육 2.13 프랑스어문학 3.73

4 한문학 2.09 컴퓨터교육 3.73

5 유학동양학 2.08 한문교육 3.69

● 전형별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전형 분류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고·영재학교 기타

지역균형 98.9 % 0.3 % 0 % 0 % 0.8 %

종합 59.5 % 9.9 % 26.4 % 3.2 % 1 %

논술 79.7 % 15.7 % 1.7 % 0.3 % 2.6 %

※ 2023 대입 대학 알리미 자료 기준

자문 교사의 2024 성균관대 합격 Advice

성균관대 학교장추천전형의 특징은 학과별 경쟁률과 교과 성적의 차이가 뚜렷하다는 점이다. 학교장추천전형의 경쟁률은 5.8:1(물리학)에서 21.6:1(사회과학계열)까지 편차가 크다.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에 공개된 학과별 합격 교과 성적 70% 컷은 1.39(경영학)에서 2.4(의상학)까지 분포한다. 따라서 교과전형을 고려하는 학생은 예년 합격 교과 성적과 지원 시 경쟁률을 살펴보고 학과를 최종 결정해야 한다. 또 수능 최저 기준이 완화됐다는 점, 학과와 계열별 모집 인원에 변동이 많다는 점, 타 대학과 중복 합격이 많아 충원율이 높다는 점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2023 수시 성균관대 학교장추천 충원율 Top 5

순위 학과

모집

인원

경쟁률

합격

번호

충원율

1 사회과학 계열 5 21.6 33 560%

2 전자전기공학 5 11.2 29 480%

3 소프트웨어학 10 16.1 49 390%

4 사회학 18 10.4 85 372.2%

5 글로벌융합학 10 10.1 44 340%

종합전형의 경우 계열모집과 대부분의 학과모집에서 서류 100%로 선발한다. 평가 영역과 반영 비율은 학업 역량 50%, 개인 역량 30%, 잠재 역량 20%다. 개인 역량에 교과 성취 수준, 지적 호기심, 관심과 열의

등이, 잠재 역량에 자기 주도성, 성실성 등이 포함되기에 학교생활에서 학습의 내용과 과정, 결과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올해 입학처 홈페이지에 공개한 <성균관대가 들려주는 고교생활 가이드북>을 살펴보면 준비에 도움이 된다.

면접은 학과모집 중 의예, 사범 계열, 스포츠과학과와 과학인재전형의 전 학과에서 실시된다. 사범 계열과 스포츠과학과 면접에서는 해당 분야 이슈나 시사상식 등이 공통 문항으로 출제되기도 한다.

과목을 발표했다. 올해 서류 평가에 어떻게 반영할 계획인가?

이번 연구 결과를 평가에 어떻게 반영할지는 대학 자율에 맡기기로 했다. 성균관대는 올해 서류 평가에서는 반영하지 않을 계획이다. 권장 과목을 이수하면 학과 공부에 적응하기 수월하다는 측면에서 교육적으로는 바람직하지만. 학생 입장에서 봤을 때 아직은 학교에 개설되지 않아 이수할 수 없는 경우도 있고, 공동 교육과정으로 듣기 어려운 과목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성균관대는 계열모집을 하기 때문에 특정 학과에서 요구되는 권장 과목을 평가하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 학업 역량이 충분하다면 권장 과목 일부를 이수하지 못했더라도 입학 후 학과 공부를 충분히 따라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Q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에 따라 최근 서류 평가 시 눈에 띄는 변화가 있나?

사회 과목 중심으로 이수한 학생이 다수의 수학 과목을 이수해 데이터사이언스, 인공지능, 컬처앤테크놀로지를 세부 전공으로 하는 글로벌융합학부에 지원한 경우가 있었다. 사회 과목 중심으로 이수한 학생들이 과학 Ⅰ과목을 의미 있게 이수하거나, <미적분>까지 이수해 사회과학이나 상경 계열로 지원하는 경우도 늘어나는 추세다. <미적분> <기하> <확률과 통계> 세 과목을 모두 이수해 자연 계열로 지원하거나 전공 관련 과학 Ⅰ·Ⅱ과목을 충실히 이수하는 학생들 역시 증가 추세다. 수학 선택 과목에 제한을 두지 않고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고교가 늘면서 나타나는 변화로 보고 있다. 5개 대학이 참여한 연구 결과가 이런 추세로 가는 데 있어 가이드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종합전형에서 계열모집과 학과모집을 각각 운영하는 만큼 두 전형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방법도 고려해보길 바란다. 계열모집을 적정 혹은 상향 지원했다면, 학과 모집을 안정 지원으로 활용하면 합격 가능성을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다.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학교장추천

교과

2024 인원

2023 인원

계열모집 학과모집 과학인재 기회균형 논술우수

논술

402

9.12(화)~

9.15(금) 18:00

원서 접수

9.18(월)~22(금)

학교장 추천

대상자 입력

10.18(금)

학과모집/과학인재

1단계 합격 발표

10.21(토)

학과모집

면접

12.15(금)

전형 전체

최종 합격 발표

11.18(토) 인문

11.19(일) 자연, 글로벌융합

논술우수

논술고사

11.16(목)

수능 시험

10.22(토)

과학인재

면접

370

426 417

462

630

145

24 60

398

360

계열모집

10.6%

학과모집

11.5%

과학인재

3.6%

학교장추천

10.0%

논술우수

9.9%

기회균형

10.0%

기타 2.6%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성신여대 13

교과전형 인문 계열 수능 최저 완화

종합전형 서류·면접 평가 항목 변화

성신여대 학생부교과전형은 2023학년 수시에서 전년 대비 경쟁률이 상승했다. 올해는 교과전형과 논술전형에서 인문 계열의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이 완화돼 충족률이 오를 것으로 보인다. 학생부종합전형의 경우 서류 평가의 평가 항목이 기존 4개 항목에서 학업 역량, 진로 역량, 공동체 역량의 3개 항목으로 바뀌었다. 면접에서는 학업 역량과 진로 역량 두 가지만을 평가한다. 올해 입시의 변화와 전형들의 특징에 대해 성신여대 입학관리실 황재하 팀장에게 들어보았다.

취재 이수린 기자 darling@naeil.com

Q 성신여대의 특성화학과에 대해 소개한다면?

시대의 변화에 맞춰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2021학년부터 5개 첨단 학부를 신설했다. 신설한 첨단 학부는 ‘수리통계데이터사이언스학부’ ‘화학·에너지융합학부’ ‘AI융합학부’ ‘바이오신약의과학부’ ‘바이오헬스융합학부’다. 신산업 분야에서 이론과 실무 기반의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해 학생들의 경쟁력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Q 간호학과는 교과전형인 지역균형전형과 논술우수자전형에서 인문 계열, 자연계열을 분리해 선발하고, 종합전형에서는 계열을 통합해 선발한다. 그 이유는?

지역균형전형 및 논술우수자전형은 자연 계열 수험생뿐만 아니라 인문 계열 수험생을 균형적으로 선발하기 위해 계열을 분리했다. 계열별 반영 교과목 및 계열별 출제 문항의 차이를 고려해 선발하고 있다.

반면, 종합전형은 계열 구분 없이 평가 항목에 따라 교과 및 비교과 활동을 종합적으로 선발하기 때문에 학과의 인재상 및 평가 항목을 고려해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2023학년 종합전형에선, 간호학과 합격자(예비 합격 포함)의 약 28%가 인문 계열 수험생이었고 72% 정도가 자연 계열이었다.

Q 2023학년 지역균형전형에서 내신 산출 방법이 바뀌었다. 2022학년과 비교해 입시 결과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였나?

2023학년 지역균형전형의 경우 진로선택 과목은 성취도를 등급으로 변환해 상위 3과목을 평가에 반영했다. 성취도 A는 1등급, 성취도 B는 2등급, 성취도 C는 4등급으로 환산해 반영했다. 최종 등록자의 7.6%는 성취도 B가 1개 이상 반영됐다. 평균적으로 총 100단위 내외의 교과 성적이 반영되는데, 그중 7~9단위가 진로선택 과목으로 반영됐다.

2024 성신여대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교과 지역균형

교과 90+출결 10

※ 추천 인원 제한 없음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전체 ◯ ◯ ◯ 1 2합 7

종합

학교생활우수자 서류 100

자기주도인재 없음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기회균형Ⅰ 서류 100

논술 논술우수자 논술 70+교과 27+출결 3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전체 ◯ ◯ ◯ 1 2합 7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사/과’ 는 응시 과목 수를 의미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국(국어), 확(확률과 통계), 미/기(미적분/기하), 영(영어), 사(사탐), 과(과탐)

Q 인문 계열의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을 완화했다. 2024학년 입시에 미칠 영향을 예측한다면?

인문·자연 계열 통합형 수능으로 인한 이른바 ‘문과 침공’과 같이 인문 계열 학생들이 불리해지는 문제를 보완하고자 했다. 2023학년 최저 기준 충족률은 75.3% 수준이었다. 이번 완화로 인해 지원자의 90.1%가 최저 기준을 충족할 것으로 예상한다.

Q 종합전형의 경우 학교생활우수자전형과 자기주도인재전형 중 선택해야 한다. 지원자가 가장 주의해야 할 부분을 학생부 기재 사항과 서류 평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면?

학교생활우수자전형과 자기주도인재전형은 선발 인재상이 다르다. 학교생활우수자전형의 경우, 고교 재학 중 교내 학업 및 다양한 활동을 골고루 균형적으로 충실히 한 인재를 선발한다. 자기주도인재전형의 경우, 고교 재학 중 전공 분야에 대한 목표 의식과 열정 그리고 자기 주도적 탐구 역량을 갖춘 인재를 선발한다.

또 2개 전형은 평가 항목별 반영 비율이 다르다. 학교생활우수자전형은 학업 역량의 비중이 50%로 가장 높다. 자기주도인재전형은 진로 역량을 50%로 가장 높게 반영한다.

지원하고자 하는 학생들은 각 평가 항목의 정의와 더불어 세부 평가 항목 및 평가 내용을 반드시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해당 항목에 대한 내용이 학생부에 잘 드러나 있는지를 확인해볼 것을 추천한다.

이를 통해 학생부의 강점과 약점을 정리해보고 어떤 전형으로 지원하는 게 더 적합할지 판단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또 평가 항목을 토대로 분석한 학생부 내용으로부터 개별 면접의 예상 문항을 도출해보는 것이 좋다.

Q 진로 역량의 평가 항목 중 진로 탐색 역량의 평가 내용을 ‘자신의 희망진로와 연계된 비교과 활동 수행 정도’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학생부 영역과 평가 관점을 알려준다면?

진로 탐색 역량은 지원 전공(계열) 관련 활동의 다양성 및 심화 확장성, 진로 활동에 대한 적극성과 자기 주도성을 세부적으로 평가하는 항목이라고 할 수 있다.

학생부의 전반적 내용이 모두 진로 탐색 역량에 관한 것이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창의적 체험 활동의 동아리 활동과 진로 활동이 진로 탐색 역량 평가와 가장 연관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학생부에서도 두 활동을 중점적으로 평가하고, 학생부 전반에 나타난 관련 내용들을 함께 살펴볼 예정이다.

Q 종합전형 중 자기주도인재전형에서 면접의 실질적 영향력은?

자기주도인재전형의 2단계 평가는 서류 70%+면접 30%로 이루어진다. 1단계 서류 평가에서 학업 역량(30%), 진로 역량(50%), 공동체 역량(20%)을 평가해 3배수 인원을 선발하고, 2단계 면접 평가에서 학업 역량(30%), 진로 역량(70%)을 평가해 1단계 성적과 합산한 후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자기주도인재전형의 최초 합격자 중 1단계 평가에서 2~3배수에 포함됐던 지원자

는 전체 모집 인원의 21.8%였다. 최종 등록자 중 2~3배수 지원자 비율은 46.8%였다. 최종 입학자까지 고려했을 때 면접의 영향력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성신여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경쟁률

Top 5 Bottom 5

지역균형 학교생활우수자 자기주도인재 논술우수자 지역균형 학교생활우수자 자기주도인재 논술우수자

미디어커뮤니

케이션학과(7) 32.86

뷰티산업학과(6) 16 뷰티산업학과(10) 19.7 간호학과(인문)(5) 64.2 간호학과(인문)(6) 5.33 수학/핀테크(9) 3.78 수학/핀테크(16) 3.81 수학/핀테크(5) 7.8

바이오식품공학과(4)

24.25

바이오식품공학과(5)

10.8

심리학과(10) 18.7 법학부(11) 39.36 유아교육과(5) 5.8 융합보안공학과(10) 4.1

통계학/빅데이터

사이언스(16) 3.94

화학·에너지융합

학부(6) 9.5

심리학과(6) 23 법학부(22) 9.68 경영학부(16) 18 경영학부(7) 37.43 의류산업학과(7) 6.86

통계학/빅데이터

사이언스(8) 4.5

한문교육과(10) 4.6

통계학/빅데이터

사이언스(6) 9.83

한문교육과(4) 18.5

미디어커뮤니케이

션학과(4) / 바이오

생명공학과(6) 9.5

미디어커뮤니

케이션학과(13)

16.54

미디어커뮤니

케이션학과(5)

35.8

바이오헬스

융합학부(8) 6.88

독일어문·

문화학과(3) 4.67

지리학과(9) 5.33 바이오식품공학과(4) 10

중국어문·

문화학과(7) 17.86

사회복지학과(3) 9 교육학과(10) 14.2 심리학과(5) 35.6 융합보안공학과(12) 7

서비스·디자인

공학과(7) 4.86

융합보안공학과(11) 5.55

청정융합에너지

공학과(5) 11

※ ( ) 안은 학과별 모집 인원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입시 결과

5.5

5

4.5

4

3.5

3

2.5

2

1.5

지역균형 학교생활우수자 자기주도인재

1.87

2.30

2.64

4.79

5.25

3.01

3.23

3.82

3.52

2.77

2.90

3.28

2.71

2.19

2.42

2.55

통계상 예측되는 최하위 등급

실제 최하위 등급

통계상 예측되는 최상위 등급

25%

50%

75%

※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은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 발표 70% 컷 기준

※ 학교생활우수자전형 합격자 70% 컷을 기준으로 최상위 학과 합격 등급은 2.3, 상위 25% 학과는 2.77, 50% 학과는 2.9, 75% 학과는 3.28, 최하위 학과는 3.52등급이라는 의미다

교과 등급 상위 5개 학과(70% 컷 기준)

지역균형 학교생활우수자 자기주도인재

1 간호학과(인문) 1.87 간호학과 2.3 간호학과 2.64

2 간호학과(자연) 1.9 뷰티산업학과 2.32 교육학과 2.77

3 바이오신약의과학부 1.94 바이오생명공학과 2.52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77

4 사회교육과 2.01 바이오신약의과학부 2.72 바이오신약의과학부 2.78

5 교육학과 2.03 컴퓨터공학과 2.77 바이오생명공학과 2.79

교과 등급 하위 5개 학과(70% 컷 기준)

지역균형 학교생활우수자 자기주도인재

1 정치외교학과 2.71 서비스·디자인공학과 3.52 프랑스어문·문화학과 5.25

2 중국어문·문화학과 2.69 융합보안공학과 3.51 법학부 4.79

3 서비스·디자인공학과 2.68 수학/핀테크 3.47 중국어문·문화학과 4.74

4 한문교육과 2.68 법학부 3.3 영어영문학과 4.64

5 융합보안공학과 2.6

통계학/빅데이터사이언스

3.28

독일어문·문화학과 4.62

● 전형별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전형 분류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고·영재학교 기타

교과전형 100 % 0 % 0 % 0 % 0 %

종합전형 89.52 % 0.78 % 7.82 % 0 % 1.88 %

논술전형 91.96 % 3.45 % 3.45 % 0 % 1.14 %

※ 2023 대입 대학 알리미 자료 기준

자문 교사의 2024 성신여대 합격 Adivice

교과전형인 지역균형전형은 올해 내신 산출 기준이 미세하게 바뀐 것 외에 2023학년과 비교해 큰 변화가 없다. 그러나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에 공개된 70% 등급 컷에서 큰 차이를 보였는데 경쟁률 변화가 그 이유인 듯하다. 최저 기준 총족 인원도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해 합격 성적이 오른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는 인문 계열의 최저 기준을 국·수·영·탐(탐구 1과목) 4개 영역 중 2개 합 6에서 7로 완화했기에 이점을 참고하라. 또 교과전형 지원 시 경쟁률이 큰 변화가 있었던 대학·학과는 입시 결과의 변동이 심한 편임을 유의하자.

종합전형에서는 평가 항목이 진로 역량, 학업 역량, 공동체 역량 3개로 재편된 것이 눈에 띄는 변화다. 학교생활우수자전형과 자기주도인재전형은 서로 추구하는 인재상이 달라 평가 항목의 반영 비율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전자는 진로 역량, 학업 역량, 공동체 역량을 각각 30%, 50%, 20%로, 후자는 각각 50%, 30%, 20%로 평가한다. 평가 내용 중 눈에 띄는 부분은 진로 탐색 역량이다. ‘자신의 희망 진로와 연계된 비교과 활동 수행정도’를 평가한다는 점에서 학생부에 기재된 자율, 진로, 동아리 활동을 다시 한 번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 면접은 학업 역량(30%), 진로 역량(70%) 두 가지만 반영한다는 점도 주목하도록 하자.

논술우수자전형의 경우 수능 이전 논술고사를 실시하므로 경쟁률이 낮아 지원 대비 합격 비율이 수능 이후 논술고사를 실시하는 대학보다 높다. 입학처 홈페이지에 공개된 ‘2024학년 논술 가이드북’과 ‘모의 논술 특강’을 참고하면 좋다. 또 최근 몇 년간의 ‘선행학습 영향 평가 보고서’의 논술 기출문제를 통해 문제 유형과 출제 경향을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대의 면접 평가는 학생부를 기반으로 한 사실 확인 면접이다. 공통 질문 또는 전공 지식을 물어보지 않는 만큼 제출 서류인 학생부를 꼼꼼히 읽고 준비해야 한다.

Q 자기주도인재전형의 면접 평가는 진로 역량(70%), 학업 역량(30%)을 반영한다. 공동체 역량을 반영하지 않는 이유는? 인성적인 측면에 대한 질문은 없는지?

자기주도인재전형은 고교 재학 중 전공 분야에 대한 확고한 목표 의식과 열정을 가지고 자기 주도적인 탐구 역량을 갖춰나간 인재를 선발하는 전형이다. 서류 평가와 면접 평가에서는 진로에 대한 목표 의식, 진로 관련 과목 이수 여부 및 성취도, 진로 설계 역량. 탐구 역량 등을 중점적으로 평가한다. 이에 따라 평가 항목별 반영 비율을 설정했다.

대입 전형 자료가 간소화된 가운데 1:1 개별 면접인 면접 평가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해당 전형은 먼저 서류 평가를 통해 고교 재학 중 학생의 공동체 역량을 평가한다. 이후 면접 과정에서 보

이는 지원자의 태도 및 발전 가능성 등을 진로 및 학업 관련 평가 항목에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지만, 진로 역량과 학업 역량을 집중적으로 반영해 평가한다.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9.11(월)~14(목)

18:00

9.18(월)~22(금) 9.23(토)~24(일) 11.8(수) 11.16(목) 11.18(토)~19(일) 12.15(금)

2024 인원 2023 인원

원서 접수

[지역균형]

대상자 입력

[논술우수자]

논술고사

[자기주도인재]

1단계 합격 발표

수능 시험

[자기주도인재]

면접

[종합/지역균형/논술우수자]

최종 합격 발표

지역균형

교과

학교생활우수자 자기주도인재

종합

기회균형Ⅰ 논술우수자

논술

기타

240

207

402

109

162

344

251

215

436

106

175

372

※ 세부 사항은 입학처 홈페이지에 게시된 요강 참조

자기주도인재

27.5%

기타 23.5%

기회균형Ⅰ

7.4%

지역균형

16.4%

학교생활우수자

14.1%

논술우수자

11.1%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숙명여대 14

숙명디지털융합인재전형 신설

종합전형, 평가 항목 반영 비중에 차이

숙명여대는 올해 서류 100%인 숙명디지털융합인재전형을 신설했다. 기존 학생부종합전형 중 숙명인재(서류형)전형으로 선발했던 공과대학 중 일부 학과를 이 전형으로 선발한다. 또 학생부종합전형 서류 평가에서 평가 항목별 반영 점수와 평가 내용을 변경했다. 숙명인재(면접형)전형의 경우 1단계 선발 인원이 모집 정원 4배수에서 3배수로 줄었고, 약학부의 제시문 면접을 폐지했다. 학생부교과전형인 지역균형선발전형에서는 추천 인원 제한이 없어졌으며, 진로선택 과목의 변환 등급을 조정했다. 숙명여대 신정현 입학사정관에게 올 수시 모집의 주요 사항을 들었다.

취재 정애선 소장(내일교육 부설 교육정책연구소 헤리티지내일) asjung@naeil.com

Q 숙명여대의 특색 있는 학과를 소개한다면?

외식 산업과 서비스 경영에 특화된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르꼬르동블루-외식경영전공과 창업을 원하는 학생들을 위해 학부에 최초로 설치된 앙트러프러너십전공, 영어 교육 전문가를 양성하는 테슬(Tesl)전공 등 타 대학에서 보기 어려운 특색 있는 학과들을 꼽을 수 있다. 자연계열에서는 2023학년부터 첨단 분야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개편해 인공지능공학부, 첨단소재·전자융합공학부(지능형전자시스템전공, 신소재물리전공), 소프트웨어학부(컴퓨터과학전공, 데이터사이언스전공)을 신설해 운영하고 있다.

이 외에도 학생자율설계전공 제도를 활용해 스스로 진로나 관심 분야에 따른 교육과정을 구성, 복수 전공으로 인정받을 수도 있다. K-pop산업경영전공, 뇌·인지과학전공, 스마트그린·케어전공 등 다양한 전공이 운영되고 있다.

Q 숙명디지털융합인재전형이 신설됐다. 배경은?

첨단 분야 창의융합형 우수 인재의 선발과 양성에 기여하기 위해 신설한 전형이다. 2023학년부터 학제 개편을 통해 인공지능공학부, 지능형전자시스템전공, 신소재물리전공, 컴퓨터과학전공, 데이터사이언스전공 등 5개 첨단학과를 신설했다. 올해는 숙명디지털융합인재전형으로 이 학과 학생들을 선발한다. 서류 100%로 선발한다는 점에서 다른 자연 계열 모집 단위를 선발하는 숙명인재(서류형)전형과 유사하지만, 서류 평가 항목 중 ‘탐구 역량’의 비중을 가장 높게 반영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숙명디지털융합인재전형의 서류 평가 항목별 반영 점수는 진로 역량 400점, 탐구 역량 450점, 공동체 의식과 협업 능력 150점으로 구성된다. 전공 특성을 고려해 첨단학과에서 요구하는 융합적 사고 역량이나 탐구력, 자기 주도적인 학습 태도 등을 중점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2024 숙명여대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교과

지역균형

선발

교과 100

※ 추천 인원 제한 없음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인문, 자연

일부(통계,

인공지능, 의류)

◯ ◯ ◯ 1 2합 5

자연(일부 제외) ◯ ◯ ◯ 1 2합 5

약학 ◯ ◯(필수) ◯ 1 3합 5

종합

숙명인재

(면접형)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60+면접 40

없음

숙명인재

(서류형)

서류 100

숙명디지털

융합인재

서류 100

기회균형 서류 100

논술

논술

우수자

논술 90+교과 1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인문, 자연

일부(통계,

인공지능, 의류)

◯ ◯ ◯ 1 2합 5

자연(일부 제외) ◯ ◯ ◯ 1 2합 5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사/과’ 는 응시 과목 수를 의미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국(국어), 확(확률과 통계), 미/기(미적분/기하), 영(영어), 사(사탐), 과(과탐)

탐구 역량을 45%로 가장 높게 반영한다.

Q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인문 계열 학과의 경우 면접형, 자연 계열 학과의 경우 서류형 또는 숙명디지털융합인재 전형으로 면접 없이 선발한다. 이유는?

학생부종합전형을 모집 단위 계열에 따라 나눠 선발하는 것은 선발 규모 축소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다. 교육부의 ‘대입 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에 따라 수능 위주 선발 규모를 40% 이상 확보하도록 권고 받은 대학 중 한 곳이기 때문에 종합전형의 선발 규모가 줄어들게 됐다.

매년 2천500여 명을 선발하는데, 인문·자연·예체능에 걸쳐 다양한 모집 단위가 설치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모집 단위별 선발 인원이 타 대학에 비해 적은 편이다. 기존처럼 전형을 운영할 경우 모집 단위별로 매우 적은 인원을 선발하게 되어 학생들의 지원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봤다. 전형별로 모집 단위를 나눠 선발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숙명인재(서류형)전형과 숙명디지털융합인재전형에서는 약학부를 제외한 자연 계열 모집 단위를 서류 100%로 선발하며, 숙명인재(면접형)전형에서는 1단계 서류 평가와 2단계 면접 평가를 통해 인문 계열과 약학부를 선발하도록 전형을 설계했다. 상대적으로 교과목의 위계가 명확한 자연 계열에 비해 인문 계열의 과목들은 학습 내용의 심화보다 관심사를 확장해나가는 경우가 많아 면접을 통해 교과목의 이수 과정이나 다양한 활동의 우수성, 진로 탐색 과정과 진로 역량에 대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인문 계열을 면접 대상으로 한 이유다.

Q 지역균형전형에서 고교별 추천 인원 제한을 폐지했다. 지원 자격의 변화가 당락에 미칠 영향은?

2022학년과 2023학년 지역균형전형에서는 고교별 추천 인원을 ‘해당 고교 3학년 재적 여학생 수의 10% 이내’로 제한했다. 전형 개선을 위한 고교 교사 자문과 실제 지원 시 추천 인원을 모두 채우는 고교가 드물다는 점 등을 근거로 추천 인원 제한을 폐지, 수험생의 지원 기회를 확대하고자 했다. 지역균형전형의 수능 최저 기준 충족 비율은 인문 계열은 75%, 자연 계열은 65% 정도다.

Q 종합전형 서류 평가에서 평가 항목 등을 변경했다. 배경은?

숙명여대의 종합전형 서류 평가 항목은 진로 역량, 탐구 역량, 공동체 의식과 협업 능력 3가지다. 이 중 진로 역량과 탐구 역량에 다소 변화가 있다.

진로 역량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에 맞춰 학생의 자기 주도적 진로, 학업 설계와 진로에 따른 교과목 선택권 보장을 위해 기존의 전공 적합성 및 발전 가능성 항목을 개편한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다양한 진로 탐색 과정과 노력, 그 과정에서 길러진 소양이나 역량을 평가에 반영한다. 탐구 역량의 경우 평가 항목에 다소 변화가 있지만, 평가 방향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 첨단학과 등 모집 단위 개편이나 미래 사회 인재에게 요구되는 역량 등을 반영하기 위해 용어를 정비했다.

종합전형의 서류 평가 항목은 동일하지만, 전형별로 반영 비중을 달리 설정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숙명인재(면접형), 숙명인재(서류형)전형은 진로 역량이 450점, 탐구 역량이 350점, 공동체 의식과 협업 능력이 200점으로 진로 역량의 비중이 가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경쟁률

Top 5 Bottom 5

지역균형선발 숙명인재(면접형) 숙명인재(서류형) 논술우수자 지역균형선발 숙명인재(면접형) 숙명인재(서류형) 논술우수자

문화관광학전공(6) 15 교육학부(9) 30.56 생명시스템학부(10) 36.2 사회심리학과(3) 49.67 기초공학부(12) 4.25 테슬(TESL)전공(10) 11.2 통계학과(10) 6.4 수학과(5) 20.6

정치외교학과(5) 14.4 사회심리학과(5) 29 식품영양학과(7) 19.86 의류학과(4) 49 사회심리학과(2) 5

독일언어·문화학과(9)

12.33

지능형전자시스템전공

(13) 6.62

신소재물리전공(3) 21.67

약학부(5) 12.2 미디어학부 (7) 27.86 의류학과(5) 19.4 경영학부(11) 47 통계학과(6) 5.17 경제학부(12) 12.42 수학과(8) 6.75 화학과(5) 22.4

아동복지학부(7) 11 약학부(22) 25.82 화공생명공학부(15) 14.87 역사문화학과 (5) 46.6 법학부(15) 5.2 일본학과(15) 12.53

데이터사이언스

전공(11) 6.91

지능형전자시스템전공(6)

25.17

문헌정보학과(3) 10.67 소비자경제학과 (6) 23 화학과(9) 13.67 법학부(13) 46

프랑스언어·

문화학과(3) 5.33

가족자원경영학과(5) 13 신소재물리전공(13) 7.46 통계학과(4) 25.25

※ ( ) 안은 학과별 모집 인원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입시 결과

5

4.5

4

3.5

3

2.5

2

1.5

1

지역균형선발 숙명인재

(면접형)

숙명인재

(서류형)

1.16

1.77

1.96

2.08

2.18 2.15 2.16

2.71

3.11

4.13

4.61

2.44

2.55

2.91

2.26

2.56

3.52

실제 최하위 등급

실제 최상위 등급

통계상 예측되는 최상위 등급

통계상 예측되는 최하위 등급

25%

50%

75%

※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은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 발표 70% 컷 기준

※ 숙명인재(면접형)의 경우 합격자 70% 컷 기준으로 최상위 학과 합격 등급은 2.15, 상위 25% 학과는 2.71, 50% 학과는 3.11, 75% 학과는 4.13, 최하위 학과는 4.61등급이라는 의미다.

교과 등급 상위 5개 학과(70% 컷 기준)

지역균형선발 숙명인재(면접형) 숙명인재(서류형)

1 약학부 1.16 약학부 2.15 생명시스템학부 2.16

2 교육학부 1.77 사회심리학과 2.29 의류학과 2.28

3 화공생명공학부 1.77 정치외교학과 2.38 화공생명공학부 2.39

4 생명시스템학부 1.78 문헌정보학과 2.55 식품영양학과 2.45

5 미디어학부 1.88 교육학부 2.61 수학과 2.48

교과 등급 하위 5개 학과(70% 컷 기준)

지역균형선발 숙명인재(면접형) 숙명인재(서류형)

1 기계시스템학부2.56 중어중문학부 4.61 기계시스템학부3.52

2 중어중문학부 2.26 독일언어문화학과 4.59 기초공학부 3.06

3 통계학과 2.23 영어영문학부(TESL전공) 4.56 데이터사이언스전공 3.04

4 지능형전자시스템전공 2.19 프랑스언어문화학과 4.45 인공지능공학부 2.87

5 한국어문학부 2.18

글로벌서비스학부

(앙트러프러너십전공) 4.43

컴퓨터과학전공 2.69

● 전형별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전형 분류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고·영재학교 기타

학생부교과전형 100% 0% 0% 0% 0%

학생부종합전형 69.64% 7.95% 21.93% 0.48% 0%

논술전형 84.38% 7.59% 3.57% 0% 4.46%

※ 2023 대입 대학 알리미 자료 기준

자문 교사의 2024 숙명여대 합격 Adivice

지역균형전형의 경우 올해 추천 인원 제한이 없어졌다는 것이 변수가 될 수는 있으나, 일반고에서 추천 인원을 모두 채우는 경우가 많지 않기에 입시 결과에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에서 공개한 2년 간 70% 컷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최근 3년간 교과전형의 충원율이 인문 계열 학과 200%, 자연 계열 학과 140% 정도로 지속되었다는 점, 교과전형의 경우 학과마다 충원율에 편차가 크다는 점도 지원 시 고려해야 한다.

진로선택 과목의 경우 A를 1등급, B를 2등급, C를 4등급으로 변환하던 예년과 달리 A를 1등급, B를 3등급, C를 5등급으로 하향 조정했다. 진로선택 과목 성취도에 B, C가 있는 학생은 이 점에 유의해야 한다.

종합전형의 경우 수시 모집 요강에 나온 평가 항목, 평가 내용, 평가 항목별 반영 점수를 2023학년과 비교하고, 차이점을 확인해봐야 한다. 평가 항목 및 평가 내용과 관련해 탐구 역량 중 ‘탐구 활동’이 ‘융합적 사고 역량’으로 변경됐다. 평가 내용은 ‘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탐구 활동과 관련된 융합적 사고 역량과 문제 해결 역량’이다.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인재상을 고려해 용어를 정비했다는 설명이다.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에 공개된 숙명여대 종합전형 70% 컷을 보면 2.15~4.61로 편차가 큰 편이다. 면접형에서 자사고와 외고·국제고 비율이 높고, 합격자의 교과 등급 하위 5개 학과가 어문 계열이라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학교 상담을 통해 지원 고교의 숙명여대 합격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논술전형의 경우 입학처 홈페이지 논술 가이드의 기출 문제 관련 논술 특강과 선행학습 역량 평가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최근 몇 년간의 기출문제를 확인해 문제 유형과 출제 경향을 분석해야 한다.

장 높다. 진로 탐색 노력과 진로(전공, 계열) 관련 소양과 역량 등을 가장 많이 반영한다. 반면 숙명디지털융합인재전형은 진로 역량이 400점, 탐구 역량이 450점, 공동체 의식과 협업 능력이 150점으로 탐구 역량의 비중이 가장 높다는 차이가 있다.

Q 숙명인재(면접형)전형에서 자사고와 특목고·국제고의 합격자 비중이 높은 편이다. 어떤 점이 상대적으

로 높이 평가받은 것인가?

전체 고교 유형별 지원, 합격자 비율을 보면 일반고가 62.3%로 높다. 다만 모집 단위가 속한 계열별로 전형을 나눠 선발하다보니 인문 계열 모집 단위로 구성된 숙명인재(면접형)전형의 경우 어문 계열 모집 단위들이 다수 있어 외고나 국제고 학생들의 지원이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다. 학교 유형에 따른 유불리는 없지만, 모집 단위별로 지원 고교의 유형별 비율이 결과에 다소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Q 숙명인재(면접형)전형에서 면접의 영향력은 얼마나 되나?

그동안 1단계 합격자 중 낮은 순위의 학생이 면접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아 최

초 합격한 사례들이 꾸준히 있었다. 면접을 보는 전형에서 1단계를 통과했을 경우, 면접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2단계 반영 비율인 40%가 실질 반영률에 가깝다. 면접은 제출 서류 기반으로 하며, 공통 문항 없이 학생부에 기록된 활동에 대해 질문하고, 답변에 대한 추가 질문과 탐침 질문이 이어지는 형태다. 학생부에 기재된 활동들을 꼼꼼히 살펴 활동을 하게 된 계기와 이를 통해 배우고 성장한 것들을 키워드 중심으로 먼저 정리해보면 도움이 된다.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종합 논술

9.12(화)~

15(금) 17:00

9.18(월)~22(금) 11.16(목) 11.18(토)~19(일) 11.25(토)~26(일) 12.15(금)

2024 인원

2023 인원

교과

지역균형선발 숙명인재

(면접형)

숙명인재

(서류형)

숙명디지털

융합인재

기회균형 논술우수자

217

252

284

91

70 71 70

227

254 270

161

-

원서 접수

[지역균형선발]

대상자 입력

수능 시험

11.14(화)~15(수)

[숙명인재(면접형)]

1단계 합격 발표 및

2단계 전형료 납부

[논술우수자]

논술고사

[숙명인재(면접형)]

면접

[전형 전체]

최종 합격 발표

숙명인재(면접형)

25.6%

숙명인재(서류형)

8.2%

지역균형선발

22.7%

숙명디지털융합인재

6.3%

논술우수자

19.5%

기타 11.3%

기회균형 6.4%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숭실대 15

전형 큰 틀 변화 없이 유지

채용 조건형 계약학과로 정보보호학과 신설

숭실대는 올 수시 모집에서 전형의 큰 틀을 유지하며 1천729명을 모집한다. 학생부교과전형인 학교장추천전형은 인문 계열, 경상 계열 2개 영역 등급 합 4등급 이내, 자연 계열과 융합특성화자유전공학부는 2개 영역 등급 합 5 이내의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을 둔다. 자연 계열과 융합특성화자유전공학부는 수능 수학에서 <미적분>과 <기하> 중 한 과목에 응시해야 한다. 학생부종합전형인 SSU미래인재전형은 1단계 서류 100%, 2단계 서류 70%와 면접 30%의 비중으로 지원자를 평가한다.

수능 최저 기준은 없다. 논술전형은 논술고사 60%, 교과 40%로 선발하며, 수능 최저 기준은 학교장추천전형과 동일하다. 숭실대 수시 모집의 주요 사항을 이희정 입학사정관에게 들었다.

취재 정애선 소장(내일교육 부설 교육정책연구소 헤리티지내일) asjung@naeil.com

Q 채용 조건형 계약학과로 정보보호학과를 신설했다. 어떤 학과인가?

LG유플러스와 협약을 맺어 운영한다.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장학금 전액과 생활비를 지원하고 취업 보장 혜택을 제공한다. 수시 모집에서 SSU미래인재전형으로 8명, 정보보호특기자전형으로 4명, 정시 모집에서 8명을 선발한다. 시스템보안, 네트워크보안, 인공지능보안 등의 기초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국제해킹대회, 산학 프로젝트, 전문가 멘토링 등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해 실무 특성화 교육을 제공한다. IT 계열 중에서도 정보보안을 꿈꾸는 학생들이 꽤 있는데, 이런 학생들에게 직관적으로 다가오는 학과일 것이다. 기존에 IT 계열 전공이나 수학과 등을 희망했던 학생들이 계약학과로서의 장점을 보고 지원할 만하다.

Q 실기/실적 위주 전형에 정보보호학과 학생들을 선발하는 정보보호특기자전형이 신설됐다. 어떻게 평가하나?

학생부종합전형과 달리 실기/실적 위주 전형에 해당하기 때문에 숭실대가 인정하는 대회에서 입상해야 지원 자격을 얻는다. 정보보호영재교육원 정보보안경진대회와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주최 사이버공격방어대회, 사이버작전사령부 주최 화이트햇콘테스트, WACON 운영사무국 주최 보안성 강화 모의 해킹대회, 코드게이트보안포럼 주최 코드게이트 등이 그것이다. 1단계는 서류 종합 평가 100%, 2단계는 1단계 성적 70%에 면접 30%로 선발한다. 면접에서 평가하는 항목은 지원 동기와 전공 분야에 대한 수학 능력 및 관심, 알고리즘적 문제 해결 능력 등이다.

Q SW우수자전형과 SSU미래인재전형의 1단계 서류 종합 평가에 차이가 있나?

특기자전형으로 운영하던 SW우수자전형이 2023학년부터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전환됐다. 모집 단위는 IT대학 산하 컴퓨터학부, 글로벌미디어학부, 소프트웨어학부, AI융합학부로 총 21명을 선발한다. 이 중 글로벌미디어학부에서는 영상 제작 프로그래밍을 배우며, 콘텐츠 분야

2024 숭실대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교과

학생부우수자

(학교장추천)

교과 100

※ 추천 인원 제한 없음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인문, 경상 ◯ ◯ ◯ 1 2합 4

자연 ◯ ◯ ◯ 1 2합 5

융합특성화자유전공 ◯ ◯ ◯ 1 2합 5

종합

SSU미래인재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SW우수자 없음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기회균형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논술 논술우수자 논술 60+교과 4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인문, 경상 ◯ ◯ ◯ 1 2합 4

자연 ◯ ◯ ◯ 1 2합 5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사/과’ 는 응시 과목 수를 의미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국(국어), 확(확률과 통계), 미/기(미적분/기하), 영(영어), 사(사탐), 과(과탐)

의 SW/앱 개발자, 디자이너, 기획자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기존의 미디어나 언론홍보 관련 전공과는 성격이 다르다.

두 전형의 서류 평가 방식은 동일하다. 다만 SW우수자전형은 면접에서 좀 더 소프트웨어 분야 관련 활동에 대해 심도 있게 물을 수 있다. 또 컴퓨터학부, 글로벌미디어학부, 소프트웨어학부, AI융합학부는 SSU미래인재전형에서도 선발한다. 두 전형에 중복 지원도 가능하다. 지난해 SW우수자전형 선발 결과 SSU미래인재전형에 비해 교과 합격선에 1등급 정도 차이가 있었다. 다른 과목 성적은 다소 부족하지만, 지원 전공과 관련해 좀 더 우수성을 드러낼 수 있다면 SW우수자전형을 활용해볼 만하다. 두 전형의 면접일이 12월 1일과 2일로 나뉘어 있기 때문에 중복 지원 기회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Q 숭실대 학생부우수자전형은 계열별로 반영 교과에 가중치를 두고 있다. 이유는?

인문 계열과 경상 계열은 국어, 수학, 영어, 사회, 한국사 교과 전 과목을 반영하고, 자연 계열은 국어, 수학, 영어, 과학 교과 전 과목을 반영한다. 융합특성화자유전공학부는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한국사 교과 전 과목을 반영한다. 계열별로 교과 가중치가 있는데, 인문 계열은 국어와 영어, 경상 계열은 수학과 영어, 자연 계열은 수학과 영어·과학, 융합특성화자유전공학부는 수학과 영어·사회·과학의 교과 반영 비중이 높다. 각 계열에 좀 더 필요한 교과에 가중치를 뒀다고 보면 된다.

Q 학생부종합전형 서류 평가에서 진로 역량의 반영 비중이 50%로 가장 높다. 어떻게 평가하나?

학업 역량 20%, 진로 역량 50%, 숭실 역량 30%로 평가한다. 이 중 학업 역량은 교과성적과 학업 수행 성실성을 본다. 인문·경상 계열은 국어 영어 수학 사회, 자연 계열은 국어 영어 수학 과학 교과를 주로 보고, 학기별 발전 정도라고 할 수 있는 성적추이, 교과목 이수 환경을 포함해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반영 비중이 가장 높은 진로 역량에서는 전공(계열) 적합성과 진로 탐색 노력, 선택과목 이수 적절성 및 성취 수준을 평가한다. 전공(계열) 적합성은 넓게 보려고 한다. 인문·사회 계열 전공은 어느 과목을 이수했든, 어떤 활동을 했든 연관성이 있을 것이다. 자연 계열은 물리 기반, 화학 기반, 수학 기반 등을 기준으로 전공(계열) 적합성을 판단한다고 보면 된다. 진로 탐색 노력은 기존의 평가 요소인 자기 주도성과 비슷한 의미라고 볼 수 있는데, 전공과 꼭 직결되지 않아도 스스로 진로 탐색을 위해 기울인 다양한 노력과 경험 등을 평가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희망 진로가 달라져서 일관성이 없더라도 적극적으로 노력해온 과정을 그대로 평가한다. 대체로 창의적 체험 활동 중 자율, 동아리, 진로 활동 등에서 주로 나타날 것이다. 선택 과목 이수 적절성 및 성취 수준에서는 진로 탐색을 위해 관련 과목을 적절하게 선택해 이수했는지, 성취 수준은 어땠는지 등을 종합 평가한다. 일반선택 과목과 진로선택 과목이 모두 포함 대상이다.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경쟁률

Top 5 Bottom 5

학생부우수자 SSU미래인재 논술우수자 학생부우수자 SSU미래인재 논술우수자

불어불문학과(5) 43.8 언론홍보학과(6) 39.5 의생명시스템학부(5) 44.8 화학공학과(25) 6 전기공학부(25) 5.4 금융학부(3) 12

평생교육학과(4) 41.75 의생명시스템학부(13) 35.85 건축학부(7) 42.14 소프트웨어학부(13) 7.23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13) 5.77 벤처중소기업학과(7) 14

중어중문학과(3) 41.33 경영학부(30) 19.3 컴퓨터학부(10) 38.9 신소재공학과(18) 7.44 물리학과(18) 5.94 경제학과(7) 14.86

금융학부(9) 26 AI융합학부(10) 18.3 신소재공학과(12) 38.42 컴퓨터학부(15) 7.53 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25) 6.08 글로벌통상학과(10) 16.4

독어독문학과(4) 25 일어일문학과(8) 16.63 언론홍보학과(4) 37.25 물리학과(5) 7.8 기독교학과(25) 6.12 회계학과(2) 16.5

※ ( ) 안은 학과별 모집 인원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입시 결과

5.5

5

4.5

4

3.5

3

2.5

2

1.5

학생부우수자전형 SSU미래인재전형

1.85

2.76

2.19

2.36

2.47

2.34

2.85

3.03

3.22

4.05

3.67

4.34

5.14

통계상 예측되는 최하위 등급

실제 최하위 등급

25%

50%

75%

최상위 등급

※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은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 발표 70% 컷 기준

※ 학생부우수자전형의 경우 합격자 70% 컷 기준으로 최상위 학과 합격 등급은 1.85, 상위 25% 학과는 2.19, 50% 학과는 2.36, 75% 학과는 2.47, 최하위 학과는 2.76등급이라는 의미다.

교과 등급 상위 5개 학과(70% 컷 기준)

학생부우수자 SSU미래인재

1 의생명시스템학부 1.85 소프트웨어학부 2.34

2 소프트웨어학부 1.85 컴퓨터학부 2.51

3 컴퓨터학부 1.99 의생명시스템학부 2.56

4 화학과 2.01 화학공학과 2.56

5 AI융합학부 2.03 AI융합학부 2.64

교과 등급 하위 5개 학과(70% 컷 기준)

학생부우수자 SSU미래인재

1 독어독문학과 2.76 불어불문학과 5.14

2 국어국문학과 2.7 기독교학과 4.34

3 불어불문학과 2.7 독어독문학과 4.05

4 벤처중소기업학과 2.58 일어일문학과 3.67

5 일어일문학과 2.55 영어영문학과 3.42

● 전형별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전형 분류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고·영재학교 기타

학생부우수자 100 % 0 % 0 % 0 % 0 %

SSU미래인재 92.5 % 1.9 % 3.6 % 0.3 % 1.7 %

논술우수자 87.5 % 8.2 % 1.1 % 0 % 3.2 %

※ 2023 대입 대학 알리미 자료 기준

자문 교사의 2024 숭실대 합격 Adivice

숭실대 교과전형의 특징은 계열별로 반영 교과별 가중치가 다르다는 것이다. 인문 계열 모집 단위에서는 국어 35%, 영어 35%, 수학 15%, 사회 15%로 반영하는 반면, 자연과학 계열은 국어 15%, 영어 25%, 수학 35%, 과학 25%로 반영한다. 석차등급이 지원자가 알고 있는 기존 등급과 달라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학교 상담을 통해 숭실대 교과 환산점을 산출, 유불리를 파악해야 한다. 수능 최저 기준 충족도 매우 중요하다. 전체 충족률이 47.5%인데, 인문 계열 최저 충족률은 39.3%에 그친다. 올 수시에서도 수능 최저 기준이 그대로이기 때문에 충족한다면 과감히 지원해보는 것도 방법이다.

종합전형인 SSU미래인재전형은 1단계 서류 100%로 3배수, 2단계 서류 70%와 면접 30%로 선발한다. 수능 최저 기준은 없다. 전형 전체 등록자 평균은 3.03이지만 단과대학별로 평균 성적 차가 크다. 최근 몇 년 간 전형 변경이 없었기 때문에 지원하려는 단과대학의 3년 간 등록자 내신 평균을 우선적으로 살펴봐야 한다. 단, 교과 성적만으로 지원 여부를 판단해선 안 된다. SSU미래인재전형의 서류 평가 요소는 학업 역량 20%, 진로 역량 50%, 숭실 역량 30%다. 전공(계열) 적합성, 진로 탐색 노력, 선택 과목 이수 적절성 및 성취 수준을 평가하는 진로 역량이 50%로 가장 비중이 높다. 고등학교 3년 동안 적극적으로 진로 탐색을 해왔던 계열과 전공이 있다면 과감히 지원해보는 것도 좋다.

논술고사는 인문 계열이 제시문을 주고 주제와 맥락을 정확히 이해하는 문제라면, 경상 계열은 출제 범위에 수학이 포함되어 도표, 수식 및 그림 등을 포함하는 수학적 능력을 평가한다. 자연 계열 출제 범위는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으로 <확률과 통계>와 <기하>를 이수하지 않은 학생들도 부담 없이 지원 가능하다.

Q 서류 평가에 30%로 반영되는 숭실 역량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한다면?

지원 학과(부)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숭실인재상적합성’으로 구체화했다. 숭실 역량에서는 이 숭실인재상적합성과 성실성, 인성을 평가한다. 숭실인재상적합성은 창의 역량, 융합 역량, 공동체 역량, 의사소통 역량, 리더십 역량, 글로벌 역량 등 6대 핵심 역량으로 구성된다. 학과(부)별로 어떤 역량을 갖춘 학생들이 잘 적응하는지 조사해 정리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사회복지학부는 의사소통 역량과 공동체 역량이, 정치외교학과는 글로벌 역량과 공동체 역량이, 경제학과는 창의 역량과 융합 역량이, AI융합학부는 창의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이 다른 역량에 비해 좀 더 중요하다.

숭실대 입학처 홈페이지에서 지원하려는 학과(부)의 핵심 역량을 확인하고 자신의 학교 활동에 관련 장점이 드러나는지 확인해 지원하면 좋다. 학생들 입장에서는 지원 학과(부)에서 어떤 역량을 중시하는지 예측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자기소개서가 폐지됐기 때문에 대학 입장에서도 학과(부)별로 좀 더 적합한 학생을 선발할 수 있는 요소가 될 것이다. 어렵거나 거창하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의사소통 역량이라면 학교 수업에서의 발표, 토론, 모둠 활동 혹은 선생님과 친구들과의 의사소통 등에서 확인될 경우 좋은 평가를 받는 식이다.

Q 2단계 면접의 실질적인 영향력은?

1단계에서 3배수를 선발한 뒤 2단계로 가면 면접의 영향력이 커진다. 서류 평가 1단계 합격자 중 1배수 학생들이 최종 합격하는 비율은 약 40%다. 서류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고 해서 반드시 합격한다는 뜻은 아니다. 2~3배수 학생이 면접 평가 후 최종 합격하는 비율은 약 60%다. 면접 평가 성적이 합격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뜻이다. 숭실대는 면접 응시율도 굉장히 높은 편이다. 학생부 기반 면접이며 전공 적합성 50%, 인성과 잠재력 50%로 평가한다. 학생부에 기재된 내용을 중심으로

꼬리 질문이 이어지는 방식이다. 특히 올해는 자기소개서가 폐지되기 때문에 학과(부) 지원 동기와 이수 과목 선택 이유 등이 면접 질문으로 나올 수 있다.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9.12(화)~15(금) 18:00 9.18(월)~22(금) 11.16(목) 11.18(토)

12.15(금) 12.2(토) 12.1(금) 11.28(화)

2024 인원

2023 인원

원서 접수

[지역균형]

대상자 입력

수능 시험

[논술우수자]

논술고사

[학생부종합]

1단계 합격 발표

[SSU미래인재]

면접

[SW우수/기회균형]

면접

[전형 전체]

최종 합격 발표

SSU미래인재

36.2%

학생부우수자

25.2%

SW우수자

1.2%

기회균형 7.9% 논술우수자

15.4%

기타

14.1%

학생부

우수자

교과

SSU

미래인재

SW우수자

종합

기회균형 논술

우수자

논술

435

626

21

137

267

447

618

25

136

269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세종대 16

AI로봇학과·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

사회 수요 반영 첨단 학과 신설

세종대는 AI로봇학과,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 등 첨단 기술 전공 분야를 2024학년에 신설· 확대했다. 지역균형전형은 학생부 교과 100%로 학생을 선발하며 추천 인원에 제한이 없다.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은 인문 계열 2개 영역 등급 합 6, 자연 계열 2개 영역 등급 합 7이내다.

학생부종합전형은 세종창의인재(면접형)과 세종창의인재(서류형), 기회균형, 국방시스템공학전형 등으로 선발하며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이 없다. 세종대는 2024학년에 수시에서는 학과(부)로 선발하지만, 정시에서는 계열로 통합 선발해 변화를 예고했다. 2024학년 세종대 수시 모집의 특징과 주의할 점을 세종대 권지은 책임입학사정관, 엄미경 입학사정관에게 들었다.

취재 민경순 리포터 hellela@naeil.com

Q 2024학년에 신설된 첨단 학과를 설명한다면?

2024학년 신설 학과는 AI로봇학과,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 우주항공드론공학부 지능형드론융합전공이다. AI로봇학과는 인공지능 기술을 다양한 산업에 적용하는 인공지능 융합 분야, 무인 이동체의 자율주행·자율비행·자율운항을 연구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분야, 외부 환경을 인지하고 스스로 판단해 동작하는 인공지능 로봇을 연구하는 지능형 로보틱스 분야에 특화됐다.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술 전문가를 육성하는 전문 교육과정을 운영해 융복합 기술을 포함한 인공지능 관련 분야에 진입할 수 있다. 우주항공드론공학부 지능형드론융합전공은 자율비행체 분야에 대한 지식,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 실무 융합 기술 개발 경험을 갖춘 융합 인재 양성을 목표로 관련 산업체 및 연구 기관과 협력해 취업 역량을 강화하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Q 군 계약학과인 항공시스템공학전공은 교과전형으로, 국방시스템공학은 종합전형으로 선발하는 이유와 졸업 후 진로를 설명한다면?

우주항공드론공학부 항공시스템공학전공과 국방시스템공학과는 각각 공군·해군과의 협약으로 설치·운영되는 채용조건형 계약학과로 졸업 후 의무복무 기간을 거친다. 항공시스템공학전공은 교과전형으로, 국방시스템공학은 종합전형으로 선발한다. 국방시스템공학과는 해군의 요청으로 타 대학과 선발 일관성을 위해 교과전형에서 종합전형으로 변경한 것이다.

항공시스템공학전공의 경우 입학과 동시에 공군 조종사 후보생 자격이 주어진다. 졸업 후 2년간 비행 교육과정 수료 시 공군 조종사가 될 수 있고, 미수료 시에는 공군 장교로 복무한다. 국방시스템공학과는 해군 소위로 임관해 추후 해군 장교 및 방위산업 등으로 진출한다.

항공시스템공학전공은 공군 조종 장교를 양성하므로, 공군 본부가 주관하는 신체검사, 체력

2024 세종대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교과

지역균형

교과 100

※ 추천인원 제한 없음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인문 ◯ ◯ ◯ 1 2합 6

자연 ◯ ◯ ◯ 1 2합 7

항공시스템

공학

◯ ◯ ◯ 3합 9

항공시스템

공학

[1단계] 교과 100(5배수)

[2단계] 1단계 100 +

공군전형(합/불)

종합

세종창의인재

(면접형)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없음

세종창의인재

(서류형)

서류 100

기회균형 서류 100

국방시스템

공학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80+면접 10+

체력검정 10+해군전형(합/불)

논술 논술우수자 논술 70+교과 3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인문 ◯ ◯ ◯ 1 2합 5

자연 ◯ ◯ ◯ 1 2합 6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사/과’ 는 응시 과목 수를 의미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국(국어), 확(확률과 통계), 미/기(미적분/기하), 영(영어), 사(사탐), 과(과탐)

※ 항공시스템공학은 한국사 3등급이내여야 함.

검정, 적성검사, 면접 평가에 의해 불합격될 수 있다. 2023학년 항공시스템공학전공은 경쟁률 9.53:1, 최종 등록자 학생부 평균 등급 2.77, 70% 컷 3.05였으며 국방시스템공학과는 경쟁률 6.03:1, 최종 등록자 학생부 평균 등급 2.93, 70% 컷 3.11이었다.

Q 교과전형과 논술전형의 최저 기준 충족률은?

2023학년 교과전형의 최저 기준은 인문 2개 영역 등급 합 6, 자연 2개 등급 합 7이었다. 최저 기준 충족률은 인문 78.5%, 자연 85%였다. 논술전형 최저 기준은 인문 2개 영역 등급 합 5, 자연 2개 등급 합 6이었다. 논술고사 응시율은 인문 52.85%, 자연 61.23%였다. 논술고사 응시자 중 최저 기준 충족률은 인문 52.88%, 자연 66.94%이었다. 2024 논술 가이드북에 논술고사 충족율을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Q 종합 전형을 면접형과 서류형으로 이원화해서 선발하는 이유는?

수험생이 자신의 강점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전형 선택권을 넓힌 것이다. 세종창의인재(면접형)은 진로 역량 우수 인재를, 서류형은 학업 역량 우수 인재를 선발한다.

이에 따라 서류 평가 요소 비율도 다르다. 면접형은 진로 역량 45%, 학업 역량 25%, 창의융합 역량 20%, 공동체 역량 10%다. 반면 서류형은 학업 역량 45%, 진로 역량 25%, 창의융합 역량 20%, 공동체 역량 10%다. 창의융합역량은 창의적 문제 해결력, 리더십 및 자기 주도성을 평가하는 요소로 성실과 규칙 준수, 나눔과 배려, 협업과 소통 능력을 평가하는 공동체 역량과는 차이가 있다.

Q 세종창의인재 서류형과 면접형 지원자·합격자의 성향 차이가 있나?

서류형은 학업을 포함한 학교생활 전반의 성실도를 중시하지만, 면접형은 전공(계열) 적합성이 우수한 학생들에게 유리하다. 학과별 차이는 있지만, 2023학년 면접형의 최종 등록자의 교과 평균 등급은 인문 2.94, 자연 2.56이었고, 서류형이 인문 2.38, 자연 2.59였다. 최저 등급 평균은 면접형이 인문 3.47, 자연 3.51, 서류형은 인문 2.68, 자연 3.16이었다. 서류형 지원자가 면접형에 비해 전반적인 교과 성적이 우수했고 일반고·자공고 출신이 많았다. 반면 면접형은 합격자의 성적 분포가 넓게 나타났고 진로 역량 관련 교과 이수 노력, 전공 관련 교과 성취도, 진로 탐색 활동과 경험이 우수한 다양한 고교 학생들이 지원했다. 전형 간 중복 지원이 가능하다.

Q 고교 활동에서 전공적합성을 어떻게 드러내면 좋을지 조언한다면?

진로 역량의 세부 평가 항목은 전공(계열) 관련 교과 이수 노력, 전공(계열) 관련 교과 성취도, 진로 탐색 활동과 경험이다.

물리천문학과 지원자를 예로 들면, 교과 측면에서는 국어 영어 수학 과학의 전체적인 성취 수준 및 추이는 학업 역량에서 평가하고, 물리학 지구과학 수학 등 전공 관련 교과 이수 노력 및 성취도는 전공 적합성에서 평가한다. 전공 적합성 비교과적인 측면으로는 진로를 탐색하고 전공(계열) 관련 활동 및 경험을 확장할 수 있다.

다만 2024학년에는 전공 적합성보다 큰 개념인 진로 역량으로 평가 기준을 수정했다. 고교 교육과정상 전공 관련 교과목이 개설되고 관련 활동을 할 수 있는 국어국문학과 역사학과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대학 등은 전공 적합성이 중요하지만, 경영대학 호텔관광대학 공과대학 소프트웨어융합대학 등은 일반고 학생이 접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어 계열 적합성을 의미 있게 살핀다.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경쟁률

Top 5 Bottom

지역균형 창의인재(면접형) 창의인재(서류형) 논술우수자 지역균형 창의인재(면접형) 창의인재(서류형) 논술우수자

국어국문학과(5)

31.8

미디어커뮤니

케이션학과(7)

23.57

생명시스템학부(12)

20.58

미디어커뮤니

케이션학과(4) 98.25

컴퓨터공학과(20)

5.75

창의소프트학부-

디자인이노베이션

전공(48) 7.5

양자원자력공학과(2) 9

스마트생명산업

융합학과(3) 31.67

경제학과(7) 24.29 경영학부(14) 22.93

호텔관광외식

경영학부(7) 19.71

경영학부(18)

84.56

지능기전공학과(21)

6.24

기계공학과(8) 8.88 건축공학과(2) 9.5 양자원자력공학과(3) 32

미디어커뮤니

케이션학과(6) 20.33

생명시스템학부(16)

22.44

미디어커뮤니

케이션학과(3) 19

국제학부(15)

84.33

스마트생명산업

융합학과(3) 6.33

양자원자력공학과(2) 9 건설환경공학과(4) 9.5 수학통계학과(8) 32.25

역사학과(3) 17.67

호텔관광외식

경영학부(14) 21.21

경영학부(8) 19 행정학과(4) 77.5

전자정보통신

공학과(22) 6.73

지능기전공학과(24)

9.13

물리천문학과(5) 10.2

지구자원시스템

공학과(7) 34.43

정보보호학과(4) 17.25 교육학과(3) 21 교육학과(2) 14.5 역사학과(2) 76 생명시스템학부 (21) 6.86 건축공학과(5) 9.2 수학통계학과 (3) 10.33 화학과(6) 34.67

※ ( ) 안은 학과별 모집 인원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입시 결과

5

4.5

4

3.5

3

2.5

2

1.5

지역균형 세종창의인재

(면접형)

세종창의인재

(서류형)

4.56

1.85

2.12

2.23

2.31

2.52

2.07

2.23

2.48

2.62

2.81

3.00

3.62

2.12

2.46

2.67

2.84

실제 최하위 등급

통계상 예측되는 최상위 등급

통계상 예측되는 최하위 등급

25%

50%

75%

※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은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 발표 70% 컷 기준

※ 종합전형인 세종창의인재(서류형)의 경우 합격자 70% 컷 기준으로 최상위 학과 합격 등급은 2.07, 상위 25% 학과는 2.12, 상위 50% 학과는 2.46, 75% 학과는 2.67, 최하위 학과는 2.84등급이라는 의미다.

교과 등급 상위 5개 학과(70% 컷 기준)

지역균형 창의인재(면접형) 창의인재(서류형)

1 생명시스템학부 1.85 생명시스템학부 2.23 경영학부 2.07

2 화학과 1.94 법학부 2.3 화학과 2.11

3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1.96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31 생명시스템학부 2.12

4 정보보호학과 1.96 행정학과 2.36 전자정보통신공학과 2.38

5 소프트웨어학과 1.98 컴퓨터공학과 2.37 나노신소재공학과 2.39

교과 등급 하위 5개 학과(70% 컷 기준)

지역균형 창의인재(면접형) 창의인재(서류형)

1 기계공학과 2.52 호텔관광외식경영학부 4.56 건설환경공학과 2.84

2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 2.48 국제학부 3.62 물리천문학과 2.69

3 컴퓨터공학과 2.45 지능기전공학과 3 국제학부 2.67

4 건설환경공학과 2.45 건설환경공학과 2.91 호텔관광외식경영학부 2.51

5 교육학과 2.36 화학과 2.86 반도체시스템공학과 2.5

● 전형별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전형 분류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고·영재학교 기타

교과전형 100 % 0 % 0 % 0 % 0 %

종합전형 84.32 % 2.05 % 2.5 % 0.68 % 10.45 %

논술전형 91.8 % 4.26 % 0.33 % 0 % 3.61 %

※ 2023 대입 대학 알리미 자료 기준

자문 교사의 2024 세종대 합격 Adivice

교과전형의 최저 기준은 인문 계열은 2개 영역 등급 합 6 이내, 자연 계열은 2개 영역 등급 합 7 이내다. 전년도 최종 등록자 평균 등급은 인문 2.10, 자연 2.17이었다. 세종대 교과전형은 충원율이 높게 나오는 특징이 있다. 경영학부는 모집인원 19명에 239명이 지원해 경쟁률이 12.58:1이었지만 충원율이 273.68%였다. 즉, 예비번호 52번까지 합격한 것으로, 지원자 중 71등까지 합격한 셈이다. 충원율을 고려하면 경쟁률은 3:1에서 4:1 남짓된다. 최저 기준 충족률까지 고려하면 실질 경쟁률은 더 내려간다.

종합전형은 세종창의인재(서류형)과 세종창의인재(면접형), 국방시스템공학 특별전형으로 나뉜다. 서류형은 2023학년에 신설됐는데 등록자 기준 평균 등급이 인문 2.38, 자연 2.59였다. 서류형은 일부 학과를 제외하면 2~5명의 소수 인원만 모집하므로 합격자 성적 추이가 작년과 다를 수 있다.

면접형은 1단계에서 서류 100%로 3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 서류 70%, 면접 30%를 반영한다. 등록자 기준 평균 등급이 인문 2.94, 자연 2.6으로, 서류형보다 내신 등급이 낮은 합격자가 많다. 평가 요소에서 서류형은 학업 역량 45%, 전공 적합성 25%를 반영하지만, 면접형은 학업 역량 25%, 전공 적합성 45%를 반영하는 데다 면접에서 역전을 노리는 수험생의 지원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논술우수자전형은 논술 70%, 학생부 교과 30%로 선발한다. 경쟁률이 인문 80:1, 자연 42:1로 높다. 하지만 최저 기준 충족율과 응시율을 고려하면 실질 경쟁률은 인문 22:1, 자연 17:1 정도로 떨어진다. 논술고사 출제 범위도 인문은 통합 교육형으로 국어 사회 교과의 일반선택 과목, 자연은 수리논술로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이다.

Q 세종대 수시 지원자에게 하고 싶은 말은?

세종대는 전형 다양성을 통한 전형별 맞춤 인재를 선발하고자 전형을 다양하게 설계·운영한다. 따라서 지원하려는 전형과 모집 단위의 전형 요소를 확인해 본

인에게 가장 적합하고 유리한 전형을 선택해야 한다.

2024학년 수시에서는 학과(부) 선발, 정시모집의 경우 인문사회 계열, 경상 계열, 자연생명 계열, IT 계열, 공과 계열로 통합선발한다. 단, 일부 특별전형, 예체능대학, 첨단학과, 창의소프트학부 등은 학과(부)로 선발한다.

보통 전년 전형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지원을 고려하는데, 올해 신설 첨단학과 가 여럿이고, 군 계약학과의 모집 전형 중 해군 계약학과인 국방시스템공학 특별전형은 전년까지 교과전형으로 선발하였으나 올해는 종합전형으로 선발한다. 이런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입학처 홈페이지에서 전형별 가이드북, 전공안내서, 스마트 입학 상담, 전년도 기출

문제, 전년도 입시 결과 등을 제공하고 있으니 참고하길 권한다. 수험생 여러분을 응원하며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란다.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지역균형

교과 종합 논술

9.12(화)~15(금)

17:00

9.18(화)~22(금) 11.16(목) 11.18(토)~19(일) 11.25(토, 인문)~

26(일, 자연)

12.15(금)

2024 인원

2023 인원

항공시스템

공학

세종창의인재

(면접형)

세종창의인재

(서류형)

국방시스템

공학

논술우수자 기타

260

350

20

350

145

32

340

244

310

17

353

107

30

310

원서 접수

[지역균형]

대상자 입력

수능 시험

11.10(금)

[지역균형]

1단계 합격 발표

[세종창의인재(면접형)]

면접

[논술우수자]

논술고사

[농어촌학생/실기우수자/

예체능특기자 외 수시 전형]

최초 합격 발표

세종창의인재

(면접형)

세종창의인재(서류형) 23.4%

9.7%

지역균형

23.4%

항공시스템공학

1.3%

국방

시스템공학

2.1%

논술우수자

22.7%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이화여대 17

지능형반도체공학전공 신설

종합전형 모집 인원 확대 주목

이화여대는 올해 첨단 학과인 융합전자반도체공학부 지능형반도체공학전공을 신설해 수시 모집에서 24명을 선발한다.

학생부종합전형 중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미래인재전형의 경우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이 적용되는 일괄 합산 전형으로, 학생부 서류와 더불어 수능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또한 종합전형 중 고른기회전형과 사회기여자전형에서 인문 계열의 최저 기준이 완화된 것이 특징이다.

논술전형은 올해부터 교과 등급을 반영하지 않고 논술 100%로만 평가하며 특기자전형의 선발 인원은 감소했다. 2024 이화여대 수시 전형의 주요 변화와 주목할 점을 이화여대 입학처 관계자에게 들었다.

취재 정은아 기자 galax@naeil.com

Q 2024학년에 지능형반도체공학전공을 신설했다. 앞서 데이터사이언스학과, 인공지능학과 등의 첨단 학과도 개설했는데, 다른 대학의 첨단 학과와 차별화된 특징은 무엇인가?

이화여대는 교육부의 반도체 등 첨단 분야 인재 양성 추진 정책에 따라 공과대학 내 지능형 반도체공학전공 신설을 최종 승인받았다. 2024학년부터 수시 모집에서 24명을 선발한다.

최근 이화여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해 힘쓰고 있다. 2022학년에 AI융합학부 인공지능전공을 신설한 바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2023학년에는 인공지능대학으로 확대 개편해 인공지능학과와 데이터사이언스학과에서 신입생을 선발했다. 이번에 신설되는 지능형반도체공학전공을 포함한 이화여대의 3대 첨단 학과는 인공지능 분야의 인재를 비롯 데이터 관리, 분석·활용 능력을 갖춘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3대 첨단 학과의 최초 합격자 전원은 1년간 등록금 전액이 지원되며, 최초 합격자 중 수시 각 전형별, 정시 수능 전형의 상위 50% 이내 합격자에게는 특별육성장학금으로 4년간 등록금 전액을 지원해준다.

2024 이화여대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교과 고교추천

교과 80+면접 20

※ 3학년 재적 여학생 수의

5% 이내(최대 10명) 추천

없음

종합

미래인재 서류 10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인문 ◯ ◯ ◯ 1 3합 6

자연 ◯ ◯(필수 반영) ◯ 1 2합 5

의예, 약학 ◯ ◯(필수 반영) ◯ 1 4합 5

미래산업약학 ◯ ◯ ◯ 1 4합 5

스크랜튼 ◯ ◯ ◯ 1 3합 5

고른기회 서류 10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인문 ◯ ◯ ◯ 1 3합 8

자연, 약학 ◯ ◯(필수 반영) ◯ 1 2합 6

사회기여자 서류 10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인문 ◯ ◯ ◯ 1 3합 8

자연 ◯ ◯(필수 반영) ◯ 1 2합 6

논술 논술 논술 10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인문 ◯ ◯ ◯ 1 3합 6

자연 ◯ ◯(필수 반영) ◯ 1 2합 5

약학 ◯ ◯(필수 반영) ◯ 1 4합 5

스크랜튼 ◯ ◯ ◯ 1 3합 5

실기

실적

어학특기자

[1단계] 서류 100(4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과학특기자 없음

[1단계] 서류 100(4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국제학

특기자

[1단계] 서류 100(4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사/과’ 는 응시 과목 수를 의미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국(국어), 확(확률과 통계), 미/기(미적분/기하), 영(영어), 사(사탐), 과(과탐)

Q 학생부교과전형인 고교추천전형에서 면접 20%를 반영한다. 실제 면접에서 합격이 뒤바뀌는 비율은 어느 정도인가?

고교추천전형은 지원자 전원에게 면접 기회가 주어지고, 충원율도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면접의 영향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지원자 간 학생부 교과의 편차가 크지 않아 면접 결과에 따라 총점 순위가 변동되는 경우가 있다. 교과 등급이 지원자 평균 등급과 차이가 크다면 면접으로 만회하기에 한계가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 면접은 20%만큼의 충분한 영향력이 있다.

Q 학생부종합전형 서류 평가에서 학업 역량의 세부 항목 중 심화 학업 역량의 평가 주요 질문 중 하나로 ‘지원 모집 단위에 따라 교과목 중 심화 교과를 수강한 이력이 있는가?’라는 질문이 있다. 구체적으로 무엇을 평가하는가?

심화 교과 수강 이력 역시 다른 항목과 마찬가지로 정성적·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출신 고교의 교육과정 편성표를 참고해 학생부 내에서 지원자의 우수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지원자가 학교에서 어떤 과목을 선택했고 해당 과목에 어떤 태도로 임했는지, 그 과정과 성과는 어떠했는지, 주어진 환경 안에서 얼마나 주도적인 자세로 학업에 임했는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하지만 심화 교과 수강 이력이 있다고 해서 그 자체로 가산점을 받거나, 이수하지 않았다고 해서 감점을 받는 것은 아니다. 특정 고교 유형에 따라 유불리가 발생하지도 않는다.

Q 미래인재전형과 특기자전형 중 미래인재전형의 경쟁률이 더 높은 편이다. 두 전형의 서류 평가는 어떠한 차이가 있나?

미래인재전형은 종합전형에 해당하며, 교과 영역 및 학교 활동 영역에서 적극적으로 역량을 계발한 학생을 선발한다. 서류 평가는 학생부 기반으로 석차등급 외에도 학생부에 기재된 모든 항목을 대상으로 다양한 학업과 학교 활동, 성취를 확인한다. 교과 영역에서는 지원자의 교과목 이수 현황이나 과목 평균, 표준편차, 과목별 세부능력 및 특기 사항에 기록된 구체적인 활동과 역할 등을 평가하며 교과 외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한 학교 활동과 그 과정을 통해 배우고 성장한 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반면 특기자전형은 실기/실적 위주 전형으로 어학/과학/국제학특기자전형에서 각 분야에 강점이 있는 학생을 선발한다. 따라서 서류에서 전반적인 학업 역량과 더불어 해당 분야에 소질이 있는지를 주로 살펴보며 학생부와 함께 활동 보고서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활동 보고서에는 공인어학성적, 교과 수상 및 교내외 활동을 기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합전형과 큰 차이를 보인다. 다만 특기자전형은 모집 단위및 모집 인원을 매년 점진적으로 축소하고 있으므로 지원 시 해당연도의 모집 요강을 반드시 참고해야 한다.

Q 미래인재전형에서 일부 공과대학 전공을 자연 계열과 인문 계열로 분리해 선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자연 계열뿐만 아니라 인문 계열에서도 공과대학 신입생들을 모집하겠다는 취지다. 실제로 인문 교육과정 중심으로 이수한 지원자들의 학생부에서도 이공 계열을 향한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경쟁률

Top 5 Bottom 5

고교추천 미래인재 논술 고교추천 미래인재 논술

유아교육과(6) 13 약학전공(20) 38.45 컴퓨터공학전공(8) 64 중어중문학과(12) 3.33 전자전기공학전공(22) 6.09 사회복지학과(6) 19.5

교육학과(6) 11.83 의예과(13) 33.77 스크랜튼학부(20) 61.1 건축도시시스템공학전공(7) 3.57 국어국문학과(35) 6.26 국제사무학과(5) 19.8

교육공학과(5) 11.8 미래산업약학전공(10) 23.7 간호학부(4) 59.25 간호학부(18) 3.83 컴퓨터공학전공 (자연)(16) 6.88 문헌정보학과(6) 20.5

환경공학전공(8) 7.63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

(인문)(4) 18.25

화학생명분자과학부(22) 53.45 특수교육과(9) 3.89 수학과(15) 7.2 사회학과(4) 21.25

초등교육과(9) 7.56 스크랜튼학부(20) 17.75 화공신소재공학전공(6) 49 수학과(10) 4 문헌정보학과(11) 7.27 행정학과(6) 21.33

※ ( ) 안은 학과별 모집 인원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입시 결과

4.5

4

3.5

3

2.5

2

1.5

1

고교추천전형 미래인재전형

1.25

2.11

1.68

1.79

1.98

1.18

2.03

2.275

2.755

4.28

최하위 등급

25%

50%

75%

최상위 등급

※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은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 발표 70% 컷 기준

※ 교과전형인 고교추천전형의 경우 합격자 70% 컷 기준으로 최상위 학과 합격 등급은 1.25, 상위 25% 학과는 1.68, 50% 학과는 1.79, 75% 학과는 1.98, 최하위 학과는 2.11등급이라는 의미다.

교과 등급 상위 5개 학과(70% 컷 기준)

고교추천 미래인재

1 초등교육과 1.25 의예과 1.18

2 영어교육과 1.53 초등교육과 1.47

3 사회교육전공/화학생명분자과학부 1.56 약학전공 1.60

4 역사교육전공 1.60 생명과학과 1.80

5 교육학과/화공신소재공학전공 1.62 국어교육과 1.81

교과 등급 하위 5개 학과(70% 컷 기준)

고교추천 미래인재

1 의류산업학과 2.11 독어독문학과 4.28

2 중어중문학과/특수교육과 2.08 불어불문학과 4.23

3 국어국문학과/유아교육과 2.03 휴먼기계바이오공학부(인문) 4.22

4 영어영문/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 2.02 중어중문학과 4.15

5 통계학과/전자전기공학 1.99 융합콘텐츠학과 4.0

● 전형별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전형 분류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고·영재학교 기타

고교추천 100 % 0 % 0 % 0 % 0 %

미래인재 81.62 % 0.89 % 17.05 % 0.33 % 0.11 %

논술 86.08 % 8.41 % 3.56 % 0 % 1.95 %

특기자 23.24 % 4.93 % 45.07 % 15.49 % 11.27 %

※ 2023 대입 대학 알리미 자료 기준

자문 교사의 2024 이화여대 합격 Advice

고교추천전형의 경우 최근 3년 동안 선발 방식에 큰 변화가 없었다. 최저 기준이 없고, 지원자 전원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기 때문에 수능에 자신이 없지만 교과 성적이 좋은 학생들에게 유리하다. 어디가 사이트에서 공개한 최근 3년간 고교추천전형의 70% 컷을 보면 최상위 학과는 1.2등급에서 최하위 학과는 2등급 중후반을 아우른다. 학과별 70% 컷의 변화가 큰 편이므로 충원율을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변수가 될 수 있는 면접 준비에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

미래인재전형의 경우 최저 기준을 적용한다. 면접이 없는 서류 100% 전형으로 최저 기준을 통과한 지원자들 간의 경쟁이라 타 대학 대비(아래 표 참조) 실질 경쟁률이 낮다는 점을 참고해야 할 것이다.

건국대

KU자기추천

경희대

네오르네상스

중앙대

다빈치형인재

중앙대

탐구형인재

이화여대

미래인재

17.93:1 16.63:1 22.32:1 18.76 10.95

서류 평가의 경우 학업 역량, 학교 활동의 우수성, 발전 가능성을 평가한다. 2024학년

이화여대 ‘학생부위주전형 안내서’에 평가 요소별 주요 평가 질문이 상세하게 소개돼 있으므로 이를 꼼꼼히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어디가 사이트에 공개된 70% 컷이 1.18~4.28로 편차가 있다. 그러므로 미래인재전형 지원 전, 이화여대 입학처 유튜브 채널 등을 통해 공개하는 전년도 전형 결과 안내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논술전형의 경우 30%를 반영하던 학생부 교과를 올해부터는 반영하지 않고 논술 100%로 평가한다. 그만큼 논술고사가 중요해졌기에 지원 시 이에 대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선행학습 영향 평가 보고서를 통해 기출문제를 꼼꼼히 분석해보고 모의 논술 문제를 풀어보는 것이 좋다.

관심, 관련 활동 및 성과, 잠재력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고교에서 인문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한 가운데 수학, 과학 교과목의 성취도가 우수하고, 학생부 전반에서 지원 계

열과 관련된 활동이나 관심이 구체적으로 드러난다면 전형의 선발 취지에 부합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Q 2023학년 미래인재전형의 자연계열 최저 기준이 4개 중 3개 합 6에서 2개 합 5로 낮아졌다. 최저 기준 완화가 입시 결과에 미친 영향은 어느 정도였나?

최저 기준 완화로 대비 2023학년 미래인재전형 자연 계열의 경쟁률이 2022학년 대비 크게 상승했다. 또한 자연 계열 모집 단위에서 최저 기준 충족률도 높아졌다. 미래인재전형의 계열별 최저 기준 충족률은 모집 단위별로 차이가 있다.

종합전형의 고른기회전형에서도 최저 기준 완화가 예고돼 있다. 인문 계열의 최저 기준을 전년도 3개 영역 등급 합 7 이내에서 2024학년 3개 영역 등급 합 8

이내로 완화했다. 2025학년 약학부 최저 기준도 완화할 계획이다.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고교추천

교과 종합 논술 실기실적

9.11(월) ~

9.14(목) 18:00

9.18(화)~22(금) 10.28(토, 인문)~

29(일, 자연)

11.4(토) 11.16(목) 11.25(토, 인문)~

26(일, 자연)

11.17(금) 12.15(금)

2024 인원

2023 인원

미래인재 고른기회 사회기여자 논술 특기자 기타

153

400

945

162

15 15

300

92

151

400

921

158

310

144

원서 접수

[고교추천]

대상자 입력

[고교추천]

면접

[특기자/예체능서류] 수능 시험

면접

[논술]

논술고사

[고교추천/특기자/

예체능실기]

합격자 발표

[종합/논술/

예체능서류]

합격자 발표

미래인재

고른기회 45.7%

7.8%

어학/과학/국제학특기자 4.5%

사회기여자

0.7%

고교추천

19.4% 논술

14.5%

기타 7.4%

※ 세부 사항은 입학처 홈페이지에 게시된 요강 참조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인하대 18

지역균형·인하미래인재전형 모집 인원 증가

반도체시스템공학과·바이오시스템융합학부 신설

인하대는 올 수시 모집에서 인하참인재전형을 폐지하고, 지역균형전형과 인하미래인재전형의 모집 인원을 늘렸다. 지역균형전형은 인문 계열의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을 완화했고, 인하미래인재전형은 서류 평가에서 진로 탐구 역량의 반영 비율을 높였다. 논술우수자전형에서는 학생부 교과 등급 환산 점수 조정으로 논술고사의 실질 영향력이 커졌다.

반도체시스템공학과와 바이오시스템융합학부가 신설됐다는 점도 주목된다. 인하대 수시의 주요 사항을 서재현, 노준호 입학사정관에게 들었다.

취재 정애선 소장(내일교육 부설 교육정책연구소 헤리티지내일) asjung@naeil.com

Q 반도체시스템공학과와 바이오시스템융합학부가 신설됐다. 타 대학과 차별화된 특징이 있다면?

첨단 분야 학과와 학부 신설을 목적으로 학칙 개정을 추진, 올해 공과대학 반도체시스템공학과 40명, 미래융합대학 반도체산업융합학과 30명을 선발한다. 또 기존의 공과대학 생명공학과와 자연과학대 생명과학과, 공과대학 바이오제약공학과(계약학과)를 독립학부인 바이오시스템융합학부로 구성해 첨단 바이오 산업에 발맞춘 단과대학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반도체시스템공학과는 반도체 산업에 특화된 교육과정으로 구성했다. 1, 2학년 교육과정은 반도체 관련 유관 학과들의 융합 교육을 위해 전자/전기/정보통신공학/컴퓨터 분야의 핵심 교과목 위주로 편성된다. 이후 3, 4학년은 관련 산업 분야와 연계할 수 있도록 반도체 회로설계/소자/공정/인공지능 반도체/시스템설계/SW/후공정 영역을 포함하는 특화된 심화 응용 교과목으로 편성했다. 정시 모집 수능 일반전형에서는 최초 합격자 등록 시 4년 장학금을 지급한다. 서류 평가 시 반도체 관련 진로 활동에 국한하지 않고 전자, 전기, 컴퓨터 관련 학과에 지원할 수 있는 활동도 관련 진로 활동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면 된다. 바이오시스템융합학부는 생명공학과 46명, 생명과학과 36명을 선발한다. 세부적인 학과 및 전형별 선발 인원과 방식은 2024학년 인하대 수시 모집 요강을 참고하면 된다.

Q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인하참인재전형을 폐지하는 대신 학생부교과전형인 지역균형전형의 모집 인원을 대폭 늘렸다. 배경은?

인하참인재전형은 서류 종합 평가 100%로 선발하는 전형으로, 인하미래인재전형보다 기초 학업 역량을 강조(학업 역량 평가 비중 인하참인재전형 45%, 인하미래인재전형 30%)했다. 교과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지원하는 장점이 있었지만, 학생 입장에서는 두 전형 간 차이점을 파악하기에 다소 모호했고, 학생부교과전형과 성격이 유사해 전형을 선택하기 어렵다

2024 인하대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교과 지역균형

교과 100

※ 추천 인원 제한 없음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인문,

의류디자인(일반)

◯ ◯ ◯ 1 2합 6

자연(일부 제외) ◯ ◯ ◯ 1 2합 5

자연(일부)* ◯ ◯ ◯ 1 2합 5

의예 ◯ ◯ ◯ 2 3개 1등급

종합

인하미래인재

[1단계] 서류 100(3.5배수,

의예과 3배수 내외)

[2단계] 1단계 70+면접 30 없음

고른기회 서류 100

논술 논술우수자 논술 70+교과 3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최저

의예 ◯ ◯ ◯ 2 3개 1등급

※ 자연(일부) 해당 모집 단위: 산업경영공학과, 화학공학과, 생명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에너지자원공학과, 통계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 해양과학과, 식품영양학과, 인공지능공학과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사/과’ 는 응시 과목 수를 의미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국(국어), 확(확률과 통계), 미/기(미적분/기하), 영(영어), 사(사탐), 과(과탐)

는 의견이 있었다. 올해 수시 모집부터는 인하참인재전형을 폐지하는 대신 교과전형의 선발 인원을 늘렸다. 기존 인하참인재전형으로 선발하던 300여 명의 모집 인원은 지역균형전형에 70%인 200여 명을 배정하고, 그 외 인원은 인하미래인재전형에 배정했다.

Q 지역균형전형의 모집 인원 증가가 입시 결과에 미칠 영향을 예상한다면?

인하참인재전형 폐지로 기존의 지원 풀이 지역균형전형과 인하미래인재전형에 분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교과 성적 평균 기준으로 2등급 중후반대 지원자는 지역균형전형으로, 2등급 후반에서 3등급 초중반대 지원자는 인하미래인재전형으로 지원할 듯하다. 결과적으로 합격선은 인하미래인재전형의 경우 전년과 유사하고, 선발 인원이 대폭 증가한 지역균형전형은 소폭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균형전형은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이 2개 영역 등급 합 5에서 6으로 완화된 인문 계열보다 전년과 동일하게 2개 영역 등급 합 5인 자연 계열 학과의 하락 폭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2023학년 인문 계열 지역균형전형의 수능 최저 기준 충족률은 51.5%였다. 지난해 지원자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했을 때 최저 기준 완화에 따라 충족률은 22.1%p 상승한 73.9%로 예측됐다. 하지만 최저 기준이 완화된 만큼 지원자 풀도 바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으로 보기는 어렵다.

Q 논술우수자전형에서 교과 등급 환산점 간 차이를 줄여 논술고사의 영향력을 높였다. 이유는?

논술우수자전형은 논술고사 점수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다. 논술고사의 실질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교과 등급 환산 점수를 변경했다. 교과 3~6등급 차이는 교과 반영 점수 1천 점 만점에 2점 차이로, 논술고사 점수로 환산하면 0.4점에 해당한다. 즉, 논술고사로 부족한 교과 성적을 충분히 만회할 수 있는 셈이다.

인문 계열 논술고사는 제시된 논제의 핵심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능력과 제시문을 활용해 논제를 심도 있게 분석하는 능력, 자료에 근거해 자신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문제가 출제된다. 제시된 자료 해석과 데이터 분석뿐 아니라 현상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고교 교육과정에서 학습한 내용의 응용이 요구된다. 제시문은 주로 교과서에서 발췌하며, 고등학생의 수준에 맞는 주제를 선정해 출제한다. 수험생은 문제가 요구하는 것이 무언인지 꼼꼼히 점검해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시키는 답안을 작성해야 한다. 맞춤법, 원고지 사용법 오류 등 잦은 실수로 채점자가 글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올해는 인문 계열 논술 유형에 변화가 있기 때문에 논술 모의고사를 통해 난도와 문제 유형을 파악, 예상 답안과 채점 기준을 확인하고 연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자연 계열 논술고사는 수학 교과만 평가한다. 수학 과학 등 통합 논술 유형에 비해 수험생의 부담이 적다고 할 수 있다. 출제 범위도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4개 과목이기 때문에 부담을 더 낮췄다. 수학 교과의 배경지식이나 교과지식이 아닌, 여러 개념과 원리를 문제 해결에 활용해 풀이 과정을 논리적으로 서술하는 능력 등을 평가한다. 의예과의 경우 지난해부터 자연 계열 일반 학과와 공통 문항 1개, 의예과 별도 문항 2개를 출제하고 있다.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경쟁률

Top 5 Bottom 5

지역균형 인하미래인재 논술우수자 지역균형 인하미래인재 논술우수자

소비자학과(5) 27.8 사회복지학과(9) 41.3 의예과(10) 381

문화콘텐츠문화경영학과(9),

일본언어문화학과(5),

전기공학과(11),

프랑스언어문화학과(5) 7.2

산업경영공학과(14)

6.2

수학과(9) 25.33

데이터사이언스학과(5) 25.4 생명과학과(11) 32.4 컴퓨터공학과(자연)(18) 58.39 영어영문학과(7) 7.3 정보통신공학과(32) 6.3 아태물류학부(자연)(9) 25.78

글로벌금융학과(인문)(5) 23 의예과(16) 30.3 간호학과(인문)(13) 58.15 경영학과(19), 국어교육과(5) 7.4 통계학과(10) 6.5 물리학과(9) 25.89

의예과(8) 23 간호학과(21) 27.8 생명공학과(9) 56 행정학과(8), 환경공학과(6) 7.5 중국학과(15) 6.7 해양과학과(6) 27.17

스마트모빌리티공학과(5) 21.4 생명공학과(11) 23.9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13) 47.62 아태물류학부(인문)(10) 7.8 기계공학과(35) 7 영어교육과(3) 27.33

※ ( ) 안은 학과별 모집 인원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입시 결과

6

5.5

5

4.5

4

3.5

3

2.5

2

1.5

1

지역균형 인하미래인재

1.07 1.11

2.38

4.13

2.81

3.12

3.49

1.86

3.13

2.25

2.54

2.72

실제 최하위 등급

실제 최상위 등급

통계상 예측되는 최상위 등급

통계상 예측되는 최하위 등급

25%

50%

75%

※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은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 발표 70% 컷 기준

※ 인하미래인재전형의 경우 합격자 70%컷 기준으로 최상위 학과 합격 등급은 2.38, 상위 25% 학과는 2.81, 50% 학과는 3.12, 75% 학과는 3.49, 최하위 학과는 4.13등급이라는 의미다.

교과 등급 상위 5개 학과(70% 컷 기준)

지역균형 인하미래인재

1 의예과 1.07 의예과 1.11

2 생명공학과 1.86 화학공학과 2.38

3 전자공학과 1.97 생명공학과 2.44

4 화학공학과 1.99 간호학과 2.49

5 간호학과(자연) 2.01 컴퓨터공학과 2.59

교과 등급 하위 5개 학과(70% 컷 기준)

지역균형 인하미래인재

1 일본언어문화학과 3.13 프랑스언어문화학과 5.81

2 중국학과 3.11 공간정보공학과 4.13

3 프랑스언어문화학과 3.05 중국학과 3.99

4 사학과 2.99 글로벌금융학과 3.84

5 소비자학과 2.99 영어영문학과 3.8

● 전형별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전형 분류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고·영재학교 기타

지역균형 100% 0% 0% 0% 0%

인하미래인재 90.93% 5.04% 3.47% 0.33% 0.2%

논술우수자 91.36% 4.54% 0.86% 0.43% 2.8%

※ 2023 대입 대학 알리미 자료 기준

자문 교사의 2024 인하대 합격 Adivice

지역균형전형은 모집 인원이 401명에서 604명으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모집 인원의 증가는 경쟁률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입시 결과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최근 2년간 평균 10:1 정도의 경쟁률을 보였다는 점을 참고해 지원 학과별 경쟁률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인하대 입학처 공개 자료에 따르면 2023학년 지역균형전형의 수능 최저 기준 충족률은 인문 51.5%, 자연(의대 제외) 52.3%로 높지 않은 편이다. 인문의 경우 수능 최저 기준이 국·수·영·탐(탐1) 중 2개 영역 합 5에서 6으로 완화돼 비율이 조금 상승하겠지만, 자연은 변화가 없다는 점을 참고하자. 수능 수학 필수 응시 영역에서 <미적분> <기하> <확률과 통계>를 허용하던 일부 자연계 학과에 통계학과가 추가된 것도 눈에 띈다.

인하미래인재전형은 평가 항목의 반영 비율이 변경됐다. 기존의 기초 학업 역량, 진로 탐구 역량, 공동체 역량 중 진로 탐구 역량의 비중이 늘고, 공동체 역량은 줄었다. 전공 공부를 위한 학생의 노력이 더 강조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24학년 학생부종합전형 가이드북을 통해 평가 요소별 세부 내용과 합격 사례를 꼼꼼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

논술우수자전형에서 30%를 반영하는 교과 등급 환산점에 변화가 있다. 전년 대비 1~6등급의 환산점 차를 줄여 논술고사의 영향력이 더 커졌다. 인하대는 논술 모의고사 문제지와 해설지를 학교별로 신청하면 받을 수 있고, 논술고사 기출문제와 해설을 입학처 홈페이지에 공지하고 있으니 참고하자. 홈페이지에 탑재된 전형 가이드북과 유튜브 채널을 통해 수시전형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살펴보면 좋다.

인하대는 모의 논술고사의 유형과 형식을 실제 논술고사에 연계해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입학처 홈페이지에 공개된 논술 가이드북을 참고하면 관련 정보를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Q 인하미래인재전형 서류 평가에서 진로 탐구 역량의 비중은 높이고, 공동체 역량의 비중은 낮췄다. 이유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고교 현장에서 진로선택 과목과 창의적 체험 활동 중심으로 진로 관련 활동이 활성화됐다. 그에 따라 진로 탐구 역량의 비중을 45%에서 50%로 소폭 확대했다. 2024학년부터 학생부가 간소화되고, 자기소개서가 폐지됐기 때문에 인성 관련 평가에 활용되던 자료들이 축소되기도 했다. 공동체 역량의 평가 비중을 25%에서 20%로 소폭 축소한 이유다. 입시 결과 측면에서는 항목 간 비율이 소폭 조정된 것이기 때문에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학생부 평가 항목 축소에 따라 상대적으로 각 교과목의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 행동 특성 및 종합 의견이 평가의 중심이 되고 있다. 창의적 체험 활동에서도 과거 학교 프로그램 내용 중심에서 점차 학생 개인별 진로에 맞춰 개별화되는 추세다.

Q 인하미래인재전형에서 면접의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인하미래인재전형의 2단계 면접 인원은 지난해부터 모집 인원의 3배수에서 3.5배수로 확대했다(단, 의예과는 3배수). 2단계 면접 배수 확대에 따라 면접의 영향력이 강화돼 2단계 면접 대상 인원 중 서류 평가 2~3배수에 해당하는 지원자 55.7%가 최종 합격했다. 서류 평가 2~3배수 학생들의 최종 합격 비율은 해마다 증가 추세다.

인하대의 면접은 지원자가 제출한 학생부 중심으로 진행된다. 학생부 내용 숙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긴장감을 줄이려면 모의면접 등을 통해 면접 예상 문제를 스스로 만들어 보고, 발표하는 기회를 가져보면 좋다. 면접 준비 방법은 2024학년 학생부종합전형 가이드북에 상세히 안내했다. 합격 사례를 발표한 학생들이 직접 출연한 동영상도 면접 준비 전 시청할 것을 권한다.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9.11(월)~15(금)

18:00

9.18(월)

~22(금)

11.14(화) 11.16(목) 11.18(토)~19(일) 12.2(토) 인문

12.3(일) 자연

12.15(금)

2024 인원 2023 인원

원서 접수

[지역균형]

대상자 입력

[인하미래인재]

1단계

합격 발표 수능 시험

[인하미래인재]

면접

[논술우수자]

논술고사

[전형 전체]

최종

합격 발표

지역균형

교과

인하

미래인재

인하

참인재

종합

고른기회 논술

우수자

논술

기타

604

973

137

401 459 422

905

298

137

469

421

고른기회 5.3%

논술우수자

17.7%

기타

16.3%

인하미래인재

37.5%

지역균형

23.3%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중앙대 19

수능 최저 영어 2등급까지 1등급으로 간주

서류 평가 요소 3개 역량으로 개편

중앙대는 올 수시에서 지역균형전형과 논술전형의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을 변경했다. 수능 영어 등급을 그대로 적용하는 방식에서 1등급과 2등급을 모두 1등급으로 간주해 완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학생부종합전형은 기존 5개 평가 요소를 학업 역량, 진로 역량, 공동체 역량 3개로 개편했다.

논술전형의 경우 자연 논술에서 과학 논술을 폐지하고, 수리 논술 범위에 <확률과 통계>를 추가했다. 안성캠퍼스의 명칭이 다빈치캠퍼스로 변경됐지만, 학과와 선발 인원, 선발 방식에서 큰 틀의 변화는 없다. 차정민 책임입학사정관에게 중앙대 수시의 변화에 대해 들었다.

취재 정애선 소장(내일교육 부설 교육정책연구소 헤리티지내일) asjung@naeil.com

Q 중앙대는 1년간 전공 탐색 기간을 거친 후 2학년 때 전공을 확정하는 ‘전공개방 모집’을 일부 모집 단위에서 운영하고 있다. 전공개방모집 선발 대상과 전공 배정 원칙은 어떻게 되나?

학생부교과전형인 지역균형전형에서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경영경제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창의ICT공과대학, 생명공학대학이 선발한다. 단 공공인재학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경영학부(경영학, 글로벌금융), 산업보안학과(자연), 지식경영학부, 화학공학과, 기계공학부, 첨단소재공학과는 학과(부)별 모집을 실시하기 때문에 진입이 불가능하다.

전공개방모집의 경우 합격한 단과대학 소속 전공 중 진입 희망 순위를 제출하는데, 희망 순위에 따른 전공 배정을 원칙으로 하지만 전공별 배정 가능 인원에 제한이 있어 초과할 경우 희망 순위별 입학 성적에 따라 전공을 배정한다. 2학년이 되어 적성에 맞는 전공을 확정할 때는 희망 순위별 1학년 성적에 따라 배정된다. 전공 진입 기회가 1학년과 2학년 두 번 있는 셈이다. 최근 3년간 전공개방모집 합격자의 약 95%가 1, 2순위 희망 전공으로 진입하고 있다.

Q 산업보안학과와 간호학과는 인문과 자연으로 나눠 선발한다. 이유는?

산업보안학과는 단순히 화이트해커를 양성하는 곳은 아니다. 정부 기관이나 사기업 등에서 보안 정책을 설계하려면 물리적 보안부터 법, 제도, 개인 정보 관리 등을 총괄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교수진의 구성도 범죄심리, 법학, 경영학 등으로 다양하다. 인문학적 성격이 필요한 만큼 다양한 학생들을 선발하려고 한다. 간호학과는 자연 계열 성격을 갖고 있지만 물리학이나 수학 기반이 아니어서 간호학에 관심과 열정이 있는 인문 학생들도 선발하고 있다.

인문과 자연으로 나눠 선발하는 취지가 분명하기 때문에 수학, 과학을 주로 이수한 학생이 인문 선발로 지원할 경우 평가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생명과학, 화학을 기반으로 이수한 학생은 자연 선발에서 뽑고, 국어 영어 사회를 기반으로 이수하고 간호학에 관심이 있

2024 중앙대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교과 지역균형

교과 90+출결 10

※ 2023년 이후 졸업자

※ 고교별 추천 인원 20명

이내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한 최저

인문, 간호 ◯ ◯ ◯ 1

4

3합 7

자연(약학 제외) ◯ ◯ ◯ 1 3합 7

약학 ◯ ◯ ◯ 1 4합 5

다빈치캠퍼스 없음

*영어 영역 1등급과 2등급을 통합해 1등급으로 간주함.

종합

CAU융합형인재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70+면접 30

CAU탐구형인재 서류 100 없음

CAU어울림 서류 100

기회균형 서류 100

논술 논술

논술 70+학생부 20+

출결 1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한 최저

인문 ◯ ◯ ◯ 1

4

3합 6

자연(약학 제외) ◯ ◯ ◯ 1 3합 6

약학 ◯ ◯ ◯ 1 4합 5

의학 ◯ ◯ ◯ 2 4합 5

다빈치캠퍼스 ◯ ◯ ◯ 1 2합 6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사/과’ 는 응시 과목 수를 의미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국(국어), 확(확률과 통계), 미/기(미적분/기하), 영(영어), 사(사탐), 과(과탐), 한(한국사)

는 학생은 인문 선발에서 뽑는다. 산업보안학과도 마찬가지다. 학생부교과전형의 반영 교과가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교과 전 과목이다 보니 간호학과의 경우 종합전형은 분리 선발하지만, 지역균형전형에서는 인문과 자연을 통합해 선발한다.

Q 지역균형전형과 논술전형의 영어 영역 등급 산정 방식 변경을 통해 수능 최저 기준을 완화했다. 충족률과 교과 합격선 변화를 예측해본다면?

그동안 수능 최저 기준을 지속적으로 완화해왔다. 올 수시에서는 영어 영역 1등급과 2등급을 통합해 1등급으로 간주한다. 수능 영어 절대평가에서 1등급 인원은 해마다 변동 폭이 컸지만, 2등급까지 포함하면 어느 정도 안정적인 수치를 보여줬다. 자체 시뮬레이션을 했을 때 충족률이 10%가량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험생 입장에서도 최저 기준 충족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지역균형전형의 경우 교과 합격선 상승 요인이긴 하지만, 지금도 충족률이 60% 이상이다.

Q 다빈치형인재전형과 탐구형인재전형이 각각 CAU융합형인재전형과 CAU탐구형인재전형으로 명칭이 변경됐다. 지원 시 고려해야 할 점은?

중앙대 안성캠퍼스의 명칭이 다빈치캠퍼스로 바뀌면서 전형명을 변경하게 됐다. ‘융합형인재’라는 명칭이 기존 ‘다빈치형인재’의 의미를 잘 구현한다고 봤다. 명칭이 바뀌었을 뿐 각 전형의 성격은 기존과 동일하다.

다만 올해 서류 평가 요소를 기존의 5가지에서 학업 역량, 진로 역량, 공동체 역량 3가지로 간소화했다. 두 전형의 평가 요소는 동일한데, 비중에 차이가 있다. CAU융합형인재는 학업 역량 50%, 진로 역량 30%, 공동체 역량 20%로 평가하고 CAU탐구형인재는 학업 역량 40%, 진로 역량 50%, 공동체 역량 10%로 평가한다. CAU융합형인재는 학업 역량, CAU탐구형인재는 진로 역량의 비중이 가장 높다. 두 전형의 세부 평가 항목별 중요도가 다르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CAU융합형인재는 학업 성취도, 특정 전공(계열)과 상관없는 다양하고 적극적인 진로 탐색 활동과 경험, 리더십에 가산을 하는 반면 CAU탐구형인재는 탐구력, 전공(계열) 관련 교과 이수 노력과 성취도에 가산을 한다.

Q 중앙대를 비롯해 5개 대학이 자연 계열을 중심으로 교과 이수 권장 과목을 발표했다. 올해 서류 평가에 어떻게 반영할 계획인가?

현 고3 수험생에게는 권장 과목을 감점 형태로 반영하지는 않을 계획이다. 특히 수학의 경우 <확률과 통계>나 <기하>를 학교 교육과정으로 인해 이수하지 못하는 학생들도 많기 때문에 당장 평가에 반영하기보다는 학교 현장의 교육과정 편제나 과목 선택 지도에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감점 형태는 아니지만, 자연 계열 전공에 필요한 과학 과목을 Ⅰ과목 수준도 이수하지 않았다면 평가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평가 세부 항목에도 전공(계열) 관련 교과 이수 노력이 있기 때문이다.

Q 기존 다빈치형인재전형의 일반고 합격 비율이 2021학년 67.7%, 2022학년 80%, 2023학년 70.3%로 변동됐다. 탐구형인재전형의 일반고 합격 비율은 2021학년 37.2%, 2022학년 47.4%, 2023학년 47.2%로 변동됐다. 고교 유형별 변동 폭이 컸던 이유를 분석해본다면?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경쟁률

Top 5 Bottom 5

지역균형

다빈치형인재

(CAU융합형)

탐구형인재

(CAU탐구형)

논술 지역균형

다빈치형인재

(CAU융합형)

탐구형인재

(CAU탐구형)

논술

약학부(6) 33.67 생명과학과(6) 99.33 생명과학과(6) 51.67 의학부(14) 238 생명공학대학(66) 5.5 예술공학부(23) 4.39 예술공학부(21) 6.14 예술공학부(18) 7.83

유아교육과(5) 16.6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학부(6) 47.5

화학과(5) 32.6 약학부(22) 126.77 경영학(50) 6.58 식품영양(14) 6.79 산업보안학과(인문)(5) 8.2 식물생명공학(6) 9

공과대학(33) 15.39 화학과(5) 45.8 심리학과(7) 29.29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학부(9) 107.22

간호학과(자연)(17) 6.88 식품공학(10) 7.5

산업보안학과(자연)(8)

9.75

식품영양(7) 9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학부(7) 14.57

교육학과(8) 44.88 의학부(11) 29 정치국제학과(6) 99.67 경영경제대학(55) 7.22 간호학과(인문)(13) 9.69 식품공학(9) 9.78

동물생명공학(7)

9.57

글로벌금융(8) 12.88 융합공학부(9) 37.67 융합공학부(8) 27.5 소프트웨어학부(20) 9.35 공공인재학부(15) 7.47 문예창작(10) 9.7 간호학과(자연)(17) 10.94 식품공학(10) 9.6

※ ( ) 안은 학과별 모집 인원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입시 결과

6

5.5

5

4.5

4

3.5

3

2.5

2

1.5

1

지역균형 다빈치형인재

(CAU융합형)

탐구형인재

(CAU탐구형)

1.15

1.57 1.57 1.47

2.21

2.98

3.76

5.04

5.62

2.10

2.48

3.89

2.00

1.72

1.76

1.86

2.82

3.01

3.31

통계상 예측되는 최상위 등급

실제 최상위 등급

통계상 예측되는 최하위 등급

실제 최하위 등급

25%

50%

75%

※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은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 발표 70% 컷 기준

※ 다빈치형인재(CAU융합형)전형의 경우 합격자 70% 컷 기준으로 최상위 학과 합격 등급은 1.57, 상위 25% 학과는 2.10, 50% 학과는 2.48, 75% 학과는 3.89, 최하위 학과는 5.62등급이라는 의미다.

교과 등급 상위 5개 학과(70% 컷 기준)

지역균형 다빈치형인재(CAU융합형) 탐구형인재(CAU탐구형)

1 약학부 1.15 약학부 1.57 약학부 1.47

2 화학신소재공학부 1.57 의학부 1.63 의학부 1.84

3 소프트웨어학부 1.59 화학과 1.75 AI학과 1.99

4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1.63 전자전기공학부 1.88 산업보안학과(자연) 2.07

5 창의ICT공과대학 1.64 화학신소재공학부 1.93 문헌정보학과 2.08

교과 등급 하위 5개 학과(70% 컷 기준)

지역균형 다빈치형인재(CAU융합형) 탐구형인재(CAU탐구형)

1 예술공학부 3.31 디자인학부(패션) 5.62 예술공학부 5.04

2 첨단소재공학과 3.01

생명자원공학부

(식물생명공학) 5.53

첨단소재공학과 5.01

3 생명공학대학 2.82

디자인학부

(실내환경디자인) 5.33

산업보안학과(인문) 4.67

4 유아교육과 2 첨단소재공학과 5.03 경영학부(글로벌금융) 4.31

5 경영학부(글로벌금융) 1.87 융합공학부 4.72 도시계획ㆍ부동산학과 4.17

● 전형별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전형 분류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고·영재학교 기타

지역균형 100% 0% 0% 0% 0%

탐구형인재(CAU탐구형인재) 47.2% 13.1% 22.8% 16.2% 0.6%

다빈치형인재(CAU융합형인재) 70.3% 7.6% 16.7% 3.6% 1.8%

논술 76.1% 13.6% 7.3% 1.9% 1.6%

※ 2023 대입 대학 알리미 자료 기준

자문 교사의 2024 중앙대 합격 Adivice

지역균형전형의 경우 수능 최저 기준에서 영어 등급 적용 방식이 바뀌면서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1~2023학년 수능에서 영어 1등급 비율은 각각 12.7%, 6.3%, 7.8%였지만, 1등급과 2등급 인원을 합친 비율은 26.5%, 27.9%, 29.1%로 큰 차이를 보인다. 지역균형전형의 수능 최저 기준 충족률이 높아지면 교과 등급의 영향력은 커질 것이다.

약학부 합격자 70% 등급 컷을 보면 최저 기준 충족률이 16.2%였던 2022학년과 29.7%였던 2023학년에 각각 1.39, 1.15로 큰 차이를 보인다. 수능 최저 기준이 같더라도 충족률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는 것은 그만큼 당락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의미다. 다빈치캠퍼스의 경우 수능 최저 기준 유무에 따른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수능 최저 기준이 적용된 2021, 2022학년과 폐지된 2023학년에서 합격자 70% 분포가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올해 지역균형전형 지원 시 반드시 참고해야 한다.

CAU융합형인재전형과 CAU탐구형인재전형 중 선택 시 유의할 점은 우선 두 전형 간 인재상이 다르다는 것이다. 공개한 ‘2024 중앙대 학생가이드북’을 꼼꼼히 읽어보고 어느 전형이 유리할지 판단해야 한다. 두 번째 고려할 점은 전형에 따른 고교 유형별 합격자 비율이다. CAU융합형인재전형의 경우 일반고 합격자 비율이 70.3%인 반면 CAU탐구형인재전형은 47.2%로 차이를 보인다.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에 공개된 70% 컷은 CAU융합형인재 1.47~5.04등급, CAU탐구형인재 1.57~5.62등급으로 편차가 크다. 두 전형 모두 자사고 및 특목고의 비중이 높은 편이기 때문에 지원 시 학교 상담을 통해 지원자 고교의 중앙대 합격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또 두 전형 모두 서울캠퍼스를 중심으로 경쟁률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2023학년에는 유럽문화학부와 아시아문화학부 등 어문 계열 모집 단위가 탐구형인재전형에서 빠지고, 다빈치형인재전형으로 이동했다. 이들 학부의 외고 학생 합격 비율이 높다 보니 다빈치형인재전형의 일반고 합격 비율이 2022학년보다 2023학년에 소폭 감소한 측면이 있다. 모집 단위의 이동 때문이라고 보면 된다. 탐구형인

재전형의 경우 인문 계열 합격선이 다빈치형인재전형에 비해 낮다 보니 탐구형인재전형에 지원하는 학생들이 상당한 편이다. 또 예전에는 과학고, 자사고 수준에서 하던 교육이나 선택 과목들이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후 일반고에도 확산되면서 스스로 탐구형인재전형에 더 맞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늘어난 것도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Q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에 따라 최근 서류 평가 시 눈에 띄는 변화가 있나?

경영·경제학과를 희망하면 <미적분>과 <경제수학> 중 어느 과목을 이수하는 게 좋은지 실제 질문하는 경우가 많다. 성적에 대한 부담 때문에 <미적분> 이수가 쉬운 선택은 아닐 텐데, 도전적으로 선

택하는 학생들이 눈에 띄기도 한다. 심리학과는 최근 간학문적 성격을 보이는 대표적인 학과 중 하나다. 뇌과학과도 연관되다 보니 사회 과목을 중심으로 이수하면서 생명과학을Ⅰ·Ⅱ과목까지 모두 이수하는 학생들도 보인다. 인문과 자연을 넘나들며 공부한 학생들은 나름대로 자신만의 스토리가 확실하다는 특징이 있다.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지역균형

교과 종합 논술

9.12(화)~15(금)

18:00

9.18(화)~22(금) 11.16(목) 11.23(목) 11.25(토) 자연

11.26(일) 인문

12.2(토)~3(일) 12.8(금) 12.15(금)

2024 인원

2023 인원

CAU융합형 CAU탐구형 CAU어울림 기회균형 논술 기타

400

504 513

424

20

113

478

404

505 526

408

20

113

487

원서 접수

[지역균형]

대상자 입력

수능 시험

[CAU융합형]

1단계 합격 발표

[논술]

논술고사

[CAU융합형]

면접

[종합전형 전체]

최종 합격 발표

[지역균형/논술]

최종 합격 발표

논술

19.5%

CAU융합형

20.9%

지역균형

20.6%

CAU탐구형

17.3%

기회균형 4.6%

CAU어울림 0.8%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켄텍 20

수시 100% 종합전형 선발

영향력 큰 창의성 면접 주목

켄텍(KENTECH)은 특별법에 의해 설치된 과학기술 특성화대학이다. KAIST GIST DGIST UNIST 같은 과학기술원 등과 함께 수시 지원 횟수(6회)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올해도 켄텍은 수시에서 학생부종합전형만 운영하며, 에너지공학부 단일 모집 단위로 선발한다.

컨텍의 대학 교육과정, 수업 방식은 다소 독특하다. 에너지 AI, 에너지신소재, 차세대 그리드, 수소에너지, 환경·기후기술 5개 트랙의 수업을 자유롭게 수강하고 국내외 대학, 연구소, 기업 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개별 진로 특화 과정을 밟는다. 학습자 중심 프로젝트 수업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ALC(Active Learning Classroom) 등 첨단 기술이 집약된 강의실, 학생 참여 교과 설계 등 새로운 시도도 눈에 띈다. 켄텍 입학센터 홍정기 입학운영팀장에게 2024학년 켄텍 입시에서 주목할 점을 들어봤다.

취재 정나래 기자 lena@naeil.com

Q 일반전형, 고른기회전형 모두 1단계 합격자 수를 4배수에서 5배수로 늘린 이유는? 또 두 전형의 중복 지원이 불가한데, 두 전형의 지원 자격을 모두 갖췄다면 어떤 전형을 선택해야 유리할까?

2024학년부터 자기소개서가 폐지됐다. 수험생에게 켄텍 지원 기회를 보다 확대하고, 대학 역시 인재상에 맞는 신입생을 모집할 기회를 확보할 목적으로 더 많은 면접 대상자를 선발하게 됐다. 또 일반전형과 고른기회전형의 경우 지원 자격에 차이가 있을 뿐 평가 방법과 요소는 동일하다. 지난 2년간 두 전형의 경쟁률은 유사했다. 이로 볼 때 전형 간 유불리가 있다고 보긴 어렵다.

Q 2023학년 수시 충원율과 합격자의 고교 유형별 비율은?

2023학년 수시 모집 결과 모집 정원 100명 중 99명이 등록해 충원율은 99%였다. 합격자의 고교 유형별, 지역별 비율은 따로 공개하지 않는다. 다만 대학 알리미에 입력한 신입생(등록자)의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일반고 41.28%, 과학고 14.68%, 영재학교 11.93%, 자사고 25.69%, 자공고 3.67%, 기타 2.75% 등이다. 입학생들은 학교 유형을 불문하고, 활동적인 고교 생활과 주위를 먼저 고려하는 습관, 인류를 위한 공학을 공부하고 싶다는 의지 등의 공통점이 있었다.

Q 2022학년에 비해 2023학년 경쟁률이 감소했다. 그 원인과 경쟁률 변화가 입시 결과에 미친 영향이 궁금하다.

경쟁률이 다소 감소했지만, 입시 결과에서 눈에 띄는 변화는 없었다. 올해로 개교 3년 차인 신설 대학이고 과학기술 특성화대학, 그중에서도 에너지 분야에 특화된 대학임을 고려하면 허수 지원이 줄었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서울대나 KAIST와 같이 미래 에너지공학을 공부하려는 의지가 강한, 실질적인 진학 의지를 가진 학생들이 모이면서 경쟁률이 정상화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실제 지난 2023학년 입시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공대 진학을 원하는 지원자들이 대거 지원했다.

Q 켄텍은 수시에서 종합전형만 운영한다. 평가 요소가 가치 평가, 역량 평가, 지원 적합성인데, 각각의 특징을 설명한다면?

켄텍의 인재상에 맞게 선발하고자 평가 요소를 설계했다. ‘인류 공영을 위한 미래 에너지 개발에 도전하는 탁월한 연구 역량과 기업가 정신, 글로벌 시민의식을 갖춘 인재’를 원한다. 이에 맞춰 ‘역량 평가’는 수학·과학 교과에 대한 학업 역량을 중심으로 모든 교과의 학업 성취 과정을 두루 살핀다. ‘가치 평가’는 고교에서 새로운 분야 또는 직면한 상황을 어떻게 해결했는지 ‘과정’을 중심으로 본다. 마지막으로 ‘지원 적합성’은 에너지공학 분야에 대한 학업 의지

2024 켄텍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종합

일반

[1단계] 서류 100(5배수)

[2단계] 1단계 50+면접 50

없음

고른기회

[1단계] 서류 100(5배수)

[2단계] 1단계 50+면접 50

※ 일반·고른기회 중복 지원 불가

와 활동, 인류 공영에 대한 관심을 본다. 특정 요소를 특별히 중요하게 살피기보다 세 가지 평가 요소와 학생의 특성을 아울러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있다.

Q 평가 요소 중 지원 적합성에 대한 설명에 에너지 분야에 관한 내용이 많다. 어떤 에너지 관련 활동을 하면 좋을지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한다면?

지원 적합성을 평가할 때 에너지라는 키워드가 학생부에 얼마나 표출되었는지, 관련 활동을 했는지를 중요하게 보진 않는다. 에너지 분야는 모든 공학에 활용된다. 따라서 공학 또는 수학·과학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켄텍에 입학해 공부하는 데 무리가 없다. 예를 들어 물리학과 화학에 관심이 있는 지원자라면 입학 후 환경·기후 기술의 인공태양(핵융합)이나 CO₂ 저감을 통한 지구온난화 대응 기술에 적용할 수 있다. 생명공학과 화학에 흥미가 큰 지원자라면 동식물 바이오매스와 인공광합성 분야에서 에너지 효율화 연구를 할 수도 있다.

현재 고교 교육과정에서 광범위한 에너지 분야의 세부 영역을 접하기가 쉽지 않다. 또 대학에서 학습·탐구의 깊이를 더해가며 본인의 관심 분야를 구체화하고 비전을 세우려면 고교 단계에서는 그 기초를 탄탄히 다져야 한다. 고교 수학·과학 교과에서 배운 내용은 대학 입학 후 에너지공학의 다양한 연구 영역으로 뻗어나갈 수 있다. 이런 관점으로 고교에서의 학습과 활동을 평가한다고 이해하면 좋겠다.

참고로 켄텍은 <물리Ⅱ> <화학Ⅱ> 등 특정 선택 과목을 권장하진 않는다. 앞서 말했듯, 모든 분야에 활용되는 에너지공학의 특성상 자칫 특정 교과에 치우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다만, 켄텍에서 주어지는 여러 교육과 연구 기회를 활용하고 확산하려면 수학·과학 과목에 대한 관심과 학업 성취도 관리는 필요하다. 또 켄텍 수업의 특성, 최신 에너지공학 연구 등을 고려해 영어 실력을 키워두는 것도 도움이 된다.

Q 면접 비중이 50%로 높은 편이다. 면접으로 최종 합격이 뒤바뀌는 비율은 어느 정도인가?

면접 평가 후 최종 합격자의 순위가 뒤바뀌는 비율을 따로 분석하지는 않았다. 면접 평가는 창의성 면접(70%)과 학생부 기반 면접(30%)으로 진행한다. 특히 창의성 면접은 켄텍의 수업 방식과 교육 철학을 미리 체험하며 미래 에너지공학 연구자 혹은 창업가로 육성하는 대학의 교육 방식을 소개하는 의미도 있다. 지원자들의 특성상 학생부 기반 면접에서 큰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으며, 2단계 면접평가의 50% 비율 중 70%를 차지하는 창의성 면접이 합격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당히 크다고 볼 수 있다.

Q 창의성 면접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소개해 달라. 준비 방법은?

정해진 답이 없고 학생 스스로 문제의 답을 찾아가는 열린 면접이다. 공개된 두 번의 기출문제를 살펴보면, 고1도 그간 배운 것을 바탕으로 답변할 수 있는 수준이다. 까다롭지 않지만 답변에서 개인의 가치관, 문제 해결력, 창의력 등이 다채롭게 드러난다. 그렇기에 면접을 준비하는 특별한 방법은 없다. 다만 평소 주변에서 일어나는 문제에 대한 바른 인식, 그 문제를 미래 공학으로 해결해나가고자 하는 넓고 열린 생각, 그리고 적절한 계획을 세우고 적용하는 습관 등을 통해 주어진 상황에 대한 적극적인 문제 해결 아이디어를 찾는 경험을 쌓은 학생이라면, 좀 더 수월하게 문제 해결 방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2022~2023 경쟁률(일반전형 기준)

24.07

12.63

2022 수시 2023 수시

●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 자사고 자공고

외국고 등

기타

전체

비율(%) 11.93 14.68 41.28 25.69 3.67 2.75 100

※켄텍 2023학년 입학자 수(109명) 기준 공시 자료

● 서류 평가 요소 및 내용

평가 요소 평가 내용 비고

가치 평가

특정 분야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깊이 있게 학습한 경험이 있는가? RE

생소한 분야에 도전한 경험을 통해 성공 혹은 실패의 경험이 있는가? ES

이타적인 활동 경험과 공동체의 이익을 위해 헌신한 경험이 있는가? GC

역량 평가

수학·과학 등을 깊이 있게 공부하고 스스로 학습한 경험이 있는가? MT

인문학에 관심을 가지고 인간과 사회에 대해 고민해 본 경험이 있는가? HI

공감, 정직, 리더십, 설득, 조정의 경험이 있는가? CC

지원 적합성

에너지 관련 분야에 대한 진학 의지와 활동, 성과가 있는가?

에너지 관련 분야 진학을 위한 교과 선택과 학습역량이 충분한가?

에너지 관련 분야의 특성을 이해하고, 공학을 통한 인류 공영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가?

켄텍의 핵심 가치와 핵심 역량

핵심 가치

RE

Research Excellence

(탁월한 연구)

ES

Entrepreneurship

(기업가정신)

GC

Global Citizenship

(글로벌 시민의식)

핵심 역량

MT

Mathematical Thinking

(수학적 사고)

HI

Humanistic Insight

(인문적 통찰)

CC

Collaborative Communication

(협업적 소통)

자문 교사의 2024 켄텍 합격 Adivice

켄텍은 2024학년 수시전형의 1단계 통과 배수가 4배수에서 5배수로 늘었다. 1단계 합격의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 에너지공학은 AI, 신소재 등 다양한 공학 분야와 연관이 있는 만큼 공대 진학을 희망하는 우수한 학생은 켄텍 지원이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켄텍은 입학 설명회를 통해 2023학년 수시 결과를 발표했는데, 일반고 출신 합격생을 기준으로 교과 성적 평균이 수학·과학 1.6등급, 국영수과 1.74 등급이었다. 이를 통해 대학이 수학과 과학 교과의 학업 성취도를 비중 있게 살펴본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또 에너지에 특화된 대학인 만큼 해당 분야와 관련된 수학·과학 과목을 심도 있게 선택하고 학습하는 동시에, 사회에 이바지하는 인재를 추구하는 학교의 특성을 고려해 사회에 관심을 둔 인문학적인 성찰도 경험할 필요가 있다.

면접은 25분간의 창의성 면접과 10분간의 학생부 기반 면접 두 가지로 진행된다. 반영 비율은 각각 70%와 30%다. 창의성 면접은 ‘창의성 면접 패키지’라는 도구를 이용해 보드 게임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대학과 차별화된 방식인 만큼 반드시 입학처 유튜브 영상을 확인해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 ‘창의성’이라는 명칭이 붙은 만큼 면접 준비 시간에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할 때, 자신만의 창의적인 시각과 방안을 모색하고 예상되는 질의에 대한 응답을 준비해야 한다.

Q 올해 켄텍 수시 지원자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누구나 누리는 대학 생활을 누리면서 정해진 길을 가고자 한다면 켄텍에 합격하더라도 등록하지 않길 권한다. 에너지공학계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가진 교수진과 함께 현재의 에너지를 넘어 누구도 상상하지 못한 미래의 에너지를 주도하고자 한다면 답은 ‘켄텍’이다.

켄텍 2023학년 창의성 면접 패키지 일부. 가상의 3개 국가가 ‘과학·행복·환경’ 을 고려한 국가 발전 10년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는 상황을 제시, 주어진 요건과 정보를 활용해 국가 간 실행 계획 차이를 파악하고 특정 국가의 수장이 되어 실행 계획을 작성해보는 문제가 제시됐다. 자세한 내용은 켄텍 입학처홈페이지에서 ‘선행학습 영향 평가 보고서’ PDF를 다운받으면 확인할 수 있다.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9.11(월)~

15(금) 18:00

11.16(목) 11.17(금) 12.4(월) 12.15(금)

2024 인원

2023 인원

원서 접수 수능 시험

[전형 전체]

1단계 합격 발표

[전형 전체]

면접

[전형 전체]

최종 합격 발표

일반

종합

고른기회

90 90

10 10

※ 세부 사항은 입학처 홈페이지에 게시된 요강 참조

고른기회 10%

일반

90%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한국외대 21

첨단·융합학과 신설… 학과 개편 박차

종합전형(면접형/SW인재) 면접 비중 확대

한국외대의 수시전형은 올해 변화가 많다. 우선 모집 단위의 변화가 상당하다. 서울캠퍼스에 Language & AI융합학부와 Social Science & AI융합학부, 글로벌캠퍼스에 디지털콘텐츠학부 등 6개의 학부(과)를 신설했고, 독일어통번역학과를 포함한 통번역대학 4개 학과를 폐지했다. 또 학생부종합전형은 기존 4개의 평가 요소를 학업 역량, 진로 역량, 공동체 역량 세 가지로 개편한 한편, 학생부종합(면접형)에서 면접 비중을 40%에서 50%로 높였다. 교과전형인 학교장추천전형에서 종전까지 반영하지 않았던 진로선택 과목의 성취도를 반영한다. 학교당 추천 인원도 달라졌다. 고교별 최대 20명에서 서울캠퍼스 10명, 글로벌캠퍼스 10명으로 바뀌었다. 한국외대 김유진·윤창호 입학사정관에게 올해 다양한 변화를 시도한 이유와 수험생이 유의할 점에 대해 들어봤다.

취재 정나래 기자 lena@naeil.com

Q 올해 전반적인 학과 개편이 이뤄졌다. 방향과 배경을 설명한다면?

서울캠퍼스에 Language & AI융합학부와 Social Science & AI융합학부, 글로벌캠퍼스에 디지털콘텐츠학부, 투어리즘 & 웰니스학부, 반도체전자공학부(반도체공학전공), AI데이터융합학부, Finance & AI융합학부, 기후변화융합학부가 신설됐다. 한편 글로벌캠퍼스에 있던 독일어통번역학과 스페인어통번역학과 이탈리아어통번역학과 말레이·인도네시아어통번역학과는 폐지했다. 글로벌자유전공학부는 자연 모집 단위를 없애고, 인문 모집 단위로 통합해 선발한다. 서울·글로벌캠퍼스 간 유사한 전공을 통폐합했다. 이를 통해 캠퍼스별 특성화를 도모하는 한편, 학생·기업의 수요와 대학이 제공하는 교육의 균형을 맞추고자 했다.

특히 신설 학부는 AI나 데이터 등 첨단 산업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외국어 역량은 물론, 인문학적 통찰력과 분야를 넘나드는 융합적 사고가 필요하다. 또 디지털·기후 문제는 개별 국가를 넘어 국제적으로 소통·협력해야 하는 부분이 많다. 외국어와 국제 분야에 특화된 한국외대의 강점이 교육과정에 반영돼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

Q 교과전형과 논술전형에 반영하는 교과 평가는 등급 환산 점수 또는 원점수 환산 점수 중 상윗값을 적용한다. 다소 독특한 방식을 활용하는 이유는?

지역·고교에 따라 환경이 너무 다르다. 학생 수 또한 많이 줄었다. 등급만으로 학생의 역량을 평가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각 대학이 다양한 교과 평가 방식을 고안, 운영하는 배경이다.

한국외대는 특히 교과 등급 산출 과정에서 이미 원 점수가 활용돼 고교에 별도의 부담을 주지 않고, 동급생 간 학업 수준이 비슷하거나 아슬아슬하게 하위 등급을 받은 학생들의 실제 역량을 어느 정도 반영할 수 있다는 판단하에 원점수 환산 점수도 활용한다.

Q 종합전형의 평가 요소가 종전 4가지에서 학업 역량, 진로 역량, 공동체 역량 등 3가지로 바뀌었다. 평가에 미칠 영향이 궁금하다.

2024 한국외대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교과

학교장

추천

교과 100

※ 추천 인원 서울 10명,

글로벌 10명 이내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한 최저

서울 ◯ ◯ ◯ 1 4 2합 4

글로벌 인문 ◯ ◯ 1 4 1개 3등급

글로벌 자연 ◯ ◯ ◯ 1 응시 1개 3등급

종합

면접형/

SW인재

[1단계] 서류 100(3배수)

[2단계] 1단계 50+면접 50

없음

서류형 서류 100

기회균형 서류 100

논술 논술 논술 80+교과 20

계열 국 확 미/기 영 사 과 한 최저

전체(LD,

LT학부 제외)

◯ ◯ ◯ 1 4 2합 4

LD, LT학부 ◯ ◯ ◯ 1 4 2합 3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사/과’ 는 응시 과목 수를 의미

※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국(국어), 확(확률과 통계), 미/기(미적분/기하), 영(영어), 사(사탐), 과(과탐),

한(한국사)

대입 공정성 강화 방안에 따라 종합전형에서 볼 수 있는 서류가 줄었다. 한국외대는 지난해 건국대 경희대 연세대 중앙대 등과 함께 종합전형의 새로운 평가 요소와 평가 항목을 연구·발표했다. 이에 맞춰 올해부터 평가 요소를 변경했다. 수험생 입장에서 크게 달라질 것은 없다. 다만 종전의 탐구 역량, 계열 적합성, 인성, 발전 가능성이 3개 요소로 축소된 반면 평가 척도는 7개에서 9개로 늘었다. 평가를 그만큼 세분화해 진행한다고 보면 된다.

Q 종합전형에서 면접형/SW인재와 서류형의 평가 요소 반영 비율이 다르다. 전형 선택을 고민하는 수험생에게 조언해준다면?

두 전형의 가장 큰 차이는 면접의 유무다. 평가 요소도 차이 난다. 면접형은 진로 역량(50%), 서류형은 학업 역량(50%)을 가장 많이 반영한다. 따라서 진로 관련 학습·활동 경험을 토대로 진학 의지를 한 번 더 드러내고 싶은 수험생은 면접형/SW인재에 지원했을 때, 서류형보다 자신을 설명할 기회를 더 많이 얻을 수 있다. 중간에 진로가 바뀐 학생도 면접에서 그 배경과 과정을 드러낼 수 있다.

2023학년 면접형에서 면접으로 당락이 뒤집힌 비율은 30~40% 선이다. 올해 50%로 면접 반영 비율이 높아진 만큼, 면접의 영향력이 더 커질 전망이다.

참고로 진로 역량은 종전 평가 요소 중 계열 적합성과 유사하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도입된 후 학생의 과목 선택권이 강조되며 평가에도 반영됐는데, 사실 지원 전공의 성격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다. 자연 계열은 대학 전공과 관련 깊은 고교 과목의 이수 여부, 또 이수 과목 간 위계를 중요하게 살펴본다. 한데 한국외대는 의약학 계열이 없고, 자연 계열에서도 인문·사회 분야와 융합한 모집 단위가 상당하다. 또 일반고에서 접하기 어려운 특수 외국어를 배우는 전공도 많다. 때문에 평가 시특정 과목 이수 여부보다, 과목 선택, 학습 경험, 수업 안팎의 활동 전반에 대해 폭넓게 살피는 편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Q. 신설 학과에 종합전형으로 지원할 때 유의할 점은?

모집 단위가 인문, 자연으로 구분돼 있는데, 이는 현재 대학 선발 체계에서는 계열을 구분해야 해 불가피한 조치였다. 실제 Language & AI융합학부는 자연, Social Science & AI는 인문으로 모집 단위가 다르지만, 교육과정은 큰 차이가 없다.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교과·논술전형에서는 관련 계열 관련 교과에 맞춰 평가하지만, 종합전형에서는 해당 계열 구분 없이 평가할 예정이다. 지원자들이 이 점을 주목하면 좋겠다.

또 신설 학과 대부분이 첨단 분야인데, 최근의 종합전형에서 강조되는 교과에서 관련 수업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AI 융합대학은 ‘수학’ 역량을 충실히 쌓는 등 직접적으로 연계되지 않더라도 관련 기초 역량을 다지며 해당 분야에 대한 흥미를 보이거나, 공동 교육과정에서 관련 수업을 수강했다면 평가에 고려할 수 있음을 참고하라.

Q 논술전형에서 학생부 교과 반영 비율을 20%로 낮춘 이유는?

주요 전형 요소에 더 집중하겠다는 의미다. 종합전형의 면접형/SW인재에서 면접 비중을 높인 것과 같다. 논술전형은 교과 평가의 실질 영향력 자체가 미미했다. 논술은 세 문항, 800점 만점 기준이라 학생 간 편차가 크다. 반면 교과 환산 점수는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경쟁률

Top 5 Bottom 5

학교장추천 면접형 서류형 학교장추천 면접형 서류형

행정학과(5) 24.4 글로벌스포츠산업학부(6) 32.7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9) 16.8 수학과(4) 3.8 수학과(5), 통계학과(5) 4.4 수학과(7), 통계학과(7) 3.7

영어교육과(4) 23.5 중국어교육전공(3) 19.7 경영학부(10) 16.6

통계학과(4), 바이오메디컬

공학부(4), 국제금융학과(4) 4

언어인지과학과(8) 4.6 인문과학 계열[철학과](8) 4.1

중국어교육전공(3) 18.3 영어교육과(3) 19.3 행정학과(4) 14.3 화학과(6) 4.2 전자공학과(7) 철학과(8) 5.1 화학과(7) 4.3

프랑스어교육전공(3) 17.3 정치외교학과(6) 17.8 중국어교육전공(2) 12.5 전자물리학과(4) 4.5 산업경영공학과(7) 5.3 환경학과(7) 4.4

일본언어문화학부(5) 17.2 일본언어문화학부(6) 17.3 국제학부(8) 12.4 폴란드어과(4), 헝가리어과(4) 5

전자물리학과(5),

바이오메디컬공학부(5) 5.6

아프리카학부(8) 4.6

※ ( ) 안은 학과별 모집 인원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입시 결과

6

5.5

5

4.5

4

3.5

3

2.5

2

1.5

면접형 서류형

2.00

5.70

3.18

3.75

4.43

1.80

2.75

3.30

3.83

5.00

최하위 등급

25%

50%

75%

최상위 등급

※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은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 발표 50% 컷 기준

※ 종합전형인 면접형의 경우 합격자 50%컷 기준으로 최상위 학과 합격 등급은 2.00, 상위 25% 학과는 3.18, 50% 학과는 3.75, 75% 학과는 4.43, 최하위 학과는 5.70등급이라는 의미다.

교과 등급 상위 5개 학과(학교장 추천은 대학 환산점 70% 컷, 면접형/서류형은 50% 컷 기준)

면접형 서류형 학교장추천

1 한국어교육과 2

LT학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1.8

LD학부 297.96

2 영어교육과, 정치외교학과 2.2 국제통상학과, 정치외교학과 1.9 영어교육과 297.7

3

ELLT학과, 경영학부,

행정학과 2.3

LD학부, 경영학부, 경제학부 2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297.6

4

국제학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2.4

행정학과 2.1 EICC학과 297.5

5 국제통상학과 2.6 글로벌스포츠산업학부 2.2 경제학부 297.5

교과 등급 하위 5개 학과(학교장 추천은 대학환산점 70% 컷, 면접형/서류형은 50% 컷 기준)

면접형 서류형 학교장추천

1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과 5.7 루마니아어과 5 전자물리학과 257.01

2

중앙아시아학과,

체코·슬로바키아어과 5.6

우크라이나어과 4.9 중앙아시아학과 264.06

3 폴란드어과 5.3 그리스·불가리아학과 4.8 우크라이나어과 264.72

4

그리스·불가리아학과,

루마니아어과 5.2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과,

아프리카학부, 중앙아시아학과 4.7

화학과 267.19

5 우크라이나어과 5.1

국제금융학과,

체코·슬로바키아어과 4.6

국제금융학과 269.43

● 전형별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전형 분류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고·영재학교 기타

교과전형 88.73% 0.56% 10.70% 0% 0%

종합전형 65.04% 1.73% 31.61% 0.10% 1.50%

논술전형 80.17% 4.05% 11.51% 0.21% 4.10%

※ 2023 대입 대학 알리미 자료 기준

자문 교사의 2024 한국외대 합격 Adivice

교과전형인 학교장추천전형은 2024학년부터 진로선택 과목을 환산점을 이용해 반영하며, 추천 인원과 지원 자격에도 변화가 있다. 이보다 더 눈여겨볼 점은 교과 산출 방법이다. 공통 및 일반선택 과목 교과 산출 시 등급 환산 점수 또는 원점수 환산 점수 중 상윗값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국어 과목에서 원점수 78점·1등급인 학생과 원점수 90점·4등급 학생이 있다면, 전자는 1등급 환산 점수 200점을, 후자는 원점수 환산 점수 200점을 받는다. 따라서 지원 시 환산 점수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종합전형은 서류형, 면접형, SW인재전형으로 선발한다. 서류형은 학업 역량(50%), 진로 역량(30%), 공동체 역량(20%), 면접형과 SW인재는 학업 역량(30%), 진로 역량(50%), 공동체 역량(20%) 등 전형별 평가요소 반영 비율이 다르다. 이를 고려해 적합한 전형에 지원해야 한다.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에 공개된 종합전형의 학과별 합격생 50% 등급컷을 보면 면접형 2.00~5.70, 서류형 1.80~5.00으로 편차가 큰 편이다. 종합전형 합격자 고교 유형에서 외고·국제고 비율이 31.61%를 차지하는 점을 고려할 때, 지원 전 출신 고교의 합격 사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면접형/SW인재는 면접 비중이 40%에서 50%로 강화됐다. 2024학년 ‘HUFS 전공 가이드북’과 ‘HUFS 멘토단의 전공과 합격 이야기’를 참고하길 추천한다.

논술전형의 경우 학생부 교과 반영 비율을 30%에서 20%로 낮춰 논술고사의 영향력이 커졌다. 학교마다 출제 경향의 차이가 있기에 ‘2024학년 HUFS 논술 가이드북’과 선행학습 영향 평가에 공개된 최근 몇 개년간의 논술고사 문제와 해설을 확인해야 한다. 자연 논술은 출제 범위가 <수학Ⅰ·Ⅱ>로 타 대학보다 범위가 적고, 경쟁률이 높지 않다는 점도 참고하자.

200점 만점 기준으로 반영되는데, 2024학년 기준 1등급과 5등급의 점수 차가 5점에 불과하다.

Q 타 대학에 비해 일반고 합격자 비율이 낮은 편인데?

전년도 종합전형 결과를 분석해보면, 출신 고교 유형별 지원자 대비 합격률이 종합(면접형)은 고교 유형별로 차이가 없었고, 종합(서류형)은 오히려 일반고 출신의 합격률이 크게 올라갔다. 다만, 모집 단위별 합격자의 편차가 있는 편이다. 특히 중국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등 일부 어문 계열 전공은 외고 출신의 합격 비율이 높은 편이다. 반면 일부 사회과학 모집 단위는 합격자 중 외고 출신이 전무한 곳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합격자의 평균을 내면 일부 모집 단위에서는 일반고 출신 학생이 상대적으로 적은 착시 효과가 발생하는 것 같다. 앞서 말했듯 한국외대는 특정 교과 이수에 특별히 유불리를 부여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일반

고 학생들도 본인이 처한 환경에서 언어·문화적 관심과 소양을 쌓아왔다면 관련 학과에 도전하길 바란다. 충분히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9.12(화)~15(금)

18:00

9.18(월)~22(금) 10.23(월) 10.29(일) 11.16(목) 11.25(토)~26(일) 12.15(금)

2024 인원 2023 인원

원서 접수

[학교장추천]

대상자 입력

[면접형/SW인재]

1단계 합격 발표

[면접형/SW인재]

면접

수능 시험

[논술]

논술고사

[전형 전체]

최종 합격 발표

서울

학교장추천

교과

면접형 서류형

종합

SW인재 기회균형 논술

논술

글로벌 서울 글로벌 서울 글로벌 글로벌 서울 글로벌 서울 글로벌

206

176

235

249 240

279

34

68

123

322

164

198

173

213

234 238

283

34

62

123

309

164

※ 세부 사항은 입학처 홈페이지에 게시된 요강 참조

기회균형 9.1%

SW인재

1.6%

서류형

24.7%

면접형

23.1%

학교장추천

18.3%

논술

23.2%

2024 대학별 수시 분석

한양대 22

수시 모든 전형 수능 최저 미적용

전형 변화 적어 입시 결과 분석 필수

한양대는 수시 모집 모든 전형에서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을 두지 않는다.

학생부교과전형인 지역균형발전은 학교별로 11%까지 추천받아 교과 100%로 선발한다. 학생부종합전형인 일반전형은 학생부 종합 평가 100%로, 종합 역량 평가와 성취 역량 평가로 구성된 심사위원 다수가 다단계로 학생을 평가해 선발한다. 논술전형은 논술시험 90%에 학생부 종합 평가가 10% 반영되는 것이 특징이다. 다만 학생부 서류 평가가 아닌 출결 및 봉사 등 학교생활의 성실성을 중점적으로 반영해 부담을 느낄 필요는 없다. 한양대 2024 수시 모집의 특징과 함께 지원자가 중요하게 살펴야 할 점을 입학처에 물었다.

취재 민경순 리포터 hellela@naeil.com

Q 채용 연계형 학과인 반도체공학과를 신설했다. 타 대학과 차별점은?

반도체공학과는 SK하이닉스 채용 연계 계약학과로,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창의적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반도체공학 이론 및 실습 교육을 진행하고 산업체 인턴십, 현장 실습 등의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대학 학비 전액과 학업 장려금을 지급하고 반도체 공정라인 및 설계 실험실습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해외 우수 산업체 견학 및 인턴십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졸업 후 SK하이닉스 반도체 연구원으로 채용이 보장되며, 석사 또는 석·박사 통합 과정 진학 시 학비 전액을 지원하거나 학업 장려금을 지급한다. 다양한 혜택이 주어지는 만큼 전형별 입시 결과도 높게 나타난다. 특히 작년 교과전형인 지역균형발전에서는 최종 등록자 내신 등급 평균이 1.04로 매우 높았다.

Q 교과전형에서 진로선택 과목 중 상위 3개 과목을 반영한다. 합불을 가르는 데 진로선택 과목의 영향이 있나? 교과전형에서 졸업생의 비율은?

대부분의 지원자가 진로선택 과목에서 A를 받는다. 특히 전 과목이 아닌 상위 3개 과목만 반영하기에 진로선택 과목이 합불에 영향을 준 사례는 거의 없다. 한양대는 자연 계열에 지원하는 학생들의 대학 수학을 위해 추천 시 자연 계열은 수학 교과에서는 <미적분> 또는 <기하> 중 1과목 이상, 과학 교과에서는 Ⅱ과목 중 1과목 이상 이수를 조건으로 공지했다. 교과전형은 재학생의 합격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지만, 졸업생도 14% 정도 된다.

Q 학생부종합전형의 동점자 처리 기준을 4대 핵심 역량 중 학업 영역 성적 우위자로 명시했다. 그 이유는?

대학에서의 학업 수행이 원활하도록 학업 역량(종합 성취도)과 공동체를 위한 역할 수행 및 소통 역량, 자기 주도력이 뒷받침된 학생을 선발하고자 한다. 종합 평가는 종합 역량 평가와 두 단계의 성취 역량 평가로 진행한다. 종합 역량 평가는 종합 성취도로 학생부에 드러난 학업 관련 기록을 통해 종합적인 성취를 평가한다. 종합 성취도는 단순히 과목의 등급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학생이 이수한 과목과 과목의 성취도(등급, 원점수, 평균, 표준편차, 이수자 수),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 창의적 체험 활동 상황, 행동 특성 및 종합 의견 등 학생부에 기록된 학업 관련 기록을 토대로 학생의 교육 여건과 3년간의 성취를 정성 평가한다. 성취 역량 평가는 4대 핵심 역량 간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학업과 인성 영역을 정성 평가한다.

4대 성취 역량은 비판적 사고 역량과 창의적 사고 역량, 자기 주도 역량과 소통·협업 역량이다. 비판적 사고 역량과 창의적 사고 역량은 ‘학업 영역’으로, 자기 주도 역량과 소통·협업 역량은 ‘인성 및 잠재성 영역’으로 평가한다. 4대 핵심 역량은 학업과 인성을 포함하는 개념이지만 점수 배점상 ‘학업 영역’의 비중이 높아 동점자 발생 시 학업 영역에서 높은 성적을 받

2024 한양대 수시 주요 전형 OVERVIEW

전형 전형명 전형 방법 수능 최저 학력 기준

교과 지역균형발전

교과100

※3학년 인원 11% 이내 추천

(졸업생 추천 가능)

없음

종합

일반 서류 100

고른기회 서류 100

논술 논술 논술 90+ 학생부종합평가 10

은 학생이 우위를 갖는다. Q 한양대만의 서류 평가 노하우가 있다면?

한양대는 종합 역량 평가와 성취 역량 평가로 서류를 평가한다. 종합 역량 평가는 개별 고교의 교육 여건과 교육 환경을 고려한 종합 성취도 반영을 통해 단편적인 평가가 아닌 입체적으로 파악하려고 노력한다. 성취 역량 평가는 전임사정관과 위촉 사정관의 평가 등 2단계를 거치면서 비판적 사고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자기 주도 역량, 소통·협업 역량 등의 4대 핵심 역량을 중점에 두고 기초·심화 및 융복합 수준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즉, 학생부에 나타난 학생의 역량을 항목별·학년별로 ‘횡단’ 확인해 상호 연계적으로 평가한다. 만약 평가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편차가 발생하면 재심위원회를 개최해 점수 차이에 대한 논의, 조율 과정을 거친다. 사실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해당 고교에 방문해 작성 교사와 면담한 후 학생부 내용을 확인한다.

Q 계열에 따라 중점적으로 평가하는 특정 교과가 있나? 진로 변경에 대한 대학의 인식은?

수험생 당사자는 진로에 대한 부담을 느끼지만, 대학은 고교 3년간의 과정 안에서 학생의 진로가 변경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한다. 실제 종합 서류 평가에서도 전공 적합성이 아닌, 계열 적합성을 토대로 평가한다.

모든 학과에서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 주요 교과의 성취 수준을 확인한다. 다만, 자연 계열은 수학·과학 교과를, 인문 및 상경 계열은 언어(국어 영어 등)·사회교과를 더 의미 있게 평가한다. 따라서 자연 및 인문·상경 계열 내에서 자유롭게 진로·학과를 선택해도 된다.

Q 교과전형과 논술전형에서 최저 기준을 두지 않는 이유는?

전형 요소는 고교 교육과정 운영의 활성화와 사교육 감소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다. 수시 전 전형에 최저 기준을 두지 않은 것은 수시는 수시대로 전형의 취지에 맞게 교과 성적과 논술고사 자체만으로도 인재상에 부합하는 우수한 학생을 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Q 논술전형에서 학생부 종합 평가 10%가 반영된다. 평가 내용은?

논술전형은 교과 성적을 정량화해 반영하지 않으며, 출결 및 봉사 등 학교생활 성실도 위주로 종합 평가한다. 학교폭력 관련 기록, 과도한 무단 결석 및 지각 등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논술전형은 논술고사 성적이 합격에 절대적이다. 참고로 자연 계열의 수리 논술은 수능 수학 과목과 같다.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출제 범위 내에서 2문제(소문항 각 2~3개)가 출제된다.

Q 한양대는 다이아몬드 7학과가 대표적이었다, 2024 모집 요강을 보니 다이아몬드 플러스 학과라고 해서 해당 학과가 많아졌다. 이런 변화의 이유는?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경쟁률

Top 5 Bottom 5

지역균형발전 종합일반 논술 지역균형발전 종합일반 논술

화학공학과(6) 25.5 생명과학과(13) 44.77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5) 281.2 교육공학과(3) 4.33 파이낸스경영학과(15) 8.47 식품영양학과(7) 52.29

교육학과(3) 18.67 생명공학과(6) 38 정치외교학과(4) 273.5 실내건축디자인학과(인문)(7) 4.57 원자력공학과(8) 8.75 화학과(5) 52.8

수학과(5) 16.4

전기·생체공학부(바이오

메디컬공학전공)(12) 33.92

사회학과(4) 252.5 정보시스템학과(상경)(5) 4.6 미래자동차공학과(12) 9.08 의류학과(자연)(4) 54

전기·생체공학부

(전기공학전공)(6) 12.67

교육학과(6) 26.5 관광학부(4) 224 중어중문학과(7) 5 실내건축디자인학과(인문)(14) 9.36 간호학과(5) 57.6

관광학부(5) 11.6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12) 25.83 연극영화학과(영화전공)(4) 185.75 국어교육과(3) 5 행정학과(10) 9.6 물리학과(5) 58.6

※ ( ) 안은 학과별 모집 인원

● 2023 수시전형 및 모집 단위별 입시 결과

4.5

4

3.5

3

2.5

2

1.5

1

지역균형발전 종합일반

1.03

1.79

1.26

1.37

1.47 1.39

2.01

2.78

3.17

4.07

최하위 등급

최상위 등급

25%

50%

75%

※ 학과별 합격 교과 등급은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 발표 70% 컷 기준

※ 종합일반전형의 경우 학과별 합격자 70%컷을 기준으로 최상위 학과 합격 등급은 1.39, 상위 25% 학과는 2.01, 50% 학과는 2.78, 75% 학과는 3.17, 최하위 학과는 4.07등급이라는 의미다.

교과 등급 상위 5개 학과(70% 컷 기준)

지역균형발전 종합일반

1 반도체공학과 1.03 수학교육과 1.39

2 간호학과 1.12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1.55

3 생명공학과 1.13 국어교육과 1.55

4 파이낸스경영학과 1.17 의예과 1.57

5 교육학과 1.18 행정학과 1.66

교과 등급 하위 5개 학과(70% 컷 기준)

지역균형발전 종합일반

1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1.79 물리학과 4.07

2 정책학과 1.69 의류학과(자연) 4.03

3 자원환경공학과 1.61 의류학과(인문) 3.85

4 중어중문학과 1.59 실내건축디자인학과(인문) 3.65

5 실내건축디자인학과(자연) 1.57 국제학부(글로벌한국학전공) 3.59

● 전형별 합격자 고교 비율

고교 유형

전형 분류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고·영재학교 기타

지역균형발전 100 % 0 % 0 % 0 % 0 %

종합일반 55.08 % 26.56 % 12.73 % 5.63 % 0 %

논술 75.51 % 12.65 % 4.9 % 4.9 % 2.04 %

※ 2023 대입 대학 알리미 자료 기준

자문 교사의 2024 한양대 합격 Adivice

지역균형발전전형은 학생부 교과 성적만 100% 반영한다. 수능 최저 기준과 면접이 없다. 경쟁률은 2022학년 8.37:1, 2023학년 8.25:1이었고, 등록자 기준 70% 성적은 2022학년 1.42등급, 2023학년 1.37등급이었다. 전형 변화가 없어 3년간 등록자 평균과 70% 성적을 고려해 지원하면 좋다. 충원율이 2023 대입 기준 314.9%에 달한다는 점도 염두에 두자.

종합전형인 일반전형도 수능 최저 기준과 면접이 없다. 학생부의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 창의적 체험 활동, 행동 특성 및 종합 의견에 나타난 종합 성취도와 4대 핵심 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종합 성취도는 종합 역량 평가를 바탕으로, 4대 핵심 역량은 성취 역량 평가를 바탕으로 종합 평가한다. 종합전형에서 일반고의 비중이 55.8%인 점도 감안하자. 등록자 평균을 중심으로 원서를 쓰되, 한양대는 종합전형에서 학생부에 기록된 정량화된 내신보다는 지원자의 역량에 대한 서술에 좀 더 초점을 맞춰 평가한다는 걸 기억하자.

논술전형은 논술 90%와 학생부 종합 평가 10%로 선발한다. 학생부 종합 평가는 출결, 봉사 활동 등을 참고해 학교생활의 성실도 중심으로 평가한다. 논술 고사일은 수능 이후로 11월 25일(토)에 인문과 상경 계열이, 26일(일)에 자연 계열이 고사를 치른다. 수능 이후이고 최저 기준이 없어 올해에도 경쟁률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로 2023학년 한양대 논술전형은 246명 모집에 2만6천553명이 지원해 논술전형 중 가장 높은 107.94: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상경 계열이나 자연과학 계열의 일부 학과는 경쟁률이 평균보다 많이 낮다. 2023학년에 281.2:1의 경쟁률을 보인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와 같은 전통적인 강세 학과는 피하는 것도 하나의 지원 전략이 될 수 있다.

기존의 다이아몬드 7학과에서 15개 학과로 개편했다. 다양한 학생들에게 장학 혜택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전처럼 고정되어 있던 학과별 장학 체계가 아니라 일정 기간마다 학과 평가와 내부 논의를 거쳐 선발한다. 다이아몬드 플러스 학과는 기존 다이아몬드 7학과, 정책 육성 학과, 이공·인문·사회·체육 계열 학과의 평가 순위를 고려해 선정한다.

Q 2025 대입 종합전형에서 추천형, 면접형이 추가된다. 변화의 이유는?

2025학년엔 학생부 기록 축소, 고교학점제 및 과정과 기능이 강조되는 교육과정 등을 반영해 전형 요소를 다원화했다. 종합전형은 학생부 100%로 선발하는 서류형, 학생부 100%와 수능 최저 기준을 적용하는 추천형, 1단계 학생부 종합 평가 100%로 5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80%와 면접 20%로 선발하는 면접형으로 구분한다. 면접형은 사범대학에 한해 운영한다. 추천형의 최저 기준은 3개 영역 등급 7 이내로 부담스럽지 않게 설정했다. 면접형은 고교학점제로 과목 선택권이 커진 만큼 과목 선택 과정 및 교과 성취 등을 확인하는 학생부 중심의 면접을 운영할 예정이다.

Q 한양대 수시 지원자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한양대는 5개 단과대학, 62개 학과가 있는 종합대학이다. 다중 전공, 복수 전공을 통해 본 전공을 넘어 다양한 학문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런 융합적 교육 환경은 학생 교육뿐 아니라 벤처·창업 분야에서도 1위를 할 만큼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인문 계열 학생이 경영학과에 진학해 정보시스템학과를 다중 전공한 뒤 삼성전자 소프트웨어 프런트엔드 사업부에서 개발자로 일하거나, 독어독문학과 학생이 컴퓨터에 대한 흥미 및 적성을 살려 융합전자공학을 다중 전공해 Dell Technologies에서

IT 컨설턴트로 재직하는 등 전공과 계열을 넘나드는 융합 인재들이 많아지고 있다. 단일 학문에 머무르지 않고 확장적 배움으로 본인만의 경쟁력을 쌓아갈 수 있는 기회를 한양대에서 만나길 바란다. 3년간 고교 생활에 충실하며 학업 역량과 잠재성, 인성을 함양해온 여러분들의 담대한 도전을 기대한다.

전형별 모집 인원

수시 모집 일정

9.12(화)~15(금)

18:00

9.18(월)~22(금) 10.24(화) 11.16(목) 11.25(토, 인문/상경)~

26(일, 자연)

12.15(금)

2024 인원

2023 인원

원서 접수

[지역균형발전]

대상자 입력

[지역균형발전]

최종 합격 발표

수능 시험

[논술]

논술고사

[종합 전체/논술]

최종 합격 발표

종합일반

50.6%

지역균형발전

20.1%

논술 14.3% 고른기회 7.1%

기타 7.9%

지역균형발전

교과

종합일반 고른기회

종합

논술

332 331

837 843

118

236

117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