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러두기

1 교육자원지도란?

세종특별자지시 역사·안전·생태·세험·행사 등 각 지역의 인·물적 자원을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학교와 마을이 상호 교류할 수 있는 교육과정 도움 자료

2 교육자원지도활용

@세종특별자지시 배움「교육자료」

예) 지역과 연계한 교과, 창의적체험활동 교육자료 활용

학교급 활용예시 비고

>우 리 마을 알아보기 (유, 1~2 학년) -우 리 동네 지도 그리기, 우리 지역 인물 소개하기 등 유·조등 >지역 연계 교육과정 (3~4 학년) -우리 고장의 모습,지역의 위지·역사알아보기 등 >지역 연계 프로젝트 활동 및 현장제험학습 ’ >지역 자원 연계 교육 활동 중등 >-학우생리동 지아역리 조활사동보 고서 작성 및 발표하기 등 -우리 지역의 문화유산,역사적 인물소개하기 등

세종특별자지시 체험「관광자료」

예) 세종족제조서원 문화재장군면 김종서문화축제전의면 골목투어 등

세종특별자지시 이해「도움자료」

예) 읍면 및 생활권 이야기, 각 지역별 역사인물 소개 등

3 자료탑재

8 학교지원본부홈페이지 (sssc.sj e. go.kr)교육지원-

학교통합지원-세종교육자원지도

l .,.

2• 참고자료

1 세종특별자치시

(2024. 9. 30. 기준)

인구 읍 면 관할법정동

395,652 명 1 9 14

■ 교육관련현황

(2025.3.1. 기준)

학교수(병설) 학급수(특수) 학생수(명) 구분 공립 사립 계 공립 사립 계 공립 사립 계 I

유치원 (6230 ) 2 (6250 ) 4(4371) 4 4(4375) 5,779 38 ,817

초등학교 55 。 55 1(,8601)2 。 1(,8601)2 32,4 6 5 。 32,4 6

중학교 28 。 28 6(3606) 。 6(3606) 16,750 。 16,750

고등학교 22 1 23 5(1987) 24 (61281) 14,589 641 15,230

특수학교 2 。 2 (5544 ) 。 (5544 ) 266 。 266 계 170 3 173 3(2,32690) 28 3(2,32898) 69,849 679 70,528

※ 학교수 ( )는 병설유지원 수로 전제 합계에 포함(휴원 중인 수왕조병설유 포함)

※ 학급수()는특수학급수로전제합계에포함,일반학급에특별학급포함

&a50 때十

2025 세종 알게 될 지도

읍면

I

꺼X ―虐

iUo

·‘ `i k g'b 輝~I f2 個 E Jr`버 l- -_ iL려 IJ 4~‘曺} t v. d, ~ r따 쓰 R'lF ~ 浴i러 i E i` 3r3溫, :요.‘~P\玄懿 l9t,덮 5》 넓〉 u ., 설`:L戶曰i /,.'84『宁푼』~`r`성건 入g〕 〉 ~〔左멀l§ II ,r쇼.` 一〉 t編`tl`'-` 자 앗懿\i,,,'I'/' . !?‘1\,때〉// 广1益 D K J I','〉답`서깊```5 f,`?', n虐에8A虐 e:心6HU虐 쇼虐e虐a―抽印el虐8에虐虐 沮虐―7유10 µu r u5r1 1f {g

/l 印心2 四虐 3

8g조 虐

4t6 ~{!lll

2025 세종 알게 될 지도

조치원읍

생태&체험

1 세종 구 산일제사 공장•

제사 공장(누에고서에서 실을 만드는 공장)

• 한국전쟁 당시 조지원여자고등학교 임시교사로사용

2 세종전통시장

• 세종에서 가장 큰 오일장(4 • 9 일)

• 항상 할기찬 분위기의 전통시장

• 숨은맛집 잦는재미가쏠쏠

3 오봉산 맨발등산로

• ‘다섯개 봉우리’라는 뜻

•왕복 1시간정노소요

• 황톳길, 조약들 지압로, 소나무숲, 팔각정 등이 있음

4 외딴말박물관

• 외딴말(외따로 떨어져 있는 마을)

• 바욜 주민들이 직접 꾸며 2016 년

2월에 개관한 마을 박물관

5 조천변 벚꽃길

• 예부터 갈대와 억새가 무성해 새가많이 모인다 하여 ‘새내', 한자로 ‘조전’이라함

• 세종시 3 대 벚꽂길중하나

6 조천연꽃공원

• 종면적 4만서규모

• 연꽂 7종과 소나무 • 이팝나무 •영산홍 등 17종 조경수 식재

7 조치원권투체육관

• 영화 '반칙왕’, '1 번가의 기적' 등, 드라마 ‘눈의 여왕’, ‘필살기’ 등 촬영

8 조지원문화정원

• 오랫동안 조지원 정수장으로 사용 되었던 건물욜 도시정원으로 재정비한 전시·제험공간

9 청춘관

옛 조치원읍장 관사

세종시 도시재생 홍보전시관

도시재생 공동체가 생산한 생활용품과 기념품 전시 홍보

10 평리문화마을

여러 색의 타일을 이용하여 꾸민 타일 벽화 문화 마을

세종시 사진촬영 명소

역사&인물

1 봉산동향나무

·용이몸을비든모양

• 약 460 년 이상된 것으로주정

• 효성과 집안 안녕, 번성을 기원

2 봉산영당

• 조선 세종 때 문신 제정공 죄용소 영정을모신곳

• 명황제 성조가 화공을 시켜 그린 영정

3 조치원역

• 1905 년 개통된 경부선의 한 역사

• 세종시 원도심의 대표적 건축물

• 역사 주변에 광장 조성, 왕성길,

청준길 등 도시재생사업이 수진 중

4 최회정려

• 효자 죄회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명정을

현판으로겉어놓은정문

• ‘봉산동 향나무’를 심은 죄중룡의 아들

조지원읍이야기

조치원읍의 면적은 13.56knf이고, 철도(경부, 호남, 충북)와 국도 1호선이 관통하며 경부·중부고속 도로뿐 아니라 KTX 오송역이 인접한 교통의 요충지이다. 조치원 지명은 조선 ‘동국문헌비고’에 ‘청주 조치원장(鳥致院場))이 4일9일 열린다’는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댜 조천(鳥)||)과 미호천偵淸]川, 작천 圖||이라고도 함)이 합쳐지는 강가에 갈대가 많이 우거져 새들의 천국이었다는 기록으로 ‘조치(鳥致: 새들이 모여들어) 원(院:사는 동네)’이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한다.

조치원읍은 역을 중심으로 동부 지역은 충청북도 청주 방향으로 평야 지역이고, 서부 지역은 충청 남도 공주 방면으로 약간의 구릉을 이루고 있는 지형적 특징으로 인해 시가지가 동편 평야에 조성되게 되었다. 교통의 편리성 등으로 고려대학교 세총캠퍼스와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가 입지해 있다. 특산물로 복숭아, 배, 단무지 등이 유명하다.

2025 세종 알게 될 지도

연기면 S1·S2

생태&체험

1 국립세종수목원

• 국내 죄조의 도심형 수목원

• 국내죄대사계절온실, 한국전통정원

학습의장인정류지원, 분재원 등 관립가능

2 무궁화테마공원

• 전월산 아래에 무궁화를 주제로 조성된 대규모무궁화테마공원

• 색재원, 품종원, 세계국화원, 휴게정원, 조형미로원 등으로 구성

3 세종호수공원

• 금강 강물을 꿀어와 인공호수를 만들어 공원으로 조성

• 호수를 중심으로 5개의 테마섬, 분수, 산책로, 자전거도로 등 제공

4 우주측지관측센터

• 세계 16번째, 아시아 3 번째로 우주측지 시스템을 갖준 연구소

• 홍보관에서 일반인에게도 우주측지기술에 대한 정보와 영상물 제공

5 원수산 습지생태원

• 윈수산 속에 형성된 대형 습지

• 보존습지, 수생식물습지, 건생습지, 조류관살공간, 생태학습장 등 제공

6 파랑새유아숲체험원

원수산 속에 나무 등의 자연물을 이용해 만들어진 놀이 공간

나무더미, 그물망오르기, 균형놀이대, 목공놀이대 등으로 구성

7 국립박물관단지

• 다양한 분야의 개별 국립박물관을 한곳에 모은 문화시설

• 어린이박물관, 토시건축박물관, 디사인박둘관, 디지털문화유산센터, 국가기록박물관 등으로 구성

8 조성습지공원

• 미호선변의 자연이 함께 하는 습지공원

• 성주-미호천-금강길로 자전거 길과 체육공원이있음

9 전통문화체험관

• 모두가 함께 전통문화를 배우고 느끼는 체험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곳

• 명상체험실, 상설전시실 및 홍보관, 사찰음식체험장, 문화제험실, 어린이 열람실 등이 있음

역사&인물

1 당산

• 백제 때 쌓은 산성으로 연기리를 지키는 중요산성

• 산 정상에는 기우제를 지냈던 제사터 및 토석산성 존재

2 석연사

• 장건 당시 석연암이라고 불렸고, 일제 강점기 시절 한국인과 일본인이 공동으로 창건한 사찰

• 대웅전, 산신각, 석불 존재

3 연기향교

• 조선시대(1416년) 관립 교육기관

• 현존 건물 대성전, 명륜당, 제기고, 전사정, 내심문, 동협문

연기면 이야기

연기면은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면서 기존 남면 지역 일부에 연기리 등 9개의 법정리와 13개의 행정리로 이루어진 지역이다. 전월산·원수산·미호천과 금강이 어우러지는 배산임수의 자연환경을 지닌 천혜의 농업 지역이며 지역주민의 인심이 온순하고후덕하기로소문난고장이다.

특히 연기면은 시선원예와 한우·낙농업 등 복합 영농의 기반올 갖추고 있으며, 약 10만 평에 이르는 조치원 일반산업단지는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일자리를 만들고 있다.

연서면 이야기

연서면은 세종특별자치시의 중서부에 있는 면으로 동(조치원, 연동), 서(전의, 공주, 장군), 남(연기)으로 경계를 하고 있으며, 농업, 축산업을 중심으로 생활하고 있다. 고복자연공원이 아름답게 펼쳐져 있어 세종시민들에게 편안한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있으며, 연화사 무인명불비상 및 대좌, 칠존불비상 동의 국가지정문화재가 있다.

월하청라 지역의 배, 국촌·쌍전 지역의 복숭아, 청라·쌍류 지역의 포도는 품질이 우수해서 전국적으로 인기를 더해가고 있다.

생태&체험

1 고복자연공원

• 고복저수지에 조성된 공원

• 잔디밭, 수번데크에서 산잭, 야외놀이, 생태탐구활동 가능

• 여름철 수영장 운영

2 과일향센터

·포도배,복숭아,고구마등을심고 수확하는 농촌체험장

포도잼, 두부만들기 등 농산물을 이용한 음식 만들기 체험

3 방앗간코리아

• 로컬푸드를 활용한 식생활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셰험장

• 지역농산물을 활용해 떡 만들기 제험을 할 수 있음

4 세종청소넌경찰학교

• 현직 경찰관과 함께 제복, 장내, 과학수사 등 경찰 관련 다양한 체험을 발수있음

·세종경찰서에셔 운영

5 쌍류리 예술촌

• 조각, 회화, 공예 등 여러 분야의 예술가들이 모여 마을을 이루고 작품활동을하는 예술촌

• 카페 한 곳만 일반인에 개방됨

6 쌍류포도정원 협동조합

• 로컬푸드를 활용한 식생활에 대해 공부 할 수 있는 체험장

• 지역농산물을 활용해 떡 만들기 제험을 할 수 있음

• 포도 따기, 고구마 캐기, 감자 심기, 두부만들기 등 계절별 농촌셰험 운영

• 닭,공작등동물도볼수있음

7 연기향토박물관

세종시 관련 시대별 전래 유물 및 전통놀이 자료가 전시되어 있는 박물관

전통놀이, 솟대와 연 만들기 등 다양한 체험이 가능함

8 연서그라운드

• 치즈, 카나페, 피자 등 우유를 이용한 음식만들기제험

• 송아지 우유주기 등 목장 체험도 할수있음

9 한국DIY가구공방협회

• 학생 맞춤형 목공 프로그램 및 자유학년제 목공 진로직업 체험

• 교육부 교육기부 진로제험 인증기관

10 희수농장

싱싱한 딸기를 직접 수확해서 먹을 수 있는 딸기 체험장

수확한 딸기는 제공된 통에 담아 집에 가져갈 수 있음

역사&인물

1 봉서재

• 조선 중기 결성장씨 장원주가 문중과 마을의 아이들을 가르지기 위해 만든 서당

2 연기대첩비

• 고려시대(1291년)에 원나라의 반란군 합단적과 싸워 승리한 연기대접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비석

• 고복자연공원 내에 위지함

3 연서효교비

5대에 걸쳐 9명의 효자가 나온 남양홍씨 집안을 기리기 위해 조선시대에 세운 효자비

4 연화사

비양사 주변에서 발견된 무인명불비상 및 대좌 칠존 불비상이 모셔져 있는 사찰

5 용암강다리

• 마율의 평안욜 기원하며 매년 정월대보름에 행하는 세시풍습

• ‘강’은 줄을 뜻하고‘다리’는 줄을 당기는 모습욜 의미함

6 학림사

•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시고 있는 사찰

• 세종시 유형문화재 제23호로 지정된 신중도가 있음

2025 세종 알게 될 지도

장군면

생태&체험

1 도토리숲키즈파크

• 숲과 정원에서 자연의 정쥐를 느낄 수 있는곳

• 정원 및 숲 속 산책, 숲 속 놀이터, 줄놀이;뜹물놀이 등 가능

2 세종스테이블승마장

• 실내 (200평), 실외 (l000평)승마장을 갖줘 4계절 승마를 즐길 수 있는 곳

어린이 체험 프로그램 학생 승마 체험교실 동호회 운영

3 영평사템플스테이

영평사에서 수행자의 일상을 경험하는 전통문화체험 프로그램

당일 및 1박2일 체험형, 휴식형 템플스테이 운영

4 예목원알밤농장

•알밤 수확 및 가을 산행을 통해 가을의 정수I 를 느낄 수 있는 곳

·안밤 줍기 및 모래 놀이터, 주말농장텃밭운영

5 주니어천문스쿨

• 어린이들이 쉽게 우주를 접하며 다양한 우주 세험을할 수 있는곳

• 정기프로그램으로 별과 태양계, 우주 탐사, 은하와 우주 운영

역사&인물

1 김종서장군묘

• 김종서 장군의 업적욜 기념하기 위해 세운 묘소와 비

2 덕천군사우

• 조선 제2대 왕 정종의 열번째 아들인 덕전군(1397 1456)을 모신 사당

3 송학리향나무

• 조선시대 중기 사창(社倉)욜 짓고 기념하기위해심은나무

• 높이는 6.5m, 둘레 2.5 m의 거목

4 영평사

• 6동의 근대 사찰 건물과 3동의 토굴을 갖준사찰

• 가을 구절조 축제로 유명

5 전주이씨 삼효 정려

• 전주이씨 3인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정려로 정면 3칸, 촉면 1칸으로구성

6 충렬사

•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중신 류형장군의 영전과 위패를 봉안한 사당

• 세종시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된중경공류형 신도비가있음

장군면 이야기

세종대왕 당시 명장이자 충신인 김종서 장군의 출생지가 공주시 의당면이고, 그의 묘가 장군면 대교리에 위치하고 있어 의당면과 장군면 주민 간의 화합을 지향하고자 장군면으로 명명하게 되었다.

장군면에서 행하여지는산업은주로농업과축산업이며, 대표적인 관광자원으로는 대교리에 있는 김종서 장군묘와산학리에 있는영평사등이 있다.장군면의 중앙부로는당진영덕 고속도로와국도제 36호가통과하기 때문에 인근의 충청남도공주시, 세종특별자치시 시가지와비교적 접근이 편리하다.

2025 세종 알게 될 지도

금남면

금남면이야기

금남면은 남동쪽으로 대전광역시,서쪽으로는 공주시에 접한다. 면의 경계를 따라 꾀꼬리봉, 금병산 등이 있고, 중앙부에 비학산, 서대산 등이 솟아 있다.평야에서는 쌀, 보리 중심의 주곡농업이 이루어지고, 구릉지에서는 포도, 배, 복숭아 등 과수재배가 활발하다. 당진영덕고속도로가 통과하고, 신탄진과 국도로 연결되어 교통이 편리하다. 대표 문화재로는 효자 강협 정려, 문절사, 국곡리 고인돌 등이 있다.

조치원읍

(용포리 대평

I

4 문절사

조선시대 사육신 중 한 사람인

성삼문을 모신 사당(매죽헌사우)

5 병산사

• 항일의사 성기운선생의 영정율 봉안하고있음

• 해마다 음력 3월 7일에 그의 학문과 덕행욜 주모하는 제사를 지냄

`

7

생태&체험

1 금강수목원

수목원, 열대온실, 야생화원, 연못, 팔각정 등을 갖춤

중부권 최대의 산림휴양문화공간 및 자연학습 교육장

2 금남 백로서식지

• 4~5월에 5,000마리 이상의 백로가 찾아옴

금강의 지류인 용수천과 금천천이 합류하는 감성리가 주 서식지

3 금남생횔체육공원

• 운동기구, 게이트볼장 및 테니스 코트로 구성됨

• 제육공원 바로 옆에 비학산에 오르는 등산로 구성됨

4 대박산 장군봉

• 해발 243m에 위지하며 진달래꽂이 많이 피어남

• 꾀꼬리봉까지 이어진 탐방로를 따라 걸으며 금강의 물줄기를 감상할 수 있음

5 바람재쉼터

금남면 금천리와 영내리 사이에 위지한고개

• 작은 정자(해민정), 운동기구, 벤지 등이있어쉬기중은곳

• 일출봉에서 해맞이 행사

6 부용리원부용장승재

• 음력 정월 열나흩날 장승에 지내는 마욜제사

• 저음에는 목장승이었으나 2002년 석장승으로교제

7 비학산

• 날아오르는 학욜 닮은 산으로, 해발 162 .S m 로 자연과 도시가 만나는 풍경을 볼 수 있는 곳

• 금남면 신촌리에 사리함

8 산림박물관

• 금강수목원 내에 있는 산림박물관

• 표본, 광물 화석 등을 볼 수 있는 5개의 전시실과 시정각실이 있음

역사&인물

1 국곡리고인돌

• 금남면 국곡리에 있는 정동기시대의 건인돌유적

• 가로195cm, 세로215cm, 두꺼 127~30cm

2 금강대도

• 일제에게 혹독한 탄압욜 받았으나 민족종교로서의 역할을 함

1874년에 창도되었으며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금강대로 본원

3 모인당(도암리)

• 화순 죄씨의 잠판공 죄한정 선생과 그의 아들인 죄중온 선생의 제사를 을리는사우

6 송립사팔상도초본

축산리 송림사에 소장된 조선 후기 팔상도의 초본

석가의 일생을 8폭의 그림으로 묘사

7 황용리 홍살문

·증,효정신의상징물

• 주민에게 마을의 자긍심을 심어주고, 청소년들에게 ‘중의예지신’정신을 가르지기 위해 세움

8 효자 강협 정려

• 효자 강협의 효행을 기리고자 후손들의 노력으로 건립

· 개방기에 세운 정려

2025 세종 알게 될 지도

연동면

생태&체험

1 교과서박물관

• 서당에서 배우던 잭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교과서 전시

• 시대상, 위인 이야기 정리

• 세계 및북한교과서 전시

2 내판역

• 조시원역과 부강역 사이 기사역으로 신호장 역할을 하고 있음

• 시민들이 그린 장욱진의 그림 벽화가 전시되어 있음

3 마을기록문화관

• 세종형 기록자시 실현을 위해 전국 최조로 마을기록문화관을 건립

• 마을회의 등과 같은 주민들의 기록물을 보존, 관리, 활용

4 황우산

등산로 194의 황룡사를 끼고 있는 산

황우산은 소가 앉아서 쉬는 모양이라 하여 이름 붙여짐

`

、 慶

역사&인물

1 마애여래입상

• 고려시대에 미륵불로 丑시된 불상

• 뱀이 불상에 앉아 벼락을 때려 한 쪽이 파손되었다는 전설이 있음

2 밀양박씨 오충 정려

• 밀양박씨 5인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조선후기에세운정려

• 아버지 박천붕과 그의 네 아들을 기리기 위함

3 육영재

• 조선 중기 서당으로 ‘송동서숙’ 또는 ‘송남서당’ 이라고 불림

• 장훈 선생이 자손들을 가르지기 위해 동생들과 세움

4 화가 장욱진 생가

• 한국적 주상화의 대가, 장욱진이 태어난곳

• 한국의 풍경, 가죽, 가족을 소재로 했으며 대丑작 ‘자화상’ 욜 이곳에서 그립

5 황룡사

• 세종시 유형문화재 제 19호로 지정된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밋 복장 유물이 보존되어있음

연동면 이야기

연동면은 세종특별자치시 동쪽에 위치하여 남쪽으로는 금강과 백천을, 북쪽과 서쪽으로 는 미호천을 끼고 있다. 금강과 미호천의 큰 물길이 합강을 이루며J 넓은 동진들 곡창지대에 서 쌀과 채소가 생산되고 각종 원예·특용작물이 시와 전국으로 공급되고 있다.

연동면은 예부터 인심 좋고 살기 좋은 풍요로운 고장으로 충신과 효자를 배출하였고 역사와전통이 깊은지역이다. 대표적인문화재로황룡사, 마애여래입상등이 있다.

2025 세종 알게 될 지도

부강면

생태&체험

1 노고봉등산로

• 삼국시대 토기가 발견된 등산로

•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내기로 성을 쌓았다는 전설구전

• 다양한 탐방코스가 있음

2 교부강약수

•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소개된 약수터

• 피부병과 위장병, 눈병에 특효가 있다고 알려짐

·현재는 음용 불가

3 부강역

• 1909년 11월 보통역으로 영업 시작

• 무궁화호 상행 3편, 하행 4편 운행

4 부강포구

• 과거 나루터로 배가 드나들던 금강 수운의종점지역

• 과거 수운이 발달했으나 현재는 남아있지않음

5 삼버들작은도서관

• 지역의 옛 이름인 삼버들에서 따온 도서관

• 고서보관,문화체험 및 다양한 분야의 교육장소로 쓰임

6 부강생횔체육공원

• 시민들의 체력증진과 여가활동을 위한 문화공간

• 산책로, 골프장, 야구장, 축구장 등 다양한 시설조성

역사&인물

1 김재식고가

• 1910 년도에 건립된 고가로 부강의 대부호 김재식이 살았던 집

• 가옥의 우즉에 있는 별당재 한옥은 현재부강성당에서사용

2 남성골산성

• 고구려의 토기가 출토된 고구려 시대의 최남단 유적지

• 삼국시내 연구에 중요한 역할

3 보만정 및 검단서원 묘정비

• 보만정 현종 10년의 정자

·조선시대 건축형태를 잘 보여줌

4 부강성당

• 1934년에 건립된 구 한옥 성당과

1957년도 본관 건물이 함께 보존되어 있음

5 부강초강당

• 1926 년 무렵 지어진 초등학교 초기강당건물

·조선후기건죽양식

6 세종홍판서댁

• 조선 중부지방 口자형 양반주택

• 전통문화·음식한복셰험과각종 공연 관림이 가능한장소

부강면 이야기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된 부강면은 시의 남동쪽에 위치하여 경부선J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철도 등이 지나고 부강역, 부강공단J 중부권 복합 물류터미널 등이 있는 교통및물류의중심지이다.

부강면은 역사와 전통이 깊다. 중요민속문화재 제 138호로 지정되어 있는 세종홍판서댁과 부강초등학교 강당, 남성골 산성, 부강성당 등의 문화유산이 잘 보존되어 있다. 특산물인 금강 배는 매년 미국J 대만 등으로 수출되고 있다.

2025 세종 알게 도리 지도

전동면

생태&체험

1 다온숲

• "좋은모든일이 다온다’’는 순우리말 다온을 딴 숲

• 자연 속에서 글램핑과 여름 물놀이 체험가능

2 동림산산림욕장

• 높이 457m 의 산으로 옥산면 장동리(瑞東里), 동림리(栗林里)와 세종시의 경계에 자러하고 있음

• ‘동쪽의 숲’ 이라는 뜻의 명징임

3 뒤옹박고을

• 전통음식 관련 체험을 통해 우리 조상의 맛과 멋을느낄 수 있는 체험장&박물관

4 베어트리파크

• 동식물이 어우러진 수목윈

• 계절별로 변화하는 자연욜 만끽할 수있음

5 세종한과

• 지역농산물을 사용하여 한과를 만듦

• 한과 만들기 과정에 오감체험욜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

6 아람달

• 농촌 인성학교로 지정되어 있음

• 도덕성, 사회성, 감성 제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제공

역사&인물

1 개미고개

• 동식물이 어우러진 수목윈

• 계절별로 변화하는 자연욜 만끽말 수 있음

• 산이 개미히리를 닮았다하여 개미고개라불림

• 6·25전쟁 당시 금강방어선 최대 격전지로 위렵탑공원이 조성되어 있는곳

2 금이성

• 세종시 전동면 송성리에 있는 삼국 시대 백제의 석숙, 성곽, 산성

3 운주산성

• 운주산에 있는 삼국시대 내성과 외성의 구조로 축조된 대형 성곽, 산성

전동면 이야기

전동면은 국도 1호선과 경부선J 호남선, 고속철도가 나란히 통과하고 있는 사통팔달 교통의 요충지다. 천혜의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운주산 및 동림산의 등산로, 산림욕장, 운주산성과 금이산성 등과 함께 곰·사슴에단 잉어 등 동물과 1,000여 종 40만 점의 식물을 함께 구경할 수 있는 ‘베어트리파크’와 옛날 어머니의 손맛을 느껴볼 수 있는 전통장류테마공원 ‘뒤웅박고을' 등 지역을 대표하는 관광 병소가 위치하고 있다.

2025 세종 알게 될 지도

전의면

생태&체험

1 백재대재

• 전통불교제례의식, 영산대재 등 문화행사

• 전의면 비암사에서 매년 4월 15일경 개최

2 세종시립민속박물관

•폐교된 금사조등학교들 활용하여 민속자료를 전시하는 둔화 공간

•각종민속놀이 (고누놀이,투호 던지기)체험가능

3 전의묘목축제

• 묘목과관련된 다양한 제험

(묘목판매, 심기, 옮기기 등) 진행

• 전의면읍내리에서 3월말경 진행

’ 』

역사&인물

1 문목사와 사관정

·문목사는 이상(李翔)의 신주를 모시는사당

• 사관정은 이상(李翔)이 건립하여 제자들욜가르졌던정자

2 비암사

• 삼국시대 말지어진 것으로 주정

• 계유명전씨아마타삼존석상, 7| 축명아□ |타여래제불보살석상, □I 록보살반7 卜사유상

3 전의궁장주장응

• 세종특별자지시 무형문화재 제1호 지정(2012년) ‘전의궁인’

• 40년 이상 각궁 세작과 후배 양성에 힘쓰고 있음

4 전의역

• 1903년 처음 만들어지고 1941년 일제강점기에 재건축됨

• 헌재 무궁화호가 정차함

5 전의초수

탄산과 철성분이 함유되어 탄산수 느낌이 나는 약수

세종대왕의 눈병을 고친 신비로운 약수

6 전의향교

제사를 지내고 지방면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

1416년에 세워짐

1685년 현재 자리로 고쳐 지음 1865년에 이르러 명륜당을 수리하고 대상전을 지음

전의면 이야기

전의면은 2012 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으로 변경되었고 농업, 축산업을 중심으로 생활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규모가 큰 묘목단지가 있으며 전의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어많은 기업들이 자리하고 있다.

역사와 전통, 문화유산이 잘 보존되어 있는 전의면은 왕의물 축제, 골목문화 축제, 3.1만세 운동 재현 행사 등 과거,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곳이며 읍면마을교육공동체가 운영되고있는행복마을이다.

2025 세종 알게 될 지도

소정면

소정초 소정농협 소정지구대 소정리역 소정면보건소 소정작은도서관

동네한바퀴

소정면 이야기

소정면은 세총특별자치시의 최북단으로 조치원에서 북쪽으로 약 24km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천안시와 인접하고 있다. 소정면을 지나는 교통 시설로 국도 1호선과 경부선 철도, 경부고속철도와 논산~천안간 고속도로가 있다. 소정면이 우리나라 교통의 요충지라는 것을 알 수 있다.소정면은 세총특별자치시의 최북단으로 조치원에서 북쪽으로 약 24km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천안시와 인접하고 있다. 소정면을 지나는 교통 시설로 국도 1호선과 경부선 철도, 경부고속철도와 논산~천안간 고속도로가 있다. 소정면이 우리나라 교통의 요충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4km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천안시와 인접하고 있다. 소정면을 지나는 교통 시설로 국도 1호선과 경부선 철도, 경부고속철도와 논산~천안간 고속도로가 있다. 소정면이 우리나라 교통의 요충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생태&체험

1 수살

• 마율의 기운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만든숲

• 세중시 산립유전자원 보호립으로 지정됨

2 원승마장

• 우리고장 여가체험장

• 승마제험, 말 먹이 주기, 편자 색칠 등 체험가능

3 해바비 캠핑장

• 수도권, 전안등지에서 많이 찾는 캠핑명소

• 사륜바이권(AW), 밤 줍기 체험 프로그램운영

역사&인물

1 대곡리삼층석탑

• 통일신라시대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탑으로 원래 있던 사찰터에서 현위지로옮김

2 대곡리장승재

• 윤년 음력 1월 14일 마을 사람들이 새로운 장승을 만들어 세우고 장승제를지냄

3 효자 김충열 정려비

조선시대 효자 김충열의 효행을 널리 알리기 위해 세워짐

2025 세종 알게 될 지도

1~6생활권

``따 :끌프`¢ 4`’ _ v ;말_,'-_ : ^편cI ?Io 흐 P|; ,'’ i

.^'바랍수면공원 |

다’

1생활권이야기

1생활권은 중심행정타운으로 정부세종청사가 위치하며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1-1) 고운동(가락마을) 고운동은 꼽다’의 우리말로 모양과 생김새가 산뜻하고 아름다운 친환경 주거단지를 뜻하고, 가락마을은 갈림길에 있는 마을, 가락처럼 좁은 골짜기에 있는 마을을 의미

1-2) 아름동(범지기마을) 아름동은 두 팔을 둥글게 모아서 만든 둘레가 한 아름 넘치는 풍요롭고 조화로운 세종시를 뜻하고, 범지기 마을은법이 누워있는모습을닮아‘법지기’라부름

1-3) 총촌동(가재마을) 종촌동은 본래 지역 명칭인 ‘종촌리’에서 유래되었으며, 가재마을은 마을의 중심에서 한쪽 가장자리에 있는 골짜기라는의미

1-4) 도담동(도램마을) 도담동은 탐스럽고 행복이 넘치는 도시를 뜻하고, 도램마을은 지형이 황소의 뚜례(고삐)처럼 생겼다고 하여 ‘도램만이라부름

1-5) 어진동(한뚤마을) 어진동은마음이 너고럽고착하며 덕행이 높다는뜻인 ‘어질다’에서 유래되었으며,한뜰마을은‘큰뜰’이라는의미

생태&체험

1 고운뜰공원

• 영유아 모래놀이공간과 크몰타워공간, UFO공간, 물놀이공간, 휴게공간, 고운뜰전망대(별빚전망대) 등으로구성된 세종시민 휴식 공간

2 고운청소년센터

• 청소년 자서활동 지원 맞 체험프로그램 제공(청소년 동아리 운영)

• 강의동아리실, 미디아녹음실, 댄스 연습실, 노래방, 게임실, 자유공간등운영

3 남세종종합정소넌센터

• 청소년의 민주시민성을 성장시키는 공간(정소년동아리 운영)

• 방송컨톈츠제작실, 뮤직스튜디오, 댄스연습실, 클라이밍, 뷰티룸 등 운영

4 밀마루전망대

• 세종시의 모습을 관립할 수 있도록 설계된전망대

• 세종시 조감도, 영상관, 전망쉼터 등이있음

5 박연문화관

• 예술인과 시민 누구나 활용 가능한 복합문화공간

• 전시실, 대관실, 아카데미, 음악장작소등이있음

6 방축천수변공원

• 수변식물테마공원, 세종광장, 자연생태학습, 친수문화, 진수활동 구간등 5개 테마로 구성된 세종시민휴식공간

4 정부청사옥상정원

• 소통 • 진환경 도시를 상징하는 공간

• 15개의 정사 건물욜 연결한 길(약 3.6km)

8 푸른뜰근린공원

•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상징하는 ‘행복의 의미를 담은 행복폭포와 다랭이 논을형상화한인공폭포, 물소리 정윈이 있는 세종 시민휴식공간

역사&안전

1 국립세종도서관

• 독서, 인분, 둔화예술, 정부의 정책과정을 지원하는 도서관 운영

• 도서 대여, 연령별 교육 프로그램, 온라인강연맞전시실시

2 교실형 안전체험관

VR체험기, 방제훈련, 심폐소생훈련, 자동제세동기 등을 통해 학생 안전교육 실시

늘봄초, 두루고 교내 위치

3 대통령기록관

• 역대 대통령의 기록물 전시 및 다양한 체험제공

• 대통령기록문화 체험교실, 진로탐색교실 기록문화나들이, 어린이 체험관프로그램제공

4 세종시립도서관

• 책 읽는 세종’욜 목표로 시민의 삶을 바꾸는 도서관 운영

• 도서 대여, 문화서비스, 책 축제 프로그램실시

5 어서각

• 조선의 태조, 영조, 정조, 고종이 직접쓴 글씨를 모신 서각

• 태조 이성계와 신덕왕후의 버들잎 설화를 바탕으로 한 전통담장, 잔디마당이있음

6 초려역사공원

• 조선시대 유학자이자 개혁사상가인 조려 이유태 선생의 학문과 사상욜 기념하기 위한 공원

• 조려기념관, 갈산서원 등이 있음

I

• 잠샘무궁

2생활권 이야기

2생활권은 주거단지 및 문화·국제교류 지구로 국가의 균형발전을 목적으로 세종특별자치시에 처음 건설된 주거지역이다.

2-1) 다정동(가온마음) 다정동은 주민들이 다정하게 잘 사는 마을이라는뜻이며, 가온마을은본래 지역 명칭인 ‘가운데말’에서 유래

2-2) 새롬동(새뜸마을) 새롬동은 생생하고 산뜻하게 느껴지는 맛이 있다는 새로움의 준말이며, 새뜸마을은 ‘새로 닦온 터’를 의미

2-3) 한솔동(첫마을) 한솔동은 큰 소나무와 같이 곧고 푸른 마을이라는 뜻이며, 첫마을은 ‘세종에 처음조성된 마을'올의미

2-4) 나성동(나릿재마음) 나성동은본래 지역 명칭인 나성리에서 따왔으며, 나릿재마을은 넷가에 있는 성’을 의미

생태&체험

1 국립조세박물관

• 세금의 중요성을 알리고 국세행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세금 전문 박물관

• 상설특별전시 및 연령별(유아, 초등, 중·고등) 체험프로그램 제공

2 다정동다목적 체육시설

• 다정동에 위서한 지역 스포츠 활성화시설

• 유소년 전용 야구장, 인조 잔디축구장, 테니스장 등으로 구성

3 새롬청소년센터

• 청소년 대상 다양한 여가 시설 운영(청소년동아리등)

• 정소년 프로그램 및 동아리실, 도서대여, 컴퓨터 등 이용 가능

4 세종예술의전당

• 오페라, 발레, 콘서트 등 장르별 특성에 맞준 전문예술 특화 공연장

• 실내(대, 중, 소)공연장, 야외공연장, 공원, 수변데크 등으로 구성

5 세종웹툰캠퍼스

• 웹툰제험과교육등지역의 만화장작자양성지원시설

• 청소년 진로제험 밋 교육프로그램 제공

6 세종지혜의숲

• 책을 한데 모아 보존, 관리하며 함께 보는 공동의 서재

• 독서공간, 세미나실, 카페 및 서점 등으로 구성

7 참샘무궁화정원

• 무궁화를꽂색깔에 따라 6가지로 구분하여 조성한 테마공원

• 근저에 세종보사업소, 잠샘약수터, 숲속산책길이있음

8 BRT은 미술관

• 세종시 문화재난에서 운영하는 문화예술공간

• 세종시 예술인과 예술단체의 전시를 무료로 지윈

역사&안전

1 교실형안전체험관

• 승강기, 에스컬레이터, 물놀이, 소화기 사용법 등의 안전교육 실시

• 새롬조, 새뜸조, 새움초, 한결조, 새롬고교내워지

2 나성동독락정역사공원

• 독락정과 임대수(의병장) 공적비 주변에 자리잡고 있는 역사공원

• 전통 정원, 향로석과 문인석, 석주, 대나무산잭로등이있음

3 나성동석조여레입상

네모난 화강암 전면에 조각한 뒤쪽으로 기울어진 석상

3개의 줄이 목에 새겨진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 석불로 추정

4 나성리토성

•금강과닿아있는낮은구릉위에자리한흙으로쌓아올린성

• 당시의 교통로인 수로를 통제할 목적으로 만들어짐

5 독도전시관

• 독도의 자연에 대한 정보와 역사에 대해 안 수 있는 전시관이 있으며 독도 관련 영상 맞 체험존이 있음

• 새롬고 교내 위치

6 한솔동 백제고분 역사공원

백제시대 다양한형태(횡설식석실분 및 석곽묘, 주구토광묘)의 묘가 발굴되어 역사공원으로 지정

• 5세기 중엽 이 지역지배층 무덤으로 추정

3생활권 이야기

3생활권은 금강의 남쪽에 위치해 있으며, 교육청, 시청, 시의회, 경찰청 등이 자리 잡고 있는 지방행정 담당 권역이다.

3-1) 대평동(해들!l尸갈) 대평동은 금강가의 넓은 뜰이라는 의미로 전래지명 대평리에서 유래되었으며, 해들마을은 해가 따스하게 드는 마을이라는의미

3-2) 보람동(호려울마을) 보람동은 보람 있는 지방행정의 이미지를 위해 붙여진 이름이며, 호려울마을은 마을의 안쪽이 넓고 입구가 좁은 것이 병의 목과 같다고 하여 ‘병 호(盛)'자와 금강이 여울졌다(물살이 세게 흐른다)고 해서 ‘호려울'이라고 함

3-3) 소담동(새샘마을) 소담동은 생김새가 탐스럽고 행복이 가득한 마을이라는 뜻이며, 새샘마을은 새로 판 샘이 있는 골짜기라는 의미

지방경찰청

생태&체험

1 금강보행교(이응다리)

• 길이 1,446m폭, 12~30m로 수변공원에 만들어진 보행교

• 다리 위쪽은 걷기전용, 아래쪽은 자전거전용으로구성됨

2 금강수변공원

• 3생활권과 4생활권 인근 금강을 따라 조성된 5.lKm 의 공원

• 장미원, 진디마당, 놀이터, 음악분수, 운동시설 등이 있음

3 금강의 아름다운 다리

• 금강의 남쪽과 북쪽을 연결하는 다리로 다양한 조형미를 갖춤

• 학나래교, 한두리대교, 금남교, 햇무리교, 아람산교 등이 있음

4 땀범벅놀이터

• 어린이의 생각을 담아 자연 소재를 활용하여 만든 놀이터

• 축구장 1개 규모로 로프놀이, 짚라인, 모래놀이 등이 있음

5 보람청소년자유공간

• 청소년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문화형성을 위한공간

• 북카페, 미디어실, 동아리실, 노래연습실 등이 있으며 정소년이면 누구나이용가능

6 숲뜰&함뱅이뜰 근린공원

• 피크닉존과 캠핑존으로 구성되어 취사가 가능한 근린공원

• 산책로, 피크닉장, 바비큐장, X게임장, 운동시설 등이 있음

역사&공익

1 보람종합복지센터

• 주민이 복지서비스를 제공 받고 문화를 즐기며 소동발 수 있는 공공기관

• 점자도서관, 동아리실, 체육시설 등이있음

2 세종시 장애인 권익옹호기관

• 장애인욜 차별 및 학대로부터 보호하고, 스스로의 권리를 지키며 살아갈 수 있도록돕는 장애인권익옹호기관

3 세종지방경찰청

주민 안전과 사회 질서 유지를 위한 일을 하는 공공기관

순찰, 범죄 수사, 교통사고 예방, 사이버범죄 예방 등 주민안전을 위한 다양한 일을 함

4 세종특별자치교육청

우리 지역의 교육과 관련된 일을 하는 공공기관

교육행사, 교사 연수, 기자재 지원, 학교 신축, 시설 보수 등 더 좋은 교육을 위한 일을 함

5 세종특별자지시의회

• 주민이 선출한 지방의원으로 구성되는주민대표기관

• 조례 재개정, 예산 심의, 행정 사무감사 등 시민들의 편안한 삶을 위한 일을함

6 세종특별자치시청

• 주민의 생혈에 불편함이 없도록 여러가지 일욜하는공공기관

• 민원서류, 교통환경, 문화행사, 재난대비, 도시재생 등 주민 생활과 관련된 다양한일을함

7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세종지역본부

• 아동의 기본적인 생활 모장, 교육지원 등 아동 권리 보호를 위해 활동하는아동옹호기관

• 세종 지역 아동을 대상으로 후원금, 프로그램, 후원 물품을 지원함

2025 세종 알게 될 지도

4~6생활권

4생활권이야기

4생활권은 행정중심복합도시의 대학·연구 지구로, 정부출연 연구기관이위치한다.

4-1) 반곡동(수루배마을) 반곡동은 본래 지역 명칭인 반곡리에서 따왔으며, 수루배마을은 수로 가에 논배미(논두렁으로 둘러싸인 논 하나하나의 구역)가 있는 들을 의미

4-2) 집현동(새나루O尸갈) 집현동은 많은 현자(賢者)들이 모이고 양성하는 지역이라는 뜻이며, 새나루마을은 나루터 위치 변경으로‘새나루’라함

5생활권이야기

5생활권은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의료·복지 지구로, 대형의료기관과 노인요양시설 및 복지시선이 위치할 예정이다.

5-1) 합강동(꽃나루마을) 합강동은 금강과 미호천이 합류한다는 지역을 의미하며, 꽃나루UH晉본 산등성이가 강을 향하여 툭 튀어 나온 지점에 있는 나루를 의미

5-2) 다솜동(글미마을) 다솜동은 사랑의 순우리말로 행복과 예정이 가득한지역을의미하며, 글미마을은논(글미)) ‘산의 끝’을의미

5-3) 용호동(미리재마을) 용호동은 본래 지역 명칭인 용호리에서 따왔으며, 미리재마을은산의 모양이 용과같다하여 이름이 붙음

6생활권이야기

6생활권은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첨단 지식기반 지구이다.

6-1) 누리동(꽃재마을) 누리동은 세상을 예스럽게 이르는 한글에서 유래하며, 꽃재마을은산등성이가들판쪽으로두]어나온고개 밑에 있는마을을의미 6-2) 한별리(둔지미마을) 한별동은 큰 별과 같이 푸르고 아름다운 주거단지를 뜻하고, 둔지미마을은 둔전(군대의 군량을 마련하기 위해 경작하는 토지)으로 부치던밭이 있는마을을의미

6-3) 산울동(산울마을) 산울동은산울타리의 푸르고깨끗한주거단지를의미

6-4) 해밀동(해밀OH}) 해밀동은 비가 온 뒤 맑게 갠 하늘을 의미

생태&체험

1 괴화산둘레길

3면이 하천으로 둘러싸인 괴화산의 산책로

밤에도 빛이 나는 듯이 보이는 명당이라는 말에서 지명이 유래함

2 깁가람 수변공원

• 언덕 위의 정자(반곡정)와 빨간풍사가 있는 금강 수변공원

• 산책, 피크닉, 캠핑을 모두 즐길 수 있음

3 모개뜰 근린공원

• 세종국책연구단지 옆에 위서한 근린공원

• 산책로와 농구장, 족구장, 운동시설물 등이 마련되어 있음

4 비오케이아트센터

• 전시, 공연, 서점, 카페를 한 번에 즐길수있는복합문화공간

• 우리말 ‘복(福)’ 을 뜻하는 BOK에서 명칭유래

5 삼성천

• 반곡동과 집현동을 가로질러 금강으로 흐르는 하천

• 고인돌 쉼터, 벼농사 체험터, 별자리광장 등이 있음

6 장애인형 국민체육센터

•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더불어 운동할 수 있는 공공체육시설

• 수영, 탁구, 필라테스 등의 각종 운동을 배울 수 있음

7 세종합강캠핑장

• 강, 자전거도로, 산책로, 등산로 등 자연과 사람이 만나는캠핑장

• 1,000명이 넘는 인원 수용가능

• 다목적구장, 족구장, 배드민턴장 있음

8 세종 BMX 경기장

•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더불어 운동할 수 있는공공제육시설

• 수영, 탁구, 필라테스 등의 각종 운동을 배울 수 있음

9 큰마루유아놀이터

• 산림의 다앙한 기능을 제험하며 정서를 함양할 수 있는곳

• 통나무모험대, 숲교실, 징검돌건너기 등 다양한 시설이 있음

10 합호서원

안항의 뜻을 기리기 위한 서원

안항은 고려시대 원나라의 주자학을 들여온 우리나라 최초의 주자학자

역사&공익

1 국토연구원

• 국토자원의 효율적인 이용·개발·보전에 관한 정책연구

• 국토의 균형적인 발전과 성장을 지원

2 세종국책연구단지

• 국가에 필요한 정부출연 연구기관이 모여있는연구단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등의 전둔 연구기관이 서로 긴밀히 협력

3 세종국제교육교류센터

• 학생, 학부모, 교원의 즐거운 외국어 교육을 위해 교육청에서 만든 외국어 교육센터

• 외국어 기조·심화 학습 제공

• 반곡고교내위지

4 한국개발연구원(KDI)

• 경제 관련 정책 수립 및 연구

• 국내외 경제 현상을 분석하여 한국 경제가 나아갈 방향 제시

• KDI School(국제정책대박원) : 국제경제전문인력 양성

5 한국법재연구원

• 법률 제토를 전문적으로 연구

• 국내외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입법(법을 만들고 수정하는 일) 정책 수립에 기여

6 한국조세재정연구원

• 세금과 국가 재정의 효율적 쓰임을 위한 정책 연구

• 공공기관의 운영에 대한 정책을 연구하고 평가

2025

세종특별자치시 교육자원지도

발행일 2024. 12.

발행처 세종시교육청 학교지원본부

박주호 다정초등학교교사

송영진 양지초등학교교사

유영우 연남초등학교교사

이상헌 수왕초등학교교사

이수진 연양초등학교교사

이형곤 다빛초등학교교사

정광섭 해밀초등학교교사

한승훈 새롬고등학교교사

홍수경 부강초등학교교사

황상연 금남초등학교교사

내가 알게 된 세종 교육자원

일시 년 월 일 장소

일시 년 월 일 장소

일시 년 월 일 장소

일시 년 월 일 장소

알게 된 점이나 느낀점을 자유롭게 써보세요

일시 년 월 일 장

일시 년 월 일 장소¶

일시 년 월 일 장소

일시 년 월 일 장소